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트 미분적분학1: 1.2절-2 다항함수란? 유리함수란? [미적분학, 미적분]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 @백제훈-w2h
    @백제훈-w2h 2 ปีที่แล้ว

    6:30 그래프의 n이 증가할수록 구간 (0,1)에서는 오히려 더 위쪽에 존재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모든 그래프는 (1,1)에서 교점을 가질 것 같습니다.

    • @manmanmath
      @manmanmath  2 ปีที่แล้ว +1

      맞아요. 그림이 잘못됐네요. 오류를 잡아줘서 고마워요!

  • @kIdrouhl1
    @kIdrouhl1 4 ปีที่แล้ว +1

    교수님, Power functions 의 case2 에서의 그래프들은. n에 상관 없이 (1,1)을 지나고, odd일 경우에는 (-1.-1)도 함께 지나지 않나요? 그래프에 n의 값이 변할 때 그래프는 어떻게 변하는지 표시해주신 것이.. 각각의 점을 지나고 나서 더 x축과 가까워지는 게 아닌지요? (6:16)

    • @kIdrouhl1
      @kIdrouhl1 4 ปีที่แล้ว

      @@manmanmath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요.

  • @eunjungchoi9657
    @eunjungchoi9657 4 ปีที่แล้ว +2

    1차 함수 : linear function, 2차 함수: quadratic function, 3차 함수: cubic function .. 2차 함수와 3차 함수의 영어명은 처음 알게 됐네요. second, third 가 아니었다니...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ปีที่แล้ว +1

    매번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원준-u1y
    @정원준-u1y 4 ปีที่แล้ว +2

    잘 보고 있습니다.

  • @lineherz
    @lineherz 4 ปีที่แล้ว +2

    잘보고 갑니다!

  • @siko9033
    @siko9033 2 ปีที่แล้ว

    잘 들었습니다

  • @김도윤-q8d
    @김도윤-q8d 2 ปีที่แล้ว

    이차식을 영어로 Quadratic이라고 해서 선형대수학에서 이차형식 변환을 Quadratic form이라고 했던 거군요... 복습겸 다시 듣고 있는데 처음 알았네요!

  • @eunjungchoi9657
    @eunjungchoi9657 4 ปีที่แล้ว +1

    유리함수라는게 있었네요. p(x) / q(x) 유리수 정의에서 정수가 들어갈 자리에 함수가 들어가는게 신기하네요.

    • @AKFWTV
      @AKFWTV 3 ปีที่แล้ว

      유리함수라서 그런거 같습니다. 유리수는 정수이고 유리함수는 함수가 대신 들어가는게 아닐까요? 유리수의 정의는 정수가 들어가는게 맞죠.

  • @정인웅-f3g
    @정인웅-f3g 4 ปีที่แล้ว +1

    잘보고 갑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8분 4초의 함수는 wolfram에서 어떻게 나타내면 좋을까요?

  • @ilovekimminnie
    @ilovekimminnie ปีที่แล้ว

    20240107 교수님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용!!

  • @권필제
    @권필제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교수님.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