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0.1%만 간다는 서울대┃그 안에서도 A+만 받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서울대 A+ 학생 1000명의 데이터 몰아보기┃다큐프라임┃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พ.ย. 2023
  •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을까? 대한민국 최고의 공부 달인들이 모인 곳, 서울
    대학교. 그 중에서도 최고의 학생으로 꼽히는 서울대 A+ 학생의 비밀은 무엇일까?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7년간 근무한 이혜정 소장은 이전에 아무도 연구하
    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의 연구를 생각해냈다. 서울대에서 4.0 이상 학점을 받는 최
    우등생 46명의 행동 패턴을 연구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서울대 전체 학생 1,213명에
    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공부 잘하는 학생’에 대한 빅 데이터를 만든 것!
    몇 년에 걸친 연구 끝에 마침내 '서울대 A+' 학생들의 ‘평균적인 모습’이 베일을 벗
    었다. 하지만 기대와 너무도 다른 결과를 보고 크나큰 충격에 휩싸인 이혜정 소장
    과 연구팀. 12월 14일 저녁 9시 50분에 방영되는 교육대기획 ‘시험’ 4부 '서울대
    A+의 조건'에서 그 이유가 밝혀진다.
    정답 아닌 ‘정해진 답’ 만을 강요하는 한국 교육에 던지는 의문
    이미 정해진 답만이 바른 답이고, 출제자의 의도와 다른 답은 모두 틀린 답이라 배
    우며 ‘덜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는 학생들. 우리가 끊임없이 만나는 시험엔 학생의
    생각이 끼어들 틈이 없다.
    “이것은 연필입니다. 이것은 연필일 수도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문장의 차이는 무엇일까? 한 가지의 정해진 답만 강요하는 교육이 떠오
    르는 생각을 어떻게 가로막는지,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앨런 랭어 교수의 놀라운
    실험을 통해 되짚어본다. 우리는 과연 어떤 학생들을 키우고 있는가?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시험 4부 서울대 A의 조건
    ✔방송 일자 : 2016.11.16
    #다큐프라임 #시험 #서울대 #서울대조건 #서울대A+ #서울대공부비법 #공부방법 #서울대진학 #서울대목표 #서울대입시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1K

  • @AllisBetter
    @AllisBette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0

    이런 연구를 해주신 이혜정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 교육 정말 변화해야합니다 교육열이 높고 근면성실함에 우리나라가 이렇게까지 발전한건 너무나 맞는 말이지만, 달달 외우기 잘하는 기계같은 아이들양산하는 교육 바뀌어야합니다.

    • @user-bp1tv5by1q
      @user-bp1tv5by1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노예는 생각을 안하고 달달외우는 기계가 되는편이 편합니다

    • @twou4851
      @twou485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런애들은 어차피 전문직가서 고급노예로 사회를 유지함 다 필요한 애들임

    • @____-rg8hp
      @____-rg8h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니죠. 어느 정도의 기초 지식은 주입이 된 이후에 창의적인 생각이 나오는 겁니다. 미국의 지금 상황을 보세요. 인류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가치도 주입이 되지 않으니 하루도 빠짐없이 총기 사고 가 일어나고 있는 겁니다. 이런 연구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서 정책에 적용해서 기초 학력 저하가 일어난 것입니다. 비판적 사고는 대학 3학년 때부터 해도 늦지 않습니다.

    • @raenil5522
      @raenil552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____-rg8hp 우리나라 총기 합법이면 미국 못지않게 많이 일어났을 것 같은데요..

    • @____-rg8hp
      @____-rg8h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aenil5522 총기 난사는 그냥 한 예이고 약탈도 많은 무법 천지가 바로 미국인데 무조건 미국식이 좋다는 것이 바로 생각할 줄 모르는 사고 방식이죠. 하위 60%는 완전 바보인 곳이 바로 미국입니다.

  • @user-vj8hv6nv3h
    @user-vj8hv6nv3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4

    학점을 높게 받으려면 의문을 가지지 말아야한다..... 너무 슬프네요

    • @user-rationalist0
      @user-rationalist0 8 วันที่ผ่านมา

      모든 서울대 수업이 저런거 아니에요. 질문 좋아하는 교수님들도 많아요.

  • @NationalGeographicChannels
    @NationalGeographicChannel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7

    한국에 창의적 인재가 안나오는 이유중 하나
    정치가 개판인 이유중 하나
    토론 문화가 없음
    답을 외워보기만 했지 의논하거나 설명해본적이 없음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대학의 의미가 많이 퇴색됨

    • @55087
      @5508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이준석이 토론문화 가져오니까 싸가지없다하잖음ㅋㅋ 정치권부터 저런데 당연히 그 밑 분야는 더그러겠지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55087 이준석 토론방식에 태클을 건다 = 맞대응할 피지컬이 안된다

    • @55087
      @5508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w6ql7gw3m 조정훈처럼 도망가는게 이해는되죠ㅋㅋ 이해는되지만 추한건 추한겁니다

    • @user-yo1fv1uw6l
      @user-yo1fv1uw6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w6ql7gw3m이준석자체가 별로임 토론이니 뭐 말빨이니하는데 글쎄다?

  • @user-jf2ds894fd
    @user-jf2ds894f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7

    서울대에서도 A+ 받으려면 교수 말을 그대로 적고 외워야 한다고 이전 다큐에서도 본적 있네요. 이런 교육가지고 세계적인 인재들이 가능할지, 그냥 교수말 외우기 녹음기들만 양산하고 있는건 아닌지 우려되네요

    • @55087
      @5508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그게 이거임. 이거 요즘게 아니라 재업한거임

    • @user-jb5po1hi5l
      @user-jb5po1hi5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누가 더 잘 외우나 시험 ㅋㅋ

    • @user-yo1fv1uw6l
      @user-yo1fv1uw6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발전은 없이 그냥 딱 공장에 넣기좋은사람들

    •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신도바보 바보야

    • @user-rb9pq5wg2h
      @user-rb9pq5wg2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모든 과가 그렇지는 않을 거 같은데요...
      특히 공과 계열은 외운 것을 보는 시험이 아니고 이해 하고 있는 지 평가하기 때문에...

  • @vega4147
    @vega414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8

    한국의 교육이 계속 이렇게 나아간다면, 소위 인재라는 사람들은 모두 AI에 대체될 것이다. 질문할 줄 모르고 암기만 하는건 AI를 이길수 없거든요.

  • @user-fj7jt3hr8f
    @user-fj7jt3hr8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8

    현직 교수입니다. 저도 학창시절 이론에 맞는 답을 내놔도 "특정 단어" 등이 설명에 빠져있다고 점수를 못 받았던 기억들과 모든 페이지를 암기한 친구들이 학점을 잘 받은 기억에, 이게 공부인가 회의를 느꼈죠. 지금은 최대한 학생들이 스스로의 정답을 꺼낼 수 있도록 교육하고, 학점을 주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학교 밖에서 학생을 바라보는 시선은 "학점" 밖에 없다보니, 그 점수의 기준이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인 것 같네요. 외우기로 점수를 매기면 "객관적이어 보이기"는 하거든요... 참 어렵습니다. 그래도 제가 아는 많은 젊은 교수님들께서는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조금씩 이렇게 바뀌어나가지 않을까요.

    • @user-fj7jt3hr8f
      @user-fj7jt3hr8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참고로 그래서 2024 수능 수학 22번 같은 문제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랜만에 꽤나 재미있는 문제가 나왔더군요. 선행학습 필요없이 "사고 능력"으로 푸는 문제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들을 "킬러문항"이라느니 언론 플레이 하는 방식이 결국 계속 사고 능력을 키우지 못하게 하는 큰 요인이 될 것 같아요. 올해 출제 위원들도 아마도 저처럼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게 문제를 내자."하는 마음에 내셨을 것 같은데 외우기 공부만 하던 학생과 학부모들이 반발을 하니, 다음 출제 위원들은 이런 언론 플레이를 아무래도 의식할 수 밖에 없겠죠...
      딜레마네요...

    • @Tuxitdtid
      @Tuxitdti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user-fj7jt3hr8f개인적으론 킬러문제가 논란인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상위권 변별을 위해선 무조건 있어야 할텐데.. 뭔가 정치적 필요에 의해 계속 건드는것 같습니다 물론 교육과정 외의 내용이다 이러는데 사실 엄밀히는 그렇지도 않다고 생각하거든요..

    • @redchello6359
      @redchello635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정말 교수님이시라면, “~~않을까요”보다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바를 실천해보시는것이 어떨까요? 누구보다 많은 생각과 고민들을 하시는 이 사횡의 리더이자 교육자이자 학자이시니까요.

    • @realizer1686
      @realizer168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국력낭비입니다
      교수님들이 바뀌어야 하는데
      아쉽습니다
      아쉽지만 전향적으로
      미국에서 교육받은 교수들을 전적으로 채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전향적으로 바꾸어 나간후
      정착 될수있도록 해야합니다

    • @user-hi3kj6uc8k
      @user-hi3kj6uc8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좋은 생각 공유 감사합니다.
      교수 님
      학생, 교육자도 아닌 평범한 30대 중반 직장인 인데 짧은 글에 많이 배웠습니다.

  • @jayandwise
    @jayandwis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1

    S그룹사 이사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이런 이유로 쥬니어급 인력 뽑을때 국내 상위대 고학점자는 서류검토 시 경계대상입니다.
    답이 정형화되어있지 않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샹황에서 꿔다놓은 보릿자루 처럼 조용히 회의록 정리는 잘 하지만 창의적인 문제해결 위한 의견개진이나 critical reasoning, analytical thinking 등은 기대하기 어렵거든요.
    이 연구는 대단한 연구네요. 서울대는 현재 faculty 들을 50% 이상 구조조정하고 외국인 교수로 교체해야 할 것 같네요
    낡은 교수법이 기업 경쟁력까지 병들게 합니다.

    • @user-uo8cv9we7j
      @user-uo8cv9we7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풉... 뻥치네

    • @user-vo8ur7gj8c
      @user-vo8ur7gj8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게으른 천재와 바쁜 바보.... ㅎㅎㅎㅎ 열심히 일하는 영원한 졸개들... ㅋㅋㅋㅋ.

    • @user-is8ht2rl9i
      @user-is8ht2rl9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하.. 아저씨 국내 상위대 라고 규정지을게 아니라 그냥 국내 대학교라고 하는게 논리적으로 맞지 않음????

    • @user-is8ht2rl9i
      @user-is8ht2rl9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굳이 국내 상위대라고 말한거 보면 그냥 '국내 상위대'에 열등감 있으신거 아님?

    • @seclit
      @secli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한글로 쓰면 되지 쉬운 단어들만 영어로 써 놓았네... 문장에 영어 좀 찌그려놓는다고 멋지거나 좋아보이진 않네...

  • @vayne204
    @vayne20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9

    학생이 문제가 아니라 교수의 평가방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군요

    •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하버드대학에도
      한국 교육시스템을 적용하면
      멀쩡히 잘하고 있는 학생한테도
      없는 죄 씌워서 C를 줘야 합니다.

    • @day2895
      @day289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뭐 한국에서 그렇게 인재 키우겠다는데 뭐 왈가불가할 필요는 없겠지. 구태여 내 에너지를 써봤자 달라지는걸 본게 거의드뭄 서양방식이 좋은지 나쁜지도 모르겠구

    • @user-fe9ww6cw7e
      @user-fe9ww6cw7e 15 วันที่ผ่านมา

      동감입니다
      에디슨이 생각나네요

  • @kdjsky320
    @kdjsky32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1

    연구 주제도 흥미로왔고 연구 결과도 의외였습니다.
    이 영상은 교수님들이 보고 느끼점이 있어야 할꺼 같은데요
    창의적인 자기 생각이 있어도 점수가 깍일까봐 그 답을 써내지 못하는 학생이 있다고 합니다.

    • @jhj4005
      @jhj400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생각만 하고 시험볼때만 그렇게 하면될듯

    • @user-cq4qn9xj8l
      @user-cq4qn9xj8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josh103 그런걸 명분삼아 장벽을 만드니 문제죠

    • @iillttiljj
      @iillttilj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굳이 창의적이란 표현을 않더라도, 배운내용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 다른 부분을 표출하면 점수가 깎인다는게 문제입니다. 빈약한 근거란 표현도 있지만 어차피 다른 의견을 내는 애들도 배운 내용을 이해하고 그걸 기반으로 다른의견을 내는거라 배운내용을 모르는 상태가 아니거든요. 그렇게 답을 써도 불필요한걸 적었기때문에 감점이 됩니다

    • @user-wz3hs1yq6d
      @user-wz3hs1yq6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교육에 목숨건 5천만이 사는 나라에서
      한정된 성공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가려면 단계별로 추려낼수밖에 없고, 지자식 출세를 위해서라면 어떤 악행도 마다않는 2천만의 학부모가 존재하는 이땅에서, 그나마 가장 공정하게 우월한 넘을 골라내는 방법이 4지선다형 밖에 없으니까 ..지금의 교육방법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시험이던,평가던 약간이라도 주관이 가미되면, 납득하지 않는 풍토도 한몫 했지요
      아마 대학교수들도 그런면도 감안하고
      또 본인들 학문적 게으름 때문에 받아쓰기 평가를 하는것 같은데 그건 조금 아쉽네여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jhj4005 우리 인생이 허비되기떄문에 10년 학교생활하면 세상나와서 싹다 청산하고 내인생 리셋해서 10년을 다시 새삶 살아야 창의적인 방식이 비로소 탑재됨
      그런대 돈벌려고 세상나왔는대 그 10년을 다시살려고 할 때 자본은 어디서 뒷받침됩니까

  • @user-oi9bv4ev5q
    @user-oi9bv4ev5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2

    정말이지 놀라운 연구네요... 많은 유명한 정치인들의 숨막히는 언행과 논리가 이런 결과가 아닐까 싶네요
    우리나라의 다른 대학들은 어떨까요? 짐작컨대 비슷할 것 같습니다. 그렇게 교수님본인들의 생각이 보편타당한 진리라면 인강으로 전국민 전세계인에게 배포하시면 되겠습니다.

    • @suking404
      @suking40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josh103어쨌든 자신의 관심 주제에 맞게 자신이 취사선택한 이론만 가르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거 맞죠. 모든 이론의 반대편 주장이나 소수의견도 같이 제시하시고 학생들의 생각을 물어보는 것이 사실 더 어렵죠. 교수나 학생이나.... 어쨌든 기존 이론의 일부를 내 관점으로 걸러서 제시하고 딱 그 만큼만 암기해서 적도록 한다는 거... 초등부터 질문이 있는 수업, 토론 수업, 하브루타 등 백날 해봐야 대학교육과 입시제도 개선되지 않는 한 한국은 앞으로도 쭉 일류는 어렵다는 거ㅡㅇ

  • @falconer8058
    @falconer805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

    본인의 잠재적 능력보다 교수 눈치를 보면서 공부를 해야되는 우리나라 최고 대학 교육의 현실..

  • @user-tv2rw6ie1d
    @user-tv2rw6ie1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7

    교수 본인들도 공부과정이 그러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도 그렇게 가르치는 것임. 따라서
    우리 사회의 진정한 두뇌, 똑똑하고 창의적인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변화되어야 한다.

    • @gonjalez747
      @gonjalez74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하지만 기득권의 힘은 그걸 차단하죠

    • @user-cq4qn9xj8l
      @user-cq4qn9xj8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사람들이 권위와 명분을 좋아하는듯 지배하고 군림하는걸 좋아해서

    • @suking404
      @suking40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입시제도부터 바꿔야 해요. 미국처럼 대학이 직접 학생을 뽑도록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댓글을 다는 사람들이야말로 현황에 가장 무지한 이일 가능성이 높음. 과연 이 사람들이 수시 본고사에 대해 알기나 할까.

    •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rw3bk6wp4m ㄹㅇㅋㅋ 맨날 잘못 됐다고만 말만할뿐 해결책은 제시도 못하는 사람들
      서양은 다를거라고 환상품는사람들 ㅋㅋ

  • @junl7428
    @junl742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저는 개인적으로 철학의 부재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가 철학과라서 이런 얘기를 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경제학과면 모두가 경제를 알아야한다고 생각하고 과학관련 학과면 모두가 그 과학적 지식을 알아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처럼요.(모든 사람은 그런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철학이 최고의 학문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철학과에 다니면서 배운 것이 있다면, 남는 것이 있다면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다른 사람의 의견을 일단 수용하는 태도가 생겼습니다. 철학을 배우다보면 수천년전 철학도 배우기 때문에 요즘 시대에는 얼토당토한 철학도 배우게 되는데요.(간단한 예시만 들어도 플라톤의 이데아론? 말이 안되죠..) 하지만 일단 그 철학적 논리를 이해해야하기 때문에 수용해야했죠. 하지만 동시에 가장 중요한건 비판하는 태도였습니다. 앞에서 얘기한 플라톤의 이데아론이 현시대에는 말도 안된다는 건 모두가 압니다. 하지만 왜 말이 안되는지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우리들도 그런 경험이 굉장히 많을겁니다. 뭔가 말이 안된다는 느낌은 드는데 그걸 논리정연하게 반박은 잘 못하겠는 경험.. 그런 훈련을 철학과 다니는 내내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비판적 태도는 철학의 근간입니다. 플라톤 비판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나올 수 있었고 그 둘로부터 서양의 수많은 철학이 영향을 받았죠. 그 유명한 칸트는 흄의 철학 비판으로 탄생했고, 그 유명한 니체의 철학은 칸트 철학 비판으로 탄생했고, 그리고 하이데거 철학은 니체 철학을 빗겨가며 탄생했고, 다시 데리다의 철학이 하이데거 철학을 비판하며 탄생했죠. 이 점에서 배우는 점은 상대방이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더라도 그 생각을 비판하며 발전한다는 면에서 비판에 대한 긍정적인 면모를 발견한다는 겁니다. 사람은 분명 자신의 의견에 반하는 생각에 불쾌감을 가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철학을 배우면서 내 생각이 반박당하는 것이 절대 나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오히려 긍정적이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이 창의력을 발전시키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것에 거침이 없게 만들어서 질문하는 문화를 만든다고 느꼈습니다. 실제로 저는 다른데서는 질문을 잘 못하는데요😅 제가 다니는 학교에서는 질문을 곧 잘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만약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더라도 일단 수용해주고 그 다음 비판해주거든요. 그래서 반박당하더라도 전혀 불쾌하지 않았습니다.
    이 점에서 또 배우는 점은 사회전체가 이러한 태도를 가지면 좋겠다는 겁니다. 영상에서는 한국인의 수용적인 태도를 비판하고 비판적인 태도를 예찬하지만 저는 오히려 지금 한국 사회에 부족한것은 수용적 태도입니다. 그리고 비판적 태도입니다. 수용 후 비판, 이게 잘 안됩니다. 저도 그랬고 지금도 가끔 그러거든요. 하지만 철학을 배우면서 수용할 줄 알고 비판할 줄 알고 세상에 다양한 시각을 배운 것이 철학과에 간 것을 후회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 @user-cr9id7ur3n
    @user-cr9id7ur3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4

    왜라는 질문이 없는 교육은
    더이상 4차산업에서 먹히지 않는다..

    • @user-ev3ph6hw5r
      @user-ev3ph6hw5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그런 의미에서 수능도 점점 의미 없는 시험이 되어감
      문제 푸는 방법을 잘 익힌 사람을 가려내는 시험인데 이건 AI가 가장 잘하는 분야라ㅋㅋㅋ
      단순히 잘 외우는 것만으로는 프레카리아트끼리의 도토리 키재기에 머물게 될 뿐 그걸로 사회적인 경쟁력을 갖췄다고 보기 어려운 사회가 되어가는 중임
      수많은 회사에서 인력을 AI로 대체하고 있는 만큼 사회 구조적으로 빠른 변화가 필요함

    • @none-go6hj
      @none-go6h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정합니다. 4차 산업을 주도하는 it 기술의 핵심은 "왜"입니다.

    • @fdasflklkll0213-
      @fdasflklkll021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B시스템 도입하는거 아시나여? 이제는 지방 서울쪽 도입한다고 합니다 성공적이라고 하네요 아직까진. 다만 교육방식이 한국교육 + IB라 그걸 모두가 따라와줄지가 관건인데....@@user-ev3ph6hw5r

    • @love_pretty_yeji
      @love_pretty_yej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ev3ph6hw5r수능은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시험임 ㅋㅋ 무슨 암기야

    • @user-gx7gd9cc3i
      @user-gx7gd9cc3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yperTek12 애초에 걔는 작품에 대한 해석, 비문학 지문에 대한 정보 전부 알고 치는거잖음. 그래도 80점대면 사고력 시험이 맞지. 인간이 GPT만큼의 배경지식을 가지는건 불가능하니까.

  • @user-rh3tl3kd2i
    @user-rh3tl3kd2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3

    학생들이 진정한 공부와 탐구를 할수있도록 서울대 교수님들이 바뀌어야 하겠네요😢

    • @user-wz1bo7tl9x
      @user-wz1bo7tl9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부담이 적은 측면만 바라보는게 과연 이로운 행동일까요?@@josh103

    • @zaqplm-hf5hj
      @zaqplm-hf5h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josh103 모든 과목이 발표/토론 위주면 진짜 대학 다니기 힘들겠네...

    • @user-xv7qk8mk3j
      @user-xv7qk8mk3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목에 따라 다를듯 자연과학은 토론 수업이 쉽지않음

    • @onecer09
      @onecer0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 영상은 대한민국 전체의 교육을 얘기하고 있어요 서울대는 예시일 뿐이에요

  • @LKRESIDENT
    @LKRESIDEN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학점을 잘받기위한 공부법과 창의력을 발휘하는 공부법은 다르다고 생각해요. 서울대 나오고 미국에서도 공부를 해봤는데 가장 큰 차이는 테스트가 아니라 수업시간이었습니다. 테스트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비슷한데 수업시간은 완전 다르게 미국에서는 질문과 토론이 많았습니다. 그치만 테스트는 미국에서도 한국과 비슷하게 암기하고 적는 것들이 많았는데 오픈북이고 몇개 오픈엔드 의견을 묻는 질문들이 몇개 있었습니다. 수업시간과 테스트는 완전 같을 필요는 없지 않나.. 수업시간을 좀 더 자유롭게하고 테스트에서도 좀 자유를 두면 좋지않을까..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가 모르면 자기가 아는 영역만 닥치고 들어고 / 교수가 두루 많은걸 알면 모든걸 답할 준비가 되 있겠죠

    • @suzieb4825
      @suzieb482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에서 테스트가 한국과 비슷하다고 하는것은 학과와 학교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경우에는, 보통 우리가 농담으로 교수님이 영어로 수업하고, 스페인어로 숙제 내고, 그리스 말로 테스트 한다고 할정도로, 암기로는 절대 숙제도 못하고, 시험도 못보는경우가 많았습니다.

  • @user-wm5wf2yp5w
    @user-wm5wf2yp5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2

    시험때 비판적인 답변을 한 학생이 수업을 더 열심히 들은 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수업을 완벽히 이해했기 때문에 오히려 의문점도 생기고 반대의견도 생기고 하는 거 같네요. ㅎㅎ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9

    서울대 교수들은 세계 최고의 인재를 졸업할 때는 평범하게 만드는 기묘한 재주들이 있습니다

    • @anotherone4071
      @anotherone4071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서울대만큼 다양하고 이질적인 교수들이 많은 곳도 없지요. 한국의 다른 학교는 어떮것 같애요? 문제는 저런 학생들은 창의적인 그리고 비판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수업은 잘 안 들으려고 하죠.

  • @soonmikweon2604
    @soonmikweon260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와…. 서울때 교수님들이 봐야 할 다큐.

    • @user-xv7qk8mk3j
      @user-xv7qk8mk3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과 특히 인문학쪽 얘기임

    • @user-hy5qx7vi7t
      @user-hy5qx7vi7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들은 절대 이 프로그램 안봅니다. 이미 권위적인 틀안에서 본인들의 ㅅ대를 가지고 학생들을 평가할뿐이죠.
      한국 최고대학의 수업방식에 미래가 있을따싶은 마음에 좌절감이드네요

  • @user-dq9jf5pu4k
    @user-dq9jf5pu4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대학교때 공부 좀 해본 사람들은 공감할 듯..공식이나 이론, 원리에 대해 근원적인 의문을 가지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면 본인만 지치고 성적이 안 나옴..
    그래서 납득이 안 가도 그냥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연습해야 한다고 해야 하나.
    나는 이공계였는데 어떤 과목에서 시간을 많이 들여서 누구보다 깊게 이해했고, 누구보다 잘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음.
    근데 시험때 사소한 계산 실수로 족보와 기출만 외운 친구보다 성적이 낮게 나옴..; 그때부터 공부 방식을 바꿨음

    • @kyeonghunjo2597
      @kyeonghunjo259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나도 전자기학 시험 때 공부 깊이 해서 시험 쳤지만, 대놓고 족보 컨닝한 놈들보다 점수 낮게 나옴..

    • @user-rm8pn8ft9s
      @user-rm8pn8ft9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일단 일반물리학1,2 공학수학 회로이론 이런 방대한 공부를 한학년안에 끝낸다는거 자체가 미친거임. 원리 이해 공부는 당연히 불가능하고 결국 족보싸움,누가더 예제,실전문제 많이 외우나 싸움이 되어버림.. 개현타옴

  • @user-hi2tg9fl1e
    @user-hi2tg9fl1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9

    서울대가 저 정도면 대한민국 교육의 교수법에 문제가 심각한 것 같네...창의력 말살 교육인가

    • @user-bl4so1bv4s
      @user-bl4so1bv4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기초적인 공부가 선행되어야 비로소 자기만의 생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게 창의력이지 무에서 유가 창조 되는 원동력이 창의력이 아닙니다.
      학부 수준의 공부는 그 기초적인 공부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지식을 전달함에 있어 좀 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요.

  • @user-dj8ne7qx2x
    @user-dj8ne7qx2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7

    와 충격이다 ...서울대 교수님덜 정신차리세요!!!

  • @user-bm7yz2gw1w
    @user-bm7yz2gw1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사회 전반도 똑같다. 얼마나 빠르게 권위에 자신을 맞추는가가 핵심이다. 하지만 소수로서 더 크게 빛을 보는 사람들이 분명 존재하기도 한다.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서울대 교수들이 시험을 저런식으로 내서 학생들이 생각하는 능력을 상실하고 받아쓰기 공부만 하는데 이제 ChatGPT가 서울대학생보다 훨씬 더 우수합니다. 심지어 창의력도 우수하지요. 하여튼 근본문제는 결국 서울대 교수들의 역량에 있습니다. 미국대학교수들이 시험문제를 창의적인 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내는데 왜 서울대교수는 그렇게 못 할까요? 서울대교수들 스스로가 창의적인 생각을 안 하니 그런 문제를 낼 리가 없습니다.

  • @user-gr5hn6py7g
    @user-gr5hn6py7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 재밌네 우리학생들 어린때부터 선생님 말 잘 듣는 아이들 초시하나 안빠지고 다 받아졌는데 자신에 생각과 신렴보다 교수님에 생각 ( 학생들 좋을수 있어도 국가는 ) 학생들 뽑는게 아닌고 인재 뽑는거 사회 국가위해 인재 다른나라 와 경쟁에서 이긴수 있는 우리나라 가까운 일본이나 중국 더 나가 싱가포르 홍콩 스위스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 @jse5217
    @jse521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엘리트들이 다양한 생각보다는 교수의 생각만 가져야만 높은 학점을 받을 수 있다라... 이게 얼마나 무서운건지... 내용이 옳든 그르든 이건 그냥 세뇌지

    • @Snowflake_tv
      @Snowflake_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의 감옥

    • @Snowflake_tv
      @Snowflake_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의 감옥...ㄷㄷ... 매트릭스...

  • @user-bj4qb4mb7t
    @user-bj4qb4mb7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중딩때 음악시간에 4마디 중 2마디가 주어지고 뒤에 두마디를 작곡하는 점수가 중간고사에 반영되는 숙제가 있었다.
    나는 음표를 그려넣었지만 짝꿍은 못하고 있다가 부탁하길래 내가 하나를 더 해서 주었는데 그친구의 숙제점수는 100점으로 나보다 점수가 5점 높았다. 왜 점수가 다른지 물어보았으나 납득할수 없었다.
    시험의 결과는 그런것이다. 주관적으로 평가하면 불공평하다고 생각되고 누구나 납득할만한 객관적인 것이 아니면 불공정하다고 생각한다.
    문제에 교수와 다른 견해를 쓰기때문에 오답이라기 보다는 교수를 납득시킬만한 반론과 근거이지 않다는게 첫번째고 학생마다 다른 반론과 근거를 적으면 주관적인 기준으로 어떤 성적을 내느냐는 객관적으로 모두에게 납득시키기 어렵다는게 두번째다.
    성적결과에 목을 매는 학벌주의 사회에서는 출제자의 견해가 가장 정답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결과를 뽑아내도록 영리하게 그 방법을 써서 성적을 잘 받는다는건 알겠는데 그게 좋은 것인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불공정을 해소할 방안이 있는가 생각해볼 일이다. 뾰족한 수는 다들 없는걸로.. 미시간대에서는 우리만큼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가? 교수의 권위가 그만큼 대단해서 공정불공정에 대한 불만이 없는가? 뒷얘기가 궁금허네..

  • @user-es2en3nj4j
    @user-es2en3nj4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창의력과 다양성이 인정되지 않는 대한민국교육의 미래가 참 암울하네요. 오직 내신 점수 따기 위한 주입식 암기가 대학에서도 이어지고 있지요. 4차산업 시대에서는 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교육 방식

  • @KillerWh4le
    @KillerWh4l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질문왕 승현이가 매트릭스 세계의 니오같다는 생각을 하는데 다른 A+를 받는 아이들 처럼 모든 강의 내용을 전사하고 축약하는 과정을 거치고 결국 나는 없었다 라고 표현하는게 마치 스미스 요원이 매트릭스 세계의 주민들을 오염시켜 자신을 복재하는 모습이랑 너무 닮아있음...
    스미스가 자신의 모습을 주민에게 복재해버리면 주민은 스미스의 모든 사상을 수용하지만 자아는 사라지기 때문임

    • @Snowflake_tv
      @Snowflake_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ㅎㄷㄷ 동의

  • @sjkang5656
    @sjkang565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8

    저희 남편은 외국인인데 한국 탑 글로벌 기업의 외국 개발 연구소에서 근무했었는데 서울대 출신의 한국연구원들과 연구과제 진행중 너무 창의적이지 못한 것에 놀랐다는 얘기를 듣고 그때는 이해를 못했는데 지금 이 영상을 보니 너무 이해가 가네요 이 현실이 너무 안타깝네요 우리나라 교육도 반성을 통해 똑같은 지식만 전수하여 답습시키는게 아니라 청년들이 새로운 것들에 관심과 도전을 할수 있는 풍토를 꼭 만들어 한다고 생각듭니다 그래서 노벨상이 풍성한 대한민국이었음 좋겠습니다

    • @user-vf1tv2ej9q
      @user-vf1tv2ej9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대가리보단창의적일듯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우리나라가 쫄딱 망해서 비로소 이 방식은 현 시대 방식에 도무지 쓸모가 없다는 소 잃은 상태임을 꺠달아야 비로소 외양간 고치려 그때가서 창의적 인재를 키울것임 그리고 나라 생존을위해 자본을 키우기위해 모든 시스템을 창의적으로 뜯어 고칠 것임 / 지금은 이 망할 시스템이 돈이 아직도 되기에 모든문화가 이 틀에박힌 시스템에서 헤어나오질 못함

    • @Sa-er4no
      @Sa-er4n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kw6ql7gw3mㅇㅇ 역사적으로 그래왔음 정치는 항상 못하고 발전의 기미도 보이지않는 부정부패 결국 그 책임과 뒤처리는 국민이

    • @user-qg5ps1nt6x
      @user-qg5ps1nt6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서울대 교수들은 지금이라도 본인의 고리타분한 생각을 버리고 우수한 학생들을 더 나아갈 수 있게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길러줍시다.

    • @user-lw1xm2ey2m
      @user-lw1xm2ey2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2학기 연속 A 받는다는 학생 입에서 "의문 갖지 않고 우선 외운다" 여기서 이미 답 나온 듯....그냥 외운다 대단하면서도 우리나라 교육 안타깝네요. 저 또한 그 교육 받으며 답습 했지만서도 ....

  • @vicstone777
    @vicstone77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정말 충격적입니다. 혹시나 하고 짐작했던게 확실히 증명되었군요. 다음엔 꼭 교수들,학교 교사들 인터뷰 해주세요. 반응이 궁금합니다.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모자이크 천지일껄요

    • @Sennheiser999
      @Sennheiser99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둘 다 문제인겁니다.
      교수가 그런 방식으로 지도해도
      학생들이 따르지 않으면
      교육문화가 많이 변할겁니다.
      지도 하고, 이에 따렀기 때문에
      상호관계가 형성된거죠
      더 깊게 들여다 보면
      자신의 생각이 맞다고
      생각하는게 더 잘못입니다.
      교수의 의견이 맞다고 생각하는것 보다
      강자에 굴복하고 , 현실에 적응하는거죠
      서울의봄처럼요
      한국인 특유의 기질도 작용합니다.
      지식인들과 토론해 보면 압니다,.
      자신이 주장하는거 왠만해서는 수정하거나 수용하지않고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자신의 의견이 뚜렷하지 못한 부류들은
      따를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기도 합니다.
      더불어 타인의 눈치도 많이 보죠
      Voting 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스갯 소리로
      지식인 아니더라도
      어떤 분야에 경력자나
      심지어 인생 경험(연륜) 가지고도
      내가 해봤는데, 살아봤는데,
      30년 경력인데..
      지금까지 살면서
      등등

      경험을 통해 "확신"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확신도 무섭지만
      예외가 없다는것이 더무서운 사고방식이죠
      .

  • @Valiant_lobster
    @Valiant_lobste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개념을 외우고 문제풀이를 잘 하는 것. 그게 입시에서 성공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세상에서 나만의 생각으로 나만의 인생을 살아가려면 다양한 호기심과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져야 합니다.
    즉, 자기만의 생각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대학인 서울대에서 자기 생각을 키워주지 못하고 있네요. 가슴이 아픕니다.

    •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혹시 학부가?

    • @Zeliton1
      @Zeliton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xw6sm9fb4j질문의도가 훤히 보이는데 부끄러운 줄 아셈 ㅇㅇ

    •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Zeliton1 니대학이 더 부끄럽지않냐

    • @Zeliton1
      @Zeliton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xw6sm9fb4j 현 대학의 문제상황에 대해 얘기하는 댓글에
      "그래서 니 대학은?"과 같이 문제점이 뭔지 전혀 모르는 댓글 달아놓은 걸 부끄러워 하라는거임 ㅋㅋ

    • @Zeliton1
      @Zeliton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xw6sm9fb4j 넌 그냥 A라는 큰 틀 자체가 잘못 됐다고 하는 댓글에 A-1은 뭔지 물어보고 있다고 보면 돼 ㅇㅋ?

  • @Chemk-cr9vv
    @Chemk-cr9v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7

    서울대 간판이 많은걸 보장해주던 때는 진작에 지나갔지만, 서울대에 입학 할 정도 되는 애들은 어디에 갖다놔도 빛나겠죠. 서울대 학생들 화이팅입니다 ㅎㅎ

  • @user-mi9dc8np6b
    @user-mi9dc8np6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그냥 그럴거라는 추측말고
    좋은 질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좋은 결과
    간단해보이지만 훌륭한 연구에요~~

  • @user-yn3jy4tp7t
    @user-yn3jy4tp7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오~ 멋진 연구네요. 저도 4년 평균 평점 4.0 이상으로 졸업하고 과내 탑쓰리 내에 항상 들었지만... 제가 공부를 잘했다고는 생각하지 않고요 시험을 잘 봤다고는 생각합니다. 다시 돌아간다면 시험을 잘 보는 것보다는 깊이있고 자기 주도적인 공부를 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습니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가 태어나고 살아가는 이유는 자연의 섭리를 알아가고 자연신과 더 친밀해지고, 그래서 머글이 아니라 마법사(물질을 휘두르는 능력자)가 되는 것인데...
      한국의 공교육을 따라가다간 내가 배우고싶은 것도 못배우고 앵무새만 되겠구나 싶더라고요.
      그래서 학부부터 미국유학을 간절히 바랬었습니다 ㅠㅠ.

    • @user-co8gb2cg1b
      @user-co8gb2cg1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서울대 졸업하셨나요?

  • @user-ev4lq3co7h
    @user-ev4lq3co7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우리나라 교육 정말 심각하네요ㅠㅠ
    고등학교때까지와 무엇이 다른가??
    격렬한 토론과 논쟁은 찾아볼수 없네요.
    지성의 상아탑이란 말은 완전 옛말이네요ㅠㅠ

  • @user-rg6bv4jw6k
    @user-rg6bv4jw6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정말 변화가 시급합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들도 다들 비슷할거 같네요. 생각하는 인재로 키워지고 다양한 생각이 받아들여지고 할때 사회의 발전이 올거 같습니다. 대학의 교수들이 먼저 바뀌어야 할것입니다. 사실 교수들이 고리타분하고 자기 의견에 토를 달면 싫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우리나라 미래를 생각한다면 나라에서도 적극적으로 교육을 개선해 나가야 할것입니다.

  • @user-lz9ky6ep8i
    @user-lz9ky6ep8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8

    몇년전, 이 다큐를 처음 보고 너무 충격받아서 아이의 진로를 국제학교로 틀었다. 아이의 열심과 수고, 노고를 삽질로 만들고싶지 않아서.

    • @gonjalez747
      @gonjalez74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국제학교 안에서도 한국고등보다 더해요....k화 됐답니다

    • @meltiv
      @melti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래도 외국 가는데 도움을 주니까 그나마 낫죠

    • @repeat-77
      @repeat-7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meltiv국제학교가면 뭐 다른게 있나요? 정말 궁금하고 몰라서요.

    • @meltiv
      @melti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repeat-77 수업도 영어로 진행되고 외국인과의 교류도 더 많습니다!

    • @user-mn4ut6zt4p
      @user-mn4ut6zt4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국제학교에 대한 환상들이 너무 심하시네 ㅋ

  • @takeatrip84
    @takeatrip8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와!!!신기하다. 대학때 강의 전부 녹음하면서 강의듣고 1.5배속으로 계속 들으면서 교수님의견에 찬성, 반대 의견 작성하면서 조금씩 넓혀가는 식로 공부 했었는데. 방법이 비슷히네. 졸업평점 4.02 임
    신기하네 ㅎㅎㅎ
    창의력 없고 뭘 공부해야할지 모르시는 분들은 이방법 추천힙니다.

  • @user-yj9fl8mt2l
    @user-yj9fl8mt2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한 공부랑 재미를 느끼면서 파고드는 공부랑은 확연히 다르더라고요

  • @baek609
    @baek60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대입이 바뀌어야 교육이 바뀝니다!!
    일단 대입을 위해서는 줄을 세워야하고, 수량화된 시험이 줄세우기에 제일 좋은 평가방법이자나요~
    대입이 지금처럼 유지되는 한 우리나라 교육 바뀌기 힘들거예요

  • @kth75016
    @kth7501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제작진께 몇가지 문의를 드립니다. 우선 이혜정박사께서 서울대생 전체학생에게 설문의뢰를 했고, 이중 1,000명이상 응한 것으로 되었는데, 실제 인터뷰에 참여한 학생들 절대다수는 소위 문과 학생들이고, 자연계 학과 학생들 인터뷰는 없는 것으로 보이는바, 질문 1. 자연계 학생중 A+ 받는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도 동일한 학습 패턴, 즉 교수강의를 거의 녹취, 암기하는 방법으로 공부했는지?, 질문 2, 만약 자연계 학생도 동일한 경향성을 보인다면 왜 인터뷰에 응하지 않았는지? 질문3. 만약 자연계 학생은 이런 경향이 낮다면 어떠한 학습방법을 택하고 있는지? 여쭤봅니다

    • @Jang_hwa
      @Jang_hw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옛날건데 뭔 질문이여 이건

  • @sangqiujin315
    @sangqiujin31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8

    서울대의 문제라기 보다는 "시험"으로 평가 하는 것에 대한 한계다.

    • @user-yb5wr3si1s
      @user-yb5wr3si1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뭔가 기본적인 핵심을 이해 못하는 듯...서울대를 굳이 기준으로 잡은 건 학습에 대한 최고 수준의 대학이라는 일반적이고 통계적인 데이터가 있기에 그런거고 시험으로 평가하는 건 전 세계 어느 국가나 시험을 본다. 다만 그 시험을 보기까지의 교육 시스템이 창의 보다는 암기와 반복 학습을 99% 중시 여기기 때문에 전체적인 교육 시스템이 결국 문제가 있다...라고 정리되는 건데...뭔....소리인지 이 정도 영상도 이해하기 힘든가?....으휴....댓글 자체만 봐도 한국의 교육시스템에서 나온 결론이라는 게 역설적으로 느껴지네.

    • @user-hj8oj8lx9o
      @user-hj8oj8lx9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험으로 안하면 뭐로 함?

  • @icekka
    @icekk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정말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세 아이의 엄마로서 늘 공부에 대해 닥달을 해오다가 과연 아이의 미래와 행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공부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마음이 착찹하네요. 우리의 미래는 아이들에 달려있습니다.

    • @DJO-si9uf
      @DJO-si9u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본인은 공부못하셨을듯

  • @iillttiljj
    @iillttilj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11:22 학생의 생각이 과제나 시험에 나타나면 안된다. 교수님의 의견을 그대로 써야한다. 그래야 점수가 나온다. 이게 좀 뼈아픈 현실이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 초중고 시험의 현실을 언급했는데, 아무래도 초중고때는 그렇게 공부했더라도 대학공부는 달라야 맞지 않을까 싶네요

    • @onecer09
      @onecer0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년을.. 아니지 요즘은 어린이집 유치원도 교육열이 높으니 한 17년은 정해진 답만 찾던 아이들이 대학와서 토론하고 비판하고 하는 수업에 적응하기란 쉽지 않죠.

  • @leejaehyunow
    @leejaehyuno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공부하면서 회의감 드는 이유가 이거 때문ㅠㅜ 더 깊이 이해하고 탐구하려 들어봤자 어차피 당장 시험엔 안 나오니깐… 수동적으로만 공부하게 되는 것 같아요

    • @user-vn6jc2ni9x
      @user-vn6jc2ni9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입시위주로만 설계되어 있으니까요 주체성을 확보못하는거죠 거기에 기생하는 이해관계자들

    • @mimi9154
      @mimi915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답찍는 훈련만 하는거지

  • @user-my7ui8jz9g
    @user-my7ui8jz9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20년전 서울소재 대학에서 학교발전을 위한 생각을 쓰라는 단 하나의 문제만 있던 시험에 아마도 제가 가장 많은 내용을 적었으나 c학점이라는 충격적 점수를 받았죠. 교수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그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고 그 강의의 주제는 윗사람 등의 비유를 맞춰야 성공한다는 것이라는 것이라고 혼자 마음속에 품게 되었죠. 다른 과목은 꽤 학점이 좋았는데ㅡ

  • @user-ds7bi1ct1l
    @user-ds7bi1ct1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교수님들이 권위의식을 버리지
    않는 한 변하지 않을 듯~

    • @user-sg2cm7gx2g
      @user-sg2cm7gx2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자기들도 그렇게 배우고 공부해 왔거든 다 늙어 교수된 후 아무리 조사하고 연구할래도 이미 어렵고 늦었지

  • @user-rc9yg5br9m
    @user-rc9yg5br9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30년전 대학 다닐 때와 같은 모습이네요. 하물며 서울대까지도 저렇다니. 정말 놀랍워요.

  • @vancsean
    @vancsea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질문왕 상현아…외국으로 나와라…진짜 암담하다 한국 교육…국가 최고의 인재들을 데리고 이렇게 교육시키고 있다니 😢 서울대에서 공부 열심히 하는데 학점 안나오는 애들이야말로 정작 외국에다 풀어놓으면 다 학점도 잘나오고 천재소리 들을 애들일텐데…솔직히 지금 외국에서 대학나와 살고 있지만 학교때 교수님 말씀 토씨하나 안틀리고 영상에서 처럼 똑같이 답변 적었다가 감점 먹어서 충격 받은적 있음. 여기서는
    시험문제 끝에 자주 붙는 말이 “in your own words” 임. 처음 유학와서 공부할때 한국서 제법 똑똑하단 소리 듣고 내가 젤 잘난줄 알았음. 내가 언어만 잘 되면 얘네들보다 나을텐데 싶었음. 시간이 지나 언어가 해결되는 순간이 오고나서 깨달았음. 언어가 아니라 얘네들 생각 자체를 따라 잡을수 없음. 고등학교 수학문제가 답은 너무 쉽게 나오는데 왜 이렇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한참 기술해야 함. 동양애들 공부 잘한다 잘한다 하지만 대학교에서 정작 탑 1%는
    다 서양애들 그 밑이 동양애들임. 사회 나와도 마찬가지 생각이 열려 있는 서양애들 경영하고 단순 계산 잘하고 착실한 동양애들이 그 밑에서 일함. 우리나라 교육은 자기주장없이 기득권의층의 말을 따박따박 잘 따라줄 시민으로 키우는게 목표임. 진짜 이런 천재들이 그냥 학점만 잘 받는 앵무새가 되서 사회나와서 그냥 따박따박 월급 잘주는 대기업 들어가 하찮은 부속품처럼 쓰여지는게 너무 안타까움.

  • @yhkang7269
    @yhkang726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학생이 문제가 아니라 교육이 병진인거지..
    실제로 미국에서 저렇게 했더니 교수님이
    So what? 앵무새처럼 요약정리 떠들지말고 네 생각을 말해보라는거.

  • @ahnhokim3641
    @ahnhokim364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50

    노벨상 하나 없는 한국 최고의 대학

    • @Kyary_Pamyu_Pamyu
      @Kyary_Pamyu_Pamy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

      학벌이라서 ㅋㅋ 그냥 서울대 나오면 뭐 뽑아가는 ㅋㅋ

    • @Gamza_Goguma
      @Gamza_Goguma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5

      진짜 심각한거임 ㅋㅋ

    • @jaceykim
      @jaceyki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5

      지잡러: 노벨상 하나 없는 한국 최고의 대학 주제에..ㅋㅋ

    • @user-bg8bi3pl7b
      @user-bg8bi3pl7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0:00 건희가 수재 소리를 듣던 학생이었어???????????????????

    • @hcduuhxdrygvvjj
      @hcduuhxdrygvvj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웃프다

  • @user-sw1nm7ff1o
    @user-sw1nm7ff1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그냥 시험보는 공부를 하는구나...
    정말 눈물이 날정도로 슬픈 얘기네요. 교수법을 바꾸던, 평가방법을 바꿔야할거 같아요.
    물론 전체적인 문화도 문제긴하지만요 ㅜㅜ

  • @summer9008
    @summer900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평가제도가 바뀌어야겠네요. 아이들은 그 룰에 맞추다보니 자기 의견을 들여다볼 새도 없이 시험을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것 같아요

  • @universe1214
    @universe121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책 보려고 했는데 영상이 있으니 좋네요ㅎㅎ❤

  • @user-ku4mx3vm3u
    @user-ku4mx3vm3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즣은 영상입니다. 창의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우선 기본적인 것들의 암기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창의적인 생각이 떠오르는 것이지 기본조차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창의력을 논하는 것은 우스운 소리지요 대학에서 배우는 학생이라면 기본적인 것들의 암기와 이해도 중요하지만 창의력을 갖추는 스스로의 논리 정립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할진데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암기에만 치중하는 것이 안타깝네요

  • @weoni6569
    @weoni656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교수들의 아집인가.. 아님 채점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건가.. 저 훌륭한 인재들을 이렇게 소모하다니 너무 암울하다..

  • @user-tl1qi3ph9d
    @user-tl1qi3ph9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대한민국의 교육현실..
    이 나라를 떠나 자유로운나라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싶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대한민국은 개인의 영혼이 기득권단체에 의해 구속되어있음 ㅠㅠ

  • @doomkarin
    @doomkari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극대의 효율성을 요구하는 제조업에는 적합한 교육방법일지 몰라도 이제 제조업 이후 정보산업으로 갈수록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교육방법으로 변화해야 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 @Positivesuccess77777
    @Positivesuccess7777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서울대 교수님들 인터뷰도 있으면 좋겠네요. 과연 어떻게 생각하실지....

    • @user-rationalist0
      @user-rationalist0 8 วันที่ผ่านมา

      서울대 신문에서 해당 영상을 비판한 글이 있어요. 해당 영상에서 성급한 일반화를 해 왜곡한 내용이 있고, 실제로는 교수의 생각과 다른 답을 내놓아도 논리만 맞으면 인정해 주는 등 다양한 평가가 이뤄지고 있대요. 그리고 분야별로 학습 방법이 다른데 저 영상 속 학생들의 공부 방법(암기)만 보고 서울대 전체 학생들을 일반화할건 아니래요.

  • @user-bk5km1hq4q
    @user-bk5km1hq4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10여년전에도 같은내용으로 고민하는 ebs방송이 있었죠. 그때도 이혜정소장님의 연구였던것 같은데... 그사이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네요 ㅠㅠ

    • @enseg395
      @enseg39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게 그 10년전 방송입니다.

  • @lucyy1323
    @lucyy132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와..저 30년전 대학다닐때와 하나도 변하지않았다는것에 놀랍네요ㅠㅠ

  • @May-zu7vj
    @May-zu7v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맞아요~
    받아적으면...
    교수님 설명만
    공책에 박제되고
    적지않고 듣기만하면
    뇌에 저장이 되어서
    기억이 꽤 오래 가요~

  • @user-zf4zi7ep1k
    @user-zf4zi7ep1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는게 힘이 아니라 생각하는게 힘인 세상에서 아직도 객관식 단답형 수능을 보고 있고,
    자기 생각 없이 기계가 채점하는 정답만 외워서 점수 잘 받은 교수와 학생들이 모인 대학이니 그럴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하루빨리 객관식 단답형 수능을 서술 논술형으로 바꾸라고 모두가 나서야하지 않을까요?

  • @user-io8km2es6o
    @user-io8km2es6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안녕하세요 서울대 공대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몇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어 댓글을 남깁니다.
    일단 학점이 낮은 학생들과 높은 학생들을 인터뷰한 영상이 너무 영상의 의도에 맞춰 편집되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영상 초반에는 공부를 열심히 해도 힘들어하는 공대생의 모습을 보여줘놓고, 정작 공부 잘하는 학생들 인터뷰에는 문과학생분들 밖에 없네요.. 그리고 외국 대학에서 성적 높은 사람들을 인터뷰 한 장면에는 이과 학생이 더 많구요ㅋㅋ;
    문과 학생분들을 비하하는 것도 아니고 우리나라의 주입식 교육이나 시험을 위한 공부에 대해서는 저도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문과 공부랑 이과 공부는 공부하는 방법이 많이 다르고 과마다, 심지어는 수업마다도 굉장히 다릅니다.
    너무 우리 학교 학생분들을 암기만 잘하도록 교육받는 것처럼 편집한 것 같아 아쉽습니다. 우리 학교에도 수업 시간에 교수님과 열심히 토론하기도 하고, 특히 공대는 더욱더 그대로 받아적기 보다는 수업 중에 질문도 하고 혼자 골똘히 생각해보고 친구들과 의논하면서 열심히 그리고 깊이 있게 공부하는 학생들이 공부도 더 잘합니다.

    • @user-re9xy2qc3b
      @user-re9xy2qc3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오히려 문과가 토론이라든지 정답으로 인정되는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지 않을까요? 말그대로 인문사회과학으로 사회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거니깐요! 제 생각엔 보다 탐색적이고 다양하고 깊이있는 통찰이 필요한 인문사회영역에서조차 성적을 잘 받는 태도가 무조건적인 암기 위주로 가는 것을 보여줬다고 생각해요 서울대학생을 대상으로 했지만 사실 한국의 대학생의 이야기일 것 같습니다ㅋㅋ

    • @jaehyenshim
      @jaehyenshi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 의도에서 외국의 공대 학생을 취재했다기보단 연구교수가 아는 사람이 미시간 대학의 정보대학 교수라 인터뷰 대상이 정보대학 학생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그러나 인터뷰 대상이 아닌 1000여 명의 수용적 태도와 비판적 태도에 따른 학점을 조사한 것은 일반적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에 한국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자료입니다.
      연구대상이 성적이 두 학기 이상 4.0 이상인 학생이 대상으로 잡혀있단 것도 공대생이 비교적 연구가 안 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공대는 로스쿨 같은 진로를 비교적 덜 선택하기에 학점의 중요도가 낮아 비교적 자유롭게 공부합니다. 로스쿨에서 학점을 필수요소로 평가하고 있으니 문과생 중 4.0 이상인 학생들이 많고 인터뷰 대상도 그리 정해지는 것이지요.

    • @user-hi6rl2sk4e
      @user-hi6rl2sk4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공부를 잘하는 건지, '성적'이 잘나오는건지 궁금하네요.

    • @HH-wi1hp
      @HH-wi1h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re9xy2qc3b 전혀 아닙니다. 단순히 문과 교양에서조차 자신과 의견이 다르면 성적에 불이익 주는 교수가 많습니다. 훨씬이요.

    • @user-re9xy2qc3b
      @user-re9xy2qc3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H-wi1hp 네 맞습니다. 학생 입장에서는 어쨌든 성적을 잘 맞아야하니 교수가 말하는 내용을 그대로 쓰는 것이겠죠. 그런 맥락에서 제가 말한 정답으로 인정되는 폭이 넓다는 것은, 성적으로서의 인정이라기보단 학문으로서의 합당함을 의미하는 얘기였습니다. 물론 수용적인 사고가 나쁘다는것은 아니지만 특히 문과 학문의 유용성은 기본 철학, 논리, 개념이란 기본토대 위에다 창의력, 비판적 사고가 더해져야 비로소 통찰이 나오는거라서요.. 성적과 학문이 다른 것 같은데 고등학교의 연장선이 되는 건 좀 아쉽네요^^;;

  • @decemlover79
    @decemlover7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창의력을 몰살시키는 대한민국 교육의 현주소가 여실히 드러나네요. 교육개혁이 절실한 때입니다.

  • @user-yf1mi9ty9z
    @user-yf1mi9ty9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질문하지않고 회사에서 시키는 것만 하게 만들기위한 것 같네요
    로보트인가요? 이럴꺼면 al와 다를게 먼가요?

  • @softrain79
    @softrain7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세상은 변해가는데 교육은 거꾸로 가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대학에 올인해야 하는 현실도 답답하고 아이한테 미안해집니다.

  • @chuccaru5753
    @chuccaru575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실 대기업 사원은 엘리트 노예일뿐이라 저 교육법이 맞고, 스스로 학문으로 무언가를 이룰자는(다음, 카카오대표, 박진영, 방시혁등등) 학점을 버리고 학문을 이용한 뇌의 수련을 하겠죠.

  • @pinoK81
    @pinoK8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이 영상을 정말 많은 어른들이 봤으면 좋겠네요.
    기사에서 서울대교수님의 출신 대학이 서울대가 가장 많다는 기사를 봤었는데.
    진짜 그들만의 리그네요..
    창의적이지 않고 수용적인 기계들 같은 기분이네요.
    자신의 생각을 어필하고 다른 사람이 그 의견을 받아드리는게 꼭 다른게 아니라 틀린거야라고 교육하는거 같아요

  • @user-nc4ph3iv3y
    @user-nc4ph3iv3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참으로 울림을 주는 다큐 감사합니다

    • @anotherone4071
      @anotherone4071 8 วันที่ผ่านมา

      윤석열이 망가뜨리고 있죠.

  • @user-jb8kv9ks9q
    @user-jb8kv9ks9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교수님들이 보셔야할 다큐인듯싶어요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교수들이... 모를까요... 돈이 되고 배따숩고 하니까 굳이 바뀌길 원치 않는거죠 결혼도 했고 돈도벌고 자녀도 잘크고 자기목숨에 문제가 저언혀 없으니..

    • @onecer09
      @onecer0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든 교육자들이요

  • @user-hh7di8hv8l
    @user-hh7di8hv8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우리나라 교육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꿔야 합니다.창의력을 말쌀하는 암기 위주의 교육 참 허무 합니다. 서울대가 천재를 바보로 만드는 일등 대학교 로 느껴집니다.

    • @klarenzjeong8031
      @klarenzjeong803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상대적으로나마 연세 한양이 1990배 융통성이 있다는 건가?

    • @joovali
      @jooval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대기업이 할 줄 아는일이
      대량생산 단1이니

    • @user-nw6ue3ks4o
      @user-nw6ue3ks4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못 바꿉니다.
      영어 한 과목 조차 바꾸질 못한게 대한민국입니다.
      그리고 성향? 기질? 도 바뀌어야 하는데 그건 더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직위가 주는 힘이 굉장히 강합니다.

    • @klarenzjeong8031
      @klarenzjeong803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nw6ue3ks4o 어쩜 연세 한양보다 86배 심하니

    • @concon996
      @concon99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larenzjeong8031질문하는 꼴을 보니 연세 한양은 커녕 낙제끕이겠네요

  • @user-ck3vi3rq7g
    @user-ck3vi3rq7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답이란 것은 없습니다.
    내가 뭘하고 무엇을 잘하는지
    본인들게 어떤 것이 우선인지가 중요하죠

  • @leesangbin
    @leesangbi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훌륭하십니다.❤

  • @user-fs4rb2ek3d
    @user-fs4rb2ek3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달달외우고 수용적인 자세.. 수업받는 태도까지 획일화되는게 너무 안타깝고 슬프다

    • @ph_c
      @ph_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것은 어릴 때 부터 학원을 다니며 길러진 일종의 습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jaekyulee3757
    @jaekyulee375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내가 상상했던 서울대가 아니였네요. 서울대 학생들은 방대한지식으로 토론하면 공부하는지 알았는데... 교수들이 문제네요.

  • @LKRESIDENT
    @LKRESIDEN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리고 이건 컬쳐와도 관련이 큽니다. 다른 의견을 표현한다거나.. 교수관점에서 같은 의견을 가진 학생에게 그리고 더 자기의견과 거의 같게 의견을 쓰는 학생에게 좋은 점수를 주는 것도.. 그래서 단순히 보기가 어렵죠

  • @feelsogood3630
    @feelsogood363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사실 이 다큐의 더 놀라운점은, 대학생들의 50% 이상은 저런 엄청난 노력의 근처도 가지 않고, 학교생활을 영위한다는거 ㄷㄷ

  • @user-hb7uj9uh2f
    @user-hb7uj9uh2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교수법이 학생들을 망치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문화적 차이도 있겠지만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하는 분야가 점점 많아질 미래에 지금 교수법은 심각하게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 @repeat-77
    @repeat-7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개개인의 창의성,비판성은 죽이고 정답이 정해진 답정너(답은정해졌고넌대답만해라)
    같은 느낌입니다. 교수님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그런 생각들이 A+인거같아요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무리 한국은 명문대에 장학금 받아도 세상나가면 똥뭉충이임 학생일떄 배운거 모조리 리셋하고 사회 Lv.1 로 다시 시작하는거임
      사회생활과 학교생활은 다르거등(단, 암기력과 학습 좋으면 사회 Lv.1에서 성장하는 속도가 엄청난 애들이 존재하지요)

  • @hyo3377
    @hyo337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참 구시대 교육의 현실이 그대로 나오는.. 그나마 수능같은거보단 유연한 평가가 가능한 대학교도 이러니.
    하긴 제대로 학생을 평가하려면 교수가 부지런하고 학생 가르치는데 열정이 있어야하는데 그게 쉬운일은 아니것지. 연구가 1번이고 사실 수업은 부차적인거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으니.

  • @justjust8496
    @justjust849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초등생이 대학생 과외 선생님이 가르치는 내용에 반론을 제기하면 그 초등생의 반론을 수용한 답변을 맞다고 해야 하는지도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케바케 겠지만 학생이 자기 연구를 하는 것은 대학원 과정 아닐까요. 일단은 교수의 가르침을 배우고 그것을 토대로 자기연구를 해야겠지요. 수업에서의 토론이라면 모를까 시험은 정량화된 기준이라는 것이 필요하고 학생의 의견이 정답으로 취급될 수는 없는 것 아닌가요. 물론 녹음과 전사라는 방법은 조금 충격적이기는 하지만 수업내용을 충분히 소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학생이 자기 의견을 썼을 때 그것이 수업이나 해당 학문을 제대로 이해한 의견이라면 불이익을 주지 않아야 된다고 봅니다.

    • @concon996
      @concon99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제는 교수가 신이 아니고 또 대학의 교재라는 것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이죠. 교수가 가르치는 것이 어떤 한 분야의 어느 부분들이 조금 더 연구되고 알려진 것이라는 걸 전제로 놓고 보면 채워지지 않은 그 분야 새로운 것에 대한 의문이나 탐색을 할 수 없게 만드는 게 이 나라 교육의 문제라는 거겠죠. 노벨상 얘기를 하는 데 노벨상은 그런 빈 공간을 탐구할 때 가능하죠

  • @ang2342
    @ang234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참 안타깝다~
    교수님들이 바뀌셔야 학생들도 바뀌지요~~
    고등학교까지도 주입식 암기식 교육이 걱정되었는데~~
    서울대에서까지
    상당히 부끄러워 해야 할 것 같다

  • @user-qv1zt8xt7l
    @user-qv1zt8xt7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참 슬프네요.....

  • @Eehun
    @Eehu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새로운 평가방식을 학생들 그리고 더 나아가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어야 비로소 변할 수 있습니다. 마치 선거권자들의 생각이 변해야 정치가 변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교수가 아무리 미시간대와 같이 평가하겠다고 해도 학생이 학사과에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하면 평가방식 바뀌기 어렵습니다. 이는 대학교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위와 같은 평가 방식에 익숙한 학생들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노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인간을 똑같이 모방하는 인공지능과 같은 방식으로 겨뤄서는 승산이 없기 때문입니다. 언젠가 바뀌어야할 평가시스템임에는 틀림없습니다.

  • @lol7lol
    @lol7lo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과고 출신은 카이스트나 포스텍 가는게.맞는거 같아요 그리고 카이스트나 포스텍을 많이 밀어주세요..서울대는 관료 행정가 위주로 가고....연구는 카이스트.포스텍으로 밀어주면 좋을가 같아요

  • @davidkim6249
    @davidkim624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Critical Thinking 이 빠지고 암기식 공부법이 대한민국 최고 교육 기관인 서울대에서 진행되다니, 이래서 과확분야에서의 노벨상이 안나오는게 말이 되네요.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한 긍정 / 억지 긍정 / 묻지마 긍정 ... 이 낳은 오류

  • @user-mb3vz5co4c
    @user-mb3vz5co4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런데 사실 공교육 정상화를 외치는 수시가 외운 것을 공부하는 쪽이고 그래서 수시로 들어온 학생들이 이렇게 외우는 것에 특화된 학생들인데. 고등학교 내신도 똑같음. 구석에 있는 것까지 잘 외우고 수학 유형 수없이 풀어본 학생들이 성적이 좋음. 달달 외우는 학력고사에서 탈출하기 위해 수능으로 왔는데, 다시 수시로 외우는 것 잘하는 학생들에게 유리한 입시로 특화시킴.

  • @user-bt5om3iy2g
    @user-bt5om3iy2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험테스트 점수에 관한 공부법이니 어쩌면 당연한결과 이지 않을까 싶네요 수학적능력이나 창의성의 문제는 또다른 부분일듯

  • @user-hj6ok3ni4x
    @user-hj6ok3ni4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경험담: 1학년 때 학사경고 수준
    군 제대 후: 전과목 녹취 후 교수 수업 때 말한거 거의 달달 외우고 시험 때 그대로 작성함. 평점 4.37

  • @user-yq2pf6kk8g
    @user-yq2pf6kk8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너무 충격적이네요. 서울대 수업이 이럴줄 몰랐네요. 우리나라 모든 대학이 이렇겠죠?? 고민되네요..

    • @user-oo4td6jb8t
      @user-oo4td6jb8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나온 대학도 그랬네요 ㅋㅋㅋ
      서울대처럼 좋은 곳은 아니고.. 그냥 서울에 있는 대학이지만..
      .

  • @user-ko9ev2et9u
    @user-ko9ev2et9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내가 학부시절 석사 과정 밟으려고 할 때 진짜 나를 생각해 주셨던 박사과정 선배가 이렇게 이야기를 했지. " 좋은 묘목 큰 묘목 아래에는 결코 작은 묘목은 자라지 않는 법"
    그때 그 박사 형 말 안듣고 교수 시다바리 하다 20대 후반을 그냥 날렸었음.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추천서 같은거 받지 않았을까요? / BUT 자기 할거 다하고 시다바리도 다해야지 (애초에 시다바리만 했으면 애초에 무능한건대요)

  • @jaeeunjeon4112
    @jaeeunjeon411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충격적입니다 20년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게 없네요 , 뭔가 교육쪽에도 창의력과 자신의 생각이 지식과함께 더욱 잘어울린 , 창의적인 교육방식이 필요합니다 , 성적이 다가 아닌..

  • @jl2961
    @jl296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제가 박사시절 교수가 모르는 내용에 대해 질문을 했다는 이유로 교수에게 끌려가서 욕들어먹음. 이게 대한민국 현실…

  • @jihyunlee2049
    @jihyunlee204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대한민국 교수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다

  • @mmmiiing
    @mmmiiin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확실히 주입식 교육에 대한 경계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이 영상에선 조금 과장된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고등학교때부터 의미 없는 암기를 배척하고 항상 본질을 파악하려는 의도로 접근하며 공부했고, 그래서 좋은 성적을 받았습니다.
    공부 잘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 공통점은 무언가에 큰 집착이 있으며 왜 그런지 이해를 중요시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교수님의 의견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만의 의견을 펼치기엔 좋지 않은 환경'이라는건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그저 주입식 암기만을 반복한다'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특히 분야가 이공계쪽이면 더더욱이죠.
    엘리트만 모여있는 서울대학교, 그중에서도 특히 문과 분야 위주로 조사된 것 같은데...
    그쪽에선 "이해"는 거의 모두가 완벽하게 해내고 있기 때문에 '디테일 암기'로 성적이 매겨지는 것이라 추측해봅니다.
    무슨 영상만 보면 한국 어디서든 디테일 암기가 전부이고, 성적이 좋은 학생은 전부 주어진걸 암기했을 뿐이며, 학생의 주관은 성적에 방해만 된다고 말하는것같네요.
    서울대 공대생 누구에게 물어봐도 "개념에서 이해가 안되는걸 궁금해하기보다는 주관을 죽이고 그저 모든걸 암기해라"라고 말하진 않을거라 확신합니다.

    • @user-kw6ql7gw3m
      @user-kw6ql7gw3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회나가시면 저영상 교육방식에서 배출된 사람들이 님상관으로 득실대며 님의 의견은 모조리 묵살하고 시키는 일만 충실히 하는 개가된 자신을 보실겁니다
      그떄가서 " 아~ ㅎ ㅏ..... x같내 떄려 쳐야지" 하며 사직서 봉투를 항상 간직한 자신의 모습을 모실 겁니다

    • @user-rm8pn8ft9s
      @user-rm8pn8ft9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대도 마찬가진데 현주소를 전혀 모르시네.. 공대는 공식 하나하나 기초원리부터 공부하고 의문품고 공부하고 그럴거 같지만 공대도 결국 족보,실전문제 암기 싸움이에요

  • @zizizictv
    @zizizict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암기시험은 그 학생의 성실함을 측정하는 도구이지 창의력을 평가하기엔 부족함이 있는것 같네요 졸업한지 20년이 넘었는데 아직도 그대로라니,,,

  • @user-ks2pq6mq1i
    @user-ks2pq6mq1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는 우리학교 교수들만 그런줄 알았는데 서울대 교수들도 마찬가지군요.저는 모르는것 질문을 자꾸 한다고 해서 교수님한테 찍혀서 지금은 아무런 질문도 하지 않습니다.

    •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가모른는걸 물어보니 그런거죠 당신은 는눈치가업군요 교수가알것같은것을 질문하세요 귀여워하실겁네다 바보야

  • @montpelier753
    @montpelier75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런 영상이 또 미국에 환상을 심어주겠네요. 저도 미국에서 가르치고 있는데, 그냥 애들이 필기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나서 나중에 물어보면 몰라요. 장단점이 있는 거에요 그냥. 그런 성향 때문에 상상력이 발달할 수 밖에 없는 거에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 성향과 습관땜에 추론과 reasoning이 발달할 수 밖에 없군요.

    •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nowflake_tv 필기를 안하는데 뭔 추리 ㅋㅋ
      추론이나 추리나 동의어인데 심지어 하나는 영어로쓰고 ㅋㅋ
      님학창시절에공부안했죠?

    • @Snowflake_tv
      @Snowflake_t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illlililiiillilllililiiil 추리랑 추론이랑 세밀한 의미가 다름; 아 한자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