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는 의외로 피해의식이 강한 나라입니다 f.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류한수 교수 [심층인터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6 มี.ค. 2024
  •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32

  • @3protv
    @3prot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삼프로TV는 경제, 금융, 투자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시청자 여러분이 도와주십시오.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www.youtube.com/@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젤 큰 땅과 젤 많은 핵폭탄을 가지고 있지만 피해의식 타령이라니.. 지구전체를 먹어야 된다는건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unlyanghuh5202
      @sunlyanghuh520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르망디 상륙작전
      [병력]
      ○ 연합군 : 156,000명
      ● 나치독일군: 50,350명 이상
      [피해 통계]
      ○ 연합군 : 10,000여명 사상
      ● 나치 독일군 : 4,000 ~ 9,000여명
      바그타리온 작전
      [병력]
      ○ 소련군 : 2,331,700명
      폴라드 동부군 : 79,900명
      ● 나치독일군: 849,000여 명
      [피해 통계]
      ○ 소련군, 폴란드 동부군 : 전사 및 실종 180,040명
      / 부상 590,848명/총 사상자 770,888명
      ● 나치독일군 : 전사 및 실종 250,000여명/부상 200,000여 명/포로 150,000여 명
      병력수 보다 사상자 수 역시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된 연합군 총 병력 수 보다 많고.
      ※폴란드동부군 : 소련군 편에서 나치독일군에 싸운 폴란드 부대. 미군,
      엘 알라메인 전투
      [병력]
      ○ 연합군(영국과 영연방군, 자유 프랑스군 등) : 23만 명
      ● 나치독일군과 이탈리아군 : 11만 6000명
      [피해 통계]
      ○ 연합군 : 1만 3560명 사상
      ● 나치독일군과 이탈리아군 : 3만 542명 사상
      스탈린그라드 전투
      [초기병력]
      ○ 소련군 : 187,000명
      ● 나치독일군, 이탈리아군, 루마니아군, 헝가리군, 크로아티아군 : 270,000명
      [소련군 반격시 병력]
      ○ 소련군 : 1,143,000명
      ● 나치독일군 및 추축국군 : 1,040,000명
      [피해 통계]
      ○소련군 : 1,129,619명
      ● 나치독일군 및 추축국군 : 790,833명~1,066,734명
      소련은 나치독일군의 정예군과 병력 대부분에 맞서 싸웠다. 군인 1,000만명이 전사했고, 민간인 2,000만명이 죽었다. 나치독일군 전사자 900만명 중 소련군이 600만명을 격퇴했다.

    • @user-uw4xh7sn2d
      @user-uw4xh7sn2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럼 근거 있는 비난을 해도 되는거죠?

    • @hyeju8071
      @hyeju807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999ㅐ99매99ㅐ99ㅐ99매ㅐ99999ㅐ99맹매9ㅐㅐㅐ9ㅁㅁㅅ매매9매9ㅐㅐ99999999999ㅐ9999ㅐ99ㅐ9ㅐ99ㅐㅐ9ㅐㅐㅐㅔㅐㅐㅐ9ㅐㅐㅐㅐ매ㅐㅐㅐ9ㅐㅐㅐㅐㅐㅐ9ㅐㅐ9ㅐㅐ매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매ㅐㅐ매ㅐ9ㅐㅐㅐ매999ㅐㅐ99ㅐ999ㅐ9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99ㅐㅐㅐ99ㅐㅐ9ㅐㅐㅐ

    • @HETERO11
      @HETERO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미터 1.00입니다

  • @user-qz2ji4wc6r
    @user-qz2ji4wc6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

    균형잡힌 시각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kanglee8722
      @kanglee87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균형 잡혔다는 것보다 매우 “친러” 같습니다.

    • @user-ni6ou9fk2r
      @user-ni6ou9fk2r 22 วันที่ผ่านมา

      변명없는 무덤은 없다

    • @yeorokim9800
      @yeorokim9800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교수님이 다알고 있는 사실을 이야기하지 않으시니, 좀 답답하네요...
      2차 세계대전 초반에 소련이 무너졌던 가장 큰이유는 1937년부터 이어진 스탈린의 대숙청 때문입니다...
      무려 200~300만에 가까운 각 계층별 엘리트들을 무자비하게 숙청했고, 당연히 이 속에는 뛰어난 고위 장교들이 많았습니다...
      많은 군사전문가들이 사실상 이때 소련군의 지휘시스템이 붕괴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스탈린을 미화(?)하시는것 같아 많이 안타깝습니다.

    • @thejoonyoun
      @thejoonyoun 5 วันที่ผ่านมา

      @@yeorokim9800 저도 친러성향은 류한수 교수님 공감하지만, 이 부분은 님의 생각을 지지합니다. 스탈린, 푸틴은 나쁘지만, 구테여 러시아라는 나라까지 우리의 적으로 돌리는 짓은 어리석은 짓 같습니다. 친미한다고 친러 못한다는 극단주의 사고는 어리석은 사고 입니다.

  • @user-bj7jo8gw5g
    @user-bj7jo8gw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러시아에 대해 새로운 모습을 알게 되어 감사~

  • @esse1608
    @esse160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상명대 교수님~ 러시아 이야기~ 참 좋은 영상입니다...👍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교수님 감사합니다.^^ 풍부한 해석이 즐겁게 하네요.

  • @randomid0322
    @randomid03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아주 재밌는 방송이었습니다. 이런 다양한 시각을 담는 것만으로도 언더스탠딩의 존재가치가 충분히 입증되는 것 같습니다.

  • @user-sy3ni3bj5g
    @user-sy3ni3bj5g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 교수님들이 훌륭하십니다. 그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도 모두 모두 잘 되셔야 하는데.. 역사학도들 꼭 전공을 못 살려도 다른 분야에서도 화이팅 입니다

  • @KJ11-DAFS
    @KJ11-DAF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독일은 오랫동안 유럽에서 야만인 취급이었습니다. 라틴어와 독일어는 다르니까 독일인은 유럽에서 뭔가 쳐지는 민족 취급을 받기도 했습니다. 물론 독일인은 라틴어와 독일어의 연관성을 찾아냈습니다. 독일인이 통일제국을 만들려고 했을때 여러세력의 방해를 받았습니다. 1차세계대전으로 프랑스 젊은이들이 거의 다 증발해버렸습니다. 1918년에 종전 되었을때 젊은층이 죄다 증발해버렸기 때문에 1939년 2차세계대전 당시에는 독일의 군사력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독일은 젊은층 인구가 증가했는데 프랑스는 전혀 아니었거든요. 영국은 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으로 설탕 하나에 미군에게 몸을 파는 영국아가씨가 나올 정도로 기아에 시달렸습니다. 대영제국이 나락 간 순간이었죠. 소련은 독일의 침공을 예상 했고, 우크라이나인이 먹을 곡식을 팔아서 무기공장을 세웠습니다. 그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인은 굶어죽었고, 이것을 홀로도모르라고 부릅니다. 2차세계대전이 벌어지기전에 독일은 패전국으로서 무기생산을 금지당했는데 비밀리에 쏘련과 무기개발 협력을 했습니다. T34는 독일제 생산설비로 만들어진 탱크였습니다. 쏘련은 독일 침공을 대비하기 위해 완충지대를 만들려고 했고 핀란드를 침공했습니다. 그 유명한 겨울전쟁입니다. 서방은 쏘련과 전쟁을 피하기 위해 핀란드를 버렸습니다.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할때 쏘련은 같이 침공을 했고, 독일과 사이좋게 폴란드를 나눠 먹었습니다. 2차세계대전에서 프랑스는 2등국가로 전락했고, 프랑스해군을 독일이 흡수할 것을 우려해서 처칠은 프랑스해군을 공격해서 침몰시켜 버렸습니다. 프랑스는 과거의 동맹군에게 해군을 잃어버린 겁니다. 당시 엄연히 비쉬프랑스가 존재했습니다. 영국은 독일을 폭격하기 위해 자그마치 5만명이나 되는 폭격기 조종사와 승무원을 죽음으로 내몰았습니다. 조종사는 당시에도 앨리트입니다. 전쟁 초반 히틀러와 스탈린은 서로간에 통수를 치기 위해 간을 보고 있었고, 히틀러는 쏘련이 선수를 치기전에 자신이 먼저 공격을 감행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스탈린은 히틀러의 통수에 충격을 먹고 두문불출 했습니다. 히틀러는 쏘련군이 수많은 장교단을 숙청하고, 이 숙청의 여파로 핀란드에서 무력하게 고전을 하는 것을 보고 전쟁을 결심합니다. 쏘련이 독일의 침공을 받았을 당시 통신장비는 작동을 안했고, 기갑은 너무나 낡았으며 제대로 작동한것은 드믈었다고 합니다. 초반에 쏘련은 막대한 포로가 잡히게 되었고, 400만의 독일군을 파병한 독일은 식량부족에 시달립니다. 포로를 먹일 식량마저도 없었으며, 당시 독일군은 터덜 터덜 걸어가는 형편이었기 때문에 쏘련군 포로를 장시간 걷게 하다가 대부분 죽게 만들었습니다. 포로의 죽음을 의도한 면도 있었다는게 중론입니다. 2차세계대전 초반 대규모 포로가 발생한 배경에는 독일군이 당시에는 생각하기 어려운 기동전을 벌여서 보급로와 사령부를 타격했기 때문입니다. 사령부가 타격당하면 지휘체계가 무너지고, 보급로가 차단당하면 탄약이 고갈되고 비무장상태가 되어버립니다. 스탈린그라드전투가 벌어진 배경은 독일군의 공군, 포병, 기갑, 보병을 동원한 제병합동작전을 감당할 수 없었던 쏘련군이 근접전을 벌여서 동일한 교환비를 이루기 위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결국은 전략이나 무기를 내세운게 아니라 목숨으로 떼운겁니다. 당시 쏘련군은 무전기가 형편없었고, 교육수준이 열악해서 문맹이 많았습니다. 문맹이 많았기 때문에 높은 교육수준이 필요한 포병육성이 힘들었고 눈으로 직접 보고 쏠 수 있는 사단포 같은걸 배치 했습니다. 이게 여전히 북한에도 쓰이고 있는 76미리 포입니다. 대전차, 야포 겸용입니다. 전쟁은 많은 물자를 필요로 합니다. 일본군이 중국을 침략했을때 중국군은 총이 없어서 칼을 들고 대항했습니다. 태평양전쟁에서 미군을 상대하던 일본군은 열악한 보급사정으로 인해서 총검돌격을 감행했습니다. 총알이 없었죠. 독일은 돌격소총같은 장동화기를 개발했음에도 탄약보급이 힘들어서 단발소총으로 미군에게 대항을 했습니다. M1소총으로 연발사격이 가능했던 미군을 상대로 보병전에서 일방적으로 밀렸습니다. 독일군의 전설적인 기갑장비는 과장된면이 많고, 미군의 압도적인 물량을 독일군은 감당하지 못했습니다. 2차세계대전 후반에 독일의 하늘은 연합군의 항공기로 뒤덮였습니다. 2차세계대전에서 영국과 미국은 수송선단의 희생을 무릅쓰고 쏘련에게 막대한 물자를 보냈습니다. 쏘련은 영국과 미국의 탱크, 전투기로 독일에 대항했습니다.
    러시아는 엄연히 유럽의 강대국중 하나입니다. 유럽은 강하면 물어뜯고 약하면 수세로 몰리는 그야말로 전국시대같다는 표현이 알맞을 겁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는 과거 레닌그라드입니다. 영어로 하자면 세인트피터즈버그 입니다. 성 베드로의 도시라는 독일식 표현입니다. 그러니까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시명은 독일어입니다. 유럽의 언어는 문법적인측면이 비슷하고 많은 문화를 공유합니다. 스탈린그라드는 현재 볼고그라드라고 합니다.

    • @yongjj9348
      @yongjj934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똘똘해요😊

    • @cooljahiny8044
      @cooljahiny804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와우!
      공부잘했읍니다! 복사해서 수시로 읽으려함니다!

    • @onecofo
      @onecofo 13 วันที่ผ่านมา +4

      전쟁이라는 게 참혹하고 가슴아프네요.. 전쟁이 하루속히 끝나길 희망합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 @user-re9ci5rb5l
    @user-re9ci5rb5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다양한 시각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2차대전 이야기도 기대할게요ㅎㅎ

  • @botixmeta1480
    @botixmeta148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2

    미국과 친하게 지내려다 보니깐 러시아와 이렇게 되는게 참 아쉬웠는데 그나마 제대로된 진실을 삼프로가 해주네요.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과 친한 바람에 러시아와 멀어져 아쉽다고요? 미국과 동맹은 대한민국의 목숨줄입니다. 러시아와 친했던 나라들 수준 보세요. 카자흐 등.
      러시아에는 수많은 종족(민족)국가로 이뤄진데도 사투리가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스탈린이 공산혁명을 완수하기 위해 강제이주를 시켜 민족을 섞어놓았기 때문입니다. 1930년대 한국인들은 연해주의 한민족들이 강제이주되는 처참한 모습을 보고 가슴을 쓸어내렸답니다.

  • @user-op9os2nt1e
    @user-op9os2nt1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좋은 내용.좋은 방송 입니다

  • @effieshinkai3584
    @effieshinkai358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유한수 교수님, 진실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나와 주세요.

  • @user-dm4ij1yo2q
    @user-dm4ij1yo2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와~
    넘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다음편도 기대됩니다

  • @user-jm5xr9vt1k
    @user-jm5xr9vt1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urkey_sy5106
    @turkey_sy510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4

    개인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감정이 참 좋았는데... 수출시장으로도 좋았고. 불곱사업도 결국 득이었고.. 패권국가치고는 뭔가 허술하고 허세쩌는 마초문화도 친근해서?? 근데이번 전쟁으로... 안타깝다.

    • @user-cv6ng7we9i
      @user-cv6ng7we9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개한애야
      러시아는 선진국이다
      대한민국처럼 미개하지안아

    • @user-pw1we6tf7g
      @user-pw1we6tf7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러시아라고 하면 과거의 625는 잊혀져가는 과거고 괜시리 연민이 느껴지는 군요 그닥 밉게 보이지도 않고요

    • @dizmfflqxm
      @dizmfflqx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왜냐면...러시아는 사실 과거 구소련 국가들에게 귀찮게 굴지, 극동아는 그렇게까지 개입할 생각이 없거든요. 이게 애네 외교 기조기도 했고. 그만큼 냉전 이후, 한국에게 딱히 나쁘게 군게 없고...적당히 거리 두면서 매너있게 했음. 그리고 한국 우주 기술도요. 러시아에서 받아온 기술이 많은걸로 알아요. 미국은 기술을 잘 주지 않으려고 해서. 물론 우리가 공짜로 받은건 아니지만, 미국은 돈을 준다고 해도 잘 알려주지 않으려고 하니...러시아도 잘 지내면 이득이 많은 나라인데, 신냉전시대를 맞아 거리가 멀어지는게 안타까움

    • @esse1608
      @esse160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izmfflqxm
      그래요~ 러시아랑 잘 지내면 좋을텐데... 러시아에서 우리의 누리호가 우주여행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했어요~

    • @user-bx9tj7ob5r
      @user-bx9tj7ob5r 8 วันที่ผ่านมา

      러시아 역사공부 좀하시면 생각이 달라집니다.

  • @bokdangi
    @bokdang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이분 너무 설명잘 해주세요.
    집중이 완전 잘 됩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때부터 팬입니다~😊

  • @tangju2645
    @tangju264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다양한 관점을 존중합니다.
    감사합니다

  • @yeonna2005
    @yeonna20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어디서 많이 뵌 분이라고 생각했는데 벌거벗은 세계사 나오셨던 교수님이셨군요. 강의 잘 듣고 갑니다.

  • @user-gf1dt8ic5q
    @user-gf1dt8ic5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5

    서유럽이 러시아 보는 시각이 우리가 동남아 보는것 보다,더 비천하게 봄,,,,수만은 여행객들이 러시아에서 차량 털이범 소매치기 인종차별 폭력 등은 한번도 일어 난적 없다고 한다 거의 대부분 서 유럽에서 일어난 다고 함,,야만인들은 서유럽인들임,,

    • @user-hs4df7ng1h
      @user-hs4df7ng1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 교수가 하는 말은 가해자의 억울함을 말하는 거임. 저런식이면 일본의 조선병합도 일본의 생존권이고 조선이 자꾸 청하고 러시아를 끌여들여서 일본을 위협하니까 어쩔수없다는 변명임. 가해자의 억울함을 변호하는 사고

    • @user-jv4vh1er2b
      @user-jv4vh1er2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hs4df7ng1h 비교가 잘못되신거 같네요! 비교를 하려면, 조선에 청나라 군함을 배치해서 일본 오사카와 도쿄를 청나라가 언제든 공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일본이 선제 공격했다고 해야겠죠??

    • @user-ep3nx7sk5k
      @user-ep3nx7sk5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푸틴은 일단독재자임 또침략자임 이해는하지만 방법을 민주적으로 했어야 일단 피와파괴는반대

    • @kanglee8722
      @kanglee87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hs4df7ng1h상당히 친러주의자 같습니다.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v4vh1er2b 푸틴이 겁쟁이 서유럽 애들은 내가 우크라이나를 건들여도 겁먹고 아무것도 안할거라며 시작한 전쟁 아님? 니는 위협적인 대상을 상대할 때 상대가 쫄아서 아무것도 안할거란 생각을 가지고 상대하냐 ㅋ

  • @anej4710
    @anej471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 @user-fd3vp5wz5u
    @user-fd3vp5wz5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런 컨텐츠가 삼프로의 강점이죠

  •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보 감사합니다

  • @Inceptor_key
    @Inceptor_ke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스탈린그라드는 현재 볼고그라드이고, 레닌그라드가 상트페테르부르크 아닌가요?

    • @user-xe5iu8lv9u
      @user-xe5iu8lv9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빙고,

    • @rupael1
      @rupael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 @user-yw3xr6xx8d
    @user-yw3xr6xx8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 @hwanheelee9070
    @hwanheelee907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다 자국을 중심으로 생각해서 움직이는데 우리나라는 왜 판단의 기준이 다를까...

    • @jiwonmoon9083
      @jiwonmoon908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한국은 스스로 세계관을 건설할 열강이였던적이 없기 때문 당연한 거임.

    • @waxycorn716
      @waxycorn71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보환경이 나쁘다는 건 전국민이 합의한 것 같아요. 핵무장 여론이 점점 거세질 것 같아요.

    • @ehjdjjolmw
      @ehjdjjolm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건 님이 평생 한국에만 살아서 그렇게 보이는거에요

    • @Yanbianren
      @Yanbianre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비국가라서 원칙도 신념도 없는나라가 한국입니다

    • @leeheechang6656
      @leeheechang665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명예 백인을 주장하는 일본과 달리 우리는 머리와 심장까지 명예 USA의 DNA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 @user-cf4qi5ug8m
    @user-cf4qi5ug8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초기 소련이 망가진 것은 스탈린이 숙청이 한 원인이기도 했죠. 1차대전, 적백내전 경험이 많았던 소련군 고위 장교들이 없어져 버렸죠!

    • @user-vw7rn8zy4i
      @user-vw7rn8zy4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럴지도 모르는데, 사실 소련으로선 대숙청이 필요했습니다. 꽤 깊은 역사적인 이유가 있는 내용입니다
      마치 6.25를 앞둔 국군의 좌익숙군작업 과 같은 것이지요. 우리의 숙군작업은 전쟁에 도움이 되었는데 소련의 경우는 역효과가 되었지만 인명은 많이 손실되었어도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도움이 되었다고 보아야 합니다.

  • @zlehfdl3
    @zlehfdl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625전쟁 배후는 소련이네요

    • @gyuchulchae8098
      @gyuchulchae809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역사공부를 다시 원점에서 하세요

  • @user-oo9pf5um5f
    @user-oo9pf5um5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많은 사람들이 믿고있는 생각과 사실 중에서 생각을 더 믿는 경향이이 있읍니다
    사실을 바탕으로 생각해 봏 때 류한수 교수님의 말씀이 맞네요.
    소중한 사실과 정보 잘 듣었고 고맙습니다.
    *우리는 누군가(정보 전달자) 에게 이익이 되는 정보만을 받고 있는것 같아요

  • @genosyde78
    @genosyde7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러시아와 독일의 전선에 투입된 독일 사단이 200여개, 제2전산 얀합군과 독일 전선에 독일군 50여개 사단.
    2차대전은 실상은 러시아 독일의 전쟁 이었다
    전쟁이 끝나고 성장한 소현의 군사력을 처칠이 크게 두려워 했다고 함

    • @sunlyanghuh5202
      @sunlyanghuh520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르망디 상륙작전
      [병력]
      ○ 연합군 : 156,000명
      ● 나치독일군: 50,350명 이상
      [피해 통계]
      ○ 연합군 : 10,000여명 사상
      ● 나치 독일군 : 4,000 ~ 9,000여명
      바그타리온 작전
      [병력]
      ○ 소련군 : 2,331,700명
      폴라드 동부군 : 79,900명
      ● 나치독일군: 849,000여 명
      [피해 통계]
      ○ 소련군, 폴란드 동부군 : 전사 및 실종 180,040명
      / 부상 590,848명/총 사상자 770,888명
      ● 나치독일군 : 전사 및 실종 250,000여명/부상 200,000여 명/포로 150,000여 명
      병력수 보다 사상자 수 역시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된 연합군 총 병력 수 보다 많고.
      ※폴란드동부군 : 소련군 편에서 나치독일군에 싸운 폴란드 부대. 미군,
      엘 알라메인 전투
      [병력]
      ○ 연합군(영국과 영연방군, 자유 프랑스군 등) : 23만 명
      ● 나치독일군과 이탈리아군 : 11만 6000명
      [피해 통계]
      ○ 연합군 : 1만 3560명 사상
      ● 나치독일군과 이탈리아군 : 3만 542명 사상
      스탈린그라드 전투
      [초기병력]
      ○ 소련군 : 187,000명
      ● 나치독일군, 이탈리아군, 루마니아군, 헝가리군, 크로아티아군 : 270,000명
      [소련군 반격시 병력]
      ○ 소련군 : 1,143,000명
      ● 나치독일군 및 추축국군 : 1,040,000명
      [피해 통계]
      ○소련군 : 1,129,619명
      ● 나치독일군 및 추축국군 : 790,833명~1,066,734명
      소련은 나치독일군의 정예군과 병력 대부분에 맞서 싸웠다. 군인 1,000만명이 전사했고, 민간인 2,000만명이 죽었다. 나치독일군 전사자 900만명 중 소련군이 600만명을 격퇴했다.

    • @user-kg8zy1us7o
      @user-kg8zy1us7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위대한 볼셰비키 -

    • @tothemoon2534
      @tothemoon253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맞춤법 개판이네

    • @user-kg8zy1us7o
      @user-kg8zy1us7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othemoon2534 - 위대한 파시스트 게르마니아 -

    • @genosyde78
      @genosyde7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tothemoon2534 미안

  • @james6nam229
    @james6nam2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1

    이 교수님이 많이 아시네요. 구라 교수나 전문가 너마들이 러샤 그저 욕하고 구라정보 하는거에 짜증났었는데... 개인적으로 한국 러샤 왔다갔다 10년 넘어서 나름 러샤 문화 지인들 많이 압니다.
    진실을 말해주셔서 감사.

  • @sunghyuncha5391
    @sunghyuncha539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 @user-hw2su6ml3x
    @user-hw2su6ml3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얼핏 들으면 비판받으실 수 있는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있는데 교수님께서 사례중심으로 차분히 설명해 주셔서 다양한 시각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 @user-sz6yh3nc1i
    @user-sz6yh3nc1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재밌어요.😊

  • @user-qq8mu3vb6r
    @user-qq8mu3vb6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너무 유익합니다.

  • @cdh8983
    @cdh898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8

    2차 세계대전도 미국 노르망디 상륙 작전으로 이겼다고 어릴땐 생각했는데 나중에 커서 전쟁사 공부하고 살펴 보면 전쟁은 소련이 주도적으로 다 했다는 걸 알 수 있죠.

    • @user-lw4sf6tr3u
      @user-lw4sf6tr3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소련이 독일군의 70%를 막아내는 바람에 미군이 이길 수가 있었죠

    • @user-jw9bm9cu5z
      @user-jw9bm9cu5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미군은 일본이랑 안싸웠나? 참, 세뇌되가지고

    • @user-yb7yf1ey4q
      @user-yb7yf1ey4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대신 미군이 일본이랑 이탈리아 박살 냈잖음

    •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그 소련이 누구의 물자와 돈으로 싸웠는지는 아시나요??

    • @yealk9725
      @yealk972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독일이 가장 강할 때 영국 주도로 싸웠고, 미국은 늦게 참전, 만약 두 개의 전선이 아니고 독일이 소련만 침략했다면 소련이 패망합니다. 이것을 주도적이란 말은 극히 주관적 생각

  • @user-ghl5lsh3dhl2n
    @user-ghl5lsh3dhl2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진실된 방송 감사드립니다

  • @user-zu6tv2oy1u
    @user-zu6tv2oy1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감사합니다. 새로운 시각으로 러시아를 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ls6ol5td9v
    @user-ls6ol5td9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전혀 몰랐던 ..... 생각지도 못했던 내용 ~~~~ 감사합니다~~~

  • @user-nl4fo8rg3d
    @user-nl4fo8rg3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중간쯤에 사회자가 스탈린그라드를 현재의 쌍트페테르부크라 하였고 (분명 틀린 말이지요) 교수님도 엉겁결에 그냥 넘어가는 모습이 재밌네요.

  • @user-yy5pb1dx4g
    @user-yy5pb1dx4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옛날에 세계패권제국인 몽골제국이 러시아와 동유럽을 240년간 식민지배한 적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에 피해의식이 강하긴 함.
    몽골제국이 러시아를 식민지배할때 수도를 키예프에서 모스크바로 강제로 이전시켰음.
    그래서 러시아는 역사적으로 중세때는 몽골제국의 전세계 수많은 식민지들 중 하나인 '타타르의 멍에' 시기로 보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도 항상 피해의식이 강하고 열등감이 의외로 강한 국가임.
    그렇다보니 그에 대한 열등감과 반발 심리작용으로 러시아를 보면 민족주의가 진짜 엄청나게 강하긴함.

    • @user-ts3qi6ie9u
      @user-ts3qi6ie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이가 없구만ㅋㅋㅋ 그걸로 피해의식이 강하면 아슈케나짐 유대인과 앵글로색슨은 끝판왕도 더 되는데

  • @sankim9123
    @sankim91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너무 재밌어요 ㅎㅎㅎ

  • @user-hp3mp2sm4k
    @user-hp3mp2sm4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재밌어요

  • @wanjili8659
    @wanjili86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러시아는 부지런하면 부자가될희망이있다.남자들의 천당.

  • @user-fn5tj1hv3r
    @user-fn5tj1hv3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러시아는 한반도 세력 균형의 지렛대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 러시아는 중국과 일본을 견제해야 할 이유가 있어 이 부분은 한국과 이해관계가 일치함.

  • @metatree5596
    @metatree559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다릇곳에서 듣지 못하는 색다른 러시아 이야기에 감사합니다. 다만 우크라이나는 걱정되네요. 그리고 러시아와 북한관계 이야기 해주세요. 그리고 한국은 러시아에 어떤스텐스를 가져야 하나요

    • @yhanjisoo
      @yhanjiso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약소국은 닥치고 버로우.
      가만히 잇으면 중간이라도 간다...는 말이 잇슴.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hanjisoo그런 논리면 넌 일진한테 쳐맞아도 버로우만 해라.ㅋㅋ

  • @kju42
    @kju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미국보다 더 강한 나라가 될 수도 있는 러시아지만 결정적으로 방해하는 것은 유럽의 거의 모든 나라가 러시아를 두려워하고 유리벽을 쌓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유럽국들과 소통다운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 @user-qv2gz5mb9s
      @user-qv2gz5mb9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독일의 통일도 결국 소련이 용인한 것이고 나치로부터 유럽을 구한 것도 소련인걸? 러시아가 무서워서가 아니고 유럽이 미국을 선택했고 미국과 소련의 대결구도와 함께 자연스럽게 유럽도 빨려들어갔을 뿐임

    •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user-qv2gz5mb9s 반대로 그럼 유럽이 왜 미국을 선택했을지 생각을 해보자고
      맨날 서방의 프로파간다 서방의 편향된 시각 타령하면서 러시아의 입장도 좀 이해하자 고만 타령하지 마시고
      러시아의 입장을 이해할 거면 유럽은 또 왜 저렇게 행동하는지 유럽의 입장도 이해를 해야 할 거 아니야 안그래??
      뭔 맨날 서방은 편향됐고, 러시아 피해의식도 이해해주고 러시아의 입장도 알아주자면서 왜 유럽한테는 그렇게 안하지??

    • @user-qv2gz5mb9s
      @user-qv2gz5mb9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fm1tk5mw9j 누가 뭐래? 그들의 선택은 그들 마음이야 내가 그걸 부정하니? 하려면 해 그 반대급부 역시도 너희들의 선택의 영역이란 얘기야 예를 들어 우리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가져다줬지? 러시아는 북한의 무기를 받아다 쓰고 북한에 이런 저런 지원을 했고 그러면 왜곡된 시선으로 저거 봐라 러시아는 저런 나라야 할 것이 아니라 그게 당연한 거라고 그 당연한 것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고 유럽이 미국의 졸개가 된 순간부터 러시아는 적인 거야 러시아가 나쁜 게 아니고 그냥 스스로 그 길로 들어갔으니 러시아가 그들의 적대하든 그들이 러시아를 적대하든 누가 나쁘다 할 것이 아니라 너무나도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라고

    • @eesoggun
      @eesoggu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fm1tk5mw9j머야 혼자 망상하는거야?

    •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esoggun 러시아 입장도 들어야 한다는 애들한테 하는 소린데?

  • @user-pi1me6xz4y
    @user-pi1me6xz4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러시아 고르비에 대한 류교수님 말씀 듣고 싶습니다

  • @user-er2es1rd5w
    @user-er2es1rd5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류한수교수님 러우전쟁 발발후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하신적 있으시죠?

  • @JS-he8rk
    @JS-he8r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독소전쟁도 듣고 싶어요. 현기증납니다 다음편 빨리ㅣㅣ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님 "그로즈니"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죠!
    왜 러시아 인들이 도살자들의 지배에 끌리는지............

  • @user-cr1rn2te8t
    @user-cr1rn2te8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에 입학하고 싶어지는 영상

  • @user-ud7ii6st8z
    @user-ud7ii6st8z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말 역사를 제대로 아시는분입니다!

  • @kimes2329
    @kimes23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확실히 부동항보다는 당시 다른 열강없는 빈 항구를 찾다보니 동쪽으로 모피산업따라 갔더니 태평양에 닿은 거지

    • @user-vw7rn8zy4i
      @user-vw7rn8zy4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른 열강은 식민지 만들러 다니는데, 러시아에서는 한번도 가보지 않은 동쪽에서 칭기스칸이 닥쳤으니 궁금했던 것이겠지요.

    • @user-gi1gu9su2o
      @user-gi1gu9su2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웃기는 소리하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땅따먹기 한 거지 모피산업은 무슨.. 군대 끌고 동으로 동으로 갔는데 이게 모피산업 정도로 생각드나? 마치 푸틴이 침략야욕 숨기고 특수 군사작전 이라고 자국민 속이는 소리하고 똑 같네

  • @neutral1664
    @neutral16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7721forvalue
    @7721forvalu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소련은 미군의 막대한 무기 지원 받았었어요. 그거 없으면 사람 많이 투입해도 밀렸을거에요

  • @cometfi2298
    @cometfi22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알찬 내용이네요

  • @user-sc4cc5ek2n
    @user-sc4cc5ek2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러시아에 대한 모호한 인식이내 오해를 풀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freeman55365
    @freeman5536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2차대전 당시 소비에트 군대는 마치 대한제국시대 일본에 대항한 의병들 같네요. 다행히 소비에트는 큰 희생에도 독일 침략군을 물리쳤고, 우리는 슬프게도 땅덩어리가 좁아 식민지가 되구 말았네요

  • @user-gb6em5zw2z
    @user-gb6em5zw2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류한수교수님 강의 벌거벗은세계사 이어 삼프로에서도 듣게되네요. 역쉬 3프로.

  • @cyw089
    @cyw08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차대전 관련 수요 확실히 있어요 2편 얼른 가요 현기증 난단말이에요

  • @user-qn9gn1th3h
    @user-qn9gn1th3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무슨 댓글이 달렸길래 출연자에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하지말라는 말이 올라오는거지 ㅋㅋ
    이분 나올때마다 논란있던데 왜그런지 알거같습니다 ㅋㅋ

  • @user-xf6gx7xg2c
    @user-xf6gx7xg2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 @JJ-hm8dw
    @JJ-hm8d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새로운 시각을 들을 수 잇어서 너무재밋네요! 무조건 나쁜놈! 하기보단 이런 부분도 잇다는걸 알려주셔서 흥미롭게 들엇습니다👏🏻🙌👍

    • @yhanjisoo
      @yhanjiso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왜곡된 반공교육과 의식이 그대로 남아잇는 나라임.
      아주 친미적인 나라이고...
      유명한 이라크전,
      세계사 전쟁사 다루는 유튜버는 많지만,
      국방tv 토전사(토크멘토리 전쟁사) 한때 아주 잘나갈때 시청자 요구도 잇엇지만 답도없고
      영상제작도 없엇슴(21세기에 일어난 포틀랜드 전쟁은 영상 만듬)
      누구도 안만듬.
      최근 한 유튜버가 이라크전 만들엇는데 영상 제작햇는데...
      누구나 다 아는 명분 조작에 대해서 일언반구 없슴 ㅋㅋㅋ
      정부는 미국눈치본다해도,
      일반 지식인들, 학자, 일개 개인인 유튜버조차 그러는게 우리나라 현실.
      거의 북한급 아님? ㅋ

    • @George76430
      @George7643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hanjisoo중공시각

  • @user-wh8gu5iw9i
    @user-wh8gu5iw9i 12 วันที่ผ่านมา

    오랜만에 옳은말씀을하시네요
    침락을 하게한것은미국과영국은
    물론이고서반입니다 러시아는
    참ㅈ홓은나라입니다

  • @JJJJJJ732
    @JJJJJJ73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역사는 승자가 기록하는것. 우리가 알고있는 서구문명이 서술한 역사가 진실이 아닐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이 항상 필요함

    • @user-hq2qz9sb7e
      @user-hq2qz9sb7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 중국인이냐?

    • @angelLimJung
      @angelLimJu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hq2qz9sb7e혹시 미국인이세요?

    • @eesoggun
      @eesoggu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수록 부자들이 착취하고 선동하기 힘듬 ㅋㅋ

    • @aawasmae7643
      @aawasmae764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쟁중에 학살은 수없이 일어나는데 히틀러 유대인 학살만 강조하는것도 이스라엘 유대인한테 줄려고 빌드업 한거 같믐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awasmae7643 실제로 초기 이스라엘 시오니스트들은 홀로코스트 피해자들한테 별 관심 없었음. 자신들이 추구하던 유대인 이미지는 강인한 개척자인데 홀로코스트 피해자들은 그 반대 이미지라며 오히려 멸시했음
      나중에 "모든" 유대인은 피해자라는 이미지로 브랜딩해서 지원 받는데 써먹느라 이용하기 시작한 거임

  • @user-tm9nd6wd1r
    @user-tm9nd6wd1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돈 되면 독일하고도 붙어 먹었잖아... 가스관 엄청나게 깔았더만.... 러시아의 뻘찟 원인. 역사도 있겠지만, 지금은 푸틴의 종신집권 욕구가 1등 요인..

  • @redsun5825
    @redsun582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러시아를 포함한 몇몇 국가들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어려서 영국 신사 사관이 학교 교육을 지배했는데, 커서 해외 근무, 공부하면서 영국은 신사의 나라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되었지요. 처칠을 영웅으로 배웠는데, 영국에서는 영웅인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중동 국가들 입장에서는 사기꾼이지요. 러시아 입장에서는 더욱 그렇구요. 푸틴의 독재는 러시아 국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도 사실이고요. 좋은 내용이네요.

    • @cooljahiny8044
      @cooljahiny804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푸틴의 독재?
      사방의 프로파간다!
      러시아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러시아경제를 계속 성장,부흥시키는데
      러시아국민들의 압도적지지를 부정투표네 독재네 하며 어거지 선동질하는 빠이든이 바로 그 대상이고 범죄집단인걸 알아야 해!

  • @user-nh2nz1fc5g
    @user-nh2nz1fc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푸틴이 왜 러시아에서 인기 좋은지 잘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러시아 국민이라면 당연히 푸틴 지지할듯 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lb1vb7tp9t
    @user-lb1vb7tp9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 세상에 살아남기위해 싸우지 않는 나라가 어디에 있나요..

  • @alexanderkim4546
    @alexanderkim45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객관적인 시각에서 설명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jkang1093
    @tjkang109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위대한걸 위대하자 하자 그렇다

  • @user-jd3nn6gr1l
    @user-jd3nn6gr1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페떼르브르그는 레닌그라드입니다. 스탈린그라드는 모스크바남쪽의 볼고그라드입니다.

  • @shkoh4061
    @shkoh406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핀란드와 발트 3국 무력 침공은 왜 빠먹나?

  • @stevenkim1618
    @stevenkim16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나름 역사에 대해 많이 알고있다 생각했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신것이 참 신선하고 유익했습니다. 러시아를 막무가내로 악하고 미개하다는 관점에서 벗어나게 해주신것 같아요 👍
    애너미 앳더게이트에서도 전선에서 도망치는 아군병사에게 기관총을 갈기는 장면도 좀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그럴 기관총과 총알이 있었으면 적군에게 향해 쏘아야 하는데..)
    소련에 대한 왜곡된 프로토타입일 수도 있겠다 싶군요.

  •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부동항 추구에 대해선 교수님 말씀이 이해가 가는데 그래도 러시아 팽창 과정에서 발칸 캅카스 중앙아 만주 쪽으로 남하 정책을 편것까지는 팩트라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추가로 러시아가 유럽 상대로 팽창한 적이 없는 것도 아닌게
      스웨덴 북방 정책을 통해 발트로 나아가면서 생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하고 리보니아 지역을 얻었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해체시키면서 프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 제국과 영토를 나눠가졌고
      흑해 연안으로 꾸준히 오스만 제국을 압박하면서 크림전쟁까지 치르기도 했고요
      타타르의 멍에로 중앙아 유목민에 대한 피해의식과 프랑스 대영제국 나치히틀러까지 유럽 최강대국 뒤이어 미국과 중국까지
      초강대국 상대로 처절한 전쟁을 펼치긴 했으나
      러시아와 소련도 그 자체로 제국으로서 이해하는 게 맞지 않나 싶네요

    • @sejinJ
      @sejin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분 다른채널 여러 영상 보니까 현대 러시아는 물론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절 다른나라 침공한건 거의 언급 안하네요
      러시아가 침공 당한건 많이 언급하시는데..
      러시아 역사전공자면 모를리가 없을텐데요

  • @youngilkim6538
    @youngilkim65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블라디보스톡 내 항구는 얼지 않지만 조금 벗어 난 외해는 얼어서 한 겨울엔 언 바다 위에서 자동차 경주를 하기도 합니다.

  • @user-fw3nj5bk6j
    @user-fw3nj5bk6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방송 유익하게 시청했습니다.
    '백인들은, 러시아를 무시한다.' 라는 소리에
    러시아도 백인?처럼 보이던데, 무슨 뜻이지? 했는데,
    인종 차별에 가까운 무시였군요.
    러시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 @xvwsxvws
    @xvwsxvw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콜 오브 듀티를 아시다니 교슈님과 한번 해보고 싶네요.

  • @user-uw4xh7sn2d
    @user-uw4xh7sn2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한국의 편협한 국제관으론 이해를 못할거임! 동유럽 거주 1인임! 우크라이나 네오나치 천국, 인종차별 어마무시! 동유럽서는 다 아는! 그치만 쉬쉬하는 사실임

  • @skykim263
    @skykim2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2차대전편 기대만땅용⚘️🙏

  • @user-fo4hv2wm9x
    @user-fo4hv2wm9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교수님 얘기가 대충 맞지만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도 존재한다. 루즈벨트와 스탈린이 브로맨스? 적어도 루즈벨트는 아니었다. 1942년 초부터 독일 항복과 거의 동시에 소련을 대대적으로 공격한다는 처칠의 상상초월작전 ( Operation Unthinkable )이 있었다. 42년 초기부터 계획이 돼서 패튼 장군도 알 정도였고 미 국무부도 알고있었다. 패튼도 알고있었고. "뭐하러 독일을 먼저 치고 소련을 나중에 치냐? 독일과 합세해서 소련을 그냥 쳐버리지. 적군을 잘못 골랐네." 패튼이 이런 식으로 얘기를 했을 정도였다. 미 국무부와 영 외교부의 기본 노선은 먼저 독일을 패퇴시키고 연이어 독일군을 끌어다가 소련을 친다 이게 계획이었고.. 국무부 직원들도 알고있던 역사임. 1945.5.22일 소련 군사력이 생각보다 강하다는 영국 참모 본부의 작전중지 권유와 반대로 취소되자, 미 국무부에서 소련 66개 도시에 핵폭탄 204개 계획 제안 날아온다. 이 계획은 미국이 가지고있던 핵폭탄 수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 계획은 뒤로 연기되고, 대신 1946년 3월5일 처칠은 철의 장막 연설을 하며 냉전이 시작된다.

  • @gyuchulchae8098
    @gyuchulchae809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진행자께서는 역사공부를 많이 하셔야되겠네요!
    미국적 역사의식에 많이 오염되어
    미국 영국은 옳고 중국 러시아는 나쁘다는 균형감각이 왜곡되어!
    !

  • @WS-td9bj
    @WS-td9b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 관점이라면 대한민국은 피해의식에 젖은 나라들이게 둘러싸인 나라가 되는거네요.

  • @user-ue4xk9wt9w
    @user-ue4xk9wt9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교수님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자주 뵈었어서 넘넘 반갑네요😊 ㅎㅎㅎ 역시 삼프로티비❤ ㅎㅎ 잘보고 갑니당 ㅎㅎㅎ

  • @saulabiinny
    @saulabiinn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도 다음에 태어나면 제일 살아보고 싶은 나라가 러시아. 전쟁만 안 난다면.

  • @user-sv2iw8bc7p
    @user-sv2iw8bc7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쟁터가 재밌다니 경악 하겠네..

  • @cecilialee5425
    @cecilialee542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잘 들었습니다
    러시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네요.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도 러시아 스타일을 좋아해서, 러시아어를 공부했습니다. 술도 밤 새워 폭음을 일삼았지만 어느날 소변이 안나와 식겁한 뒤부터 러샤스타일을 버리기로 했습니다. 러시아는 수수께끼의 나라. 나폴레옹전쟁부터 1,2차대전까지 근 150년간 대규모전쟁으로 남자들이 씨가 말라 남대 여의 성비가 무너져, 러시아 여자아이들의 성징이 빨라졌다는 사실... 몽골지배이래 역사적으로 형성된 러시아인의 기질은 '안으로는 폭력, 밖으로는 공격지향'이란 조지케난의 '러시아보고서' 등을 통해 구성한 러시아에대한 컨셉이 이번 우러전쟁을 통해 확인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 @boring4093
    @boring409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북중러. 주변국들에 제일 피해 많이 주면서 그 방패나 명분으로 피해의식 내세우는 대표적인 나라들

  • @user-gm6qb3bq6y
    @user-gm6qb3bq6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강의 잘 들었습니다. 레닌그라드가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이고 스탈린그라드와는 관련없습니다.

  • @user-vw2ho5bu9d
    @user-vw2ho5bu9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굿

  • @user-tj1ps9di3d
    @user-tj1ps9di3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프친을 보면
    러시아는 인명을
    우습게 보는거 맞다
    곡물창고인 우쿠라이나를
    침공하는걸 보면
    러시안들의 심성이 보인다
    프친이 러시안들의 인기는 그것을 설명하고
    그들의 침략 자들의모습이 아닌가
    이사람은 러시아인
    와이프가 있나 ?

  • @user-wb1im6tp2d
    @user-wb1im6tp2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독재는 어쩌고

  • @user-cf4qi5ug8m
    @user-cf4qi5ug8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트페테르브르크 =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 볼고그라드, 가장 덜 유명했던 칼리린그라드만 이름을 유지하네요~~

  • @onnya4753
    @onnya475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소련이 결국 해체되었으니 충분히 피해의식 가질수있겠네요

  • @user-bi1nl1lh7n
    @user-bi1nl1lh7n 4 วันที่ผ่านมา

    독일 프랑스로 부터 침공을 당한 러시아 ᆢ당연히 경계심을 갖고 대응 하려한다 ᆢ

  • @user-mk6dd1jj1e
    @user-mk6dd1jj1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좀전에
    언더스탠딩에서 이프로 봤는데
    3프로에 또 이프로 나오네
    혹시,언론재벌?

  • @hoonsong6615
    @hoonsong6615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요즘 우크라전투도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못한 초보들을 전선으로 보낸다는 뉴스를 종종 보게되는😅😅

  •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세계에서 핵폭탄 최고로 많이 가진 나라가 그렇게 안보불안이면 우리나라는 ?

    • @namhoon7571
      @namhoon757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미국 입국해 봤니? 안보 불안을 넘어 서서 광적이야

    • @newway9647
      @newway964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미안한 얘기지만 징병해서 뺑이쳐봐야 수도권 핵 한번 맞으면 한국은 전쟁 승패 무관하게 망한 나라 됨

    • @Bladeseal
      @Bladesea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러시아나 미국은 적이 너무 많거든요

    • @user-qv2gz5mb9s
      @user-qv2gz5mb9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도 안보 불안이다 하면서 이나라 저나라 내정간섭하고 여기저기 파병하면서 멀티하잖아 설마 순진하게 미국의 파병이 다른 나라를 돕기 위함이라 생각하는 건 아니지? 파병을 함으로써 전쟁이 났을 때 전장을 그곳으로 한정하고 미국의 본토를 안전하게 유직하기 위함인걸

    • @user-ri4tw2dw9q
      @user-ri4tw2dw9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미국 안보는 우리가 걱정하는 안보랑은 차원이 다른 세심함을 가지니깐 그런거고.
      나라마다 다른데 그걸 천편일륜적으로 생각하는 니가 더 이상하다고 생각안해?

  • @anzinn
    @anzin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57 스탈린그라드는 지금 볼고그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