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천재적인 발상인 이유는 무엇일까?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상) | 주간 1쿠키 EP02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พ.ย. 2020
  •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sciencecookies_
    =============================================
    Shooting Info
    - Sony A6500 Body, 16-50 Bundle Lens
    - Samsung GALAXY S8+ with UHD Setting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35

  • @user-do2ll3on4v
    @user-do2ll3on4v 3 ปีที่แล้ว +4

    오늘도 영상 만드시느랴 고생하셨습니다!! 힘내세요 영상 잘볼게요

  • @user-tn5sn6hz7p
    @user-tn5sn6hz7p 3 ปีที่แล้ว +4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배경도 너무 예쁘구요. 요즘 패딩 입을 만큼 춥던데 감기 조심하세요!

  • @pro_ae
    @pro_ae 3 ปีที่แล้ว +14

    아무리 내용을을 다 이해하고있다해도 저렇게 술술 말하기 쉽지않을텐데 대단합니다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 @user-ye4hl3mj8m
    @user-ye4hl3mj8m 3 ปีที่แล้ว +6

    물리 과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흐름을 이해하고 꿰뚫고 있는것 같네요.
    어른이 되어서야 물리에 흥미를 느끼기고 있습니다.
    학력고사 볼때만 해도 과학 4과목중에서 2과목을 선택해야 하는데 망설임 없이 가장 빨리 포기한 과목이 물리였는데,

  • @sharin3489
    @sharin3489 3 ปีที่แล้ว +14

    다른것보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자물리학에 관한 내용은 절 흥분시키고, 재미있게 만드는것 같네요.
    특히 쿠키님 영상이라면 더더욱...!!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오늘도 잘봤어여 ❤️❤️❤️ 광고가 끝에 나와서 좋네여 ^.^

  • @tube527
    @tube527 3 ปีที่แล้ว +2

    물리를 좋아하고 가장 잘했던 과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기 설명들을 들어보면 다시금 깨닫게 되고 다른 각도로 들여다 보게 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_Dmaster_
    @_Dmaster_ 3 ปีที่แล้ว +2

    요즘 학업땜에 쿠키님 영상을 못봤네요...
    정주행 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히 잘보고 있습니다~^^

  • @user-vo3so1mv7z
    @user-vo3so1mv7z 3 ปีที่แล้ว +1

    항상 좋은 정보와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x4jf8lo7p
    @user-px4jf8lo7p 3 ปีที่แล้ว

    항상 재밌는 영상 힘들게 준비하시고 만들어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과학쿠키 화이팅!!

  • @Deil4291
    @Deil4291 3 ปีที่แล้ว +1

    다음 영상이 너무 기대되네요^^

  • @yu._.snowolf14
    @yu._.snowolf1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랜만에 영상이 알고리즘에 떠서 보는데 쿠키님 목소리 진짜 좋은듯..
    설명도 잘하시고 :)

  • @user-ms5wj9xu5e
    @user-ms5wj9xu5e 3 ปีที่แล้ว

    이런 풀어주는 정보 너무 좋아요 ㅎㅎ

  • @whiteandblack1759
    @whiteandblack1759 3 ปีที่แล้ว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닷!!

  • @ghyeo.ng_
    @ghyeo.ng_ 3 ปีที่แล้ว +1

    전달력은 떨어지지만 내용이 너무 좋아서 계속 뒤로 10초 20초 해가며 듣고 있어요.
    어우 진짜 내용 너무 좋네요 책 하나 내셔도 좋겠어요

  • @milankundera5431
    @milankundera5431 3 ปีที่แล้ว +1

    오늘도 하나 배우고 갑니다! 근데... 저기 촬영장소가 궁금합니다.

  • @rmteltmtmnc
    @rmteltmtmnc 3 ปีที่แล้ว +2

    과학쿠키님,「과학을 쿠키처럼」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재밌고 유익한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 @ashleykim994
    @ashleykim994 3 ปีที่แล้ว

    캬~~ 너무 개념도 이해쉽게 풀어주시고 덕분에 정말궁금했던것들에 큰~도움이 되어요 고마워요!
    *이상 자연과학에 순수히 관심있는 삼십대 한 구독자가*

  • @Miss_bo_ri_0620
    @Miss_bo_ri_0620 3 ปีที่แล้ว +1

    핑크뮬리도 이쁘고 쿠키님도 멋지고 추우실텐데 고생많으셨어용

  • @user-nl1ee8qd3s
    @user-nl1ee8qd3s 3 ปีที่แล้ว

    쿠키님 영상은 항상 중고등학교 때 과학수업의 추억을 생객나게해요. 오늘은 더욱 그렇군요.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1

    그림편집없는 영상은 진짜 저한테 설명하는것같아서 좋아여 이렇게찍으면 쿠키님이 덜 힘드실것같구 저도좋네여 ^.^

  • @user-tl3oq9wr5b
    @user-tl3oq9wr5b 3 ปีที่แล้ว +3

    발음이 좋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오는듯.... 영상잘봤습니다!

  • @user-fj1sl1ho1c
    @user-fj1sl1ho1c 3 ปีที่แล้ว

    정리영상 특히 중력의 실체가 나오기까지의 큰 맥락. 다음주 넘모 기다려져버리구요

  • @whduddnr913
    @whduddnr913 3 ปีที่แล้ว +112

    진짜 교육부가 이거 보고 느꼈으면 고등학교 때 물리에 관심도 없고 단순히 성적 위해서 공부했는데 지금은 재미있어서 스스로 책 보면서 공부하네요ㅜㅜ 이 채널을 좀만 일찍 알았더라면,,,,,

    • @user-yj1bu3rc7n
      @user-yj1bu3rc7n 3 ปีที่แล้ว +16

      어쩔 수 없음 많은 학생들이 모두 물리에 재미를 느낀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그 수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는데는 어느정도 일관된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어야 교사들도 가르치는데 더욱 효율적이고 지역이나 학교에 따른 교육 수준의 격차를 줄이는게 가능한데(사실 이게 공교육의 목적이라 봐도 될 정도라고 생각함) 전국의 모든 교사들이 유튜브 강의처럼 재밌게 수업을 할 수 있는것도 아닌데다 시험을 통한 경쟁을 흐려지게 만들면 쓸만한 인재(인재라 쓰고 유용한 회사의 노예라 읽는다)를 양산하는데 어려움이 생김

    • @whduddnr913
      @whduddnr913 3 ปีที่แล้ว +4

      @@user-yj1bu3rc7n 맞는 말입니다ㅜㅜㅜ 참 신기한게 중고등학교 시절 그렇게 하기 싫은 공부가 지금은 재밌네요ㅜㅜ 이런게 배움의 즐거움일까요,,,,

    • @curio501
      @curio501 3 ปีที่แล้ว +2

      @@whduddnr913 그당시의 우리는 학업과 입시에 치여서 성적을 위한 공부를 하였기 때문에 배움의 즐거움을 느낄 여유가 없었다고 생각 합니다 뭐든 자기가 배워보고 싶을때 습득력이 극대화 되는거 같해요

    • @whduddnr913
      @whduddnr913 3 ปีที่แล้ว +1

      @@curio501 맞는거 같아요!!

    • @user-mn2jf5ve1v
      @user-mn2jf5ve1v 3 ปีที่แล้ว

      어떤 현상에 대한 호기심 유도 없이 숫자만 때려 외우기식이기 때문인것같습니다..

  • @joojak57
    @joojak57 3 ปีที่แล้ว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kg8ef2fg9g
    @user-kg8ef2fg9g 3 ปีที่แล้ว +93

    거의 대학강의 수준의 고퀄리티 정보 아닌가ㄷㄷ

    • @user-vm6xu1cb9h
      @user-vm6xu1cb9h 3 ปีที่แล้ว +31

      대학생 : 대학강의가 고퀄리티...?!??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user-vm6xu1cb9h ㅋㅋㅋㅋㅋㅋㅋ

    • @yhshin8341
      @yhshin8341 3 ปีที่แล้ว +2

      대학 강의 듣다보면 개빡치는데

    • @edificati0
      @edificati0 3 ปีที่แล้ว

      임마 대학 안나왔다는게 학교의 점심

    • @js2540
      @js2540 3 ปีที่แล้ว

      쿠키님이 원래 ebs 강의 하던 선생님이시지 않나요?

  • @user-mr4gh1qk6m
    @user-mr4gh1qk6m 3 ปีที่แล้ว

    꺄❤️ 항상 고퀄리티 영상 감사합니다💙

  • @user-bg7fh1wu7z
    @user-bg7fh1wu7z 3 ปีที่แล้ว

    다른말 필요 없네요
    즉시 구독 ㆍ좋아요 눌렀습니다
    대단한 지식과 전달력ㆍ발음ㆍ목소리가 훌륭합니다
    진정 유익하고 참된 과학유투버네요

  • @user-nm1in7dj9l
    @user-nm1in7dj9l 3 ปีที่แล้ว +3

    우와 오프닝 풍경 엄청 이쁘네요 어딘지 알 수 있을까요?

  • @user-bv5ud5lh7v
    @user-bv5ud5lh7v 3 ปีที่แล้ว +3

    오, 이번 주간 1쿠키 영상은 상대성이론이 위대한 이유의 일부 내용을 다루어주셨군요! 주간 1쿠키 영상을 통하여 쿠키님께 과학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그리고 영상 속 배경이 너무나 이뻤던 것 같아요! 쿠키님께서 내주신 문제에 답해보았어요! 지난 번에 쿠키님께서 다루어주신 맥스웰 방정식 관련 영상에서 제가 작성했던 댓글도 참고하였습니다!
    1.
    (1) 맥스웰 제 1 방정식(가우스 법칙)
    - 정전기가 만드는 전기장에 관한 방정식으로서, 매끄러운 곡면 하나를 만들고 이 곡면 외부로 뻗어 나가는 전기장은 그 곡면이 둘러싸고 있는 내부의 총 전하량으로 결정된다.
    - (+) 전하와 (-) 전하는 분리할 수 있다.
    (2) 맥스웰 제 2 방정식(가우스의 자기 법칙)
    - 자석이 만드는 자기장에 관한 방정식으로서, 자석의 주위로 매끄러운 곡면을 어떻게 설정하든 곡면을 통과했다가 다시 들어오는 자기력선은 언제나 동일하다.
    - N극과 S극은 분리할 수 없다.
    (3) 맥스웰 제 3 방정식(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
    - 자석 혹은 회로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크기가 변하면 그 변화에 따라서 전기장이 만들어져 주변에 도선이 있다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 자기장의 변화는 전류를 만들어낸다.
    (4) 맥스웰 제 4 방정식(앙페르의 법칙, 앙페르-맥스웰의 회로 법칙)
    - 오른 나사의 법칙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회로에 전류가 흘렀을 때 발생되는 자기장에 관한 법칙이다.
    - 맥스웰의 아이디어를 통하여 전하가 실제로 흐르지 않고 전기장만 변하더라도 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두 개의 금속판인 축전기 실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 전류 혹은 전기장의 변화가 자기장을 만들어낸다.
    2.
    물체가 특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했을 때, 그 물체는 움직이는 방향으로 찌그러진다.
    3.
    빛은 매질을 타고 흐르는 파동이 아니다.
    이번 영상도 너무나 잘 보았습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

  • @user-gk8hi1tj6j
    @user-gk8hi1tj6j 3 ปีที่แล้ว +4

    제가 남들이 가장 싫어하고 복잡하다고 하는 과학중 물리를 좋아하게 된 이유가 과학쿠키님 덕분입니다. 단순히 암기하고 수업만 들을땐 흥미 zero였으나 이런 쿠키님 영상 보면 진짜 최고로 재밌고 신기해요. 감사합니다:)
    -평범한 남고생

  • @user-uf5lj7tr9m
    @user-uf5lj7tr9m 3 ปีที่แล้ว

    덕분에 물리가 너무 좋아졌어요❤️

  • @bk4995
    @bk4995 3 ปีที่แล้ว +9

    6:23 여기부터 보게되면 우리도 아인슈타인의 입장에서 상대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David-0728
    @David-0728 3 ปีที่แล้ว +1

    쿠키형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

  • @user-no8zy3fn8c
    @user-no8zy3fn8c 3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minseok6841
    @yminseok6841 3 ปีที่แล้ว

    수고하셨습니다!

  • @brianchoi4542
    @brianchoi4542 3 ปีที่แล้ว

    영상 감사합니다. 대학때 Michelson-Morley 실험을 해봤는데 정말 대단하다는 걸 느겼어요. 과학쿠키 화이팅입니다!

  • @lowfly_8175
    @lowfly_8175 3 ปีที่แล้ว +3

    빛과 시간에 관한 지식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립하여 인류의 인식 수준과 가능성을 새로운 정의로 전 우주로 확장... '위대하다' 라는 표현은 이런 아인슈타인 같은 분에게 해당되는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 @scichoiyun
    @scichoiyun 3 ปีที่แล้ว

    믿고 보는 주간 1쿠키;))

  • @user-gl5sr4zn2f
    @user-gl5sr4zn2f 3 ปีที่แล้ว +1

    선행 때문에 일찍 상대성 이론을 접한 중학생입니다.
    이 영상을 보고 중요성을 깨달아 열심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mg3ld1vv4h
    @user-mg3ld1vv4h 3 ปีที่แล้ว +9

    십수년 전 우연히 서점에서 "뉴턴"이라는 과학서적을 몇천원을 주고 샀어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담겨져 있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아무리 책을 읽어도 도저히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수차례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아 집에 고이 모셔두고 있어요. 또다시 상대성이론에 불이 붙어 이제는 유튜브로 공부를 합니다.
    결코 쉽지는 않지만 조금씩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학쿠키· 님 덕이죠.
    항상 감사하고 잘 지켜보겠습니다.

    • @wavikle4495
      @wavikle4495 3 ปีที่แล้ว +1

      우와, 그 열정으로 언젠가는 원하시는 내용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똑같이 물리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입장에서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ㅎㅎ 파이팅하세요!

  • @user-gc2pp7bs2l
    @user-gc2pp7bs2l 3 ปีที่แล้ว

    저의 의견을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이번영상은 말로만해주셔서 집중해서 계속 들으면서 봐야겠네요
    그래도 들으면서 미래에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오류가 있다고해서 몇몇의 물리학자들로인해 오류를 보완하고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는 날이 오겠죠...?

  • @user-es2tw1yq4i
    @user-es2tw1yq4i 3 ปีที่แล้ว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 과학 쿠키 한 입 와그작 !

  • @user-ob3my8gu3n
    @user-ob3my8gu3n 3 ปีที่แล้ว +2

    뭔가 엄청 공부 잘하는 형이 방구석에서 알려주는것 같아서 너무 좋네요

  • @dr.c196
    @dr.c196 3 ปีที่แล้ว +3

    거의 3년전 채널 생긴지 얼마안됬을때부터 봐왔습니다. 아무리 봐도 해결되지 않는 궁금증이 있는데.... 쿠키님은 나이와 직업이 무엇인가요?(유튜버 외에..)
    그리고 항상 좋은 지식 듣기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잘 되시길 바래요~

  • @heejunepark4009
    @heejunepark4009 3 ปีที่แล้ว

    대단하십니다. 쿠기 만세 !

  • @user-Roni
    @user-Roni 3 ปีที่แล้ว +2

    가르치는 수준이 거의 교수님 급이네요. 대단하시다 ㅇㅁㅇ

  • @assazergling
    @assazergling 3 ปีที่แล้ว

    12:53 회절무늬가 아니고 간섭무늬 아닌가요? 말씀하신 장치의 이름이 Michelson 'Interferometer' 로 간섭현상 측정에 쓰이죠. 단어 하나 차이지만 물리적으로는 엄연히 구분됩니다.

  • @user-fn9xz3mx1y
    @user-fn9xz3mx1y 3 ปีที่แล้ว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 @user-kk5gx1yo8t
    @user-kk5gx1yo8t 3 ปีที่แล้ว +1

    알림설정 굿굿

  • @user-cf5sh2lu2y
    @user-cf5sh2lu2y 3 ปีที่แล้ว

    무슨 말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중간중간 이해하다 보면 재밌네여 아 그리고 제스처 되게 간지나요 척 척 하는 느낌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질문 아주좋아여

  • @lionelmessi4739
    @lionelmessi4739 3 ปีที่แล้ว +1

    쿠키님 갑자기 든 생각인데 " 두 점 사이의 거리가 1광년인 두점을 (늘어나지도 수축하지 않는 다는 가정) 실로 연결을 한 상태에서 한점에 있는 어떠한 사람이 그 줄을 잡아당기면 반대쪽 점의 줄 입장에서는 줄이 잡아 당겨질거 아닙니까? 그럼 그걸 이용해서 신호로 주고 받는다면 그 신호가 빛보다 빠른 어떠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지 않나요? 그리고 이런 신호를 주고 받는게 실제로 가능한 일인가요?
    너무 초딩같은 질문이지만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2

      그렇지 않습니다 :) 분자를 엮어주는 힘도 환원하면 전자기력인데, 전자기력의 매개입자가 광자(빛)이기 때문에, 줄을 잡아당겨도 줄의 탄성이 빛보다 빠르게 반대쪽으로 도달할 수 없습니다.

  • @hanjung54
    @hanjung54 3 ปีที่แล้ว +2

    배경 어딘지 알수있나요? ㅎ

  • @video4948
    @video4948 3 ปีที่แล้ว

    쿠키님님보고싶었어요많이..😶😗////
    핸드폰 수리맡기는 동안 에 새동영상 알림온거 계속생각났어요 진짜로, 근데늦게봤으닝까미안해요ㅠㅠㅠ..
    ✨이번영상은너무멋있어요✨
    특히 쿠키님 논리적으로 말 잘하셔서 더더더더더ㅓ더더더ㅓ 멋이썽요//// {(💖🖤💖🖤💖🖤💖🖤💖🖤💖)}
    (아악창피해창피해엨,,,베이커리로튀자)

  • @user-hg4kc2jl5d
    @user-hg4kc2jl5d 3 ปีที่แล้ว

    설명과 퀄리티도 탁월하지만
    쿠키님의 외모도 열일하시네요♡

  • @ujinjeon5570
    @ujinjeon5570 3 ปีที่แล้ว

    핑크뮬리 예쁘네요^^ 수고하셨습니다.

  • @user-vq2wn6nt9d
    @user-vq2wn6nt9d 2 ปีที่แล้ว

    쿠키처럼 설명을 잘하면 관심가지고 공부를 학생들이 할텐데~~
    저는 영상 최신에서 과거순으로 거꾸로 보는중ㅋㅋㅋㅋ

  • @Double_question-mark
    @Double_question-mark 3 ปีที่แล้ว

    굿굿

  • @coolespressocool8947
    @coolespressocool8947 3 ปีที่แล้ว +2

    와 배경 너무 이쁩니다 .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user-nj2ck4lp9g
    @user-nj2ck4lp9g 3 ปีที่แล้ว

    저 12세인데 과학쿠키님 덕분에 공부도 되고!재미도 있고!일석이조네요

  • @ONLYJ0KE
    @ONLYJ0KE 3 ปีที่แล้ว +4

    아인슈타인이 21세기의 대한민국에서 태어났으면 상대성 이론과 같은 위대한 업적을 이루지 못할 것이라고 흔히들 이야기하죠. 하지만, 이 영상을 보고 아인슈타인이 당대 독일의 교육 방식을 맘에 들어하지 않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즉, 아인슈타인은 교육 시스템을 뚫고 등장한 천재였다는 것이죠. 대한민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한민국의 아인슈타인이 이 댓글을 읽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니 가슴이 두근 두근해지네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과학을 쿠키처럼

  • @user-pu6cd7kb7c
    @user-pu6cd7kb7c 3 ปีที่แล้ว +1

    다음편 미치도록 기다려진다 ^^

  • @user-rv8tc9pl3i
    @user-rv8tc9pl3i 3 ปีที่แล้ว

    오늘 내용과는 관계없지만 요즘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1. 불꽃의 색이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을 띠는것은 가시광선 파장과 관련이 있나요?
    2. 가스렌지 불꽃색은 푸른색이고 제철소 용광로나 태양은 붉은계통인데 온도가 더 낮은건 아니고 좀 이해가 안가네요
    바쁘시겠지만 답변 좀 부탁드려요

    • @user-yl4pp2ny1r
      @user-yl4pp2ny1r 3 ปีที่แล้ว

      일정한 공간의 틀로 생각하시면됩니다. 용광로 전체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점 하나로 모아두면 흰색에서 파란색으로 보일겁니다.

    • @user-yl4pp2ny1r
      @user-yl4pp2ny1r 3 ปีที่แล้ว

      질량에서 나오는 일정량의 에너지가 더 크면클수록 가시광선의 파장이 짧아져서 보라색과 가까운 색으로 보이겠죠

  • @slowkim2548
    @slowkim2548 3 ปีที่แล้ว

    물리역사 강의인데 듣고 있으면 물리에 대한 흥미가 생김. 물리학 역사를 가르치는게 물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것 같음.

  • @zpzp8017
    @zpzp8017 3 ปีที่แล้ว +86

    시험만 없으면 진짜 재밌는게 물리인거같다 ㅋㅋ

    • @science.
      @science. 3 ปีที่แล้ว +5

      스토리로 들으면 쉬워 보이니까요ㅎ

    • @user-nm8zh2km8g
      @user-nm8zh2km8g 3 ปีที่แล้ว +4

      돈 걱정만 없으면 진짜 도전해보고 싶은 학문인 것 같네요
      책도 읽고 논문도 읽으면서..ㅋㅋ

    • @user-pr1il3eg3o
      @user-pr1il3eg3o 3 ปีที่แล้ว +7

      원래 수학도 시험만 없으면 재밌어요

    • @ClTY-HUNTER
      @ClTY-HUNTER 3 ปีที่แล้ว

      고딩 때 물리 좋았는데ㅋ

    • @user-ju9lu3vt1o
      @user-ju9lu3vt1o 3 ปีที่แล้ว +2

      이걸 무조건 외워야 한가! 는 강박? 의 차이인 것 같아요 시험의 유무가..

  • @pjh1484
    @pjh1484 3 ปีที่แล้ว +1

    여지껏 봤던 쿠키중 가장 자연스럽고 부드럽네요.
    예전영상은 너무 작위적이였는데...그래서 한동안 안봤었는데, 지금 보니 너무 자연스럽고 정감 가고 또 다음 내용 찾게 됩니다.
    쿠키님 너무 고맙습니다.
    계속 힘 써주세요~~^^

  • @TheHyeonwoo
    @TheHyeonwoo 3 ปีที่แล้ว

    일반물리학2 요약본을 보는 느낌이군요! ㅎㅎ

  • @kse7897
    @kse7897 3 ปีที่แล้ว

    요즘 테슬라가 핫한데 과학쿠키님께서 과학자인 니콜라 테슬라에 대한 영상도 시리즈로 하나 만들어 주시면 재미있을 것 같아요~^^

  • @dressedwithhisrobe
    @dressedwithhisrobe 3 ปีที่แล้ว +1

    이걸 이렇게 쉽게 정리해주는 당신이 천재입니다.

  • @solariudine5034
    @solariudine5034 3 ปีที่แล้ว

    한가지 질문 전자는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이잖아요 그럼 보통 우리가 일고 있는 전자의 질량은 움직이고 있을 때의 전자의 질량인가요 아니면 정지한 전자의 질량인가요? 질량-에너지 동등의 법칙에 근거해서 답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1. 전자는 빛의 속도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
      2. 전자의 질량은 힉스 매커니즘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질량 에너지 등가법칙이 만드는 질량과는 다릅니다.

    • @solariudine5034
      @solariudine5034 3 ปีที่แล้ว

      @@snceckie 그럼 (-)전하의 흐름은 어떠한가요?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solariudine5034 실제로 전자는 표류속도만큼의 빠르기로 움직입니다. 전류에는 비례하는데, 그 크기는 v=I/Sen으로 결정됩니다. I는 전류크기, S는 도선의 단면, e는 차지, n는 단위부피당 전자 수를 의미합니다.

    • @solariudine5034
      @solariudine5034 3 ปีที่แล้ว

      @@snceckie 오 감사합니다. 이제 이해가 되네요

  • @SNORLAX0317
    @SNORLAX0317 3 ปีที่แล้ว

    쿠키님을 학교로 모셔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쿠키님같은 선생님한테 강의 들어보고십네요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시청자님 아이디어가 좋네여

  • @user-ix2dy8gk1w
    @user-ix2dy8gk1w 3 ปีที่แล้ว

    그럼 키자루가 원피스찾고 해적왕되는건가요?

  • @originalnangmyun7
    @originalnangmyun7 3 ปีที่แล้ว

    과학쿠키를 교육부로 !

  • @soundaether6018
    @soundaether6018 3 ปีที่แล้ว

    문득 평면이 참 위대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유클리드를 이해해야 비유클리드도 이해할 수 있으니까요
    과학은 정답을 찾는것이 아니라 정답은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강화도 마니산에는 상대성 이론과 시간에 있어서는 유사한 설화가 전해옵니다

  • @doowonpark6696
    @doowonpark6696 2 ปีที่แล้ว

    그냥 천재잉

  • @_porkous_
    @_porkous_ 3 ปีที่แล้ว

    상대성이론 굿굿

  • @user-wi1hw9cb7s
    @user-wi1hw9cb7s 3 ปีที่แล้ว

    왜 쿠키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려지고 잘생겨지는지도 물리적인 법칙으로 설명해주세요!!

  • @user-vf5pw3jn3t
    @user-vf5pw3jn3t 3 ปีที่แล้ว

    과학쿠키를 만나서 고마워요

  • @shiningmondo4380
    @shiningmondo4380 3 ปีที่แล้ว +1

    와..

  • @user-gv3yg2rt1h
    @user-gv3yg2rt1h 3 ปีที่แล้ว +3

    문과이고 40대 아재이지만 물리학을 배우고 싶은 생각을 불러 일으키는 쿠키님의 강의감사드립니다~~

  • @user-du6bu6mh3c
    @user-du6bu6mh3c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2

      저도요! :)

  • @Isabell-cd1gh
    @Isabell-cd1gh 3 ปีที่แล้ว +2

    과학쿠키님 후원하고싶은데...ㅠㅠ 돈이 없어서...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fine3976
    @fine3976 3 ปีที่แล้ว

    쿠키님은 볼때마다 몽실몽실한 대학원생 처럼 보여요

  • @user-lh9bi7zf5x
    @user-lh9bi7zf5x 3 ปีที่แล้ว +1

    과학은 싫어하는데
    과학쿠키는 진짜 재밌어서 봄.ㄷㄷ

    • @user-lh9bi7zf5x
      @user-lh9bi7zf5x 3 ปีที่แล้ว

      TT처음 받아봐요 쿠키님한테
      싸랑합니다이

  • @ljs91389142
    @ljs91389142 3 ปีที่แล้ว +1

    💕💕💕

  • @UNKNOWN_xy00
    @UNKNOWN_xy00 3 ปีที่แล้ว +2

    과학쿠키님이 저의 우상 입니당ㅎㅎ

  • @user-vg9uk3fh9y
    @user-vg9uk3fh9y 3 ปีที่แล้ว

    걍 과학수업 대신 이거 틀어줘도 되겟어요

  • @user-ti6xi7ui8e
    @user-ti6xi7ui8e 3 ปีที่แล้ว +1

    배경 노무 이쁘다

  • @reasonably3676
    @reasonably3676 3 ปีที่แล้ว

    어떠케 꾸끼님이 구독자가 30만밖에 안되?? 300만인줄알았는데

  • @user-kp1fe4ms5p
    @user-kp1fe4ms5p 3 ปีที่แล้ว

    젊으신거 같은데. 설명잘하시네요

  • @hightax
    @hightax 3 ปีที่แล้ว +9

    만약내가 이 채널을 보지않았으면 코스모스 책을 스스로 사지않았을거다

  • @user-ty7li5nn8s
    @user-ty7li5nn8s 3 ปีที่แล้ว

    고등학교 때 배웠넌 작업량 줄이었나요 J. 를 생각해보니 시간이 다르게 흐를 수 도 있다는게 어느정도 납득이 가네요 왜냐하면 작업량, 에너지라고 보면 같은 작업량 또는 에너지를 [저는 개인적으로 우주의 만물은 원인과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주스케일에서 한 포인트의 기준시간을 잡고 동시관측이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질량 차이가 크게 왜곡 된 두 차이점에서 충분히 다른 결과값을 가져 올 것이라고 이제는 믿음이 갑니다. 그럴경우 여기서 질문입니다. Q1)결국 "시간"도 매질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되어버리는 건가요? Q2)이제는 시간의 개념을 효율분의 1 혹은 작업 수행능력분의1로 보아도 무방할까요? Q3) [저는 평균이라는 개념에 정말 큰 관심이 있습니다. 빛이라는 개념을 보면 정말 일정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속도같은 것이요 상태나 에너지나 성질이라는 것이. 우리가 보통 진리라던지 팩트라는 것과 흡사해보입니다. 1+1은 2다. 이것은 정답이지요. 약속안에서. 제한 혹은 제약안에서. 그마저도 변할 수 도 있겠죠. 빛이 그렇게보이는데 그걸 가능하게 해주는게 영상에서 봤던 매질이라는 존재일까요? 그렇다면 에테르인지 뭔지 그 빛의 매질이 결국 제약을 두는 거라면] 우주 매질의 제약이 차원이라는 개념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답변 안해주셔도 됩니다. 문과생이라 궁금해서 이것저것 끄적여봅니다..

  • @user-fn9tt3cf6f
    @user-fn9tt3cf6f 3 ปีที่แล้ว +4

    항상 위대한 발견은 기존의 지배적 이론의 의구심을 가지는거에서부터 시작하는거 같습니다. 어쩌면 물리학자들의 통찰력은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결정론적 세계관을 배제하고 불확실하고 양면성이 존재하는 자연에 대한 납득에서부터 시작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당연한것을 당연하지 않게 꼬아보는힘. 그게 통찰력일테니까요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3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에 대한 학문을 전개한다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인 것 같습니다 ㅠ_ㅠ 수학이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는 건 아마 이 학문의 고유한 특성인 것 같아요!

  • @kimeme
    @kimeme 3 ปีที่แล้ว +1

    영상이 18분인걸 다 보고나서야 알았습니다...ㄷㄷ 5분본줄 알았는데

  • @jwpark825
    @jwpark825 3 ปีที่แล้ว

    만약 에테르가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한다면 마이켈슨 몰리 실험은 에테르가 없음을 증명하지 못하는 것이 되는 것 아닌가요? 매질 (에테르) 자체가 지구의 자전과 같은 속도로 지구주변을 회전한다면 마이켈슨 몰리 실험은 간섭이 없는 결과로 나올 것 같은데요.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1

      90도로 틀어버리는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 그러면 미묘한 위도차이라도 에테르의 속도 차이가 생길 수 있어요.

    • @jwpark825
      @jwpark825 3 ปีที่แล้ว

      @@snceckie 만약 에테르가 중력에 의해 잡혀서 지구의 표면과 같이 위도차이가 나더라도 꼭 그만큼 같이 움직인다면 마이켈슨 몰리의 실험은 어떻게 해석되나요?

    • @snceckie
      @snceckie  3 ปีที่แล้ว +2

      @@jwpark825 중력에 잡힌다는 건 에테르가 질량이 있다는 것이고, 질량이 있는 유체는 위도에 따라 유속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말씀하셨듯 에테르가 위도 상 어느 위치에서든 그 위치상에서의 상대속도가 0이라면 위도가 변함에 따라 그 선속도가 달라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위도를 단면으로 잘랐을 때, 원의 크기는 위도마다 다르지만, 자전 각속도는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 @jwpark825
      @jwpark825 3 ปีที่แล้ว

      @@snceckie 마이켈슨 몰리의 실험에 쓰이는 검출장치가 위도에 따른 선속도의 차이를 검출해낼만큼 그 장치가 크거나 정밀하게 만들어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kh2yr7bu9b
    @user-kh2yr7bu9b 3 ปีที่แล้ว

    딕션이 개좋아서 자동 생성된 자막도 거의 일치하네 ㄷㄷ;

  • @sewoung190
    @sewoung190 3 ปีที่แล้ว +2

    인간의 현재는 오랜 과거부터 꾸준히 축적되온 지적탐구심의 역사다. 우리는 역사의 열매를 먹으며 살고 있으며 후대에게 다시 열매를 선사할 것이다.

  • @icandothisoneday1155
    @icandothisoneday1155 3 ปีที่แล้ว +11

    과학계설민석이다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