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들떠보지 않던 중층아파트, 몸값이 달라질겁니다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1 มี.ค. 2024
  •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77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동영상을 텍스트로 정리했습니다. 설명이 어려운데 글로 읽으시면 이해하는 데 조금 더 도움이 될 겁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backbriefing/news/contents/240401183311993ps

    • @user-br6wv6pd8d
      @user-br6wv6pd8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현황용적률을 인정하고 360%로 용적률을 올려주어도 사업성은 좋아지지 않고
      재건축은 지옥으로 간다.
      그 이유는
      도시정비법에서 용적률을 올릴수록 추가분담금 폭탄으로 돌아와 지옥으로 떨어진다.
      도시정비법을 개정하여
      총회에서 모든 것을 결정해야 하고
      확정지분제로 해야한다.
      현 재건축 재개발 용적률 상향은 도시정비법에 의한 국민 대사기극이다.

    • @user-br6wv6pd8d
      @user-br6wv6pd8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용적률을 올릴수록 추가분담금 폭탄으로 돌아오는 도시정비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재건축 재개발은 지옥으로. 간다.
      그런데 아니라고 하면
      국민 대사기극이다.
      둔촌주공을 보라 얼마나 억울하겠습니까?

    • @user-br6wv6pd8d
      @user-br6wv6pd8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현재 재건축 재개발에 속아 동의서 내고
      철거하고 이주한 조합원은 얼마나 억울하겠습니까?

  • @user-nr6sx1xx7b
    @user-nr6sx1xx7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7

    상계 5단지는 기존 11평 보유자가 34평 받으니 당연히 5억정도 나오는거죠.

  • @user-bh1lu9kp3i
    @user-bh1lu9kp3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백기자님이 질문을 계속 던져주고 이프로님이 참다참다 한번씩 정리해주니 깔끔하네요

  • @user-ro1uj1nz7x
    @user-ro1uj1nz7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20~30년뒤에 노인인구가 50% 될 나라에서 마지막 호구 하나만 걸려라 하고
    제가 살 집이랑 사업용으로 쓸려고 동작쪽 상업용 빌딩 보는 입장에서 건물들 호가 내놓은거 보면 기가찹니다
    그 돈주고 내가 사서 수익률이 1~2%가 나올랑 말랑인데 세금내고 유지보수 건물 수리비 내고 공실리스크 감수하면서 1~2%?
    제발 한놈만 걸려서 나 엑시트 하자 이 마인드인 건물주들만 한트럭

  • @user-he5rv5rl8l
    @user-he5rv5rl8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이프로 볼때마다 겁나 웃기고 잼나서 이프로 나오나 안나오나 기대감이 달라짐..ㅋㅋ

  • @riricodown
    @riricodow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나도 1기신도시에 집있지만, 한국 부동산은 고름이다. 아주 큰 종기 그래서 짜면 뒤질까봐 냅두는데 결국 짜야 후대들도 살고 정의다. 부동산때메 주식 물가 출산율등 너무 큰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고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금 부동산 가진 사람들이 욕심버리고 다시 문정부 이전가격으로 돌리고 외인 부동산투자 막는게 맞다.

  • @user-csj1976
    @user-csj197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다 규제 풀어줘도 건설사가 남는장사만 하려고 해서 조합원 생각보다 예상한 금액 이 많이들어가서 과반수 찬성이 쉽지 않은게 팩트고 가장어려운 현실임.
    수많은 선진국과 미국등 그 오래된 건물들 오래되어도 방치하고 그대로 사용하는 이유가 기존사는사람과 재건축 비용을 쓸 공사업체와 금액조율이 안되는것 때문에 그 나라들도 지져분하게 건물들이 남아있는 이유임.

  • @sjy231
    @sjy23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가뜩이나 빽빽한 서울인데 용적률을 완화한다고? 하~ 참 답답하네...

  • @uncertaintyintheworld569
    @uncertaintyintheworld56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성장률 하락으로 연금의 미래는 걱정하면서 부동산은 찬란한 미래를 전망하는게 아이러니 대한민국 … 부동산이 계속가면 연금도 계속 가니 걱정들 하지 말기를

  • @user-ye1bj1mu4x
    @user-ye1bj1mu4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해봤자 의미없어요
    무조건 강남 용산 같은 고가주택 밀집지역에서나 재건축 가능하지..이젠 공사비 인상으로 타지역 재건축은 불가능해요

    • @user-yu9vm3xd7i
      @user-yu9vm3xd7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건 님같은 평균적인 지능가진 분들 생각이고, 지금 재건축 손발든 노인네들이 죽을때쯤 되면 건물가치가 더더욱 0 으로 수렴하고 자식들이 송장된 노인네 재산 n빵처분하믄서 더더욱 내리가믄 결국은 하게 돼 있음.

    • @never-er
      @never-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곧 모듈러 아파트 나옵니다. 미국은 50층, 100층도 모듈식건물 나와요. 이제 인부들 필요없고 건축비 반이상 절감됩니다

    • @gw-yt7js
      @gw-yt7j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실은 용산산호아파트도 응찰기업 0개

  • @user-vz7lv6jv9o
    @user-vz7lv6jv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는 경제와이드 모닝벨 시청자인데 이방송 좋네요 귀에 쏙쏙 편하게 들어오네요 최고~^^

  • @joyonghisumswida
    @joyonghisumswid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수명이 50년도 안가는 현실은 부실공사 때문인가요? 재건축은 안전진단 후 심대한 안전 이상이 있을 경우에 했으면 합니다.
    첫 분양 후 안전 보장이 50년도 안 되면 첫 시공 업체에서 재건축 비용을 일부 지원하는 법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단순히 지역 개발이나 부동산 값 상승을 목적으로 재건축이 이루지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나올 것을 대비해서 건물 내부 시설을 모듈 형태로 바꿀 수 있게 규격화를 하고 설치했으면 합니다.

  • @user-od3mm6tx6x
    @user-od3mm6tx6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장순원 기자님이 행정적 법적으로 발표되는 정책들을 베이스로 풀어주시는 게 좋아요. 사실 공문으로 읽다보면 더 어지럽거든요. 감사합니다.

  • @yisewon
    @yisew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이프로가 요점을 잘 말하네.
    '정리하실 분들은 이런 기회로 정리하시고..' => '호구될 놈들은 바가지한번 또 쓰고..''
    좀 더 심층분석하면 '호구될 놈들'이란 의미는 '재건축/재개발은 다시는 없다 새꺄~' 이런 뜻인거지.

  • @cynn195711
    @cynn19571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기자가 설명을 어렵게 하네요.
    이프로가 정리해줘서 그나마 들을 만 하네요.

  • @user-oq6ee2iz8s
    @user-oq6ee2iz8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이프로님은
    사람의심리를 너무잘 묘사해서
    재미있어요

  • @user-uy4lw7ju7v
    @user-uy4lw7ju7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어휴 새집이 필요하면 돈을내고 살면될것이지 선거때마다 30%풀고 30%풀고하면 한계는 왜정해둔거냐

  • @song_director
    @song_directo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와사비 같은 이프로, 정곡을 찌르는 이프로
    다수의 군중은 침묵하고 있을뿐 이프로님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거침없는 진행 부탁드립니다

    • @kimijason4035
      @kimijason403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수가 사랑하지는 않을걸요? 경제IQ가 높은분들만 이해하고 사랑하지 않을까요? 님은 경제 지식이 높으신분 같네요 ㅎ

    • @nam-heekwon6308
      @nam-heekwon630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프로가 최애 입니다.

  • @lian1896
    @lian189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프로님 잼나요

  • @user-uz5fi1kp6w
    @user-uz5fi1kp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토지계획할때 종을 나눈 이후는 아파트가 아닌 빌라, 다양한 주택을 구성하기 위한 건데 그럴거면 모든 땅을 상업지구로 풀면 될듯... 999%

  • @TV-hn2bb
    @TV-hn2b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현대건설 총무부 근무할때 매일 듣는게 건축법은 고무줄 법이라 는 소릴 들으며 다녔던 기억이~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이런식으로 하면 당장은 사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고 우선 당장 뭐가 잘 될것같지만
    장기적으로는 재건축 시장 전체가 아사리판됨...
    수십년간 유지된 공평한 기준이 아니라 지금처럼 "일이 되게 하기"가 기준이 되면
    모든게 엉망이 되버림. 가장 사업성 없는데가 오히려 가장 수익성 좋은게 되지.

  • @msp315
    @msp31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집이란 주거환경이 중요한데, 기반시설확충은 어떻게 할꺼며, 이로서 고층세대수 증가로 지방인구는 더욱 서울로 집중될것이며, 지옥도시로 변할듯, 초과이익과정에서 지역별로 용절율형평성에 문제가 발생 될듯 하네요~~

  • @user-qy9rb1fq6w
    @user-qy9rb1fq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런 아파트는 앞으로 30년 후의 일
    어떻게 바뀔지 모름

  • @user-ye3bu4lu5h
    @user-ye3bu4lu5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기자 설명이 답답.
    4미터 로로만 재개발 되던 걸, 6미터 도로가 있어도 재개발 된다고 설명했어야.
    즉, 길이 좁아서 소방차가 못들어 가던 지역만 재개발이 되던 걸, 길이 넓어서 소방차가 들어가도 재개발 된다는 것.

  • @junglee857
    @junglee85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디스토피아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성층권 뚫을 기세로 치솟은 철탑같은 건물들이 서울의 미래구나.....

    • @seo-nu5574
      @seo-nu557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편견이 심하시네요ㅋ 초고층이면 디스토피아인가요?

    • @narodo_ro
      @narodo_r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그런거 신경쓰지 말고 그중 한칸이라도 들어갈 능력이나 기릅시다•

    • @Exynos3
      @Exynos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미 어느나라든 대도시 국가화는 기본이고 고밀도 개발 안하면 다 도태되고 다들 원하지 않는 지역이 되니까요;;

  • @user-ce1jq7qf9y
    @user-ce1jq7qf9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용적율때문에 재건축 안되나? 건설비등 분담금때문에 안되는거다. ㅉㅉ

    • @jha1819
      @jha18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떻게든 집값떠받쳐야 되니까 약팔아서 매수하게 만들려는!!실제로 재건축 되든말든 알바아니고!!

    • @user-oc1qh7pk1w
      @user-oc1qh7pk1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용적률이 높아서 사업성이 잘나오면 분담금도 줄어드니까 틀린말은 아님.

    • @user-bh1lu9kp3i
      @user-bh1lu9kp3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결국엔 남아야하니 그말이 그말임 둘다 돈얘기임

    •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어봤자 사 줄사람이 없다는게 치명적이다.
      무덤에서 자다나와
      집살까? 갓난쟁이가 젖꼭지 물고 집 살까?
      정작 집이 필요한 사람들은
      다 포기하고 산다.
      삼포,오포,심지어 열포...

  • @user-ye3bu4lu5h
    @user-ye3bu4lu5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번 발표로 실제로 리모델링 추진하던 곳들이 중단하고 재건축으로 급 선회 중.
    리모델링은 5년, 재건축은 최소 10년, 그래서 당분간 공급은 더 줄어들 듯.

  • @user-cr6ri6jq5o
    @user-cr6ri6jq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왜 여의도와 한강변만 상업지 준주거로 상향해 주나요? 더 열악한곳이 더 많습니다.
    조변석개로 용적율이 변하니 어떻게 정부를 믿겠나요?

    •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혹시 현정부를 믿으셨다는..?

  • @user-wv2mv6mh1h
    @user-wv2mv6mh1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정된 서울에서 개발을 하도록 풀어줘서 가격이 끌어 올려지는것이 아니고 나중에 걷잡을 수 없이 터져 수숩이 안되는 부직용을 알기 때문이지요. 한정된 땅에서 공사비 폭등에대한 적응이 되는 시기가 되면 입지를 선점한 재건축부지들은 상승을 틸것이고 그 고층 아파트들은 먼 훗날 리모델링으로 또 다시 기득권을 유지하게 되죠.

  • @user-jg3uz7uq6d
    @user-jg3uz7uq6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파트 약하게 30년도 못가게 건축한게 문제지 투기활성화 시키네. 건축 안전강도 높여라. 50년은 거뜬하게
    그냥 용적률 올려서 지방 소멸 시킬려고 작정을 했다.
    경제 활성화에는 걱정 안하고 투기만 활성화 해줄려고 날리고
    나라 미래가 어둡다. 나라자체가 소멸하겠네

  •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봄 꽃이 휘날리는 흔적 투척 툭 데굴데굴 엎드려 터진다 빵

  • @byunghu-min
    @byunghu-mi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앞으로는 뭔짓을하던 심지어 그곳이 서울이라도 절대로 부동산 가격은 무조건 하락 합니다
    인구절벽,직업소멸,도시소멸 의 가속시대를 막을수 없기에

  • @user-yb8jx6cu6v
    @user-yb8jx6cu6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형평성이 없자나요. 혜택을 주려면 다 줘야지.. 제외된 오래된 아파트들은 어쩌라고요.

    • @seo-nu5574
      @seo-nu557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그래서 역세권 사라고 하는거 아닌가요?

    • @ghnkim
      @ghnki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역세권 등 입지가 좋아야 용적율을 부담없이 올리고 그럴 이유가 생기지. 부동산 실수요 해소도 많이 하고, 교통체증 유발 등 걱정도 덜하니까.

    • @kimijason4035
      @kimijason403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부나 서울시가 생각해서 그런건 아니긴 하지만 형평성을 고려하면 더 안좋은 결과가 나타날수도 있을듯요.
      형평성이란 이유로 모두 똑같이 혜택?을 주면 외곽 낡은 아파트는 기대감만 잔득 올려놓고 기대감에 매입한 서민들은 재앙수준의 절망적 현실을 맞이할 수도.. 앞으론 구석구석 빌라 거주자들이 외곽의 낡은 아파트에 살게 될듯요. 이런 모습을 찬성하는건 아닙니다만

  • @user-hy3nk7wh1k
    @user-hy3nk7wh1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기부채납 같은거 없애고 그냥 1:1 재건축하자.

  • @rarrywhatup3031
    @rarrywhatup303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프로가 진짜 사회 잘보네

  • @user-jw9ft1pw4r
    @user-jw9ft1pw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내가 궁금했던걸 콕콕 찝어 물어봐주는 이프로 대가리가 좋은거 같다 멋지다

  • @bubblehappy3548
    @bubblehappy354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네 예 예예
    제발그만~~~~~~~

  • @doraemi_myfamily
    @doraemi_myfamil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확실한건 이런 영상은 부동산에 관심많은 유주택자가 많이봄
    그래서 무주택자는 계속 무주택자인거…

    • @cremsna
      @cremsn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도토리 키재기는 종특인가
      집은 잠깐 쓰는 도구고
      유주택자나 무주택자나 결론은 납골당 한칸이지 ㅎ

    • @cremsna
      @cremsn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도토리 키재기는 종특인가
      집은 잠깐 쓰는 도구고
      유주택자나 무주택자나 결론은 납골당 한칸이지 ㅎ

  • @user-os3xe5lo7p
    @user-os3xe5lo7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보면 볼수록 삼프로는 이진우 프로가 핵심임. 김프로는 일반인들이랑 너무 거리가 있는 투자에 적합한 사람이고, 정프로는 진행 능력이 있는 사람이지 투자에 대한 지식은 축적이 안되는 사람임. 딱 이프로 정도되는 사람이 많아야 국민들 레벨에서 노후 대비하고, 정상적인 정치인 뽑고, 그래서 나라 발전할 수 있음.
    진심 정치인 했으면 좋겠음. 어차피 어느 정당에서든 비례순번은 못 받을 케릭터이긴하지만...(칭찬임)

  • @hikoseijuro2219
    @hikoseijuro22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프로님은 부동산 얘기 하실때 지속적 멸실로 집이 없어지니 지속적 공급이 일어나야 한다고 말씀하시지만 성장률이 하락하면 멸실도 마음대로 못시키고 노후 아파트들이 즐비해질겁니다. 하지만 수요 감소로 사업성이 떨어져서 재건축은 안되겠죠. 나중에 가면 대부분의 아파트는 노후화되고 가격이 떨어지지만 상위 계층이 거주하는 일부 아파트틀은 자기돈 들여 재건축하고 새 아파트의 희소성 때문애 가격이 올라가 양극화가 심하지겠죠. 이제 기존 재개발 문법은 통하지 않을겁니다. 그런데도 과거와 같은 믿음으로 재건축하다가는 부동산때문에 망한다는 소리 나올겁니다.

  • @aoineco7535
    @aoineco753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건축이 안되면 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하죠. 그걸 구태어 용적율 높여서 재건축을 하게 만들어준다는게 더 복잡하게 가는 정책입니다. 어차피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이나 건축비가 비슷합니다. 오희려 건축기간은 더걸리죠. 그럴거면 리모델링의 면적이나 용적율 증가량(면적 40%증축 / 용적율 제안없이 3층 증축가능)만을 허용해주는 재건축을 하면 됩니다. 리모델링의 단점을 해소해주면서 재건축의 장점을 살릴수가 있죠. 적정한 수준의 사업성과 인프라에 대한 고밀도 아파트를 걱정할 필요가 없죠. 어렵게 가는 정책이네요.

  •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뭘 갖다붙여도 고층아파트는 끝이라고 봅니다. 빨리 팔고 에스케이프. 서울도 서서히 서서히 사람이 없어
    수요가 없어집니다.
    10년후에는 가는곳마다
    장례식을 밥먹듯이 보게 될것이고 빈집이 자꾸 늘어날것입니다.

  • @user-qe9wh5vy2q
    @user-qe9wh5vy2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재건축 준공후 벌써 망자가됬거나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있을건데 불보듯 뻔한데 굳이 이렇게해서라도 경기를 살려야하는지 의구심이듭니다

  • @junghoshin6876
    @junghoshin687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2-30년 후 같이 망하자는건가요
    참 대단

  • @molma7976
    @molma797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예정 부실 건설사들 어떻게든 연명시킬려는 정책 같내요. 건설되고 분양다 된다고 쳐도 주변 인프라 시설 그대인데. 인구만 늘면. 입주거주민 헬됨.

    • @Exynos3
      @Exynos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미 지원은 하고 있고 어차피 인플레 원인은 사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와 요식업자에게 대출 지원하는게 가장 큰 문제인데 이를 언급 잘 안하죠 ㅋㅋ 이게 제일 심한데... 물론 내수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거지만 일본같이 하이퍼 인플레로 가는거죠 인플레-디플레-인플레 그리고 어차피 건축비는 어느나라든 민도따라 폭등하고 있고 ㅋㅋ 품질보장도 주제 모르면 못하고 ㅋ

    • @user-lj3hg8mv2y
      @user-lj3hg8mv2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이 하이퍼인플레라고요?

  • @clerislee7535
    @clerislee753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업성의 문제는 건축비와 재초세의 우선적으로 해격해야 할 문제인것 다 아는 사실 아닌가요.

  • @resina1004
    @resina100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서울시..갈수록..건설사와 브루지와와 손잡아 정책 만드는 집단으로 변신중

  • @user-tt9dx5no4m
    @user-tt9dx5no4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사람이 줄어가는데 아파트만 만들어서 누가 그 돈 주고 들어간다고... ㅉㅉ

  • @uwin-rj4rj
    @uwin-rj4r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재건축할려면 빌라를 부시고 재개발하게 해야함

  • @shungchulok4646
    @shungchulok46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동주택의 본질은 근로자 숙소임. 일자리를 기준으로 계획 수립되는 건축임.
    사업비를 경영주가 부담할 지, 근로자가 부담할 지의 선택임.
    공공의 입장에서는 일자리까지의 운송을 담당하는 대중교통체계와 기반시설을 계획, 정비하는 것이 전부임.
    공공 임대주택이 가지는 상징성은 실제 어마 무시한 것임.
    기자가 말하는 것은 경영주나 근로자 입장의 해설이 아닌,
    시공 사업자의 입장에서 공간 계획 썰 풀고 있음.
    공공부문에서는
    인구가 감소하는 시기에 이런 규제와 완화에 있어 계획 기준과 건립 이후의 생활을 자세히 설명해야 함.
    공공주택의 생산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할 시점임.

  • @wildlifekr
    @wildlifek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원래 재개발이든 재건축이든 주거환경사업이든 감가해서 값이 싸져야 가능한 것임

  • @user-ir1rj8ve8j
    @user-ir1rj8ve8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아요

  • @couragetiger2557
    @couragetiger255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건축은 사업성 없다 아파트가 너무 많아 빈아파트가 넘쳐나는데사실을 제대로 알아야한다 집 가지고 이런 나라있을까

  • @awsrevelion
    @awsreveli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어짜피 재건축이라는건 구축과 신축 가격차이가 많이 나야 사업성이 만들어지는건데 강북 구축에 재건축 인센티브를 준다하면 그 구축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그러면 다시 사업성 사라지는거 아닌가 ㅋ 그러다 평생 못하고

  • @user-sq9bq7sw1f
    @user-sq9bq7sw1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설명이 계속 맴도네요. 듣는사람 심장맙피 위험 초래

  • @terryshim4386
    @terryshim438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본인도 뭔소리 하는지 모르면서 말을 하는 느낌. 제발 5분내로 명확히 설명 할 정도가 아니면 말을 하지 마라.

  • @littlepooh1603
    @littlepooh160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지금 재개발, 재건축 용적율 올려준다한들 분담금 문제인데.... 결론은 돈
    서울 강남이나 부자들을 위한 정책이 또나왔네요.
    서울변두리에 아파트값+ 5억이상 투자할 사람 얼마없어요.

    • @YJ-jr6ey
      @YJ-jr6e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렇게치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정책 뭐가 있나요??

    • @littlepooh1603
      @littlepooh160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J-jr6ey 제 잛은 소견을 말씀드리자면 ....
      재건축 , 재개발을 못하는 곳의 경우 더욱 슬럼화되어 나라에서 감당 못 할 수준이되면 lh, sh같은 공기업에서 나설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ex)) 정능스카이아파트 1969년 건축. 49년만에 무너지기 직전 sh행복주택으로 건립
      공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공기업에 개인들이 위탁해서 재건축 재개발하고 평생 살게하거나 매매는 가능하나 나라 돈이 일부 투입되는 것이기에 시세차익은 공기업이 가져가는 방식.
      변두리는 재산 증식보다는 실거주를 위한..
      강남등 요지는 더욱 화려해지고 인프라는 집중되겠죠.

  • @user-vm4cw6mi4z
    @user-vm4cw6mi4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건설사가 수익이 나야 할거고, 언제 될지도 모르는 사업을 선거전 질러대기부터, 선거 똥줄 타니 무조건 입벌구 부터,,또 속아 주길 바라나?

  • @user-tm3fk4jf8p
    @user-tm3fk4jf8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사비는 왜 올랐는데요? 물가내리면 내릴수있나요? 우리단지도 재건축얘기나왔지만 2억대아파트에 분담금이2억넘어요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부동산은 결국 입지라는거지

  • @user-ri4wt7zc5k
    @user-ri4wt7zc5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결론은 편법!!
    쉬운걸 어렵게 설명 하시네요!!!
    기존보다 용적률 상향,
    수익성 조절하여 기부체납
    조정해 주겠다는 거지요!!

  • @user-jo6hp3td8j
    @user-jo6hp3td8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장순원 기자님 화이팅 입니다 ~~~~~서민 국민이 주인이다.

  • @user-vs8il2zd3w
    @user-vs8il2zd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1대1 재건축만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용적률 늘어나면 그만큼 기반시설 분담금 추가로 부담해야 함..

  • @akma8414
    @akma84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나라에서 선거전에 왜 이렇게까지 풀어줄까? 결국 있는놈들 마지막 탈출시켜주려는 거지. 다주택자가 이 뉴스를 보고 살까요? 팔까요? 아니면 신혼부부나 30~40대가 살까요?팔까요? 이 뉴스 보고 집 사면 마지막 털어먹기에 걸려드는거다잉

  • @user-fh6qn5ob4g
    @user-fh6qn5ob4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아주택 어떤건지 단뤄주세요

  • @user-lk7zu1go3e
    @user-lk7zu1go3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세요.
    용적률을 늘리는 재건축이 계속 성공한다는 말은 서울시 인구가 계속 늘어난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서울 인구가 계속 수도권으로 빠지고 있어요.
    서울 집값/전세값이 너무 비싸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 인구가 다시 서울로 유입되려면 서울 집값/전세값이 내려가야 하는데, 그건 재건축 사업성이 더 나빠져서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얘기죠.
    결국 전 재산의 70-80%를 집 한채에 묻어둔 가구가 대다수인 현 시점에서 재건축은 일부 요지를 제외하고는 불가능할 수밖에 없습니다.
    노후에 쓸 생활비를 빼고도 집에 추가로 4-5억을 쓸 수 있는 가구가 얼마나 되겠습니까?

    • @user-lb7df3im3b
      @user-lb7df3im3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네 잘읽었고요 서울시 노후주택 70% 이상입니다
      사람들은 새집에서 살고싶어합니다 이상

  • @joungguseo515
    @joungguseo51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전에 더블역세권의 15층 우리집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결과 약간 아리까리했는데 이번 정책으로 나쁘지 않은 결과가 나올듯 하네요

  • @user-di8ur1io6i
    @user-di8ur1io6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듣기가 너무 힘드네요.
    쉬운얘기 어렵게하시고..,.,
    저분은 재건축뿐만아니라 무슨얘길해도 답답...

    • @Zach-le2gt
      @Zach-le2g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모르니까 그런겁니다. 본인이 이해를 다 못하면 아웃풋이 어설프죠. 듣는이가 쉽게 얘길 해야하는데. 어휴

  • @ansaba63
    @ansaba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발상전환 필요. 인구 뿐만 아니라 세대수도 정점인 만큼. 오히려 용적율을 대폭 낮춰서 고가 주택으로 재개발하고. 자의 또는 추첨으로 기존주택보다 고가로 청산해주면. 인프라 충원도 불필요. 사업성 있다고 봅니다. 아니 이 방법뿐이 없다고 강력히 주장합니다... 다들 투표합시다.

    • @ansaba63
      @ansaba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물론 금융지원이 필요

    • @ansaba63
      @ansaba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만약에 입주지원자가 1명도 없어 100% 분양하면. 금융지원도 불필요...

    • @ansaba63
      @ansaba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입주포기자에겐 세재혜택. 청산금으로 다른 주택 구매 시에도...

    • @TV-mq3pd
      @TV-mq3p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말 해놓고도 이상하죠?

  • @user-xw6dj3ih6u
    @user-xw6dj3ih6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서울시가 지금과 같은 입지의 강점을 유지하려면 서울 인구가 유지는 되야합니다. 서울 인구는 매년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재건축 하는데 10년 걸린다고 가정하면 10년 후엔 지금 베이비부머 세대가 절반 이상 사망하고, 출산율은 0.5 로 10년 유지될텐데요. 재건축 끝났습니다.

    • @83nobleman
      @83noble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년후 베이비부머 절반 이상 사망은 오바 같음
      20년 30년 후에 엄청나게 사망 할 것 같긴 함... 한 10년 은 버티고 그 이후부터는
      피부에 와 닿는 수준으로 부동산이 폭망 할 거라 예상 됨
      아님 화폐 가치가 쓰레기가 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되거나
      잘 되면 일본 망하면 베네수엘라

  • @user-bs2if4yk5g
    @user-bs2if4yk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미국부동산과 한국부동산의 결정적 차이다 미국은 공평한룰에서 경쟁하지 낡은아파트 부시고 새아파트 올리고싶음 내가 내돈들여서 올려야함. 근데 한국은 용적률땜에 돈 더내는거가 당연한데 정부가 계속 새아파트를 공짜로 가질수 있는 방향으로 부동산 정책을 핌. 결론적으로 미국부동산보다 한국부동산은 40년~50년주기로 꽁자로 새집이 생기는꼴이니 나라 부동산이 미쳐날뛰지 ㅋㅋ 부동산 불패신화가 괜히생긴게 아님

    • @wlsduqwjd782
      @wlsduqwjd78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은 땅값이 훨씬 싸기 때문에 굳이 재건축을 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거죠. 주요 입지가 아니라면요.

    •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임만 그래봤자 이젠 한계점 에 왔어요. 사람이 있어야
      땅도사고 집도사지.. 무덤에들어갈 사람들이 퍽이나 집사겠다?...

  • @markswanson4967
    @markswanson496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무슨 근거로 일부에 특혜를 주나? 정부가 미처돌았네

  • @user-en7ow5ci1k
    @user-en7ow5ci1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금리 내려가면 매수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그 때 서로 파니라 폭락 올긴데 ㅡ
    용적률 1000%를 해줘도 일점 고층 올리면 건설자재 따따블인거도 얘기듣고 기절덜 하는거 참고덜 해라

  • @mijeongkim5820
    @mijeongkim582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 기자분 얘기 듣기가 넘 힘드네요
    본인이 취재한 내용을 왜 이렇게 전달을 못 하죠

  • @prayforyou1206
    @prayforyou120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희망회로를 돌리신거네요

  • @user-vv4oz4ud9q
    @user-vv4oz4ud9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도시 재생은 어느 정도 필요하긴 하지만 낙후된 곳은 그 나름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깨끗하고 좋은 곳이 보기에는 좋지만 살아가기 위해서 두엄을 만드는 장소도 필요한 것처럼 말이죠. 재개발을 쉽게 다 풀어주면 그 곳은 투기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고 실제 거주민들은 쫒겨나게 됩니다. 서민들이 지금보다 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면 노숙자로 전락하게 될 확률이 극적으로 늘어나고 범죄율이 높아지면서 샌프란시스코처럼 도시 자체가 망가지게 될 겁니다.
    도시 재생은 계획적으로 적정 수준으로 진행하고 낙후된 곳 개보수도 동시에 진행해야 합니다. 돈 많은 사람도 없는 사람도 적절하게 어우러져 살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도시가 유지됩니다. 마냥 개발만 하면 될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매우 근시안적인 시각이죠.

  • @user-ul2mm2gg9d
    @user-ul2mm2gg9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속 터짐.

  • @user-hz1ds2yn9w
    @user-hz1ds2yn9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오세훈 이제 3년 남은거 같은데 허허허..

  • @bcgfbfk
    @bcgfbf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감기가 있으시면 휴지좀 곁에 놓으세요
    좋은 내용 집중이 안되고 불안합니다 ㅋ

  • @evanm1209
    @evanm12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무슨 10명 마음도 한마음으로 하기 힘든데 돈이 될지 말지 성공할지 망할지도 모르는 현재 상황은 도박보다 위험하다

  • @user-jm8sk9nh6p
    @user-jm8sk9nh6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들어가서 살 사람들이 없다.

  • @textgardener4982
    @textgardener498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국 분양가 상한제도 폐지할듯. 최대한 기득권층 가까운데 사세요. 이프로가 정답 > 입지, 입지, 입지!

  • @user-bq5dn1kl6o
    @user-bq5dn1kl6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성의 오류라는게 있죠. 하나하나는 말이 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서로 엉켜서 안되는거...
    재건축의 기본 문제는 오직 땅밖에 안남는 썩다리 아파트가 너무 비싼데서 오는거지.. 용적율 풀어주면 해결된다고? 그래서 지금 220~250짜리 아파트들을 300이상 때려 지으면 값이 무한정 오르나?

  • @Janghun13
    @Janghun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오늘따라 기자님 목소리나 발음이나 더듬기나 영 듣기 힘드네요

    •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만 이런생각하던게 아니엇네요 ㅋ

    • @bcgfbfk
      @bcgfbf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네네 ㅡㅡ

  • @ilv8805
    @ilv88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통령님 2000%로 늘려주세요❤❤

  • @user-qz4qm7gb9m
    @user-qz4qm7gb9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제발 새로오신 기자님 네네네네 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집중이 안되요. ㅠㅠㅠ

  • @SD-ss2ql
    @SD-ss2q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인프라 개발비 분담하고
    그대신 국가에서 지구단위 계획하고서가이드라인 주고 개발 자유화 시켜야죠.
    용적률 거래가능하게 만들고
    못하는 곳은 거래권 팔고
    할 수 있는 곳은 거래권 사서 올리고
    - 서울 한강변 고급이면서 대형평수 지으면 분양가 상한제 풀고
    - 서울 용적률 낮은 곳은 대형평수 타운하우스 만들고
    - 경기도 gtx 빨리 만들어주고 연결시키는 신도시에 중소형 아파트 짓고
    - 경기도 도로 넓히고, 타운하우스 대형평수 만들고

  • @younjidoh2423
    @younjidoh24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장순원기자님~궁금했던 내용 싑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

  • @Hitagi2tore
    @Hitagi2tor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용적률 오백프로가 적당함

  • @mute8566
    @mute856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 기자분은 매번 말을 잘못하고 정리를 잘못해요

  • @bee_k7
    @bee_k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나중에 200년뒤면 용적률 5000%나올듯

    • @ab-xo6xl
      @ab-xo6x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200년뒤에한국없을듯ㅋㅋㄱㅋ

  • @SHKim-uv4wo
    @SHKim-uv4w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제는 감가상각이 제대로 적용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 @yun-holee4917
    @yun-holee49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기는 일기장에… 몽상은 혼자..

  • @flightkim8874
    @flightkim887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간들께서 관심없어요
    좀더 유연한 사기 필요하죠
    서울시 대책이 먹힐까
    걱정됨

  • @user-hg5zi5nj5i
    @user-hg5zi5nj5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건축은 규제를 풀어줄 수록 이익이 안남.

  • @rockNroll23
    @rockNroll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ㅎㅎㅎㅎ 목동 만세!!!

  • @user-ql6el1rv5v
    @user-ql6el1rv5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bm4yq8xp7z
    @user-bm4yq8xp7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많은 쓰레기 어디에 버려요?

  • @fact.bomber
    @fact.bomb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솔직히 84타입 3bay는 재건축 굳이... 깔끔하고 컨디션좋고.
    구 32평 복도식아파트, 지하주차장없던 시절 아파트들은 어떻게든 재건축됨.
    가장 많다는 (3bay많이 지어져서 지금은 아니려나)
    구 32평 2bay 그시절 아파트들이 문제.
    초역세권 입지좋은곳만 될듯.

    • @ice-vn1yu
      @ice-vn1y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떻게든 재건축 된다고?
      분담금 폭탄 맞아봐야 정신 차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