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는 재능이 아닙니다'' 상위 0.1% 천재들, 어릴 때 전부 '이걸' 했다 (서울대 황농문 교수 1부)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5 มิ.ย. 2024
  • (황농문 교수님의 ‘몰입 아카데미’ 링크)
    molip.co.kr/
    오늘은 황농문 교수님을 모시고
    세상을 바꾸는 1% 천재들의 비밀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영상이 유익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황농문 #인사이트코리아
    00:00 인트로
    00:20 구독자 인사
    00:30 세계 상위 0.1%와 평범한 사람의 '단 '1가지' 차이
    03:42 서울대에서도 최상위 1%는 ‘이런 학생들’입니다
    10:15 IQ에 대한 치명적인 착각. 진짜 중요한 건 ‘이것’입니다
    11:55 1시간으로 10시간 공부효과 내려면?
    15:25 수많은 천재를 배출한 ‘헝가리 현상’의 비밀
    17:40 일본은 어떻게 ‘노벨상 강국’이 되었나?
    21:48 어릴 때 무조건 ‘이것’을 가르쳐야 합니다
    Insightful Korea 구독하기 ☞ / @insightkorea77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K

  • @tv-et7iq
    @tv-et7i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6

    제가 좋아하는 속담 중에서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는데, 이 속담은 결국은 자기가 가진 선천적인 재능에 만족하지 말고, 그 재능을 쓰고 갈고 닦는 노력을 해야한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들어 재능은 유전자이므로 영원히 우리는 그 계급을 벗어날수 없다고 자조하고 허탈해하는 사회 신조가 너무 많이 보이더군요. 그런 분들에게 교수님의 이 강의가 희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hk9xu3eu7z
    @user-hk9xu3eu7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감정이 전두엽을 이긴다는 말씀이 정말 쎄게 다가옵니다!!

  • @irene3797
    @irene379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저도 어렸을때 문제가 안풀리거나 모르면 풀릴때까지 밤새우며 풀었던게 기억나네요… 그러면 숙제 다 못하고 숙제 하는 속도도 느리고… 대학교 학점도 별로 좋지는 않았지만 지금은 화학 박사과정 밟고있습니다.

  • @DavidLee0815
    @DavidLee081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8

    오 공감합니다. 저 재수 시작 시기만 해도 수능 수학 3등급, 과탐 5~6등급이었는데, 공부하는 동안 한 문제로 하루 종일 고민해보기도 하고, 끙끙대면서 어떻게든 정답을 얻어 냈을 때의 쾌감이 너무 좋아서 그 해결하기까지의 시간을 즐겼던 것 같네요. 결국 저는 재수/삼수 끝에 의대에 합격했습니다. 그게 옳은 방법인지 몰랐지만 지나고보니 정말 좋은 방법이었네요.

    • @jws8100
      @jws810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와… 진짜 멋있으시네요!!

    • @hoj4131
      @hoj413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좋은 의사성생님 되시길

    • @JinnYoungKim
      @JinnYoungKi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님도 대기만성이셨네요 축하합니다

  • @herbzyo
    @herbzy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

    얼마전 소아정신과 천근아교수님이 하신말씀과 정확히 일치하는것같아요 영재는 IQ수치가 아니다, 영재는 감정조절능력이 관건이다 라고 하시더라구요 뭔가 머리를 얻어맞은듯한 신선한 충격이었어요 평소 주변에 뛰어난 인재들과 그아이들을 키워낸 어머님들을 보면 늘 평온하고 안정적인 정서가 느껴졌는데 그게 이런이유 때문이었나봐요

    • @user-ox7yw3ot5t
      @user-ox7yw3ot5t 15 วันที่ผ่านมา

      옳습니다~

    • @lingling_bb
      @lingling_bb 7 วันที่ผ่านมา

      오 신기한데 뭔지 알것같아요😮😮

  • @rosew4215
    @rosew421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우리나라 학생들 학원 안가고 스스로 공부해서 좋은 대학가는 학생 몇명 있을까요? 내신은 부모들의 영향력이 좌우되는 점수임 학교 운영위원을 해보니 알 수 있었음.
    정시로 많이 뽑는 게 더 좋을 것 같음.

  • @picolrosancho8528
    @picolrosancho852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몰입이 될 수 있는 정도의 재능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단순 암기력보다 끈기가 더 큰 재능이라고 봅니다.

  • @grey_nyc
    @grey_nyc ปีที่แล้ว +68

    난 고등학교때 시험이 어려울 수록 등수가 올라가고 수능 쉬워져서 망한 케이스라 생각했는데 이런 거군요. 대학원을 미국에서 다녔는데 여기서도 교수가 학점 b이상 잘 안주고 제일 학점 받기 어려운 에세이로 시험친 과목 점수가 제일 잘나왔죠. 현지인 보다 영어에 핸디캡이 있는 제가 에세이와 프리젠테이션으로 a학점 받고 희열을 느낀 적이 있는데 정말 열심히 준비하긴 했어요. 과목이 너무 재밌어서. 비즈니스 전략 수업이었는데 Harvard case study 연구해서 문제 해결하는 수업이었습니다.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user-mq1ui7dq3w
    @user-mq1ui7dq3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큰 깨달음과 감동을 느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songart6419
    @songart641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공부나 연구에는 참 멋진 결과를 낳는데 사람관계레도 적용될지요 궁금하네요^^
    잘지내기 힘든 난제인 사람과도 정말 잘 지냘수있웅지..진심 궁금해지네요

  • @heran6899
    @heran6899 ปีที่แล้ว +140

    시험은 실력이 아닌 건 확실해요. 시험은 그냥 전략적인 머리로 하는 거죠. 저는시험을 잘보고 성적이 좋아도 크게 기쁘지 않더군요. 스스로 충분히 노력해 본 경험이 오히려 내적 충만감을 줍니다.
    캐나다에 이민와서 12학년 영어수업을 대학에서 받았는데, 단편소설 읽고 7쪽 정도 에세이를 쓸 때 Draft과정부터 선생님이 피드백을 주더군요. 따라서 천천히 1달 남짓 고민하고 글을 여러번 수정하면서 천천히 쓰니까, 다 마쳤을 때 너무나 큰 성취감을 느꼈어요. 그 때는 성적이 어떻게 나오든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았어요. 이미 최선을 다해 에세이를 썼다는 것 자체 로 너무 기분에 좋았지요. 한국 교육에서는 이런 체험을 한번도 못했는데... 생각해보니 그 때는 단편소설을 최소 3번 이상씩 읽으면서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려고 슬로우 싱크를 했던 것 같아요.😂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yunjunestory7353
      @yunjunestory735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슬로우 싱크.중요한 단어네요.배우고 갑니다.

  • @shlee7647
    @shlee764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1

    참 맞는 말입니다. 저도 학창시절 성적은 그리 좋지 않았지만 박사까지 마치고 지금은 연구를 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공부와 연구가 직업인 제 지금의 모습과, 성적 잘 받기 위해 노력하던 과거 학창시절의 모습이 괴리가 크다고 느낍니다. 직업으로 공부를 하는 사람으로서 공부의 끝판왕이 입시가 아니라 박사 교수 등 연구직이라고 한다면 분명 입시 교육의 방향은 참 틀렸습니다.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user-michaella
      @user-michaell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그렇군요. 경험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zenchocho
      @zenchoch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저도요^^
      흥미있게 하다 보니 성적은 따라온다는 것이 신기했고, 그런 경우가 있음을 아이들이 아는 게 중요하다는걸 알게 돼요.

    • @LeeSeoungSu
      @LeeSeoungS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성적이 좋지 않으면 박사까지 못가요....😅😅😅

    • @user-yp3sk4jy7z
      @user-yp3sk4jy7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모두가 싫어하지만 알고보면 대다수가 원해서 생겨난 풍경입니다..우리 다르게 가자, 하면 몇이나 따라 올까요..집단화된 성향이 고착화 되서 입시문화 된거라 봅니다. 어차피 공부는 죽을 때 까지 해야됩니다..뭘 하며 살아가든 하지 않으면 나아지지 않으니까요..

  • @nosweat_nosweet
    @nosweat_noswee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그렇게 하나의 문제를 가지고 매달릴 수 있는거 자체가 바로 능력차이인거죠. 어떤 사람들은 죽었다 깨도 못합니다.

    • @TV-ff8qj
      @TV-ff8q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누구나 고민은 오랫동안 할수있지요. 다만 그걸 푸는데까지 걸리는 시간. 그 시간이 천차 만별 이기 때문에 한정된 수험 기간에 점수는 다르게 나오는거고.

  • @Egg..........
    @Eg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영상을 보는 내내 감탄했습니다. 배댓처럼 정말 몰입해서 보게 되더군요ㅋㅋ어릴적 책한권에 꽂혀 하루종일 읽었던적이나 어려운 수학문제를 몇시간동안 붙잡고 있었던 순간들이 떠오르네요.입시를 준비하면서 줄 곧 자기혐오에 빠지던 순간들이 있었는데 교수님의 강의덕에 아주 해소된 기분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tazza8387
    @tazza838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얘기입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안되는게 있고, 노력 없이도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능력이 틀림없이 존재합니다.
    즉, 능력+노력이 함께 충족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 @goodman12
      @goodman1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맞아요. 사실 노력도 환경이 중요합니다. 좋은 환경에서는 노력의 효율이 아주 좋고요. 나쁜 환경에서는 노력이 제대로 되기 힘들죠. 재능은 이런 환경을 말하는거라고 봅니다. 이를테면 공무원 자녀들이 공부를 잘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부모의 소득안정이 자녀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자녀들이 다른 저항력 없이 노력에만 몰두 할 수 있는것이죠. 반면 가난한 애들은 부모님들이 근심과 불안감이 크기 때문에 부모님의 정서를 아이들이 그대로 전달받거든요. 그럼 아이들도 고민이 많아지죠. 미래를 고민하고 노력하기 보다는 당장에 부모님의 근심을 덜어주고 본인도 불안에서 벗어나기를 원할테니까요. 환경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 @magpieyesterday3057
      @magpieyesterday305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능력+노력이 함께 충족되어야 한다는 말씀대로
      누구에게는 1만 시간의 법칙이고 누구에게는 2만 시간의 법칙이고 누구에게는 5만 시간의 법칙입니다.
      능력에 따라 필요한 노력의 양이 달라집니다.
      인생에는 한정된 시간이라는 수명이 있는데 필요한 노력의 시간이 적을수록 유리합니다.
      누구는 젊은 때에 빨리 목표를 이루고
      누구는 나이 들어서 대기만성으로 목표를 이루겠죠. 그마저도 안될 수도 있고요.

    • @Gitar-Pungkyung
      @Gitar-Pungkyun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방법을 찾는것도 도움이 되죠
      공부하는 공식
      뭔가 빠르게 익히는 공식 같은것이 있는데
      빠르게 발견하는 사람과 발견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 @koleanan1001
      @koleanan100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itar-Pungkyung 공부는 물론 예체능에서도 그런 사례가 많지요. 개그맨 시험, 성우 공채시험은 합격률이 바늘구멍 수준인데 매일 최소 5시간 이상 노력했는데도 합격 못한 사람이 수두룩하지만 매일 취미로 한두시간만 연습했는데도 합격한 사람이 있는걸 보면 진짜 어느분야든지 타고난게 있는 것 같습니다.

  • @jsteacher1905
    @jsteacher190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마지막 부분이 압권이네요, 많은걸 느끼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klee4klee
    @klee4k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창의성"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s" 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사회생활을 하면서 매일매일 느낌니다. 미국에서 회사 다니면서 정말 주변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승진하고 해고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게 도와준게 이 창의성이라고 봐요. 어떤 문제 직면했을때 정말 다른 시각으로 도전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문제를 해석하면, 질문이 독창적이게 되고 매일 반복되는 일들이 정말 수월해지더라구요. 그리고 항상 같은 방식으로 하려는 태도도 바뀌어지고, 하루하루가 즐거워 져요.

  • @youve2369
    @youve236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와.. 명강의입니다. 본질적인 말씀이세요.. 몇번이고 보았네요. 아이에게 얼마나 걸리든 사고력 문제 풀어보자 했었는데 방향이 맞는거였네요. 이런 강의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뭐가요 오히려 이런 여성단체와 같은 강의덕에 더망하는것 같은데

  • @user-bf1ow6ks3j
    @user-bf1ow6ks3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음.......
    주변에 그래도 공부에 특화된 아이들만 있는 상황에서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평범한 고등학교에서 50% 이하인 학생들과 같이 생활해 보셨으면 합니다
    아이들은 대부분 정말 순수하고 생각이 바릅니다
    하지만 공부가 재능이 아니라는 말 절대 못합니다

    •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서울대 교수의 한계지 저 사람이 수준이하 애들을 과연 얼마나 관찰했을까? 진심으로 알아보고싶어서 발로 뛴다고 해도, 교수 특성 상 수업이다, 학회다 뭐다 해서 시간없어서 결국 대학원생한테 맡기고 통계랑 일부 썰만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을테니 저런 이야기를 쉽게 하는 것... 공부 잘하는 애들은 재능+노력의 콜라보인거지 순수 노력 100은 없음

    • @TV-jk6bu
      @TV-jk6b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생각엔 중하위50%아이들 보면 주입식교육에 성적표낙인으로 공부를 포기하고 순수하지만 가장 감정적 충동적으로 돌변할때가 많은 아이들이고 자신의 감정변화를 잘 이해못해서 고민이 많은 아이들이라 공부를 쉽게 놓은듯하나 살다보면 공부의 필요성을 깨달아 뒤늦게 잘되는 아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이 사회에서도 충동성 감정기질때문에 늘 약자가 되기쉬어요

    • @M-ig9pf
      @M-ig9p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xn6fc1iz5x 서울대 교수의 한계라... 방구석 전문가들과 댓글러들의 한계는 어떻고요? 기왕이면 전문가를 신뢰하는 게 정석입니다.

    •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ig9pf 그 전문가가 표본부터 완전히 잘못 잡고있는데 정석은 뭔놈의 정석? 서울대 교수면 표본 변수 다 따질거도 없이 신뢰도 100%냐? 니 인문사회쪽 대학교수들 연구용역 받아서 진행 어떻게 하는지 한번도 본적없지? 이런 무식한 것들이 광신도마냥 신앙을 가져대니 통계가지고 장난질치는 것들이 차고넘치지 ㅉㅉ

    •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M-ig9pf서울대교수는 할게 너무 많고 바빠서 공부 못하는애들을 신경쓸 여력이 없는게 현실이에요

  • @user-ji9zb5dh2x
    @user-ji9zb5dh2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교수님 귀한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 @er515100
    @er515100 ปีที่แล้ว +20

    맞는 말씀입니다. 도전정신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 조성

    • @JinnYoungKim
      @JinnYoungKi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휴 환경 부정은 안하는데, 재능임

  • @icecream293
    @icecream29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이 영상을 우리나라 교육관계자들, 교육기관,선생님들이 보게했으면 좋겠어요

  • @user-ek9uu1nc1o
    @user-ek9uu1nc1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과외 많이 받음 좋은 대학은 가겠지만 인생에서 성공은 못하죠. 사교육 없이 혼자 공부한 학생들이 설사 스카이는 못 간다해도 결국은 이 학생들이 인생에서 성공을 합니다. 왜냐하면 이 학생들은 문제해결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끝까지 어려운 수학문제를 혼자 풀려고 하는 노력..이게 중요하군요.
    능력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hyekyounglee1630
    @hyekyounglee163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며칠 전 KBS 라디오에 밤 9시반 교수님 인터뷰 잘 들었습니다. 절절한 말씀 좋았어요.

  • @plzs2ty
    @plzs2t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교수님. 정말 감동적인 동영상이었습니다..

  • @user-hn2hm9du7c
    @user-hn2hm9du7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3

    황농문 교수님, 뭐든 빨리빨리 해결하고 문제 푸는 사람이 유능하다고 여겨지는 시대에 몰입하고 끈기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가 더 중요하다는 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oopark8422
      @soopark842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현재 학교,학원에서 수학풀때는 시간재고 빨리빨리! 빨리푸는것도 실력이다! 이럼서 무조건 많이 풀어라~~이게 교육이되어가죠.
      느린아이는 똑똑하지못한 아이가 되고...

    • @user-wt9jc9ju1h
      @user-wt9jc9ju1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다 될것처럼 얘기하는 이런사람 류 좀심해야해요. 비싼돈 요구하면 특히 사짜지요

    • @guitarist1618
      @guitarist161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하지만 노력도 운과 재능의 영역이죠...

    • @user-ei3mc5ej6u
      @user-ei3mc5ej6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user-wt9jc9ju1h황농문 교수님 책 한권은 읽어보셨는지요?
      서울대 교수가 사짜 소리 들을 만한 자리인지 의문입니다.

    • @user-wt9jc9ju1h
      @user-wt9jc9ju1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ei3mc5ej6u 읽어봤습니다. 2번 봤습니다. 90년대 이승헌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뇌호흡 바람이 불었었죠. 기타 최면, 명상, 요가 등등. 그러나 뭐하나 드라마틱한 걸 기대하고 부추기고 이런건 항상 걸를줄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계적 업적이라며 난리던 결국 학계에서 퇴출된 서울대 황우석 박사 아나요?
      서울대, 몰입, 뇌호흡, 최면, 기 등 보이지 않은 그무엇을 강조,,현혹, 그리고 큰 돈 요구,
      경험 적은 젊은이들 조심조심하세요

  • @VERItAs148
    @VERItAs14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황농문 교수님 말씀이 확 깹니다- 👍 👏 교수님한테 조언을 받고 싶어요 다시 공부를 할수있을지 도움이 필요합니다 늦은 나이에 ?

  • @user-rm1xz9xx9b
    @user-rm1xz9xx9b ปีที่แล้ว +42

    퍼실리테이션에서 에너자이징이라는 참여자 기운내기보다 가치를 인정하고 빠져드는 몰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강조하고 있었는데 좋은 연구 정보 감사합니다. 유럽의 선진기술을 따라잡은것이 전국민의 학생시절 주입식교육에 있었다고 생각했었는데 헝가리 일본 예시에 공감이 와닿습니다^^

  • @user-li5kc1wx2j
    @user-li5kc1wx2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영상 10분경에 하신 말씀이 와닿네요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어린애 같은 사람들이 어른이 되서도 인생에 가치가 없는일에 즐거워한다. 게임같은거 하면서...

  • @user-io6ty4rq3z
    @user-io6ty4rq3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제가 미용을 20대 초반에 했었어요. 미용대학2년, 미용실 2년. 근데 잘하지 못했어요. 재능이 없다 생각하고 20년간 미용을 하지 않았었는데 1만시간의 법칙.교수님 말씀을 듣고 다시 시작해 봐야할지 고민이네요.
    교수님 1만 시간만 하다보면 발전 할수있는거겠죠? 나이가 40대 초반인데 지금이라도 다시 끈기있게 도전하고 시작해 봐야 할까봐요

    • @user-fl8om8ul2y
      @user-fl8om8ul2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니에요 믿지 마세요

    • @user-tm9bj7th2v
      @user-tm9bj7th2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기가있고요.원천적으로 가위잡아야하는건지.미용인지.암튼이랑ㅡ어릴적.부모영향.친구영향인지예요.
      사주알아보면 답나와요.그게 이미 지나서 아닐수있고.때가있고.영원히 그게맞는거일수있고 아닐수있어요.대운이랑 돈이뭔지가 중요함.저도 그림그렸었는데 취미나 공모전 정도로만 부업씀.이게돈이고 평생해야할거면 노력하는거

  • @hearong
    @hearo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저는 교수님 말씀에 100프로 정말 동감했고 우리 교육에 교수님이 발견한 학습방법이 적용되어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면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아마 우리교육에도 그걸 알고 좋은교육을 만들어내는 유치원이나 사립초등학교가 있을수도 있겠지만 너무나 입시위주 ㅜㅜ 어려운 문제 해결과 꾸준한 몰입. 나이가들어서 시작해도 가능성이있을까요? 좋은 발견 연구하셔서 공유해주신것에 감사드립니다.

  • @JS-tu3lu
    @JS-tu3lu ปีที่แล้ว +101

    소름돋을 정도. 절대 공감.
    원래 특별한줄 알았는데
    풀리지 않는 문제를 절대 물어봐서 쉽게 풀지 않고 혼자서 끙끙, 그 과정에 생겼군요
    그런데 이렇게도 생각해봅니다
    왜 쉬운 방법을 택하지 않고 몰입하여 혼자 힘으로 풀고 거기서 성취감과 희열을 느꼈을까.
    그것도 타고난 기질 아닐가 생각합니다
    그 타고난 기질이 몰입하게 하고 그 몰입이 뇌를 성장시키고.

    • @gafy798
      @gafy798 ปีที่แล้ว +17

      공감되는 부분입니다 타고난 기질이 너무 중요합니다~머리와 무관하게 기질이 더많이 좌우하는듯

    • @user-uq5cb2iz4l
      @user-uq5cb2iz4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그 힘을 근육처럼 조금씩 키울 수 있다는거잖아요

    • @user-fj1k3jekeq
      @user-fj1k3jeke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지잡 합리화는 진짜 ㅋㅋ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killerJasonLee
      @killerJason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쉬운방법을 선택하면 대다수랑 똑같아지니까요

  • @user-lk9lc5fr1p
    @user-lk9lc5fr1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듣는 귀가 재능입니다. 바이올린 전공자에게는...듣지 못한 사람이 만 시간 연습해도 완성이 안 됩니다.

    • @wine-lim
      @wine-li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ㅎㅎ 맞는 말씀, 거북이에게 달리기를 가르키는거나 마찬가지 인거죠~^^

  • @rachellee7693
    @rachellee769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6

    전 몰입을 산교육으로 배운 사람입니다. 친정어머니의 근면성실과 일에서 절대 포기가 없이 어떻게든 풀어내는 태도와 창의적인 아이디어. 그런데 몰입만큼 중요한 것이 잘 , 푹 쉬는 것입니다. 너무 자신을 채찍질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 활용을 잘 해야 합니다.❤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aristophia
      @aristophi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와. 한석봉 어머니의 몰입교육 같군요. 어둠 속의 칼질 1만 시간.

    • @user-xx6xc6ip9k
      @user-xx6xc6ip9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전이고 가진 재능입니다

  • @user-wi2cs3sr1r
    @user-wi2cs3sr1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전두엽 발달과 인성 몰입과 성인의 자비심 이야기 너무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 @yunmun9446
    @yunmun944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환경에서 적성에 맞는 공부를 열심히 하면 대부분은 어느정도까지는 성공할것 이란건 삼척동자도 알일인데 요즘처럼 전생을 다 기억하고 태어나는 아이들과 9살짜리가 양자역학 박사과정하고 음악 미술 아동천재들이 줄줄이 나오는데 그것에 대하선 어떻게 설명을 하실라나?

  • @racharfzgwa3551
    @racharfzgwa355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이거 진짜 좋은 강의네요..

  • @jeongjaehoon7051
    @jeongjaehoon7051 ปีที่แล้ว +4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 저한테 엄청난 충격이네요.

  • @juheelee8248
    @juheelee824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4

    끈기있게 풀리지 않는 문제를 해결해보는 경험이 중요하군요. 그게 평생의 학습 습관으로 이어지고 상위 과정에서 빛을 발하고, 거기에 1만시간의 법칙까지 재능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방법을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e3ih5gu4j
      @user-qe3ih5gu4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해보고 난 재능이 없고 여기는 아니다 싶으면 포기하는것도 나쁘지않아요
      포기안하고 했다가 망하면 돈 시간 정신건강 신체건강 다 날라갑니다

  • @chiuying1
    @chiuying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1

    메가스터디 대표가 평생을 학원하며 느낀건 유전자를 타고나지 못하면 죽어라 해도 성적 안된다임. 피아노 앞에 놓고 재능 있는 사람과 없는사람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면 1만시간 이야기 못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원빈 얼굴 못되는 것처럼 부모 유전자중 우수한 것을 잘하는거다. 재능도 있고 끈기도 있는 사람이 일만시간 해서 성과를 거둔걸 누구라도 일만시간을 특정 학습법으로 하면 이룬다고 한다는건 결과로 원인을 설명하는 오류에 빠지는 것. 끈기조차도 유전된다는게 맞는말이다.

    • @user-xk5pj6ij9j
      @user-xk5pj6ij9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공감합니다. 어떤 특정능력이든 상위권에 드는 애들이 재미를 느끼고 밤새하다보니 1만시간이 되는거지 이건 원인과 결과가 반대로 추정한 이론.

    • @Neo-ry3jk
      @Neo-ry3j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동감. 메타인지가 부족한 사람들은 시간 투자해서 노력해도 그 시간에 비해 성과는 거의 없는 경우도 많음. 생각보다 머리 돌아가는 속도랑 사고과정 자체가 사람마다 차이가 큼.

    • @user-fx5pw9fx4t
      @user-fx5pw9fx4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든 사람이 똑같이 일만시간 몰입한다면 세상 모든사람 다 성공하게요? 같은 조건주고 일만시간 몰입을한다치면 결국은 유전자로 판가름이 나는거예요.
      그리고 덧붙여서 창의성은 절대 사교육으로 무장해서 대학들어온 학생들에게는 나올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해외사례만봐도 알수있죠. 사교육으로 만들어진 천재가 누가있죠? 일런머스크, 래리페이지, 세르게이브린, 빌게이츠. 모두다 부모님이 엘리트였고 사교육 시스템으로 자란 사람들이 아니었죠. 타고나는게 1순위 그다음 체력-정신력-1만시간의 몰입-창의성 이순서가 가능한것같습니다.

    • @BBWEIZ
      @BBWEI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나도 교육계 20년 있으면서 메가스터디 대표의 말에 100퍼 동감
      지능과 기질 다 타고 나는거임
      그 기반에서 노력이 더해져야 함

    • @user-xh3vz6ic8d
      @user-xh3vz6ic8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유전이 어디있어 과외1억짜리 붙이면 전교 꼴등도 판검사된다 ㅋ ㅋㅋ

  • @killerJasonLee
    @killerJason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어렸을때 성적이 좋았을때 나빠졌을때를 비교해보면 교수님 말씀이 다 맞습니다

  •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시험을 출제해서 OX매기고 100~0점까지 점수줘서 등수를 매긴다. 이게 어느 학교 교장이나 시험볼때 출제자에게 요구하는 방식이죠.
    이게 황교수님이 말씀하시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교육으로 가기 힘든 걸림돌입니다. 왜 이미 답이 알려진 문제를 내는 걸까요.
    본인들이 풀어 봤는데 안풀리는 걸 젊은 학생들에게 물어야죠. 그래야 미래에 자신의 교수자리를 뺏을 학생이 누군지 정확히 알수 있고.
    그러나 출제자도 답을 모르는 문제라는 건 어느 학교 교장도 동의하지 못할 문제이죠. 그러니 일본대 본고사처럼 어려운 수학올림피아드 문제를 내는데.
    그렇게 내면 또 대치동의 수학교사들이 그거 빨아먹으려고 사교육 시장이 커지는데, 출제자도 답을 모르는 문제를 내면 현우진이 부자가 될순 없죠.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teaching(몰래 알려주기)에 의한 풀이는 노벨상에 도움안되는데. 본고사처럼 어렵지만 답이 있는 문제를 내면 현우진이 붙어먹죠.
    하바드 식당에 가면 재학생들이 1학년때 그만둘지 2학년에 그만둬야 있어보일지를 고민한다는데. 빌게이츠/잡스/저커버그/세르게이 브린이 그랬듯이.
    그들은 공통적으로 현재 IT업계에 누군가 풀어야 하는 난제를 재학 중에 풀었고, 앞으로도 그걸 해결하는데 졸업증서가 도움되지 않는다는 걸 깨달은 자들이죠.

    • @MelodySorrow
      @MelodySorro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말도 안되는 소리;;;; 애초에 시험이라는건 배운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임. 본인이 풀어봤는데 안풀리는걸 내면 어떻게 학생들이 시험을 통과함????
      교수는 뭐 개나소나 되는 줄 아나???? 노벨상을 못받는건 교육 제도보다 연구비 문제가 더 큼. 한국은 성과를 매우 중요시 하는데 노벨상를 탈수 있는 연구중에 단기 성과가 있는 연구가 없음. 죄다 장기적 연구들인데 한국은 단기간에 성과가 없으면 연구비 지원을 거의 안함. 노벨상을 탈 수 있는 구조 자체가 아님.
      빌게이츠 잡스 저커버그가 누군가 풀어야 하는 난제를 재학중에 풀었다고? ㅋㅋㅋㅋㅋ 망상이 지나침 ㅋㅋㅋㅋㅋ

  • @user-wq3vf4xs9h
    @user-wq3vf4xs9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큰 깨닮음을 얻었어요 😅😊 몰입감이 드는 명 강의입니다😊

  • @SuaveIm
    @SuaveIm ปีที่แล้ว +436

    이런 분이 교육 정책을 만드셔야 합니다.

    • @sibletom
      @sibleto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맞습니다... 너무 답답해요. 이런 분이 더 흥하셔야 하는데 정말😢

    • @dreamcatcher4446
      @dreamcatcher444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마 그러면 현실에선 왜곡되어서 곡소리 날것같은데요? 항상 좋은 정책도 현실에 주입하면 이상하리만큼 변형되고 온갖 부작용을 낳습디다. 지금도 사교육이 문제라는데 이런식이라면 사교육의 사교육이 활개치는걸로 결론날 듯..일본도 학업에의한 자살이 많아서 그렇게 바뀐거

    • @thekkyoung
      @thekkyou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이런 교육 정책은요 ㅡㅡ 굉장히 인기가 없을겁니다. 입에 쓴 약을 삼킬 학부모나 정책 당국자는 거의 없을 거거든요. 아쉽지만 그게 현실일 겁니다.

    • @arankang
      @aranka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언재나 비교우위를 선출해야하므로
      적절한 교육정책도 아니고,
      이분이 서울대 교수였음을 잊으면 안됨.
      다 수재들과 둘러쌓여서 보낸시간들로 착각하는데.
      공교육은 지능도 떨어지고 덜 떨어지고 책상에 앉기조차 힘들어하는 애들을 앉히고 시작해야 함.
      그렇다고 잘난 자식놈들 이런 분께 교육시키자! 하니까 전정권에서 민사고같은거 특목고 폐지시키더만
      왜?
      서울대 갈놈들이 다 특목고 가니깐 학업분위기 잡아줄 모범생들이 없어져서 "선생들이 학업지도가 힘들다는 이유"로 전교조가 폐지함.
      즉 보편교육과 엘리트 교육라인은 분명 세계적으로 인류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코스가 달라야하는데도
      저 교수 분은 저능아, 지적장애인 다룬경험 없을거라 내 손목건다.
      응 몰입교육 하면 다됨. 이라고 착각하지 말길.

    • @YunuKong
      @YunuKo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arankang 어떤 의도를 가지고 말씀하셨는지는 잘 이해했습니다. 몰입 교육 방법이 얼마나 효율적이던 앉아서 생각조차 못 하는 아이들까지도 모두 데리고 가야 하는 것이 공교육이라는 것을 이야기하신 것 같습니다. 이 의견에는 저도 동의합니다, 다만 황농문 교수님에 대한 일말의 정보도 없이 너무 무지하신 채로 댓글을 남기신 것 같아 연락을 안한지 2달이 넘어가긴 했지만 황농문 교수님의 캠프에 참여하고 게임 중독자 학생을 명문대로 보낸 사건과 그 당사자를 직접 만나고 이야기를 나눠본 학생으로서 말씀드리고 싶은 게 한 가지 있습니다(이 외에도 여러 사례를 듣고 당사자들을 직접 만나 뵌 적 있습니다. 지적 장애인의 사례는 듣지 못했지만, 지능이 낮은 아이나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를 지도하신 것은 직접 보기도 했고 들은 바가 많습니다). 황농문 교수님은 서울대 교수였던 것도 맞고, 수재들에 둘러싸여 시간을 보낸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교수님은 주변의 수재에만 집중하지 않으셨고, 지금도 그러고 계십니다. 교수님은 긴 세월동안 교수로 지내면서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신 바 있으십니다. 그 증거가 바로 접니다. 그냥 평범한 학생이었던 제가 교수님의 직접적인 코칭을 받고 그런 방법으로 공부를 한 덕에 실제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결과적으론 2차 시험에서 떨어졌지만, 앞서 언급하신 민족사관 고등학교의 2023년도 입학시험에서도 1차 시험에 붙을 정도의 성적을 거둘 수 있었고요. 어떤 생각으로 말씀하셨는지 이해하며 그 생각에 상당 부분 동의하지만, 예측성 발언으로 그 노력을 깎아내리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신 한 번 말씀드리면 의견에는 어느 정도 동의하나 교수님이 하위권 학생들은 연구하지 않으셨다 등의 예측성 발언에 대해 댓글을 남긴 것입니다.

  • @jdk2320
    @jdk2320 ปีที่แล้ว +150

    신중하고 체계적으로 교육된 1만 시간의 법칙! IQ발달는 중요하지 않음. 창의성이 중요함! 어린시절의 미지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학습법이 매우 중요함.결국 뇌가 그 능력으로 발전됨(뇌의 전두엽발전)... 끈기와 도전정신! 이런 학습 방법이 중요함. 국가에서도 높은 지적인 교육을 계속하는 교육 제도 방향이 절대 필요함.

    • @leelee-re4cw
      @leelee-re4cw ปีที่แล้ว +13

      단기간에 1만 시간을 할 수 있는 체력이 관건인 듯ㄷㄷㄷ

    • @dkdl11el
      @dkdl11el ปีที่แล้ว +17

      잘되는 아이일수록 조금은 둔해도 바르고 정확하게 갈려는 기질이 강하더라고요. 그건 서울대보다 더 중요한 자질이죠

    • @user-kf1di2ci3o
      @user-kf1di2ci3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kdl11el😊😊😊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quite123useless
      @quite123useles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kdl11el👍

  • @diamondsea9449
    @diamondsea944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

    저도 일본대 입시 문제 풀었어요. 실력 정석은 당연히 풀었죠. 고1 때, 94년도 얘기네요. 본고사가 폐지 되기 1년전이네요. 일본대 입시문제 정말 어려웠어요. 학교 독서실에서 버스 끊길 때까지 문제 풀던 생각이 나네요. 몇 시간은 고사하고 몇 일을 생각해도 안풀리는 문제들이 많았죠. 우리나라 교육과 평가 시스템에선 시간을 충분히 주지 못하는게 큰 문제라고 생각해요. 저런 문제들을 몇 주는 고사하고 몇 일을 생각할 시간도 주지 않거든요. 사람마다 그 속도가 다르지만 어느 정도 성숙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은 불가능한게 아닌데 말이죠.
    저는 본고사 부활을 지지하는 편입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어차피 도전과 경쟁속에서 어려운 걸 하면서 살아가야해요. 입시로 좋은 학교가서 편하게 살 운명이 아니거든요. 엘리트 들은 엘리트로써 해야할 일들이 있어요. 수능에 어려운 문제 섞는 것 보다 좀 분리하는게 낫다고 봐요.

    • @jjess1323
      @jjess132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교육이 정치에 함몰되서 그런거라고 봅니다
      특히 전교조로 대표되는 좌파교육은 애초에 이런 사고를 정착할 뿌리부터 말려 죽이죠

    • @TV-mw5xt
      @TV-mw5x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jess1323 영상은 보고말하는거냐...교수님은 헝가리교육처럼, 일본입시가 어려워서 창의적인노벨상도 많이나왔다고 설명하시는데...그것에 반대되는,어려운 문제 내지마라고 콕짚어 지시하는 윤석열이는 그러면 아주 멍청한거네... 교육이 정치에 함몰되었다면서도 좌파우파갈라치기하면서 한국교육을 비판하는 니뇌가 무뇌논리겠지...너처럼 정치적 논리라면 현정부를 비판하는게 먼저지않냐...도대체 이것들은 왜 매번 이런데서까지 헛소리를 하는지모르겠어

    • @great9936
      @great993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엘리트는 편하게 살 운명이 아니라는 말 너무 공감합니다

    • @papaya9357
      @papaya935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와... 이런분들 넘 멋집니다

    • @user-pz2sp9of8u
      @user-pz2sp9of8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맞아요 수능에 어려운걸 섞을게 아니라 분리하는게........근데 문제는 저 상위권을 차지하게 하려고 우리나라의 부모들이 안되는 애들을 시간을 당겨서라도 주입식으로 시켜대는게 문제이고...사교육이 또 이런 수요에 맞추어 춤을 춘다는게....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이 문제를 몰입으로 풀어 볼 수는 없을까

  • @goldapple1962
    @goldapple1962 ปีที่แล้ว +4

    좋아요 백만개 드립니다~

  • @tototoday7609
    @tototoday760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8

    끈기를 무시하고,
    단편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창의성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요즘 젊은 세대에 경종을 울리는
    좋은 영상이네요.
    originality는 엄청난 노력을 거쳐야만 갖게 되는거죠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killerJasonLee
      @killerJason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건 맞는 말씀

  • @jayn1442
    @jayn144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어느 정도 아주 기본적인 학습능력은 갖춰져있을 경우 후천적으로 계발시킬 여지가 많긴한데 매일 같은걸 반복해도 못 알아듣는 수준에서도 저 말이 맞다고 생각하면 안될듯; 지금 교수님이 하는말은 전자에 맞음.

    • @Kwsudr
      @Kwsud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근데 ㄹㅇ 주변보면 딱봐도 능지 낮아서 (비하발언같아서 좀 그렇긴하지만) 뭘해도 (직종무관) 힘들거 같은 사람들 보임 , 아마 이런분들애기하시는거겠죠? 1000퍼 동의합니다

  • @trucools
    @trucool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결핍욕구 행복. 정의에 대해 깨우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몰입에 관한 제 스스로의 경험에 대해 막연한 생각들로 살아가고 있었는데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니 완전 clear 해지네요 감사합니다. 제 자신은 몰입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랄 수 있었으면서 막상 제 아이는 그렇게 키우지 못할 뻔 했네요 큰 깨우침 얻을 수 있게되어 정말 감사드립니다

  • @pie0na560
    @pie0na56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너무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y1pp9fn5f
    @user-by1pp9fn5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훌륭하시고 귀중한 말씀 고맙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귀감이 될것
    같습니다.

  • @noahkang8447
    @noahkang844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4살짜리(서양 나이로) 아이가 아빠의 교육을 따라갈 수 있다는 거 자체가 천재라는 얘기야.
    결국엔 90%의 타고난 재능과 이 사람이 말하는 노력이 따라가야 하는거지.
    이 사람 말믿고 4살짜리 애 잡고 수학이니 영어니 가르치는 사람이 없기를 바래.
    세상에 공짜는 없고 타고난 차이는 어쩔 수 없고. 쉽게 돈 벌려고 이상한 논리를 그럴듯하게 펴는 놈도 많고.

  • @bookandthecity
    @bookandthecity ปีที่แล้ว +51

    포기하지 않고 버티고 해내는 삶!!!!! 교수님 영상 감사해요

  • @user-up5wr9pg3l
    @user-up5wr9pg3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동의할 수 없네요.
    사람마다 타고난 재능과 능력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재능, 열정, 인내심
    본인 의지없이 일방적으로 최고 수준의 성취를 목표로 끝없는 노력 요구하면 인생이 망가집니다.
    1만 시간 법칙 을 부모가 자식한테 강요하면 자식 인생 망치든지 부모와 인연 끊습니다

    • @storyteller2695
      @storyteller269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건 부모잘못이지.
      능력도 안되는 자식한테 강요하니까.
      자식이 머리는 좋은데 안해서 그렇다는 생각을 버립시다
      자식이 고마워할꺼같나요??
      절대아니죠.
      연안끊으면 다행.
      아니면 자식으로서 최소한의 도리만 한다던지...
      자식마음속 한으로 남는사람 많습니다.
      그나마 성공이라도 하면 다행인데..
      그전에 아이가 질려서 부모자식관계만 단절되고...

    • @attilove-me9ms
      @attilove-me9m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신체적 특징이나 성격에 따라 재능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죠.
      공부는 재능이 아니라 재능을 발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요.
      공부가 재능이라는건 합리화로 쓰일 여지가 많죠. 공부는 끈기와 인내와 키워주고 작은 성공을 맛보게 하는 아주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부모가 끊임없이 동기를 부여해주고 해나갈수 있게 도와줘야 해요. 당장의 결과를 보지 말고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요.

    •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attilove-me9ms공부가 재능인게 합리화가 아니라
      공부는 상대평가기 때문에 재능에 따라서 성적이 천차만별로 갈립니다

    • @user-yy9pb8rq8w
      @user-yy9pb8rq8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노력 성공 포르노 ㅋ

  • @user-ku3ky4xs1s
    @user-ku3ky4xs1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hongchunichuni
    @hongchunichun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20대 때 몰입이라는 책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었죠! 좋은 책,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hc6dn8qh6l
    @user-hc6dn8qh6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몰입하면서 끝까지 들었네요👍 몰입이 중요하다는 말씀을하셨는데 이분은 설명도 참 몰입감있게 하시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user-zt2en4cv3l
    @user-zt2en4cv3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와 교수님 강의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qc7pp4xn7b
    @user-qc7pp4xn7b ปีที่แล้ว +198

    참 훌륭한 명강의입니다
    많은. 학생들과 교육관계자분들이 듣고 국가 경쟁력이 있는 입시제도를 만들어 내면 좋겠습니다

    • @mathamour
      @mathamou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나가다 갑자기 일본 찬양하시는데, ㅋㅋ 세계 과학분야 대 천재는 유럽 미국이 대부분인데. 뜬금 일본? 솔직히.. 우리가 초중고 대학까지 책에 나오는 대천재 학자들의 대부분은 유럽, 미국, 캐나다인입니다.
      잘 나가다 일본으로 빠지는 거 보니..... 목적이 뇌 과학이 아니라 일본 찬양할 목적으로 이러는 거 아닌가 의심이.........
      솔직히 도쿄대 보다 옥스포드, 칼텍, MIT, 인도의 IIT 등이 훨씬 낫지요.....
      프랑스 파리 사범대가 대천재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어디서 도쿄대가 까불고 있는 지....

    • @userganada
      @userganad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돈이없나보네요 열심히 하세요~
      돈있음 돈줄로 가면되는데

  • @user-ny6xn2fu2w
    @user-ny6xn2fu2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수학할 때 진짜로 답 안보고 어려운 문제 생각해서 풀면 진짜 도움 많이 돼요 방학때 하... 이거 밖에 진도 못 나가서 어쩌지 했는데 앞에 방식으로 수학 공부하니깐 학교 가니 머리가 훨씬 잘 돌아가서 너무 잘 되더군요 ㅋㅋ

    • @user-wg1gp5hv1g
      @user-wg1gp5hv1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람마다 다른거 같아요 저는 안풀리는 문제는 최소 1시간 고민하고 어떨 때는 3일간 고민하고 그랬는데 수학 실력은 변하지 않더라구요

    • @goodman12
      @goodman1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wg1gp5hv1g 기본기 부족 + 반복학습 부족이죠. 고민하고 푼 문제를 잘 정리해서 기억해야 합니다. 그걸 풀었다고 그냥 넘겨버리면 소용없어요

  • @user-jx2ge2lf4g
    @user-jx2ge2lf4g ปีที่แล้ว +15

    한 사람의 자질은 그 사람이 한 가지 문제에 몰입한 시간과 성취한 경험에 비례한다는 말씀이군요. 어쩐지 사람은 결국 AI의 원시 unit일지도 모르겠군요

  • @saudiyumee
    @saudiyum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qs8fy2rr6i
    @user-qs8fy2rr6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님 감사합니다 가능성, 희망이 있다는거 알겠됐습니다

  • @Coweol
    @Coweo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6

    이분을 교육부에 보내주세요~

  • @dosungpark
    @dosungpar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10000시간의 법칙. 소싯적 집에 전과살 돈이 없어서 문제집 즉 수련장으로 나만의 사고방식으로 문제를 플고 답을 찾았던 게 창의적이게 만들어 준듯해요. 평생갑니다. 50대 공대아재입니다.

  • @user-bv4sb5hj8t
    @user-bv4sb5hj8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의견에 저도 동감입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실천에 옮기겠습니다.

  • @user-so7bs1xe8m
    @user-so7bs1xe8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거의 80% 정도는 공감도 되고, 새로운 걸 배웠네요. 다만...역시 교수님 고리타분한 구석이 있으시네요. 드는 예시들은.. 와닿지 않아요. 그럼에도 많이 배웠습니다. 훌륭한 아이디어를 주셨어요.

  • @user-lm1qx1qx8q
    @user-lm1qx1qx8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재능 맞아요
    재능이 있으니 그쪽으로 더 많이 연습하니 1만시간이 됬겠죠

  • @user-kx6km4ze6f
    @user-kx6km4ze6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몰입 책 주문하고 영상을 찾아보았습니다. 저는 중고등학교 수학 교사이고, 고1때까지만해도 수리영역 모의고사 4등급이었어요. 그런데 고1 여름방학 동안 정말 몰입하여 수학 공부에 집중하니.. 바로 9월 모의고사에서 1등급이 나오더군요. 그때 느꼈습니다. 아, 결국 생각하는 힘이 가장 중요하구나하고요^^ 그당시 수학 문제 해결하는 꿈도 꾸고 그랬었네요. 이제는 또 다른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 몰입을 실천하려하고 합니다. 사랑하는 4살,2살 아이들을 둔 두 아이의 엄마지만 또 저의 인생도 정말 중요해서요~~ 나중에 이렇게 제가 경험하고, 앞으로도 경험할 일들을 자녀들에게 꼭 알려주고 싶네요. 또 자녀 교육, 학생들 교육에도 잘 적용 시킬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해봐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모두 행복하세영

  • @user-eh4jm8zh4p
    @user-eh4jm8zh4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님 바로 구독 눌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h3pg9se3f
    @user-xh3pg9se3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귀한 영상❤ 좋은 말씀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olafide8001
    @solafide800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제 평소의 생각과 동일합니다. 대한민국의 많은 부모들이 이 영상을 보고 자녀교육에 대한 생각을 성장시켰으면 좋겠습니다.

  • @user-wk7cl9lw8f
    @user-wk7cl9lw8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저도 아이들을 교육하는 일을 하는 데요. 오랫동안 아이들 스스로 해결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 빨리 결과가 안 나오면 교사 탓을 하는 부모님들 때문에 상처를 받았었어요. 교수님의 강의에 정말 위로가 됐어요. 제가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더 끈기가 있는 교사가 돼야겠어요.

    • @ootrquivnt
      @ootrquiv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콩콩팥팥😂

    • @user-pr5vv8md7y
      @user-pr5vv8md7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ootrquivnt😂😂😂😂😂

  • @goldensaying3
    @goldensaying3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 @user-pn1ib8ok1k
    @user-pn1ib8ok1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들이 추천해줘서 들어봤어요.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soonjaryou7970
    @soonjaryou797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몰입하는 습관은 어릴 때 만들어지는 거군요. 어린 자녀를 둔 불안한 엄마들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몰입한 아이들을 자주 방해하는 걸 깨우칠 필요가 있어요.

    • @user-cp8dz7ix7w
      @user-cp8dz7ix7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완전 공감이요. 아이들은 몰입하고 너무 즐거워하는데 부모가 참지 못하고 이것저것 들이대며 몰입을 방해해요.
      백날 얘기해도 이해를 못하고 아이가 반복하고 있으면 얘는 왜 이것만 하냐며 답답해 하거나 교사의 나태함으로 치부합니다.
      정작 답답한건 애에게 걸림돌인 자신인줄도 모르면서요

  • @da-sa
    @da-s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공부 예술 운동 3가지 중 가장 재능을 많이 받는 분야가 공부라는 연구 결과가 있죠. 심지어 예술 운동 분야보다 압도적으로요

  • @romikim4548
    @romikim454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황농문 교수님.

  • @SoilPE
    @SoilP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사이트가 원래 페이스북에서 뜰때는 사실확인이 안되는 막장인줄 알았는데 많이 바뀌었네요 정말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 @Dynorphin
    @Dynorphi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잘하고 재능이 있어야 몰입을 하지. 지루하면 못하고 못하면 스스로 지루해 하고 무한 반복임. 1만시간 했다는 건 이미 타고난건데... 억지로 그시간 버틸 아이 없어. 아는 판사 아들은 노력없이 취학전에 두꺼운 책보면서 몰입함. 근데 수학은 몰입 못함.

  • @user-sx8xk4pv7f
    @user-sx8xk4pv7f ปีที่แล้ว +38

    너무나 중요한 정보 얻어갑니다
    유튜브의 순기능을 체감하는 영상이네요..

  • @user-wh4zk6wk9d
    @user-wh4zk6wk9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문의드립니다.지적장애정도 머리로도 수학문제를 풀때까지 생각해야 하나요? 생각하다보면 풀수는 있을까요? 뇌의 한계가 있어서 풀지못할까요?

    • @kyungeenms
      @kyungeenm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준에 맞는 문제들을 풀면서 차근차근 수준을 높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user-cn9zu6zg6m
    @user-cn9zu6zg6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사이트 코리아님~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너무 잘 봤습니다. 부자 되세요^^

  • @user-uc8ym3bt6r
    @user-uc8ym3bt6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교수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 합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misukms5439
    @misukms5439 ปีที่แล้ว +126

    서울대 상위1%학생의 공통점은 미지의 문제를 포기하지않고 끝까지 풀려고 도전하는 정신이군요.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은 어릴때 어려운 수학문제를 끝까지 포기하지않고 푸는 학습방법과 관련이 있다 요즘 고2딸이 수학은 유전이라고하면서 노력해도 안된다고하는데 교수님말씀을 공유해야겠어요

    • @juwonjeong4792
      @juwonjeong479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뭐 모든 게 재능의 영향은 있지만
      보통 본인 자신은 공부에 있어서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 잘 모를 겁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은 평범하기 마련이에요 왜냐면 그게 평균이니까요
      그리고 내가 진짜 재능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을 만큼의 미친 듯한 노력 또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노력해도 안 되는지는 섣불리 판단할 수도 없다는 거죠.
      수학은 유전? 원래 인간의 모든 건 유전적인 게 맞으나,
      유전이라는 게 단순히 부모, 조부모를 넘어서 조상까지의 영향을 미치는 거예요
      그래서 단지 부모님이 공부를 못해서, 나 또한 재능이 없다고 판단할 수만은 없다는 거죠.

    • @user-is5dp2mg2l
      @user-is5dp2mg2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아이가 좋아하는 쪽으로 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그래야 행복하고 몰입도하죠

    • @listenerkr
      @listenerk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교수님은 본인이 학습해서 풀어내는 능력은 서울대에서 중간이라고 했는데요. 모든 사람한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요.

    • @user-nw9vt2ly1i
      @user-nw9vt2ly1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어느정도 수준까진 따라갈 수 있어도 수학은 타고난게 맞다고 봅니다

    • @lliiilliilliilililllil
      @lliiilliilliililillli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죽어라해도 안되는건 안되는게 수학과 예체능임

  • @user-sz3rj3qd2u
    @user-sz3rj3qd2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우~ 인생강의 잘들었습니다~

  • @user-rz2bz4ik6y
    @user-rz2bz4ik6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 @misukms5439
    @misukms5439 ปีที่แล้ว +17

    재능의 차이는 피드백이 있는 신중한 연습 deliberate practice 시간 에 따라 다르다

  • @enock5623
    @enock562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3

    4세 아이가 부모가 시킨다고 몇 시간씩 앉아 있는거 자체가 재능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노력을 할 수 있지만 즐기는 사람 못따라간다란 말이 있지요. 물론 어떤 사람은 억지로 했다고 하는데 억지로 할 수 있는것도 능력입니다. 결론은 노력보다 재능이라 생각합니다.

    • @user-xg9zy1gz7o
      @user-xg9zy1gz7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맞습니다. 어떤 부분이든 해결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은 결국 그것이 즐겁고 재능이 있다는 말입니다. 유난히 공부만 재능이 아니라는 것도 매우 웃깁니다. 예체능은 노력만으로 안됩니다. 재능이 있어야 제대로 합니다.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 @user-qs1ez3jt6h
      @user-qs1ez3jt6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맞아요. 재능이 타고났으니 4살 모짜르트가 연습을 할 수 있어요. 일반 아이들은 우울증 걸릴 거예요.

    • @Rosa-gf9hr
      @Rosa-gf9h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user-qs1ez3jt6h 우울증정도면 다향이죠 정신병 걸립니다

    • @20cmusic
      @20cmusi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남탓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재능탓 하지요. 집중도 훈련이고 부모 영향을 받습니다. 본인은 책 한 권 안보고 스마트폰 TV 들여다 보면서 애들한테 뭘 바라는 부모들이 태반입니다. 아니 태반을 넘어서 대부분이죠.

    • @20cmusic
      @20cmusi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user-qs1ez3jt6h애들 학교 학원에 처박아둔 시간과 모짜르트가 연습한 시간을 비교하면 어느쪽이 많을까요?ㅎㅎ

  • @sophia50827
    @sophia5082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말씀~~명심하겠습니다

  • @jungamz
    @jungam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평소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정리를 해 주시니 후런 하네요 ^^

  • @chos.h.1689
    @chos.h.168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끈기있게 할수 있는것 자체가 재능이고 타고 나는것이라 봅니다

  • @cary6385
    @cary638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래서 미국등 서양에서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게 아니라 주제를 가지고 깊이 탐구하고 생각하고 프로젝트하는 학습을 많이 하는거죠. 그리고 실제로 그런 학습을 공교육에서 받으며 컸으니 더 창의적이고 특히 산업구조 발달에서 자본의 투자 등의 도움을 받았을때 세계를 장악할만큼 더 영향력있는 것을 만들어 내는거고. 아무리 삼성이 성능좋은 기계를 만들어낸다고 해도 애플은 사람들이 여러 기능이 좋은 폰이 아니라 이미지에도 적지 않은 포커싱하는 점을 이용해 마케팅을 하고 미국이라는 자본배경을 갖고있죠. 아무리 천재가 있어도 자본, 전체적인 사회의 인재 사용 방향이 틀리면 활용이 안되는듯. 우리나라는 일부 연구원 말고는 부품으로밖에 생산 활용될수밖에 없는 직장이 대부분이라서.

  • @ashleyyoo4857
    @ashleyyoo485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아이를 키우면서 여러 아이들을 보니 한문제를 끝까지 푸는 거,어려운 악보 한 마디를 몇 시간이고 연습하는 거 모두 교육방식이나 환경보다 타고난 기질 같더라구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것. 이또한 타고난 성향 같아서요. 전두엽이 너무 중요한거 아는데, 전두엽을 발달 시키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 지 가장 궁금합니다. 유투브 같은 단순 자극형 영상에 덜 자극 받으면서 무던해지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까요.

  • @kimjunghyun100100
    @kimjunghyun10010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감되네요..

  • @minakim9658
    @minakim965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언급하신 연구로 낼 수 있는 결론은 세계적인 음악대학에 들어올 수 있는 정도의 연주 실력을 가진 사람일 경우, 1만 시간을 채웠던 경우면 톱 연주자가 되고, 1만 시간을 못 채운 경우면 교향악단 단원이나 레슨 선생이 된다 입니다. 세계적 음대에 들어오지 못한 집단의 경우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줄 수 없어요.

  • @user-ku9xj7cv8t
    @user-ku9xj7cv8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몰입의 중요성을 넘 잘 설명해 주시네요
    천재는 만들어지는 거였군요
    헝가리교육을 우리나라도 도입이
    시급한듯 여겨지네요

  • @Silverpiano
    @Silverpian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mazing. This explains a lot what I experience at work! Problem solving mechanism. 💯

  • @syh6577
    @syh657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마어마하게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게 한다... 이게 현재 수능 킬러문항 논란하고도 맞닿는 부분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네요. 그니까 스킬을 배우게 해서 짧은 시간 내에 킬러문항을 풀게 할 것인가, 도전하게 해서 킬러문항을 해결하게 할 것인가의 차이가 있겟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