"한국인은 도대체 왜 이 불행 속에서 벗어나지 못할까?" 김누리 교수 인문 특강(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มี.ค. 2024
  • #김누리교수 #경쟁교육은야만이다 #불평등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소아우울증 #이데올로기 #구원 #해방 #마르쿠제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인문학 특강에서 강연한 기록의 세 번째 영상입니다.
    김누리 교수는 중앙대 독어독문학과와 동 대학원 독일유럽학과 교수입니다.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독일 현대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2013년 중앙대 독일연구소가 도쿄대, 베이징대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받는 ‘독일유럽연구센터’로 선정되었는데, 현재 이 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김누리 교수는 강연에서 한국의 교육 사회를 독일의 교육과 사회와 비교하면서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여파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가합니다. 그리고 우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첫 영상에서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병리적 현상을 중점적으로 언급하였고,
    두 번째 영상은 경쟁교육의 사회적 파장에 대해 진단했습니다.
    이 세 번째 영상부터는 '이 병리적 현상을 왜 극복하지 못하는지,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흐름으로 연결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체 강연이 총 3시간을 넘는 분량입니. 긴 강연을 소주제별로 대략 15~ 30여 분 단위로 편집하여 시리즈로 올리고 있습니다.이번 영상은 그 세 번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강연의 연결 영상 보기 → 아래 링크 클릭
    첫 번째 영상 • "전교 1등을 했던 의사, 판사, 검사들...
    두 번째 영상 • "한국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
    네 번째 영상 • 그래서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공부한 한국 ...
    다섯 번째 영상 • 이제 자기 학대를 멈춰요. 당신에게 문제...
    여섯 번째 영상 • 사람은 안바뀐다고? 천만에 그 끔찍했던 ...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3

  • @aberdevinec
    @aberdevine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돈을 써서 행복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행복을 태워서 돈을 추구하는 나라.
    출산이 아이한테 죄를 짓는 거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

    • @lliliililli
      @lliliililli 24 วันที่ผ่านมา

      본인이 과연 아이한테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고민해보면 답이 나올듯.

  • @user-zt4fi6tr8w
    @user-zt4fi6tr8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국민학교때 부터 입시에 시달린 저는 자는시간 말고는 편치않은 마음을 60대가 되어서야 내려놓았네요
    종교와 여야정치 노예에서도 벗어 났네요
    조용히 미니멀하게 살다 가고파요

    • @user-rp2hf2jl5d
      @user-rp2hf2jl5d 8 วันที่ผ่านมา

      성에너지는 삶의 첫번째 에너지이고 성교가 끝나버린 남자 노인은 이제 삶에 활력이 없게 되지요 삶을 내려놓고 무위자연 하며 편하게 살아가게 되지요 성행위 포기로부터 편안함을 얻게되었네요

  • @ruru7161
    @ruru716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세상을 비판적이고 자신만의 주관으로 살되, 자신이 믿는 것만이 전부인 줄 알고 다양성을 존중 못하고 낙오되기가 쉽죠.
    나 자신 또한 믿지 말고, 항상 의심하라.
    좋은 강의 잘감상했습니다😊😊

    • @foxforest105
      @foxforest1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user-tk4tt1jt7l
    @user-tk4tt1jt7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이런 뭐같은 세상에 더이상 아이도 심지어 결혼도 하지 않겠다는 것이 최고의 분노표현이자 저항이다

    • @user-lo5bv6sw2z
      @user-lo5bv6sw2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맞는것 같아요. 권력만을 취하는 정치인이 그들의 권력지키기 이념화때문인것 같아요.

    • @user-rj4cs2zz6d
      @user-rj4cs2zz6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결혼하고 애낳는게 본인이 아닌 여태 남을위해 해주는 거였나?
      기성세대가 간혹 그런 평가를 하는건 젊은 사람들로 보는 시대비판으로 하는말이지.
      그게 곧 저항이라고 생각하는건 그냥 개똥철학이고 그냥 현재 자신의 흘러가는 삶에 대한 자기합리화의
      변명거리로 쓰는 주제로 밖에 생각되지 않습니다.
      자신의 삶은 자신이 주체고 자신이 책임지는겁니다.
      이게 첫번째에요.
      무조건 다른사람 탓하면 상황탓하면
      지금 당신들이 욕하고 자기합리화 하며 나쁜짓 하는 기성세대 기득권들과 똑같아지는겁니다.

    • @user-sw9wp7zu8y
      @user-sw9wp7zu8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rj4cs2zz6d맞습니다

  • @user-ju9jl2uc2f
    @user-ju9jl2uc2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내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 건지, 그리고 내가 하고 있는 일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가 힘들었는데(절벽을 만난 것처럼), 그 이유가 이데올로기에 있었던 것임을 알겠습니다. 발목에 걸린 올무를 끊어낸 기분입니다. 의 조나단이 생각납니다.

  • @delideli587
    @delideli58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경쟁이라 해봐야 한국사회 안에서의 경쟁일뿐, 외국에 나가면 다 똑같은데 굳이 대학서열을 따진다든가 요즘 의대광풍처럼 한쪽으로만 쏠린다든가 하는것이 문제.
    미래를 보면 오히려 이공대가 유망한데도 우물안에 갇혀 저쪽에 끼지 못하면 죽는줄 아는 “굉장히 좁은 시야”에 갇혀있는 사람들이 많죠. 세상을 좀더 넓게 보세요.
    그런데 이렇게 얘기하면 또 꼰대라고 하며 다른 사람의 조언은 싫어하는, 그러면서 다른 사람의 눈치나 이목은 상당히 신경쓰는 사람들이 많아요.
    내 인생은 내가 설계하고 그 길도 내가 찾는 겁니다. 다른 사람의 기준에 따라가지 말고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세요.

  • @user-wj8tu3gi3i
    @user-wj8tu3gi3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foxforest105
      @foxforest1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Francisco-wu8xy
      @Francisco-wu8x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좋은 강의 입니다. 고마워요.

  • @user-lc4pq3gg4e
    @user-lc4pq3gg4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6십대 할매 입니다 너무 늦지 않은 나이에 나에 자유를 찾을수 있어서 행복 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bs1951kr
    @bs1951k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김누리교수님 강 의잘듣고 우리국민들 모두가듣고 깨달아야 됩니다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수고하세요!!!!!

  • @user-ls1ko5lo3e
    @user-ls1ko5lo3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정말 좋은 강의 입니다^^

    • @foxforest105
      @foxforest1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holabird6529
    @holabird65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와 진짜 들을때마다 소름입니다 그저 감사합니다

  • @user-rx6ny5xk7i
    @user-rx6ny5xk7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60이넘어도 맘은 늘 불안 합니다.아이들 보면 맘이 안타까워요.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 분 강의보면 되게 전복적이고 혁명적이라서 좋음

  • @hunenori
    @hunenor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김누리교수님을 처음 차이나는클라스에서 강연을 접하고,
    신선한 충격을 받고, 조금은 희망도 가지게 됐습니다.
    그러나 좀더 생각을 해보고,, 좀더 이런저런 온라인 커뮤니티 등의 반응을 보니
    어차피 유토피아는 참으로 멀다는 생각을 갖게되었네요..
    댓글을 보면은... 결혼 안낳고 애 안 낳는게 저항이라는,,
    지금 한국의 젊은 세대들이 하고잇는게 저항이다..라고 하는 의견도 있는데,
    그 말씀도 일리가 있는 맞는 말씀입니다.
    어떻게보면,, 굉장히 순종적인 민족이 또 한국인이 아닐까해요.
    김누리교수님이 강조하시다싶이, 한국은 경쟁 논리/ 경쟁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있는데요.
    결국 이 자본주의의 사회구조, 시스템이라는게, 국민 100% 가 모두 다 부자가 될수 없고,,
    고소득 계층/ 중산층/ 서민층/ 빈곤층 이렇게 층이 나누어져 있죠.
    왜 계층이 나뉘어있나요?? 그 자체가 자본주의 기본 상정 구조입니다.
    자본주의는 "능력을 가진 만큼 더 부자가 될수있다. 그러니,, 더욱 더욱 노오력을 해라"
    근데 능력... 이 능력을 검증해야하는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겠죠? 그게 수능제도이고, 내신 1등급/2등급 이렇게,,
    사람의 능력을 등급화 매기는 것이 자본주의에는 필수적으로 함께 내포되어있는 기본 개념인거죠.
    근데, 이제 거기에 변수가????? 자본주의에서 부는 세습이 가능하므로,,
    부모님이 뭐, 지역에 유지이고, 뭐 양반가라서,,, 재산이 뭐 한 10억 이상부터 출발하면,,
    쪼그맣게 라도 건물주나 아니면 조그마한 카페 등을 소유해서,,, 소유주가 되죠..
    카페든 뭐 음식적의 소유주가 되면,, 알바생등은 시급으로만 임금을 받지만, 소유주는 벌어들이는 소득에 상한선이 없죠.
    즉, 부의 세습/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자본주의에 기본 내포된 한계성입니다.
    그래서 뭐 해외에 유명 학자들도,, '공정하다는 착각' 이나,
    '정의란 무엇인가' 이런 책에서도 이러한 자본주의/ 능력주의의 허점을 꼬집고있죠.
    쉽게 예를들어도, 유명한 스포츠 선수는 연봉이 50억이나 심하면은 900억도 넘어가죠.
    그리고 그 연봉이 1년에만 끝나는게 아니라,, 뭐 잘만 관리하면, 선수생명이 10년도 유지할수있으니,
    900억 곱하기 10년...9000억을 법니다. 또 유명해지면 광고도 많이찍고해서 재산이 엄청나죠.
    근데,, 그에 비해서 의사 어때요? 의사도 사실 상당한 엘리트죠.
    기본적으로 의학서적이나 논문이 영어도 많아서, 영어 독해는 기본이고,,
    의학지식도 매우 방대한데, 그걸 다 외우고 숙지한 고급인력임에는 틀림없죠.
    그런데?? 유명 스포츠 스타에 비하면,, 의사 10년 일해서 9000억 벌수있나요? 9000억은 무리죠..ㅎㅎ
    의사도 유명 스포츠 선수에겐 못 비비는데,,
    능력을 보면,,, 과연 의사의 어떤 지적 능력이 스포츠 선수의 운동 능력에 비해서 후달리는가????
    의사가 스포츠 선수보다 못나서 적게버는가?? 라는 의문인거죠.
    즉, 자본주의 자체에 이러한 공정하지 못한 기준이 기본적으로 자리잡고잇는데,
    아무도 그걸 태클 걸지 못하다가,, 미국의 유명 석학 분들이 공정하다는 착각, 정의란 무엇인가 등을 통해서 꼬집은거죠.
    근데,, 그런 좋은 저서가 세상에 출간이 된지도 꽤 지났습니다.
    아마 6년은 되지 않았나요?
    그렇지만 여전히 세상은 변하지 않았죠.
    여기 댓글란에는 '비혼과 비출산이 저항이다..'라는 의견도 계시고요.
    그러고보면 참...... 한번 고착된,,
    기득권 지배세력 - 일반인 피지배세력이라는 이 구도는.......
    절대 쉽게 변하지 않는듯합니다.
    물론,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상향식 사회개혁은 매우 힘들고 사례도 드물긴해요..
    근데...결국 비혼과 비출산만 한다.....라는건 참.....
    씁쓸하다 못해 슬프네요.
    비혼과 비출산을 하는것도 뭐 저항이 되기야 되겠지만,
    그래도 뭐.......한 90살? 까지 살면서,,
    각종 경쟁 시장에 노출된 거고... 도태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을 해야하죠.
    그리고 당연히 노동을 해야 90살까지 살수있는거고요..
    늙으면 여러가지 노화가 되어서... 이제 어느순간에는 근로가 힘들어질수도 있고,
    당뇨 등의 성인병에 대한 위험도 커지겠죠.
    암튼. 그게 결국 이 사회와 세상의 굴레겠죠.
    비혼과 비출산이 최고의 저항일수 밖에 없는....
    시대의 흐름. 틀. 속박. 한계. 씁쓸함. .

    • @min-sf6fc
      @min-sf6f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확한 인식이십니다. 그러니 우리나라 의사들도 분노에 빠져 있습니다. 그렇게 피터지게 공부하고 그렇게 병원에서 고생했는데 왜 나에게 저런 운동선수, 유튜버보다 못한 대가를 주느냐는 것이죠. 이 분노 자체는 우리나라의 인식에서는 정당하지만 안타깝게도 겉핡기에 부족한 생각이죠. 사실은 모든 사람이 똑같은 것이죠. 공부에 재능이 없어서 노력해도 안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 사람들에 비하면 나는 재능이 있으니 감사한 일이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하고 자신의 일을 즐기고 각자가 가진 재능과 특성을 인정하고 그것을 일정부분 나누고 그 자체로 행복해야 합니다. 그것은 매우 어렵지만 우리가 꼭 배워야 할 일입니다.

    • @joies573
      @joies57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백퍼 공감합니다

  • @user-cn5vt4lz2n
    @user-cn5vt4lz2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감사합니다^^

    • @foxforest105
      @foxforest1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fm6zk2qk1z
    @user-fm6zk2qk1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왜 저항이 없어요... 결혼 안하고 애 안낳게 그게 저항입니다. 교수님

    • @user-ik6oi1mm8m
      @user-ik6oi1mm8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무기력이라고 생각해요

    • @user-yh9ix3vd8h
      @user-yh9ix3vd8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저항은 모르겠고
      내몸하나 건사하기도 힘들다

    • @user-rj4cs2zz6d
      @user-rj4cs2zz6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결혼 애를 안낳는게. 누구를 위한거라고 생각하길레 그걸 안하는게 저항이라고 하시는건가요?
      다른사람들의 결혼과 애낳는것이 본인들이 아닌 남을위해 해주는걸로 보이나요?
      생각 바꾸세요. 세상이 만든 프레임속에 살지말고 하나하나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세요.

    • @zermadouble6
      @zermadouble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그건 저항이 아니라 포기죠.

    • @user-sw9wp7zu8y
      @user-sw9wp7zu8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상한 저항이네요

  • @user-sy4wi2lp4k
    @user-sy4wi2lp4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il3yy6ib1s
    @user-il3yy6ib1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나는 내가 불행한건 모르겠고. 다만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길 바라고있는데. 분명한건 그 해답은타인이나 이 사회에서 찾을게 아니라 내 자신에게서 찾아야한다는걸 점점 느끼고있는 중이다. 참고로 나는 사회적으로는 성공한 편에 속하고 나 자신도 원하는대로 잘 이루고 잘살았다는 생각을 하는 편이다.

  • @isay2691
    @isay2691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11:28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일차원적 인간’

  • @heejapark8364
    @heejapark83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

  • @user-kh3xs1bi6l
    @user-kh3xs1bi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 @foxforest105
      @foxforest1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yune5597
    @yune559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scy426
    @scy426 2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항은 최소한도라도 '연대성'을 반드시 전제하는데 한국 사회에는 그런 것 없습니다. 또한 저항은 변화에 대한 열망을 내포하지만 이 사회엔 이 또한 없습니다.
    결혼 안 하고 애 안 낳는 건 포기지 저항이 아닙니다. 이 사회는 그냥 다 포기하는 쪽으로 가고 있습니다.

    • @shh4432
      @shh4432 23 วันที่ผ่านมา

      연대하자고 모인 분들부터도 인정욕구와 선민의식에 빠져있죠.
      제로섬게임 타파하고 반경쟁,반능력주의로 가자고 모인 분들조차도 스스로 경쟁교육이 자신들에게 얼마나 내면화되어있는지 알아채지 못하구요.
      그래서 이데올로기의 대항마로서의 이데올로기로 가는 것 이상은 어렵죠.
      모두 각자가 담론을 논한다고 하지만 그 안에 이미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음을 눈치채지 못하는 건지, 알고도 그저 이용만 하고 있는건지 알 수 없죠.
      known known만 집중하는 교육 시스템이라 모르는 것, 불확실한 것은 곧바로 타자화시키고
      과학을 대하는 태도도 모르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확실히 모른다고 말하는 사람을 공격하고
      이미 검증된 known을 현대과학이라 말하고 믿으며 스스로 자칭 합리적이고 깨어난 사람이라 말하는 사회니
      당연히 노벨상이 나올 리도, 그럴 수도 없는 거죠.
      이런 훌륭한 강의를 듣고도 문학교수가 사회에 효용성 떨어지는 인문학을 말하는 것 뿐이라고 취급하는 사회구요.
      이상,관념을 공통의 보편 정답이고 따뜻한 공동체의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하지만 인식이라는게 얼마나 주관적인지에 대한 고민은 없으며
      그런 고민을 이미 몇백년 전부터 해왔고 소위 철학적 사고가 우리가 사는 이 시스템에 얼마나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도 없네요.

  • @user-oz6sj1py1h
    @user-oz6sj1py1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

  • @travel0904
    @travel090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들었습니다. 먹고사니즘으로 하루를 소진하는 일을 멈추어야 합니다. 깨달음을 얻은 강연이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명언이 생각납니다.

  • @hsm8717
    @hsm87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기 혁명 즉 이데올로기 덩어리로 부터 깨쳐 나와 지는것 흔히 정신병 원인과 해결책 이게 한 인간의 존재로는 주체로는 제일 어려운일

  • @bushwickmoon
    @bushwickmoon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5:17 이데올로기: 한집단이나 사회의 지배적인 잘못된 관념체계 ex 경쟁/발전/반공 이데올로기 cf 담론:페미니즘 생태

  • @wanhojung2228
    @wanhojung222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상과 현실은... 세상은 조금씩 조금씩 발전

  • @minuet-bs9qx
    @minuet-bs9q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회주의적 체재로가면 공평하고 모두가 행복할까요?
    내생각에는..
    늘...나와 상대를 비교하고 물질적 박탈감을 안고 살아서인듯..
    함께 동행하며 사는것이 아니고 누군가를 지배하고 살아야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행복하지 않다..

    •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교하는거부터가 극심한 천민자본주의와 한국의 미개한 전통문화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재앙인데 그게 개인이 비교하지말라고 해결될 문제인가요?

  • @user-by7wd7ks8z
    @user-by7wd7ks8z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아~~난 사람이였나보다
    한국사회교육 정말 토나는게 정상였구나;;

  • @user-cg5kh9cd6g
    @user-cg5kh9cd6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안을 모르기때문이다
    맞다 내가 불행한지를 모르겠다

  • @user-po5og7gu8x
    @user-po5og7gu8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치선동질로 정권 탈환위해 촛불을 드는게 아니라
    국민 스스로가 더 나은 삶을 위해 개혁의 촛불을 들어야 한다
    교육이 바뀌지 않으면 그냥 이렇게 길들여져 사는거다
    경쟁에서 이긴 기득권층이 만든 이 제도는 자신들은 잘살게 만들었고 국민을 가스라이팅하기 좋은 저항하기 힘든 환경으로 만들어 놨다
    이제 이걸 타파해야 한다

  • @nohkw88
    @nohkw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러는 독일에서 왜 네오나치가 등장하는지 궁금해집니다.

    • @Kim-gd9tz
      @Kim-gd9tz 14 วันที่ผ่านมา

      그 이후에 나온 교육입니다 나치라는게 다시 안나오개요

    • @nohkw88
      @nohkw88 5 วันที่ผ่านมา

      @@Kim-gd9tz 그럼 요즘에는 청년층에서는 네오나치가 안나오나요?

  • @user-behfvqt3txg
    @user-behfvqt3tx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통적인 사회,전통적인 교육 아래에서 숱한 문제점과 부작용이 있었습니다.그러면 지금의 위기와 그것과 비교해 봅시다 어는 것이 더 위기인가!과거의 부작용보다 지금의 위기가 더 큰 위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그러니까 지금의 위기를 벗어나고 싶다면 전통적인 환경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그런데 그건 싫대요.그러면 말을 하지 맙시다.모든 건 우리 손을 떠났으니 세상이 알아서 판단을 해 줄 겁니다.그 때는 우리와 다르게 생긴 사람들 눈치 보며 살아야 할 겁니다.그리고 이 때 쯤이면 나와는 상관 없는 일이 되겠군요.

  • @ahnenoch
    @ahnenoc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사유재산의 한계영역을 정해야 합니다. 예로, 개인사유재산을, 현금 200억, 1가구 2주택, 등을 사회적 개인재산 한도로 정해야 극심한 격차를 해소할 것입니다.

  • @nubuya2527
    @nubuya252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은 망했습니다 더이상 살아날 가망성이 없어요

  • @user-zl7et6xc5l
    @user-zl7et6xc5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기 자신의로부터의 해방 즉 지역주의 에서의 해방 그게 답이죠

  • @parkjun8009
    @parkjun80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3.1운동 하고 주입식교육으로 창의적인 인간을 키우지 못하게 세뇌시키며 상상력을 가지는것은 안된다는 경쟁이란 지배할려는 그리스 경쟁 이데올로기 파시스트를 키우는것입니다.

  • @doug-zk3ck
    @doug-zk3c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기대가 없는 사회라서 원망과 분열과 갈등 분노가 우리 사회를 덮고 있는걸까요? 잘 들었습니다.

  • @user-rj7mb4hu9v
    @user-rj7mb4hu9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대한민국의 잘못된 교육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정말 혁명을 해야 합니다.
    1. 경쟁과 발전이 관념으로 잘못 되었으면,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도 알려주세요.
    2. 무엇을 얻기 위한 질서가 없으면 평등한 공산과 무순 차이가 있는지요?
    3.모두가 꿈꾸는 경제적 자유는 결국 돈인데, 돈은 남들이 하지 않는 일을 내가 함으로써 얻는 결과물인데, 행복하게 돈버는 직업들은 얼마나 있을까요?
    4. 모두가 의대를 가고 싶으면 의대에서는 어떻게 인재를 뽑아야 하나요?
    5. 아프리카 처럼 얘들을 방목해서 자유롭게 키우는게 행복이면 그렇게 행복하게 자란 애들은 왜 원조만 받고 살아야 하나요?
    6. 유럽 선진국들이 지구를 위한다고 개발국들의 경제 발전을 규제하는 것도 기득권의 논리가 아닌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다음 강의에 부탁 드립니다 ^^

    • @travel0904
      @travel090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면화되어 그 이상을 상상할 수 없는 유기물은 1초를 살아도 틀딱지 안에서 못 벗어난다. 서로 돕는 사회, 자유를 향한 일 ~~~

    • @tonyjin9168
      @tonyjin916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님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데올로기를 스스로 생각해보고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독립적인 자유시민이 되시길 원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항상 정답이 있는 것에 익숙한 우리가 아닐까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 그러한 정답을 강요하는 것이 또다른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닌지도 생각해야 될듯 합니다.

    • @simsimpas
      @simsimpas 24 วันที่ผ่านมา

      김연아와 송소희의 부모님이 대단하다고 본다 어릴 때 자질이 있어도 감히 우리나라가 피겨 선수로서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몇 퍼센트나 될까 우습게 여기며 의사를 시키려고 했다면 김연아 같은 사람들이 나왔을까?? 미국의 it 기업과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가 많은 것은 자기의 특성을 잘 ..발현한거

  • @ZarathuPower
    @ZarathuPow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교수님의 말씀이 한 30년은 늦음감이 있네요. 선박이 한번 바다에 기울어져 빠져가면 다시 치켜 세워 질 수 있나요? 한국교육은 바다에 빠져들고 있어요. 우리는 다 우스운 경쟁게임에 데메지된 인간이 됐습니다. 윤석렬/한동훈이 그 표본 입니다. 이런 피폐된사회가 교육혁신으로 갱생한다면 그건 기적 입니다.

  • @user-sw9wp7zu8y
    @user-sw9wp7zu8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듣기좋은 말같지만 동의하기 힘들다...평등이 좋기만 할까..우린 인간이라는 동물일 뿐인데...뭔가 혹세무민하는 느낌은 왜일까..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시스트라서 그럼

    • @simsimpas
      @simsimpas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평등을 말하는게 아니고 각자의 잘하는 분야로 일을 해야 된다고 약자를 돌볼 줄 아는 사회 북유럽처럼 되어야 하는 것이고 흑백 논리가 아니고 흑백논리에 사는 옛 사람이네 당신같이 자기 사고방식 꽉 막혀서 스스로 발전하지 않고 꽉 막힌 사고방식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꼰대라고 하는 겁니다 우리나라는 우물 안에 개구리 사고방식으로 남을 평가하는 수준 아직도

    • @user-rp2hf2jl5d
      @user-rp2hf2jl5d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데올로기에 빠져서 국민이 상당수가 이러시는 거지요 난 노력했으니 부자일 자격이 있고 내 자식은 부를 고스란히 물려받을 자격이 있다 이런 경쟁 이데올로기에 세뇌된거요 근데 그런 경쟁 사회는 무너질수있다 현재 우리나라가 그렇게 진행중이다 이겁니다 2백년후먼 인구가 10프로로 줄어든다고요

  • @heejapark8364
    @heejapark83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비교ㅡ당하고ㅡ나자신도?

  • @user-ip7so1vh1x
    @user-ip7so1vh1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병철의 글!!!!!!!!!!!!!!!!!!!!!!

  • @user-hc8rh3do9z
    @user-hc8rh3do9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파의 가치는 경쟁을 통한 성장에 목표를 두면 결국 파이가 커지니 혜택이 돌아간다. 국가의 물질적 측면에서 이 선행이 핵심
    좌파의 가치는 경쟁을 통한 소득격차가 커지면 삶의 질이 떨어지는 계층이 생기니 평등을 중시하는걸 목표로 두는게 핵심
    어느쪽이 맞는지는 그때 그때 다르지 않을까요?
    다만, 경쟁 없는 평등은 하향평등으로 가는거는 자연적 현상이나 경제적 현상으로도 부정하기는..
    인간의 본성 또한 국가가 요람에서 무덤까지 책임져 준다하면 열정적으로 일할 사람은 없슴 ~삶의 질도 소중하기에…
    모든 나라가 다 함께 평등을 먼저다 하는 세상이라면야 그게 하향 평등으로 간다 한들 정신적으로는 문제될거는 없슴
    하지만 나라마다 천연자원 보유량이 다르고 인적자원 수준이 다르고 지정학적 환경이 다르고 아직도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끝나지 않은 남북 대치라는 특수성도 다르고~~
    경쟁 없는 삶의 질을 강조 하는 사회가 반드시 정답이라고 하는것에 세상의 중심이 한반도라면야 동의하지만 우리가 중심이 아니라면 여기에 동의가 쉽지는 않네요~
    아 이런 생각도 하고는 살아야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세상이 천국은 아니죠 ~~종교 존재 이유 또한 그래서 있고요 . 넘 한쪽에만 치우치게 하는 중간적 오류는 경계해야 합니다. 우리만 사는 세상이 아니니~
    독일 또한 경쟁을 중시하던 산업발전 시대에 유산인
    벤츠니 BMW니 게르만족 선조들이 물려준 자산이 있으니 버티는거지 애플이나 구글이나 그리고 교수님께서 지금 강의 하시는걸 이리 편히 볼 수 있는 세상을 만든 유투브등 경쟁 없이 누릴수도 생길수도 없지요 ~~ 독일이 성장을 멈추고 미래가 그리 밝지만은 않지요~~독일 경제 후퇴 원인은 무엇때문일까요?
    좋은 강의는 맞습니다 이런 생각도 하고는 살아야 하니요 ~~ 하지만 이것만 강조 하는 혁명은 글쎄요 …유토피아라는 확증적 상상은 위험해 보입니다.
    끝으로 대한민국에는 행복한 사람이 없다는 식 애기는 참으로 동의 할 수 없네요.
    행복을 느끼고 보람을 느끼고 하루 하루 열심히 사는 분들도 주변에 많습니다.
    불평 불만에 쩌든 사람도 많지만요 ㅎㅎㅎ
    세상을 한면으로만 보지 마시길요~~

    • @clair7828
      @clair7828 26 วันที่ผ่านมา

      댓글에 아주 동의합니다.
      유토피아를 선망하고 능력주의를 배격한다고 그것의 결과가 무조건 좋은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극단적으로 맑시즘이 그렇지 않습니까? 북쪽이 그렇지 않습니까?
      사람의 이기적본성을 깊이 숙고하고 한국적 현실을 잘 살펴 정책을 수립해야합니다. 자본주의와 시장경제,
      를 무너뜨리고 기본적평등을 보장하다가 이전보다 더 큰 몰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정말 단군이래 조선및근대화역사에서.지금이 가장 어렵고 불행한 시대일까요?
      이 이데올로기가 잘못되었나요?
      아뇨.
      이건 굉장히 민감한주제입니다.
      착취자를 대상으로 혁명으로 허물어놓으면
      그 자리에 궁금적으로 다른 착취자가
      권력을 잡는게 인간사입니다.
      독일은 2차대전및 독일철학의 토양이 있어요.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그와
      다릅니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수호로
      이만큼 발전을 이뤘고 사회주의로 이룬 북은 공산당 외에 처참히 가난합니다.
      대처방안은
      아주 깊이 예리하게 숙고할 문제입니다.

  • @hae-meo-sum
    @hae-meo-su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Ideologie Kritik

    • @belia.
      @beli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튜브의 한국어로 자동 번역 기능을 쓰면 이념비판이라고 번역되네요

  • @danielsung8865
    @danielsung886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교수님 얘기 다 압니다.
    왜 창의력교육이 안돼는지를 아십니까? 주관식으로하면, 대학생 뽑는 교수님의 양심과 청렴함등, 그들의 양심을 못믿기때문입니다. 그러니 수많은 교육개혁이 다 실패한것입니다. 다 아시잔아요...
    . 혹세무민하지마시고, 교수사회에 얘기하세요...

  • @user-ds7op9fr1s
    @user-ds7op9fr1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선생말은 믿으면 안된다면서 자기말은 믿으라는 말인가?

  • @user-zl7et6xc5l
    @user-zl7et6xc5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 지역의 우열을 가리는 방법이 교육 말고는 다른 방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스포츠는 권력이나 부의 원천이 될 수 없고 교육은 우열을 가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경쟁은 불가피 합니다 해결 방안은 두지역에 갈등을 없애는 것입니다

  • @simsimpas
    @simsimpas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적성과 특화된 것을 외면한 채 대기업과 의사만 바라는 사람들에게 얘기해 봐요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그리고 나이 들어갈수록 공부를 안 하는 사람들은 생각이 폭이 좁아서 이런 얘기를 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우이 독경된 사람들입니다

  • @Live-to-die-vv2ng2zs4f
    @Live-to-die-vv2ng2zs4f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영원불변하는 절대적인 행복이나 불행이 있어서 그것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놈은 바보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쇼펜하우어까지 파도 행복이 뭔지 모를 수밖에 없다. 오늘이나 내일 어떤 철학자나 심리학자가 새로운 행복론을 제시하면 그것도 알아야 객관적인 행복을 아는거다. 현재의 보편적인 행복은 상품자본주의가 세뇌한 것이다. 타인과 공유하기 불가능한 주관적인 행복만 진짜 행복이다.

  • @user-pi5zh2sx3b
    @user-pi5zh2sx3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인들은 행복 합니다.

  • @dugwons40
    @dugwons4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울 맘 80%응 부정적인 사고를, 아무리 부자여도 비관적이다. 울 15% 정도 긍정 사고다. 울은 긍적적 언어 듣기 를 좋아하지 않는다. 이걸 이용 돈버는게 언론이다. 님(교수만)도 어려서부터 비관적이, 정상이라고 세뇌당해서다. 종교; 인간 부정적 생각을 역 이용 신(God)를 믿어야 복받는다. 행복해진다!협박을(?), 님 강연: 늘 비관론이이야 고객이 는다!

  • @user-xb9ps4im8q
    @user-xb9ps4im8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경쟁이 이데올로기라고?
    지나가는 개가 웃겠다.

  • @ruru7161
    @ruru716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대부분 사람들이 생긴 것만 봐도 불행하게 생겼음.

  • @user-bb7ti6xo7z
    @user-bb7ti6xo7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대의 욕망에 찬 강의가 이어지는데
    경쟁을 끊고 우토피아가 모엇이란 말인가
    지구촌사회에서 국제관계를 벗어나서
    생각은 인간이 폐쇄된 방국석에서 있으면 안전하다고 우물안개구리아닌가
    강의 내용을 잔신은 알고 하는지 묻고싶다
    무식의 포장, 챙피도모르고
    이미 계급의식이 꽉 차있는 사고방식
    쪽팔려

  • @jinkim5012
    @jinkim501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부패인식 투명성 국가 순위 독일 9위, 한국 31위입니다.
    독일 수준이 되면 이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gurayoya6932
    @gurayoya693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김누리, 요즘 워라벨을 즐기는게 대세인데 옛날 호랑이 담배 시절 이야길 하시네.
    내가 본 최악의 비관론자.
    혼자 똑똑이인줄.

  • @user-bv7ck3wo6l
    @user-bv7ck3wo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집단췌면?

  • @user-lw8jg2xx6w
    @user-lw8jg2xx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김누리교수님
    전80년생이고 기업에다니는^^
    컬럼보고 (이탄희) ytn에선
    팬심인것같다고
    근데전교수님의견에 10000프로
    동감합니다
    우리나라정치가왜극단이됐느냐
    흔히 지도자들의 인문학결여라고
    생각합니다 흔히공감능력이떨어져서
    그런것같습니다
    전 이탄희를지지하고
    아이러니하게 이준석을응원합니다
    전 미래에 이 두명의 이씨들이
    자신의진영에서 나라를잘 이끌어줬
    음합니다
    그럼나라는 자연스레 잘굴러갈듯
    합니다
    국민의 성실함을 볼때
    100여년간 친일 기득권
    기회주의자들이 성공했다면
    앞으로의 대한민국은 진짜노력하고
    실력있는자들이 리더가될것입니다
    이준석 천재지만 배우는중이라생각
    이탄희의원은 더 독해져야한다고생각합니다만
    미래는 이 두명에게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과(이준석)와문과(이탄희)의집합체
    꼭보고싶습니다
    제가 두딸이있습니다만
    희망이섞인 미래를 보고싶습니다

    • @bs1951kr
      @bs1951k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감합니다 응원합니다 선생님

    • @user-rp2hf2jl5d
      @user-rp2hf2jl5d 8 วันที่ผ่านมา

      이탄희는 순하면서도 논리적으로 조지는게 매력인데요 ㅎㅎ 독해져서 투사가 된다면 어떨까 생각도 해보네요 ㅎㅎ 독해진다고 좌파 운동권처럼 집권에 목매게 된다면 그것도 구시대적이 될거같네요
      시대가 변하고 있지요

  • @user-ks4yj6td8m
    @user-ks4yj6td8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김교수 자신이 말하듯 한국의 경쟁과 불평등이 심각한 국내 문제라고 규정하는것 자체가 김교수 자신이 벗어날 수 없는 개인의 이데오르기 아닌가?왜 자신이 규정한 자신만의 이데오르기를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 @user-ky2zo1we9y
      @user-ky2zo1we9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사회를 지배하는 담론이 이데올로기라고 설명 다 했는데 그 지배담론에 반박하는 걸 개인의 이데올로기 강요라고 하다니;;;;;;

    • @aberdevinec
      @aberdevine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상을 다시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bv7ck3wo6l
      @user-bv7ck3wo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른관점으로
      생각해보시고~~

    •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그렇게 따지면 이 세상에 새로운 주장은 하나도 못하겠네 ㅋㅋㅋㅋ 노예 마인드 진짜

    • @user-rp2hf2jl5d
      @user-rp2hf2jl5d 8 วันที่ผ่านมา

      남자들은 이게 문제야 본인 생각 과 다르면 사소한걸로 말꼬리 잡고 비판하기 시작한다는것 비판적 사고체계라고 스스로는 생각 하시겠지만~~~ 남이 볼때 이런식 딴지걸기는 좀 질린다고 해야할까요 뭐 논리도없이 비판하는 느낌이 확 드네요 학자들이 나름 연구해서 의견 내는거잖아요 절대적 진실은 아닐지라도 내가 이데올로기에 빠져있다 정도는 배우고 깨달을수 잇는 강의 아닙니까??

  • @duckjang7775
    @duckjang777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게 강의냐, 정말 우습다, 이런분이 대학교수라는게

  • @2011kckim
    @2011kcki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교수라는 사람이 궤변을 늘어놓으면 어떡하냐 교수 집단이 대한민국을 망쳤다고 반성하는 것이 먼저이다

    • @user-cn7dk1um2d
      @user-cn7dk1um2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교수도 교수나름아닌가요? 똥과 된장은 구분하셔야지.

    • @belia.
      @beli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궤변이라고 말씀하신건 어느 것 때문인가요?

    • @user-vk4zo6pk1w
      @user-vk4zo6pk1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니생각이 아니야~
      어떤권력이 니 머리속에 쳐넣은것이야~

    • @chae-okjeong9097
      @chae-okjeong909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 교수 강의 들었으면 왜 괘변인지 논리를 펴세요

    • @carloskim4557
      @carloskim455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와 다르면 괘변이라고 믿는것 이게 한국 교육이 실패 했다는 반증이다.
      정주영이 성공한것 세종이 성공한것, 히딩크가 성공한것.. 이 모두는 남들과 다르게 한게 핵심인데 범인들은 지들이 옳다고 우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