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쟤네들 이기려면 다시 태어나는 방법 밖에 없어요”┃'태어난 환경이 죄'라고 느끼는 아이들, 어린 나이부터 좌절감에 빠질 수 밖에 없는 현실┃교육격차┃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มี.ค. 2024
  • ※ 이 영상은 2023년 4월 19일에 방송된 <다큐멘터리K 교육격차 제 1부 - 격차의 조건>의 일부입니다.
    교육 격차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지역과 제도적 요인, 학교의 특성, 개인의 지적 능력, 사회경제적 배경 등
    그런데, 이 모든 말들이 가르키고 있는 것은 결국
    ‘나의 사회적 배경은 어떻게 설정되어있나’ 이다.
    애초에 내가 선택할 수도, 바꿀 수도 없는 조건.
    태어나보니, 이미 나의 부모는 정해져있고, 당연히 바꿀수도 없는 노릇이
    다.
    그리고 그들의 사회적배경에 따라, 교육격차는 발생하기 마련이다.
    대한민국 교육 양극화의 현실, 어떤 점이 문제일까
    ✔프로그램명 : 다큐멘터리K 교육격차 제 1부 - 격차의 조건
    ✔방송 일자 : 2023.04.19
    #다큐멘터리K #입시 #공교육 #사교육 #교육양극화 #양극화 #학벌 #교육격차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K

  • @tomato.02
    @tomato.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52

    나도 서울 강남권 살다가 전교 1등도 해보고 무난하게 공부해서 걍 무난한 인서울 4년제 갔는데 어차피 대학가서부터도 경쟁력 기르기 나름이고, 대학가면 인생의 한 계단을 오른 줄 알았는데 사실은 걍 수많은 계단으로 이어진 문을 연정도밖에 안되드라. 이말은 대학 못갔다고 인생실패한 것도 아니고, 잘갔다고 인생 성공한 것도 아니란거임. 대학잘가서 엘리트 코스대로 차근차근 밟는애들 많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한 애들도 꽤 많다. 저런 현상은 대치동, 강남 쪽에서 돼지엄마니뭐니 하면서 애들 학교가는 거 다 정보력 싸움이다 이러고 있는 부모 밑에서 자란 애들일 가능성이 큼. 좌절감 없어도 됨. 30대 되면 학교에서 1등한거? 그런거 붙잡고 사는거 보다 학생일때도 내가 주어진 환경에 최선을 다 했던 인내력과 열심히 했던 그 성품이 곧 경쟁력이 되드라

    • @Rosa-gf9hr
      @Rosa-gf9h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

    • @sianlee93
      @sianlee9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

      산증인같은 좋은 경험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또한 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사이다보니까. 이런 글과 영상들을 보다보면... 정말 가슴이 쓰라리네요.

    • @zeux1024
      @zeux102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8

      맨 마지막 문구가 바로 정답이네여.. 결국 삶은 주어진 문제에 대한 극복의 연속이니까요

    • @jonnymarcus2840
      @jonnymarcus284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옳은말 입니다.

    • @camerata8165
      @camerata816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1

      22222 학벌은 전혀 경쟁력이 아님. 나 인서울 6년제 나왔음. 의대말고.
      진정한 경쟁력은 세상을 읽는 눈과 실행력.
      부모가 그렇게 잘 사는 법을 잘 알면 왜 그모양 그 꼴로 살겠냐 부모 말만 안 들어도 80%는 먹고 들어간다.

  • @je6255
    @je625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2

    계속 강남과 강북만 비교하는데 지방 출신들은 서울에서 태어난 것만으로도 어느정도 특권을 가진다고 느낍니다...

    • @user-mx3gn7dk1h
      @user-mx3gn7dk1h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1

      맞아요. 저도 학벌이 이렇게 중요한걸 그때알앗다면 적어도 인서울정도는 갓을텐데 지방국립대 젤 셋던 과 간거 너무 후회됩니다. 서울아니라 경기권이라도 살앗다면 지방국립대를 갓을리가 없을테니깐요.

    • @maleslp6530
      @maleslp6530 11 วันที่ผ่านมา +6

      강북도 강북 나름.. 지방만도 못한 강북동네 많아요

    • @papa-ln6cy
      @papa-ln6cy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방광역시인데 너무 행복해요.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개 흙수저인건데 ㅋㅋ그리고 강북 한남동이나 성수 다 잘살아 알고나 말해 대치동은 공부나 시키는지역이란다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강남은 끽해야 전문직 ㅈ밥이사는 지역이라 공부시키고 강북 부촌 한남동 이런곳은 유학을 보내 ㅋㅋ뭘알겠니깟흙수저가

  • @jaykwack9361
    @jaykwack936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37

    남과 비교하는걸 중요시 할게 아니라 내 개인의 행복을 위해 어떻게 살아갈지 생각해야하는데 온통 매스컴이건 뭐건 죄다 1등만 말하는 나라니..

    • @user-ku5lg1xt3p
      @user-ku5lg1xt3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너무나도 옳은 말씀입니다.
      있는 그대로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고 그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중요시 여기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mj2yw3ei2m
      @user-mj2yw3ei2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의료파업하는 전공의....
      1등을 하기 위해 경쟁한 MZ😅
      이제야 이해가 되네요. 😊

    • @lkjhgfdsa12
      @lkjhgfdsa1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선행학습으로 1등을 가리는 나라가 아닌 이성적인 토론과 비평 등을 할줄 알고, 그리고 인구가 적어지면 북유럽처럼 모국어 이외에도 온국민이 영어를 할수 있도록 맨파워를 극대화해야지 정말 교육은 하나도 발전된거 없이 그대로로 안변하네요

    • @user-xc8iu7rv5f
      @user-xc8iu7rv5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매스컴 신경 쓰지 말고 개인의 행복을 찾으세요

    • @hylee6857
      @hylee685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1등 아니어도 괜찮다고 말해주자. 모두가 그걸 할 필요도 없고, 할 수도 없다.

  • @user-ih3mq6ek3e
    @user-ih3mq6ek3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70

    이렇게 경쟁해서 만든 출산율 0.6의 나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u3mg2jw5i
      @user-su3mg2jw5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 노예들을 왜이겨 ㅋㅋ 비교말고 하고싶은거해서 나만의 창조물을 만들어야지

    • @daviddk9290
      @daviddk929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2

      맞음 0.6이 이 모든 사회의 모순과 불평등이 낳은 결과물임

    • @user-rt7fg6vs8z
      @user-rt7fg6vs8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경쟁해서 출산율이 0.6이 아니라 집가격, 노산, 불법낙태(해외입양) 등이 1, 2, 3위입니다. -> 집 가격은 다들 아실꺼고, 노산은 통계치와 100% 일치하며, 낙태는 정식적인 통계는 없지만 조금만 주위 살펴봐도 쉽게 성생활하며 책임감없는 행동하는 걸 알수 있습니다.

    • @hcson5091
      @hcson509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user-rt7fg6vs8z 경쟁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그 근저에는 임금격차와 자산불평등이 있지요...사교육도 다 경쟁의 결과죠..........저기 나온 애들은 대부분 결혼도 못합니다...

    • @ninaahw4128
      @ninaahw412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수십조원들여서 유치원무료어린이집무료 백신도무료해놔도 ...안낳고 군대갈사람도너무부족....조선족이나베트남.이민을더 받아야.....10년뒤에 대학갈사람도없어서 대학교수자리도위태....

  • @iSom-qy6nj
    @iSom-qy6n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0

    차라리 아예 형편이 어려우면 차상위전형으로 가면 됨. 중하~중위층이 젤 애매함.

    • @ixnrrxckjnvk
      @ixnrrxckjnv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환경 '중하'에 지능 애매하게 '하'인
      도태남이 제일 비참한 ㅋㅋ

    • @user-eu9br4xp7v
      @user-eu9br4xp7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차상위 같은 특별전형도 대치동 저런애들이 요새 공사쳐서 감ㅋㅋ

    • @yoojustice
      @yoojustic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차상위전형이 진짜 차상위를 위한건줄 아네ㅋㅋ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 대치동 애매해 잘사는곳아님 잘사는곳은 테북임

  • @hjlee3443
    @hjlee344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6

    초등 시험을 다시 복원시켜야 해요. 가정형편이 어려운 똘똘한 아이들이 절대 중학교에서 선행으로 준비된 아이들을 따라잡을 수가 없는 구조니까요.. 초등 때부터 시험보면서 가정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도 작은 성취를 통해 학습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게 제도가 바뀌어야 합니다.

    • @KK-uh8wz
      @KK-uh8w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4

      완전 동의합니다. 초중등이 시험과 성적이 없다보니 사교워으로 메우지 않으면 고등에서는 이미 늦어요. 초등 시험만 부활해도 이 사태는 안나요. 초등부터 학교는 체육하고 놀러가는 곳이고 공부는 학원 가서 해야하니. 선생님들도 의욕이 없고

    • @usererref
      @usererre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평등을 주장하는 전교조때문에 격차는 더 벌어진거.

    • @user-gh1wy8zj9c
      @user-gh1wy8zj9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맞습니다

    • @szbrothe
      @szbroth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초등때부터 사교육이 늘어나겠군요.부모들 몫

    • @user-nh6fg6gl5y
      @user-nh6fg6gl5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초등시험 부활하면 초등부터 셤대비시키면서 애들 잡겠죠. 학원 못가는 애들은 그때부터 성적좌절할거구요.

  • @youngjunchoi3480
    @youngjunchoi348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6

    전과목 평균이 84점이었는데 반에서 뒤에서 2등이었어요. 변별력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울대 가려는 애들은 석차로 내신평가를 받기 때문에) 시험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공부를 놓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공부를 안 하는 것처럼 보이는게 점점 비참해지더라고요. 우리나라 애들 다 똑똑하고 공부 잘 하는데, 단순히 등수에서 밀려서 공부 못 하는 아이 취급받는다는 현실이 너무 가슴 아픕니다.

    • @hanmabaki_0
      @hanmabaki_0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

      시험 존나 쉽게 내나보네ㅋㅋ 저러면 공부 쫌 하는 애들 개빡칠건데

  • @lucypark08
    @lucypark0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6

    아 씁쓸하다...부디 꼭 공부가 아니더라도 장사를 잘하던지 아이디어가 좋아서 뭔가 자신한테 맞는 즐거운 일을 빨리 찾길 바라요.
    솔직히 돈 많은 부모의 서포트 부럽긴 하지만 그렇게 해서 좋은 타이틀 받고 대기업 들어가도 진정 그게 자신이 하고자하던 일인가...네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 적을것같아요. 단지 나의 생각이지만....
    열심히 살다보면 나한테도 기회는 올거라는 희망은 버리지 말아요....힘내자고요!

    • @Jullado
      @Jullad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세상에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하는 사람은 적습니다...
      그런 좋은 일도 드물고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이 90%이상 해결해줍니다.
      애써 부정하지 마세요ㅋ

    • @stylebyhorihori2902
      @stylebyhorihori29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윗사람아 애써 부정하는게 아니고 자기가 좋아하는일 하면서 잘버는 사람도 많아 윗사람아 너가 불행해보인다ㅋㅋㅋ

    • @Jullado
      @Jullad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tylebyhorihori2902 자기가 좋아하는 일 하면서 돈도 잘 버는 사람 당연히 많겠죠?
      근데 내가 말한 게 절대값이 아니라 상대값이라는 건 지능이 있으면 당연히 알텐데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거임?
      본인이 하고 싶은 거 하면서 돈도 잘 버는 사람이 전체 근로자/사업자/알바생 등 모두를 통틀어 몇퍼센트나 된다고 생각함?ㅋㅋㅋ?
      글구 내가 왜 불행해보인다고 말하는거에요?ㅋㅋㅋㅋㅋ 논리는 없고 그냥 무지성으로 남 깎아내리기 바쁘쥬?ㅋㅋㅋ
      님 지능이 더 불행해보임ㅠ.ㅠ

    • @sonyah9480
      @sonyah948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llado그냥 국가효율성을 위해서 10%찾기 위해
      90%를 갈아버리는 체계의 교육으로 만들어버려서
      인건비 증가로 제조업 중심 국책사업이 어려워
      저작권, 기술특허와 연관된 교육체계와 국책사업으로 넘어가는게
      장기적인 국가생존율을 올리는 건데 안하는 상황이 안아깝다는게 저 사람 입장.
      그래서 할 애들만 저런 경쟁하게 두고
      나머지 애들은 특화재능을 찾게해서 저작권 생산 해외판매 전문으로 가능한 형태로 교육체계 변화는 필요함.
      어차피 내수 수익으로는 이미 한계가 와버려서 서로 죽이기임.
      그래서 우리나라 상도덕 말아먹는 내수 장사하는 사람들 많은거임.

    • @e0173
      @e017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카스테라나 쥬씨처럼
      갑자기
      이미 자리잡은 기업에서 돈으로 언론이용해
      설탕,기름 덩어리라고 인식세뇌로 사업 말아먹게해줌 ㅋㅋㅋㅋ 다른거 찾는게 만능이 아님. 타이틀이 계급임

  • @user-di5ck5bw8i
    @user-di5ck5bw8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2

    남과 비교의 문제가 아니라 공정성이라는 차원에서 납득이 안 되니까 애들이 저렇게 힘들어하는거 같아요.
    아예 공부에 뜻이 없는 학생이라면 모르겠지만 자기가 의지도 있고 성적도 괜찮게 나와서 조금 높은 곳을 바라보고싶은데 자기 의지로 극복할 수 없는 벽을 느끼면 억울하잖아요.

    • @sungwonryu6936
      @sungwonryu693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교육계 뿐 아니라, 현실세계는 공정하지 않습니다. 공정하면 좋겠지만,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일 뿐 공산주의건, 자본주의건 공정한 사회는 역사적으로도 이루지 못했고, 앞으로도 그럴거에요. 잔인하지만, 세상은 공정하지 않다라는것도 알려줘야합니다. 공정성을 진리이고 정의인 것처럼 여기다보면, 본인 노력도 없이 다른이들이 누리는것을 같이 누리고 싶어하고, 그걸 권리라고 착각하는 부작용도 생기게 되는것 같습니다.

    • @tomato.02
      @tomato.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sungwonryu6936 공정하지 않다는걸 알려주는건 좋다만, 공정하지 않아도 내가 그걸 극복할수 있는 방법조차 없다는걸 아는것과는 다른거지. 공정하지 않은거 현실이다 이거임. 근데 그래서 남들은 1개할 걸 나는 5개라도 해서 넘을 수 있다면 공정하진 않아도 살아갈 희망이라도 생기는건데. 남들은 1개할걸 나는 방법조차 없다면 그 사회는 이미 미래경쟁력도 없고 후퇴만 존재하는거임

    • @ChagalBlack
      @ChagalBlac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tomato.02다른 나라는 그걸 극복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것처람 말하누.ㅋㅋ 현실을 사셔.

    • @jungsookseo583
      @jungsookseo58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선진국일수록 최대한 격차를 줄여줄려고 하죠. 그리고 노력 아예 안하는 사람 누가 있나요.

    • @user-is8kw7ek4m
      @user-is8kw7ek4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격차 줄일 방법은 분명히 있음.

  • @gramace1221
    @gramace122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8

    인생은 원래 불공평의 연속이다
    타고난 외모부터 서로 다 다르게 시작하잖아 그것부터 불공평의 시작이며 공불평을 받아들이고 열심히 노력하는 수 밖에 없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억울하지 뭣도 모르고 눈떠보니 한국 강남도 아니고 지방 그리고 서민층 한숨만 나옴 전체적으로 수준낮음
      손주들 보는 재미가 좋다는 한글도 모르고 대가족 이룬 시골할매들
      참고로 울친할머니 말년에 대소변간병바라길래 손주들한테도 욕먹고 돌아가심

    • @kukakhan
      @kukakh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노오력만으로? 절대안됨 ㅋㅋㅋㅋ 부자 애들은 뭐 손가락 빨고 있나?
      가진 애들은 생존을 위한 노력 안하고 그거 덜어서 미래를 위한 노력에 전념할 수 있고, 이미 인간의 한계까지 노력하고 있음.
      사회가 기울어진 운동장을 보정해 주지 않으면, 0.1%의 극소수 천재들만 죽어라고 노력까지 했을 때 겨우 신세역전 가능함

  • @kimmina9079
    @kimmina907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부모님의 경제력은 정보력.. 등등 뭐 말할 필요가 있나😅 집에서 신경써주는 애들은 진짜 다름..

    • @Vinodivinoguay
      @Vinodivinogua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안정감이 다르죠

    •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대학 진학 이후도 차원이 다르죠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밖에서 사고쳐도 앵간해선 좋게 해결됨. 사람 하나 죽이는 건 일도 아닐 걸?

    • @user-pj1cm1oj2g
      @user-pj1cm1oj2g 20 วันที่ผ่านมา

      @@illijllillj4477 ㅋㅋㅋ 적당히 해라 살인까지 가냐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어흙수저

  • @user-rg5rt9sh3z
    @user-rg5rt9sh3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7

    나 30대 초반인데 13년전까지만 해도 공교육을 담당한 학교 선생님이 수업 때 ebs 강의 틀어놓음.... 우리 나라 교육 시스템은 뿌리부터 뽑아야 됨

    • @user-vt2ey6eb5j
      @user-vt2ey6eb5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요즘도 고등학교에서 선생들이 인강 자료 보고 수능 가르침 ㅋㅋ

    • @user-uq9vs2wl5h
      @user-uq9vs2wl5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나고삘때 수학샘 은 문제풀이집이.없으면 자습시켰습니다😂😂

    • @lynnda64589
      @lynnda6458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13년 후에도 변함이 없죠..

    • @user-kh7mu1ud9t
      @user-kh7mu1ud9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학원강사만큼 월급 주면 그 샘들도 열심히 하겠죠

    • @user-rg5rt9sh3z
      @user-rg5rt9sh3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kh7mu1ud9t
      인강은 월 수업료 평균 9만원~13만원,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1:1 과외는 50~100이라던데 님 논리대로라면 인강으로 수업 떼우는 선생님들은 이 정도 금액만 월급으로 받아가셔야 맞는 이치겠네요^^

  • @jaewon-gv7uf
    @jaewon-gv7u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사교육 한지 20년이 다 되어가는데 내자식은 학군지처럼 스케줄 짤수 있어도 안짜요 쓸때없는수업이 정말 너무 많아요 사교육으로 서울대 보낸애들 과외 스케줄까지 부모가 대신 다 상담해주고 과외비 정해주고 부모가 다 잡아주고 그러다가 군대가거나 사회생활 시작하면 적응 못하는애들 진짜 많이 봐요 뭐 그리 부러워 안해도 되는거 같아요

  • @phj11206
    @phj1120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4

    환경의 격차가 분명 있는건 맞고 그것까지 기계적 형평성을 요구 할 순 없죠
    돈을 발라서 학원을 다녀도 결국 학습의 성취는 본인 스스로가 이룬것이기에 부정 할 순 없습니다
    근데 출발선이 다른 레이스인건 알겠으니깐 최소한 달리기 경기에선 똑같이 달리기만 합시다
    가짜스펙 뻥스펙 만들어서 명문대입학시키는건 택시타고 결승선까지 가는꼴 아닙니까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대치동 잘사는게 아니라는게 팩트

    •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7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fr78ioka6eWs대한민국은;; 단월드논란있는 Bt.s는 사이비 아닌가욤ㅅㅎ 사이비를 옹호하는 건~ 한국언니오빠들이라고 해도 나라망신이예욤욤~ 조금만 찾아봐두 방탄~너의날개는악마의것이라고 하는 사탄숭배 비티에스bt..s오빠들은 단월드 졸업생이라는건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내용이구ㅎㅎㅎ사이비 단월드를 옹호하는 뉴스,언론, 컴포Z 코오히는 나라망신짓은 그만~~그만해주세요~~~그리구 악마숭배 방탄오빠 제대하는 것보다 전남에서 지진나서 피해가 없는게 더 중요하다구요!

  • @SerengetiOneShot
    @SerengetiOneSho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9

    전쟁터에서는 산 자가 죽은 자를 부러워하고
    한국에서는 산 자가 태어나지 않은 자를 부러워한다

    • @yete386
      @yete38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ㄷㄷ

    • @user-ly7kk6pg6u
      @user-ly7kk6pg6u 11 วันที่ผ่านมา +3

      동남아 같은 개도국에서 살아봐야 한국에서 태어난 걸 행복할 줄 암

    • @user-tp5sq7ae8e
      @user-tp5sq7ae8e 8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ly7kk6pg6u행복지수가 한국이 더 낮다. 멍청한 꼰대야

    • @user-zk2yt6zs8y
      @user-zk2yt6zs8y 5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ly7kk6pg6u 동남아가 한국보다 살기 좋은 나라라고는 못하겠지만 한국 자살률 보면 딱히…

    • @user-xu3fl9mj9i
      @user-xu3fl9mj9i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ly7kk6pg6u 행복지수 한국 최하위

  • @seselee3918
    @seselee391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3세때 유의미한 격차가 발생한다...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람으로서..솔직히 공감합니다.. ㅜㅜ... 환경, 부모님관심 등이 그나이때부터 티가 나더라구요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대치동은 잘사는거아님 그래서 공부시키는거고 청담동이나 압구정 한남동이 잘사는거

  • @choyounhyo
    @choyounhy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3

    가슴이 미어집니다. 기초생활 수급자는 아니었지만. 힘들게 자랐지만 지금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포기하지 않으면 꼭 기회가 옵니다. 진리입니다.

    • @hyemichoi4153
      @hyemichoi415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수십년 전에는 존재하던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치워졌습니다. 사회 시스템을 고쳐야 합니다.

    • @qazplm1650
      @qazplm165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마이클 조던이 흑인 빈민가 가서 니들도 농구 열심히 하면 나같이 될수 있어 라고 말하는거랑 비슷...

    • @user-jr7he6dr9o
      @user-jr7he6dr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언제적 이야기기 ㅜㅜㅜㅜ

    • @jhsson
      @jhss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이제 그런 기회 안 옵니다. 그런 세상이 되었습니다.

    • @vvv-xj3iv
      @vvv-xj3i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엇을 근거로​ 그런 말씀을 하시는건가요? 순수하게 궁금해서요@@hyemichoi4153

  • @user-cq9ik1ej1h
    @user-cq9ik1ej1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저 학교다닐때 매일 10시11시까지 야자에 새벽까지 학원에.. 학생시절이 재밌다는 기억보단 불안함이 컸는데 지금도..크게 달라진건없는거같아서 아쉽네요..대학도 안가면 큰일나는줄알고 어른들 전부 돈주고라도 처음보는 대학보내고 그랬는데..언제쯤 이나라는 아이들이 행복한 나라가 될까요.

    • @math_r9250
      @math_r925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야자 평일 매일 12시에 끝나자마자 독서실가면 2시

    • @user-ow5mt7kn9i
      @user-ow5mt7kn9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차라리 군대가낫지 학생보다

    • @jhsson
      @jhss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 나라는 영원히 되지 못 합니다. 지금 태어날 아이들은 일평생 돈 벌면 세금으로 다 뜯겨서 청년의 서너배 대여섯배 되는 노인들 전부 부양하며 노예처럼 살아야 합니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이가 먹으니 부모님의 왜이리 무지하고 원망스러운지
      10대때 돼지농장같은 주입식 교육시스템에 살았던거 생각하면 지금도 소름돋습니다.
      학교보내면 등꼴 휘어라 죽어라 키웠다고 중얼대는 공고졸 출신 아버지 기가 막혀서 말이 안나옴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hsson 제일 팔자좋은 세대들이죠 정작 그 세대들은 중고졸이 대부분인데 다들 꼬마빌딩 한채는 가지고 있어요

  • @Cindy-hx2hb
    @Cindy-hx2h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현님, 지금은 힘들겠지만 그런 마음가짐이라면 훗날 누구보다 부족함 없이 잘 살고 있을거같아요 응원합니다😊

  • @jayne169
    @jayne16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9

    현재 사교육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엄마가 수시나 이런걸 모르신다" 라는 말이 근본적 문제를 보여줍니다. 아무리 교육청이나 정부에서 교육 불평등 해소 하려고 노력해도, 즉, 공부 시키려고 해도 교육에 관심 없으시거나 교육에 필요성을 못느끼는 학부모님들이 결국 걸림돌입니다... 아이가 똑똑하면 겁내십니다. 생활비도 빠듯한데 교육비까지 쓸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아이들을 후려치십니다. 공부 잘해서 어디다 쓸래? 서울대 나오면 뭐 달라지냐?
    죽자고 혼자 공부해서 서연고 붙은 친구들, 부모님이 돈 없어서 등록금 죽어도 못내준다면서 지방대 권유하거나 바로 취업하라고 종용하는 경우 꽤 많습니다.
    이 상황에서 부모 된 자신은 둘째치고 자식인 너라도 인생 펴야하지않겠냐며 교육 시키시는 분들 차상위계층일수록 흔하지않아요. 오히려 똑똑한 자식에게 열등감 느끼시거나 학대 방임 하면서 덕은 보려하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개천용의 시대는 끝났다 뭐다 하지만 교육 말고는 개천에서 벗어날수 있는 합법적인 루트가 정말 없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면학 분위기가 아닌 환경에서 공부 하는 학생분들, 이 악물고 공부하세요.
    내 환경을 바꿀수 있는건 나뿐입니다.
    좌절하지마세요.

    • @yunmyeonghun
      @yunmyeonghu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ㅎㅎ사교육 참 대단하게 말하네..

    • @kkruppingbbong
      @kkruppingbbo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yunmyeonghun사교육 없으면 좋은데 못가는거 맞는데?

    • @jayne169
      @jayne16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yunmyeonghun 제 댓글을 오해하신거 같네요. 사교육 대단하게 말한거 아닙니다. 머리 좋고, 공부 습관 잡혀서 알아서 잘하는 애들은 사교육 필요 없어요. 그리고 그런 아이들은 부모님 재력이랑 아무 상관없이 그냥 자기가 알아서 잘 합니다.
      단지 부모님이 정서적으로도 지지해주지 않는 성실한 친구들이 안타까운 마음에 쓴 댓글이고, 그 친구들이 절대 포기 하지말았으면 하는 마음에 쓴거였습니다.

    • @user-ow5mt7kn9i
      @user-ow5mt7kn9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스스로하면 사교육이라도해야지 근데 대부분 하기싫은데 강요당하는거잖아

    • @user-pm8ex9qg7c
      @user-pm8ex9qg7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서연고를 붙었는데 돈없다고 지방대 가라한다고요????일반화의 오류 아닌가요?그런 미친부모가 있다고요??헐 대박일세.지방대는 장학금이 나와도 기숙사비 식비가 들텐데?참 희한한 부모들이네?

  • @user-cg1mh3id6s
    @user-cg1mh3id6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전에는 머리 좋고, 노력만 하면 어떻게 인생역전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기득권이 돈으로 그 길을 다 독식하고 있다는 게 문제의 핵심이다. 계층이 고착화 되면, 사회는 당연히 썩게 되고, 하층민이 인내의 한계에 도달할 때 항상 혁명이 일어 났던 게 역사고, 역사는 반복된다.

    • @ddubukki
      @ddubukk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혁명을 할 후세가 없음...출산율이

  •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 15 วันที่ผ่านมา +3

    난 어려서부터 반항심이 매우 커서 중학교 때부터 부모가 원하는 삶을 내 개인의 삶에 녹여내지 않았음..그것때문에 많이 싸웠지만 나만 행복하면 그만이란 생각에 밀어붙였었는데 그게 맞는거였더라.. 사람이 개인의 행복이나 진짜 원하는것을 모르거나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가장 쉽게 생각할수 있는게 1등이란 순위에 집착하게 된다.. 그게 경쟁의 시작이고 비극의 시작.. 죽을때까지 인생 자체가 경쟁이고 그 경쟁속에서 개인은 말라죽어감.. 다이어트도 평범하게 식사하면서 본인 스타일에 맞춰서 평생하듯 경쟁도 그런식으로 접근해야된다.. 남들보다 좋은 직장, 수입, 주변환경 가지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그런것 또한 일상의 평범함이 되어버리면 별거 아닌듯 느끼게 되고 갈증으로 인해 또 다른 불행에 자신을 밀어넣는다..
    개인의 행복이 가장 우선이고 그 행복함을 가지고 어떻게 세상에서 살아갈지, 그걸로 어떻게 수입구조를 만들어낼지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사고가 필요하다.. 모든 인생의 답은 현장에 있고 현장은 시,분,초 단위로 변화무쌍하기에 거기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본인의 가치관과 행복의 잣대가 확실하게 세워져 있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생이란 파도에 휩쓸려가는거고

  • @orange8149
    @orange814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사교육도 문제이지만 그전에 부모의 양육태도, 가정의 안정적인환경, 부모의 언어습관 모든것이 ' 부모'로부터 시작됩니다.

  • @jh.p5314
    @jh.p531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이고… 부모님 미안해요… 난 대치동에서 13년간 살았음에도 원하는 대학 못가서 지금 삼수씩하고있고 특정학원에 1억이상쓴것같은데.. 그만큼 성과 못내고 ㅜㅜ 진짜 꼭 좋은 성과 보여줄게…

  • @uquw394u8
    @uquw394u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돈 없으면 아침에 EBS 라디오 영어방송이랑 KBS 클래식 FM 들어라. 공짜다. 도서관 가서 단행본 읽고 주제어 및 중심문장 찾기, 핵심내용 요약하는 연습 해. 돈 안 들어. 나도 우리 집 어렵고 가정 깨지고 해서 힘들게 공부했고 겨우 SKY 갔지만, 내가 말한 걸 그때 알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싶다. 최소 고1때까지는 수험서보다 단행본을 더 가까이 두고 읽어. 시, 소설, 과학, 경영경제, 인문역사철학 다 좋다. 단행본이 생각 넓혀주고 훨씬 더 재미있다. 그럼 나중에 저 대치동 애들 대부분이 못 따라온다. 전문직 내지 고급일자리는 거의 다 논술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객관식 수험서로는 절대 안된다.

    • @yumian8
      @yumian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읽으셨던 책이 너무 궁금하네요 ❤❤❤

    • @user-rx1yj5pl8n
      @user-rx1yj5pl8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앗 저는 똥줌오줌 읽었는데 주제가 없ㅂ더라구요

  • @user-du7tk3gu3w
    @user-du7tk3gu3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인터뷰중에 언급된 공부할 분위기와 무기력 차이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자신을 설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이 공부할 시기에 학습량을 쌓아가는 것은 필요합니다

  • @PsyPi
    @PsyP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수익만 바라보고 진정 무얼하고 싶은지 못 배우는 게 제일 안타깝지. 나도 그랬으니까, 배움이 뭔지 왜 필요한지 목표가 뭔지 명확하게 정하고 뭘 배워야지 그냥 미적분 하겠습니다. 하면 누가 의미를 둘까?
    그냥 공교육이든 사교육이든 어린이들의 옳바른 길로 이끌 교육이면 좋겠음

  • @joneqk9375
    @joneqk937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저는 외고 과고만 있던 시기에 학창시절 보낸 사람인데, 불평등이 원래 있었다고 해도 요즘이 더 문제라고 느끼는 것은, 물론 평균적인 소득수준은 그때도 동네마다 차이가 있었겠지만, 그래도 지금보다는 잘 사는 사람 못사는 사람이 섞여 있는 느낌이었는데, 요즘은 동네마다 격차가 줄어든것 같은 느낌입니다. 서로 이해 못할 환경에서 살아가게 되는거죠. 그리고 요즘에는 일반고에서 대학 진학 성적 좋은 학교는 대부분 잘산다고 여겨지는 동네밖에 없는거 같아요. 그래도 구마다 유명한 학교는 순위권에 있었는데, 다 무너진것 같더라구요.

    • @katel.5317
      @katel.53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갈수록 소득격차 빈부격차가 커져서 그런거죠 문제는 이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없이 그냥 방치한다는거..이런 나라에서 더나은 미래를 기대하며 살수가 있을지..출산율이 세계꼴찌인게 당연하죠ㅠ

    • @user-bm5db9wh5r
      @user-bm5db9wh5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이게 굉장히 문제인 게 자기와 다른 계층을 이해하는 게 어려워지고, 사회 문제들을 심화시킨다는 점입니다.

  • @user-eq6ci1su2l
    @user-eq6ci1su2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사회가 할일은 공정이라는 허울뿐인 단어를 프레임으로 내세워 국민들 갈라치고 싸울게 아니라, 공정하지 못한 사회에서 공정할 필요없이도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비전을 보여줘야함. 수능 내신에 목매는 학생들 중에 본인이 진정 원해서 공부하는 애들이 몇이나 될꺼같음?

  • @youngkim442
    @youngkim4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너무 가여워요..저러니 애들이 미치지 않겠습니까?

  • @user-ws9md4tp8l
    @user-ws9md4tp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4

    이 방송이 보여주려는 게 뭔지.. 끝까지 보고 뭐지?? 싶었네요. 교육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거나 해결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도 아니고 통계가 나타내는 사실만 전달하고 끝?

    • @user-um8qe7fr6s
      @user-um8qe7fr6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현실을 알려주는 방송

    •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영상 설명을 보면 애초에 시리즈물로 기획되었다는 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첫 방송이다 보니 한국 교육의 현실을 먼저 보여주겠죠.

    • @user-no1py8ky8z
      @user-no1py8ky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제말이요. 보면서 사회 갈등만 부추기는 방송 같아 답답했습니다.

    • @doge8977
      @doge89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냥 현실을 알려주는거죠

    • @russiancat116
      @russiancat11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너 다큐가 뭔지 모르냐?

  • @catnbaby
    @catnbab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대학은 그저 내가 미래에 하고싶고 되고싶은 것을 심층적으로 공부하러 가는곳이지.. 좋은대학 가는것이 꿈이될순 없어요.. 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고작 10년, 20년 바짝 앞만 보는 아이가 아닌 세상을 넓고 크게 보는 아이로 키울수 있는 사회가 되었음 좋겠네요..
    제 아이에겐
    공부 못해도 괜찮아. 좋은대학 못가도 괜찮아.
    니가 진정 무얼 하고싶고 어떻게하면 인생이 행복해질지를 먼저 생각해봤으면 좋겠어.
    생각해보고 차근차근 이룰수있는 방법을 엄마랑 찾아보자
    -라고 말해줄수 있는 엄마가 되고싶네요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옆집 아이 명문대 가는 걸 보고만 있을 겁니까?

    • @sdhsis9595
      @sdhsis959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llijllillj4477내 꿈을 위해서라도 아이를 명문대 입시를 위해 몰아붙이고, 남의 아이와 비교하는 부모로 아이에게 기억을 남기고 싶으시다면 그렇지 않아도 됩니다.

    • @RlarjsEor
      @RlarjsEo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dhsis9595아무렴 자식이 딸배가 되어도 부모를 원망하지 않으면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근데 그러질 못하더라구요

    • @user-gy3vt4nz5v
      @user-gy3vt4nz5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llijllillj4477재밌는 건, 서울대 간 애들 부모님 공통점으로 이걸 많이 얘기합니다. 공부를 못해도 괜찮다고 말함으로써 아이가 공부를 무섭게 느끼지 않고, 순수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준 것.

  • @user-qd8wd7pr2n
    @user-qd8wd7pr2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사람이 많고 많이 시키니깐 비율이 높은건 맞는데
    대치동에서 절대 1등. 만점은 안 나옴..
    저도 대치동 초중고나오고 30년 살았지만..
    대치동 만점 안 나옴. 주요대학이나 집단에서 1등 없음.
    100명이면 1등은 TK나 지방쪽.서울경기도 인구절반이지만 비율은 50% 안됨
    5등부터 30등까지는 대치동이 많을지라도..
    대치동 오래사신분들은 무슨말하는지 아실겁니다

  • @user-cf5ml9ss6z
    @user-cf5ml9ss6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결국 이런 현상 때문에 0.65퍼 저출산 됨 공교육 질은 다 망했고 학원에서 다 배우고 왔다고 하고 부족한 애들 봐주질 않음 공교육은 물론이고 사교육 학원은 싹다 망할 미래 사교육 열풍은 저출산을 도래했음

    • @Tootootootool
      @Tootootootool 8 วันที่ผ่านมา

      일본은 어떻게 대졸자취업율 100%인지 배워야 됨

    •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7 วันที่ผ่านมา

      ​@@Tootootootool대한민국은;; 단월드논란있는 Bt.s는 사이비 아닌가욤ㅅㅎ 사이비를 옹호하는 건~ 한국언니오빠들이라고 해도 나라망신이예욤욤~ 조금만 찾아봐두 방탄~너의날개는악마의것이라고 하는 사탄숭배 비티에스bt..s오빠들은 단월드 졸업생이라는건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내용이구ㅎㅎㅎ사이비 단월드를 옹호하는 뉴스,언론, 컴포Z 코오히는 나라망신짓은 그만~~그만해주세요~~~그리구 악마숭배 방탄오빠 제대하는 것보다 전남에서 지진나서 인명피해가 없는게 더 중요하다구요!!!!

  • @saengsunjapja
    @saengsunjapj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정현씨 힘내세요! 열심히 사는 당신에게 꼭 웃을날이 올거에요. 내 젊은 시절을 보는것 같아 마음아프고 응원하고 싶습니다. 정현씨 화이팅!! 동생사랑하는 마음이 참 이뻐요. 엄마뻘 아줌마가.

    • @Exynos3
      @Exynos3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주는 것도 없으면서 조용히 하세요 다 위선과 열폭이니

  • @user-chanwon
    @user-chanwo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2

    저게 교육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에 나와서도 저모양으로 경쟁구도를 만든다. 인간 각각의 고유의 생김새와 특성을 이해하고 살려주는 인본주의정책이 되어야 병든 사회도, 병든 교육도 치유될 것이다. 가진 것, 생긴 것 등이 가치가 되면 세상의 1명외에는 모두가 패배자가 되는 것이다. 각각의 잘하는 것, 각자의 다양한 관심과 욕구를 이해하고 재능도 다양하게 인정해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한사람 한사람이 삶의 목표를 가지고 즐겁게 살아가는 것이다. 너와내가 다르고, 다양한 모양일 수록 아름다운 자연의 섭리처럼.
    상대적 박탈감이 생기고 저출산으로 이어지지않도록.

    • @user-ew8uy4pb2d
      @user-ew8uy4pb2d 22 วันที่ผ่านมา

      와 너무 공감해요!! 제가 늘 생각하던 저출산의 근본적 원인을 넘나 잘 설명해주셨어요! 1등이 아니어도 패배자가 되지 않는 사회( 모두가 평등한게 아니라 개개인의 가치관과 기준으로 만족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 말이죠)가 되었으면 해요 ㅠㅠ

  • @user-gk2nc6vs6g
    @user-gk2nc6vs6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자 지금 대치동 자사고 다니는 학생입니다. 학원뺑뺑이? 허수들이나 하는 겁니다 상위권애들은 오히려 학원 일주일에 3번쯤 가고 나머지는 스스로 공부합니다. 그리고 애들 말 들어보면 인강이 효율적일 때도 많습니다.

  • @herren-house
    @herren-hous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2

    이래서 출산안하는거야....노예로 비참한기분 느끼며 사는건 자기대로 끝내려고

    •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이게 맞다

    • @user-lsmxni
      @user-lsmxni 2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게 맞다 우리같은거 없어도 어차피 잘삶 저분들은
      매 세대 그래왔지만 디지털시대되면서 더 체감하는듯.. 인스타 이런거땜에

    • @user-pi9gr2su7d
      @user-pi9gr2su7d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내가 그럼
      재혼가정에서 고2부터 밤1시까지 알바를2개씩 했음
      그돈으로 고등학비내고 성인되서 내힘으로 집탈출
      40중반 겨우 집한채 대출끝냈고 주식좀있음
      결혼ㅡ출산포기
      넘 힘든인생이었음
      그렇다고 내가 좋은부모가될 에너지도 용기도 없어
      혼자살다 하늘가려함

    • @user-lsmxni
      @user-lsmxni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pi9gr2su7d 성공한 인생인데요..? 솔로로 멋있게 살면 될듯.. 애인이나 하나 만들고..

    • @herren-house
      @herren-house 10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pi9gr2su7d 다 그런맘으로 살아요.... 갈땐 어자피 혼자입니다...가족이있어도...다 그래요... 말할수없는 사정들로 ...간병하는 사람없는것만으로도 본전입니다

  •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4

    한국인 부모의 입장에서 미국에서 태어나 자라는 두딸을 보며 저것들이 대학이나 갈수있을까 걱정했었어요. 미국애들 한국에비하면 정말 공부안해요. 중학교때까지는 놀러다니는거같고 고등학교들어가면 조금 하는거같은데 한국에 비하면 노는거나 마찬가지예요. 먹고사는게 바빠서 대학을 가기위한 사교육 전혀 없었는데도 그래도 명문 대학나와서 하나는 의사로 하나는 환경전문공무원으로 잘살고있어요. 그거 하나만으로도 미국에 온걸 감사하며 살고있습니다 😊

    • @user-uq9vs2wl5h
      @user-uq9vs2wl5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님 저 호주15년차 청년 애들 km em총 500명 인교회다니는데
      이민1세대 인 님 자녀같은 애들 진짜 천에 만에 하나 나와요 아시자나요 사람들 홀리지마세요

    • @user-uq9vs2wl5h
      @user-uq9vs2wl5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한국 이민온 베트남1세대 부모가 애들한테 뭘 제공해주겠습니까 그냥 님 자녀자랑 하시는구나 하고 가겠습니다

    •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uq9vs2wl5h 아닌데요? 거의 빈손으로 이민왔던 나와 내친구들 그리고 내 처가집 조카들. 아이들에게 특별히 도와줄 경제적 여유도 시간도 없이 키웠지만 지금보면 의사 변호사 엔지니어 수두룩해요. 물론 밥벌이 못하고 마약에 취한 아이들이 없는건 아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이 한국의 사교육같은거 없이도 정말 잘컷어요.

    • @user-rf2ki1vp8w
      @user-rf2ki1vp8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유전자

    •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user-uq9vs2wl5h 한국의 지옥같은 교육환경이 하도 한심해서 한마디한것이 님에게는 자랑으로 들렸나보네요. 그렇더라도 한국의 교육환경 정말 문제입니다. 나 역시 그속에서 자랐으니까요. 누군가가 그랬죠. "세계에서 가장 우울하고 불행한 사람들이 사는 나라" 라고요. 제대로 본거예요. 여기서 한국을 바라보면 그게 보여요.

  • @user-kr2cn5pr6p
    @user-kr2cn5pr6p 18 วันที่ผ่านมา +4

    옛날처럼 학교 교육 가지곤 경쟁안되고 명문대학 안나오면 본인뿐만 아니라 자녀까지 고생이라는 걸..제일 문제는 희망이 안보이는 게 제일 문제..승자독식의 사회가 무서운 것임.

  • @HS-xw7gl
    @HS-xw7g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지금의 교육격차 문제는 치장법 때문. 정확한 말씀이다. 실제 실력 보다 잘 치장해야 입시 관문을 통과. 탁월한 아이들은 굳이 치장 할 필요가 없겠지만(이런 아이들은 부모 경제력이나 정보력 영향이 덜 하겠지만). 하지만 중간에 몰린, 정규분포의 가운데 가장 많이 몰린 아이들은 돈으로 얼마나 치장하냐에 따라 학벌이 달라지니까. 이런 게 불공평 하다는 거지. 어쩌다 실력 이상으로 운 좋게 들어가는 희귀 케이스가 아니라, 돈만 있으면 똥도 된장으로 치장이 가능하니까. 사교육이란 게 개념과 원리를 가르칠 새가 없음. 족집게로 얼마나 중간, 기말 예측 잘 하냐. 스킬을 얼마나 키우냐가 더 중요함. 물론 이것도 기본이 있어야 하는 건 당연하지만(기본 이외의 것을 말하는 것임), 기본(즉, 정석)만 갖고는 온갖 요령과 정보로 무장한 애를 당할 순 없음. 선생님의 생기부작성 실력과 학교의 정보력과 입시 노하우, 뭐 여러가지 있지만, 가장 큰 건 같은 실력에서 돈으로 무장 하냐 못하냐의 차이.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런 애들 명문대 가봤자 박살나게 되어 있음. 서울대에서 꼴찌하는 애들이 딱 그런 애들. 공부해도 안 된다는 걸 본인들이 더 잘 알 거다

  • @channerman2
    @channerman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그런데 공부도 유전이 커요. 사실 환경이 안 되어서 못 하는건 정말 극한 상황이나 처했을 때 그래요. 대치동 목동에 공부 잘하는 학생 많냐면, 물론 시켜서도 있지만 고학력자 부모가 많아서도 있을거라 봅니다. 공부 아무리 시켜도, 유전자가 안 되는 애는 못 해요.
    본인 공부 못 했는데 자식 공부 잘 하길 기대하고 닥달하면 안 된다고 봅니다.

    • @user-yi8zx5fp9w
      @user-yi8zx5fp9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헉 이거 불편하지만 맞는말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전도 그런데 환경이 더 중요합니다. 제일 안정적이어야할 집에서 가부장적이고 무식한 부모를 만나면 어릴때부터 스트레스고 싸움만 발생합니다.

    • @fgdryuiy
      @fgdryui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답. 돈으로도 안되는 게 공부임.

  • @bms7786
    @bms778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아.. 저 어릴때랑 바뀐게 없네요..
    어릴때부터 강남 8학군 학원 시스템애 길들여져서 커왔는데 정말 그건 병폐라고 생각했거든요.
    그 곳의 아이들은 자유가 없습니다..사슬에 묶인것처럼 학원가를 돌아야하는 이 시스템은 잘못된 시스템입니다. 바뀌어야 합니다. 저는 벗어나게되어 기쁘지만 계속 챗바퀴처럼 그 시스템안에서 체인에 얽혀 살아가야하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이 아픕니다.

    • @user-yi8zx5fp9w
      @user-yi8zx5fp9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진짜 괴로운게 학군지에서 쪼이듯이 살았는데 부모님한테 부응 못해서 여전히 연락 안합니다. ㅠㅠ

    • @hyunjae_wife
      @hyunjae_wif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 없는 사람이 보면 그렇게 자란 것 마저 부럽습니다..

    • @bms7786
      @bms778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yunjae_wife 그렇게 자란 사람들은 자유롭게 뛰놀며 냇가에서 개구리도 잡아보고 꽃들 나무들이랑도 대화해보며 자란걸 또 부러워합니다. 정서적으로 더 좋다고 생각하죠 😊
      인공지능과 사서삼경을 자연에서 같이 연구해보는것도 괜찮죠 ^^

    • @lotto9429
      @lotto94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30후반인데 내 자식은 지 좋아하는거 시키려함
      초딩때 학원6 7개씩 다님
      그게 아직도 기억남 ㅜㅜ

    • @lotto9429
      @lotto94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교1 2등 하다 머리 커진 중학교부터 공부 내려놓음 ㅋㅋ

  • @davidtaylor1305
    @davidtaylor1305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이게 ㅋㅋㅋㅋ 영상에서도 나오지만 정말 어렸을 때부터 부모가 알아서 애를 교육적으로 잘 케어해주는 게 정말 중요하다. 그래서, 옛날에 학원이나 과외 같은 게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았을 때에도, 이상하게 서울대 부모 집안에서 서울대 애가 나오고, 의사 판검사 집안에서 애가 의사 판검사가 되는 게, 무작정 무식하게 학원을 마구잡이로 보내는 게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애를 어떻게 교육시키는가가 중요함. 근데 문제는, 애를 그렇게 잘 교육시키려면, 기본적으로 부모도 그만큼 교육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해야함. 뭐 어디서 그냥 누구 얘기를 들으니까 뭐 하면 좋다더라 하는 건 어디서나 떠도는 카더라일 뿐이고, 책이나 전문 서적도 좀 보고, 애들한테 가르칠 내용에 대해서 부모부터 공부를 해야되는 거다. 근데 그걸 안 하잖아 보통? 그래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거다. 부모가 자기들은 아무 노력도 안 하면서 애들만 학원 뺑뺑이를 돌리면 되겠음? 부모가 먼저 바뀌지 않으면 애들도 바뀌지 않는다.

  • @user-er4nf3ml1c
    @user-er4nf3ml1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좋은대학 나와야 좋은직업 고소득을 벌수있고, 조금이나마 인간답게 살수있는 세상, 학벌이 안되면 장시간 업무, 낮은소득 안에서 인간답지 못한 대우를 받게 되고 그게 당연한 세상이다. 10대의 삶은 어디로 가고, 가족의 행복은 어디서 찾나.

    • @MovementFAV
      @MovementFA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 수준 차이 심하네 ㅋㅋㅋ 이러느말 들어보면 가난이 가르치지 못하는건 승자의 정신력인듯..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흙수저년 ㅋㅋ대치동도 잘사는애들아님

  • @user-jp6mm4sg5d
    @user-jp6mm4sg5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너무 슬프다 돈 없는거도 서러운데 아무 잘못도 안 했는데 말투가 기어들어가는 말투....하...

  • @ssuk1771
    @ssuk177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4

    전세계에서 늦게까지 공부하느라 다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음

    • @user-dark-illusion
      @user-dark-illusio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공장에갈 애들까지 전부 대학가는 시대니 한국 기초산업이 무너지고 그 자리를 외노자들이 채우고 전국 백만명이상 젊은이들이 취업준비중인 나라 향후 10년후면 동남아.중앙아시아 사장님들 밑에서 한국 아이들이 알바나 직원으로 일할 시대가 옴 ㅎㅎ 미래의 돈벌이는 공부가 아니라 기술임 공부로 취직하는건 ai로 대체됨..

    • @JHS-ky5ph
      @JHS-ky5p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인도??

    • @jihojio2118
      @jihojio211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중국?? 싱가포르 의외로 프랑스도 사교육 많이 받음

    • @hhgftssthhv
      @hhgftssthh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중국 장난아닙니다~~ 살다옴 거긴 고입경쟁이 장난아님 초등부터 난리

    • @bklee4637
      @bklee463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영국도 사교육 장난이 아닙니다. 울나라 총이 새벽까지 공부합니다. 물론 안해도 인생 크게 상관없음

  • @user-np1le1pw2o
    @user-np1le1pw2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4

    그래서 애를 안 낳잖아..!!!!
    우리나라는 사교육에 자멸하는거임...
    행복수준을 이상한 아파트평수. 큰차. 년봉. 학벌로 몰아가니...수저타령에..다들신물나요...학원저런방송도 허지말아야해요..

    • @user-sw7ng6ov1c
      @user-sw7ng6ov1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 낳잖아

    • @user-nq4tc1vz5o
      @user-nq4tc1vz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파트 평수가 크면 아이들 각자 방을 쓸 수 있으니 좋고, 큰 차 타면 뽀대도 나고 사고났을 때 생명을 지켜줄 수도 있고, 연봉이 많으면 좋은 음식, 좋은 옷, 비싼 사교육 등도 가능해서 좋고, 좋은 학벌이면 취직이 잘되고 회사에서 승진하기도 유리하죠. 몰아가는게 아니라 당연히 이렇게되면 행복지수가 올라가는거죠. 자본주의 사회잖아요. 이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임.

    • @user-jh4up7yk1y
      @user-jh4up7yk1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nq4tc1vz5o미국에서 교육을 받은적이 있으신지...? 약간 제 경험과는 다르네요

    • @user-nq4tc1vz5o
      @user-nq4tc1vz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jh4up7yk1y 본인 경험은 어떤 경험인지?

  • @user-gy3xq5fd2f
    @user-gy3xq5fd2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저희 아이들은 초3.초4 지금 IB관심학교초등에서 경쟁보다는 협력하며 자기주도적으로 학급생활애 만족하며 학교를 다니고있어요. 생채교육과 탄소중립교육. 공정문력중 여러 수업과 연계하여 아이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고 공무하고 나중에 전시해서 부모님 초정해서 보여주기도 하고요.
    입학초 저도 학교를 믿지못했어요
    공포심조성과 사교육 조장에...
    그렇지만 학교담임으로 좋은 선생님들먼나 학부모로서 소통교류하면서 너무 좋었어요.
    아이들도 같은반친구에게 도움많이 받고 위로받으면서 더 잘 지내고있구요.
    교육기회 불평등래 초점을 맞추다보니 이런 영상이였을테지만
    교육만큼..사람을 변화시키고 발전시킬수 있는 방법은 없다봐요.
    교육이 불평등하다고 체념하고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말고 어떻개 하면 나아질지 부모 학부모 학교 모두 힘을 합쳐 나가가는 공동채가 되었음좋갰어요.
    자기주도적 아이들이 성공할거여요
    자기가 결정하고 책임지는 역량을 길러줘야힐듯요

  • @user-wq4jn7qs9d
    @user-wq4jn7qs9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인생은 불공평의 연속이다. 아이들에게 이런 고통을 대물림하지 않으려면 사회구조 개선으론 어림도 없다. 태어나지 않는게 가장 이득이다. 자식을 낳지 않는 것으로 모든 불평등과 착취와 억압을 종결짓는 것 외에 답은 없다.

  • @motione1843
    @motione184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2

    전제는 "공부를 잘하면 성공한다" 인데 이제 이 대전제가 깨지고 있는데, 아직도 이런 프레임으로 언제까지 우려먹을건지....

    • @user-xr1nt9ku3t
      @user-xr1nt9ku3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ㅋㅋ그러게요. 한달에 1~2천 벌어서는 강남에서 집사기 힘들텐데 말이죠. 이미 많은 부를 축적한 사람들이 집안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자식교육을 시키는 느낌 ㅋㅋ

    • @user-vz8hk2mo6x
      @user-vz8hk2mo6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공부를 잘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대전제는 바뀌지 않습니다. 연세가 어찌되시는지 모르겠지만, 미국이든 유럽이든 아시아든.. 전세계 어느나라고, 성공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루트가 공부임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어렸을때부터 내가 장사나 사업의 능력이 높다는걸 알수 있나요? 결국 10대 학창시절에 주어진 학생이라는 신분의 테두리안에서 공부를 잘하게 되면 그만큼 나중에 많은 진로의 기회를 얻을수 있는건 진리입니다. 내가 금수저이든, 흙수저이든.. 어렸을때 선택할수 있는건 공부밖에 없다는거죠.. 부모 잘만나 강남 집을 물려받을 애들도... 부모가 가난해서 나중에 뼈빠지게 일해도 강남 집을 못사도.. 공부를 못하는거 보단 공부를 잘하는게 어쨌든 나 자신의 가치를 높일수 있다는건 변하지 않습니다.

    • @user-xr1nt9ku3t
      @user-xr1nt9ku3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vz8hk2mo6x 근데 전 이건 조금 중립 ㅋㅋ 사업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비상한 머리와 유연한 사고 그리고 어느정도의 부지런함은 공부로 배우는게 아니라 타고난거라고 생각함. 맨날 생각만 하다 끝나는 사람과 생각을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은 분명히 나뉨.

    • @user-yn3pm4so5r
      @user-yn3pm4so5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xr1nt9ku3t그 사업이 뭐 음식점 하나 뚝딱 차리는 걸 말하는 건 아니시죠? 맨날 일머리 사업머리 하지만 그 머리도 결국 지능 문제가 제일 큽니다... 공부도 지능이랑 직결이고요... 중고딩 때 탱자탱자 놀고 피씨방 들락날락하다가 하루아침에 비상하게 머리가 돌아가고 사업 수완이 좋고 이런 건 그냥 공부 해본적도 없고 책상에 오래 앉아본적도 없는 사람들의 막연한 환상일 뿐입니다.

    • @user-ro9bc5vr2i
      @user-ro9bc5vr2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 대전제가 언제 깨졌죠?? ai 시대에는 공부하는 자가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정도가 아니라, 공부 안하면 아예 무쓸모 무용계급이 되는 시대인데...
      지금 현재만봐도 공부를 안하면 어떻게 삶의 워라벨을 지키고 원하는 일을 하고살아갈수 있다는거죠? 자영업?주식투기? 코인?
      해외 '개도국'으로 취업이민을 가려고해도 워라벨을 가지려면 최소 울나라 학사부터, 석사가 있어야하는데 말이죠...
      앞으로의 ai시대는.. 배우지않은자는 아예 생존자체에 위협을 받는 미래라고해도 과언이 아니죠..

  • @user-wd1rt3ig3n
    @user-wd1rt3ig3n 12 วันที่ผ่านมา +2

    나보다도 못한 조건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수 없이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항상 겸손함을 잃지않고, 고개를 숙여야 할 때는 허심탄회하게 숙일 줄도 알아야 한다. 삶은 태도에 달려있다.

  •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대치동 뿐만 아니라 학군지 아이들이 더 열심히 공부합니다.
    부모님들이 좋은유전자를 물려주고 양질의 사교육도 받게 해주지요.
    하지만 이런 조건들은 영향은 줄 뿐. 가장 중요한 건 아이들의 노력입니다. 공부의 양 자체가 다르답니다.

  • @user-nc7ww1he4s
    @user-nc7ww1he4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냥 평범한 경기권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초6때 목동으로 이사를 갔는데 전학가서 처음 본 시험에 (파이)라는 개념이 나왔었음.. 중등과정인데 초6 원주율 파트에서 단원평가에 파이라는 개념을 출제해버린거임 일단 거기서 1차 멘붕 근데 시험 끝나고 그 문제를 반 이상이 맞췄다는 거에 2차 멘붕
    친한 친구한테 너 이거 어떻게 알았냐고 물어보니까 학원에서 안 배워? 이럼 ㅋㅋㅋ 학교가 문제임ㅋ
    선행학습을 할 수 밖에 없게 만듦 또 초6때 담임쌤은 어짜피 학원에서 배웠을 거니까 두교시 연속 애들이 하자는 피구나 하고 수업시간엔 유튜브에 있는 인강 틀어주심ㅋㅋ 아직도 그 학교가 왜 인기고 다들 그 초등학교 다니려고 안달인지를 모르겠음 집값도 그 초등학교 배정받는 집이랑 옆 초등학교 배정받는 집이 같은 단지여도 7-8천만원 차이난다는데 난 모르겄다

  • @user-gv4gm1oj2c
    @user-gv4gm1oj2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들을 이길려고 하지 말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데 주목하고, 더 행복하게 살면 됩니다! 그네들이 그네들만의 리그 속에서 살다가 가도록 하면 됩니다.

  • @user-jr3wb5zp1g
    @user-jr3wb5zp1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회 불평등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예요. 하지만 학구열이 높은 부모 아래 자란 아이들은 스트레스도 상당하고 주도권을 상실한 경험이 클겁니다. 그 영향력이 긍정적이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것도 간과할 순 없죠.

  • @jessiekim6862
    @jessiekim686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면학분위기 좋다는 학군지일수록 소아청소년 정신과도 엄청 많다는 다큐도 봄... 코앞의 sky입성이 목표인 똑똑하고 야무진 부모보다, 비교보다는 대학진학 너머 인생설계를 스스로 하게끔 도와줄 현명한 부모가 돼야겠다는 생각이 듦.

  • @user-nw1dw8rq7e
    @user-nw1dw8rq7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행복하길 바랍니다.. 대한민국 ㅠ

  • @boramskyhan
    @boramskyha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공부를 하는거 중요합니다 근데정작 공부가 맞지않아서 나랑 다른공부가 맞는 사람도 있는겁니다 세상이정한 교육시스템이 맞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다른 교육시스템이 맞는사람도 있는겁니다 이과,문과,공과가 왜 있을까요???다자기 적성찾아서 가는겁니다

  • @Rmsidanaud
    @Rmsidanau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런 분위기를 어른이고 애고 보면서 크니 출산율이 바닥인거죠..숨막히고 인생은 미친듯 힘들고 ㅠㅠ 어른은 내 아이한테 이런 세상 살게 하고 싶지않고 본인 살기도 빠듯하고 힘들고
    아이들은 크면서 인류애는 메말라가고 경쟁속에 지치고..ㅠㅠㅠㅠ 대체 어디부터 어떻게 바꿔야할런지 ㅠㅠ

  • @gy7hhh
    @gy7hh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나의 어린시절 ,그렇게해봤다 삶의 질이 좋아진게 없다 지금까지… 내 미래 자식은 자연과 환경에 더 존중과 같이 공존하길.

  • @user-of4tz2cf8v
    @user-of4tz2cf8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직업 격차를 줄이고 중학교가 아닌 고등학교때 아이들이 선택할수 있게 교육환경을 바꿔줘야합니다.

  • @i_young
    @i_you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황에 좌절할필요없이 그냥 내가 할수있는 최선을 다하면 되는거지. 어차피 고등학생때 내가 좋아하는 일 찾는건 거의 불가능함.. 차라리 공부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가서, 좋은 환경에서 괜찮은 친구들과 함께하면서 찾아봐도 나쁘지 않음. 하고싶은게 없다면 일단 공부하는게 맞음. 솔직히 공부가 제일 쉬움..

  • @naok1188
    @naok118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인생이 다 어찌 같을 수 있나요? 삶 자체가 이상적이지가 않습니다. 다 출발점이 다른데. 인정하고 받아들어야죠

  • @altair233
    @altair23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대치동이나 목동 같은 학군지의 진가는 사실 학원이나 교육이 아니고 다른 지역에 비해서 학교폭력같은게 굉장히 적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입으로 무시하거나 따돌림은 있겠죠
      지방은 플러스 주먹질
      동네 다이소 가끔가면 요즘 교복입은 학생들 많은데 옆에서 대화내용들어보면 욕이 절반이상이더라구요
      옛날이나 지금이나 입이 상스러운건 여전함
      어른들이야 말을 가려서하지 어린애들은 아무말이나 다 튀어나옴

    • @user-gy3vt4nz5v
      @user-gy3vt4nz5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ㅋㅋ강남8학군으로 고등학생 때 이사간 내 친구들 다 우울증 걸림.. 그 친구도 집이 좀 살고 성적도 잘 나오는데 (훗날 고려대감) 무시랑 기싸움이 일상인 동네라 걔가 얼마나 스트레스 받았는데

  • @bver7162
    @bver716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6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자녀들과
    강남 대치동 학생들을 비교하는 건
    너무나 극과 극의 비교군이죠.
    대한민국의 교육열은 비 정상적 이지만,
    여기서 보여주는 비교군은
    EBS 에서 만드는 프로의 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user-bn7tj2jv3r
      @user-bn7tj2jv3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이게 대한민국 현실입니다 이 현실에 대한 도피를 하지 말아야죠

    • @hel814
      @hel81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환경에서의 상위1%와 하위10% 비교군 느끼?

    • @e0173
      @e017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왜요? EBS가 현실 비추면
      노예들이
      분노할까봐 거슬리나 보네요 ㅎㅎㅎㅎㅎ

    • @user-fs1hp6vs6n
      @user-fs1hp6vs6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반1등이랑 반 꼴지랑 비교하는거랑 비슷한거잖아

    • @Haein-qk7vu
      @Haein-qk7v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극과 극으로 비교하긴 했지만 현실이고 그저 그런 중하층도 상위권 아닌 이상 어차피 똑같습니다..

  • @Coweol
    @Coweo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느 지역에서 태어나서 어떤 부모를 만나든 초등 이전부터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아이를 낳을 때 부담이 덜 하겠습니다.
    이런 다큐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한국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상황이 힘들어서 그렇지 우리 한국사람들 정말 좋은 사람들입니다.

  • @Kkim0830
    @Kkim083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나도 강남 한복판에서 자라서 좋은 대학, 대기업 다니다 유학, 이후 해외에서의 금융권 취업.... 이런 루트를 탔지만, 내가 딱히 성공했다는 생각도 전혀 안 들고 저런 어린 친구들 저렇게 살게 하는거는 정말 아니다 싶다.

  • @angelinaseo6103
    @angelinaseo610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환경이 좋지 않은 아이들 중 잡초처럼 잘 자라서 성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어려움도 알고 열심히 살아요. 반면 부자 부모 밑에 나약한 아이들도 많고요.

    • @user-yg6rs3vh1c
      @user-yg6rs3vh1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확룰이적죠 집안도불우하면 그것도 심리적으로 힘듭니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어린이들은 멘탈은 해병대가 아닙니다.
      특히 맞벌이부모들이 많은데 자식 인성교육조차 시킬줄 몰라요

    • @Hunter-4010
      @Hunter-4010 2 วันที่ผ่านมา

      성공하는 경우는 적어요. 뭐가 많은지 이해가 안 됨 부자 부모가 최고의 빽이자 자산이다. 좋은환경과 배경은 절대 무시할 수 없다.

  • @MRBK.100
    @MRBK.1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공부가 가장 쉽다고는 하지만 그 쉬운걸 경쟁해서 잘날 자신 없으면 다른길이 있다는걸 빨리 알려줘야하는데 우리나라는 공부만이 살길이라고 윗세대 부터 생각해서 결국 블루컬리 직군은 천대 받게됐음 사회에 나와보면 공부잘했다고 모두 성공한것도 아니고 공부 못했다고 전부 실패한게 아닌데 참 안타깝네

    •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많은사람들이 거기낚여 시간을 버린듯
      그것도 있는데 가진게 인적자원밖에 없어서 그리고 산업구조 문제때문인지 기술직같은부분에 노동환경에 개선이필요해야 사람들이 가지않을까싶음

    •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블랙기업이나 열악한 곳들 제조업국가에 필요한 노동자들은
      대우해주는날이 오는게 아닌이상
      공부공부거리는게 현실 구조적으로 누군가는 지는싸움이니
      기회를 많이주고 노동환경을ㅈ개선하는게 답인데

  • @user-kk5wo9zw1e
    @user-kk5wo9zw1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팩트는 똑똑하면 선생님들이든 학생이든 영재원 신청해서 잘 교육받고 예전과 다르게 스스로 찾아서 배울 수 있는 자료가 많습니다. 온라인으로 싸게 학생들 가르치는 중인데 똑똑하고 자기가 알아서 하는 지방 학생들 많아요. 예전이랑 같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방해되는 부모가 문제지 돈 없는 게 문제는 아니에요

  •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응원합니다

  • @user-lj3dv5zp7e
    @user-lj3dv5zp7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부모 잘만나는게 인생 전부지
    반박 하고싶으면 부모한테 고마워해라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7 วันที่ผ่านมา

      대치동도 가난한거맞아 그래소공부시키는거고 압구정같은 금수저많은곳은 유학을보냄ㅋ

  • @user-jt8ug9rs3u
    @user-jt8ug9rs3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좋은 대학만 가면 끝날 것 같지? 좋은 직장만 들어가면 끝날 것 같지? 서울민국은 그냥 무한경쟁이라는 챗바퀴 속에 던져진 발버둥치는 생명체 우리일 뿐이다.

  • @sunyoungjun183
    @sunyoungjun183 6 วันที่ผ่านมา

    슬프고 아프지만 애들 이야기에 공감합니다
    이 시대의 공부하는 아이들 힘내요~

  • @hamstar114
    @hamstar11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애기들 표정봐라 저게 저 나이 때 표정이 맞냐..현실이 찹찹하네요

    • @user-nq4tc1vz5o
      @user-nq4tc1vz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애기가 어디있죠? 어르신

    • @hamstar114
      @hamstar1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nq4tc1vz5o처음에 나오는 초딩들 보고 한 말이었는데 요즘은 초딩들은 애기들에 안 들어가나요?ㅜㅜ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0살 밑으로는 다 애기잖아 요즘은

  • @user-vm5eh9yz4n
    @user-vm5eh9yz4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대치동에 산다고 다 저렇게 공부하는건 아닙니다. 학원이 몰려있어서 그렇게 보이는것! 강북 동대문구에서도 대치동으로 학원 다닙니다.
    주말엔 천안 세종에서도 대치동 학원으로 옵니다.
    하느님은 공평하게도 모든 사람에게 하루 24시간을 주셨습니다. 갖지 못한것에대해 푸념과 한숨쉬며 소중한 시간 낭비하지 마시고 주어진것에 최선을 다 해 보시길~
    의외로 대치동엔 가방메고 학원만 다니며 24시간을 허투로 보내는 학생들이 아주 믾답니다.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천안 세종에서 대치동으로 학원 다닌다고? ㅋㅋㅋ 제정신들이 아니네

  • @user-mq6nm8sl7e
    @user-mq6nm8sl7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요새 학벌 사회 많이 무너지고있음. 가난해도 뭔가 지원이나 균형 제도 같은거 해서 격차 줄이고 가난한 애들도 무조건 좋은 대학가게 해야 격차가 해소된다? 이 접근 방식은 아니라고봄. 대학은 걍 갈 사람만 가고 집 사정이 어떻든 본인들만의 진로를 열어주고 그 진로를 지원해주면 됨.

  • @wonheepark9595
    @wonheepark959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수시만 없애도 상당히 괜찮아 지는데.. 그놈의 수시로 부모재력 능력이 더욱 자식의 입시에 영향을 지대하게 끼치고 있으니 참..

  • @Finetree
    @Finetre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03:41 여기서 말하는 성공이라는게 결국 대학입시라는 건가?

  • @user-ne4ty8ij6z
    @user-ne4ty8ij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원래 인류는 두뇌가 소수의 엘리트와 그외 다수가 어우러져 살아가게되어 있는데 다수에서 반란이 일어난거. 한마디로 중간이 없어진거. 최상위로 올라가기위한 투쟁과 방관 포기만 남음.

  • @sb6476
    @sb647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능시험 제도 이전에는 공무원 시험 유형과 비슷한 학력 고사엿다ㆍ
    그 시절에는 시골에서도 ebs만 시청하고 서울대 수석 합격자가 제법 나왓다 ㆍ
    입시 제도가 문제이지요 ㅋㅋ

  • @user-ly7kk6pg6u
    @user-ly7kk6pg6u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사회화가 중요하죠🤗 왜 살아야하고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지 본인이 살아가는 이유없이 공부만 해서 잘 하기는 어려운 것 같아요

  • @user-ek4eq3kx4r
    @user-ek4eq3kx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마치 삶에 정답이 있는 양
    삶의 다양한 방법 중 하나만 가르치는 이 나라 공교육이
    얼마나 썩어빠졌는지를 잘 보여주는 영상

  • @user-pq4nl2yi7q
    @user-pq4nl2yi7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내가 주변인물들도 겪어본 바에 의하면, 고액과외에 학원이다 다녀본들 본인 스스로 학교 공부를 열심히 노력하지 않으면, 아무소용이 없던데...ㅋ

  • @user-jv5gl4wl4c
    @user-jv5gl4wl4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지방에서 천재소리 듣다가 영어,수학 물리는 1등급인데 국어만 항상 3,4등급..4수해서 정시로 겨우겨우 인서율 입성..한과목땜에 수시 1등급 후반인 지방고에서 스카이 수시로 뚫기 너~무 힘들다..
    이정도의 입시상식 아는 부모들 지방에 드물다..지방은 애들이 공부 좀 해도 부모들 입시에 대해 너무 무지해서 학교만 바라보다 결국 지잡대 간다..!과외,사교육비 잡으려다 더 기울어져 가는 입시판!

  • @eksql4305
    @eksql43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런 다큐멘터리 볼 때마다 새삼 얼마나 올려 치기에 집중하고 있는지 느껴집니다.
    XX패스 가격 저렴한 가격이 54만원입니다. 저렴하다 말하지 않겠어요. 하지만 고등 한 과목, 한 달 학원비로
    1년 동안 모든 강의를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불가능한 가격이다 말하기 어렵겠지요.
    물론 이것 또한 비싸다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EBS가 있어요. 추후 학교마다 장학 제도도 꽤 잘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얼마나 평등하게 교육 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교육이라는 측면만 놓고 본다면 놀라실 겁니다.
    교과서와 대학 진학률도 포함해서, 교육이라는 측면에서는 빈부격차가 거의 보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국가들을 보시면 계층을 다루는 문제에서 무조건 식, 주를 기본으로 다룹니다. 교육은 그 다음 문제에요.
    식, 주가 해결되는데도 더 이상 발전을 이루고자 하지 않을 때 짚어나가는 것이 교육 문제입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식, 주가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도 교육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어요. 답답합니다.

    • @humanchuchu4169
      @humanchuchu416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와서 보면 우리나라는 지나치리 만큼 교육의 공평성에 신경쓰는 모습입니다. 미국은 돈 없음 사립 못가고 명문대 못가는게 당연하게 받아들임. 명문대 나오면 연봉이 다름..... 우리나라였으면 난리였겠죠??

  • @No_eun
    @No_eu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현역 중학생인데요 주변 친구들이 학원 가기 싫다고 할때마다 너무 부러워요 집안 형편이 안 돼서 학원 하나 못 다니고 혼자 공부해서 최상위권들었는데도 너무 불안하고 친구들이랑 저 자신을 계속 비교하게 되고 그냥 걔네가 부러워요 형편이 안 돼서 학원 하나 못 다니는 사람도 있는데 할 수 있고 형편될때 많이 해두세요

    • @user-wv8cu4dk1g
      @user-wv8cu4dk1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실력도 의지도 있는데 형편이 안된다니 너무 안타깝네요.. 혼자서 최상위권 정말 대단해요~ 이 사회가 문제인 거지 학생 탓은 아니니 너무 슬퍼하지는 말고 지금처럼 힘내서 삶을 열심히 꾸려나갔으면 하네요..

    • @user-ku1de1gq8k
      @user-ku1de1gq8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학원 못다니는게 아니라 내가 안다니는거라고 생각하세여 지금도 잘하시는데 충분해요 저도 혼자했는데 대학 잘갔어여

    • @Name-ki2yj
      @Name-ki2y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돈발라가면서 부모님 말에 따라 학원뺑뺑이 돌고 최상위권 하기 vs 독학으로 전자랑 같이 최상위권 들기
      누가 봐도 후자가 간지나고 더 멋진데요? 앞으로의 꽃길을 응원합니다

    • @user-pe9my8yg4b
      @user-pe9my8yg4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동네도서관가

    • @user-lp4jm2xf6k
      @user-lp4jm2xf6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넌 뭘해도 되겠네 응원한다

  • @user-bj5hd8ey6m
    @user-bj5hd8ey6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남과 비교하지마라? 공부가 전부냐? 의 문제가 아님.
    일반가정에서 자라 학군지는 아니었지만 나름 방치되지도 않았던 가정환경, 교육환경에서 자란 입장에서. 교육에서만큼은 부모서포트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초등,중등때부터 영어 수학 기본적인거 이상씩 시킨 아이와 집에만 방치되어 있는 형편아이들과의 차이점은 점점 격차는 심해지고 따라갈 수 없게 되죠
    적어도 공부관심정도는 유도해주고 그게 아니여도 자녀의 미래 꿈에 대해서 고민해봐 줄 아는게 부모의 역할이에요. 키워만 줘서 감사하다가 아니라요..
    아들을 키우고 있지만 적어도 흥미를 느끼게 해주고 공부자체를 썩 잘 하지 않더라도 아이 꿈에 지원은 해줄 수 있는 경제력이 있고 신경써주고 싶게 됨 내가 그런걸 누려서 꿈을 이뤘기에.
    가난하다고 애를 낳지마라할건 아니지만 우리부모님은 적어도 IMP때 모든걸 놓고싶은 순간에도 내가하고 싶은 것, 관심 성인때까지 가져주시고 그게 내가 다시시작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네요

  • @monicajung6909
    @monicajung6909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쪽이든 저쪽이든 다 생각하는게 우물안 개구리... 인생을 사는 길이 그거 하나가 아니에요! 각자 갖고있는 각기 다른 재능을 찾아 개발해서 각자 자기가 잘할 수있고 좋아하는 분야에서 최고가 되면 되는거죠. 각자 타고난 성격 기질 성향 재능이 다 다르고 그에따라 할 수 있는일이 무궁무진할지언데 어떻게 인생을 한가지 길로만 몰아가려는지 참 안타깝네요...

  • @user-hn6dk2fv7y
    @user-hn6dk2fv7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행복하게 사는게 중요한데 행복의 기준이 성적이나 공부로 줄세우기인 국가니깐.. 교육체계를 바꾸거나 아니면 행복할 기회가 적음.. 비교하고 또 자책하고. 이게 나라냐.. 괜히 헬조선이 아님.. 자살율1위 출산율 꼴등의 나라.. 위 대한민국 이네 에휴..😥

  • @FUGLRY
    @FUGLR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우리 집... 엄마 이대, 아빠 고대, 3살차이 누나 연대... 난? 전문대.......... 근데 누나보다 돈 더 많이 벌고 있고.. 하루에 6시간정도만 집중해서 일하고 나머지 자유.. 공부를 잘하면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이 많고, 하고 싶은 일 할 수 있는건 맞음... 근데 공부 못하고 뒤쳐진다해서..너무 힘들어하진말자고.. 다들 목표는 같잖아.. 방법의 차이일뿐.. 그러니 행복하자..건강하고... !

    • @AHMAD-fx5su
      @AHMAD-fx5s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풉ㅋㅋ 돈 많이 번다고 좋은줄 아노 학벌에 따라 주변 사람들의 질도 달라지고 수준도 달라지는거 이건 돈주고도 못사는것들은데 ㅋㅋ

    • @FUGLRY
      @FUGLR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HMAD-fx5su 주변에 수준이 높은 분들이 많아요. 돈을 어설프게 벌면... ㅋ 수준낮은 사람들이 꼬입니다. 화이팅하세요

    • @user-zb5tl2eu6z
      @user-zb5tl2eu6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HMAD-fx5su '노'자 붙이는 걸 보니 일베네 자신 인생이나 잘 사세요 사회에 나오면 학벌보다 더 중요한 자신의 이익이 되는 사람과 어울립니다 수익이 많으면 그에 따라 실력있는 분들과 많이 어울립니다 그게 학벌이든 아니든...

  • @unknown46890
    @unknown4689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쯤하면 보편적인 가치관을 성공, 승리, 1등, 부에서 어느정도 때어놓는게 현실적인 해결책이 아닐까 싶음
    지금까지의 모든 문제가 저것들에 대한 집착때문에 벌어진 일인걸 생각하면
    지금의 무기력은 그 과정일 뿐이고 운 좋게 한국이 멸망하지 않는다면 한번 이상의 가치관의 큰 변동이 필요해보임.
    환경이 좋은 애들도 결국 본인의 노력이 필요하고 환경도 부모의 성취의 결과니까 불평등과 양극화 자체는 불가피한데
    그렇다고 지금의 상황을 방치했다만 한국이 소멸할테니 해결하려면 결국 문화가 변해야 함.

  • @user-yt9yl4jf5q
    @user-yt9yl4jf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환경 탓이 크지만 환경 탓만 하면 안됨. 머리좋고 노력하면 일정수준이상은 갈수있음. 내가 남보다 못난걸 환경 탓을 하면 마음이야 편하겠지만 바뀔수있는게 없음..

  • @sungjinpark5794
    @sungjinpark579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지역마다의 교육 격차는 부모님의 수준도 있겠지만 가장 크고 중요한 이유는 공교육의 선생들의 자질입니다. 학교 선생이 학원 선생보다 실력이 형편없고 더군다나 의욕 조차도 없는 이 현실에서
    철밥통인 교사의 신분 보장을 철폐하고 철저한 경쟁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그들이 학원의 실력과 의욕이 뿜뿜한다면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있습니다.

    • @namedmaster1842
      @namedmaster184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맞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구감소는 자정작용 같아요. 교사들도 의사처럼 반발하는 거 못 막죠. 그러니 애들 줄면 자연스럽게 교사도 줄일 수 있고 그렇게 많이 줄었을 때나 뭘 할 수 있겠죠.

    • @user-hs3wm5pi1k
      @user-hs3wm5pi1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맞아요딱월급받는만큼일함

    • @hdjjdsjensn
      @hdjjdsjens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hs3wm5pi1k나보고 선생월급받고 머치동 강사 1/2만 하라고 해도 안 할듯ㅋㅋ

  • @youngforeverguilfordstella8726
    @youngforeverguilfordstella872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눈물나네요ㅜㅜ

  • @-OnceLife-
    @-OnceLife-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인생은 그냥 운빨.. 부모 잘 만나는 것 부터가 내 운의 시작..
    인생을 만들어 가는건 자신의 몫이지만 부모 잘못 만나면 한계를 스스로 계속 극복해야 함..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대학 졸업장 만큼 적은 돈으로 평생 가지고 가고 남들이 알아주는 스팩만큼 없음..

  • @jeyyounglyy2308
    @jeyyounglyy230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새벽 5시 반에 보기 딱 좋은 영상이네ㅆ

  • @user-bh4cx1qr9y
    @user-bh4cx1qr9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아이들한테 공부말고도 많은 길이 있다는걸 알려주고 10, 20대때 하고싶은걸 찾게 만들어야하는데
    그저 일단 좋은 대학가라고 학원에 보내버리니 쟤들도 그냥 떠밀려서 공부하는거지..
    대한민국 교육은 진짜 썩었다

    • @user-bb5jh2dk3p
      @user-bb5jh2dk3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한민국자체가 솔직히 똑바로된 인간자체가 거의없어요 나라자체가 솔직히 병신입니다

  • @fatalopus
    @fatalopu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현실을 직시하고 최소한으로 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치권과 전국민이 노력해야 하는데 원래 세상은 불공평하다고 떠드는 사람은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함.
    누가 그런거 모르나?
    다만 조금 더 넓게 보고 조금씩이라도 계속 바꿔나가는 방향으로 가야지.
    참 이기적인 사람들이 너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