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안바뀐다고? 천만에 그 끔찍했던 전범 국가 독일은 어떻게 지금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나라가 되었을까? 김누리 교수 인문 특강(6)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5 มี.ค. 2024
  • #김누리교수 #경쟁교육은야만이다 #교육혁명 #불평등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자기학대 #자기혐오 #소아우울증 #이데올로기 #구원 #해방 #자존감 #나를사랑하는법 #완벽주의 #자기파괴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인문학 특강에서 강연한 기록의 세 번째 영상입니다.
    김누리 교수는 중앙대 독어독문학과와 동 대학원 독일유럽학과 교수입니다.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독일 현대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2013년 중앙대 독일연구소가 도쿄대, 베이징대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받는 ‘독일유럽연구센터’로 선정되었는데, 현재 이 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김누리 교수는 강연에서 한국의 교육 사회를 독일의 교육과 사회와 비교하면서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여파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가합니다. 그리고 우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첫 영상에서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병리적 현상을 중점적으로 언급하였고,
    두 번째 영상은 경쟁교육의 사회적 파장에 대해 진단했습니다.
    세 번째 영상부터는 '이 병리적 현상을 왜 극복하지 못하는지,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흐름으로 연결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네 번째 영상에서는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집중 비판하고,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세 가지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진단하면서, 독일의 이데올로기 비판 교육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영상은 능력주의 이데올로가 자기학대, 자살, 트럼프 현상 같은 사회적 파장의 주범임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샌델의 책, 공정하다는 착각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섯 번째 영상은 1, 2차 세계대전의 전범 국가이자 홀로코스트의 야만을 자행한 독일인들이 어떻게 세계 최고의 존경받는 국가로 재탄생할 수 있었는지를 살핍니다. 교육이 기적을 만들 수 있다고 역설합니다.
    전체 강연이 총 3시간을 넘는 분량입니. 긴 강연을 소주제별로 대략 15~ 30여 분 단위로 편집하여 시리즈로 올리고 있습니다.이번 영상은 그 네 번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강연의 연결 영상 보기 → 아래 링크 클릭
    첫 번째 영상 • "전교 1등을 했던 의사, 판사, 검사들...
    두 번째 영상 • "한국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
    세 번째 영상 • "한국인은 도대체 왜 이 불행 속에서 벗...
    네 번째 영상 • 그래서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공부한 한국 ...
    다섯 번째 영상 • 이제 자기 학대를 멈춰요. 당신에게 문제...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7

  • @ch-lm2ix
    @ch-lm2i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소녀상을 독일의 한 대학에서 철거한다 하자 그대학 학생들이 수업거부하고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한국대학도 안하는걸 독일대학생들은 인도적 차원으로 행동에 옮기더라고요 정말 고맙고 부끄러윗 습니다

  • @yong-gilchoi8614
    @yong-gilchoi861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독일이 바뀌게 된 것은 끊임없이 과거 잘못을 반복해서 단죄하고 교육하기 때문입니다. 과거를 직시하는 용기가 독일을 변하게 만들었습니다.

  • @hoyacho6264
    @hoyacho62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독일은 사람으로 교육시키네요. 한국 아이들이 넘 불쌍하네요.

  • @user-dq8md2uc7i
    @user-dq8md2uc7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한국에서도 책보고 핸드폰보고 챗봇보고 자유롭게 치르는 오픈북시험을 선진국처럼 초중고대학입시취업시험에 도입해야한다 책보면되고 핸드폰보면 되는 지식을 누가 많이 암기했는지 겨루는 시험은 창의적인 세계경쟁력을 절대 가질수없다 교육시험부터 바꾸어야한다

    • @wanhojung2228
      @wanhojung222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오픈북이 얼마나 어려운데 ...

  • @user-pb3zl1iy8o
    @user-pb3zl1iy8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우리는 배고픔을 견디는 게 힘들어서
    너무 빨리 급격하게 성장한 거 같아요
    성숙한 사회 배려하는 문화를
    만드는 변화를 이제 시작해야
    할 거 같습니다.
    물질이 풍족해지는 건 성숙한
    사회를 만드는 기초이라 생각됩니다
    원조를 받던 나라가 원조를 주는
    최초 국가가 되었듯이
    그 첫 걸음을 내딛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고등학교때 배운게 없어서
    .연세대 가서. 청소 노동자 시위자들 고소...그러고 보니. 이준석의 장애인들 보는 시각이랑 비슷하네

  • @anythings5588
    @anythings558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와.. 놀랍다!! 독일!!
    우리나라 정말 부끄럽기만 하다....

  • @now9090
    @now909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의 생각이 바뀐다.옳바른 사회교육...돈을 추구하는 교육이 아니다.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감동이다.
    그리고 부끄럽다.

  • @glara2724
    @glara272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사람은 안바뀝니다.독일이 바뀐 것은 구조와 시스템을 개혁했기 때문입니다.

    • @jonghoonkim8688
      @jonghoonkim86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최종석빠

    • @wanhojung2228
      @wanhojung222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냥 주입식 사상교육이죠

  • @user-bv3hg7eg8x
    @user-bv3hg7eg8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독일에 성숙한 시민 의식이 부럽네요.한국을보면 한숨이..

  • @user-br8ir2vt4y
    @user-br8ir2vt4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진짜 독일의 저 아이들과 독일이 존경스럽다.

  • @new24k
    @new24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저도 계속 눈물이 납니다. ....

  • @user-ju9jl2uc2f
    @user-ju9jl2uc2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나는 수십 년 걸려서야 톨레랑스(관용)을 그것도 귀동냥으로 들었는데... 독일 초등학생들은 이걸 핵심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한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어쩌지요?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 @isay2691
    @isay2691 14 วันที่ผ่านมา +2

    2018년 제주도 예맨 난민 수용 거부 청와대 청원 서명 5일만에 20만명 서명, 9월까지 71만명

  • @kino3251
    @kino32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현재 기성세대만 비난할수도 없는게 사회보장제도시스템을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세대라서 그런것도 같아요 ㅠㅠ
    우리가 너무 가난했던게 문제였는지,우리가 너무 빨리 성장한것이 문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
    그래도 조금씩 변화하면 분명 우리도 잘할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

    • @waterboy7356
      @waterboy735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맞습니다. 우리는 변화가 너무 빨라서 세대별 국적이 다르다고 봐야하죠...

    • @yaoungdaoung
      @yaoungdaou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 @user-lm3zi9hc7h
      @user-lm3zi9hc7h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서양에서 100년 걸린꺼 한국은 30여년 만에 산업화 민주화 다 이루어낸 국가 입니다 그만큼 논의하고 대화 할수있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던것도 사실입니다
      변화할거라고 생각합니다

  • @sjlee3402
    @sjlee340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참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네요. 그러나..
    지금의 한국 사회에선 불가능한 일로 보입니다. 사람들 생명 돌보라고 의사 직업 선택한 인간들이 자기 밥그릇 적어지게 될까봐 환자들 내버리고 나가버리는 실정인 우리나라에서 가당치 않은 일입니다. 교육 개혁도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패망의 길로 치다를 것입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일 보면 세상의 끝이 보입니다.

    • @user-lm3zi9hc7h
      @user-lm3zi9hc7h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우리나라 투표 시작한지 30여년 밖에 안되었습니다 생각하고 행동하면 그것이 도화선이 되어 큰 힘이 작용될것 입니다 입시 폐지 해야 됩니다

  • @user-xx1ru4cb1r
    @user-xx1ru4cb1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저런 알이 대한민국에서는 절대
    일어 날 수 없다.
    오로지 돈, 돈, 돈...
    나만 잘 먹고 잘살면 그만이지 뭐..

  • @user-ip5xv7xg6l
    @user-ip5xv7xg6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네요.존경스럽고.한편 부끄럽네요.

  • @user-bz4jq8eb9i
    @user-bz4jq8eb9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다음편도 기대

  • @rheinmetall9028
    @rheinmetall902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이것만 기다리고 있었어요

  • @jonghoonkim8688
    @jonghoonkim86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전쟁에서 불벼락 맞아서 변할 수 있는 계기가 됐게죠. 일단은 당시의 독일 기득권 주류세력인 나치세력이 완전 박멸되다시피 해서 독일 사회가 방향을 전환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봅니다.
    사회가 변하려면 그 사회의 기득권 세력을 약화시키지 않고는 불가능….
    반면에 일본은 전범세력이 전후에도 여전히 기득권세력이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거기에 독일과 일본의 본질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 @loana.2882
    @loana.2882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 영상을 듣고 있는 중에 개근거지라는 단어를 첨 알게 되었어요..소름 돋도록 마음이 아프네요~ 우리 사회와 우리의 아이들이 너무 안타까워요..우리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 @foxforest105
      @foxforest105  9 วันที่ผ่านมา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속되는 영상을 보시면 김누리 교수님이 제시하는 대안 부분도 만나실 수 있을 겁니다.

  • @inj2111
    @inj211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북한과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젊은세대는 저 굶어 죽어가는 북한 사람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통일비용이나 우리에게 이익이 별로 되지 않는 다는 손익계산에 젖어 들어 있다. 어릴때부터 극심한 경쟁과 최고가 되야만 한다는 이사회의 가치관이 변하여야한다.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주라 그리하면 채운다는 하나님을 체험해야 하고 남에게 대접받기위한 행동을 먼저 해야 하고 낮아 져야 높아지고 죽어야 산다는 성경의 원리를 삶으로 살아야 한다. 독일이 신학에 있어 엄청 발전한 나라이고 종교개혁도 일으킨 나라다.

    • @applessa
      @applessa 21 วันที่ผ่านมา

      교회 빨간십자가수로는 밀리지 않는데 하나님 교리로 다른 얘기만 하는 원맨쇼 무대가 된걸까요? 한국교회는 젊을 때 억울하게 살다 회개하고 아들며느리 종교강요로 구워삶다 부부갈라놓는 곳이 아니길 바랍니다. 모든 문제는 안 믿어서 생긴거라는 희안한 세뇌도 교육의 부정적 악영향입니다. 하나님은 안 변하셨죠. 사람이 바뀌는 거지요.

  • @wspa0222
    @wspa022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댓글만봐도 변화는 이미 글러먹었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파봐야 건강이 소중한것임을 알듯이 망해봐야 국가시스템에서 무엇이 중요한지 알게될것입니다.

  • @fryslee9765
    @fryslee976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스웨덴도 좀 독일처럼 전범처리는 아니래도 전쟁후에 독일 처럼 학생들에게 새로운 사상 교육을 철저히 시켰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해 봄니다. 한국도 늦지 않았다고 봅니다. 빨리 학생들에게 역사에 사실을 밝히고 미래엔 다시는 군독제 사상의 불씨를 한국 사회에서 철저히 없에 버려야 .....

  • @user-us6ce6yw5n
    @user-us6ce6yw5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치가 바뀌면 시민도 사람도ㅇ바뀌겠지요!

  • @kiwonpark731
    @kiwonpark73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독일은 전쟁범죄와 유태인 학살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철저한 전쟁범죄자 처벌을 통해 악의 뿌리를 싹 뽑았다. 그것도 부족해서 아직도 매일 자기들이 저지른 반인류적 범죄를 기억하고 반성하면서 나쁜 역사를 절대 반복하지 않으려는 의지를 정부의 좌우 성향과 관계없이 늘 강조해왔다. 그런 기초하에서 교육을 통한 개혁이 가능했던거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친일파 숙청도 못했고, 좋은게 좋은거 라면서 나쁜 역사는 잊고 좋은 역사만을 기억하려는 성향이 강해졌다. 한국 교육은 가정교육의 부재 부터 문제가 시작된다고 본다. “맘충”이라는 말이 돌아다니는 걸 보면 극단적인 이기주의에 태어나면서 부터 노출되는 아이들이 많다는 의미다. 그런 아이들에게 좋은 공교육이 효과가 있을 것 같지 않다. 아이들이 인간으로 키워지는 것이 아니라 경쟁에서 살아남는 야생동물로 키워지는 것이다. 잘못을 고치지 않으면 역사는 반복된다. 사회든 문화든 교육이든 국민적 개혁의지가 없으면 나쁜 역사는 반복될수 밖에 없다.

  • @EEELLLLLLLLLL
    @EEELLLLLLLLLL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초딩 중딩때부터 학원에 입시에 거기다 내신 비중이 높으니 친구가 경쟁자가 되고 대학기도 경쟁 경쟁 그러니 파시스트가 되는것임 숨쉴 시간이 있나 싶다

  • @jyang3257
    @jyang325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독일의 교육, 선생들이 훌륭하기
    때문이다. 더 훌륭한것은 그 선생들을
    후원하고 밀어주는 교육청이 대단한
    것이고, 그렇게 할수 있도록 후원하는
    학부모들이다. 어쩌면 언론도 성숙하가 때문이다.
    아~~ 대한민국은 어쩌다 이 꼬라지가
    되었는가 ?
    옛부터 내려오는 당파싸움은 ?? 그렇다면 선천적 피가 흐르고 있고, 가정과 학교 교육이 개 똥이라는 수준 ??

  • @Angel-mc7do
    @Angel-mc7d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타고난 기질은 안바뀝니다.
    성품은 스스로 알고 노력하면 서서히 바뀔수 있습니다😊

  • @user-bz4jq8eb9i
    @user-bz4jq8eb9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넘 재밌네요

  •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사람은 거의 안바뀌지만 전쟁같은 거대한 충격 등을 받게되면 바뀌기도 하죠

  • @pocapoca2331
    @pocapoca233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중학교에서 인성교육한다고 1박 다녀왔습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적응하는게 힘든거 같은데 하고 상담전화하면 어머니 원하는게 뭐예요? 하더군요. 귀찮고 혹여 책임질 일이 있을까 몸사리는게 느껴지더군요..대한민국의 학교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인성의 뜻도 모르는듯..

  • @bluebelllab.9253
    @bluebelllab.9253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잘 보았습니다. 언제부턴가 '사람은 고쳐쓰는 게 아니다' 라고 자조하는 격언 아닌 격언이 돌던데 교수님 강의를 보니 알거 같습니다
    우리가 그런 사회와 격언을 만들어놓고 남탓하는 거라는 생각이 드니, 정말 부끄럽네요.

  • @anotherbeginning
    @anotherbeginni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선진국 입증 . 덜 먹어도 함께 나누려는 인간 존엄성의 개념 . 배가 터지게 먹어도 나눌 줄 모르는 한국 , 좌파라고 북에 가 살라고 하겠지 …

  • @user-xv8uq3tj6d
    @user-xv8uq3tj6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김교수님!
    감동입니다
    vielen dank!

  • @user-nv1lg4ni5o
    @user-nv1lg4ni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는 의사입장을 옹호하면 공공의적이되는 이 현실이 숨막힘니다
    오로지 상대방을 적으로 보는 절대 양극화...😢

  • @user-on3hg6ih7j
    @user-on3hg6ih7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와...초등생들이...너무나 놀랍네요. 정말 부끄럽다...

    • @user-lm3zi9hc7h
      @user-lm3zi9hc7h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수준이 굉장히 높습니다

  • @jinajou
    @jinajo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여년 전 베트남 사파에서 프랑스 40-50대 아줌씨들이랑 1박2일 트레킹을 했었습니다.
    아줌씨들이 발꿈치 다까져가면서 검은 봉다리 한봉지씩 들쳐메고 산을탔죠.
    산골에 도착 했을때 봉다리를 풀어해치니 그 속에는 헌옷 한보따리 나오고
    동네 주민들이 우르르와서 각자 맞는옷 하나씩 가져가드라고요.
    같은여행 다른목적.
    저도모르게 고개가 숙여지더군요.

  • @wlWkEhfkdl6450
    @wlWkEhfkdl6450 28 วันที่ผ่านมา

    정신좀 차리자 나 포함해 서울 및 대도시 부모들...이기주의는 나라와 가정을 망친다

  • @user-du1md9wh7s
    @user-du1md9wh7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교육혁명에 주도적 역할을 하실 의향은 없으신가요?
    하신다면 저도 동참하고 싶습니다 아이들 가르치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데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이랍니다

  • @HSwim
    @HSwim 22 วันที่ผ่านมา

    독일 전범 주범들은 모두 처형 되었으니까요. 그 후손이 없으니 바뀔 수 있었죠.

  • @user-uo6zb9yb1s
    @user-uo6zb9yb1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촛불찬양자하는 김누리교수를 믿지않는다

  • @user-bg4rw6lm1f
    @user-bg4rw6lm1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국정부의 해외 공자학당, 미국무부의 미문화원 그리고 독일정부의 독일문화 지원재단 등 이 모두는 각국에 심은 자국 홍보선전원 지원, 양성 기관이 아니던가요?
    혹자는 이들을 첩자라고 합니다!!!

  • @jinkim5012
    @jinkim501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육만 잘 시키면 부패인식 투명성 순위 (독일 9위,한국 31위)가 독일만큼이나 올라갈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 @whylive3471
    @whylive347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원 수용하라
    의식주가 유한한 세상은 천국과 지옥이 수시로 바뀐다

    인구보다 의식주가 많으면 천국
    인구보다 의식주가 적으면 지옥
    인구와 의식주가 같으면 연옥

  • @ijegman
    @ijegma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손흥민은 독일에서 인종차별 많이 당했다는데요. 그 말을 공감하는 사람들도, 사례들도 많이 있구요. 이건 어떻게 보시나요?

  • @user-uu7bg3pb7l
    @user-uu7bg3pb7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들과 우리는 엄청난 차이를 이야기 해보세요!
    그것은 나치즘과 김일성주의와의 차이 일수도 있다. 웃지만 말고!!!

  • @user-nf5id1tf8e
    @user-nf5id1tf8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금 한국 교육은 암기 위주라고 할 수 없음. 교육 방법이 계속 개선되고 있음. 또한, 암기는 청소년기 중요한 교육 요소임. 암기조차 못하면, 민주 사회의 요소가 뭔지를 늘 폰 두드려 찾는게 정상임? 사고력을 기르는 교육을 하자는 것이 암기 교육을 막자같은 극단적 주장으로 변질된 채, 이 생각이 맞는지 생각도 없이 반복하는게 더 심각한 모순을 가진게 아닌가 봐야함.

  • @user-ds7op9fr1s
    @user-ds7op9fr1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선생말을 절대로 믿지마라고 했으니 이분 말도 믿으면 안된다는 것임.

  • @user-yq6yh2fy4t
    @user-yq6yh2fy4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한민국이면 초등생 부모집 압수수색 …

  • @user-rj7jg4dr1w
    @user-rj7jg4dr1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독일이 무슨 모범국가의 정답처럼 얘기하는데 도대체 뭐가 그런가요? 푸틴에게 속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도 망설이는거? 국방은 미국에게 의존해서 해결하고 그 돈으로 복지에 사용한겁니다..독일도 사회적으로 문제가 많은 나라입니다.

  • @peterk3863
    @peterk38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교육이 사람을 바꿨다면서 정작 어떤 교육이 어떻게 바꿨는지 내용은 텅 비어 있네요

    • @user-se1if2fm8t
      @user-se1if2fm8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댁의 지적 능력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를
      왜 스스로 고백을 하지요 ?

  • @yjyoo52
    @yjyoo5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독일이 존경받다니? 과거 아프리카인에게 저지른 비인륜적 행위를 반성한 적이 있었나?

  • @user-fj4si9kh7c
    @user-fj4si9kh7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친중친러하던 독일 요즘 경제성장률이, 물가가, 이민자문제가? 이런거 다 책임질 자신 있어서 이런말씀들 나누시는거죠?

  • @user-jx9du2zl4v
    @user-jx9du2zl4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놈의 독일 독일
    독일과 한국은 비슷한것 같아도 너무나 다르다 그들은 침략전쟁 으로 전범국가였고 우린식민국가였다
    비교가 잘못됐다 맹신하지마라 그들의속내를 아냐 우린우리의 장점을 살리면된다 쫄지마라

    • @yungtaekim3205
      @yungtaekim32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귀하의 지적이 정말 옳은 말.
      독일은 독일이고, 한국은 한국. 2차대전 종전직후, 독일어린이들은 먹을 게 없었고, 그때도, 지금처럼, "난민을 받자"라고 그랬을까요?
      우리나라 간호사나 광부들이 돈 벌러 독일 갔을 때, 그 비슷한 시기에 터키 사람들도 많이 갔었지요.
      나중에 터키인들이 귀국하지 않아 사회문제가 되자, 귀국비용을 부담해 주면서 귀국시켰지요.
      독일?
      세상에, 이 강사가 이야기하는 식의 이상적인 국가가 어디 있을까요?
      "쌀 독에서 인심난다."라는 말이 있지요.
      경제적으로 풍요해야, 체면을 차릴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풍요해도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최소한 스스로 마음에 여유가 있어야 다른 사람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이지요.
      너무 "독일"을 미화하지 마세요. 그저 자본주의/민주주의/개인주의에 가치를 높이 주고 있고,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일 뿐입니다.

    • @StudioOLO
      @StudioOLO 25 วันที่ผ่านมา

      본질은 한국이 정신적으로 좀 미쳐돌아가고 있다는 것 같아요 저도 그 점에는 공감합니다 각자도생이 이기주의를 심화시키고 서로에게 비아냥대는 정도가 점점 심해지는 듯요..... 옛날처럼 밥 굶는 것도 아닌데

  • @jiseo6298
    @jiseo62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동유럽 저임금 인력. 러시아 싼 에너지. 중국 거대 시장으로 굴러가던 독일경제가 지금 암초를 만났는데 독일 교육 찬양하는 영상 찍고 있으니 어이구. 서민 아이들은 그냥 고등학교부터 직업교육받게 하는 교육체계가 옳다고??

  • @user-qo9gt2ql5t
    @user-qo9gt2ql5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독일은 국민소득 56000불에 복지수준 세계 최상위권인 나라인데 굳이 선진국 독일과 한국을 비교하나요??

  • @davidk3422
    @davidk34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래서 그 수용정책이 완전 실패라고, 문화 통합은 애초에 어리석은 생각이었다고 결론이 났잖아요. 메르켈 퇴임시에 인정... 범죄 등 온갖 사회문제의 온상만 되었다고... 이제와서 뭔 뒷북을...

  • @jakovisce
    @jakovisc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김누리 교수님.. 너무 미화하지 마세요.. 난민들 어떻게 사는지 아시잖아요.. 교수님이 먼저 좀 선두로 바꾸는걸 시작해주세요
    전문가 학자분들도 한국의 사회와 미래에 대해서 희망이없고, 자조적으로 말하는 것 뿐이에요. 왜 학자될때까지 공부하셨어요? 누구보다 사회 곳곳에 개해 누구보다 상황을 잘 알고, 해결책도 제시해줄수 있는 한국 전문가, 학자들은 뭐해요?

  • @user-yamaejisik
    @user-yamaejisi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독일칭찬 그만해요. 독일이 유대인 사과한건 미국 유대인들이 압력 넣어서 그런거고, 아프리카 식민지엔 보상은 커녕 사과 한마디 없음. 아주 논외

    • @seosSEO
      @seosSE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확한 지적 입니다. 독일이 나찌 시대에 반성(?) 할 수 있었던 것은 두 번의 전쟁을 일으키면서 만약 또 3차 세계 대전을 일으킬 경우 정말 그때는 독일 민족 그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공포감 때문 입니다. 때문에 미국 , 소련 , 유대인 한테 굽신 가리는 것입니다. 김누리씨 당신이 과거 독일의 60년대 한 물간 뉴레프트(NEW LEFT) 추종한 사람 이라는 건 다 압니다. 제발 어슬픈 지식 으로 혹세무민 하지 마세요.

  • @ttmoon3381
    @ttmoon338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독일의 독자도 모르고 하는 강의인듯....

    • @user-if1te8ks3w
      @user-if1te8ks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독일 칭찬하는데 그럼 선거도 독일처럼 쉬는 날 하면 어떨런지? 좋다고 무조건 따라 갈 수 없는 게 세상일이아닐지?.

    • @carloskim4557
      @carloskim455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릇만큼만 보이니.
      독일을 얼마나 아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본인의 그릇이 중요하겠죠

    • @bwom9733
      @bwom97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물론 이런 강의를 들을때에는 특정 국가나 사회를 이상화하는 것은 경계 해야하는게 맞고. 김누리 교수님의 말씀이라고 다 믿지 말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교수님도 말씀하셨듯이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수 있겠지만.
      1) 강의에서 말씀하신 저런 일들이 독일에서 실제로 일어났는가? 하면 실제로 일어난 일들이고
      2) 한국에는 저런 유사한 일들이 일어났을때 어떤 반응들이 있었는가? 라고 되돌아본다면 독일사회가 한국사회와 차이가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어 보입니다.
      독일이 왜 저렇게 변할 수 있었을까를 생각해보면 칸트의 유산도 어느정도 작용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구요. 인간을 수단으로 여기지 않는 철학적 전통이요. 순간순간 전체주의나 요새 극우세력의 등장으로 사회가 흔들릴수는 있어도 중심을 잡아주는 철학이 있다면 다시 돌아올 동력은 있는 것이 아닐까요.
      교수님이 독일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사실 독일은 어떠어떠하다는 주장을 사실에 기반한 근거를 갖고 전개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그냥 막연한 추측이나 감정을 적는 대신에요.

  • @user-oi4rb9pv2c
    @user-oi4rb9pv2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진자는 기득권은 낮은
    지식 수준과 빈민을 이용
    법과 원칙 상식을 아가리로
    떠들고 뒤로는 몰상식과
    불법 비원칙을 일삼는다

  • @user-up1hm9ie9y
    @user-up1hm9ie9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독일병 환자 납시셨네.

  • @user-dp5me7lk3k
    @user-dp5me7lk3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독일이 교육으로 존경 받는 나라가 되었다고? 이 사람 뭔 소리 하는 거야? 살다 살다 독일 교육이 부럽다는 사람 처음 보네. 누가 독일 유학파 아니랄까봐......독일의 개관천선은 패전 때문이고, 경제부흥은 마셜 플랜 때문이다. 한국 사람한테 독일식 교육하자는 사람이 교육학 교수라니 슬프다. 수많은 조국, 조민 만들 사람이다.

    • @bwom9733
      @bwom97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일본은 패전했는데도 개과천선 못했습니다만...

    • @lliliililli
      @lliliililli 18 วันที่ผ่านมา

      마지막줄보니 대충 알겠네

    • @user-lm3zi9hc7h
      @user-lm3zi9hc7h 14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럼 독일이 교육 못해서 노벨상 수상자 전세계 3위이고
      한국은 교육 잘해서 노벨상 1개도
      없는 국가 인가요?ㅋㄲㅋㄲ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