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이 불행할 수 밖에 없는 결정적인 이유 (슈카월드 영상 재해석)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ธ.ค. 2023
  • 1%의 교양인들을 위한 자기계발 칼럼, [사운드 사운드 뉴스레터]
    fanding.kr/@soundsound/member...
    연애 뿐만 아니라 결혼 생활까지 책임지는,
    사랑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모든 기술
    fanding.kr/@soundmindclass/co...
    늘 유쾌하고 지적인 [SS 커뮤니티]
    fanding.kr/@soundsound/community
    [공식 인스타그램]
    / sound.sound_
    [Business 문의]
    soundsoundcorp@gmail.com
    #사운드사운드 #SoundSound #슈카월드 #행복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46

  • @Sound.Sound_Daniel
    @Sound.Sound_Danie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지만,
    ‘인생에서 반드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Sound Sound 뉴스레터] 구독 - fanding.kr/@soundsound/membership/
    [Sound Sound 아카데미] 수강신청 - fanding.kr/@soundmindclass/courses
    늘 유쾌하고 지적인 [SS 커뮤니티] - fanding.kr/@soundsound/community

  • @user-ri6sk4yg4r
    @user-ri6sk4yg4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3

    다니엘님 채널 구독하고 있는 40대 아재 입니다. 이런 직관을 가지고 있는 청년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MZ세대들만이 아닌 우리세대에도 책임이 있는데 아시다시피 많은 40대 들이 정치병에 걸려 있어서 세상을 올바로 보지 못합니다. 저도 사회구성원의 하나로 더 노력할 테니 여러분들도 다니엘님 말 처럼 포기 하지 마시고 해결해 나갈 과제로 생각해 주세요. 우리 세대도 우리 윗 세대들도 나름의 트라우마가 다 있습니다. 야만의 시대를 살았지만 순박했고 가난 했지만 부자가 되어가고 있었기에 감히 요즘 청년 보다는 더 행복한 시절을 보냈었다고 생각 하지만요. 모두 힘냅시다. 다 과정이고 포기하지 않는 이상 다 해결 될겁니다.

    • @user-ok4xn1hy5i
      @user-ok4xn1hy5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혼자서 해결할 수 없는 사회의 문제들을 바라보며 무력감을 느끼고 좌절해왔던 20대인데요, 선생님같은 분들이 아직 존재하고 노력하고 계신다는 것을 보며 힘을 얻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자기개발하며 제 주변에라도 좋은 영향력 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orbit__
    @orbit__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12:20 초부터 하신 말씀에 극 공감합니다
    저러면서 조선은 글렀다 해외로 가는것만이 정답임 이러는데
    진짜 저런애들 댓글 보면 너무 한심하고 우습고..
    여기서 상병신이면 해외 나가도 상병신이죠
    저도 평소 한국이 꽤 살기 괜찮은 나라라고 생각하고 삽니다
    본인이 노력만 하면 인간처럼은 살수 있는 나라고 전세계인과 비교해면 개개인이 꽤 적당히 부유하기도 함
    예전에 텔레비젼에서 어떤분이 나와서 하신 말씀이 지붕이 있고 누을수 있는 방, 굶어죽지 않는 환경,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같은 기본적인 가전제품만 있어도 전세계인 기준으로 상위의 삶이라고 하더라고요
    거기에 더해 기준만 낮추면 일자리가 널렸고 각자 백만원짜리 스마트폰 있고 배달음식 먹을수 있고 때 되면 새옷 쇼핑해서 입고 하는데 뭐가 그렇게 불행하다고 난리인지 이해가 안가더라고요
    모두가 벤츠를 타고 싶고 내집 마련 아파트 갖고 싶고 명품 두르고 싶고 공무원 하고 싶고 오마카세 먹고 싶으니 불행하다고 난리죠
    윤회라는게 있다면 뽑기운 오졌다고 생각함..
    콩고 남아프리카 러시아 북한 뭐 인도 이런데서 안 태어난게 진짜 천운이지

  • @iam-yu8yo
    @iam-yu8y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믿을 건 돈뿐이다, 돈은 배신하지 않는다.. 생각해 보니 우리 사회에 이런 믿음과 말이 참 흔하게 통용되네요. 가족,연인, 친구와의 신뢰보다는 돈이 나를 지켜준다는 믿음이 크다는 걸 새삼 느껴요.

    • @user-lo8tu5cj5k
      @user-lo8tu5cj5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족 연인 친구는 실제로 뒤통수치니까요

  • @dimensionlibrary7703
    @dimensionlibrary770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정말 좋은 인사이트네요.
    "단군 이래 가장 돈 벌기 쉬운 시대"
    이 말을 가장 많이 하는 사람들을 떠올려 보니, 정말 타인의 욕망을 이용한 사기 아닌 사기를 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약간 소름돋네요. 그 사람들이 하는 사업도 다 비슷한 것 같고...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실 너무 네거티브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좋겠는게 그말이 틀린말은 아닙니다. 선진국이 되면서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살수 있게 된건 사실이니까요.
      다만 그만큼 복잡해지고 부지런함을 강요받는건 사실인듯합니다.

    • @Mr.sarang
      @Mr.sara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꼭 클린말은 아닌게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고 단군이래 가장 부유한 시대여서 학습력과 실천력만 있다면 누구나 돈 많이 벌 수 있긴함 그런데 많이 번다는 기준이 얼마냐에 따라 사기인지 아닌지 구분되는듯 누구나 재벌이 될 수 있다고하면 사기 100%

  • @ThinkWithSteven
    @ThinkWithSteve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서로 못 믿으면 돈이 필요하다'를 '서로 못 믿으면 비용이 증가한다'로 바꾸면 훨씬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보통은 그 비용이 시간과 돈의 형태를 띄긴 하지만요.

  • @sujkim
    @sujki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6

    제가 어느 영상에서 봤는지 기억이 잘 안 나는데 정말 공감 갔던 말이라 메모 해 놓은 게 있거든요. 우리나라가 왜 서로 신뢰가 없을까 생각해 볼 수 있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사회의 신뢰가 무너지고 서로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가장 큰 이유는 과거 일제시대나 전쟁, 조선시대 말기 혼란기를 겪으면서 내가 정직하거나 신뢰하거나 본질에 충실하면 엄청난 고통을 당한다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이에요. 사회 전체가 트라우마를 겪었고 거기에서 아직까지 못 헤어 나온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약자에 대한 존중과 존경이 없는 문화가 계속 쓰이기 시작하는 거예요. 왜냐하면 지난 100년을 겪으면서 보니까 힘세고 배신하고 앞잡이하는 사람이 살아남는다는 것을 겪어봤거든요. 그런 것들이 치유가 안 된 겁니다.
    이걸 어떻게 치유해야 하느냐? 우리나라, 우리 국민이 꼭 들어야 되고 계속해서 아이들한테 해야 하는 한마디, 괜찮다. 영어로 하면 It's Alright. 제발 남들이 계속 협박하고 겁주는 것에 휘둘리지 말라는 거예요.
    특히 어릴 때부터, '너 이거 안 하면 큰일 나. 성적 잘 받아야 돼. 시험 성적 못 받으면 안 돼. 누구보다 못하면 안 돼. 떨어지면 안 돼.' 이런 수많은 협박에 시달려요. 한국사람은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쫓기는 거예요.
    엄마, 아빠, 선생, 친구들, 동료에게서 끊임없이 계속 협박을 당합니다. '이거 안 하면 안 돼. 이거 안 하면 큰일 나.' 이런 식으로 말하는데.. 제가 말하고 싶은건 '괜찮다'라는 거예요. 학교 못 들어가도 괜찮고요, 수능 떨어져도 괜찮고요, 재수해도 괜찮아요, 괜찮아요. 있는 그대로 받아주겠다는 거예요. 존중해 주겠다는 거예요. 당신 그대로 인정해 주겠다는 거예요. 포용해 줘야 합니다. 한국이 포용이 없습니다. "

    • @ThinkWithSteven
      @ThinkWithSteve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협박으로 지탱되는 사회...

    • @user-sw7xu2jw6b
      @user-sw7xu2jw6b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정말 맞는 분석입니다. 그래서 대한민국 사람들이 겉껍질에 매달리는 것 같아요. 우열에 매달리는 생활을 살아왔다 보니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을 능력,외모,돈 등으로만 생각하는거죠. 그래서 그것에 못 미치면 불품없는 존재라고 착각합니다.
      너무 삭막한 사회에요. 말씀하신대로 포옹이 없죠. 사랑의 본질은 사람을 있는 그대로 좋아해주고 사랑해주는 것인데 이런 관계가 정~~말 드뭅니다. 연애하고 손잡고 ,키스하고 , 사랑을 나누고 이런걸 사랑으로만 생각해요. 외모, 능력을 전부로만 판단하고 연애하는 경우 , 정말 많지않나요?
      자존감은 자신이 못생겨도 , 능력이 없어도 자신이 있는 그대로를 사랑해줄때 피어나오는데 한국인들은 그런 사람이 많이 드물은 것 같습니다. 탓하는 게 아니구요. 사회의 구조의 영향이 매우 큰 것 같아요.

    • @designeralin1963
      @designeralin196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통찰력bb감사합니다!

  • @kim_dahye__
    @kim_dahye__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듣자마자 가족을 생각했고 한국인이 뽑은 1위가 돈이라는 것에 놀랍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했었는데, 영상을 보면 볼 수록 제가 당연하게도 '가족'이라고 답할 수 있었던 것이 결코 당연한 게 아니라 항상 사람이 물질보다 우선함을 알려주시고 늘 가족과 친지를 아끼며 몸소 행동으로 보여주신 존경할 만한 부모님 밑에서 자라 신뢰를 신뢰로 돌려주는 환경 안에 있었기에 누릴 수 있는 축복이었다는 점이 와닿아 새삼 감사하게 되네요. 한낱 개인으로서 사회를 변화시키기는 어렵겠지만 우선 제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에겟 신의를 다하는 것부터 시작해야겠습니다. 한 명 한 명 신뢰를 회복하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사회는 조금씩 더 나은 방향으로 흘러갈 테니까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injunglog
    @minjunglo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혐오가 쌓이는 사회를 보면서.. 두가지 감정이 들었어요. 남녀갈등같은 문제들을 그저 과도기라서 생기는 문제들이다 하고 극단주의자들을 피하고 방관하면서 아무것도 안 한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두번째는 그럼에도 이미 만연해버린건 현실이니 그때나 지금이나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어차피 없지 않나 하는 무력감. 그저 직면하기 싫어서 피해만 왔는데, 저희세대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까진 미처 생각하지 못했어요. 그쵸, 저희 대에서 해결해야 하겠죠. 새삼 주변에 아이낳은 친구들이 늘어가면서, 그리고 30대를 앞둔 시점에서 어른으로써의 역할에 대해 생각이 많았는데, 좋은 힌트가 된 것 같네요. 오늘도 인사이트 넘치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sj5sx1ny1y
    @user-sj5sx1ny1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우리나라 진짜 “저신뢰 사회” 맞습니다. 점점 댓가 치르고 있구요.

  • @user-dl9km2yl8i
    @user-dl9km2yl8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평소에 제가 느꼈던 점을 쉽고 논리적이게 설명해주셔서 잘 보고 갑니다. 문제는 늘 존재했고 회피할 것이 아니라 해결해야 하는 것이라는 말이 인상깊네요. 이런 이야기를 여러 구성원들과 다같이 건전하게 자주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인터넷 커뮤니티나 뉴스 댓글 보면 다들 패배주의적이고 비관적으로만 생각해서 저도 같이 기운빠졌는데.. 특히 다니엘님이 언급해주셨던 “지금까지 대한민국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자조 섞인 댓글을 처음 봤을 때 꽤나 충격적이었고 서글프기도 했습니다. 일제강점기, 전쟁, 산업화 등등 굵직한 문제들을 겪으며 힘들게 일궈진 나라에서 살고 있고, 내가 오늘날 당연한 것들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걸 기억하며 우리가 사회를 좀 더 아끼고 서로 사랑하면 좋을 것 같아요.

    • @kickoff0123
      @kickoff012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자조적인 그런 댓글 신경쓰지마세요. 혼자망하고 있는 인간들이 혼자망하기싫어서 다 같이 망하기를 바라며 하는 악담의 변주버전입니다. 온갖 불화,갈등이 그들의 내면에는 쾌감으로 다가갑니다.

  • @Mina-kw5bf
    @Mina-kw5b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유럽에 거주하면서 이국가와 한국을 비교하기시작하니 서로 장단점 등이 보이고 그 장단점이 어디서부터 뿌리가 나온걸까 왜 그렇게 된걸까 생각하다가 이 국가의 역사학을 새로 공부하도 동시에 한국사도 다시 공부해보려고요.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확실히 현재 현상을 깊숙하게 이해할수 있겠더라구요
    많은 유럽 국가들이 가족주의 (즉 국가나 회사 등 집단이 아닌 본인의 가족이 우선인 '개인'주의) 이고 아시아권문화들은 집단주의인데 (내 개인 삶인 가족보다는 국가 및 회사 집단 우선) ㅡ 그래서 가족이 일순위가 아닌 것 같아요. 덕분에 한국이 위기도 잘 모면하며 빨리 성장했고요. 서양식의 개인의 가족주의 및 동양의 집단주의적 면모가 국가 문화 및 성장에 엄청난 차이를 주는 것 같고 좀 더 깊게 공부해야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자조적이고 부정적인 시니컬한 분들이나 환경은 피하세요 ㅡ 저도 한동안 그런 분들과 다니면서 그런 분위기에 빠져서 몇년을 낭비했어요. 현재를 제대로 보되 해결하는 방안을 탐구하는 생산적인 방향으로 가야 정신도 맑아지고 에너지생깁니다.

  • @5tw3b45tcf
    @5tw3b45tc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정말 맞는 말이 커뮤니티들에 "지금까지 한국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 망했다", "헬조선", 그 외 의도적/ 비의도적 분탕질 댓글들 이거 다 쓸데없는 댓글들인게 맞는듯. 이런 비관적인 사고방식에 빠질수록 더 쉽게 감정적으로 휘둘리게 되는것 같아요.

  • @let_wisdom_be_the_art
    @let_wisdom_be_the_ar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영상 보고싶은데 보기 전부터 속이 터지는 느낌.. 외국생활 오래하면서 멀리서
    한국을 지켜보고 있는데 할말하않.. 그래도 한국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각자 열심히 살아가고 계신분들 많은것 압니다.
    한국 사랑하고 언젠간 받드시 좋은 날 다시 온다고 굳게 믿습니다

  • @VWVVVWVW
    @VWVVVWV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정말 시원한 영상입니다. 이 개운함을 뭐라 설명해야할지.. 저도 제 자리에서 인간들간의 정겨움을 잃지 않는 힘을 기르고 나누며 지낼거예요. 영상 감사합니다.

  • @goldstraw
    @goldstra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요즘 내가 왜 이렇게 불행한가 했는데
    이 내용이 맞는 거 같아요
    덕이 없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저에게 맞는 사람 1~3명만 있어도 성공한 거 같아요
    예전에는 너무 신뢰가 끈끈해서 문제였던거 같은데 (마치 응답하라 1998 1화 내용처럼)
    요즘은 이웃도 없고 가족도 흐려지는 느낌을 가져요
    좋은 내용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 @user-fx4ie5zi4x
    @user-fx4ie5zi4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저도 슈카월드 보고 같은 아시아 국가인 대만 일본이랑 비교해도 지표가 독보적으로 다르고 세속적인거에 대해서 곰곰해 생각해봤는데... 뭔가 배신?? 이런 키워드가 떠오르더라고요 한국은 사회에 살면서 선한가치관을 가지고 살면 배신당할것이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최근에.. 그얘기도 참 인상 깊은게... 그 임진왜란때 그렇게 의병이 많았는데 임진왜란 공신록에 실제로 사지에서 혈투를 벌인 의병들보다는... 선조랑 같이 피난 떠난... 그런 사람들이 더 높은 공로로 인정 받았다고.. 그리고 인조때 병자호란, 정묘호란때 나라를 위해서 싸운 의병을 찾기 힘들어 졌다고..... 뭐 단순히 임진왜란 공신록때문만은 아니고 다른 시대적 배경이있었다고 해도.. 참.... 이런거 보고 원래 이 땅의 민족성이 그래서 그래서 그나마 기록된 역사에 남은 건지... 하번의 역사적 비극이 불신의 시초가 된 건지 많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 @user-fx4ie5zi4x
      @user-fx4ie5zi4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외에도 일제강점기,6.25 전쟁 이런 비극들 생각해보면... 최전선에서 스스로 자신을 희생한 사람들이 보상 받고 대우 받는 사회인지 생각하게 되요....

    • @tiffany090374
      @tiffany09037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역사적 영향이 어느정도 있었을지는 가늠하지 못하겠는데 일본 대만과 비교했을때 한국이 진짜 상도덕이 없는 나라인거 같아요 ㅎㅎ 순대국집 잘된다고 바로 옆에 순댓국집 차리는 나라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joooon5669
      @joooon566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기꾼이 너무 판쳐요. 외국도 크게 다른지는 모르겠는데 좀만 둘러보면 남의돈 떼먹으려는 사람들 너무 많고, 윗분이 말한 상도덕도 진짜.. 알아서 안지켜지면 식당같은것도 라이센스로 굴리든지 법치로 굴려야하는데 국민들의 준법과 입법/사법이 후달리고.. 아무리 민주주의와 법치의 역사가 짧아도 한국 특유의 속성이 있는것같습니다. 비슷한 경제규모의 국가와 비교해보면 경제규모 뺴고는 아쉬운점이 많아보이네요. 한국에 오래 살아와서 단점이 부각돼 보이는걸수도 있겠지만요

  • @jaylee7683
    @jaylee768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돈이 최고'라는 가치관의 연장선이긴 한데,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하기를 포기한 것도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
    "왜 이기적으로 사는것은 장기적으로 봤을때 손해일까" 라던가 "나에게 행복이라는건 무엇일까" 같은 질문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의 해답을 찾지 않고서는
    스스로 이런 부정적인 굴래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데 학교 교육 부터가 '돈이 되는' (전문직이나 대기업 취직 ⇒ 수능에서 높은 점수따기) 교육만을 하고
    그 외에 것들은 쓸데없는 시간낭비로 치부해 버리고 있으니 그런 사유를 할 시간도 여유도 없는거 같습니다
    그나마 경제 성장기에는 돈만 쫒더라도 대다수의 사람들이 나름 성취감이라도 느낄 수 있는 환경이었는데
    그 성장세가 꺾이기 전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던가 성장기가 좀 더 길었으면 좋았을텐데 말이죠..

  • @younmekim2142
    @younmekim214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한국 사회에도 이런 거 말씀해주시는 분들이 더 많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사회는 정말 공격적이고, 분노가 많습니다. '덕없음' 을 대물림으로 이어받고, 그 분위기가 만연한 사회에 살다보니 피해를 당하지 않으려면 내가 먼저 손절하는 게 당연하게 되는 것 같아요. 요즘 부자되기 이런 채널이 흥하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이루어야 하는 개인의 소명 같은 것은 생각해보려고 하지도 않고 자기 꿈이 뭔지도 모르고 '부자 되기' 만을 향해 달려가려고 하는데 남의 꿈을 따라하는 게 얼마나 개인을 불안정하게 하고 불행하게 하는지 알았으면 해요. MZ의 소명 역시 크게 공감합니다. 마치 스웨그 있이 멋진 척하며 사는 것이 MZ가 아니라 양심과 신뢰 있는 사회를 구축하는 MZ들이 깨어나길 소망합니다. 채널의 구독자가 훨씬 많아져 다니엘님 말씀을 듣는 사람이 늘어났으면 좋겠네요.

    • @younmekim2142
      @younmekim214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duanecherenek 소명을 국가를 위한 것이라고 제한하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내 개인의 삶을 살며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어떤 태도로 어떤 질을 지닌 사람으로 살고자 하는가로 소명을 정의할수도 있어요.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더 큰 범위의 그룹에 속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협력하고 돕고 열려 있는 곳에 속하고 싶어하니까요. 특히 이걸 MZ로 정의한 이유는 그들에게 부담을 주기보다 그들이 아주 개인화된 사회 분위기에서 성장해 가야 하니 스스로 의식하지 않으면 고립될 가능성이 유독 높은 세대이기 때문이에요

    • @jaylee7683
      @jaylee768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uanecherenek 아이를 낳고 교육하는 '후대'를 기르는 일이 실질적으로 가능한게 지금 MZ세대이기 때문입니다
      인간도 여느 포유류 처럼 '가임기'라는게 존재하고 여성의 가임기와 사회적으로 일반적인 형태의 결혼을 생각해 보면
      어느 사회이든 20대~40대가 그 일을 담당해야 되죠. 한국의 경우엔 그게 딱 지금의 MZ세대 인거고요.

  • @hebe4636
    @hebe463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확실히 공감이 되는 분석이네요. 저는 이 슈카월드님의 영상을 '경쟁'이라는 관점에서 봤는데요. 한국 사회가 남들보다 낫다는 것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돈이나 물질(예를 들면 명품)이라고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사람들이 돈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ubreyjuly3700
    @aubreyjuly370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동의합니다
    신뢰가 중요한 가치가 되야하는데 슬픈현실입니다

  • @user-sj1cm6tb9o
    @user-sj1cm6tb9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믿을 사람이 나하나 밖에 없어요.
    혼자 있을수록, 타인 관계를 맺는 것에 신중해질수록 나는 행복해질 것이다 생각했는데,
    결국엔 믿을 사람이 없어 행복하지 않았나봅니다..

  • @suhwankim8981
    @suhwankim898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진짜 오랜만에 느낀점이 생기는 영상 잘 봤습니다. 우리 세대가 해결해야 할 과제 마음에 새기고 살아가보자하는 목표가 생겼습니다. 계속 이런 선한 영향력 널리 퍼뜨려주시길..

  • @Dmdv133
    @Dmdv13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덕 없는 사회가 사람들을 불행할 수도 있겠지만,
    불행한 사람이 덕이 없다고, 덕이 없는 사람이 불행한 사람이라고 반대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 @user-be6le6on5f
    @user-be6le6on5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가 부족하고 단절감을 느끼니까 외롭고 불행해 지는 군요 ㅠㅠ 도덕성은 제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인데 이렇게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침 출근 시간에 힐링받고 갑니다 😊

  • @lilly5321
    @lilly532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최근에 궁금했던 주제인데 무언가 퍼즐이 맞춰지는 거 같아요 . 덕이 없어서라니.. 정말 의외이면서도 맞는말..

  • @user-dt8xc7wy1l
    @user-dt8xc7wy1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시대에 대한 통찰이네요! 다들 현상만 알리는 컨텐츠가 많은데 물론 그것도 도움이 됐지만 그래서 나는 그 문제에 맞는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하지? 하는 생각이 자주 들었는데 그 답에 힌트를 얻은 것 같네요. 감사합니당

  • @user-zv7gm9rr6u
    @user-zv7gm9rr6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세상에 사랑이 더 많아지기를...! 더 사랑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phildevtv409
    @phildevtv40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언급해주신 에리히 프롬의 정신들이 절박한 시대임을 근래 많이 느낍니다. 비슷한 생각을 잘 정리해서 말씀해 주시니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좋은말씀 고맙습니다. 늘 영상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 @hjk6584
    @hjk658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 평소에 머리속에 흐릿하게만 생각하고 있던 개념을 정확하게 말씀해주셔서 속 시원해요... 진짜 통찰력있으시네요.. 감사합니다. 저 스스로부터 제 직장동료와 이웃같이 가까운 사람들을 믿고ㅜㅠ물려받은 세상보다 더 나은 세상을 후대에 물려주려는 노력을 하고싶네요

  • @user-ic5cr4oh2l
    @user-ic5cr4oh2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좋은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우리세대가 해결해야 될 문제라는거 느껴지는게 많네요.

  • @shb2885
    @shb288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전한길 쌤이 말한 순진이 아닌 순수를 선택하라가 생각납니다

  • @jinisss2321
    @jinisss232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감도 되고 영상 더 길게 편집해주세요 ㅎㅎ 항상 흥미롭게 듣고있습니다

  • @twincle8333
    @twincle833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다니엘님 채널 만나게 되어 감사합니다 통찰력에 계속 감탄하면서 보게되네요 👏👏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통찰이 어마어마하네요.. 정말 잘 봤습니다!

  • @yeojinclarajeong
    @yeojinclarajeo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요즘 들어 제 알고리즘엔 저출산이다, 사기를 치고 범죄가 일어나는 것들에 대한 뉴스들이 뜨더라구요. 그리고 그런 현상들에 대해 다들 하나같이 “대한민국은 망했다” “나는 결혼도 안 하고 자녀도 안 낳겠다”라고 하는 댓글들 일색이라 정말 희망이 없다.는 생각과 함께 무기력증에 빠졌었어요. 돈 때문에 신뢰도 깨지고 결혼도 쉽게 못하고.. 많이 울면서 이 세상을 원망만 하고 있었는지도요. 공무원이 되려고 준비하면서도 갖고 있는 미국간호사면허를 언제 써먹어서 이 나라를 탈출할까..라는 생각을 밥먹듯 했는데, 다니엘님 이번 영상은 제가 외모에 대해 다니엘님 덕분에 각성한것 만큼이나 큰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어쩌면 저부터도 타인을 못 믿으면서
    나를 믿어주기를 바라고, 저는 명품 안 밝힌다면서 다른 사람들이 명품 들고다니면 알게 모르게 위화감이 들었던 건 저도 충분히 이 현상에 찌들었다는 증거였겠지요. 사람들이 예전보다 집에서 애완동물을 많이 키우는 것도 어쩌면 사람들 사이 신뢰가 깨졌기 때문에 그 감정을 동물을 키우며 대리만족하려는 것 아닐까 라는 생각도 살짝 스칩니다 :) 이 현상들은 회피할 것이 아니라 해결해야할 과제란 걸 명심할게요! 열심히 사랑하고 믿고 회피할 생각보다는 맞설 생각을 하며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겠습니당! 오늘도 삶을 살아갈 큰 힘을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정기적으로 보는
    유일한 유투버는 다니엘님 밖에 없어요! 😊)

    • @designerhyon1438
      @designerhyon143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른 나라 언어로 면허를 취득하셨다니 정말 대단하셔요~

    • @user-sj8rl6rl6c
      @user-sj8rl6rl6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뉴스는 안보고 살아야 인생이 행복해집니다. 일반인이 뉴스봐서 좋을일이 전혀 없어요

  • @user-rx4ef8rf6x
    @user-rx4ef8rf6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볼때마다 이분 말씀에 공감이 되고 너무 말씀을 잘하심.

  • @mercij471
    @mercij47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깨달음을 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s9fk7zg4q
    @user-ys9fk7zg4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영상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저도 비슷하게 생각한 부분인데 광복과 6.25등으로 인하여 역사의 단절이 있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서구 사회와 다른 건 귀족이 없다는 것입니다. 광복을 하고 토지정리를 하고 전쟁을 겪으면서 명예를 중시하는 계급이 사라지고 급격히 실질적인 평등사회가 이루어졌습니다. 구한말에 계급이 법적으로 사라졌지만 1920년대에 형평운동이 있던 것처럼 광복 이전까지만 해도 아직 우리나라에는 선비사상 등 명예를 중시하는 계급이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광복 이후 625까지 연이어 터지면서 모든게 초기화 되었는데 그때 우리나라의 귀족이라고 할 수 있는 선비들도 많이 사라졌습니다. 거기다가 갑작스러운 산업화는 다시 계급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오직 물질로만 계급이 나눠진 겁니다. 우리나라의 고위층이 명예나 덕이 아닌 물질로만 기득권을 구성하게 된 겁니다. 그리고 그 물적 정신이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이고요. 다니엘님 말씀대로 우리는 이제 물질에 대한 집착에서 조금 거리를 두어야 하는 세대인데 사실 지금의 물질적인 집중은 단순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세계 모든 곳의 문제인만큼 극복하기 쉬워보이지는 않네요.

  • @user-dm7dd6di9c
    @user-dm7dd6di9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감사한 영상이네요..🎉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신뢰관계가 너무나 약하니까
    결국 믿을건 돈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현실
    생각해보면 볼수록 졸라 서글픈 한국의 자화상

  • @user-hs7nf9lm9z
    @user-hs7nf9lm9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음.. 정리되지 않은 영상이라 해도 어떤 느낌인진 알겠어요. 항상 좋은 분석 감사합니다

  • @user-ei4zq5ii6n
    @user-ei4zq5ii6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mu4kl4hs2p
    @user-mu4kl4hs2p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1988년 그때는 이웃간 소통이 있었고 남에 대한 배려도 있고 명예를 중요시 했고 개인의 이익보다 공익을 우선 했었다. 그때 중2었는데 한달에 한번씩 교장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는데 1988년에 아시아에서 홍콩이 잘 나가던 시절이었는데 그때 홍콩 사람들이 최우선 생각하던 것이 돈이라고 이해 할 수 없는 나라라고 했던게 기억난다.
    우리가 Imf에 금모으기가 가능했던 이유는 공동운명체라는 의식이 강했기에 가능 했던 것이다.
    하지만 2006년까지 그나마 있던 그 의식은 2007년 리먼사태 이후 완전히 소멸해 당당하게 돈이 최우선이라고 말하는 사회가 되어 버렸다.

    • @jaylee7683
      @jaylee768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 제 사견이긴 한데 1988년은 우리나라가 아직 경제 성장을 달리고 있을 시기이고
      사람들의 마음에 여유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가 있었기에 그런 사회 분위기가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IMF때 부터 거의 10년 단위로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점점 내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해져 남을 챙길 여유가 없어진것 같고요
      한마디로, 경제 성장이 이런저런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었던 것 뿐이지 현대 자본주의 채제의 내리막길을 견뎌낼만한 철학적인 기반은
      대한민국이 생긴 이래로 한번도 자리잡은적이 없지 않았나 싶습니다

  • @강한남자의길
    @강한남자의길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직 희망이있는 어린아이들에게 좋은부모가 되기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들었습니다.

  • @bin5480
    @bin548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회피가 아닌 해결해야 될 과제라는 능동적인 삶의 태도가 핵심이네요.
    행복 추구가 아닌 의미 추구의 삶의 가치관이 기저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 @CEO-mr3hl
    @CEO-mr3h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통찰력 좋으시네요.
    진짜 저도 먹고사는데 크게 지장없는 인생을 살고있지만...
    진짜 한국에 살면서 국가. 정부. 기업. 개인 등 신뢰를 할만한 대상이 딱히 없다고 느껴서 스스로 잘먹고 잘사는것에 매몰되어 있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이 좋은사회 좋은국가가 되길...바라며 저 또한 노력할게요.
    구독과 좋아요 갑니다~

  • @coketown3947
    @coketown394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현 세대가 해결해야할 담론을 던져주신거 같아 감명깊게 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fjefn1749
    @Jfjefn174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매영상마다 뛰어나신 통찰력에 놀라고 갑니다
    앞으로도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

  • @5tw3b45tcf
    @5tw3b45tc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맞는 말일것 같음. 모든 관계사이에서 믿음과 사랑이 필요한데 부족할때가 꽤 있는것 같음. 한국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 잘되면 좋겠다.

  • @tiffany090374
    @tiffany09037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말씀에 너무 공감하고 많이 배웠습니다. 그 영향이 미미하더라도 후대를 위해 신념을 지키며 살다 가는 것은 정말 의미있는 삶이라 생각합니다. 현실이 어두워도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며 살았다면 후회없는 삶이 될거라 믿으며 열심히 살아야 겠습니다!

  • @gnsdl116
    @gnsdl11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남녀심리 관련해서 구독을 시작하긴 했지만,
    이런 현시대의 문제에 대해서 통찰력있는 영상을 올려주실 때 마다
    구독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 @aberdevinec
    @aberdevine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목을 넓히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wi7yw4jb2g
    @user-wi7yw4jb2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시간 = 여유= 생활= 생활비

  • @kangdaruru
    @kangdarur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Na-th8rr
    @Na-th8r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유럽에서 카페 갔을 때 현금 놓고왔다고 하니 다음에 주러 오라며 웃더라고요, 초면이었는데.
    다음에 돈 더 들고 갔어요 나를 신뢰해준 게 고마워서
    제 자식도 이런 사회에서 컸으면 해요 제 주변부터 천천히 바꿔야겠죠
    그리고..
    진짜 다니엘만 봐요 🤥

  • @miaow_couple
    @miaow_coupl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많지 않은 나이에 나름 고생해서 아파트, 외제차, 고연봉을 달성했는데도 엄청 우울했던 시기가 있었어요. 그땐 안락사도 검색해볼 정도였고 주위에 있는 그 누구도 도움이 되지 않더라구요, 심리학자 책을 읽으면서 극복했던거 같은데..
    그때 생각해보면 아직도 인생에서 모가 제일 중요한지 모르겠어요. 돈도, 가족도 힘이 안됐었눈데

  • @user-kz4xr8uj3o
    @user-kz4xr8uj3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로지 저의 생각입니다.
    흠... 덕이 없다라...
    택배는 왜 안훔쳐가는거지?
    그건 CCTV의 발전이 있기 때문에 그런건가?
    내 현관앞에는 cctv 없는뎅
    어쨌든
    저는 돈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원할 때,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이들과, 원하는 것을, 원하는 만큼
    이런 원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돈이 없다면
    원하지 않을 때 원하지 않는 곳에서 원하지 않는 이들과 원하지 않는 것을 원하지 않을 만큼
    원하지 않는 선택에 대가를 치른다고 생각해요.
    비참하게 행복하다는 말을 하고 싶어요.
    가둬두는 것을 느껴요.
    첫 기사에 프레이밍 당한것 같습니다.
    1위 2위 3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어요.
    1위를 위해 2위 3위를 버릴 것인가라는 밸런스 게임도 아니었을텐데
    1위가 돈이 나왔다는 것에 대해 이토록 불편한 감정을 갖는 것일까요?
    평범한 가정에서 평범히 살아온 사람들을 포함하여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돈을 위해 가정을 버릴 것 인가에 대해 절대 가정을 포기 하지 않을 것이고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을 제외한 집단들이 포기라는 선택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에 대해 미래에는 반드시 후회할 것이라고 저는
    확신합니다.
    결론은 돈이 없기에 덕이 없는 것인지.
    덕이 없기에 돈이 없는 것인지에 대한
    인과관계가 명확한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니엘님이 잘 설명을 해주셨지만 저는 그렇습니다.
    관점의 영역을 넓힌 것 같습니다.

  • @joshuakim7619
    @joshuakim761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통찰 감사드립니다

  • @user-ym4yw4tu7v
    @user-ym4yw4tu7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거 세대에서 후대사람들을 위해 남겨 살았고 우리 세대들도 후대사람들을 위해 해결해야한다라는 말이 제일 와닿네요.근데 막상 내가 먹고 살기도 힘든 나머지 후대사람들을 생각할 겨를이 없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 @user-qh9ur6ow9k
    @user-qh9ur6ow9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느 직장을 가도 일하기 힘든게 문제입니다 좋은데가던 나쁜데를 가던 똑같습니다 😢

  • @user-mj2fs1sx5r
    @user-mj2fs1sx5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이제 슈카보러가야겠다

    • @Sound.Sound_Daniel
      @Sound.Sound_Danie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eona4330
    @yeona433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통찰력이 대단하신데 인문학 책을 많이 읽으면 그렇게 되는건가요..? 넘 지혜로우신데 배우고싶어서요 😂

  • @ajstyles6601
    @ajstyles66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똑똑한 청년❤

  • @5tw3b45tcf
    @5tw3b45tc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 사람들이 더 많이 봤으면 하는 내용이네요.

  • @user-bv7md1km6e
    @user-bv7md1km6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속이다 시원하네

  • @Energe-lk9yl
    @Energe-lk9y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래서 믿을건 돈 밖에 없다고 말하시는 분들고 있죠..~

  • @weneedhumor7
    @weneedhumor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요런 인사이트 할 수 있는 게 정말 부럽습니다..!

  • @jvstarr
    @jvstarr วันที่ผ่านมา

    i'm 신뢰에요

  • @user-qx1dw5ws3s
    @user-qx1dw5ws3s 4 วันที่ผ่านมา

    믿음이 없어서 돈에 가치를 둔다라.. 자꾸만 멤도는 귀한 통찰입니다

  • @user-ns7op8sf3c
    @user-ns7op8sf3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관계와 신뢰 믿음의 정신적 가치가 중요하다는건 매우 공감하고 전부터 본인도 생각하던 부분이긴한데 , 다만 현 사회는 과거 서구나라들이 똑같은걸 겪었던 시대완 다르게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매개체 즉 디지털 온라인 기술이 너무 큰 변수로 작용할거라고 봅니다.
    한국전쟁후 지금과 비교하면 말도안되게 가난했던 그 때조차도 지금정도로 사람들이 돈,돈,돈에 미쳐서 성공하고 잘살고 이런거에 집착하지 않았는데 현재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그 누구도 온전하게 현재에 만족하며 가족과의 관계 믿음, 정 이런걸 추구하며 사는게 흔하지않죠.
    이 세태를 만든데는 한국을 넘어 전세계를 하나로 이어버린 인터넷이라는 존재가 정말 지대한 공헌을 했고 앞으로도 그 환경 속에서 사람들을 그릇된 방향으로 가는걸 유도하고 그럴수록 거기서 이득을 취하는 개새끼들을 작정하고 솎아내지않는 한 우리나라에서 현 유럽국가들같은 풍요로운 정서수준의 도달은 꽤나 정말 힘들거라고 생각합니다.

    • @ruchia1991
      @ruchia199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제성장 시대를 거치면서 돈 버는 법을 중시하는 사회 사조를 기계적으로 배워왔기 때문에 그 아웃풋들이 그렇게 된 듯

  • @junl7428
    @junl742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신뢰, 덕이 없는 사회. 뭔가 단순하면서도 의외이면서 명료한 답이네요.

  •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부터 바뀌면 됨. 나부터 생각바꾸고 말 함부로 하지 말면 됨.

  • @hl4540
    @hl454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에리히 프롬의 책을 읽어보고 싶은데 해당영상과 관련된 책은 어떤게 있을까요?

    • @tiffany090374
      @tiffany09037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랑의 기술, 소유냐존재냐, 자유로부터의 도피 가 에리히프롬 3대장입니다^^

  • @PeaceEveryWhere0329
    @PeaceEveryWhere032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친절한 QnA되게 웃기네
    형아야들이 많이 찝적댔나보다😂

  • @anotherday7403
    @anotherday740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임 신뢰에요

  • @captainlennyjapan27
    @captainlennyjapan2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미 반지성주의가 팽배한 한국 사회에서 이런 얘기를 계속 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jhyeonilunar5081
    @jhyeonilunar508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잘 봤습니다. 뉴스레터 vip 등급은 결제 후 기한이 얼마나 될지 궁금합니다.

    • @Sound.Sound_Daniel
      @Sound.Sound_Danie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팬딩 포스트에 모집 요강 영상을 보시면 자세히 아실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사운드 리더’로 멤버쉽 업그레이드를 하면 다음달부터 기본 멤버쉽과 똑같이 월에 2만원씩 정기 구독을 하면서 권한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Myo181
    @Myo18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사랑이지
    그냥 번식하고자 하는 욕구말고

  • @ssamssae
    @ssamssa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금까지 헬조선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r4lj6ti5z
    @user-nr4lj6ti5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간이 서로 못 믿으면 인간의 수명이 짧아지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의학을 안 믿으면 의학이 있어도 의학이 없는 세대에서 사는 사람일 거니까요.

  • @geanyo7334
    @geanyo733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회적 자본을 설명하시는듯!

  • @hey__you
    @hey__yo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답...인것같음 이런거 정리하려면 뭔가 더 책읽고 철학공부하고 해야하는데... 뭔책부터 읽어야하는진 잘 모루겠음

    • @Mina-kw5bf
      @Mina-kw5b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음..일단 한국 근현대사부터 다시 공부하면서 지금 현재와 연결하면서 원인 및 결과를 분석적으로 생각하면 철학도 자연스럽게 따라올것같아요.

  • @user-fd2zl1wk4r
    @user-fd2zl1wk4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인들 겁나 무례함
    처음 보는 사람한테 집값 , 차가격 물어보고 그걸 기준 삼아 지보다 급 높으면 아부하고 지보다 급 낮으면 만만히봄 ㅋㅋㅋ
    자꾸 급 나누려고함

  • @kyt59
    @kyt5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굿

  • @fca7092
    @fca709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가장 돈벌기 쉬운 세대는 이자 높은 세대였지 다수가 근로소득을 저장만 하면 돈이 불어낫음

    • @user-qf8kp4vb7f
      @user-qf8kp4vb7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은행이자가 2%가 안되는 시절을 살다가 4%로 올라가니 살림살이 나아지셨나요? 아마 최근이 더 힘드실겁니다.
      이자가 높은건 대개 이자를 비싸게 줘서라도 돈을 끌어모아야 되는 급한 상황이라는거죠. 사회가 안정되어야 이자도 낮아집니다. 근로소득만 저축해도 부자되는 세대였다면, 그 당시 근로를 못하고 잘려나가는 사람이 굉장히 많았다는 뜻일수도 있어요.
      미국도 이자율이 20%에 이른시기가 있었습니다. 왜? 인플레이션이 극단적으로 높았으니까요. 이자율이 20%가 되자 기업의 1/4이 사라졌습니다. 사람들이 편하게 저축하며 살기는 힘들었겠죠?
      홍춘욱님의 돈의 역사라는 책을 보면 이자가 낮을 수록 사회 발전이 빠르다고 해요. 금리의 역습 처럼 과도한 저이자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의견도 있으니 균형은 필요하겠습니다.
      아무튼 영상을 보며 느낀 바를 적으면 님이 느끼는 윗세대에 대한 분노가, 사회에 쌓인 덕, 신뢰가 없단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해요. 평범하게 자란 사람조차도 윗세대를 신뢰하지 않는 사회입니다.
      생각해보면 6.25 이후로 남에게 호의적인 사람보다 경쟁을 잘하는 사람이 부자가 되었고, 자식들에게 성공 비법으로 경쟁을 가르치고, 그 자식들도 자식들에게 경쟁 잘하는 법을 가르친 사회죠. 현재 우리는 학교 경쟁을 잘하기 위해 예절 교육, 집안일 하는 법조차 교육을 미뤄두는 세대입니다. 경쟁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한 교육 결과가 3대가 쌓이니 부작용이 이제 나타난 것 같아요. 경쟁만을 위해 성장한 사람들인데 서로의 고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겠죠.
      이것이 저희 세대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말이 가볍지 않네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지금 느끼는 분노가, 어쩌면 남들을 공감못하고 신뢰못하는 것에서 오고 있겠구나 자각하는 과정이 수십년간 필요할 것 같습니다.
      남자도, 여자도 고충이 있어요. 윗세대도 아랫세대도 고충이 있어요. 서로 공감을 하면 서로에 대한 분노가 사라질 거에요. 이 과정을 우리 세대에서 해결하고 물려줘야 해요.
      부모 세대까지는 물질적인 문제를 해결했으니, 우리 세대가 정신적인 믄제를 해결하고 가기 위해 노력해야 겠습니다.

  • @laddergold7721
    @laddergold772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친나라군요...

  • @user-zg7jx2jj2c
    @user-zg7jx2jj2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믿음 소망 사랑 소고기

    • @Sound.Sound_Daniel
      @Sound.Sound_Danie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 중 제일은 망사.

    • @user-zg7jx2jj2c
      @user-zg7jx2jj2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ound.Sound_Daniel 저를 좀 어려워해주세요

  • @lee.dong.jun.
    @lee.dong.ju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람은 다 똑같을순 없기에 나를 이해하는 사회나 사람이 있어야 내가 살죠...
    돈이 그 역활을 잘 대응 해주니 "물질적 풍요"가 정답이란 거죠...
    덕과 신뢰라는 것은 한번 무너지면 다시 세우는데 어마 어마한 노력과 시간이 들어요...
    해서 좀 더 나은 방향이 "돈"이죠...한 세대[시대]가 어찌할수 있는 문제가 아니에요...

  • @user-sx6lp2fr4h
    @user-sx6lp2fr4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너무 잘 알겠는데 희망이 없어보임..ㅜ우리세대 혐오 쌓이는 속도가 장난아닌 현실..

  • @kickoff0123
    @kickoff012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온라인문화가 텍스트(쓰기, 작문) 중심에서 구술(말하기)중심으로 바뀌면서 컨텐츠의 질적하락이 사이비 마이너 혐오충들의 득세현상을 불러일으킨것임. 만약 그들에게 텍스트로 써보라고 하고 그 글을 대중에게 읽게한다면 그 적나라한 수준 낮음에 대부분은 패스할 것임. 말로 나불대는 것은 작문에 비해 나불대는자의 지적수준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기는 어렵기에 현시대의 구술중심문화가 유감임.

  • @user-pb1tj8cf1h
    @user-pb1tj8cf1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렵다 ㅠㅠ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user-hy1cx1os4u
    @user-hy1cx1os4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회구성원 신뢰회복 너무 어려운과제인데?

  • @user-mo8tb6hy9g
    @user-mo8tb6hy9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디오 북 책도리 님 채널 봐요😊 돈 벌기 쉬어요^^감사합니다👍

  • @givedog9824
    @givedog982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돈에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네요
    돈은 사기나 빼앗아서 버는것이란 전제 조건이 깔려있는게 안타깝습니다
    인터넷 보급과 여러 글로벌 또는 국내 소프트웨어 회사들의 산물로
    단군이래 돈벌기 쉬운 시대인건 사실이구요....
    물론 장기적인 관점을 바라볼수 있느냐는 다른문제이지만 지극히 평범한 사람이 돈을 많이 벌수 있는 기회는 널렸습니다
    옛날 종이 신문을 보던 시대
    스마트폰이 없던 시대
    천리안 나우누리 시대엔
    직장그리고 대기업
    중소견 기업외엔 돈벌 방법이 없었습니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돈을 많이 가지고 했었어야했습니다
    지금은 예전보단 소자본이나 무자본으로 사업 또는 일해서 벌수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하지만 지금 대한민국 사회가 불신이 가득한건 사실 인거 같습니다
    세대간 남녀별
    고용주와 근로자
    정치인과 국민
    법률가와 국민
    경찰과 국민
    신뢰하지 못하기에 갈등과 사건사고가 많이 생기는건 참 안타깝네요
    어쩔수 없는 겪어가는 과정이라봅니다

    • @user-google-noodle-idle
      @user-google-noodle-idl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에서 말하는 본질적인 내용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신,ㄴ게 좋을듯. 영상내용이 있고 나서 각종 갈등이 나온거에요.

  • @user-hq1qg6cj8d
    @user-hq1qg6cj8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하면서 중앙귀족층이 붕괴해버리고
    한국전쟁때 좌우익으로 갈려서 민간인끼리 학살하면서 지방의 지주층이 붕괴하면서
    한국이 기존의 전통적인 지배층이 싹 다날아가버렸는데
    얘네들이 날아가면서 동남아 중남미와 달리 방해물없이 고속성장이 가능해진 동시에
    사회적규범을 전달해주던 모범계층이 사라져버려서 이꼴이 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 @kimmmmtae2995
    @kimmmmtae299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반박글아님 개인적인 견해
    크게 본다면 다니엘님 말씀이 옳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입니다
    하지만 개개인으로 바라 봤을때
    돈으로 인해 내사람을 지키지 못한다는것을 가정한다면(엄마가 수술을 해야하는데 돈이없어서 못함 등)
    구성원들이 신뢰한다고 해결할 수 있을 문제일까요?
    저는 그렇게 보이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구성원보다는 제 사람들이 소중하니까요
    그래서 이런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실지 궁금하고,
    글로 이렇게 쓰고보니
    내 사람을 지킨다는것 자체도 욕망이 아닐까 싶네요
    돈은 수단이라 생각하지만..
    보통아닌 문제네요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let_wisdom_be_the_art
      @let_wisdom_be_the_ar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삶의 전체가치가 모두 돈으로만 지배된 사람들을 겨냥한 이야기 입니다. 엄마 수술비랑은 다릅니다. 가족을 지키겠단는것도 본인 삶의 가치이고 욕심 아닙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가족을 지켜야한다는 생각을 전혀하지 않는 사람도 엄청 많아요.
      님과 완전히반대죠? 님 아직 어리신것같은데 지금 세상은 순수의 시대가 절대아닙니다. 악과싸우는 시대죠.

    • @kimmmmtae2995
      @kimmmmtae299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et_wisdom_be_the_art 사회생활 10년차 27입니다 가족지켜야한다는 신념은 변하지않네요 ㅎㅎ

    • @Ohzyworld
      @Ohzyworl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et_wisdom_be_the_art 그… ‘아직 어리신거 같은데’라는 발언은 정말 무례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cb2vu4wd2g
      @user-cb2vu4wd2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만약 제가 신뢰하는 사람이라면, 저는 제돈을 지원해줄것 같네요 ㅎㅎ

  • @ThoughtsAreThings
    @ThoughtsAreThing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돈돈돈 거리는 이유? 신뢰? 공감안됨. 0. 급격한 산업화 (전제조건) 1. 철학의 부재 2. 시기& 질투 3. 과도한 인터넷 미디어

  • @bd5758
    @bd575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기꾼: i am 신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