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중독 시대, 인생이 여전히 고통인 이유 | 종교문해력 총서 2 불교 강성용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미처 몰랐던 불교, 알고 싶었던 붓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เม.ย. 2024
  •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고, 인공지능의 시대가 됐지만, 여전히 종교는 개인적으로도, 또 국제사회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통상 종교를 가지고 있더라도 자기 종교 외엔 다른 종교에 대해서는 무지하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세계가 돌아가는 것을 핸드폰 하나로 손바닥 안에서 다 보면서도, 지금 수십 억 사람들을 절대적으로 움직이는 다른 종교에 대해서 무지하다는 것은 스스로 맹인이 되기를 자처한 것과 다름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마인드랩 재단이 기획해서 이번에 불광출판사에서 종교문해력 총서 5권을 발간했는데요. 제가 10여 일 동안 두문불출하고 이 책을 꼼꼼하게 읽어보니, 저자들이 원래 실력파들이기도 하지만, 아주 역사적 사명을 갖고 성실하게 써서, 종교에 관한 필독서가 될만하다고 보여집니다.
    한자리에 모시기 어려운 필자들을 함께 모셨습니다.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란 책을 낸 서울대 종교학과 성해영 교수님, 불교 편인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을 쓴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강성용 교수님, 기독교 편인 '지금 우리에게 예수는 누구인가'을 쓴 성공회대 신학연구원 정경일 교수님, 이슬람교 편인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을 쓴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대우교수 박현도 교수님, 원불교 편인 '소태산이 밝힌 정신개벽의 길'을 쓴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장진영 소장님입니다.
    #종교문해력 #강성용교수 #강성용의남아시아인사이드
    ----------------------------
    조현TV 휴심정
    조현 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 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 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 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 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 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 주신 분은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 분도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9

  • @user-vi8ku5ee8h
    @user-vi8ku5ee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마음공부는 정말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공부입니다.그 만큼 불가사의한 효과가 있죠. 야단법석이 대중들에게 널리 장소를 넓혀 참여 대중불교로 확장되었으면 합니다. 제 아무리 맛있는 음식도 목구멍으로 넘어가면 맛이 사라지듯이 좋고 싫고 미워하고 사랑하고 모든 욕망하는 것은 無常처럼 변하죠.생각에 지배되지 않기 위해지혜를 닦는것이,반야지혜,대담 의미있게 시청했습니다.

    • @user-kk1rn3ki4t
      @user-kk1rn3ki4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도 전문가인 강성용 교수님은 인도에 가 보신적이 없다는 게 사실인가요?

    • @user-he7by3cy2w
      @user-he7by3cy2w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k1rn3ki4t아닙니다. 가 봤습니다.

    • @user-tb5cp5ob6b
      @user-tb5cp5ob6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k1rn3ki4t 그게 뭐가 중요한가요?

    • @RohanJu
      @RohanJ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kk1rn3ki4t우주에 안 가본 사람은 우주과학 공부하면 안되나?

    • @user-mv5js2fe8b
      @user-mv5js2fe8b 4 วันที่ผ่านมา

      @@RohanJu 아하하, 무릎을 탁!쳤습니다.

  • @bertha917
    @bertha9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공감요...
    습관이 무섭고
    꾸준함이 어렵네요..
    늘 재밌게 듣습니다.. 교수님

  • @user-kf2pw9wh7q
    @user-kf2pw9wh7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강성용교수님편 반갑고 감사합니다 🙏

  • @jeongil79
    @jeongil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와!!! 강성용 교수님 남아시아 인사이드 엄청 잼나게 봤는데요. 조현티비에 나오신다니 넘 반가워요!

  • @user-wq5if6nx3t
    @user-wq5if6nx3t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강성용교수님, 박현도교수님, 성해영교수님.
    모두 모두 감사드립니다.
    솔직히 이렇게 훌륭한 분들을 한자리에 모시고 말씀 들을 수 있다는건 정말 축복입니다. 축복 ! 행운이고요.
    이런 자리 마련해주신 김현기자님께도 감사드립니다.

  • @user-xt4zs4ls5w
    @user-xt4zs4ls5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오호 … 여기서 강교수님을 뵙네요
    감격 !!

  • @kniferepair3481
    @kniferepair3481 1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유튜브로 많은것을 배웠지만 아이러니 하지만 유튜브가 나오고부터 인생이 너무 고통스러워졌다. 도파민이란게 행복감과 혐오감이 동시에 들 정도로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거같은데 유튜브를 지우고 딱 1주일 살아보니 고행이 따로 없더라. 진짜 삶이 고요해짐.

  • @user-vn5dc4dk1p
    @user-vn5dc4dk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교수님 감사합니다 😊

  • @user-dp9ek9eg5s
    @user-dp9ek9eg5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습관은 카르마다. 습관은 운명을 바꾼다...

  • @simsimpas
    @simsimpa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불광 미디어에서는 편집을 해 놓아서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이 영상에서 있는 그대로 다 보여 주셔서 이제야 이해가 되네요

  • @BSA21M
    @BSA21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내가 말이야~ ㅋㅋㅋㅋㅋ 정말 공감되네요
    아상의 극치에 달해있죠, 그리고 다른 온갖 상에도 휩싸여 있어 다른 사람도 못살게 굽니다

    • @ydgsgegsgdyd4645
      @ydgsgegsgdyd4645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아상'이 초기불교에서는 maana라고 명명됨. 이것은 탐진치 중에서 '탐' (greed)을 뿌리로 두고 사견 (wrong view)를 동반하기도 하고 동반하지 않기도 함.

  • @studiosaltfree1857
    @studiosaltfree185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중도는 중용의 의미가 아닙니다, 분별심에서 나오는 '있다 없다' , '옳고 그르다' 에 대한 편견과 삿된 견해로 스스로에게 속지 말라고 말씀한실걸로 저는 들었습니다.
    불교는 지식을 배우는 학문의 의미보다 어떻게 하면 나의 마음이 편안한 상태 그리고 참 된 나는 무엇인지 추구하는 것을 스스로를 가르침으로 삼는 집단으로 알고 있습니다.
    석가모니불이 말씀을 통해 교단이 생긴것은 사실이지만 금강경 한편에 나온 아승기,나유타 겁 이전에도 부처는 존재 했고, 수많은 윤회속에서 깨달은 이는 많습니다.
    저도 이 부분은 공감합니다. 탁발하는 것을 금하는게 된것[사이비와 이단등으로 인해서 조계종에서는 금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신도들의 성역화하여 접근 할 수 없이 절대적인 영역으로 판단하여 그것을 사유하는 것을 스스로 못하게 된것 그래서 기복적인 신앙의 의미로서 불교의 참된 수행 방향을 잃게 있는 모습을 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시대에 따라 방편은 늘 존재했고, 혼란한 대중들 속에서 늘 꽃은 핀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마음에 머물필요 없고, 고정된 것이 없다는걸 알면 고통의 이유도 알게 되겠지요, 영상을 보면서 스스로 다시 한 번 사유하게 되었습니다. 종교와 별개로 성불하십시오:)

  • @aosldk2002
    @aosldk200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너무 재미있습니다.^^

  • @aquawell
    @aquawel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강성용 교수님의 논리정연한 설명은 언제 들어도 너무 좋습니다. 그런데 조현 선생님은 갈수록 더 젊어지시는거 같습니다 ㅎㅎㅎ

    • @user-kk1rn3ki4t
      @user-kk1rn3ki4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강성용 교수님 조현쌤 얼굴빛과 눈빛 보면 젊은이들 같아요
      계. 습이 체가 되고 본질이다. 이것이 깨질까봐 매우 조심스러운 것
      진짜 귀한 말씀입니다

  • @user-vm1ur9jr5s
    @user-vm1ur9jr5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감사합니다 😊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습관이 굳어지면 본인의 본질이 된다..

  • @yslee3456
    @yslee3456 10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1

    강교수님..❤

  • @user-kd9ms6xc8u
    @user-kd9ms6xc8u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

    강교수님 감사합니다~!!

  • @youngkwang9038
    @youngkwang90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조샘 건강하게 오래오래 ㅎ❤

  • @user-yw4th9bg9i
    @user-yw4th9bg9i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갈애의 끝이 나라는것에 깊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참으로 고마운 말씀입니다.

  • @1Q81725
    @1Q81725 25 วันที่ผ่านมา +4

    나다… 또 한번 깨우침을 얻고 갑니다

  • @user-vp3lf1uq9k
    @user-vp3lf1uq9k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

    강성용 교수님좀 많이 인터뷰 해주세요 ㅠㅠㅠ

  • @01youngil
    @01youngi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 분이 이런 것도 잘 아시는군요. 딴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신 걸 시청했었습니다.

  • @user-xt4zs4ls5w
    @user-xt4zs4ls5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스며들어 나도 남도 돕는 인생

  • @user-qz3qe8vq5n
    @user-qz3qe8vq5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불교의가르침을가장쉽게이해하는방법>자기내면을깊이있게들여다볼수있는관찰력이관건임.

  • @nyx2679
    @nyx26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내가 깨달았다고 해서 삼라만상이 바뀌는 것이 아니고 인과율 또 한 바뀌는 것은 아닌데 깨달음이 마치 인과율까지 초월한 초월자로 바라보는 것이 문제죠. 깨닫다는 사물이나 세상의 모든 작용과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고 수용하면서 아닌 것은 하지 아는것. 나의 집착을 버리고 본래의 내가 혹은 나라는 게 집착임을 아는 것이죠.. 물론 나는 분명 있는 존재입니다. 깨달았다고 해서 내가 아닌 남이나 너가 되는 것이 아니죠. 다만 나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정진 하는 것이 최종의 깨달음이지 않을까 합니다. 불교가 타자구제가 아닌 자기구제의 성격이 강한 종교라서 사회문제에 이기적인 모습이 보일 순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불교가 타자구제를 마치 방기 하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종교인이든 지식인이든 삼가해야 할 문제가 아닐까요? 불교가 사회문제 뛰어들지 않은 것도 아니고 역사상 고난의 시기 불교도 타 종교만큼이 사회문제에 관활 했습니다. 종교란 사람의 삶에 영향을 서로 주고 받기에 사회에서 문제가 생긴다는 것은 종교계에서도 문제가 생긴다는 말과 같죠.. 마치 종교가 모든 것을 구제 할 수 있다는 전제가 잘못된 것이지 않을까 합니다. 세상의 모든 형상과 작용 이념과 이상은 단순히 종교적 명상이나 이데올로기로 통제되지 않고 역사상 한 번도 종교가 모든 것을 통제 한 적은 없죠 중세 종교시대에도 간섭을 할 지언정 통제했다고 할 수가 없죠..

    • @justine5804
      @justine580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부처님의 가르침과 근본불교가 다른 종교와의 차이가 자아가 없다는 겁니다.
      "나라는 것은 실존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시냅스 연결망 원리와 동일하게 만들어진 AI가 자기에 대한 생각을 하기 시작하고 자아의식을 가지면 AI의 실체는 존재하는 걸까요?

    • @nyx2679
      @nyx26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stine5804 내가 없으면 지금 자고 입고 먹고 싸고 하는 것이 무엇이면 내일 내가 회사나 학교에 가서 사람과 관계해야 하는 것은 누구입니다. 나입니까. 아님 타입니까. 불교에서 나의 집착을 버리라는 것은 실체인 나를 인정하고 집착과 욕망에서 오는 나 즉 아집과 고집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열반이나 깨달음은 나를 죽이는 것이 아닌 본래의 나 집착과 욕망에서 오는 괴로움에서 벗어난 자연 그래로인 나를 말하는 것입니다. 불굔 실체를 부정하지 않습니다. 만약 AI가 인성을 가진다면 그것도 인성이 되는 실체입니다.

    • @nyx2679
      @nyx26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stine5804 자아가 없으면 현재 존재 하는 나는 무엇입니까 앞에서 말했지만 자아의 유무가 깨달음이 아닙니다. 불교는 실체를 부정하지 않습니다. 실체가 없다면 나는 존재 하지 않는자 즉 현실에 있는 자가 아닌자가 됩니다. 불교가 형이이상학적 담론이 되면서 그 무언가를 자꾸 깨달음으로 생각하는데 나의 실체를 부정하면 불교의 깨달음을 비롯한 모든 것이 없어집니다. 그것은 무위 즉 있다 이전의 나완 다른 애초에 없다는 것이 되기에 이는 불교가 아닌 모든 종교나 철학에서 정의한 나를 부정하는 것이 됩니다. 불교는 자아를 부정하거나 실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아상 즉 집착 고집 편견을 아상이라고 말하고 그것을 부정적으로 봅니다. AI가 실체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AI가 발달이 되어 인간과 같은 데이터 처리와 막대한 네트워크가를 처리 할 수있다면 그 AI도 자아가 있는 실체가 될 것입니다. 불교는 과학이나 실체를 부정한 적이 없습니다. AI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은 지극히 서구적 관념이자 일신교적 이념입니다..

    • @hojun1363
      @hojun1363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인생은 이미 통제받는 칩이 심어진 것과 같은 행로를 걸으나 일부분 오류가 나는 만들어진 생물일 뿐인데 뭘 그리 무한한 것처럼 이야기하는 걸까? 인간은 찰나의 만들어진 행로의 구간을 걷는 과정이고 죽으면 다시 태어나 포맷되어 재탄생되는 또 다른 반복되는 과정이며 그 사이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게 되면 행로를 이탈, 즉 해탈하게 되고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된다는 우주를 지배하는 프로그래머의 프로그램일뿐.

  • @bubanbohaeng
    @bubanbohae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

  • @jinukang0205
    @jinukang02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깊은 선정에 들어가지 않아도 내가 나가 아니라는 것을 체험했습니다..음식을 먹어도 맛을 느끼지 못하고 소리를 들어도 메아리 처럼 들리고 내가 세상을 보고 있지만 세상이 3차원 공간으로 느껴지는 것이 아니고 일차원 화면으로 보입니다..겉으로는 남들과 웃고 듣고 보고 있지만 마치 제 3자가 보는 것 처럼 모든게 개관화로 보게 됩니다..그래서 내 몸이 내가 아니라는 것을 체험합니다..유식학에서 7식 나라는 말라식이 잠시 사라졌다고 생각이 됩니다...부처님의 말씀은 우리가 그 경지와 체험을 해보지 못한 체 내가 경험한 그 근기만으로 이해 하려니 이해가 쉽지 않습니다...부처님의 말씀은 진실의 말씀입니다..
    범 우주 차원에서 정신과 물질의 육체를 가진 이 세계 말고도 정신을 몸으로 삼는 세계도 있습니다..몸의 집착이 습관을 형성하고 그 습관이 습이 되고 갈애가 되어 다음생으로 이어지고..
    부처님의 말씀(법)을 머리, 지식으로써 이해하려 하지 말고 진실하고 순수한 어린아이 같은 마음으로 받아드리고 실천해 나아가야 합니다..
    수행은 나를 해체하는 작업이며 끊임없이 내 내적 번뇌 망상과 싸음이지 밖에 대상과 싸움이 아닙니다..남이 칭찬할때 수행이 잘될때(아만심) 특히 조심하면서 정진해 가야 합니다...강성용 교수님 말씀처럼 습관이 좀처럼 떨어져 나가지 않습니다...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medeia.727
    @medeia.72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 배속을 줄여가며 듣는건 처음인거 깉이요 ㅠㅠ 살려주세요😢

  • @donaldtrumpet146
    @donaldtrumpet146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21:45 중독자로서 공감합니다

  • @TheTresnoir
    @TheTresnoir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게 갑자기 왜 떴나 했더니 강성용 교수님 나오셔서 그런가보네요ㅋㅋㅋ 인도 얘기가 아니라 불교도 흥미로와요. 블교 내부에서도 여러 방향성을 고민했었다는건 첨 알았는데 재미있네요!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훌륭한 수행자는 너무나도 조심스럽다. 당신이 각고의 노력끝에 만들어 놓은 습관이
    얼마나 깨지기 쉬운지,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열심히 노력해야 하는지를 뼈저리게 체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 @SKang-hi1vi
    @SKang-hi1vi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깨달음의 끝이 무엇인가 항상 궁금했는데 영상 말미에 해답이 주어진 듯합니다. 부처 당신이 보리수 나무 밑에서 깨달음을 얻고 이후로 48년의 생애를 중생구제의 여정을 떠나는 것으로 채웠다는 것 말입니다. 보통 깨달았다고 하면 그 앎에 취해서 어디 가서 탱자탱자 시간이나 죽일 줄 알았습니다. 근데 평생을 탁발수행을 하면서 끊임없이 대화하면서 깨달음의 지혜를 나누었다는 것이지요. 여기엔 그 어떤 영광의 모습도 명예도 권위도 없습니다. 그저 대화와 이해 납득의 연속인 삶입니다. 진짜 진실의 본질에 충실한 순간의 연속인 듯합니다...

  • @user-kw6qz6fh9r
    @user-kw6qz6fh9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터미널에서 뵌 조현기자님은 유튜브영상 이미지와 1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반가웠습니다.화순 쌍봉사 구독자로부터🎉

    • @koreainsight
      @koreainsigh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반가웠습니다. ^-^

  • @yaeilik0760
    @yaeilik0760 12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1

    아상을 버리라고 배웠어요.

  • @user-kk1rn3ki4t
    @user-kk1rn3ki4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강성용 교수님 질문입니다. 22년 기준 인도에 한번도 가보시지 않은게 사실인가요?
    네이버 블로그 보고 너무 놀랐습니다

    • @user-kz3xw5ti6t
      @user-kz3xw5ti6t 15 วันที่ผ่านมา

      플라톤 전공 철학자가 그리스에 가보지 않았다가 최근에 다녀왔댜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었는데... 재미있네요.

  • @MovingMeditation_SUNMUDO
    @MovingMeditation_SUNMUD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

  • @freedomultimate976
    @freedomultimate976 29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
    이 책을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 @inhaksong224
      @inhaksong224 26 วันที่ผ่านมา

      쿠팡

    • @user-kp5zs1jq8g
      @user-kp5zs1jq8g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일반 : 서점
      인터넷 : 알라딘 쿠팡 예스24

  • @user-vp7py5lx3c
    @user-vp7py5lx3c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상구보리 하화중생"
    불교는 철저히 공부를 많이 할수록 "나도 이롭고 남도 이로운 자타일시 성불도" 가 무슨 뜻인지 깊이 깨달음..
    섣불리 논쟁할거면 마치 나무가지에 새들이 한꺼번에 앉아 그 무게에 못이겨 나무가지가 부러져 재각기 흩어져 자기 살 궁리만 하는 것과 같고 궁극에 도달할 하나도 건지지 못하고 시간만 낭비하게 됨

  • @user-kz3ti7gi9j
    @user-kz3ti7gi9j 26 วันที่ผ่านมา +1

    포기하는걸 포기해버리면 어떡합니까

  • @user-do8lr8js3q
    @user-do8lr8js3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조회수 치트키 분들이 여기에 계시네요

  • @user-xi5cm5vo1s
    @user-xi5cm5vo1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회 분위시,사회 풍토가 바로 사회적 습관인데 현실을 직시하면 자승이 한국사회 풍토와 한국불교에 방점을 찍음.

  • @bahkbahksa8339
    @bahkbahksa833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실제로 사이비 스타일 본인 과대강조 교주들을 보면 불행한 길을 계속 걸어갑니다. 본인의 생각과 정반대되는 짓을 하는 바보의 표본이죠.
    그러나 주변 대중과 더불어 겸손하게 성인의 길을 걷는 종교인들은 반드시 행복한 길을 얻게 되어 있습니다. 이들이 강교수가 말하는 현자죠.

  • @user-fn8hx8re3o
    @user-fn8hx8re3o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습관도 집착아닌가요? 정해진 일상을 고집하고 그것이 깨지는 것을 싫어한다면 그것도 집착때문 아닐까 의문이 생기네요.
    불교 거의 잘몰라요..

  • @gosterlee4117
    @gosterlee4117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강교수님께 질문있습니다......
    8정도는 단계적 수행을 통해 습관화하여 몰입에 다다라 갈애를 없애 해탈을 이룬다고 말씀하시는데
    말씀하신 사회적 죽음을 자처한 출가자도 해탈하기 힘든데
    일반 재가자는 해탈은 불가능한데
    해탈이 지상목표인 불교에서 이에 도전하는 전문 수행자 말고는 불교신도는 의미없는 일을 하는 거란건가요???
    그럼 부처님은 해탈을 전파하기 위해서 수많은 백성들이 자신의 교단에 들어와야 한다는 조건을 거신거란 건가요???
    불경에서 설하시는 부처님의 말씀들은 해탈을 지향하는 것으로 일반 속세 사람들이 볼 필요없는
    마치 공학도가 보는 전문서적과 같은 서적과 같은건가요??
    불교에서 말하는 8정도란 것이 강교수님이 말씀하신 수행적 단계가 아닌 멀티테스킹과 같은 일이라면
    바르게 살려고 하고 명상도 하면서 해탈에 도전하는 것이 각각의 상호작용에 의해 해탈의 도를 가는 것이라면
    부처님의 설법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했다면
    전문수행자만이 아닌 일반 사람들에게 할수 있는 것이고 가능하지만 전문수행자보단 느리지만 갈수 있기에 말하신게 아닌가요???
    8정도가 말씀하신 단계적 수행법이라면 일반인들에게 말하실 필요도 없는 것이잖슴까??

    • @srik6413
      @srik6413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제가 수행이란 팔정도의 정어,정업,정명을 실천하여 팔정도의 순환수행의 첫걸음을 딛는 것입니다. 그것이 계고, 정정으로 선정에드는것이 정, 선정에서 깨어나 대상을 보고 느끼는 지혜를 정견,정사유로 여실지견함이 혜 입니다. 계,정,혜는 그렇게 완성되어가는거지요. 제가자 중에서도 유마거사처럼 깨달음을 얻으신 분이 존재하니 제가자는 열심히 노력하고 또 하는 것이지요. 걸어간만큼은 걸어간 것이니까요. 이 생에 해탈이란 또다른 갈애는 그저 수행의 장애물이니 무소의 뿔처럼 혼자 걸어가라는게 부처님의 말씀일겁니다.

    • @gosterlee4117
      @gosterlee4117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srik6413 제 질문은 팔정도가 단계별 수행법이라면???........재가신도는 모두 머리깎고 절로 들어가야 팔정도의 끝인 명상이라도 해볼수 있단겁니다.....
      저는 팔정도를 단계별 수행법이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이런 댓글을 남긴것이구요....그걸 다 같이 해야 하는 것이지 바르게 보는 것이 완성될때까지 기다렸다가 바르게 생각하기 완성에 도전하고 그게 완성되면 바르게 말하는 법이 완성될때까지 도전하고......그러니까 예를들어 정견이 앞에 있으니 바르게 보는 것이 완성될때까지 그 다음 단계인 바르게 생각하고 말고는 할 필요가 없단 말과 같은 것인데 그럼 대부분 팔정도에 도전해서 노인세대가 되거나 죽을 때까지 명상 한번 못해보고 살거란거죠.....
      이게 합리적 해석입니까??.....라고 묻는겁니다....
      즉 단계별 수헹으로 하나하나 습관으로 고착화시켜가는 건 초딩이 난 대학갈거야....목표를 잡고 국어를 완성할 때까지 초중고 국어를 마스터하고 그게 완성되면 수학을 초중고 수학을 마스터하고.....이렇게 공부하는겁니다....초딩이 고딩 국어 수학을 완성할수 있을거 같아요.....중딩이나 되야 될텐데 그럼 다시 초딩 수학 아니 산수부터 고딩 수학까지 완성하고.....이렇게 각 과목별로 공부해서 언제 대학시험이나 치겠냐는 겁니다......

    • @srik6413
      @srik6413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gosterlee4117 아, 그런 뜻이라면 님의 말이 맞습니다. 계,정,혜는 계 완성 후, 정, 그후 혜 완성이 아니듯 같이 가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계,정,혜 순서가 있는 것은 앞의 것이 뒤의 것의 토대가 되기에 완성도 그 순서대로 입니다. 즉, 혜가 완성된후 정이, 정이 완성된후 계의 완성이란 없습니다.

    • @gosterlee4117
      @gosterlee4117 12 วันที่ผ่านมา

      @@srik6413 고대 한국불교계의 고승으로 신라십성중 한분이신 원효스님은 계율을 어긴 파계승으로도 알려졌습니다.....님이 말하신 계율이란 수행을 위해 필요한 행동가짐입니다..
      그 말은 부처님 시대의 계율과 현대사회의 계율이 다른 이유입니다.....그 말은 또한 신라시대의 계율도 다르기에 원효스님이 파계승이라 말하기 어렵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부처님 시대의 계율은 밥을 빌어먹는 것에 대한 것도 있었고 그건 수행자에게 있어 필요요소인 생명유지를 위한 절차로써 그에 대한 게율이며
      그리하여 고기든 아니든 가리지 않고 먹었단 겁니다......그런데 현대 불교계율에 고기를 먹을 수 있나요???.....부처님이 정하신 밥을 빌어먹는 계율이 존재나 합니까???....
      팔정도와 계정혜와의 관계는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일 뿐입니다.....계율은 행동가짐이지 그것이 바르다 아니다와는 상관없는겁니다.....
      게율중에 7집이상 돌아도 밥을 얻지 못하면 돌아오라는게 있는데 그게 정견이나 정사랑 무슨 관계일까요????....불교철학은 말로 말의 성을 쌓아올린 폐해가 있습니다....
      강한 선정력으로 바른 선안이 뚫리는 걸 모르니까 정견에 대한 이상한 말들이 많아지는겁니다.......계율은 계율이고 정견 정사 정어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부처님 시대의 계율의 의미는 정견 정사 정어를 실천하기 위한게 아니라 수행을 제대로 하기 위해 장애물이 될수 있는 걸 걷어버리는 수행자의 행동거지를 말하는 것이지
      바른 견해 바른생각 바른 말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에 팔정도에 계정혜를 얽는건 말의 성을 쌓는 것이라고 봅니다.

  • @user-dv6ke9uk6d
    @user-dv6ke9uk6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심출가하여 무상함을 체득하고 아만심을 넘어
    자리이타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부처님의 깊은 마음을
    잘 말씀해 주시네요. 쏙쏙 이해하기 좋아 넘 좋습니다.
    출연하신 분들 감사합니다 ~

  • @user-is6wm6ej5i
    @user-is6wm6ej5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백인백색~~보는 만큼 보이는것 아닌가...

  • @user-gb8dz8wd7c
    @user-gb8dz8wd7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불교에 관점에서 최악의 사람은 없습니다 개인적인의견이라 생각합니다 그럴수 있지요
    불교의 철학은 다만 다르다고 표현할뿐입니다

  • @bkopyohong1766
    @bkopyohong1766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바로 부울경이네

  • @ilwonlee9103
    @ilwonlee9103 26 วันที่ผ่านมา +1

    519

  • @user-un8sq7tx6t
    @user-un8sq7tx6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반갑습니다....8정도는 하나의 수행방법이죠..거기까지는 힌두교 '브라만'에 속해요...
    헌데, 8정도에는 '정혜'正慧가 없어요...붓다는 당시에 "정혜"를 직접 전수했고, 지금은 다시 여러 곳에서 발견해야 해요...
    작금 종교 지도자, 수행자들의 행실과 외면, 견해를 따라, 지식으로써 쉽게 얻길 기대하는 걸 "문밖에서 구한다"라 해요...
    어떤 노력,희생을 감수하더라도 직접 문안에서 구해야해요...그게 "심재"고,"일체유심조"이겠죠 ^^

    • @justine5804
      @justine580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나가다 일체유심조 ;;

    • @1fox357
      @1fox35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I가 작성한 느낌

    • @ydgsgegsgdyd4645
      @ydgsgegsgdyd4645 27 วันที่ผ่านมา +2

      8정도는 힌두교 브라만과 전혀 무관합니다. 8정도의 완성이 '혜'를 이루게 합니다. 그리고 '정혜'라는 단어가 없어요. 혜 (wisdom)라는 단어가 쓰이죠.

  • @sunghyukjang7881
    @sunghyukjang788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팔정도를 개인적인 측면에서만 봐야 할까요?
    지극히 개인에만 한정한다면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부정 또는 무지가 될 수 있지 않을까하는데...
    사회적 측면과 함께 팔정도의 길을 본다면 요즘같은 역사를 거스르는 검찰독재시대에 어찌 사는게 맞는 것인지......?

    • @ByungJinKim1
      @ByungJinKim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회적 측면 말씀하시는데, 하나 물어볼께요. 이 나라는 정규직의 과잉보호로 모든 사람들이 정규직이 되기 위해서 어린시절부터 경쟁하는 시스템인데,, 이거 문제의식은 있으신지요?? 그리고 있으시면 이걸 깰수 있는 방법은 있나요?? 검찰이야 나중에 법바꿔서 기소청으로 바꾸면 끝나는데, 진짜 이 사회의 권력 구조는 전혀 손 못댈꺼 같은데요.

    • @user-yh2bn2fg1j
      @user-yh2bn2fg1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라도 채널 아니랄까봐 이런 개솔 ;

  • @Lia3349
    @Lia334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불교가 민주화를 안 해요? ;; 그럼 수배자들 절에 숨어 있던 건요? 흐음? 그럼 기독교는 왜들 그러게 정치적으로 구는 경향이 있는지..?

  • @user-yv7ko8sd1c
    @user-yv7ko8sd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무슨말인지알겠는데 이렇게 정리합시다. 중생은 아상이 없는 부처를 목표로 할 필요가 없다. 윤회를 해서 다음생에 좋은 생에 태어남을 목표로 해야지.. 아니면 보살이 되어서 모든중생이 다 깨달을때까지 윤회를 하는걸 목표로 해야한다.. 자꾸 중생은 누구나 잠시 부처에 이를수는 있지만 머물수는 없기에 모두가 깨달아서 불국토가 이루어질때까지는 보살이 되어서 윤회를 하며 중생과 함께 생과사를 함께 해야 한다. 중생에 고통이 있는한 보살은 중생을 떠나지 않는다. 그러기에 생과사를 떠나지 않고 윤회를 하는것이다. 이렇게 정리합시다.

    • @justine5804
      @justine580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이비 요소가 많이 더해진 대승불교를 배우니 이런 괘변이 나오는거

    • @justine5804
      @justine580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게 전형적인 사이비 불교 대승불교의 폐단

    • @user-yv7ko8sd1c
      @user-yv7ko8sd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stine5804 그럼 님은 뭐요 남방 소승불교요 ..출가해서. 탁발하고 다니심. 아니면 중국 선불교. 짜라투스트라요. 분별을 내지마라..

    • @user-yv7ko8sd1c
      @user-yv7ko8sd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stine5804 대답해라. 무슨. 불교인지. 뭘. 알지도 못하고 입놀리는거 아님..나는. 다 간파한다

    • @user-yv7ko8sd1c
      @user-yv7ko8sd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stine5804 댓글달아도 댓글이 안보이는 이런경우는 너 스토커야. 신경꺼라 한테 성격장애자야~~ 못배웠으면 공부를해 ~~

  • @user-kg8kk6jj7g
    @user-kg8kk6jj7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탕탕갈비탕

  • @sky9900
    @sky9900 2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수천만억 종 생물 중에서 하수구 쥐나 바퀴벌레로 안 나고 인간으로 태어난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은혜이고 축복이다.그토록 귀하고 소중한 인생이 "고"다. "고통이다.괴로움이다" 한탄하고 원망하고 좌절하고 도피구멍 찾는 것은 그를 사람으로 낳은 부모와, 부모의 부모.부모의 부모의 부모에게 실로 배은망덕의 극치. 인간으로 살 가치가 없는 인간. "감사"가 없는 불교는 근본 싹수 부터 틀렸다.

    • @Jay-op1vx
      @Jay-op1vx 22 วันที่ผ่านมา

      인생이 축복이고 은혜임을 아시네요 님은 이미 아주 훌륭한 불교인이십니다

  • @user-dn6hk6cc5w
    @user-dn6hk6cc5w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덜 고향사람들은 기회만 생기면 정치 야기를 그렇게 한당께

  • @user-xj5yf5zz4d
    @user-xj5yf5zz4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지금의 견해나 시선으로
    부처를 본다는게
    이치에 맞나?
    난 하나님도 부처님도
    '시간' 앞에서는 불완전...
    즉 全知的이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embracinger3428
      @embracinger342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굳이 한자쓰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아요. 지식인 놀이는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예전과는 달라졌습니다. 저랑 가까운 어른들도 꼭 불필요하게 한자를 쓰던데 구시대 유물들이지요.

    • @ydgsgegsgdyd4645
      @ydgsgegsgdyd4645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시간은 실제로 존재하는게 아닌 개념 (concept)이라서 실체가 없음.

  • @jacob-xl8fi
    @jacob-xl8f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박현도 교수님 뭘 그런 질문을 하세요. 수천년간 불교를 믿은 나라들을 보세요. 부조리와 불법이 제거된 나라가 하나라도 있나요?

    • @ByongjuneChoi
      @ByongjuneChoi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어느종교든 다 해결못함

  • @odysseylee6881
    @odysseylee688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그렇게 많이 배우신 분이 윤석열이 정권 잡으면 나라가 어케 될줄 뻔히 알면서 침묵/방관 그리고 민주주의 무임승차 . 박종철씨 같은 분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여? 배워서 뭘혀유? 바르게 행동하지 않고 그저 돈만 밝히면???

    • @7chois783
      @7chois78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리재명이 정권 잡으면 나라가 어케 될줄 알았기에 ㅋㅋ 그리고 돈만 밝힌 사람들은 저쪽에? 바글바늘

  • @user-qp9kn3co2c
    @user-qp9kn3co2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향싼 종이 향내 나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