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도시가 겪어보지 못한 이용객 감소를 겪은 지하철 ㅣ부산1호선의 비밀④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5 มิ.ย. 2024
  • 오늘날 부산광역시 하면 나오는 이야기
    바로 인구감소 그리고 고령화 입니다.
    1995년 부터 시작된 부산의 인구 감소가 지하철 이용객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14 1997년 정점을 찍고 10년간 이용객 급하락?
    04:46 그 외 부산1호선의 특징
    #부산광역시 #부산1호선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35

  • @gurorapid
    @gurorapid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00

    📌 지역 비하, 비방, 욕설, 영상과 무관한 정치적 발언은 자제를 부탁드리며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지하철 N호선의 비밀 구독자 12만때에는 잠시 쉬어갑니다😢

    • @user-oq4zq3jn3o
      @user-oq4zq3jn3o 24 วันที่ผ่านมา +8

    • @ACNG780
      @ACNG780 24 วันที่ผ่านมา +8

      붉은색 푸른색 그사이 3초 그 짧은시간~

    • @dreaaaaam
      @dreaaaaam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아쉽지만 구독자 상승 속도가 옛날보다 빠르기도 해서 이해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역쟁이님

    • @EHCJFDL
      @EHCJFD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4

    • @mint7530
      @mint7530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앗...... 그럼 당분간 일정 구독자가 달성되면 하는 N호선의 비밀은 못 보겠네요!
      (그럼 다음은 부산 2호선..... 인가요?)

  • @apple2907
    @apple2907 23 วันที่ผ่านมา +260

    낮에 한번 타보면 아마 깜짝 놀랄겁니다.
    그냥 노인정임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20

      부산시청 앞 공원가보세요 공원 전체에 그냥 노인분들 밖에 없어요

    • @shk9732
      @shk9732 20 วันที่ผ่านมา +7

      인정 ㅎㅎ 40대 이하는 10%도 안되는거 같음 저도 타서 정말 깜놀했음

    • @hardie2311
      @hardie2311 20 วันที่ผ่านมา +9

      인정 부산= 노인정

    • @Lily_of_the_valley93
      @Lily_of_the_valley93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

      @@user-dj4fv7tc6z 아니 평일은 다들 일 하니까 있을 수가 없죠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6

      @@Lily_of_the_valley93 평일이라는 말을 하지 않았는데요 ㅋㅋㅋ 평일 주말 모두 그렇습니다

  • @user-lm2jz8ws4h
    @user-lm2jz8ws4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1

    2호선 3호선 4호선이 생기면서 이용자들이 분산됐고 1호선에 밀집되어 있던 상권과 핫플레이스 들이 여러 곳으로 이동하면서 당연히 감소할수밖에 없음
    인구 감소도 있었고 상권 이동도 있었고 타 지하철 노선들 개통등 여러가지 요소가 많았음.
    그리고 사실상 양산과 김해쪽은 거의 지금은 그냥 부산이라고 봐야 함. 안그래도 뭐 양산 김해는 부산으로 합치자는 말이 나오고 있기도 함

  • @Gun_Dong
    @Gun_Dong 24 วันที่ผ่านมา +615

    돈내고 타는 젊은이들은 다떠나고 돈 안내고 타는 어르신들만 가득하겠구나

    • @user-we4mb1fk5t
      @user-we4mb1fk5t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36

      진짜 필요한 어르신들만 타도록 법을 좀 바꿨으면 좋겠다. 그냥 바깥구경할려는 시간 많은 노인들이 대다수

    • @geny1
      @geny1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9

      이제라도 비용받아야죠

    • @mjk6373
      @mjk6373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어르신 교통카드 국가가 제공해야함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24 วันที่ผ่านมา

      ​@@mjk6373 ㄹㅇ 복지를 나라가 해야지 왜 교통공사가 함? 그렇게 재정을 통일성 없이 엉망으로 돌리니 개판이 나지.

    •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7

      GTX-A 대심도 철도 처럼 경로 요금을 받아야 함

  • @she-hh9or
    @she-hh9or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9

    어르신들 무료 연령 만 75세로 상향조정해라...
    진짜 여름에 바쁜 시간대에 시원하다고 종일 지하철에서 세월아 내월아 앉아서 떠들고 유튜브 보고 있는 분들 너무한 거 아닌가..

    • @user-gx8im4sl1t
      @user-gx8im4sl1t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그래도 한국 노인빈곤률은 불변의 OECD 1위 입니다. 그래도 그 돈조차 아깝다면 정치인들이 퍼 남발하는 엄청난 국고손실에 눈 크게 뜨세요~

    • @user-mk4ev2dx8j
      @user-mk4ev2dx8j 5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gx8im4sl1t아니 노인빈곤률 1위면 빈곤한 노인만 무료로 하면 되지 왜 모든 노인을 무료로 하냐고 ㅋㅋㅋㅋ 대가리 없음??? 20억짜리 건물 있는 노인 지하철비를 왜 월 200 버는 청년이 세금으로 대줘야하냐고 멍청아 ㅋㅋㅋ 생각이라는 걸 좀 해

    • @user-wg5zt8ce7o
      @user-wg5zt8ce7o 9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볼일 보러 다니지
      할일 없이?
      앉아서 ㄱ 글은 사실을 호도 한다

  • @user-db1tm3oi1c
    @user-db1tm3oi1c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0

    고향이 부산인데 매우 안타깝네요... 갠적으로 저는 현재 부동산, 정치등으로 인해 무분별한 역과 노선이 생기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합니다... 점점 인구는 줄것인데 적자를 어떻게 해결을 할까요?.... 지금 당장 이득을 위해 후대들에게 짐을 지우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 @livingkim5311
    @livingkim5311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37

    지하철이 많이 생길수록 대체도로와 BRT개통으로 줄어드는 것도 감안해야 된다

    • @yongng69
      @yongng69 19 วันที่ผ่านมา +4

      지하철이 있는건 괜찮은데 젊은이들이 경기도로 해외로 대구로 서울로 다 빠져나간다는게 절망적인거지 ㅋㅋㅋㅋㅋ 다 시체가 나와도 빨간색이면 찍어주닌깐 부산이 발전이없는거
      일할사람을 뽑아서 발전가능성을 해야도니ㅡㄴ데 ㅋㅋㅋㅋ

    • @spp9296
      @spp9296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부산은 그래도 캐스팅보트에 가까운 지역인데

    • @user-nv8ll8ew1j
      @user-nv8ll8ew1j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구?​@@yongng69

    • @user-ml1sk6nq7c
      @user-ml1sk6nq7c 14 วันที่ผ่านมา

      부모들은 부자인데
      자녀들은 일자리가 없어
      탈부산 하던지 부자 부모덕에 놀고먹는
      사람들 많다고 한다.

  • @geny1
    @geny1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67

    부산에도 동명목제 국제상사 같은 부산소재 대기업이 있었으나 다 해체 하고 기업이 전무 한게 큰거 같습니다

    • @OoIlIlIl
      @OoIlIlI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3

      부산은 앞으로 더 미래가 없음.
      끝없이 추락할것임.
      도로가 너무 ㅈ망에다가 넓은부지도 없어서
      기업이 생길수가 없음.

    • @castlep7570
      @castlep7570 24 วันที่ผ่านมา +6

      강서에 넓은 부지 있어용

    • @OoIlIlIl
      @OoIlIlI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1

      @@castlep7570 그 구석탱이 누가 가요...

    • @maricomkj
      @maricomkj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8

      @@OoIlIlIl 강서구 부지로 보면 도로망이 잘되어있고 해운대 와의 도로가 직선 거리이기에 실질적으로는 다른 지역보다 가깝기에 구석이라고 하기도 힘듭니다. 그럼으로 도로와 넓은 부지는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그냥 수도권과 그 주변으로 산업이 모일 뿐...결과는 같지만 원인은 틀린 거 같습니다.

    • @Minerva908
      @Minerva908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0

      70년대에는 나이키 공장도 들어서고 국제상사(프로스펙스)도 위치해서 싼 인건비로 공장이 돌아갔는데 이제 그러한 역할을 중국을 넘어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 하고 있고, 인건비는 높은데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는 전무한 실정... 엄궁동 학장동 일대 공단지역 말고는 없고, 항만시설 조선시설도 옛날 이야기고 대기업이라고는 롯데밖에 없으니...

  • @leonshim8522
    @leonshim852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0

    LG, CJ 등 죄다 부산에 본사가 있었는데 죄다 서울로 가버린게 문제인듯. 삼성 이건희도 초등학교는 부산에서 나왔는데.. 어찌된거냐

    • @user-to6nk5zr4g
      @user-to6nk5zr4g 1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옛날에는 농촌사회라서 영남 호남 등 남부지역 인구가 많았지요

    • @krauskim7662
      @krauskim7662 18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때야 박정희가 구미-부산 라인에 공장을 죄다 때려 박았으니까

    • @user-zi6hw8qy7z
      @user-zi6hw8qy7z 18 วันที่ผ่านมา +4

      그시기에는 지하철이 없었으니 아무상관없는 댓글

    • @primrose5765
      @primrose5765 1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자갈치, 서면 2000년대 하던짓 보면 정 떨어지지ㅋㅋ

    • @xvtsusu4309
      @xvtsusu4309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21세기에 시대착오적 지역텃세 자부심 꼴뵈기 싫어서 떠난거지 부산살면 무조건 꼴데응원 해야된다 아이가, 우리가 남이가 ㅋㅋㅋㅋㅋ 역겹 ㅋㅋㅋ

  • @user-dz7ut8ud6j
    @user-dz7ut8ud6j 24 วันที่ผ่านมา +63

    부산은 버스 노선도 이용도 같이 비교 해야될거 같아요. 특히나 brt생기고요. 부산은 일부 지역(영도 기장)하고brt라인이랑 지하철 노선이 거의 동일합니다. 물론 인구가 줄어든게 가장 큰 이유겠지만요.

    • @hihihhiful
      @hihihhifu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brt은 훨씬 빠른가요??
      (대중교통자주이용하는데/ 출퇴근시간대에 걷더라도 지하철을 타는게낫지않나 항상고민이 돼서요)

    • @2837aaa
      @2837aaa 15 วันที่ผ่านมา

      @@hihihhifulBRT생기고 빠르긴해요

    • @msj4744
      @msj4744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이게 정답이죠 단순하게 1호선 있을 때랑 비교하면 안되고 지금은 지하철 뿐 아니라 버스타면 얼마나 빠르게 이동가능한데…

  • @user-rp2vk6qc1m
    @user-rp2vk6qc1m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2

    애궁 유익한정보 항상감사드려요!😊

  • @htjb1004
    @htjb1004 24 วันที่ผ่านมา +6

    항상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 @Harenoumi
    @Harenoumi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5

    영상에서는 공정한 비교를 위해 다대선 개통 이후에도 다대선 구간의 승객 수를 비교에 반영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2017년 이후 다대선 구간으로부터의 유입 효과도 있어서 노선 전체 승객 수는 코로나 직격탄을 맞기 전까지 계속 증가했습니다. 심지어는 중앙대로 BRT 공사로 도로 혼잡이 극에 달했던 2019년 11월에는 단 1달뿐이기는 했지만 1호선 이용객 수가 2002년 5월 이후 18년 만에 100만 명을 넘기기도 했지요. 개인소득이 증가하면 1인당 통행 발생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영상에서 언급한 대로 네트워크효과도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고령화와 인구감소의 영향이 심해지면 이용객 감소를 피해가기 힘들 것입니다.

  • @TV-pi6ue
    @TV-pi6ue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1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kh9cn8rq3x
    @user-kh9cn8rq3x 12 วันที่ผ่านมา +4

    머지않은 장래에 정말 부산인구가 인천에 따라잡히겠네요. 그땐 부산이 어찌 대응할지. 미리 준비하는게 필요한데.....

  • @qkrwsgud
    @qkrwsgud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0

    부산사는 사람인데 진짜 어르신들이 너무 많은 1호선입니다....

  • @user-gj3ds3ll9w
    @user-gj3ds3ll9w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1

    꼭 젊은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가는건 아님 김해 양산 거제 창원으로 많이 빠짐 그거 아니여도 부산 사는 아는 사람들 부산에서 다른곳으로 출퇴근 하는 사람도 있고

  • @user-nf4sz7gw5t
    @user-nf4sz7gw5t 24 วันที่ผ่านมา +94

    하긴 자꾸 수도권으로 지방 인구 유출이 되는데 이리 되는게 당연하다 보네요
    수도권 과밀화의 영향이 이렇게...

    • @user-jc6bd9pm9z
      @user-jc6bd9pm9z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수도권 과밀화도 맞지만 오히려 625 이후로 부산이 과밀화되었던거라고 봐야죠 평야도 별로 없고 산으로 둘러싸인 곳을 전쟁 때문에 과하게 들이닥쳐 살던 곳이고 이제야 제자리로 돌아가는거죠

    • @topprospect
      @topprospect 22 วันที่ผ่านมา +6

      ​@@user-jc6bd9pm9z 이게 맞긴 하죠 하지만 거점개발은 경제성장에 있어서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래도 서울 다음으로 인프라 구축이 잘된 부산과 pk지역을 수도권과 양대 대도시권을 형성하자는거죠 제가 부산사는 대학생인데 애들이 전부다 서울 가고싶어 하고 서울로 갑니다 그 말은 즉슨 서울에서 가정을 차리겠다는건데 지금 서울 아파트 가격으론 애 한명 키우기도 힘든 상황이죠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2 วันที่ผ่านมา +6

      ​@@user-jc6bd9pm9z지형만 보면 그렇기는 한데, 국토 70%가 산지인 국가에서 서울이라고 딱히 부산보다 특별히 나을 건 없어요. 지자체별 산림율을 비교해보면 서울도 부산이랑 그렇게까지 크게 차이가 나는 편은 아닌데다가 지정학적인 대도시로서는 서울이 아무리 중요해봤자 부산보다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서울은 행정수도로서는 적합하지만 딱 거기까지임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2

      @@user-iq3te7ms9u ??? 과연 그럴까요? 서울이 부산보다 훨씬 중요한거 같은데... 전쟁이후로 과밀화된 도시를 재정비 하기를 했나, 도로나 주거공간을 재정비 하기를했나.. 그저 그대로 놔두면서 옆 도시, 옆 동네꺼 뺏겨 빌붙어 사는거잖아요? 그러니 6.25 이후 정상화 되고 부산을 떠나는 사람들이 정말 부산에서 살고 싶어서 떠났으려나요. 미래와 답이 없으니 떠났겠지요.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2

      @@user-jc6bd9pm9z 정말 공감합니다. 부산사람들은 이걸 인정을 하지 않으니 더욱 큰 문제지요

  • @yj810104
    @yj810104 6 วันที่ผ่านมา

    부산 지하철의 비밀 마무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었씁니다.

  • @user-qk3ox4jf5h
    @user-qk3ox4jf5h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영상잘봤습니다.

  • @user-db1pm9kd6n
    @user-db1pm9kd6n 24 วันที่ผ่านมา +8

    연장가능성이 있는게 노포차량기지 이전이 남았습니다. 올해 용역결과 발표가 나야하는데 결과가 안 나오네요 butx b노선으로 대체할려는지..

  • @kmtn456
    @kmtn456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지역별영상감사합니다~~~~~~~~~~

  • @supykun
    @supykun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49

    부산은 간단함:
    1. 애초에 (80년대) 부산시청은 영도구를 왕따시키는 등 충동적인 생각을 그대로 실천할 정도로 수준이 나빴음.
    2. 같은 시기, 제조산업을 1도 신경 안 써서 품질 가장 괜찮았던 제조는 거의 100% 날아갔지만 대체를 안 줌. 원도심 박살.
    3. 부산을 관리해야 했던 정치인들이 시야가 좁아서 92년 중국이 개방할걸 준비 1도 안 해두고 해양산업을 거쎄게 빼앗김.
    4. 부산이 중요도시로서의 역할이 가벼워지면서 머릿수가 중요했던 회사들 / 수도권 비해 혜택 1도 없던걸 깨달은 타 회사들 상경하기 시작.
    5. 꼬부랑할매 아닌 사람들: "어? 급여가 쥐똥인거 알고보니 도시 자체가 희안하게 돈이 없었네?" 상경하기 시작.
    6. 이렇게 30년 지났지만 번번히 시장, 구청장, 국회의원들: "허허 뭐 초고층 아파트 많을수록 좋지 않습니까, 뭐 홈플러스 없앤다고 화내십니까"
    7. 전세는 바가지, 급여도 개사기, 도시는 유리궁전 되어가고, 유리궁전들은 유령궁전 되어가고. 희귀한 기장군의 메리트마저 사라지게 될 지경.
    부산사람들은 부산에 대한 지역 자부심이 장난 아니고 떠나고 싶지 않은 입장으로서
    이 정도의 인구유출은 지난 3-40년 동안 정치인들이 일 여간 못한게 아니라는 뜻임.
    부산광역시는 무책임과 동의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님.

    • @WheyBab
      @WheyBab 24 วันที่ผ่านมา +44

      맞음
      부산사람은 부산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배우고 해서 무슨일이든 부산에서 살고싶은 마음이 첫번째임 근데 부산이 떠나라고 등떠밀고 발로 엉덩이 걷어찬격임

    • @user-ft8ufvt7h
      @user-ft8ufvt7h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0

      인프라도 문제인데 부산교육도 한몫함 지금 교육 상태만 봐도 다른 지역이랑 차이가 크게 남 대다수 다른 지역은 진보적인곳이 많아서 휴대폰 걷어가는 학교 찾기가 더 힘듦 교복도 다른 지역이 더 이쁜 경우도 많고 체육복 등교해도 뭐라 하는 학교는 잘 없음 근데 부산은 되지도 않는 교복 입으라고 강요하고 추운 날엔 마이 입고 패딩 입어라, 더운 날엔 사복 입지마라가 먼저임 효율을 갖다 버리고 객기를 부려버림 그리고 부산 고등학교 5~60%는 휴대폰 걷어감 야자 강요에 별 도움도 되지 않는 아침 체인지도 하고, 수업 전에 운동장 몇바퀴 돌아서 잠 다 깨는거였으면 이미 등교하면서 잠 다 깼지 별 효율성도 없는 아침 체인지를 해버림;; 이러니 부산 10대들이 다른 지역보고 아 저기는 교복 가지고 뭐라 안 하는구나, 휴대폰 안 걷어가구나 하면서 다른 지역으로 감 부산 학생들 입장으로 보면 짜증날 만 함
      지금이라도 10~20대들 인구유출 막을려면 부산교육부터 좀 손 봐야됨

    • @WheyBab
      @WheyBab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2

      @@user-ft8ufvt7h 학생은 부모님 사는데 그냥 정착하는거라 하등상관없고 일자리문제가 커요

    • @EmpireProductions1
      @EmpireProductions1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0

      광주도 똑같음. 정당 텃밭 특징.

    • @user-ft8ufvt7h
      @user-ft8ufvt7h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WheyBab 학생 입장에선 부산 인식이 그리 좋아보이진 않겠죠… 워낙 부산교육이 보수적이라 성인일때 굳이 부산에 있을 필요도 없고..

  • @gamza123
    @gamza123 20 วันที่ผ่านมา +6

    영상 잘 보았습니다! 참 뭔가 여러가지 생각을 많이 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이용객이라고 하면 "유료" 이용객을 말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무상"으로 탑승하는 인원도 포함되는 인원일까요? 실제로 체감적으로는 10년전보다 지금의 부산지하철이 더 빡빡하고, 사람많고, 만원지하철이라고 느낀적인 한두번이 아니라서.. "아 사람들이 지하철을 참 많이 이용하구나"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용객 감소폭이 컸군요.

    • @gurorapid
      @gurorapid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네 모두 다 포함한 수치입니다~

  • @dkxkzm
    @dkxkzm 23 วันที่ผ่านมา +8

    부산은 내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는 버스가 다있고 배차간격도 작아서 버스가 더 편리하긴하죠

  • @user-ib8wr5sj4n
    @user-ib8wr5sj4n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역쟁이님 수원발ktx 랑 수원-평택쪽 고속선 공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관련 영상 만들어주시길 기대할게요 ㅎㅎ

  •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0

    BRT개통 이후 부산 지하철 1호선 탑승객들이 확 줄고
    대신에 부산 지하철 2,3호선 탑승객이 늘어 난 느낌

  • @jylee20g
    @jylee20g 23 วันที่ผ่านมา +7

    안녕하세요 ㅎㅎ
    평소 KTX(전 창원으로 KTX 산천)와 SRT 소식으로 본 채널을 구독과 좋아요를 한 스포츠 팬입니다 ㅎㅎ
    사실 전 연고가 경남권이니 경북권 소식까지 함께 보네요 ㅎㅎ
    부산은 저도 노령화 인구가 가장 걱정이네요 ㅠㅠ
    창원은 SBRT 버스로 바뀌었는데 비광역시에 현 특례시로 보면 이것도 낭비가 아닌가 싶네요 ㅠㅠ
    현재 창원도 인구가 점점 수도권 과밀화가 세네요 ㅠㅠ
    각종 기사와 데이터를 통한 교통체계 정리에 감사하며 수고 많으십니다 ㅎㅎ

    • @user-wx7sr9xi3e
      @user-wx7sr9xi3e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창원시민입니다. S-BRT 때문에 창원시민들 불만이 터지기 직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마 정권 바뀌면 특검 시작될거라고 보고 있네요

  • @phkair
    @phkair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 1호선은 BRT와 노선이 거의 겹치는 것이 문제죠. 비슷한 구간을 가는거라면 지하로 내려갔다 다시 올라오고 하는 지하철보다는 버스가 편리합니다.
    요즘은 2호선을 이용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는 느낌이네요.

  • @mint7530
    @mint7530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4

    부산 1호선의 마지막 비밀이 드디어!
    그나저나 연장이 없다는 것은 상상도 못 했는데.......?

    • @user-zo6pe7hj8g
      @user-zo6pe7hj8g 24 วันที่ผ่านมา +5

      일단 바닷가쪽으로는 갈수없고, 녹산쪽으로 틀기에도 이미 하단녹산선을 그쪽으로 빼는거라 양산쪽으로 중전철 놓는수밖에 없는데 경전철로 가닥 잡은듯요

    • @chunggakdan
      @chunggakdan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

      @@user-zo6pe7hj8g남쪽으론 연장이 불가능하고 남은곳은 북쪽 구간인데 사송을 가는 노선은 이미 경전철로 공사중이고 울산역으로 가는 노선도 경전철로 가닥을 잡고 검토중입니다.

    • @user-fi2gz5sn1n
      @user-fi2gz5sn1n 10 วันที่ผ่านมา

      뭔소리? 이미 다대포까지 연장했는데?

  • @지테TV역사교양지식
    @지테TV역사교양지식 17 วันที่ผ่านมา +2

    기존 노선의 급행화를 하는 과정에서 기존 역들의 벽들을 뜯어내고 추가로 땅굴을 파는 것이... 아무래도 사람들이 이용하는 동안 공사를 추진해야 하니 더 어려운 난이도가 될 것 같아요. 뭐 수도권 1호선이야 처음부터 광역 범위의 노선이었으니 그렇다 쳐도, 다른 노선들은 급행이라는 생각을 언젠가 할지 아무도 몰랐으니... 시대의 변화가 이럴 때 "이 노선도 급행을 했으면 좋았을걸" 이런 생각이 나중에 든다는... 뭐 그런 거 있잖아요. ㅠㅠ

  • @user-er1te3ex6g
    @user-er1te3ex6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부산이 다른 도시보다 인구 감소폭이 크군요.
    왜 그런지 다음영상에서는 그걸 한번 다뤄 주세요.

  • @Ish3ujj-cm1vs
    @Ish3ujj-cm1vs 20 วันที่ผ่านมา +5

    외국인 유튜버 영상 봤는데 서울에 있다가 평일 1박으로 부산에 놀러와서 카페랑 여기저기 돌아다녔는데 바로 뭐랬냐면 여기는 서울이랑 다르게 왜 어딜가도 노인들 밖에 없냐고 하더라 제2의 광역시도시인데....외지인 눈에도 바로 그게 제일 먼저 보였다는 거지..그야말로 노인과 바다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0 วันที่ผ่านมา

      그 외국인 유튜버는 누구고 영상은 어딘가요??

    • @user-dn9fs5db6p
      @user-dn9fs5db6p 2 วันที่ผ่านมา

      사실임ㅠ

  • @user-xu1lx9rx5d
    @user-xu1lx9rx5d 20 วันที่ผ่านมา +7

    지금 부산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가 그런 분위기로 가는 중임
    나중에 뭐 어떻게 하려나 모르겠음

    • @pedric09
      @pedric09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 이 나라는 다 뜯어고쳐야함..지자체에서 하는것도 없이 어떻게든 세금 뜯어먹으려고 쓸데없는 정책과 건물 만드는데 돈과 시간 할애하고있음...

    •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9 วันที่ผ่านมา

      인천은 인구가 계속 늘고 있어요.

  • @user-mu5wz3kd6j
    @user-mu5wz3kd6j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 @user-gt8wp7li5y
    @user-gt8wp7li5y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

    8:09 2호선 급행 설명하실때 구명역 구남역 위치가 바뀌어있습니다

  • @tui3ksgk2yxh
    @tui3ksgk2yxh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도 서울도 도심에서 외곽 변두리로 인구가 이동했네요

  • @mw-fw9cj
    @mw-fw9cj 24 วันที่ผ่านมา +5

    하단과 남포동 서면 동래는 번화가 이기때문에 주말에도 꾸준할 것이고 평일에도 출퇴근이용객들 많죠
    부산역을 오가는 여행객도 있을테고
    크게 걱정을 할 문제는 아닌듯합니다
    1호선은 주로 관광노선이었지만 다대포연장 이후로
    장림 다대포는 아파트 밀집 지역이기때문에 앞으로도 꾸준하게 증가할듯합니다

    • @taechoi6777
      @taechoi6777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1호선이 관광노선이라는 근거는 어디에서 가져오신 데이터 인겁니까?
      가파르게 증가하는 인구유출과 인구감소로 인해 전체적인 이용객 파이가 줄어들고 있으며 1호선 연장 된지 근 10년이 되어가는데 10년동안 안타던 사람들이 갑자기탄다고 주장하시는건지요?
      차라리 강서구까지 노선 연장한다면 이용객수가 증가할것이다가 더욱 타당해보이네요

    • @mw-fw9cj
      @mw-fw9cj 20 วันที่ผ่านมา

      @@taechoi6777 다대포선 연장된 이후로 다시 1호선이 증가추세로 있다고 영상 안봤었나봐요?
      다대포해수욕장도 있고 1호선 노선 자체가 지하철 착공할때부터 부산을 대표하는 곳으로 지나가는데
      1호선이 망하면 곧 부산이 망하는 것인데
      부산에 사는 사람이 아닌가봐요?

    • @mw-fw9cj
      @mw-fw9cj 20 วันที่ผ่านมา

      @@taechoi6777 강서구에서 노포동까지 거리가 얼마나 긴데 강서구로 연장을 합니까
      강서구 외딴섬에다 버스공영차고지 만들어놓은것도 부산시민들 원성이 심한데 ㅋ
      버스타고 하단와서 지하철환승하세요 ㅋㅋ

    • @taechoi6777
      @taechoi6777 20 วันที่ผ่านมา

      @@mw-fw9cj 핀트를 못잡는 답변 지양바랍니다.
      연장으로 인한 탑승객 증가는 당연한 이치입니다. 다만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것이라는 근거를 “아파트 밀집 지역이기 때문에 꾸준히 증가할것이다.”라고 하신부분이 너무나도 터무니 없어 보였고 뇌피셜 수준도 안되는 주장에 대해 더욱 보완해서 답변 바랍니다.
      통계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것이 올바른 것이지 부산사는 사람 아니냐는 알수없는 질문은 왜하시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ㅋㅋㅋ 긍정적인 주장에 대해 반박 하면 그 주체에 대한 모욕이나 망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적는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또한 “1호선이 주로 관광노선이다.”라는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달라고 하였습니다. 정당하게 비판 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강서구를 언급한 이유는 주장을 하시려면 예시로 “1호선 탑승객 숫자가 증가 추세를 보이려면 강서구의 인구가 유입되는것이 타당해보인다.”라고 얘기 한겁니다.
      요점을 잘 파악하시고 흐름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 @mw-fw9cj
      @mw-fw9cj 20 วันที่ผ่านมา

      @@taechoi6777 다대포선 연장되고 증가추세라고 하잖아요 이양반아ㅋ 아파트사는 사람들이 지하철타고 출퇴근하고
      주말에 남포동가고 서면가고 그럴수도 있죠
      당신한테 뭘 보완을 해야되는거죠?
      인구감소는 대한민국 전체에 해당이 되는거지
      1호선만 해당이 됩니까?
      부산시 주요지역을 1호선에 다 깔아놨고
      부산역에서 오는 관광객들 지하철탈것이고
      그러면 된거지 당신 혼자 심하게 오바하시네요

  • @xvtsusu4309
    @xvtsusu4309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서울이나 부산이나 똑같이 인구가 감소한다지만 서울같은 경우 경기도 인천으로 배드타운이 형성되고 그래도 직장은 서울에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자본이 서울권 안에서 돌아가지만 대구 부산같은 경우는 아예 인구부터 수도권으로 유출이 많아서 서울과 대구부산은 케이스부터가 다름

  • @user-ii4jk2oi4c
    @user-ii4jk2oi4c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6:50 신설동 제기동 말고도 개포동 둔촌동 상일동 명동 강동 길동 창동 삼동 상동 중동 신중동 목동 신목동 학동역도 있어요 ❤

  • @user-lw6cw4pn7o
    @user-lw6cw4pn7o 22 วันที่ผ่านมา +21

    부산에서 지하철 타보면 주말에도 어르신이 절반 이상임
    1,2호선은 그나마 나은편이고 3호선은 종합운동장, 사직 처럼 젊은 사람들이 자주 가는 지역이 있음에도 젊은 사람들 보다 어르신들이 정말 많음
    부산은 위치상 무역, 제조, 교육, 관광 등 특성화 할수 있는 산업이 많았음에도
    무역은 그냥 그렇고, 제조는 김해, 양산에 다 빼앗기고, 교육은 온데간데 없고, 관광이 그나마 조금 남아 있는데
    갑자기 뜬금없이 금융을 가지고 들어와서 그 좁은 땅에 대규모 금융단지 계획을 세웠음
    그 사이 수많은 젊은이들이 일자리가 없어서 먹거리 찾아 다른 지역으로 다 떠나버렸고 현재까지도 이탈이 가장 많은 지역임
    영상 내용 중 북구, 사상구, 강서구, 해운대구, 기장군만 인구 감소가 덜 했던 원인도
    해운대야 부자동네니까 새로운 비싼 건물을 많이 지어서 그런거고 북구, 사상구, 강서구 모두 김해, 양산과 붙어있음
    김해, 양산에 직장을 가진 사람들이 부산 외곽에 걸쳐서 사는것일 뿐 그쪽 동네가 좀 발전하면 당장 이주 할 사람들임
    매일 고속도로 타고 출퇴근 하는거 쉽지 않기 때문임. 특히 부산에서.
    출생아도 적은데 떠나는 사람 조차 가장 많으니 부산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음
    부산국제금융센터2 건물을 올리고 있으나 BIFC에 근무하는 사람들도 절반이 부산으로 이주 하지 않고 가족들과 생활반경은 서울에 그대로 두고 아빠만 부산에서 일하는 사람들임
    이는 BIFC2가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부산의 힘이 얼마나 빠졌는지는 코로나때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는데 코로나가 어느정도 회복 되었을때 인천, 김포는 일본과 항공이 재개 되었으나
    김해국제공항은 한참 후에서야 나리타와 비행기가 뜨기 시작했음
    부산이 산업, 관광 등으로 국제시대에 필요한 도시였다면 김포와 동시에 김해도 비행기가 날아다녔겠지
    한때 제조, 무역, 뽕(?)으로 유명했던 도시는 체질을 바꾸기 위해선 체계적으로 전환 계획이 있었어야 했지만
    수십년을 아무 생각 없이 될대로 되겠지 버려둔 정책 때문에 부산에 살고 있는 부산 시민 전체와 앞으로 부산에서 태어날 아기까지 모두 피해자가 되었음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2 วันที่ผ่านมา +1

      무역이 그냥 그렇다구요???
      부산신항 근처에 한 번도 안 가보신 듯

    • @dpswpfql14
      @dpswpfql14 19 วันที่ผ่านมา +2

      2,3호선도 덕천 부근 가면 노인정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wangdol
      @wangdo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글을 좀 짧고 간결하게 요약해라 니 지루하고 재미없는 글을 누가 읽냐

    • @user-wo1nk2gs7d
      @user-wo1nk2gs7d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정도 길이의 글도 지루하면 책은 어떻게 읽냐 ㅋㅋㅋ​@@wangdol

  • @tall6631
    @tall6631 24 วันที่ผ่านมา +4

    부산2호선도 해주세요! 아님 인천1호선?

  • @ore2505
    @ore2505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8

    울산과의 연계도 계획되어있으니 조금 지켜볼 필요는 있을듯 합니다
    다만 급행화 일환으로 서구나 동구 일대의 역은 시간대에 따라 2호선처럼 무정차로 통과 시키는 시간대가 생기면 효과는 생기지 않을까요

    • @user-kz3gz3yv2p
      @user-kz3gz3yv2p 23 วันที่ผ่านมา +5

      울산도 박살 나는중이예요. 대학교도 광역시치고 2개밖에 없고, 자동차도 모듈화 진행중이고 중공업도 힘 못 쓰고 화학 공단의 장치산업이라 인원도 별로없고...

    • @hofffnung
      @hofffnung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부산이랑 울산이랑 개멀던데. 메가시티 운운하기엔 거리부터 너무 멈. 태화강-벡스코가 53km 정도고 중간에는 별거 없고. 반면 부전마산은 비슷한 50km라도 해운대부터 해서 부전-사상-김해-창원-마산 이 구간이 거리도 중간중간 인구도 많고 사상터미널, 김해공항, 강서, 장유, 창원, 마산이라 물갈이 잘될 것 같은데, 동해선은 통근전차 넣어주고 이쪽엔 계획이 없는지 의문

    • @hofffnung
      @hofffnung 23 วันที่ผ่านมา +2

      @@user-kz3gz3yv2p 힘을 쓰고 못쓰고를 떠나서 공단 출퇴근하는 애들은 지하철 잘 안탐. ㅋㅋ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1

      @@hofffnung 메가시티 부산에서 기획하고 울산, 경남에서 차버린 사업 아닌가요? 지리적으로 너무 멀고 메리트도 없는데 굳이 할 필요가 없죠.

    • @user-te6xl2ek7c
      @user-te6xl2ek7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답없습니다 ㅋㅋㅋㅋㅋ

  • @Korail-wx1fy
    @Korail-wx1fy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1호선은 비수도권에서 최초, 그리고 아마 유일..하게 량수가 증가한 노선이기도 합니다. 원래 6량이었으나 그게 8량이 되었죠. 이는 1990년대의 일입니다. 또한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롤지를 사용했던 노선입니다. 1985년에 개통했으니 그럴 만도 하겠습니다. 2000년대 중반 모두 LED로 교체되었습니다.

  • @user-bk3iu8uf5x
    @user-bk3iu8uf5x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0

    우리나라에 더 이상 도시철도 더 지으면 안 됩니다. 인구가 없는데 시설 유지가 안 됩니다.

    •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23 วันที่ผ่านมา +5

      거기에 비정상으로 싼 운임도 한 몫하죠. 최소로 유지하려면 지금 운임의 3배는 내야 할겁니다

    • @user-bk3iu8uf5x
      @user-bk3iu8uf5x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user-dv3mh9sf4b 사실 이용객 입장에서는 부담되지만 맞는 말 입니다. 낮은 운임 > 세금으로 메꾸기 > 근데 저출산 고령화로 세금 부족하면 > 결국 민영화 되던지 폐선 입니다. 아니면 뉴욕처럼 관리가 안 되던지 결국 공공제 도시철도를 지키려면 요금을 더 내야 합니다.

    • @user-eh9tx7hl3r
      @user-eh9tx7hl3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시골에는 더이상 짓지마라

    • @user-eh9tx7hl3r
      @user-eh9tx7hl3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시골에 더이상 짓지마라. 서울인프라나 늘려라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eh9tx7hl3r대한민국을 더더욱 빨리 멸망의 길로 가속화 시키고 싶으면 그렇게하기를...

  • @user-rh6kv6gt8b
    @user-rh6kv6gt8b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예전엔 서면 남포동이 젊은이들이 모이는 곳이 였다면 시대의 흐름에 여러곳에 분산된 젊은이들의 모임 장소가 있어 큰 영향이 있을것 같네. 그리고 날이 갈수록 자동차가 엄청 많아졌다.

  • @user-pl4rk7nh3l
    @user-pl4rk7nh3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7

    부산 인구가 줄어드니까 1호선 이용객들도 줄어드네요. 어르신들이 많이 타네요.

  • @user-zz8hu4ww5v
    @user-zz8hu4ww5v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지방 사람들 상당수가 서울로 떠나가면서, 지방소멸은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이야깃거리입니다. 부산도 예외는 아니네요^^ 부산도 1995년 이후 매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

    •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특히 1호선이 지나는 지역인 서부산쪽이 인구 감소가 심하죠

  • @jakekim2104
    @jakekim2104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0

    확실히 부산 1호선 타면 어르신들만 가득임. 서울 경기 1호선하곤 차원이 다른 고령화 도시임..

  • @ahramnuripark
    @ahramnuripar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역명 변경중 가장 압권이 부산역 이었는데..영문표기가 PUSAN-YOK이라고 되어 있었던...지금이야 BUSAN STATION이지만..그시기가 기억상으론 영문표기법 개정 시기(2000년초반)였던걸로 기억됩니다.

  • @user-zv8gs7qw1k
    @user-zv8gs7qw1k 15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직까지는 학교들 한참 여름방학 겨울방학할때는 관광객들로 미어터지는데 그마저도 부산에서 운전할만한 베테랑들은 부산에서 타차고 다니는데 이용객이 줄수밖에 없지요. 부산에 일자리가 딱히 많은것도 아니고.

  • @user-dy2wo8bs8p
    @user-dy2wo8bs8p 11 วันที่ผ่านมา +4

    나도 부산출신이지만 그냥 일자리가없음. 대기업하나도없고 이렇다할 공기업도 몇없는데 제조업 기업들 유치할 생각안하고 정치하는 놈들 관광도시 만들겠다 헛소리나 하고있으니 젊은 인구가 다빠져나가지.
    대구나 광주에 비해 정치색도 많이 옅어진편인데 어느쪽을 뽑아도 똑같음

  • @user-lz6bp4cu1m
    @user-lz6bp4cu1m 24 วันที่ผ่านมา +4

    비단 부산뿐만 아나라 지방 광역시의 지하철도 서서히 감소 중...

  • @OO-zm4qm
    @OO-zm4qm 7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에 30년 가까이 살고 있습니다.
    일자리가 없어요 진짜 너무 심함
    그나마 쓰레기 같은 일자리라도 얻을려면 김해나 양산으로 나가야 합니다.
    그나마 양질의 일자리 얻을려면 거제나 창원쪽으로 가야 합니다.
    부산이 살아날려면......뜬금포지만 엘시티 관계자들을 날려야 합니다
    부산의 암같은 존재들을 없애지 않는한 부산의 미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산에 재계발재건축 하는곳이 100군데가 넘는데 왜 그런지는 다 이유가 있죠

    • @user-iy8zx6py8v
      @user-iy8zx6py8v 4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무리 봐도 부산은 지방자치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19 วันที่ผ่านมา

    붓산은 인근 양산 김해로 많은 인구가 빠져나가서 그래요.
    많은 혐오시설(?)들이 붓산 시내에서 김해 양산으로 자의반타의반 밀려나게 되면서
    인구가 줄었어요.

  • @Bl_Leaf
    @Bl_Leaf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4

    1호선 이용객이 줄어드는건 좀 충격이네요

    • @user-pn8vw6jq3l
      @user-pn8vw6jq3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근데 비수도권 압도적 1위

  • @j-bs373
    @j-bs373 23 วันที่ผ่านมา +9

    아버지 친구분이 퇴직하고 할일 없이 아침부터 무임 승차권으로 동해선 타고 부산 울산 왕복하는게 일상이랍니다. ㅡㅡ 노인들만 남는 부산은 앞으로 답이 없지 싶네요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부산시청앞 공원이 어르신들 핫플이더라구요. 노름부터 버스킹까지 아주 잔치입니다

  • @wlsud
    @wlsud 17 วันที่ผ่านมา

    급행열차 얼른 시행됐으면 좋겠네요...

  • @user-ii4jk2oi4c
    @user-ii4jk2oi4c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8

    95년부터 감소면 30년이죠 20년이 아니고요

  • @user-wc8fn9hc4i
    @user-wc8fn9hc4i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저도 부산 살고 직장이 역근처지만 버스로 출퇴근합니다. 버스가 훨씬 더 편해요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2

      버스는 코 앞에서 신호 걸려서 짜증나서 그냥 지하철 이용합니다.
      특히 승객들이 늦장 부릴 때마다 짜증납니다.

  • @user-yh2uv8hk8t
    @user-yh2uv8hk8t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수도권 1호선처럼 대형차량 10량으로 만들면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วันที่ผ่านมา +4

      그러면 배차간격을 10분넘게 했겠죠

    • @user-bx5lq5ni2y
      @user-bx5lq5ni2y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8량도 충분해요

    • @user-mq2yd6yk5i
      @user-mq2yd6yk5i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ㅇㅈ 충분하죠

  • @-Choco-vanilla-ice-cream
    @-Choco-vanilla-ice-crea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부산 ~ 김해 라인 광역노선 절대 안만드는 이유, 있는 버스 노선도 줄여버리는 이유가 인구감소지요

  • @user-el7jz5qv8g
    @user-el7jz5qv8g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38 남구의 인구 감소로 22대 총선 기준 갑,을 선거구였다가 합구되었습니다.
    (2호선 경유,24년만에)
    6:11 2호선 중동역처럼 외자로 된 동명은 예외입니다.
    (1호선에는 없음)

  • @GirumJangeo
    @GirumJangeo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 출신으로서 참 씁쓸함

  • @user-id8lz4xp4u
    @user-id8lz4xp4u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

    👍

  • @timhardaway885
    @timhardaway885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당장 인구도 더 많고 땅도 넓은 일본만 가도,
    인구가 70만 정도 되는 도시들에도 지하철이 아니라 1량짜리 트램다니는 곳이 많죠.
    수요예측할때부터 무료로 다니는 사람 제외하고,
    객관적으로 해서, 지하철이 아니라, 다른 교통 수단을 생각해야하는데,
    전국적으로 수요없이 불필요하게 교통망이 확충되고, 지하철도 계속 늘리면서,
    해당지역 부동산 가격만 오르고,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은 살기가 힘들어질뿐.
    교통망이 확충되면서,
    특히 우리나라처럼 서울이외에 거점이라고 할만한 도시가 없는 나라에서는
    도심공동화가 아니라 전국 공동화현상이 발생중.
    교통이 좋아지면, 거기 사는 것보다 평일 임시거주 정도나 통근,통학하면 되니깐요.
    관광이 좋아져서 장사꾼들 돈 버는 게 중요할 수도 있지만,
    이 나라 외국인 재방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건, 교통이 문제가 아니기도함.
    일본의 도쿄-나고야-오사카 이런 축처럼
    이 나라도 서울-새로운 수도-부산 축이 만들어졌다면,
    부산,대전,대구,울산,광주도 지금보다 여러모로 좋아졌을듯.
    개인의 사리사욕에 기초해 잘못된 판단을 한
    헌법재판관들이 현재의 현실을 만들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고,
    그들이 현재의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를 파생시킨 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vk1ut1cr3i
    @user-vk1ut1cr3i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수인분당선에도 "개포동" 이라는 역이 있는데 이것도 "동"자를 넣은 경우입니다. 일괄성없이 마음대로 넣다 뺐다가 진행된것입니다.

    • @gurorapid
      @gurorapid  23 วันที่ผ่านมา +2

      보통 코레일은 일반철도역 포함해서 중복되면 역명을 다르게 하는데요 경북선에 개포역이 있어 개포동이라 한것으로 보입니다 평촌역이 원래 벌말역이었던것도 마찬가지이구요. 사실 여기에 소개한 제기동 신설동 등 서울지하철과 코레일은 역명 정하는 주체가 다르기도 합니다😀

    • @user-vk1ut1cr3i
      @user-vk1ut1cr3i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gurorapid 경북선에 개포역이라고 있는가 보군요. 저는 새삼 개포동역이라고 해서 왜 동을 붙였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shsifjsbzuaj
    @shsifjsbzuaj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0

    서울도 경기 인천으로 빠진거라 결국은 유동인구는 더 늘었는데
    부산은 상황이 다름 경남으로 빠진 인구도 있지만 청년층이 다 수도권으로 가서
    갈수록 무료 전철이 되는게 제일 문제임

    • @chunggakdan
      @chunggakdan 24 วันที่ผ่านมา +5

      젊은 사람은 죄다 수도권으로 가고 20년 사이에 부산인근에 장유, 율하, 물금, 정관같은 대단지 신도시가 많이 생겨서 배드타운이 옮겨간거죠. 그러니 시내에 돌아다니는 사람이 없는 것

    • @user-yt5dk4rf1o
      @user-yt5dk4rf1o 24 วันที่ผ่านมา

      똑똑한 애들만 서울가죠. 공부도안하고 놀았던애들은 고향에남아서 자영업이나 공장생산직이나 하겠죠. 아님 공무원한다고 끄적거리거나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yt5dk4rf1o그건 중앙정부에서 서울 중심의 정책들을 펼쳐셔 그런겁니다. 서울은 행정수도로서는 제격이기는 하나, 지정학적으로 대도시로서는 부산보다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 @mks7546
    @mks7546 19 วันที่ผ่านมา +4

    부산을 대체할 항구도시 인천이죠. 마계인천이라고 욕은 많이 먹지만 수도 서울과 가까워서 크게 발전할 가능성이 높죠. 인구도 꾸준히 증가추세. 그래도 저는 인천은 살고 싶지 않네요. ㅋ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19 วันที่ผ่านมา +4

      서울 덕분에 그나마 2위라도 하는데다가 그마저도 상륙 조건이 좋은 편은 아니어서 대체 할 만한 항구 도시가 되지는 못 합니다.
      당장 서울에서 가까이있는 인천을 놔두고 멀리있는 부산으로 해운화물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는것만 봐도 인천은 항만으로서의 입지로는 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 @NuttyV2
      @NuttyV2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서해쪽 항구는 조수간만의 차 때문에 동해 남해쪽 항구를 이길 수 없습니다.

    • @mks7546
      @mks7546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렇군요.

  • @JSH-do5qf
    @JSH-do5qf 6 วันที่ผ่านมา

    이 채널을 보고 있으면 일이관지(一以貫之)라는 한자성어가 생각남. 철도, 지하철이란 주제를 파고 있으면 우리 대한민국 사회가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 알수 있음

  • @user-gg5qq9tw3m
    @user-gg5qq9tw3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아마 인구 감소로 수도권 제외 지방은 다 힘들겠지만 특히 경상도 쪽은 그동안 인프라 깔아 놓은게 많아서 20년 뒤면 아마....
    관리비 엄청 나올듯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20년 뒤면 수도권도 이런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 합니다.
      수도권 불패도 출산율이 최소 1초반 이상은 나와줘야 어느정도 의미가 있는 이야기임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q3te7ms9u 그걸 몇십년 전부터 못고치고 있는데;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dj4fv7tc6z그러니까 수도권도 예외는 아니라니까 ㅋㅋㅋㅋ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q3te7ms9u 난독증인가 ㅋㅋ 그걸 예전부터 겪고 못고치는 부산을 말하는거잖아 ㅋㅋ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dj4fv7tc6z대한민국 전체가 저출산으로 부산과 비슷한 문제를 겪을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미중 간 신 냉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음.
      현 출산율로는 수도권이라고 해서 이런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이야기인데 이걸 못 알아먹네;;

  • @user-pv9559toto
    @user-pv9559toto 24 วันที่ผ่านมา +6

    부산은 출장으로도 가 보고, 코로나때 여행하러 여러번 가 보면서 느낀거지만 안타깝게도 태생적으로 너무 지형이 안좋고, 이를 발전시키는 도시계획도 엉망인데 그 동네 정치인 행정가도 인허가 비리에 물들다보니 보니 결국 바다를 낀 낡은 베드타운 지방도시로 전락해버린듯 합니다. 장기적인 인사이트를 가지고 리모델링을 했다면 송도까지는 아니었어도 특색있는 항만도시로 발전될 수 있었을거 같은데, 이젠 오션뷰 초고층 아파트 장사나 하는 동네로 전락한 느낌입니다.... 저 해운대 마천루들 이제 30~40년 지나면 다 흉물될텐데 나중에 어케 될런지 궁금하네요 ㅋ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럼 뉴욕, 홍콩에 있는 마천루들도 흉물인가요???
      게다가 뉴욕은 이미 오래 전 부터 대도시였는데
      님 말대로면 송도도 세월이 흐르면 흉물되는건데요 ㅋㅋㅋ

    • @user-pv9559toto
      @user-pv9559toto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user-iq3te7ms9u 송도와 부산의 차이점은 마천루가 아니라 기업과 국제학교 유치죠.... 서울로의 교통이 불편함에도 일자리, 교육요건에 지속적인 신규 아파트 공급을 통해서 매력도를 높이니 모래만 날리던 황무지가 이만큼 자리를 잡은겁니다. (포스코그룹이 일괄 주도적으로 버티고 개발 역할을 한것도 크다고 생각함) 반면에 부산엔 거주용 주상복합에 고작 들어와봐야 호텔? 레지던스? 전망대? 이게 도시의 자생력을 가지는 역할이 될까요?

    • @user-pv9559toto
      @user-pv9559toto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iq3te7ms9u 뉴욕과 홍콩은 낡은 도시지만, 그 도시들은 금융과 문화의 중심지였기에 발전했던 도시였죠. 중국으로 반환되어 예전의 아시아의 자유금융도시로서 매력을 잃은 홍콩이 지금 어떻게 쇠락해가는지 보면 알수있지 않나요? 이미 중심은 싱가폴이나 도쿄로 다 넘어간 추세죠. 우리는 찌끄레기도 못받아먹고 있고요.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pv9559toto송도에도 마천루들이 있고, "시간이 지나면 흉물" 이러기에 한 소리인데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시네요.
      시간이 지난다고 해도 보존 자체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명물은 명물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광안대교도 세월이 흐르면 흉물이어야 맞지요.

    • @user-pv9559toto
      @user-pv9559toto 23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q3te7ms9u 아 마천루 얘기 하신거면, 뉴욕 보시면 이미 100년 넘은 건물들 리노베이션 하고 있죠. 근데 대부분 철콘 건물들에 사무용이라 투자사들이 리노베이션해서 매각하거나 임대수익으로 회수가 가능하죠. 반면 홍콩의 초고증 아파트들은 점점 노후화되고 가격도 살인적인데 대체거주지를 찾기 불가능해서 내부 인테리어 리모델링 말곤 변경이 불가능해서 점점 슬럼화 되고 있습니다. 유튜브에 홍콩 고층아파트 검색만 해보셔도 많이 보실수 있어요. 관짝집 닭장집 이런게 설마 부산에서 나오진 않겠지만, 건물이 낡고 동네가 매력을 잃은 이후에는 아예 슬럼화 되겠지요.... 과거의 구룡성채, 최근의 충킹맨셩 같이.... (영도나 구시가지 언덕배기만 가도 이미 폐가가 넘쳐나고 있던데요)

  • @user-mr4hc9vh2z
    @user-mr4hc9vh2z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2

    고향이 부산이라 부모님 다 돌아가시고 저번 주 4년만에 가보니 야 토요일 인데도 서면 포장마차 촌 사람 많이 없음 정말 쇠락해 가는게 느껴짐

    • @sower37
      @sower37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

      요새 누가 거길감

    • @jihoonpark8967
      @jihoonpark8967 24 วันที่ผ่านมา +9

      서면 핫플레이스 바뀐지가 언젠데;;

    • @nuri5540
      @nuri5540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거기 음주운전인가 차가 한번 쏴악 밀어버리는 사고도 있어서 가기 꺼려짐

    • @HEEHEE993
      @HEEHEE993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

      요즘에는 NC백화점 건너편에 많아요 ㅋㅋ
      저도 저번달에 간만에 갔는데 부산 젊은애들은 거기 다모인듯~

    • @user-mr4hc9vh2z
      @user-mr4hc9vh2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HEEHEE993 아 nc백화점이 생긴지도 몰랐네요 😂 고향 자주 안가니 4년만에 가세 진짜 돼지국밥은 엄청 먹고 왔네요 서울에서는 왜 이 맛이 안나는지

  • @jaeguncho8638
    @jaeguncho863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부산이 고향이고 결국 돈벌러 상경한 사람으로서 매번 얘기가 나오지만 수도권에 준하는 일거리나 임금 없으면 돌아가고 싶어도 못갈것 같습니다. 몇달에 한번씩 부산 가면 갈 때마다 고향동네에 어르신밖에 안계시는데 아파트만 그렇게 재개발하는지. 지하철도 마찬가지고. 뭐 그렇습니다

  • @ithan6807
    @ithan6807 19 วันที่ผ่านมา

    노인과 바다.그것보다 잘 표현하는 말이 있을까 싶다.

  • @Kanel913
    @Kanel913 24 วันที่ผ่านมา +3

    내가 지하철탈때가 정점이고 지금은 자차타고 댕겨서 안탐ㅋㅋ

  • @user-nm9gw4ek7d
    @user-nm9gw4ek7d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역명 관련, 처음 1호선 개통 당시 일괄적으로 '동'자를 붙였다기 보다는, 실제 시민들이 부르는 지명을 역명으로 지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양정역이나 초량역은 초기 개통 당시 '동'자가 붙지 않았죠(이후 초량역은 초량동역으로 개명했다가 일괄적으로 '동'삭제 시기에 초량역으로 돌아왔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부산 사람들이 실제로 양정동을 지칭할 때 '양정동' 이라고 안하고 '양정'이라고 하거든요. 초량도 마찬가지 (ex 내 양정 산다, 부산역은 초량에 있다 아이가)
    반면 다른 역명 지명은 보통 동을 붙여서 지칭합니다. (ex 연산동에서 만나자, 남포동 가자, 토성동에 있는 부산대학병원)
    신평 연장 때부터 '동'자를 안붙였다기 보다는, 그 동네 지명(신평, 하단, 당리, 괴정)은 사람들이 보통 '동'을 안붙이고 말해요.

  • @twinkleyelll
    @twinkleyelll 3 วันที่ผ่านมา

    탑승객 수가 줄면 그만큼 여유도 생기고, 앉아 갈수 있으니 좋죠. 긍정 마인드를 가집시다.

  • @tepaniseo5699
    @tepaniseo569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부산 울산 창원 지방대도시도 수도권으로 인구유출은 피할수 없음. 예를들어 울산에서 취업연령대 청년이 5만명이라면 현대계열사나 하청업체 그리고 정유업계 좋은직장에 들어갈수 있는 인원이 많아야 2천명 될까 모르겠네요. 대졸 고소득직은 얼마 안될거고 그중에서 제조업이다보니 여성젊은이들은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대부분이 다 빠져나갈거 같습니다. 평균소득이 높다는 울산마져 청년층의 유출이 계속되는데 부산은 더 심각할듯. 지방인구감소는 불가피한 시대흐름이라고 봅니다.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불가피한 시대 흐름이 아니라 가피한 시대 흐름입니다.
      미국 중국을 보면 지방에 있는 대도시가 행정수도보다 큰 사례가 있습니다.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iq3te7ms9u 자본이 모이지 않는데 어떻게 가피해;; 지금도 부산에서 경남으로 다 일하러 매일같이 나가잖아

    • @HEEHEE993
      @HEEHEE993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근데 서울가도 똑같습니다 ㅋㅋ
      전체 취업인구중 대기업, 공사, 전문직 다합치면 10% 될까요???

  • @ss-dk9zu
    @ss-dk9zu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4

    낮에 타보면 돈내고 타는사람이 손에 꼽히는 지역

  • @kimseongil--7449
    @kimseongil--7449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3

    노인과 바다로 불리는 부산에 새로 철도가 생기기엔 정말 어려울것 같습니다.

    • @sower37
      @sower37 24 วันที่ผ่านมา +5

      일단 부산에서 새 철도 노선이 생길 구간 자체가 별로 없음... 지금 계획안도 대부분 부산이 아니라 김해 양산 울산이랑 연계하는 광역전철계통.

    • @user-we4mb1fk5t
      @user-we4mb1fk5t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강서구에 하나도 없긴함
      강서구가 인구가 유일하게 인구가 유지증가되는데

    • @user-id3gw4uy9p
      @user-id3gw4uy9p 20 วันที่ผ่านมา

      부산 5호선 공사중이긴 합니다.

  • @user-js9xd5hf4p
    @user-js9xd5hf4p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 1호선 어르신들이 20대때 1호선 젊은이들 이다...자연스럽게 흐르는 시간은 인간도 변화시키고 지역도 나라도 변화시키는것은 당연한 이치~

  • @shk9732
    @shk9732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용객을 연령대별로 보여주면 좋을것 같네요

  • @greatkim7797
    @greatkim7797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3

    부산은 노약자석이랑 일반석 자리 바꿔야될듯 조만간 ㄹㅇ ㅋㅋㅋㅋ
    지하철요금도 개비쌈

  • @theghst5147
    @theghst5147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4

    부산1호선이 알짜구간들은 쌈뽕하게 잘 다니던데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วันที่ผ่านมา +8

      유일한약점은 해운대신시가지를 안가는거

    • @user-generated5123
      @user-generated5123 24 วันที่ผ่านมา +6

      ​@@user-dt2xf1fm2k 거기까지 지나면 너무 혼잡하죠

    • @user-id3gw4uy9p
      @user-id3gw4uy9p 24 วันที่ผ่านมา +8

      ​@@user-dt2xf1fm2k 1호선 노선 짜던 70년대엔 해운대 개발은 장기계획이었고, 1호선이 거길 가려면 선형이 매우 불량해집니다.

    • @mjk6373
      @mjk6373 24 วันที่ผ่านมา

      2호선이 지나가는곳​@@user-dt2xf1fm2k

    • @djfdmadi
      @djfdmadi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1

      @@user-dt2xf1fm2k 부산사람 입장에선 해운대 갈 일 ㅈ도없긴 함.

  • @Delmn
    @Delmn 15 วันที่ผ่านมา

    양산에 도시철도를 짓는다고 하지만 지나는곳이 노포, 동면, 중앙동, 북정구간이라 정말 가성비로 계획 잘짜긴 한거같네요 ㅋㅋㅋㅋ

  • @user-lg5sf6yg3t
    @user-lg5sf6yg3t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3

    부산지하철1호선 첫차 노포역 방향으로 가는것 타봐라
    60%가 노인들이다
    빈자리가 없다

    • @phkair
      @phkair 23 วันที่ผ่านมา

      버스나 지하철이나 첫차는 거의 노인들이 승객의 대부분입니다. 이건 지역을 떠나서 전국이 거의 동일해요.

  • @omega17778
    @omega17778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7

    안 그래도 사람이 어르신 외엔 거의 없는 고령화가 됨과 동시에 심지어는 이번 해에 요금 인상까지 겹쳐서 3000원으로는 절대로 탈 수 없는 금값 열차가 된 게 참 씁쓸할 따름입니다..

    •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그게 왜 금값이죠??? 비정상적으로 싼게 문제 아닌가요????

    • @sjskeggf8354
      @sjskeggf8354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무슨 금이 그렇게 쌈? ㅋㅋㅋ

    • @colt7057
      @colt7057 22 วันที่ผ่านมา

      @@sjskeggf8354 ㅋㅋㅋㅋㅋㅋㅋㅋ

    • @roni84764
      @roni84764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정도로 금값이라고 할정도면 옆나라 일본 지하철 버스 한번 타면 거품물고쓰러지겠노 ㅋㅋㅋㅋㅋㅋㅋ

  • @user-qe2ox5qj5c
    @user-qe2ox5qj5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호선 거점이 다대 하단 남포 서면 동래 부산대인데 이쪽 라인들이 예전에 비하면 많이 죽었지

  • @jhh7933
    @jhh7933 19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인구 감소도 감소지만 1호선 주변 지역들의 유동 인구 감소가 가장 결정적일 겁니다
    부산의 중심이 서면과 광복동에서 해운대와 광안리로 옮겨간 영향이 가장 큼
    서울 6호선이 인기 없는거랑 비슷한 이유죠

  • @user-lr7jb7lx7v
    @user-lr7jb7lx7v 23 วันที่ผ่านมา +6

    현명한사람은 탈부산 이미하고있지

  • @user-jj5vp1ue8o
    @user-jj5vp1ue8o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가서 지하철 타보고 딱 느낀게 노인들 밖에 없다 였는데 진짜였구나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출퇴근 시간에도 그렇다고 생각하시나요??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3

      @@user-iq3te7ms9u 네 그렇더라구요. 시청앞 공원은 그냥 어르신들 잔치 공원이던데요?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2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dj4fv7tc6z그렇다고 대답하는거보니까 한 번도 이용해본 적 없는 사람이구나...

  • @jjomin
    @jjomin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기업은 고사하고 중견기업도 전멸하다시피 하는데 일자리 유치에는 소극적이면서 기업이 들어올만한 땅이 나올때마다 아파트 짓기에만 급급...젊은이들 잡기위해 노력해도 아쉬울 판국에 저짓거리 하고있으니...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고사하다고 하기에는 삼성전기가 있기는 함

  • @user-to6nk5zr4g
    @user-to6nk5zr4g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다른 영상 댓글에서 수도권에만 교통시설 늘리니 수도권으로만 사람이 몰린다고 부산에도 gtx같은거 만들어야 한다는 사람 있던데 이 영상 보고 어떻게 생각할지. 수도권은 교통시설이 좋아서 사람이 모이는게 아니라 사람이 모여서 기존 교통시설은 포화되니 교통시설을 늘리는 거겠지. 부산은 사람이 빠져나가는데 신공항 만들어 달라고 하고 엑스포 유치하자고 하고 수도권만큼 교통 늘려달라는 요구가 이해 안간다. 일단 산업이 있어야 사람이 모여 돈을 벌고 구매력이 생기니 교통을 이용할 수요가 생기는 거겠지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러니까 그 산업이 들어오게 하기 위해서는 '핵심 인프라'가 필요한 겁니다.
      기존에 인천까지 오가느라 낭비되는 시간 및 비용을 자기네들한테 투자할 수 있는 선택지가 생기니까 만들어달라는겁니다.

  • @Taenggeul_Bass
    @Taenggeul_Bass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부산에 거짓말 안하고 대중교통 출퇴근 시간 빼면 젊은 사람 없음 진짜 과장 안하고 90~95%가 노인임. 길에도 젊은 사람들 노는 특정 구역만 빼면 길에 돌아 다녀보면 80~90%가 노인들 밖에 안보임.
    또 집 앞이 공원인데 그냥 노인 천지임. 도시 자체가 그냥 죽은 도시 처럼 활기가 없고 칙칙하고 진짜 우울함. 어쩌다가 내 또래의 사람들이 보이면 반갑기 까지 함. 거짓말이나 과장 하나도 안하고 진짜 관심있게 보면 저정도로 심각함. 그냥 도시 자체가 노인들만 모아놓은 도시 라고 생각하면 됨.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건 평일 기준이구요.
      그리고 명지쪽은 젊은 사람들 많을겁니다.

    • @Taenggeul_Bass
      @Taenggeul_Bass 19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q3te7ms9u 평일 기준이든 어떤 기준이든 그만큼 젊은 사람이 없기 때문에 평일에도 안보이는거. 그리고 명지는 애초에 인간 자체가 많이 없음. 휑함. 젊은 사람은 사직동에 많음. 거기는 아이들 부터 학생들까지 많음. 딱 거기 빼놓고 부산 자체는 그냥 노인 도시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19 วันที่ผ่านมา

      ​@@Taenggeul_Bass없다고 하기에는 평일 대낮에도 서면 가까이 갈 수록 전동차 내부도 북적입니다만..

  • @user-td7zm1yc8p
    @user-td7zm1yc8p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그럴 수밖에 없는 게 1호선이 지나가는 곳들 보면 사람들이 선호하는 동네가 몇 없음 대략 구서에서 부전 정도 빼면 전부 기피 주거 지역임 상대적으로 2,3호선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을 지나가고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4

      본인 뇌피셜이죠??
      2호선도 해운대, 광안리, 사상 정도 빼고는 딱히 1호선 연선 지역들보다 크게 나을 것도 없고 3호선도 수영 정도만 겨우 건질만한 입지입니다.

    • @hofffnung
      @hofffnung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iq3te7ms9u 화명은 괜찮지 않나? 물론 2호선도 동부산(해수동) 아닌 구간이 많기 때문에 뇌피셜 맞긴 함 ㅋㅋㅋ 그보다는 2호선 서부구간은 김해나 양산발 유입수요 때문일듯 하고, 1호선 남쪽 구간은 기껏해야 거제에서 들어오는 수요인데 김해 양산에 비하면 새발의 피니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hofffnung창원에서도 하단으로 들어옵니다.
      김해 220도 하단으로 들어오구요.
      부산역도 있구요.

  • @user-pv6td3pd2z
    @user-pv6td3pd2z 19 วันที่ผ่านมา

    Brt가 1호성 바로위로깔린것도있고 1호선이 깔린 지역이 대부분 노후화라 갈데가없다 놀데도없고.. 그러 2/3호선 근처로 몰리지

  • @rx68000
    @rx68000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부산토박이지만, 부산 떠날 생각 많이 했었고, 준비하는게 있는데 2~3년 안에 이루면, 부산 떠나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1년 대학생 신입생 때부터, 사회생활 지긋하게하는 성인이 된 지금, 교통비 진짜 많이 올랐죠..
    2011년 11월까지 1구간 990원, 2구간 1,170원이었는데, 학교가 다행히 1구간 지역이라 일주일 잘 버텼습니다.
    2011년 12월 요금이 1구간 1,100원 2구간 1,300원으로 인상했는데, 군에 있던 2013년 11월에 각 구간 100원씩 인상이 되었죠.(1구간 1,200원, 2구간 1,400원)
    그러다가 2017년 5월, 학교 졸업하고 알바하고 있었는데, 당시 각 구간 100원씩 인상되었습니다.
    4년 만에 요금 인상이 되었죠.
    그러다가 6년만에 요금이 인상했는데, 2023년 10월 6일부터 각 구간별 150원이 인상되어서 1구간 1,450원, 2구간 1,6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번 달 5월부터 갑자기 요금이 전 구간 150원이 인상되면서 1구간 1,600원, 2구간 1,800원으로 인상이 되었습니다....
    문제는 지하철만 올랐을까요? 지하철 못지않게 버스 요금도 많이 인상되었습니다.
    진짜 과거 하루 교통비 2,000~2,400원정도였다면, 지금은 기본이 3,000원이라서 컴포즈 커피 테이크아웃 기준으로 디카페인 더치커피(3,500원) 1잔 or 아.아 2잔가격입니다.
    한마디로 괴랄하게 가격이 인상되었다보니 더더욱 지하철 이용객 감소가 있을 수 밖엔 없고, 제일 큰건 일자리!!
    국내 재계서열 10위에 들어가는 대기업 자체가 부산에 아예 없고, 일을 하자니 중소기업이 너무나도 많아요..
    그나마 뽑자면 BNK금융그룹(부산은행), 한진중공업정도??
    이런 상황이다보니 부산 외곽으로 빠져나가거나 수도권으로 가거나, 세종, 대전 등 타지로 많이 나가는 상황이라 부산이 얼마나 버틸지도 의문이고,
    교통비도 여기서 얼마나 더 올라갈지 모르겠습니다.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삼성전기가 있기는 하고 대중교통 요금이 문제라면 자차 굴리시면 됩니다.
      그렇게 기존 승객들이 자차로 빠지면 자기네들도 알아서 요금을 내리겠지요.

    • @user-iq3te7ms9u
      @user-iq3te7ms9u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리고 대기업은 전체 기업의 1%도 채 안 됩니다.
      능력이 되면 대기업을 욕심내도 되겠지만, 능력도 안 되면서 대기업만 바라보는 이들에 대해서도 딱히 좋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부산은 지정학적으로 서울보다 대도시가 되기 유리한 위치입니다.
      서울은 한반도의 행정수도로서는 제격이기는 하나, 딱 거기까지이지요.
      그동안 중앙정부에서 서울 중심의 정책들을 펼쳐왔기에 그럴 뿐

    • @user-og2np1lr1h
      @user-og2np1lr1h 2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대기업이 없는것도 문제겠지만 부산소재 중소기업들 복지나 기업문화가 아주 처참합니다. 예전처럼 그냥 버티고 묻어가면 나라가 발전해서 개인도 따라가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는데 부산의 기업들은 비전이 보이질 않아요. 그런데도 다들 바뀔 생각은 없고 그러니 조용히 가라앉고 있습니다.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q3te7ms9u 대체 ㅋㅋㅋ 대중교통 요금이 문제면 자차를 굴리라니요 ㅋㅋㅋㅋㅋㅋㅋㅋ 그것조차 저축을 하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거 아닌가? 그리고 대체 왜 서울권 보다 대도시가 되기 유리한 위치라고 하는거지?? 이해가 안되네.. 항만도시 이런 이야기를 많이 하시는데, 문화적인 수준도 그것을 마련할 부지 등도 서울보다 확연하게 부족한 부산이 어떻게 유리한 위치라는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딱 '부산사람'인듯

    • @user-dj4fv7tc6z
      @user-dj4fv7tc6z 22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og2np1lr1h 공감합니다.

  • @ssong1499
    @ssong1499 23 วันที่ผ่านมา +5

    대중교통 요금이 비싼가요? 솔직히 전 아직도 저렴하다 생각합니다. 고령자 무임승차는 하루빨리 뭔가 조치가 필요하다 생각하고요

    • @user-fi2gz5sn1n
      @user-fi2gz5sn1n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정신나갔나? 부산 지하철 1600원 전국에서 1윈데 저렴하다고? 생각좀하고살아라

  • @zellipo
    @zellipo 24 วันที่ผ่านมา +7

    덕계-서창-울산노선도 아니고 유배지인 사송지나가는 노선으론 이용객증가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ㅋ

    • @user-id3gw4uy9p
      @user-id3gw4uy9p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사송에 LH가 아파트 많이 짓고있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