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 실천이성비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3 ก.ย. 2020
  •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칸트의 윤리학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5

  • @user-ps2kd3hr3s
    @user-ps2kd3hr3s 3 ปีที่แล้ว +134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한가지 의견을 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공리주의가 착하게 사는 것이 아닌 행복하게 사는 것을 중요시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공리주의 자체가 하나의 규범윤리학으로서 착하게 살아야한다는 규범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칸트와도 마찬가지입니다. 두 입장의 차이점은 규범에 대한 관점이 다른 것입니다. 칸트는 이성의 작동을 따른 도덕법칙의 순응과 행동으로 본 것에 반해 공리주의는 행복감의 최대 증진으로 본것이죠. 이 행복감, 쾌락이라는 것 때문에 착하게 사는 것 이외의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을 도덕의 기준으로 삼은것입니다. 예를 들어, (공리주의에 대한 모순이라며 비판점이기도 합니다만) 나는 손해고 싫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행동이라면 그 행동은 해야하는 것이지요. 이런 철학이 착하게 사는 것에 관심이 없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요.
    공리주의와 칸트를 구분하는 질문은 착하게 사는 방법이 무엇이냐를 통해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늘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m8wm5yc6e
      @user-pm8wm5yc6e 3 ปีที่แล้ว +1

      엄 그런데 꼭 나에게서 나가는 것들이 꼭 손해이자 싫은 것이라 해야 하나요?
      그럼 봉사활동과 기부의 본질은 도덕적 의무인가요??

    • @user-ps2kd3hr3s
      @user-ps2kd3hr3s 3 ปีที่แล้ว +15

      @@user-pm8wm5yc6e 봉사활동을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가 있죠. 칸트 관점으로는 봉사활동이 의무이기 때문에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이 도덕적인 사람인것이죠. 공리주의 관점에서는 봉사활동은 항상 좋은 것일 가능성이 높은 활동으로 볼 것입니다. 그런데 그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이 스스로도 즐거워하면 전체 쾌락이 더 커진것이니 더할 나위 없이 좋은것이고요. 봉사활동의 본질이 무엇이냐에 대해서는 도덕철학의 관점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칸트와 공리주의 관점으로는 둘 다 도덕적 의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공리주의에 대해서 의무라는 단어를 잘 쓰지 않는 이유는 칸트와 대비하기 때문입니다. 전체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행동이 의무이다라는 도덕적 규범을 공리주의가 가지고 있는 것이죠. 본인이 하기 싫은데 여러 사람이 좋다고해서 하겠냐는 것에 대해서는, 공리주의가 개인의 쾌락과 사회적 쾌락이 일치한다고 가정했다라는 비판을 받게 되는 대목입니다.
      덧붙여 말하면 공리주의의 담론은 선택 상황에 놓였을 때 어떤 선택이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적합한 선택이냐를 두고 이야기합니다. 등장 배경도 산업사회의 노동자의 어두운 삶에 대해 이게 올바른 길이냐에 대한 고민에서 나온것처럼요.
      그런데 봉사활동같은 경우 본인이 직접 봉사활동을 해야겠다! 하지 않으면 그 상황에 강제로 놓이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공리주의의 예시로 잘 쓰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 @jewsharp0
      @jewsharp0 3 ปีที่แล้ว +14

      @@user-ju8dc8ww5n 단순히 그리스도를 믿고 성경의 말씀대로 살아가는 순종적인 사람으로 사는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요

    • @theoldpilgrimway9129
      @theoldpilgrimway9129 3 ปีที่แล้ว +7

      신을 믿으라는게 머리 떼고 믿으라는건 아니잖아요. 기독교신학은 ‘이해를 추구하는 믿음’입니다. 맹신이 아니에요^^

    • @cogitoergosum9182
      @cogitoergosum9182 3 ปีที่แล้ว +3

      jh 이게 맞다고 봅니다 완전한 개인화로부터 완전한 전체화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개인의 행복을 배제한 전체의 행복은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위선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UCJqIUBcL-2ZeJ2FsrUwT9Ag
    @UCJqIUBcL-2ZeJ2FsrUwT9Ag 3 ปีที่แล้ว +33

    다시 한번 느끼지만 천재는 인류를 사랑하고 사랑했던 사람들.

  • @user-ym3jr3wh9r
    @user-ym3jr3wh9r 3 ปีที่แล้ว +1

    오늘도 감사합니다!! 쉽고 재밌고 쵝오!!

  • @user-ux7il6lu7k
    @user-ux7il6lu7k 3 ปีที่แล้ว

    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parksungjoo01
    @parksungjoo01 3 ปีที่แล้ว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hu4vl6ex9v
    @user-hu4vl6ex9v 3 ปีที่แล้ว +3

    늘 즐겁게 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AIArtistNoahC
    @AIArtistNoahC 2 ปีที่แล้ว +1

    깔끔한 정리와 재밌는 영상 언제나 최고입니다.

  • @user-cw3xw7dz4j
    @user-cw3xw7dz4j 3 ปีที่แล้ว +6

    철학을 쉽게 배울 수 있어 좋습니다!

  • @iloveclassicbooks
    @iloveclassicbooks 3 ปีที่แล้ว +4

    신의 존재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이 재미있네요 ~ 사례와 같이 칸트를 설명해주시니 너무 명료하고 좋아요!!

  • @MrLcf416
    @MrLcf416 ปีที่แล้ว

    선생님 감사합니다 영상 자주 보러오고있어요

  • @tripofdogs
    @tripofdogs 3 ปีที่แล้ว +8

    철학채널으로 10만.....! 축하드려요~~~

  • @87rkeldjswm93
    @87rkeldjswm93 3 ปีที่แล้ว +8

    교수님 영상들 너무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양자역학이나 과학과 관련된 주제들 철학적으로 해석도 부탁드려요

  • @Meta_Baek
    @Meta_Baek 3 ปีที่แล้ว +6

    마지막 칸트 비판에 대한 변호 부분
    너무 좋아요 최고에요.

  • @ttia1002
    @ttia1002 3 ปีที่แล้ว +4

    훌륭한 강의입니다 :)

  • @byoungseoklee2933
    @byoungseoklee2933 2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생각이 정리 되기도 하고, 좀 더 깊이 생각해 볼 것도 생겼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계속 부탁드립니다.

  • @bryanss716
    @bryanss716 3 ปีที่แล้ว +1

    원칙과 변칙의 양다리를 걸쳐 보고자 합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eo4rx6ot8r
    @user-eo4rx6ot8r 3 ปีที่แล้ว +1

    항상 감사합니다

  • @sungwonchoe
    @sungwonchoe 3 ปีที่แล้ว +2

    따끈한 영상이네요. 매일 한두편씩 재미있고 유익하게 보고있습니다. 지난 영상들 다 못봤지만 새것부터 잘 보겠습니다.

  • @user-zb6yy1zn7z
    @user-zb6yy1zn7z 3 ปีที่แล้ว +15

    5분이라더니 부들부들..

  • @parkch1123
    @parkch1123 3 ปีที่แล้ว +7

    어렵고 고리타분하고 알듯하다가도모르는 칸트....그런데 후반부설명에 왠지 가슴이 뭉클합니다 아 칸트

  • @jagabee0101
    @jagabee0101 3 ปีที่แล้ว +35

    착한 사람이 행복한 세상... 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ne4ft5oo2v
    @user-ne4ft5oo2v 3 ปีที่แล้ว

    넘재밌어요 감사합니다😁

  • @ejjejejenrt4500
    @ejjejejenrt4500 3 ปีที่แล้ว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떠먹여주시는 것 같아요.

  • @Chris-cp6uj
    @Chris-cp6uj 3 ปีที่แล้ว +3

    이순재 선생님의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가 나와서 빵터졌네요! 착한 사람이 행복해질수 있는 사회. 그리고 그러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바른길. 칸트가 살았던 시대나 현대인이나 모두 그 어디든, 살아가는 모습이나 고민은 비슷한것 같네요~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 @dhmoon6637
    @dhmoon6637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감사 합니다.

  • @user-km4rq4bm9o
    @user-km4rq4bm9o 3 ปีที่แล้ว

    항상 감사합니다 그리고 10만 축하드립니다 ㅎㅎ

  • @3334
    @3334 3 ปีที่แล้ว +5

    교수님 채널 보면서 항상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Yanbyy
    @Yanby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훌륭한 영상입니다

  • @go9me
    @go9me 3 ปีที่แล้ว +2

    와우.. 구독자수 오천명일때부터 본거 같은데 벌써 구독자 10만이네요! 축하드립니다!
    그동안 많이 배우고 알게되었어요~ 앞으로도 좋은 내용 많이 알려주세요~^^

  • @MrLcf416
    @MrLcf416 ปีที่แล้ว

    5분 뚝딱철학 1,2권 책도 샀는데 자기전에 부분부분 정독하니 인생에 도움이 많이 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user-re9qh7nt8c
    @user-re9qh7nt8c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행복해 지네요.

  • @dejaro7255
    @dejaro7255 ปีที่แล้ว

    교수님 영상보면서 항상 느끼지만, 이런 분과 소주 한 잔 마시면서 대화하면 진짜 행복할 거 같네요.
    1열에서 철학강의! ㅎㅎ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vsungjoon3362
    @tvsungjoon3362 3 ปีที่แล้ว +24

    마지막이 와닿네요. 칸트가 만들려고 했던 사회라니. 착하게 사는 사람이 행복해지는 사회. 요즘 같은 코로나 시국에 힘겹게 방역수칙 지키느라 많은 손해를 보고 계시는 자영업자분들을 생각해서 제발 원칙과 의무를 잘 지켜야... 다른 분들이 손해가 줄어들텐데요...

  • @GameThirteen
    @GameThirteen 3 ปีที่แล้ว

    구독자 10만명 축하드리고 항상 감사드립니다!

  • @okkim8966
    @okkim8966 3 ปีที่แล้ว +6

    정말 감사드립니다. 혼자서 삶과 종교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는데, 큰 깨닮음을 얻고 갑니다. 몇번이고 돌려봤어요 ^^

  • @user-kl3og1do2b
    @user-kl3og1do2b 3 ปีที่แล้ว +2

    이 채널에서 본 것 중에 가장 클릭하게 만드는 섬네일이었습니다.

  • @user-ue6fc9vj2v
    @user-ue6fc9vj2v 3 ปีที่แล้ว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aerockh
    @aerockh 3 ปีที่แล้ว +3

    10만 축하드립니다!

  • @HarmonyDT
    @HarmonyDT 3 ปีที่แล้ว

    생각이 많은날 산책하면서 듣는데 너무 감동이네요.

  • @user-gd4gk5cs8z
    @user-gd4gk5cs8z 3 ปีที่แล้ว +27

    철학 채널로 11만 6천이면 일상 적인 분야였으면 100만 급입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한 마디 한 마디 가슴까지 닿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sprigacacia
      @sprigacacia ปีที่แล้ว +1

      빠라바빠빠

    • @user-rh2ce1bz9u
      @user-rh2ce1bz9u ปีที่แล้ว +2

      한국인들이 철학에 더 관심이 많아야 하는데 돈 안 된다는 이유로 내팽겨치고…. 인간에 대한 이해도는 떨어지고ㅋㅋㅋ 아주 개판이죠;

  • @urimlee0811
    @urimlee081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감사해요 . 이해 됐어요

  • @yebeenjeong1401
    @yebeenjeong140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재밌어요..

  • @user-eq2wq9ip8j
    @user-eq2wq9ip8j ปีที่แล้ว +3

    칸트의 의무주의는 저에게 있어서 숨통을 트게 해주는 철학인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리주의를 중시하는데 여기의 문제점 중 하나는 희생양이잖아요. 저같은 경우에는 중국인 유학생분을 처음에 그냥 도와줬는데 어느새 무슨 일이 생길 때마다 제가 도와주어야 되는 상황으로 흘러서 숨이 턱 막혔습니다. 공리주의에서는 ‘무조건 네가 도와줘야지’를 강요한다면 칸트는 ‘네가 생각하는 도덕적 가치는 무엇이니?’하며 저의 자유의지를 중요시하는 느낌입니다. 물론 칸트를 봤을 때도 그분을 돕는게 맞다고 귀결되긴 하네요😅 공리주의 시각 이외에 다른 시각도 있음을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 @asdqwe8921
    @asdqwe8921 3 ปีที่แล้ว +1

    많은 영상에서 결정론과 자유 의지가 언급되네요.
    그만큼 철학에 있어 중요한 문제라는 거겠죠?
    예전에 시간여행, 시간의 속성을 다룬 시리즈를 어렵다고 넘긴 적이 있는데, 이번 주말에 다시 봐야겠어요.

  • @BuskerK
    @BuskerK 3 ปีที่แล้ว +3

    칸트의 주장이 너무 어려워서 제 수준에서 이해하기가 너무 너무 힘들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 나니 이제 조금... 아주 조금... 알 것 같네요.ㅋㅋ
    감사합니다.^^

  • @user-yi7ic4iu7f
    @user-yi7ic4iu7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김필영쌤 영상 여러 개 오프라인 저장하여 돌려보고 있습니다. 칸트가 어렵고 지루하다고 하는데 이렇게 재밋고 깊은 생각을 할 수 있게 길을 열어주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지금도 광덕산 정상에서 영상을 다 보며 많은 생각에 잠겼습니다.
    감사합니다. 연말연시 하시는 일 잘 되시길 바랍니다유~^^😅

  • @user-sg1bz4wi2d
    @user-sg1bz4wi2d 3 ปีที่แล้ว

    요즘 비문학을 많이 푸는데 철학이 나올 때마다 도움 많이 되고 있습니다
    물론 고민도 하루하루 깊어지네요

  • @user-cu6kh5sy6k
    @user-cu6kh5sy6k 3 ปีที่แล้ว

    드디어 비판서 3개가 마무리되었네요
    수고하셨습니다.

  • @user-nz2xi9qj8t
    @user-nz2xi9qj8t ปีที่แล้ว

    잘 봤습니다 요약 잘하시네요

  • @user-qy3oy7ds2l
    @user-qy3oy7ds2l 3 ปีที่แล้ว +8

    영상 잘 보았습니다. 칸트 본인 자체도 영상에서 언급하신 처세술을 직접 행하기도 했죠.
    그런 만큼 칸트 본인도 사는데 거짓말 안하고 안 할 의도를 가지고 사는 것은 힘들다라는 생각을 했을 것이라 봅니다.
    그래도 칸트의 주장은 영상에서 언급하신대로 도덕에 관한 원칙을 강조하기 위함이라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원칙을 바라보며 현재를 반성하고 도덕적인 삶을 살기 위한 지표로써 말이죠.
    착하게 잘 살고 싶은데, 착하게 사는것과 잘 사는 것 하나도 잘 하기 어려운 세상이네요. 하나라도 잘 했으면 더 나은 삶을 살고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매 주 한 가지의 생각거리를 던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d9mp3do5h
    @user-ed9mp3do5h ปีที่แล้ว +1

    ㆍ영리하게 착하면 해결됩니다
    그래서 철학을 공부한 것이죠
    ㆍ거짓말을 지혜롭게 작용, 사용
    하면 됩니다
    긍정적 합리화, 선의의 거짓말
    긍정적 플라시보 효과.. 등등
    이분법적 관점으로 보면 안되겠지요
    좋고, 나쁨, 이라는 것은 원래
    없잖아요
    영상 잘 봤습니다 💖👍

  • @thumbup8801
    @thumbup880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직하게 살면 매우 편합니다. 가끔은 상대방을 위해 하얀 거짓말도 하면서...결과적으로 잘못된 언행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 당시 나의 감정에 충실했던 것이며 주변을 모두 고려하지 못했던 것의 결과입니다. 정직하게 사과하고, 진심을 다해 설명을 하고 나면 편해집니다, 행복까지는 아니더라도.....

  • @denimstore
    @denimstor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떻게 하면 행복할만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 될수 있는가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 @vagabond7199
    @vagabond7199 3 ปีที่แล้ว

    정리가 잘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unuson0704
    @junuson0704 3 ปีที่แล้ว +3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이라.. 감사합니다.

  • @user-qk2by8sl6x
    @user-qk2by8sl6x 3 ปีที่แล้ว +1

    한참 찾았어요
    역시 초자아 치니까 나오네요.
    밴드에서 본 적있는데 초6인 나한테
    엄청 충돌적이게 봤는데 완전 딴차원얘기

  • @happyet5968
    @happyet5968 2 ปีที่แล้ว

    정언명령을 설명하는데 순재할배가? 집중하다 빵 터졌어요. 덕분에 되돌리기 했어요 ㅋ

  • @levanmagnus3499
    @levanmagnus3499 ปีที่แล้ว +1

    안네와 나치의 이야기는 좀 손가락만 보고 거짓말은 나쁘다 알려줘야한다가 목적인거같은데, 애초에 그 나치가 안네를 찾아서 죽이려는 거고 그걸 동조하는 거이거 여기서 도덕은 바로 사람을 구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거짓말이냐 아니냐보다 사람을 살리냐 안살리냐를 도덕적인 관점을 둬야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 @user-si9ht8sl1p
    @user-si9ht8sl1p 3 ปีที่แล้ว +1

    착하게 사는 시기가 있고 성장하는 가운데
    착한것 보다는 바르게 살아가는 방향으로
    바꿔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바르게 사는것이 즐겁고 행복으로 가는 길이며
    그것이 타인에게도 피해가 가지 않겠습니까
    흔히 착하면 호구되기 딱 좋죠
    시대에 따라 변화해야 된다 생각합니다.
    바르게 사는 세상이 되길 바라며...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dq1vt9jd1f
    @user-dq1vt9jd1f 3 ปีที่แล้ว

    김상현교수님.강의 보긴했는데 ㅋ 선생님 강의보고 다시보면 좀더 보기수월할듯싶네요

  • @energygreen3769
    @energygreen3769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hk3zr5xp9u
    @user-hk3zr5xp9u 2 ปีที่แล้ว +1

    누가 철학ㆍ지식은 1번이고 종교가 2번이라든데 틀리말은 아닌거 같고요.그러나 세상에는 그리 똑똑한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이니 쉬운 종교가 우위에 있을수밖에 없는것 같아요.나도 단순하고 쉬운거 좋아하고 맹신하니 편하던데요.종교에서 가르쳐주는데로배운데로 실천하니ㅡ 좋은 결과가 나오니 말이죠. 편하고 욕심 부리지 않으니 마음이 늘 천국..
    교수님 강의로 지식이 충만해집니다.감사합니다

  • @donghoshin3460
    @donghoshin3460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de1uh8sp6f
    @user-de1uh8sp6f 3 ปีที่แล้ว

    원초아 영상 다움우로 여운이 묵직하개 남는 영상이다 이 영상은 가끔 다시보기할듯

  • @nanaa7544
    @nanaa7544 3 ปีที่แล้ว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zx8vj8zf7e
    @user-zx8vj8zf7e 3 ปีที่แล้ว +3

    오늘도 놀라움과 경건함을 주는 두가지는
    하나는 철학영상 올라왔다는 알람이며
    다른 하나는 영상보고 난뒤의
    깨끗하리만큼 멍해지는 내머리속이다

    • @user-qc8qm3sn9c
      @user-qc8qm3sn9c 3 ปีที่แล้ว +1

      멍해지는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자극적인 영상은 많은데 굳이 이 채널와서 시청하며 이해하려는 당신은 인생의 발전의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다.(뭐 그렇다고 다른 영상들 비하하는것은 아님)

  • @MSG17
    @MSG17 3 ปีที่แล้ว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책은 언제쯤 나올까요?

  • @user-yt3zp6dt7l
    @user-yt3zp6dt7l 2 ปีที่แล้ว

    자유의지가 있어 좋음~♡

  • @onlibertykevin8063
    @onlibertykevin8063 3 ปีที่แล้ว +4

    정치인들 중에서 우리만이 정의의 세력이라는 자들을 항상 경계해야한다. 다함께 거짓말하는 사람들이 너무많아....

  • @roth4157
    @roth415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간의 모든 본능을 너무 이해하고 당연시하게 받아들이면 결국 세상은 엉망이 되는거죠 , 성경의 존재이유, 중간 접점을 잘 찾아서 유지하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 @user-pq8ve3od8h
    @user-pq8ve3od8h 3 ปีที่แล้ว +2

    어렸을적 명심보감만화책을 보고 원칙을 따랐죠
    행복했는지 불행했는지는 모르겠어요
    하지만 그 마음은 분명 아름답다고할 수 있겠지요
    혹시 끝부분에 삽입된 음악 알려주실수있나요?

  • @choi077
    @choi077 3 ปีที่แล้ว +1

    행복하게 살자 - 개인의 행복 극대화 => 다른 누군가(2)에게는 피해를 줄수 있음. => 자본가의 경우 값싼 노동력을 통하여 자기이득(1)을 극대화함.
    착하게 살자 - 다수의행복 극대화 => 모두에게 보편적인 행복의 법칙을 만듬 => 누군가를 도와준다.(자신의 시간 또는 자원을 뻇김), => 자신의 행복은 조금 줄어들게됨.
    (나의 행복 점수 + 타인의 행복 점수 x 10)/ 11= 공동체 행복 점수
    게임이론이랑 비슷함. 모두 평범하게 규칙에 의해 중간 점수를 가져간다면 공동체 행복 점수는 올라감. 그러나 개인의 행복을 조금더 가져가기위해 조금씩 규칙을 어긋나는 행동을 하게됨.
    규칙을 따르면 다수가 행복해질 수 있겠지만 소수의 자기자신에 대해 민감한 사람들은 규칙을 따르기 힘들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 @benjaminhur3701
    @benjaminhur3701 3 ปีที่แล้ว

    오 감사합니다

  • @user-sj7vk9zc5j
    @user-sj7vk9zc5j 3 ปีที่แล้ว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지금 설명하시는 칸트의 철학과 김필영님의 철학의 불일치로 인한 생각의 부정합으로 인하여~핀트가 어긋나게 느껴지거나 정리가 잘 안되어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어쩔 수 없는 부분이겠습니다만~ 칸트가 말한 양심에 비추어보아 자명하다고 인가 되는 것을 따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즉 개인의 행동의 준칙이 보편적 도덕법칙에 어긋나지 않는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지 물어보고 싶습니다.

  • @dongwonkim5043
    @dongwonkim5043 3 ปีที่แล้ว

    편집 재밌네요 ㅋㅋㅋㅋ

  • @user-7jf78kc2b5ilo
    @user-7jf78kc2b5ilo 2 ปีที่แล้ว +5

    마지막 말: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만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 될수 있는가? 근데 이말은 자기자신에게 할말이지 남에게 할말이 아니라 칸트가 말 하지 않은거 같네요. 뭉클

    •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2 ปีที่แล้ว +1

      오 이거 정말 철학의 핵심을 꿰뚫는 말이네요....

  • @user-pm8wm5yc6e
    @user-pm8wm5yc6e 3 ปีที่แล้ว +1

    선생님 이 부분은 니체의 주인도덕과 노예도덕개념과 같이 엮어서 생각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아요

    • @user-us9tm7yu6f
      @user-us9tm7yu6f 2 ปีที่แล้ว +1

      니체의 도덕은 신까지도 초월해 무한대로 상승하기만 하는, 엄격한 칸트를 너머 지독한 것임. 니체는 인류를 더 나은 종으로 진화시키려 하고, 칸트는 다른 도덕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생활까지로 제한됨. 자유를 우선시하는 것은 둘 다 쟝 쟈크 루소의 영향을 받은 것같음.

  • @CosmicPy
    @CosmicP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윤리학은 인류 최고의 전략적 지향점이다.

  • @chosy10101
    @chosy10101 3 ปีที่แล้ว +2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을 이렇게 쉽게 이해할수있다니

  • @user-cg7sl6uz2g
    @user-cg7sl6uz2g ปีที่แล้ว +1

    칸트에게서 의무의식은 실천이성의 명령이 항상 '옳다'는 이유 때문에 존경하게 됨으로써 생겨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의무는 우리 인간의 보편적 인간성으로서 선의지에 부합하기 때문에 의무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천이성의 명령을 존경함으로 생겨나는 의무는 실천이성과 선의지를 갖고 있는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며 타당한 의무로서 법칙이 될 수 있지만,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유용성의 원리는 '많은 사람에게 규범성을 지닐지 모르나 모든 사람이 따를 수 있는 의무의식을 유발시킬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소수의 사람은 반대의 입장을 지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것은 보편적인 인간 본성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리주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원칙은 의무가 될 수 없습니다. 그것은 개연성의 원리인 경험에 의존한 것이기 때문에 필연성에 근거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 커피한잔의 의문에 대한 코멘트입니다.-

  • @of_thermodynamicsthe_secon2039
    @of_thermodynamicsthe_secon2039 3 ปีที่แล้ว

    게임이론과 자연선택이 완성하겠군요

  • @user-bh6sp3ft3e
    @user-bh6sp3ft3e 3 ปีที่แล้ว +2

    칸트의 도덕의 기준에는 '내가 차별하고있는가?'가 있는 것같아요. 인간의 감정에 의한 행동은 항상 어떤 이유에서든 차별이 있을 수 밖에 없으니까요.

  • @user-ko5ee3vw8e
    @user-ko5ee3vw8e 3 ปีที่แล้ว

    들뢰즈의 철학에 관한 영상도 만들어주실 수 있나요?

  • @withnotbrain
    @withnotbrain 3 ปีที่แล้ว +2

    착하면 손해봐서 불행한거 같지만 사실 착하지 않다고 행복해지지도 않습니다... 덜 착함을 선택하고 타협하는 정도의 문제는 그 사람보고 당장 체포해야겠다 감방가야된다 할 정도의 문제는 아니고, 영상에 나온 살기위해 거짓증언을 하는 문제는 거짓증언을 했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고 불행해지죠... 그런데 죄책감 같은거 안 느끼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 사람은 욕망의 지배만을 받을뿐 행복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고 행복에 관심도 안 두더라구요..;;;;

  • @RockstarFrom82
    @RockstarFrom8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칸트의 이상은 이루기 어렵지만... 꼭 잊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nanakim5117
    @nanakim5117 3 ปีที่แล้ว

    20분을 5분보다 짧다고 느끼게 하는 마법 시전하심

  • @limlee6414
    @limlee641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언명령 (어떤 상황 속에 있더라도 무조건 따라야하는 도덕 법칙) ; 대표적인 예=>자기 행위의 원칙(주관적으로 타당한 원칙)이 보편 법칙(객관적으로 타당한 법칙)에 일치하도록 행위하라.
    최고선 : 착하게 사는 사람이 행복해지는 것

  • @user-xe8ny1yg4z
    @user-xe8ny1yg4z 3 ปีที่แล้ว +1

    이 영상으로 칸트의 사상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항상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보고 칸트의 윤리학에 대해 2가지 궁금한 점 있는데요, 첫 번째로 이 윤리학에서 정언명령을 혹시 양심이라고 볼 수 있는지, 혹 양심이 아니라고 하면 이성과 관련된 부분인지, 어떻게 정언명령을 가질 수(?) 있는 지구요. 두 번째로는 이 윤리학에서 오늘날 사형제도폐지에 관한 논제를 본다면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 @user-cv7li9jm5z
      @user-cv7li9jm5z 2 ปีที่แล้ว +2

      칸트에게 인간은 이성적 존재자이고 이성에 따라 자신이 세운 법칙에 따라 행위할수있는 자유를 지닌 존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은 존엄한거죠. 자연법칙에따라 사는 존재가아니라 자신이 세운 법칙에 따라 사는 존재라는 점에서요. 그런 점에서 살인자의 경우 반드시 사형을 해야한다고 했습니다. 그를 봐주는건 그를 이성적 존재자로서 대우해주는것이 아니라는거죠. 즉 사형은 안하는게 오히려 살인자의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행위라는겁니다. 다시말하면, 살인을 한것도 그의 자유에 따라 그가 이성적 판단에 따라 한행위이고(물론 잘못된 판단입니다) 그가 이성적 행위자임을 인정하고 존중한다면 그의 행위에대한 책임으로서 사형에 처해야한다는겁니다. 사형에 처하지 않는다면 그를 이성적 존재로 여기지 않는것이고 즉 존엄한 인간으로 보지않는다는것과 같습니다.

  • @user-kb6xl8re3d
    @user-kb6xl8re3d 3 ปีที่แล้ว +1

    굿나잇

  • @MichaelLee-yb8we
    @MichaelLee-yb8we 3 ปีที่แล้ว +3

    행복해질 수 있는 자격에 대하여 , 칸트는 논했다. 저도 그 결론에 대해 동의 합니다

  • @iop9182
    @iop9182 3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ㅋㅋㅋ 이거 썸네일 쓰셔도 되는겁니까 ㅋㅋㅋㅋㅋㅋ

  • @user-dm7xl5lg2h
    @user-dm7xl5lg2h ปีที่แล้ว +1

    결론은 칸트는 현실 세계에서 불가능한 도덕률을 제시했다는 거네요. 실제세계에서는 강제하지 않고 강제 할수도 없는 가이드라인 정도가 해결 책이라고 봅니다. 즉 자유가 중요한거죠.

  • @user-mt7ir7qh4t
    @user-mt7ir7qh4t 2 ปีที่แล้ว +1

    도덕적 틀에서 벗어나 윤리를 행하는것이
    진정한 도덕이다

  • @user-vo6jc5mg9w
    @user-vo6jc5mg9w ปีที่แล้ว +1

    착하게 사는게 지금 당장 행복합니다...

  • @user-zn5cv9hc1s
    @user-zn5cv9hc1s 3 ปีที่แล้ว +1

    공유했더니 제목이 달라졌어요
    이순재아저씨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내가 선택해서 보는 영상제목은
    누가 도덕적 인가? 인데요

  • @aerockh
    @aerockh 3 ปีที่แล้ว

    역대급이네요!!!

  • @user-jf6sb2zy7z
    @user-jf6sb2zy7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리의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browne7682
    @browne7682 3 ปีที่แล้ว

    아마도 그래서 순수이성과 달리 실천이성에서는 '요청된다'라는 개념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 @loverchem1860
    @loverchem1860 3 ปีที่แล้ว +3

    1분 전은 못 참지 ㅋㅋㅋㅋ

  • @user-kq8xw8vy9n
    @user-kq8xw8vy9n ปีที่แล้ว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