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같지만 한자가 아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8 มิ.ย. 2024
  • 이미 존재하는 문자가 새로운 문자를 탄생시키는 것은 생각해보면 당연한 이치입니다.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등, 우리에게 익숙한 다양한 문자들이 실은 하나의 공통문자로부터 기원합니다. 그만큼 문자란 새로 독창적으로 생겨나기 어려운 소통수단이며, 한자 또한 수많은 파생문자를 만들어냈습니다. 한자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하여 주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유구한 역사의 문자입니다. 이 영상에서는 여러 한자파생문자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설명합니다.
    〈타임라인〉
    0:00 도입부
    0:56 가나문자와 구결자
    1:52 주음부호
    3:14 거란대자와 거란소자
    4:30 여진문자
    5:53 서하문자
    6:44 국자와 방언자
    7:48 방괴장자와 쯔놈
    8:31 오늘의 질문
    〈참고자료〉
    〔서적〕‌
    西田竜雄『西夏文字―その解読のプロセス』
    Daniel Kane - The Sino-Jurchen vocabulary of the Bureau of Interpreters
    〔사전〕‌
    金啓孮『女真文辞典』
    児玉幸多『くずし字用例事典』
    〈이용된 소재〉
    이 영상은 Pexels의 크리에이티브커먼즈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는 클립을 포함합니다.
    〈BGM〉
    The Future Ancient Now by Nathan Moore
    Stardust by JayJen
    Filaments by Scott Buckley
    #한자파생문자
    연락 및 문의 - bungbungnue@gmail.com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K

  • @user-hh9ux9vk5d
    @user-hh9ux9vk5d 3 ปีที่แล้ว +523

    이분 최소 어디 갇혀서 지내는 대학원생

    • @adan2099
      @adan2099 3 ปีที่แล้ว +6

      중국 중부 성 하남성
      자후 유적 기원전 7000년에서 5700년 전에 출토된 가호 골적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가장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고, 현재도 연주할 수 있는 악기 실물이며, 출토된 거북갑에는 약 16개의 계각기호 연대가 기원전 6600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문자로는 확증할 수 없다.자후 유적은 세계 최초로 술을 빚는 고대 인류 유적이기도 하다.

    • @outlook_com
      @outlook_com 3 ปีที่แล้ว +39

      @@adan2099 그럼 니네도 그렇게 위.대.한 것이 있으니까 한국꺼 뺏지마 ㅋㅋㅋ

    • @prisoulclover
      @prisoulclover 2 ปีที่แล้ว +8

      나무위키보니까 대학원생도 아니고, 심지어 언어학 전공자도 아니시라네요.

    • @dakakimasao
      @dakakimasao ปีที่แล้ว +10

      ​@@prisoulclover대신에 어디 갇혀있는건 맞음

    • @prisoulclover
      @prisoulclover ปีที่แล้ว

      @@dakakimasao 네, 거기가 다름아닌 rok army라는 게 문제죠.

  • @haengbok-yee2662
    @haengbok-yee2662 3 ปีที่แล้ว +416

    0:01 도입부
    0:56 가나문자와 구결자
    1:52 주음부호
    3:14 거란대자와 거란소자
    4:30 여진문자
    5:53 서하문자
    6:44 국자와 방언자
    7:48 방괴장자와 쯔놈
    8:31 오늘의 질문

    • @tae00k92
      @tae00k92 3 ปีที่แล้ว +17

      + 0:19 언어의개똥

    • @recommendexperiment
      @recommendexperiment 3 ปีที่แล้ว +3

      @@tae00k92 진짜 자동 한국어 자막이 여전히 센스없음

    • @atenderlook42
      @atenderlook42 3 ปีที่แล้ว +1

      @@recommendexperiment 자동 자막은 발음 듣고 들리는대로 쓰는 거 아니에요?

    • @SEXS1
      @SEXS1 3 ปีที่แล้ว +1

      4:30 여친문자......ㅠㅠ

    • @user-yf5ys8qk7b
      @user-yf5ys8qk7b 2 ปีที่แล้ว

      멍청한 새키 모든 문명은
      물과관계가 있다.
      강과 바다가 없으면 인류및
      동물이 살아갈수 없다.
      갑골 (거북이 등 껍대기) 거북이가 산에서 사냐 ?
      갑골문자는 동이족 문자이다 !

  • @user-pv1hd9kz3s
    @user-pv1hd9kz3s 3 ปีที่แล้ว +489

    도대체 취미로 이 정도 수준의 유익한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의 정체는 무엇인가..?

    • @dkkhan65
      @dkkhan65 3 ปีที่แล้ว +8

      공부 더 하삼 이건 유익아니고 해악수준

    • @from_my_perspective
      @from_my_perspective 2 ปีที่แล้ว +102

      아무리 봐도 최소 대학원생일듯..

    • @user-zq4mw1gt7g
      @user-zq4mw1gt7g 2 ปีที่แล้ว +41

      @@dkkhan65 ?

    • @jink7730
      @jink7730 2 ปีที่แล้ว +54

      @@dkkhan65 그럼 니가 영상 찍어서 올려봐

    • @user-ys9qf4uj1c
      @user-ys9qf4uj1c 2 ปีที่แล้ว +65

      @@dkkhan65 이상 고졸 무스펙에 3D직업판 전전하는 30대 후반 알콜중독자 칸모씨의 일침이었습니다.

  • @user-rf1sv2ys3d
    @user-rf1sv2ys3d 3 ปีที่แล้ว +501

    항1문천 같지만 향문천이다

    • @yoon2291
      @yoon2291 3 ปีที่แล้ว +47

      항일본이아니라 항문재인이다?

    • @chris-mina
      @chris-mina 3 ปีที่แล้ว +2

      @@yoon2291 ㅋㅋ

    • @user-wm4nz7hn9y
      @user-wm4nz7hn9y 3 ปีที่แล้ว

      @@yoon2291 ㅋㅋ

    • @dolgum826
      @dolgum826 3 ปีที่แล้ว +15

      식상하다. 그만해라

    • @user-ml3rb7mx2r
      @user-ml3rb7mx2r 3 ปีที่แล้ว +1

      @@dolgum826 이새낀 뭐노

  • @jprometheus7072
    @jprometheus7072 3 ปีที่แล้ว +2365

    땡큐 애스홀 싸우전드

    • @kimbelyjo1666
      @kimbelyjo1666 3 ปีที่แล้ว +21

      ?

    • @kimbelyjo1666
      @kimbelyjo1666 3 ปีที่แล้ว +253

      아 ㅋㅋㅋ 향문천 ㅋㅋㅋ

    • @Neugeuza
      @Neugeuza 3 ปีที่แล้ว +100

      스카이입니다

    • @minhyeong
      @minhyeong 3 ปีที่แล้ว +335

      애널스카이 ㅋㅋ 어감은 좋네

    • @ChoboUnjeon
      @ChoboUnjeon 3 ปีที่แล้ว +15

      렉텀리버

  • @user-lv4iv5zh7m
    @user-lv4iv5zh7m 3 ปีที่แล้ว +274

    포브스 선정 이과는 울고 문과도 우는 영상 1위

  • @lemonTbalCya
    @lemonTbalCya 3 ปีที่แล้ว +54

    6:04
    얼마나 혼란스러웠으면 발음까지 꼬이시는 건가요 ㄷㄷ

  • @user-bo1yj7ym2y
    @user-bo1yj7ym2y 3 ปีที่แล้ว +249

    乭(이름 돌) 또한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국자이죠. 石(돌) 밑에 乙(ㄹ을 형상화 함)이 있는 구조라 참신하다는 생각이 드는 한자입니다 :)

    • @armudi5947
      @armudi5947 3 ปีที่แล้ว +38

      乙은 고대 향찰에서부터 ㄹ받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으니 ㄹ을 형상화했다기보다 향찰의 영향으로는 볼 수 없나요?

    • @user-bo1yj7ym2y
      @user-bo1yj7ym2y 3 ปีที่แล้ว +7

      @@armudi5947 아 그런가요? 사전에서 ㄹ을 형상화했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긴 한데 이게 고대 향찰로부터 이어져나왔다은 부분은 몰랐네요. 잘은 모르나 흥미로운 내용 같습니다 :)

    • @user-wi8ok6rc8l
      @user-wi8ok6rc8l 3 ปีที่แล้ว +42

      비슷한 원리로 이뤄진 巪(사람이름 꺽, 임꺽정의 이름을 표기하는데 쓰임)도 巨에 ㄱ받침을 붙여서 만들어졌죠. 乙이 향찰에서 유래된 표기일순 있지만 ㄹ받침과도 비슷해서 위화감 없이 받아들여질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 @alwaysprepared607
      @alwaysprepared607 3 ปีที่แล้ว +14

      신돌석이 여기에 해당되나봅니다

    • @fish13931
      @fish13931 3 ปีที่แล้ว +29

      乙(새 을) 자에서 종성 ㄹ 발음을 가져온 거라 한글 ㄹ 모양을 의도적으로 따서 만든 건 아니고 그냥 우연의 일치입니다.

  • @user-hi6jq8mq8k
    @user-hi6jq8mq8k 3 ปีที่แล้ว +525

    우리나라 국자는 잘 모르겠지만 요즘 초등학생들이 '뫼 산'이 아닌 '산 산'으로 한자를 배우며 순우리말을 접하지 못하는 것은 아쉽네요.

    • @bosun7302
      @bosun7302 3 ปีที่แล้ว +57

      난 04인데 ㅡ메ㅡ로 배웠음...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ปีที่แล้ว +105

      실 용례가 "태산이 ~ 하늘아래 뫼이로다" 빼고는 절멸해 버렸으니...어쩔수없죠 머

    • @bosun7302
      @bosun7302 3 ปีที่แล้ว +20

      @@anonanonym9872 근데 그것도 시조라서...

    • @H3nry_B1ackburn
      @H3nry_B1ackburn 3 ปีที่แล้ว +160

      멧돼지 멧비둘기 등에서 찾을수도 있지 않나요

    • @user-hi6jq8mq8k
      @user-hi6jq8mq8k 3 ปีที่แล้ว +80

      @@H3nry_B1ackburn
      메뚜기도요! 근데 직접 찾아보지 않으면 알기 어렵다는..

  • @user-xp3jt1od4k
    @user-xp3jt1od4k 3 ปีที่แล้ว +221

    1. 음역자로는 㔖(각),䜳(둔),乫(갈),㖈(놈),䯩(곱),㖙(갓),莻(늦),㪳(둥) 등이 있습니다
    2. 제가 워낙 한자를 고등학생때 부터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왔습니다 중국어나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간체자나 신자체 뿐 만 아니라 한자의 파생된 문자에 대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한자의 파생된 문자들은 시대와 언어에 의해서 변형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ปีที่แล้ว +3

      각, 둔, 갈, 등, 돌 같은건 음역자가 필요 없는데 왜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감.

    • @user-ik5vx2vf4d
      @user-ik5vx2vf4d 3 ปีที่แล้ว +1

      둥자 어떻게 쓰셨어요?ㄷㄷ
      제 폰으로는 구현 안 되는데

    • @user-cx5xr2dp7w
      @user-cx5xr2dp7w 3 ปีที่แล้ว +13

      @@davidjacobs8558 국한문 혼용체의 개념이 없던 시기에 한자로 글을 쓸 때 특별히 국음을 표기해야 되는 경우가 있어서였기 때문이라 여겨집니다.

    • @user-xp3jt1od4k
      @user-xp3jt1od4k 3 ปีที่แล้ว +3

      @@user-ik5vx2vf4d 혹시 갤럭시 인가요? 아이폰인가요? 아이폰이시면 키보드 설정에 들어가서 중국어(번체)가 나오는데 거기서 손글씨로 선택해서 아까 같이 㪳(둥)이라는 한자를 쓸 수 있습니다

    • @user-xp3jt1od4k
      @user-xp3jt1od4k 3 ปีที่แล้ว +5

      @@user-qw7zf5ii5qㅋㅋ 그런 한자도 있군요~~

  • @aurorapower_
    @aurorapower_ 3 ปีที่แล้ว +58

    어릴 적부터 한자를 쭉 배워왔고 중국어 전공자로서 이런 여러가지 한자를 분석하는 영상은 굉장히 흥미로워요😀 거란문자를 처음 봤을 때 한자인 듯 한자 같지 않은 그 낯선 느낌과 충격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ㅋㅋㅋㅋ

  • @bosun7302
    @bosun7302 3 ปีที่แล้ว +979

    어떻게 단어 하나 하나마다 뜻을 가지고 있는 문자를 만들려고 한걸까...
    개쌉노가단데

    • @passecompose7484
      @passecompose7484 3 ปีที่แล้ว +86

      중국어 표기에는 가장 적합한 형태에요. 음절이 곧 형태소라서 그래요.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ปีที่แล้ว +207

      그래서 인근 국가들이 문자 창조 좀 해볼려 해도 사고의 틀 자체를 제약시켜버림(킹갓황마제스티더그레이트 세종 제외)

    • @user-ot1qd7pg7y
      @user-ot1qd7pg7y 3 ปีที่แล้ว +202

      @@anonanonym9872 그건 아님 일본의 가나나 한국의 향찰 등 표음문자가 필요한 언어를 가진 민족들은 지들끼리 개량해서 표음문자로 사용했잖슴

    • @user-yc6pi8os3y
      @user-yc6pi8os3y 3 ปีที่แล้ว +63

      표어문자 ㄹㅇ 씹미개함

    • @user-lj9qw1rq9d
      @user-lj9qw1rq9d 3 ปีที่แล้ว +51

      @@user-ot1qd7pg7y 한글만들때도 중국눈치보인다면서 반대하는게 있을정도니 어느정도는 맞는것 같은데요

  • @WilltoSurvive51
    @WilltoSurvive51 3 ปีที่แล้ว +36

    㐓 : 까치 갈
    巪 : 사람이름 걱/꺽
    㥘 : 겁낼 겁
    㐗 : 놀 놀
    䎛 : 놈 놈
    畓 : 논 답
    堗 : 굴뚝 돌
    乭 : 돌 돌
    㪷 : 말 두
    㖯 : 똥 똥
    䭜 : 요기할 료
    虄 : 화살 살
    㐘 : 쌀 쌀
    欕 : 엄나무 엄
    欌 : 장롱 장
    乼 : 줄 줄
    䭏 : 떡 편
    串 : 땅이름 곶
    釗 : 쇠 쇠
    媤 : 시집 시

    • @ravell193992
      @ravell193992 3 ปีที่แล้ว +1

      헐....串 이게 '꼬치 꼬'가 아니었어요??????? 한문선생님이 나 놀렸넼ㅋㅋㅋㅋㅋㅋ

    • @umuls
      @umuls 3 ปีที่แล้ว +1

      엄나무 "엄"

    • @user-jj2xh6cq2z
      @user-jj2xh6cq2z 3 ปีที่แล้ว +1

      隕 : 운지할 운

    • @bluemarlin7777
      @bluemarlin7777 3 ปีที่แล้ว

      @@user-jj2xh6cq2z 운지가 뭔가요?

    • @Kimdoheum
      @Kimdoheum 3 ปีที่แล้ว +1

      @@user-jj2xh6cq2z 중학교때 강당이름 운지관이였는데 음

  • @user-ty5oy9yu1h
    @user-ty5oy9yu1h 3 ปีที่แล้ว +166

    0:08 ‘그 고기’ ㅋㅋㅋㅋㅋ

  • @Goat54321
    @Goat54321 3 ปีที่แล้ว +11

    대만사람인데 주음부호 보면 너무 그리워요 這個頻道真的很優質♡推推˙

  • @user-nm1yh5td2j
    @user-nm1yh5td2j 3 ปีที่แล้ว +1

    선생님 오늘도 너무 잘 봤습니다. 다음 영상 너무 기대돼요!!

  • @user-og1dj3th7k
    @user-og1dj3th7k 3 ปีที่แล้ว +149

    예시로 “엇시조” 할때 “엇” 은 “旕” 라고 씁니다. 於(어조사 어) 자가 초성, 중성의 발음을, 叱(꾸짖을 질) 자가 종성 ㅅ 의 발음을 냅니다. (국자의 규칙 중 하나)

  • @user-fb6jd5jf5j
    @user-fb6jd5jf5j 3 ปีที่แล้ว +7

    참 어려운 言語學을 깊고 博學하게 工夫하셨습니다 客觀的인 正論이 誤謬에 빠진
    이 時代를 올바르게 이끌어 갈것이라 思慮됩니다

  • @user-uk6nh4fs4j
    @user-uk6nh4fs4j 3 ปีที่แล้ว +1

    이 채널 볼 때마다 너무 유익함!!!!!
    머리로 지식이 들어올 때마다 너무 행복해!!!!

  • @user-hc2bt9vm7s
    @user-hc2bt9vm7s 3 ปีที่แล้ว +1

    너무 재밌어요 항상 운동하면서 보고있어요~~

  • @elem0212
    @elem0212 ปีที่แล้ว +92

    개인적으로 전 그리스어와 러시아어를 배우다보니 그리스 문자, 러시아 문자와 같이 형태만 다르고 특징은 같을 줄 알았는데 한자의 파생 문자들은 각 지역에 맞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 @user-wk1jk5ww9j
      @user-wk1jk5ww9j ปีที่แล้ว +1

      러시아어 어디서 배우시나요??

    • @yayayayayaya78
      @yayayayayaya78 ปีที่แล้ว +1

      @@user-wk1jk5ww9j 제가사는동네에 러시아어학원있던데

    • @user-wk1jk5ww9j
      @user-wk1jk5ww9j ปีที่แล้ว +1

      @@yayayayayaya78 부러워요 ㅠㅠ

    • @user-cq2hg3pk9w
      @user-cq2hg3pk9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yayayayayaya78서울인가욥?

    • @chulkjoung5148
      @chulkjoung514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무이 인텔리젠테 우스테.

  • @shs8915
    @shs8915 3 ปีที่แล้ว +13

    다음주제 신청합니다~
    신라의 이두, 고려의 향찰 표기에 대하여 다루어주세요~

  • @user-cv2qq3mp7t
    @user-cv2qq3mp7t ปีที่แล้ว

    이제까지 유투브 영상을 보다가 감탄을 넘어 존경심마저 들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정말 대단 하십니다.

  • @Stella-kc3ov
    @Stella-kc3ov 3 ปีที่แล้ว +1

    내용도 너무 유익하고 참 흥미로운데요 덕분에 요즘 밤에 잠을 너무 잘자고 있어요 감사합니다ㅠㅜㅠ

  • @caramelo6154
    @caramelo6154 3 ปีที่แล้ว +107

    주음부호까지 보게될줄이야 ㄷㄷ 항문천 센세의 깊이는 오늘도 가늠할 수가 없군요. 존경합네다.

    • @user-wm4nz7hn9y
      @user-wm4nz7hn9y 3 ปีที่แล้ว +7

      ㅗㅜㅑ...하앗♥

    • @user-kn2cb6so5m
      @user-kn2cb6so5m 3 ปีที่แล้ว +3

      @초대형사슴풍뎅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ublej7237
      @doublej7237 3 ปีที่แล้ว +2

      항...문?

    • @user-qj2ou8nj5e
      @user-qj2ou8nj5e 3 ปีที่แล้ว +3

      내가 넘을 수 없는 유일한 절대 넘사벽 ~~~♥

    • @kerio1345
      @kerio1345 3 ปีที่แล้ว +3

      항문천(肛門穿) : 훚ang을 뚫다

  • @Freether
    @Freether 3 ปีที่แล้ว +34

    乭 (이름 돌)
    乧 (음역자 둘)
    䜳 (음역자 둔)
    이런게 기억에 많이 남네요 ㅋㅋㅋ 특히 이름 돌 자는 이세돌의 돌이기도 해서 더 기억에 남는듯

  • @dzonbiemeniachiburumafa
    @dzonbiemeniachiburumafa 3 ปีที่แล้ว +1

    관심있던 주제인데 다뤄주시니 감사하네요

  • @user-gk2tz3xs8g
    @user-gk2tz3xs8g 3 ปีที่แล้ว +1

    잘 봤습니다.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 @MrSinusu
    @MrSinusu ปีที่แล้ว +68

    세종대왕이 천재다. 어떻게 저런 문자들이 주변에 넘쳐나는 가운데 완전히 새로운 글자 체계를 만들 생각을 하셨을까?
    진정한 천재 중의 천재다.

    • @cuvhowbndlk
      @cuvhowbndl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보고 ㅋㅋㅋ

    • @-hansan
      @-hansa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르긴 해도 완전히 새로운것 까진.....

    • @chenganran
      @chenganra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你.....知道八思巴字母吗?

    • @user-hq3ht2hp6x
      @user-hq3ht2hp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angul are created by imitating the Phagspa script, and even have five identical letters. The Phagspa script was created by the Tibetan Lama under the command of the Emperor of the Yuan Dynasty, and was also used by the Goryeo Dynasty. How can Koreans create mature letters, as they have never seen any other letters except for the Phagspa script? Of course, it's imitating the writing of the Phagspa script

    • @chenganran
      @chenganra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hq3ht2hp6x I have always been disgusted that some ethnic groups use other people's words and claim that they created them themselves.

  • @user-bm6kr7cy8i
    @user-bm6kr7cy8i 3 ปีที่แล้ว +9

    향문천님 사랑해요 💕 보고싶었어용~♡ 매번 감사합니다 🙆‍♀️

  • @youtunneltv2028
    @youtunneltv202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년전 동영상이지만, 내용에 상당한 깊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문자를 향한 탐구🕵가 하늘에 닿도록 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

  • @user-pc4vh4cd1n
    @user-pc4vh4cd1n 3 ปีที่แล้ว

    오늘도 알차게 배워갑니다.^^

  • @hoyoungjung6727
    @hoyoungjung6727 3 ปีที่แล้ว +196

    어릴 때부터 부친이 한자 먼저 가르쳐서 한자교육을 받고 자랐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한글로 모든 소통이 가능하다는게 얼마나 큰 복인지 모르겠네요. 고대사나 중국관련 전공자만 한자 공부해도 되고 일반인들은 구지 배울거 많은 시대에 한자 공부한다고 시간 낭비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정말 감사할 일입니다.

    • @user-ub2ij2sf3m
      @user-ub2ij2sf3m 3 ปีที่แล้ว +71

      그래도 한국어 어휘에 한자어가 8할 이상을 차지하니 배우면 어휘력이 향상되긴 합니다

    • @user-iw3xo8ye7h
      @user-iw3xo8ye7h 3 ปีที่แล้ว +56

      @@user-ub2ij2sf3m 한자를 완전히 알진 못하더라도 조금이라도 배운다면 한자로 된 한글을 읽었을 때 뜻을 유추하는데 큰 도움이 되죠!

    • @pi3946
      @pi3946 3 ปีที่แล้ว +28

      @@user-ub2ij2sf3m 명사 중 70%, 전체 어휘 중 56%

    • @user-ub2ij2sf3m
      @user-ub2ij2sf3m 3 ปีที่แล้ว +7

      @@pi3946 아 8할은 아니었군 죄송맨

    • @triump3411
      @triump3411 3 ปีที่แล้ว +39

      한자를 아는 입장이니 한자를 모르는 것의 폐해를 잘 모르는 것입니다. 한글전용 문제 많고, 한자를 배우는 것의 이로움이 많습니다.

  • @chanikun
    @chanikun 3 ปีที่แล้ว +19

    항상 귀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항문천님ㅠ
    언어학에 관심이 많은데 정말 도움받고 있습니다!

  • @JJ-gi6zs
    @JJ-gi6zs 3 ปีที่แล้ว +2

    오늘의 질문을 남기는 것마저 넘나 대학강의스럽네요 재밌는 컨텐츠 감사합니다 항1문천 말고 향문천님...☆★ 당신은 지식의 샘

  • @user-ug4sw3mp2b
    @user-ug4sw3mp2b 3 ปีที่แล้ว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 @Abkaijui
    @Abkaijui 3 ปีที่แล้ว +386

    서하 문자로 漢
    => (벌레) + (작음)

    • @lampboy926
      @lampboy926 3 ปีที่แล้ว +48

      작은 벌렠ㅋㅋㅋ

    • @user-im6dy7hv8q
      @user-im6dy7hv8q 3 ปีที่แล้ว +61

      한족(작은 벌레) ㅋㅋ

    • @user-fc1re3ub7m
      @user-fc1re3ub7m 3 ปีที่แล้ว +8

      @shangus321 게이야..

    • @namutnipp
      @namutnipp 3 ปีที่แล้ว +2

      6: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omin5860
      @jomin5860 3 ปีที่แล้ว +9

      맘에 든다ㅋㅋ

  • @user-mj2iu1wy8r
    @user-mj2iu1wy8r 3 ปีที่แล้ว +7

    오늘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 @jjh88
      @jjh88 3 ปีที่แล้ว +3

      인정합니다

  • @shroud9v
    @shroud9v 3 ปีที่แล้ว +1

    이전에 서하문자 다뤄주심 감사하겠다구 댓쓴적이있는데 진짜올려주셔 감사히보고갑니다!!

  • @user-pw7yz6sb6m
    @user-pw7yz6sb6m 3 ปีที่แล้ว +1

    진귀한 자료ㅡ 고마워요ㅡ

  • @kenryu1756
    @kenryu1756 3 ปีที่แล้ว +4

    50이 넘도록 이런 언어와 글자가 있다는걸 이 유튜브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v7jl6jm1l
    @user-ov7jl6jm1l 3 ปีที่แล้ว +4

    전공이 국어라서 홀린듯이 들어왔는데 얼마나 연구하시는지 보이네요ㅜㅜ
    흥미롭게 잘 보고 갑니다!

  • @user-pi9gu7fg6z
    @user-pi9gu7fg6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많이 배웁니다.

  • @wongyeongyu2527
    @wongyeongyu2527 3 ปีที่แล้ว +3

    오늘 향문천님 유튜브를 보고 너무 좋았습니다. 이런 유튜브도 있다니 감격했습니다. 취향이 딱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제가 아는 한글 국자에 둘자가 있습니다. 乧 㐈 㐙
    이름에 주로 쓰였던 것 같은데, 제가 본 사람은 乧자를 이름자로 쓴 사람인데 2명을 봤네요. 뜻은 따로 있지 않은지, 본인도 뜻은 모르고 둘째를 아들을 소망하는 그런 이름이라고 하네요. 음을 딴 글자라 그런듯합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ปีที่แล้ว +52

    진짜 영상 안보고 댓글보면 이해 하나도 안되는 유튜벜ㅋㅋㅋㅋㅋㅋ

  • @eundaeng8735
    @eundaeng8735 3 ปีที่แล้ว

    오.. 진짜 너무 좋아요 하루에 24개 올라오면 좋겠네요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3 ปีที่แล้ว +173

    6:29 이거 뭔데 ㅋㅋㅋㅋ작은 벌레? ㅋㅋㅋㅋㅋㅋㅌㅌㅋㅌㅋㅌㅌㅌ 욕아닌가 ㅋㅋ

    • @Eric-eb3be
      @Eric-eb3be 3 ปีที่แล้ว +40

      깨알 한족 욕 ㅋㅋㅋㅋㅋㅋㅋ

    • @azure397
      @azure397 3 ปีที่แล้ว +21

      앞으로 한족을 소충이라고 불러야 겠군요 ㅋㅋㅋㅋㅋ

    • @fancookinglea8454
      @fancookinglea8454 3 ปีที่แล้ว +41

      @보르노보르노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일산병원 정신과 : 031-900-0114)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솔빛정신과의원 : 02-359-9418)
      (대구 정신병원 : 053-630-3000~1)
      (인천 참사랑병원 : 032-571-9111)
      (부산 동래병원 : 051-508-0011~5)
      (곤지암 정신병원 : 444-444-444)

    • @MinJae_7472
      @MinJae_7472 3 ปีที่แล้ว +14

      @보르노보르노 보들보들

    • @ims__j__9415
      @ims__j__9415 3 ปีที่แล้ว +14

      @보르노보르노 韓女

  • @pseudo_klavier
    @pseudo_klavier 3 ปีที่แล้ว +102

    羘도 한국의 국자입니다.
    원래 훈음: 숫양 장
    한국 한정: 깃머리 양
    원래는 수컷 양이라는 뜻이었으나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소의 위를 뜻하는 양(양대창 할때 그 양)이라는 뜻이 되었습니다. 숫양이라는 뜻으로도 당연 쓰이지만 그땐 장이라고 읽습니다.
    뭐 아무튼 양꼬치든 양대창이든 맛있습니다.

    • @kdsbsb
      @kdsbsb 3 ปีที่แล้ว +1

      터키식 양꼬치 양 쉬스 케밥 드셔보세요...중국식 양꼬치는 기름기가 너무 많으 부위인데...터키식은 순살코기 덩어리 위주였네요 ㅋㅋㅋ

    • @user-wb6jt7cd4c
      @user-wb6jt7cd4c 3 ปีที่แล้ว

      @@kdsbsb 중국식 양꼬치에 사용하는 부위가 하나가 아닌데 그런설명이 가능한가? 뭔가 무섭다 이런애들은 ㄷㄷㄷ;;

    • @user-dn5hr7os8d
      @user-dn5hr7os8d 3 ปีที่แล้ว

      측전무가 만든 측전문자도 한자를 변형해서만들었고 발해문자도 있고..

    • @Maple684
      @Maple684 3 ปีที่แล้ว +1

      마지막 문장이 띵언ㅇ네요

    • @user-wk7zl6jn9u
      @user-wk7zl6jn9u ปีที่แล้ว +1

      @@Maple684 명언은 띵언
      명곡은 띵곡
      멍멍이는 댕댕이
      이렇게 한국어는 현재도 계속 바뀌고 있는 건가요?

  • @user-jm7kt9bv2i
    @user-jm7kt9bv2i ปีที่แล้ว +5

    수준 높은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 @haiwooklee3333
    @haiwooklee3333 3 ปีที่แล้ว +1

    놀라운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shs8915
    @shs8915 3 ปีที่แล้ว +3

    드디어 이 주제를 올려주셨군요ㅠㅠ

  • @user-be2bv8zy6u
    @user-be2bv8zy6u 3 ปีที่แล้ว +10

    와.. 섬넬 보고 깜짝 놀랐네요!
    한자는 단 한 종류만이 있는 줄 알았는데 변형되어 사용되기도 하다니ㄷㄷ 충격 진짜로..
    항상 즐겨보고 있습니다 향문천님!♥

  • @songriver3086
    @songriver3086 3 ปีที่แล้ว +3

    77ㅑ77ㅑ77ㅑ 영상 감사합니다. 월요일을 기분 좋게 맞이할 수 있을 것 같앙ㅅ

  • @cun3757
    @cun3757 3 ปีที่แล้ว

    애널스카이님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eugenedelacroix5081
    @eugenedelacroix5081 3 ปีที่แล้ว +279

    한국 국자하면 역시 놀랄 노자지요 엌ㅋㅋㅋㅋㅋ

    • @Chamisle_melon
      @Chamisle_melon 3 ปีที่แล้ว +104

      노자지요? ㅗㅜㅑ...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ปีที่แล้ว +122

      개그가 정말 뻔할 뻔자군요

    • @lamsi1972
      @lamsi1972 3 ปีที่แล้ว +22

      @@Chamisle_melon 아니 음란마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ㅗㅜㅑ

    • @jjkim_study
      @jjkim_study 3 ปีที่แล้ว +39

      @@lamsi1972 둘이 프사 왤케 비슷해요ㅋㅋㅋ

    • @Abkaijui
      @Abkaijui 3 ปีที่แล้ว +12

      @@jjkim_study 파기름과 참이슬 ㅋㅋㅋㅋㅋ

  • @feline-logic
    @feline-logic 3 ปีที่แล้ว +5

    거란문자가 엄청 신기하네요. 한자를 초중종성을 사용해서 결합시키다니. 잘 봤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질문은 하나도 답할수가 없는게 아쉽네요. 아는게 없어서 ㅠㅠ

  • @user-mw3vl8rx8q
    @user-mw3vl8rx8q 3 ปีที่แล้ว +3

    이번 영상도 잘 봣습니다 다시한번 전공자가 아니라는 것에 놀라고 갑니다

  • @user-ud6xi5zh4x
    @user-ud6xi5zh4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한민국이 당신 같은 분이 있어서 발전하는것 같습니다.

  • @ChrisPython
    @ChrisPython 3 ปีที่แล้ว +126

    요즘 한국어에서 가늘다-얇다, 굵다-두껍다의 구분이 희미해지는 현상에 대해서 영상을 제작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user-gz4gz7ji2y
      @user-gz4gz7ji2y 3 ปีที่แล้ว +22

      구분이 명확하지 않나요...? 가늘다와 얇다, 굵다 두껍다 서로 너무 다른 뜻인 것 같은데...

    • @dongwonkim5043
      @dongwonkim5043 3 ปีที่แล้ว +30

      가는 종이 굵은 삼겹살 ㅎㄷㄷ

    • @jinwoolee4022
      @jinwoolee4022 3 ปีที่แล้ว +51

      선과 면의 차이인 것을..
      선이 가늘거나 굵다고 하지 얇거나 두껍다고는 않지요.
      마찬가지로 종이, 책(면) 등이 얇거나 두껍다고 하지 가늘거나 굵다고 하지 않지요.

    • @lliliiiliiilliililiil
      @lliliiiliiilliililiil 3 ปีที่แล้ว +9

      구분 못하는사람이 있나

    • @ChrisPython
      @ChrisPython 3 ปีที่แล้ว +20

      @@user-gz4gz7ji2y 문법적으로는 뜻이 다르고 구분되는 단어지만 실생활에서는 구분되어 쓰지 못하는 분들이 계신다는 뜻입니다

  • @jongho0714
    @jongho0714 3 ปีที่แล้ว +31

    용룡 4개 붙어 적은
    龍龍
    龍龍 수다스러울 절 있죠ㅋ

  • @kznkzn4444
    @kznkzn4444 3 ปีที่แล้ว +18

    일본 한자 峠가 직관적이라 맘에들더라구요
    고갯길 할때 고개 라는 뜻인데 산+상하 해서 말그대로 의미더라구요

  • @licht6887
    @licht6887 3 ปีที่แล้ว +1

    향문천님 심도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id3vz5df6g
    @user-id3vz5df6g 3 ปีที่แล้ว

    좋은 내용에 감사합니다.

  • @vacant3360
    @vacant3360 3 ปีที่แล้ว +16

    (6:34)

  • @user-js9sb1ht5i
    @user-js9sb1ht5i 3 ปีที่แล้ว +15

    한자의 훈은 오래된 고유어나 이제는 낮잡아 이르는 말로 격이 떨어져 쓰기 꺼려하는 말이 많죠. 그로 말미암아 옛 한국어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고요.

  • @Jh12348
    @Jh12348 3 ปีที่แล้ว

    애널스카이님 구독했어요 잘 보고 있어요!

  • @ychipping_norton3655
    @ychipping_norton3655 3 ปีที่แล้ว +1

    똑똑한 목소리의 똑똑한 채널이네요~^^

  • @neo-bertere
    @neo-bertere 3 ปีที่แล้ว +4

    대단한 분들 많으시네 ㅋㅋㅋ
    한문시간에 잤던 1인으로서
    한문에 문외한 1인 , 거의 무뇌한 수준
    국자 처음 보는 말이지만 설명 잘해주셔서 쌍알탁 치고 갑니다.
    당연히 아는 국자는 국물국자, 이유식국자, 나무국자, 스탠국자 정도는 압니다.
    더이상은 넘사벽 이라...^^
    잘 보고 갑니다;^

  • @dragonhkss
    @dragonhkss 3 ปีที่แล้ว +3

    왠만한 다큐보다 재밌네요... 정성추

  • @LBY0210
    @LBY0210 3 ปีที่แล้ว +25

    거란족, 서하인 문자는 너무 복잡함;;

  • @user-js9sb1ht5i
    @user-js9sb1ht5i 3 ปีที่แล้ว +64

    그리고 한국어를 표기하는데는 역시 한글이 압도적인 것 같습니다. 그이전에 쓰인 구결자는 한국어를 제한적으로만 표기할 수 있었고 오늘날 일본어와 같은 향찰의 훈독은 해독하거나 그 시대의 발음을 알아내기 까다롭죠. 그렇다 보니 한국어의 역사를 알아내는 데 지장이 크고 한글창제 이후의 한국어 텍스트 자료가 매우 많아진 것만 봐도 알 수 있죠. 그것과 별개로 한자파생문자는 뭔가 다양한 문자가 많아 보는 재미는 있습니다.

    • @jjmmff
      @jjmmff 3 ปีที่แล้ว +11

      맞아요 그리고 디지털시대에 가장 적합한 글자죠
      업무처리하는데 있어서 표의문자 쓰는 중국, 일본보다 일처리가 상대적으로 빠를 수 밖에 없어요

    • @user-js9sb1ht5i
      @user-js9sb1ht5i 3 ปีที่แล้ว +18

      @@jjmmff 전란 때문에 자료가 많이 불탄 것도 크지만 그걸 감안해도 한글 이전의 한국어 텍스트 사료가 너무 없는게 야속할 따름입니다ㅠㅠ

    • @hiswieder9398
      @hiswieder9398 3 ปีที่แล้ว +5

      @@jjmmff 디지털시대에 유리하진 않음. 주변국 문자가 워낙 비효율적이라서 그렇지 한글도 효율적인 편은 아님

    • @jjmmff
      @jjmmff 3 ปีที่แล้ว +3

      @@hiswieder9398 디지털시대에 한글이 뭐가 유리하지 않고 뭐가 효율적이지 않은지 설명 좀 ㅋㅋ

    • @Abkaijui
      @Abkaijui 3 ปีที่แล้ว +5

      @@jjmmff 음... 글자 당 차지하는 저장용량이 크긴 함

  • @hsj_gm0404_back
    @hsj_gm0404_back 3 ปีที่แล้ว +26

    2.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귀찮지만 알아두면 언어생활을 하며 상당한 편익을 얻을 수 있고, 동아시아 문화권의 언어를 배우는데도 상당히 효율적이라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ㅏ

  • @monju6422
    @monju6422 3 ปีที่แล้ว +5

    와 문자에도 계통이 있다니! 굉장히 흥미로워!
    새로워!짜릿해!

  • @arunachalpradesh4637
    @arunachalpradesh463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히 잘봤습니다 ᆢ.
    궁금했었는데

  • @seo4568
    @seo4568 3 ปีที่แล้ว

    너무재밌습니다!

  • @namoakbang7045
    @namoakbang7045 3 ปีที่แล้ว +51

    이족(彝族, Yízú) 문자가 빠져있네요. 거란문자, 서하문자, 여진문자에 비교하여 최근까지도 사용되었고 유니코드에도 포함된 표음문자죠.

  • @user-dv6xl2oc3l
    @user-dv6xl2oc3l 3 ปีที่แล้ว +102

    0:07 혹시 이런말 많이 들어 보신건가?

    • @gowls1214
      @gowls1214 3 ปีที่แล้ว +35

      고구려 백제 신라가 대륙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저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없을리가 없을듯요ㅋㅋㅋ
      물론 공통점은 자신들의 말이 반박당하면 반박한 사람을 매국노로 몰아간다는거겠죠

    • @jerzunhanl
      @jerzunhanl 3 ปีที่แล้ว +9

      창힐이 우리민족의 사람이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 @Musket_Ukraine
      @Musket_Ukraine 3 ปีที่แล้ว +14

      애초에 그 사람들은 漢과 韓을 구분 못 할 것 같아요 ㅋㅋㅋㅋㅋ

  • @Kim-dackgu
    @Kim-dackgu 3 ปีที่แล้ว +1

    화이팅! 향문천님 힘내십시오......

  • @RizalBudiLeksono
    @RizalBudiLeksono 3 ปีที่แล้ว +24

    I wish there is English subtittle, I believ this video contains so many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Chinese, Korean, and Japanese writing system.

    • @user-cm1ct7ft7k
      @user-cm1ct7ft7k 2 ปีที่แล้ว +4

      Its really is

    • @ckd7843
      @ckd7843 ปีที่แล้ว +1

      Yes it is. I'm so much enjoying his video.

  • @user-kb1nv1nl8m
    @user-kb1nv1nl8m 3 ปีที่แล้ว +80

    일상생활에서는 현재 우리가 한글 쓰는 것처럼 표음문자 체계가 편하겠지만... 학문적 차원에서의 문자 체계라면 표의문자가 갖는 장점들, 즉 의미가 거의 혼동되지 않고, 조어 능력도 탁월해서 문자적 의사소통에 있어 탁월하다는 점 등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 @Comfortable_driver32
      @Comfortable_driver32 3 ปีที่แล้ว +11

      천년넘게 사용되는 이유가 있죠

    • @user-wx8jf7zy2i
      @user-wx8jf7zy2i 3 ปีที่แล้ว +2

      뭐래는거야 피쳐폰은 스마트폰에 비해서 장점 없을거 같냐

    • @dongwonkim5043
      @dongwonkim5043 3 ปีที่แล้ว +2

      @@user-wx8jf7zy2i 없는거 같은데 피쳐폰의 장점이 뭐임?

    • @GaleRianes
      @GaleRianes 3 ปีที่แล้ว +1

      그러니 새로운 방법으로 그걸 뛰어넘어야죠.

    • @user-wx8jf7zy2i
      @user-wx8jf7zy2i 3 ปีที่แล้ว

      @@dongwonkim5043 요금제도 절약되고 버튼이 눌려서 뭘 누르는지 정확하게 인지가 됨

  • @user-ms2ee2ug1o
    @user-ms2ee2ug1o 3 ปีที่แล้ว +10

    항...아니 향문천님! 항상 고퀄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요즘 아랍어를 공부하다가 알게된 것은 종교적 언어로 쿠란에 기반한 공용 아랍어가 존재하지만 아랍권 국가마다 구어체 아랍어를 방언처럼 따로 가지고 있다는 사실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한번 자세히 다루어 주실 수 있나요?!

  • @part-timejobing
    @part-timejobing 3 ปีที่แล้ว +69

    이쯤되면 C언어도 분석해줄 수 있지 않을까?

    • @redstring6613
      @redstring6613 3 ปีที่แล้ว +11

      이러다 여자의 언어까지 섭렵하면 레게노

    • @fasd_
      @fasd_ 3 ปีที่แล้ว

      @@redstring6613 와...

    • @user-gv6sg6ju8x
      @user-gv6sg6ju8x 3 ปีที่แล้ว +5

      컴공과 전공이라 c언어 분석 ㅈ밥

    • @user-kr5uo4sw1t
      @user-kr5uo4sw1t 3 ปีที่แล้ว

      아.....예...

  • @user-qf1ir5bj1g
    @user-qf1ir5bj1g 2 ปีที่แล้ว +7

    한국의 국자로는 畓 (논 답), 垈 (집터 대), 欌 (장롱 장), 椧 (홈통 명), 欕 (엄나무 엄), 岾 (땅 이름 점, 고개 재), 囍 (쌍희 희) 등이 있고 그 외에도 많이 있으며 乭 (이름 돌), 乷 (음역자 살), 乶 (음역자 볼) 등 밑에 '乙 (새 을)'이 들어간 한자 또한 국자입니다.
    한국의 국자는 아니지만, 한국에서만 쓰이는 뜻이 존재하는 경우로 '釗'는 '쇠 쇠'와 '볼 소' 두 가지의 훈음이 있는데 '쇠 쇠'는 한국에서만 쓰입니다. 또 '洑'는 '보 보'와 '스며흐를 복' 두 가지의 훈음이 있는데 '보 보'가 한국에서만 쓰입니다. 그리고 '柶'는 '사'라고 읽고 '수저'와 '윷'을 나타내는데 한국에서만 '윷'이라는 뜻으로도 쓰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본의 국자는 '栃', '匂', '匁' 등 훈독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지만 '働', '癪', '塀' 처럼 음독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중 '癪'과 '塀'은 음독으로만 존재) '腺 (샘 선)'처럼 일본에서 만들어졌는데도 한국이나 중국에서도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user-yy9dw6wr3e
    @user-yy9dw6wr3e 3 ปีที่แล้ว +134

    ‘항문천 같지만 항문천이 아니다’

    • @HoodBooks
      @HoodBooks 3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hamhannism
      @phamhannism 3 ปีที่แล้ว +3

      @규호 노린거임 ㅋㅋㅋㅋㅋ

    • @SpecialKnight
      @SpecialKnight 3 ปีที่แล้ว +1

      스멜 오브 애쓰 따우전드

  • @user-cs1jp3nx1v
    @user-cs1jp3nx1v 3 ปีที่แล้ว +110

    임꺽정ㅋㅋ 사람이름 꺽 巪 클거 + 받침 ㄱ 모양
    㗠 음역자 비롯
    음이 두개인 특이케이스
    비로소 시(훈차) + 구결, 향찰로 쓰인 ㅅ발음 叱

    • @Joey0131
      @Joey0131 3 ปีที่แล้ว +3

      사람이름이 임꺽정 ㅋㅋㅋㅋ

    • @user-du5pg9pb1m
      @user-du5pg9pb1m 3 ปีที่แล้ว

      뭐하냐 여기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알고리즘 따라왔다가 존나 웃었네

    • @genchicken
      @genchicken 3 ปีที่แล้ว

      꺼억

  • @user-po4uv5wp5c
    @user-po4uv5wp5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향문천 선생님, very nice !

  • @tianwang
    @tianwa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great video!

  • @Kindependencefighter
    @Kindependencefighter 3 ปีที่แล้ว +7

    중국어 공부중입니다. 너무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g2he1kl7s
    @user-xg2he1kl7s 3 ปีที่แล้ว +20

    1:17 역시 항문천의 언어와의 러브 코미디는 잘못되었다

  • @Jeleetube
    @Jeleetube 3 ปีที่แล้ว +1

    와우~언어에 대한 해박한 지식~엄지척~^^

  • @user-ht3jz8kj
    @user-ht3jz8k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처음 접하는 언어 문자에 놀라움을 자아냅니다.

  • @hatsu_haru
    @hatsu_haru 3 ปีที่แล้ว +37

    乭(이름 돌) 우리나라에서만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 @user-ev2st2mw2u
      @user-ev2st2mw2u 3 ปีที่แล้ว +2

      이세돌의 돌자가 저 돌자죠

    • @quodlibet170
      @quodlibet170 3 ปีที่แล้ว

      돌쇠 ㅋㅋ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ปีที่แล้ว

      돌 은 한자가 있는데 왜 음역자를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감.
      자주쓰는 한문으로 突出 돌출 같은게 존재한단 말이죠.

    • @SEXS1
      @SEXS1 3 ปีที่แล้ว

      @@davidjacobs8558 그 돌은 갑자기 돌 자이기때문에 사람한테 쓰면 갑자기 행동할수있어서 그런듯ㅋㅋㅋ

  • @ddd-pt3fi
    @ddd-pt3fi ปีที่แล้ว +6

    여진문자나 거란대자,거란소자에 시스템이 참
    흥미롭네요 개인적으로 인공어 만들때 참고해서 써보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 @heeikson2468
    @heeikson2468 ปีที่แล้ว +1

    강의가 놀랍습니다^^

  • @user-vc3sy1hi8h
    @user-vc3sy1hi8h 3 ปีที่แล้ว +1

    아참! 깜박 잊고 말씀드리지 못한 건데, 님이 소개하신 글자들 가운데 동파 문자가 있잖아요? 전 그것도 붓글씨로 써 봤어요. 글자의 모양 자체가 독특해서 끌렸고, 한족(漢族)의 글자가 아니라서 관심을 기울였거든요.

  • @makergreen03
    @makergreen03 3 ปีที่แล้ว +1

    볼때마다 너무 행복

  • @user-kc5rz2ho8n
    @user-kc5rz2ho8n 2 ปีที่แล้ว +31

    아니 서하문자에서 한족 뜻하는 글자 왤케 웃기냨ㅋㅋㅋㅋ 글자에 사람 감정이나 인식이 포함되서 창제된 거 되게 신기함ㅋㅋㅋㅋ

    • @professionalappreciator
      @professionalappreciato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 벌레섀키들이란 거 아님 ㅋ긐ㅋ

    • @haksunpark2911
      @haksunpark291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앞으로 우리도 중국(中國)을 충국(蟲國)으로 불러야 하겠군요 버러지 같은놈들로

  • @fortnitegood
    @fortnitegood 3 ปีที่แล้ว +121

    한국 국자:畓 媤
    일본 국자: 峠 榊 畑
    그리고 누에:鵺

    • @user-qf6kv8oo5d
      @user-qf6kv8oo5d 3 ปีที่แล้ว +2

      지나 가시다 우연히 절 만나신분들 늘 즐거우시고 요즘 이 코로나 시기 때
      건강 조심하세요
      옷따스히 든든히 입으세요 댓글 달아주시는 한분한분 께 기도드립니다 💕

    • @goguma1360
      @goguma1360 3 ปีที่แล้ว +12

      @Ghrome 너같이 댓 다는 애들보다는 훈훈해져서 낫다 임마

    • @user-yj7lq5no5t
      @user-yj7lq5no5t 3 ปีที่แล้ว +16

      @@goguma1360 근데 솔직히 구걸 댓 많아져서 좀 짜증나는것도 사실...

    • @goguma1360
      @goguma1360 3 ปีที่แล้ว +3

      @@Annnnniii 싸가지 없게 댓 다는 애들보다는 훨씬 보기 좋고 구독도 강요 안하는데 왜그러냐 ㅋ

    • @user-ed4ff3vf1o
      @user-ed4ff3vf1o 3 ปีที่แล้ว +10

      @@goguma1360 ㅋㅋㅋ 그래 구독자 늘려줘서 한명당 백원씩 파는놈들 배나 잘 불려줘라

  • @user-iv2se7dp6d
    @user-iv2se7dp6d 3 ปีที่แล้ว

    너무 짜릿해 재미있어

  • @Solemn_Cat
    @Solemn_Cat 3 ปีที่แล้ว +14

    1. 㔔(음역자 덩) 대체 어디에 쓸지 미스테리네요
    2. 어떤 문자를 먼저 배웠는지가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저는 한자를 한글보다 더 먼저 뗀 케이스인데 지금도 눈에 잘 익지 않는 한자를 봐도 대충 음이나 뜻이 유추가 가능합니다. 반대로 영어는 조금 힘들어 하는 편입니다. 말이나 글 모두 편의성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한자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새로운 글이 생겨나는것이니 그것이 현대인들에게 비효율적으로 보인다고 해도 그때 당시에는 가장 파격적이고 효율적이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 @teachist
      @teachis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㔔 이 한자는 자전에도 뜻이 안나오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정말 궁금하네요 ㅋㅋㅋㅋ

    •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teachist음역자는 말 그대로 소리를 표기하는 데 쓰는 한자입니다. 한국어의 ’덩‘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똥‘, ‘글’, ‘쌀’ 같이 한자로 적당한 음차자를 찾기 애매한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음역자가 사용되었습니다.

    • @user-gz6tv3bs8l
      @user-gz6tv3bs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10 ​@@대한민국정부_뇌피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