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그동안 책을 읽는 행위에만 매몰되어 독서 행위가 늘 불안하고 아쉽고, 공허했었는데.. 알려주신 마인드 맵을 활용하니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달라진 점 1. 책을 주체적으로 읽게 됨 (수동적-->적극적) 2. 내용이 오래 기억에 남음 3. 독서가 더 재미있어짐 (효능감 증가) 4. 남들에게 읽은 내용을 자랑하고 싶어짐 (이전에는 기억에 남는게 하나도 없어서 읽었다고 말도 못함..)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저는 주로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보는데요. 이럴 경우, 1단계의 키워드 표시와 밑줄긋기는 어찌해야 할까요? 포스트잇을 활용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2.시간이 많지 않아서 한챕터도 온전히 못읽고 쪽으로 읽는 경우 다음번 독서에 다시 앞으로 되돌아갑니다. 이럴때는 짧게 읽을 경우에도 맵핑으로 잡고 가는 게 나은가요?
안녕하세요, 독서를 하면서 읽기를 위한 읽기를 하는 것 같아 속상한 와중에 영상을 접했고, 문의사항있어 남깁니다😊 예시를 들어주는 구간에서, 2번&3번 방법이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주가지(결단)에 대해 정리하는 방법을 필요에 의해 아래 두가지로 나누어서 정리하는 걸까요? 7:42 2번 단계에서는 핵심개념 부가지를 5가지 미만으로 정리한다고 이해를 했고, 8:21 3번 단계에서는 1번방법에서 체크한 핵심 키워드or 문장을 통해 정리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둘 간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2번단계에서의 5가지 이하도 키워드가 아닌지요??
생존책방 맵핑클래스 및 독서PT / 콘텐츠 더보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litt.ly/book_survivor
1:1문의하기
open.kakao.com/o/s3mh8nUe
2:06 책을 읽고 기억나지않는 이유는 경험하지않기떄문에
몸으로 독서하기.독서내용을 삶으로 연결하기
12:30 내 생각 붙이기 독서와 삶을 연결하기
요약 감사합니다 ^^
저는 그동안 책을 읽는 행위에만 매몰되어 독서 행위가 늘 불안하고 아쉽고, 공허했었는데..
알려주신 마인드 맵을 활용하니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달라진 점
1. 책을 주체적으로 읽게 됨 (수동적-->적극적)
2. 내용이 오래 기억에 남음
3. 독서가 더 재미있어짐 (효능감 증가)
4. 남들에게 읽은 내용을 자랑하고 싶어짐 (이전에는 기억에 남는게 하나도 없어서 읽었다고 말도 못함..)
와우 대현님 감사해요 힘이 되는 댓글입니다 :)
인스타에서 이리로 넘어왔어요😊 기대되는 마음으로 시청 시작합니다!
감사해요 :) 응원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정리전 3단계
삶에 적용
질문독서 실천해볼께요😊
네 댓글 감사드려요 적용 화이팅입니다 :)
1. 예비독서
에필로그, 프롤로그, 목차 읽고 어떤내용인지 핵심 파악
2. 목적질문
책읽는 목적을 질문으로 하는 것
이 책을통해 내가 배우고 싶은, 해결하고 싶은 점 기대하는 점을 적고 읽기
정리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 맵핑 도전해보시기 바래용!
알고리즘으로 봤는데요
제가 딱 필요한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앗 감사드려요 :) ㅎㅎㅎ 지속적으로 좋은 콘텐츠 만들어볼게요!
돈 받고 팔아야 할 컨텐츠.... ㅋㅋ 감사합니다~!!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더 비싼 콘텐츠를 무료로 만들어보겠습니다 ㅎ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저는 주로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보는데요. 이럴 경우, 1단계의 키워드 표시와 밑줄긋기는 어찌해야 할까요? 포스트잇을 활용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2.시간이 많지 않아서 한챕터도 온전히 못읽고 쪽으로 읽는 경우 다음번 독서에 다시 앞으로 되돌아갑니다. 이럴때는 짧게 읽을 경우에도 맵핑으로 잡고 가는 게 나은가요?
도서관에서 빌린경우 따로 메모장에 타이핑으로 메모후 메모한 내용만 옮기는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독서노트에 적어두었다가 옮기시면 됩니다 ^^ 그날 읽은 것은 정리하고 넘어가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아요
마인드맵 어플이 많은 편인데 엑스마인드가 좋은가 보네요? 한번 사용해 보겠습니다.
아이패드 기본 어플인 프리폼이나 많이 쓰는 굿노트로는 구현할 수 없는지 궁금하네요.
네네 개인에게 맞는 것을 활용하심 됩니다 :) ㅎㅎ
안녕하세요 영상잘보고 있습니다! xmind를 웹에서 사용하는 것과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는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뭘 더 추천하세요?
@@축구사랑-o8f 웹기반을 추천드려요 어디서든 활용가능해서요 ㅎ 프로그램과 웹이 연동이 안되고 파일을 드라이브에 업로드해야 가능해서 전 번거롭더라구요
우선 책을 끝까지 정독한다는 가정하에, 처음부터 끝까지 다 정독하고 정리하는것을 추천하나요? 아니면 한챕터 읽고 정리하고 한챕터 읽고 정리하는것을 추천하나요?
한챕터 단위로 독서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한권 다 읽고 하려면 저항도 들고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휘발되기 쉬워서요.
@@book_survivor 답변감사합니다. 구독 및 좋아요 누르고 잘 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혹시 x mind는 pc와 모바일 동기화는 안되는지요?
네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웹으로만 써요!
클라우드 서버에 파일을 저장하면 모바일로도 PC에서도 사용가능하실듯요.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지금 앱 이용해서 메모 하려고 하는데요 새로운 라인 어떻게 시작 하는지 방법 혹시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 enter 누르면 확정 되고 새로운 라인 안되네요ㅜ ㅜ
xmind 사용법 영상 참고해주시고요~^^ enter or tab 키 활용해보시고 마우스 왼쪽 클릭 후 이동해보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독서를 하면서 읽기를 위한 읽기를 하는 것 같아 속상한 와중에 영상을 접했고, 문의사항있어 남깁니다😊
예시를 들어주는 구간에서, 2번&3번 방법이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주가지(결단)에 대해 정리하는 방법을 필요에 의해 아래 두가지로 나누어서 정리하는 걸까요?
7:42 2번 단계에서는 핵심개념 부가지를 5가지 미만으로 정리한다고 이해를 했고,
8:21 3번 단계에서는 1번방법에서 체크한 핵심 키워드or 문장을 통해 정리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둘 간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2번단계에서의 5가지 이하도 키워드가 아닌지요??
2단계 부가지를 잡는 것은 분류기준을 다섯가지 미만으로 해야 한 장에 담기 좋다는 설명이었고,
3단계는 분류기준에 따라 밑줄친 내용을 넣는다는 것을 말합니다.
맞게 답을 한걸까요?^^;
소설이나 에세이 도서도 이런식으로 정리하시는지 궁금해요~!
가능한지도요~ >.
소설도 가능합니다! 인스타그램에 올려둔 콘텐츠가 있습니다 ㅎㅎ
혹시 박스에 색상변경은 어떻게하는지요?
왼쪽 클릭해서 선택후 우측상단 서식모양 눌러서 변경합니다. Xmind사용법 올렸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