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람은 굉장히 현실적이고 카리스마가 대단합니다."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학과 교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มิ.ย. 2024
  • 서울대 뇌인지과학 교수가 말하는 가장 무서운 사람의 특징(이인아 교수 2부)
    🚀이인아 교수 영상 보러가기
    1부 • 뇌인지 교수가 말하는, 뇌를 200% 사...
    2부 • "이런 사람은 굉장히 현실적이고 카리스마...
    3부 • "이런 경우가 제일 위험합니다" 늙어서도...
    4부 • 아무리 열심히 해도 ‘이걸’ 하지 않으면...
    5부 • “인정받는 사람이 되려면 이걸 잘하면 됩...
    불확실성을 확신으로 바꾸는 맥락의 뇌과학 [퍼펙트게스]📘
    👉product.kyobobook.co.kr/detai...
    오늘의 게스트:
    이인아 교수
    #이인아 #메타인지 #뇌과학
    📢문의: info@changeground.com
    📢스터디언 출연 신청: forms.gle/a2YoNJyU2jpZ1YxSA
    ---
    00:00 인트로
    00:19 자신의 한계를 아는 사람이 무서운 이유
    04:47 베테랑의 특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45

  • @studian365
    @studian36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인아 교수 영상 보러가기
    1부 th-cam.com/video/ftjEDxx0jYQ/w-d-xo.html
    2부 th-cam.com/video/v7XpINcoLD8/w-d-xo.html
    3부 th-cam.com/video/31MuE-Mdrhc/w-d-xo.html
    4부 th-cam.com/video/bJCXknO-ojQ/w-d-xo.html
    5부 th-cam.com/video/CPeuqHffxuI/w-d-xo.html

  • @swagcatnana
    @swagcatnan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4

    이분 말씀 공감. 그치만 또 산전수전을 너무 혹독하게 겪으면 흑화 되기도 쉽다는거ㅠㅠ

    • @user-dp7vh8du1x
      @user-dp7vh8du1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이게.. 하신말씀이 공감도 되지만, 결과론적인 말씀도 저는 하고 싶은데, 결국에 그걸 이겨내면 그 사람은 멘탈이 강했다고 말을 하고, 그걸 이겨내지 못하면 흑화되었다고 하는거 같네요.

    • @Baheieujlsksnen
      @Baheieujlsksne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리말을 씁시다. 흑화가 뭡니까 흑화가?

    • @user-dp7vh8du1x
      @user-dp7vh8du1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Baheieujlsksnen 흑화라는 말이 불편했군요~ 올리신 영상제목은 영어던데 ㅋㅋ 좋은하루 되세요

    • @chasejpark7545
      @chasejpark754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aheieujlsksnen아오 ㅅㅂ 냄새

    • @user-nk1ib1tm1e
      @user-nk1ib1tm1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게 또 순진하고 통찰력. 혜안 분별력 없고 사람보는 눈 없고 현명하지 못하고 지혜롭지도 않고 착하고 배려심 많고 싫은 소리 못하면 최악. 정말 순진하고 무식한건. 죄더라 책도 많이 읽고 자기계발 열심히 하고 다양한 사람 많이 만나 보는게 좋지 흙수저는 또 시간이 많이 부족해서 일해서 돈벌고 자기계발까지 하려면 사람 만나는거 까지는 힘듬. 멘토 귀인도. 있으면 땡큐인데 그렇다고 너무 기대지 말고

  • @natalielee8981
    @natalielee898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진짜 거창한거 필요없이 자기자신을 잘 아는게 가장 중요한거 같음. 자기 한계라던지 자기가 정말 좋아하고 원하는게 뭔지.

  • @user-wf4fh2xr9f
    @user-wf4fh2xr9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7

    자기한계를 안다는 것이 자기객관화가 된다는 말이겠지

    • @mcpgofiful
      @mcpgofifu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맞는 말입니다. 아주 명확하게 요약 하시네요.
      좀더 보태서 다른 관점으로 첨언을 하고 싶네요.
      영상에서는 의사결정 이런포인트 이야기 하는거 같습니다.
      개인으로보면 모두는 항상 의사결정을 하고 그결정은 개인의 관점에서는
      항성 최선이죠.
      가족 조직 사회 국가의 관점에서의 의사결정은 다른 문제 같습니다.
      어떤 사람이래도 모두를 만족시키는 의사결정을 할수는 없을테니.
      개인을 넘어 리더의 위치에서의 의사결정을 내릴수 있는 소양 이런 포인트 같네요.
      그런 포인트라면 자기가 아는게 뭔지 모르는게 뭔지 그한계를 이야기 하는거 같네요.
      아는거라는게 정말 어렵다 생각 합니다. 배우고 듣고 보고 하면 다 아는게 아닐테니..

    • @user-dh6li1yj6v
      @user-dh6li1yj6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윤석열과 밥똥MZ한남이 절대적으로 없는 부분이네

  • @natalielee8981
    @natalielee898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아는만큼 보인다. 경험이 정말 중요하죠

  • @jiyeonkim9862
    @jiyeonkim986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0

    동감이예요. 20대 까지 한국에서 살다가 해외나와서 직장생활 하면서 살고있는데 예전의 제 모습과 제 사고방식을 뒤 돌이켜 보면 정말 우물안의 개구리였어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다른 문화를 접해보고 고생도 엄청많이 하고 그걸 극복도 해보고. 내 자신이 그런 어려운 것들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경험하고 나니까 “어? 이게 되네.” 하는 것을 느끼고 사고가 넓어지고 유연해진달까. 젊어서 고생은 사서 한다라는 말이 틀린말이 아니더라고요.

    • @user-bc1rx5ix9e
      @user-bc1rx5ix9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젊어서 고생은 사서 한다는 소위 지배층,기득권들의 테라포밍 작업과 같은거다. 길들이고 지배하기 젤 쉬운 방식 중 이간질로 인한 갈등 유발, 비정상의 일반화 등이 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젊어서 고생은 사서 한다" 이런말은 노력에 의한 정당한 댓가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나올수 없는 이율배반적인 행태임! 본인이 고생한건 본인이 무능력해서 그 과정을 거친거지 "누구나 다 겪는" 논리는 들이대지 말길

    • @user-wn8fc1xd8w
      @user-wn8fc1xd8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bc1rx5ix9e 왜 그런 생각으로 스스로를 고통과 고독으로 내모시나요? 님은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에요, 자신을 그렇게 내버려 두지 마세요.행복하시고 올 봄에는 좋은 사람들 많이 만나시고 이야기도 많이 하시길...

    • @creamind
      @creamin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참 안타까운 사람이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그 속뜻을 모르고 무슨 지배하기위한 거야?
      지배하기 쉽게 하려면 뭔가를 못하게하지

    • @user-oy5pp2ms9b
      @user-oy5pp2ms9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10년간 고생하면서 속앓이도 하고 금전적 고생도 많았는데 최근에서야 날개를 펼치게 되어서 "어? 이게 되네" 공감 가고요. 남들은 부수지 못 하는 벽을 하나 하나 부숴가는데 행복감을 느낍니다. 풍부한 경험에서 나오는 유연성이 진짜 있는거 같습니다.

    • @user-qb2tj8me7y
      @user-qb2tj8me7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bc1rx5ix9e 뒤틀리고 꼬인 관점. 계속 그렇게 사쇼^ ^

  • @juny5818
    @juny581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1

    5:26 자신의 경험 그리고 그 경험에서 형성되는 생각들이 자기 정체성을 결정짓는다 라는 거군요.

  • @yungoankim6153
    @yungoankim615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해마가 다쳐서 기억상실증 되면 상상을 하지 못 한다. 과거에 대한 기억이 없는 자에게 상상력을 발휘하란 주문은 매우 어려운 일.
    인간의 상상의 범위는 그가 가진 기억에 의해 한정된다. 개인적(자서전적) 기억이 풍부하면 상상의 질이 매우 높거나 풍부하게 된다.
    경험적으로, 상황에 대해 아는(기억이 쌓인) 게 많아야 상상력 발휘, 예측, 일에 대한 대처 능력이 커진다는 말씀이군요.

  • @lab117
    @lab1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와 좋은 말씀. 상상은 경험에서 출발한다.

  • @lifementorjaka
    @lifementorjak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경험이 사람을 지혜롭게 만든다는 말씀....

  • @user-oj8kj9wo2b
    @user-oj8kj9wo2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훌륭한 강의가 많군요/ 자만하지 않겠습니다.

  • @thirtythreeman33
    @thirtythreeman3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2

    이거보는 사람특) 자기도 무서운 사람이 되고싶은 사람 .😊

    • @lionsion9032
      @lionsion903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나도 무서운 기쎈 사람이 될끄니까!

    • @user-ul1ce4ws9d
      @user-ul1ce4ws9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ㅋ ㅋ ㅋ ㅋ ㅋ

    • @bhl47746
      @bhl4774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ㅋㅋㅋㅋㅋ 딱 걸렸네

    • @user-xu7hh3jg8g
      @user-xu7hh3jg8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에잉... 들켰네

    • @baoayo782
      @baoayo78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건 인정할수밖에 없다 ㅋㅋㅋ😊

  • @tazo812
    @tazo81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우와 너무 좋은 강의네요

  • @user-io1tq4mz5r
    @user-io1tq4mz5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보공유 감사합니다
    ^^~~~♥

  • @user-sv6ut1he8k
    @user-sv6ut1he8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대부분은 뇌의 한계라고 생각하지만 그것보다 대부분의 경우 목표달성의 한계는 체력의 한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자신감 인내심 끈기는 모두 체력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한계는 몰라도 빨리 받아들이기만 해도 좋아요. ㅎㅎ

  • @kihongkim1824
    @kihongkim182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독서를 통한 간접경험과 직접경험은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거의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독서가 중요합니다.
    많은 경험을 가성비있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독서

    • @user-ge9vi8uw7m
      @user-ge9vi8uw7m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가성비있는 득템 독서 굿!!

  • @user-hd5mb9px3d
    @user-hd5mb9px3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무섭지 무서운 이유가 그런이유로 엄청난 열등감으로 살아간다는것 또 그런 열등감이 노력으로 승화되면 다행인데. 나르시스트적으로 나타날수 있다는것

  • @Michelle62lee
    @Michelle62le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경험치가 상상력의 크기를 키운다는 말인데, 작가나 예술가는 경험이 없어도 풍부한 상상력을 타고나는 사람들이 있는듯..

    • @jeiw5705
      @jeiw570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런 사람들은 유전적, 환경적 영향이 한몫 한다고 생각함. 태어났는데 주변이 다 책이고 예술적 분위기이고 예술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그런 경우가 많음.

    •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아뇨... 세상에 타고난 사람은 없습니다. 만약 타고 난다면 운이 좋았거나 환생을 의심해봐야죠.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있는데, 경험 이라는게 반드시 육체적인 경험만 있는게 아닙니다. 어떤 것을 스스로 "생각해본 경험" 또한 경험입니다. 오랜시간 고민하고 고민해서, 혹은 어떤 일에 몰입하거나 집중해서 어떤 생각이나 아이디어에 도달해본 경험이요. 몸으로 경험해보는 것은 쉽습니다. 몸이 힘들긴 하지만 자신의 경험이 옳은지 그른지 판별하기 위해 자아성찰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직접 경험한 것인데 의심의 여지가 없지요. 반면 어떤 생각을 해본 경험은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수시로 자가점검을 하며 자신을 증명해내야 합니다. 정말이지 자아성찰의 끝판이지요. 그래서 보통 천재들은 메타인지가 아주 뛰어납니다.

    • @jeiw5705
      @jeiw570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yung-seokchoi4277 이 말도 맞는 말씀이네요. 한편 그런 부분도 같은 출발 선상에서 시작한 사람들이 본다면 타고난 것처럼 보일 수는 있겠네요.

    • @heonmen
      @heonme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yung-seokchoi4277말이 이상한데요?? 그게 결국은 타고났다는 말인데요...

    • @user-bi9kl8ud5o
      @user-bi9kl8ud5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직접 경험 ㅡ 자기가 직접 경험
      간접경험 ㅡ
      책이나 대화. 전문가의 강의
      등을 통해 얻는 남의 경험을 간접 체험

  • @boygood-wr2qq
    @boygood-wr2q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창의력교육한답시고 공부를 등한시 하는게 얼마나 어리석은짓인지 잘 알려주는 영상 같음. 아는게 있어야 상상도 하지ㅋㅋ

    • @gag8978
      @gag897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어떤 의도로(창의성 교육을 지향하는 시대가 도래 했을 까요?!) 댓글을 다신지는 모르지만 주입식교육에 동의하신 댓글로 보여지네요. 즉 생각없는 교육을 지향하신다는 말씀이신지? 궁금하네요?! 대학(고등기관)에서 중요시하는 교육을 말씀하시는 것은 아니신거 같다. 여깁니다?

    • @boygood-wr2qq
      @boygood-wr2q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gag8978 창의력 교육의 반대가 주입식 교육 인지, 이러한 이분법이 옳은지 생각해보면 되죠. 인간은 한번도 본적도, 들은적도 없는것을 상상할수 있을까요?

    • @gag8978
      @gag897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oygood-wr2qq 선생님 교육이 당연히 전제로 깔려있음으로 저는 말씀드렸고요. 선생님의 의도를 몰라 여쭤본것일 뿐이며, 후자는 선생님 댓글에 대한 저의 해석입니다. ( 요즘 창의적인 것은 추세가 그렇다고 한다는 데요?! 이고, 대학 이야기는 기존 중등교육과는 고등교육의 차이가 있더라고요. 라고 경험을 살짝 넣어드린 것일 뿐입니다.^^)

    • @gag8978
      @gag897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에헴 알려드려요?!
      저 빚만 많은 넘입니다. ㅎㅎㅎ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5
      오~ 그렇구나...
      나는 전 세계를 어릴때부터 쉬지 않고 돌아다녔는데...
      그래서 차이가 있구나... 😂🎉

  • @songhyunnam1451
    @songhyunnam14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 @july684916
    @july68491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문가다우신 해석이네요

  • @minuet-bs9qx
    @minuet-bs9q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가
    최고의 말이네요..ㅎ

  • @user-dg1ci9zj4t
    @user-dg1ci9zj4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jisusugi
    @jisusug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는만큼 보이고
    아는만큼 상상할 수 있는 거군요

  • @user-ss5oh7ot2s
    @user-ss5oh7ot2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잃을거 없는사람이 제일 무서움 뭔짓을 할지 모름

  • @user-zz2is7ye1n
    @user-zz2is7ye1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난가 ? 하면 나 아님 . 난 아닐꺼야 하면 나임

  • @july684916
    @july68491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예측 상상 대처는 똑같은말이다 ㅎㅎ
    베테랑의특징

  • @machikr
    @machik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여기서 해마의 맵핑은 물론 학문분야에도 적용됨. interdisciplinary 즉 전공무관 전체공부가 그래서 중요함. 수학을 잘하려면 문학, 예술, 철학을 공부해야함.

  • @user-cm9bl7gn7d
    @user-cm9bl7gn7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사람들간에 경험을 많이 하라는거죠?

  • @user-oi7sg5lr6p
    @user-oi7sg5lr6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공부는 재능인가 노력인가 여기서는 노력 여하에 따라 뇌가 발달한다고 했다 근데 어느만큼 발달하는지는 개개인의 차이가 크다

  • @theitpc2732
    @theitpc273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암기력, 계산력, 공간지각력 등등이 그래도 타고난 차이가 있지 않나요 ? ? 사람들마다 제각기 강점과 약점들이 있는 것 같더라고요... 뇌성능 차이도 있는 것 같고요..

    • @user-lj6wc8rj3j
      @user-lj6wc8rj3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어차피 신경 가소성 때문에 많이 사용하면 강화됩니다. 사람들마다 제각기 강점과 약점이 있는 이유는 쓰는 것만 쓰기 때문입니다.

  • @pianohong
    @pianoho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쩐지... 회사생활 하다보면, 지금 시장상황이 춘추전국시대 언제쯤과 비슷하다.... 우리 본부 상황이 로마와 카르타고가 싸우던 몇년대랑 비슷하다... 이런게 막 연상되고 다음장면 떠오르던데..... 역사공부의 위력이군요.

  • @salbongchabb7348
    @salbongchabb734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잘 된 영화를 보면 적재적소의 배우배치~ 감독의 역량에 감탄이 절로~

  • @user-ji7vu3ip8k
    @user-ji7vu3ip8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결국 편법은 없고 정도를 걸으라는 말씀이네요!

  • @Insight_J1216
    @Insight_J121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상상력의 범위=경험의 다양성

  • @cnighappy5583
    @cnighappy558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분 찐이다

  • @ari_sullae
    @ari_sulla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한국어 중 합성어 표현이긴 합니다.
    "초거대" + "경제" 가 합쳐져 있는 각 산업 군을 대표 한다고 하는 분야의 구조에 대한 것들은 거의 대부분의 분들이 이루고 싶어하고, 다루고 싶어하는 방향의 것들이라 매일 같이 언급하곤 하는.
    혹여 이런 관점으로 바라보시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네요.
    "초미세" + "경제" 가 합쳐져 있는 구조에 대한 것들까지 살펴보겠다!!!
    즉, "초거대경제"에 어울린다고 하는 것들부터 "초미세경제"에 어울린다고 하는 것들까지 최소한도 내에서라도 "죽~~~~~~~~~~~ 훑어본다"는 관점 및 시선 가져보기.
    그 안에서 본인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대입해 보시는.
    또한, 타인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대입해 보시는.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무서워할 것까진 없고 본인도 본인 세상에서 위험에 도전을 하는 삶으로 변하면 됩니다.

  • @user-yr6nx3nz1j
    @user-yr6nx3nz1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해마 발달시키는 강연입니다.

  • @somethumb9958
    @somethumb995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결국 사람이
    개념이나 사물의 본질적인 부분에서
    순수한 의미의 창조를 한다는 건 불가능한 거네.
    이걸 또 다른 관덤으로 본다면
    새롭다는 건 전에 없던 것이 아니라
    전에 있던 것과 조금이라도 무언가 다르면
    새롭다고 인정할 수도 있는 거고.
    어렵다 어려워.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장소세포 다모으면ㆍ지도
    돌아다녀야한다ㆍ경험
    해마가 소셜맵도 관계맵
    공간적 자기머리속에
    사회적공간안에서 그맵을
    가지고ㆍ장악력 작전잘짠다

  • @machikr
    @machik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상력이 지능과 특별한 관련이 있진 않고 별개인건 맞음. 즉 반드시 지능이 우수하다 해서 상상력이 엄청난건 아님. 또 상상력이 풍부하다해서 반드시 지능이 높지도 않음. 그러나 그 둘의 결정적 연결고리는 오히려 다른데에 있음. 즉 유무 여부보단 상상의 질과 지능의 사용도에 있음. 고지능자의 상상은 그만큼 일반지능자의 상상과는 판이함. 개념적 상상, 추상적 상상이며 고지능과 보완관계를 이뤄 엄청난 영감으로 연결.

  • @soojebb
    @soojeb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9

    이거 보는사람 특) 본인이 영상속 무서운사람이라 생각함

    • @user-dc5ol2gh4o
      @user-dc5ol2gh4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0

      이놈

    • @user-v6c5z1ou3s
      @user-v6c5z1ou3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e3mr4vc8n
      @user-ie3mr4vc8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ㄹㅇ맞음

    • @user-eq3jl7vt1v
      @user-eq3jl7vt1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무서운 사람 아닌가요~?...?

    • @user-gq9vv6qt6z
      @user-gq9vv6qt6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본인 얘기를 아주 친절하게도 써놨네

  • @user-em3mk7ps8d
    @user-em3mk7ps8d 5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렇지요 남이 일할땐 안도와주고 자기가 할땐 열심히 하고ᆢ속보이는 행태

  • @user-xe9xm2yl6f
    @user-xe9xm2yl6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이말이 생각나네요😊

    • @Lbpshl
      @Lbpsh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입니다. 😊

    • @user-xe9xm2yl6f
      @user-xe9xm2yl6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Lbpshl 수정해 두었습니다.주워들은 짧은 배움으로 여태껏 잘못알고 있었네요~감사합니다.🤗👍

    • @Lbpshl
      @Lbpsh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xe9xm2yl6f 저도 감사합니다 ☺️

    • @user-ri7ou5wy4y
      @user-ri7ou5wy4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Lbpshl두 분의 댓글이 너무 따뜻해서 눈물남...ㅋㅋ주책이죠?;;;

    •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 손자의 말,
      너 자신을 알라 - 소크라테스의 말.

  • @seth4788
    @seth478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 내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다! 고생도 두 종류로 나누면 적당한 수준으로 유도되고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약이 되는 고생이 있고 아예 방치되고 너덜너덜하게 망가진 다음에도 어쩔 수 없이 또 하는 독이 되는 고생이 있다. 보통 가난한 부모를 둔 사람들이 하는 고생은 인생을 좀먹는 독이 되는 고생이지~

  • @JamesHong2357
    @JamesHong235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나는 무섭지 않네요ㅋㅋㅋ 😂

  • @annechoi3378
    @annechoi337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xx7fq5eb3t
    @user-xx7fq5eb3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악한 사람이 권력을 가진 게 가장 무섭죠 😅

    • @user-pg1gi9mr5l
      @user-pg1gi9mr5l 16 วันที่ผ่านมา

      악은 꾀!선은 꾀를 부려 물리쳐야하는것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해마 다친사람 상상을못한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서전적 기억 가지고
    상상범위는 기억의범위한계되있다

  • @user-gs1vo9im9s
    @user-gs1vo9im9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비는 자유예요

  • @heinvogul2817
    @heinvogul28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그게 바로 MBTI의 핵심적 단점이죠.
    다들 자기의 단점이나 모자란 부분을 개선시키고 변화 시키려는 노력은 1도 안 하고
    응 나는 F니까 ㅋㅋ 응 나야 T니까 당연히 이럴 수 밖에 없지, 네가 그래서 나랑 안 맞는 거야, 라고 변명만 싸지르면서 서로 상대가 나를 못 맞춰준다고
    손가락질 하는 게 최근 세대의 모습이더군요.
    자기를 하나의 프레임에 집어 넣고 타인들이 죄다 이해해주기를 바라는 지극히 비정상적이고 극도로 이기주의적 모습.
    "나는 중고차니까" (나는 T이고, 나는 T니까..)라고 말해버리면 속이 편하고 타인의 평가속에서 극적으로 안주하고 싶은 마음이죠.
    또 하나, 댓글과 반박은 저세상급이면서 이 '비판 자체'를 절대로 못 받아들임. 그 만큼 나약한 자존감이 방어기제로만 똘똘 채워져 있음.

    • @user-ug8sf3xk4d
      @user-ug8sf3xk4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그 놈의 mbti.. 어딜가나 빠지지 않고 얘기하더라구요😂

    •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원래 MBTI는 고정이 아니고 수시로 바뀌는건데 그걸 고정형처럼 사용하는게 문제예요...ㅠ ㅠ

    • @user-mr9nq8it7n
      @user-mr9nq8it7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엠비티아이로 나와 서로를 이해하려고 할 때 이질감이 들어요…. 제발 … 그만해

  • @user-qj1ib3ey5e
    @user-qj1ib3ey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계산하며 끝까지 가스라이팅하다 홀로됨. 😂

  • @jhrhew
    @jhrhe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내가 다니는 회사 고위직의 기대치를 명시한 것을 보면 사람의 한계를 뛰어넘는 조건들이 써있다. 자기 한계를 아는 사람은 감히 그 직책을 감당할 수 없고 모르는 사람들은 속임수와 정치질로 감당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 @user-tg2rx9wg4b
    @user-tg2rx9wg4b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와!!! 이런 저런 유흥적 재미 난 것만 보다가 어떤 계기로 여기 와 봤는데요. 길지도 않고 표정이나 분위기나 억양이나 뭐든 편안하며 진짜 나무 좋은 도움되는 말씀을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KTH_EDITS
    @KTH_EDIT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내 잘못이 아니다. 이 나라가 잘못이다.

  • @user-wb1fz8te2t
    @user-wb1fz8te2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주에 안 가봐도 상상 가능한데요??

  • @user-yk8cz2bh3m
    @user-yk8cz2bh3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뱃속에서부터 갖고 태어난 발달의 한계 + 타고난 기질적 측면에서 개개인마다 한계는 반드시 존재함.

    • @seongyongtwojo
      @seongyongtwoj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같은 생각입니다. 사람마다 잘하고 못하는 분야가 있죠

  • @gam1123
    @gam11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베테랑이 된다는 것이나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은 지혜로워지는 것을 말하는 듯하네요.

  • @pokachicken
    @pokachicke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양한 경험 - 경험에 기반한 좋은 상상력 - 이에 의거한 조직장악력. 얘기를 하는것같은데 말씀하시는것과 타고난 지능의 차이는 별 관련없어보입니다..

  • @user-wi7yw4jb2g
    @user-wi7yw4jb2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메타 인지는 싫은걸 해내는 지속력의.의지가 있냐없냐를 아는거같음

  • @gemstonesongof2070
    @gemstonesongof207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I와 사람의 차이가 대체 뭐지?? 탄생을 위해 말도 안되는 분량의 데이터를 사전 학습하고, 가상의 공간에서 경험도 학습하고 그것을 토대로 무언가를 생성해내거나, 확률적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 @chaewonlee8549
    @chaewonlee854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상의 범위는 기억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 @user-ew7hb1ui5j
    @user-ew7hb1ui5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내 뇌는 한계가 없음. 하는게 없음.

  • @lgh1072
    @lgh1072 4 วันที่ผ่านมา

    요즘 보면 재능이 어쩌고 하는사람들의 주장을 관통하는 내용인거 같네요.

  • @flyingp3787
    @flyingp378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딱 이순신 이네요.

  • @LJaei
    @LJae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는 만큼 보인다'

  • @user-qq7nb9mx5l
    @user-qq7nb9mx5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런 얘기가 가장 위험한 얘기입니다.

  • @user-rc2xt8lu3s
    @user-rc2xt8lu3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메타인지랑 비슷한맥락일까요

  • @satxsa
    @satxs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공해마 이식하는걸 보면 장기 기억을 인위적으로 편집, 조작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복제인간의 해마를 개조하여 편집된 경험을 주입(?)시키고 특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대가 머지않은것 같습니다.

    • @waneekin
      @waneeki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거 한참 전에 게임으로 나왔어

  • @satxsa
    @satxs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경험이 독이 되는 경우도 알려주세요.

    • @user-tu3bk2nn5p
      @user-tu3bk2nn5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지나가다가...댓글 달아 봅니다.
      단편적이고 편향된 경험들이 독이 됩니다.
      해독법은 경험이 독이 되는 경험을 해 봐야 합니다.
      --- 지나가는 중년의 아저씨 -

    • @user-cd1tw5ld7x
      @user-cd1tw5ld7x 26 วันที่ผ่านมา

      편견이생긴다는거?

  • @user-gp8pn7ik8g
    @user-gp8pn7ik8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는뇌출혈사고당한후에는신체능력및기억력이떨어져자연속의원리의상상속에서화산지진태풍막는
    비법을통과를알게돼였읍니다여러분도전하시면할수가있으니성공답을자신에노력에있는것입니다
    죄송함니다

  • @user-rp4hp5qh2y
    @user-rp4hp5qh2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사람은 이렇습니다
    이래야 저런 사람이 됩니다...
    사람은 늘 그 사람의 전체 인생의 극히 일부만을 보고 마치 그 사람의 모든 그릇을 섣불리 잠정짓는 안 좋은 습관이 있음
    그 추앙받는 유재석도 신인 시절엔 싸가지 없었고 선배에게 찍혀 살던 사람이었는데 이런 사람들은 그런 당시의 유재석을 보면 아마 카리스마니 뭐니 그딴 소리는커녕 이상한 소리나 해대겠지. 사람을 극히 피상적으로 봐놓고 쉽게 이런저런 말을 하는 사람들의 말이 도대체 왜 유명한지 모르겠음. 지가 사람이 어떻게 크고 성장할 줄 알고.

  • @user-ny2nx2fg2f
    @user-ny2nx2fg2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자신의 한계를 아는 사람이 '무서운 사람'이라면서 축구감독을 비유로 드는데, 궁예입니까?
    남의 한계에 대해서 잘 알 수 있을까요?

    •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한계를 알고 대응한걸 예를 든거죠. 원래 자기 자신이 자기 한계를 알아야하는건데 그걸 설명할 수 없으니 외국팀한국인감독이 한국을 잘알아서 대응한 예시를 통한거죠...

  • @user-cj3hb3uw2u
    @user-cj3hb3uw2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영상 내내 내 이야기 하는줄 ㄷㄷ

  • @user-fx1rb7ve4e
    @user-fx1rb7ve4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사람은 굉장히 현실적이고 카리스마가 대단합니다."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학과 교수)

  • @buteur79
    @buteur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모자른 애들이 자기가 똑똑한줄 아는게 언제나 문제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경험을 해봐야한다
    미래서적만읽어서안된다

  • @t-youngkim251
    @t-youngkim2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메타 인지"

  • @minjunseo2357
    @minjunseo235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메타인지

  • @july684916
    @july68491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험이 상상이다 ㅎㅎ 곧 미래예측상상이된다

  • @user-ui5sy7ig1t
    @user-ui5sy7ig1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도대체 무슨 얘긴지 핵심이 ...

  • @junpark4850
    @junpark485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계를 모르고 ㄱ같이 날뛰는 사람이 더 무서운거 아님?ㅋ 같이 일한다고 생각해봐ㅋㅋ 어우

  • @user-nk1ib1tm1e
    @user-nk1ib1tm1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100% 맞는 말씀 예전에 프랜차이즈 음식점에서 4년 7개월 알바 했었는데 그때 2년 연속 전국1등 매출을 올렿거든요. 손님들보면 의사분들은 확실히 얼굴에 의사라고 적혀 있고 특히 대학생들은 의대생들은 얼굴에서 독특한 빛이 나고 치대생 어느학교 학생 인서울 다니는 학생 얼굴보면 다 알아 맞출수 있음 미성년자한테 술 판매 금지여서 아 저손님은 의대생 치대생 인서울 대학생. 지방대 4년제 대학생 전문대 대학생 심지어는 간호대 나온 간호사. 간호 학원다녀서 간호조무사. 그것까지도 얼굴에 다 보인다. 손님도 어느분이 계산하신다 직업이 화이트칼라. 블루 칼라인거까지 다. 보임.

  • @groove1y462
    @groove1y46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마의

  • @alkimkim9370
    @alkimkim937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약한 걸 들어 강하게 쓴다.
    어떻게? 겸손(=내가 맞다는 확신을 버림)과 파트너쉽으로.
    어떻게? 오픈마인드로(나에겐 없는 방법이 파트너한테는 있다)
    나한테 없는 조각을 인정하고
    남의 조각을 잇는다.
    필요한 건 겸손과 오픈마인드.

    • @thiswrqe
      @thiswrq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몬소리고 17꺼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오. 댓글 좋은데요~? ㅎㅎ

  • @user-bg5cq9el5z
    @user-bg5cq9el5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서전적 기억

  • @mhgim3092
    @mhgim309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ㅈ댓다 10년을 집에서 겜하고 놀았는데 사회경험 무

    • @yueesertz
      @yueesert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지금이라도 사회경험 쌓으면 됨 😂😂

  • @inhopark1868
    @inhopark186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잡지를 보는 듯 한 영상

  • @for_what_or
    @for_what_o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함부로 카테고리화 시키고 타인을 규격화 시키는 문화가 가장 무섭고 잔인한 문화라 생각한다.
    개개인의 '사유할수 있는 개인주의 문화' 가 뒷받침 되었을때,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그들 각자의 능력들이 건강하게 쓰일수 있다고 생각된다.
    자신의 한계니 어쩌니 하는것은 별 의미가 없고 결국 그 사회의 가치관이나 질서, 방향성과 환경등의 영향에 의해서 '선택되어진다' 라고 볼수밖에 없을것 같다.
    능력이 아무리 출중해도 환경과 시대를 잘 타고나야만 하고, 보다 다양한 종류의 능력이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거대한 발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결국은 '개개인의 사유능력' 과 '사회적인 발전' 이 공존해야만 할거라 생각한다.

  • @lsw4168
    @lsw4168 4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이사람 교수 맞음?? 뭔 말이 중구난방 맥락도 없이 흘러가냐..
    제목 : 이런사람이 무서운사람 혹은 리더 뭐 이런 뉘앙스인데
    정작 내용은
    한계를 아는사람이 무서운사람이다 -> 그런데 뇌는 한계가 없다 -> 근데 뇌에 해마랑 다른 세포가 있는데 이것들이 뇌 발달에 중요함 -> 이 해마를 발달시키려면 많은곳을 돌아다녀보고 사람도 만나야함 -> 그래서 아까 말한 한계를 아는사람이 좋은 리더가 될수있음 왜냐? 사람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니까????
    이게 대체 뭔 개소리야..

  • @user-bg9jm7zc8i
    @user-bg9jm7zc8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여자들이 나 피해다니던데
    나도 무서운사람임

  • @user-pg1gi9mr5l
    @user-pg1gi9mr5l 16 วันที่ผ่านมา

    작전다짠 사회판임.

  • @user-yq3zn4bg6l
    @user-yq3zn4bg6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나의 한계는 무한하다

  • @seongwoojoo5048
    @seongwoojoo5048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이건 공감이 안가네요

  • @Whatissss
    @Whatisss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5:56

  • @user-lj6wc8rj3j
    @user-lj6wc8rj3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나를 알아라. 이 말이 뭐냐면
    현재 처한 내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해야 앞으로의 나 자신의 발전성을 결정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즉, 나는 여기까지야.. 이것과
    현재의 나는 여기까지야. 그러니까, A플랜, B플랜 등 다양한 기술을 익혀보자. 지금의 나라면 가능할 거야.. 이것은
    정말 다른 겁니다.
    나를 객관적으로 알기 때문에 현재의 내가 할 수 있는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실천이죠. 실천을 하면서 그 기술을 내 걸로 만들면, 그 이전의 나는 1까지 할 수 있었다면 그 이후의 나는 2로 레벨이 올라갑니다.
    그것이 바로 나를 알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자신을 진화시키기 위해선 현재의 자신을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나태하고 게으른 핑계를 대기 위해서 한계를 정하지 말고요.

    • @ozart7032
      @ozart703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