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에너지는 전선으로 전달되는게 아닐...껄....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ส.ค. 2022
  • 전기 에너지가 전달된다는 것은 사실 전선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닙니다..!? 기본 상식으로 알고 있던 사실이 깨진 기분이 드시진 않나요? 다음 영상도 전기 에너지에 대한 영상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이 영상 꿀잼이에요.
    #전기 #에너지 #꿀잼
    거대한 회로에 대한 더 자세한 분석은 해당 링크에 있습니다. (영어입니다) : ve42.co/bigcircuit
    ▀▀▀
    Special thanks to Dr Geraint Lewis for bringing up this question in the first place and discussing it with us. Check out his and Dr Chris Ferrie’s new book here: ve42.co/Universe2021
    Special thanks to Dr Robert Olsen for his expertise. He quite literally wrote the book on transmission lines, which you can find here: ve42.co/Olsen2018
    Special thanks to Dr Richard Abbott for running a real-life experiment to test the model.
    Huge thanks to all of the experts we talked to for this video -- Dr Karl Berggren, Dr Bruce Hunt, Dr Paul Stanley, Dr Joe Steinmeyer, Ian Sefton, and Dr David G Vallancourt.
    ▀▀▀
    References:
    A great video about the Poynting vector by the Science Asylum: • Circuit Energy doesn't...
    Sefton, I. M. (2002). Understanding electricity and circuits: What the text books don’t tell you. In Science Teachers’ Workshop. -- ve42.co/Sefton
    Feynman, R. P., Leighton, R. B., & Sands, M. (1965).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vol. Ii, chapter 27. American Journal of Physics, 33(9), 750-752. -- ve42.co/Feynman27
    Hunt, B. J. (2005). The Maxwellians. Cornell University Press.
    Müller, R. (2012). A semiquantitative treatment of surface charges in DC circuit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80(9), 782-788. -- ve42.co/Muller2012
    Galili, I., & Goihbarg, E. (2005). Energy transfer in electrical circuits: A qualitative account.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3(2), 141-144. -- ve42.co/Galili2004
    Deno, D. W. (1976). Transmission line fields. IEEE Transactions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95(5), 1600-1611. -- ve42.co/Deno76
    ▀▀▀
    Special thanks to Patreon supporters: Luis Felipe, Anton Ragin, Paul Peijzel, S S, Benedikt Heinen, Diffbot, Micah Mangione, Juan Benet, Ruslan Khroma, Richard Sundvall, Lee Redden, Sam Lutfi, MJP, Gnare, Nick DiCandilo, Dave Kircher, Edward Larsen, Burt Humburg, Blake Byers, Dumky, Mike Tung, Evgeny Skvortsov, Meekay, Ismail Öncü Usta, Crated Comments, Anna, Mac Malkawi, Michael Schneider, Oleksii Leonov, Jim Osmun, Tyson McDowell, Ludovic Robillard, Jim buckmaster, fanime96, Ruslan Khroma, Robert Blum, Vincent, Marinus Kuivenhoven, Alfred Wallace, Arjun Chakroborty, Joar Wandborg, Clayton Greenwell, Michael Krugman, Cy 'kkm' K'Nelson,Ron Neal
    Written by Derek Muller and Petr Lebedev
    Animation by Mike Radjabov and Iván Tello
    Filmed by Derek Muller and Emily Zhang
    Footage of the sun by Raquel Nuno
    Edited by Derek Muller
    Additional video supplied by Getty Images
    Music from Epidemic Sound
    Produced by Derek Muller, Petr Lebedev and Emily Zhang
    Additional Edited by JJH
    Dubbed by Mingi Kwon
    Translation helped by Yuna Lee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85

  • @user-gz7vm2kl9e
    @user-gz7vm2kl9e ปีที่แล้ว +262

    3:55 포인팅 벡터가 사실 pointing vector가 아니라 poynting vector로 맥스웰의 제자 포인팅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는 점

    • @user-nq4bv7ij3d
      @user-nq4bv7ij3d ปีที่แล้ว +29

      전자기학 가르치는 교수님들이 항상 하시는 말ㅋㅋㅋ

    • @TT-nn8co
      @TT-nn8co ปีที่แล้ว

      오호

    • @sd68127
      @sd6812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래서 일부러 포읜팅이라 읽음ㅋㅋ

    • @user-rm7mh8bu2z
      @user-rm7mh8bu2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헐 진짜 충격적이네요 ㅋㅋㅋㅋㅋㅋㅋ 당연히 pointing일줄 알았는데....

  • @user-waltherppk1026
    @user-waltherppk1026 ปีที่แล้ว +24

    Collatz conjecture부터 지금까지 늘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번역도 깔끔하고 좋습니다

  • @dr.direwolf2867
    @dr.direwolf2867 ปีที่แล้ว +551

    회로 이론에서 전자가 실제로 전기 에너지를 나르는 실체인 것처럼 배우는 이유는 그렇게 함으로써 회로 분석이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배터리 하나에 전구 하나 정도의 간단한 회로는 별 문제 없지만 회로가 좀 복잡해지면 맥스웰 방정식으로 설명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집니다. 마치 중력을 아인슈타인 장방정식이 아니라 뉴턴의 운동법칙으로 풀면 다루기가 훨씬 쉬워지는 것과 비슷한 경우입니다. 심지어, 일반적인 행성의 운동과 관련된 장방정식의 풀이는 아인슈타인이 직접 못 풀었고 슈바르츠쉴트라는 사람이 풀었습니다. 하지만 뉴턴의 역학으로 접근하면 고등학생도 풀 수 있죠.

    • @user-qf6if1ro6w
      @user-qf6if1ro6w ปีที่แล้ว +2

      ㅇㅎ

    • @시
      @시 ปีที่แล้ว +26

      ~인것처럼을 정말 사실인 줄 아는 게 문제라는 겁니다. 진리를 숨기고 학문의 편의를 위해 잘못 가르치는 건 죄악이죠

    • @dr.direwolf2867
      @dr.direwolf2867 ปีที่แล้ว +280

      @@시 그건 그렇게만 볼 문제가 아닙니다. 일단, 인간이 만든 이론이 완전하지 않습니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따르는 간단한 계도 미분방정식으로 썼더니 비선형성을 가지게 되면 특정 조건에만 얼추 들어맞는 근사로 풀 수 밖에 없기도 하고요. 실린더 안에 채워넣은 개스를 이루는 원자의 상호작용을 모두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압력, 부피라는 요소를 가지고 실린더 내 개스와 외부 환경과의 열역학적인 상호작용을 따져볼 수 있게 되죠. 그리고 공학자들의 입장에서는 자연법칙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걸 이용해서 무엇을 만드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회로 이론으로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가진 물리법칙이 실체를 제대로 묘사하고 있는지 확신할 수도 없습니다. 인간이 가진 최신의 지식으로 전기 회로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맥스웰 방정식이 아니라 맥스웰 방정식이 나타내는 전기장, 자기장을 양자화한 QED(양자 전기 역학)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도 전기 회로의 문제를 QED로 풀려고 하지 않습니다. 마치 중력의 문제를 슈바르츠쉴트 메트릭으로 풀려고 하지 않는 것 처럼요. GPS에 영향을 줄 정도가 아니라면 일반상대성이론은 애초에 고려되지도 않았을 터이고 GPS 수정을 위해서는 슈바르츠쉴트 메트릭으로 정석대로 풀어서 수정량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간단한 근사식으로 수정량을 구합니다.

    • @comibotella6966
      @comibotella6966 ปีที่แล้ว +69

      @@시애초에 진리가 아닌데 뭘 진리를 숨겨

    • @user-dc1nx8ih7h
      @user-dc1nx8ih7h ปีที่แล้ว +23

      @@시 아니ㅋㅋㅋㅋ저거도 추측이야.진리라고 생각했던게 아닐수도 있다고.어차피 진리라고 장담가능한건 세상에 없으니 효율을 위해 저정도는 다르게 가르칠수 있잖아?

  • @Zonin100
    @Zonin100 ปีที่แล้ว +427

    인생을 부정당한 것 같은 느낌이네요..
    도선 내부가 전력 매개의 주 요소가 아니라 외부가 중점이었다는 점이 고등학교 교과서 내에선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라 매우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 주신 베리타시움과 자막 달아주신 분께 감사를 표합니다.

    • @BUNNYXIYO
      @BUNNYXIYO ปีที่แล้ว +3

      우리준서 왜 오타쿠 말투써? 엄마가 그런거 싫다 했잖아

    • @_anarchist
      @_anarchist ปีที่แล้ว +101

      @@BUNNYXIYO 평론같은거 안읽어봄? 자주 보이는 말투인데?

    • @hungryboy995
      @hungryboy995 ปีที่แล้ว +86

      ​@@BUNNYXIYO 형님 여기서 컨셉질하지 말고 누워자기나 하십쇼

    • @leedongmoo21
      @leedongmoo21 ปีที่แล้ว +50

      @@BUNNYXIYO 게이야... 재미 1도 없다

    • @user-sx5pt6yu1v
      @user-sx5pt6yu1v ปีที่แล้ว

      @@BUNNYXIYO 발닦고 잠이나 자

  • @Don_Hahm
    @Don_Hahm ปีที่แล้ว +34

    전기에 대해 일반상식 이상으로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늘 이해가 안 되던 주제였네요~~
    감사합니다~~비전공자로서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HJ-yi7zz
    @HJ-yi7zz ปีที่แล้ว +8

    거의20년간 궁금했던부분인데 광명을 얻었네요 감사합니다

  • @dura1369
    @dura1369 ปีที่แล้ว +2

    이 영상을.. 송전선이론 배우기 전에 봤어야했는데..... 강의 들으면서 확실하지 않았던 부분이 영상으로 보니까 바로 이해가 되네요 .. ㅜㅜ

  • @rkwkrkwkrkwkrn
    @rkwkrkwkrkwkr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쩡말 재밌고 흥미롭고
    제 눈을 맑게 해주는 영상입니다.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ปีที่แล้ว +26

    훌륭한 설명, 훌륭한 영상미, 훌륭한 네래이션까지, 모든것이 감명깊었습니다. 지극히 맞는 말씀입니다. 전력선 주위에서 이동하는 전자기파야말로 실제로 우리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맞습니다. 공감합니다.

    • @NeobJuk
      @NeobJuk ปีที่แล้ว +1

      뭐야 찐이잖아

    • @sweetch1698
      @sweetch1698 ปีที่แล้ว

      더 쉽게 해주세요…

  • @BlackVery486
    @BlackVery486 ปีที่แล้ว +21

    사슬로 설명하는거 보고 ‘아 역시ㅋㅋ 내가 잘 알고 있었구만’ 하고 있었는데, 사실 틀린설명이라는 말에 벙쪘다ㅋㅋㅋ

  • @reeccu
    @reeccu ปีที่แล้ว

    와…. 대박 진짜 신기한 상식 하나 알고 가네요. 영상 감사해요-!

  • @user-ep5im5yw4z
    @user-ep5im5yw4z ปีที่แล้ว

    와...이 영상 역시 멋진 영상입니다. 새롭게 배우고 가요~

  • @sagongsagong1764
    @sagongsagong1764 ปีที่แล้ว +4

    미칠거같이 아름다운 설명이에요

  • @user-yt2mp3su3o
    @user-yt2mp3su3o ปีที่แล้ว +66

    대학교 1학년과정에서 회로이론에서도 직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물의 흐름을 이용해서 알려주는경우가 많아서 동시기에 전자기학 배우면 정말 혼동이 많이 옵니다.

    • @bestick9587
      @bestick958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리액턴스 개념이 물에도 있다면 참 좋을텐데ㅎㅎ..

    • @traveletube
      @traveletub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sec

  • @joelee8241
    @joelee824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가지고 있던 평소에 교류대한 궁금점을 정확히 설명해 주셨네요...감사합니다

  • @user-tr7ot3kl2h
    @user-tr7ot3kl2h ปีที่แล้ว +1

    거의 20년간 궁금했던 것을 이제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thekimsplace
    @thekimsplace ปีที่แล้ว +175

    교류의 경우에도 포인팅 벡터의 방향은 동일하다는 설명을 들을 때 시야가 탁 트이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arkJeongMun
      @ParkJeongMun ปีที่แล้ว +1

      @@prostaff5234 빛은 파동이며 입자로 볼수있죠.
      직류와 교류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있다 볼수 있겠네요.

    • @Fat7ance
      @Fat7ance ปีที่แล้ว +14

      @@ParkJeongMun 그 두 성질을 동시에 갖는건 아닙니다.

    • @ParkJeongMun
      @ParkJeongMun ปีที่แล้ว

      @@Fat7ance 제 얕은지식으로 나마 입자일수도 파동일수도 있다 알고있는데, 어떻게 다른건가요?

    • @Fat7ance
      @Fat7ance ปีที่แล้ว +7

      @@ParkJeongMun 고전적인 관점에서, 빛은 공간을 자유롭게 진행할때는 파동처럼 행동하고, 금속 등의 물체에 부딪혀 물질과 상호작용할때는 입자처럼 행동합니다. 파동과 입자는 명백하게 다른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이 둘의 성질을 동시에 지닌다는 것은 크고 작은 역설을 불러옵니다. 역사적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이러한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 제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았었고, 그 중에서는 닐스 보어의 해석(상보성 원리)이 가장 유명하죠.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양자장론을 근간으로하는 수학적인 배경이 뒷받침이 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역설은 많이 퇴색된 편입니다.

    • @ParkJeongMun
      @ParkJeongMun ปีที่แล้ว

      @@Fat7ance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해당내용 좀 더 찾아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TheGi134
    @TheGi134 ปีที่แล้ว +163

    전기공학을 전공했음에도 몇몇 부분에서 명쾌하게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는데 새로운 눈이 띄인 느낌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ปีที่แล้ว +1

      Same here haha!

    • @925a
      @925a ปีที่แล้ว

      전공한거 맞음?

    • @user-pm4hw3yk8g
      @user-pm4hw3yk8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난이거 보기전부터 자기장이 생성된다 할떄부터 상상하고있엇는대 누구나 하는 예상을 역시 증명해내는 계산을 할수있는사람이 왓따봉이구나
      스핀트로닉스도 난 지구가 자전축으로 자기장이 형성된다는걸 보고도 이미 상상했엇는대 갑진교수님이 말하기전 초딩떄부터 역시 증명해내는 사람이 왓다봉이구만
      난전공한적없는대도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이미 다 알고있엇는대 수학이 딸려서 계산을못하고 증명을 못햇을뿐이지
      그럼 학계가 발표하지않은거 하나상 상해본다 내몸안에 수백게 에우주가있고 우리몸속에 백신은 ai다 3차원을 1차원까지 떨어뜨리고 그1차원을 박살내면 그안에 새로운 11차원이나온다
      이거나 한 내나이 100세쯤되면 누가 증명하것지 물론 누군가가 증명해주기 전까진 내소리는 사실임과동시에 개소리이일 확률을 가지고있는정도 취급받것지만 그 진위여부를 밝혀주는 과학자들에게 존경을 표합니다

    • @user-yz5zw4yp1z
      @user-yz5zw4yp1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ㄹㅇ, 교양에서 교수가 전자는 1초에 2, 3mm밖에 안움직인다거 했을때 이게 뭔 개소린가 싶었는데 이거 보고 이해함

  • @XEOWS
    @XEOWS ปีที่แล้ว +1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GlobalYoung7
    @GlobalYoung7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최고의 영상 자주 보는 채널 굿 👍

  • @user-ep4kb1bh1m
    @user-ep4kb1bh1m ปีที่แล้ว +11

    전기공학을 처음 들었을때 정말 대단한 학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영상을 보니 다시 같은 생각이 드네요

  • @HARAHAUM
    @HARAHAUM ปีที่แล้ว +5

    상당히 중요한 내용인데 아직도 전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고 있죠. 하지만 기존처럼 배우는 게 이해는 빨리되니... 게다가 아무리 설명해줘도 안 믿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도 이걸 아냐 모르냐 하나로 전기에 관한 이해도가 상당히 달라질 수 있어서 기본 교육과정에서도 꼭 짚고 넘어갔으면 합니다.

  • @user-ix4ig5cp5c
    @user-ix4ig5cp5c ปีที่แล้ว

    와 ㅋㅋㅋㅋㅋㅋ 레전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go-luckyhappy2887
    @go-luckyhappy2887 ปีที่แล้ว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 @korea161
    @korea16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실질적인 에너지, 정보의 전달은 구리선이 아닌 전자기장, 구리선은 그 전자기장의 방향성만 정해주는 것. 따라서 그 전선이 잘 연결되어있어도, 그게 만들어 내는 전자기장을 방해하면, 에너지•정보 전달에 왜곡이 생기는 것. 해저케이블을 왜 금속으로 보호하면 안 되는지 이유들을 알겠네요.

  • @82_-_engineer
    @82_-_engineer ปีที่แล้ว +34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부생들 이거 보고 띠용! 할듯 ㅋㅋㅋ 진짜 유익한 채널임

    • @deathfielder
      @deathfielder ปีที่แล้ว +5

      이 영상보고 비판적인 생각을 안하셨다면 공부 다시 해야 할듯요

    • @Mahimahiiiiii
      @Mahimahiiiii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eathfielder제가 전공자가 아니라서 그런데,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건가요?

    • @user-wr3nm7go4n
      @user-wr3nm7go4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Mahimahiiiiii전구는 필라멘트를 가열하면 빛이남. 필라멘트가 가열되려면 전자가 필라멘트에서 움직여야함. 전자를 움직이려면 전자기력이 필요함.(서로 밀어내는 자석 공들을 전자라고 생각하면 편함.) 그 밀어내는 힘이 전자기력인데 얘도 속도가 있음.(물에 퍼지는 파동마냥 생각하면 편함.) 광속임. 따라서 1초가 맞음.(도선따라 전자들이 밀리고 밀려서 필라멘트의 전자가 움직이면 미션 클리어임.)
      물론 배터리에서 나온 전자기파가 모든 방향으로 뻗어나가니 옆에있는 전구의 전자도 영향을 받긴 하겠다만 이딴걸 정답으로 치면 전구는 항상 켜져있는 상태나 마찬가지임.(세상은 전자기력으로 가득차있음)

  • @user-jo8do5pq3r
    @user-jo8do5pq3r ปีที่แล้ว

    이 채널의 다른영상은 이해를 하겠는데, 이 영상은 저에게는 정말 어렵네요. 다른분들은 다 이해를 하신거 같은데, 나만 이해를 못한느낌이네요. ㅎㅎㅎㅎㅎ
    한번더 봐야겠어요. .

  • @S.Wa.
    @S.Wa.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오오오오 신기하네요. 진짜 깊게 생각 안해서 막연하게 잘못 알고 있었는데 재밌게 설명 해줘서 감사합니다

  • @jhp8805
    @jhp880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더빙이 귀에 착착 감기네요 굿 ㅋㅋ
    번역도 좋네요

  • @user-tm2vt7tb4w
    @user-tm2vt7tb4w ปีที่แล้ว +5

    추가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전선의 경우 전파의 활동이 전선밖에서 이루어지는건지 그리고 그렇다면 지나가는 전파에 접촉이되거나 경로에 도체인 내 손이 있어도 왜 감전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LuckyBrianBae
      @LuckyBrianBa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흥미로 전기가 뭔지 궁금해서 이런저런 내용 보는중이긴하지만 절연된 도선을 만지면 제몸에 전원이 직접연결되지 않아서 아닐까요?

    • @K-electronic
      @K-electronic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공기중 전자기파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 자체가 적기 때문입니다. 벼락의 경우 수만-수십만 볼트로 매우 고전압이다보니, 이 경우에는 벼락에 직접 맞지 않더라도 주변으로 퍼지는 유도전류만으로도 감전될 수 있죠. 하지만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전기 기구들은 그 정도의 전자기파를 방출하지 않습니다.

  • @user-om6wt3se5e
    @user-om6wt3se5e ปีที่แล้ว

    문과라서 몰랐던건지.. 이런 내용 몰랐는데 정말 충격적이네요

  • @harveymiller8642
    @harveymiller8642 ปีที่แล้ว +1

    큰 배움을 얻어갑니다.

  • @user-fc1ld2pl9t
    @user-fc1ld2pl9t ปีที่แล้ว +14

    교수님 두분한테 전자기학 들었는데 첫번째 D폭격기 교수님으로 부터는 이런 설명을 못들었죠 그러나 2번째 교수님은 선 면 원기둥을 기반으로 이러한 설명을 들었었네요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ปีที่แล้ว +27

    전공책 안에 포인팅벡터가 떡하니 들어있지만
    아무도 그 의미를 알기쉽게
    가르쳐주지 못하더라는 ... !

  • @user-lf1ei6zz5i
    @user-lf1ei6zz5i ปีที่แล้ว +1

    3분즘 보다가, 명작 영화처럼 킵 해두었습니다. 전기 공부 한 뒤에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beginner_writing
    @beginner_writing ปีที่แล้ว

    와우... 좋은 영상이네요!

  • @LastVartican
    @LastVartican ปีที่แล้ว +3

    이 영상을 보고나니 전자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면 PN반도체의 양공 음공은 어떻게 움직이고 광정효과도 좀 헷갈리기 시작해서 다시 이해해야할거 같네요

  • @doo-han-kim
    @doo-han-kim ปีที่แล้ว +3

    그러면 전구가 있는 부분을 충분히 두꺼운 금속판으로 덮으면 어떻게되나요? 전기장은 표면에만 흐르기 니까 포인팅벡터가 안들어와서 전구가 안켜지나요?
    실제로 핸드폰은 알루미늄 호일로 싸면 신호가 안잡히는데 전구도 장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받으면 똑같이 안켜질 것 같은데요?

    • @doo-han-kim
      @doo-han-kim ปีที่แล้ว

      @르미 구 그러면 차단한 포인팅 벡터 다발만큼 에너지가 적게 들어오긴 하는데 완전히는 못막는가는 건가요?

    •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 ปีที่แล้ว

      @@doo-han-kim 그러면 장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전달 되는게 아니라 전선을 통해서 전기장이 전달하기 때문에 실제로 훨씬 더 오래 걸려요

  • @user-mw6ye2kk6h
    @user-mw6ye2kk6h ปีที่แล้ว

    재밌다.. 다시 공부하고 싶네요ㅋ

  • @MtGeumgangArmyUnit
    @MtGeumgangArmyUnit ปีที่แล้ว +1

    베리타시움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후추님을 사칭할수 있었어요!

  • @loze1
    @loze1 ปีที่แล้ว +3

    좋은내용이네요
    전자의 흐름을 컨트롤해야 결국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것이고 에너지는 전자 그자체가아닌 전자의이동으로 생기는 파동의 형태다 라고 이해하면될까요
    그렇게생각하니 뭔가 우리주위는 거대한 에너지의 파동속에 살고있다는 느낌을 받네요.

  • @user-vh7nn4ze6v
    @user-vh7nn4ze6v ปีที่แล้ว +4

    교과서 내용은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는 부분이 있었는데 영상을 보고 에너지의 전달을 도선 외부의 장의 영역에서 생각해보니 그동안 교과서에서 설명하려고 했던 내용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 까지 와닿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meongrang58
    @meongrang58 ปีที่แล้ว

    제가 학부 4학년 전파공학 수업때 알았던 내용을 유튜브로 보다니.... 새삼스럽네요

  • @voninctrl
    @voninctrl ปีที่แล้ว

    평소 궁금했던건데 알기 쉽게 설명해 줘서 고맙습니다.
    가끔 보이는 유튭에서 전자가 꽉 차 있어서 전선 끝에서도 바로 전자가 나온다는둥.. 하는거 보면서
    저게 맞나? 싶었습니다 ㅋㅋ
    그리고 변전기 구조를 보면서도 의아했고..
    이제 어느 정도 알것 같네요.

  • @cz201ax
    @cz201ax ปีที่แล้ว +13

    배터리에서 전구로 바로 날아가는 에너지는 누설 전류(교류라면 전자기파)에 의한 영향으로 보는게 맞고 대부분의 에너지(전류) 는 회로를 이루는 전선을 따라 (정확히는 전선 인근에 생성된 전기장과 자기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보는게 맞다고 봅니다. 영상에서 제시한 사고 실험에서 전구는 영상에서 말한대로 1/c 초에 켜지는 것이 맞지만 이것은 전자기파에 의한 무선 경로나 또는 저항이 매우 높은 원하지 않는 도선이 연결 된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 @norichanneru
      @norichanner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 설명이 원본 채널에 영문으로 추가 제작 돼 있음

  • @jk2729
    @jk2729 ปีที่แล้ว +107

    본채널에 후속영상이 있네요. 영어라 앞부분만 조금 봤는데 (전문가들의) 반박이 있었던 것 같고 설명상의 미흡한 점을 인정하고 보충한 것 같습니다. 빨리 그것도 번역되어서 올라오길 기다려봅니다.

    • @hyunuyi3230
      @hyunuyi3230 ปีที่แล้ว +3

      원본영상 영어 자막 켜시고 아래의 자동번역 클릭해서 끝 부분의 한국어 선택하시면 한국어로 전체 보실수 있습니다

    • @taeknologe9392
      @taeknologe9392 ปีที่แล้ว +20

      오히려 후편을 봐야 정확한 설명과 이해가 가능하기에 이 영상을 처음으로 접하신 분들이라면 꼭 보시길 추천합니다.

    • @Go-yang-yi
      @Go-yang-yi ปีที่แล้ว +2

      뭐지 그러면 후속영상을 안볼꺼면 이 본문 개념을 머리에 넣으면 안된다는건가요? 매우 혼란스럽군요

    • @yoosm05
      @yoosm05 ปีที่แล้ว +15

      @@gardenofedencreation 완전 틀린 것도 아니에요. 오히려 두 영상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게 더욱 의미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이든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시청자도 비판받아야 마땅하죠.

    •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 ปีที่แล้ว +12

      @@gardenofedencreation 틀린 게 아니라 이 분이 말한 걸 곡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한겁니다. 틀리지 않았어요

  • @UniPhil
    @UniPhil ปีที่แล้ว

    흥미롭네요 ㅎㅎ

  • @user-yf2sl7ro3v
    @user-yf2sl7ro3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상에 나오는 시뮬레이션들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그 덕분에 훨씬 더 잘 이해가 되네요. 혹시, 저런 시뮬레이션을 만드려면 프로그래밍 기술을 배워야 하는 걸까요?

  • @user-fw4yj7oj5v
    @user-fw4yj7oj5v ปีที่แล้ว +10

    물리학과 2학년이고 아직 전자기학을 배우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전공 과목에서 배운 장에 대한 기초적 내용들은 결국 이 영상의 주제를 가르키는 것 같네요

    • @Fat7ance
      @Fat7ance ปีที่แล้ว

      장(field) 개념의 시조는 제임스 맥스웰이죠. 오히려 전자기학으로부터 장의 개념이 출발했습니다.

    • @user-fw4yj7oj5v
      @user-fw4yj7oj5v ปีที่แล้ว

      @@Fat7ance 아 예
      감사합니다

    • @user-fw4yj7oj5v
      @user-fw4yj7oj5v ปีที่แล้ว

      @@Fat7ance 그.. 제가 말한거는
      전자기학에서 장 내용이 출발하지 않았다는게 아닌데..

    • @user-fw4yj7oj5v
      @user-fw4yj7oj5v ปีที่แล้ว

      @@Fat7ance 지금 까지 배운것= 일반 물리
      일반물리에도 약간의 전자기학 내용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2학년 2학기에 배우기 시작하는 전자기학 과목에 비해서는 깊이가 다르죠
      이걸 말한건데..
      애초에 일반 물리 속의 전자기학 파트에서 전기장이랑 자기장으로 장 개념을 먼저 접했는데..
      쨋든 저는 장의 개념이 전자기학에서 나오지 않았다고 한적 없습니다.
      그리고 맥스웰 옆에 페러데이도 포함해주시죠

  • @user-fh4yi1el2l
    @user-fh4yi1el2l ปีที่แล้ว +4

    전자를 쏴서 힘을 얻는 게 아니라 전자기장으로 힘을 전달하는 거였군요
    생각도 못했네요

  • @arioden
    @arioden ปีที่แล้ว

    전원 케이블에 보면 가끔 선 주변을 동그랗게 감싼 정류기? 노이즈 필터라고 부르는게 달려있는데 이 영상 내용과 관련이 있나요?

  • @seong2reum
    @seong2reum ปีที่แล้ว +2

    다음편은 후속영상 가능한가요?

  • @ychych1234
    @ychych1234 ปีที่แล้ว +4

    첫 전압의 변화 혹은 전류의 흐름 자체는 영상에서 설명한대로 거의 즉시 도달하겠지만, 옴의 법칙에 의해 예측되는 전류(수렴전류라 칭하겠음. 무한한 시간동안 냅두면 도달하는 전류)량까지 시간에 따라 익스퍼넨셜하게 상승하듯이 증가하게 될 것이고, 그 시상수는 전선길이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거에요(얼핏 생각하면 비례할 것 같지만, 보수적으로 잡음). 따라서 목표로 했던 전류 혹은 수렴전류의 특정 %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잰다면 스위치에서 전구까지의 전선길이, 즉 1초가 정답이 될 곳입니다. 영상에서는 다르게 가정하였지만, 실생활에서 전구가 켜지려면 특정 전류량이 threshold를 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의 첫 직관이 실제 물리와 더 유사할 것입니다.

    • @composer_hyun
      @composer_hyun ปีที่แล้ว

      맞음....

    • @0masaa
      @0masaa ปีที่แล้ว +1

      어차피 본질은 전류의 흐름이 에너지 전달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는 거죠. AC의 경우 전자는 진동할뿐 전자기파장이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게 본질이니.

    • @cyanogen03
      @cyanogen0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래서 전구는 전류가 통과하는 즉시 켜진다는 가정을 한거 아닐까요?

  • @moyazzz
    @moyazzz ปีที่แล้ว +8

    문외한인 제가 가장 간단히 이해해본 논리는 영상 초반에 빛이란건 전기장과 자기장이 각각 수직으로 진동한 결과라 했고
    이게 영상 후반부 전기선과 포인팅 벡터와 연결해서 이해하면 결국 빛의 방향은 에너지의 방향이란거고
    후반부 전구에 연결된 전기선(도체) 자체를 빛으로 치환해서 생각해보면 이해됨
    빛이란것도 빛 주위로 전자기파가 파동해서 에너지가 전달된 결과고 전기선도 전기선 주위로 전자기파가 파동해서 에너지가 전달된 결과임
    단지 빛에너지는 진공상에 어느방향이던 목적지 없이 전달되는거고 전기 에너지는 도체를 따라 전달되는것
    빛은 진공상에서 전기장 자기장을 형성하고
    전기는 전선을 따라 전기장 장기장을 형성하냐 차이다
    이게 맞는듯

  • @Eunyuu2
    @Eunyuu2 ปีที่แล้ว +2

    테슬라가 중요시한것도 자기장이었고 에디슨은 그 반대였는데 여기서 좋은 정보 얻어가네요

  • @ckorea2010
    @ckorea2010 ปีที่แล้ว

    회로이론과 전자기학을 배울때마다 이질감이 들었던 이유를 알았네요…

  • @Right_Se
    @Right_Se ปีที่แล้ว +27

    대학물리 수업 도중 전자에 대해 배울 때 교수님께서 전자의 이동속도가 느린데(6:40) 어떻게 스위치를 올리면 전등이 바로 켜지는지 질문하셨던 것이 생각나네요.
    그 답은 영상 내용과 같이 스위치쪽에 있던 전자가 움직인 것이 아니라 전구쪽에 있는 전자가 움직여 켜지는 것으로 설명해주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렇게 되는 이유도 영상과 같이 전자기장의 형성이구요.
    우정주 교수님.. 이젠 정년퇴임하셨을텐데 잘 지내시나요??

    • @hajinpark7900
      @hajinpark7900 ปีที่แล้ว +1

      우리 세정이 밥은 먹고 다니니?

    • @user-md5cc6xw2y
      @user-md5cc6xw2y ปีที่แล้ว +3

      어쩔 수 없어요. 수능을 많이 틀린 학생들이 모이는 학교에선 정확하게 가르치기 어렵습니다.

    • @sd68127
      @sd6812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md5cc6xw2y지잡이라고 돌려까는게 수준급이네. 너는 칼 안맞게 말조심 잘해라ㅋㅋ

    • @dark9459
      @dark94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배운 책에서도 그렇게 설명했어요. 도선 내 전기장이 우선 작용 한 것이니 맞는 것 같음.

  • @user-vf5jt8fr6x
    @user-vf5jt8fr6x ปีที่แล้ว +50

    그러면 회로에 설치되어 있는 도선들은 전기에너지를 직접 전달하는 통로가 아니라 전기장과 자기장을 형성하고 전지에서부터 전구까지의 방향에 따라 전기장과 자기장을 정렬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KLee-nb2rj
      @KLee-nb2rj ปีที่แล้ว +1

      네 그런 얘깁니다

    • @jameskim6845
      @jameskim6845 ปีที่แล้ว +42

      그렇게 설명이 되지만 그 전선을 끊으면 에너지 전달이 중단되니 전선이 에너지 전달의 통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전선에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선 주변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만드는데 이 때 장변화를 분석하면 영상의 설명이 나오는거죠..
      장의 관점에서 보면 에너지 전달은 전자기장이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라 해석되고
      전자의 흐름의 관점에서 보면 전자의 흐름이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도선에서의 전자의 흐름은 매우 느리지만
      전자의 양(전하량)은 굉장히 많습니다. 실제로 변환된 에너지의 양은 흘러지나간 전하량으로 계산합니다.
      1초에 1쿨롱의 전하가 흘러가는 것을 1A의 전류가 흐른다고 정의합니다. 1옴의 저항에 1C의 전하가 흐르면 1와트의 에
      너지가 열로 나옵니다. 이 때 저항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1볼트로 규정했습니다.
      영상 설명에서 트랜스포머에 의해 전선이 끊어졌다고 하지만
      발전소로부터 공급된 전자의 이등은 트랜스포머에서 다른 권선에 전자의 이동을 만듭니다. 이 때 1차 권선의 전자의 흐름이
      자장을 만들고 그로인해 2차에 다시 전류의 흐름을 만듭니다. capacitor의 경우 끊어진 도선이지만 마주한 두 극판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그 변화로 인해 다른 한쪽 도선의 전자들이 capacitor의 극판으로 몰렸다 다시 반대로 밀렸다하면서
      움직임을 발생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도선을 통해 전달되고 전구의 필라멘트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빛이 됩니다.
      실제로 전자의 흐름이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그렇게 이해하면 전기의 흐름에 의해 일어나는 에너지 변환을 쉽게 예측하고
      해석하기 쉽게 됩니다. 그리고 이 때 도선에서 나타나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살펴보면 영상에서의 설명한 현상이 보이는
      것이고요.
      이 영상을 만든 분은 아마 전류가 흐를 때 도선에서 나타나는 장 변화에 대하여 처음 배우고 충격을 먹은 것 같네요..
      아마 전선을 텅 비어있는 호스로 생각했고 한 쪽에서 물을 공급하면 그 물이 호스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해야 일을
      하는 것으로 생각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호스는 이미 물이 꽉 차있고 흐름이 없었을 뿐이고 한쪽에서 1그램의 물을
      밀어 넣으면 반대 쪽에서 바로 1그램의 물이 흘러 나오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것을 이해 못하고 있던 것 같네요.
      실제 물 호스에 한쪽에 물을 넣으면 반대쪽에서 바로 나오지 않습니다. 지연이 발생하는데 압력이 전달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전선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집니다. 물호스에서는 물이 질량을 갖고있어서 이로인해
      관성이 발생하며 그로인한 지연이지만 전선에서는 전자가 흐르려면 주변의 장변화가 있어야 하고 이러한 장 변화도
      전달되는데 시간이 걸리며 전자기장의 전달속도는 광속입니다.
      영상에서 전지 바로 앞에 전구가 전지와 전구 사이의 거리만큼 지연이 생긴다 말했지만 실제 선을 양쪽으로 30만킬로
      미터를 반반씩 나눠 설치했다면 0.5초 뒤에 불이 켜질 것입니다. 전자기장의 변화는 도선을 따라서 이동하니까요..
      만약 전지에서 나온 전선이 30만킬로/4 거리만큼 아주 근접한 도선으로 연결해서 멀어졌다 전구까지 왔다면
      시간은 0.5초 보다 훨씬 작아집니다. 이 경우 전자의 흐름은 멀어지는 쪽으로 흐르며 전선주면에 회전자장을 형성하고
      다시 되돌아오는 전선에서는 그 반대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며 이는 서로 상쇄되어 선이 없어지고 바로 배터리
      에서 전구까지 연결된 길이만 유효한 도선으로 만들게 되니까요.
      저도 전기를 전공하고 한 10년은 더 지난 후 대전력으로 고속 영상신호를 전달해야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신호 늘어짐으로 고생하면서 다시 전자기학책을 들여다 보았고 고속 신호를 전달할 때 왜 평행피더나 동축케이블을
      사용해야하는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전자의 흐름은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고 자기장의 변하는 전기장의 변화를 만들며 이 전기장은 다시 전자의 흐름을
      만듭니다. 서로 같은 현상이죠 어떤 사람이 주머니에 편지를 넣고 자동차를 이용해 다른 지점에 전달했을 때
      주머니가 메시지를 전했냐? 자동차가 전했냐? 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 @user-hl9ww1ms9l
      @user-hl9ww1ms9l ปีที่แล้ว +5

      이 유투버가 하고싶은 말은 전기에너지는 수도관의 물처럼 이동하지 않고 파동의 형태로 이동한다고 말하고 싶은겁니다.
      즉 물은 청평댐에서 수도관을 따라 서울로 이동하지만 그 물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서울로 이동하지않고 파동의 형태로 전선을 따라 전달될 뿐 그 에너지가 직접 서울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 @deathfielder
      @deathfielder ปีที่แล้ว

      @@user-hl9ww1ms9l 그런 쉬운 얘기 하려는건 아닌거 같네요

    • @deathfielder
      @deathfielder ปีที่แล้ว +5

      @@jameskim6845 멋진 설명 잘 들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 스위치를 켜는 순간엔 약한 전자기장이 만들어지니 약하게 켜지고(도선을 연결안해도 전자기장이 영향이 있으니)
      0.5초 후에야 최대밝기로 켜지지 않을까요?

  • @user-cu7is7ig8o
    @user-cu7is7ig8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6:11 에 배터리의 전기장은 빛의속도로 회로를 따라 확장된다고 했는데 그럼 정답은 1초 아닌가요?? 만약 전구가 워낙 가까워서 배터리에서만 발생하는 에너지만으로도 1초 이내에 불이 켜지는 거라면 회로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전구가 배터리와 가까이 있어도 그 전구도 켜지는건가요?

  • @user-mk1mu8sv6u
    @user-mk1mu8sv6u ปีที่แล้ว

    정말 놀라게 만드네요;;;

  • @dhhthankyou
    @dhhthankyou ปีที่แล้ว +5

    그러면 저렇게 전구와 배터리가 1m로 가까운 경우가 아니라 지름이30만km인 원모양의 회로고 서로 반대편에 전구와 배터리가 있다면 1초만에 전구가 켜지는 건가요?

    • @gumanu4768
      @gumanu4768 ปีที่แล้ว +1

      그치 결국 배터리가 멀어지면 포인팅 백터 즉 전자기장이 멀어지니까 늦게켜지지

  • @EastGem
    @EastGem ปีที่แล้ว +3

    그럼 우리가 정확한 데이타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실드선의 경우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영상의 설명대로라면 실드선을 사용하면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이 되지 않고 오류 투성이라야 할것 같습니다만...??

    • @aperturescience9863
      @aperturescience986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실드와 내부 도선이 2개의 도체로 이루어진 전자기파를 유도하는 경로처럼 작동합니다 그 실드와 중간도체 사이의 내부에 포인팅 벡터가 있습니다

    • @aperturescience9863
      @aperturescience986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위 링크에서 초록색 Sz가 포인팅 벡터에요

    • @aperturescience9863
      @aperturescience986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링크가 차단되는데
      images점app점goo점gl/aXs9excQLt2xjE4J8
      점을 .으로 바꿔보세요

  • @HandsomeSukuna
    @HandsomeSukuna ปีที่แล้ว

    너무 재밌었어요
    다음 주제로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어때요?

  • @hsk3612
    @hsk3612 ปีที่แล้ว

    5:14 영상에서
    보통 전선을 반자성체인 구리에 전기가 흐를때 전기장이 위쪽이면 자기장은 오른쪽으로 형성되는데
    그럼 전선을 강자성체인 철에 전기가 흐를면 전기장이 위쪽이면 자기장은 왼쪽으로 형성이되나요

  • @2jaemyungE
    @2jaemyungE ปีที่แล้ว +5

    전기공학도로서 맥스웰은 정말 대단한 사람입니다. 그의 방정식은 너무 아름답습니다. 영국만세

  • @dopamine811
    @dopamine811 ปีที่แล้ว +21

    디스플레이공학 수업때 교수님이 적당히 큰 철판과 철판을 간격을 둬서 커패시터를 만들고 전기를 흘리는 상황에서 철판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도 커패시터가 제대로 작동할거냐는 질문을 하시면서 변위전류라는 개념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이 영상의 내용이랑 어느정도 통하는게 있는거같네요

    • @user-ht6lh8ym7m
      @user-ht6lh8ym7m ปีที่แล้ว

      제대로 작동하나요?

    • @dopamine811
      @dopamine811 ปีที่แล้ว +1

      @@user-ht6lh8ym7m 아뇨 ㅋㅋㅋ

    • @user-sn6dg5uf4m
      @user-sn6dg5uf4m ปีที่แล้ว +1

      거리가 멀어져서 그런거죠?
      신체가 자기(전기)장을 방해하는 것인지?

    • @minipoolde
      @minipoolde ปีที่แล้ว +7

      ​@@user-sn6dg5uf4m 신체도 전자기장을 방해할 수 있는 도체이기때문에 용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즉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죠!

  • @jooeunchong
    @jooeunchong ปีที่แล้ว +1

    이 큰 떡밥이 드디어

  • @dslee1230
    @dslee1230 ปีที่แล้ว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전기에 대해서 가지는 의문들을 어느정도 해소 된듯한데… 뭔지는 잘모름!
    암튼 내가 원했던 설명임!
    다시 찬찬히 들어야 겠다

  • @jiyun717
    @jiyun717 ปีที่แล้ว +6

    맥스웰이 보지도 못한 파동 방정식을 만든게 정말 대단하다. 파동방정식으로 전자기파라는게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했고 그것을 헤르츠가 실험을 통해 증명.

  • @alsrbvkdlsjf
    @alsrbvkdlsjf ปีที่แล้ว +3

    와우... 그래서 우리가 교류전기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거군요

  •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전자기장을 막아버리면 전로가 연결되어있어도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아 전기에너지를 쓰지 못한다는게 되나요?
    또 전구가 인근해서 위치했을때는 전로가 연결되어있지 않아도 에너지장이 그쪽으로 흐르면 전기가 통하여 불이 켜지나요?
    좀처럼 이해가 안되네요;;

  • @Kamilia0421
    @Kamilia0421 ปีที่แล้ว

    다시 보는데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제 이해가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6:28 '이러한 전선 표면의 전하는 도선 내부에 작은 전기장을 생성하게 됩니다.'
    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때 전기장의 방향이 도선을 따라 전구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표면에 양전하를 띄기 때문에 도선의 중앙에서 표면으로 향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다면 배터리 쪽에 있는 전선의 양전하의 전위가 조금 더 높고
    전구쪽으로 갈수록 양전하의 전위가 조금 더 낮아졌기 때문에 작은 전기장이 전구쪽으로 향하는 걸까요?

  • @ijinse1993
    @ijinse1993 ปีที่แล้ว +4

    영상 내용이 맞나...? 전선과 상관없이 공기를 통해 직접 오는거면 전자기장 차폐가 가능한 벽으로 전구를 가둬놓고 전선만 통과시켜 연결하면 전구가 켜지지 않아야할것 같은데. 전선의 길이 뚫려 있으니 그쪽으로 온다고 해도 큰 전력손실이 관측되어야 할테고...

  • @MyPlay99
    @MyPlay99 ปีที่แล้ว +6

    이해가 좀 안가네요...
    만약 두 도선사이에 접지를 시킨 판을 세워놓고 해도 같은 결과가 일어날까요??
    전 아니라고 보는데...
    결국 전구가 켜지는 현상은 두 도선사이의 정전용량때문에 미세유도전류가 생성되서 그런거 아닐까요?
    알려주실분 계신가요??
    다음영상을 봐도 위에 조건으로 해보면 성립되는지 정답이 없네요...

    • @user-zp2ny3kd4f
      @user-zp2ny3kd4f ปีที่แล้ว

      접지를 시킨 판을 세워두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 @penit3342
      @penit3342 ปีที่แล้ว

      접지시킨 판이 중간에서 에너지를 다 흡수하면 전달이 안되겠죠?

    • @user-pe1kq8oo5j
      @user-pe1kq8oo5j ปีที่แล้ว

      저도 같은 생각때문에 댓글 거의 읽으봤는데 답을 없네요..ㅋ 혹시 답 찾으셨나요?
      제 생각에.. 장(필드)가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고.. 정보의 발생을 말해주는거 아닐까요.
      전류가 흐르면 파동이야 생겨라 라고 ㅋㅋ

  • @micemouse1114
    @micemouse1114 ปีที่แล้ว

    진짜 내가 가지고있던 의문 그자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줌ㄷㄷ

  • @seojihoonhan
    @seojihoonhan ปีที่แล้ว

    스위치가 한쪽이 아니라 배터리 양쪽에 있다면 6:10에서처럼 도선을 따라 전기장이 전달될 시간이 필요해 1초가 걸릴까요?

  • @user-ee2vg5pk8l
    @user-ee2vg5pk8l ปีที่แล้ว +4

    6:12 에서 ''회로를 따라 빛의 속도로 확장됩니다."라고 했는데요. 제 생각에 '빛의 속도' (유전율 x 투자율의 역수)는 진공이 아닌 구리재질 내에서의 두 계수에 따라 계산한 값을 적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요. 아무튼 그래도 진공에서보다 크게 느려지진 않을 것 같고.. 요지는 전자기장이 회로의 전체구간에 full로 만들어지는 과정 '회로의 배터리에서 전구까지 30만 km구간 확장'을 생각하려면 결국 전자기장이 30만km (약 1초)를 이동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사고실험을 해보자면 스위치 on 즉시 전구에 빛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점점 밝아지다가 1초이상 지났을 때 최대로 밝아질 것 같네요.

    • @user-ee2vg5pk8l
      @user-ee2vg5pk8l ปีที่แล้ว +1

      추가로, 길게 만들어진 회로의 모양에 따라서도 전구가 점점 밝아지는 속도가 달라질 텐데요. (회로의 한쪽이 아주 멀리 있으면 거기서 오는 전자기파가 전구에 에너지 장으로써 전달되는데에 시간이 걸림) -> 회로의 길이 뿐 아니라 모양에 따라서도 전구가 밝아지는 속도가 달라짐 -> 기존의 capacitance 및 inductance의 개념을 본 영상의 에너지장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할까요??

    • @ychych1234
      @ychych1234 ปีที่แล้ว

      결국은 유튜브 속의 상황도 멕스웰 방정식을 못벗어나요ㅋㅋ 물론 상대론적으로 확장된 멕스웰 방정식을 써야겠지만요
      === 수정 ====
      아 유튜브 상황이 비관성계라 그냥 일반적인 멕스웰 방정식으로도 설명되겠네요(전공자 확인 플리스)

    • @user-gp2eu9ph2t
      @user-gp2eu9ph2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6:12 의 "회로를 따라 빛의 속도로 확장됩니다"의 부분에서 계속 의문이 들고 있는데, 도체에서 전자기파가 아닌 전기장이 형성되는 속도가 빛의 속도로 근사되는 이론적 배경이 어떻게 될까요?
      전기장에서 Maxwell 방정식을 적용하면 감쇠 term이 생겨서 도체에서의 Maxwell 방정식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는 게 아닌 거 같은데 혹시 유전 물질에서의 전자기파에 의해 도체에서 전기장이 유도되는 걸까요?
      늦은 답글이지만 혹시 알고 계시다면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deathfielder
    @deathfielder ปีที่แล้ว +4

    이거 잘못이 있습니다
    우주정보 개념으로 접근해보면 정보는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전달 될수 없습니다
    도선이 모두 연결 되야 불이 (최대밝기로)들어오겠죠?
    스위치를 켜자마자 불이 들어온 다는것은 이 도선이 안끊키고 연결 되었는지는 스위치를 켜자마자 알수 있다는 뜻이됩니다
    사실 빛의속도로 모든 도선을 돈 후에야 알 수 있어야합니다 정보가 바로 전달되는것은 우주정보론에 위배됩니다
    아마 스위치를 켜자마자 전구의 불은 도선이 연결 되지 않아도 들어올만큼 아주 약하게 들어올것이고
    도선을 타고 전자기장을 만드는 만큼 상호작용하면서 서서히 전구에 불이 들어올 것입니다
    0.5초 후에서야 비로소 최대 밝기만큼 전구가 켜지게 될것입니다

  • @bluecape3735
    @bluecape3735 ปีที่แล้ว

    음 근데 이영상 보니까 궁금한게 생겼어요. 회로 내 전자기장이 회로 내 성분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건 대충 알겠는데, 그럼 다른 회로의 성분으로도 어느정도 에너지가 흘러들어가지 않나요? 충분히 센 에너지 전달 속도를 갖는 회로 주변에 다른 회로의 꼬마전구같은게 놓여있으면 영향을 받아서 같이 켜지나요?

    • @user-tp5rb7ug6m
      @user-tp5rb7ug6m ปีที่แล้ว

      그게 노이즈죠
      그래서 동축케이블 같은게 차폐를 해서 만들어요
      또 회로에서 두 도선이 가까이 있으면 기생 캐패시터가 생겨요

  • @kenwood0093
    @kenwood009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경이롭습니다.

  • @ddg7974
    @ddg7974 ปีที่แล้ว +8

    이번건 좀 어렵네요..저 현상에 대해선 이해가 가능해도 그 외에 현상에 대해선 수많은 의문이 남네요..

    • @stk3171
      @stk3171 ปีที่แล้ว +2

      말장난이 많아서 그래요. E=mc^2를 설명하는데 배터리를 충전하면 휴대폰 질량이 늘어납니다!! 늘어난 배터리 에너지 나누기 c^2 만큼요ㅎㅎ 같은 식이죠.
      해당 영상에 반박하는 다른 영상과 이에 해명하는 영문 베리타시움 영상이 있으니 보시면 도움될 거에요.

    • @stk3171
      @stk3171 ปีที่แล้ว

      저 영상에선 전자기장의 영향만 언급했지 그 필드의 세기 얘기는 저 전구 얘기한다고 쏙 빼먹었거든요. 근데 도선이 형성하는 전자기장의 세기와 그에 따른 실질적 영향력까지 고려를 한다면 기존의 지식이 완전히 반박당하지는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ปีที่แล้ว +6

    흠… 이거 엄청 흥미진진한데 조금 의문이 드네요. 지금까지 있었던 베리타슘 영상을 보건데, 아마 앞으로 영상의 해명에 대한 추가영상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미리 의문점들을 조금 적어보자면, 포인팅 벡터라 하더라도 그 포인팅 벡터가 어느정도는 도선을 따라가기 때문에 전체 회로가 최대 전력을 전달하는데 시간이 어느정도는 걸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당연히 베터리로 부터 전구까지 최초 전력이 도달하는 것에는 1/c 이지만, 전구가 최대밝기에 도달하는데는 회로 전체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시간까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user-mw1vy5hq3e
      @user-mw1vy5hq3e ปีที่แล้ว +2

      12:26 부분 설명이 의문점에 대한 해답을 간단히 제시해준 것 같네요. 전체 전압을 즉시 받지는 못한다는 말이 회로가 최대 전력을 전달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뜻 같습니다.

    • @DreamDelight0
      @DreamDelight0 ปีที่แล้ว

      전기공학에는 많이 부족한 기계공학도입니다.
      질문 하나 드리고싶어 댓글을 씁니다..!
      포인팅벡터가, 어느정도는 도선을 따라간다 라는게 어떤 의미인지 과학적으로 궁금합니다..! 도선 중간부에서의 포인팅 벡터는 도선의 양방향을 가리키지, 전구를 가리키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건가요?
      또한, 7:37초같이, planer한 도선에서도 포인팅 벡터가 저와 같이 공간의 형태로 주어진다면... 에너지의 흐름이 도선 바깥에서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이 맞나요?
      그렇다면 도선 외부 공간에서의 에너지 플럭스가 존재할 것 같은데... 만약 맞다면 어떤 에너지로 존재할까요..??

    • @DreamDelight0
      @DreamDelight0 ปีที่แล้ว

      추가로, 전구 주위를 (비현실적으로) 완벽하게 전자기 차폐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전구가 최대밝기로 빛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거같습니다. 이가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 @user-rx8qb2gx2b
      @user-rx8qb2gx2b ปีที่แล้ว

      추가영상... 있습니다

  • @chivasregal8440
    @chivasregal8440 ปีที่แล้ว +1

    이 영상을 보고 몇 가지 의문이 생기는데
    1. 이 경우 절연은 무슨 의미가 있는걸까요?
    2. 만약 전선이 케이블로 되어있어 전자기 차폐등이 되어있다면 1/c초가 아니라 1초가 걸리게 되나요?

    • @SangDo_Kim
      @SangDo_Ki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잘 이해한 건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제 생각은,
      1. 전선에 절연이 되어 있어야 다른 곳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음.
      2. 케이블로 되어 있어도 1/c초 걸림. 그렇다면 자기 차폐가 되어 있어도 전자기장이 형성된다는 건데... 그게 어떻게 가능한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 다른 댓글 보니 이 영상의 2편을 봐야 한다고 합니다. 2편 내용을 적용하면 2번의 답은 1/c초에 미약하게 전류가 흘러서 전구가 약하게 켜진다고 함. 1초 후에 제대로 켜짐.

  • @OTL__
    @OTL__ ปีที่แล้ว

    경이롭다........ 미쳤군....

  • @user-qr7md7ot8f
    @user-qr7md7ot8f ปีที่แล้ว +4

    1. 도체 주변에서 에너지를 전달한다는 전자기장(?)의 범위가 궁금하고
    2. 극단적 예로 집적회로의 경우 전자기장끼리의 간섭이 생길 여지는 없는 건지
    3. 도체 주변의 공간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조작을 해서 전기 에너지가 흐르지 못하게 할 수도 있는 건지
    이과계통엔 문외한이다 보니 궁금증이 더 늘어나네요.

    • @user-ee2vg5pk8l
      @user-ee2vg5pk8l ปีที่แล้ว +1

      1. 전자기장의 범위는 무한합니다. (수십, 수백억 광년 떨어진 천체에서 전자기파, 중력파가 날아와서 지구에서도 관측됨) '아무리 약한 전기장, 자기장도 무한히 뻗어나가지만 단지 너무 약해서 관측이 어려울 뿐입니다.'

    • @user-ee2vg5pk8l
      @user-ee2vg5pk8l ปีที่แล้ว +1

      2.생깁니다 / 3. 교류/신호 케이블이라면 그 파동을 아주약해지거나 왜곡할 수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도 변압기의 원리, 해저케이블의 신호간섭 사례 (도선 주변에 금속이 둘러져서 금속 껍질에 유도전류가 생김->자기장이 생겨서 도선에도 영향)를 들었는데 영상의 설명이 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 @user-dy7yx6cy8t
      @user-dy7yx6cy8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궁금한게 있는데요, 회로(도체)는 유전체가 아닌데 왜 회로를 따라 전기장이 형성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배터리에서 나온 전기장이 회로를 따라 형성된다는 말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ㅜ

  • @user-xv8cg3le2b
    @user-xv8cg3le2b ปีที่แล้ว +3

    그럼 만약에, 굳이 도체전선이 아니라 아무런 접점도 없는 목적지에 전자기장만 전달해줄 수 있다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 @Megatondusik
      @Megatondusik ปีที่แล้ว +2

      그게 전자기유도현상이고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무선충전이죠.

  • @LetMeBliJu
    @LetMeBliJu ปีที่แล้ว

    빨리 후속편 주세요 현기증난단 말예요

  • @user-tb4we9xg1q
    @user-tb4we9xg1q 14 วันที่ผ่านมา

    하지만 교류가 직류와 흐르는 방향이 다른데도 에너지 방향은 같다는 해석은 이해가 잘되네요. 그럴듯한 이론이네요.

  • @JihoonOh
    @JihoonOh ปีที่แล้ว +10

    1. 전구가 켜진다는 설정이 좀 애매하네요. 스위치를 닫는 순간(1/c초)에 전구에 미세한 불빛이 들어오는 것은 가능하지만, V=IR공식에 맞는 수준의 밝기가 되기 위해서는 전선길이 만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2. 끊어진 도선 설정도 애매합니다. 스위치=끊어진 도선입니다. 만약 멀리 떨어진 곳이 끊어져 있고, 스위치가 있다면 두 개의 끊어진 도선이 있는 셈입니다. 하나를 연결했다고 해서 불이 켜진다면 스위치가 하나인 영상 설정에서는 실험 전부터 불이 켜져 있어야 겠죠.

    • @stk3171
      @stk3171 ปีที่แล้ว +2

      그냥 말장난 하는거에요. 그래서 0:42에 전구는 전류가 통과할 때 즉시 켜진다라는 가정을 갖다 놓는거고, 영상중간 어디선가 "완전히 원래 전류만큼 흐르기 위해선 시간이 걸리겠지만"이라는 내용도 한번 언급하죠.
      2. 전원과 멀리 떨어진 도선부분이 끊어져 있고 아주 가까운 곳에 오픈돼있는 스위치가 있다면 - 쇼트난 곳까지 에너지가 도달하는 짧은시간 동안 전자기 유도로 인해 전구가 약하게 켜졌다 꺼지겠죠.

    • @breaseroto8552
      @breaseroto8552 ปีที่แล้ว +1

      전선길이만큼 에너지가 이동해 시간 필요한 거 아닌가요? 영상에선 배터리에서 전구까지 최단거리로 가로질러 에너지가 이동한다는 것처럼 말하는데, 발전소에서 집까지 직선 최단거리로 전기가 오는 건 아닐 테고, 전선 주변 공간 이더라도 어쨌든 전선을 따라 전기가 움직이잖아요.

    • @penit3342
      @penit3342 ปีที่แล้ว

      @@breaseroto8552 th-cam.com/video/oI_X2cMHNe0/w-d-xo.html

    • @KLee-nb2rj
      @KLee-nb2rj ปีที่แล้ว

      전기에너지는 전선을 따라 움직이는게 아닙니다. 그렇다면 변압기나 컨덴서가 설명이 안됩니다. V=IR은 정상상태에서 적용되는거니 전선길이를 광속으로 가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수 있겠죠.

    • @breaseroto8552
      @breaseroto8552 ปีที่แล้ว +1

      @@KLee-nb2rj 전선 주변 공간이니까 전선을 따라 형성된다고 말한 거임

  • @json6573
    @json6573 ปีที่แล้ว +8

    항상 기계로 전기를 사용하면 왜 전자가 없어지지 않는가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전자를 에너지로 쓰는게 아니었군요...소름돋네요

    • @FLASHkor
      @FLASHkor ปีที่แล้ว

      보통 기초교육에선 전자의 흐름으로 에너지를 받는다고 설명하죠
      전자를 소모하는게 아니라...

    • @user-hl9ti1xf5l
      @user-hl9ti1xf5l ปีที่แล้ว +3

      전자가 없어질라면... 질량결손 낭낭하겠네요

    • @user-tn8vg4cu8s
      @user-tn8vg4cu8s ปีที่แล้ว

      물레방아 아무리 돌려도 물이 없어지지 않는 것과 같지요.

  • @user-lw2ky2jy8x
    @user-lw2ky2jy8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직류일때 아래쪽 도선에는 오른손법칙써보니까 엄지손가락이 왼쪽을 향해서 가니까 에너지가 전구가아닌 배터리방향으로 가는거같은데 해결좀 부탁드려요 ^ㅡ^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ปีที่แล้ว +1

    그럼 포인팅벡터 방정식은
    맥스웰 방정식의 하나의 일반해(근의 공식 같은..)
    같은 것 인걸까요?

  • @hjy1709
    @hjy1709 ปีที่แล้ว +59

    당시 무선 전력 송전탑을 지으려고했던 테슬라가 얼마나 천재인지를 깨닫게되고 소름이 돋았습니다...

    • @user-wl6ih8hb9i
      @user-wl6ih8hb9i ปีที่แล้ว +13

      근데 너무 센 전자기장은 몸에 안 좋긴 해요.
      무엇보다 도체나 반도체처럼 자성체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줘서 위험한 것도 있습니다

    • @user-ji4mi1gi3z
      @user-ji4mi1gi3z ปีที่แล้ว +3

      테슬라가 헛소리가아니었네요 ㄸ 공대나왔는데 지금까지 뭘배운걸까요 ㅋㅋ

    • @coldprime1019
      @coldprime1019 ปีที่แล้ว

      @@user-wl6ih8hb9i
      GE사 최신 MRI가 대략 3테슬라
      3테슬라면 3만 가우스니깐 지구자기장의 3만배...
      얼마전 손풍기에서 나오는 밀리단위 가우스 자기장에 암걸린다는 괴소문이 퍼지는거 보고 역시 무식하면 당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했지
      진짜 전자기장이 몸에 안좋다고 생각한다면 했볓 쬐지마라 했볓에는 모든 파장이 다들어 있는 전자기파니깐.

  • @leestation
    @leestation ปีที่แล้ว +4

    1) 전구는 1/c 초만에 켜진다. (하지만 엄청 약하게 켜짐. 거의 눈에 보이지 않을듯)
    2) 1초가 지나야 최대 밝기가 된다.
    아마 위에 적은 1)과 2)에 대한 관점 때문에 논란이 있는 것 같습니다. 본 영상은 1)의 상황을 전구가 켜진 상황이라 이야기한 거고, 2)의 상황이 되어야 전구가 켜진다고 생각한다면 다른 답(1초 혹은 1/c보다는 큰 시간)을 내놓았겠죠.

  • @user-zq1ep5xh2r
    @user-zq1ep5xh2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만약 전구가 스위치 근처에 있는게 아니라 30만km 떨어진곳에 위치하고있으면 답이 1초가 되는것인지...? 그럼 직렬로 전구를 연결하면 스위치에 가까운 전구부터 먼 전구까지 순차적으로 켜지는것인지? 정보전달속도는 광속을 넘을 수 없으니까요

  • @jkk6546
    @jkk6546 ปีที่แล้ว

    최대 전류가 흐르는 시점은 전선에 유도된거? 뭐 그런거 따라 가는것 같은데 그것 빼고
    영상의 전제대로라면 애초 회로 구성도 필요 없고 스위치를 닫을 필요도 없고
    배터리와 전선 연결없이 배터리를 가까이 가져다 대기만하면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기장으로 전구가 켜질수 있는거 맞나요?
    아니면 꼭 스위치를 닫아야 전구에 불이 들어오는건가요?

    • @user-gu4sk1yn5v
      @user-gu4sk1yn5v ปีที่แล้ว

      전선이 없다면 전하의 흐름이 없기 때문에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포인팅 벡터가 0이 됩니다

    • @jkk6546
      @jkk6546 ปีที่แล้ว

      @@user-gu4sk1yn5v 아 전자가 흘러야 전기장이 형성되는군요.
      배터리에 계속 전선이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단선된 상태로 계속 연결된 상태라면 전하의 흐름이 없는 평형상태로 전구에 불이 켜질수 없고
      스위치 붙거나 전하가 흐를수 있는 환경이 되면 전기장이 형성되는거겠군요. 감사합니다

  • @user-mv3su2jz4y
    @user-mv3su2jz4y ปีที่แล้ว +6

    와 그러면 메인보드같은 기판에서 작고 오밀조밀하게 정리된 회선들을 통해 정보가 이동하는게 아니라 연결된 회로에 의해 생긴 장에 의해서 데이터가 이동하는거구나.. 진짜 신기하네여

    • @payloan4558
      @payloan4558 ปีที่แล้ว

      무선통신의 원리도 같은 이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 @South.Korean
      @South.Korea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느린 회로는 장 같은거 신경 안쓰고 그냥 그려도 되는데.
      1Mhz이상 이면 전부 장을 고려해야 작동하더라구요

  • @user-ss9zo4pc8u
    @user-ss9zo4pc8u ปีที่แล้ว +5

    충격적이면서 뇌리에 박히는 지식이네요

  • @shs4406
    @shs4406 ปีที่แล้ว

    전기 전도성이 좋은 구리나 금같은 금속이 전선이나 전자부품에 많이 쓰이는 이유는 전자기파가 더 잘 발생되기 때문인건가요?

  • @Dimaloke3421
    @Dimaloke342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발전기가 발생시키는 수많은 전자들은 어디서 오는걸까라고 생각했는데 전자의 움직임이 생성 소멸이 아니라면 어느정도 이해 될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케이블을 설치할때도 rstu를 지켜가며 쌓아야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배웠는데 지금보니 그럴듯한 이유가 있었군요. 도선을 통해 전달되는게 아니라 전기장에 의한 벡터 로 이해 해야된다니 신선한 충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