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섬유 케이블, 작동하는 방법은?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พ.ค. 2019
  • 혹시 어떻게 세계 그 어디에서나, 눈 깜짝할 사이에 이메일이나 다른 정보들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지하와 해저에 깔린 케이블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전 세계 대부분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케이블은 광섬유 케이블입니다. 의료 장비에도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우리 주변의 세계를 혁신적으로 바꿨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2

  • @user-ui4ls5lu2c
    @user-ui4ls5lu2c 5 ปีที่แล้ว +44

    진짜 너무 이로운 채널이다
    이런 과학적인 채널 너무 좋아

  • @user-bs1cp1fo9w
    @user-bs1cp1fo9w 2 ปีที่แล้ว +2

    정말 쉽게 이해됩니다. 소중한 정보네요.

  • @semi-ee2vi
    @semi-ee2vi 3 ปีที่แล้ว

    궁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유익해요!!

  • @user-mk3wh9nw4i
    @user-mk3wh9nw4i 5 ปีที่แล้ว +8

    드디어 이 영상도 한국어판이 올라왔네요 ㅋ
    영문채널에서 놓쳤던것들 다시 재조명해볼수 있어서 좋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항상 이과쟁이들에겐 경의를 표함.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 5 ปีที่แล้ว +21

    광섬유 케이블은 이미 학교에서 배웠기 때문에 안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더욱 깊이 있게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 유익했습니다. 🙇

  •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naturefruitmineralwater6307
    @naturefruitmineralwater6307 4 ปีที่แล้ว

    고맙습니다

  •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4 ปีที่แล้ว +1

    영상 진짜 좋네요 !!

  • @user-xw9by3vm6v
    @user-xw9by3vm6v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gyulcho1276
    @gyulcho1276 5 ปีที่แล้ว +1

    와 잘보고갑니다

  • @user-ku3mm6ch8z
    @user-ku3mm6ch8z 4 ปีที่แล้ว +4

    우리가 말한 소리가 전화기를 통해 1과 0으로 변환되어 기지국을 거쳐 상대에게 들리는것 까지는 이해 하겠는데 근데 어떻게 사람마다 다른 목소리까지 그대로 1과 0으로 변환될수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사람마다 다른 말소리가 전파로 날아가는 자체도 어떻게 보면 신기한것 같습니다.

  • @seeeeok
    @seeeeok 5 ปีที่แล้ว +100

    지나가는 문과입니다. 인터넷 사용료 열심히 내겠습니다

    • @Sean-nx8mh
      @Sean-nx8mh 4 ปีที่แล้ว +20

      값 문과가 인터넷을써?????

    • @hiphop7411
      @hiphop7411 4 ปีที่แล้ว

      Sean ㅋ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v-ez3ot
      @tv-ez3ot 3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ㅋ

    • @State_of_Korea
      @State_of_Korea 2 ปีที่แล้ว

      안내면 바로 인터넷이 안되어서
      세상과 단절되니깐

  • @user-cd5tt6xz1w
    @user-cd5tt6xz1w 4 ปีที่แล้ว

    좋고 아주 좋습니다 이해 팍 됩니다

  • @min-sukim2404
    @min-sukim2404 2 ปีที่แล้ว

    👍

  • @anaramaa
    @anaramaa 5 ปีที่แล้ว

  • @hslyou4489
    @hslyou448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교한 광섬유 케이블이 어떻게 제조가 가능한지도 궁금하네요

  • @user-ql2ux3ep4u
    @user-ql2ux3ep4u 5 ปีที่แล้ว +1

    6:41 자기장에 방향이...오른나사법칙 아니던가요..??

    • @sseyju9392
      @sseyju9392 5 ปีที่แล้ว +7

      전자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은 반대방향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은 전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나사 법칙이기 때문에, 저기서 표현한 전자의 방향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영상 속의 설명이 맞는 설명이 돼용

    • @user-ql2ux3ep4u
      @user-ql2ux3ep4u 5 ปีที่แล้ว

      @@sseyju9392 글군요..

  • @SWATLAPD9701
    @SWATLAPD9701 4 ปีที่แล้ว +2

    내부 전반사였나 굴절을 위해 착색(보호막)을 합니다
    색상별로 다르지만
    착색도 6가지색으로 흑.적.갈...기억이....10년이 넘어서 ㅠㅠ
    삼숑 광사업부에서 착색하다가 권취(드럼에 케이블을 감는작업)를 했었습니다....저선기가 200미터까지 감아주면 그시간동안 드럼을 역회전하여 권취에 용이 하게 하기 위해 ㅎㅎ
    그런데 저선기가 오버 되버리면 전직원이 달려나와 광케이블을 안꺾이게 도와줍니다 ㅎㅎㅎ
    광섬유 한가닥에 수천명이 접속가능합니다
    당시에 하나로가 제일 광섬유 비싼거 썼었고 그다음이 게이티.다음이 헬쥐...
    광섬유는 일정각도이상 끊어지기 때문에...
    불량나면 탈피기계로 피복을 벗기기도 합니다 그러다 PS였나 PC 뭐시깽이였는데 ..(금속피막)에 의해서 손가락 잘릴뻤했네요 ㅎㅎ
    광섬유 꺾일까봐 손으로 잡았다가.ㅠㅠ아직도 상처가 아리군요...
    광케이블은 해킹같이 정보를 뺄수가 없으나
    스펙트럼 장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뺄수가 있습니다
    단 미국에 2대정도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참 오랜만에 광섬유에 대해서 다시 추억을 ㅎㅎㅎㅎ
    쉬는 시간도 교대고 점심도 교대..ㅠㅠ
    피복입히면 멈출수가 없는 특성상...
    바로 권취까지..
    광섬유....
    군대에서 비파괴하면서 플렉시블 케이블에 광케이블이 들어가더군요...ㅋㅋ
    올림푸스 플렉시블 스코프.,,

    •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4 ปีที่แล้ว +1

      그런데, 수천 km 해저에 광케이블 깔때는 사람이 직접 해저로 들어가나요? 그럼 사람이 그 엄청난 수압을 견뎌내게 했던 잠수함이 그 당시에 존재했었나요?
      그리고 해저에 깔린 광케이블은 해저생물에 의해 손상이 되지 않나요?

  • @lastin.firstout.2275
    @lastin.firstout.2275 5 ปีที่แล้ว +2

    이런 동영상은 무슨 프로그램으로 제작합니까?

    •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4 ปีที่แล้ว +4

      저도 잘모르지만 댓글이 없어서 설명드립니다.
      마야나 스케치업 같은 3d 제작 프로그램으로 피사체와 배경을 제작하고,
      프리미어 프로나 에프터이펙트 같은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에 제작한 3d 작업물을 가져와 이용하여서 동영상을 만드는듯합니다

  • @tebkgjkdj276
    @tebkgjkdj276 4 ปีที่แล้ว

    신기하다

  • @user-ik8he7yp8h
    @user-ik8he7yp8h 3 ปีที่แล้ว

    그냥 빛만보내면 되는거라 생각했는데 이렇게 복잡했다니

  • @vc5219
    @vc5219 3 ปีที่แล้ว

    빛으로 통신하는 선이라 그것도 빛 반사로 신호를 보낸다라... 신기하네

  • @parkji-min1207
    @parkji-min1207 3 ปีที่แล้ว +1

    뭐지 마지막 장면 보고 어이 없어서 다 까먹었네요 ㅋㅋㅋㅋㅋㅋㅋ

  • @user-gf8bd8wy8y
    @user-gf8bd8wy8y 4 ปีที่แล้ว +12

    내가 어렸을 때는 유선은 이제 사라지고 무선에 시대로 라고 배웠는데 다시 유선의 시대가 왔네 집집마다 있는 TV 유선 방송도 선을 따라가보면 방송국까지 연결 됐다고 하던데

    • @user-op8jf6nj5d
      @user-op8jf6nj5d 4 ปีที่แล้ว +6

      유선의 안정성과 속도는 아직 무선이 따라올 수 없는...

    • @adger3307
      @adger3307 2 ปีที่แล้ว

      개인이 소지하는 무선단말들이 아무리 발전해도 결국 휴대기기의 한계가 있으니 중간 매개체가 되는 인프라는 유선으로 꽤 오래 지속될것같네요

  • @user-fh2dw7zo1m
    @user-fh2dw7zo1m 3 ปีที่แล้ว

    빛의 속도가 달라진다? 는 표현이 맞는건가요?

    • @user-sq8rl8do5j
      @user-sq8rl8do5j 3 ปีที่แล้ว

      빛의 속도는 매개체에따라서 달라진다는게 입증됐음 그래도 워낙에 빨라서 체감도 안되지만

    • @adger3307
      @adger3307 2 ปีที่แล้ว

      비슷한 예로 지표면 근처와 상공의 기온차로 (음속/광속차이, 태양복사로 인해 낮엔 보통 지표면 기온이, 밤엔 상공이 높음)
      밤에는 지표면이 저온->밀도가 높아 속도가 느려지는 지상쪽으로 음파와 전자기파가 휘어져 나가고, 낮에는 지표면이 고온->저밀도이기때문에 상공으로 굴절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밤에 멀리서 발생하는 소음들이 더 잘들리게 되죠

  • @chuljinkim4084
    @chuljinkim4084 4 ปีที่แล้ว +6

    0:37 얇습니다 (X) 가느다랗습니다 (O)

    • @user-qf7eg5vq3n
      @user-qf7eg5vq3n 4 ปีที่แล้ว

      ?

    • @CLA250_4Matic
      @CLA250_4Matic 4 ปีที่แล้ว

      @@user-qf7eg5vq3n 얇다/두껍다 : 판 모양의 두께 표현 (부끄럽지도 않니? 니 얼굴은 왜 그렇게 두꺼워?)
      가늘다/굵다 : 관 모양의 지름 표현 (니 X 굵다!!)

  • @0x000010
    @0x000010 3 ปีที่แล้ว +17

    7:17 결론: 미국을 지원하자

  • @user-ig4lg8kg7v
    @user-ig4lg8kg7v 4 ปีที่แล้ว +2

    광케이블은 내구성이... 밟으면 부서진다는...

    • @junani11
      @junani11 3 ปีที่แล้ว

      내구성 강한 armored 제품이 있지요.

    • @user-jh4iw7db5n
      @user-jh4iw7db5n 3 ปีที่แล้ว

      인장강도는 높고 파열강도는 낮죠.. 즉, 당기는 힘엔 강하지만, 꺾임엔 약하다는 의미죠.

  • @iamacupp7204
    @iamacupp7204 2 ปีที่แล้ว

    2:30 5:08

  • @user-kw6mb9zu7h
    @user-kw6mb9zu7h 4 ปีที่แล้ว +2

    지나가던 초딩은 갈고리를 줬다!

  • @user-ly5yf2ol3h
    @user-ly5yf2ol3h 3 ปีที่แล้ว

    감쇠. 흡수및 산란

  • @flytothelord
    @flytothelord 4 ปีที่แล้ว +2

    오역 - 제발 우리를 지원하십시요 ..(미국은 지원할 필요가 없는 나라)

    • @user-ss4qn6xd2v
      @user-ss4qn6xd2v 4 ปีที่แล้ว +3

      us를 미국으로 번역한듯ㅋㅋㄱ

  • @user-op8jf6nj5d
    @user-op8jf6nj5d 4 ปีที่แล้ว

    인간은 참 위대하다... 항상 위대했으면 좋겠지만 바보짓도 하는게 인간....

    • @SEXS1
      @SEXS1 4 ปีที่แล้ว +1

      몇몇 위대한 사람들과 몇몇 미친사람들도 있으니까요

  • @goldenbuglab
    @goldenbuglab 4 ปีที่แล้ว

    아쉽게도 몇 가지 틀린 내용이 있고, 솔리톤 같은 몇 가지 빠진 내용이 있네요.

  • @Qwerty-ex9jb
    @Qwerty-ex9jb 4 ปีที่แล้ว +1

    남자 목소리 개멋잇다

  • @zhffl12
    @zhffl12 3 ปีที่แล้ว +1

    그럼 중계기는 바닷속에도 있다는거임?

    • @user-sq8rl8do5j
      @user-sq8rl8do5j 3 ปีที่แล้ว +1

      중계기가아니라 증폭기

    • @zhffl12
      @zhffl12 3 ปีที่แล้ว

      @@user-sq8rl8do5j 아니 바닷속에도 증폭기가 있음?그 커다란게 해류와 함께?

    • @user-sq8rl8do5j
      @user-sq8rl8do5j 3 ปีที่แล้ว +1

      @@zhffl12 증폭기가 엄청 큰거도아니고 생각보다 작음 전기도 전봇대에 많이 달려있잖음

  • @SJ-K
    @SJ-K 5 ปีที่แล้ว +25

    미국을 지원하라니... 굳이 큰 형님을 도와드리지 않아도 이미 천조국이신데 ㅋㅋ

    • @Luxusio
      @Luxusio 5 ปีที่แล้ว +34

      아마 support us에서 us를 미국으로 본거같네요

    • @kuugo360
      @kuugo360 4 ปีที่แล้ว +1

      @@Luxusio 아 ㅋㅋㅋㅋㅋㅋㅋ

    • @ddukbaegidaera204
      @ddukbaegidaera204 4 ปีที่แล้ว +2

      ​@@Luxusio 맞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ㄹㅇ 추리력이 코난을 씹어드시는 분 ㄷㄷ

    • @cchocopie
      @cchocopie 3 ปีที่แล้ว

      @@Luxusio 진짜 맞네 ㅋㅋㅋㅋㅋㅋㅋ

  • @Onma88Gold
    @Onma88Gold 4 ปีที่แล้ว

    광섬유 포설할때 간섭 생긴다고 몇백미터를 플렉시블에 넣었는데 안넣어도 되는거였네

    • @user-oooooooooooooooo
      @user-oooooooooooooooo 3 ปีที่แล้ว

      그건 잘못된 생각이십니다 어떤 전선이든 간선트레이를 제외하고는 노출시 훼손의 가능성이 지극히 커지기때문에
      비싼 후렉시블까진 아니라도 CD만이라도 좋으니 감싸주긴 해야합니다
      특히 광케이블은 통신간섭은 없을지라도 파손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더더욱 보호해줘야합니다

  • @leesanghong80
    @leesanghong80 4 ปีที่แล้ว

    190918

  • @KimsGambit
    @KimsGambit 5 ปีที่แล้ว +3

    Please support the United States!
    제발 미국을 지원하십시오!

  • @_ihavelotsofhorses5798
    @_ihavelotsofhorses5798 3 ปีที่แล้ว

    세계가 광섬유 케이블로 연결 되어 있었군.... 처음 알았음

  • @wisdomdawn
    @wisdomdawn 3 ปีที่แล้ว +2

    제발 미국을 지원해주십시오!
    ㅋㅋㅋㅋㅋㅋㅋㅋ

  • @sca7531
    @sca7531 2 ปีที่แล้ว

    와 바로이해됨

  • @user-vi3ds4bz8c
    @user-vi3ds4bz8c 2 ปีที่แล้ว

    설명 너무 쉽다..

  • @Moonjungeun
    @Moonjungeun 3 ปีที่แล้ว

    다아는 내용이구만

    • @cchocopie
      @cchocopie 3 ปีที่แล้ว

      거짓말,
      xx공단에서 불량선별하는 일용직이 할 말은 아닌듯 ㅋㅇ

    • @Moonjungeun
      @Moonjungeun 3 ปีที่แล้ว

      @@cchocopie 14년전부터 유튜브에서 백수짓 쳐해오는 놈이 할소린 아닌듯 ㅋㅋ
      그리고 우리 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3, 4학년만 가도 광전자공학 배우고 1학년 물리시간 전기공학에서 광섬유에 대해서 가르치던데?

    • @Moonjungeun
      @Moonjungeun 3 ปีที่แล้ว

      @@cchocopie 너도 어디공단에서 불량선별 한다는 사람이라고 비꼬는식 댓 달았잖아 뭔데 지맘대로 지워달라 말라 이지랄인지 모르겠네 ㅋㅋㅋ
      그리고 무슨 겸손한 댓글이야? 너부터 겸손하지 못하면서 남한테 겸손함을 바라는거야? 인간쓰레기인가?
      어릴적 상처가 뭔지 말안해도 알거같네 찐따새기 ㅋㅋ

    • @cchocopie
      @cchocopie 3 ปีที่แล้ว

      @@Moonjungeun
      아니 이런 좃밥을 봤나
      내가 제대로 본 거 맞네, 방구석 그지 맞네
      니가 아는 것 외에는 모르는 것 투성이수만
      그렇게 살지 말아라 아가야, 입에 걸레 문 것좀 보게나
      자기분수 모르고 자기가 최고인 줄 관리자가 된다면 너는 사기꾼 되는거야

    • @Moonjungeun
      @Moonjungeun 3 ปีที่แล้ว

      @@cchocopie ㅋㅋㅋㅋㅋ 뭐꼰대세요? 댓글다지웠네?
      니가 겸손해야 아랫사람도 겸손해지는거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말은 살면서 듣지도 못했나?
      니가 나보다 어른이니까 내가 겸손하게 대해줘야해? 니가 좆같이 대하는데 내가 겸손하게 대해줄 이유가있나?
      그리고 니가 어른이고 모를거같아서 말하는데 이댓글내용 드립이야
      괜히 좋게 대해줬더만 지랄이네 ㅋㅋ

  • @spellzero
    @spellzero 3 ปีที่แล้ว

    이제 응답속도는 스타링크가 더빠르다는걸 ㅋ

  • @user-mz9wf8of2x
    @user-mz9wf8of2x 2 ปีที่แล้ว

    수면ㅈ

  • @ymk5247
    @ymk5247 2 ปีที่แล้ว

    제발 미국을 지원하십시오! ㅋㅋㅋㅋㅋㅋㅋ

  • @jonghyunee84
    @jonghyunee84 2 ปีที่แล้ว

    제발 미국을 지원하십시오 ㅋㅋ

  • @user-qf3yc7wz9e
    @user-qf3yc7wz9e 4 ปีที่แล้ว

    아직도 유선쓰냐....

    • @user-fh9rp3xz6k
      @user-fh9rp3xz6k 4 ปีที่แล้ว +1

      모든 무선기기에 끝단과 끝단은 유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위성 인터넷도 광활한 유선 네트워크망에 일부일 뿐입니다. 앞으로 100년이 지나 눈부시게 통신이 발전해도 결국은 유선 네트워크에 의존 하는 것은 변하지 않습니다.

  • @kim-di2gk
    @kim-di2gk 5 ปีที่แล้ว

    쓰레기 먹방채널만 보다가 간만에 좋은영상 보고 갑니다

  • @user-pi5zh2sx3b
    @user-pi5zh2sx3b 4 ปีที่แล้ว

    무선전화 때문에 유선전화는 망했습니다. 무선인터넷이 발전하면 광케이블은 무슨 소용 ?

    • @user-fh9rp3xz6k
      @user-fh9rp3xz6k 4 ปีที่แล้ว +4

      하 참 무선인터넷 자체에 기지국 이 모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무선은 그저 사용자에 편리성 때문에 디바이스에 말단에서 무선으로 이용 하는 것 입니다. 과거보다도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통신은 유선에 의존하며 발전하게 됩니다.

    • @user-lp3fw6xc1j
      @user-lp3fw6xc1j 3 ปีที่แล้ว

      그럼 1000km 이상 무선통신해봐여

    • @junani11
      @junani11 3 ปีที่แล้ว

      좀 더 공부하세요 ㅎㅎ

    • @adger3307
      @adger3307 2 ปีที่แล้ว

      분명 영상에도 나와있었는데요... 기지국끼리 유선으로 연결되어있다고...
      무선인터넷은 개별 단말기가 유선망으로 연결하는 수단일 뿐이지 결국 개인 차원에서 유선망 없이는 무선으로 접속한 단말들은 어디로도 연결 불가능합니다.
      무선으로만 연결시킬수있는 군용 데이터링크같은 예시가 있기는 하지만 그건 자기들끼리 망구성하려고 사전에 철저하게 계획한 통신 플랜과 구성이 있기 때문에 예외로...

    • @Kiki99008
      @Kiki99008 ปีที่แล้ว

      ㅋㅋ 무선도 광케이블로 간선이 연결되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eabadoobea
    @Beabadoobea 5 ปีที่แล้ว

    보다보니 이거 비문학에서 본것같은데..

  • @Beabadoobea
    @Beabadoobea 5 ปีที่แล้ว

    나만의 수면영상..
    잘 모르겠고 이해하기 싫은거 보면 잠 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