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건축탐구- 집 - 네모를 포기해 자유를 얻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1 มี.ค. 2024
  • - 네모반듯하진 않지만, 햇빛만은 잘 드는 세모 집
    “삼각형은 위대한 도형이에요.”
    경기도 이천에 사는 최봉수 씨는 곳곳이 세모로 가득 찬 집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시골 마을의 평범한 스카이라인 사이로 솟은 삼각형 지붕부터, 마당의 삼각형 데크, 집안 천정과 모서리의 삼각형까지, 남다른 세모 집의 건축주 최봉수-송영숙 부부는 도대체 왜 세모로 집을 짓게 되었을까?
    집 안으로 들어가면 거대한 그림이 걸린 3m의 정면 벽과 벽지를 바르지 않고 크랙을 그대로 살린 노출콘크리트 마감 덕분에, 마치 카페나 갤러리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노출콘크리트를 통해 안과 밖의 경계가 사라진 자연스러운 분위기! 2층이 없이 탁 트인 층고로, 햇볕이 잘 들어오는 것도 이 집의 특징이다.
    갤러리인 듯 카페인 듯 지어진 세모 집의 설계를 주도한 사람은 아내 영숙 씨.
    ‘모든 건 아내가 원하는 대로 지어주세요.’라며 아내의 뜻을 무조건 따라주었던 남편 봉수 씨가 고집을 부린 것은 단 하나, ‘정남향으로 집을 지을 것’이라는 조건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호리병 모양의 집터. 정남향으로 집을 지어서는 도저히 네모반듯한 모양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남편의 정남향 사랑으로 네모가 아닌, 곳곳이 틀어진 세모 모양의 세모 집이 탄생했다.
    사실 남편이 정남향을 고집한 것은 패션 회사에서 일하다 은퇴 후 힘들어하는 아내를 위해서였다. 집안 곳곳에 창을 설치하여 아내가 따스한 햇살을 느끼도록 하였는데. 이는 집에 햇빛이 가득 들어오면 생각도 밝아지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남편의 사랑과 배려였다.
    아내 송영숙 씨는 미국에서 미술을 공부하는 딸의 그림을 걸기 위해 3m짜리 벽을 요청했고, 벽에 다른 장식 없이 자연스러운 노출콘크리트를 원했다. 3m 그림과 노출콘크리트가 만나게 되자 집이 아닌 카페 분위기를 자아냈고, 송영숙 씨는 만족스러워했다.
    부부가 건축에 신경 쓴 또 한 가지는 자신들의 집 때문에, 이웃들의 조망권이 방해받지 않는 것이었다. 이에 이웃들의 조망권을 배려해 더 높게 집을 지을 수 있었음에도 1층과 다락으로만 설계했다. 마당을 두른 담은 낮춰서 이웃과 직접 눈을 마주치며 인사할 수 있고, 집 앞 진입로에 낮은 데크를 깔아 이웃들이 앉았다 갈 수 있도록 세심하게 신경 썼다. 그 결과, 어느덧 부부는 따뜻한 동네의 소중한 일원이 되었다.
    소소유락(笑笑遊樂). ‘놀고먹는 집’이라는 뜻이 담긴 이곳의 이름에 맞춰 편안하고 자유롭게 놀 수 있는 공간. 비록 넓은 땅은 아니지만, 넓은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는 건축주 부부의 집으로 찾아간다.
    - 문경의 랜드마크를 꿈꾸는 둥근 집
    “여기는 도서관이에요? 관공서예요?”
    얼마 전부터 경상북도 문경 시청 앞을 지나가는 시민들은 놀라운 건축물을 발견했다. 올해 초, 거대한 돔 모양의 터널 4개가 연결된 신축건물이 등장한 것인데, 이것은 놀랍게도 신상연 씨와 오정미 씨네 가족이 사는 가정집!
    집안 내부도 아치형 구조를 그대로 살린 라운드 천장에 6미터가 넘는 층고를 가진 원통형을 자랑한다. 놀라운 것은 거대한 아치형 지붕이 나무로 만들어졌다는 것. 여러 번의 시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목구조를 이용해 우리나라 제일 큰 목구조 지붕 건물이다.
    시내 도심 한복판에 이런 무모한 집을 지은 건축주 부부는 뻔하고 단순한 집을 거부했다. 이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특별하고 독특한 집을 원했는데. 그렇게 결정한 집이 바로 이 둥근 집이다.
    그런데 랜드마크를 꿈꾸며 건축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과정이 아니다. 조명도 포기해야 하고, 가구 배치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며, 시공 과정에서 오랜 시간을 들이기도 했다. 실내 설계에서 특히 신경 쓴 부분은 개방감. 그래서 내부에는 2층이 없는 원통형에, 전면 통창을 달아 개방감을 살렸다. 덕분에 집은 터널을 뚝 잘라 가져다 놓은 듯한 독특한 모양으로 완성됐다. 그래서 시청 앞을 오가는 사람들에게 늘 시선 집중이다.
    부부가 이런 집을 지은 이유는 오랜 시집살이 때문!
    시댁에서 신혼살림을 시작한 부부는 13년 동안 두 딸을 키우며 부모님과 함께 생활했다.
    고생하는 아들 부부를 위해 조상 대대로 내려온 땅을 내준 상연 씨의 아버지 덕분에 건축을 시작했고. 시댁 바로 옆. 도보 1분 거리에 자리를 잡았다.
    손녀들이 테라스에서 인사를 하면 텃밭에 있는 할아버지를 만날 수 있는 집. 신상연-오정미 부부는 둥근 집에서 가족과 이웃이 더불어 둥글둥글 부드럽고 따뜻하게 살아가고 있다. 문경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은 둥근 집을 탐구해 본다.
    #건축탐구집#네모를포기해자유를얻다#햇빛잘드는#세모집#경기도이천#삼각형 지붕#카페인듯#갤러리인듯#경북문경#둥근집#아치형구조#라운드천장#원통형#전면통창#랜드마크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6

  • @kryu4598
    @kryu45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

    이 프로그램은 집 보는 재미도 있지만 나오는 가족 대부분이 화목해서 마음이 따뜻해짐

    • @hanun114
      @hanun1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감합니다. ^^

  • @boribori2462
    @boribori246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감각이 있으시네요~
    나이 들어서도 저런 감을 가지시다니..
    그래서 따님이 미술을 하나보네요~
    집도 아파트 구조로 짓는 분이 많은데
    새로운 시도 잘봤습니다 😊

  • @jinschang3587
    @jinschang358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젊은 건축주 분...인상이 참 좋으시네요 부인분도 넉넉한 맘을 품으신 분 같아요
    부모님과 두 따님 그리고 멋진 반려견 보리와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요~~^^*

  • @obosa
    @obos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봉수형님의 생각의 깊이가 참 멋있습니다.
    다른것보다 봉수형님 입담보는게 참 재밌었던 편 같습니다.

  • @user-uh6dw1ey3y
    @user-uh6dw1ey3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소소유락 서로를 존중하고 지적이며 사람을 배려하는 부부의 모습 멋집니다

  • @bundantnusoo
    @bundantnuso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실내 노출 콘크리트 하우스 느낌있네요.
    곡선하우스도 신기하네요

  • @user-hf4vg3xw9u
    @user-hf4vg3xw9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굉장히 맘에 드는 집이에요😳
    건축주분 감각이 너무 좋으신데요?

  • @user-mo4jn8pz6l
    @user-mo4jn8pz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선생님, 사모님, 두 분이 다정하게 인터뷰도 잘 하시네요.
    가끔 가지만 지붕이 세모라는 건 처음 봤어요. 위에서 보니, 색다르네요. 못보던 자개장까지도.

  • @mija-1004
    @mija-100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감각있는 멋진 집이네요 ㅎ

  • @user-tb5ob6if1u
    @user-tb5ob6if1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분인상이넘좋으네요~~건강하세요.맨발걷기하세요~기적이일어납니다~^^♡

  • @knowyou933
    @knowyou9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듯이, 집도 사는 사람 취향대로 다르다. 남에게 피해안주고 사는 사람이 만족한다면 뭘 어떻게 짓든 어떠하리.

  • @user-hn6it7dz9i
    @user-hn6it7dz9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멋진집에서 행복하세요❤

  • @engle8844
    @engle884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건축주의 개성을 많이 표현하면 할수록..그걸 실제로 실현할수록 도시의 미관은 새로운 도시로 확장되고 건축기술도 더 발전하고.. 국내에서 저런건 첨 시도해 본다고 했으니깐..
    자꾸 새로운걸 시도해봐야 건축기술도 발전한다고 생각함.

  • @healtheworld_2422
    @healtheworld_24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소소유락
    은퇴 후 놀고 먹는 집
    영상 보는 동안
    저도 함께 소소유락한 기분입니다
    단순한 것이 최고라는 말이 이 경우 일까요?
    욕심 내지 않으시고
    이웃을 배려하신 마음이 보입니다 미술관 내 의자 같은 입구의 긴 의자,
    의자 끝나는 지점에
    작은 돌 건축물은
    따님의 아이디어?
    두 분 매일매일
    소소유락 하세요

  • @grislyblack
    @grislyblac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사람들이네요 ㅎㅎㅎㅎ

  • @mo_iro
    @mo_iro 4 วันที่ผ่านมา

    첫 집 좋다... 작업실로 쓰고싶다..

  • @user-wr4bz1sp1r
    @user-wr4bz1sp1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멋진집이네요 . 산책할땐 입마개를..

  • @vivianjung1713
    @vivianjung17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개취 인거죠....본인이 좋으면 뭐 누가 뭐라고 하겠나 싶군요.. 나중에 먼훗날~ 누군가가 저집에 이사를 들어 온다면 아마도 깨끗하게 벽재든 페인트든 마감을 할듯 합니다. 저라면 시멘트 냄새 때문에든 시멘트 에서 오는 질감 자체가 차가워서든 일단 뭐라도 할거 같습니다.

  • @user-yz9mw5vz9m
    @user-yz9mw5vz9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본인만 좋타면 뭘 해도 되지 신기한 집입니다.

  • @hsj5195
    @hsj5195 28 วันที่ผ่านมา

    특색 있고 개성 있는 집이란... 안 팔리는 집. 블록에 슬레이트 지붕을 하고 천정도 없는 일제 시대의 농가 창고처럼 지을 것이지 그랬어요. 두드러기.

  • @user-nh7yv1qt2g
    @user-nh7yv1qt2g 7 วันที่ผ่านมา

    말이 좋아 배려지 저나이되면 같이누리고 즐기고 공감해줘여 부부지 저럼 남이지

  • @user-kb3vl5ny5s
    @user-kb3vl5ny5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번째 문경 집은 일부 공간은 말이 울리네요

  • @user-lv1ot9vz7v
    @user-lv1ot9vz7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노출 콘크리트는 유해물질 배출이라던지 건강에 문제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 @user-xu3cc7jc2
      @user-xu3cc7jc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괜찮습니다. 시멘트의 6가 크롬은 20mg/k 이하로 관리되어 괜찮고요. 혼화제는 좋은 걸 쓰면 되고요. 오히려 질낮은 내부 마감재나 접착제 유해물질이 더 큰 문제일 수 있겠죠. 물론 가급적 오래 바람을 쐬어 놓으면 더 좋고요.

  • @jungholee5460
    @jungholee546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벽 구조가 이해가 안가는데.. 그럼 외단열만 하고 내단열이 없는건가요? 그렇다면 정말 쉽지 않은 선택이겠네요.

  • @user-gp6tx9oy6r
    @user-gp6tx9oy6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건축탐구 집에 아파트가 나오지 않는다.... 아파트는 공장에서 찍어낸 것 같아서.... 표준화된 장점은 있지만.... 자연스러운 개성이 없다. 굳이 탐구할 내용이 없다.

    • @eeeeeeeeeeeeeeeeeeeeeekeee
      @eeeeeeeeeeeeeeeeeeeeeeke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파트 나오는 그런 프로그램이 아닌데요...

    • @jinukeem
      @jinukee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건축탐구인데 나오겠냐 ㅋㅋㅋ

    • @user-pp2mv4cj4r
      @user-pp2mv4cj4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파트거지들 찍을이유가..
      층간소음에 살인에 삼겹살 찌개 냄새난다고 지네끼리 헐뜯고

    • @junseoklee69
      @junseoklee6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pp2mv4cj4r 그게다 정경 유착으로 법이 허술하니 건설사가 똑바로 안지어서 그런거다

  • @kewnclee
    @kewncl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단열은 잘 안되겠네요

    • @nadisong
      @nadiso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외단열이라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합니다~!

    • @user-xu3cc7jc2
      @user-xu3cc7jc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tl1qnrI2fhar4lI
      @user-tl1qnrI2fhar4l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걍 순살자이에 살아라 ㅋㅋㅋ

  • @ssll4156
    @ssll415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공사들 차세대 먹거리.ㅋㅋ
    대중의 욕망을 먼저 만들어놔야..
    제2의 아파트 '나만의 주택' 팔아먹겠지.ㅋ

  • @user-mc7sd4wg1x
    @user-mc7sd4wg1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여자가 엄청 드샐듯

    • @user-mo4jn8pz6l
      @user-mo4jn8pz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모님께선 아주 부드럽고 상대를 잘 배려하는 분이에요.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