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아플 때 풀어야할 4가지 근육에 대해 | 허리 통증(허리 통증과 관련된 근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9 มิ.ย. 2024
  • 허리 통증이 있을 때 자주 듣는 말이, 000 근육 때문이라고 얘기를 듣습니다.
    하지만, 왜 연구는 그렇게 말하지 않을까요?
    "저릴 때 허리디스크가 아니면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 이다! 정말?"
    "이상근(piriformis)은 어떻게 다리를 저리게 할까?"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QL)이 짧아져서 허리가 아픈 걸까?"
    "허리가 아픈 이유는 장요근(iliopsoas) 때문이다?"
    "걸을 때 복압(코어 근육)을 못 잡으면 허리에 무리간데요!"
    에 대한 질문에 답해드리겠습니다
    허리 통증과 관련된 근육에 대한 최신 연구를 근거로 한 비판적인 접근법입니다
    저장하고 운전, 식사, 수면 중, 출퇴근하면서 꺼내주세요 😘
    관절별 최신 의과학 근거 기반으로 한
    대화는 계속됩니다❗
    🚨Korean Movement Optimism을 "구독"하면
    뒤쳐지지 않는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0:00 인사말
    0:26 이상근 증후군은 거의 안 나타납니다
    6:34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근육 3가지
    7:13 QL(요방형근)과 허리 통증
    9:04 요방형근과 장요근(iliopsoas) 풀기에 대한 진실
    11:45 장요근(iliopsoas) 길이와 허리 통증
    20:44 복압(코어 근육)이 좋아야 허리가 튼튼해진다?
    TOS에 대해 다시 찾아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 확인!!
    • 병원에서 하고 있는 목통증 관리법 그리고...
    Speakers
    🌟PT하는 물리치료사 송준형
    / @pt_jass
    🌟건강지도 허리통증 물리치료사 장용규(허리 통증에 대한 전문 강의는 프로필을 확인해주세요)
    / back_pain_physio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조에만 집중된 재활적 접근을 최신 연구 기반으로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접근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거 없이 또는 카더라를 가지고 ‘하면 안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환자/ 회원이 현재 ‘할 수 있는 것’들을 제안하는 "움직임은 회복이다, Movement Optimism"의 관점으로 몸을 바라보는 Korean Movement Optimism 입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학과 #물리치료사 #도수치료 #운동치료 #허리통증 #허리운동 #요방형근 #장요근 #QL #코어강화 #이상근 #다리저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Ref.)
    - Back to basics: 10 facts every person should know about back pain. Peter O’ Sulivan, JP Caneiro (2020)
    - Identifying relations between posture and pain in lower back pain patients: a narrative review (2021)
    - Movement, posture and low back pain. How do they relate? A replicated single-case design in 12 people with persistent, disabling low back pain. O’Sullivan (2020)
    - No consensus on causality of spine postures or physical exposure and low back pain : a systematic review of sysmatic review (2020)
    - Th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behavior and low back pain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2022)
    - Causal assessment of occupational sitting and low back pain: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2010)
    - Zou J, Yang H, Miyazaki M, Morishita Y, Wei F, McGovern S, Wang JC. Dynamic bulging of intervertebral discs in the degenerative lumbar spine. Spine (Phila Pa 1976). 2009 Nov 1;34(23):2545-50. doi: 10.1097/BRS.0b013e3181b32998. PMID: 19841611.
    - The dynamic disc model: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9)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

  • @666rp9
    @666rp9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맛있는 반찬 감사합니다....!!!

  • @sjkeepgoing
    @sjkeepgoing 11 วันที่ผ่านมา +3

    식스팩이 있을 정도로 근육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목, 등,허리 통증이 있는 사람에게 사이드플랭크, 3 month position을 주문했을 때 덜덜덜 떠는 현상을 '전면코어'만 강하고, 호흡조절능력과 '심부코어'가 약한것이다고 하는 전문가분들이 있는데, 해당 내용도 '뇌피셜'일 가능성이 높을까요?
    특정 운동 시에 타깃부위에 자극이 안오고 통증이 발생하는것을 주동근을 못쓰면서 synergistic dominance가 발생하는 것이다고 하는 관점도 있는데 이건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AK test, 근반응 검사 등에 대한 생각도 궁금하구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ㅎㅎ 궁금한게 많은 치료사입니다.

    • @BackPain-physio
      @BackPain-physio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안녕하세요 선생님! 먼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 )
      'Deep core muscle (SLMS)' 이라고 하는 이론은 저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Hodges 교수님의 과거 여러 연구들에 의해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덜덜 떠는 현상이 이런 Muscle reaction / activation 의 문제라고 이야기하는 근거는 제가 알기로 없습니다!
      이는 영상에서도 설명 드렸듯 Motor skill 과 관련 있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특정 운동시에 우리가 Target 으로 하는 근육에 근수축 자극이 아니라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선 명확한 근거를 저는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을 드리기 어려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
      AK 이론은 대체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즉, 철저한 과학적 검증을 토대로 세워진 이론이 아니며 과학적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 )

    • @sjkeepgoing
      @sjkeepgoing 10 วันที่ผ่านมา +3

      @@BackPain-physio 답변 감사합니다! 치료를 진행 하면서 좋은 결과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기존에 생각했던 틀을 벗어날 때 치료사,헬스케어 전문가는 대체의학으로 딥하게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해당 개념을 사용했을 때 환자와의 라포 형성에 도움을 주고, '팔로우 업'이 늘어나면서 매출이 증가하다보니 이게 맞구나 하게 되기도 하구요.
      제가 정말 '치료'를 하고 있는게 맞는지, 사기를 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이 많은데 나중에 서울에서 교육 진행하시면 들으러 가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BackPain-physio
      @BackPain-physio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sjkeepgoing​​@sjkeepgoing 저도 공감합니다! 어떤 현상에 대한 원인을 찾고싶어 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기도하고, 전문가는 고객이나 환자에게 명확한 답을 주어야한다는 압박감 같은것들도 작용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 그러다보니 과도한 임상추론을 하게 되는것 같아요 😓 댓글 감사드립니다👍

  • @user-lk3sl2jt3j
    @user-lk3sl2jt3j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영상 잘보았습니다!

  • @amm098177
    @amm098177 12 วันที่ผ่านมา +2

    또 다른 충격...😅😂

  • @user-ry8bz1zg2r
    @user-ry8bz1zg2r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너무나 유익한 영상 잘보았습니다!

  • @user-ep7cl8uc4x
    @user-ep7cl8uc4x 1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선생님 잘들었습니다. 장요근이 짧아지지 않았지만, 근육이 그 길이만큼 움직여본 적이 없다(저항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임상추론적으로 장요근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나요?

    • @BackPain-physio
      @BackPain-physio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글쌔요, 장요근이 상대적으로 다소 뻣뻣할 수 있지만 그것이 문제가 될 가능성은 없을 것 같습니다! 반드시 장요근을 어떻게 'Fix' 해야만 환자가 좋아지는 건 아닐거에요 : ) 우리는 장요근만을 가지고 문제삼을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 @K-MovementOptimists-nj8eq
      @K-MovementOptimists-nj8eq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중재가 대상의 증상을 낮춘다면 활용하셔도 좋습니다만 장요근의 짧아짐 자체가 문제다라는 접근은 주의해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짧아짐과 같은 요소는 물리적인 요소라 측정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그럼에도 측정을 통해 낮은 연관성이 나오는 이유 때문입니다

  • @user-nu7gp6pp7z
    @user-nu7gp6pp7z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근육이 관절이나 체형을 변화시키는게 불가능하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정적,동적 움직임의 평가로 근육의 단축을 평가하는건 불가능하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 @K-MovementOptimists-nj8eq
      @K-MovementOptimists-nj8eq  5 วันที่ผ่านมา

      질문 감사합니다!
      단축을 평가할 수는 있습니다. 수동적인 가동범위 능동적인 가동범위를 테스트를 하며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한 근육이 단축되었는지 안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단독적으로 활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축이 되더라도 저조한 사용으로 인한 건지 통증으로 인해 근방어 형태인지는 활동을 하다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사실 단축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조심스럽습니다. 수술 또는 기형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정말 단축되신 분들을 만나보면 우리가 표현하는 단축 이상으로 뻑뻑합니다. 그런 분들은 수술로 해야합니다.
      즉 길이의 변화보다는 활동의 익숙함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체형의 변화라고 하는 것은 의식에 의한 요소인 것이 더 큽니다. 실질적으로 물리적인 변화는 없습니다. 있더라도 우리가 느끼는 큰 변화 정도는 없습니다 ㅎㅎㅎ

    • @user-nu7gp6pp7z
      @user-nu7gp6pp7z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K-MovementOptimists-nj8eq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동적,정적 평가로 나온 보상작용을 통증과 연관지어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 @K-MovementOptimists-nj8eq
      @K-MovementOptimists-nj8eq  5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nu7gp6pp7z 네 너무 연관 짓지 않으셔도 됩니다. 연관을 시키게 된다면 일단 운동 선수들은 다 아픈 사람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들은 아픈 사람이 아닌 일반인보다 더 큰 힘을 내는 사람들이죠!
      다만 너무 연관짓지 마라고 하는 이유는 구조가 문제가 되는 몇몇의 케이스가 있기 때문입니다.
      평가를 통해 나오는 결과는 그분들이 연습을 해서 개선을 해볼 수 있는 요소이지 통증과 연관 짓는 것은 심리적 위협을 주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 @user-nu7gp6pp7z
      @user-nu7gp6pp7z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K-MovementOptimists-nj8eq 답변 감사합니다!

  • @jacksong1122
    @jacksong1122 11 วันที่ผ่านมา +2

    다른 사람 만나라고 추천하시는데 대부분은 기존 이론과 컨셉을 정설로 받아들이는데요..ㅋㅋ 누굴 찾아가야합니까

    • @BackPain-physio
      @BackPain-physio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많이 묻고, 많이 고민하고, 의사결정을 함께 하는 물리치료사를 찾아가야 하는데... 사실상 현실적으로 너무 어려운 일입니다.
      여전히 다수의 물리치료사는 과거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으니까요 ; (

    • @K-MovementOptimists-nj8eq
      @K-MovementOptimists-nj8eq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기존 이론과 컨셉을 마냥 피할 수는 없을 겁니다. 다만 열린 마음으로 여러가지를 제안할 수 있는 분을 만나신다면 그것으로도 좋을 거 같습니다!

  • @jangjw-jp1eg
    @jangjw-jp1eg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질 높은 내용을 공유해 주셔서
    항상 감사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그렇다면
    용규 선생님께서는 일반적인 허리 통증 환자분들
    치료 하실 때 어떤식으로 접근을 하시는지
    간단히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 @BackPain-physio
      @BackPain-physio 13 วันที่ผ่านมา +5

      안녕하세요 선생님 :) 선생님께서도 잘 아시겠지만 우리는 더이상 우리가 과거에 설정한 어떤 결함(deficit) 이나 기능부전(dysfunction) 이 통증의 원인이라고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다만, 여전히 근골격계 통증에 기여하는 병리들이 존재합니다.
      저희는 물리치료사로써 임상추론을 통해 진단적 가설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중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임상추론의 기반은 컨셉이나 이론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검증된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 @orca_strength
    @orca_strength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왔다 내 점심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