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에너지 패권을 잡게 될 과정 설명드립니다 f.남용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박사 [신과대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0 มี.ค. 2024
  • 놀랍게도 이프로는 재료공학을 전공한 공대생입니다. 전공 분야를 만나 폭주하는 이프로와 함께 대한민국의 핵융합 연구와 인공 태양 KSTAR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죠!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66

  • @3protv
    @3prot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놀랍게도 이프로는 재료공학을 전공한 공대생입니다. 전공 분야를 만나 폭주하는 이프로와 함께 대한민국의 핵융합 연구와 인공 태양 KSTAR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죠!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www.youtube.com/@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uby_0510
      @Ruby_051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jhk7989
      @jhk798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학도 출신이 '플라즈마' 도 모른다는 건 이해가 안되는데..

    • @CUBEBlueSky
      @CUBEBlueSk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jhk7989 진행자는 보는 시청자의 입장을 대변해야 되는데, 아는거라고 그냥 넘기면 될까요?

    • @user-zz9mu2si6r
      @user-zz9mu2si6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치얘기는 구독자떨어진다고 안해요 R&D삭감이 정치얘기라고 뒤로 숨어버리죠

    • @user-bi5vg8xl4l
      @user-bi5vg8xl4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원시스가 인공태양의 전원장치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전원장치가 핵융합에서 차지하는 비용이 15퍼센트정도 됩니다.

  • @TV-bw2lx
    @TV-bw2l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과학자들이 대접받는 대한민국이 되기를바랍니다.
    대한민국 파이팅...❤

  • @leeleelee6895
    @leeleelee6895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응원을합니다
    연구하시는 분들이 건강하셔서
    꼭 핵융합을 성공하세요

  • @hooponopono7942
    @hooponopono79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주기적으로 K-STAR 연구원 섭외로 양질의 고품질 콘텐츠 만들어주시는 언더스탠딩 제작진의 혜안에 감사드립니다😉👍

  • @doit3592
    @doit359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과학기술자들이 대한민국을 먹여살리는 세상이 맞네요~~~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겠습니다~~~

  • @templer8050
    @templer805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박사님 겸손해 보이셔서 좋아요.

  • @seongkang5756
    @seongkang575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의대는 대부분이 내수시장이고
    공대는 많은 부분이 수출로 연결된다고 보면 정부는 공대생들에게 큰 지원을 해야한다.
    투자의 개념으로

    • @yk_popevolgen7387
      @yk_popevolgen738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공계는 기본적으로 두뇌싸움, 즉 경쟁의 결과로만 보상이 주어지는 직업군이기 때문에 정부가 이들에게 어떤 직업적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지원을 한다는 게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오히려 쉬운 방법은 의대 정원을 늘려서 의사의 기대 수입을 낮춰 의대 포기하고 SKY 이공계 가는 선택을 후회없이 (부모 눈치 안 보고) 할수 있게 만드는 게 더 빠를 거 같네요

    • @skykim2777
      @skykim2777 26 วันที่ผ่านมา +1

      @@yk_popevolgen7387 의대는 3천명이고 공대는 대강 10만에 가까우니 10만을 지원해야 사실상 의미없는 노릇에 가깝고 3천을 5천으로 늘려서 개업의 연봉으로 3억 짜리를 2억으로 만드는걸 목표로 개선이 될지 그나마 2천명의 우수한 공대생마저 의대를 갈지 ~~~
      의대를 늘리는 것에 동의 하지만 공대가 이런식으로 좋아지는 건 쉽지 않아 보이긴 합니다.
      아무튼 공대가 발전해야 하는 걸 반대할 국민은 1명도 없을 겁니다.

    • @nakeaastuio-le6ou
      @nakeaastuio-le6o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전세게에서 유일하게 의료쪽이 더높은폐이를 받는나라라 진짜 심각한거임 그러니 점점 기술이 딸리고있음 어느나라건 이공계보다 의대가 더높은건 진짜 신기한일인거임 19년동안 봐줬으니 비정상이 되버린건지

    • @user-iy2xo7rx1e
      @user-iy2xo7rx1e 16 วันที่ผ่านมา

      머리 좋은 공대생들은 전부 미국으로 가죠. 애국심 하나로 부려먹던 시대는 더 이상 아니죠

  • @citizenkorea3630
    @citizenkorea363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남용운 박사님 감사합니다. 우리 아들이 이거 관심이 많아서 박사님 나오는 유튜브 컨텐츠 잘 보고 있는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user-ik2wt4mj3v
    @user-ik2wt4mj3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멋진 기술이네요. 성공하면 한국인 뿐만 아니라 전 인류가 지구에서 에너지 걱정없이 더 잘 살 수 있게 꾸준히 연구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 @solexergy
      @solexerg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용화에는 너무 장벽이 많아 21세기 이내에는 사용 못합니다.

    • @user-bc5vm1gh6v
      @user-bc5vm1gh6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olexergy 이터프로젝트라고 있습니다. 21세기안에 핵융합은 상용화 됩니다. 오바하지 맙시다.

    • @sgp3469
      @sgp346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못하고요 그냥 원자력마피아들이 생명 연장하려고 개수작 부리는겁니다 방사능 폐기물 얘긴 죽어도 안함 저 종자들

  • @chan051112
    @chan05111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잘보고있습니다 핵융합 정말 기대되는 기술입니다
    죽기전에 인류의 커다란진보를 보고싶네요

  • @raybrown5890
    @raybrown589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고생많습니다. 고맙습니다. 같은 공돌이로서 자랑스럽습니다.

  • @user-bw3yo6qi4r
    @user-bw3yo6qi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어려운 문제를 쉽게 알아들을 수 있게 참 진행을 잘 하셔요

  • @lupin9305
    @lupin93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7

    한 해 피부과로 빠질 고급두뇌 500명 씩만 여기 투입됐어도 핵융합 기술이 훨씬 많이 진척됐을텐데

    • @user-mk8xz9lk2h
      @user-mk8xz9lk2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급두뇌가 피부관리성형으로 갔으니 이쁜이들도 많죠 순기능이 있으면 역기능도 있습니다~

    • @user-de7pp5fn7m
      @user-de7pp5fn7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user-mk8xz9lk2h 진짜 핵융합에 비해서는 사소한거 같은데요ㅜㅜ

    • @user-ey7ee6ko4y
      @user-ey7ee6ko4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예산이 극빈이라 체용도 안되고 해외로 가거나 다른일로 가겠죠

    • @skrksmsdlwl4043
      @skrksmsdlwl404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부에서 투자를 해야지요. 그래야 spin off도 나오고요.

    • @user-so5bg7jq4j
      @user-so5bg7jq4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그 엄청난 에너지 기술 나오면 또 방사능 같은 괴담 유포해서 공포선동하는 세력 꼭 나오지 핵융합에 꼭 필요한게 삼중수소인데 요즘 오염수 방류의 핵심 소재로 내세우고 있음

  • @user-hq2ie1ye2c
    @user-hq2ie1ye2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연구자님들 응원합니다. 다만 가까운 시일내에는 어렵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듭니다.

  • @LoveIsLuv_
    @LoveIsLuv_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오늘 진행 너무 좋습니다. 후손들아 부럽다 전기 정말 펑펑 사용해 보고 싶다

  • @user-tn3er6lo6z
    @user-tn3er6lo6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박사님 1억5천도 장기적 노출에 무엇이든 녹아 내릴것 같은 느낌이 드내요
    역사에 한 획을 긋은 연구인것 같내요

  • @hckim8088
    @hckim80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박사님 감사합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

  • @user-ok6ej8cy4q
    @user-ok6ej8cy4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일반 시청자 수준의 눈높이의 궁금증을 사이 사이에 질문은 유익합니다
    이프로가 몰라서 묻는것은 아닐것으로 사료되네요.

  • @nakun572
    @nakun57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에너지를 얼마나 생산하고 쓰는지가 문명과 경쟁력의 척도인만큼 매우 중요한 분야죠.
    현재 핫한 AI든 클라우드 서비스든 결국 에너지에 발목 잡히고 있는 상황이죠.

  •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기술성과에 보조금줘야한국이 산다.
    사지 멀쩡한데 일하면 보조금 못받는다고.. 놀고있는 사람 엄청나다.
    일자리를주고 일해야보조금줘라.
    무조건 가난하다고주지말고.
    우리도 300만전세로 살아
    아파도,수술했어도
    살려고 일했다. 주말에도일했다.
    그래서 내집마련도한것이다.
    어디든 일하려한다면 할수있다.
    노는사람 보조금주려거든,
    차라리 성과에따라 연구원들보조금줘라

  • @user-xm8ms5tv2x
    @user-xm8ms5tv2x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이야,,
    대단한분들이시네요

  • @xianjoh
    @xianjo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박사님 화이팅❤

  • @user-zg2bd5tu7r
    @user-zg2bd5tu7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아요. 감사합니다.

  • @user-mi5ro2nw8h
    @user-mi5ro2nw8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조아요

  • @Trisonss
    @Trisons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핵융합연구소에 일하면 군면제도 만들면 이과생을 양성할수있습니다

  • @pilgrimsdream7765
    @pilgrimsdream776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좋은 프로그램에 늘 감사합니다
    연구개발비 삭감하는 미친자들에 맞서 열심히 연구 노력 부탁합니다.

  •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의대 법대에 간 수재들이 공대에 가야 경제 전쟁에서 생존할수 있을듯😅

  • @user-qc2lm6yn6w
    @user-qc2lm6yn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응원이 솓구칩니다^^
    응원 응원🎉😅

  • @angelokim846
    @angelokim8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첨단 산업에 종사할 고급 인력들에게는 초봉 최소 1억 이상을 보장해 주고 이 외에 더 많은 인센티브를 부여해서 의대로 갈 인재들을 이쪽으로 유도해야 함

  • @leeon736
    @leeon73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자원도 없으면 기술이라도 쩔어야..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새로운 정보 감사합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02
      달에 리튬 많지 않나요? 🎉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06
      도넛이 아니라 8자 형태의,
      ♾️의 기하학 건축 구조는요?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32
      결국 자기장 코일도 8자 형태로,
      하나의 중심 구조를 감싸고 올라가자나요.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13
      내 X 공개 무료 노트장에,
      기하학 건축 구조를 그려봐야지~
      8자를 얇게 겹치면,
      하나의 구체를 쉽게 만들 수 있을거 같은데.
      만약, 하나의 금속들을 곡선 형태로 휠 수 있다면?

  •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감사합니다.

  • @user-cz5bd9hh7q
    @user-cz5bd9hh7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핵융합-원자가 융합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 활용
    2.원료-중수소(바닷물로부터),삼중수소(핵융합로에 리튬넣어서 생성)
    3.핵융합 반응 발생 요구 사항- 초고온(1억도이상)+플라즈마를 가두는 자기장
    4.토카막 융합로-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 (장시간 유지를 위한 업그레이드 필요)
    5.한국 세계최초 48초 1억도 유지
    6.0.01g중수소=휘발유100L와 맞먹는 에너지 효율
    7.2050년 전기로 상용화 목표

  • @KOR_J.H
    @KOR_J.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들었다.국가 R&D 삭감은 간첩이나 하는짓 이라고..

    • @user-hq2ie1ye2c
      @user-hq2ie1ye2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쓰잘대기 없는 알앤디는 삭감하는 것이 맞습니다. 현장에서는 경제성이 전혀 없는 소소한 기술을 개발한다고 낭비되는 알앤디 많습니다. (응용기술로서 심지어는 본인들도 경제성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KOR_J.H
      @KOR_J.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hq2ie1ye2c 아 네 그럼 쓰잘대기없는 대통령은 어떻게 해야..?

    • @user-lk7ic6hy6n
      @user-lk7ic6hy6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치워야지

    • @user-fq9ht1ec8n
      @user-fq9ht1ec8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모 정권이 핵융합 예산을 삭감했구나😂

    • @user-sh1ny2uu5u
      @user-sh1ny2uu5u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ㅋㅋㅋ

  • @user-wz2ok5gk7b
    @user-wz2ok5gk7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핵융합이 얼른 계발되었으면 합니다. 예산도 풍족히 주고... 미래에너지원은 결국 핵융합이 대세가 될텐데...

    • @solexergy
      @solexerg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망상입니다. 영원한 떡밥이죠. 예산 아무리 많이 줘도 상용화 못합니다.

    • @user-wz2ok5gk7b
      @user-wz2ok5gk7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olexergy 저걸 망상이라... 참....

  • @wdol5641
    @wdol564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댓글 처참한거봐 ㅋㅋㅋ kstar화이팅 하세요

  • @gahbrielso751
    @gahbrielso75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멋집니다
    과학계. 예산을 터무니없이 삭감해서 속상하네요
    이렇게 미래를 리더할 인재들이 있는데 ᆢᆢ

  • @user-st8xo8ex5j
    @user-st8xo8ex5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나 어릴때도 떡밥이었는데 아직도 떡밥인 앞으로 언제까지 떡밥일지 궁금하다

    • @solexergy
      @solexerg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하늘에 태양이 있는 한 영원한 떡밥입니다.

    • @youngmujeon
      @youngmuje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연세가 어떻게 되시는데 어릴때부터 떡밥이라고 하시는지? KSTAR 본격 연구 시작한지 이제 10년 남짓 됐습니다

    • @user-ml9do7fz2g
      @user-ml9do7fz2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youngmujeon 핵융합발전은 메칸더v 가 방영하던 시절부터 나온 떡밥입니다.

    • @youngmujeon
      @youngmuje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ml9do7fz2g "... 핵융합에너지에 힘이 솟는다. 메칸더, 메칸더, 메칸더 V ..." ... 설마 이런 노랫말 가사나 만화의 내용을 떡밥으로 생각하시는 건 아니죠?
      관련 전공자로서 말씀드리면 ... 떡밥이다.. 영원한 거짓말이다 ... 등의 비난을 듣지만, 80~90년대 시절의 수준하고 .... 최근 민자사업/프로젝트가 조 단위로 진행되는 세계적 분위기와는 비교가 안될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참고로 말씀드립니다. ... 너무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는 말씀 드립니다. 항상 ... 성공하기전에는 부정적인 의견이 팽배해 있죠.

    • @backguda
      @backgud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이 그 떡밥으로 가장 고기를 잘 잡는
      나라기 되어버렸음.

  • @jaeseunglee9084
    @jaeseunglee908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단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채널 ㅎㅎ

  • @user-qf3mk2mj9n
    @user-qf3mk2mj9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기술 선구자. 응원 합니다.
    부탁드립니다.

  • @xeousshinify
    @xeousshinif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50대인 내가 초등학교때 핵융합 발전소에대해 자기장으로 가두는 방법 써있었는데 한참 지났네요.

    • @aigumoney
      @aigumone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전자기학 법칙은 1930년 이전에 이미 완성된 법칙이니....

    • @user-je3zq8gt2g
      @user-je3zq8gt2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어르신이 초등학샹일때도 석유는 40년 쓰면 고갈된다고 했었죠...
      그런데 지금도 쓰잖아요?
      혹시 알아요? 어르신 아드님이 손주 안겨드릴 때쯤이면 신도시마다 하나씩 열병합 발전소 대신 핵융합로가 하나씩 놓여 있을지

    • @bae9678
      @bae967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e3zq8gt2g십년후에 외계인 침략으로 지구 소멸예정임 연구는 무슨 편히 잘다 가시게

    • @user-od9cx9ne5j
      @user-od9cx9ne5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e3zq8gt2gㅎㅎ 그러기를 간절히 바라는 1인 입니다만...이쉽게도 그럴 확률은 0%에 근접합니다...

    • @solexergy
      @solexerg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은 포기했어요. 왜 포기했을까요? 상용화 못합니다. 영구기관과 같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한다는 측면이 있는 다른 어쩌면 저 태양과 같이 될 수도 있는 영원한 떡밥입니다.

  • @NO-SMOKING-Sir
    @NO-SMOKING-Sir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우주에 있는 태양으로 달에서 전기를 만들어서..초강력 레이저로 지구로 쏴 주면~ 지구에서 레이저에 반응하는 반도체 전지소자로 받아서 전기를 쓰는 연구도 해주세요~/ 전기로 레이저를 만드니까, 그 역반응인 레이저로 전기를 만드는 소자만 만들어 내면..

  • @user-tn3er6lo6z
    @user-tn3er6lo6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집체만한 돗보기 층층으로 빛을 모아서 온도를 끌어 드려서 복합적 에너지 + 시스템은 어떨지요 엄청난 열을 추가할듯 하내요 복합적 에너지 구상을 해보았습니다

  • @user-xz1kw1ln3x
    @user-xz1kw1ln3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기후변화 때문에 앞으로 농사지으려면 건물안에서 농사 짓는 스마트 팜을 해야 먹고 사는데....전기가 공짜에 가깝지 않으면 대부분의 인류는 굶어 죽는다.

  • @user-tw4ln2sk6b
    @user-tw4ln2sk6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런 과학자들 연봉 100억씩 줘라

  • @user-bi5vg8xl4l
    @user-bi5vg8xl4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원시스가 인공태양의 핵심 관련회사입니다.
    다원시스가 전원장치를 공급하는데 핵융합비용의 15퍼센트 정도를 차지합니다.

  • @jinlinara2099
    @jinlinara209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기장 안정유지는 8균등간격으로 걸기~

  • @user-uz8hy8kw7p
    @user-uz8hy8kw7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흥해라 대한민국

  • @user-kk8rr1mi1o
    @user-kk8rr1mi1o 26 วันที่ผ่านมา +1

    周易 계사전에 보면. 마찰은 열을 발생 우리 몸 수련도 음양변화 마찰은 온도를 높이....

  • @user-bn2ke3oi5n
    @user-bn2ke3oi5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핵관련 에너지라 R&D 예산은 충분한가 보네요. 궁금한게 있는데 핵융합은 재생에네지에 해당되나요. 친환경에너지인가요

  • @Nolsarang528
    @Nolsarang528 3 วันที่ผ่านมา

    사람도 자기장이흐르고 식물도 자기장이 있고 지구표면도 모든빛에도 자기장이 있는데 눈에 보이지않지만 그에너지를 쓸수있으면 전기도 필요없이 자기장의 힘으로 빛의 흐름을 만들수있어요

  • @user-xm8ms5tv2x
    @user-xm8ms5tv2x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우주의 신 들이시군요

  • @KusamHwang-df5vq
    @KusamHwang-df5v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운동에너지를 사용하면 될까

  • @user-mj2mm9bq5f
    @user-mj2mm9bq5f 26 วันที่ผ่านมา

    핵융합보다 먼저 원자광발전기를 실용화 해야 합니다. 원자력에너지 다음으로~~~

  • @HappyLife_J
    @HappyLife_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가 도시건축 조성구 건축가님 초청강연 부탁드립니다..

  • @user-il8gu8gz5z
    @user-il8gu8gz5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핵융합 무기 소총개발❤

  • @yeohangsi
    @yeohangs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장담컨데 곧 미국 AI가 레이저 방식 보안 할 점 다 추천해주고, 설계도도 그려줘서 우리가 더 느려질 듯...... 그.러.나 2-3등 정도도 나쁘진 않제

  • @user-if7jb2bf8z
    @user-if7jb2bf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이산업의 중요성은 아무도알지 못한다. 이것이 운전되면 엔진항공부터시작해서 엄청난 부품산업의 변화가 온다. 1억도를 40초를 견디는 물질은 거의 존재하지않다. 그온도를 견디고 그것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것 자체가 어렵지만 40초를 유지지한것 만으로도 대단한 결과이다. 화이팅 자유대한민국 힘내자 자유대한민국.

    • @hawk9938
      @hawk99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무도 알지 못한다기엔 openai의 샘 알트먼도 핵융합 기업에 투자중임;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awk9938 ㅎㅎㅎㅎㅎㅎ 샘알트만 할배되서 장례식 끝나도 핵융합발전 하지도 못하요

    • @user-gx4zc5vf4c
      @user-gx4zc5vf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핵융합 찜질방도 나올만 하겠다

    • @user-nw4km6sp6l
      @user-nw4km6sp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뭔데 아무도 모른다고 단정짓나 뻔히 알고 있는 내용 나불거리면서

    • @jaelim5020
      @jaelim502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어떤 물질에서 그 온도를 가두는게 아니고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겁니다. ㅎㅎㅎ

  • @user-ue1ss5jm2h
    @user-ue1ss5jm2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떄는 행융합으로 움직이는 태권도v를 만들수 있는건감?

  • @user-ts8ue6wi5g
    @user-ts8ue6wi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공태양. 유튜브 봤습니다

  • @user-mq4cf8pb8x
    @user-mq4cf8pb8x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상동중석광산 채굴권 외국회사에 팔아먹었데요

  • @user-bw6qx3vz8o
    @user-bw6qx3vz8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가 세계를 주도할수 있는 첨단분야중 하나죠 원래 계획된 투자가 이루어졌어야 하는데 여러이유로 투자가 충분히 안된 것 같습니다. 조속하고 충분한 투자를 기대합니다.

  • @user-xs7lp2hq1f
    @user-xs7lp2hq1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I를 이용하여 통제가 가능도 한가요

  •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핸드폰을 둥글게 만들고 보튼을 눌리면 활짝 펴져서 열을 방출하면 에너지를 쪼개 써야합니다.
    인지적 능력을 만들고 길게 복도를 걸을때 자동으로 개패되어 열이 방출되면 추운방도 건물도 없게 됩니다.
    와이파이로 모두 연결되어야 합니다.
    아이디어를 내야합니다.
    돋보기를 이용해 흡수 되는 방법이 없을까요? 낮에 모았다가 비오는날 방출하는 것입니다.
    아이디어 없을까요?

  • @maricomkj
    @maricomk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이쪽 연구는 삭감안되었는지 모르겠네....중요한 연구인데

    • @G80G70
      @G80G7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투표 ㅈㅅ같이 하면 그리 됩니다.

    • @user-wi1bl3vj9u
      @user-wi1bl3vj9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삭감되었다 실험횟수가 줄고 젊은 연구원은 잘렸다

    • @user-wz2ok5gk7b
      @user-wz2ok5gk7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삭감되서... 이쪽은 돈이 부족하지 않게 계속 지원해야하는데

    • @rtrertyuhgfd
      @rtrertyuhgf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여기도 잘려서 젊은 연구원들 다 도망갔다더라

  • @user-mi5ro2nw8h
    @user-mi5ro2nw8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아0ㅛ

  • @user-qe6bv3qj2i
    @user-qe6bv3qj2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열은 낮은 열로 감자.. 열차폐막

  • @cbk24772888
    @cbk247728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에너지 자립되면 또 다른 걸로 싸우겄지

  • @p.l.s4539
    @p.l.s453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탄소에서 텅스텐이라......... 다음에는 D.L(인조 다이아몬드) 한번 써보시면 어떨까요? 절삭공구의 발전 과정을 보면 철에 탄소를 섞어 탄소강이 탄소강이 텅스텐강으로 발전했는데 요즘은 D.L을 코팅해서 쓰는 단계인데,,,,,,, 어줍짢은 지식으로 오지랖 부려 봤습니다. 유용한 지식 얻었습니다.

  • @annabelle3926
    @annabelle392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한국도 자원을 무기화할수있는 시대가 왔음 진짜 좋겠네요. 부동산 사기 아닌거겠죠??

  • @user-ei1yc4hd7i
    @user-ei1yc4hd7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연 22세기가 현인류에 올까요?

  • @user-ht5uw6cs3i
    @user-ht5uw6cs3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관련주 머 사야 돼요?

    • @pilgrimsdream7765
      @pilgrimsdream776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에선 Ian King이 광고하던데요

    • @user-bi5vg8xl4l
      @user-bi5vg8xl4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원시스

  • @user-fm9fb9xc1p
    @user-fm9fb9xc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생각도 있고 계획은 있는데 돈을 없앴다......

  • @bbokdoong
    @bbokdoo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미래는 대한민국의 시대

    • @olirontruth1741
      @olirontruth174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꿈깨라

    • @jadeplant-lc1th
      @jadeplant-lc1t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재인같이 안목없는 인간들 때문에 그럴 일은 없을듯.

    • @1jimpark
      @1jimpark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

      꿈은 크고 황당해야 됩니다.

  • @marivndh
    @marivnd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강원도 텅스텐 광산있는데 .. 미국회사임 ㅠㅜ

  • @user-ml4sq8lw8z
    @user-ml4sq8lw8z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0년 전에는 1억도가 몇초만 지연되면 된다던 것이 지금와서 300초라니 왜 말이 달라지는가 수소 폭탄은 몇백만분지 1초에 폭발함을 !!

  • @NO-SMOKING-Sir
    @NO-SMOKING-Sir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지금까지 인류의 신뢰할 만한 모든 과학적 연구를 AI에게 공부시켜서 해답을 달라고 해 주세요~

  • @user-ki9cf6nf7h
    @user-ki9cf6nf7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런 연구개발 적극 해야하는데 R&D 예산 8.2조 삭감했으니... ㅎ

  • @user-tv5so7kr6h
    @user-tv5so7kr6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억도를 상시 견디는 물질이 있을까

  • @user-xv8js6st9q
    @user-xv8js6st9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 생각은 핵융합 에너지 까지는 만들었다고 한다면 핵융합 된 에너지를 공중에 띄우면 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1억도 이상 되는 핵융합 에너지 덩어리를 원심력을 이용한다면 일정한 장소에서 돌게 하면서 융합을 하게 한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류가 최초로 무한대의 청정에너지를 얻는 시대를 여는 핵융합발전.
    인류가 최초에 불을 발견했던 것보다 더 큰 영향력이라 생각합니다.

  • @user-vj9uw7sq6c
    @user-vj9uw7sq6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용화 되고 말 합시다.

  • @user-ok6vv4nb7e
    @user-ok6vv4nb7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핵융합 발전소를 짓는다고 전기세가 전기요금이 될 거라는 착각은 버리세요. 자본은 여지껏 그런 경우가 없었습니다.

  • @user-dv1id6lz2h
    @user-dv1id6lz2h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중수소 핵융합이 완성되기전 달에서 채취하는 광물을 에너지원으로 개발하는 것이 훨신 빠르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user-lh1xg7bf1x
    @user-lh1xg7bf1x 2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실제로 실현되었을 때 말해라 뇌피셜로 그렇게 될것이다라는 건 너무 공허하지 않나? 그 동안 이런 뻥카가 얼마나 많았냐고

  •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50년에나 가능하다던데 나 죽기전에 핵융합 상업발전이 될 까?
    우리가 세계 에너지 패권을 잡는 날을 보고 죽게 될까?

  • @user-os1qm7rk7h
    @user-os1qm7rk7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플라즈마를 태양처럼 구 형태로 가운데 뭉치게는 안되나 물론 안되니까 반지 형태로 하겠지만 암튼 한국이 제일 앞서 가기를 바랍니다

  • @user-vt8kd7pl9f
    @user-vt8kd7pl9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핵융합 아직은 몇백년 전의 전기차를 보는 느낌. 아직까지 관련 기반 기술의 발전 없이 대규모 투자는 아직 너무 시기 상조는 아닌지.. 솔직히 실현되려면 먼 미래에나 가능할거 같은데 돈이 너무 많이 든다는 점이 어려운 문제네요

  • @seongkang5756
    @seongkang575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에너지보존의 법칙을 벗어나는것
    아닌가요

    • @kkkzzzkkkzzz
      @kkkzzzkkkzz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혀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만나서 헬륨하고 에너지가 나오는건데, 태양은 극압력+고온인데
      지구에서는 극압력을 만들수없어서 초고온으로 가는겁니다.
      저게 에너지보존법칙에 위반되면 태양도 위반되는거죠

  • @user-jq8jz2oi1n
    @user-jq8jz2oi1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1억도가 올라가면 주변 물질은 무조건 녹을텐데 어떻게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건가...

    • @ngcosmos8947
      @ngcosmos894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기장을 이용해서 1억도의 플라즈마 형태로 공중에 띄워 놓는거라 알고 있습니다

    • @user-zp4vk8oz7y
      @user-zp4vk8oz7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토카막이 생긴거라오...그게 아니라면 토카막을 할 이유가 없지...태양은 1~2천만도에서 핵융합이 일어나지만 이는 고압이기에 가능...하지만 지구에선 고압조건이 안되기에 온도를 올리는 방향으로 해서 기본 1억도 이상에서 핵융합이 일어난다고 함...토카막 방식 일명 도너츠 모양으로 해서 자기장을 이용하여 1억도의 플라즈마를 공중에 띄워서 돌리는것이고 그게 영상 설명에 나오는 것처럼 KSTAR에서 300초에 맞춰서 설계되었다고 하는 이유가 그거임...초고온의 플라즈마를 300초 이상 돌리게 되면 토카막이 녹거나 파손되서 위험해질 수 있기에...

  • @user-pn2io9hk8q
    @user-pn2io9hk8q 22 วันที่ผ่านมา

    자기장을 이중 삼중으로 막으면 되지 않나요

  • @sunshin3224
    @sunshin3224 4 วันที่ผ่านมา

    이크 지금 태어난 세대가 중년 쯤 되야 성공을 보겠군요. 아쉽네요. 😭 😢 😥

  • @seongkang5756
    @seongkang575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구가 녹아 태양으로
    변하는 지구멸망시험이 아닐런지

  • @user-wj2wh3je3k
    @user-wj2wh3je3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토카막에 전기를 공급하면 플라즈마가 돌면서 고온에서 핵융합을 일으키고 플라즈마가 더욱 가속되어 전기가 스스로 나오도록 구조를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물 끓이는게 아니고...

    • @user-wz2ok5gk7b
      @user-wz2ok5gk7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저.. 핵융합을 하면 전기가 스스로 나오게 하는 기술은 아직 이론조차도 안나왔을겁니다. 물을 끊여서 증기터빈을 돌리는 것 외엔.. 현재 대안이 없습니다. 미국에서 개발중인 레이져를 통한 핵융합도 결국 물을 끓여서 증기터빈을 돌리는 방식입니다. 현재 발전소의 대부분은(풍력 조력 수력 태양광등을 제외하고) 증기터빈을 돌리는 방식입니다.

    • @user-wj2wh3je3k
      @user-wj2wh3je3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z2ok5gk7b MHD 발전방식이 있읍니다. 일종의 자기장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것으로 이론상 발전효율이 가장 높다는 듯 합니다. 토카막 자체가 비슷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걸 잘 만들면 물을 끓일 필요 없이 고온고속의 플라즈마가 전기를 직접생산하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 @shonst5973
    @shonst5973 19 วันที่ผ่านมา

    우리 텅스텐은 우리거 아니에요.

  • @user-ot4ei4wc7t
    @user-ot4ei4wc7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i가 이 연구에 도움이 되진 않나요?

  • @user-so7lv3bj6i
    @user-so7lv3bj6i 14 วันที่ผ่านมา

    텅스텐 광산 가 봤다. 문 닫았다가 최근 채광 다시 시작하는 것 같더라. 근데 내가 아는것은 텅스텐 가공성이 아주 지랄이고, 또 그걸 그나마 잘하는 놈이 우리나라라고 하더라. 그래서 우리나라 날탄이 그래 좋다내.

  • @user-px2nt6ri1o
    @user-px2nt6ri1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 50년 지나면 실현될지 알수 있을까?

  • @user-qf3mk2mj9n
    @user-qf3mk2mj9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핵융합과 초전도 전력전송 기술 을. 폐키지. 로. 세계에 수출하면, 마치. 한국형산업혁명 의. 수출과. 이를 통해. 대영제국 건설 처럼. ,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 하 세 의 현신적 실현. 합시다.

    • @YOUNGPARK-in9py
      @YOUNGPARK-in9py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구를 구하는 겁니다.

    • @YOUNGPARK-in9py
      @YOUNGPARK-in9py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에너지 자립뿐 아니라 지구를 구하는 것이지요. 화이팅!!!

  • @youngjinyang6014
    @youngjinyang601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국회의사당에서 로보트 태권 브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