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별을 찾는 자
새로운 별을 찾는 자
  • 27
  • 231 675

วีดีโอ

개발자가 된 후 지금 회사 이런 것이 좋습니다.
มุมมอง 1.5Kปีที่แล้ว
속도가 느리다면 1.2배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다음에는 어떤 과정을 통해 개발자가 될 수 있었는지 얘기해보려고 해요! 요즘 회사에서 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어서 거의 매일 야근을 하다보니.. 저번 주 주말에 올리려던걸 이번주에 올립니다 ㅜㅜ 야근을 하더라도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라 행복합니다 :)
개발자가 된 설계자
มุมมอง 928ปีที่แล้ว
오랜만입니다 여러분 :) 개발자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기간. 개발자가 되고 나서도 공부를 계속 해야하다보니 영상을 찍고 싶었지만 찍지 못했어요.. 이제는 여러분들에게 많은 정보를 전달해주기 위해 앞으로 영상 꾸미는 시간을 줄이고 내용자체에 더 집중해볼까해요 :) 그래야 더 많은 영상을 올릴 수 있을 것 같아요(아마도..?ㅎㅎ) 오늘도 최선을 다한 여러분. 항상 응원합니다!
2021년. 저는 가볍게 이런식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มุมมอง 1.3K3 ปีที่แล้ว
이번 영상에서 드리고 싶은 말을 한 줄 요약하면 계획표를 쓰자입니다 :) 올해 계획이 있었는데 하지 못했다라면 내년에는 꼭 같이 성공해봅시다ㅎㅎ 여태 계획이 없었더라면? 내년에는 한번 계획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 생각보다 계획의 힘은 대단합니다 ㅎㅎ 쓰면서 방향성을 잡을 수 있고 갑자기 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머리속이 정리되니 내가 가고자하는 길에 정진하기 조금 더 쉬워지고 머리가 가벼워집니다. 훗날 내 계획표를 돌이켜보면 내가 이런계획표를 세웠지.. 하면서 이런점은 조금 부족했네 하며 반성할 수 있는 기회도 됩니다. 조금 더 나아가 생각해보면 반성하면서 이런 꿈을 놓쳤었네. 이제라도 해보자 하며 내 자신에게 한번 더 기회를 줄 수도 있죠. 그리고 무엇보다 계획표를 쓰면서 계획적인 삶을 산다는 것...
3개월만에 근황. 설계직에서 웹프로그래머로서의 스타트.
มุมมอง 1.6K3 ปีที่แล้ว
2020년 연말입니다. 저는 웹 프로그래머로서의 새로운 스타트를 하며 흥미진진한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하고자 하는 바는 잘되고 계신가요? :) 한번 사는 인생 여러분이 하고자 하는 그대로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근황. 퇴사 그리고 개발자. 중견기업 그리고 중소기업. 현실과 단점. 연봉협상 실체
มุมมอง 4.4K3 ปีที่แล้ว
오랜만에 찾아뵙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모두가 힘든 시기이지만 생각했던 계획 코로나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방법을 찾아서 끝내 이루어졌으면 좋겠고 모두 건강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지나가다가 이 영상을 본 사람, 새로운 별을 찾는 자를 구독해 주시는 분 모두가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늘 행운이 함께하길. 감사합니다. 제가 요즘 작업할 때나 공부할 때 휴식을 취할 때 즐겨듣는 비소리 피아노 소리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h-cam.com/video/qNfoeYgoZHw/w-d-xo.html&ab_channel=디노사운드Dino.S ※ 홍보 아닙니다. 비소리 피아노 ASMR 중에 가장 평화롭고 조용한 분위기인 것 같아서 좋은 소리 공유하고자 올리는 것입니다.
(Q&A) 회사 선택 방법과 신입을 가르치려는 회사, 부품으로 아는 회사 간단 파악 방법
มุมมอง 3.2K4 ปีที่แล้ว
질문해주시는것에 대한 답변이 많은 분들이 알 수 있으면 좋겠다 하는건 앞으로 이렇게 간단하게 너굴맨(?)과 함께 영상을 찍어보려 합니다. 예전 생각과 지금 생각을 비교하면서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제 생각을 말씀드렸습니다. 대본을 오래검토한 것이 아니라 많은 내용을 말씀드리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부족한 것이 있다면 댓글로 다시 여쭈어 주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 일단 내일 영상을 다시 보고 부족한 부분들은 댓글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할께요! 이번 영상은.. 빠른 업로드를 위해서는 자막과 컷편집을 포기하여만 했습니다.. 지금은 새벽2시.... 저는 이만 자러 가보겠습니다 ZZZ..
중견기업 퇴사 1년째. 중소기업 입사. 연봉 인상썰 #근황 #지방에서 서울로
มุมมอง 7K4 ปีที่แล้ว
여기서 나온 얘기는 이런경우도 있구나 하고 가볍게 들어주세요 :) ──────────────────────────────────────── 퇴사한지 1년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회사를 옮기느라 이사를 하고 적응을 하며 틈나는 데로 편집공부도 하고 여러분들께 소개시켜드릴 소재들을 찾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영상에서 말하고자 했던 바를 정리하면 '기회는 준비된 자만이 잡는다'인 것 같아요. 정말 살면서 피부로 많이 깨닫는 문장인 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을 올리기까지 대본수정만 10번 이상 영상편집만 셀 수 없을 정도 녹화도 여러번 시간으로 대략 40~50시간 이상 걸린것 같아요. 하나하나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들에 대해 순간순간 공부해서 적용하고 까먹지 않게 필기하고. 여태까지 영상 중에 가장 성의를 ...
연봉 3600만원 vs 연봉 2800만원 누가 더 시간당 받는돈이 높을까? 여러분의 시간당 가치는 얼마인가요? #포괄임금제
มุมมอง 3.6K4 ปีที่แล้ว
단적인 예로 비교해보았습니다. 실제로는 더 복잡하고 많은 고려해야될 것들이 섞여 있지만 간단하게 "내가 정말 시간당 얼마를 받고 있는 것이고 이게 많이 받는걸까?"를 생각해보았을 때 연봉이 무조건 높다고 좋은게 아니다 라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파워포인트가 가지는 영향력
มุมมอง 8455 ปีที่แล้ว
험한 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처음에 천천히 걸어야한다. - 셰익스피어 우리 주변의 작고 사소한 툴로 인생 터닝포인트를 잡는 경험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 이 영상하나 올리겠다고 제가 전하려는 의미가 어떻게해야 전해질지 고민하고 고민하고 또 고민해서 간신히 어느정도 정리가되서 편집하고 올렸습니다..ㅠㅠ 오래 기다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연구소의 연구원/연구개발을 꿈꾸는 고민많은 대학생여러분에게
มุมมอง 25K5 ปีที่แล้ว
한때 최첨단 연구실에서 하얀가운입고 연구하는 것이 꿈이였는데.. #연구개발 #조언 #충고 #도움 #상담 #고민 #대학생여러분에게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중견기업 퇴사한 이유. 하.. 지금생각해도 딥스트레스.. #4 (이제는 모든 걸 말할 수 있다/기구설계)
มุมมอง 3.5K5 ปีที่แล้ว
※ 모든 기업, 모든 직무에 해당되는 말이 아닌 지극히 개인적인 그때의 상황을 떠올리면서 제작한 영상입니다. ───────────────────────────── 업로드가 계속 늦어진점 죄송합니다 ㅜㅜ 다음편에서는 타 직무 퇴사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중소기업퇴사 #중견기업퇴사 #설계 #기구설계 #퇴사이유 #퇴사사유
중견기업 퇴사한 이유. 돈은 안줄라하고 야근은 무슨 말도 안되는..#3 (이제는 모든 걸 말할 수 있다/기구설계)
มุมมอง 3.1K5 ปีที่แล้ว
※ 모든 기업, 모든 직무에 해당되는 말이 아닌 지극히 개인적인 그때의 상황을 떠올리면서 제작한 영상입니다. ───────────────────────────── #중소기업퇴사 #중견기업퇴사 #설계 #기구설계 #퇴사이유 #퇴사사유
중견기업 퇴사한 이유. 군대상사가 하루 14시간 뒤에서..#2 (이제는 모든 걸 말할 수 있다/기구설계)
มุมมอง 3.5K5 ปีที่แล้ว
※ 모든 기업, 모든 직무에 해당되는 말이 아닌 지극히 개인적인 그때의 상황을 떠올리면서 제작한 영상입니다. ───────────────────────────── 다양한 직무별 퇴사 이유에 대한 영상은 다다음편? 정도부터 올라올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퇴사 #중견기업퇴사 #설계 #기구설계 #퇴사이유 #퇴사사유
중견기업 설계직무 퇴사한 이유 #1 (이제는 모든 걸 말할 수 있다.)
มุมมอง 7K5 ปีที่แล้ว
중견기업 설계직무 퇴사한 이유 #1 (이제는 모든 걸 말할 수 있다.)
업무 강도, 야근, 내가 잘할수있을까? 버텨낼 수 있을까? 저도 두려웠습니다. [꿈을 쫓기 위한 여정#1]
มุมมอง 1.7K5 ปีที่แล้ว
업무 강도, 야근, 내가 잘할수있을까? 버텨낼 수 있을까? 저도 두려웠습니다. [꿈을 쫓기 위한 여정#1]
돈이되는꿀팁1 : 20대, 30대 직장인이라면 필수로 받아야 할 복지이자 권리! 돈버는법! [내일채움공제 2019]
มุมมอง 9585 ปีที่แล้ว
돈이되는꿀팁1 : 20대, 30대 직장인이라면 필수로 받아야 할 복지이자 권리! 돈버는법! [내일채움공제 2019]
워라밸이 보장된 주 52시간 하는 좋은 회사(직무)찾는 방법 두번째 #잡플래닛, #크레딧잡, #워크넷
มุมมอง 2K5 ปีที่แล้ว
워라밸이 보장된 주 52시간 하는 좋은 회사(직무)찾는 방법 두번째 #잡플래닛, #크레딧잡, #워크넷
워라밸이 보장된 주 52시간 하는 좋은 회사(직무) 찾는 방법 #사람인, #잡플래닛
มุมมอง 8K5 ปีที่แล้ว
워라밸이 보장된 주 52시간 하는 좋은 회사(직무) 찾는 방법 #사람인, #잡플래닛
기구설계 퇴사 후 할수 있는 일 (비전공자/중견기업/반도체디스플레이)
มุมมอง 11K5 ปีที่แล้ว
기구설계 퇴사 후 할수 있는 일 (비전공자/중견기업/반도체디스플레이)
중견기업 비전공자의 기구설계직무 퇴사한 이유 한가지 더.
มุมมอง 14K5 ปีที่แล้ว
중견기업 비전공자의 기구설계직무 퇴사한 이유 한가지 더.
중견기업 설계직무 퇴사한 이유
มุมมอง 77K5 ปีที่แล้ว
중견기업 설계직무 퇴사한 이유
취업 후 설계 신입이 하는 일!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 스토리
มุมมอง 26K5 ปีที่แล้ว
취업 후 설계 신입이 하는 일!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 스토리
취업 전 설계생각, 지원회사 목록과 연봉!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부터 퇴사까지!
มุมมอง 9K5 ปีที่แล้ว
취업 전 설계생각, 지원회사 목록과 연봉!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부터 퇴사까지!
취업전 스펙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부터 퇴사까지!
มุมมอง 9K5 ปีที่แล้ว
취업전 스펙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부터 퇴사까지!
INTRO!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부터 퇴사까지!
มุมมอง 3.1K5 ปีที่แล้ว
INTRO!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기구설계 직무] 비전공자의 중견기업 취업부터 퇴사까지!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highkick5315
    @highkick5315 26 วันที่ผ่านมา

    최근근황 궁금하네요

  • @kaadksa2074
    @kaadksa207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떠납니다 이제 다른일하려고요

  • @user-lx3ib4ok9i
    @user-lx3ib4ok9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알고리즘 통해서 접하게 되었습니다. 신입으로 설계 취업 준비중인데 도움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user-yf3bb5yt5p
    @user-yf3bb5yt5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장장악 못하면 절대 설계해서 밥먹고 살수 없다 ㅋ 한놈 개패듯이 패고 관두든가 아니면 편하게 다닌다 ㅋ 90년대 직장생활할때 나만의 생존방식 이었음

  • @user-mw3hb5nl7y
    @user-mw3hb5nl7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장설계 탈주하고싶다...

  • @namsuri6556
    @namsuri655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완제품 설계면 모를까, 커스텀 요소가 들어 있으면 설계 직이 진짜 너무 바쁠 수 밖에 없습니다. 전 커스텀 요소가 있으면 그냥 그 회사에서 설계직은 도면쟁이를 벗어날 수 없다고 봅니다 , 업무량이 그래요

  • @user-vc2rk8hb2f
    @user-vc2rk8hb2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년차 인데, 빠른퇴사 추천하시나요.. 증상은 영상이랑 똑같습니다.

  • @stormglaive
    @stormglaiv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왤케 한마디 한마디 다 우리회사 얘기같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oop564
    @loop56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밤 12시...저는 반도체 전장설계 중견다니고있는데 퇴근길에 갑자기 현타와서 찾아보게됬네요 설계는 어딜가나 비슷비슷한거같아요...

  • @mintlemon9377
    @mintlemon937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보다 현업에서는 설계외에도 많은일이있나보네요 QA하다 그만두고 설계하려고하는데 덧글보니 암울하군요...

  • @jameskang8275
    @jameskang827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토목이신가요?

  • @user-nx2xw4rh5q
    @user-nx2xw4rh5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연구소는 보통 서울에 없나요? 다 지방 내려가나요?

  • @hellohoney1123
    @hellohoney112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무실 식으로 기술연구만 하는 중소기업... 지금 제가 거기 다니고 있는거같네요 ㅠ

  • @user-bg6mp5cg1c
    @user-bg6mp5cg1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전공자면 무엇을 전공하신건가요??

  • @user-fk4ic8be2z
    @user-fk4ic8be2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것도 노가다 기술처럼 선임들이 하나도 안알려주더라😅 지들 몸값 올리려고

  • @user-dq8bf7bw6r
    @user-dq8bf7bw6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스라이팅의 최고봉.. 설계자가 죄인이고 일 못하는 걸로~ 영업 대신 고객이랑 협의하고 구매대신 비교 견적하고 납기도 설계자가 일 못 한거고~ 회사가 힘든것도 생산, 조립도 설계자가 일을 못 해서 그런거지~ 누가 보면 타부서들 보다 월급을 2~3배는 더 받는줄 알겠네~ 포괄임금제 같은 써레기 제도 악용해서 설계자들은 맨냔 밤 10시 넘어서 퇴근해도 알바하는 거랑 별차이도 안나는 임금~ 알바2개 하는 사람보다도 못 한 임금~ 알바에 비하면 신경쓰고 스트레스, 책임감은 훨씬 많이 받아서 건강도 정신도 개털이 되지만~ 그냥 설계가 일을 못한 탓이지~

  • @user-mo6zj9iv1c
    @user-mo6zj9iv1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연하게 영상봤습니다. 4년전 퇴직한 이유에 대한 영상인데.... 저는 토목구조 설계회사에서 97년부터 시작 했었는데.... 보아하니 토목은 아니고 플랜트 분야신듯 한데... 97년 당시 저하고 거의 비슷해서 여전히 대한민국은 사농공상에 찌든 나라인듯 하네요. 전 40대까지 월드 베스트였는데...지금 50넘선 후배 엔지니어를 위해 할 일들을 찾다가 저도 유투브를 시작 하고 있습니다. 여하튼 영상 잘보고 갑니다. 사람이 제일 중요한 자산이란걸 알리면서 그 중에 엔지니어도 중요한걸 알리도록 노력해야죠.

  • @user-ny1wt4vk2g
    @user-ny1wt4vk2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기구설계를 지원하려는 학생입니다. 다름아니라 도면 투상이 잘 안 됩니다.. 정면도 우측면도 등을 보면 간단한 건 되도 복잡한 삼각형 있고 이런 게 있으면 3차원으로 상상이 안 가네요.. 혹시 회사에서는 이런 투상능력이 많이 중요한가요? 역학이나 이런 건 엄청 잘 하는데 투상만 안 되는 거 같습니다..

  • @user-uo9fc8nq1z
    @user-uo9fc8nq1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감합니다.

  • @user-gx5bb4vo9o
    @user-gx5bb4vo9o ปีที่แล้ว

    이런거 다따지면 일못하지

  • @faircommon
    @faircommon ปีที่แล้ว

    목소리 너무 좋으세요^^ 저두 설계 일하고 있지만 너무 힘드네요. 하시는일 응원 하고 있습니다.

  • @user-ih9wu7di1c
    @user-ih9wu7di1c ปีที่แล้ว

    퇴사하시고 어떤 직업을 가지셨나요?

  • @uknow6736
    @uknow6736 ปีที่แล้ว

    회사마다 다르기때문에 설계직이 어느정도 힘드냐는 그냥 사장마인드에 따라 달라질뿐입니다. ㅋㅋ

  • @jhj2426
    @jhj2426 ปีที่แล้ว

    판교회사에 신입으로 입사하신걸까요??

  • @user-hm8wq8cp7j
    @user-hm8wq8cp7j ปีที่แล้ว

    설계를 하면 안되는 이유 1.잘해야 본전이고 불량내면 역적이다 불량내는순간 현장에서 온갖 욕에 고함에 조리돌림 당하고 회의라도 하는날이면 공개처형당함 2.야근을 밥먹듯이 하지만 수당은 없다 6시 땡하면 현장사람들은 들고 있던 공구 집어던지고 소주한잔 할생각에 싱글벙글 웃으면서 퇴근하는 모습을 저녁먹으러 식당가는길에 부러운 눈으로 쳐다본다 3.좆소로 갈수록 이건 내가 설계씨인지 잡부인지 헷갈린다 구매발주도 겸해서 해야되고 현장에선 공구사오라고 닥달하고 납품에 공사까지 나간다 그러고선 왜 아직 도면 안됐냐고 쿠사리 먹음 4.박봉이다 연차가 적을수록 편의점 알바 시급 보다 못받지만 스트레스는 10배는 더 받는 내모습을 보면서 자괴감이든다 이외에도 많지만 대표적인것만 적어봄

  • @user-os7rk8ys5u
    @user-os7rk8ys5u ปีที่แล้ว

    오래된 영상이지만 공감이가네요..전 2011년도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버티고있는데 아직도 정신적으로 힘드네요

  • @user-ty1di4ew1r
    @user-ty1di4ew1r ปีที่แล้ว

    이걸 왜 이제봤을까요 ㅋㅋㅋ 설계 3년차입니다.. 저도 똑같튼이유로 퇴사합니다.. 너무 공감됩니다 ㅠㅠ

  • @user-rx3md2yj9z
    @user-rx3md2yj9z ปีที่แล้ว

    설계20년차보다 개발 2년차가 연봉이 더 높은 우리 회사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개발을 해야 하는 이유

  • @user-pu4tg4qi8f
    @user-pu4tg4qi8f ปีที่แล้ว

    개발자는 야근이 많다고 하는데 한달에 몇번이나 몇시까지하나요??ㅠㅠ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개발자도 종류가 많아요 ㅎㅎ 그리고 회사 종류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ㅎㅎ 자체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인지, 스타트업인지 이미 안정적인 서비스를 확보한 회사인지 등에 따라 많이 갈려요!

  • @kuytaelee2004
    @kuytaelee2004 ปีที่แล้ว

    후 설계직 진짜 ㅇㅈ합니다. 이번에 중소에서 중견 이직했는데 기본이 9 - 9 근무에 출퇴근 2시간 하면 나머지 자는 시간 뺴면 뭔가 할 수가 없네요... 이게 대한민국의 근본인 제조업의 현실이네요

  • @muna7816
    @muna7816 ปีที่แล้ว

    개발자도 워라밸은 그렇게 좋진 않다고 들었는데 야근은 아예 없나요? 퇴근시간도 궁금하네요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개발자 워라벨은 회사마다 굉장히 케바케가 심합니다 :) 요즘 추세는 야근이 많이 없거나 아예 없는 추세이긴해요! 제조업보다는 선진적인 문화를 대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편입니다

  • @user-wx7qx8mw6p
    @user-wx7qx8mw6p ปีที่แล้ว

    영상감사합니다! 판교 회사 가셨을때까 30대 몇살때이신지 알수있을까요?

  • @user-wx7qx8mw6p
    @user-wx7qx8mw6p ปีที่แล้ว

    영상감사합니다! 저가 딱 같은 나이에 회사에 지금 퍼블리싱하다 개발 일까지 해보게되는 상황인데요. 이게 어차피 국비교육을 들으나 회사에서 혼자 독학으로 공부하나 공부는 동일하게 혼자 해야되서, 무엇이 성장에 더 좋을지 고민이 되는 상황입니다. 저도 사수도 없고 혼자 해야되는 상황이라, 딱 새별님과 동일한 상황인것 같아요. 카페24기반 쇼핑몰이라 제한적인 부분도 있기도한데요. 독립몰로 분리시키는 작업도 하게될것 같습니다. 혼자 맡아서 해야되다 보니 부담되기도 하고, 잘모르는 상태에서 만들어도 사용은 가능할지, 사용가능하더라도, 저가 이직시에는 회사는 어떻게 이것을 관리 할지 걱정도 됩니다. ***일단 가장 큰 고민은 저가 지금 회사에서 혼자 공부하고 개발을 익히는게 저의 성장에 빠른길일지, 국비교육듣고 취업 준비하는게 저의 성장에 빠른길이지가 가장 고민이 됩니다. 퇴사할지 말지 빨리 플랜을 잡아줘야 할것 같아서요. 지금 저가 딱 새별님 길과 동일한 길을 걷게 되는 상황인것 같은데 조언좀 얻을수 있을까요? ** 저는 최신기술은 모르는 퍼블리싱 정도 할줄아는 수준입니다. 그래서 프론트 엔드로 전향을 생각중이에요.(정확히는 풀스택으로 한번 훑어본다음 프론트/백 결정을 내릴것 같지만, 배운기술에서 프론트가 유리해 프론트전향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개발은 실력이 중요하다고 듣기도 하고 느껴져서 저 하기 나름이긴 하겠지만, 영상 말씀대로 같이 공부하는 동료나, 회사 자체가 IT쪽으로 있는곳에서 일하는게 사수도 있고 배우는게 많아 저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데 조언 주신다면 정말감사합니다. 저가 지금 새별님도 보다 조금 나은 상황이라면 10년 넘게 개발하신분에게 한번씩 피드백이나 묻는것 정도는 할수있는 상황인데, 저희 회사사람은 아니라 그분도 일이 있으니 그것도 제한적일것 같습니다.(편히 질문드리기는 어려울것같아요.) 고민이 깊어져 글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저도 이번 작업만 마무리 짓고 퇴사하고 국비교육들으러 갈지, 회사에 남아 회사일 해주며 혼자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질지 고민이 되는 상황이에요. (회사에서는 공부는 하도록 허락한 상황입니다. - 얼마나 자유롭게 공부하도록 해줄지는 정확히 해봐야 알것같지만, 엄청 압박 받고 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혹시 저의 얘기 듣고 저에게 제안해주실 로드맵 전해주시면다면 정말 감사드려요.(프론트엔드 시니 프론트엔드로써 어떻게 이 기간을 보내면 좋을지 조언부탁드려요.) 나이도 들다보니 어떤 선택이 저에게 좋을지 많이 고민이 됩니다.ㅠ *국비교육은 온라인코스로 들을것 같습니다. 지방이라 서울쪽 오프라인은 듣기 어렵고 지방 오프라인교육은 서울보다 더 원하는 교육이 없고, 서울이더라도 오프라인은 영상처럼 검색해봐도 저가 원하는 배움의 과정은 없는것 같습니다ㅠ 그래서 온라인 교육으로 생각하고있습니다. 코드스테이츠나, 멋쟁이사자, 코딩스파르타, 제로베이스...등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지인개발자분이 온라인 과정은 어렵지 않겟냐고 말씀하셔서 이부분도 고민이 되네요. 혹시 보신다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ㅠ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많이 고민하신 것이 느껴지는군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자 한다면 왠만하면 서울쪽으로 올라올 각오는 해야 합니다ㅎㅎ 저 역시도 지방에서 준비 시작할 때 인생의 터닝 포인트라 생각하고 서울까지 갈 생각을 했었지요. 일단 제 생각에 프론트엔드 로드맵을 먼저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지금 회사를 다니면서 배우는 것들이 프론트엔드 로드맵과 겹치거나 혹은 개인적으로 로드맵을 따라 공부 했을 때 공부가 가능한 정도라면 굳이 국비지원을 들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국비지원의 경우, 프론트엔드 전문과정이면 괜찮겠지만 일단 프론트엔드 직무를 가진 선생님 자체가 많지 않아 국비지원에서 프론트엔드 강의라고 해도 정확한 정보들을 배울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은 남습니다. 정리하면 일단 프론트엔드 로드맵을 보시고 지금 상황에서 따라서 가능할지를 측정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프런에도 좋은 강의들이 요즘에는 많이 있어서 마음먹기에 따라 달렸습니다. 가능은 하지만 혼자 하시는 것이 힘드신 타입이면 국비도 좋으나 프론트엔드에 집중된 커리큘럼인지와 수업을 들은 사람들의 후기를 꼭 찾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결정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wx7qx8mw6p
      @user-wx7qx8mw6p ปีที่แล้ว

      @@user-up7cw3ng6b 답변감사합니다! 현재 갑자기 맡게된 회사 구현중인 작업이 있는데, js문법도 잘 모르는상태에서 할려니 너무 어렵네요. 구현전에 문법공부는 기본으로 되어야 할까요? 아니면 안되더라도 끝까지 될때까지 싸매고 이게 잘 만든건지 아닌건지 몰라도 그냥 될때까지 해보는게 좋을까요? 조급한것 같기도 하지만 구현작업 진도는 계속 막히고 있고 언제완성될지도 몰라 더 부담되는것 같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혹시 아신다면 조언 좀 들을수 있을까요?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user-wx7qx8mw6p js문법이 공부가 되어 있어야 해요! 모르는 상태로 억지로 구현하는 것은 인터넷에 검색하면 당장은 어떻게든 되겠지만 나중에 그 기능과 비슷하거나 똑같은 기능을 구현할 때 또 지금과같이 힘들어집니다. 혹은 지금 구현한 기능을 나중에 약간만 변경하고 싶을 때 못하기도 합니다. 내가 짰지만 내가 모르는 코드들이 되는거죠. 지금부터라도 퇴근 후 js공부는 별도로 하시고 지금 구현기능은 어떻게든 구현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js공부는 좀 난이도가있는 책을 공부하는 것을 추천해요 프론트엔드의 한글같은 언어라서 빠삭하게 알면 알수록 좋아요. 저는 deep dive로 하루의 대부분을 공부했어요 ㅎㅎ 저도 처음에는 jquery로 인터넷에 있는 코드 가져다가 썼어요! 문제를 자각하고 하나씩 발전하다보면 성장할 수 있을거에요!

    • @user-wx7qx8mw6p
      @user-wx7qx8mw6p ปีที่แล้ว

      @@user-up7cw3ng6b 말씀해주신대로 주먹구구식으로 하다보니 계속 막히기는 해서 힘들긴하지만 되는기능도 있긴한데요. 이게 공부를 하고있는 느낌이 아니라서 고민이 많이 되더라고요. 일단 문법을 먼저하겠습니다. 추천하신 deep dive도 생각중이였는데 열심히 봐야겠습니다. 막막했는데 힘이되네요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wow_5405
    @wow_5405 ปีที่แล้ว

    아무생각없이 보루방 작업하는게 더 속편함 퇴근시간되면 수고했다는 말이라도 듣지

  • @Chals815
    @Chals815 ปีที่แล้ว

    공감 됩니다. 설계 업무 하시는분들 다 비슷한가 봅니다.

  • @endi9590
    @endi9590 ปีที่แล้ว

    5년차 설계자 인데 진짜 너무너무 공감이되고 지금 그만둘 생각 중입니다. 늦게 취업해서 나이는 먹고 야근으로 자격증, 영어점수 딸 시간도 없었는데 이따위 경력으로 어디를 가야하나 막막합니다. 하루 빨리 퇴사하는게 답일거같아서 내년에 떠나려합니다.

  • @jackyshin6936
    @jackyshin6936 ปีที่แล้ว

    공감합니다. 잘못되면 설계탓이고 잘되면 영업과 생산 성과! 제품에 설계비는 없는 현실. 그래도 먹고살려고 계속함.

  • @user-ti1du2bx9f
    @user-ti1du2bx9f ปีที่แล้ว

    f사 어딘지 알것 같네요.

  • @GoGi3939
    @GoGi3939 ปีที่แล้ว

    막연하게 캐드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직업을 하고싶어 이런저런 직업찾아보다 기계설계사를 알게되었는데 제가 추구했던 일과는 너무나 다르다는걸 영상으로 간접적으로나마 알게되었어요. 물론 그게 설계사라는 직업의 전부는 아니겠지만.. 영상을 접하기 전 부터 개발자라는 직업을 관심있어했지만 너무 어렵고 전공자가 아니라면 힘들꺼같다는 압박때문에 도전도 못해보고 고민만 해왔었는데 새별찾님을 보고 도전하는것 자체가 성장이고 발전이거라는걸 배웠네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저도 처음에는 진욱님이 시작하신 것과 같아요 :) 캐드 프로그램을 만지는 것 자체가 재밌어서 시작하고 싶었죠. 하지만, 말씀하신 바와 같이 현실은 제가 생각한 것과 크게 멀었어요.. 개발자에 대해 고민한 부분도 저도 똑같이 고민했었어요. 똑똑한 사람, 재능있는 사람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시도도 못해봤었죠.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때 그 고민할 시간에 무작정 뭐라도 시작했더라면 몇 년의 시간을 아꼈을텐데.. 이런 생각을 한 시간도 있었어요. 진욱님도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해오신 것을 보면 도전은 좋아하지만 쉽게 도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것 같아 보여요. 도전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드릴 수 있도록 더 노력해야겠어요 :)

  • @user-ou3hy6wr4r
    @user-ou3hy6wr4r ปีที่แล้ว

    F사 코스가 어떤건가요? ㅠ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현재는 졸업생들을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한 뒤.. 돈을 받기 시작하고 진정한 개발자를 키우겠다는 욕심이 사라진 곳이어서 정확히 말해주기가 힘드네요..ㅠㅠㅠㅠ

    • @user-ou3hy6wr4r
      @user-ou3hy6wr4r ปีที่แล้ว

      @@user-up7cw3ng6b 아아 ㅠㅠ 대부분 교육기관들이 다 비슷하네요 ㅠ

    • @idxvjdcvy5270
      @idxvjdcvy527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p7cw3ng6b구독자입니다 영상 업로드 계속 가능하신가요

  • @micstars
    @micstars ปีที่แล้ว

    그것도 몰라? 왜 안 물어봐? 왜 또 물어봐? 왜 한번에 물어봐? 왜 한번에 안 물어봐? 이런 놈들은 일부러 그러는지 ㅅㅂ 볍신들 공통사항이네 나는 짬먹고도 안그랬다. 당연한 건 없다. 남이 하면 불륜 지가 하면 로맨스,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ㅉㅉㅉ 그런놈들은 지가 상사한테 그런 말하면 겁나 욕함. ㅋㅋ

  • @SONG-oq5qv
    @SONG-oq5qv ปีที่แล้ว

    저도 30대에 개발자로 전향했습니다. 1년간 스타트업 기업에서 고생하고 창업 준비중이네요 새별찾님은 제가 기계설계 잠깐 공부했을때 알게된 유튜버인데 지금은 뭔가 같은 길 가는 것 같아서 반갑네요 ㅎㅎ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오 ㅎㅎ 예전부터 봐왔던 아이디라 기억해요! 저도 뭔가 가슴이 두군거리는군요ㅎㅎ 창업 응원합니다!!

  • @user-ln4dm5rf1g
    @user-ln4dm5rf1g ปีที่แล้ว

    새로 꿈을 찾아 도전하는게 쉽지 않으실텐데 대단하십니다. 오늘로 기구설계 입사 2일차이네요.. 동료분들이 좋은분들이어서 아직은 6시 칼퇴 보내주시지만 좀 적응하면 야근할 각오는 하고있습니다.. 10에 아홉은 설계직 다 비추하던데 모델링 공모전에 흥미가지던 제 모습에 지원하게됐습니다. 기계공학과 출신으로 그렇다고 따른 직무는 끌리는게 없네요..ㅠ 모르겠습니다 두렵긴한데 열심히 일단 해야죠 홧팅하십쇼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원하는 꿈을 쫓는 것이 첫번째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 꿈을 쫓은 곳에서 좋은 사람들을 만났다니 그거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야근은 성자에 대한 욕심이 있으면 자연스럽게 하게 되는 것이니 현재 라드님 상황에서는 문제 없을 것이라고 생각들어요!

  • @jik5537
    @jik5537 ปีที่แล้ว

    와.. 정말 대단하십니다! 30살에 개발자로 전향하실 용기를 내신 것도 대단하십니다. 저도 내년에 29살 되는 기계과 졸업 예정 학생인데 기계공학을 살려서 취업할지 IT직무를 다시 공부할지 참 고민입니다.. 기계공학 학부의 특성상 지방 근무는 피할 수 없고 수직적인 군대 문화도 많다보니.. 일단 삼성의 싸피 비전공자 과정을 신청하긴했는데.. 참 고민이네요.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졸업 예정이시고 아직 기계과에 대한 열망이 있으시다면 졸업반이시니 취업까지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 제가 그랬거든요! 대학교 때동안 공부한 것이 아까워서 일단 취업은 한번 해보고 다른 것을 해도 늦지 않겠다가 결론이었어요. 물론 지금은 개발자 생활이 행복해서 그 때 설계 경험을 안해봐도 됐겠다 생각이 들지만. 만약 지금 개발자 생활이 덜 행복했더라면 그 때 배운 것으로 취업은 한번 해보고 판단은 해볼걸 그랬나..하고 한번 더 생각할 것 같아요ㅎㅎ 그런데, 지금 개발 쪽이 더 취향에 잘 맞고 기계전공에 대한 열망이 뚜렷하지 않다면 마음의 뜻을 따르는 것도 방법인 것 같아요 :)

  • @user-of5ty3xy2f
    @user-of5ty3xy2f ปีที่แล้ว

    끼에엑.. 영상 조아욧.. 굉장히 빡세게 사셨군여 형님.. ㅠㅠ 빡센 과정은 따라하고싶지않고 결과만 따라가고싶은 이 개같은욕심.. ㅠㅠ 여튼 그 긴 과정 극복하신것 축하드립니다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이제 시작이기 때문에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더 열심히 하려고 합니다ㅎㅎ

  • @muna828222
    @muna828222 ปีที่แล้ว

    8년차 기구설계입니다. 내용 하나하나가 다 맞는말이네요

  • @ICEBOY93
    @ICEBOY93 ปีที่แล้ว

    저도 개발자 전향 직전인데 이런 유익한 영상이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오옷 이번 주에 더 유익한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ㅎㅎ

    • @ICEBOY93
      @ICEBOY93 ปีที่แล้ว

      @@user-up7cw3ng6b 저는 벡엔드로 갑니다

  • @user-gm3jv3qd2h
    @user-gm3jv3qd2h ปีที่แล้ว

    개발자 어떻게 시작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있나용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이번 주말에 바로 풀어보려고 해요 :)

  • @jacksonlee2631
    @jacksonlee2631 ปีที่แล้ว

    와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이네요. 기구설계 하실때 제가 기계과로서 취업 준비하면서 봤었었는데,, 시간이 흘러 저도 첫취업하고 기계설계부서에서 2년 6개월을 하고 지금 중견기업에 소프트웨어부서로 직무전환하여 개발자로 들어와있어요 ㅎㅎㅎ. 같은 길을 걸어가시게 됐네요.

    • @user-up7cw3ng6b
      @user-up7cw3ng6b ปีที่แล้ว

      시간이 벌써 그렇게 흘렀군요 ㅎㅎ 반갑습니다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