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ities between Chinese-influenced Languages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พ.ย. 2018
  • *한국어,베트남어,중국어,일본어
    한자권 나라의 언어는 얼마나 유사할까?
    Similarities between Chinese-influenced Languages
    재미있게 보시고 구독해주세요!
    Enjoy and please subscribe!
    Max : www.italki.com/user/2970121
    lang-8.com/548242
    Hyo-ryeong: xiaoling.qi ( insta )
    Pan: / v-pantv ( youtube )
    Kiyoka: kiyoka_japan ( insta )
  • ภาพยนตร์และแอนิเมชัน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K

  • @LOvE-tc5gu
    @LOvE-tc5gu 5 ปีที่แล้ว +2736

    유럽사는데 여기 사람들은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이 모이면 대충 말이 통할거라고 생각하더군요 ㅋ 마치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사람들이 모이면 대화가 가능한것 처럼요. 그러나 저희는 전혀 아닙니다 한자로 의미 파악을 대충을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대화가 가능한건 아닙니다

    • @youngblood3907
      @youngblood3907 5 ปีที่แล้ว +371

      잘못알고 있네! 스웨덴 놀웨이는 어느 정도 대화가 가능한데, 핀란드는 완전히 다른 언어라 전혀 소통 안되거든.....

    • @Rickenbacker0
      @Rickenbacker0 5 ปีที่แล้ว +154

      핀란드 독특하더군요 👍
      아마도 우랄 계열 같아요.
      처음 듣고, 무척 놀란 기억이... ㅋ

    • @Mia-cw9rd
      @Mia-cw9rd 5 ปีที่แล้ว +269

      그러게요. 동네에 아는 남미 아저씨 한 분이 저에게 중국어교육 앱을 보여주면서 내 중국인 친구 00과 한국인 친구 너와 베트남 친구 00하고 더 친해지기 위해 중국어를 배운다고 하더라고요. 우리들 언어는 전부 완전히 다르다고 하니까 안믿어요. 세계지도까지 보여주면서 다 붙어있는데 다르다고? 진짜? 몇 번을 물어봅디다. 남미는 브라질인가 빼고 전부 언어가 같아서 아시아도 그런 줄 알았나봐요.

    • @user-zx8gx8fp2q
      @user-zx8gx8fp2q 5 ปีที่แล้ว +34

      나도 언니가 일본어로 말하면^^;;;;;;;언니 한국어 해줘 함......

    • @lovelysunkyu
      @lovelysunkyu 5 ปีที่แล้ว +183

      포르투갈어랑 스페인어 서로 다른데 자기나라말로 하는데 대충 뜻 통하는게 진짜 신기햇음 ㅋㅋㅋ
      근데 한중일은 한자어휘는 그나마 비슷하지만 나머지는 서로 통하지가 않음 ㅋㅋㅋ 그나마 일본어 같은경우 음독하면 그나마 발음 비슷한데 훈독하면 아예 다른나라말이라 비슷하지도 않음

  • @saesang557
    @saesang557 5 ปีที่แล้ว +144

    같은 문화권이고 지리적으로도 인접한 나라들이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도 이렇게까지 다른 나라들은 잘 없을거임.
    말도 다르고 쓰는 글도 다름 ㅋㅋㅋㅋ

  • @user-wn1px8dx5f
    @user-wn1px8dx5f 5 ปีที่แล้ว +347

    언어가 유사한게 아니라. 한자문화권이다보니 '단어들이 겹치는'게 많죠.

    • @user-fj9gl7cg5v
      @user-fj9gl7cg5v 4 ปีที่แล้ว +11

      @솔티솔트 맞아요 일본어 공부했었는데 한국어랑 일본어는 가끔 예외를 제외하고는 발음빼고 똑같은 언어 같았어요 ㅠㅠ

    • @user-lv3lv2li8o
      @user-lv3lv2li8o 4 ปีที่แล้ว +4

      @솔티솔트 어순이 같아서 비슷해보이긴 한데 이것도 어순만 같지 자세히 보면 완전 다른 언어

    • @user-lv3lv2li8o
      @user-lv3lv2li8o 4 ปีที่แล้ว +1

      @@iliili8178 중국도 보면 짧은 문장은 우리와 어순이 똑같아요! 조금만 길어지면 달라지긴 하지만..

    • @user-fj9gl7cg5v
      @user-fj9gl7cg5v 4 ปีที่แล้ว +10

      ma cine 한국어랑 젤 비슷한 외국어가 일본어긴 하죠?? 어순부터 문법도 대부분 비슷하니깐

    • @lsh6240
      @lsh6240 4 ปีที่แล้ว +15

      돌격병 말도 안되는 소리 하지 마십쇼
      한국 일본 몽골 카자흐는 SOV 어순을 가진 알타이 어족 언어이고
      중국만 혼자 SVO 어순의 다른 어족입니다

  • @user-zy9mk1su9u
    @user-zy9mk1su9u 5 ปีที่แล้ว +47

    대단하십니다
    서구권 사람 입장에서 제대로 알아듣기도 힘든 한자어를 나름의 지식을 곁들이며 심도있게 비교하려 노력하는 모습...

  • @user-ff8mc5rs6b
    @user-ff8mc5rs6b 5 ปีที่แล้ว +160

    중국어 배울 때 카와이랑 크어아이 비슷해서 놀랐던 기억이...

    • @acorn00
      @acorn00 4 ปีที่แล้ว +13

      같은 한자니깐요

    • @ssibal_nickname_wae-Ejiral
      @ssibal_nickname_wae-Ejiral 3 ปีที่แล้ว +24

      可爱 可愛い

    • @user-zc1ql6ib4d
      @user-zc1ql6ib4d 3 ปีที่แล้ว +21

      한국어: 귀여어이~

    • @user-fj9gl7cg5v
      @user-fj9gl7cg5v 3 ปีที่แล้ว +15

      그냥 우연이에요 카와이이는 훈독으로 읽는거라 중국이랑 발음이 비슷한건 우연이에요

    • @playsaint7605
      @playsaint7605 3 ปีที่แล้ว +10

      중국어:可爱(可愛) kěài 가히 사랑스럽다, 한국어:可愛(가애), 일본어:かわい-い [可愛い] 카와이

  • @user-gv6rb1gh7h
    @user-gv6rb1gh7h 5 ปีที่แล้ว +185

    와~연구 많이 하셨네요~^👍

  • @NJTIME
    @NJTIME 5 ปีที่แล้ว +489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는 한자를 자기나라 발음으로 읽으면 대충 비슷함
    근데 그건 알고들었을때 얘기고 상대방 언어를 하나도 모르는 상태에서
    들으면 지이이이이이인짜 비슷한 몇개만 이해하고 나머진 이해하기 힘듬
    근데 한중일이 비슷하긴함(중국,대만친구들한테도 일본유학시절 경험담)

    • @kwonjames6651
      @kwonjames6651 5 ปีที่แล้ว +9

      오히려 베트남어가 한국어와 어휘가 많이 비슷함.

    • @user-fz4fy8jg7w
      @user-fz4fy8jg7w 5 ปีที่แล้ว +68

      같은 한자어라도 일본어는 가끔 우리나라랑 비슷한 발음이 톡튀어 들리던데 중국어는 당최 못알먹겠음

    • @NJTIME
      @NJTIME 5 ปีที่แล้ว +49

      @@user-fz4fy8jg7w 그게 왜 그러냐면 일본어는 혀를 꼬는발음이 없어서 그대로 정직하게 들리는데 중국어는 약간 성조넣어서 꼬아서발음해서 그런거같음
      예를들어서 한국어로 가방 일본어로 카방 이러면 중국어로는 꾸아뽱(물론 중국어로 가방이 뭔지는모름, 그냥 이런식이라는거임)

    • @joohyungha
      @joohyungha 5 ปีที่แล้ว +5

      @@NJTIME 예시가좀; 가방은 일본어유래임

    • @hscoco6687
      @hscoco6687 5 ปีที่แล้ว +21

      ​@@joohyungha 그렇다면 예시가 많다면 일본어유래가 아닌 단어가 나올 가능성이 높겠져? 도구 도~구, 가족 카조쿠, 기분 키분, 도서관 토쇼캉, 속도 소쿠도, 속력 소쿠료쿠, 약속 야쿠소쿠, 요리 료~리, 편리 벤리, 의사 이샤, 고속 코~소쿠, 도로 도~로 등 등

  • @jamessong8729
    @jamessong8729 5 ปีที่แล้ว +23

    이런거 아주 좋아요. 흥해라. 션.

  • @rooyaru
    @rooyaru 5 ปีที่แล้ว +337

    한국어랑 중국어랑 매우 흡사하게 들리는데
    여기서 팩트는 아무리 저 발음 따라해도 중국인들 못알아들음;;;
    발음도 까다롭고 성조도 까다롭고..
    우리가 씨에씨에, 니하오 하는 것도 사실 발음 다 틀리고 성조 다 틀렸는데 하도 많이 쓰는 단어라서 대충 알아듣는다고 함ㅋㅋㅋㅋ
    중국어 전공한 친구한테 맨날 발음 성조 가지고 대차게 까이는 중ㅠㅠ

    • @kingodhanzo4795
      @kingodhanzo4795 5 ปีที่แล้ว +15

      루야 비슷한 단어는 대충 알아들어요.... 중국어 할줄 모르는데 중국인 친구들이랑 한자발음 주제로 이야기하면 대충 알아듣고, 중국인들이 말하는 것들도 간혹가다가 제가 알아듣는 단어 나오던데

    • @rooyaru
      @rooyaru 5 ปีที่แล้ว +2

      @@kingodhanzo4795 사람마다 다를 순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센스가 좋은 사람은 당연히 그 사람이 뭘 말하는지 캐치하는 능력이 좋겠죠!
      또 중국인 친구랑 그 주제로 얘기를 하고 있으니 중국인 친구는 머릿속에 '비슷한 발음을 가진 단어를 찾으시오.'를 내재하고 있을 거고 그래서 더 이해하기 쉬웠다고 생각해요.
      실제로 중국 갔을 때 야심차게 준비한 중국어 문장이 1도 통하지 않아 아쉬웠던 기억이 있어요...
      그 사람들은 제가 무슨 말을 할지 감을 못잡고 있으니까 못알아듣는듯요...
      근데 물건 살 때 진짜 개떡같이 성조 1도 없이 뚜오치앤 하면 알아들어요.
      그리고 씨에씨에 니하오는 실제로 중국인인 친구한테 들은 얘기예요!
      중국인 칭구가 한국에 왔는데 직원이 중국인인거 알고 니하오 씨에씨에 했는데 처음에 중국어인줄도 몰랐다고 나중에 아아 씨에씨에인가? 라고 생각했다고 해요!
      여담으로 칭구한테 대차게 까이는 발음은 배부르다(취바오러) 에서 le 발음...
      계속 re로 한다고 대차게 까이고 있어요ㅠ
      제 발음이 정말 똥떵어리 일 수도 있고 중국인들에게 외국인 전용 중국어 자비 필터가 별로 없는 걸지도 모르겠지만...
      중국어를 접해보지 않은 한국인이라면 충분히 그럴 수 있지 않을까요?

    • @bokhanlee4049
      @bokhanlee4049 5 ปีที่แล้ว +6

      중국 최고 언어학자 왈 ~ 원래 성조없음 시읽을때 잘 난척 하는 성우들이 중국어 보급하면서
      최근에 만들어진것임 ~
      ~ 표준말을 먹어라를 경상도씩으로 무우라카이 ~ 거친억양으로 발음 하는건 병신짓거리임

    • @user-ed4gb2jq2p
      @user-ed4gb2jq2p 5 ปีที่แล้ว +11

      그러나 일본어는 대충해도 다 알아들음. 어순은 물론 자모 구조 발음원리까지 유사.

    • @user-ev7eo6lm8r
      @user-ev7eo6lm8r 5 ปีที่แล้ว +1

      베트콩들은 아파트옆에서 외노로 일해서 거의 통역사됨

  • @user-oe4uv9pb3n
    @user-oe4uv9pb3n 5 ปีที่แล้ว +31

    서양권도 해주시면 재밌을거같아요 ㅋㅋ 사실 한국 사람들은 영어 외에는 익숙한 언어가 아니라 다른 유럽권들 언어들간의 특징이 유사한지 어떤지 잘 모르거든요ㅎㅎ 댓글 읽어보니까 막 다른나라 언어들은 대강 말하면 알아듣는다는데 그것도 신기하고 스페인어랑 영어랑 비슷하다고 하는데 얼마나 비슷한지 궁금하기도 하네용ㅋㅋ

    • @elem0212
      @elem0212 ปีที่แล้ว

      단어의 유래가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Χαρηκα(그리스어, 하리까) -> хорошо(러시아어, 하라쇼)
      둘다 좋음를 의미합니다.
      또 비슷한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Jongen(네덜란드어, 용엔)
      Junge(독일어, 융에)
      둘다 남자아이를 의미합니다.
      이외에도
      Universe(영어, 유니버스)
      Universum(네덜란드어, 위니퍼르쉼)
      등이 있고 각 언어마다 라틴 문자를 읽는 방법이 다르기도 합니다.
      (영어 U=우 네덜란드어 U=위)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은 대부분 문법이 비슷합니다.(러시아어는 예외)
      또한 문법적 성이 존재한다는 공통점도 있으며(영어는 예외), 대부분의 단어가 그리스어나 라틴어에서 유래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지속된 전쟁과 역사적 연관성으로 인해 언어가 서로 비슷하고, 서로 영향을 많이 주었습니다.
      영어는 프랑스어와 게르만 계통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리스어와 튀르키예어는 오스만 제국, 동로마 제국 등의 영향으로 인해 유사한 단어가 꽤나 있죠.

    • @user-yo2rz6ih7p
      @user-yo2rz6ih7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럽 언어는 로마가 지배하는 곳은 문자는 알파벳, 언어는 라틴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고유 언어와 결합하여 생겨났습니다. 영국은 영어로 독일은 독일어로 스페인어, 불어등.. 로마가 통치했던곳은 같은 단어들이 많습니다.

    •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5 วันที่ผ่านมา

      유럽이 걍 거기서 거기임 서로 빨리익힘

  • @user-ob9xc1xn1j
    @user-ob9xc1xn1j 5 ปีที่แล้ว +4

    항상 션님의 동영상은 신선한 발상으로 가득 차 있네요.. 이건 저도 개념으로만 알던 사실인데.. 잘 보고 갑니다.

  • @lloydkim371
    @lloydkim371 5 ปีที่แล้ว +59

    대체적으로 비슷한 정도는
    발음 -> 한국/중국어
    문법 -> 한국/일본

    • @user-fr2jm3mp8o
      @user-fr2jm3mp8o ปีที่แล้ว

      띄어쓰기 -> 한국/베트남어

    •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5 วันที่ผ่านมา

      무슨 중국어랑 우리가 발음이 같냐?

  • @TheLefty1971
    @TheLefty1971 5 ปีที่แล้ว +11

    이렇게 서양인의 입장에서 동양권 한자어를 사용하는 문화의 차이를 알아본다는 것은 매우 뛰어난 발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한국인의 시선으로 보았을때에도 매우 재밌는 소재이군요. 영상 매우 흥미진진하게 잘 봤습니다. 추천 꾸~욱!!

  • @swryu5364
    @swryu5364 5 ปีที่แล้ว +4

    이거 옜날부터 궁금했었는데 완전 흥미로워요 ㅎㅎ

  • @ray4483
    @ray4483 5 ปีที่แล้ว +1

    와.. 저희들도 잘 모르던 정보들을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r3jj4ui6s
    @user-wr3jj4ui6s 5 ปีที่แล้ว

    와 정말 근본적인 궁금증을 잘 해결해주는 영상같아요 ㅎㅎ 최고

  • @user-dc6mv3kx5j
    @user-dc6mv3kx5j 5 ปีที่แล้ว +13

    서양사람이 한자어에 대해 이렇게 많이 알아보고 공부하시다니 존경.

  • @goodtimes3191
    @goodtimes3191 5 ปีที่แล้ว +533

    한글이 한국어의 표기 방법이 듯, 한자는 중국어의 표기방법이지, 한자= 중국어는 아닙니다. 한자=중국어라고 하면 마치 한자를 지금 중국의 주류 민족인 한족이 만들었다고 착각할 수 있는데, 한자는 한족 뿐만 아니라 한민족, 만주족, 말갈족, 여진족 심지어 지금의 몽골인의 선조인 흉노족 등 동아시아 모든 민족이 함께 만들고 사용했던 글자입니다. 물론 그 수만자에 달하는 글자를 모아서 중국의 공식 글자로 공표한 최초의 사람이 진시황(한족)이기 때문에 한자라고 불리기는 합니다. 하지만 중국이 당시 선진국이였기 때문에 동아시아 모든 나라들이 한자를 받아들인게 아니라 한자는 모든 나라에게 '자신의 글자'였기 때문에 사용했다가 맞는 말입니다. 지금의 서양에서 알파벳처럼 '동아시아 지역의 공용글자'였던거죠.

    • @lovelysunkyu
      @lovelysunkyu 5 ปีที่แล้ว +45

      근데 한자자체는 중국거라고 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알파벳을 예로 들으셨는데 알파벳은 문자체계로 봐야되면 넓게보면 한글도 알파벳의 일종입니다. 보통 알파벳이라고하면 a~z까지의 영문자를 말하는데 이걸 알파벳이라고도 하지만 로마자라고도 합니다. 로마의 글자라는뜻이죠.
      한자어도 로마자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시작은 중국이었고 한국이나 일본에서만 쓰는 한자도 만들어지긴했지만 원조는 중국으로 보는게 일반적인 시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유학자들이 한글을 멀리한것도 한자가 우리글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사대주의하는 중국의 글자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세종대왕께서도 한글을 창제하실때 중국과 달라서 만든다고 하셨습니다. 한자를 한국것이라 생각하지 않는게 그당시 지식인들의 생각이었죠. 한자가 공용화 되긴했지만 이걸 중국 글자가 아니라 모두의 글자라고 하면 중국이 하는 역사왜곡과 뭐가 다르겠습니까.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28

      한자는 중국 중원에서 만들어진게 맞음 니가 말한 만주글자 흉노글자 몽골글자 한글 다 자기 민족별로 독자적인 글자가 있었음 여진은 만주의 아버진뻘이고 선비의 선조인 돌궐도 자기 문자 있었음. 그들의 독자적 문자가 오히려 중국중원의 한자의 영향을 받은거지 그들 민족 전체가 짬뽕으로 한자를 창제 한게 아님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12

      탕구트 서하,티베트 ,신장 모두 자기 문자 있음 한자는 중원과의 교역을 위해 공유한거고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34

      @julia choi 이런 환빠야 말로 식민사관 못지않는 역사 외곡이고 역사를 더럽히는 일임

    • @goodtimes3191
      @goodtimes3191 5 ปีที่แล้ว +21

      @@lovelysunkyu 잘 보시면 '서양에서 알파벳'이라고 언급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조선시대는 한자가 보편화되고난 아주 훗 날이죠. 한글을 제외한 모든 문자가 그렇듯 한자가 어디에서 처음에 누가 만들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단지 동아시아 전 지역에서 거의 동시대에 동시다발적으로 한자를 이용한 표기가 발견되었다는 것만이 역사적 사실이죠. 한자는 뜻 문자이기 때문에 글자 하나하나가 단어 하나에 해당합니다. 8만 단어에 해당하는 문자가 한 민족에게서 모두 만들어졌다는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시지는 않으시죠? 심지어 그 중 많은 한자들은 중국의 문화에서는 접할 수 없는 의미를 담고 있는 있는데 말이죠. 그리고 한자가 만들어질 시기는 지금의 중국이 아니라 여러 나라로 나뉘어져 지금은 그 중 일부가 우리나라(북한), 일부는 몽골, 일부는 러시아, 일부는 동남아 지역에 속해 있습니다. 수많은 나라, 민족이 만들고 사용한 한자가 어떻게 중국에서 시작되었다라고 단언할 수 있을까요?

  • @user-db8xj3tl7w
    @user-db8xj3tl7w 5 ปีที่แล้ว

    대박 신선한 컨텐츠네요. 이런 거 처음 봐요.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 @jpy.young.
    @jpy.young. 5 ปีที่แล้ว +2

    흥미롭게 잘봤어요
    대단대단합니다ᆢ

  • @samsik8978
    @samsik8978 5 ปีที่แล้ว +8

    한자어의 장점이라 함은
    대부분 비슷한 한자어를 사용하고 발음도 비슷한 부분이 많아 처음보는 한자어도 금방 어떻게 읽는지 알 수 있는거죠
    다만 2000자가량 되는 한자를 외워야되는게ㅠㅠ

  • @DRK0114
    @DRK0114 5 ปีที่แล้ว +3

    재미있게 봤어요!

  • @tangiblemark
    @tangiblemark 5 ปีที่แล้ว +2

    이런게 제일 재밌어요 또 올려주세요 ㅎㅎ!

  • @capacci21
    @capacci21 5 ปีที่แล้ว +2

    흥미로운 영상 잘 봤습니다~^^
    문장이나 대화형식도 가능하시다면 해보심히 어떨지요~^^

  • @Forza_Atalanta
    @Forza_Atalanta 5 ปีที่แล้ว +134

    베트남어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베트남어에 과거, 현재, 미래형을 단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물론 시간부사로 나타낼 수도 있지만 예를 들면 과거는 Đã, 현재는 đang, 가까운 미래는 sắp, 미래는 sẽ를 씀으로써 그 문장의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 @treebeauty44
      @treebeauty44 5 ปีที่แล้ว

      캉테이마에뽀뽀한방 đúng rồi

    • @zhenya857
      @zhenya857 5 ปีที่แล้ว +1

      외대 화이팅

    • @teddybear7557
      @teddybear7557 5 ปีที่แล้ว +10

      그러니까 동사 자체에 시제가 들어가느냐의 말일겁니다
      동사는 형태가 분화되지 않았는데 다른 말 시제를 나타내는 명사나 부사를 집어 넣어서 시제를 구분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준다거나 하면
      동사에 시제가 없다라고 말을 하는게 맞겠죠

    • @user-it5pt6wr7z
      @user-it5pt6wr7z 5 ปีที่แล้ว +5

      션이 한말이 그말아님?ㅋㅋ 동사자체엔 시제가없다구요

    • @user-ho8dn6th4n
      @user-ho8dn6th4n 5 ปีที่แล้ว

      영상에서 한 말이 그건데요?

  • @user-xt3jl9ho7w
    @user-xt3jl9ho7w 5 ปีที่แล้ว +4

    아주 훌륭합니다 . 거의 언어학자적 접근 . 와우 ~

  • @islastudio82
    @islastudio82 5 ปีที่แล้ว

    이런 정말 유익한 유튜브영상 많이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namhwanoseon
    @namhwanoseon 5 ปีที่แล้ว

    지나가다 봤는데 재미있게 봤어요
    공부가 될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irenek6295
    @irenek6295 5 ปีที่แล้ว +5

    I love it! 저도 교환학생 갔을때 한중일 친구들끼리 이런거 비교해보면서 웃었던 기억이 나네요. 고대중국어는 서양으로 치면 라틴어?같은 느낌이 아닐까요? 커다란 제국의 언어고 고급어휘를 구성하는ㅎㅎㅎ

  • @MTFat
    @MTFat 5 ปีที่แล้ว +39

    근데..한국어는 정말 일본어랑 비슷하더라구요..전에 부산갔을때 커플을 봤는데 일본인인줄 알았는데 자세히 들으니 한국어더군요..

    • @pion0907
      @pion0907 5 ปีที่แล้ว +4

      예전에 부산에 사는 아는 여동생이 서울에 와서 나이트를 가 부킹을 했는데 재일교포냐라는 소릴 들었다하더라구요 ㅎ

    • @user-nx9kz3nm9t
      @user-nx9kz3nm9t 5 ปีที่แล้ว +1

      어릴때 일본여행에서 아버지와 계단을 찾는데
      청소부 아주머니가 계단을 가르키더군요
      한국어를 배운걸수도 있지만 일단 신기하네요

    • @user-nq7ne5xu5q
      @user-nq7ne5xu5q 5 ปีที่แล้ว +4

      비슷한발음 진짜 많음 계단도 일본어로 카이단임

    • @user-eh9tx7hl3r
      @user-eh9tx7hl3r 4 ปีที่แล้ว +3

      뭔 헛소리야

    • @yxunnamedxy
      @yxunnamedxy 4 ปีที่แล้ว +10

      @@user-sj3oi6rj2p 언어랑 문자는 다른거에요. 신라어가 아니라 이두문자와 향찰을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이두문자는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다 썼어요. 신라 하대에 설총이 집대성했고..

  • @lkh0120
    @lkh0120 5 ปีที่แล้ว

    참 좋은 내용입니다
    구독하겠습니다!

  • @changhan1110
    @changhan1110 5 ปีที่แล้ว +2

    재밌어요! 언어 공부만큼 재밌는 것도 없는듯 하네요.

  • @sooyunkim750
    @sooyunkim750 5 ปีที่แล้ว +4

    최고에요. 외국어는 연구하기 진짜 어려운 분야에요.
    연구를 많이 하셨네요. 훌륭해요.
    저는 요즘 한글이 정말 최고의 문자라고 생각해요. 어떻게 모음과 자음을 나누고, 그 표기를 디자인했는지 그형성과정을 알고 싶어요.

  • @sinsafanner
    @sinsafanner 5 ปีที่แล้ว +28

    언어는 다르지만 문자는 같아서(한자) 글로 소통이 원할했었던게 재밌죠.
    그래서 멀리 타국과 서면(편지)으로 많은 대화 및 교류가 있었습니다.

  • @tz-tube
    @tz-tube 5 ปีที่แล้ว

    너무너무 흥미롭고 재미있었어요!!

  • @user-sc8zi5vi9m
    @user-sc8zi5vi9m 5 ปีที่แล้ว

    오호 흥미롭네요 두고두고 봐야겠어요

  • @yj1184
    @yj1184 5 ปีที่แล้ว +9

    한자어 단어들을 보면 중국어의 발음과 매우 유사하다는 걸 전에도 느꼈어요.
    간혹 일본어 발음과 유사한 단어들도 있고..
    지금 영상에서는 역시 대부분 중국과 비슷하고 오히려 일본보다 베트남어 발음과 유사한 몇몇 단어가 보이네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yo2rz6ih7p
      @user-yo2rz6ih7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 한자 발음은 9세기 당나라 한자의 발음이라 합니다 . 세월이 지나 그 한자 발음이 각 지역마다 달라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고 "동국정운"이라는 책을 만들어 한자 발음을 표준화 시켜습니다. 가령 15세기 중국 발음이 듕귁 이었습니다 . 일본도 초창기는 중국발음을 가져가 세월이 지나면서 발음이 어려운것은 현지 발음으로 교체 되었을겁니다.

  • @mh657
    @mh657 5 ปีที่แล้ว +45

    후반부에 나오는 중국분 목소리 정말 좋으시네요.

    • @ehrksl
      @ehrksl 4 ปีที่แล้ว

      예쁨

  • @user-wd8cz8jd9r
    @user-wd8cz8jd9r 5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촬영지가 예전에 제가 살았던 곳 주변이라서, 엄청 반가운 마음으로 봤네요ㅎㅎ

  • @user-nl2bu4wd9t
    @user-nl2bu4wd9t 5 ปีที่แล้ว

    오우 매우 유사하네 소리가,,,,,좋은 영상 이였어요!

  • @ByungWooChung
    @ByungWooChung 5 ปีที่แล้ว +58

    와 이건 외국인들 특히 서양이라고 흔히 부르는(안쓰고 싶은 표현입니다만) 지역 분들에게 적극 추천하고픈 영상입니다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3

      서양이 뭐 잘못된 말임?? 써도 됨. 서양에서도 웨스턴 이스턴 씀

    •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5 ปีที่แล้ว +8

      @@harvestmark3972 지구는 둥글어서 원래는 동서가 없어요 ㅋㅋㅋㅋ 근데 거기서 "동양"이라는 개념이 나오고 나서 "서양"이 나온거죠. 그니까 서양사람들이 자기들보다 동쪽에 있어서 동양이라고 불러놓고 아 그럼 우린 서양이네? 이렇게 된거라 따지고보면 서양인 중심적인 표현이에요. (한국을 기준으로 놓고 보면 중국인도 서양인이고 미국인도 동양인이겠죠 아마)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8

      @@user-fk5kr9gx6q 니말대로 어디든 서양 동양 쓸수 있으니까 서양중심적인 어휘가 아님 옛부터 굳어져서 내려온 관용적 표현이라는게 차라리 맞음

    • @user-lz9bh2xi2h
      @user-lz9bh2xi2h 5 ปีที่แล้ว +10

      씨발 서양인 동양인 구분하는게 잘못인가? 껌둥이 흰둥이처럼 구분해야지 껌둥이보고 흰둥이라고 할 수 없듯이 서양인 보고 동양인이라 할 수 없다. 뭐? 그냥 사람으로 부르자고? 씨발 그럼 한 번 더 설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길껄

    • @faintcorona1726
      @faintcorona1726 3 ปีที่แล้ว +1

      @@atlanaltan8088 흰둥이 껌둥이 노랑이 구분해야제

  • @polyonomata
    @polyonomata 5 ปีที่แล้ว +76

    베트남어에 한자어가 많다는건 처음 알게 됐네요. 생각보다 비슷한 발음의 한자어도 많아서 흥미로웠습니다.

    • @abcdefuk
      @abcdefuk 5 ปีที่แล้ว +8

      옛날부터 중국에게 오랑캐가아닌 "신하국" 대우를받던게 한국과 베트남입니다

    • @user-en5dj2db6f
      @user-en5dj2db6f 5 ปีที่แล้ว +2

      한국처름. 한자사용한 나라고요 프랑스 식민지 시절에 현문자로 바꾸습니다

    • @user-bf4tc2qs2u
      @user-bf4tc2qs2u 4 ปีที่แล้ว +4

      베트남의 모든 고서와 역사기록은 전부 한자로 되어 잇어요. 프랑스 식민전까지 중국의 속국이엿고. 중국의 영토엿던 시간도
      아주 오래됫어요. 실제로 진시황시절부터 아주 오랜시간 중국영토엿죠. 독립한시기에도 항상 중국속국이엿기에 그들의 문화는
      중국문화권에 속합니다.

    • @user-bf4tc2qs2u
      @user-bf4tc2qs2u 4 ปีที่แล้ว +4

      아 참고로 베트남도 남북으로 나뉘는데. 북베트남 사람들은 동아시하사람들이랑 다를게 없어요. 외모가.남베트남이 동남아 사람처럼
      생겻죠. 여기서 더 재밋는건 베트남전쟁때 중국이 장시간 북베트남을 점령햇는데. 현재 북베트남은 친중국지역입니다. 제가 북베트남
      출신이랑 대화한적 잇는데. 이유를 물어보니. 그친구말로는 자기 할머니가 그러시는데 베트남군이 들어오면 약탈하고 여자겁탈하고
      사람도 죽이는데. 중국해방군이 점령한후 해방군은 자신들 털끗하나 건드리지 않앗다고. 오히려 필요하면 도움도 줫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해방군이 철군할때 길에 나가서 환송까지 햇다고 하데요.

    • @chn748
      @chn748 3 ปีที่แล้ว

      @@abcdefuk 신하가 아니라 정복지임

  • @tmomgw
    @tmomgw 5 ปีที่แล้ว +1

    션 유튜브는 진짜 재밌음

  • @busyhoneybee4517
    @busyhoneybee4517 5 ปีที่แล้ว +1

    재미있네요. 좋았어요 ^^

  • @TheBoogaring
    @TheBoogaring 5 ปีที่แล้ว +4

    문법구조는 다르지만 단어발음이 한국어와 중국어가 많이 비슷한거 같아서 신기하네요~!!

  • @dhgksthf1004
    @dhgksthf1004 5 ปีที่แล้ว +5

    외국인 특유의 억양만 빼면 유창성 어법 어휘수준이 매우 높으심..ㄷㄷ
    공부 열심히 하셨거나 언어지능이 뛰어나신듯.. 잘보고 갑니다

  • @sydaus3367
    @sydaus3367 5 ปีที่แล้ว +2

    It's very interesting.
    Enjoyed watching this. Thanks

  • @gaeun9911
    @gaeun9911 5 ปีที่แล้ว

    헐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고마워요~

  • @FROZENVC
    @FROZENVC 5 ปีที่แล้ว +4

    댓글에 너무 깊이 들어간 내용도 보이는데 딘순히 단어를 읽는 발음은 비슷합니다 중국어 중에서도 대만어나 광동어 들어보시면 한국어 발음과 매우 유사합니다 같은 글자 다른 뜻인 경우도 있으나 발음 자체만 보면 비슷한 부분이 많습니다 중국 여행가도 뉴스에서 텍스트만 보고 무슨 뜻인지 유추할 수 있는 것이 비슷하다는거를 방증하는 것이고요
    우리나라 한글은 60%가 아니라 70%가 한자어입니다 한자를 알면 그만큼 무슨 뜻인지 알 수 있고요

  • @lt-ej4ib
    @lt-ej4ib 5 ปีที่แล้ว +106

    60%라 말하니, 누가들으면., 대강이라도 의사소통가능하다고 착각하겠네요.

    • @user-mj6ed3kx4s
      @user-mj6ed3kx4s 3 ปีที่แล้ว

      일본인이 중국어를 읽는것은 어는정도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한국인은..한글만세!!

    • @user-no4pf9yh7v
      @user-no4pf9yh7v 3 ปีที่แล้ว

      @왕자 한자는 동음이의어를 다른 자로 표기 가능해 동음이의어 구별이 쉽고 하나 하나 뜻이 표현되있어 단어를 이해하기 쉬우며 미리 알면 중국어나 일본어로 쓰여져있는 문장의 내용을 어느정도 이해 가능한데 그래도 한자를 안 배워도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 @user-ub4qt7eh7r
      @user-ub4qt7eh7r 3 ปีที่แล้ว

      필담 쌉가능

    • @user-ub4qt7eh7r
      @user-ub4qt7eh7r 3 ปีที่แล้ว

      @왕자 일본은 풀어쓰는 가나 문자 쓰는데다가 헷갈리기 쉬워서 한자를 쓰는겁니다 압축성도 좋고요

    • @K69534
      @K69534 3 ปีที่แล้ว

      사실 한글이 예전에 자국 발음으로 적은 문서 작성할때 가끔 사용된적이 있기도 했었음

  • @Mr999sjh
    @Mr999sjh 5 ปีที่แล้ว

    흥미롭네요 ㅋㅋ 잘봤어요!

  • @donkim3681
    @donkim3681 5 ปีที่แล้ว

    정말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pixvod
    @pixvod 5 ปีที่แล้ว +25

    2:15에 「私はピザを食べます」라고 하는데「私はピザを食べる」라고 써져있네요

    • @daedae3389
      @daedae3389 5 ปีที่แล้ว +4

      정중체와 기본형 차이라서 뭐 ㅋㅋ 봐줍시다

    • @user-gw7ku7lq4v
      @user-gw7ku7lq4v 3 ปีที่แล้ว

      그러니까요 ㅋㅋㅋㅋ

  • @oppaleeeee8223
    @oppaleeeee8223 5 ปีที่แล้ว +3

    베트남어는 영어보다 더 거꾸로죠.
    hair styling gel 이거 베트남어식으로 쓰면
    gel styling hair (gel vuot toc) 입니다

  • @sepia9282
    @sepia9282 5 ปีที่แล้ว

    좋은 분석입니당

  • @jesspark7432
    @jesspark7432 5 ปีที่แล้ว +1

    국가간의 단어에 대한 유사성과 한자어에 대한 공유는 확실히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죠. 호주에서 대만친구와 영어로 대화를 하다 중국 사상가 공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더라구요ㅎㅎ[공자]라고 한국어로 발음하니 눈치빠른 대만친구가 금방 알아채더라구요!

  • @onelinewillow
    @onelinewillow 5 ปีที่แล้ว +59

    2:19에서 소리로는 나는 피자를 먹습니다
    (私はピザを食べます 와타시와피자오 타베마스)인데
    글씨로는 나는 피자를 먹는다
    (私はピザを食べる 와타시와피자오 타베루) 라고 되어 있네요

    • @user-jh1cm3nc2c
      @user-jh1cm3nc2c 5 ปีที่แล้ว +1

      다 아는거아님? 그냥 그러려니넘어가지 그러누

    • @user-nz5rn2ef2j
      @user-nz5rn2ef2j 5 ปีที่แล้ว +4

      @@user-jh1cm3nc2c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

    • @user-jh1cm3nc2c
      @user-jh1cm3nc2c 5 ปีที่แล้ว

      @@user-nz5rn2ef2j 히라가나를 모른다고? 고등학교때 안배우는건가.. 인문계만 배우나

    • @user-nz5rn2ef2j
      @user-nz5rn2ef2j 5 ปีที่แล้ว +9

      @@user-jh1cm3nc2c 모르는 사람 있을 수도 있지 왜 그럼. 나야 일본어 독학으로 배워서 아는데, 중학교 땐 학교마다 다름. 고등학교 가면 일/중 선택임

    • @user-jh1cm3nc2c
      @user-jh1cm3nc2c 5 ปีที่แล้ว

      @@user-nz5rn2ef2j 그렇구만

  • @yesno9065
    @yesno9065 5 ปีที่แล้ว +4

    1:10 뭔가 사실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네요~ 지금도 본래의 한자를 그대로 쓰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중국과 일본은 나름대로 각각 간소화된 한자를 쓰고 있어요

    • @user-ym2sl6lw7z
      @user-ym2sl6lw7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아시네요 한자가 중국의 문자가 아니고 동이족의 문자인것도 널리 알려지길 바라는 바입니다. 이건 예전 양심있는 중국의 역사학자들과 중국의 총통을 지냈던 주은래의 일화도 있기에 더욱 명확하다는걸 알아야 합니다. 한자는 중국의 문자라 부르면 안되고 대륙,중원의 역사라 불러야 하며 지배계층이었던 동이족들에게서 파생된 문자임을 알아야 합니다.

  • @yesno9065
    @yesno9065 4 ปีที่แล้ว

    이런 영상 정말 유익하네요

  • @deem6032
    @deem6032 5 ปีที่แล้ว

    대박 영상인데...언어학 전공이세요? 놀라운 자료입니다. 구독하고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

  • @fickdich12345
    @fickdich12345 5 ปีที่แล้ว +21

    독일에서 베트남 친구가 있었는데 기숙사라는 단어르 ㄹ너무 똑같이 말해서 놀랐어요

    • @user-pd8iw2bi4i
      @user-pd8iw2bi4i 5 ปีที่แล้ว +15

      한국 - 기숙사 , 결혼, 베트남 - 기둑사, 겔혼 같은 한자를 읽기 때문에 그래요..

    • @aigerim3135
      @aigerim3135 5 ปีที่แล้ว

      독일은 왜가심?

    • @uhwi1675
      @uhwi1675 3 ปีที่แล้ว +2

      일본식 한자를 둘다 쓰기 때문이야 예를 들어 수류탄도 일본식 한자어라 다들 비슷하게 발음함

    • @fickdich12345
      @fickdich12345 3 ปีที่แล้ว +1

      @@aigerim3135 공부하러요 ㅎㅎ

    • @aigerim3135
      @aigerim3135 3 ปีที่แล้ว

      @@fickdich12345 2년전 댓글을 ;;

  • @travelworld491
    @travelworld491 5 ปีที่แล้ว +7

    영상 만들기 전에 사전 준비를 정말 많이 하셨겠어요 감탄했습니다 잘 보고 가요

  • @jameso4053
    @jameso4053 2 ปีที่แล้ว

    정말 재밌어요!

  • @gmateo7176
    @gmateo7176 5 ปีที่แล้ว

    제가 맨날 원하던 영상이네요

  • @user-ev8ng2xb7n
    @user-ev8ng2xb7n 5 ปีที่แล้ว +5

    굉장히 흥미롭고 재밌는 컨텐츠였습니다 ㅎㅎ 종종 중국어나 일본어 단어가 한자 문화권이라 우리와 발음이 비슷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영상을 통해 비교해보니 더욱 재미있네요

  • @user-df6kd5nm1k
    @user-df6kd5nm1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내가 중학교 1학년에는 한자를 배우다 2학년도부터 없애버렸다 그당시 3000자 한자만 배워으면 일본어 중국어 이해하고 배우기쉬워쓸텐데 문교부정책이 얼마나 중요한가 보여주는것이다

  • @chois7771
    @chois7771 5 ปีที่แล้ว

    재미있네요^^ 논문을 써보는 것도 좋을것 같아요.

  • @user-oy9qf2mu4g
    @user-oy9qf2mu4g 5 ปีที่แล้ว

    구독합니다!

  • @user-xi9kp3cc1l
    @user-xi9kp3cc1l 5 ปีที่แล้ว +4

    요즘 일본어 배우는데... 쓰는것도 대부분 한자로 하기 때문에... 힘듬... 배우면 배울수록 세종대왕님이 대단하구나 생각함...

    • @uhwi1675
      @uhwi1675 3 ปีที่แล้ว +1

      하.. 비융신아 ㅋㅋㅋㅋ 우리가 쓰는 단어 90 프로가 일본식 한자야 ㅋㅋㅋㅋㅋ 대가리가 원숭이 수준이라 여기서 세종대왕 찬양 드립 ㅋㅋㅋㅋㅋㅋㅋ 너가 쓰눈 모든 법률 경제 정치 수학 물리 영어 등등 다 일본말이라고 ㅋㅋㅋㅋㅋㅋ 일본애들이 서양에서 번역해서 예를 들어 economy 라는 단어를 경제라고 번역한거 그전엔 그런 단어와 개념이 없어서 연구 끝에 만든거고 짱골라들이 부들 거리며 지네도 만들어 봤지만 economy를 생태학이라 번역해서 좃망함 결국 동아시아는 전부 일본식 한자를 씀 ㅋㅋ

    • @acorn00
      @acorn00 2 ปีที่แล้ว

      @@uhwi1675 그 일본식 한자어도 따지고보면 중국에서 만들어진 한자를 재조합한거 아님? ㅋㅋㅋㅋ

  • @uesr-jdhienfsf
    @uesr-jdhienfsf 5 ปีที่แล้ว +157

    ký túc xá 끼뚝싸(기숙사)
    ý chí 이찌(의지)
    dũng cảm 융깜(용감)
    xuân hạ thu đông 쑤언하투동(춘하추동)
    chung thuỷ 쭝투이 (충실)
    đông tây nam bác 동떠이남박(동서남북)
    기타 등등 베트남어 한국어랑 정말 비슷합니다. 중국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나 속담도 비슷한게 정말정말 많아요 ㅋㅋ

    • @user-ij5ne7fs2j
      @user-ij5ne7fs2j 5 ปีที่แล้ว +13

      @@khlee3238 + 하노이는 河内 Hà Nội, 학생은 学生 Học sinh 등입니다. 그래서 중국어를 할 줄 알거나 한자를 잘 아는 사람한테는 태국어보다 베트남어가 더 배우기 쉬울겁니다.

    • @armudi5947
      @armudi5947 5 ปีที่แล้ว

      韓國도 “한꾸억”이라 읽던데
      알파벳으로 han quoc이었나?

    • @user-ij5ne7fs2j
      @user-ij5ne7fs2j 5 ปีที่แล้ว +3

      @@armudi5947 Hàn Quốc,

    • @mistydawnwoo6875
      @mistydawnwoo6875 5 ปีที่แล้ว

      Tartar Sauce ㅋㄷ

    • @turinoik9477
      @turinoik9477 5 ปีที่แล้ว +9

      베트남언어가 한자로되어잇어서 저렇게 받침 발음이 강햇구나 한국어처럼

  • @spud4782
    @spud4782 5 ปีที่แล้ว

    신기하네요
    잘봤습니다 셔언

  • @user-lv3xc1sq9k
    @user-lv3xc1sq9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 관점은 정말 흥미롭네요

  • @METAL1Z3R
    @METAL1Z3R 5 ปีที่แล้ว +7

    로마자 국가들도 많이 비슷하죠~
    특히 영국과 프랑스.
    독일과 스웨덴

    • @user-ev7eo6lm8r
      @user-ev7eo6lm8r 5 ปีที่แล้ว +6

      영국과 프랑스라...
      애초에 영어는 게르만어파고 프랑스는 라틴어의 직계후손뻘인 로망스어군인데

    • @user-ev7eo6lm8r
      @user-ev7eo6lm8r 5 ปีที่แล้ว

      @@kimjaehan9393 불어와 이태리어는 같은 파이지만 발음도 그렇고 다른점이 없지않아 있소이다만?

    • @user-ev7eo6lm8r
      @user-ev7eo6lm8r 5 ปีที่แล้ว

      @@kimjaehan9393 눈아파요 책읽는거같아오

    • @user-ev7eo6lm8r
      @user-ev7eo6lm8r 5 ปีที่แล้ว

      @@kimjaehan9393 방에 갈색 안경 두개있소이다만...

    • @K69534
      @K69534 3 ปีที่แล้ว

      유럽 대다수 언어들이 인도유럽 어족이어서 서로 유서함

  • @user-du7cx9wb5z
    @user-du7cx9wb5z 5 ปีที่แล้ว +5

    영어같은 경우도 간단한 단어는 게르만계지만 어려운 단어(약 60%)는 라틴계라서 어려운 단어를 쓰면 프랑스인 이탈리아어와 통하는 것도 있죠.

    • @user-cs2cc4do6g
      @user-cs2cc4do6g 5 ปีที่แล้ว +3

      Bastard 이 단어 발음 독일어랑 비슷함 ㅋㅋ

    • @minchurlshin9831
      @minchurlshin983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대 중세 프랑스에 있던 노르만족(북유럽)들이 프랑스내 세력다툼에 밀려 영국으로 들어가 정복왕조를 세워 생긴 결과죠. 그래서 초기 지배층은 프랑스어 백성들은 고대 영어 쓰다 나중에 프랑스영토내 세력을 다 잃고 나서는 프랑스와 원수지간이 되서 결국 지배층이 프랑스어를 포기하고 영어만 쓰게 되죠.

  • @user-qv1fy7lv3y
    @user-qv1fy7lv3y 5 ปีที่แล้ว

    신기하네요 ~흥미로웠어요~^^

  • @user-wi6kg4zz8m
    @user-wi6kg4zz8m 5 ปีที่แล้ว

    언어라는게 되게 신기하네요. 흥미로운 영상이었습니다.

  • @user-qo9qm6dy9u
    @user-qo9qm6dy9u 5 ปีที่แล้ว +8

    이건 서양권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로마를 근간으로 굉장히 비슷한 느낌의 단어들이 각국에 많이 퍼져있더라고요.
    영어 단어 공부할 때, 동양권의 한자처럼 어미, 어간, 어근.. 이런 걸로 쪼개서 공부가 가능했던것도 신기했고요.
    동양권에서는 한자가 근간이라면 서양권은 라틴어죠.

    • @wiy3789
      @wiy378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가 한자공부하느라 고생하듯이, 유럽권에서는 라틴어공부하느라 고생하죠.

    • @user-gd9pd9vc1g
      @user-gd9pd9vc1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서양도 마찬가지로 고급어휘들은 다 라틴어이고 학문쪽은 죄다 라틴어가 자리차지 하고있다고 보면됩니다 한자처럼 조어력이 굉장히 쎄서

  • @NoEn007
    @NoEn007 5 ปีที่แล้ว +170

    초반부 지도에 일본해 표기입니다
    참고해주세요
    영상 잘보고갑니다

    • @lunacat55
      @lunacat55 5 ปีที่แล้ว +36

      0:17 sea of japan ^^ fucking map

    • @user-xn8qp5zg5u
      @user-xn8qp5zg5u 5 ปีที่แล้ว

      아...그러네요

    • @user-lu1ix6ov7m
      @user-lu1ix6ov7m 5 ปีที่แล้ว +8

      우리나라에 민감한 주제인 조심해주세용

    • @noinstein7041
      @noinstein7041 5 ปีที่แล้ว

      외국애들 다저렇게표시함

    • @NoEn007
      @NoEn007 5 ปีที่แล้ว +23

      @@noinstein7041 외국사람이 저렇게 표시하는게 당연한건아니죠
      한국사람도 그럴수있는 실수이고 그렇지만 시정하게끔도와주면서 인식하고 변하는거죠

  • @arcyoon
    @arcyoon 5 ปีที่แล้ว

    엄청 재미있네요! 심화되면 연구논문도 될 듯 합니다.

  • @user-zq4tw8cm8j
    @user-zq4tw8cm8j 5 ปีที่แล้ว

    유익한 영상이네요.

  • @guardthesoul5691
    @guardthesoul5691 5 ปีที่แล้ว +3

    언어학자들이 해야 할 일인데 재밌어서 이런 영상 만들어 주는 것이 고맙네용

    • @louisjean3654
      @louisjean3654 5 ปีที่แล้ว

      언어학자들이 너처럼 노는 줄 아냐. 서점에 가봐라 언어학자들이 쓴 책 많으니까. 니가 관심이 없어서 책을 안읽은걸 언어학자탓을 하네 ㅋㅋ

    • @user-tm2ml1re2z
      @user-tm2ml1re2z 5 ปีที่แล้ว +1

      언어학자들이 나름 무언가 하기도 할테지만, 꼭 언어학자가 아니라고 이런 유익한 행위를 하는게 잘못된 일도 아니니 이런 상황에서는 자격이나 지위 같은 언급이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언어학자들도 유투브에 올림 니가 평소에 안찾아보니까 모르는거지

  • @ekgns113
    @ekgns113 5 ปีที่แล้ว +3

    일본어 중국어를 들을 때 비슷하게 들리는 단어가 많이 있다는걸 느낄정도로 아시아 언어?에 관심이 있다는게 놀랍네요.

  • @leafa2118
    @leafa2118 5 ปีที่แล้ว

    한자어 비슷한거 너무 신기하네요! 잘보고갑니다

  • @yslje6052
    @yslje6052 5 ปีที่แล้ว

    와 진짜 재밌게봤어요

  • @user-zg8iq9gs7x
    @user-zg8iq9gs7x 5 ปีที่แล้ว +6

    인정하고 싶지 않은 분도 있겠지만 중국 한나라 이 후 중원 지역은 동아시아의 패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규모와 인구가 많았기 때문에 사회, 기술, 문화가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새로운 개념들이 많이 생성 되었습니다.
    새로운 개념들과 함께 어휘(단어) 또한 주변국들에게 전파되었고 한자로 된 어휘가 많은 이유는 이 때문입니다.
    중원 밖에서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진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중원이 패권지역이자 문화 중심 지역이기 때문에 중원으로 먼저 수입된 후 한자로 된 어휘로 변환 되어 주변에 다시 수출되었습니다.
    그것이 성공적인 경우 먼저 그 개념을 만들어낸 나라도 다시 중국의 어휘를 재전파 받아 자신의 어휘를 바꾼 경우도 있습니다.
    또 다른 경우 중원 밖에서 새로운 개념을 만들었다 해도 그 개념은 전에 존재하던 개념의 확장,변형,통합,왜곡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때문에 기초가 되는 한자 어휘가 조합되어 새로운 개념은 한자 어휘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여기서 중원은 중국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닌 중원을 지배 혹은 쟁투했던
    한족, 융족, 흉노, 갈족, 선비, 저족, 강족, 여진, 몽골, 거란이 세운 국가들을 말합니다.
    한민족은 아쉽게도 스스로 극동의 패권국을 자칭한 적은 있지만 중원의 패권에 도전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 @user-qt1ys7xb9x
      @user-qt1ys7xb9x 5 ปีที่แล้ว

      중국이 동아시아 패권을 가진건 명나라까지지 그 이후는 아예 서구 제국들혹은 일본제국이 다 가지다 시피했으니 완전히 동아시아의 패권을 중국이 계속 가지고 있다는건 무리아닌가...

    • @user-zg8iq9gs7x
      @user-zg8iq9gs7x 5 ปีที่แล้ว

      @@user-qt1ys7xb9x 네 정확히는 중원이 패권을 가졌던 것은 만주족의 청나라가 마지막입니다.
      그래서 청나라 말기 새로 유럽에서 유입된 어휘는 한자로 음차하여 주변국으로 전파되다가
      그마저 중원이 완전히 패권을 잃어버리자 직접 유럽에서 새로운 개념과 어휘가 들어와 각국에 자리잡게 됩니다.
      그러다가 일본이 동아시아의 패권을 차지하자 일본어 어휘들이 새로운 개념과 함께 동아시아에 퍼지게 됩니다.
      그리고 현제는 미국이 패권을 가지고 있고 여러 새로운 어휘가 영어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 @qqpp6017
    @qqpp6017 5 ปีที่แล้ว +6

    저도 일본어는 좀 하는데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많긴하죠. 확실히 아시아 권에서는 엤날부터 중국의 영향력이 컸으니까 생기는 영향이라고 생각듭니다.

    • @qqpp6017
      @qqpp6017 5 ปีที่แล้ว +1

      @Hello and bye 확실히 일본식 한자와 한국식 한자 중국식 한자가 모양과 그 쓰임새가 다른경우가 많죠. 맨처음 일본어를 배우면서 느낀점이 그런게 있었어요. 나라'국' 이라는 한자는 國 囯 오른쪽이 한국에서 쓰는 나라국 이고 왼쪽이 일본에서 쓰는 나라국입니다. 기본은 비슷한 느낌으로 나갔어도 서로다른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다르게 바뀐겄같네요.

    • @leelee7718
      @leelee7718 5 ปีที่แล้ว

      @Hello and bye
      나라 국은 사실 國이 오리지널,国이 약자ㅋㅋ
      성리학 숭상해서 중국과 한자에 대한 사대주의 때문에 약자를 안 쓰는 경향 있고 예외 거의 없는ㅋㅋㅋ

  • @user-ki4gz4cd7s
    @user-ki4gz4cd7s 4 ปีที่แล้ว +1

    와~! 저도 언어학에 관심이 많아요. 언어의 생성, 변천을 생물의 진화론과 견주어 생각하는데... (넘 어려운 개념 )
    파블로 님이 진화론적 관점으로 언어에 대해 논설해주시면 좋겠어요. 부탁해요. 꼭이요. 하하~!

  • @user-kn6te5um6w
    @user-kn6te5um6w 5 ปีที่แล้ว +1

    와 재밌어요.. 중국어 베트남어까지

  • @testxxxx123
    @testxxxx123 5 ปีที่แล้ว +22

    Very informative video! It is one of the few videos that I saw actually had Vietnamese in it. Until today I don't realize they are many Chinese related words in its vocabulary since its alphabetical writing and distinct pronunciation, it is hard to tell how those syllables combine with each other.
    It is cool to see that Chinese language had been adopted in various way and degree by the neighboring countries. That being said, I do think it is these countries' own rights to choose how and how much they want to use/keep Chinese in their own languages. After all, language is us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not hindering it, and Japanese/Korean/Vietnamese are after all, very different languages, it should be no surprise to anyone that the use of Hanzi/Kanji/Hanja will need to adapt to reflect those underlying differences. However, the sharing of a common set of Chinese word roots could certainly benefit each other in learning each others' language for it is easier to make sense and generalize based on it.
    Again, great video and cast. Looking forward for future updates :)

    • @minler6509
      @minler6509 5 ปีที่แล้ว +1

      I absolutely agree with your last mention. Whatever it means, a far easier to learn each other languages.

    • @user-yt5ne8kh4p
      @user-yt5ne8kh4p 2 ปีที่แล้ว +1

      모두 다 비슷합니다 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 소통 불가능

    • @user-it1pk1lw9z
      @user-it1pk1lw9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글자로는 가능한데, 중국은 간체자로 바꿨고, 베트남은 알파벳, 한국은 잘 쓰지않고, 일본은 번체자라서..... 좀 힘들긴 합니다.

  • @mhj21tv
    @mhj21tv 5 ปีที่แล้ว +47

    그래서 한중일은 말이 통하지 않아도 필담(筆談)으로 어느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다만 한중일,대만까지 사용하는 한자가 조금씩 달라서 (번체,간체 등) 완벽하게 의미가 전달되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 한자는 중국에서 유래되었지만 중국,일본 등에서는 모양을 단순하게 바꿔 쓰고 있고 한국, 대만은 옛 한자 모양을 거의 그대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國, 国 = 나라 )

    • @joupey8127
      @joupey8127 5 ปีที่แล้ว +2

      若雙方通識漢文,筆談應無障礙。

    • @Mia-cw9rd
      @Mia-cw9rd 5 ปีที่แล้ว +14

      ESL에 중국인 친구 있는데 급 영어로 말 안통하면 핸드폰 앱 한자사전 켜서 한자어로만 보여줘도 웬만큼 뜻은 통하더군요. 차라리 그게 구글 중국어 번역보다 나은듯요. 구글번역 개똥같음.

    • @user-bf4tc2qs2u
      @user-bf4tc2qs2u 5 ปีที่แล้ว +10

      요즘 한국젊은이들은 필담이 불가능합니다. 한국교육에서 한자를 뺀다음부터세대는 이미 이 대 우세를 버렷어요.

    • @_behbae_
      @_behbae_ 5 ปีที่แล้ว +9

      图 圖 図 그림 도
      卖 賣 売 팔 매
      读 讀 読 읽을 독
      龙 龍 竜 용 용
      중 한 일 순서

    • @user-bf4tc2qs2u
      @user-bf4tc2qs2u 5 ปีที่แล้ว +1

      @@_behbae_ 알아볼수 잇다는거.

  • @popvivi8171
    @popvivi8171 5 ปีที่แล้ว

    일본어를 중급 정도 하는데 한자 단어만 빨리 외우는게 굉장히 도움이 됐어요 한자 글자의 음만 다시 기억해 주면 되니까 좀 빠르더라구요 요즘은 중국어를 배울 것도 생각 중입니다 의뢰로 한자 단어의 의미 비슷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아서 문법은 좀 어렵겠지만 해 볼 만하다고 생각되더라고요

  • @MINN1EME
    @MINN1EME 5 ปีที่แล้ว +1

    이 컨텐츠 너무 좋아요!!! 2탄 만들어주세요 ㅎㅎ 더 많은 단어 들어보고 싶어용!!

  • @sanzo213
    @sanzo213 5 ปีที่แล้ว +9

    션님께서 보여주신 것은 같은 한자를 다르게 읽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거 같아요. 마치 paris의 프랑스식 발음은 빠리인 반면, 미국식 발음은 페어리스인것처럼요. 즉 豫想이란 한자에 대해 한국식 한자발음은 예상인 반면, 일본식 한자발음은 요소오가 되는 것이지요

    • @serpens1789
      @serpens1789 5 ปีที่แล้ว +4

      빠리 ㄴㄴ 빠히 ㅇㅇ

    • @sanzo213
      @sanzo213 5 ปีที่แล้ว

      @@serpens1789 답변 감사합니다

    • @durrk1234
      @durrk1234 5 ปีที่แล้ว

      @@serpens1789 r을 영어의 h처럼 읽는 불어특성.. 그와중에 그 발음이 표기 가능한 한국어의 위엄에 소름 ㄷㄷ

    • @joohyungha
      @joohyungha 5 ปีที่แล้ว

      사실은 그정도 유사성에도 못미치죠

  • @Getlosttt
    @Getlosttt 5 ปีที่แล้ว +40

    “I eat pizza” wasn’t the best example because 比萨 (Bi sa) is a phonetic translation. Good video nonetheless!

  • @user-un7mx1ji1x
    @user-un7mx1ji1x 5 ปีที่แล้ว

    요즘 한창 관심있던 주제ㅎㅎㅎ

  • @user-be5op8us4u
    @user-be5op8us4u 5 ปีที่แล้ว

    재미있어요ㅋㅋ

  • @user-kf3qs1fs4t
    @user-kf3qs1fs4t 5 ปีที่แล้ว +3

    00:03 오늘의 테마는 ‘한조’의 영향 이에요!

  • @JoonLanguageTube
    @JoonLanguageTube 5 ปีที่แล้ว +28

    댓글에서 많은 분들이 말씀 하셨듯이 많은 현대 한자어들은 메이지유신시대에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들입니다.경제, 철학, 민주주의 등등 和製語, 와세이고라고 하는데요.
    일본이 이렇게 한자를 활용해서 번역을 한 이유는 서양문물을 빠르게 받아드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을 이해 할 수 있는 언어 도구가 필요 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자는 단어 하나하나가 뜻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번역에 큰 도움이 됬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당시에 Democracy라는 새로운 개념은 민주주의로 번역을 했는데 이는 사람이 (민, 民) 주가 되어서 (주, 主) 의사를 결정한다 (주의, 主義) 라는 뜻인데, 당시 일본 사람들에게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없었음에도 한자어를 보고 뜻을 유추 할 수 있엇을 것 입니다.
    한자의 특징을 잘 활용한 번역은 서양문물과 사상을 사용한 일본의 빠른 발전에 기여하였고, 여전히 한국과 중국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ss-bc5qp
      @ss-bc5qp 5 ปีที่แล้ว +2

      ㄱㅏ장 기본적인 월月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일日.지地.천天.공空.해海 발음이 비슷한데.이것도 일본이 만든건 아니죠.일부 예전에 없던 현대식단어만 만든거지.

    • @JoonLanguageTube
      @JoonLanguageTube 5 ปีที่แล้ว +9

      @@ss-bc5qp 네 맞는 말씀입니다. 일본이 만든 단어들은 보통 하나의 단어가 아니라 단어를 조합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낸 경우가 많죠. "中华人民共和国,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의 국가 정식 명칭입니다. 여기서 "중화"를 제외하고 인민공화국 전부 일본이 근대에 창조한 단어입니다. Republic을 공화국으로 번역했기 때문이죠. 한자의 종주국이라고 자부하는 중국 입장에서는 자존심이 상할 만한 일이죠.

    • @ss-bc5qp
      @ss-bc5qp 5 ปีที่แล้ว +3

      @@JoonLanguageTube 그쵸.그럴수밖에 없는 이유가 일본이 먼저 근대화해 서양식개념을 한자어로 말들었으니까요.

    • @JoonLanguageTube
      @JoonLanguageTube 5 ปีที่แล้ว +2

      @@ss-bc5qp 그렇죠. 일본은 지금도 세계 최고의 번역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서 몇일이면 논문도 완벽히 번역되 나온다고 합니다. 반면에 이런 점이 일본의 국제화, 영어 실력을 떨어뜨리고 있지 않나라고 저는 생각합니다ㅎㅎ

    • @user-sl7zb2jm2n
      @user-sl7zb2jm2n 5 ปีที่แล้ว +6

      일본 한자어이지만, 일부는 중국 고전에서 차용된 게 있죠. 님께서 말한 경제(economy)는 경세제민에서 따온 거고, 연설(speech)은 불교 용어에서 따왔습니다.

  • @whgmlwnd1
    @whgmlwnd1 5 ปีที่แล้ว

    상당히 고차원적인 접근법이고 상당히 연구하신게 느껴지네요

  • @wkddbwkddb3768
    @wkddbwkddb3768 5 ปีที่แล้ว

    좋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