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아파트 단지가 없는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ต.ค. 2021
  •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셨던
    일본 맨션의 관리비를 살펴봅니다
    관리비
    수선적립금
    주차비
    한국은 관리비로 끝인데 일본은 다 따로 ㅎㄷㄷ
    협소주택 짓기부터
    세계 다양한 건축물이야기
    안협소
    구독과 좋아요는 컨텐츠제작에 큰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광고문의 / dooddoong@gmail.com
    #일본맨션 #도쿄맨션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K

  • @user-bn4sq2hh2b
    @user-bn4sq2hh2b 2 ปีที่แล้ว +3072

    일본에서 살것도 아닌데 세상 열심히 보는 나

    • @kingppoppi
      @kingppoppi 2 ปีที่แล้ว +69

      귀엽 ㅎㅎ

    • @mspark358
      @mspark358 2 ปีที่แล้ว +46

      저도 ㅋ ㅋ ㅋ

    • @Jack-jb3tc
      @Jack-jb3tc 2 ปีที่แล้ว +42

      남북이 전쟁이 나거나 북한이나 중국이 한국을 점령하게 되면 일본으로 이민가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때 이런 정보를 알고 있으면 도움이 많이 되겠죠.

    • @Australia789
      @Australia789 2 ปีที่แล้ว +9

      살면 되죠!

    • @arankang
      @arankang 2 ปีที่แล้ว +50

      뭘 알아서 손해보는건 없죠. 뭔가 열심히 배우면 좋아요

  • @remeriaTV
    @remeriaTV 2 ปีที่แล้ว +2385

    수선적립금 이야기나 나왔으니 꼭 알려드리고 싶은 정보가 있네요. 한국 아파트 거주하시는 세입자분들 본인이 내시는 관리비에 수선충당금 이라고 한국도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청구가 관리비와 같이 묶여있습니다. 그리고 그 수선충당금은 원래 세입자가 내는 것이 아니라 건물주가 내는 것이에요. 그래서 이사를 나갈 때 아파트 관리실에 찾아가서 수선충당금 납입내역서 뽑아달라고 하신다음에 집주인에게 청구해서 반환받아야 합니다. 이것 꼭 명심하세요. 모르고 이사가시면 아까운 돈 날리는 겁니다.

    • @user-cs1fn6jm3p
      @user-cs1fn6jm3p 2 ปีที่แล้ว +116

      정확하게 아시네요👏👏👏

    • @heonnivan
      @heonnivan 2 ปีที่แล้ว +123

      특별수선 충당금, 장기수선 충당금 이라는 개념이 있죠.

    • @elvenisar
      @elvenisar 2 ปีที่แล้ว +70

      오오, 이건 몰랐네요. 배워갑니다.

    • @user-ss4nz5gz6l
      @user-ss4nz5gz6l 2 ปีที่แล้ว +53

      맞습니다 이 부분을 모르시는 분들이 너무 많은거 같은데 설명 잘 해주셨네요ㅎㅎ

    • @6_O.clock_there
      @6_O.clock_there 2 ปีที่แล้ว +116

      아파트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도 세들어 살았으면 월 몇천원 나가는 수선충당금은 무조건 받아 가야됩니다.

  • @bad4291
    @bad4291 2 ปีที่แล้ว +330

    안협소님은 어그로도 없고 영상도 핵심만 쏙쏙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근데 그 브금이 벌써 그리워요... 호러협소...

    • @Pastresloin
      @Pastresloin 2 ปีที่แล้ว +4

      사건 얘기하실 때 목소리도 이제 익숙하고 좋아여 중독된덧 ㅋㅋㅋㅋㅋㅋㅋ

    • @leesue3465
      @leesue3465 2 ปีที่แล้ว +1

      그레서 제가좋아하는것같네요 ㅎㅎ

    • @hunyy7764
      @hunyy7764 2 ปีที่แล้ว

      마장요 ㅠㅠㅠ 그 브금 들으면 바로 안협소 생각나는데... 디링~

    • @plotmind
      @plotmind 2 ปีที่แล้ว

      처음엔 너무 싫었던 그 사고건축물 브금....지금은 그거 나오면 꿀잼 보장이라 은근 기대됨 ㅋ

  • @travelfood6130
    @travelfood6130 2 ปีที่แล้ว +537

    진짜 자세히 알려주셨네요 친척이 30년이상 일본에 살고 그 자녀들도 직장잡고 일본인과 결혼해 정착한 분들이 계신데 한국분들에게 아무리 일본 집이 싼게 아니다 라고 말해도 믿질 않더라구여 ㅠ 주차비 20만원정도면 멘션중엔 싼편이에여 도쿄도 구마다 땅값이 달라서 주차비 비싼곳은 월 40~50만원 하기도 하구여 장기수선금...한국은 관리비에 1~3만원 들어가있나 하는데 일본은 멘션이 20~30년 넘으면 30만원 이상하는곳 많아요 ㅠ 말씀하신 재산세도 장난아니죠
    결국 저 집값에 월세로 50~80만원씩 더내고 플러스 재산세 내고 ....집값을 1~2억은 더 높여서 한국하고 비교해야 한다고 해도 한국분들은 무슨 얘기인지 감을 잘 못잡으시죠
    근데 더큰문제는 저집들의 난방이 한국 빌라보다 못하다는 거에요 ㅠㅠ 보일러난방이 아니니까 또 건축규제가 별로여서 이중창아닌 80년대 샷시 1중창 고동색 그거에요 엄청 추워요 결로 기본이라 생각하셔야하고
    요즘 신축엔 안방이나 거실에 유카단보라고 전기바닥 난방 되는집도 있지만 보시다시피 전기세가 폭탄이라 있어도 못트는집 많구요
    진짜 목욕물에 몸데우고 오돌오돌떨며자야해요 전기카페트 깔아봤자 한국 전기전판이나 온수매트랑은 비교불가에여 최대온도로 놔도 뜻뜨 미지근 ㅜ
    여름엔 또 어떻게요 다다미 깔린 방 하나씩이 거의 있는데 일본집은 멘션이라도 ...(와풍이라고 해서 되게 일본인들이 조아해요 뭔가 시골 본가에 있는 느낌? 겨울엔 조금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하대서 다들 방하나라도 깝니다) 거기서 벌레 나오는거며 몇년에 한번씩 갈아줘야하고 ㅜ 돈들어가고 불편한거 천지에여
    그리고 마지막 왜 도쿄안엔 대단지가 별로 없느냐 ... 친척분 말로는 ...일본도 전쟁패전후 집없는 사람 외국에 있다 돌아온 귀국자 문제로 50~60년대 단지를 대량지어 주택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었는데 (이부분까지는 저도 주택박물관에서 본적이 있었어요) 싸게 지을땅을 찾은게 개발되지 않았던 도쿄 외곽 도쿄까지 통근이 편리한 곳들이었고 도쿄에 100채지으려면 그곳엔 1000채 지을수 있눈 예산이되니 주택공사라고 해야하나 시영 도영 공사에서 그런식으로 공급했다 하더군요 또하나 이유는 이미 그당시도 그렇고 그 이후도 그랬지만 도쿄든 오사카든 도심에 지으려면 땅을 매입해야하는데 일본인의 특성상 단독주택을 성호하고 사실상 수대에 걸쳐 조부모가 사시던집에 수리하거나 다시 집으류지어 부모님이 살고 다시 내가 대학생 직장초년생 신혼일때 아이 한둘 어릴때까진 월세살다 자리잡으면 그 집 자리에 다시 집을 지어 사는 ....그러니까 내 가족의 집터를 물려주는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교통비가 비싼 일본인의 특성상 지방이라 도쿄나 나고야 오사카같은 대도시에 나가 직장 잡지 않는한 내가 나고자라 근처의 직장이나 가게에서 생업을 잇는 경우가 많아서 ....해방과 전쟁을 맞으며 자기능력으로 신분을 바꿀수 있던 한국과 달리 일본은 화족이 없어져도 성만 보면 또 그동네 살다보면 알게되는 지역유지나 정재계 인사들이 있는 신분사회라 일본서민들은 그냐유자기 자리 지키며 살아가는게 소소한 행복이라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그게 태양인 일왕과 화족을 중심으로 자리를 지키는 일본인의 세계관이기도 한것 같구요 )
    개개인이 단독주택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단체적으로 단지를 지을만한 규모의 땅매입은 힘들다고 하더군요 ...
    제가보기에도 한국은 돈이 있으면 커뮤니티 시설 좋고 난방도 아래윗집때면 동시에 따뜻해지고 애들놀 놀이터 있고 주변에 편의시설 상가실설 모인(학교도 모여있고...70~80년대ㅠ강남 목동 잠실 개발부터 이 규칙은 지켜지고 있는거 같네요) 아파트를 선호하고
    일본인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중시되고 나중에 내가 죽어도 아이들에게 집터라도 물려줄수 있는 단독주택을 선호하는거 같아요
    ^^

    • @user-seney
      @user-seney 2 ปีที่แล้ว +79

      일본 주택사정을 이해할수 있도록 소상히 적어주셔서 쉽게 와 닿네요.감사합니다.

    • @doli-ithing
      @doli-ithing 2 ปีที่แล้ว +28

      좋은 얘기 감사합니다

    • @89NKOTB
      @89NKOTB 2 ปีที่แล้ว +26

      정말 상세하네. . . 대단!!

    • @paul.jungwon
      @paul.jungwon 2 ปีที่แล้ว +36

      일본 유학하면서도 궁금했던 부분인데, 명쾌히 이해되네요. 감사합니다. 일본은 깔끔하고 살기 편해 보여도 참 사람이 먹고 사는 문제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 @bravvvo4954
      @bravvvo4954 2 ปีที่แล้ว +16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sjjfh3j48js
    @sjjfh3j48js 2 ปีที่แล้ว +581

    일본의 "수선적립금"에 정확히 매칭되는 개념이 우리나라의 "장기수선충당금"이네요. 아파트에 따라서 액수가 다르긴 하지만, 월 몇만원 정도 부담하는게 보통입니다. 한국의 장기수선충당금은 관리비 청구서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 존재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말하면 아파트 관리비는 거주자 (세입자 or 자가거주자)가 내는 것이고 장기수선충당금은 집의 소유자가 내는 것입니다. 자가거주자의 경우에는 구분할 필요가 없는데, 세입자의 경우는 일단 세입자가 관리비에 포함되는걸 납부하고 나중에 임대차기간이 끝나서 나올때 그동안 세입자가 납부했던 장기수선충당금을 집주인에게 정산받아야 합니다. 이거 몰라서 1~2백 정도를 그냥 손해보는 세입자들도 은근 많죠.

    • @iiii4446
      @iiii4446 2 ปีที่แล้ว +18

      웜매야ㅎㄷㄷ좋은 정보 감사해요 저도 임대기간 끝나면 정산해달라 해야겠네요

    • @6_O.clock_there
      @6_O.clock_there 2 ปีที่แล้ว +37

      아파트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도 마찬가지입니다. 관리비 내역서에 보면 장기수선충당금이란 내역으로 몇천원 쓰여있는데 월세나 전세로 들어온 세입자가 내는것이 아닌 집주인이 내야하는것으로 나중에 임대 기간만료후 집주인에게 돌려 받아야 됩니다.

    • @komun40000
      @komun40000 2 ปีที่แล้ว +57

      옛날 얘기에요.. 요즘은 아파트 관리실에서 알아서 처리해 줌

    • @awesomelife8066
      @awesomelife8066 2 ปีที่แล้ว +10

      저도 장기수선충당금 얘기하려고 했는데 감사합니다~

    • @user-hz1ks4bi5y
      @user-hz1ks4bi5y 2 ปีที่แล้ว +26

      부동산에서 계약칠때 다 뽑아줘요

  • @user-xb7do5ft6g
    @user-xb7do5ft6g 2 ปีที่แล้ว +22

    자료 보여주면서 쉽게쉽게 설명해주니 볼 수 밖에. 언제나 새로운내용. 잘보고있습니다.

  • @yj810104
    @yj810104 2 ปีที่แล้ว +564

    잦은 지진으로 인해서 건물 지하, 또는 우리나라처럼 필로티 있고 1층에 주차장 두는 그런 정책을 안 쓰는거 같기도 하네요...
    지진으로 건물이 폭삭 주저앉으면 차량도 같이 침하되니... 외부에 주차장을 두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 @user-th3ox5vg6w
      @user-th3ox5vg6w 2 ปีที่แล้ว +54

      아... 일본에 그래서 지하가 없는거군요
      한국이 지진 없는건 좋네용 ㅋㅋㅋ

    • @user-sp7sc5sz4c
      @user-sp7sc5sz4c 2 ปีที่แล้ว +18

      이걸 전제하에 일본의 모든걸 판단하는게 맞는거같다

    • @user-sp7sc5sz4c
      @user-sp7sc5sz4c 2 ปีที่แล้ว +13

      유난히 오버스러운 리액션,응원문화,컨텐츠
      그리고 그걸 깔볼정도로 위에 있다는듯이
      상반된 점잖떠는 태도를
      어른스러움으로 추켜세우는 풍조.
      이제서 뭔가 퍼즐이 맞추지는듯.

    • @user-de1vp6fd9e
      @user-de1vp6fd9e 2 ปีที่แล้ว +164

      @@user-sp7sc5sz4c ..? 이게 뭔 논리지

    • @Why-km5ji
      @Why-km5ji 2 ปีที่แล้ว +7

      @@user-nl7ub8cn5p 오키나와에 지하 주차장 되어있는곳 많지요. 오키나와도 지진은 있긴 있습니다. 창문 흔들릴 정도로 두세달에 한번 올까말까한 수준이지욬

  • @donghyunlee540
    @donghyunlee540 2 ปีที่แล้ว +85

    우리나라는 아파트들이 대부분 단지라 입주민들의 땅에 대한 지분이 있지만 일본은 타원멘션 그 건물안 땅에 지분만 있고 또 평수가 작죠. 땅게 개념만 본다면 일본 아파트도 굉장히 비싸죠.

  • @gudohwan
    @gudohwan 2 ปีที่แล้ว +35

    3:05 수선적립금은 한국에도 "장기수선충당금" 이라는 명목으로 존재합니다. 안협소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관리비에 포함되어서 신경을 안쓰는 것이죠. 집행점검은 관리회사(보통은 관리소장)과 건설사(하자보증기간에 한함), 사업시행자, 아파트의 대표자로 선출되는 사람 등이 관여하게 되어 있어요. 그리고 장기수선충당금을 사용할 수 있는 연한과 명목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런데 입주민들의 관심이 적다 보니 만만디로 엉망진창으로 집행하는 경우가 왕왕있어 변압기 같이 큰 걸 바꾸는 시즌에 뜬금없이 돈내라고 공고뜨는 경우가 있고 그제서야 내역 공개하라 소송하라 싸우는 경우도 생깁니다. 그래서 장기거주하시는 분들은 이웃을 위해 잠깐 시간 내어 봉사하신다는 개념으로 관리사무소에 분기회의 때 불러달라고 요구한 뒤, 평가위원으로 한번쯤 가서 집행실태를 점검하시는 것도 투명성 제고에 큰 도움이 됩니다.

  • @user-zr4oc8vv6t
    @user-zr4oc8vv6t 2 ปีที่แล้ว +14

    결국 용적률과 편의시설을 봐야함. 요기서 소개된 일본 맨션들은 고용적률에 편의시설이 없으니 한국아파트에 비교될게 아니라 한국오피스텔이랑 비교해야할텐데... 신주쿠에 있는 저 멘션도 용적률이 600프로가 넘을텐데 22평에 산다치면 3~4평정도가 자기 대지지분, 결국 매번 보수해야되니깐 계속 수선적립금을 쌓아둘 수 밖에 없음.

  • @Negativeray
    @Negativeray 2 ปีที่แล้ว +54

    주차장 달마다 2만엔은 너무 싸게 잡으셨네요. 제가 도쿄 변두리에서 2만엔씩 내고 있는데... 미나토구나 신주쿠구라면 최소 4~5만엔은 잡고 가야 합니다.

    • @HS-ij2no
      @HS-ij2no 2 ปีที่แล้ว +2

      전 후쿠오카에서 살고 있는데 주차장 한달에 6천엔이네요. 중심지는 15000엔정도

    • @user-rv8lc1hb1g
      @user-rv8lc1hb1g 2 ปีที่แล้ว

      그런데 타워맨션 내 주차장비용이 주변시세랑 비교하면 싸게책정되는거같아요. 그런데 이건 각 맨션 정책이 케바케라....ㅎㅎ..

    • @kori2sal
      @kori2sal 2 ปีที่แล้ว +1

      아사쿠사 타워맨션 살 때 맨션 주차장 주차비가 한달에 4만엔이었습니다. 그것도 입주자 할인 넣어서...
      지금은 오다이바쪽 타워맨션 사는데 여기는 맨션 주차장 주차비가 월 18000엔 정도네요.
      회사는 아카사카에 있는데, 법인차 들어간 주차장은 주차비가 월 5.6만엔이죠...
      부모님 사시는 아파트는 서울인데도 2대까지 공짜. 3대째부터 월 2만원...

  • @CHANYCOYA
    @CHANYCOYA 2 ปีที่แล้ว +99

    일본의 맨션 수선적립금이 비싼 이유 중 하나로 버블경제 때부터 유행하던 타일식 외관이 있죠.
    고급져 보인다고 아직까지도 선호되는 디자인인데 이걸 10년 마다 대대적으로 보수를 해줘야합니다. 아시바 일일이 세워서 해야하니 돈이 어마어마 하게 나가요...
    성냥갑 소리 들어도 한국 아파트의 페인트칠이 훨씬 효율적이라 생각해요.
    만약 보수를 안해서 타일이 떨어져서 사고가 나면 관리소홀을 이유로 맨션 입주자조합에 책임이 발생하고 인명사고가 발생하면 조합에서 보상도 해야합니다.

    • @user-sk9gt8nw7g
      @user-sk9gt8nw7g 2 ปีที่แล้ว +2

      지진도 자주나는 나라인데 특이하네요

    • @fjskfjdkdksofk
      @fjskfjdkdksofk 2 ปีที่แล้ว

      왜 갑자기 욕을 해요

    • @CHANYCOYA
      @CHANYCOYA 2 ปีที่แล้ว +12

      @@fjskfjdkdksofk 아시바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시바는 욕이 아니라 건설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순화해서 비계라고도 하는데 업계 분들은 거의 아시바라고 해요.

    • @user-og4zw8gg7n
      @user-og4zw8gg7n ปีที่แล้ว +1

      @@CHANYCOYA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욕이라고 생각했지만 가만히 있었는데 설명 감사합니다

  • @Nong-Rock
    @Nong-Rock 2 ปีที่แล้ว +55

    우리나라도 고지서 보면 수선뭐뭐뭐 써진거 있는데
    전세나 월세 분들은 퇴거 할때 집주인에게 받아 가야합니다.
    모르는분들 많더라고요. 집주인 안줄려고 아무말 안하고요 ㅋㅋ

    • @Egoneedle
      @Egoneedle 2 ปีที่แล้ว

      집주인한테 받아가는것도 있는데 일단 그게 저렇게 비싸지도 않았던걸로 기억함 ㅋㅋ

    • @Nong-Rock
      @Nong-Rock 2 ปีที่แล้ว

      @@Egoneedle 저 아파트 사택에서 지낼때 4년동안인가 해서 100만원정도 됐었어요. 그돈으로 사택 선배들이랑 회식하고요. 집주인 대신 낸돈이니까 받아가는게 좋죠 ㅎㅎ

    • @Egoneedle
      @Egoneedle 2 ปีที่แล้ว

      @@Nong-Rock 네 월2만원정도로 기억해서

    • @user-nj6de3bg1r
      @user-nj6de3bg1r ปีที่แล้ว

      부동산 계약할때 아파트 세입자한테 다 말해줍니다. 관리비 수선충당금은 나갈때 집주인한테 환급받으시라고..

  • @kachil1712
    @kachil1712 2 ปีที่แล้ว +72

    일본거주중입니다. 맨션 사려다가 수선적립금 비싸서 단독으로 구입했습니다. 제 주변을 보면 차를 가지고있지 않으신 분들이 아파트를 구입 하시는 패턴이 많더군요.

  • @_Tidian
    @_Tidian 2 ปีที่แล้ว

    한국어도 자막작업 잘 해놓으셨네요
    소리작게하거나 소리 없이 보는 것도 좋아하는데 굿굿이에요

  • @user-hr3vo5ji1o
    @user-hr3vo5ji1o 2 ปีที่แล้ว +226

    와 관리비 수선비 주차비 장난아니네요 거기다 전기세등 공과금도 세고 완전 후덜덜 하네요ㅎ
    협소님 오늘 일본맨션에 대해 유익한 정보 잘 들었습니다
    화이팅!!!!

    • @atol7771
      @atol7771 2 ปีที่แล้ว +4

      한국도 저리됨.유럽은 한수 더뜸.선진국 되면 수선적립금떄문에 매매가 안됨.차라리 월세 살지.이리됨.아파트 연식따라 올라가다 보면 거의 공짜로 넘김.유럽에 2000만원 짜리 아파트.외국인들이 사서 20명~30명이 공동 거주함.이 수선적립금을 30명이 나눠서 내야 가능.이거 때문에 감가상각비 확실함.

    • @caseyhwang4563
      @caseyhwang4563 2 ปีที่แล้ว

      민영화 하자고 지랄을 한놈중에 대장이 주어가 없는 엥바기가 있고,,, ㅉㅉㅉ

    • @hanakim2993
      @hanakim2993 2 ปีที่แล้ว +1

      @@caseyhwang4563 의료민영화부터 민영화는 노무현때 부터 였음. 선동질에 놀아나지 말고 정신줄 잡으삼.ㅉㅉ

  • @user-xc5kz4kz5n
    @user-xc5kz4kz5n 2 ปีที่แล้ว +47

    안협소님 영상은 항상 몰입해서 보게되요! 일본가서 살일도없는데 ㅋㅋㅋㅋ오늘도 잘봤습니다

  • @user-kk1yt4ve4h
    @user-kk1yt4ve4h 2 ปีที่แล้ว +18

    첨에는 오? 도쿄에서 살만한데 했는데 갠적으로 역시 서울 도쿄사는것보다 적당한지방에사 사는게 더 나은듯 ,,,

  • @arankang
    @arankang 2 ปีที่แล้ว +44

    진짜 언어를 잘하고 저렇게 하니 견문이 넓어지고 이걸 또 여럿 볼수 있도록... 하니... 엄청 좋은일 하시네요.

    • @arankang
      @arankang 2 ปีที่แล้ว +6

      @@jjlee5629 어..아이디부터....삐딱하네.
      전문 통번역사도 아닌데 저렇게 정보전달 해주면 좋은건데요.
      님은 남들에게 번역기 돌리든간에 간단하면서도 저렇게 좋은 일. 사회에 기여하는 한자락 해봤나?

    • @musiccafe8895
      @musiccafe8895 2 ปีที่แล้ว +5

      @@arankang그런식으로 말하면 모든 직업이 사회에 기여하는 일이지, 자본주의라는게 강제된 이타주의라도 에덤스미스 시절에 정의된건데.새벽마다 쓰레기 치우는 사람도 좋아서 하는거 아니고 다 돈받으니까 하는거지

  • @rothsshvili5125
    @rothsshvili5125 2 ปีที่แล้ว +95

    단순히 지진에 대한 우려 뿐 아니라 수선적립금이 오래된 아파트, 맨션일수록 높을 수 밖에 없군요, 주차공간 확보 비용 등 자차 부담도 클수 밖에 없고, 일본경제신문 번역기로 돌려서 가끔 보는데 일본 노후 주택, 아파트, 맨션 등은 재개발, 철거할려면 석면 제거를 해야 하는데 공사비용이 만만치 않고 주변 민원 제기, 반대가 클수 밖에 없으니 그것도 저출산고령화와 더불어 노후 건물 입주를 막고 유령단지화, 공실을 야기하지 않나 싶어요, 한국같은 경우 옛날에 지은 학교들 석면 제거하는 것 보면 발암물질이라 정말 철저히 교문부터 잠그고 학교 건물 근처 운동장 출입도 불가하지요 근데 그렇게 거리를 띄워도 석면 제거 공사 하는 근방 공기가 안좋음 우리보다 경제번영을 더 앞서 더 크게 누린 나라니, 석면 사용 옛 건물 처리가 더 부담이 크리라 짐작합니다

    • @karmaoo3865
      @karmaoo3865 2 ปีที่แล้ว +8

      일본 전역에 대지진나면 다 해결되네요
      낡은 건물 다 허물어지면 다시 지으면 되니까

    • @user-qt4fp5rw8q
      @user-qt4fp5rw8q 2 ปีที่แล้ว +1

      그런거보면 남에 피와 눈물로 세운건 다 벌받네요

    • @rothsshvili5125
      @rothsshvili5125 2 ปีที่แล้ว +1

      @@user-qt4fp5rw8q 그래서 우리 모두 7가지 죄 (seven deadly sins, 7죄종)을 온 몸과 마음을 다해 눈 감는 날까지 경계 또 경계해야지 싶어요: r 탐욕(도를 넘은 인색함 포함), 성적인 방종(지나치게 성욕 탐닉), 식탐(i.e. 먹방이란 개념을 전 세계 퍼트린게 자랑만 아닌 이유), 나태, 질투, 교만, 분노(과한 분노로 똑같이 또는 더한 악인될 위험을 무시, 거부 않는 것, 용서, 배려 및 관용의 부족 포함)

    • @atol7771
      @atol7771 2 ปีที่แล้ว

      지진 없는 다른 선진국도 다 저럼.

    • @kaosis876
      @kaosis876 2 ปีที่แล้ว

      @@user-qt4fp5rw8q 근데 한국 근대화이룬다고 일본이 빚까지 졌다는 사실 ㅋㅋ
      막상 점령하니까 개그지 국가라..
      울며겨자먹기로 짱국진출을 위해
      기반시설을 키웠는데...어휴 돈이
      무지막지하게 들어가서 쌉적자남 ㅋㅋㅋ

  • @sprulz
    @sprulz 2 ปีที่แล้ว +35

    수선적립금 비싼게 좋은 건 아니지만 수선적립금이 싸도 관리가 잘 안되고 있는 아파트라 추후 자산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사는 게 좋다는 얘기도 있더라구요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2 ปีที่แล้ว +5

      일본은 지진같은 변수도 있어서 맨션같은경우는 40대에도 가족이랑 월세내고 사는경우가 많습니다
      집가지고 있는것에대한 리스크가 너무큼

  • @jushin3635
    @jushin3635 2 ปีที่แล้ว +107

    현재 동경이 살고 있는 1인 입니다 수산 적립금, 관리비, 주차비 다 합해서 매달 80만원 좀 넘게 내고 있습니다. 평수는 60평 좀 넘는 동경 치고는 넓은 평수 이지만…비싸네요 😅😅 하지만 월세로 내놓으면 정말 많은 이익이 되겠지만 13년 뒤에 생각 해보렵니다!

    • @bluebottle1546
      @bluebottle1546 2 ปีที่แล้ว +4

      도쿄에 60평(240헤베)되는 맨션이 몇 안되는데 .. 가령 있다고 해도 수선비 관리비 주차비 다하면 20만엔넘어갈것같은데요..
      제가 타워 70(20평조금넘음) 헤베 사는데 위의 것 다 합쳐서 10만엔 (100만원) 정도 들어갑니다

    • @jushin3635
      @jushin3635 2 ปีที่แล้ว +3

      @@bluebottle1546 제가 평수 계산이 잘못 됬나봐요! 총 170 헤베 정도 인 맨션을 동경에 구입했는데 정말 구하기 힘든 물건이었습니다! 대출금을 포함해서 하면 20만엔은 넘습니다 😅 하지만 전에 살던 맨션은 44헤베에 22만엔 이었던것 비하면 괜찮은 것같은 🤔 조금 후회하는 건..이 물건이 일본인들에게 월세로 과연 잘 될까인데..지인말로는 일본인들에게는 너무 넓어서 거부감이 들지도 모른다고, 외국인들에게 월세로 내놓으면 모를까..하지만 외국인은 월세 수입이 불안정 한면이 있어 😥 (단기 계약이라든지…)

    • @bluebottle1546
      @bluebottle1546 2 ปีที่แล้ว +3

      @@jushin3635 앗 죄송합니다. 곱하기를 잘못했습니다.
      170헤베정도 맞습니다! 넓직해서 부럽습니다.
      정말 그정도 크기면 월세 내놓기 어렵겠네요.
      보통 3ldk 70헤베정도가 가장 잘나가죠.

    • @tokyobaytommy
      @tokyobaytommy 2 ปีที่แล้ว

      도쿄도 지역 나름입니다.
      도쿄23구 내에서는 절대 불가능합니다.

    • @jushin3635
      @jushin3635 2 ปีที่แล้ว +4

      @@tokyobaytommy 뭐가 불가능한거죠?? 🤔 평수가 아니면 그 평수의 그 가격을 23구에서 찾는 거요?? 많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있기는 있어요! 저희는 자고로 江東区에서 샀어요 ☺️

  • @GangnamTVcom
    @GangnamTVcom 2 ปีที่แล้ว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Thank you~!!

  • @nexus7shin883
    @nexus7shin883 2 ปีที่แล้ว +1

    일본의 생활상을 한국의 생활 물가를 잘 비교해서 설명해주시니
    여러모로 이해가 잘됩니다....도교.오사카에 살려면 비용이 부담되겠내요...
    한국의 서울.부산의 경우도 생활물가에 서민들 고생하지요.....

  • @user-xk2yc9rc9l
    @user-xk2yc9rc9l 2 ปีที่แล้ว +58

    8억이든 80억이든...향후 집값이 오른다면 가격은 크게 문제될것이 없지만 일본은 집의 연식이 늘수록 감가가 된다는 사실...지진때문에 그런지용적률 넢여 재건축도 힘들거 같고...

    • @user-uc2sg1wi5u
      @user-uc2sg1wi5u 2 ปีที่แล้ว

      주민 동의율이 법으론 한국이랑 비슷한데 지자체 요구하는 실질 동의율이 기본 90%가 넘는다죠. 거기다 한국보다 앞선 노령화로 10년 걸리는 재건축을 아예 거부하는 노인들이 많아서 재건축 사업성이 0 또는 마이너스라 할생각을 안한다죠

  • @zipsabottle5861
    @zipsabottle5861 2 ปีที่แล้ว +11

    일본 진짜..ㅠㅠ 겨울에 특히 가스비, 수도세 엄청나와요..ㅠㅠㅠ
    혼자살고 샤워만 햇는데 (거기다 인덕션씀) 가스비 겨울에 기본 8천엔나와요...
    가스비 들어갈데는 물데우는거 밖엔 없는데...ㅠ

    • @chanhun7
      @chanhun7 2 ปีที่แล้ว

      난방 보다 샤워가 가스비 더 많이 나와요. 난방은 안에서 물이 계속 돌지만 샤워는 더운물이 그냥 흘러 버리죠.

    • @zipsabottle5861
      @zipsabottle5861 2 ปีที่แล้ว +1

      @@chanhun7 일본은 한국처럼 난방비라는 개념이 없어요.. 거기는 방 데우려면 전기스토브나 온풍기 틀기때문에 전기로 밖에 안해요..
      그래서 가스비 나가는건 물밖에 없는데 물받아서 하는 목욕도 아니고 고작 샤워인데도 많이 나와요..

    • @aromacandil6175
      @aromacandil6175 2 ปีที่แล้ว

      샤워하루1번정도인데 가스비 3천앤정도인데~내역서 꼼꼼히 살펴보새요~너무많이 나와요~~

    • @zipsabottle5861
      @zipsabottle5861 2 ปีที่แล้ว

      @@aromacandil6175 겨울에요??? 전 여름에 3천엔인데..;

    • @user-zn5dc7jd4r
      @user-zn5dc7jd4r 2 ปีที่แล้ว

      도시가스가 아니면 그정도 나와요 집구하실때 가스 부분을 잘확인해 보게요 저는 두곳다 살아봤는데 도시가스쓰면 진짜 적게나외요 지금은 도시가스거 아니라 저도 한달에 7-8천엔 나와요 ㅜㅜ그리고 설거지도 겨울엔 따듯한물로 해서 더 많이 나오는거 같아요

  • @user-be1yf6un3g
    @user-be1yf6un3g 2 ปีที่แล้ว +1

    이분 왜렇게 편안하고 좋지~!!!

  • @chicken00700
    @chicken00700 2 ปีที่แล้ว +2

    아파트 관리비 명세서에 장기수선 충당금이라고 항상 있지요.
    새롭게 분양받아서 들어간 새아파트는 1년 정도는 발생하지 않지만
    해가 지날수록 장기수선 충당금은 발생하게 되어 있습니다.

  • @Anonymous-bz8sd
    @Anonymous-bz8sd 2 ปีที่แล้ว +3

    호주랑 비슷하네요.
    우리도 관리비에 저런 수선비까지 포함되어 있는데
    시설에 딸라 다르지만 수영장이나 사우나 짐 까지 같이 포함 되어 있으면 월 20-50만원 나가는듯

    • @jayin2002
      @jayin2002 2 ปีที่แล้ว

      호주 단독 주택도 HOA (동네 관리비?) 나오나요? 미국 irvine 같은데는 나오는 것 같더라구요. 동네 조경 등등

  • @user-ql4wq9sm3z
    @user-ql4wq9sm3z 2 ปีที่แล้ว +14

    일본 싼게 아니네 평수가 한국가 차이가큼. 한국은 서울도 기본30펑시작인데 저긴 9평 20평 장난치는것도 아니고 답답해서 못살듯

    • @-_-.............
      @-_-............. 2 ปีที่แล้ว +1

      서울도 20평 초반대 많은데

  • @aromacandil6175
    @aromacandil6175 2 ปีที่แล้ว +12

    시원시원한 목소리 오늘도 반갑읍니다~^^

  • @roykim9767
    @roykim9767 2 ปีที่แล้ว

    이분 나레이션이 편안함 내용도 좋고

  • @ElectricalEngineerrr
    @ElectricalEngineerrr 2 ปีที่แล้ว +5

    수리비 ㅋㅋㅋ 한국에서 아파트 수리는. 아니 수선은 거의 안한다고 보면 되요. 고장나도 억지로 굴림 20년까지 사용하라고 적혀있는곳엔 이미 30년된 아파트에서 교체 한번 안한곳이 거의 99프로임. 1프로는 고장나서 주민들 살수가 없으니 그때서야 고침..그래도 그냥 쓰는 곳이 더 많음. 이유는 턱없이 부족한 관리비때문에 교체할수가 없음. 하지만 일본은 법으로 되있어서 시기가 오면 다 교체하죠.

    • @user-xw6ej1pm8f
      @user-xw6ej1pm8f 2 ปีที่แล้ว +1

      하..저도 오래된 아파트 사는데 진짜 굴리고 굴리다가 그제서야 하더라구요 이제 주민투표받고 하던데 도대체 언제 고칠 지..

  • @user-pj7id6tt5u
    @user-pj7id6tt5u 2 ปีที่แล้ว +3

    주공아파트 같은 단지형 아파트는 일본에도 존재하는데 보통은 UR공단에서 임대로 주고 있습니다. 도쿄도 타카시마다이라나 외곽지역인 코다이라 타마시 등등의 가쪽 지역에 많아요. UR공단 사이트에 들어가면 집을 볼 수 있습니다. 공단주택은 관리비가 그렇게 비싸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월세에 포함되었던 것 같아요 기억이 가물 ㅎㅎ)

    • @user-pj7id6tt5u
      @user-pj7id6tt5u 2 ปีที่แล้ว +2

      사이트에서 방문신청하고 사무실가서 열쇠 받아서 집 구경 후 반납하면 되고 공실만 내놓기 때문에 이사 들어가고 나갈때 편했던 기억이 있네요, 이사도 한달전에 전화해서 통보하고 당일 사무실에 열쇠 반납하면 끝이구요 (보증금은 월세 한달치인가 세달치인가 그랬는데 공과금등 정산하고 들어옴) 이런 서비스는 좋은 것 같아요

  • @a20845018
    @a20845018 2 ปีที่แล้ว +2

    안협소 소재 역시 잼남

  • @hijakyung
    @hijakyung 2 ปีที่แล้ว +1

    우와 드디어 오셧다 안협소님!!

  • @seatravelerwitch3254
    @seatravelerwitch3254 2 ปีที่แล้ว +23

    국내도 수선충당금이 관리비 안에 들어가요~ 근데, 금액이 장난 아니긴 하네요.

  • @midas99
    @midas99 2 ปีที่แล้ว +36

    신축일수록 맨션 가격도 엄청 오르긴 하네요.

  • @user-yu9hf6mz8y
    @user-yu9hf6mz8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수선적립금 말고도 월세로 집을 구하려고 할 때 제일 이해못하겠는게 또 있습니다..
    레이킹이라는 건데 집을 빌려줘서 주인한테 고맙다고 주는 비용이에요.
    못 돌려받는 돈이라 아까운데 보통 월세의 1-3개월분을 내야해서 매번 아깝다고 생각했네요.

  • @user-fq7uu6jn6h
    @user-fq7uu6jn6h 2 ปีที่แล้ว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뜬금 없지만, 엔딩부분에 깔리는 노래 정보가 궁금해요~! 노래가 넘 좋네용..

  • @jkcop77
    @jkcop77 2 ปีที่แล้ว +68

    아무래도 지진과 같은 재해가 좀 있다보니 수선 적립금이란 명목의 기금을 마련하는 현상은 아닌지 생각되네요.. 제 생각입니다 ㅎ

    • @wujooin
      @wujooin 2 ปีที่แล้ว +6

      오 그럴 싸 하네요

    • @user-jq1ud4st2v
      @user-jq1ud4st2v 2 ปีที่แล้ว +11

      저희 아파트도 장기수선충당금 이름으로 따로 내요! 이거로 아파트 도색이나 엘리베이터 교체 같은 거에 쓰더라고용

    • @jkcop77
      @jkcop77 2 ปีที่แล้ว +11

      @@user-jq1ud4st2v 저희도 마찬가지에요. 장기수선충당금이 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죠. 다만, 영상에서와 같이 일본처럼 터무니 없는 금액은 아니거든요. 확실히 일본과 우리는 사정이 다른것 같습니다.

    • @rothsshvili5125
      @rothsshvili5125 2 ปีที่แล้ว +8

      것도 그렇고 경제 번영, 거품 경제를 오래전에 경험해서 그때 화려하게 지었던 옛날 건물들이 하나 둘 탈이 난다고 하더군요, 심지어 발암물질 석면 엄청 사용한 건물들도 적지 않은데 그거 제거할려면 작업자도 완벽하게 방호복입고 주변 완벽하게 밀봉하고 해야 하는데 저런 바쁜 도심에서 위험한 발암물질 자재 제거 작업한다고 하면 민원 엄청나죠, 한국 같은 경우도 옛날에 지은 학교들에 사용된 석면 제거하는데 학교 교문부터 잠그고 건물 근처 운동장에 출입도 통제하고 방학때 사실상 근방 주민들 몰래 작업하는데 벌써 체감 공기 질이 많이 안좋아요 그런 류 공사하면

    • @atol7771
      @atol7771 2 ปีที่แล้ว

      아니요,선진국은 다 그럼.한국도 이제 선진국 들어가서 저리됨.

  • @plotmind
    @plotmind 2 ปีที่แล้ว +63

    아파트가 거의 다 단독 아파트네오. 2000세대 이상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드물군요

    • @user-mc3jo2uc2b
      @user-mc3jo2uc2b 2 ปีที่แล้ว +1

      맞아요. 단독 맨션도 많아요. 한건물에 1500세대씩되는 큰맨션도 도쿄에는 많더라구요.

  • @user-rp8sj4ku7j
    @user-rp8sj4ku7j 2 ปีที่แล้ว +52

    한국의 '대단지 아파트'는 조경에 커뮤니티시설, 지하주차장등 고급화가 되어 거의 리조트에 가까운 모습을 보입니다. 그에 비해 일본의 아파트(맨션)에는 그런것이 없죠. 한국으로 치면 아파텔/나홀로아파트 정도의 포지션입니다. 또한 한국의 아파트는 내부 '서비스면적'이 포함되어있어 같은 전용 84m2라도 내부가 훨씬 넓습니다. 한국에서 오피스텔 전용84가 아파트 전용59랑 내부면적이 비슷한 것을 생각하시면 빠릅니다. 일본 맨션의 서비스 면적은 외부 필로티 한칸 정도죠.

    • @user-fq5rk2dv3r
      @user-fq5rk2dv3r 2 ปีที่แล้ว +3

      아파트는 우리나라가 최고에요

  • @user-yu9tx7dw4r
    @user-yu9tx7dw4r 2 ปีที่แล้ว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idevbrandon
    @idevbrandon 2 ปีที่แล้ว +81

    사회초년생으로 이런 교육적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

  • @snowredbean
    @snowredbean 2 ปีที่แล้ว +15

    9평에 6억 매달 내는 관리비만 20...주차비, 나머지비용따로...ㄷㄷ

  • @levlanc
    @levlanc 2 ปีที่แล้ว +1

    흥미롭네요 재밌어요

  • @dd-oe8py
    @dd-oe8py 2 ปีที่แล้ว

    재밌게 잘 보고있습니다~ 응원합니다

  • @user-xt4wk7wq2w
    @user-xt4wk7wq2w 2 ปีที่แล้ว +3

    주차문제랑.. 관리비문제를 해결하면은 한국에서도 써먹을수 있겠네요 ㅠ

  • @poepoeshasha
    @poepoeshasha 2 ปีที่แล้ว +4

    미국도 집값 싸다.. 그러는데 세금이 한국의 8~9배 정도예요.. 일본의 3배겠네요 수도 전기 가스 다 훨씬 비싸고..사고대비 주택 보험까지 들어야하고 5억집에 살면.. 세금만 1년에 7500불에 주택보험이 매달 150불 정도.. 5억 주택 구입하면 숨만쉬어도 그냥 없어지는 돈만 한달 100만원정도죠

  • @user-ed5pz8zg6l
    @user-ed5pz8zg6l 2 ปีที่แล้ว

    수고많으십니다
    설명잘들었습니다
    혹시 같은 아파트라도 일반아파트보다
    고층아파트라고 유지비가 더 나오는게있나요?

  • @Odyss2023
    @Odyss2023 ปีที่แล้ว +2

    일본은 노후 아파트 단지 재개발이 거의 진행 안되서 그렇다.
    고도 제한, 용적률 제한, 내진설계 등 각종 규제가 까다롭고
    그 규제 다 따르면서 재개발하면 수익이 나질 않음.
    그래서 입주민, 건설회사, 공무원 다 노관심.

  • @user-fp3nn3do3e
    @user-fp3nn3do3e 2 ปีที่แล้ว +376

    주택 가격은 서울이 도쿄를 많이 따라가네요 그런데 관리비가 진짜 넘사벽이네요 ㄷㄷㄷ 전기나 수도같은 필수사항들도 민영화 해버린 일본은 진짜 서민들은 힘들겠어요

    • @ttkk9040
      @ttkk9040 2 ปีที่แล้ว +64

      서울이 도쿄 넘은거같은데요???

    • @op9018
      @op9018 2 ปีที่แล้ว +32

      면적이 작데요. 같은 평수면 실면적이 오피스텔 정도. 딱 자기 값 정도네요. 싸다고 착각은 금물

    • @benlee1619
      @benlee1619 2 ปีที่แล้ว +39

      서울은 저 평수도 10억 넘은지 오래임.

    • @withgo689
      @withgo689 2 ปีที่แล้ว +39

      서울이 살기 좋음... 그거는 분명함 같은 돈이면

    • @zerg4me
      @zerg4me 2 ปีที่แล้ว +18

      우리집 경기도 오피스텔인데 관리비만 46만원 나옵니다...ㅠㅠ

  • @kse7897
    @kse7897 2 ปีที่แล้ว +3

    한국도 수선적립금에 해당하는 장기수선충당금이 관리비 명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ㅎㅎ 그러기에 전세나 월세로 살게 되면 살 때에는 세입자가 내고 있다가 나중에 계약종료 후 나갈 때 임대인에게 돌려받을 수 있죠~^^

    • @user-ri1ml2xv4t
      @user-ri1ml2xv4t ปีที่แล้ว

      누구한테 돌려받아야 되나요? 임대인?아니면 그 해당건물 관리사무소 인가요?

    • @user-be3zs7jn1j
      @user-be3zs7jn1j ปีที่แล้ว

      ​@@user-ri1ml2xv4t 집주인한테 받아야지요 그거다 원래 집주인이 부담하는건데

  • @yolly72
    @yolly72 2 ปีที่แล้ว

    1:31 미나토구 아파트 소개하면서 나온 bay crest tower 보면서 깜놀했네요.
    영화를 좋아하고, 철덕까지는 아니지만 일철을 애정합니다~
    먼저, 맨션 왼편으로 대각선으로 지나가는 큰 철길이 보일겁니다.
    이건 다마치역에서 분기되어 나가는 신칸센 지선으로 오이호선입니다.
    오이차량기지로 들어가서, 신칸센 차량 정비를 맡아서 하는 곳이죠.
    옛날 신칸센 처음 만들때, 사람들이 많이 안 탈까봐, 야간과 남는 시간이 생기면
    화물신칸센도 투입을 계획을 했던터라
    시나가와역에서 바닷가 부두인 여기 야시오쪽까지 연결선이 만들어져 있었던거죠.
    그러나, 신칸센이 인기폭발하고 화물은 시간을 그리 따지지 않기에, 이젠 정비창으로만
    그래서 옛날 부두쪽 창고 위주였던 유휴지들이 저렇게 재개발되어 고층아파트 들이
    들어설 수 있었던겁니다.
    그 다음으로, bay crest tower는 2006년도 영화 '바벨'에서 일본편 (4개의 각각 다른 장소,
    다른 인물들의 이야기가 하나로 맞물려 가는 구조입니다)의 주인공 집으로 촬영되었죠.
    알레한드로 이냐리투 감독 작품인데, 좋은 작품입니다. 일본편은 퍼시픽림에서 나왔던
    기쿠치 린코라는 농아소녀가 주인공인데, 쉘위댄스의 야쿠쇼 코지 아버지와 함께
    영화엔딩을 저 곳에서 장식하는데, 장소가 주는 영화적 이유가 있어요. 그런데, 영화속에서
    나온 집은 펜트하우스 였나 봅니다. 9억원은 족히 넘을만큼 넓고 좋은 고급집 컨셉
    전망도 좋구, 발코니에서 바람 맞으며 와인 한잔 마셔보고픈 추억의 장소였는데,
    애정하는 안협소님 포스팅에서 그 수많은 아파트 중에 요 아파트를 콕 짚어 주셔서
    사족을 길게 안 달 수가 없었네요. ^^; 잘 봤습니다.

  • @ellalee5284
    @ellalee5284 2 ปีที่แล้ว

    시스템이 독일이랑 좀 비슷하네요. 여기도 대도시는 원룸월세가 100만원 육박하고 주차비 별개인집도 많고요. 관리비포함된 금액인데 관리비 따로떼서보면 20만원이상씩 나와요

  • @sugarland151
    @sugarland151 2 ปีที่แล้ว +21

    진짜 일본에서 살아보지도않고 선진국이라서 삶의질이 높을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던데... 물론 시민의식, 도로정비, 쾌적한 집주변 자연환경만 보면 삶의질이 좋을거라고 상상하는데 직접 살아보면 절대아님... 일본은 아파트 주차비부터 30만원이고 우리나라는 한대 무료, 2대도 무료이거나 추가로 나와봤자 2만원정도... 그리고 일본은 수도, 전기, 가스 민영화라서 한국처럼 30평 40평대살면 진짜 주차비 포함해서 관리비만 100만원 나옴... 난방비는 비싸면서 보일러식 아니라서 전혀 안따듯함.. 관리비 월100만원이면 우리나라 고급 주상복합 90평에서 펑펑 쓰고 커뮤니티시설 다 공짜로 이용하고 나오는돈임ㅠㅠ 일본 대졸 연봉 한국이랑 별반 차이없는데 우리나라처럼 돈 펑펑쓰면서 살거다사고 여행할거 다하고 절대못함... 일본사람들 자체가 원래부터 사치를 안부리는 경향이 있는건 맞는데 사치를 부리고싶어도 부자가 아닌이상 사치를 못부림... 숨만쉬고 살아도 나가는 돈이 너무 많아서ㅠㅠ 우리보다 경제규모가 훨씬크고 높은 시민의식, 조용하고 고즈넉한 환경만보고 일본사람들 삶의질이 높다고 착각하는 사람많은데, 실제 살아보면 한국에서 사는게 (물론 고즈넉한 분위기 없이 시끌벅적하고 수천세대가 성냥갑에 몰려사는건 좀 그렇긴하지만..) 삶의질이 몇배는 더 높음... 자본주의 시대에 난방도 제대로 안되는 좁아터진 집에서 비싼 관리비내고 거지처럼 사는게 얼마나 힘든지 일본가서 살아보면 알게됨...

    • @Yurde07
      @Yurde07 2 ปีที่แล้ว +2

      글쎄요 일단 삶 자체가 불가능한데 삶의질 따져봐서 뭐함ㅋㅋㅋ 취업안되지 결혼비용 일본의 3배 4배 수준인데 집값도 일본은 도쿄 오사카 1시간 이내 거리에 단독신축 4억-6억이면 사는데 수도권 평균집값 기본이 10억 이상에서 시작인데 왠만한 대기업 다녀서 값는다고 쳐도 견적이 안나옴...

  • @Shoesheesh
    @Shoesheesh 2 ปีที่แล้ว +11

    우리나라도 집합건물들은 장기수선충당금 뗍니다 저정도로 많이 적립히진 않지만...

  • @stanspa3770
    @stanspa3770 2 ปีที่แล้ว +1

    한국이나 일본이나 관리비때문에 아파트는 점점 더 애물단지가 되간다 요즘은 빌라도 엄청 잘 지어서 빌라가 훨 난거같다

  • @user-il5bq2gp2l
    @user-il5bq2gp2l 2 ปีที่แล้ว

    항상 잼있게 보고있어요~

  • @user-umop23erty
    @user-umop23erty 2 ปีที่แล้ว +221

    내집인데 월세내고사는 셈이네.. ㄷㄷ

    • @user-do6en1dr5s
      @user-do6en1dr5s 2 ปีที่แล้ว +4

      재산세, 주민세 납부하는 월세~ ㅋㅋ

    • @user-vg2qu6xw6g
      @user-vg2qu6xw6g 2 ปีที่แล้ว +10

      서울도 이제 자가라도 월세내고 사는거임 세금때문에

    • @ab-xo6xl
      @ab-xo6xl 2 ปีที่แล้ว +6

      우리나라도 반포이런데 살면 재산새 1년에 2000넘게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 한달에 100만원넘게 내는건데 ㅋㅋㅋㅋ

    • @user-xz1kf5sj5u
      @user-xz1kf5sj5u 2 ปีที่แล้ว +24

      @@ab-xo6xl 반포 살정도면 그정도 돈은 걱정없이낼듯 ㅎ

    • @user-kt8bj1vz7k
      @user-kt8bj1vz7k 2 ปีที่แล้ว +8

      @@user-xz1kf5sj5u 반포 산다고 100만원이 우습겠냐?

  • @guyabong1590
    @guyabong1590 2 ปีที่แล้ว +15

    제생각은 지진때문에 저층주택을 선호하는게 아닌가 싶어요.고층으로 올라갈수럭 더 크게 흔들리는데 산다라박이 일본호텔에서 탈출한후 일년동안 트라우마 걸렸다고했거든료. 파도위 흔들리는배를 탄기분이랄까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ปีที่แล้ว

      지진을 직접 느껴본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지진과 가장 비슷한건,
      진앙지에서 가깝다ㅕㄴ, 비행기가 난기류 만나서 요동칠때와 비슷하고,
      진앙지가 멀다면, 파도위에서 큰배가 좌우로 천천이 흔들리는 것 비슷하죠.

  • @23TGRaven
    @23TGRaven 2 ปีที่แล้ว

    태국 콘도들은 저층(지하도 몇층 먹고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 까지 주차 공간으로 할당 해 버림.. 그 덕에 주거 할 때 주차 공간 걱정은 없는 편.. 전기세 같은 경우도 한국 누진세 구간이 19년도였나? 여튼 그 전후로 완화되서 이제 예전만큼 심하게 안 나오는거 같던데...

  • @13579TV
    @13579TV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존경합니다 !!!

  • @jwcheon83
    @jwcheon83 2 ปีที่แล้ว +39

    일본에 지하주차장이 많이없는 이유중 하나에 잦은 지진때문일수도 있나요?
    생각해보니 그래서 일수도 있을꺼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정말 국가적으로 비효율적인게 일본은 많은거 같아요.
    오래된 건물이 많아서 일수도 있겠지만 도로도 비좁고 주차장도 의무인곳이 너무나없고 그런면에서 진짜 한국은 모든 아파트에 주차장의무 너무좋은거 같아요.

    • @777seizetheday5
      @777seizetheday5 2 ปีที่แล้ว +18

      그 이유가 일본은 후분양이 대부분입니다
      우리나라는 선분양이라 돈이 확보된 상태에서 집을 짓기때문에 건설사는 리스크가 적습니다
      그래서 여러 시설들이 많고 많은 세대를 지을수 있는것입니다
      일본처럼 후분양이면 건설사가 초기자본이 많이 들어 다세대 주택을 짓기 어렵죠

    • @crazy-elk
      @crazy-elk 2 ปีที่แล้ว +17

      그럼에도 일본 교통 정리가 잘되어서 우리나라 처럼 무작위 불법주차 차량이 없어요.. 주차 시설 없으면 차량 구매 못하는 시스템이라

    • @crazy-elk
      @crazy-elk 2 ปีที่แล้ว +4

      그래서 자전거나 대중교통 시설이 잘되어 있기도 하죠

    • @jwcheon83
      @jwcheon83 2 ปีที่แล้ว +10

      @@crazy-elk 대중교통이요? 일본이? 우리나라가 아니구요?ㅋ 무슨 기준으로 일본이 대중교통이 잘되어 있다고 하시는건지?
      자전거는 이해하겠지만..

    • @dorothykelly3231
      @dorothykelly3231 2 ปีที่แล้ว

      지진 대피 요령중에 지하주차장 대피하라던데 그럼 지하주차장은 오히려 안전하지 않을까요?

  • @Clxkenem
    @Clxkenem 2 ปีที่แล้ว +3

    일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 원전 폐쇄하고 에너지 재편하면서 전기세 많이 오르지 않았나요?

  • @ggongbori1618
    @ggongbori1618 2 ปีที่แล้ว +2

    우리나라처럼 맨션지하에 주차장으루만들면될텐데 역시지진때문일까요???

  • @raniakim0405
    @raniakim0405 2 ปีที่แล้ว

    장기수선충당금 잇습니다 물론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청구하면 됩니다
    오래된 아파트일수록 비용 많이 나오구요
    주차비도 한대는 기본이지만 세대당 2대면 월주차비 청구됩니다 많다고 생각햇는데 일본에 비하면 십분에 일

  • @theoremon7024
    @theoremon7024 2 ปีที่แล้ว +23

    일본은 대중교통, 고속도로 비용들도 그렇고... 이번 영상의 관리비용도 참...서민들의 삶을 조이고 피를 쭉쭉 빨아가는 느낌이네요

  • @kujokujo6650
    @kujokujo6650 2 ปีที่แล้ว +7

    갓협소

  • @user-pi4ww2tv5h
    @user-pi4ww2tv5h 2 ปีที่แล้ว

    관리비나 수선적립금 등의 기타 금액이 한달에 50만원 정도라 잡으면 10년동안 살면 50×120+a 잡으면 6000만원~7천만원 정도인데 집값 자체가 2~3억씩 싼걸 생각해보면 나쁘지 않을지도?
    물론 팔때도 그만큼 가격을 못받으니 없어지는 돈이 되는거라 생각을 조금 해보긴 해야겠지만 저렴하게 대도심에서 살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는듯.

  • @user-vh4jd3rc6u
    @user-vh4jd3rc6u 2 ปีที่แล้ว +21

    정확히 짚어주시네요 맨션 사봤자 오르지도않고 유지비 진짜 한국살다왔으먼 아까워서 내기가 싫어집니다 ㅋㅋ 걍 월세로 살다가 자식들 조금 크면 단독주택살 예정 ㅎㅎ

  • @nalk9724
    @nalk9724 2 ปีที่แล้ว +26

    오…생각해보니 일본은 진짜 단지가 없는것 같은데 이번영상제목 보기전까진 왜 그런지 자세히 생각도 안해봤네요. 이번편도 잘 보겠습니다~~~

  • @seebook4294
    @seebook4294 2 ปีที่แล้ว +46

    일본은 저축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젊은 사람들의 경우 PC방이나 캡슐타워에서 사는 사람들이 많아요.
    저렴해 보이지만 관리비, 수선금, 주차비, 공과금, 대출이자, 세금등등 생각지도 못한곳에서 많은 지출이 있다보니
    단독주택(물론 지진 영향도 있음)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생활비를 떠나 교통비도 매달 평균 20~30만원씩 지출되고 이래저래 생각보다 저축하고 살기 어려워진곳이 현재 일본입니다.
    단순히 평수나 집값만 보고 평가하긴 어려우나 이래저래 한국이 더 살기 좋은 것이 확실합니다.

    • @hagea1550
      @hagea1550 2 ปีที่แล้ว +2

      집값은한국이더높아요

    • @seebook4294
      @seebook4294 2 ปีที่แล้ว +8

      @@hagea1550 물론 집값은 한국이 많이 높은건 사실이예요. 다만 생활하는데 있어 한국이 더 살기 좋다고 말한겁니다.

    • @highsky8668
      @highsky8668 2 ปีที่แล้ว +5

      @@seebook4294 케바케 인듯합니다 ~ 장단점이 다 있죠 ~ 친구들 일본 대만 호주 미국 등등 살고 있고 이런저런 애기도 많이 하다보면 어떤놈은 한국 어떤놈은 호주 살기좋은 기준이 다 틀린듯합니다 ~ 저역시 일본에 살았으나 (물론 일적인 부분으로 지금은 한국입니다 ^^)
      일본이 더 살기 좋았던 1인입니다 ~ 저축은 한국도 힘들고 대신 일본은 결혼하고 아기를 놓은뒤 정부에서 지원해주는게 한국보다 훨 좋다고 해요 ~ 각국마다 이런저런 장단점이 다 있는것 같아요 ^^

    • @hanakim2993
      @hanakim2993 2 ปีที่แล้ว +11

      젊은 사람들은 아예 전세도 집 도 못사는 처지로 전락한게 한국인데. 지난 5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에서 살고 있는 것임.

    • @hagea1550
      @hagea1550 2 ปีที่แล้ว +3

      @@hanakim2993 맞음남말할게못되지

  • @berry_lucky
    @berry_lucky 2 ปีที่แล้ว +1

    와 미스테리유튜버가 정보도 알려주고 좋다-!

  • @user-kg3ke4kf8w
    @user-kg3ke4kf8w 2 ปีที่แล้ว +2

    혹시 자주보시는 지도는 어디서본 지도인지 궁금합니다~! 구글지도라면 저렇게 가까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japanlagsbehind
    @japanlagsbehind 2 ปีที่แล้ว +27

    6년전 일본에 처음 갔을 때는 6~10억 하는 타워맨션 되게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한국 돌아와서 보니 엄청 싸게 느껴지네요,,,, 도쿄 노른자에서 22평인데 8억원이라.... 도대체 6년동안 한국에서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지 ㅠㅠ

    • @user-xr6pp4qn2b
      @user-xr6pp4qn2b 2 ปีที่แล้ว +22

      훠훠훠. 우리 청와대 식구들 부동산으로 자산형성 좀 시켜줬습니다. 훠훠훠

  • @Crypt_of_Desire
    @Crypt_of_Desire 2 ปีที่แล้ว +3

    한국같은경우에도 오래된 아파트 같은겨우엔 수선적립금을 따로 받는경우가 있습니다. 일본만의 케이스는 아닌듯 하옵니다

  • @heuikun_oshaberi
    @heuikun_oshaberi 2 ปีที่แล้ว

    어쩜 이렇게 자세히 아는거야
    협소님 뇌섹남😏

  • @USA-TIGGER
    @USA-TIGGER 2 ปีที่แล้ว +3

    단독주택 잠깐 살고 손볼게 많다... 불편하다 하는 사람들 특징이 단독주택은 전혀 돈이 안드는줄 압니다. 아파트 관리비, 유지보수비 삥뜯기는거 반에 반이라도 꾸준히 적립 해놓으면 수리할때 본인이 손쓸것도 없어요. 아침에 내땅에서 내흙, 내마당 빗자루로 쓰는맛은 진짜 좋습니다.

  • @KOREANJP1
    @KOREANJP1 2 ปีที่แล้ว +6

    우리나라도 관리비에 포함되는 장기수선충당금이 있습니다. 면적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월 1~3만원정도.

    • @user-qb9fz5xe5l
      @user-qb9fz5xe5l 2 ปีที่แล้ว +2

      저희집 월3.5만원.. 추가로 엘리베이터나 무슨 큰 돈 쓸 때는 따로 추가로 걷죠.

  • @hrs1458
    @hrs1458 2 ปีที่แล้ว +17

    일본은 최저임금은 한국과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인건비가 엄청나게 높습니다.
    맨션 현관문 손잡이 하나 바꾸는데 손잡이값 11만원에 인건비 14만원, 합계 25만원 들었습니다. 황당합니다.
    웬만한 간단한 공사 하나 해도 수백만원 깨진답니다. 대신 마무리는 아주 깔끔합니다. 과잉고퀄이죠.
    그래서 수선적립금이 높은 것 같습니다.

  • @user-nk7hn1rv6b
    @user-nk7hn1rv6b 2 ปีที่แล้ว

    우리나라 경우 단독 아파트인 경우 입주민들이 대표를 뽑고 관리해야되는데 그 대표는 대부분 서로 안할라고하고 대표를 뽑아도 돈만받고 제대로 하는 사람이 드물어서... 관리하기 힘든데... 저기는 다 제대로 하고있는걸까요...?

  • @dongjoo87
    @dongjoo87 2 ปีที่แล้ว +1

    일본은 기계식주차장 그런것도 없나요?? 그냥 맨 땅에만 주차하나요?

  • @sogogi29
    @sogogi29 2 ปีที่แล้ว +28

    일본은 세금이나 사회기반비용이나 자잘하게 많어서 버는거에 비해 나가는게 너무 많음 .........

  • @user-bu2qu5fn6h
    @user-bu2qu5fn6h 2 ปีที่แล้ว +3

    일본의 맨션이 한국의 아파텔과 비슷한 개념인가 보네요, 한국 2룸, 3룸 아파텔 관리비도 40~80만원 사이 합니다.

  • @user-sleepatnight
    @user-sleepatnight 2 ปีที่แล้ว +1

    일본 갔을때 군데군데 작은 터라도 유료 주차장이 많아서 신기했는데 이유가 있었네요

  • @timothy_H
    @timothy_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수선적립금(충당금) 한국도 있는데
    관리비에 해당 항목이 있습니다..
    월세 살때 관리비에 해당 항목이 있었고
    퇴거할때 집주인으로 부터 제가 그동안 납부한 수선적립금도 모두 돌려 받았습니다

  • @darkan1115
    @darkan1115 2 ปีที่แล้ว +16

    한국의 원룸이 아닌 투룸 오피스텔과 거의 같군요.
    제가 소유한 오피스텔 관리비에는 기본관리비외에 내가 쓴 전기세 수도세가 따로 표기되어 나오구요. 겨울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난방비를 별도로 청구합니다.
    주차비 또한 별도입니다.
    기본 관리비가 공용 전기세와 인터넷 사용포함 12만원입니다.
    청구액은 대충 한달에 30에서 35만원 정도 나오는데...
    겨울에는 45만원이상 나오네요.
    임대가 안나가서 제가 직접 살고있지만..
    지금도 오피스텔 산것을 후회중입니다.

  • @hskim-nz8tk
    @hskim-nz8tk 2 ปีที่แล้ว +8

    도쿄(서울)에서 한시간거리 대단지 아파트 매매가가 1000만원 이게충격이네요 ㄷㄷㄷㄷㄷ

    • @user-xe2ql2ft2c
      @user-xe2ql2ft2c 2 ปีที่แล้ว +5

      도쿄는 한국이랑 비교하면 경기도랑 비교해야해요..

  • @user-dz7ol1xg8g
    @user-dz7ol1xg8g 2 ปีที่แล้ว +3

    일본의 저런 형태는 한국의 주거형 오피스텔이나, 한동짜리 아파트에 준한다고 보면 가격은 일본과 비슷하거나 쌀 수도 있음.
    면적도 한국은 최소 79(2베이형 24평) 이상은 되어야 가족이 살만한 집으로 보니, 사실 상 일본이 더 비싸다고 볼 수 있음.

  • @user-ns8rx7se9g
    @user-ns8rx7se9g 2 ปีที่แล้ว

    역시 우리 두찬!

  • @sparkshin7612
    @sparkshin7612 2 ปีที่แล้ว +13

    독점이더라도 국영이 좋은이유

  • @user-yc9op8bu8j
    @user-yc9op8bu8j 2 ปีที่แล้ว +8

    일본이 생각보다 살기 불편한게 많구나.. 다른거 더 편하거나 좋은거 있을지몰라도 아파트에 주차장이 없어서 출퇴근마다 근처 주차장을 이용해야되고 주차장 경쟁도 해야된다? ㄹㅇ 안살고말지 ㅋ

    • @keif8634
      @keif8634 2 ปีที่แล้ว

      일본사람들은 출퇴근용으로 자가용을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요.(운전기사 딸린 자가용은 별도) 특히 도쿄 같은 도심의 경우에는.. 교통비가 비싸 회사에서 지원을 해 주는데 기본적으로 전철 정기권을 사고 그 금액만큼 입금해 줍니다. 자가용은 일반적으로 주말 레져용이죠. 그래서 도쿄에는 자가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50%도 안된다는 설문조사를 언젠가 본 적이 있네요

  • @B_and_D
    @B_and_D 2 ปีที่แล้ว +2

    지진으로 건물이 내일 어찌될지 모르니 수선비를 엄청잡나보다.

  • @user-sj5so6ec8m
    @user-sj5so6ec8m 2 ปีที่แล้ว

    한국이랑 똑같아요~ 방송하시는분이 아직 집이 없으셔서 잘 모르시네요. 그래도 유용한 정보네요 ㅎㅎ

  • @sojinseong6833
    @sojinseong6833 2 ปีที่แล้ว +45

    도쿄 한복판이면 주차비가 어마어마합니다. 진짜 어이없이 비싸던데;;

    • @LUNA-hs2is
      @LUNA-hs2is 2 ปีที่แล้ว +8

      긴자 주차장 10분에 5천원 ㅋㅋ

    • @user-iq3um8yw4z
      @user-iq3um8yw4z 2 ปีที่แล้ว

  • @user-hf9ml3nk6z
    @user-hf9ml3nk6z 2 ปีที่แล้ว +42

    일본은 소득이 높아도 기본적으로 나가는 돈이 많으니,
    실제로 소비하는 수준은 우리보다 덜한 것 같습니다

    • @blackpig183
      @blackpig183 2 ปีที่แล้ว +11

      PPP 감안한 1인당 평균소득은 이제 일본이 더 낮습니다.

    • @Yurde07
      @Yurde07 2 ปีที่แล้ว +4

      @@blackpig183 1인당 PPP로 비교하면 한국은 대만에 1만 달러나 쳐발립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 ปีที่แล้ว +2

      @@Yurde07 1인당 국민 소득은 산업구조가 비슷한 나라(한국-일본)끼리 생활수준을 비교하는 것임. 한국과 대만은 산업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대만 사람들이 외국 제품 사용하는데 부담이 크다는 정도로만 해석해야

  • @stek9499
    @stek9499 2 ปีที่แล้ว

    수선적립금 비슷하게 수선충당금 한국도 있는 아파트 있어요. 재건축해야 할 만큼 오래된 아파트 살았었는데 따로 걷습니다.

  • @user-js1tj4ee7d
    @user-js1tj4ee7d 2 ปีที่แล้ว +1

    내가 지금 서울 주공아파트에 사는데,장기수선충당금- 수선적립금이 관리비에 포함이 되어 있지만 나중에 이사해서 나올 때 환불이 되는 모양이고 그나마도 만 몇천원 될까 말까인데, 일본에선 그거 환불 안된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