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현대 물리학이 밝혀낸 시간의 비밀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ก.ค. 2019
  • 책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를 소개합니다.
    * 본 영상은 출판사 쌤앤파커스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가장 주목받는 이론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의 책입니다.
    우리가 시간에 대해 알고 있던 것들,
    시간이 어디서나 균일하게 흐르고,
    과거에서 미래로 흐른다는 생각은
    현대 물리학에 의해 잘못된 것임이 밝혀졌습니다.
    그렇다면 시간이란 무엇일까요?
    기본적인 내용을 영상에 담았지만,
    더 깊숙한 내용들은 책에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물리 | 시간, 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2K

  • @songssb0322
    @songssb0322 4 ปีที่แล้ว +5175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내가 밥먹자고 한 여자들의 말로는
    다 시간이 없다고 한다.

    • @Kim-rg3gg
      @Kim-rg3gg 4 ปีที่แล้ว +437

      ㅋㅋㅋㅋㅋㅋ힘내자 자슥아

    • @user-iw9kb2ky5n
      @user-iw9kb2ky5n 4 ปีที่แล้ว +35

    • @user-et7op5sz3t
      @user-et7op5sz3t 4 ปีที่แล้ว +132

      친구에게 말한다
      야야야 너 겨울왕국 3 곧 개봉하는ㄷ..
      친구:이미 봤어
      나:? 어... 아직 개봉도 안했는데..
      친구:뭐 어쩌라고 예고편 봤다고
      나:아직 1도 안나왔는데...
      친구:암튼 시간없음 가셈
      결론:상대방이 나의 호감의 따라서 시간이 생기고 없어진다

    • @user-vl6df3yb1f
      @user-vl6df3yb1f 4 ปีที่แล้ว +22

      ㅁㅊㅋㅋㅋㅋㅋ힘내라

    • @roggy98
      @roggy98 4 ปีที่แล้ว +34

      ㅋㅋ 맞네 이게 정답이였네

  • @user-dt3jc9jc4r
    @user-dt3jc9jc4r 4 ปีที่แล้ว +4064

    제목 :시간은 흐르지않는다
    me : 그래?
    시작하자마자 : 시간은흐릅니다

    • @user-no1ut6dz8y
      @user-no1ut6dz8y 4 ปีที่แล้ว +144

      ㅋㅋㅋㅋㅋㅋㅋ

    • @YC-kz3wi
      @YC-kz3wi 4 ปีที่แล้ว +4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j1kq9uo5g
      @user-sj1kq9uo5g 4 ปีที่แล้ว +23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g8vx7uz4n
      @user-gg8vx7uz4n 4 ปีที่แล้ว +17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e5hq3dr9o
      @user-te5hq3dr9o 4 ปีที่แล้ว +11

      ㅋㅋㅋㅋㅋ

  • @j1_moomyoung
    @j1_moomyoung ปีที่แล้ว

    th-cam.com/video/aaL95FxqfKk/w-d-xo.html
    포맨 2기 멤버 J1이라고 합니다.
    양자역학을 주제로 노래를 하나 만들어보았는데,
    재밌게 들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ei9rk1pw1m
    @user-ei9rk1pw1m 2 ปีที่แล้ว +495

    세상에서 가장 애매한 개념은 시간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생각하니 정말 시간은 상대적이면서도 차별적이에요. 시간이 흐른다는 개념이 어떤지에 대해 스스로 정립하는 계기가 된 좋은 영상이 되었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u3028
      @hu3028 2 ปีที่แล้ว +8

      @@yooni5904 실제로 하루살이는 하루보다 더살아요

    • @user-yq8cs7qg3d
      @user-yq8cs7qg3d ปีที่แล้ว +4

      시간은 게임의 프레임처럼 공간과 현상등의 상태의 무한의 짧은시간에 한번 연속되는 변화 아닐까요

    • @AaaA-km2yu
      @AaaA-km2yu ปีที่แล้ว +1

      @@user-yq8cs7qg3d 아니라고 말할 수 없지 않지만 딱히 반박할 수 없는 현상에 기인한 사실일 확률이 높지 않다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이지 결코 연속된 무한의 멈춤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 시간이죠.

    • @user-yq8cs7qg3d
      @user-yq8cs7qg3d ปีที่แล้ว +1

      @@AaaA-km2yu 댓글 착오했다

    • @88biuelqui75
      @88biuelqui75 ปีที่แล้ว +1

      세상에서 가장 애매한 개념은 현재로서는 차원이 아닐지요..

  • @Aurel_22
    @Aurel_22 4 ปีที่แล้ว +3510

    플랭크 하면 시간 느리게 감

    • @user-nz7qt3ze2l
      @user-nz7qt3ze2l 4 ปีที่แล้ว +182

      갑오징어 그거 존나인정

    • @user-yr6yh6zm1p
      @user-yr6yh6zm1p 4 ปีที่แล้ว +60

      이거 리얼ㅋㅋ

    • @user-ij3jy9oc5y
      @user-ij3jy9oc5y 4 ปีที่แล้ว +16

      @갑오징어 ㅋㅋㅋㅋㅋ

    • @lsoso552
      @lsoso552 4 ปีที่แล้ว +15

      가만히 있어서 그럼

    • @user-ru3le4is3z
      @user-ru3le4is3z 4 ปีที่แล้ว +43

      고민중 ? 가만히있으면 시간이 더 많이 흐른다고 영상에서 설명하고있잖아요 ㅋㅋㅋㅋㅋㅋㅋ

  • @dong-jinchoi6921
    @dong-jinchoi6921 4 ปีที่แล้ว +1014

    알겠는데
    모르겠다.

    • @qncjs
      @qncjs 4 ปีที่แล้ว +24

      이게 정답이네요

    • @user-mh3sj3mx9f
      @user-mh3sj3mx9f 4 ปีที่แล้ว +3

      🤣

    • @user-dp6dn9ls2j
      @user-dp6dn9ls2j 4 ปีที่แล้ว +8

      저도 무슨말인지 모르겠는데 계속 보고있....

    • @mothfly_studio
      @mothfly_studio 4 ปีที่แล้ว +9

      그게 양자역학입니다

    • @Goodzzigood
      @Goodzzigood 4 ปีที่แล้ว +6

      ㅋㅋㅋㅋㅋㅋㅋㅋ 설명해줘서 아~ 그렇구나~ 하는데 모르겠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lkangho
    @dlkangho ปีที่แล้ว +35

    전 예전부터 '하나가 시작되면 모든것은 한순간에 일어난다. After one starts, Everything happens within one moment.'라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와 관련된것을 올리셨네요. 고맙습니다.

  • @djwoo2011
    @djwoo2011 2 ปีที่แล้ว +53

    기대 이상입니다. 좋은 책을 친절하고 자세하게 요약 정리해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mk8ht7lp2v
    @user-mk8ht7lp2v 3 ปีที่แล้ว +2012

    내일 출근하기 싫어서 존나 가만히 있는중

    • @Hanuuuuuuu
      @Hanuuuuuuu 3 ปีที่แล้ว +55

      극히 공감

    • @svythk8477
      @svythk8477 3 ปีที่แล้ว +196

      가만히 있으면 시간이 빨리간다잖아요.
      움직이면 느리게 가고요

    • @user-cx8mr3jn2c
      @user-cx8mr3jn2c 3 ปีที่แล้ว +66

      @@svythk8477 그럼 뛰어댕기냐?

    • @user-fx7iz1hm1h
      @user-fx7iz1hm1h 3 ปีที่แล้ว +5

      @익현최 이게 진짜다

    • @user-cx8mr3jn2c
      @user-cx8mr3jn2c 3 ปีที่แล้ว +6

      @@user-ld3pv4rh2g 고통받아서그렇지

  • @user-he6wh2tl4r
    @user-he6wh2tl4r 4 ปีที่แล้ว +1852

    왜 미친과학자가 많은지 알겠다.
    이런 내용들을 연구하다보면 인생에 ㅈㄴ 회의감 들 것 같음

    • @user-ip1cw9yl5o
      @user-ip1cw9yl5o 4 ปีที่แล้ว +154

      아니지 새로운 지식을 계속 알아가니까 존나 쾌감쩔거 같은데

    • @user-rt1sz5cg7e
      @user-rt1sz5cg7e 4 ปีที่แล้ว +246

      @@user-ip1cw9yl5o 쾌감 vs 회의감 비교하면 회의감을 더많이 느끼는 비중이 많고 더많은 영향을 끼칠뜻 저는 회의감에 한표!

    • @user-ms8rr7ev8k
      @user-ms8rr7ev8k 4 ปีที่แล้ว +24

      미친 과학자가 많나요..?

    • @user-ip1cw9yl5o
      @user-ip1cw9yl5o 4 ปีที่แล้ว +71

      @@user-ms8rr7ev8k 많지는 않습니다. 이런내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는 거의 대부분 고등교육 중에서도 최고급교육을 받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많지도 않고 더더욱 미친 사람은 수가 적죠. 그냥 미친 사람은 많을지 몰라도 제주변에 없는거 보면 상대적인 수치일 겁니다.

    • @user-ym5ny6os6i
      @user-ym5ny6os6i 4 ปีที่แล้ว +71

      야스오는 미친놈들이 많이하긴하지

  • @sicpac4678
    @sicpac4678 ปีที่แล้ว +1

    정말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감기조심하세요 ㅠㅠ 코가 많이 막히셨네요

  • @LEEKEE_0209
    @LEEKEE_0209 2 ปีที่แล้ว +5

    정말 감사합니다🙇‍♂️

  • @sickersicker11
    @sickersicker11 4 ปีที่แล้ว +340

    영상을 보던 중, 나는 생각하기를 포기해버리고 말았다.

    • @level6659
      @level6659 4 ปีที่แล้ว +2

      골든!!!!!!!

    • @user-cf7kn3wn8l
      @user-cf7kn3wn8l 3 ปีที่แล้ว

      생각하기를 포기해버린다고 생각을 해버렸다..

    • @user-ml5jl2nq3l
      @user-ml5jl2nq3l 3 ปีที่แล้ว

      사실인지도 모르는데 생각을 다 인용하는것도 글쎄

    • @picolrosancho8528
      @picolrosancho852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을 한다는 착각 시간이 없는데 생각을 낼 수 있을까/

  • @drawthebook
    @drawthebook  4 ปีที่แล้ว +291

    책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를 소개합니다!
    이렇게 많은 분들이 물리학 내용에 관심을 갖다니!! 놀랍네요 :D
    잘 봐주셔서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 @pentatonic1533
      @pentatonic1533 4 ปีที่แล้ว +4

      th-cam.com/video/C_dhsjzuJH0/w-d-xo.html
      (켄트호빈드 영상)
      시계를 만든 사람은 시계 밖에 있고 시계는 시계에 대한 설계도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를 만든 창조주는 우주 밖에 있고 우주의 설계도는 법칙입니다. 보통 우주의 시작은 물질 혹은 에너지라고 가르칩니다. 하지만 그 물질은 이전엔 무엇이 있었는지 아무도 모르며 물질보다 비교적 높은 차원으로 접근해야합니다.
      - 공깃돌 무한개 빼기 무한개는 0입니다
      - 공깃돌 무한개 빼기 1은 무한입니다.
      - 공깃돌 무한개 빼기 무한/2도 무한입니다.
      계속 값이 늘어나는 상태도 시간이 멈추면 그 상태는 실수가 됩니다. 결국 무한은 시간이라는차원에 속박되는거지 시간자체가 무한할 수 없습니다. 시공간은 이전에 영원히 존재하던 무한한 존재가 아니라 자원이라는 개념일 뿐이며 지적존재가 시공간을 정의해야만 상태나 실수같은 부수적 개념도 존재하게 되는겁니다.
      이처럼 3차원 세상에서는 사칙연산을 했을때 각각의 상황에따라 값이 달라져야하는데 무한이라는 개념은 3차원의 사칙연산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사건이라는것은 무한할 수 없고 실수여야만이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도 모순이 없게 됩니다.
      불완전성의 정리도 마찬가지입니다. 1+1=2는 사실 틀린말입니다. 2는 본질적으로 그냥 2이고 1+1은 1을 두번 더한다는 뜻이기에 사실 같은말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렇게 쓸 수 있는 이유는 세상이 이미 이렇게 만들어졌기때문입니다.
      결국 시공간이든 수학이든 과학이든 존재할 수 있는 선행조건은 세상이 존재해야만 생길 수 있는 파생적인 개념입니다. 고로 이 세상은 먼저 이 세상이 존재하게한 지적존재가 있어야 설명이 가능합니다.
      (①무한의 개념이 3~4차원에 존재한다는 가정도 사실 모순입니다. 이 말은 시공간과 물질은 스스로 생길 수도 없고 영원할 수 없는 뜻입니다.
      ②무한이라는 것도 결국 개념이기에 개념 이전에 실존적/형이상학적 탐구를 할 수 있는 존재자(사람)와 세상이라는것이 일차적으로 존재해야하며 만물이 존재하도록 정의한것이 하나님입니다 "빛이 있으라")
      Ex1)
      시공간이라는 개념조차도 스스로 영원할 수 없는 창조물인 것이고 만물은 시작점이 있어야만 합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물질적 사건이 아니라 시공간이라는 4차원 이상의 비물질의 개입이 있어야 말이 됩니다. 저차원의 물질이 시공간에게 영향을 줄 수 없고 시간의 차원보다 높은 고차원이어야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간 즉 엔트로피가 스스로 발생한게 아니라 모든것이 발생하게한 원동력이 있어야만 세상의 존재가 말이 됩니다. 그렇기엔 수소가 창조력이 있을까요? 글루온 초끈 힉스입자 등 이세상의 모든 물질과 에너지(물질=에너지, E=mc2)는 생각이나 의지 혹은 능력이 없습니다. 게다가 이런 물질들도 스스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신이라는것을 제외하고 생각을 하더라도 지적존재가 있어야만 우주의 시작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 나온것처럼 하나님(Logos)만이 무한한 존재이시며 스스로 계신 유일한 분이십니다.
      [출애굽기 3:14]
      14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스스로 있는 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Ex2)
      우주라는 거시세계의 정보체계와 입자라는 미시세계의 세밀한 에너지 조율이 스스로 발생하여 지금 인류와 세상을 만든것이 아닙니다.
      우주가 존재하지 않는것은 무(無)입니다. 아무것도 없다는 말은 아무것도 발생시킬 수 없다는 뜻입니다. 즉 확률이라는것도 존재하지 않는 무의 세계입니다. 고로 무에서 유가 되었다는것은 바꿔말해서 아무것도 없고 확률마저도 없는것에서 확률을 포함한 세상이라는것이 생겨났다는 말입니다. 상식적으로 0×무한은 0입니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계속되면 아무것도 없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지금 세상이 존재한다는 것은 누군가에 의해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어느순간 존재라는것이 시작되졌다는 뜻입니다.
      [요한복음 1:1-3]
      1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2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3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Ex3)
      노트북의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는 온전히 설계자의 머릿속에서 나옵니다. 노트북은 만들어질 뿐이지 설계자에게 영향을 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노트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기위해서나 노트북의 작동원리를 알기위해서는 노트북을 분해하여 연구할 수 있지만 오래걸립니다. 또 오래걸려서 알 수 있다하더라도 분해하는 사람의 추측에 기반하기에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노트북 설명서를 보거나 노트북의 설계자를 찾아가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세상의 사용설명서는 성경이고 설계자는 여호와이십니다.
      ①육체 -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②혼(정신) -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③영 -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육체=하드웨어
      혼=소프트웨어
      영=데이터베이스

    • @pentatonic1533
      @pentatonic1533 4 ปีที่แล้ว +2

      [무한대 : 어떠한 실수나 자연수보다 큰 수. 또는 무한히 커져 가는 상태 등을 나타내는 대수학용어.]
      솔직히 깊게 파고들면 제가 적어놓은 식이 모순아닌 모순입니다. 단지 비유가 필요하고 상식선에서 해결할 수 있는 선까지만 인용을 하였습니다.
      무한이라는것은 실수가 아니라 무한히 커져가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애초에 사칙연산 자체가 불능입니다.
      1. 무한-무한 : 무한히 커져가는것에서 무한히 커져가는것을 뺀다고 한다면 그 뺀 값도 영원히 산출되어
      무한-무한=무한이라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 무한히 늘어나는 상태를 무한히 빼면 값이 없어져버리기때문에 0의 상태가 영원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혹은 (무한+1)-무한은 1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설명하다보면 끝도없이 설명해야할것입니다. 그렇기에 불특정한 수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복잡한 설명을 제 비유에 넣자니 보통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울거같아서 그냥 생략했습니다.
      결국 이 식이 뜻하는것이 무엇을 말하느냐면 "시공간"이라는 개념에 대해 매우 다양한 측면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무한히 늘어나는 상태도 결국 시간이 멈춘다면 어느순간 실수가 되어버릴겁니다. 그리고 뺀다는 사칙연산이라는것도 시간이 없어져버리면 빼는 과정이 사라저버리기 때문에 계산식이 성립될 수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한이라는것 자체가 시공간에서 이미 구속되어버리기때문에 무한대라는 것은 4차원을 넘길 수 없습니다. 또한 각각의 무한이 서로 무한히 커져가는 값이 일정한지도 특정지을 수 없기 때문에 서로 비교를 할 수도 없고 시공간이라는 차원의 상태에 따라 값이 매우 다양하게 나오는 것입니다.
      1-1 시공간에 대해서 잠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왜 시간, 공간이라고 하지않고 시공간이라고 하냐면 시공간은 본질적으로 하나일 수 밖에 없습니다. 시간이 없으면 물건이 존재할 과정이 사라지고 공간이 없으면 물건을 놓을곳이 사라집니다. 여기서 재미난 사실을 하나 볼 수 있는데 시공간에서 시간혹은 공간이 없다는 말이나 무한대가 3~4차원에 존재한다는 말이나 "0" 이라는 말이나 다 어떤 의미에서 같은 말입니다.
      시공간은 설명드렸고 무한대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예를들어 자동차가 무한대의 속력으로(속력과 속도는 다릅니다 중요하진 않고요) 달리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빛의 속력을 돌파한건 기본이고 사람이 절대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고로 사람이 느낄 수 없기때문에 존재하지 않는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반대로 자동차의 존재가 0이라고 해봅시다. 그럼 자동차는 없는것입니다. 이렇기에 무한대를 우리는 느낄수도 없고 설령 3~4차원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없는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0과같이 존재하지 않는것이고요
      2. 0x무한을 제가 0이라고 한것은 수학적 계산에 근거한것이 아니라 그냥 존재적 의미만 두고 설명하였습니다. 확률도 없고 존재라는 개념자체마저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벌써 없는 상태가 있다고 가정하였기에 모순이 되어버리긴 하지만 설명이니까 넘어가주세요) 이런 특징의 상태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아무것도 없는것입니다. 왜냐하면 시간이라는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며 무엇인가 흘러간다는 엔트로피적 개념마저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주가 없을때라는 말은 방금 말씀드린것처럼 정말 아무것도 없는것이라는 말이며 이런것은 확률마저도 없기때문에 이런상태에서 존재의 가치를 지니는 어떤 존재가 나오는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말을 애초에 반박할 수가 없는데 그 이유가 뭐냐면 예를들어 빅뱅처럼 태초에 "점" 하나가 있었다고 해봅시다. 그리고 그 점에서 지금의 우주가 생겨났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점은 무엇으로부터 파생되었나요? 이것부터 벌써 설명을 못합니다. 그리고 백번 양보해서 점이 스스로 존재했다고 가정하더라도 그것이 시공간과 물리법칙을 창출해낼 정보를 내포하고있음을 말하는것이 아닙니다. 결국 빅뱅은 실패한 이론입니다.
      3. 마지막으로 흥미적 요소로 얘기하자면 스티븐호킹의 수축-팽창이 영원하다는 우주론은 틀렸습니다. 틀렸다기보다는 굳이 말하자면 덮어놓고 믿는 셈입니다. 허수는 무한대와 마찬가지로 실존하지 않는것입니다. 그렇기에 수식의 결과에서는 무조건 허수를 실수로 바꿔줘야합니다. 그리고 물리적 의미에서 (-) 부호의 뜻은 가까워진다 접근한다 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스티븐 호킹은 우주를 설명하는 수식의 결과에서 허수를 실수로 다시 바꿔주지 않고 그냥 허수로 치환한채 우주가 한 특이점으로 접근하는 방식의 기존 모델을 거부하고 영원히 수축과 팽창만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듯이 무한대마저도 실존할 수 없는데 영원히 수축과 팽창만 하는 존재자체는 더더욱 있을 수 없습니다.
      결국 그 수식도 모두 실수로 바꿔주면 우주는 결국 한곳으로부터 시작해야하는 모델로 바뀌어버립니다.
      쉽게말해서 우주는 무조건 시작점이 있어야한다는 뜻이며 우주자체도 무한할 수 없는 파생적인 존재라는 뜻이었습니다.

    • @x_mainaccount
      @x_mainaccount 4 ปีที่แล้ว +13

      ​@@pentatonic1533 좀 알고 말했으면 합니다. 저 역시 기독교인이고 동시에 과학을 사랑하기 때문에 둘 중 어느 것이든 왜곡하는 사람을 매우 싫어합니다.
      1.무한대로 말장난하지 마십시오. 무한대는 수가 아닙니다. 무한-무한이라는 것은 애초에 다루면 안 되는 지점입니다. 0으로 나누는 것과 마찬가지이고요. 굳이 따지자면 현대대수학으로 올라가서 시그마 k=1~무한에서 k값은 왜 -1/12로 계산하는지부터 공부하고 오세요. 수학자와 과학자들이 그 생각을 안 해봤을 리가 없고 굳이 안 되는 것이라도 증명하려고 별 짓을 다 했기 때문에 그 결과물은 당신이 쉽게 0=1이라며 궤변을 펼칠 수 없는 근거를 수십 개씩 가져다 놓을 수 있습니다.
      2.빅뱅 이론은 '이' 우주,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이 틀린지 아닌지는 제 알 바가 아닙니다. 다만 당신이 그 이전의 사건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빅뱅이 틀렸다 하는 것은 하나님이 어떻게 독생하셨는지 우리가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독교가 틀렸다 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어쨌건 그 생각에 대해 굳이 과학자들이 잘 다루지 않는 것은 '어차피 우리가 건드릴 수 있는 능력과 지식을 충족하려면 한참 멀었기 때문'에 단순히 이론만 제기할 뿐 그것을 증명하려 하지 않는 것입니다. m이론,홀로그램우주론, 혹은 스티븐 호킹의 다중우주론 등이 존재하고 여기에 뒷받침되는 증거들 역시도 존재하지만 완벽히 증명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생각만 하는 것뿐입니다. 일단 우리가 더 발전해야 이후에 신이 계시는지 더 큰 우주나 차원이 있는지 어쩐지를 알 수 있는 겁니다.
      3.그렇게 말만으로 가능하다 불가능하다를 다루면서 당신이 가져온 수식이라고는 하나도 없습니다. 말로 반박이야 누가 못하나요. 특수상대성이론에 반박하는 역설도 수백 개입니다. 다만 더 연구하고 수식화하면 왜 그 역설이 틀린지 당신 스스로가 이해하겠지요. 더구나 당신은 과학적인 지식 자체가 심하게 부족합니다. 많은 과학을 가져온 종교인들처럼 듣고 싶은 거 조금만 대충 왜곡해서 이해하고 있는 게 너무 선명하게 보입니다. 허수가 과학에서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정확히 설명할 수 있나요? 코펜하겐 해석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나요? 빛의 속도로 달리는 차는 시간을 거슬러 간다는 걸 알고서 그런 명제를 말하는 건가요? 물리학에서 -가 접근의 의미를 가진다는 건 어디서 가져온 근거 없는 개소리인가요? 빅뱅 이후 팽창하다가 수축하는 빅 크런치 이후에 그대로 우주는 소멸하는데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건 빅뱅이 아닌 다중우주론에서 가지고 온 거 아닌가요?(물론 이렇게 바꿔도 틀린 건 마찬가지이지만) 어떻게 확률밀도와 불확정성 원리를 실수단위로 치환할 수 있죠? 이 중 단 한 가지라도 당신이 대답할 수 있는 게 있나요? 아마 없을 겁니다. 최소한의 전공자 수준도 안 되면서 무슨 이론의 증명과 반증을 설파하고 있는 건지 이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4.다르게 가 봅시다. 종교를 다루는 만큼 과학적인 부분 전부 배제하고 당신이 세 번째 단락에 언급한 형이상학적 탐구를 해 봅시다. 지적존재만이 이 세계의 성립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고요? 무엇을 근거로요?그렇게 말하는 당신은 지적존재가 아닙니까? 그 말인즉슨 세계의 창조는 지적존재에 의해 일어났고 그 지적인 요소는 자기 자신이 만들었다는 겁니까?
      신이 과연 지적 존재인지에 대한 것부터 따져 보자면 굳이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애초에 그 지적 존재라는 것의 개념과 조건이 인간의 기준으로서 만들어졌으니 신이 우리와 같은 방식의 사고를 할 것이라고 판단할 이유 자체가 없습니다. 당신이 신과 세계를 비유하며 노트북 설계자를 찾아가거나 설계도를 읽으면 쉽게 풀린다고 했는데 그 노트북 설계자의 안내서(성경)은 최소한 다 이해를 했나요? 아직 멀었죠. 설계도는 준다고 해서 읽을 수 있을 거 같습니까? 아니요. 절대로요. 구조(우주의 설계 계획)는 커녕 그 언어(우주의 포괄적 운영 원리와 목적)조차 이해하지 못할 겁니다. 그 정도라도 할 수 있다면 과학자,수학자들,철학자들 등은 미칠듯이 연구하기 시작했을 겁니다. 원래 하나의 실날같은 희망이라도 잡을 수 있다면 달려드는 사람들이니까요. 그러나 그들은 가만히 있습니다. 도리어 회의적이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단 전자기기(인간의 생존)라는 것조차 이제 막 이해하는 중인데 그걸 이해할 수는 당연히 없는 것이고 그저 추측만 하는 것 이상으로 불가능하다는 걸 아니까요.
      신을 믿는 사람이라면 성경 외의 근거에 매달려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옳다고 생각한다면 그저 믿고 행동할 뿐입니다. 당신이 그 이유를 찾고자 하는 것은 아직 하나님을 만나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죠. 신을 위해서가 아니라는 겁니다.. 각자 믿고 싶은 걸 믿으면 됩니다. 그걸 남에게 강요하는 게 아니라 단순히 믿고 다른 사람들에게 한 번쯤 설득하고 이야기하는 전도의 과정 이상은 인간이 함부로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 @TV-DOCJON
      @TV-DOCJON 3 ปีที่แล้ว

      th-cam.com/video/3sQA0oTKTfw/w-d-xo.html
      이거 한번 봐주시고 조언 주세요. 틀린게 있나 궁금합니다.

    • @x_mainaccount
      @x_mainaccount 3 ปีที่แล้ว +2

      @@TV-DOCJON 일단 설명까지는 맞았으나 그 뒤의 부분은 명백하게 틀렸습니다. 일단 무한은 수가 아닙니다. 변할 수도 없고요. 그에 비해 빛의 속도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 가지로 반박할 수 있겠으나 예를 들어 우리가 시속 30만 km의 속도로 움직인다고 하는 것은 진공 상태에서의 빛의 속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빛이 높은 굴절률을 가진 투사체를 통과한다면 그만큼 속도가 느려지기도 한다는 것이고 실제로 이 때문에 특정 물질 내에서 빛의 속도보다 전자 등의 다른 입자가 더 빨라지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 경우에 입자가 체렌코프 복사광을 생성하고요.
      사실 그와 같은 추론을 하더라도 수학적으로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그 생각 역시 아마 다른 과학자 중 몇 명은 해 보았을지도 모르고 아카이브에서 검색해 보면 실제로 귀납적으로 추론한 것이 있을 수도 있겠으나 그 빛의 속도는 단순히 여러 방식의 실험으로 측정된 것뿐만 아니라 아예 증명된 것이고 계산된 수치이기도 합니다.아마 반증하려고 한다면 최소한 로렌츠 및 포니케어의 증명법과 피조-푸코 실험, 뢰머 실험, 광행차 관련해서 논문들 찾아 읽고 오는 게 맞을 거 같네요

  • @whitedream06
    @whitedream0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즉 현재와 과거, 미래는 없다를 뒷받침하는 영상이네요. 정말 재미있게 보았고, 어려운 내용 쉽게 설명 해주셔서 좋은 영상을 통해 좋은 정보를 배워갑니다.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다음 영상대 재미있게 보겠습니다.

  • @macjerry8725
    @macjerry8725 ปีที่แล้ว +2

    영상이 너무 흥미있어 책도 사 보았습니다. 정말 어렵더군요. 하지만 더욱 흥미를 유발하는 책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합니다 ^^

  • @user-sm2sq6ny3j
    @user-sm2sq6ny3j 4 ปีที่แล้ว +626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월화수목금의 시간은 느리게 가지만
    토일의 시간은 빠르게 갑니다
    컵라면 물 부어놓고 3분은 느리지만
    유튜브를 보면 3분은빠르지요

    • @playlist3705
      @playlist3705 4 ปีที่แล้ว +16

      ㅇㅈ함

    • @DC-mr2ju
      @DC-mr2ju 4 ปีที่แล้ว +5

      ㅋㅋㅋㅋㅋ

    • @user-wc2km9mi4e
      @user-wc2km9mi4e 4 ปีที่แล้ว +5

      ㅈㄴ똑똑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 @sumomo114
      @sumomo114 4 ปีที่แล้ว +3

      바로이해댐ㅋㅋ

    • @user-lw4we5nx6y
      @user-lw4we5nx6y 4 ปีที่แล้ว +43

      토일의 시간이 짦은것처럼 느껴지는 이유.평일은 5일인데 주말은 2일임. ㄹㅇ 짦은거임 ㄷㄷ

  • @0jd446
    @0jd446 4 ปีที่แล้ว +462

    사람들은 말한다. 평일은 왜 이렇게 느리게 가고 주말을 왜 이렇게 빨리 지나가는거야?!
    평일 : 5일 / 주말 : 2일

  • @Berry-gz6of
    @Berry-gz6of 2 ปีที่แล้ว +13

    넘 재밌어용❤️ 과학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 @tv2681
    @tv2681 ปีที่แล้ว +81

    평소에 관심이 있던 내용을 설명해 줬네요. 우리가 움직이고 있는 한, 시간은 천천히 흐른다. 그러나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있으면 시간은 엄청나게 빨리 흐르고 그만큼 빨리 늙는다는 말은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고 실천해야 할 과제라고 여겨집니다.

    • @RICKYMEELY
      @RICKYMEELY ปีที่แล้ว +18

      그래서 성경에 보면 "구원을 다 이루셨다" "우리에게 주셨다" "천국이 네 손에 있으니라" 라고 미래완료형으로 적혀 있는 겁니다.
      인간세상의 낮은 차원의 에너지 속에서는 미래이지만 엄청난 에너지의 근원인 창조주 안에서는 이미 구원과 천국은 끝나있는 완료된 일이니까요.
      "돌이키라 천국이(이미) 네 손안에 있으니라" 라는 예수께서 말씀하신 성경 구절을 인간들의 얕은 꼼수로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웠느니라"로 멋대로 개똥같이 번역해 사람들 협박용으로 사기치고 있지만요

    • @yungoon516
      @yungoon516 ปีที่แล้ว +5

      종교와 반대개념인 과학 유튜브에도 개독이...ㄷㄷ

    • @life.of.liz.v
      @life.of.liz.v ปีที่แล้ว +5

      엄밀히 말하면 종교와 과학이 반대라고 할 순 없음. 과학도 결국 인간의 틀 안에서 해석할 수 밖에 없으니 절대적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편향과 믿음에 좌우되기 마련이니까.

    • @smokemirror1583
      @smokemirror1583 ปีที่แล้ว +4

      @@yungoon516 종교와 반대개념이 아니라 종교에 대해서 불가지론의 입장에 있는게 과학이죠. 과학이 종교를 옹호해선 안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거부하는 것 또한 과학에 선입견이 포함된 꼴입니다. 그래서 저는 학문에서 가장 합리적인 관점은 유신론도 무신론도 아닌 불가지론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wu2oq8ls8d
      @user-wu2oq8ls8d ปีที่แล้ว

      과학적으로 설명하면 니가하는 현재가 너의 미래를 이미 지옥으로 보내고 있다.

  • @atomickezam
    @atomickezam 3 ปีที่แล้ว +20

    내가 어디에 있는게 중요 한게 아니라 관찰자가 어디에 있는가가 중요 한겁니다 내가 제 아무리 중력장이 강한곳에 있다고 하더라도 나를 보는 관찰자가 없으면 내시간은 내시간 대로 흐르고 있는겁니다 상대성이론은 내 시간과 타인의 시간이 다르게 간다는게 전제조건 입니다

  • @LOVE-mz1rj
    @LOVE-mz1rj 3 ปีที่แล้ว +123

    일단 지구 가장 낮은곳에서 터를 잡고 뛰어다녀야겠습니다.

    • @yeomjiwon
      @yeomjiwon 3 ปีที่แล้ว +1

      ㅋㅋㅋ

    • @yeomjiwon
      @yeomjiwon 3 ปีที่แล้ว +3

      중력장이 제일 큰곳을 찾아서용

    • @user-pu9ww7sv1l
      @user-pu9ww7sv1l 3 ปีที่แล้ว +2

      내가 위치한 곳이 가장 높고 사방으로 낮아진다는데 ,

    • @PainterDots
      @PainterDots 3 ปีที่แล้ว +3

      중력이 큰데서 뛰어다니다니..힘들어서 빨리 죽습니다.

  • @user-mz6jv1fj4v
    @user-mz6jv1fj4v 2 ปีที่แล้ว +6

    쯥 열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흐른다는 0법칙, 에너지는 변환될 때 손실된다 2법칙(손실되는 방향성, 관련 물성값 엔트로피)

  • @user-xv3qz7tw9i
    @user-xv3qz7tw9i 2 ปีที่แล้ว +43

    독서를 즐겨하는 편은 아닌 사람 입니다만, 너무 재미있게 가슴두근거리며 읽었던 책입니다. 주기적으로 다시 읽고 싶은 책! 물리학자 이지만, 철학적이고 문락적이어서 감동과 어떤 삶의 위로도 받은 책 압니다.

  • @books_world7
    @books_world7 4 ปีที่แล้ว +96

    시간이란 우리가 생각하듯이 단순히 하루에 24시간 이런게 아닌가봐요
    아직 많이 공부를 안해봐서 헷갈리지만, 현대 과학은 정말 어려운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rawthebook
      @drawthebook  4 ปีที่แล้ว +7

      이해했다 싶으면, 다시 모르는 게 많더라구요 ㅋㅋㅋ
      꾸준히 대중서 정도를 읽으려고 합니다!

    • @user-yt2ko3jp4k
      @user-yt2ko3jp4k 4 ปีที่แล้ว +39

      하루에 24시간이라는 개념은 그저 인류가 해가 한번 뜨고 다시 지고 다시 뜨기까지를 하루로 정하고 그걸 24로 나눈것이 1시간인거고 하루가 365.25번 지나면 1년이라고 정해놓은 것 뿐이지 우주의 보편법칙이 아닙니다.

    • @books_world7
      @books_world7 4 ปีที่แล้ว +2

      @@user-yt2ko3jp4k 그렇죠.. 다른 행성에서의 하루는 24시간이 아닐수도 있으니까요.. 느끼는 시간의 흐름 자체도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니까요.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원칙을 빛의 속도로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다 바뀌니.. 정말 과학을 진지하게 공부를 한번 해봐야 할것 같아요

    • @user-hx7we4ij2m
      @user-hx7we4ij2m 4 ปีที่แล้ว +5

      시간이 24시간이 아니어도 모두가 똑같이 늙어가는건 다름없음 그런걸 알아볼빠에 돈이나 더 버는게 현명. 가는덴 순서가 없거든.

    • @user-jq8wv8dd5v
      @user-jq8wv8dd5v 4 ปีที่แล้ว +3

      노화는 된다.

  • @user-yc5nr7tj3p
    @user-yc5nr7tj3p 4 ปีที่แล้ว +145

    이 책리뷰를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셨는지 보이네요. 과거와 미래를 구분 짓는 것은 엔트로피이다.라는말 너무 인상깊어요. 흥미로운 책이네요💕😍

  • @chrispark7814
    @chrispark7814 2 ปีที่แล้ว +4

    감기 걸리지마시고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려요~

  • @turtlephysics322
    @turtlephysics322 3 ปีที่แล้ว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lwaysyou7193
    @alwaysyou7193 4 ปีที่แล้ว +917

    시간은 그냥 모든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추상적인 개념 아닌가요?

    • @user-kw2fp3ve4y
      @user-kw2fp3ve4y 4 ปีที่แล้ว +91

      애초에 과학적인 개념 대부분이 추상적인 개념이죠.
      정답이 있는것도 아니니깐 시간의 개념이 얼마든지 바뀔수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시간은 인간이 만든 하나의 규칙에 불과한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시간 이라는 개념이 정해져있는 틀이 없고 누군가는 태양을 이용한 누군가는 세슘원자를 이용한 초 단위를 재며 시간이 흐른다고 말하죠.
      이렇듯 초, 분, 시간을 정하여 조금 더 편리하게 살기위한 인간들의 생각에서 나온겁니다.
      그리고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어도 우리는 3차원 이상의 공간 안에서 산다고 봐야죠.
      1,2차원에서는 모든게 멈춰있지만
      우리는 움직이며, 서로를 만질수 있고 무엇보다 낮과 밤의 변화가 시간이라는 개념을 대체하는 가장 좋은 예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user-re9hm3cw8g
      @user-re9hm3cw8g 4 ปีที่แล้ว +99

      뭔가 착각하신듯
      시간뿐만 아니라 원래 언어라는게 추상적인걸 문자화시킨거임 공간 국가 이름 나라는존재 다 추상적인거임
      시간만 그런것처럼 말한게 오해의 소지가 있음

    • @user-sd8gt6pe1o
      @user-sd8gt6pe1o 4 ปีที่แล้ว +7

      @@user-re9hm3cw8g 시간이란개념이원래없었잖아

    • @user-pv5je3kb3m
      @user-pv5je3kb3m 4 ปีที่แล้ว +7

      @@user-sd8gt6pe1o 정확히 무슨뜻인지 정의를 내려야 할듯. 시간이란 개념이 원래 없었다는 건 역사적인 측면에서 말하는거임? 아니면 과학적으로 일관되고 명확히 규명된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단 거임?

    • @Staatssi
      @Staatssi 4 ปีที่แล้ว +18

      애시당초 모든건 착각입니다. 그 착각을 비 착각화 할려니 만들어진게 지금 모든겁니다
      이게 저의 짧은 어리석음에서 나온 생각입니다.

  • @bittry7780
    @bittry7780 4 ปีที่แล้ว +334

    제목: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내용: 위치에따라 다르게 흐른다

    • @yeon_kim
      @yeon_kim 3 ปีที่แล้ว +3

      제목 어그로 ㅡㅡㅋ

    • @user-qv3cr3nh6y
      @user-qv3cr3nh6y 3 ปีที่แล้ว +2

      @@yeon_kim 저기 내용 양자중력이라 중력이 양자화되어서 흐르지 않는다는 이야기일겁니다

    • @analyst-
      @analyst- 3 ปีที่แล้ว

      @@user-qv3cr3nh6y 그게 중력에 의해 흐른다는거죠

    • @user-qv3cr3nh6y
      @user-qv3cr3nh6y 3 ปีที่แล้ว

      중력도 양자화 되었다는 말 아닌가요?

    • @user-kl2ur5zn1y
      @user-kl2ur5zn1y 2 ปีที่แล้ว

      물리1 임

  • @saea6226
    @saea6226 ปีที่แล้ว

    와 책그림님 잠시 떠나있던 시간에 어느새 50만이 되셨네요! 축하드려요~ 여전히 유익하고 좋네요~

  • @mongni6062
    @mongni6062 ปีที่แล้ว

    포인트를 잘 집어주셔서 심오한 세계가 손에 잡힙니다. 감사합니다

  • @drmphy
    @drmphy 4 ปีที่แล้ว +263

    물리학자로서 (물리학과 전공) 시간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는데 정말 시간은 환상인 것 같다
    더이상 삶과 죽음, 행복과 불행에 연연하지 않게 됐다
    그저 내게 주어진 어떤 소명을 끝까지 수행할 뿐이다

    • @user-iy1xq8mt9g
      @user-iy1xq8mt9g 4 ปีที่แล้ว +8

      과거 현재 미래는 공존한다는 얘기 맞는건가요??
      그 얘기는 미래는 이미 존재한다 즉 결정되어져 잇다고 봐도 되는건가요??

    • @jsong9515
      @jsong9515 4 ปีที่แล้ว +14

      @@user-iy1xq8mt9g 네 얼마나 사소 할지 몰라도 우연은 없고 세상 모든 것에 운명이 존재한다는 것 . 궁금하시면 Multiverse 컨셉에 대해서 읽어보세요.

    • @user-mt1zr3bz1p
      @user-mt1zr3bz1p 4 ปีที่แล้ว +9

      whynot ㅋㅋ물리학도가 철학자가되버렸네

    • @light849
      @light849 4 ปีที่แล้ว +25

      @@user-iy1xq8mt9g ---- 아니오. 양자론으로 보면
      과거는 지나왔지만, 즉 경험 했지만 미래는 아직 경험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경험자인 나를 중심으로 보느냐(?), 주변 상황으로 보느냐(?) 따라 달리 표현 됨니다.
      예를 들어 동해안을 처음 간다고 한다면,
      (1) 주체인 나는 그 동해안을 처음보며, 처음 경험 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의식, 의지로 다른 장소를 볼 수도 있습니다. 즉 세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미 본 경험, 나 자신(현재), 그리고 나의 의지, 생각, 행동에 따라 볼 풍경(미래)----- 이것은 주체를 나 자신으로 할 때 그렇습니다.
      (2) 중심을 동해안 자체로 보면 그 장소는 이미 있었다는 것이죠.
      이미 있는 장소이므로 그 장소에서 벌어지는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 장소안에 있는 한 크게 벗어난 것은 없다는 논리도 성립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우연은 없고, 정해졌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받아들이기 힘들기는 합니다.
      주체는 나 자신이고 자신이 존재하며, 보고, 경험하는 것인데, 그 중심을 "나"가 아닌 주변 장소, 동해안이란 그 장소를 중심에 두니 마치 경험자가 꼭두각시가 되어 버린 것으로 되죠.
      이것은 성현들의 가르침과도 맞지 않고, 존재의 의지, "나"라는 존재에도 맞지 않는 것입니다. 경험의 중심은 "나"자신 이라는 것이죠.

    • @user-hq8nu3go9n
      @user-hq8nu3go9n 4 ปีที่แล้ว +17

      @@user-mt1zr3bz1p 원래 수학과 물리학, 철학은 서로 연관되어 있죠.

  • @user-zr8pl8jn1l
    @user-zr8pl8jn1l 4 ปีที่แล้ว +8

    와 새로운 내용 알게된 것도 있지만 물리 포기한지 5년이 되었는데도 이 영상하나로도 금방이해갔어요 설명 잘하시는듯!!

  • @qtplus
    @qtplus 2 ปีที่แล้ว +7

    시간은 이미 완성된 한 점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죠. 그것이 인간에게 흐른다고 느껴지는 것 입니다.

  • @mr.onetop
    @mr.onetop 2 ปีที่แล้ว +95

    그래서 운동을 많이 해야 시간이 늦게 가서 오래 사는 거 구나.... 나름 간단하네..ㅎㅎ

    • @hobacmuchim9218
      @hobacmuchim9218 2 ปีที่แล้ว +7

      실제 시간차는 0.001초 정도 되겠네요

    • @user-cn1io8cc2i
      @user-cn1io8cc2i 2 ปีที่แล้ว +7

      @@hobacmuchim9218 그것보다 훠어어어어얼씬더

    • @earthlm81
      @earthlm81 2 ปีที่แล้ว

      구~~~웃~~~~~

    • @user-cn1io8cc2i
      @user-cn1io8cc2i 2 ปีที่แล้ว +3

      @@hobacmuchim9218 아마 지구 공전속도의 1000배의 속도로 운동하면..? 약 1.005배 빨라질걸요

    • @asdasdgs12
      @asdasdgs12 2 ปีที่แล้ว +2

      평생 움직이는 비행기에서 살아도 몇초 차이도 안나는데

  • @friendlybooklog3397
    @friendlybooklog3397 4 ปีที่แล้ว +28

    요즘 과학,시공간, 그리고 우주 등.. 이런 부분에 관심이 많았는데 좋은 책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iamsuna1126
    @iamsuna1126 4 ปีที่แล้ว +56

    저는 우주물리학에 관심이있는 5학년입니다.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라는 책을읽고 저는 큰영감을 받고 우주물리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런 영상을 보고나니 제가알고 어렵다고 했었던 전에보고 알고있었던 물리학은 정말 애기놀이라는걸 알았습니다.

    • @user-zr4zd6ue4l
      @user-zr4zd6ue4l 2 ปีที่แล้ว +24

      우주물리학자가 되고싶으면 일단 그 애기놀이?같은 물리학부터 차근차근 제대로 공부하셔하 할겁니다.아무리 어려운 물리개념이라도 이렇게 영상으로 보면 쉽죠..다만 수학적 증명과 응용이 들어가면 지금처럼 쉽고 흥미롭지만은 않을 겁니다.애기놀이?같은 물리학도 마찬가지이고요.조금만 응용된 문제를 풀어 보시면 고전물리학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되실겁니다.아직 어리시니 물리학을 조금만 더 깊게 공부해 보세요.흥미위주의 수학없는 물리학 이야기를 듣는 건 공부가 아니라 sf문학소설 이야기를 듣는 것입니다.

    • @user-to1my9bm8s
      @user-to1my9bm8s ปีที่แล้ว +9

      @@user-zr4zd6ue4l ㅎㅎ 정답이십니다 물리학이 어려운건 수학때문이라는...

    • @Snowflake_tv
      @Snowflake_tv ปีที่แล้ว +1

      학부부터 가능하면 미국쪽 대학 가세요...

    • @user-xj1cz1zh3w
      @user-xj1cz1zh3w ปีที่แล้ว +1

      선아 과학고 준비됐나?

    • @ei5f2r0ai
      @ei5f2r0a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생은 대충 살아도
      괜찮더라

  • @guuumiin
    @guuumiin 2 ปีที่แล้ว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r4df7vm5h
    @user-xr4df7vm5h 2 ปีที่แล้ว +6

    맞아요. 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인간과 지구상에서의 개념일 뿐이지요. 우주로 나가면 시간이란 개념이 전혀 다른 것일 수도 있지요. 시간이 흐르지 않는 것 일수도

  • @user-vi3oo9qe4c
    @user-vi3oo9qe4c 3 ปีที่แล้ว +56

    우리는 현재에 살고 있지만 우리는 별의 과거를 바라 보며 살고 있다는 사실이 참 신기하죠.

    • @user-ww1up8ct7i
      @user-ww1up8ct7i 3 ปีที่แล้ว

      확 와 닿는 예시네요.
      그러면 미래는 양자얽힘으로 볼 수 있다는 건가요?

    • @user-ln1xx5qc8w
      @user-ln1xx5qc8w ปีที่แล้ว +1

      빛만 보는겁니다

    • @user-ps2vb2jy7x
      @user-ps2vb2jy7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구를 중심으로 본다면 지금 보는 별빛이 다 지구에서 멀어지면서 남기고간 빛이라고도 볼수 있어요. 동시간대에 남겨진 빛이 멀어지면서 쭉 이어져오는 빛을 지속해서 관측하는걸수도 있으니 이렇게 치면 과거의 별빛이 아닌 우리시간대의 별빛을 보는거일수도..;

  • @KZeehoon
    @KZeehoon 4 ปีที่แล้ว +769

    시간이 흐르는지 안 흐르는지는 sake L이 결정한다.

    • @user-lo6yx7pr8v
      @user-lo6yx7pr8v 4 ปีที่แล้ว +14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anDal.
      @BanDal. 4 ปีที่แล้ว +4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기서 이걸보네

    • @user-sc3fc2dq8b
      @user-sc3fc2dq8b 4 ปีที่แล้ว +24

      ???: 사람이 시간을 어떻게 결정함 ㅋ

    • @Kim-bl1nq
      @Kim-bl1nq 4 ปีที่แล้ว +24

      sake Legend

    • @angrybasist
      @angrybasist 4 ปีที่แล้ว

  • @yssrfgjoshua4513
    @yssrfgjoshua4513 ปีที่แล้ว

    궁금합니다
    금속재료를 특히 예를들어 자동차
    항공기등의 부품을 잘관리하고 정비잘하고 특히 쉬는 휴식시간을 주었을때와 계속 쉬지않고 사용했을때에 전체 수명기간이 잘정비하고 휴식했을때에 더 길어지는것을 열역학법칙이나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한강요?금속이나 자동차.항공기 부품이 생물체나 유기체는 아닌데 왜 잘정비하고 휴식하면 전체수명이 길어질까요?궁금합니다

    • @ilililjij2488
      @ilililjij248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계를 많이 사용할수록 길이드는 부분은 저항이 줄어 에너지도 적게 들지만 또 어떤 면에거 피로도가 증가해 더 빨리 망가지기도 함.
      운동을 열심히 하면 요령이 생겨 스킬이 늘어 문외한보다 쉽게 하지만 몸을 더많이 써서 온갖 골병이 듦. 결론. 알 수가 없다. 우연이다.

  • @heejinkim8574
    @heejinkim8574 2 ปีที่แล้ว

    책그림님 영상보면 신기한게 난 책읽어도 이렇게 똑부러지게 요약을못하겠는데 겁나신기하심 능력자👍

  • @jaesungkim5658
    @jaesungkim5658 4 ปีที่แล้ว +476

    시간은 흐르지 않는데 왜 난 내일 출근하냐 시바꺼..

    • @mozartist2006
      @mozartist2006 4 ปีที่แล้ว +7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uckinghand
      @puckinghand 4 ปีที่แล้ว +10

      시바꺼 내일 월요일이네ㅜㅜ

    • @user-gs9xn4ch2f
      @user-gs9xn4ch2f 4 ปีที่แล้ว +5

      그러게요.......

    • @user-bp7ig1xr3c
      @user-bp7ig1xr3c 4 ปีที่แล้ว +8

      그건 시간이 아니라 약속 입니다

    • @jaesungkim5658
      @jaesungkim5658 4 ปีที่แล้ว +8

      @@user-bp7ig1xr3c 웃자고 한 얘긴데..그..래요..

  • @celenort
    @celenort 4 ปีที่แล้ว +24

    책을 읽고 내용이 명확히 정리되지도 않고 머리에 들어오지도 않았었는데
    이 영상을 우연히 보고 주제가 확실히 머리에 잡히는 느낌이라 좋았던 것 같습니다 구독하고갑니다.

    • @drawthebook
      @drawthebook  4 ปีที่แล้ว +4

      와! 좋게 봐주시고 좋은 댓글까지!!
      행복한 주말되세요~!

  • @jaehyun9071
    @jaehyun9071 2 ปีที่แล้ว

    혹시 그러면 시간이 더욱 빠르게갔던 사람은 그시간이 실제로 실감이 났던 시간인가요? 아니면 겉모습만 23년인체 시간은 밖에 같다온 사람과 같은건가요?? 혹시 이현상이 블랙홀 주변에 같을때도 똑같나요?

  • @sj6683
    @sj6683 ปีที่แล้ว +2

    삶의 조울을 겪는 사람으로 정말 공감되는 개념입니다

  • @yoojinlee3110
    @yoojinlee3110 3 ปีที่แล้ว +78

    어려운 내용을 차근 차근 설명해 주셔서 도움 많이 됬어요~~~ 읽고나서 이해를 하시고 이렇게 설명해주시는게 쉽지 않은데 영상까지 만들어서 해주시는게 너무 감동입니다!!!!

  • @rokmc6075
    @rokmc6075 4 ปีที่แล้ว +427

    시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물질이나 에너지의 위치. 형태가 변하는걸 시간이 흐른다고 우리끼리 정한거니까요

    • @ryumomo322
      @ryumomo322 4 ปีที่แล้ว +2

      그걸 누가 언제부터 정햇나요?

    • @user-bz7hj1um1s
      @user-bz7hj1um1s 4 ปีที่แล้ว +3

      @@ryumomo322 ? 환상이지 착각 자연스럽게 정해진것

    • @kmolee230
      @kmolee230 4 ปีที่แล้ว +47

      @@ryumomo322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이를 기반으로 한 양자ㅇㅇ학들이 전부 이를 기반으로 합니다. 시간이라는 큰 물체가 있다면 우리는 그 단면 속에 살고 있다고 말이죠. 우리가 나이가 들고 태어나고 죽는 모든 행위들이 사실은 하나의 단면들이 이어진 결과일뿐 시간의 변화가 아니다 라는겁니다.

    • @user-if7vx5mg8j
      @user-if7vx5mg8j 4 ปีที่แล้ว +49

      괜히 멋진척하려고
      "시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지랄이네
      어디까지나 추론이지 ㅋㅋ 병신인가
      그리고 우리의 대상이 누구임?
      왜 지멋대로 정하는거지

    • @ryumomo322
      @ryumomo322 4 ปีที่แล้ว

      @@user-bz7hj1um1s 그러니까 누가 그런 착각을 햇냐구 그런 걸 누가 정햇고 언제 정햇냐고 시간과 날짜를

  • @joohongpark698
    @joohongpark698 2 ปีที่แล้ว +5

    저는 시간이란 건 없다 변화가 있을 뿐이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과연 통찰력이 있는 책인지 함 봐야겠네요.

  • @love-hv6hl
    @love-hv6hl ปีที่แล้ว +3

    01:53 이 설명이 잘못된점은
    관측자의 위치 차이점에 있습니다.
    즉, 버스를 타고 움직이는 친구와 그 버스와 평행하게 자전거를 타고 움직이는 친구는 우주의 위치 이동은 평행한것입니다.
    그러나, 버스 정류장에 서 있는 친구와 버스를 타고 움직이는 친구와는 위치가 차이나게 됩니다.
    이런 위치변화의 착시를 다르게 하여 발생한는 관측자의 오류, 관측자의 변화를 마치 시간차이 인것처럼 하면 안되는것입니다.
    즉, 버스 정류장에 서있는 친구의 위치는 고정이지만
    자전거를 탄 친구, 버스를 탄 친구는 위치이동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좀더 쉽게 말하면,
    마하 5의 속도로 비행기에 탄 친구가 동전을 던져 비행기 바닥에 떨어지는 시간이 5초라고 합시다.
    여기서 동전은 A지점을 통과하여 B점을 경유하여 C지점으로 이동하는게 보여지게 됩니다.
    그러면 비행기에 탄 친구도 A지점을 통과하여 B지점을 경유하여 C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는것입니다.
    표범이 80km의 속도로 달려가는데, 80km의 자동차로 평행하게 달려가면서 표범이 멈춰있다고 주장할껀가요?
    표범은 우주적 관점으로 A지점에서 B지점으로 80km의 속도로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자 표범은 A지점에서 B지점까지 1분이 걸렸습니다. 그럼 평행으로 80km의 자동차로 달려가면서 표범을 관측한 관측자는 표범의 움직인 거리가 0라고 주장할껀가요?
    거리와 시간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관측자에 달라지는 위치, 거리가 아닌
    우주적 절대값의 위치 변화로 설명을 해야 합니다.

    • @djn3287
      @djn3287 ปีที่แล้ว

      물리학 1을 배우시면 상대속도에 대해 배우실겁니다 표범이 80km/h로 움직이고 같은방향으로 자동차가 80km/h로 움직인다면 자동차에서 표범을 보면 표범은 멈춰있는게 맞습니다 물론 다리가 움직인다 등을 말 할 수 있지만 이것은 비교하기위해 자동차 표범등을 쓰는 것이지 수소원자A와 수소원자 B등으로 설명해도 되지만 편의상 표범과 자동차를 정하는 것입니다
      표범이 80km/h라는 것도이미 지구에 서있는 관측자가 기준이 된것은 아닌가요? 표범은 자신이 정지해있다고 느낍니다 태양에 있는 관측자에게는 표범은 오히려 800km/h이상으로 보일겁니다
      관측자는 자신이 정지해있다고 느끼며 정지한 철수에 대해 0.9c로 움직이는 우주선 속 영희의 시간은 철수보다 느리게 흐르는 것 처럼보입니다 철수의 손목시계는 10초가 흘렀지만 영희의 손목시계는 7초가 흐르는 것 처럼요 하지만 영희입장에선 자기의 손목시계는 7초가 흘렀는데 철수의 손목시계는 10초가 흐른 것 처럼 보이지는 않습니다
      영희는 자신은 우주선과 함께 정지해있는데 철수가 0.9c로 이동하는 것 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영희자신의 손목시계가 10초 흐를때 철수의 손목시계는 7초 흐른 것으로 보입니다.

  • @hsh8214
    @hsh8214 4 ปีที่แล้ว +107

    아니 여동생을 왜 프록시마B로 보내냐고 ㅋㅋㅋ

  • @fukcyooooo2308
    @fukcyooooo2308 4 ปีที่แล้ว +127

    초딩때는 수업시간 겁나 안났는데 20대인 지금은 하루 진짜빨리순삭 늙을수록 시간 빨리가는거는 레알 팩트입니다

    • @ab5ge632gvbsc
      @ab5ge632gvbsc 2 ปีที่แล้ว +6

      나이 먹을수록 그 시간은 더 빨리갑니다...... ㅜ.ㅜ

    • @user-fg4lq1sk5l
      @user-fg4lq1sk5l 2 ปีที่แล้ว +15

      인생
      10세 시속 10키로
      ~
      70세 시속 70키로
      그래서 자빠지면 크게 다침.

    • @dduza1011
      @dduza1011 2 ปีที่แล้ว +3

      음...내가 시간이 빨리간다고 느껴지는게 아니라 확실히 시간이 빨라진게 사실인듯

    • @user-bv8qz2ep7z
      @user-bv8qz2ep7z 2 ปีที่แล้ว +4

      내 신체리듬이 느려진것
      상대적인것

    • @RichGuy-ey9wg
      @RichGuy-ey9wg 2 ปีที่แล้ว

      30대는 더 빨리 갑니다...

  • @hyeon6925
    @hyeon6925 2 ปีที่แล้ว +1

    과학은 느낄 때마다 신기하고 재미있다 내가 좋아하는 과목 모르면 이해할 때까지 읽으면 되고 그러면 언젠가는 이해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을 때 모르는 것을 생각을 할 수 있어서 좋다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시간은 부정한것과 옭아메려는 것에서 시간이 생겨납니다.
    고통스런 생각이 그것입니다.
    그곳에는 시간이 생겨납니다.
    행복할때는 시간이 흐르지도 만들어 지지도 않습니다. 행복한 사랑을 할때는 시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부정한 생각이 바이러스와 같습니다.
    각자의 시간이 존재합니다.
    각자의 고통이 존재합니다.
    인간은 각자의 우주와 같습니다.

  • @user-if7vx5mg8j
    @user-if7vx5mg8j 4 ปีที่แล้ว +88

    그래서 집구석에서 잠만자면
    피폐해지는거였네 ㅋㅋㅋ

    • @illiminati9252
      @illiminati9252 4 ปีที่แล้ว +10

      그래 재훈아 슬슬 밖에나가자

  • @popopepopi
    @popopepopi 4 ปีที่แล้ว +25

    그럼 삶은 동영상같이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거고 우리는 그 안에 존재하고 있을 뿐인거네요. 지금을 재생이라고 느끼는거고요

  • @melotoha
    @melotoha 2 ปีที่แล้ว

    넘 흥미롭네요♡

  • @alexalee1827
    @alexalee1827 ปีที่แล้ว +6

    엔트로피가 굉장히 어렵고 복잡한거라 이해하기 힘든데 참 쉽게 설명을 해놨네요.

    • @user-xt5vw1nd9m
      @user-xt5vw1nd9m ปีที่แล้ว

      2번찍은 머저리니? 저것도 이해못하게? ㅋㅋㅋㅋ

  • @emko69
    @emko69 4 ปีที่แล้ว +1169

    코 많이 막히셨네ㅜㅜ

    • @newjeans1981
      @newjeans1981 4 ปีที่แล้ว +37

      개뿜 ㅋㅋㅋ

    • @shield7102
      @shield7102 4 ปีที่แล้ว +62

      듣다가 답답해서 댓글 찾아봤는데, 역시!!

    • @johnk624
      @johnk624 4 ปีที่แล้ว +37

      thㅣ간은 흐릅니thㅏ↘

    • @user-jj7wr2is2e
      @user-jj7wr2is2e 4 ปีที่แล้ว +16

      ㅋㅋㅋㅋㅋ 개갑갑

    • @soldout8442
      @soldout8442 4 ปีที่แล้ว +2

      ㅇㅈ

  • @user-universe822
    @user-universe822 3 ปีที่แล้ว +31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 영상이네요
    이세상의 모든 만물은 에너지라는 생각과
    시간은 사실 물리적으로 흐르고 있는게 아니라
    각자의 소우주의 공간에서 시간이 빨리 흐르기도 느리기 흐르기도 하는 것일 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 @kimck7725
      @kimck7725 ปีที่แล้ว +1

      만물은 에너지이기에 그것이 소멸되면 없어지는거겠죵... 인간도 흙으로 돌아가자나요

  • @hyukkang420
    @hyukkang420 ปีที่แล้ว +8

    시간이라는 개념은 환상이지만 시각을 개념화 하고 물질 혹은 노동력의 기준점을 산출하기 위해 만든 개념인데
    현대사회에서 인류는 시간의 노예일뿐이지요.

    • @ilililjij2488
      @ilililjij248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간은 변화량. 델타t로 쓰임. 시간이 길면(흐르는게아니라) 경험치가 쌓임. 인간은 더 나은 선택을 할 여지가 커져서 에러를 유발할 빈도가 줄어듦. 뭐던지 많이 해보면 시간이 길어짐 현명해짐.

  • @user-fu5pm5fo1h
    @user-fu5pm5fo1h 2 ปีที่แล้ว

    잠 안올때 들어요.. ㅋㅋㅋ ㅜㅜ 감사합니다

  • @user-jx7bq6kk8n
    @user-jx7bq6kk8n 4 ปีที่แล้ว +493

    뭔가 굉장히 흥미진진한데 뇌가 이해하질 못해 답답하다..

    • @user-rj1vd1dw5e
      @user-rj1vd1dw5e 3 ปีที่แล้ว +17

      미투

    • @user-uu3pd5jh3m
      @user-uu3pd5jh3m 3 ปีที่แล้ว +25

      정말 자신도 이해한 내용이라면 상대방에게도 쉽게 설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해를 못했다는 것은
      설명하는 사람도 잘 이해하지 못한 내용이라는 것이지요.
      그리고 시간의 개념을 물리학적인 거리의 개념과 뇌의 착각으로만 설명했는데
      시간은 그런게 아니지요.
      더 빨리 달려서 빨리 도착했다고 시간이 빨리 흐른건 절대 아닙니다.

    • @__-co9sb
      @__-co9sb 3 ปีที่แล้ว +6

      지금 제가 그럽니다..

    • @user-oc4yx9ob9o
      @user-oc4yx9ob9o 3 ปีที่แล้ว +2

      이거랑 비슷한 주제로 1분 과학님도 설명하셨어요 책그림님도 굉장히 설명 잘해주시는데

    • @user-km3zk1pi6v
      @user-km3zk1pi6v 3 ปีที่แล้ว

      나두 이해가 안가요

  • @annekim4539
    @annekim4539 3 ปีที่แล้ว +31

    어떤 특별한 인연을 만나는 순간
    시간이 멈춘듯 슬로우모션으로 다가오는
    듯한 그것이 어쩌면 착각이나 환상적 느낌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cannae9034
    @cannae9034 2 ปีที่แล้ว

    마지막 공식의 뜻이 무엇인가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zb1xo5nd4v
    @user-zb1xo5nd4v ปีที่แล้ว

    우주선 안에서 밖에있는 사람을 보면 상대속도로 인해 밖에 있는사람의 시간이 느리게 간다는 얘긴데,
    우주선 안에서 7초후 나가면 10초뒤의 바깥사람과 만나고
    바깥사람은 7초후 우주선 안에 들어가면 10초뒤의 우주선 사람과 만나는건가요?
    빛이 어디서 봐도 동일한 속도라면 왜 멀어지는 별은 왜 붉게보이고(파장이 길어지고) 가까이 오는 별은 푸르게(파장이 짧아지나) 보이나요?

  • @Yupplae
    @Yupplae 4 ปีที่แล้ว +121

    시간은 상대적이다.
    마치 우리의 주말과 월요일 직장에 근무하는 시간의 속도가 다른 것처럼...

    • @user-le8gc1wy3m
      @user-le8gc1wy3m 4 ปีที่แล้ว +2

      대단한 말씀 설득됐어요

    • @Yupplae
      @Yupplae 4 ปีที่แล้ว

      그건 잘 모르겠네용...

    • @unitmusiccompany2898
      @unitmusiccompany2898 4 ปีที่แล้ว +5

      그러나 월요일 직장에 이상형 신입사원이 들어와 내 옆자리에 앉게 되면 시간이 가속됩니다

    • @karyant_buddle2
      @karyant_buddle2 4 ปีที่แล้ว +1

      중요한 건 그게 단순히 농담삼아 하는 비유가 아닐 수도 있음

    • @user-bh9by9xq1p
      @user-bh9by9xq1p 4 ปีที่แล้ว

      상대적이라는게 뭐에요

  • @little_forkman
    @little_forkman 4 ปีที่แล้ว +53

    1:50 아 그래서 입대하면 밖에서보다 시간이천천히 가는구나 사실이었다...

    • @cheesekiller
      @cheesekiller 3 ปีที่แล้ว +1

      재미없어 틀딱아

    • @little_forkman
      @little_forkman 3 ปีที่แล้ว

      @@cheesekiller 저는 리틀딱입니다 제 채널 놀러와 주세요

    • @user-oq4me2os4x
      @user-oq4me2os4x 3 ปีที่แล้ว +4

      @@cheesekiller 괜찮아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상처를 많이 받았나보네...그래도 남 욕하면서 살지말자 힘내 화이팅!

    • @user-xijinpingping
      @user-xijinpingping 3 ปีที่แล้ว

      근데 얼굴의 시간만은 빨리감

    • @user-dy8ql2yk8n
      @user-dy8ql2yk8n 3 ปีที่แล้ว

      @@cheesekiller 미필이니까 재미없지 잼민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aesun322
    @taesun322 2 ปีที่แล้ว +5

    물리적으로 시간은 흐르지 않는데 생리적으로 사람은 시간에 관계없이 늙는다.

  • @user-wf9yf6cc7o
    @user-wf9yf6cc7o ปีที่แล้ว

    헐… 너무 재밌습니다 꼭 읽어보고 싶어요

  • @user-cc5mv8dj6r
    @user-cc5mv8dj6r 3 ปีที่แล้ว +15

    우리가 존재하는 순간순간이 우주에선 항상 존재하고 있음...시간여행이 이론상 가능...그럼 우린 정해진 미래에 살고 있다는 말인데...어렵긴 하다..

  • @sx._.jxx_0
    @sx._.jxx_0 4 ปีที่แล้ว +40

    책 추천해주시는거 너무 좋아요 ㅠㅠ 꼭 한번 구매해서 읽어볼게요!

    • @drawthebook
      @drawthebook  4 ปีที่แล้ว +5

      흑흑 좋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책그림과 함께 좋은 독서를 경험해보셔용.!!

  • @user-cq9jz3so9i
    @user-cq9jz3so9i 2 ปีที่แล้ว +6

    그냥 지구가 자전할 뿐이지...ㅎ
    시간은.인간이 숫자를 만들고 그 숫자로 생활패턴을 정했을뿐.

  • @user-jz3jm9sm9k
    @user-jz3jm9sm9k ปีที่แล้ว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에 열역학 엔트로피 증가에 대한것을 적용시키면 아까 그 7초가 10초가되는 상황에서 빛(열에너지)이 움직인 만큼 엔트로피는 어떻게 변화되었을까요?

  • @tw-it2kb
    @tw-it2kb 4 ปีที่แล้ว +12

    시간과 공간을 하나의 (비 유클리드)기하학으로 처음 통합한 사람은 헤르만 민코프스키이고 시공간도 민코프스키 시공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처음에 여기에 회의적이였고, 불필요한 박식함이라고까지 했었으나, 나중에야 그 중요성을 인지하였습니다.

    • @Demacia365
      @Demacia365 2 ปีที่แล้ว

      근현대의 네임드급 과학자들이 모여서 과거 네임드급 그리스 철학자들 만큼 치고박고 했다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 @KimEvil81
      @KimEvil81 ปีที่แล้ว +1

      @@Demacia365 노벨상 수상자 17명 포함 29명이 살벌하게 기싸움한 5차 솔베이 회의 말씀이시죠? ㅋㅋㅋㅋㅋㅋ

  • @YOLKE
    @YOLKE 3 ปีที่แล้ว +40

    엔트로피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명확한 이유는 아직 알수없겠지만...😊물리학이 이론적으로 밝혀진것과 아직 미지의 것이 늘 있는 분야여서 이렇게 함께 생각해보게되는 방송 재밋는것 같아요🌷

  • @tv7995
    @tv7995 2 ปีที่แล้ว

    신기하고 흥미로운~~
    다소 심오한 내용이네요~

  • @masterfila
    @masterfila ปีที่แล้ว +2

    책 제목이 맘에드네요
    과학보단 인류학 관심이 많지만...시간이라는 친근한 표현때문인지 읽어보고 싶어집니다.

  • @user-th3ew8ii9d
    @user-th3ew8ii9d 4 ปีที่แล้ว +32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라는 책 추천합니다!

    •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3 ปีที่แล้ว

      특수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중력에 따른 시간차가 발생 합니다. 1984년 MIT 공대 잭다니엘 교수의 실험 중, 급똥 인간이 1층에 엘리베이터는 28층에 있다는 가정으로 중력을 덜 받는 28층의 엘리베이터는 정상적인 시간, 중력을 더 받는 1층의 급똥 인간은 시간 멈춤을 입증 했습니다. 실제로 중력을 덜 받는 산에 사는 사람이 초원에 사는 사람보다 빨리 늙습니다.

  • @vanhae6516
    @vanhae6516 4 ปีที่แล้ว +6

    이번 책소개와 내용은 문과적인 감성과 정의 철학 그리고 이과적인 논리와 팩트가 잘 어우러진 밸런스좋은 책인 것 같네요 구매하러 알라딘 들어갑니다

  • @hsr2159
    @hsr2159 2 ปีที่แล้ว +26

    물리학은 들을수록 신기하고 어렵고 또 뭔가 이해가 된 것 같지만 잘 모르겠고
    그렇네요. 시간에 대한 비밀이 풀리면 시간여행도 할 수 있겠네요.

    • @subee2160
      @subee2160 ปีที่แล้ว

      지금도 할 수 있습니다. 중력이 약한 우주를 간다던가. 장기간 파일럿이 된다면 지구에 돌아왔을때 미래를 볼 수 있죠

    • @sghzk
      @sghzk ปีที่แล้ว +2

      불가하옵니다 전하

  • @user-li2lo3lq6g
    @user-li2lo3lq6g 2 ปีที่แล้ว +24

    시간이란 환상일뿐 과거-현재-미래는 이미 존재한다는 이야기할때 1분과학 떠올린사람?

  • @user-xl3ii8hd2b
    @user-xl3ii8hd2b 4 ปีที่แล้ว +10

    유튜브의 알수없는 알고리즘이 저를 이곳으로 인도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구독추천박고갑니다

    • @user-jr6rn6ii4s
      @user-jr6rn6ii4s 3 ปีที่แล้ว +1

      알고리즘은 다 알고있다. ㅋㅋㅋ우연은 없다

  • @user-jo4lx7ru9v
    @user-jo4lx7ru9v 3 ปีที่แล้ว +15

    시간은 물체가 운동하는것을 기록하기위해 만들어졌어요.
    인류가 우주를 관찰하고 지구가 변화하는 기후등에 생기는 규칙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시간이란 기준이 수요되여서.
    운동이 없고 관측이 없으면 시간은 없다.

    • @user-dx7ml4nn6v
      @user-dx7ml4nn6v 2 ปีที่แล้ว

      이게 정답

    • @markshin9422
      @markshin942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변화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3천년 전 동서양 인류도 같은 생각으로 상당히 타당해 보이죠

  • @user-iu1so3kk6y
    @user-iu1so3kk6y 2 ปีที่แล้ว +11

    책을 읽어보고 싶게 설명을 재미나게 하시는군요.^^

  • @user-zb2oz5bf2g
    @user-zb2oz5bf2g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TV-dy7qt
    @TV-dy7qt 4 ปีที่แล้ว +158

    늘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시간은 각자의 속도, 위치나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엔트로피가 커지는 쪽으로 진행한다는 내용이네요. 한번 사서 보고 싶네요^^

    • @user-ms3gk5kw7c
      @user-ms3gk5kw7c 2 ปีที่แล้ว +1

      ❤ㅁ

    • @user-mo5rq4ct4k
      @user-mo5rq4ct4k ปีที่แล้ว

      말로는 모르겠는데 군대에서 책으로 봤을땐 수학 물리 나오는 순간부터 덮었어요.
      수학 수리물리학 통계 천문학 고전역학 양자역학 내용 다 나와요

    • @user-mo5rq4ct4k
      @user-mo5rq4ct4k ปีที่แล้ว

      근데 북닥터님이라면 이해 가능하실듯?

  • @leechanghyun
    @leechanghyun 4 ปีที่แล้ว +6

    오!! 재밌어보이는 책이네요!! 한번 읽고 싶네여! ㅎㅎㅎ

    • @drawthebook
      @drawthebook  4 ปีที่แล้ว

      네!! 재밌었어요~! 꽤 생각하면서 읽게 되는!

    • @user-kq7st2ig1f
      @user-kq7st2ig1f 4 ปีที่แล้ว

      초반은 쉬우나 마지막 쯤에 난독증을 의심하게 되는 책입니다.

  • @jdk7871
    @jdk7871 2 ปีที่แล้ว +1

    갑자기 지금 이 순간이 유일무이하다는 게 와닿네요

  • @babyyeah7930
    @babyyeah7930 ปีที่แล้ว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EBS다큐 막 갔다써도 저작권 안걸려요? 브라이언그린도 저작권 없어요? 짧게 나와서 그런가?

  • @user-wg1rd7zu5w
    @user-wg1rd7zu5w 4 ปีที่แล้ว +16

    시간은흐르는게아니라 모든사물이변하고 위치가달라질뿐임

  • @user-sr5qz1zf5w
    @user-sr5qz1zf5w 3 ปีที่แล้ว +5

    몇번은 반복해서 들어야
    이해할듯
    다시 또 들리겠습니다.

    • @diorwoman
      @diorwoman 3 ปีที่แล้ว +1

      들’르’겠습니다 O

    • @MrHhs006
      @MrHhs006 ปีที่แล้ว

      결국 시간은 속도가 다를뿐 흐르는건 맞네요 ㅋㅋ

  • @dongwonkim1223
    @dongwonkim1223 ปีที่แล้ว +1

    지구 위에서도 시간이 다르게 흐르는 걸 체험할 방법 알려드릴까요? 조용한 산골같은 곳의 하루는 무지하게 길어요. 반면 베이스 도심소음이 늘 있는 도심의 아파트에서는 하루가 빨리 가요. 뭐좀 할려고 하면 벌써 저녁.. 반면 산골에선 뭔일 해도해도 겨우 오후 2시쯤... 제가 두 곳을 다 살아봤거든요.

  • @user-kj8bh2om4p
    @user-kj8bh2om4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간이 어디서 시작 됐는지
    공간이 어디서 시작됐는지
    우연히? 아님 창조주가?
    우연히를 믿으면 내가 어디서 와서 시간과 공간에 있는지 모르는거고
    창조주를 믿으면 내가 어디서 왔는지 그리고 시간과 공간 세계 저 너머로 내가 갈 수 있는 곳이 있다는 희망속에 사는 거지요!

  • @crescendo_999
    @crescendo_999 4 ปีที่แล้ว +7

    그러나 아무리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고 해도
    어제 먹은 치킨이 오늘 저녁 또 땡길 때, 시간의 야속한 실존적 흐름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음.
    다시금 치킨이 땡기는 현상을 우주시간상수 정도라고 해두자.
    그리고 왜 우리의 뱃살은 시간이 갈수록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무질서 해져서 흩어질 생각을 안 하고 나날이
    오밀조밀해지고 두터워져 질서 있게 빵빵해져만 가는 것일까?

  • @user-ie8tl9hx2r
    @user-ie8tl9hx2r 4 ปีที่แล้ว +799

    ''여동생이 프록시마 b에 여동생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여동생이 프록시마b에 왜 있어 ㅋㅋ

    • @holabird6529
      @holabird6529 4 ปีที่แล้ว +16

      ㅋㅋㅋㅋ

    • @user-cr2wl8yf6j
      @user-cr2wl8yf6j 4 ปีที่แล้ว +8

      앜ㅋㅋㅋㅋ

    • @user-us4sp1pv1c
      @user-us4sp1pv1c 4 ปีที่แล้ว +26

      동생 한번 만나는데 10년

    • @ellenshin7294
      @ellenshin7294 4 ปีที่แล้ว +46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카를로 로벨리" 책에서 저자가 여동생이 프록시마b에 잇다고 예를 듭니다 ㅋㅋㅋ 유투버분은 그 예시를 가져와 설명하시는거 같아여

    • @JJ-me3mv
      @JJ-me3mv 4 ปีที่แล้ว +2

      그건생각지못했넼ㅋㅋㅋㅋㅋㅋ

  • @user-md2ci6te1y
    @user-md2ci6te1y 2 ปีที่แล้ว +1

    저는 이런 쪽에 관심이 있습니다, 예전부터 궁금하면서도 말하고 싶었던건, 우리가 만든 시간의 개념은 우리 지구만의 시간이고, 다른 행성의 시간은 우리만의 시간의 개념을 부여했기 때문에 느려졌고 빨랐다 하는것이 아닐까요? 우주의 시간을 정했으면 이해가 가는데 지금 보여진건 결국 우리 지구의 정해진 시간으로만 책정을 했기 때문에 의문이 많은거라고 생각합니다. 고로 굳이 시간을 정의한다면 다른 행성 즉 여러 행성을 다녀야만 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우주에대한 무한한 궁금증을 가지는데 풀지 못하는 것의 이유는 결국 지구의 시각으로만 봤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네요

  • @user-dq3nj4qe1b
    @user-dq3nj4qe1b ปีที่แล้ว

    상대성이론 공식까지 외우면서 느꼈던 개신기하고 개짜증났던 글을 영상으로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