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보다 빠르면 시간은 정말로 거꾸로 갈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2 เม.ย. 2021
  •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리그에서 플래쉬는 빛의 속도 그 이상으로 달립니다. 초광속으로 진입한 플래시 덕분에 시간은 거꾸로 흐르게 됐고 덕분에 저스티스리그는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죠
    그런데 초광속으로 달리면 정말로 시간은 역행하게 될까? 빛의 속도를 넘어서 엄청난 속도로 달리는게 가능할까? 이걸 알려면 우리는 특수상대성이론을 알아야 합니다.
    리뷰엉이 구독하기 goo.gl/CuJFLJ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1K

  • @Grrrrrrrrr16572
    @Grrrrrrrrr16572 3 ปีที่แล้ว +72

    특수 상대성이론을 일반인이 알기쉽게 설명하기 쉽지않은데 대단하시네요! 사족이지만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보다는 로렌츠 불변에대한 설명이 좀 더 어울렸을것 같아요!
    그리고 공간이나 차원의 수축이나 팽창은 광속을 초월하는게 가능한데 과학적으로 정확한 묘사는 아닐지라도 플래시 역시 스피드 포스라는 차원을 이용해서 초광속을 내는걸로 묘사하고 있는데요,
    다소 불친절한 맥거핀에가까운 개념이지만 그래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완전 무시하는 설정을 우기진 않는것 같아요

  • @user-zo6xz2en6x
    @user-zo6xz2en6x 3 ปีที่แล้ว +15

    이런 시리즈 앞으로도 계속 올려주세요! 재밌어여!

  • @Linaarigatou
    @Linaarigatou 2 ปีที่แล้ว +90

    예전 대딩때 학점자리가 남아서 뭐라도 더 배우고 졸업하자는 맘으로 교양과목 정보사회의이해인가 하는 수업을 신청했는데 철학과 심오한 과학의 세계에 처음 발을 딛게 되었고 거기서 운명과 같이 상대성이론과 양자이론을 알게되었는데 그 이론의 내용이 너무나 신박하고 매력적이어서 뭔가 새로운 눈이 생기는 듯해서 매우 가슴 설레게하는 시간이었죠...ㅋㅋㅋ
    그당시에도 뭔가 알듯말듯한 애타는 느낌을 가졌는데 요즘 이 영상을 계속 틀어놓고 반복적으로 듣다보니 애타던 그 마음이 해소될 것 같은 순간이..ㅋ

    • @user-kz1bk3zs6g
      @user-kz1bk3zs6g ปีที่แล้ว

      한의사=검사

    • @user-je7ri8qq2w
      @user-je7ri8qq2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빛의 이동 속도를 시간으로 환산하면1초에 지구 3바뀌 반인가 돈다 4바뀌 돌든 1000바뀌 돌든 말이다 ~`그것은 시간이 거꾸로 가는 것이 아니다 초당 어느정도 이동 하엿느냥의 능력을 보는것이다 빛의 이동은 시간당 이동거리일뿐이다 다시 해석 하며 시간을 거꾸로 돌리는 이동 거리가 절대 안니다 현 인류 역사든 과학계이든 이동 속도가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이동 가능한 것은 발견하지 못하엿다 ~~시간을 거꾸로 돌릴 정도의 이동속도라 ~시간을 거꾸로 이동시길정도 의 물질이라면 인간은 인지 할수 없다 현재 보앗다 해도 과거 나는 보질못하엿스므로 절대 볼수가 없는 것이다 과거로 가는 물질이니 말이다 ~~???말 자채가 불가능한 질문이다 이동하엿지만 이동은 존재 하지 안코 시산을 거꾸로 돌리는 이동이라~~매우 비정상적이고 이치에 맞지 안으며 절대 불가능하다 ~~이동 거리 어디서 어디까지 이동 하엿냐 이다 ~~현존 빛으 속도로 우주 끝에 도달 하려면 인류는 살아서 절대 갈수 없는거리 이다 10년 현 120년 산다 지만 1000년 만년 10만년 이동거리를 살아서 간다 ~`냉동으로 불가능하다 정지댄 온도로 냉동 그것은 가능할지 모르나 기계는 절대 정지댄 온도를 유지 할수 없다 0.1도라 해도 1만연 이동하면 1000도의 온도차가 생긴다 그것도 1년 0.1도 온도 차이라면 그것 치명상 이다 모두 갈라지고 파손댄다 언채로 죽어 사라지는 것이다

  • @tpalsfl4375
    @tpalsfl4375 ปีที่แล้ว +95

    정말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주시는 거 같습니다. 리뷰엉이님의 영상을 보고 정말 좋은 정보들 많이 얻어가는 거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yg8bg8kn7g
      @user-yg8bg8kn7g ปีที่แล้ว +2

      영화 스포일러 짜증난다

    • @fun_gamer-plus
      @fun_gamer-plus ปีที่แล้ว

      @@user-yg8bg8kn7g 스포일러주의 써져있지않나요??

    • @t-i-g-e-r-
      @t-i-g-e-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yg8bg8kn7g 영화 리뷰 유튜번데?

  • @Owlsreview
    @Owlsreview  3 ปีที่แล้ว +497

    오랜만에 영화 리뷰로 돌아왔다 부엉. 오늘의 영화 리뷰는 저스티스리그입니다. 가볍게 즐기세요!
    특수상대성이론 다 아는 사람은 07:49부터 보시면 됩니다.

    • @omj544
      @omj544 3 ปีที่แล้ว +27

      영화?

    • @chj45454545
      @chj45454545 3 ปีที่แล้ว +29

      이게 지금 영화 리뷰야?

    • @omj544
      @omj544 3 ปีที่แล้ว +4

      @햎트 ? ? ?
      ? ? ? ? ?

    • @user-vd4qn1vp5u
      @user-vd4qn1vp5u 3 ปีที่แล้ว +1

      ???????

    • @mi___mi
      @mi___mi 3 ปีที่แล้ว +1

      영상 잘 못올림?

  • @user-lc5nu9vs2i
    @user-lc5nu9vs2i 3 ปีที่แล้ว +13

    영화로 재밌게 과학을 설명해주시네요ㄷㄷ 역시 믿고보는 '과학'유튜버답습니다ㅎㅎ

    • @Snowy_Ha
      @Snowy_Ha 3 ปีที่แล้ว

      뭐지 영화유튜버 아니었...

  • @wtd3597
    @wtd3597 ปีที่แล้ว +32

    빛보다 빠르다는 것을 생각해본 적도 없는 것 같은데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kz1bk3zs6g
      @user-kz1bk3zs6g ปีที่แล้ว

      임금 한의사검사 >>>> 신하 약사변호사

  • @user-yq6yh9zq4f
    @user-yq6yh9zq4f ปีที่แล้ว

    리뷰엉이님 목소리도 너므 달달쓰가 바갈쓰고 설명도 이해하기 쉽게 해주셔서 너므 좋읍니다,,

  • @user-yh8sl4pr8n
    @user-yh8sl4pr8n 3 ปีที่แล้ว +9

    진짜 쉽게 설명해 주시는게 느껴지는데 머리 아프다...

  • @PaniBottle
    @PaniBottle 3 ปีที่แล้ว +2477

    문과니까 더 재밌는

    • @herb233
      @herb233 3 ปีที่แล้ว +13

      ㅎㅇㅇ

    • @Latetete
      @Latetete 3 ปีที่แล้ว +120

      근데 저프사볼때마다 비엔나같음

    • @ra._fff7925
      @ra._fff7925 3 ปีที่แล้ว +13

      형이 여기서 왜나와? ㅋㅋㅋㅋㅋ

    • @user-rl9pq6tq4f
      @user-rl9pq6tq4f 3 ปีที่แล้ว +7

      여기서 형보니까 더 좋다ㅋㅋ

    • @user-zb1203ndk
      @user-zb1203ndk 3 ปีที่แล้ว +7

      5

  • @communicateDUEL
    @communicateDUEL 2 ปีที่แล้ว +2

    오오.. 이해하기 쉽게 설명 잘해주시네요

  • @byungsunkang6182
    @byungsunkang6182 3 ปีที่แล้ว +2

    리뷰엉이님 영상 잘보고 있는 팬입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이영상을 비롯해서 여러 영상에서 쓰시는 bgm제목좀 알 수 있을까요?? 계속 찾는데 못찾겠네여ㅜㅜ

  • @tempress9586
    @tempress9586 3 ปีที่แล้ว +172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시네요. 학교 교육 영상으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도 이런식으로 명쾌하게 가르친다면 많은 학생들이 학업에 더 매진 할 것 같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 @user-sd3oz1nb2t
      @user-sd3oz1nb2t 2 ปีที่แล้ว +4

      실제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 @user-ve4vk4gl7o
      @user-ve4vk4gl7o 2 ปีที่แล้ว +2

      선생님ㅎㅎ

    • @user-ve4vk4gl7o
      @user-ve4vk4gl7o 2 ปีที่แล้ว

      ​@@user-sd3oz1nb2t ❤

    • @82lsk
      @82lsk 2 ปีที่แล้ว

      @@user-sd3oz1nb2t 5

  • @baeksan1078
    @baeksan1078 3 ปีที่แล้ว +40

    정말 어렸을때 우리가 보는 태양이 7분40초정도 이전의 태양이라는 설명을 들었을때 그 빛보다 빠르면 시간이 돌아가진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ㅎㅎ 커서 다시 들어봐도 흥미롭네요!

  • @user-ee1du8lh8t
    @user-ee1du8lh8t 2 ปีที่แล้ว +6

    리뷰엉이채널은 설명도 지루하지않고 찰지게 하시는것도있지만 브금때문에 우주컨텐츠가 더 신비롭게 느껴지는듯ㅋㅋ

  • @user-ns3cl1kl3c
    @user-ns3cl1kl3c 2 ปีที่แล้ว +7

    광속에 가까워질수록 물질 질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질량이 곧 관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이니 어마어마한, 영상에 나온 것처럼 무한대의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죵

    • @user-iueun00
      @user-iueun00 2 ปีที่แล้ว +1

      신뢰는 가는데 프사가.....ㅋㅋ

  • @cosmic_line5258
    @cosmic_line5258 3 ปีที่แล้ว +30

    리뷰엉이님 설명듣는 걸 저희 강아지가 참으로 좋아해요! 정말 최고의 과학유튜버세요!

    • @user-lx8jy6vx1g
      @user-lx8jy6vx1g 3 ปีที่แล้ว

      개소리라는걸 돌려까는건가

    • @user-es6kl3hs7m
      @user-es6kl3hs7m 2 ปีที่แล้ว

      개소리 인정

    • @qpdj52
      @qpdj5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빡대 꺼져라 리뷰엉이님이 얼마나 쉽게 말했는데 난 리뷰엉이 영상2위 인데

  • @SURI-Doduk
    @SURI-Doduk 3 ปีที่แล้ว +10

    이런 영상 재밋고 신선하네요. 근데 현대 과학에서는 아인슈타인 공식에 오류가 있다는게 좀 걸리네요..... 혹시 특수상대성이론 말고 양자역학 개념에서 설명하는 영상도 만들어 주실수 있으신가요?

    • @user-ez3ex8zp6d
      @user-ez3ex8zp6d ปีที่แล้ว

      일반상대성이론이 오류를 보완하기위해 나왔지않나요?

    • @_venom15
      @_venom15 ปีที่แล้ว

      @@user-ez3ex8zp6d보안이라는 느낌보다는 개념 하나 더 추가된 느낌?

  • @user-uu2ue2tr5p
    @user-uu2ue2tr5p 2 ปีที่แล้ว +51

    영상에서 보면 속력이 빨라질수록 질량이 얼라간다고 나오는데 플래시정도 되는 질량체가 광속에 근접해서 움직이면 시간이고 뭐고 간에 블랙홀이 되서 빛조차 빨아들일수 있게 됨

  • @Back-ya
    @Back-ya 2 ปีที่แล้ว +14

    에너지에 관계없이 시간여행만을 가정했을때 미래로는 쉽게 갈수 있지만 과거로는 상당히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습니다. 광속한계를 넘어 과거로 가는 방법을 특수상대성 이론 방정식에 대입해보면 값이 허수로 나오기때문에 그래프 위에 값이 표시될 수 없고 이 이야기는 그래프에 허수축이 필요해지게 된다는 소리입니다. 광속한계를 넘으면 과거로 가는것이 아닌 다른 차원계로 가게되는것이죠.

    • @Ukn0wmyname
      @Ukn0wmyname 2 ปีที่แล้ว

      과거가 다른차원 아닌가요??

    • @user-kw8id2oo9o
      @user-kw8id2oo9o 2 ปีที่แล้ว +3

      평행 우주를 생각해보면 다른 차원계로 가게되는 것이라는 말도 상당히 신빙성 있네요. 질량을 가진 물체가 광속한계를 넘어서는 발견? 발명? 을 한다면 시간여행과 차원이동을 동시에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니...(애초에 이 둘이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인가 싶기도 하네요)덧붙여 항상 생각해왔던 과거의 사건을 바꾸면 그 시점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사건들은 사라질까? 란 의문도 해소되는 것 같습니다. 과거 사건을 바꾸는 시점부터 또다른 평행 우주(차원)가 무수히 분화된다고 가정하면 될 듯.

    • @H_H_H_H_H
      @H_H_H_H_H ปีที่แล้ว

      미래로 쉽게 가는 방법은 뭔가요?

    • @ABC-kx5gy
      @ABC-kx5gy ปีที่แล้ว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고 하는데, 어떻게 시간여행이 가능하죠?

    • @Designbyappleincalifornia
      @Designbyappleincalifornia ปีที่แล้ว +2

      다른차원계로 가는게 아니라 다른차원에서의 허수축이 변화하는 것이죠

  • @user-jj1py1dp3i
    @user-jj1py1dp3i 3 ปีที่แล้ว +45

    초끈이론 도 한번 다뤄주세요 ㅠㅠ
    그리고 시간되신다면 3대 물리학 이론인 상대성이론,양자역학,초끈이론 한영상에 전부 정리해주는 영상도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hi2mj
      @chi2mj 3 ปีที่แล้ว +34

      악마에요?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ปีที่แล้ว

      @@chi2mj 에요->예요

    • @usakorean
      @usakorean ปีที่แล้ว +2

      초끈이론은 사기..

    • @dk-lg8mw
      @dk-lg8m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akorean사기맞음ㅋㅋㅋㅋ

  • @user-on2np1tx8f
    @user-on2np1tx8f 3 ปีที่แล้ว +221

    고졸인 내가 요즘들어 고등학생때 공부좀 할걸 하면서 후회를 하고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 다시 깨달았습니다. 아.. 이래서 공부를 안했었구나... 덕분에 지금일에 만족하게됬어요.

    • @undrnov
      @undrnov 3 ปีที่แล้ว

      ㄹㅇㅋㅋ

    • @user-sn9kq1cc9n
      @user-sn9kq1cc9n 3 ปีที่แล้ว +15

      됬이라고 쓴거보니 확실히...

    • @undrnov
      @undrnov 3 ปีที่แล้ว +10

      @@user-sn9kq1cc9n 맞춤법 틀린다고 다 잼인건 아닌데ㅋㅋ

    • @blakej8732
      @blakej8732 3 ปีที่แล้ว +36

      @@user-sn9kq1cc9n 맞춤법에는 띄어쓰기도 포함되는 건데, '쓴 거 보니'를 '쓴거보니'로 다 붙여 쓴 걸 보면...?

    • @user-nx5vf1ok5b
      @user-nx5vf1ok5b 3 ปีที่แล้ว +8

      @@blakej8732 ㅋㅋㅋㅋㅋㅋ

  • @ahlki5598
    @ahlki5598 ปีที่แล้ว +1

    다 맞지는 않지만 설명을 정말 잘하는 유익한 영상!!

  • @user-xf2kb8rw8z
    @user-xf2kb8rw8z 2 ปีที่แล้ว

    어릴때 이런생각을 했었는데 이런 영상이 있네요!
    재밌게 봅니다

  • @wooapple4963
    @wooapple4963 3 ปีที่แล้ว +109

    11:44 제목의 본론

    • @user-tt2lb8xb6x
      @user-tt2lb8xb6x 3 ปีที่แล้ว +1

      잠시만요 우주선이 움직이면 우주선의 속도를 더해야지 않나요?

  • @sbowllog1796
    @sbowllog1796 2 ปีที่แล้ว +3

    정말 잘 보았습니다. 저도 하늘에 보는 별은 이미 몇 광년 전의 모습이니 이미 없을 수도 있다 라는 얘기를 많이 들어온 터라 쉽게 이해가 가네요. 가속이 클수록 질량도 커진다는 건 저도 예를 들어본다면 1톤 짜리 자동차는 멈춰있으면 몸에 맞닿아있어도 아무런 무게가 안 느껴지지만 시속 100키로로 부딪히면 그 속도만큼 엄청난 무게감이 곱해지는 거니까요. 재밌었습니다

    • @user-wj5ol6rr4v
      @user-wj5ol6rr4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 개념이 아니에요 그냥 말 그대로 광속에 가까운 아주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트럭은 정지해있는 트럭보다 질량이 더 커요

  • @EunSeokRyu
    @EunSeokRyu ปีที่แล้ว

    너무 쉽고 명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km3ww7xd4f
    @user-km3ww7xd4f 3 ปีที่แล้ว +490

    ㅋㅋ이런거 들을 때 마다 모든걸 지 뚝배기로 가설을 내린 아인슈타인이 외계인이 아닐까싶다

    • @JR-tm7zj
      @JR-tm7zj 2 ปีที่แล้ว +17

      아이큐 180 ㅋㅋㅋㅋㅋㅋㅋ

    • @user-kb6zd1kt2q
      @user-kb6zd1kt2q 2 ปีที่แล้ว +6

      사람아니야 무서워~ㅠㅠ

    • @user-wu1go6ds3s
      @user-wu1go6ds3s 2 ปีที่แล้ว +11

      @@vexf-888 광속불변은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가설이 아닙니다. 이미 마이컬슨 몰리의 간섭계 실험으로 빛은 어느 방향에서건, 어느 관성좌표계에서 보건 속도가 유한하나 절대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영상에서 나왔듯) 이 실험 결과는 기존의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 속도합산의원칙과 정면으로 위배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광속이 유한, 절대적일 때(실험적으로 밝혀진 빛의 속도의 절대성이 사실일 떄), 우리가 아는 물리 법칙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사유한 것이고, 빛의 속도가 절대적이라면 공간과 시간이 기준관성좌표계에 따라 상대적이면 된다라는 결론에 이른것입니다.

    • @gazideoppap1491
      @gazideoppap1491 2 ปีที่แล้ว +2

      @gyohwangssipalnyeon 생각 좀허구 사세요 음모론 믿지말고요

    • @gazideoppap1491
      @gazideoppap1491 2 ปีที่แล้ว +1

      @gyohwangssipalnyeon 안지워졌는데요? 하나님께서 댓글 지우는거요? 하나님 댓글알바?

  • @druminsect4424
    @druminsect4424 3 ปีที่แล้ว +412

    오 다시 물리학을,,,? 책장 뒤에서 울부짖는 리뷰엉이가 보이네요

    • @RrTt-cq2jp
      @RrTt-cq2jp 3 ปีที่แล้ว +5

      싱싱한 국내산 고등어 팔아요

    • @user-wk2tj7kd6x
      @user-wk2tj7kd6x 3 ปีที่แล้ว +7

      s...t....a...y

    • @bin4260
      @bin4260 3 ปีที่แล้ว +10

      이거 그냥 이과 고등학생 아무나 붙잡고 물어도 대답할 내용인데요

    • @druminsect4424
      @druminsect4424 3 ปีที่แล้ว +4

      @@bin4260 선플후감상이라 뒤늦게 알아차림

    • @bin4260
      @bin4260 3 ปีที่แล้ว +2

      @@druminsect4424 ㅇㅎ ㅋㅋㅋㅋㅋ

  • @regenation
    @regenation 2 ปีที่แล้ว

    리뷰엉이씨 이해가정말잘되요 감사해요

  • @srk96
    @srk96 ปีที่แล้ว +4

    그런데 스티븐 호킹은 알 수 없는 무언가가 시간의 역행을 막고 있다하니 혹시 빛의 속도를 넘어서도 시간 여행은 못하지 않을까 싶은, 질량이 무한이 된다는건 블랙홀 같이 공간이 휘어지니 공간이동은 가능한거 같긴한데

  • @user-Roni
    @user-Roni 3 ปีที่แล้ว +4

    부엉님 영화리뷰도 해주시면서 쉬어가면 어떨가웡?

  • @user-vr4tz9nh2g
    @user-vr4tz9nh2g 3 ปีที่แล้ว +33

    영화로 돌아온거 같지만 알고보면 역시 물리학강사님

  • @user-cg9yl9by1v
    @user-cg9yl9by1v ปีที่แล้ว

    노화도 느려지나용?아님 체감시간이 줄어든건가용?

  • @user-qe7ml9pu6q
    @user-qe7ml9pu6q ปีที่แล้ว

    ****** 물리 법칙을 너무나 재미있고,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셨네요 .... ***********

  • @user-np8wy2ze3o
    @user-np8wy2ze3o 3 ปีที่แล้ว +16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는 더디게 흐른다 ..... 그래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바쁘다고 아우성 치는 사람은 자신의 인생이 길게 느껴지고 활동없이 반복적인 일상만을 보내는 사람은 자신의 인생이 짧게 느껴진다는 말이 있는 거군요
    단박에 이해가 안되니 몇번 더 영상을 봐야겄어요 ㅎ

  • @user-vd4qn1vp5u
    @user-vd4qn1vp5u 3 ปีที่แล้ว +1893

    입으로는 영화리뷰라고 하지만 몸은 이미 과학유튜버 ㅋㅋㅋㅋㅋㅋ

    • @user-gr5bo6qq1u
      @user-gr5bo6qq1u 3 ปีที่แล้ว +46

      ㅗㅜㅑㅗㅜㅑ

    • @user-bk7sm3dh1w
      @user-bk7sm3dh1w 3 ปีที่แล้ว +124

      몸은 솔직한걸~?

    • @Bixby..
      @Bixby.. 3 ปีที่แล้ว +8

      ㄹㅇㅋㅋ

    • @user-ts9pq5ze4n
      @user-ts9pq5ze4n 3 ปีที่แล้ว +5

      이 댓글은 영상마다 있네

    • @WorldSexKing
      @WorldSexKing 3 ปีที่แล้ว +31

      오이오이
      입은 아니라고 하지만
      이미 몸은 과학으로 가버렷!!!

  • @Karma-eo2gw
    @Karma-eo2gw ปีที่แล้ว +2

    10:20 소닉이랑 손오공은 변신하면 에너지가 무한이니까 광속 초과 쌉가능이겠군요.

  • @user-vn5yp2cp4v
    @user-vn5yp2cp4v ปีที่แล้ว

    재미있어요 잘보고 있습니다 !!

  • @flashwolf3148
    @flashwolf3148 3 ปีที่แล้ว +4

    와 가둬서 모든 이야기를 듣고 싶다.... 너무 재밌어...

    • @BYOUNG_SIN
      @BYOUNG_SIN 3 ปีที่แล้ว

      납치.ㄱㄱ

  • @catsi3574
    @catsi3574 3 ปีที่แล้ว +6

    역시 참 과학유튜버십니다!

  • @jadethai
    @jadethai 2 ปีที่แล้ว +25

    아주 유익한 얘기였을거라고 생각합니다...다음엔 인간의 언어로 설명해준다면 이해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qpdj52
      @qpdj5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빡대 꺼져라 리뷰엉이님이 얼마나 쉽게 말했는데 난 리뷰엉이 영상2위 인데

  • @qkffl2002
    @qkffl200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질량이 있는 물체가 빛의속도에 근접하려면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하고 빛의 속도에 근접할 수록 에너지에 비례한 질량 또한 커진다는건가요?
    그러면 질량이 있는 물체를 빛의 속도에 근접하게 만들다보면 블랙홀 같은것도 생기고 그럴까요?
    에너지가 커진 만큼 질량도 증가하고 그만큼 중력에 영향도 커지니까 그렇게 될까요?

  • @user-xr8gd8ub2b
    @user-xr8gd8ub2b 3 ปีที่แล้ว +5

    양자역학에서 생명공학관련 리뷰도 하면 좋겠다아

  • @user-tw1qi2xn8t
    @user-tw1qi2xn8t 3 ปีที่แล้ว +461

    3:18 존나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

    • @Alice-qf9zn
      @Alice-qf9zn 3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ado_Macaroon
      @Kado_Macaroon 3 ปีที่แล้ว +21

      관짝에서 뛰어나와서 뺨때리고 갔었을것 같음 ㅋㅋㅋㅋㅋ

    • @user-dm4zh5mv6b
      @user-dm4zh5mv6b 3 ปีที่แล้ว +1

      좋아요 100개는 못참지

    • @user-fx1rs8gl7h
      @user-fx1rs8gl7h 2 ปีที่แล้ว +1

      아니 몬대 ?ㅋㅋㅋㅋㅋㅋ

    • @gon3891
      @gon3891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ㅋㅋㅋㅋㅋㅌㅌ

  • @user-ev5ou3ms9q
    @user-ev5ou3ms9q 2 ปีที่แล้ว

    재밌어요.....11:13 무한대의 질량.....혹시 빅뱅일까요???

  • @user-ki6me6rd8u
    @user-ki6me6rd8u 2 ปีที่แล้ว +1

    3:34초 배경이 엄청 이쁘네요

  • @calilx2
    @calilx2 3 ปีที่แล้ว +44

    2:09 부엉이 방귀 뭐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3 ปีที่แล้ว

      키우시는 고양이인가요????

    • @calilx2
      @calilx2 3 ปีที่แล้ว

      @@fiercehan6791 응? 아뇨; 인터넷에서 줍줍한겁니다;

  • @David-0728
    @David-0728 3 ปีที่แล้ว +5

    드디어 과학유튜버에서 영화까지 넘보시는군요!

  • @Jindo712
    @Jindo712 2 ปีที่แล้ว

    질량을 가진 물질은 광속에 다가갈수록 질량이 지수적으로 올라갑니다, 또한 속도를 늘릴수록 질량이 지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연료 소모도 지수적으로 올라가죠, 플래시는 스피드 포스란걸 이용해서 물리학 법칙에 적용 되지 않지만요

  • @junk0978
    @junk0978 2 ปีที่แล้ว +1

    근데 질량이 무한대하면 광속에 도달헐수있더고 하셨능데 그럼 블랙홀은 가능한가요??

  • @P-Space
    @P-Space 3 ปีที่แล้ว +10

    어차피 영화 설정이니 실제로 불가능 한건 이미 아는 내용이고
    본질은 빛보다 빠르면 시간이 정말로 거꾸로 가는지가 궁금해요

  • @user-ei5qd8tq4t
    @user-ei5qd8tq4t 3 ปีที่แล้ว +83

    영상제목:"빛보다 빠르면"
    영상 내용:빛보다 빠를 수 없습니다.

    • @user-sm1ct4ek9f
      @user-sm1ct4ek9f 3 ปีที่แล้ว +18

      ㅋㅋ ㄹㅇ 씨발
      빛보다 빠르면 어떻게 될까 이렇게 적어놓고 질량은 빛보다 빠를 수 없어요 이러고있네
      요즘 제목과 내용 ㅈ같은게 왤케많지

    • @user-ei5qd8tq4t
      @user-ei5qd8tq4t 3 ปีที่แล้ว +4

      @@user-sm1ct4ek9f ㄹㅇ ㅋㅋ 이런 제목 좀 그렇긴함

    • @user-lz2hm5dr1j
      @user-lz2hm5dr1j 2 ปีที่แล้ว +2

      ㄱㅅ 안보고끔

    • @user-ei5qd8tq4t
      @user-ei5qd8tq4t 2 ปีที่แล้ว

      @@MerryGoRound-we3gy 없어요

    • @user-jv4ty1rq6h
      @user-jv4ty1rq6h 2 ปีที่แล้ว

      ㄴㄴ 원래 빛보다 느린 입자를 빛보다 빠르게 할 순 없지만 빅뱅 이전 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었다면 그건 뭐라못함

  • @sngiu1874
    @sngiu1874 2 ปีที่แล้ว +3

    무한한 에너지라... 빛마저 못 빠져 나오는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이용하면(인터스텔라에서 등장한 테서렉트도 비슷한 원리인거 같기도..) 광속을 초월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헤어나올 수 없지만 엌

  • @soundkit
    @soundkit ปีที่แล้ว +24

    문과 : 빛의 속도로 달리는 내가 빛을 쏘면 그 빛은 광속 불변의 법칙으로 따라잡지 못하겠지만 상대성이론에 의하여 제3자가 멀리서 보면 나와 내가 쏜 빛은 같은 속도로 가는 걸로 보일 수 있다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ปีที่แล้ว

      과 : 빛->과: 빛

    • @user-un9pt3ru4u
      @user-un9pt3ru4u ปีที่แล้ว

      제3자에게는 그렇게 보일수 있고..
      시각은 빛의 속도여서 같게 보일 수 있는데..
      빛은 어디서든 그속도를 낸다는 영상의 설명에 의한다면..
      광속불변의 법칙과
      상대성이론을 합치면
      빛의 속도로 달리는 이가 쏜 빛은
      이미 빛의 속도에 있는 이가 그속도에서 쏜 빛이기에 본인은 정지되있는듯한 상태에서의 쏜 빛이란것..
      제 3자라는 단순상대적개념이 아닌
      빛의 속도로 달리는 이의 속도와
      그안에서 쏜 빛.. 즉.. 빛의 속도 안에서의 입장까지도 감안된다면 객관적 과학적 사실은 빛의 속도가 넘어가게 되는게 아닐까요?
      댓글에 의문이나서 저도 댓글을 달아보았는데... 리뷰엉이님이나.. 아시는분이 계시면... 내용파악이 잘 된 상태에서의 답변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ttabongcat77
      @ttabongcat77 ปีที่แล้ว

      @@user-un9pt3ru4u 물리학1에서 특수상대성 이론 공부해보시면 자세히 알게 되실겁니다
      아주엿같죠

  • @Zeddy272
    @Zeddy272 3 ปีที่แล้ว +6

    굉장히 잘 만드신 영상인데..
    이왕이면 물리 영상인만큼 용어는 명확하게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속도=변위(위치의 변화량)/시간
    속력=이동거리/시간
    이므로 속도는 -도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도 꽤 있더라구요.

    • @user-fb2mu5fw3c
      @user-fb2mu5fw3c 2 ปีที่แล้ว +5

      아는척 ㄴㄴ

    • @Zeddy272
      @Zeddy272 2 ปีที่แล้ว +4

      @@user-fb2mu5fw3c 아는 척이 아니고 고등학교에서도 수학이든 물리든 속도와 속력을 구분해서 쓰는 건 너무 당연한겁니다.속도는 벡터고 속력은 스칼란데요.너무나 다른 개념이에요.
      그리고 빛의 이중성, 특수상대성이론, 양자역학 기본은 고3 이과 물리에서 배우는 내용입니다.
      속도와 속력 얘기했다고 아는 척 할 정도의 수준도 아니라는 얘기에요.기본 중의 기본입니다..기본..🤦‍♂️

  • @ahadavid98
    @ahadavid98 3 ปีที่แล้ว +5

    사투리쓰는 타인이형 너무 친근하네

  • @joshuapark3335
    @joshuapark3335 ปีที่แล้ว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흐른다면, 생물학적인 관점과 이 사고실험을 결합해서 생각해보았을 때 사람이 많이 움직인다면 시간이 더디게 가기 때문에 같은 기간을 살고 느리게 움직인 사람에 비해서 더 오랜시간을 살은 것이 되는 건가요? 시간이 더디게 갔기 때문에 많이 움직일 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포의 노화도 늦게 되는 걸까요??

  • @user-ko4jj3qu1i
    @user-ko4jj3qu1i 2 ปีที่แล้ว +5

    부엉이님 채널 잘 보고 있습니다~
    리뷰 뿐아니라 과학,우주 컨텐츠 넘 재있어요
    5:30 예시에서 빛이 1초에 1미터 왕복할때 우주선 안에서 7초가걸리고, 밖에서 봤을때 우주선의 속도가 빛을 지그재그로 만들뿐 빛은 실제로 7초에 7미터를 움직였고 우주선의 속도가 중첩되어 눈에보이는 11미터를 이동하는데 7초가 걸릴것 같습니다. 우주선의 속도가 빠를수록 밖에서 봤을때 7초동안 빛이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나겠죠.

    • @namjasang3083
      @namjasang3083 2 ปีที่แล้ว +7

      이 사고실험에서 사용된 시계는 광자시계입니다.
      막대기 길이가 곧 1초라는 거죠.
      빛의 속도는 절대 불변이니 초속 30만km를 쉽게 1m로 바꿔서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우주선 안에서는 7m가 이동하는데 7초가 걸렸고 이 우주선을 밖에서 본다면 11m가 이동하는데 7초가 걸린 것 처럼 보이는 겁니다. 그러나 빛은 언제 어디서나 초속30만km입니다. 여기서 예를들면 언제나 1m를 이동하죠.
      즉 밖에서 봤을 때 11m를 이동했으므로 우주선이 막대기를 7번 왔다갔다 할 동안 우주선 안에서는 7초가 걸린 것이 우주선 밖에서 보면 11초가 걸린 것입니다.
      모든 속도는 상대적인데
      빛의 속도는 절대적이라는 부분을 상식적으로 이해하지 못 해서 생긴 오해같습니다.
      빛도 상대속도라면 7초동안 11m를 갔다고 생각 할 수 있겠죠.

    • @user-je7ri8qq2w
      @user-je7ri8qq2w 2 ปีที่แล้ว

      그러든 말든 생각해 보세요 속도의 계념을 봐야 하며 시간의 계념을 생각해보세요 속도와 시간은 전혀 다는 계념임니다 여기서 빛으속도보다 빠르게 이동 한다 하엿지만 어디 까지나 속도의 계념임니다 시간의 계념이 아님니다 속도로 시간을 거구로 달릴려면 속를 측정하는 시간이 마이너스로 가야 가능 함니다 허나 빛보다 빠르지만 분명희 시간이 거꾸로 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이동 하엿다는 것임니다 즉 빛의 속도로 1m 간다 할때 빛으속도 보다 빠르게 이동한다면 그 이동 거리가 2m~무한의 거리라 ~빛보다 빠르게 1조 만년 이동 한다 하여도 ~ 할때 시간은 분명희 전진 한다는 것임니다 과거로 갈려면 시간이 꺼꾸로 가야 가능 함니다 즉 저 설명 속에서 속도로 시간이 거꾸로 가는 능력의 속도가 존재 하지 안습니다 허니 불가능 함니다

    • @simpop1004
      @simpop1004 ปีที่แล้ว

      @@user-je7ri8qq2w 계념이래 ㅋㅋㅋㅋㅋㅋ

  • @GoodLife5312
    @GoodLife5312 3 ปีที่แล้ว +22

    슬프지만 역시 과학유튜버가 맞는거같네요.

  • @hyunsookim6633
    @hyunsookim6633 3 ปีที่แล้ว +11

    13:12 형 과학이야기하면서 예시로 "저스티스 리그"를 언급한다고 해서 영화유튜브인건 아니야. 형은 역시 과학유튜버야

  • @blueyes904
    @blueyes904 2 ปีที่แล้ว

    얽혀있는 두 입자가 광속의 거리 이상 떨어졌을때 동시 두 입자를 확인하거나, 두 입자를 100광년 거리에 떨구고 입자를 확인했을때 얽힘이 깨질까요? 아니면 정보전달이 광속을 넘어설까요?

  • @sean8699
    @sean8699 2 ปีที่แล้ว +3

    0:30 몰랐는데 플래시 발바닥에도 번개마크 달려있네

  • @B4B0me
    @B4B0me 3 ปีที่แล้ว +48

    저의 뇌로는 이해 불가능한 영상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DuRu_Suk
    @DuRu_Suk 3 ปีที่แล้ว +5

    근데... 애초에 판타지적 허구인 저스티스 리그의 플래시라는 요소를 사용했으니 광속보다 빠르거나 그 속도이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라는 설명 보다 만약 광속보다 빨라지더라도 시간역행이 불가능한 이유를 설명해 주셨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 @qpdj52
    @qpdj52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몇번을 봐도 재미있어 ㅎㅎ

  • @user-fp6bn9gh4q
    @user-fp6bn9gh4q 2 ปีที่แล้ว

    정주행하고 있는데 부엉이가 너무 귀엽다

  • @hopd
    @hopd 3 ปีที่แล้ว +7

    저스티스리그도 과학유튜버에겐 한낱 과학소재일뿐~

  • @user-pu3lu9ve8n
    @user-pu3lu9ve8n 3 ปีที่แล้ว +5

    3:13 답: 닌자는 빛이 없는 어둠에서 활동하기 때문이다.

  • @user-mj1kj4ke8r
    @user-mj1kj4ke8r 2 ปีที่แล้ว

    근데 양성자보다 더 가벼운건 시도해보는게 안되는건가요? 전자나 쿼크 같은거를 가석시키면 광속에 조금더 가까워질수있을거같은데 쿼크는 불안정해서 결합될수는있어도 전자는 그 질량도 매우작고 안정하니까 전자를 광속에 가까이 만들었을때 생기는 유도전류를 이용하면 전기생산도 엄청날거같은데 잘아시는분들 좀만 알려주세요..

  • @POCHAMA_
    @POCHAMA_ ปีที่แล้ว

    분명 학교에서 배울땐 하나도 이해 안되고 모르겠던데..리뷰엉이가 설명해주니깐 잘 들어오네 ㅎㅎ

  • @nashira.y
    @nashira.y 3 ปีที่แล้ว +37

    이정도갖고 영화유투버로 돌아왔다구??!!
    아니다 이 과학리뷰엉이야!! ㅋㅋㅋㅋ

  • @Go__
    @Go__ 3 ปีที่แล้ว +243

    이제는 아인슈타인 목소리가 진짜 저랬던거같이 느껴지네 ㅋㅋㅋㅋ

    • @krkkk00
      @krkkk00 3 ปีที่แล้ว +1

      ㄹㅇㅋㅋ

    • @crowndia97
      @crowndia97 3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 전남 영광 출신 일론머스크 생각나네 ㅋㅋㅋㅋ

    • @yee8494
      @yee8494 3 ปีที่แล้ว

      @쁘띠마레TV 빛의 속도로 차이기 전에 댓삭해라 영상도 보1지 않으면서

    • @bkh765
      @bkh765 3 ปีที่แล้ว +4

      @@crowndia97 화성 가끄니까

    • @user-hv6gn6wd9z
      @user-hv6gn6wd9z 3 ปีที่แล้ว

      @@crowndia97 !도지

  • @user-zg7ob8ns2l
    @user-zg7ob8ns2l ปีที่แล้ว +1

    스타트렉의 워프기술도 리뷰해줘요~ 인터스텔라만 사골처럼 우려먹지 않아도 될듯 ㅋㅋ 스타트렉은 반세기 이상 나왔으니 ㅋㅋ
    아! 워프기술은 중력장을 이용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는 이론.
    스티븐호킹도 어!? 가능하겠는데? 라고는 했어요 ㅎㅎ 스타트렉 광팬이기도히구요 ㅎㅎ

    • @tundratiger9473
      @tundratiger9473 ปีที่แล้ว

      워프는 빛의속력을 능가하는게 아니라 중력이 극도로 커지면 공간이 구부려져서 이쪽 공간과 저쪽 공간이 마치 책받침을
      휘어서 책받침 끝과 끝을 가까이 붙인 것처럼 변하고 그 끝이 화이트홀로 이어져 있다는 이론인데 빛의 속력보다 빠른게 아니라 공간이 휘어져서 짧아진다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 그런건 없다는게 중론이죠.

  • @user-qf8zf1th8w
    @user-qf8zf1th8w ปีที่แล้ว

    진짜 재밌게 봤어요

  • @buthead2
    @buthead2 3 ปีที่แล้ว +4

    아~완벽히 이해했어!
    잘때 이 영상을 보면 빛보다도 빠르게 잠드는 매직~

  • @mercedesbenz704
    @mercedesbenz704 3 ปีที่แล้ว +3

    플래쉬가 빛의 속도 그 이상으로 달린다니 놀라운 일이네요 . 초광속으로 진입한 플래시로 인해 시간은 거꾸로 흐르게 됐고 덕분에 저스티스리그는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는 내용인데
    초광속으로 달리면 시간은 역행하게 될까 궁급하네요 빛의 속도를 넘어서 엄청난 속도로 달리는게 가능하게 되겠네요 흥미진진한 내용이었습니다. .

  • @Kim_Random
    @Kim_Random ปีที่แล้ว

    영상보기 전에 댓 쓰는데 빛과 동일한 속도를 내려면 질량이 무한해야하고 설령 과거 우주가 급팽창하던거처럼 빛보다 빠르게 간다해도 그건 일반적인 관성계에서 벗어난 경우라서 시간 역행과는 관련 없지 않나요

  • @asmoonlightkr
    @asmoonlightkr 2 ปีที่แล้ว

    빛은 어떻게 저렇게 빠를 수 있는거지? 빛처럼? 되려면 무한의 에너지와 질량이 필요한데.. 빛의 에너지와 질량은?? 빛은 어떻게 생기는/생겨난 걸까요? 빛이란 무엇인가?

  • @niceyoungmo
    @niceyoungmo 3 ปีที่แล้ว +61

    인터스텔라 건드렸다가 인생의 획이 바뀌신듯

  • @user-eo8ip3yf4e
    @user-eo8ip3yf4e 3 ปีที่แล้ว +4

    5:51 에서 뛰어내리는 모형탑 훈련

  • @moza2b177
    @moza2b177 2 ปีที่แล้ว

    외람된 이야기지만 여기 사용된 브금 무드용으로 아주 좋습니다..

  • @user-my9qz5yc7b
    @user-my9qz5yc7b 2 ปีที่แล้ว

    신기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anein0624
    @janein0624 3 ปีที่แล้ว +230

    자 여러분
    시간을 아끼기 위해서
    춤을추며 움직입시다

    • @user-hn1vb5zx3b
      @user-hn1vb5zx3b 3 ปีที่แล้ว +3

      ㅋㅋㅋ

    • @bywooks
      @bywooks 3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ㅌㅋㅋ

    • @janein0624
      @janein0624 3 ปีที่แล้ว +27

      @0116이승민 그럼 바닥에서 굴러보죠

    • @DELMNN
      @DELMNN 3 ปีที่แล้ว +2

      답은 콩댄스다

    • @asd-qp4yi
      @asd-qp4yi 3 ปีที่แล้ว

      @@user-hn1vb5zx3b ㄴㄷㅆ

  • @user-wp1wz8nt6g
    @user-wp1wz8nt6g 3 ปีที่แล้ว +23

    이 형 또 머리 터질 얘기 시작하네 ㅋㅋㅋㅋ 괜찮겠어?

  • @nimonyean5884
    @nimonyean5884 2 ปีที่แล้ว

    우주선 안의 광자시계를 밖에서 보면 실제 이동 동선은 지그제그가 맞지만 그건 우주선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이여야 그런 거 아닌가요 점차 보는 방향이 이동 방향과 가까워질수록 광자 시계의 빛은 위아래만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고 심지어 위에서 보면 빛은 그냥 일자로 우주선의 방향대로 가는 걸로 보이지 않나요?

  • @i_love_South_Korea
    @i_love_South_Korea 2 ปีที่แล้ว

    플래시는 무한의 애너지인 스피드 포스를 사용해 달리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을가용?

  • @user-xs2ts4fg8v
    @user-xs2ts4fg8v 3 ปีที่แล้ว +37

    8:48
    아니 그럼 여친은 빛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겠네요.
    왜냐면 여친은 존재는 하지만 질량은 없으니까요.

  • @DASA_69
    @DASA_69 3 ปีที่แล้ว +8

    7:51 네..?...??!!!

  • @Big_bananaa
    @Big_bananaa 3 ปีที่แล้ว

    0:42 모르니까 건너뛰지 말아야지
    1:50 (약간 넘기고 싶어짐)
    2:39 ..? 넘길까....
    6:03 어ㅓㅓㅓㅓㅓ 넘겨야지
    7:49 에이 그래도 많이 봤는데... 넘기지 말껄..( 하면서 6분쯤으로 돌아가자 7분으로 돌아오는 매우 신기한 현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8:25 음....넘기는 것으로는 역시 부족한듯....나가야지^^

  • @user-zd4se7yp7q
    @user-zd4se7yp7q ปีที่แล้ว

    초광속에 도달 할 수 없기 때문에 과거로 가지못하는 것이 아닌, 과거로 갈 수 가 없기때문에 초광속에 도달할 수 없는 것 아닐까요 ㅎㅎ 특수상대성이론은 공부하면할수록 어렵고 신기하고 궁금하네요

  • @sharky2296
    @sharky2296 3 ปีที่แล้ว +31

    03:20 너무 무서운데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p4je3jm4q
    @user-xp4je3jm4q 3 ปีที่แล้ว +307

    여자친구는 질량이 없으니까 빛과 같은 속도가 되어 과거로 갔군...

  • @nitrouni
    @nitrouni 2 ปีที่แล้ว +1

    3:18 아 ㅋㅋㅋ 아인슈타인은 무덤에서 못깨어나죠 ㅋㅋㅋㅋ 뇌가 수십조각이 나서 박물관에 흩어져있는데..

  • @younggwang87
    @younggwang87 2 ปีที่แล้ว +1

    태양보다 큰 별도 끌어당기는 블랙홀
    이 블랙홀이 블랙홀 끼리 합쳐져 빛도 빠져나오지 못 하는 중력의 엄청난 무한의 가까운 에너지로 물체를 끌어당기면 빛에 속도보다 빨라지지 않을까요?

  • @rk_music5832
    @rk_music5832 2 ปีที่แล้ว +3

    3:36 키네다이아 아니냐? 이거

  • @DZNTSONYCH
    @DZNTSONYCH 3 ปีที่แล้ว +30

    빛보다 빠르게 가도 바꾸지 못하는건 이 채널의 정체성이지

    • @Arsenal_03-04
      @Arsenal_03-04 ปีที่แล้ว

      밥은 먹고 다니냐?

    • @H_H_H_H_H
      @H_H_H_H_H ปีที่แล้ว

      급노잼...

  • @user-ti1oc6cf6j
    @user-ti1oc6cf6j 2 ปีที่แล้ว

    광속의 무한에너지와 열역학 법칙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 @user-hr2yv1oq4j
    @user-hr2yv1oq4j ปีที่แล้ว

    질량이 작더라도 광속에 도달하기 위해선 무한대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면
    질량이 크더라도 필요한 에너지는 작은 물질과 같다로 생각할 수 있겠네요
    근데 블랙홀에서는 빛조차 못 나온다는데 그럼 광속을 초월할 수 있지 않나? 라는 의문이 생기네요.

    • @ABC-kx5gy
      @ABC-kx5gy ปีที่แล้ว

      블랙홀에서는 중력이 매우 강하다고 하지만, 블랙홀을 탈출하는(블랙홀에서 나오는) 에너지 있다고 하네요.

  • @user-tx5pw4ht1m
    @user-tx5pw4ht1m 2 ปีที่แล้ว +4

    상대성이론으로 보면 빛의속도가 불변이라고 하면 빛의속도는 30만이 아니라 무한 아닌가여? 만일 1000만속도나 1억속도로 달려도 빛은 무조건 자기보다 30만 더빠르게 움직이니까여 근데 빛의속도는 30만으로 유한하잖아요? 만일 제가 31만이고 동일 출발선에서 동시에 달리면 제가 1만더빠르니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수있잖아요 근데 이것도 아니게 되는건가요?

    • @user-pd1zs1eb7z
      @user-pd1zs1eb7z 2 ปีที่แล้ว

      1000만 속도 1억속도로 달리는건 불가능해요 빛의 속도보다 같아지거나 더 빨리 못 달립니다

    • @user-tx5pw4ht1m
      @user-tx5pw4ht1m 2 ปีที่แล้ว +1

      @@user-pd1zs1eb7z 그럼 우주공간은 빛의속도보다 더빨리 팽창된다던데 빛의속도가 불변이면 공간이 더빠르게 팽창되면 안되지않나요?
      그리고 빛의속도와 동일선에서 동일시간에 출발한다고 하고 더빠른 물질이 있으면 빛의속도는 불변이아니라 30만km가 되는거잖아요 근데왜 상대성이론엔 모든 물질물체보다 빛의속도는 30만km 앞에있다고 하는건가요 그리고 제가 1km 속도로 달리고 있다면 무조건 빛은 30만km불변이니까 빛은 30만 1km로 달리는건가요? 30만km라는게 나오면 안되고 무한이라고 정의해야 되는거아닌가요? 30만km로 불변이라고 하고 유한한 속도인데..

    • @user-ei4qc1mr3r
      @user-ei4qc1mr3r 2 ปีที่แล้ว

      @@user-tx5pw4ht1m 우선 우리가 물체의 속도를 알려면, 운동하는 물체와 비교할 물체가 필요합니다.
      만약 운동하는 물체는 있는데 주변에 아무런 비교할 물체가 없다면 어느정도의 속도로 운동하는지 알수가 없죠.
      이것이 곧 상대속도입니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akm/h'이것이 의미하는것은 지면에 대한 물체의 상대속도 입니다.
      즉 지면보다 물체가 akm/h의 속도만큼 더 빠르게 이동하였다는 소리이죠.
      녕 안님께서 1km의 속도로 달리면 빛은 30만 1km의 속도가 되는것이 아니냐고 말씀하셨는데, 여기서의 1km의 속도는 땅에 대한 상대속도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녕 안님이 그 속도로 빛을 쫒아 가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빛은 녕 안님으로 부터
      30만km/s의 속도로 멀어지겠죠, 그러나 우리가 알고있는 멀리서 그 모습을 관찰하는 정지한 관찰자들이 보기에는 빛은 그대로 30만km/s의 속도로 움직일 것입니다.
      이 이유는 빛의 (상대)속도의 불변성 때문입니다.
      빛의 (상대)속도가 불변하는 이유는 현존하는 과학자들은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빛의 (상대)속도의 불변성은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은 세우기 위해 가정한 것입니다.
      즉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불변하다고 가정하니 모든것들이 그것에 따라 운동하더라, 라는 것입니다.
      만약 빛의 속도가 불변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해 내면 상대성 이론은 틀린 이론이 되겠죠. 그러나 아직까지 과학자들이 발견한 바로는 빛의 속도가 불변하였습니다.
      처음으로 돌아와서 그럼 어떻게 나는 1km/s으로 가고 있는데 그보다 30만km/s빠른 빛이 똑같이 30만km/s로 가느냐에 대해 말해보자면, 시간지연과 거리수축이라는 개념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속력=거리/시간 이라는 공식을 알고 있습니다.
      이를통해 속력은 정해진 거리를 얼마나 더 짧은 시간안에 갔느냐
      혹은 정해진 시간안에 얼마나 더 멀리갔느냐
      라는 것을 알 수 있죠.
      여기에 시간 지연이라는 개념을 듭니다.
      만약 녕 안님이 빛을 향해 1km/s의 속도로 달려가면 주변인들이 보기에는 녕안님의 시간이 느리게 움직이고 있는 것 처럼 보일겁니다.
      즉 1km/s의 속도로 간다면 1km를 1초동안 가야하나, 그보다 더 시간동안 1km를 간다는 뜻이죠.
      그로 인해 녕 안님과 빛의 속도 차이는 여전히 30만km/s일 것이고, 관찰자들이 보기에도 빛은 30만km/s일 겁니다.
      거리 수축의 개념을 들어보면, 녕안님의 시간은 동일하게 움직이나, 거리를 더 적게 움직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1km/s의 속도로 움직이면 1초에 1km를 움직여야하나, 1초에 1km보다 더 적게 움직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빛은 녕안님 으로부터 30만km/s 관찰자들로 부터도 30만km/s로 움직이게 됩니다.
      필력이 좋지않아 이해안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 @user-ei4qc1mr3r
      @user-ei4qc1mr3r 2 ปีที่แล้ว

      @@user-tx5pw4ht1m 그리고 우주공간이 팽창하는것은 어떤 물체가 다른것으로 부터 빠르게 운동하는 것과는 다른것이라고 보셔야 합니다.
      우주는 팽창할때 공간 자체가 팽창합니다. 예를 들어 점들이 박혀있는 풍선을 분다고 보면, 점들사이에 새로운 공간이 생기며 서로 멀어집니다.
      그리고 우주공간에서는 질량이 큰 물체 근처에서는 천천히 없는 공간에서는 빠르게 팽창합니다.
      그리고 이 각각의 속도는 빛의 속도보다 느리지요.
      그러나 여기서,지구에서 92억 광년정도 떨어진 은하를 가정해봅시다.
      즉 92억년동안 빛이 지구까지 왔다는 것이죠.
      이 은하에서 빛이 출발할때는 대충 57억 광년이였고 오는 도중에 우주공간이 팽창하며 92억년이 걸린 것이죠.
      한마디로 은하가 지구로부터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움직여서 멀어진것이 아니라, 우주의 공간 자체가 새롭게 생기면서 전체의 거리가 멀어진것으로 봐야합니다.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으시다면 질문 부탁드립니다!

    • @user-tx5pw4ht1m
      @user-tx5pw4ht1m 2 ปีที่แล้ว

      @@user-ei4qc1mr3r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1km/s로 움직이면 저는 1초에 1km를 간거잖아요.
      그럼 관찰자랑 저랑 동시에 초시계를 준비해놓고 준비땅 하면 동시에 초시계를 누르기로하고 제가 1km/s로 1km를 움직였다 가정하고 시간지연,거리수축 개념으로 들어가면 관찰자는 초시계에 1초이상+1km거리이하로 확인이 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