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 1등을 했던 의사, 판사, 검사들은 어쩌다 저 지경이 된 것일까?" 우리나라 경쟁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파장, 김누리 교수 인문 특강(1)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มี.ค. 2024
  • #김누리교수 #교육문제 #소아우울증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인문학 특강에서 강연한 영상입니다.
    김누리 교수는 중앙대 독어독문학과와 동 대학원 독일유럽학과 교수입니다.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독일 현대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2013년 중앙대 독일연구소가 도쿄대, 베이징대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받는 ‘독일유럽연구센터’로 선정되었는데, 현재 이 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김누리 교수는 강연에서 한국의 교육 사회를 독일의 교육과 사회와 비교하면서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여파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가합니다. 그리고 우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전체 강연 시간이 총 3시간을 넘습니다. 긴 강연을 20여 분 단위로 편집하여 시리즈로 올릴 예정입니다. 본편은 그 첫 번째 영상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강연의 연결 영상 보기 → 아래 링크 클릭
    두 번째 영상 • "한국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
    세 번째 영상 • "한국인은 도대체 왜 이 불행 속에서 벗...
    네 번째 영상 • 그래서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공부한 한국 ...
    다섯 번째 영상 • 이제 자기 학대를 멈춰요. 당신에게 문제...
    여섯 번째 영상 • 사람은 안바뀐다고? 천만에 그 끔찍했던 ...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09

  • @wonhyung66
    @wonhyung6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4

    우리나라의 최고 엘리트인 SKY 문과 출신들이 오히려 권력카르텔을 맺어 나라의 발전을 저해하는 지금 상황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시민으로서 성숙하기보다는 권력에 줄서는 많은 군상들. 교육이 필요합니다

  • @0024eyes
    @0024eye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3

    앨리트들이 가장 부패한 나라 대한민국!

    • @ZarathuPower
      @ZarathuPowe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교적 사고는 차별과 관료의 부패을 낳습니다. 한국은 아직도 유교을 떨어내지 못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 @user-qs1do6oq8q
      @user-qs1do6oq8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뇌물은 명문대 출신 고위공직자가 더많이 받아 먹음

    • @user-rj7jg4dr1w
      @user-rj7jg4dr1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제가볼땐 일반서민들이 하위계층으로 갈수록 더 문제입니다..좀 덜하다면 단지 그럴 기회가 없었던거지..동사무소 사회복지계에 가서 앉아있어보세요..괜히 개돼지란 말이 나온게 아니죠.

    • @yongminyoo7
      @yongminyoo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 신자유주의라고 하는 천박한 자본주의에 포섭되어 모든 사람들이 탐욕과 이기주의에 찌들어 있습니다. 엘리트나 서민이나 마찬가지 지만 서민들은 먹고살려고, 엘리트들은 더 먹으려고 하는 차이가 있을뿐이죠. 부패의 정도로 보면 엘리트의 부패가 그 규모나 사회적인 해악에서 볼때 훨씬 크겠죠.

    • @minahwh3213
      @minahwh321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엘리트는 많이 해먹고
      서민은 덜 해먹는 차이.
      거짓 허위 위증 무고죄
      세계 금메달 나라.

  • @user-wv1du5bs7w
    @user-wv1du5bs7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9

    정치가 망가지면 나라가 무너집니다 거기에 저항하지 않는 사람은 다 노예가됩니다

    • @user-jm1hf9ne8h
      @user-jm1hf9ne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또 침략당해 나라없어질운명

    • @ZarathuPower
      @ZarathuPow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일본찬양 금지법을 공표하고 친일파을 간첩과같은 동급의 반민족 행위로 규정지어 정치나 군에 참여 하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 @user-tg6re1ct5y
      @user-tg6re1ct5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ZarathuPower개~싸이코 지금 상황에서 한 미 일 동맹이 얼마나 중요한디 가스라팅 당했구만

    • @user-go8ur6pp3n
      @user-go8ur6pp3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ZarathuPower이거 멍미 ㅋㅋ 신쇄국 종족주의자?😜😝😛🤪

    • @user-ob6sh8ns5f
      @user-ob6sh8ns5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하려면 빨갱이 찬양 금지법도 해라
      6.25때 피해를 입었다 ​@@ZarathuPower

  • @user-ws9xw3ly5e
    @user-ws9xw3ly5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김누리 교수님 !!
    교육혁명이 간절히 이루어지기를 희망합니다!!❤❤

  • @user-vp3ic3jf1v
    @user-vp3ic3jf1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0

    교수님은 용기있는 지성인입니다.
    지금 지성인들, 지식인들은 왜 침묵하는지?
    자신에게 불이익이 되는것이 그렇게 두려운것이군요.

    • @parkjun8009
      @parkjun80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제대로된 지성인은 있긴 있나요???? 제가 보기엔 드물다고 봅니다. 지금 한국 스카이대 서울대를 나온자들중 80%가 친일 입니다. 스카이대도 입막음 하는이유도 친일로 세뇌시키기 위한것 아닌지 의문이 듭니다.

    •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핵심 입니다. 쯧쯧 감사합니다

  • @youngsukmischke2325
    @youngsukmischke232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0

    강연 잘 들었어요 난 독일에서 50. 년 살면서 한국의 나뿐 교육 제도 이곳에서 느껴요. 아직도 외우는식 공부 아직도 대학 1.2.3.대학의 차이가 있다는걸 교육제도 바꾸어져야 하는데 유감 아직도 부모들의 마음이 대학 일류 .이유를 아니니 애들이 불쌍해요. 법도 이곳처럼 거짓이 없는 재판 . 언젠간 바꾸어 지길 바라요. 교수님의 말 모두 옳아요. 그리고 독일은 자기만의 노력만 있으면 모두가 있어요 부모가 돈이 없어도 애들의 희망 의견존중. 하고싶은 직업을 고려해야. 언젠가 한국도 그렇게 되길 바라면 어린애들 공부 스트레스 안받기를 바라요.

    • @youngsukmischke2325
      @youngsukmischke232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독일은 실력만 있으면 부모가 가난해도 대학감 교육제도 돈을 낼 필요없어요.

    • @twsbg
      @twsb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독일처럼 대학수 대폭 줄이고 평준화를 하는게 좋을듯. 엘리트 대학 만든다고 경쟁력이 있는 것도 아니고 경쟁한다고 사람만 정신병걸리고, 대학같지도 않은 대학 다닌다고 시간낭비 돈낭비 하지않게 대학수 좀 줄이고. 실속이 있어야지 뭔 보여주기식 허세때문에 쓸데없는거에 평생을 바치는 비효율적인 문화 문제가 심각하다

    • @user-xp3cw9lq9y
      @user-xp3cw9lq9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고맙습니다
      여기까지 오셔서 의미있는 경험담 댓글까지 달아주셔서
      참! 고맙습니다 선생님!

  • @user-if6bw5pf6v
    @user-if6bw5pf6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8

    시험 잘쳐서 1등한 사람과 실질적인 문제의 원인을찾아 해결하는 진짜 전문가는 공부를 1등하는 인간들이 아니다. 공부시험 잘치는 인간들이 세상을 더 어렵게 만든다.

  • @sophialee5103
    @sophialee510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맞습니다! 공부만 잘 하면 모든 게 다 용서되는 문화! 승자독식, 은근히 경쟁을 부추겨 친구를 적대시하게 만드는 공부벌레들만 양성하는 작금의 교육엔 많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인성을 가르치는 진정한 교육이 살아나길 바래봅니다!

  • @user-dq8md2uc7i
    @user-dq8md2uc7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0

    저는 속칭 명문대명문학과를 졸업한 늙은이 이지만 교육제도가 지옥제도란 의심을 품었는데 김누리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니 너무 기쁩니다

  • @sungsoohong9302
    @sungsoohong93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김누리교수님, 대한민국 교육을 개혁해 주세요. 신간 예약했습니다.😊

  • @user-xu2ed8bo2e
    @user-xu2ed8bo2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

    적극 공감합니다. 경쟁 교육만 받은 경쟁 우위자들의 사회 선도 흐름이 지금의 결과를 낳았습니다...
    1등들의 사회 지도층보다 인간성이 바탕이 된 능력자들의 사회지도층이 필요합니다.

  • @user-uo4qp2uq3w
    @user-uo4qp2uq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우리교육은 인간의 다면적 역량을 오직 책상머리 교육의 극단인 문자 암기력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창의력,협동력,공존력이 결여된 오늘의 개검ㆍ판 ㆍ언 독재국가가 되고 말았다.

  • @hojdsk
    @hojds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2

    김누리님 용기를 응원합니다
    우리한국사람들은 누리님을 이해하지 못한다에 한표

    • @user-we6gh1qx7w
      @user-we6gh1qx7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많은 사람이 이해하죠
      그리고 그 경쟁무리에 엘리트 뿐 아니라 우리 모두 다 해당됩니다
      남한테 지는 꼴을 못보죠
      근본적인 변화는 필요한데 해답을 찾기힘들어서 그렇지요

    • @leejason7946
      @leejason79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쵸.그러니 그저 학교보내서 주입식암기식교육 받게하고 그것도 모자라 사교육으로 더더욱 아이학대하고 돈낭비하니 본인노후대비조차못하고등등 하죠.
      그래서 안바뀌는거죠.
      이해했다면 내아이에게 그런 교육받게하지않겠죠.

    • @hojdsk
      @hojds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왜냐하면 서울대학 그중에서도 법대와 의대를 나와야 권력과 재력을 얻어서 어깨펴고 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10명 중 9명은 될거라고 장담합니다.
      서울대 출신은 연고대출신들을 실력이 있건없건 됨됨이가 있건없건 개무시하죠
      연고대출신들은 성대 한대 출신들을 개무시하죠
      지잡대는 사람도아니죠

    • @imagine676
      @imagine67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e6gh1qx7w혁명밖엔 답이없음

  • @PETBOY
    @PETBO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4

    어릴적부터 소통, 협력을 배우는게 아니라 돈 써가며 경쟁에 남 이기는 것만 배우다보니 카르텔에 부패가 생기는 구조,,, 협력(세계 IT기업들의 모토가 협력이고 창의성도 협력에서 나옴) 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데 지밖에 모름, 지나가는 택배기사나 편의점 알바 등등 항상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함. 저는 그래서 항상 이런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택배기사 물건 같은거 보이면 차에 싣는거 도와주기도함. 근데 앞으로도 한국 교육은 안바뀔 것 같음,, 40년동안 안바꼈음. 학생들 부터가 수능이 공정하다며 옹호함. AI 시대인데도 아직까지 달달달 암기만 하고 있음. 그리고 대학나와도 취업이 안되는데 전부 대학에 목매고 있음 , (서울대 세계에서 알아주지도 않는데)

    • @user-fe1cz8pt8z
      @user-fe1cz8pt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변화는 항상 조그마한 변화에서 시작되는것이죠.
      단어구성이 바꿀수없는 단점에 집중하고 할수있는것부터 시작하는 장점에 집중하는 글이 아니라서
      좋아요 주려다 말았습니다.
      이해는 합니다만 님께서 원하는것은 배설이 아니라 한땀한땀 땋아나가야하는 부분 아니겠습니까?

    • @hyojunekim7444
      @hyojunekim744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러게...당신도 단점을 이야기하네요@@user-fe1cz8pt8z

    • @user-xp3cw9lq9y
      @user-xp3cw9lq9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매우 공감합니다.
      그러나 김누리같은 교수님이 계시고
      이분을 불러주는 분들도 많고
      우리처럼 감동으로 듣고 깨닫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으니
      분명 바뀔겁니다!!!
      우리 나라는 매우 역동적이고 약자를
      진심으로 생각하는
      정치인들이 전면에 나서고 있으니까요

  • @user-br5ej6wk5q
    @user-br5ej6wk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이나라 국민들이 교수님말씀에 많이 공감 해야 나라가바뀌는데 어서 독일처럼 홥리적인 사람사는세상오길바랍니다

  • @user-sp4rc5dx5w
    @user-sp4rc5dx5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제발 우리 아이들이 학대 당하지 않는 교육이 만들어지길 바래봅니다.

  • @user-ws8xr9iw4r
    @user-ws8xr9iw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자본주의의 극단적 경쟁과 피라미드 서열구조에서 반성 없이 살고 있습니다...
    또한 구성의 오류속에서 어우적거리며 무력감에 빠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각자도생의 처세술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 @user-dc1dr4zv7l
    @user-dc1dr4zv7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4

    머리좋은 사람들 의사 판사 검사 잘먹고 잘살겠지만 나라는노벨상 하나 받지못할 3류나라밖에 희망이없다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들을 살육하는 거 보고도 노벨상 타령할 겁니까? 노벨상 안 받아도 좋으니, 사람답게 살아보자구요.

    • @Jordanbutterson
      @Jordanbutterso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맞습니다. 머리 좋다에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인슈타인, 빌게이츠 급으로 머리가 좋은 게 아니고... 걍 암기력이 좋은 거죠. 똑똑하다, 머리좋다라는 표현보다 암기력이 좋다 인듯요.

    •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기대하는 거부터가
      지나친 욕심이우.
      욕심을 버립시다.

    • @PETBOY
      @PETBO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암기 스킬이 좋은거지, 창의성은 없음. 애초에 그렇게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

    • @ZarathuPower
      @ZarathuPow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Jordanbutterson 국어, 사회, 한문, 영어,일어 등등은 진짜 외우기 과목인데 화학, 수학, 물리 등등 개념과목은 머리가 있어야 함. 그렇케 다 외우기과목이라고 말하면 지금 그리고 앞으로 공부하는 젊은이들에게 왜곡된 관념을 심어주는 오류가 됨. 조심하셈.

  • @user-ve8yu8oc3d
    @user-ve8yu8oc3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우리가 정말 잘못되고 있는데도 고치려고 하지 않으니 문제입니다.

  • @user-et6ij8lt6d
    @user-et6ij8lt6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한국의 학생들은 부모들의 욕심과 경쟁에 떠밀려 지옥같은 학원 뺑뺑이에 내몰리고 있지요. 그래서 정말 세상에서 가장 불쌍하고 불행한 아이들이 한국의 학생들이지요.

  • @kyung-rankim8155
    @kyung-rankim815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너무나 정확히 한국 교육의 문제를 집어주셨읍니다. 이런 진실을 말씀해 주시는 분들이 많아야 한국사회에는 희망이 있읍니다.

  • @user-mo7rm3id2d
    @user-mo7rm3id2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인성은 개판인 엘리트들
    그것들이 세상을 개판으로 만든다

  • @haha-sr4ev
    @haha-sr4e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김누리교수님 교육부장관 하셔서 우리아이들 행복지수 높여주세요
    김누리교수 교육부장관 국민이 밀어줍시다

    • @user-hb8cd6mg1f
      @user-hb8cd6mg1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너무 슬프게 나라 전체가 이런분위긴데 이분이 교육부장관되시면 얼마나 많은 프레임을 씌워 하는 말들마다 교묘하게 편집해서 왜곡시킬지 갑갑하네요...

    • @klee06able
      @klee06abl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교육부 장관이 뭐라고

    • @sungsoohong9302
      @sungsoohong93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육부장관은 절대 안됩니다. 정권의 일개 하수인에 불과합니다. 교육개혁과 상관없는.

    • @user-et8id9wm2y
      @user-et8id9wm2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 대통밑에는
      어떤 좋은커리쿨럼이
      먹히나요
      윤서결은 뱀의귀를
      가져서 말만하고
      귀가 듣지않는데
      경험없는 무지한자를
      대통으로
      그위에 또 한명줄리

    • @user-jm1hf9ne8h
      @user-jm1hf9ne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대통령해야ㅡㅡ

  • @RiseHigh333
    @RiseHigh33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의사협회 주수호....음주 사망사고 내고도 집행유예. 의사면허 유지.

    • @user-px1ch5ie7w
      @user-px1ch5ie7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성폭행 살인 주가조작 남에 재산강탈 검사 판사들은 수사조차 처벌조차 없는게
      현실이죠. ㅋ

  • @manash7294
    @manash729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한국의 교육은 혁명을 해야 해 정말 맞는 말이다.
    전국 상위 고등학교의 전교 1등을 하는 천재 중의 천재들이 자기 밥그릇 하나 챙기는
    의사에 목매는 교육의 현실이 전세계에서 가장 야만적인 존재가 됐다

    • @hyojunekim7444
      @hyojunekim744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아요...지금 한국에는 AI 앱 만드는 젊은이가 없고, 엔진을 다루는 엔지니어가 없어요..수준 높은, 최상위의 반도체 기술을 만들 대학원 학생이 없어요...그런데 또한, 의사를 선호하는 것은 사회가 만든 현상이라고 생각해요. 45세 넘으면 '알아서 나가라'라는 대기업과, 좀 늦게 시작했지만, 하고 싶은 만큼 계속 일할 수 있는 의사.....여기에서 현타(현실에 대한 파악)가 온 것 같아요...그렇다고, 피라미드 라는 공통적인 사회현상이 문제는 아니지만...결국 영상에서 말하는 것 처럼, 정상적인 경쟁이 아니라는 것이 본질 같아요

    • @kongshouse7554
      @kongshouse755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심지어 자기 적성이나 재능 상관 없이 1등이면 돈버는 의사! 이런게 완전 이상하고 기이한거죠.. 그러니 필수과 안가고 사직서 내서 환자들 죽는거 나몰라라 윤리도덕성도 없는거고요.. 사실 돈때문에 갔는데 나한테 왜 윤리를 요구해!! 하는 중…

  • @user-vp3bc9rn8f
    @user-vp3bc9rn8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김누리 교수님.. 독일에서 공부하셔서.. 독일의 교육시스템 사회보장 체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말씀 많이 해주십니다. 개인적으로 독일의 교육시스템을 부러워하지만.. 한국은 독일처럼 되려면.. 단순히 의식 개혁으로만으로는 될 수 없고.. 오랜 세월에 걸쳐서 시스템 자체를 바꿔야 하는데.. 이것 또한 불가능에 가까울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독일의 교육 시스템은 경쟁주의가 아니라 평등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며, 국가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교육은 공교육 내지 국공립학교를 통해서 제공되고 있고.. 무상입니다. 거의 대부분 대학과 초중고등학교가 국공립 학교이고, 교육의 질은 차이가 없음을 추구하고 실제도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학입학시험은 따로 존재하지 않고, 졸업 시험을 통과하면 대학 입학 자격이 부여되고, 내신과 학생부를 중심으로 선발을 합니다. 대학 입시에서 경쟁이 존재하지만.. 지역 내의 대학 중 선택해야 하고 과에 따라서 경쟁이 존재하지만.. 이것도 심하지 않거나, 1-2년 동안 직장생활이나 사회봉사를 하면서 경력을 쌓으면 별도의 티오로 선발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한국과 독일의 가장 큰 차이는 교육을 국가가 책임지고 있고, 초등교육부터 대학교육까지 학교별 수준 차이가 없는 평등한 교육이기 때문에 경쟁이 존재하지 않고, 원하는 학생이면 누구다 동일한 수준의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국은 국공립 학교보다는 사립학교가 많고, 특히 대학교육의 90프로 이상은 사립학교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학은 학교마다 교육의 질적 차이가 크고, 학생들 입장에서는 더 나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를 선호할 수 뿐이 없습니다. 게다가 독일과 달리 지역격차가 심하고, 서울 및 수도권으로 모든 기능이 집중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대학도 서울 및 수도권 대학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경쟁이 필연적으로 없을 수 없는 환경입니다.
    따라서 독일과 같이 되려면.. 대학의 질적 평준화, 지역 격차 해소가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서는 학벌이 필요없는 사회가 되어야만 가능할 것입니다.

    • @user-qz2hl8yr4f
      @user-qz2hl8yr4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살기위한 치열한 경쟁사회가 지나친 경쟁위주의 교육을 만들거라고 봅니다.못배우면 더 임금이 낮고 무시당하고 더 힘들게 일을하는 열악한 경쟁사회가 문제지~ 그런 사회에 적응하기위한 처절한 인간들의 행동 자체를 비난 할수 없어요

  • @jhpark7825
    @jhpark782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4

    학대, 폭력, 경쟁, 불행의 교육 시스템은 수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전혀 달라지지 않았더군요. 말씀하신대로 이건 정말 개혁은 불가능하고 뒤집어 엎는 혁명이 필요해보입니다.

    • @dy5851
      @dy585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교육시스템이 어느부분에서 어떤식으로 학대,폭력,경쟁,불행으로 작용하는지 인과성을 보여줘야지요. 단지 두 사건을 상관성만 띈다고 인과성으로 받아들이는건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 @dy5851
      @dy585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예를들면 젊은 세대의 과도한 사회적 계층간 열등감은 과도한 sns활동과 허영심도 한몫합니다. 과도한 자랑, 과도한 뽐냄, 국민정서도 남들비교하는거에 목매여있고요. 또 굳이 학력만으로 열등감이 생깁니까?
      부의 불공정성, 외모의 불공평함, 사회적차별 등 얼마나 많은 열등감요인들이 많습니까.

    • @leejason7946
      @leejason79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y5851그런 행동이 어릴때부터받은 경쟁교육 주입식암기식교육의 결과입니다 ㅎ 그걸모르시네요 ㅎ

    • @dy5851
      @dy58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eejason7946 암기교육보단 부모교육영향이 크죠.. 미숙한 정신상태를 가진 부모들은 아이를 가질 수 없도록 하는게 차라리 목적에 부합할듯 합니다만

    • @leejason7946
      @leejason79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y5851 부모가정교육도 당연히 영향끼치죠.

  • @jk6273
    @jk627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미국을 보라! 그들의 대학이 얼마나 혁신적인 지 하버드, 프린스턴, 스탠포드, 예일, 엠아이티, 칼텍, 웨스트포인트... 정말 세계를 리드하는 교육기관을 만들어 놓았다.
    세계의 인재들은 거기로 모여들고 그들이 다시 미국 사회에 흡수되어 미국을 발전시켜 나간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 변방에 앉아서 아무도 모르는 우리들만의 리그를 만들어서 점점 더 뒤처져가고 있다. 가히 한심한 일이다.

    • @justicetruth3160
      @justicetruth316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미국 비행기 떨어지고 원전 짓지도 못한다.

    • @Linemaker23
      @Linemaker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justicetruth3160 ㅋㅋㅋㅋㅋㅋ

  • @user-lo5bv6sw2z
    @user-lo5bv6sw2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엘리트들이 권력을 갖고 그 권력을 평생 갖기위해 달콤한 언어술사에 국민이 권력자 종. 부하가 되어가고있다

  • @user-sg1fd6zj2i
    @user-sg1fd6zj2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아이들이 공부하느라 학원으로 밤낮없이 지내니
    햇빛을 쐬야 뇌건강도 좋아지죠 우울증이 많은 이유죠 교육행정에 문제입니다

    • @user-fe1cz8pt8z
      @user-fe1cz8pt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625이후 앞만보고 달려온지금 이제는 놓친것이 무엇인지 돌아보아야할때가 된것일뿐.
      한국의 역사가 짧은만큼 장치나 지혜가 부족할테고 이런시기는 언제일어나도 이상하지않은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시기를 지혜롭게 해결해나가 현재의 선진국들이 된것 아니겠습니까?
      인생이 좋을때도 나쁠때도 있듯이.

  • @user-ro9er1te2u
    @user-ro9er1te2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김누리교수님
    응원합니다!
    전국방방곡곡 모든 곳에 강의해주세요
    교육계 정부 국회 학부형 학생등 국민모두의 귀에 외쳐주세요
    가슴에 와닿아 우리나라의 교육이 바끼는 그날까지 교수님 힘내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xb5fb1kk1x
    @user-xb5fb1kk1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교수님 말씀에 크게 공감합니다.
    우리 사회의 건강을 위해
    교수님께서 건강하셔서 계속 좋은 말씀 들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user-sx5vb2lp2l
    @user-sx5vb2lp2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김누리교수님
    정말 옳으신 말씀이십니다

  • @loveyuni7291
    @loveyuni729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정말 사회를 직시하시는 말씀입니다..존경합니다
    바른소리 기대합니다

  • @freemind2567
    @freemind256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저도 아이들을 경쟁이 제일 심한 곳에서 30년을 살면서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가장 많이 겪은 사람립니다. 아이들 키울때 30년후에도 우리나라 교육이 변하지 않는다면 우리 나라는 가능성이 없다는 생각을 늘 했는데, 지금은 더 심해졌겠죠! 교육 혁명이 일어나지 않으면 인구소멸도 당연한 결과입니다. 인권유린 맞습니다. 그때 상처를 아직도 우리 아이들과 겪고 있는중입니다. 어떻게 교육혁명해야 할까요? 아이들이 희망이 있는 나라에 살아보고 싶어요

  • @user-cu5vm8io9b
    @user-cu5vm8io9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독일같은 나라는 국가가 국민들의 교육을 책임지는 나라이다 보니 국민들은 안정적으로 삶을 꾸려 갈 수 있지만 저희나라는 소위 잘 먹고 잘나가는 지도자들은 자식들에게 온갖 😮비리로 스팩을 쌓게 하고 부모 찬스 만들어서 좋은 대학을 가게 할 뿐만 아니라 취직 문제에 있어서도 조선 말기에도 일반 서민들은 아무리 공부를 잘 했어도 과거에 붙질 못했습니다 매관매직으로 오로지 부모의 능력으로만 좋은 직업을 구했습니다(김구선생님전기속에서)
    그러다 보니 나라가 풍랑으로 더욱 회호리가 쳐졌습니다

  • @ekchiefify
    @ekchiefif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4

    지금 4050대 부모들이 반성해야한다. 사람을 낳아놓고 닭처럼 키우니.ㅠㅠ

    • @user-ge1fm2je7r
      @user-ge1fm2je7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부모들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국가를 잘못 운영하는 사람들과,
      거기에 대해서 문제 의식을 가지지 못하고,
      아무 생각없이 생존에만 몰두하는 저와, 당신과, 우리, 모두의 문제 아닐까요?

    •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70대 이상이 잘못한거지 40대ㅠ50대도 니들과 똑같은 경쟁속에 살았어

    • @sky1ace
      @sky1ac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누구나 자기 삶이 제일 힘들었습니다
      지금 또한 자기의 삶이 제일 힘들고요
      모두의 잘못이 맞지만 거기서 국한되는게 아니라
      대책을 찾고 지지하고 행동해야죠
      남탓할 시간에 더 나은 세상을 만드려는 분들을 찾고 힘이 되어줍시다

    • @user-gs1fb4sz5r
      @user-gs1fb4sz5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yuntorisisatsu 70대는 갑자기 왜? 4050 세대가 잘못 맞는데? 강연하시는분도 항상 86세대가 문제라고 하고 다니는데요? 아 40대는 이제 86 세대가 아니려나 그럼 40대는 아니겟네요

    • @user-ml3yp2rp5h
      @user-ml3yp2rp5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누구탓을 하시네요~ㅠ
      우리 모두의 탓이요!

  • @user-zk9em1ln6u
    @user-zk9em1ln6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독일은 정육점 사장, 농부도 자신의 직업에 자긍심을 갖고 산다. 사실 의사 검사 등 얼마나 고달픈 인생인가.

  • @user-kz2hj4nx4j
    @user-kz2hj4nx4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딩아들 친구들이 놀러왔는데 아이들 하나하나 공부그닥 잘하지 못해도 너무 이쁩니다 1등아닌 각자의 자리에서 삶을 행복하게 살았음 해요...

  • @user-pl4rc6lq8r
    @user-pl4rc6lq8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부모들도 문제이나 근본적으로 대한민국은 너무 극단적으로 의사 판사 검사가 돈을 잘 벌고 대우받기때문에
    그거에 목 맬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구조적 모순이죠…

  • @user-om9tl5js4c
    @user-om9tl5js4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교육 혁명 ~감사합니다

  • @user-qc7pp4xn7b
    @user-qc7pp4xn7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 시대에 교수님의 강의는 한국교육에 한줄기 희망이되는듯 합니다
    너무나 경쟁.입시교육으로시장경제의 소모품으로 교육을 받은듯해요
    인간다움과 인성이 없고 남을 밟고 일어서는 교육은 정말 야만인듯 합니다
    인성이 없고 남을 배려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없는 인간을 어찌 성적과 학력이 높은 사람으로 존경해야할까요?
    한국사회가 정말 재능도 많은 사람인데
    교육제도가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 시대가 온듯합니다
    이 시대에 정말 필요한 교육을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와 존경을 표합니다

  • @kitaidong8382
    @kitaidong838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맞아요 교수라는 작자들이 학생들에게 니들은 인술을 배울 자격이 없다라고 꾸짖어야지
    의사 판사 전부 돈독만 올라가지고 참 나라꼴이.... 야만인 맞아요
    구구절절이 옳은 말씀 입니다

    • @user-gt5rv5oo2m
      @user-gt5rv5oo2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의사 판검사 완전 맘몬에 붙들려 돈 신이면 최고로 살고 있으니 인격 상실이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을 어찌할까요

  • @user-uc3hd8ud2y
    @user-uc3hd8ud2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사람은 됨됨이가 가장 우선시 돼야 한다, 인성이 올바라야 사람이지, 암기력만 좋다고 사람이 되는 건 아니니까요, 인성 견차반인 화이트칼라와 인성이 휼륭한 블루칼라 중 누가 멋진가요? 대답은 누구든 안다!

  • @user-hf4sz8hb2i
    @user-hf4sz8hb2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교수님 강연 열심히 보고있습니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 @yunsu2018
    @yunsu20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언제나 교수님을 지지합니다.❤

  • @user-nv2jk8dx2s
    @user-nv2jk8dx2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개인이 자신의 성공과 출세를 위해 사는게 잘못된 건 아니지만, 국가와 사회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큰 방향을 고민도 하지 않고 안이하게 개개인 스스로 알아서 하라는 식이고 거기 각종 이권단체들이 자기들 욕심만 채우니 올바르게 하는것이 참 어려운 일 입니다.

  • @user-wv6gl3xd2i
    @user-wv6gl3xd2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저는 김누리교수님 강의는 다 찾아서 보고 있습니다 저에게는 자녀가 3명이 있구요 교수님 가강의를 들으면 저의 자녀들 생각에 사실 저절로 눈물이 흐릅니다 솔직히 저는 김누리교수님이 우리나라 대통령 되셔서 우리나라 교육제도 좀 확 다 뜯어고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의 간절한 바램입니다

  • @user-ds6xd7ve5k
    @user-ds6xd7ve5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교수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엘리트들이차고넘치는데 왜 노벨상을받는자가없을까요?

  • @user-ph1rm3iv2m
    @user-ph1rm3iv2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좋은 방송을 하는데 구독자 수가 적네요.
    구독합니다.

  • @lehoonlee
    @lehoonle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유물론적 물질주의 시대가 되다보니
    육신의 안일만 쫒는
    짐승이 되어 그러는겁니다.
    그러다 보니
    사람이면 기본으로 갖추어야 할
    도리 도덕 양심등등 인륜이 뭔지
    잊은거지요.
    우리 말의 "사람"이란
    먹어야 사는 육신을 가졌으니
    사는것에 필요한 물질을 얻기위한
    경제활동을 하는 삶을 이루고,
    더불어 내면에 내재된 순수이성의 자아
    참된 알나 참나 즉 양심을 찾고 깨어나
    자신이 누군지 알고 자신을 먼저 사랑하며
    남을 나처럼 여길 줄 아는 앎을 이루고
    그 삶과 앎이 조화와 균형을 이룬 존재를
    "삶앎"이라 하지요.
    고로 물질의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것은
    잘 못된게 아니지요.
    문제는 "그것만 하니" 문제가 되는겁니다.
    물질적 육신의 삶과 정신의 앎을
    균형있게 추구 해야지요.
    그리고 그 앎이란 지식은 물론 당연한거고
    그 지식들을 한줄로 꿰어 보배를 만드는
    지혜를 말함이지요.
    지식은 많으나 지혜는 없는 짐승 소인배들
    요즘시대 용어로는 사이코보다 더 무섭다는
    소시오 패스들만 양산해 놓은 거지요.
    거기다 성문법치 제도 시스템 만능주의 성애자들이
    의도적으로 또는 아둔하여 인간의 기본값인
    인륜을 무시한 결과입니다.
    개인적 시각으로는 전자입니다.
    어떤세력이 또는 누군가가
    국민들이 도리 도덕 양심을 갖춘 인간이 되어
    인륜을 알면 안되고 법치주의 노예가되어
    힘의 논리에 따른 이기적 패권주의로
    탐진치적 욕심으로 물질의 이득만 쫒는
    짐승들로 교육을 시겨야 할
    간절한 사연이 있다는 방증입니다.
    지금은 그 비양심 주의 자들이
    민주 공화정 성문법치 제도 시스템에 투영하여
    똑 같은 짖거리를 하고 있지요.
    그래서 사람들이 법치주의 만능에 빠지고
    법치를 성애하며 민주를 갈망해야 하지요.
    그래서 지혜는 없고 지식은 충만한
    뭐가 뭔지도 모르고
    문제의 근원적 본질과 핵심을 못보는
    자본가의 물질자산(돈)을 불려줄 노예들로
    키워야 하는겁니다.
    작금에 벌어지고 있는 이모든 작태는
    사람이 즉 사람 마음이 다한거고
    성문 법전과 그속의 글자들은
    아무것도 한게 없읍니다.
    대표적 사례가 조선이지요.
    유학를 효시로 내걸고 사대문에 인의예지를
    새기고 행동하는 양심으로
    세상을 다스려 보겠다고
    호기롭게 시작 했지만
    "행동하는 양심"이 야심이 되어
    "행동하는 야심"으로 민족과 나라를 팔았지요.
    그래놓고는 "유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며
    핑계를 대네?
    그 유교 경전과 그속의 글자들은
    아무것도 한 것이 없고 지금도 그대로 있고
    당시대를 주름잡던 양반들의
    비양심이 다 한건데 말입니다.
    그래도 조선은 행동하는 양심으로
    천부인 원방각 천지인 인내천 사상에
    유학의 성리학 이론을 가미하여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한글이라는 걸출한 작품이라도 내 놨다만은
    서양민주를 도입한 후손들은
    뭘? 내어놓을래?
    그런 한글에서 그 제자원리와 철학을 무시하고
    사람을 상징하는 삼각형을 빼서버려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는것에
    사람이 없지아마?
    그런 아둔하고 멍청한 후손들에게
    뭔놈의 형이상학적인 것을 기대하겠냐 만은
    다만 작금의 니들 운명이 풍전등화이니
    니들이 살아갈 목숨줄이나 제대로 챙겨
    살아남기만이라도 해라.
    우리 한민족은 우주적 진리의 알(무극)로부터
    힘을 얻는 알로힘들이라
    행동하는 양심으로 홍익인간 하기를 거부하고
    비양심을 시전하며 바락한다면 벼락을 맞는다.
    본연의 정체성을 잃어
    유전자적 변이로 이방인화 되어
    자신이 누군지도 모르는 짐승이 되고
    철학사상과 문화 역사를 잊은 민족은
    존재 가치와 의미 권리도 미래도 없다.
    하여 내 속에 진리의 알(얼,엘)이 있다하여
    참된 나알 참된 알나 또는 알나 眞余라하며
    나의분신 자식을 알나 얼나라 한다.
    그래서 고대에는 진리의 알에서 깨어 난자를
    왕으로 모신것이다.
    결국 너 자신이 하나님(하느님)이고 왕이며
    주인인것이다.
    지가 주인이면서도 주인인줄 모르는 주인이되니
    다들 없신여기는 것이다.
    니들 사투리 또는 방언 이라는 말속에 다 있지않느냐?
    니들 말부터 다시배우라.
    추신:
    다음을 참고하라.
    순 우리말에는
    "알나"라고하는 말이 있다.
    '진리의 알을 품은 참된 나'
    즉 "참 알나"라는 뜻이다.
    한자 표현으로는 진여(眞余)라고 한다.
    우리 한민족은 다른표현으로
    존칭을 붙여 하나님(하느님)이라한다.
    그의미는
    진리의'알'이신 참된'나' "참알나"이고,
    한없이 작으나(무극)
    태극의 조화로
    우주만큼 한 없이 크시고(황극),
    시작이며 끝이라'한(韓)'또는'칸'이고,
    단 하나이신'참된 님'이신 영(靈)이라
    "하나님"이시고,
    진리의 하늘에 거하니
    "하늘님(하느님)"이시고,
    우리들 우주의 울타리가 되시며
    그 안밖어디나 거하시니
    "한울님"이시고,
    가슴머리골에 내려와 거하는
    큰얼이 되는님이니
    "한얼님"이시다.
    달리부르나 모두 한분이시다.
    왜? 우리우주의 진리는 "하나"이니까.
    이게 우리 한민족 민족정신
    삼위일체 사상의 한 단면이다.

    • @shimjw
      @shimj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부 많이하셨군요.
      절대동감 합니다.
      20년 공부하니 알게 되었습니다.
      성경공부 하며 저의 결론은 육신의 욕망을 따르는 삶이 바로 기독교의 지옥 이라고 생각 합니다.그래서 육신을 물에 빠지게하에 육신의 장례를 치루는것이 바로 침례라는 의식입니다.

    • @user-oc9wo7gd6d
      @user-oc9wo7gd6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동학을 공부하셨네요.

    • @user-nx6ej1ku9l
      @user-nx6ej1ku9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분이 핵심을 짚으셨다
      단순히 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물질만능주의 풍토가 본질임.

    • @user-tz6pe1fd1x
      @user-tz6pe1fd1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글 감사합니다 🎉

  • @user-he8ii1lq1d
    @user-he8ii1lq1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정말 공감합니다 우리아이들 정말 불쌍합니다 어른도 마찬가집니다 서로 비교하고 경쟁하고 정말 삶의 아름다움을 잃고 삽니다 이런 경쟁사회가 안타깝고 슬픕니다

  • @user-lv7km7lq5u
    @user-lv7km7lq5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김누리교수님의 말씀이 지금 우리나라 교육의 슬픈 현실인것이 안타갑네요,
    강의를 들으며 언제쯤 교육 혁명이 일어날수 있을까 생각해보면 절망적이지요,
    울분과같은 또는 혁명가 같은 강의를 해주시는분이 있다는것만으로 위안을 삼아 보네요,
    교수님의 명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 @teresachoi6012
    @teresachoi601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직장에서 20대 젊은 찬구들하고 일하다보면 실수할까 엄청 두려워하고 1인분이상해야지만 칭찬받는 분위기보고 많이 안타까웠어요
    젊은데 실수할수도 있고 넘어질수도 있는데 그걸 비난하고 못기다려주는 여유가 없는 우리 어른한테 문제가 있겠죠

  • @bokhyun62l
    @bokhyun62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맞는 말씀 입니다. 교육에 장기적 관심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김교수님의 말씀 대로 교육이 이뤄졌다면, 조중동 기래가들과 양승태, 최재형,김학의, 윤석렬, 한동훈, 이동관, 이낙연같은 인물들이 안나왔을겁니다.
    제1단계교육혁명으로 국가존립과 국민행복에 앞선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명문대를 없애야합니다.

  • @sun9kang
    @sun9ka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감사합니다.
    포악한 인권유린식 교육의 희생당했다는 개념도 인식 조차 못했던 권위주의 한국사회 였습니다.😢

  • @user-yk9mr9gv3v
    @user-yk9mr9gv3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공부까지 잘한 삶의 지혜를 함께 교육해야 합니다.

  • @SangKeunChang-lo3zl
    @SangKeunChang-lo3z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교수님~~ 저는,고등학교때 독어를 배우 제지입니다!! 그때도 존경했고 지금도 존뎡힙니다!! ❤❤🎉🎉

  • @user-nx6ej1ku9l
    @user-nx6ej1ku9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한국 교육을 혁명한다고 해서 문제 해결이 될까요?
    부의 분배 시스템, 자본독재 시스템을 혁명해야 합니다. 본질을 외면하고 다들 돈에 미쳐서 살다보니 교육 뿐만 아니라 저출산 노인자살율1위 등의 결과로 이어짐.
    노인빈곤율1위 노인자살율1위 이것을 방치하는 사회, 즉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개선해야 함.

  • @user-hk1tt3rn9p
    @user-hk1tt3rn9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강의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곳이네요!

    • @foxforest105
      @foxforest1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v3gu8po2m
    @user-vv3gu8po2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교수님 강의에 공감하며,
    제 자신의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 @user-hh1vm5rz9p
    @user-hh1vm5rz9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공감1005 시청잘했습니다 ~

  • @neuroshin1
    @neuroshin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교수님의 경쟁적 한국교육의문제점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교육과의료,법률의 문제점이 교수와 의사, 판검사만의문제가아닌
    학부모, 의료환자와보호자의 신뢰,
    제도적 문제점을 개혁해야되지않나봅니다.
    균형과조화, 상호양보가 필요한 문제일듯해요. 학교교실과 응급실을
    1주일만 지켜봐도 한쪽만의 집단뮨제가 아님을 현실적으로 알게됩니다. 유럽 독일 프랑스는 전문가집단에 대한 국민인식부터 다른걸로 알고있습니다.
    한국사회의 공동체의식의 문제점, 나와내가족,내집단만을 진실과 옮바름보다 앞에있는 의식의 변화가 필요할듯합니다. 한국사회의 개인의 인권과 용기를 기대합니다.

  • @yunheehong3576
    @yunheehong357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유럽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있어요. 이렇게 놀아도 되나 싶을정도로 놀지만 학교를 너무 즐겁게 다니며 배움을 즐기며 행복하게 살아요. 한국에서 학교를 다닌 저로서는 우리 아이들이 부러울때가 있네요.

    • @foxforest105
      @foxforest1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감사합니다 😊

    • @kongshouse7554
      @kongshouse755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럽 어디실까요? 저도 부럽네요 ㅜ

    • @yunheehong3576
      @yunheehong357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ongshouse7554 룩셈부르크에 살다 지금은 리투아니아에 살고 있어요 고등학생인 큰애도 학교갔다오면 운동하고 밥먹고 동생이랑 놀고 책읽고 방학이면 가족들과 여행다니고 책읽고 놀자놀자 같은데 신기하게 학교 성적은 또 좋더라고요한국에서 치열하게 공부하며 산 저는 신기하기도하고 부럽기도 해요

  • @user-kl7ln7tx4r
    @user-kl7ln7tx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범죄자 김학의와 회칠한 무덤 검사집단ㅡ
    이런 상식을 말씀해주시는 교수님
    정말 고맙습니다!!

    • @user-if1te8ks3w
      @user-if1te8ks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김재명이도 거론하셨으면 하는 아쉬웁입니다.

    • @user-if1te8ks3w
      @user-if1te8ks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보쪽의 문제아들도 언급하셔야 공평합니다.역시 다 좋은 데 한쪽으로편향기가 있네요...

  • @user-uc3hd8ud2y
    @user-uc3hd8ud2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판사? />검사? /> 사실은
    인성과 실력이 가장 아래인 사람들이다

  • @younkilee947
    @younkilee94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김누리 교수님의 생각에 100% 공감 하는 한 사람 입니다.
    저 또한 한국은 교육혁명이 일아나지 않으면 한국인들의 불균형으로 곧 자폭에 이른다고 봅니다.

  • @jsd2420
    @jsd2420 2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제가 늘 분노했던 지점 가운데 하나가 한국교육의 심각한 문제점입니다. 김교수님의 말씀이
    제 분노의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게셔서 놀랐습니다.
    오로지 점수기계를 만들어서 자신만의 안위와 물질적 풍요만을 추구하는 한국의 교육 커리큘럼은
    교수님의 주장대로 이미 망한 시스템입니다.
    교수님 표현대로 개혁은 이미 늦었습니다.혁명적인 교육 시스템의 전환이 강력하게 요구됩니다.

  • @ktwtwkim9229
    @ktwtwkim922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해법은 아주 간단하다.
    대학입학시험을 없앰으로써 대학의 서열을 없애면 된다.

    • @user-nx6ej1ku9l
      @user-nx6ej1ku9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또다른 서열정리 현상이 대신 등장하겠죠
      아마 온갖 미명하에 그럴싸한 인사시스템 대입전형이 등장하여 교수와 자본가들만의 리그가 펼쳐질 겁니다.

    • @user-gq7vf5bm6v
      @user-gq7vf5bm6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럼 입학사정관제로 귀족층 자녀들이 뇌물내고 명문대 갑니다 뭘 알고나 말하쇼

    • @leejason7946
      @leejason794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죠. 그게 독일교육의 핵심입니다. 그래야 아이들이 시험을위해 교육받는 야만적인 학대행위가 줄어들게되지요.

  • @user-tj2nd4eg5k
    @user-tj2nd4eg5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맞아요
    지금의 의사파업
    말도 안되는 일이죠
    버젓이 국민을 앞세우기도 하고
    기가막히고 코가 막히더이다

  • @user-el5jc4vf3o
    @user-el5jc4vf3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토론 교육으로 바꾸려해도 강남 아줌마덜이 반대해서 못 함
    차별이 안 되는 교육을 시키면 안 된다 함
    서울 먼저 바꿔야 함
    수도도 무슨 관습 헌법이니 괴랄한 말로 반대를 함
    그리고 경쟁 교육을 자신 스스로 먼저 안 하면 된다
    난 아들 하나 있지만 지가 공부 하기 싫대서 학원 안 보내고 공부 강요 안 했다
    나부터 의식을 바꾸라
    국가 탓 사회 탓 하기 전에

  • @selectyourname
    @selectyournam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이번 일을 기존 의료 시스템의 문제로 접근해야지 해결이 가능하지 윤리적 관점에서 옳으니 그르니 야만적이니 아니니 해 버리면 도대체 뭐가 해결되는 걸까요.. 윤리적 관점으로 보자면 교수들도 맨날 자기 제자들 성추행하고 석, 박사 학위란 명목으로 대학원생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최악의 야만적 집단 아닌가요? 이번 사태는 철저히 현재 의료 시스템이 정말로 의사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구조적 결함이 있는지, 아니면 그들의 주장이 틀린건지, 그리고 만약에 있다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로 접근해야지 야만적이니 아니니, 저런 행태가 옳으니 아니니로 윤리적으로 접근하는 건 완전히 빗겨나간 사고방식이란 생각이 드네요.

    •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국민 생명 볼모로 잡고 지들 밥그릇 챙기는게 어떻게 해야 야만적이 아닐 수 있죠?ㅋㅋㅋㅋ

    • @selectyourname
      @selectyournam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ni7dj2oe2r 독해를 좀 합시다… 요즘 실질적 문맹률이 높다는 게 괜한 소리가 아니였네요

    • @ejddlekf1954
      @ejddlekf195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래도 의대증원은 맞구요 지밥그릇 파이 적어진다고 의사가 파업하는건 잘못이죠

    • @WS-wf9du
      @WS-wf9d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방금 존경했던 박사님이 현재 한국 의사들을 파렴치한이라 칭하는 것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끝까지 듣고 다시 댓글 남기려구요.

    • @user-kg4xs6en9c
      @user-kg4xs6en9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본주의는 인간의 이기심을 발전의 동력으로 삼아서 발전하는 체제입니다. 그리고 경쟁을 해야 좋은 제품이 나오고 결과가 나옵니다.

  • @sangjchoi6906
    @sangjchoi690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사태의 본질을 잘 알지도 못하고 알려고 노력하지도 않고 편견에서 깨어 나지 못한 채로 말만 번지르르한 교수집단도 참 큰 문제입니다.

    • @user-xw3ot6ml4f
      @user-xw3ot6ml4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당신 은 저교수님 정도 만큼이나 앞서서 이야기 해보았나?

    • @user-xw3ot6ml4f
      @user-xw3ot6ml4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번질르르 ?

  • @user-fd4nj1rz3c
    @user-fd4nj1rz3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너무나도 옳은 말씀입니다.

  • @kimnoza
    @kimnoz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교육이 회복되기를 바라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공교육이 아닌 다른 교육을 실험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생명력에 맞게 배움할 수 있는, 생명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대안교육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는 지역사회의 관계망을 촘촘히 만들어가야 합니다. 호혜적인, 협동적인 전략을 통해 공동의 진로를 만들어갈 수 있는 실험이 필요합니다. 개체적인 개별의 진로가 아니라 말이죠. 자립이 아닌 연립이 필요합니다. 교육에서도.

  • @WS-wf9du
    @WS-wf9d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2:30 김누리 교수님의 예전 영상에 감동받아 방금 최근에 올린 이 영상이 추천으로 떠서 반가운 마음에 열었습니다. 저희 가족, 제 아이에게까지 깊은 감동을 주셨던 분입니다.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발언으로 강의의 효과를 얻으려고 하셨던 것일까요?
    지금 정부의 얼토당토 않은 내년도 의대정원 2000명 배정에 대해 저항하고 있는 의사들을 노골적으로 야만인에 파렴치하다고 말씀하시는 것에 경악했습니다.
    교육전문가이니 잘 아시겠지요. 50명 교육하던 의대에서 내년에 당장 200명을 교육해야하는 정부 방안이 나왔습니다.
    의학은 문과처럼 강의실만 있으면 되는 교육이 아닐것입니다.
    그들의 주장을 들어보기는 하셨는지 의심이 듭니다.
    최소한 그런 말씀을 하시려면 양쪽의 입장을 다 들어보셨어야합니다.
    경솔한 발언이라 생각합니다.
    교수님이 주장하려는 바는 알겠습니다.
    그러나, 의대 교육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인 저도 납득할 수 없는 의대정원 확대방안에 대해 단순히 의사집단의 밥그릇 싸움으로 치부하지 마시고, 꼭 한번 그들의 입장을 듣고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 @user-um9jj3cs8n
      @user-um9jj3cs8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많이 치우처 있네요 듣기도 거북하고 강의 자격 없습니다

  • @sangmoopark3521
    @sangmoopark352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경제 성장을 다소 포기하더라도 경쟁을 완화해야하는데, 부모들의 물질만능주의 가치관이 아이들을 학대하죠

  • @YoungsooStellaKim9001
    @YoungsooStellaKim900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정치권 사람들 사례는 피해가시네요 의사 판사 검사 변호사 경력자들이 나라 말아먹는 정치 하고 있는데 ᆢ

    • @user-wq9lm1qb8v
      @user-wq9lm1qb8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특히 검사들이ㅠㅠ

    • @user-bb6sc3rz5s
      @user-bb6sc3rz5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치 주제 다른데서 많이 강연하였음.

    • @magekweon8335
      @magekweon833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알고보면 사법시험 출신들...더 이상은 끝!

  • @infinitechallenges4818
    @infinitechallenges48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님.. 지역격차는 의식의 차이를 낳습니다. 제발, 지방에도 많이 오셔서, 강의 좀 해주세요!!!!

  • @user-uq8si1jt2n
    @user-uq8si1jt2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숲이 어디인가요?
    새로운 걸 추구하나요?
    나도 한번 가볼 수 있는건가요?
    무엇을 추구하는건가요?
    한번쯤 가보고 싶은데.....

    • @foxforest105
      @foxforest1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관심 감사합니다. 강의가 열린 숲 공간은 충북 괴산에 있는 '여우숲'입니다. 지금 시청하신 영상은 여우숲에서 매월 첫 주 토요일과 일요일에 열리는 여우숲 인문학 공부모임의 회원들이 그 공간으로 초청한 김누리 교수의 3월 첫 주 강연 영상의 기록입니다.
      여우숲 인문학 공부모임의 회원이 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네이버 밴드(band)에서 '여우숲 인문모임'을 검색하셔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고맙습니다.

  •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사람을 부품으로 만드는 교육에서
    인재가 나오기를 바라는거 부터가 잘못된 거지.
    부품이 생각하는 거 봤음?

  • @user-fh6qn5ob4g
    @user-fh6qn5ob4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옳은말씀 입니다.
    현대적 세도정치로 나라를 망칠지 우려됩니다.
    여기에는 교사들의 자질및 의식도 개선되어야 하지않을까요!

  • @user-ph1rm3iv2m
    @user-ph1rm3iv2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이제는 교육 개혁을 주도할 지도자가 대통령이 되어야할 시점입니다.
    여태 아무도 교육 개혁을 하지 않았습니다.
    창의적이지 못한 교육, 서열 기준의 교육제도를 바꿈으로 발생할 철저한 대비책도 준비하고서 개혁해야겠지요.
    여기는 한국입니다.
    독일식 교육을 그대로 베끼면 한국도 성공하리라는 확신은 재고해야합니다.
    한국이기 때문에 보완해야할 것이 있을 지 모릅니다.
    교육개혁을 하는데 필수적인 것은 교육 개혁을 주장하는 분을 대통령으로 뽑는 것 뿐입니다.

  • @YSJVITAMIN
    @YSJVITAMI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교육 문제에 조국을 빼고 왠 양승태~사고의 불일치로 보임

    • @Linemaker23
      @Linemaker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라고 이찍이가 외치고있습니다

    • @user-if1te8ks3w
      @user-if1te8ks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역시 조국의 문제는 언급안하시는 걸 보니 그쪽과는 잘 통하시나 봅니다. 그쪽은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걸 보니 반만 긍정이 갑니다.50%부족입니다..

    • @user-cc1oj1nx4l
      @user-cc1oj1nx4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조국의 잣대로 당신과 당신 주위를 털어보면 더 재미있을 것 같다. 누군 죄를 만들고, 누군 죄를 뭉개서 없애주고.....

  • @Aristostein
    @Aristostei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몇일에 한번 꼴로 영상이 올라오나요?? 그리고 가능하면 한 번에 좀 길게 올려주실 수는 없을까요? 😂😂

    • @foxforest105
      @foxforest10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관심 있게 시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김누리 교수님의 이번 강연 영상이 3시간이 넘는 분량인데요,
      유튜브라는 특성 상 긴 분량의 영상을 시청하는 일을 힘들어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시청 편의를 위해 20여 분 단위로 잘라서 올리고 있습니다.
      제 개인 일정과 편집 시간 등을 고려해 사나흘에 한 편 씩(주2회 정도) 올려드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 취향도 주제가 있는 영상을 한 번에 길게 보는 것인데... 시청하시는 분들의 일반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시겠지만, 영상 아래쪽에 있는 구독과 알림 버튼을 체크해 두시면 새로 올라갔을 때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
      영상 아래쪽에 있는 점 세 개를 눌러 '나중에 볼 동영상에 저장' 또는 '재생목록에 저장'으로 갈무리해 두시면 순서에 따라 계속 시청하시는 것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jinsun6547
      @jinsun654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짧게 올려도 주시고 풀버젼도 부탁드려요^^안되면할수없고요

  • @user-re1tu7zs9m
    @user-re1tu7zs9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그래서 지금당장 무얼해야 하나요ᆢ과연 이사회구조를 이해하시고 말씀하시는지 콘크리트보다 단단한 이구조속에서 무얼 바꿀수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불가능합니다

  • @yoonsilko8114
    @yoonsilko811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차라리 아이 안 낳고 사는게 났겠습니다 출생률 낮아져서 다행입니다.

    • @user-jm1hf9ne8h
      @user-jm1hf9ne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건아니고
      러저들은 남기지말고 그냥가는게ㅡㅡㅡ

  • @Hansyn59
    @Hansyn5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말로만 하는 교육. 정말 쉬워요.
    남들한테 이래라 저래나 하는것 정말 쉬워요
    김누리씨는 어떤 교육을 받았고 어떤 자녀 교육을 했는지 이것이 중요해요. 자신의 교육 행동은?

    • @user-if1te8ks3w
      @user-if1te8ks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말하기는 쉬워도 행하기는 어렵지요? 흑석/동작대는 잘 되가시나요? 대안을 제시하시고 개선을 위해 노력하십시오.

  • @user-rb1fh3re4r
    @user-rb1fh3re4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부로 계급을 나누어서 스스로 노예제도를 만들어 서로 양반이 되기위해 경쟁하는나라 신 노예제도 수능은 폐지 되어야한다.

  • @user-ip5xv7xg6l
    @user-ip5xv7xg6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말씀들으니 제 아이들을 불행하게 키운것같아 맘이 아픕니다. 국가적 과제로 풀어야할 문제라고 봅니다.

  • @sweetpotatoesyun5001
    @sweetpotatoesyun500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김누리교수님, 좋아하는 사람들 중 한 분입니다. 당신의 형님 김한길은 싫어 하지만...
    오늘의 강연은 바르게 보신 것과 잘못 보신 것이 혼재 돼 있어 간단히 말하기도 어렵습니다만 몇 가지를 지적하고 싶습니다.
    첫째, 이러한 삶의 생태계가 만들어진 속에서 열심히 산 사람들을 비난 보다는 역지사지하여 공감을 하여야 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아담 스미스의 에 보면 당사자와 방관자는 절대 같은 강도(强度)의 동감을 가질 수는 없지만 역지사지의 동감이야말로 한 사회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합니다.
    둘째, 의사집단이 반발하는 것을 뭐라 하시지만 그들도 협력자가 아닌 경쟁자의 출현을 반길 수 없는 것은 인지상정이지요. 경쟁교육을 야만이라 하면서 경쟁구도를 심화시키는 것을 당연한 것처럼 확신하시는 모순적 발언을 하십니다. 그들이 그렇게 갑작스럽게 늘어나면 과잉진료, 한정된 재원에 나눠먹기로 인한 경쟁심화 등은 불보듯 뻔하지 않을까요? 급하다고 바늘허리 못 매어 씁니다. 차근차근 협의를 거쳐 해결해 나아가야만 합니다. 총선용 포퓰리즘이 아니라 지방소멸을 염려하고, 민생을 염려하는 차원에서 귀 열고 듣고, 같이 토의하고, 협력해 문제를 풀어 나아가야 합니다.
    셋째, 독일에서 희망을 찾으신다구요? 네, 타산지석이라니 늘 배우려는 마음가짐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해외파 학자들이 공도 많지만 무조건 자신이 공부한 것과 문화 그리고 제도를 맹신한 과도 있지요. 독일의 통일은 부러운 일이었지만 한국의 분단과 군사독재, 그리고 그 잔재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또, 독일에 못지 않게 교사집단의 교육수준과 질적수준이 세계적 수준이지만 서이초 교사 죽음으로 드러나 실상은 어떠했습니까?
    독일은 교사집단의 교육수준이 세계최고 수준이지만 젊은이들이 지원하지 않습니다. 한국은 젊은 인재들이 몰려들지만 학부모들의 갑질과 교육당국의 교묘한 통제로 교사들이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들이 교실을 떠나 다른 곳에서 생존경쟁을 헤쳐나아가고 싶어도 너무 치열한 사회가 무서워 그냥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비난이 먼저가 아니라 정확한 진단을 하고 생태계를 바꾸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물가에선 물풀이 자라고, 사막화 된 곳에선 선인장과 가시덤불이 자랍니다.
    묵묵히 일하는 법조인들도 있을 것이고, 환자들을 돌보느라 한 시도 진료실을 떠나지 못하는 분도 계실 것이고, 사랑하는 제자를 염려하느라 끊임없이 고민하는 선생님도 계실 것입니다.
    그런 분들을 자산으로 사회를 서서히 바꿔 나아가야 합니다. 좋은 집, 비싼 자동차, 거들먹 거리는 권세 그게 다가 아니라는 조용한 철학을 갖도록 정신 혁명을 이뤄내야 합니다.

    • @user-cu5vm8io9b
      @user-cu5vm8io9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공감 100%입니다

    • @jungeunpark4313
      @jungeunpark43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말씀 감사합니다.

  • @user-vs1ts2jx4r
    @user-vs1ts2jx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학원에서 모든걸 배우는게 정상인 요즘 저는 한번도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지 않았습니다. 그런 저를 아동학대범 보듯하는 주변사람 들이 불편해서 저는 입을 닫았습니다. 이제 불편이 거의다 끝나갑니다. 대학도 별로 희망이 없습니다. 사회는 더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 아이들이 한국에서 제대로 잘 살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orbae8306
    @norbae830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경쟁 중심 교육이 나르시시스트 양성하는 꼴이 되어 건강하지 못한 사회를 만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hhlee6843
    @hhlee684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제목만 보고 좋아요 눌렷습니다.

  • @user-xt5le9xb5j
    @user-xt5le9xb5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늘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조금은 희망이 보입니다.❤

  • @sanmaruy5147
    @sanmaruy514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말씀 잘 들었습니다.

  • @user-dk2tl3jc9j
    @user-dk2tl3jc9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오늘 예배갔다 후회했습니다.
    잘못된 권위라도 순종하라는 목사설교였는데
    역시 나라가 변하지 않는 이유는
    교회가 일조하고 있는 듯 합니다!

  • @anhok169
    @anhok16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마치 경쟁이 적은 국가에서는 문제가 덜하다는 큰 오류에 빠진 착각을 하는 사란인 듯 보입니다

  • @user-jm8gk7vu7b
    @user-jm8gk7vu7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맞습니다

  • @anythings5588
    @anythings55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번 총선으로 느낀게 많습니다. 주입식교육이 얼마나 많은 엘리트들을 망쳐 놓고 있는지...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뼈저리게 느낍니다. 우리나라 잘못된 교육 전부 뜯어 고치고 바뀌는 날이 오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