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가 인간에게 '폭력'인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 디자이너 토마스 헤더윅 '더 인간적인 건축' 내용을 바탕으로, 천편일률적인 아파트가 인간을 불행하게 하는 이유에 대해 논해봤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70

  • @looplk
    @looplk 8 วันที่ผ่านมา +174

    이거보고 노숙하기로 햇습니다

    • @GJ_Lee
      @GJ_Lee 8 วันที่ผ่านมา +15

      응원합니다.

    • @sltnpprptatchps
      @sltnpprptatchps 7 วันที่ผ่านมา +9

      썩파트 성냥갑 안사요

    • @doChairsExist
      @doChairsExist 7 วันที่ผ่านมา +7

      환경의 복잡성이 증가하겠군요

    • @D.hotdog
      @D.hotdog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와 디오게네스 아시는구나!

    • @nocarryinglaptop
      @nocarryinglaptop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20년만 자리잡으면 님소유에요

  • @parksangdonews
    @parksangdon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88

    영상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 ' 건물 ' 을.... ' 인간 ' 으로 치환해서 보는데... 설득되고 자연스럽다. 똑같은 인간 ~ 똑같은 외형 ~ 똑같은 스펙과 가치... K 자본주의

    • @62319
      @62319 7 วันที่ผ่านมา +6

      성형외모도 다 똑같죠ㅎㅎ

    • @야메루-y5d
      @야메루-y5d 5 วันที่ผ่านมา

      빈민가 거렁뱅이 범죄자 다양한 인간군상들이 모인 것은 아름답나요? C-자본주의

  • @Soul-oo2jo
    @Soul-oo2jo วันที่ผ่านมา +5

    한국을 민주주의 사회가 아니라, 후기 파시즘 사회라고 하더라구요…

  • @nocarryinglaptop
    @nocarryinglaptop 7 วันที่ผ่านมา +31

    아파트만 나오게 되는 구조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재건축 설계 홍보를 보면, 세계적인 건축가를 내세우지만, 항상 결과는 시설이 몇개 추가된 색깔만 다른 아파트더라고요..

  • @Dreampop42
    @Dreampop42 7 วันที่ผ่านมา +31

    어릴적부터 아파트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고 특히 유럽에 다녀온 이후 고층아파트가 너무 눈에 거슬린다는 생각을 많이 했는데
    이런 심리적 이유가 있었군요

    • @一妄一語
      @一妄一語 6 วันที่ผ่านมา

      잠시 다녀와서 그런 거 아닐까요? 거기서 사시사철 살아보면 생각이 바뀔텐데... ^^*
      각설하고.
      헤더윅 논리대로라면 엄마 없는 아이들은 모조리다 양아치 아니면 우울증으로 자살해야 함.
      그러나 현실은 엄마 없이도 잘 자란 아이들 부지기수고, 엄마의 과잉케어로 인생망한 애들도 부지기수임.
      나쁘게 보려하면 한도 끝도 없고, 좋게 보려면 또 상당한 장점이 있는게 사실이니 고급아파트 신축 아파트에
      다들 들어가서 살려고 하는게 아니겠는가 싶음.
      내가 볼 때는 헤드윅이 창의성을 중시여기는 디자이너다 보니 천편일률적인 모습에서 더 큰 혐오감을 느끼고
      거기에 맞춰 정보를 찾아다닌 결론이라 봄. 현실은, 헤드윅도 한국 고급 역세권 아파트에서 살아보면 마음 바뀔 확률이
      높다 봄. 물론, 본인 뱉은 말을 어기는데서 오는 쪽팔림을 감수할 수 있다면 말이지만.

    • @jaehoonha6
      @jaehoonha6 5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넣다면 진화가 덜 된..

  • @민트슈크림-k8g
    @민트슈크림-k8g 6 วันที่ผ่านมา +23

    단독주택에 사는데 관리가 어렵지는 않습니다 공구리 치고 잔디만 심지않고 방수 작업만 3년에 한번씩 하면 됩니다 관리비 낼돈으로 모아서 내면 되니까 아파트 사는 사람들이 꼭 주택 단점들만 얘기하는데 아파트도 단점이 있잖아요 주택이나 아파트는 장단점이 뚜렸합니다

    • @심무룩
      @심무룩 3 วันที่ผ่านมา

      주택 저도 살고 싶은데 두려운게
      첫째 난방비 (윗층 아랫층이 없으니깐 단열)
      둘째 외부유입 개미 벌레
      셋째 쓰레기처리나 치안문제
      넷째 집값 문제 (내가 사도 나중에 팔리냐)

  • @우리아빠-l3g
    @우리아빠-l3g 2 วันที่ผ่านมา +3

    저출산,휴먼로이드,메타버스,자율주행 같은 기술적 사회적 이유로 아파트는 인기가 사라지고 단독주택으로 갈것 같음.
    저출산으로 인구가 줄면 아파트의 장점인 관리가 힘들어짐 어느정도 규모가 유지되어야 관리 비용이 확보 가능한데 인구가 줄면 불가능해짐 일본 보면 구축아파트 관리비만 100만원 넘게 지출됨
    한국도 그렇게 갈것같음

  • @jj-ub1vu
    @jj-ub1vu 6 วันที่ผ่านมา +26

    원래 아파트가 모스크바에서 기인한걸로
    전체주의의 상징이기도 함
    아파트만 획일화되어 있는게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방식도 획일화되어 있다는 뜻
    그리고 인간본성이 탐욕적이라 고층 선호하는데
    이는 자연에 위배되는것으로써 건강에 해로움
    그래도 요즘은 디자인적 요소가 그나마 들어간 하이엔드 아파트들이 생기는데
    연예인들이나 유명인들이 많이 살죠
    글고 이런 컨텐츠 내스탈
    아파트아파트거리는거 지긋지긋해 규격화되서 가격도 규격화된거말고는 메리트도 없음

    • @애국청년아돌프
      @애국청년아돌프 6 วันที่ผ่านมา

      소련 시절 아파트들 보고 왔는데 독일을 따라한 건물들에 비하면 ㄹㅇ 삭막하긴 하더라. 어째 익숙한 감각도 들고

    • @一妄一語
      @一妄一語 6 วันที่ผ่านมา

      헤더윅 논리대로라면 엄마 없는 아이들은 모조리다 양아치 아니면 우울증으로 자살해야 함.
      그러나 현실은 엄마 없이도 잘 자란 아이들 부지기수고, 엄마의 과잉케어로 인생망한 애들도 부지기수임.
      나쁘게 보려하면 한도 끝도 없고, 좋게 보려면 또 상당한 장점이 있는게 사실이니, 사회기득권들이 사는 초고가
      아파트 아니더라도, 신축 아파트에 다들 들어가서 살려고 하는게 아니겠는가 싶음.
      내가 볼 때는 헤드윅이 창의성을 중시여기는 디자이너다 보니 천편일률적인 모습에서 더 큰 혐오감을 느끼고
      거기에 맞춰 정보를 찾아다닌 결론이라 봄. 현실은, 헤드윅도 한국 고급 역세권 아파트에서 살아보면 마음 바뀔 확률이
      높다 봄. 물론, 본인 뱉은 말을 어기는데서 오는 쪽팔림을 감수할 수 있다면 말이지만.

    • @야메루-y5d
      @야메루-y5d 5 วันที่ผ่านมา

      아파트 뿐 아니라 빌라도 획일화 되어있어요 다양한 모습의 빈민촌 판자촌 슬럼가는 인간에게 유익할까요?

    • @jj-ub1vu
      @jj-ub1vu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 빌라도 울나라에서는 같은 계열이고 빈민촌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거고 빈민촌에서 그런거 따지는건 무의미한것임

    • @야메루-y5d
      @야메루-y5d 5 วันที่ผ่านมา

      @jj-ub1vu 아파트로 개발된 지역의 과거모습이 골목길 달동네 판자촌이었거든요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8 วันที่ผ่านมา +61

    아파트는 집이 가진 최소한만 남겨놓고 나머지는 전체주의식인 집단주거지일뿐임. 아파트가 잘못된게 아니고 아파트를 설계하는 사회나 문화가 애초에 잘못되어서 아파트를 설계할뿐임. 교도소나 아파트나 다른게업긴함.
    결국 도시에 살려는 사람들의 욕망이 비싸고 형편없는 주택을 위해 자신의 대부분 소득을 희생하는 이유임. 경쟁은 루저들의것이라는 피터틸이 다시 한번 옳다는거임. 개개인들이 서로 많은 땅을 가지려고 도시라는 작은곳에서 경쟁하고있는거임.
    빨리 로봇 ai로 도시가 해체되고 인구가 분산화되어야 개개인이 소유하고 활용하는 토지의 규모가 넓어질수있음. 그래야 여유공간을 각자가 활용하면서 그 공간에 개성이 자리할수있음.
    아파트가 아무리 이뻐져도 단위 면적당 설계비 시공비 대비 이익을 챙길수밖에없고 그러면 선택지는 매우 제한됨. 결국 메가시티의 주택이란건 모든걸 빼고 패스트푸드처럼 최대한 이익이 많이 남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강요되고 있는거임. 그럴 돈이없는 사람들의 선택지는 한결같이 달동네에 위치한, 이동이 어려운, 연식이 오래된, 상업시설이 없는, 무너져가는, 불안정한 치안의 지역에서 거주할수밖에. 양극화는 공간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나타날수밖에 없음. 왕과 노예가 다른것처럼 현대에도 재현되는것뿐.
    주택뿐 아니라 내가 가는 모든 오프라인 공간을 점유하는데에 들어가는 비용을 지불할만한 충분한 소득과 자산이 있는 사람들만이 현실에서 보이고, 대부분의 청년들 뉴비들 저소득층이 온라인에서만 존재하는 이유임. 그들은 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가상의 스페이스에서는 존재를 느낄수있음. 온라인 공간조차 포화되어 경쟁이되면 결국 한정된 공간에서 무한 갈등이 일어날수밖에 없음.
    따라서 유튜브처럼 개개인의 데이터에 따른 분류 알고리즘은 공간을 분리하고 레이어를 만들고 네트워크를 확장해서 계속해서 저렴하면서도 동시에 충분한 이벤트가 존재하는 공간을 개척한다고 해도 무방함. 따라서 유튜브가 우리의 공간적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는 엄청난 기능을 하고있다는거임.

    • @도-v5i
      @도-v5i 7 วันที่ผ่านมา

      옳다 처음의 아파트는 큰집에 대한 수요였지만 지금의 아파트는 가격만 오른다. 아파트 가격이 아무리 바뀌어도 아파트의 물리적 환경과 서비스는 바뀌지 않음 한국인 뼈속에 박혀있는 전체주의 사고방식에 의해 한국인은 물리적으로 철저히 고통 받으며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인정'이라는 보상으로 자위하며 착취당할 뿐 한국인은 영원히 고통받는 운명

    • @몽-n4s
      @몽-n4s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마지막 가상공간 재밌네요
      인스타는 오히려 가상공간을 통합하는거 같아서 스트레스로 작용하는것같기도 하다는 생각

    • @jackkk7183
      @jackkk7183 6 วันที่ผ่านมา +2

      온라인 공간을 해석하는 관점이 참 공감됩니다.

    • @jj-ub1vu
      @jj-ub1vu 6 วันที่ผ่านมา +4

      AI를 통해 도시가 해체될일은 없음
      오히려 그 반대임
      인프라를 도시에 집중시켜 그 안에서만 생활이 가능하도록 만드는게 인공지능에 의한 스마트도시임
      그리고 그곳은 겉으론 편리해보이나
      가자지구같은 곳이 될것임
      모든것이 감시 통제되는 봉건사회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6 วันที่ผ่านมา +2

      @ 스마트도시 이전에 인프라보다 지금은 가격이 오바한경우라서 서울도 인구유출중입니다. 가성비가 안나와요. 서울사는 사람들도 가끔이지 대부분 인프라를 쓰지도 못하고 시간적여유도 없구요. 시간을 늘리면 소득이 더줄어서 인프라를 사용못하니까요.
      ai와 로보틱스로 도시가 해체될거라는 가정은 기존의 일자리중심 도시에서 벗어난다는걸 전제로 생각합니다. ai나 로봇이 생기면 일자리와 기업 주변으로 대규모 근로자들이 살 이유도, 한곳으로 모일 이유도, 매일 광역권에서 긴 시간 이동할 필요도 사라지니까요.
      일하기위한 도시에서 생활중심의 도시로 아예 탈바꿈될수 있다봅니다. 애초에 부산이고 강릉이고 제주고 워케이션이 떴던 배경도 그렇구요. 심지어는 말도 안통하는 해외로 가서 불리한 조건을 무릎쓰고 살려고 나가는경우도 늘어나고있습니다. 일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나의 생활환경을 원하는대로 바꿀수없으니 찾아나서는거죠.
      게다가 왠만한 지방도시조차도 기본적인 인프라는 이미 인구나 지역경제 규모대비 과잉인상태입니다. 사람이 없어서 안돌아가는수준이죠. 일을 위한 서울중심의 시대에서 탈피만되면 주거 생활비용이 저렴하면서 인프라는 유지되는 지방으로 인구유입이 늘수있다고 봤습니다.

  • @akfncldkfkcl
    @akfncldkfkcl 7 วันที่ผ่านมา +35

    내가 관악구 살았을때 제일 힘들었음..
    오피스텔이 감옥 같았음.. 그 뒤로 한옥 살고 싶어지더라...

    • @SSS-gg3rz
      @SSS-gg3rz 7 วันที่ผ่านมา +3

      관악구는 좀 그렇긴하지…

    • @전개구리요
      @전개구리요 6 วันที่ผ่านมา

      한옥은 별로..

    • @kotdx597
      @kotdx597 2 วันที่ผ่านมา

      외국인들이 한국하면 느끼는 첫번째가, 답답하다 갇혀있는것같다이죠. 😢

  • @MoonStar-u2d
    @MoonStar-u2d 7 วันที่ผ่านมา +16

    정말 유럽의 집들은 고쳐가며
    아기자기 애지중지하는 느낌이 들죠.
    집이 하나의 영혼이자 동반자인 느낌.
    그런 태도와 정신은 배우고 싶어요.
    전격 교체는 몇 세대 거쳐야 이뤄질 듯.
    일단 교육이 바껴야 모든 게 바뀔겁니다.

  •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8 วันที่ผ่านมา +35

    한국은 이미 도시 전체를 하나의 아파트 단지로 만들기로 작정했음. 세종시만봐도 소위 말하는 "안전하고 좋은" 시설만 엄청나게 만들어놨는데 진짜 기괴하기 그지없더라... 유흥시설 숙박시설 없는 번화가를 인위적으로 만들려고 하니 그게 잘될리가 ㅋㅋㅋ

    • @Double-Jay
      @Double-Jay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위선적 이상향 ㅋㅋㅋ

    • @Honggill
      @Honggill 5 วันที่ผ่านมา +2

      신도시가 다 아파트덩어리잖음

  • @pangaea2635
    @pangaea2635 7 วันที่ผ่านมา +21

    멀리 보이던 산과 하늘이 성채같은 아파트 단지로 가려질 때마다 스트레스 생기고
    점점 현재의 풍경에 관심을 끊기 시작하긴 함.
    옛날 동 간격도 넓고 층수도 5층, 10층 할때가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해요.
    지금은 35층 처음부터 끝까지 꽉꽉 채워서 답답하고 시시하며 지루합니다.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청량리 재개발된데가 완전 최악이더라구요

  • @mymotherisalien
    @mymotherisalien 7 วันที่ผ่านมา +27

    이 나라에서 아파트가 인기가 있는데는 다 이유가 있음.
    1. 대단지 아파트에 부차적인 기타 시설들의 편의성
    2. 관리사무소란 별도 관리주체가 있어 기반시설 관리의 용이성
    3. 빌라 같은 저렴한 주택 대비 훨씬 광활한 녹지 보유
    아파트를 단순히 건물로만 볼게아니라 거기에 딸려있는 기타 시설들까지로 함께 보게되면 아파트가 훨씬 살기 좋고 저렴합니다.
    동일한 설비와 시스템을 주택으로 구축하려면 같은 필지 기준으로 아파트 구매 비용으론 어림도 없죠.

    • @jj-ub1vu
      @jj-ub1vu 6 วันที่ผ่านมา +11

      가둬두는 형태임
      편리함이 족쇄가 되는것

    • @pluoi7109
      @pluoi7109 6 วันที่ผ่านมา +18

      아파트외 다른 형태의 주거공간에 살아보지 않는 티가 팍팍 나네 ㅋ

    • @김씹탱
      @김씹탱 6 วันที่ผ่านมา

      ​@@pluoi7109규모의 경제 효율이 높은 건 엄연한 사실인데 반박을 해보세요 반박을 나도 원룸/단독주택/다세대/다가구/아파트 다 살아봤는데 아파트가 낫긴하던데요?

    • @ndoo1926
      @ndoo1926 4 วันที่ผ่านมา +5

      @@pluoi7109 인신 공격성 발언 하지 마시고 논리에 대한 반박을 하시는 게 맞아 보입니다 님이 적은 건 그냥 이런 겁니다 못 배운 티 팍팍 나네ㅋ

    • @kotdx597
      @kotdx597 2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높은곳에서 어떻게 살까.
      귀찮아서라도 밖에안나가게될것같음
      문열고 바로 밖이면 더좋지않나 ?

  • @이정현-j5s
    @이정현-j5s 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어릴때 아파트 놀이터가서 놀면 그 주민들이 왜 여기 살지도않는데 와서 노냐고 하던거 생각나네.

  • @ghggg3727
    @ghggg3727 5 วันที่ผ่านมา +4

    층간 벽간 심지어 옆 건물 너무 가까워 들리는 소음 등 내 집에 있으면서 눈치보며 24시간 산다는게 점점 미쳐가는 느낌이 듦. 근래에 정신병 늘어가는 이유 중 하나에 포함 될 것임

  • @eueywri
    @eueywri 2 วันที่ผ่านมา +2

    마당이 잇는 집에서 살고 싶다.

  • @김학진-n9s
    @김학진-n9s 7 วันที่ผ่านมา +24

    한국만큼 거주공간이 일률적이고 대다수가 아파트에 사는 나라가 있을까요? 없는거 같은데 외국나가보면 한국이 비정상이란게 얼마나 많은지 알게 되는데. 나라안에서는 모두가 똑같은 획일적으로 남과 다르면 안된다는 의식이 … 뭐가 비정상인지 모르지요. 90년대만해도 이정도는 아니었는데 수도권은 정말 단독주택을 찾아볼래야 찾을수 없고 변두리 못사는 동네 가봐야 겨우 찾아볼수 있을까 그런지역도 재개발되며 다 아파트가 들어서고

    • @Paul8-_-3
      @Paul8-_-3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전형적인 사대주의 / 아파트는 효율을 중시하는 초효율의 건물

    •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6 วันที่ผ่านมา +3

      중국이 그렇지 않나요? 중국도 아파트 많더라구요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2

      @@pinetworkminer8377 중국은 우리나라 카피해서 그런거 아닌가요 건설경기도 띄우느라

    • @kotdx597
      @kotdx597 2 วันที่ผ่านมา

      건설업자들이 돈이되니까 아파트를 짖는거죠..미국도 도시에서는 한집을 허물고 두집이 붙어있는 타운하우스를 짓고있죠...고급하한 콘도단지를 짓거나.
      하지만 미국에선 첫번째로 사지말아야할집으로.. 내땅없는 집이라고하죠

    •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วันที่ผ่านมา

      @ 그 첫번째로 사지말아야 할 집으로 아파트와 콘도미늄도 포함된다는거죠?

  • @skmty61020
    @skmty61020 7 วันที่ผ่านมา +4

    아파트를 살지 말라는것보다는 디자인도 특화하고 단지마다도 각각의 개성을 부여하는게 좋다는거겠죠. 다행히도 요즘은 집마다 구조도 타입별로 다르고 높낮이나 외벽 디자인을 동마다 바꾸면서 조금씩 변화를 유도하는 것 같아요.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근데 단독주택에 살면 불편하다느니 국토가 좁아서 아파트밖에 답이 없다느니, 아파트 살아보면 편안하다고 하는 사람들은 가축같단 생각밖에 안드네요

  • @PLPHR
    @PLPHR 7 วันที่ผ่านมา +17

    나도 가끔은 2층으로 된 주택가 살고싶긴한데 여러가지 잡다한일 해야하니까 귀찮고, 그게 아파트에 살면 간단히 관리비로 퉁칠수있으니 되려 좋은거 같음.
    근데 너무 고층에 위치한 아파트는 직접 지인 집이라 들어가봤는데 별론거 같더라 심신이 안정이 안되는거 같음.
    실질적으로 땅덩이 작은 나라에선 층간소음과 벽간소음만 잘 해결되면 좋은거 같음.

  • @ttlqk4847
    @ttlqk4847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동의합니다.

  • @metadigital3595
    @metadigital3595 วันที่ผ่านมา

    건축물 뿐만이 아니라 사고방식 자체가 다양성은 배제되고 수직적임.
    효율성만을 추구해서 이룬 급격한 경제성장 부심과 어릴때부터 10년이 넘도록 정답이 정해져 있는 객관식 문제풀기 위주의 교육도 한몫 하는듯...

  • @dndjwwe
    @dndjwwe 8 วันที่ผ่านมา +14

    복잡성이란 개념이 다소 모호하지만 “고대 인류가 살던 자연환경과 유사함”으로 이해되기에 논지 파악에 문제는 없었습니다.
    진화심리학적으로 고대에는 유용했던 심성이 현대에는 스트레스와 갈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티븐 하이네라는 문화심리학자는 유전자와 문화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유전자 = 나“라는 생물학적 본질주의적 사고가 과학적 오류를 담고 있음에도 대중에게 많이 퍼진 이유를 우리가 기본적으로 ”변함 없는 고유한 특징“을 확신하는 본질주의적 사고를 하기 때문이고 이는 기본적 범주 구분으로서 진화적 이점이 있었으나 현대에 와서 오해와 오류를 빚어내고 있다고 봤지요. 이러한 고찰과 대책을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도시의 메마름을 좋아하는 사람도 일부지만 존재하지요. 여기서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자유주의적 윤리의 문제가 있을 것이고, 땅이 좁고 산이 많은 한국에서 아파트는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필요악일지도 모릅니다. 여러모로 다방면에서 생각할 점을 제공해 준 영상이었습니다.

    • @멜론-h9q
      @멜론-h9q 7 วันที่ผ่านมา +3

      눈에 띄는 댓글이라 여러 번 읽어봤습니다.
      본질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면 문제를 더 넓게 볼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영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아파트 단지는 정신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더 다양하고 복잡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가우디 건축에서 볼 수 있는 입면 장식 정도의 비용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
      즉, 문제를 해결하는 간단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논의의 시작점으로서 흥미로운 구성을 갖추고 있지만, 더 의미 있는 결론을 위해선 문제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에서 언급된 ‘위압감’과 ‘반복’이라는 단어를 고려할 때, 단순히 아파트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전체주의적 사고방식을 짚으려는 의도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아파트라는 거주 형태가 널리 보급되면서 더욱 눈에 띄는 현상일 뿐, 근본적인 문제는 획일성을 만드는 사고방식에 있다고 봅니다.
      한국이 급성장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할 때, 흔히 강조되는 것은 ‘효율성’이지만, 그 이면에는 기회비용을 극단적으로 고려하는 전체주의적 사고가 있었습니다.
      전체주의적 사고는 배타성을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일상에서 쉽게 그 영향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획일화된 가치는 반복을 낳고, 익명성과 안전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다양성과 개성을 희생시킵니다.
      결국, 현대인이 느끼는 소외감의 근원이 아닐까 합니다.

    • @dndjwwe
      @dndjwwe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 전체주의적 사고방식에 대한 경계라! 좋은 말씀이십니다. mbti니, 여성이니, mz니 같은 싸구려 정체성을 벗어던지고 다양성과 개성이 오는 사회라면 저도 마다하지 않겠습니다.

  • @arid843
    @arid843 8 วันที่ผ่านมา +7

    극히 공감합니다. 30층 넘어가는 아파트는 더 별로이기도하구요..개인적으론 25층 넘어가면 걍 별로..효율성을 제일 중요시하는 한국이라 건축 자체도 개성이 적은거 같인요.

  • @Ako10431
    @Ako10431 5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영상 너무 잘 봤어요 편집에 공을 들이신 티가 나네요, 마지막에 순살 아파트 ㅋㅋㅋ 재밌었습니다

  • @marue2051
    @marue2051 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자제는 ㅆㄹㄱ를 쓰고 철근 몇개 빼먹고 건설사들이 단독주택은 죽어도 안지을려 하고 가격만 ㅈㄴ 비싸게 파는거 보면 아파트는 폭력이 맞는거 같다....

  • @강-j2q
    @강-j2q 6 วันที่ผ่านมา +9

    악한 정부기 정권을 잡으면 가장쉽게 통제 하기좋은 상태가 아파트임

  • @ironnotgiven
    @ironnotgiven 8 วันที่ผ่านมา +37

    아ㅋㅋ 전 국민 돈이 저기에 들어가 있다고

    • @카피바라-q2u
      @카피바라-q2u 8 วันที่ผ่านมา

      ㄹㅇㅋㅋ

    • @momokim1708
      @momokim1708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거 드가서
      대출이자 낸다고 힘든분 손

  • @저하늘-b5v
    @저하늘-b5v 7 วันที่ผ่านมา +7

    거주지에서 투자처로 변모한 아파트의
    불행한 풍요속에 사는 공동현존재자들...
    인간의 탐욕을 이용한
    투기와 불로소득을 조장하는 건설계와 권력자에게 속수무책으로 지배당하면서
    사회는 분리,분쟁이 발생하고
    또 아파트 높이와 밀집만큼 우리의 우울증과 공허함은 깊어만 간다.
    이럴때일수록 물질적 풍요 대신 공동선을 추구하고 자기로 사는 삶, 주체성를 회복하라는 옛 철학자들의 조언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겠다.
    (가난해도 내가 원한는 대로 살았으면 행복하다.)

  • @0100G-z1g
    @0100G-z1g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맞아요....동탄에 일있어서 지나갈일 있었는데 너무 징그럽더라구요 그게 인간의 자연적 본능에 기인한 혐오감이였던거네요

  • @62319
    @62319 8 วันที่ผ่านมา +29

    강원도 사는데 서울 올라오면 숨이 막혀요 정릉쪽이랑 내부순환로 타면 아파트 숲에 아주 갑갑해집니다~ 많이들 동의하시죠?

    • @벨벳언더그라운드-o1r
      @벨벳언더그라운드-o1r 8 วันที่ผ่านมา +8

      막상 아파트 비판하면 돈 없어서 못사는 주제에라고 자칭 자유민주주의자들이 겁나 비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김준호-w5o
      @김준호-w5o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많이들 동의하면 다 강원도가서 살겠죠 ㅋㅋ

    • @62319
      @62319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 ㅋㅋㅋ그렇지요~ 공기좋고 물좋은 강원도로 오세요 집값도 쌉니다ㅎㅎ

    • @lomica
      @lomica 7 วันที่ผ่านมา

      서울 내려가면

    • @국붕이
      @국붕이 4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니요 ㅋㅋ

  • @인조인간-i7j
    @인조인간-i7j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이렇게 주장할 수 있고 그걸 보는 우리들이 실제로 고민해볼 수 있는것만으로도 좋은거임

  • @joooy-s8w
    @joooy-s8w 7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충코님 서브채널 맞죠?

    • @러테란
      @러테란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어쩐지 목소리가

  • @김태훈-m3o8g
    @김태훈-m3o8g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서울의 스카이라인을 보면서 도시의 미관에 대해 걱정이 많습니다. 효율과 편리성 만 우선하는 사회 분위기에 대해서도 문제가 많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문제에 대하여 소리를 내주어 감사합니다. 😊

  • @Sunghee1225
    @Sunghee1225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사람들은 자연을 닮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출근길 버스를 타고 매일 지나다니는 시멘트 건물과 아파트를 보고 있으면 답답한 느낌입니다.
    아파트를 보고 있으면 지은 건설사는 최대한 빡빡하게 올려 돈만 벌면 된다는 마인도가 건물에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자살율이 가장 높은것도 다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 @LearnerJ12
    @LearnerJ12 23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우리나라 건축의 큰 문제점이 어딜 가나 똑같은 아파트가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 강남, 강서, 부산 해운대, 사상구, 대구, 대전 등 어딜 가나 다 똑같은 형태의 아파트만 있어요.

  • @lee-lh3ck
    @lee-lh3ck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첫화면부터 갑갑함,답답함,숨막힘을 느낀다.

  • @sherieanna2613
    @sherieanna2613 6 วันที่ผ่านมา +6

    원래 아파트는 수용 시설 겸 거주 시설이었지 제대로된 집으로 인정을 못받는 건물이라 유럽이나 미국 러시아에는 대충 쓰이다가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임. 곧 한국도 똑같아질듯.

  • @하늘-p3s5q
    @하늘-p3s5q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엘리베이터가 멈춰도 계단으로 걸어 올라가고 걸어 내려오는게 생활 가능한 층수로 지어야 합니다.

  • @김인찬-z4m
    @김인찬-z4m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아파트로 노래부르고 아파트 추앙하는 나라인데 말 다했지

  • @dr.klim7
    @dr.klim7 7 วันที่ผ่านมา +9

    그놈의 인간닭장이 뭐라고 수억이나 쏟아붓고 사대는지... 주거지로써 퀄리티도 딱히 가격대에 맞는 퀄리티도 아닌데 그저 오를거라는 욕망 하나뿐에 미쳐돌아가지고 ㅉㅉ....

  • @호두구속
    @호두구속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 영상을 보고 서울 아파트를 평생 사지 않기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kimx5
    @kimx5 7 วันที่ผ่านมา +6

    아파트 좀 별로긴 해 걍 답답함

  • @user-vy5vc4el4w
    @user-vy5vc4el4w 7 วันที่ผ่านมา +6

    닭장이잖아.....

  • @미그니
    @미그니 7 วันที่ผ่านมา +8

    단독주택 로망있음

  • @Hosei_kun
    @Hosei_kun 2 วันที่ผ่านมา

    앞으로 인구감소에 대비할려면 지역별로 주요거점에 모여 살아야하는데
    효율적 구조인 아파트로 더 몰릴 수 밖에 없는 현실😢

  • @Staatssi
    @Staatssi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닭장을 보고 아파트를 보면 바로 생각하는게 진실임

  • @링링-o1g
    @링링-o1g 7 วันที่ผ่านมา +4

    메스컴에서 고급 아파트는 부의 상징이라는 걸 많이 보여주고 띄워줬죠 이래서 거부감없이 사람들이 원하고 가격을 올려놓은거죠 정치인이 먼저인가 우리들 개개인의 선호가 먼저일진 모르지만 제대로 닭장을 모두 선호하게되었죠
    이 작은 나라에서 이게 최선일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해외에 넓고 예쁜집들도 많이 보고싶네요 다시금 저를 돌아보는 계기가되었습니다

  • @천체-g8p
    @천체-g8p 4 วันที่ผ่านมา

    거리를 다니다보면 사람 한 명 정도 크기 ~ 5m 가량의 크기의 조형물들이 보입니다. [아파트 단지]부터 상가 건물에 이르기까지. 건물에는 꼭 이런 조형물들이 설치되어 있는데요. 사실 이런 조형물들에는 비밀이 있다는 거, 알고 계십니까? 1972년, '건축물에 대한 미술양식 규정' 내용이 담긴 문화예술진흥법이 발표됩니다. 연면적 1만m² 이상의 건물은 건축비의 1% 범위 내에서 반드시 미술장식품을 설치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건물을 지으려거든 일정금액의 회화나 조각 같은 조형예술물이나, 벽화나 분수대 같은 환경조형물을 만들어서 설치하라는 겁니다. 정치인들은, 이런 규제를 하면 도시 환경이 개선되고 인근 주민들이 예술과 문화를 누릴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해 이 법을 시행시켰죠. 당시 권장사항이었던 이 법은 1995년부터 의무화되었고, 2000년부터 건축비용의 0.7% 이하를 기준으로 조형물을 설치해야 한다고 법이 바뀝니다. 현재까지 20년 이상 이 법을 기준으로 건물들이 지어지고 있죠. 의무화 이전인 1995년까지 135개에 불과했던 조형물들의 숫자는 2020년에 들어서서 무려!! 2만여 개 까지!! 늘어납니다. 일정 면적 이상 되는 건물에는 모두 이런 의미 모를 조형물들이 설치되어 있죠. 즉 오늘날 건물마다, 거리 곳곳에 보이는 이런 조형물들이 법에 의해 강제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겁니다. 문제는! [설치 의무만 부과]하고 [관리 규정이 없어] 이 수많은 조형물들이 흉물로 전락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법 때문에 강제적으로 만들어진 이런 조형물들은 방치되는 경우가 많고 여러 문제를 가집니다. 광고 전단지를 붙이는 곳으로 이용되어 여기저기 테이프가 붙어있는 경우, 조형물의 위치 자체가 문제여서 좁은 공간에 조형물을 욱여넣는 바람에 인근 주민들의 통행을 방해하는 경우 등이죠. 흉물이 되어 골치덩이 취급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법이 만들어지고] 반세기가 지났는데, '건물 지을 때마다' 조형물 설치하라는 강제 규정! 만 있을 뿐, 무려! 철거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입니다. 일정 기간이 지났다고 건물주 마음대로 제거할 수도 없고, '파손'되거나 '흉물로 전락'해도 [그대로 둬야합니다.] 언제까지 이래야 할까요? 무려! 건물을 철거할 때까지입니다.(출처는 우원재)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아시겠지만 이런 조형물을 설치하는 [대신], 건물을 밋밋하지 않고 따분하지 않게 지으면 된다는 것이 해결책입니다.
    5:33 에서 비용은 5~10% 라 하였는데, 조형물을 설치하지 않는다면, 위에 댓글에서 쓴 것처럼 일단 최소한 0.7% 의 비용은 바로 준비 가능합니다. 그럼 이제 이 조형물 법을 바꿔도 되느냐, 혹시 꼭 필요한 법이거나 더 나은 한국 환경을 바라는 마음에서 생긴 법은 아니냐,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조형물 법을 없애고 새로운 법으로 바꾸는 것은 현재 한국에서 도덕적으로 올바른 범위 안에 속해 있습니다. 대댓에 이어서 씁니다.

    • @천체-g8p
      @천체-g8p 4 วันที่ผ่านมา

      오늘날 이 조형물들은 부정부패와 비리의 수단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앞서 말한 이 조형물 법. 조형물이 완성되지 않으면 건축공사의 준공허가도 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러니 건축주 입장에서는 최대한 저렴하게 그리고 또 빠르게 작품을 만들어 줄 작가를 찾습니다. 문제는! 이 과정이 그리 쉬운 게 아니라는 겁니다. 건물의 성격에 맞는 작품의 기획! 종류! 개수! 설치 위치! 방식!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심의 통과까지!! 건축주가 미술 분야 전문가가 아닌 이상 직접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 아니죠. 이렇다보니 오늘날 건물을 지을 때에는 조형물 관련 중개업체가 꼭 개입합니다. 일종의 브로커 역할을 맡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중개 수수료를 받고서 작가를 섭외하고! 심의 통과 절차를! 설계하는 등의! 활동을 벌이는데요, 작가에게 주어지는 프로젝트 비용의 30~40%를 [수수료로 떼가는 게!!] 오늘날 [업계] [관행]이라고 합니다.(출처: 머니S, '[기자수첩] 길거리 흉물된 '공공조형물' 해법 없나', 2018. 12. 1.) 법 하나 때문에!! 등장한 기형적인 업계인 셈이죠. 그러나... 진짜 문제는 지금부터 입니다. '리베이트'. 조형물의 값을 뻥튀기!!해서 청구한 후, 그 비용의 일부를!! 건축주가! 비공식적으로!! 돌려받는!! 방식입니다. [창조 경제]가 따로 없습니다! 그렇게 [탈세]나 [비자금 조성]의 창구로 쓰이죠!! 이러니 이 업계 자체가 거대한 비리의!! 온상이라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심사위원을 맡는 조각가'가 [리베이트]를 조건으로 조형물 설치를 따내 [돈장난]을 치고 '준공허가권을 가진 공무원'이 개입해!! 작업을 지인!! 작가에게!! 넘기도록 강요하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지역 내 [인맥]을 가진 브로커가 [상납]과 [향응] 등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죠. 앞서 말한 이 터무니없는!! 법!! 덕분에 이런 더러운 세계가 만들어진 겁니다. 한국 정치인들은 법을 만드는 데에만 혈안입니다. 무책임 한거죠. 만든 법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관심이 없죠.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법을 가장 많이 만드는 나라입니다. 이 좁은 땅에서, 미국ㆍ중국ㆍ러시아 보다 더 많이 만들어내고 있단 말입니다. 이거, 매우 심각한 겁니다. 미국 보다 더 많이 만든다고요. 무려 좁은 땅 한국에서요. 부작용만 낳는 법들을 바꾸거나 없애는 노력이 없습니다.
      이렇게 해서, 법을 새로운 법으로 바꾸는 것에 대해 도덕적으로도 올바른 범위에 속해 있다는 것을 설명했습니다. 물론 건물을 개성 있게 짓도록 새롭게 법을 바꾼다고 해도 그 법에서 또다른 안 좋은 면이 새롭게 만들어 질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보다는 나은 상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형물 법은 조형물을 관리하는 규정이 없다는 점이 일단 큰 문제로 있는데, 건물을 관리하는 규정은 이미 있는 걸로 압니다. 이미 건물 내부 외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닦고 있죠. 그리고 '도시 환경이 개선되고 인근 주민들이 예술과 문화를 누릴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도 의미 모를 조형물 따위들 보다는 훨씬 긍정적으로 클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충코 님의 이번 영상에서 이에 대해 자세히 나왔듯이요. 그리고 법을 새롭게 바꾸는 속도도 기존에 거북이 같던 속도 보다는 신속해질 것이라고 봅니다. "기존 법을 바꾼다고? 어떻게? 그 분야 전문가가 제시한 방법이야? 지금 법 보다 더 좋아? 괜히 일 커지는 거 아닌가 모르겠네. 기존 법을 바꿔야만 하는, 크게 문제되는 부분 같은 것도 있긴 있어?" 라는 정치인들의 물음들에 대한 대답들이 이미 전부 다 제시되어 있는 상태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 @yuexue1964
    @yuexue1964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아파트 금지법 나와야합니다

    • @yuexue1964
      @yuexue1964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 아파트 사는 사람들도 모두 거액의 벌금 물게 해야합니다

    • @성이름-u9o1r
      @성이름-u9o1r 7 วันที่ผ่านมา

      ㅋㅋㅋㅋㅋㅋㅋ그러면 한국인들 운다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단지아파트 금지해야함 하더라도 여러 건설사들이 디자인 심의 받아서 해야할거 같아요. 그리고 결과적으로 오피스텔의 형태같이 저층부에 상업시설이 들어오고 고층부에 주거시설이 있어서 울타리 없애고 길에 맞닿도록 아파트를 구성하는 쪽으로 만들어 가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manbig3602
    @manbig3602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충코형 넘무 반갑고~

  • @gmeguming8435
    @gmeguming8435 8 วันที่ผ่านมา +4

    개미들의 하이브같네요. 어떤 sf 게임에 나오는 하이브 디스토피아 느낌

  • @shyly89
    @shyly89 3 วันที่ผ่านมา

    아파트는 주거 목적이 아니라 주식 같은 상품이다..

  • @oootulip
    @oootulip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충코의 철학님 부계 만드셨나요?

  • @ezybreezy2463
    @ezybreezy2463 3 วันที่ผ่านมา

    이 책 저도 흥미롭게 봤는데 여기서 보다니 깜놀했습니다여

  • @tridish7383
    @tridish7383 20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하나 더. 건물 특징이 층수와 평수밖에 없으니까 뭔 전투력 측정기마냥 ㅈㄴ 편하게 비교해댐

  • @dnsqhd1217
    @dnsqhd1217 8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우리나라 아파트=정치인+이권 카르텔의
    합작품 🤩

  • @yongsunlee9451
    @yongsunlee9451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런 닭장이 수억씩 한다는게 이해불가!

  • @Namyoungkim-w5v
    @Namyoungkim-w5v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기왕이렇게 된거 극단으로 가보면 재밌을듯. 올파포 한번 살아보고 싶네요 약간 평양 체험하는 느낌일듯

  • @argentosoma
    @argentosoma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특색 있고 아름다운 외형의 아파트를 디자인하는 것부터 시작해보면 좋겠네요.

  • @kr8261
    @kr8261 23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하지만 까사밀라는 당시에 이상하다고 욕을 먹엇죠,, ㅜㅜ

  • @sweetlife2049
    @sweetlife2049 8 วันที่ผ่านมา +4

    아따 우리나라 아파트는 주거지가 아니라 투자랑께

  • @yongjin1981
    @yongjin1981 วันที่ผ่านมา

    지방 아파트 빌라는 이미 슬럼화 되아가고 있음..

  • @큐리안-m4j
    @큐리안-m4j 6 วันที่ผ่านมา +2

    10억짜리 20년된 닭장 몬살아서 환장함 ㅋㅋㅋ

  • @user-tp9qo1ie9y
    @user-tp9qo1ie9y 4 วันที่ผ่านมา

    아파트 친환경적인대요 어디한번 스크롤업 된 뉴질시나 미국에서 살아보쉴?

  • @qlxk62
    @qlxk62 6 วันที่ผ่านมา +4

    신도시가면 사람은 없고 아파트단지만 보여서 우울증이오죠

  • @미움받을용기-l3g
    @미움받을용기-l3g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층간소음 때문에 아파트 못살겠다.

  • @장발투쟁
    @장발투쟁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공급자 중심에서 나온 괴물

  • @김준호-w5o
    @김준호-w5o 7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여러분이 불행한건 아파트 탓이 아닙니다. 아파트의 가격도 아닙니다. 남들보다 더 잘살지못하면 불행하다고 느끼는 정신이 문제입니다 .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지금의 아파트와 그 이전 다세대 주택들의 중간 단계가 없는 것 같음.
    오래 된 구축에서 살고 있는데 외풍도 많고, 먼지도 많리 쌓이고, 습기도 잘 차고...
    가족이랑 같이 살던 아파트가 너무 좋네요
    아파트는 일단 정신은 몰라도 몸에는 너무 쾌적하거든요.
    그래서 오래된 동네 구축에 살던 어르신들이 아파트 아파트하는 것 같습니다.
    돈도 돈이지만 일단은 좀 편안하게 살고 싶은 거죠.
    그렇다고 저도 닭장 아파트를 선호하는 건 아닙니다. 적당히 변화가 있는 녹지도 보이는 그럼에도 편의성도 놓지지 않는 그런 집에서 살고 싶네요.
    우리나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룩한 것처럼 급격한 주거 환경의 변화가 아파트로 귀결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이 많이 퍼져 있어서 신축 아파트들은 은근히 디자인들도 다양해지고 조경도 꽤 신경를 쓰죠.
    한편으로는 공터에 신축 빌라를 다양하게 짓능 사람들고 생기고 있고요.
    인간의 삶의 조건은 너무 까다롭네요.
    저는 그 어디에서 살다가 죽을지 잘 모르겠으면서요.

  • @이승영-m6t
    @이승영-m6t 7 วันที่ผ่านมา +6

    인구 줄고 다음세대에 아파트는 가난한 사람이 사는곳이 될껍니다.

  • @달의신-k2c
    @달의신-k2c 6 วันที่ผ่านมา +4

    한국 위성 지도 한번 보고 정신 차려야 한다
    아파트 전원주택 둘다 있지만 아파트야 말로 진짜 복지다 서울 경기에 단독만 있었음 빈층 서민은 말할것도 없고 좀사는 중산층도 평지에 아예 못살고 다들 산동네 빌라 살수밖에 없어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아파트 - 단독의 문제가 아니고 대단지아파트, 천편일률적인 아파트 디자인에 대한 비판이지 아파트가 나쁘다는 말은 아닌거 같은데요..

  • @이선명-y7j
    @이선명-y7j 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사회의 지속가능함을 고민하는 한국이 될 수 있을런지요.

  • @달의신-k2c
    @달의신-k2c 6 วันที่ผ่านมา +2

    참고로 천평넘는 단독임 개인 프라이버시 존중된다
    근데 200 평 이하는 아파트 보다 더 심해
    자기마당이랑 옆마당이랑 팬스 정도 치는데
    말 소리 사람 얼굴 더 잘보여

  • @dear-amazon
    @dear-amazon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아파트=apartment
    Apart: 따로 분리된
    Ment : 시멘트
    아웃을 분리시켜서 단절시키고
    싸움나게하는 시멘트덩어리

  • @type2selectionerror
    @type2selectionerror 5 วันที่ผ่านมา

    소수 전문직 대기업 아니면 중소. 이나라의 구조를 말하는거 아닐까요....

  • @jdp7151
    @jdp7151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예를들어 .. 1000평에서 100명이 거주한다고 했을때 100명이 각각 10평씩 나눠 거주하는거보다 300평 위를 층층이 쌓아서 거주하고 나머지 700평은 녹지와 편의시설을 만들어 공동으로 사용하는게 더 이득임

    • @산과숲-t4l
      @산과숲-t4l 6 วันที่ผ่านมา +3

      효율성 챙기고 공동으로 누리면 좋을 녹지부분마저도 상가나 아파트를 더 지으니까 문제. 우리나라 아파트는 도를 넘었어요.

  • @junghwanryu1188
    @junghwanryu1188 2 วันที่ผ่านมา

    한국의 모티브 : gpt보단 apt

  • @zerosixbcc
    @zerosixbcc 3 วันที่ผ่านมา

    아파트에 살면서 현대차를 모는 평범함

  • @everstar2601
    @everstar2601 5 วันที่ผ่านมา

    해더윅 책에서도 나오지않았지만 911테러 이전 쌍둥이빌딩도 너무 단순하고 밋밋하게 생겼었죠..

  • @IkgyuKim
    @IkgyuKim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중국 선전시를 가보니 거대한 마천루들이 밤에 모텔?처럼 요란하게 빛내더라구요.
    그렇다면, 일단 거대하게 건설하되, 조명 패턴을 다채롭게 하면 단순함이 해결될거 같아요
    한편 이 철학자의 주장인 "작은 대상은 단순한게 좋지만, 큰 대상은 복잡한게 좋을 수 있다"라는 명제는 부적절해보입니다.
    규모1에서 단순함의 미학이 1점이면,
    규모2에서도 선형적으로 1×2 입니다.
    규모n에서는 1×n 입니다.
    따라서, 작은규모에서 단순함이 좋다면,
    전체는 부분의 합이므로, 큰 규모에서도 단순함이 좋습니다.

  • @국붕이
    @국붕이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닭장

  • @mbition1211
    @mbition1211 7 วันที่ผ่านมา

    목소리 익숙해서 보니까 충코형체널이네요 ㅎㅎ

  • @MoonStar-u2d
    @MoonStar-u2d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한국의 아파트. 흠.
    민주주의 자본주의 같은 것으로 봅니다.
    완벽하지 않지만 그나마 합리적인 것.
    문제가 많지만 대중의 수준 안에서
    어떤 시스템을 갖추고 굴러가는 것.
    충코님을 얼마 전에 우연히 알게됐는데
    조승연 작가님 순한 맛 버전 같아요.
    더없이 자유로운 영혼 같았는데 그분도
    유투버로 안착하며 자본주의 삶에도
    결혼 생활에도 누구보다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더라요.
    충코님의 멋진 미래를 응원합니다!
    영상 퀄리티 딕션 모두 굿입니당! 감사~

  • @sbdj-s7k
    @sbdj-s7k 2 วันที่ผ่านมา

    7:30 전 그런 위압감과 하얀색 아파트로 가득찬 도시의 풍경이 인간에 대한 경외심 같은게 들더라고요
    그게 좋아서 용적률 높은 아파트나 고층 아파트 구경하러 찾아다닙니다
    제가 이상한걸수도 있는데 이런것도 개인 취향을 타는게 아닌가 싶어요

  • @달의신-k2c
    @달의신-k2c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관리비 내는것도 축복이다
    관리비에 유지보수 수리비 다 포함되 있다 개인 상가나 단독은 달마다 관리비 안나가지만 한번에 깨지지 대기업 사장 사모가 물빼러 지하실 들어갔다 사고난 사고도 우연이 아니다 나도 기와 보수하러 지붕에도 올라가 혼자 고친적도 있어 몇시간임 고치는걸 물론 위험 비용 생각함 몇십 주는게 결과적으로 더 싼데도

  • @minsuja8257
    @minsuja8257 6 วันที่ผ่านมา

    진화심리학...자연환경에 맞게 진화했는데

  • @kevinpark1074
    @kevinpark1074 3 วันที่ผ่านมา

    시가전을 대비한 방어기지

  • @bmck58
    @bmck58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난 아파트 너무 좋고 계획도시 너무좋고.
    시간절약돼. 비용절약돼.
    아파트 좋다는거 모르는사람들은. 물론 취향차이도 있겠지만.
    잘계획된 신도시에 집을 안사봐서그럼.
    임대랑 매매랑 아예느낌부터가 다르고 슬리퍼신고 상권이용하고 개인병원가고 이게 당연한줄앎.
    감기걸리면 한시간 차타고 이용해야되면 과연 좋다고할까?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소귀에 경읽기

  • @from_east-p6b
    @from_east-p6b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어 충코님같네요

  • @단풍-l9s
    @단풍-l9s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난 아파트 너무 부러움
    집값 낮은 안좋은 지역 빌라에 살면서 느끼는건데 아파트의 폭력성보다 불법확성기 트럭, 배달오토바이 소음의 폭력성이 100배는 더 폭력적인거 같음

    • @marue2051
      @marue2051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근데 요즘 아파트도 소음 폭력성은 똑같이 힘듬 이것들이 원가절감 ㅊ 한다고 요즘 아파트들은 대부분 방음처리 공사를 안해놨음
      그래서 근처에 공사한다? 그럼 몇일동안 잠은 글렀다고 생각하면 되거나 만약 윗, 아랫집이 애를 키우는 집안이다? 그럼 애들 우는 소리 그대로 들림

  • @VELVE-i2l
    @VELVE-i2l 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전쟁 후에 빠르고 값싸게 집을 지어야 했으니..

    • @실버-o2c
      @실버-o2c 7 วันที่ผ่านมา

      진지하게 저게 싸다고 생각?

    • @damasamigo
      @damasamigo 7 วันที่ผ่านมา

      전후? 아파트는 90년대 부터 쭉쭉

    • @damasamigo
      @damasamigo 7 วันที่ผ่านมา +3

      2차 세계대전 이후 유헙 일본은?

  • @A2342ASDFAWE3
    @A2342ASDFAWE3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목소리가 충코인데

    • @carpediem2718
      @carpediem2718 7 วันที่ผ่านมา +4

      충코 부채널이에요 대한민국에 포커싱한

  • @사랑으로돌아가는wheel
    @사랑으로돌아가는wheel 14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전혀 공감이 안되네요

  • @SpedGoose
    @SpedGoose 5 วันที่ผ่านมา +2

    둘 다 살아봤는데 아파트가 더 편한건 어쩔수가없던데

  • @seokay1985
    @seokay1985 6 วันที่ผ่านมา

    목소리듣고 바로 충코님인거 눈치깜

  • @aeoirgjaeori
    @aeoirgjaeori 5 วันที่ผ่านมา

    요즘엔 아파트가 호텔식으로 바뀌고있음..
    사람들 호텔에 비싼돈주며 숙박하는데
    이게 한국의 아파트가 그런식으로 진화하고있음
    더많은 부대시설, 더 높은 고급주거환경 , 더 세련된 디자인

  • @CherrycLee
    @CherrycLee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한국은 돈을 따라간다 라는 말이있는데 돈을 안따라가는 나라는 북한정도 있는대 맞나요?

  • @hohhh8321
    @hohhh8321 6 วันที่ผ่านมา +4

    국토에 15층 이상 거주 아파트는 법으로 금지해야한다 진짜 보기 안좋다

    • @정말년-j1c
      @정말년-j1c 5 วันที่ผ่านมา

      복사붙여넣기한 울타리 치는 대단지 아파트를 먼저 법으로 금지해야 될 것 같네요

  • @천체-g8p
    @천체-g8p 5 วันที่ผ่านมา

    이 문제를 '현실적'으로 '바로 해결 가능'한 '해결책'이 존재합니다. 오래전부터 전문가들이 주장해 온 해결책이지만 특정 고집 있는 덜떨어진 인간들 때문에 그동안 해결책을 실행하진 못하였습니다. 이 해결책에 대해선 몇 시간 뒤에 시간 나면 댓글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