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5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 키우기
    이건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부모와 아이에게 정말 중요합니다
    아이는 일상에서 키우는 것이 제일 중요
    특히 초등학교 입학 전에는 이게 중요
    인생살기와 공부 잘하는데도 중요
    일상에서 제일 잘 배운다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부모가 아이에게 이 시기에는 특별한 거 가르칠 필요 없다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
    부모와 이웃과 친구와 함께하는 일상이 중요
    이게 부모에게도 중요
    부모는 무엇을 해야할까?
    특별한 거 가르치지 말자
    영어 한글 이런 거 가르치지 말자
    바람직한 일상을 아이와 함께 살자
    이게 제일 중요
    일상의 경험과 기회가 중요한 것
    부모가 그래도 신경쓰얄 것
    언어 발달
    인간관계 발달
    훈육
    그리고 행복한 인생 살기다
    무엇을 하면 될까?
    언어발달은 일상의 대화노출이 중요
    인간관계는 사람 만나는 것 보여주자
    다른 아이와 놀게 하자
    두돌 이전에 훈육이 되어야 한다
    행복도 가르치자
    부모가 행복한 인생을 사는 것이 중요
    행복하게 살면 행복을 배우게 된다
    행복도 대물림된다
    가족과 함께한 행복한 경험이 중요
    부모가 아이와 함께하는 바람직한 일상을 살자
    #육아 #삐뽀삐뽀119소아과 #입학 #교육 #학습
    배경음악은 Bensound로부터 Standard Licence를 구입하여 사용 허가를 받은 음악입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2

  • @yhw40
    @yhw40 10 วันที่ผ่านมา +38

    애 키우면서 괜히 애꿎은 하정훈 쌤 유튜브에 와서 찡찡거리기도 많이 했는데ㅋㅋㅋ 확실히 두돌 전에 얘가 사람이 되긴 할까 걱정하면서도 열심히 꾸준히 포기하지 않고 훈육과 교육을 했더니 네돌을 앞둔 지금 생활 패턴이 신기하리만치 잘 잡혀서 인생이 좀 편해진 느낌이 듭니다ㅋㅋㅋ 감사합니다. 둘째도 열심히 키우겠습니다~ 무한한 애정표현+인내심있는 설명+적당한 단호함과 무관심을 잘 섞는게 중요하네요ㅎㅎ

  • @한가인-n7g
    @한가인-n7g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몇년전 쌤님께 많이 배우고 잘키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하치-x2k
    @하치-x2k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7

    맞습니다^^ 정말 공감합니다 초등학교 입학전부터 공부에 쫓기는 부모들 옆에서 보고있으면 한숨나옵니다 그냥 아이가 행복하고 사랑이 넘치는 가정분위기 만들어주고 많은 대화 하고 아이가 친구들과 놀 기회 많이 만들어주고… 그러고있습니다 공부는 일부러 전혀 시키지 않는데 아주 똑부러지는 아이로 자라고 있습니다

  • @rooharoo
    @rooharoo 10 วันที่ผ่านมา +7

    오늘 하루 또 어떻게 버틸까 걱정했는데 마음의 위로가 돼요🥹 부모의 행복하고 올바른 일상 속에서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 기억하겠습니다. 쌤 감사합니다🫶

  • @mind.1234
    @mind.1234 10 วันที่ผ่านมา +7

    선생님 ~ 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첫째 아이 키우면서 좌충우돌하며 세돌까지 키워왔는데, 하정훈 선생님 말씀을 기억하고, 일상 속에서 바르고 행복한 아이로 잘 키우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곧 태어날 둘째도 잘 키워봐야겠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 선생님 ^^

  • @난람쥐-q1t
    @난람쥐-q1t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아이의 행복을 위해서라도 나부터 행복하게 살겠습니다!

  • @송남수-c1y
    @송남수-c1y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맨날 최고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ELEL0919
    @ELEL0919 10 วันที่ผ่านมา

    마지막 말씀이 깊은 울림을 줍니다. 이 시대의 모든 부모들에게 꼭 필요한말입니다!

  • @hanrimseo462
    @hanrimseo462 10 วันที่ผ่านมา

    너무 공감가고, 선생님이 해주시는 말씀이라 더 안심이 됩니다. 그렇게 키우고 싶어요

  • @엘씨와
    @엘씨와 10 วันที่ผ่านมา

    6년 전, 임신했을 때 강남신세계에서 선생님 특강을 들었는데 제 육아기준을 정하는 데 참으로 도움 많이 되었어요 감사드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sssoooososo
    @sssoooososo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감사합니다🎉❤

  • @IF_day
    @IF_day 9 วันที่ผ่านมา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다

  • @h_y341
    @h_y341 10 วันที่ผ่านมา +8

    다양한 경험과 적당한 기회 제공, 스킨쉽과 눈 맞춤. 하루에도 몇 번이나 치밀어 오르지만 ㅋ 잘 해 볼려고 매일 마음 다잡습니다. 양질의 정보와 간결한 영상 늘 감사합니다 선생님🙂

    • @sarah53
      @sarah53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하루에도 몇번이나 화가 치밀어 오르는 부분 공감합니다😂😂 저도 하정훈쌤 유튜브를 보며 매일 마음 다잡습니다 ㅋㅋㅋ

  • @piaku8909
    @piaku8909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하정훈 삐뽀 선생님 안녕하세요 항상 너무나도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우선 답글을 달아주시지 못하겠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댓글 적어요. 항상 너무나도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없어서요.. 우리 아기는 이제 막 11개월에 진입한 아기인데요, 이제는 안돼, 가만히 있어 라던지의 훈육을 해도 되나요? 36개월 이전에 훈육은 의미가 없다. 소용없다. 안된다 이러는데 제 생각엔 계속 오냐오냐하다가 갑다기 36개월부터 짠하고 훈육을 한다고하면 애한테 씨알도 안먹힐것같은데요... 지금부터 아이를 혼내는 훈육아닌 울더라도 안되는건 안되는거야를 해도되나요? 사실 저는 이전부터 안되는건 안되는거야 하고 못하게 하거나 제지했는데 찾아보니 36개월 이전에는 안된다. 의미없다. 애만 혼란하게 만든다는 둥 정서에 안좋다는 둥.... 언제부터 36개월이라는 표현이 생겼는지도 의문입니다. 제가 아직 어린 아기인데 너무 허용하지 않는가 싶은 의구심이 들어서요. 제가 너무한건지.... 이유식 의자를 탈출하려하면 정색을 하며 못하게 한다던지 그러는데요. 제가 아직 한테 너무 한건지 아님 지금처럼 그냥 밀고 나가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오늘의은석
      @오늘의은석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어리더라도 안되는건 안된다고 하는게 맞죠~
      그런 가르침들이 차곡차곡 쌓이면 아이도 지켜야될 선을 알게돼고 육아도 점점 편해지더라구요. 훈육과 별개로 평상시에 사랑 듬뿍주면 되니까요 ❤

    • @haseon-o7u
      @haseon-o7u 9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 월령이어도 다 눈치가 있고 말귀도 알아들어서 저도 안되는건 안된다고 딱 이야기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ㅎㅎ 애들이 분위기 파악하는덴
      귀신이라서요 😂 그렇게 경계를 쌓아가는거 같아요 ㅎㅎ

    • @yoonyoon._
      @yoonyoon._ 9 วันที่ผ่านมา

      하정훈 선생님 다른 영상 보시면 훈육은 신생아때부터 하는거라고 하시더라구요 ㅎㅎ
      저는 첫째도 둘째도 하정훈 선생님 말씀대로하니 첫째가20개월인데 분리수면 수월했고 훈육도 잘 되어서 한 두번 안된다고 제지하면 말 잘 들어요 ㅎㅎ
      이제 3개월인 둘째는 통잠도 잘자고 혼자 놀다가 잘 자고 밤에는 모유 막수하고 불 꺼주면 잘 잡니당 ㅎㅎ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마시고 훈육은 태어났을때부터 하는게 맞아요 ㅎㅎ 훈육이 제대로 된 습관을 알려주고 하능거지 혼내는게 아니니까요

    • @piaku8909
      @piaku8909 9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아휴 역시 댓글 남기길 잘했네요! 육아 선배님들 댓글에 감사드립니다~~!!!요새는 정보가 넘 많아서 오히려 육아가 힘든것 같네요 ㅠㅠ

    • @yhw40
      @yhw40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전 정보들 중에서 가장 이해 안가는게 ‘36개월전에 훈육하지 말라’는거랑 ‘안돼’ 라는말 하지 말라는 거더라고요. 첫째 키우면서 느낀건데 훈육은 진짜진짜진짜 신생아때부터 시작해서 36갤 이전에는 어느정도 완성해야한다 봅니다!! 그때 놓치면 안된다는 절망적인 소리를 하려는건 아니고요ㅎㅎㅎ 그때 끝내놓으면 진짜 삶의 질이 달라요ㅠㅠ 흑흑 넘 편합니다ㅠ 물론 애가 로봇처럼 착착 말 잘듣고 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생활의 틀이 잡힌다는 느낌이 확 드는게 36개월부터거든요!! 그니까 그때까진 소귀에 염불왼다는 느낌으로 계속 입력해주면 출력이 제대로 되는 시기가 36개월쯤 부터인거죠. 꼭꼭 훈육(혼내는거말고교육)(감정공감 -> 안되는것 제지 -> 해야하는것 방향제시)은 어릴때부터 꾸준히 하셔요! 적극 추천입니다ㅠ!

  • @soyeonpark2485
    @soyeonpark2485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미 두돌 지나고 훈육이 잘 안되어있다면.. 그래도 다시 해야하겠죠? 다시 어리게 만들수도 없고ㅠ

    •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10 วันที่ผ่านมา +4

      두돌이 지났어도 훈육은 해야 합니다.
      이제는 기본적인 일상 생활 속에서의 훈육에 언어 훈육이 추가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