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에게 도전한 죄로, 풀다가 정신질환에 걸린다는 악마의 문제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มิ.ย. 2024
  • 과학자들에 따르면 100만년 뒤에도 존재하는 것은 바로 '수'입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가장 특이한 것은 바로 '소수 (prime number)'입니다.
    소수를 지배하면 신의 의중을 읽을 수 있으나... 그 난이도는 역사상 최악,
    세계 7대 난제로 꼽힙니다.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softdragon
    - 내용출처:
    1. 짐 홀트, “아인슈타인이 괴델과 함께 걸을 때”, 소소의 책, 2022
    2. 지웅배, “소수에 매혹당한 수학자들의 역사, 리만 가설”, 성대신문, 2018
    3. 최성우, “리만 가설 증명하면 암호체계 뚫릴까”, The Science Times, 2018
    4. Clive Tooth, “M77232917a”, TH-cam, 2018
    5. 오철우, “2의 77,232,917 제곱-1… 가장 큰 소수 발견”, 한겨레, 2018
    6. 양춘승, “[월요마당] 지구의 자원 혼자 써버린 인류”, 에너지신문, 2013
    7. Roger Antonsen, “Math is the hidden secret to understanding the world”, TED, 2016
    8. J. Richard Gott III, “Implications of the Copernican principle for our future prospects”, nature, 1993 (doi.org/10.1038/363315a0)
    - Chapter
    0:00 수학이란 무엇인가
    0:33 인류의 운명
    1:21 100만년 뒤 문명
    2:34 소수
    3:30 리만 제타 함수
    4:42 리만 가설과 양자역학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K

  • @ambition9956
    @ambition9956 ปีที่แล้ว +3604

    리만 함수랑 양자역학이랑 얽혀있다는거 처음들었을때 소름끼쳤는데ㅋㅋ

    • @caramelalpha5132
      @caramelalpha5132 ปีที่แล้ว +1669

      수학 못 알아들어서요 한국말 부탁드릴게요

    • @tax0787ond
      @tax0787ond ปีที่แล้ว +20

      ㅋㅋㅋㅋ

    • @tax0787ond
      @tax0787ond ปีที่แล้ว +38

      ​@@caramelalpha5132 ㅋㅋㅋ

    • @tyc8513
      @tyc8513 ปีที่แล้ว +138

      애초에 답이 있으면서 없는것같은 생각이 드네요 ㅎㅎ 우주는 진짜 알다가도 모르겠음

    • @hsl4255
      @hsl4255 ปีที่แล้ว +111

      찾아보니까 quantum chaos라고 하는데 리만 가설을 기반으로 양자 스펙트럼을 계산할 수 있다? 비자명 근이 복소평면에 선형으로 존재하는 거랑 이 계산이랑 뭔상관이지..

  • @user-ce1nb1qz1k
    @user-ce1nb1qz1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1

    이런 미스터리하고 모순적인 내용의 기초를 잘 알려주셔서 늘 감사합니다.앞으로도 이런 재미있는 영상 많이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 @user-fromsoft_game_v8lh3gb1n
    @user-fromsoft_game_v8lh3gb1n ปีที่แล้ว +22

    재미있어요 이번건 특히 내용이 명확하게 다가오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전반적인 내용이 얕게 잘 설명되어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 @incantoheaven939
    @incantoheaven939 ปีที่แล้ว +135

    이번 영상 되게 장엄하고 시각적 퀄리티가 엄청 뛰어나네요. 감탄하며 잘 봤습니다. 순수 과학과 수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아마 마지막 1분즈음부터는 눈물이 났을 겁니다.

  • @bonzhang
    @bonzhang ปีที่แล้ว +1046

    가끔씩 논란을 불러 일으킬 만한 소재뿐 아니라 근본적인 호기심에 접근하는 재미있는 채널 잘 보고있습니다. 과학자로서 논란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도 흥미로운 점 중에 하나이고요.

    • @user-rq5iv8tg5h
      @user-rq5iv8tg5h ปีที่แล้ว

      생년월일만 입력하면 내 미래 여친을 알려주는 앱이 있th읍니다. 헬로우봇 광고하는 남자랑 목소리 똑같음

    • @wret84rt64ht
      @wret84rt64ht ปีที่แล้ว

      이 유튜버 세ㅔㅔ기 발음 ㅈㄴ 이상하네 병ㅇㅇ신

    • @user-ue8ly4ml9h
      @user-ue8ly4ml9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rq5iv8tg5h1

    • @2s0n2u5
      @2s0n2u5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rq5iv8tg5h 네 이용해봤더니 님 어머님 나오네요

  • @silence1985
    @silence1985 ปีที่แล้ว +80

    저도 관심있는 리만가설에 대한 영상이네요ㅎㅎ
    역시 이해하기 어렵고 또 신기한 가설이죠.
    재밌게 보고 갑니다ㅎㅎ

    • @user-im1yu8fy5m
      @user-im1yu8fy5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사 리만기설이 뭔데요?

    • @user-ehduc1zv2y
      @user-ehduc1zv2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im1yu8fy5m헷갈림 ㅈㅅ 아님이거

  • @yong-woonkim5133
    @yong-woonkim5133 ปีที่แล้ว +204

    내용과 발성, 어조, 배경 영상과 음악 등 모든 것이 한 편의 영화처럼 훌륭하게 만들었네요. 큰 박수를 드립니다.

    • @user-ci4tx6ml9g
      @user-ci4tx6ml9g ปีที่แล้ว +1

      @@TheWestSea 제 개인적인 기준으로 문장을 읽을 때
      ㄷ,ㄹ,ㅅ,ㅈ,ㅎ의 발음이 좀 힘들더군요..!

    • @user-wk8yn3gm4i
      @user-wk8yn3gm4i ปีที่แล้ว +19

      혀가 짧아서 듣기 힘드네요 ㅠㅜ

    • @user-tq8zq2bs8o
      @user-tq8zq2bs8o ปีที่แล้ว +2

      발성은 좀 아쉽긴함

    • @user-bj5ro5kw9c
      @user-bj5ro5kw9c ปีที่แล้ว +6

      발음이 아쉽지

    • @user-zh3iz7hp2j
      @user-zh3iz7hp2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혀짦아서 발음 새는소리인데 ㅋㅋ듣기 싫은소리임

  • @yhseo1041
    @yhseo1041 ปีที่แล้ว +31

    수학이랑은 손절하고 사는 중인데 오히려 이런 영상은 흥미롭고 좋네요

  • @user-cm7ff6os9t
    @user-cm7ff6os9t ปีที่แล้ว +10

    와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jkmotors2726
    @jkmotors2726 ปีที่แล้ว +3

    오랜만에 Original SOD다운 영상이었네요 너무 흥미롭고 그리웠습니다

  • @Trick3Or2Ture1
    @Trick3Or2Ture1 ปีที่แล้ว +25

    전공자가 아니어도 재밌게 잘볼수있네요! 잘봤습니다

  • @LeeJungGuen
    @LeeJungGuen ปีที่แล้ว +1077

    오랜만에 순수과학으로 돌아오신거 같네요. 환영합니다.

    • @user-ve1rl7ig8s
      @user-ve1rl7ig8s ปีที่แล้ว +22

      ㄹㅇ 이게 sod지

    • @user-yd8cb9st9n
      @user-yd8cb9st9n ปีที่แล้ว +4

      ㅇㅈ

    • @user-oj7yx7sd4u
      @user-oj7yx7sd4u ปีที่แล้ว +58

      뇨즘 sod영상 안봤는데 이게 sod지
      공대생들 심장 벌떡이게 만드는

    • @user-mn1yo8do4m
      @user-mn1yo8do4m ปีที่แล้ว +2

      제가 생각하기에는 지구가 없어져도 남는건 원 입니다.수학에선 제로. 원불교 신자 아닙니다.ㅎㅎ

    • @peterchoi4660
      @peterchoi4660 ปีที่แล้ว +3

      나도 이생각했는데ㅋㅋㅋ 개추

  • @jun_smath
    @jun_smat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수학을 공부하면서 어려운 난제를 듣기만 했었지 실제로 찾아보진 않았었는데, 이 채널을 통해 많은 것들을 배우고 공부하고 갑니다. 미개한 제 머리로는 절대 이해할 수 없지만 그래도 이런 수학 관련한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user-id7uz6nn5j
    @user-id7uz6nn5j ปีที่แล้ว +8

    설명 깔끔해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 @property_scholar_EJv
    @property_scholar_EJv ปีที่แล้ว +1

    이 감동!!
    기다렸습니다!

  •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수학을 공부하면서 사람들이 항상 어려운 난제라 하는 리만가설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습니다. 소수에 관한 이론이라는 것은 알고있었지만, 유투버님의 설명을 듣고 나니 어느정도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하고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Mo_omining
    @Mo_omining ปีที่แล้ว +11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 ㅋㅋㅋㅋ

    • @user-iq9do4cw7t
      @user-iq9do4cw7t 23 วันที่ผ่านมา

      진짜 ㅋㅋㅋ 브금도 한건 했음

  • @cool-rz5rw
    @cool-rz5rw ปีที่แล้ว +141

    난 이런게 왜이렇게 좋지 뭔가 미지의 세계 알지 못하는 영역? 사람 그리고 '나'라는 존재가 무한한 직선의 한 점에 불과하구나 라는 느낌? 그냥 재밌다 ㅎㅎ 에스오디님 이런 영상 많이 만들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

    • @user-il1fi4re9e
      @user-il1fi4re9e ปีที่แล้ว

      INTJ야?

    • @heug0vai
      @heug0vai ปีที่แล้ว

      진짜 반지성주의가 판치는 시대인듯..
      자기 무식한걸 자랑으로 여기는 댓글들이 이렇게나 많다니

    • @sihyeonglee6272
      @sihyeonglee627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heug0vai자기 느낌도 함부로 얘기 못 하는 시대가 되었다니

    • @user-un9it8wo3q
      @user-un9it8wo3q 28 วันที่ผ่านมา

      @@heug0vai 난독임?

    • @user-km1rl6qv9y
      @user-km1rl6qv9y 23 วันที่ผ่านมา

      @@heug0vai ㅋㅋㅋ설마 알지 못하는 영역이 좋다 그래서 그런거임?

  • @SONG_yang
    @SONG_yang ปีที่แล้ว +2

    오래간만에 닭살 느끼면서 봤어요. 이런 내용 너무 좋아요!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 ปีที่แล้ว

    이 영상 잘 봤습니다 응원하고 감사합니다

  • @metaljacket2000
    @metaljacket2000 ปีที่แล้ว +30

    더이상 나눠지지 않는 수, 더이상 나눠지지 않는 입자
    이렇게 생각해보면 소수랑 양자역학이랑 비슷한점이 있는듯

  • @user-lb6cp6mi1u
    @user-lb6cp6mi1u ปีที่แล้ว +27

    개인적으론 이런 영상으로 sod를 구독했던 지라 반갑네요

  • @user-vp8rt7js9h
    @user-vp8rt7js9h ปีที่แล้ว +2

    진짜 재밌었어요

  • @user-ml4bg7uj3l
    @user-ml4bg7uj3l ปีที่แล้ว

    영화한편 보고갑니다😊

  • @user-vj6pd6yq8n
    @user-vj6pd6yq8n ปีที่แล้ว +482

    수학계에선 리만가설이 참이라고 거의 확신하는 중이라고 하니 이제 곧 실마리가 풀리겠죠. 위대한 시대에 살아가는건 영광된 일입니다.

    • @GO0Es
      @GO0Es ปีที่แล้ว +30

      나머지는 ai가 풀어줄듯

    • @wjdekdns12
      @wjdekdns12 ปีที่แล้ว +21

      @@GO0Es 그놈의 ai

    • @user-rd4ry7wr4x
      @user-rd4ry7wr4x ปีที่แล้ว +106

      “증명”을 해야함 거의확신은 수학에서 가당키나한가

    • @user-ss8rx2iw1z
      @user-ss8rx2iw1z ปีที่แล้ว +56

      ​@@wjdekdns12 ㅋ 인간의 시간으로 계산할건 한계가 있다 그걸 보조해주는게 ai고

    • @user-vj6pd6yq8n
      @user-vj6pd6yq8n ปีที่แล้ว +1

      ​@@user-rd4ry7wr4x 증명도 한 30년쯤 있음 나오지 않겠습니까.

  • @김자운
    @김자운 ปีที่แล้ว +280

    문과에게는 어느 정도 난이도 있는 수학 공식을 물어보면 실시간으로 분열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mathematicallogic7721
      @mathematicallogic7721 ปีที่แล้ว +65

      ​@llllililiil 미적거리는 분, 주체성이 약한 인간??

    • @Awaiting_Clear_Skies
      @Awaiting_Clear_Skies ปีที่แล้ว +28

      @@mathematicallogic7721 서성거리지 마라 서성은

    • @user-ju7wz1ot4i
      @user-ju7wz1ot4i ปีที่แล้ว +23

      근데 이과도 난이도 있는 문과문제 주면 분열되는건 마찬가지아님? 같은 분야 사람을 이겨야지 아얘 다른 공부를 하는 사람한테 가서 난 아는데 넌 모르지? 이런건 왜하는거임?(진짜모름)

    • @user-fe4ul8wq5i
      @user-fe4ul8wq5i ปีที่แล้ว

      ​@@user-ju7wz1ot4i 한국은 보통 문이과가 나뉠때 상위권들이 이과로 많이 가기때문임 이건 문이과 통합으로 수치적으로 증명된

    • @umaUamu
      @umaUamu ปีที่แล้ว +2

      @@user-ju7wz1ot4i 왜 하긴... 애초에 그거 말고 즐거워 할게 없는 인간부류잖아...

  • @ArtistAVICII
    @ArtistAVICII ปีที่แล้ว +9

    이 복잡한 수를 인간이 해결할까, 인간이 만들어낸 AI가 먼저 해결할 것인가…
    어느쪽이 되었든 그 이후의 인류 흐름은 어떻게 흘러갈지 흥미가 생기네요.

  • @-------___-------
    @-------___------- ปีที่แล้ว +2

    소수에는 뭔가가있다로 이렇게 길게 영상을뽑는다는게 대단함

  • @user-wz8kl9nn7d
    @user-wz8kl9nn7d ปีที่แล้ว +469

    캬~ 간만에 엄청 흥미를 가지고있던 주제에 대한 영상이 올라와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한가지 이해가 안가는건 영점이 하나의 직선에 존재했다 라고 했는데요 영점이란게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리만가설을 정리한 다른 영상들을 봐도 영점들이 일직선 위에 있다 라고 하는데
    전 전공자도 아니고 무식한 일반 시청자로써 그 영점이 무엇인지가 너무 궁금했습니다

    • @HSKhan-sy4xd
      @HSKhan-sy4xd ปีที่แล้ว +62

      영점은 Zero point로 복소해석학 용어입니다. 영점이라 말해서 어려워 보이는데 그저 함숫값이 0이되는 값을 말합니다. 방정식처럼 말이죠 :)

    • @user-mm6fb6jb6g
      @user-mm6fb6jb6g ปีที่แล้ว +7

      안될과학의 리만가설편을 참고하세요. 그외에도 리만가설 관련 영상은 많은데, 쉬운건 없습니다.

    • @2w051
      @2w051 ปีที่แล้ว +14

      f(x) = 0이라는 방정식에 해가 있다면 그게 영점이죠

    • @user-wz8kl9nn7d
      @user-wz8kl9nn7d ปีที่แล้ว +20

      @@user-mm6fb6jb6g 물론 안될과학은 몇번을 봤죠 거기서도 영점이 일직선에 위치한다라고만 이야기해서 그 영점이 무엇인가가 궁금했던 거랍니다

    • @user-wz8kl9nn7d
      @user-wz8kl9nn7d ปีที่แล้ว +5

      @@HSKhan-sy4xd 역시 전 내공이 부족한가봅니다 어렵습니다 ㅜㅜ

  • @manoutofyou4384
    @manoutofyou4384 ปีที่แล้ว +19

    과학자들이야 말로 세상의 시선과는 역설적이게도 가장 신에 근접해 가는 존재들 같다

  • @18kkak
    @18kkak ปีที่แล้ว +2

    아니 이런주제로 이런 영상을 만들어내다니 당신은 천재입니까?

  • @seo_ohee
    @seo_oh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이런 영상은 어떻게 만드셔요? 전개 뿐만 아니라 한컷 한컷 영상미가 뿜뿜하네요

    • @softdragon
      @softdrag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12math
    @12math ปีที่แล้ว +9

    좋아요! ❤

  • @djshdhdbhe
    @djshdhdbhe ปีที่แล้ว +31

    이렇게 까마득한 숫자를 보니 지금 여기서 이 영상을 보고 댓글을 달고 같이 숨을쉬는 모두가 정말 찰나에 순간에 만난 인연인것 같다. 긴 영화에서 0.0001초도 안되는 장면에 잠깐 만나고 사라지는 소중한 존재들.. 욕심부리지말고 서로 아끼며 행복하게 살아야겠다

  • @user-ny7nk3fd7d
    @user-ny7nk3fd7d ปีที่แล้ว +1

    영상 보는 내내 두통이 밀려왔는데 참고 봤습니다...

  • @user-fm5bi6wz8y
    @user-fm5bi6wz8y ปีที่แล้ว +15

    진짜 5분30초 동안 수학 1도 모르는 사람한테 엄청난 영감과 소름을 안겨주네...

  • @user-ki3kl8ks7w
    @user-ki3kl8ks7w ปีที่แล้ว +5

    순수과학 컨텐츠 너무좋다

  • @laplacia
    @laplacia ปีที่แล้ว +4

    실제로 연구해보면 다항식 해 찾는 문제도 매우 어려움. 일반해가 없는 경우도 많고.

  • @user-qh3cz8wq5v
    @user-qh3cz8wq5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세상의 규칙과 우주의 본질을 표현하기 위해 인류가 만들어 낸것이 수고, 그것을 계속 갈고 닦아 발전 시킨 것이 수학이다. 그러니 이 세상 모든것이 수로 표현되는 것은 당연한 것. 이런 미스터리하고 모순적인 내용의 기초를 잘 알려주셔서 늘 감사합니다.앞으로도 이런 재미있는 영상 많이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 @PLF_oner
    @PLF_one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퀄리티보소 ㅋㅋ영화보는줄 알았네요

  • @durio0312
    @durio0312 ปีที่แล้ว +15

    sod님은 agi출현이 임박했고 특이점이 멀지 않았다는 의견에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nutella1774
      @nutella1774 ปีที่แล้ว

      agi가 뭔가요?

    • @paperpaper82
      @paperpaper82 ปีที่แล้ว +1

      @@nutella1774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요

    • @paperpaper82
      @paperpaper82 ปีที่แล้ว +2

      저는 개인적으로 AGI (범용인공지능)의 출현이 적어도 10년 이내에는 될 것이라고 봅니다. 현재 AGI 실현에 가장 가까운 기업은 Dall-e, ChatGPT 등을 만든 OpenAI입니다. 모두가 아직 너무 어렵고 허황된 목표라며 비웃었던 AGI 개발의 꿈을 가지고 Sam Altman이 세운 기업이지만 최근 일어난 수많은 AI 혁신이 이 기업의 손에서 탄생했죠.

    • @aruyo5030
      @aruyo5030 ปีที่แล้ว +1

      @@paperpaper82 이미 AutoGPT, BabyGPT 등으로 AGI의 기반이 거의 만들어졌음
      최근 스탠퍼드 논문에 나온 Generative Agents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일 것이라는 확률을 엄청나게 높여줌

    • @future0610
      @future0610 ปีที่แล้ว

      ​@@paperpaper82 최근 구글 딥마인드의 ada나 GPT4의 등장이 범용 인공지능의 시발점을 알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는 있으나 아직 약인공지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DALL-E나 chatGPT까지도 수십년이 걸렸고 그 동안에 AI winter도 수차례 겪었죠. 이후에도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습니다. chatGPT도 포함해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약인공지능 수준이고 강인공지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또 다시 AI winter가 올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Tommy_Trading_TV
    @Tommy_Trading_TV ปีที่แล้ว +3

    리만의 신비한 섬, 지식의 끝없는 바다, 인류의 취약함을 찾아 헤매어도,천재들의 손길도 닿지 못한 어둠 속 가설, 그 한계를 깨닫는 빛나는 별이 되리.

  • @jmc9678
    @jmc9678 ปีที่แล้ว

    정말 재밌습니다

  • @kmhong
    @kmhong ปีที่แล้ว +1

    오랜만에 봤는데 영상이 아주 깔끔해진 것 같아요 첨부되는 영상도 여러가지로! 좋아보여요 ㅎㅎ

  • @G_lego
    @G_lego ปีที่แล้ว +6

    소수는 수의 원소라고 불립니다. 즉, 수를 이루는 기본 원소죠... 원자핵 에너지 분포를 나타낸다는 것은 아마도 원자핵에서 알수 있듯이 우주의 모든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와 연관이 있다는 얘기가 되죠.. .그럼 소수를 나타내는 식과 원자핵의 에너지 분포를 나타내는 식이 거의 같다는 것은 수의 기본 원소인 소수와 우주 물질의 기본을 이루는 에너지 사이에 무슨 상관 관계가 있을지 모른다는 얘기가 되죠...
    또 한가지 시뮬은 수로 이루어진 가상 세계죠... 근데, 우리 우주의 기본 원자핵의 에너지도 소수가 기본 원소인 소수와 관련이 있다면... 결국은 우리 우주도 시뮬이다? 더 이상한 점은 이 공식이외에도 물리학의 거의 모든 법칙이 수학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서로 같은 공식이 많다는 점이죠... 왜? 우주물리학 = 수학... 즉, 물리학이 수학적으로 이론적으로 증명되면, 언제가는 그 이론이 실제로 실험을 통해 증명이 된다는 사실이고, 이걸 물리학에서는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 @c1ub
    @c1ub ปีที่แล้ว +9

    과학유튜버라면 반드시 나오는 리만가설

  • @RaymondKim-hg4ed
    @RaymondKim-hg4ed ปีที่แล้ว

    콘텐츠만 집중하니 보기 좋네요

  • @user-eo3ct6yu9n
    @user-eo3ct6yu9n ปีที่แล้ว

    이야 영화의 오프닝을 보는 느낌나고 엄청 감질맛나네요

  • @chanheo4950
    @chanheo4950 ปีที่แล้ว +5

    만약 백만년 후에도 어떤 형태로 인류 문명이 생존해 있다고 할 때, 나폴레옹 히틀러는 잊혀져서 교과서에 나오지 않더라도 피타고라스의 정의는 똑같이 배우고 있을 거라고 하죠. 그래서 순수 수학은 진리라고 하더군요.

  • @junwoohan5237
    @junwoohan5237 ปีที่แล้ว +53

    난제들은 난제라고 지칭되는 순간부터 더 흥미가 많이 생기는 듯

  • @KimTakGoo
    @KimTakGoo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영상 넘잼잇고 소름돋네요

  • @qewr132444
    @qewr132444 ปีที่แล้ว +1

    재미있어요^^

  • @Zman158
    @Zman158 ปีที่แล้ว +5

    약수가 1과 자신밖에 없다는 단순한 개념이기에 규칙을 발견하기 쉬울 것 같은데 세상에서 가장 규칙을 찾기 어려워서 그냥 시뮬레이션 우주에서 구조상 그 비밀을 알아낼 수 없게 만들어진 게 아니냐고 하는 수

  • @user-mm1nv7lq7p
    @user-mm1nv7lq7p ปีที่แล้ว +8

    소수는 패턴이 없어보이지만 그걸 그래프로 표현하면 특정한 패턴이 나온다, 우리가 아는 함수그래프에 원은 단순한 원이 아니라 무한한 곡선들의 연속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걸 표현하는 공식은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공식이다

  • @user-rc4bu6ze5w
    @user-rc4bu6ze5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대본잘쓰시네 ㅋㅋㅋ재밌어요

  • @user-yk9ro7vl6c
    @user-yk9ro7vl6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재밌는데 너무 어려워요..ㅠㅠ 이해하고 싶은데,,,ㅠㅠ

  • @daetgeulyong
    @daetgeulyong ปีที่แล้ว +249

    수학은 가장 어려운 언어이면서 동시에 가장 쉬운 언어이며 동시에 전 우주의 높은 지능을 가진 종족이 다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일 수도 있다..
    형아들 멈춰줘 나 머리 터져 🤯

    • @user-iz9mo3bp4b
      @user-iz9mo3bp4b ปีที่แล้ว +16

      나중에 특이점오면 AI들이 졸라 쉽게 풀어내는거 아님?

    • @lcoolguyl
      @lcoolguyl ปีที่แล้ว +20

      ​@@user-iz9mo3bp4b 보통 요새도 어려운공식은 슈퍼컴퓨터 이용하는데도 며칠씩 걸리는 문제가 수두룩 한다던뎅

    • @user-zr4rg9gx4y
      @user-zr4rg9gx4y ปีที่แล้ว +5

      다른 행성에서는 우리가 사는 우주의 규칙이 안 맞을수도 있음. 1+1=3이 되는 행성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말. 수 자체가 정의되지 않을수도있고.

    • @lcoolguyl
      @lcoolguyl ปีที่แล้ว +42

      @@user-zr4rg9gx4y 물리학은 그럴수 있는데 수학은 그딴거 없긴 함

    • @skeosled
      @skeosled ปีที่แล้ว +60

      ​@@user-zr4rg9gx4y
      그럴 가능성은 0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어요.
      만약 우리의 이론이 우리가 사는 행성에서만 적용되는 것이었다면, 중력이나 광자에 대한 지식 등 전 우주적인 현상들에 대해서 우리 인류는 이해조차 하지도 못했을 것이고 이런 문명조차 이룰 수 없었을 거에요.
      제가 이렇게 확신하는 이유는 1+1 = 3 인 행성이 단 1개 라도 존재하는 순간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스마트폰 조차도 우리가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왜냐면 우리는 잘못된 수학을 이용하고 있는 거니까요.
      하지만 우리는 우주에서 통신도 하고 먼 곳에 있는 별, 행성 들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고 스마트 폰도 사용할 수 있어요.
      수학은 언제 어디에서나 절대적이기 때문이죠!
      어려우실 수 있지만 어쨌든 그럴 확률은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 @user-ne1le7qz3s
    @user-ne1le7qz3s ปีที่แล้ว +8

    혹시 리만 가설이 풀리는 상황을 소재로 삼은 스토리 콘텐츠는 없을까요? 상상에 기반해서요.

    • @user-ek1ks3nv2j
      @user-ek1ks3nv2j ปีที่แล้ว

      풀리는 영화는 저도 모르겠고
      리만가설을 소재로한 영화가 하나있긴함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라고 한국영화인데
      정확히는 리만가설은 걍 소재에 불과하고 흔한 신파 영화

    • @user-ne1le7qz3s
      @user-ne1le7qz3s ปีที่แล้ว

      @@user-ek1ks3nv2j 오 그렇군요 감사해요!!

  • @user-yt2rl3rq5z
    @user-yt2rl3rq5z ปีที่แล้ว +1

    에스오디는 순수과학을 다룰때 가장 재미있는 것 같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oanKhanhAnh
    @DoanKhanhAnh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솔솔①랭랭 오늘도 어김없이 출첵을하러 왔답니당

  • @jyang5939
    @jyang5939 ปีที่แล้ว +5

    결국 무수한 복수평면에서 위치 찾기 = 수학 이란 것인가.
    라플라스 악마가 아니면 결국 불가능한 것에 도전하는 것이 수학인가…

  • @user-mc5yr4tz4r
    @user-mc5yr4tz4r ปีที่แล้ว +6

    천재가 신계를 넘보기 위해 만들어낸 악마의 공식
    불규칙한 배열의 소수가 한 선에 존재함을 증명해낸다면 과연 어떤일이 벌어질지 궁금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 @ismine8911
    @ismine8911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출처 꼭 남기고 블로그에 해당 영상 내용을 써도 될까요?

  • @parkg1999
    @parkg1999 ปีที่แล้ว +1

    아 이거 보니까 공부하고 싶어지네

  • @users82729
    @users82729 ปีที่แล้ว +3

    소수의 규칙을 못찾는 이유는 그것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우리가 쓰는 수가 불완전해서이다

  • @pinchking
    @pinchking ปีที่แล้ว +53

    저희 과 주임교수님이 근 20년간 오롯이 리만가설만 연구하고 계신데 리만가설 영상이 올라와서 반갑네요

    • @jslee8082
      @jslee8082 ปีที่แล้ว +1

      어디대학인가요?

    • @omt1102
      @omt1102 ปีที่แล้ว +5

      ​@@jslee8082 서울대 수리학과입니다

    • @user-cm8kb6gr5k
      @user-cm8kb6gr5k ปีที่แล้ว

      이대 교수 아닌가 ?

    • @leeseunggeon
      @leeseunggeon ปีที่แล้ว +1

      @@omt1102 다른사람이자나요

    • @user-xk4oj6om2o
      @user-xk4oj6om2o ปีที่แล้ว +5

      연세대 아님? 기하서 교수

  • @manjubeolpan
    @manjubeolpan ปีที่แล้ว

    소수의 패턴과 자연현상의 패턴이 같다는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

  • @swk1982
    @swk1982 ปีที่แล้ว +12

    세상은 시뮬레이션이거나 시뮬레이션까지는 아니더라도 정밀하계 설계된 게 맞겠다는 느낌...

  • @BBAKKA2222
    @BBAKKA2222 ปีที่แล้ว +3

    아니 영상 왜 이렇게 잘만들어요.. 이해는 안가는데 집중이 되네요

  • @user-gy3we7mb9b
    @user-gy3we7mb9b ปีที่แล้ว +4

    어쩌면 처음부터 창조주가 시뮬레이션 우주를 만들 때 누군가가 진실에 다가가면 다가간 사람을 뭔가 위험하게 만드는 장치를 만들어 놓은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왜냐면 창조자들은 비밀이 풀리는 순간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 @user-ke5xw8hh6p
    @user-ke5xw8hh6p ปีที่แล้ว +2

    졸라재미있다...

  • @apple308278
    @apple308278 ปีที่แล้ว +18

    수학이 가장 신기한 이유는, 그 어떤 것과도 연결된다는 점입니다.

    • @thjung2588
      @thjung258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어떤것을 연결할려고 만든것이 수학입니다 자연을 설명하려고 만든게 수학이죠 그러니 당연히 연결이 되어야합니다

  • @catekingdom3721
    @catekingdom3721 ปีที่แล้ว +5

    어릴 때부터 수학이라는 학문을 파고드는 사람들이 너무 부럽더라. 내 머리의 한계는 내가 잘 알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나보다 더 우월한 사람들에 대한 동경 때문일까.

  • @user-oi1cl3hg5g
    @user-oi1cl3hg5g ปีที่แล้ว +63

    이로써 우리세계는 수학으로 이루어진 가상 현실 세계가 확실합니다 이렇게 잘 맞을 수가 없음

    • @thjung2588
      @thjung258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건 인간이 우연이 발견한 자연의 법칙들을 인간이 아는 수학으로 끼워맞춰 넣었으니 잘맞는거죠 말을 거꾸로 하시네

    • @trnndtmyjhsgdvfgnhtegrsf
      @trnndtmyjhsgdvfgnhtegrs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역인과관계의 오류. a여서 b인 걸 b여서 a라 하는꼴

    • @user-sm7er4dx9n
      @user-sm7er4dx9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ㄴㄴ 그걸 우리가 표현한거니까 잘 맞는거지 예초에 잘 맞게 만든건데

  • @kwang-holee4766
    @kwang-holee4766 ปีที่แล้ว

    위상 수학을 말하는 것인가요, 이 오슬로 대학 교수 말입니다?
    in the year 2525라는 노래에서 전망한 미래와 비슷한가요?

  • @user-ku9de3nq1f
    @user-ku9de3nq1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건 못참지

  • @user-dn5lu8ji4i
    @user-dn5lu8ji4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옛날에 하던 생각인데 10진법이 아니라 다른 모든진법으로 소수를 나타내다 보면 뭔가 보이지 않을까 생각해본 적이 있음. 이미 몇백년 전에 누군가 해봤겠지?

  • @user-dx4bz1fh3t
    @user-dx4bz1fh3t ปีที่แล้ว +75

    어릴때 막연히 우주의 시작이나 끝을 상상하다보면 갑자기 미칠것 같은 순간이 와서 겁이 덜컥 나서 멈췄던기억이 있음.
    그래서 그 부분은 어쩌면 신이라는 존재가 접근할 수 없도록 막아 놓은 영역은 아닐까라고 상상했던 적이 있음.

    • @user-gd4yf8pk9t
      @user-gd4yf8pk9t ปีที่แล้ว +6

      ​@@user-sk6pv2ew9p 당연히 어릴때 상상이니 아니겟지

    • @kr900924
      @kr900924 ปีที่แล้ว +12

      혹시 시험기간에 생각하셨나요?

    • @user-dx4bz1fh3t
      @user-dx4bz1fh3t ปีที่แล้ว

      @@kr900924 자기 전에요ㅎㅎ

    • @rksk1004
      @rksk1004 ปีที่แล้ว +7

      ​@@user-dx4bz1fh3t 사람사는거 다똑같네 ㅋㅋㅋ

    • @user-st6rw5ly1c
      @user-st6rw5ly1c ปีที่แล้ว +10

      망상입니다

  • @softpawn
    @softpawn ปีที่แล้ว

    이 모든 것이 우연일 가능성과 의도적으로 설계되었을 가능성 중 어떤 게 클까요?

  • @henrychang7774
    @henrychang7774 ปีที่แล้ว +2

    수학은 패턴이다. 진심 공감. 수학적 모델링을 포기하고 데이더 15년 차. 데이터 안의 패턴은 나를 미치게 한다.

  • @user-dl9mp5jx1c
    @user-dl9mp5jx1c ปีที่แล้ว +20

    수학이 인간이 더듬어 찾은 가설이라면 과학은 현상에서 찾게되는 수학의 증명과도 같은 관계네요 ㄷㄷ

  • @youngpoong
    @youngpoong ปีที่แล้ว +4

    그러니, 다수는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 합니다.

  • @PlutoSky01
    @PlutoSky0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간이 좋아하는 의미부여 아무 의미없는 것을 없을 거라는 생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행동 수학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듯

  • @sun326
    @sun326 ปีที่แล้ว

    재밌네요

  • @user-km9pi7tm6q
    @user-km9pi7tm6q ปีที่แล้ว +4

    리만 가설은 슈카님 영상이 제일 뭔가 와닿음 ㅋㅋㅋㅋㅋ

  • @user-vo4sx1yh9i
    @user-vo4sx1yh9i ปีที่แล้ว +10

    솔직히 재밌잖아 수학 ㅋㅋㅋㅋ리만가설도 재밌긴 한데 어렵다.ㅠ

  • @DanJJSTChoi
    @DanJJSTChoi ปีที่แล้ว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개수를 나타내는 건가요?

  • @K_SURU
    @K_SURU ปีที่แล้ว

    와 간만에 땡기는 주제 나와서 올만에 봄 조오온나 꿀잼

  • @rororo160
    @rororo160 ปีที่แล้ว +5

    에스오디 댓글 첨 달았는데 이번 편은 다른 유튜버랑 말하는 내용이 똑같네요 그냥 오일러 리만 양자역학 조금 설명해주고 끝...... 근데 어쩔 수 없는게 인간이 알아낸게 지금 여기까지라서 그렇긴 함....

  • @iq150_
    @iq150_ ปีที่แล้ว +5

    오일러는 진짜 대단하네

  • @sramanera
    @sramanera ปีที่แล้ว +1

    @에스오디 소수패턴이 세상에 던지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에스오디님의 영상에서 다루어 보시길 바랍니다.

  • @caracer7772
    @caracer7772 ปีที่แล้ว +1

    정말 신이 존재한다면 과학자일 가능성이 높겠군요.. 우리를 구성하는 기본 원리와 수에서 나타나는 패턴이 소름돋게 비슷하다라.. 숫자와 우주의 연관성은 도대체 어느정도 일까요?

  • @user-ke3hs6tb4i
    @user-ke3hs6tb4i ปีที่แล้ว +4

    리만가설같은거 보면 볼수록 현 우주는 시뮬레이션같음.

  • @ethyne553
    @ethyne553 ปีที่แล้ว +8

    조현병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는 리만가설이 잇으며...

  • @user-nw4po6no3c
    @user-nw4po6no3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학생으로서 말을 잘 이해 못한거 같은데 혹시 제타함수 근의 분포 상태와 원자핵의 에너지 분포가 완전히 같은 건가요?

    • @user-nw4po6no3c
      @user-nw4po6no3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타함수 근의 분포 상태가 리만이 그래프로 만든 소수의 분포상태라는 거죠?

  • @behelit9994
    @behelit9994 ปีที่แล้ว +2

    "소수를 세고 진정하는 거다…. 소수는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고독한 숫자... 내게 용기를 불어넣어 주지"

  • @carlyounsh
    @carlyounsh ปีที่แล้ว +6

    요즘 인공지능의 발전을 보면 가끔 그런 생각이 듭니다.
    먼 훗날 초인공지능이 발전해서 리만가설에 도전하면
    사람은 미쳐버렸는데 인공지능은 어떻게 되는걸까

    • @sky_line6482
      @sky_line6482 ปีที่แล้ว

      "띵,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 @user-xx788jjsu
    @user-xx788jjsu ปีที่แล้ว +3

    "악마가 내게 세상의 진리를 알려준다 속삭이며 유혹할때 나는 악마에게 리만가설이 증명되었느냐 물었다."

  • @user-bv8xr8rv5j
    @user-bv8xr8rv5j ปีที่แล้ว

    인간보다 상위의 존재가 주는 초대장 같은 느낌입니다ㅎㅎ

  • @user-dj9xe8zc8m
    @user-dj9xe8zc8m ปีที่แล้ว +1

    소수의 패턴이 차원의 문제라고 한다면.. 뭔가 시간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