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들이 그렇게 할 일이 없겠니. 이거 연구하고 있게?" 그래서 생선님이 정리해준다. 미국 시험에 출제된 논란의 수학 문제 속시원한 풀이✍🏻 I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6K

  • @EBS_i
    @EBS_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4

    ✨ 100만뷰 기념 이벤트가➚ 왔어요~✨
    정승제의 50일 수학 '수학 문제 논란' 콘텐츠 100만 뷰 돌파 기념으로
    총 56분께 선물을 드립니다!🎁🎊🎁
    ⭐ 참여 방법
    1. EBSi 고교강의 채널 (www.youtube.com/@EBS_i) 구독하기🎈
    2. 해당 게시물 하단에 댓글로 정승제의 50일 수학 콘텐츠 한 줄 평 후기 남기기✍🏻
    ⭐ 이벤트 경품
    - 정승제의 50일 수학 e-book 📚(50명)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 (4명)
    - 후라이드 치킨 쿠폰 🍗 (2명)
    ⭐ 참여 기간 : 8/8(목)~8/18(일)
    ⭐ 당첨자 발표 : 8.19(월) *당첨자 개별 안내 예정
    ⭐ 유의사항
    1. 이벤트 당첨자 선정 및 경품 전달을 위해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2. 이벤트 참여기간 내에만 응모가 가능합니다.
    3. 정확하지 않은 개인정보의 문제로 인한 상품 미수령 및 반송 시 재발송되지 않습니다.
    4. 본 이벤트는 해외 배송이 불가합니다. (당첨 시 한국 내 주소 필요)
    5. 상기 이벤트 내용, 경품, 일정 등은 당사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이현기-y9t
      @이현기-y9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승제쌤 덕분에 수포자 포기하게 해준 최고의 강의

    • @춘식쓰-b4c
      @춘식쓰-b4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승제쌤 덕분에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수학을 풀며 내가 문제를 해결해서 느낀 성취감을 많이 느꼈어요 ㅠㅠ 항상 감사합니다💓💓

    • @정동욱-d8s
      @정동욱-d8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원리는 잘 몰라는데 승제쌤 덕분에 원리가 쉽게 이해되는 최고의 강의

    • @먀쇼-y4y
      @먀쇼-y4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승제 T는 제 인생의 구원자라 말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콘텐츠 후기는 너무 알찼어요 ! 역시 승제T🎉

    • @무명갈전갱이
      @무명갈전갱이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학을 잘하기 위한 요령이 아닌 수학을 알려주는 강좌

  • @zenociderk
    @zenocider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837

    옆에 작은화면으로 심장박동이랑 혈압 실시간 측정해서 표시해줘야함

    • @황금동라이온즈-v5b
      @황금동라이온즈-v5b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8

      ㅋㅋㅋㅋ

    • @mechurial_jorim
      @mechurial_jori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3

      양궁이냐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skho
      @iskh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ㅋㅋㅋㅋㅋㅋ

    • @qnvoalsrnr
      @qnvoalsrn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1

      저렇게 강의하는데 .. 어떻게 살이 찌는거지...?

    • @ziyounyi1587
      @ziyounyi158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3

      ​@@qnvoalsrnr 스트레스로 인한 체중증가?

  • @ykm0221
    @ykm022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68

    이렇게 반복적인 생략된 곱셉은 승재쌤을 흥분하게 만들어요

    • @youllulu-v7z
      @youllulu-v7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아니 진짜 ㅋㅋㅋ 이렇게 곱셈에 흰자 보이면서 흐흐ㅡ흫 하명서 흥븐하능사람 첨 봄... 매력있다 ㅋㅋㅋㅋㅋ

  • @youcancallmemiya
    @youcancallmemiy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9

    스탠딩코미디가 참 유익하고 교육적이네요

    • @gesabam5518
      @gesabam551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개웃기긴 함ㅋㅋㅋㅋㅋ

  • @byg6237
    @byg623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9

    차분한 설명 감사합니다.

    • @m-dhrhrvuejsu
      @m-dhrhrvuejs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대적으로) 차분한

  • @Angang_-
    @Angang_-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44

    생략된 곱셈이고 나발이고 우리 정샘의 혈압보다 중요하지 않아요

    • @uhmm8691
      @uhmm869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제발 혈압 좀 챙기시길😂😂

    • @뿌잉뿌잉-y3m
      @뿌잉뿌잉-y3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마자요 저런건 쉬우니까 패스하고 .. 응용이나 마니틀리는거만 강조해주세요 .. 정렬적이야

    • @jeongheeson2170
      @jeongheeson217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맞아요.. 숨시기 힘들어 하시는 듯... ㅎ

  • @jeongsachung
    @jeongsachu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86

    2:30 "생략된 곱셈은 결합된 것으로 본다."
    본 영상의 알파이자 오메가.

    • @잡아먹지말아주세요
      @잡아먹지말아주세요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7

      근데 이 다음에 너무 사악하게 웃으심 ㅋㅋㅋㅋㅋ

    • @loze1
      @loze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오메가3

    • @jchoi5012
      @jchoi501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9

      우하하하하 ㅋㅋㅋㅋㅋㅋ

    • @ffd6043
      @ffd604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이걸 모르면 288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다고 봄 ㅇㅇ 생략된 곱셈을 그냥 곱셈으로 보고 왼쪽부터 계산하면 288이 나오는거지

    • @wonste
      @wonst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8

      ​@@ffd6043그걸 모르면 수학적 머리가 제로라고봄 ㅋㅋㅋ

  • @yurukuma123
    @yurukuma12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6

    30살 먹어서 정말 오랜만에 수학을 보고 있는데 재밌네요
    왜 그땐 EBS를 안봤나 싶을 정도로 선생님들이 많이 재밋게 하고 있다는게 느껴집니다 ㅋㅋㅋㅋ

    • @user-dj5mu4oy1f
      @user-dj5mu4oy1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지금은 문제를 풀어야한다는 강박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보니 재밌게 느껴지는 것 아닐까요 ㅎㅎㅎ

    • @ulmusf8935
      @ulmusf893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님때 이비에스는 노잼이였어요

    • @hachuljeong957
      @hachuljeong95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 봐도 재미없는데...
      뭘 그리도 길게, 흥분해서, 빙빙 돌아가며 쓸데없는 인터넷 논쟁에 시간을 허비하는지...

    • @뷰르르릇
      @뷰르르릇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hachuljeong957저게 쓸데없는 얘기만 하는건 아님 기초부터 알아야 한다는 얘기를 인터넷 논쟁으로 알려주는거지

    • @팔라딘-f6w
      @팔라딘-f6w 7 วันที่ผ่านมา

      @@hachuljeong957 인터넷 논쟁에 허비 하지 말라고 시간 내셔서 얘기해주시는 거잖아요

  • @H수임
    @H수임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한문제를 두고도 이렇게나 열정 넘치는 정승제 선생님! 존경합니다.^^
    아이들 키우는 학부모예요.저는 논란문제 정답을 당연히 2로 봤어요.
    '50일 수학' 축하드리고,긍정에너지로 앞으로도 수학 잘 부탁드려요.응원합니다~!!😊

    • @EBS_i
      @EBS_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안녕하세요. EBSi 고교강의 채널입니다 :) 100만 뷰 기념 이벤트에 당첨되셨으니 아래 링크에 들어가셔서 당첨자 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글폼 링크⬇⬇⬇⬇⬇
      forms.gle/66tcLy9RfyrTRhAYA

  • @user-kk5sz6tl8q
    @user-kk5sz6tl8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9

    2:38 너무 시원한 웃음ㅋㅋㅋ 깔끔한 종결이네요 정확한 근거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아요! 곱셈생략 -> 괄호생략!

  • @Miller_G
    @Miller_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문과, 수포자 였지만 문제의 논란과 이 영상을 본 후, 어릴때 처음 사칙연산 알려주신 선생님에게 무한한 감사를 드립니다. 선생님이 포기하신 어느 학생1이었겠지만 그래도 이 논란의 문제 속임수에 걸려들지 않았습니다.

    • @vols-tz2nx
      @vols-tz2n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해를 잘못 하셨네요. 문제의 속임수가 아니라 둘다 맞을수 있지만 어떤것을 더 합리적으로 보느냐의 문제인것입니다.

    • @고독사촉법소년
      @고독사촉법소년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vols-tz2nxzzzzzzzzzㅋㅋㅋㅋㅋ

  • @GraySon47-G
    @GraySon47-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40

    영상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이런 거에 목숨걸지 말라는건데(10:12) 댓글은 서로 목숨걸고 있고 심지어 목숨걸지 말라고 말하는 선생님 본인도 상당히 흥분해 계심 ㅋㅋㅋㅋ

    • @YeonBy
      @YeonB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3

      이분은 항상 수학얘기를 하실때 흥분해 계심 ㅋㅋㅋㅋㅋㅋ

    • @qwertyuiopasdfghjklzxcvbnm1604
      @qwertyuiopasdfghjklzxcvbnm160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한국인 전통적인 특징 : 인정중독,내로남불

    • @ledbfngntffj
      @ledbfngntff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8

      사람들이 목숨 걸고 있는 이유는 애매하게 알고 있으면서 검색 안 해보고 자기 주장만을 고집하는 상대방이 똑같은 입장의 자신이 보기에 한심해보여서임. 하지만 승제쌤이 흥분한 이유는 중학교 때 알려주는 간단한 개념을 망각하고 하등 쓸모없는 멍청한 싸움을 하고 있는 그들한테 화가 나서임. 넓게 보셈

    • @헬로키티-t4k
      @헬로키티-t4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쓸데없이 흥분해서 1분이면 설명할수 있으면서 13분을 잡아먹네.

    • @조제우-r9j
      @조제우-r9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중학교때 1분설명 듣고이해못한사람이많아서 지금 댓글로 싸우고있는거같은데

  • @Berony1004
    @Berony100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처음에는 그 이론이 재미있었고
    두번째는 그의 시선이 즐거웠고
    세번째는 폭발할 것 같은 언성,
    네번째는 에너지
    다섯번째는 그의 열정이
    여섯번째야 드디어
    전부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계속되고 반복되는 말씀은 저를 각인시키게해요~

  • @letskochris3731
    @letskochris373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1

    40살인데 새벽 3시에 이걸 보고 있네.. 수포자라 수학 드럽게 못했지만 정승재 선생님과 같은 답을 갖고 있어서 기쁘고 이해하기 쉽게 제대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HKim-g8d
      @JHKim-g8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나도 올해 40인데 오후 8시에 이걸 보고있음 나도 수포자라 수학 못했지만 저 선생님과 같은 답을 생각하고 있어서 기뻤음.

    • @yoonnye
      @yoonny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헉 우리 85 소~ 동지들

    • @rue06017
      @rue060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선생님과 결혼하세요. 🤭

    • @엄용호-c3i
      @엄용호-c3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는 지금 만 64세 인데
      보고 있음
      확실히 배우고 감
      나이가 들어서 헛갈렸는데...
      이 강의 들어니
      중학교 생각난다
      ㅎㅎㅎ

  • @무민-h4w
    @무민-h4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굉징히 조심스런 말씀 잘들어봤습니다~

  • @footbong
    @footbo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15

    숨넘어가겠어요 생선님

    • @pluto0927
      @pluto092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빵터졌다!!!!! ㅋㅋㅋㅋㅋㅋ

    • @huumana
      @huuman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젠 선생님도 아니넼ㅋㅋㅋㅋㅋㅋ

    • @귤좋아요-z8d
      @귤좋아요-z8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선님 ㅎㅎ

    • @T17-x2k
      @T17-x2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영상제목이 생선님임ㅋㅋㅋㅋㅋ

    • @MM-dw9vz
      @MM-dw9v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엄청 흥분되나봐

  • @Sleeppage
    @Sleeppag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선생님 곁에 응급구조사 필요해보입니다

  • @lausamenn
    @lausamen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1

    선생님 칠판 지우개가 상당히 좋아보입니다..
    지울 때마다 기분이 좋네

    • @농담이지만진심입니다
      @농담이지만진심입니다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앗..저도 칠판지우개만 보여욬ㅋㅋㅋㅋ

    • @멋쟁이-w6i
      @멋쟁이-w6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분필이 비싼걸로 얼고 있습니다
      분필계의 에르메스

    • @탁유나-p8j
      @탁유나-p8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중간에 손으로 지울 때도 잘 지워지는 거 보면 칠판이랑 분필도 엄청 좋은 거 쓸듯

    • @myeng456
      @myeng45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침착맨 방송에서 탄소 분필이라고 젤 싼거 쓰신 댔는디..

    • @조한별-q9e
      @조한별-q9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칠판이 좋은 거 아닐까

  • @jsa-j2w
    @jsa-j2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7

    이 문제가 처음 논란이되었을 때 당연히 2라고 생각했지만 왜?라고 묻는 친구의 질문에 그냥 당연한거라고 대답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시원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err12378
      @err1237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걸 2라고 생각하는 건 진짜 대단하네ㅋㅋㅋㅋㅋㅋㅋ

    • @nhn5866
      @nhn586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err12378다른 문제가 뒤에 또 나와요 ! ㅎㅎ

    • @ha-yeon.
      @ha-yeo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err123782가 맞으니까 2라고 생각하죠..

    • @테드옹
      @테드옹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err12378 답이 2인데 반대로 생각하는게 더 대단한거죠 ㅋㅋ

    • @err12378
      @err1237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a-yeon. 1이 맞는데 2라고 생각하는게 웃기지ㅋㅋ

  • @commet14
    @commet1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8

    무슨 어디 커뮤니티사이트에서 수학문제로 3시간동안 키배뜨다 온사람 같아요....

    • @gongto
      @gongto 27 วันที่ผ่านมา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ㄹㅇ

  • @stupidduck701
    @stupidduck7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12:16 자신의 의견을 어필하기 위해 원하는 배우자 성향까지 말하는 대단하신 쌤

  • @psychopathereom2319
    @psychopathereom231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5

    사회가 공유하는 기본 정서... 공교육이 중요한 이유...

  • @EBS_i
    @EBS_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10

    06:17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군 희대의 수학 떡밥! 미국 시험에 나왔던 48÷2(9+3), 정답이 2일까 288일까?

    • @speedwind6607
      @speedwind660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9

      2!!ㅋㅋ

    • @상냥이-f8s
      @상냥이-f8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6

      288!

    • @umjunsikumsikjun
      @umjunsikumsikju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처음에 288이라고 생각햇음미다

    • @태준이-b9o
      @태준이-b9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7

      정답:문제를 만든놈이 쳐맞아야함

    • @banzumon
      @banzum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냥이-f8s 08:50

  • @하늘푸른
    @하늘푸른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86

    시작부터 화나있으심...ㅋㅋ

    • @엘상산시리즈
      @엘상산시리즈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4

      화나 이글스..

    • @크크-o4z
      @크크-o4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프로필때문애 늘 시작부터 화나있으심 이렇게 읽음ㅋㅋㅋㅋ

    • @o23817
      @o2381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빡칠만 함

    • @tetrisczar469
      @tetrisczar46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무식한 놈들 땜에 흥분하신거임

    • @JinJin_2
      @JinJin_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화났을 때가 제일 멋진 생선님😂

  • @서유라-i4m
    @서유라-i4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는 애 엄마입니다. 그냥 정승제생선님 보고 싶어서 시청합니다. 많이 웃고, 좋은 기운 받고 가요~ 너무 좋아요!

  • @박상우-k9i
    @박상우-k9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6

    곱하기 기호가 생략된건 더 강한 결합력을 갖는군요!! 좋은 강의 입니다 👍

    • @minjae92
      @minjae9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 의미가 맞는데 정확하게 말하면 곱셈 기호의 생략은 결합이 된 걸로 본다. 그러니까 괄호 친걸로 본다는 말입니다

  • @토실맘-b1y
    @토실맘-b1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선생님 목숨이 젤 걱정됨 혈압조심하세요

  • @아영이네행복주택
    @아영이네행복주택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83

    결론.
    " abc ÷ abc = 1 이라는 사람이랑 결혼하고 싶다."

    • @fxckingfeminism
      @fxckingfeminis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랑나랑나누면하나

    • @sung5574
      @sung557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왜 이제서야 올린건가 생각했는데 공개구혼이었네 ㄷㄷㄷ

    • @nonogom123
      @nonogom12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허?

    • @fxequalsc
      @fxequals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렇게 생겼는데~

    • @dubutube5465
      @dubutube546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fxequalsc 님은 어떻게 생기셨나요?

  • @남다름-t4o
    @남다름-t4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수학은 약속이라는 말이 와 닿네요. 같은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도 이렇게 다를 수 있다니~
    정승제 선생님의 속 시원한 풀이에 고개 끄덕여지네요!! 수포자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는 EBSi 고교강의와 정승제 선생님 만쉐이~

    • @EBS_i
      @EBS_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EBSi 고교강의 채널입니다 :) 100만 뷰 기념 이벤트에 당첨되셨으니 아래 링크에 들어가셔서 당첨자 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글폼 링크⬇⬇⬇⬇⬇
      forms.gle/66tcLy9RfyrTRhAYA

  • @dtos8761
    @dtos876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8

    독립적으로 개체화된 것의 성분을 계속 분해하여 분리해놓으면 결국 원형과의 거리가 멀어집니다. 곱셈 기호를 생략하고, 또 괄호를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되는 이유는 결국 각 성분을 묶어서 개체화 하기 위함. 이건 수학도 아니고 언어이다.

    • @Piecrustc
      @Piecrust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5

      진짜 이 말을 하고 싶었음, 이건 수리의 성질이 아니라 그냥 약속된 언어인데 그 언어를 까먹었으면서 자꾸 성질을 논함...;

    • @SO-mc2sq
      @SO-mc2s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형들 너무 어려워잉

    • @harang_snow
      @harang_sno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SO-mc2sq 형 들 너 무 어 려 워 잉 이 아니라 형들 너무 어려워잉 이라고 하기로 약속했다는 뜻임

    • @into_the_newworld
      @into_the_newworl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ㅋㅋ ㄹㅇ 중위 표기법으로 생기는 오류

    • @NooBSade
      @NooBSad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거 결국 수식 편하게 짜겠다고 설정한 규칙인데 그 규칙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한다면 바꾸거나 없애는게 맞지 않나 싶음

  • @devotejin
    @devoteji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5

    이런거에 목숨걸지 말라고 목숨건것처럼 이야기 해주시는 열정의 선생님 감사합니다.

    • @wonseokchoi131
      @wonseokchoi13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하지만 댓글창들은 정 쌤이 그렇게 강조했음에도 목숨걸고 있는 사람들(자기들 답이 맞다고 좋아하는 사람들. 진실=그게 답이라고 정 쌤은 규정하지 않음)이 부지기수로 보이고 있죠. 정 쌤 소중한 13분 그냥 날렸어 ㅜㅠ

    • @wonseokchoi131
      @wonseokchoi13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ibisi-ir5zj 하나 더 덧붙이자면 '수학은 답이 하나인 절대진리 학문'이라는 은연 중에 갖는 우리들의 고정관념도 한 몫하는 것 같아요. 그러니 이거 아니면 저거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이랄까요. 결국 중요한 것은 그것이 '문제'인 이상출제자의 의도와 기준인 것을 말이죠.

    • @다인-g3m
      @다인-g3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ibisi-ir5zj 그건 '취향' 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걸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지구에서 수학을 할 게 아니라 어디 저 알파센타우리 같은데 가서 우리와는 다른 '공리' 를 가지는 별에 가서 수학을 배워야 합니다. 이 '지구' 라는 별에서 공리는 승재샘이 말한 내용이고, 그건 '반드시'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입니다.

  • @humvi-5577
    @humvi-557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8

    abc 비유는 진짜 좋다.. 확 와닿았음

    • @gunpla_newbie
      @gunpla_newbi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속 시원~함!! 개비스콘이 따로 없음

    • @kei-kc8d
      @kei-kc8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래서 b제곱c제곱이 틀리단건 아니잖음. 1이 합리적이라는거지

    • @gunpla_newbie
      @gunpla_newbi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kei-kc8d 어떻게 계산해서 두개의 답이 나온지 알겠으나 2:30 에서 정승제쌤께서 말씀하셨듯이 사칙연산에서 약속을 한 부분입니다. (미국 수학 학회에서도 그렇게 정하기도 했고요)
      개인적으로 다같이 약속을 정했는데 그것을 어겨 비합리적인 답을 제시했다는것은 틀린게 아닐까 싶어요.

    • @검둥이페페
      @검둥이페페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kei-kc8d 이런 애들이 5등급 나오는거지 ㅇㅇ. 요지 파악을 전혀 못하네

    • @저녘놀
      @저녘놀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kei-kc8db제곱 c제곱은 틀린답 맞음. 문자들 사이에 생략된 곱셈은 그냥 곱셈, 나눗셈 기호보다 연산 순위가 높아서 우선시 됨.

  • @춘식쓰-b4c
    @춘식쓰-b4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승제쌤 덕분에 수학 성적도 오르고 수학 지식도 많이 알고 똑똑해졌어요💓🍀 고맙습니다❤️❤️

    • @EBS_i
      @EBS_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EBSi 고교강의 채널입니다 :) 100만 뷰 기념 이벤트에 당첨되셨으니 아래 링크에 들어가셔서 당첨자 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글폼 링크⬇⬇⬇⬇⬇
      forms.gle/66tcLy9RfyrTRhAYA

  • @adlibitum.soave.comodo.7328
    @adlibitum.soave.comodo.732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

    12:43 안타까워 ... 왜 숨이 차신 거냐구요 😂😂😂

  • @preedamu
    @preedam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7

    생략된!!!!!!!! 곱셈은~ 결합력이!!!!!!!!!!! 더 강한!!!!!!!!!!! 것으로!!! 바라보자~~~!!!!!!!!!!!!!!!

    • @이서현-m9y
      @이서현-m9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완벽한 정리

    • @체크메이트챡챡챡챡
      @체크메이트챡챡챡챡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소리가 들린다 큰일

    • @훈제오리-t6r
      @훈제오리-t6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음라하하하ㅏㅎ

    • @zkim5278
      @zkim527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하지만 명문화된 표준규약 없쥬

  • @쁑뺭뿅
    @쁑뺭뿅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10년 전에 수험생일 때 보던 선생님 모습 그대로셔서 뭔가 뭉클하네요🥹🥹 덕분에 수포자 이과생에서 1등급 잘 받고 원하는 학교갔었어요😍😍 항상 건강하시길😁

  • @Jammin_Game_world5000
    @Jammin_Game_world500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2:37 사악해진 정승제
    10:03 목이없어진 정승제
    12:54 영어를 잘 모르는 정승제

  • @mks4472
    @mks447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7

    이렇게 설명했어야 했구나
    오늘의 사이다!!!! 감사ㅠ ㅠ

    • @wonseokchoi131
      @wonseokchoi13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설명이 중요한 게 아니라고 봐요. 설명은 괄호항부터 처리하는 이들이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 부분아 것이고, 중요한 건 수학(저건 수학도 아닌 연산이지만)이란 정의가 중요하고 그에 따라 답이 다를 수 있다는 게 지금 정 쌤의 요지입니다. 즉 지금 댓글창에서 어느 답이 맞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이미 답정너의 자세로 이 영상을 봤다는 거. 정승제는 끝까지 답을 규정짓지 않아요. 즉 그 문제를 주관하는 곳이 인정하는 게 답이라는 게 정확한 입장이겠네요.

    • @이아-g6m
      @이아-g6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wonseokchoi131 정승제의 의견을 물어본다면 2라는대

    • @wonseokchoi131
      @wonseokchoi13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아-g6m 근데 정승제가 자기는 답을 규정하지 않겠다고 말을 했죠. 풀이가 아니라 풀이 외적인 이야기들이 핵심인데, 풀이에 꽂혀버리면 정 쌤은 13분 그냥 날린거죠. 이 영상을 끝까지 봐야 하는 이유는 정승제라는 유명 수학강사가 저걸 어떻게 푸느냐가 아니라 왜 논란이 되어선 안 된다고 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 이유를 '답이 2라서'라고 말한다면 죄송하지만 영상의 내용을 흘려들으신 게 아닐까요. 그렇기에 영상의 13분을 스킵없이 다시금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 @국민건-g4z
    @국민건-g4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abc / abc 를 곱하기로 다 풀어서 계산하려고 했을때 괄호를 적었던 걸로 기억나요. (a*b*c)/(a*b*c) 이렇게요.어릴때 뭔가 습관적으로 그렇게 적었던거 같은데, 나름 이유가 있었네요. (눈높이 수학과 구몬 수학을 했었던...)

  • @happinessisfrequency
    @happinessisfrequenc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이 영상.. 24년도의 승제쌤 같아 요 맞져??!이렇게 명쾌하게 알려주시다니 감쟈드립니당!^_^*

  • @jinjeon7476
    @jinjeon747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속시원한 쌤의 설명에 속이 뻥뻥~

  • @김캘빈-y9s
    @김캘빈-y9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4

    너무 당연하게 2라고 생각해서 친구들한테 설명하다가 논쟁만 더 커져서 이해시키기 힘들었는데 이 영상 공유해야겠네요 휴

    • @youngdaniel4542
      @youngdaniel454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8 이라고 믿는 무식한 친구는 오늘부로 손절해라

    • @지져스-n7w
      @지져스-n7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냅둬여ㅋ 물을 물이라 했는데 왜 물이야 되묻는 수준인데

    • @Sikanohobi5m
      @Sikanohobi5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가 아니면 뭐에요..?!

  • @하하자매-1h
    @하하자매-1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8

    결국엔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약속의 문제니 논란을 이어나갈게 아니라 약속을 확인하면 되겠네요.

    • @고건희
      @고건희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근데 저걸 약속이라고 안알려주면 모르는사람들도 웃김. 그럼 7÷7은 7÷1x7이니까 7x7이니까 49가 됨? 원하는거 다 만들수있음.

    • @김은지-e8k7s
      @김은지-e8k7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고건희예시가 틀렸어요... 3:03 확인하세요. 7÷1×7라고 쓰셨으면 49 맞아요. 곱셈 기호가 명시되면 앞부터 차례차례 계산하는 게 맞습니다. 7÷(1×7)이어야 7÷7과 같은 거예요...

    • @안나-q6p
      @안나-q6p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김은지-e8k7s국어공부를 좀 열심히 해야할 것 같아보이네요😢

    • @이영재-d4x
      @이영재-d4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약속이 아니라 증명식을 알면 된다
      공부해라

    • @user-jm8def97sa98
      @user-jm8def97sa9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김은지-e8k7s 수학말고 국어부터 공부하셈

  • @superb444
    @superb44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8

    10:24 진짜 핵심은 이거지.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건데 여기에 목숨 걸지 말라고. 공교육이 어쩌고 상식이 저쩌고 단순암기가 어쩌고 이해가 저쩌구하면서 댓글창에서 목숨걸고 비하하는 애들은 사실 자기 얼굴 욕보이는 거나 다름없음..

    • @bruh6627
      @bruh662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솔까 공교육이 어쩌고 상식이 어쩌고 단순암기가 어쩌고 이런 사람들은 수학이 뭔지 모르는 주제 수학황 코스프레를 하고싶어서 그런것 같음

  • @아몬드하창봉봉
    @아몬드하창봉봉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정승제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처럼 언제나 개념은 그냥 의미 없이 외울께 아니라 이해하면서 스스로 설명하는 연습을 하면서 수학 실력을 키우는게 수학의 본질이고 수학은 언제나 기초가 안잡히면 나중에 무너지기 때문에 언제나 기본이 중요하다는 말씀을 하고 싶으신것 같고 EBSi들으면서 저는 수포자 였는데 정승제쌤을 만나고 나서 수학이 한결 괜찮아 졌고 50일 수학으로 저의 공백을 채울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다 정승제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에 수포자 없애기 위해서 노력하십니다 그의 힘입어 저는 정승제 선생님 제자답게 항상 포기하지 않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하나하나 채워 나가다 보면 그 끝이 있으리라고 민ㄷ어 의심치 않으니 정승제 선생님을 믿고 나아가 보겠습니다 정승제 선생님,조교쌤,EBSi 화이팅

  • @Ciabatta3D
    @Ciabatta3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3

    아..역시 정승제쌤은 1.7배속에서 가장 아름다우십니다

    • @IceBlue_112vm
      @IceBlue_112v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하지만 유튜브에선 1.75배속만 지원해줘서 볼 수가 없죠

    • @옴마야-n4n
      @옴마야-n4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끝까지 다 보고 아름답다는 말에 홀려섴ㅋㅋㅋㅋㅋ 1.75배속으로 다시 보고 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아름답네요!!!!!!

    • @iamsnowflower
      @iamsnowflowe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옴마야-n4n이 댓글을 보고 1.5배속으로 끝까지 다 본 저는 다시 1.75배속으로 보기 시작합니다.

    • @조준우-d8g
      @조준우-d8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ceBlue_112vm 아 그르네? ㅋㅋㅋ

    • @namwaan10
      @namwaan1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고구마-j2m
    @고구마-j2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9

    2:25 이부분을 읽지 않은 당신은 중1과정에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 @김현숙-w1v
    @김현숙-w1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수학을 사랑하는 승제쌤의 열정💕
    최고예요 👍

  • @조준호-j3g
    @조준호-j3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래도 저렇게 열정적으로 설명해서 이해를 시켜줘서 애들이 잊지 않는 경험을 많들어 주셨고 저에게 다시 기억을 꺼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바타Avatar
    @아바타Avata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결합된 것으로 본다
    라는 건 기억이 안나지만
    곱셈 나눗셈에서는
    기호가 생략된 곱셈이 가장 우선순위이다
    라는건 분명히 기억함

    • @Hopechild_one
      @Hopechild_on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게 승제쌤이 말한 교과서마다 뉘앙스는 다르다 인거 같습니다!

    • @베d
      @베d 17 วันที่ผ่านมา

      분배법칙은 배웠을 거임
      분배법칙은 한덩어리임

  • @crippleNavied
    @crippleNavie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캬 ebs 최고의 채널이야 역시

  • @ehduslsw000
    @ehduslsw00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중등 교육 과정에서 수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2가 더 합리적이라는 사고력을 가지는 게 당연한 것

  • @tsuyoshi_saijo
    @tsuyoshi_saijo 24 วันที่ผ่านมา

    공식 외우는 것보다 취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다시 한 번 잘 이해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발광견
    @발광견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9

    영상 요약 -> 48÷2(9+3) 이거는 48÷{2×(9+3)} 이거랑 똑같다는게 합리적인 생각이지 않겠냐?

    • @jwb652
      @jwb65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혹시.. 중괄호 대괄호 모르실까요?

    • @발광견
      @발광견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jwb652 수식 적어본지가 10년이 넘어서 중괄호 존재를 잊고있었네요. 고쳤습니다 ㅎㅎ

    • @Sshlos
      @Sshlo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jwb652요청해서 했으면 답을 드려라

    • @이사람-l4k
      @이사람-l4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jwb652중괄호 안써도 딱히 상관 없지 않나여

    • @woooooo_3
      @woooooo_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jwb652 니엄마

  • @babona8960
    @babona896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

    12:17 그러니까 결론은 [결혼하고 싶다...] 라는 거죠...?

  • @李圭英
    @李圭英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이 참 재밌네요 문제의 답이 이거야! 라기보단 비슷한 문제하나를 더 만들어서 이해하기 쉽게 유도하시는게 대박이네요!
    다음번에 이런 비슷한문제로 토론이 생길때 [abc / abc = 1]

    • @TheThirdEYE637Shinhan
      @TheThirdEYE637Shinha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장 게산기를 이용해 보시오.ㅋㅋㅋ

    • @꾸어엉-w9s
      @꾸어엉-w9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자에서만 쓰이는 곱셈 생략을 숫자까지 끌고오니 생기는 문제죠

  • @jikjinTherealateezzz
    @jikjinTherealateezz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둘 다 되니까 문제로서 가치 없다 생각했는데, 정승제 생선님이 가치를 만들었다.. 진정한 가치 있는 교육채널 EBSi

  • @sjyeon9835
    @sjyeon983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인강 오랜만에 보는데 넘 재밌다

  • @mcsj0804
    @mcsj080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점점점 눈빛에서 광기가....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진짜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 @jonghyunee84
    @jonghyunee8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괄호 없으면 곱셈과 나눗셈은 우선순위가 같으니 동일 우선순위면 곱셈 나눗셈 모두 결합방향이 좌에서 우니까 288이 맞죠. Wolfram alpha에서도 288이 나옵니다. 물론 정하기 나름인데, 산수는 약속이니 보편적인걸 따라야죠 ㅋㅋ

  • @dsv2889
    @dsv288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 해석 좋아요 선생님 명확해 졌어요

  • @dwowbdwowb
    @dwowbdwow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2:36 선생님 웃음 킬포

  • @namehep
    @namehep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3

    0:17 시카노코노코노코 코시탄탄~

    • @마시는수돗물
      @마시는수돗물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ㅋㅋㅋㅋㅋ

    • @Hampter-m7r
      @Hampter-m7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ㅋㅋㅋㅋㅋㅋㅋㅋ

    • @tomhanky2916
      @tomhanky291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ㅋㅋ

    • @물음표-q4l
      @물음표-q4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뭐라는거임?

    • @Rain06-01
      @Rain06-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ovelymelody9245
    @lovelymelody924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1

    몇 년 전 이 문제를 처음 접했을 땐 6÷2(1+2) 이거였고 답이 1이냐 9냐로 논란이 됐었음
    그 당시 가장 뒷골 땡겼던 댓글이 "계산기로 계산해보니까 9가 나왔으니까 9가 답이다"였는데
    생략된 기호를 어떻게 볼것이냐는 문제를 가지고
    논란의 여지가 없는 표현식으로 6÷2x(1+2) 이렇게 계산해 놓고선 9라고 우기니 답답해 미치는줄ㅋㅋ

    • @강일원-w4e
      @강일원-w4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결국 생략된 곱셈이 나눗셈보다 우선한다라 말하는거고 그 예시로 든게 abc/abc=1. 타당한 말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론 참 문제 자체가 거지같다는 생각.

    • @sensitiveman
      @sensitivema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얘는 생선님이 설명을 해줘도 이해못하고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하고있네ㅋㅋㅋㅋㅋ

    • @yeke-lf2mg
      @yeke-lf2m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ensitiveman?

    • @watermints
      @watermint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sensitiveman8:06 원댓에서 논란의 여지가 없다는 건 48÷2×(1+2)

    • @stillliveon
      @stilllive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yummystone얘는 영상을 안 봤거나 한국어를 그냥 못 함 ㅋㅋㅋㅋㅋㅋ

  • @정미연-p7f
    @정미연-p7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고고.. 생선님 흥분의 오른손 흰 장갑….호흡기도 좀 지켜드리고 싶네요오~~~🥓🥓

  • @kims5007
    @kims500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정말 고생이 많으시다..

  • @JWOH-gk2fg
    @JWOH-gk2f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1

    이렇게 생긴 과일을 우리는 '사과'라고 부르기로 약속했어요. 하는데 누군가 '나는 그 약속에 동의할 수 없어요. 나는 그 과일을 삼과라고 하겠어요' 라고 하면, 그래 우리는 다 사과라고 할테니 너 혼자 삼과라고 해라 하는 수밖에... 그런 사람을 설득하려고 노력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나요. 시간과 에너지만 낭비하는거지.. 저 수학식의 답을 288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구태여 설득하려 하지 말고 그냥 너혼자 그렇게 하세요 라고 말하는게 나를 위해서 더 좋은 일입니다.

    • @식염포도당-SaltedGlucose
      @식염포도당-SaltedGlucos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그렇게 하는게 나의 삶에선 편안하지만 인류의 수학이 불편해지는 결과라서 안타까울뿐....

    • @이주희-s4j
      @이주희-s4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렇게 생긴 과일은 사과임? apple임?
      사과라 부르자 하면 사과고 apple라 부르자 하면 apple임
      정의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다르다는 예시는 이게 더 맞음
      수학이 역사도 아니고 다수론을 따름?
      자 여기서 문제
      1은3이고 2는4이다
      1+2=?의 답은?
      님이 생각하는 답은 3임? 7임?

    • @가나시
      @가나시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이랑 7 둘다 되는거 아닐까유
      1=3,2=4면 3=7이니까​@@이주희-s4j

    • @페오-i6s
      @페오-i6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이주희-s4j 과학처럼 어떤 현상으로 정해지는게 아니라 수학은 약속이니 다수론을 따르는게 맞죠.. 사과를 미국에선 apple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나라에서 다수가 apple이라고 부르기로 했기 때문이고 우리나라에선 다수가 사과라고 부르기로 했기 때문이구요. 수학의 규칙도 "다수"의 수학자가 동의하거나 사용하면서 만들어진것들이고 수학도 역사가 맞습니다.

    • @caltecto
      @caltect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이주희-s4j 예시가 틀렸잖아. 뭔소리야 ㅋㅋㅋㅋ

  • @swhb339
    @swhb33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42살에 보고 있습니다....

    • @nadanawhy
      @nadanawh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ㅎㅎ
      62살에 보고 있어요

    • @dakkim
      @dakki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살입니다. 근데 재미있네요. ㅋㅋ

    • @hhs570
      @hhs57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 46살 재미나네요

    • @메칸더-q6s
      @메칸더-q6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에 보고있습니다

  • @우블리-s9d
    @우블리-s9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기호가 생략되있는 부분은 대괄호로 묶어서 한덩어리로 놓고 풀기시작 48÷{2(9+3)}. 문제가 48÷2*(9+3)이면 기호생략된 부분 없으니까 그냥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나누고 곱하면 됨.48÷2*12 순서대로. 48÷2는 24.24*12 순차적으로.

  • @가롱니인싸
    @가롱니인싸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당연한건데 시원하게 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gyugyuny
    @gyugyun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8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한게 논쟁이 되는게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 궁금 할 수는 일을 듯. 근데 저걸 고등학생 이상이 고민한다면…… 어질어질하네요.

    • @lshlshlshlsh
      @lshlshlshls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ㅠㅠ

    • @user-cy5so4ji9h
      @user-cy5so4ji9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저게 무조건 2이라는 사람은 1/2/4가 무조건 0.5/4라고 우기는사람이랑 뭐가 다른거임?
      식 자체가 애매모호하게 써있어서 0.5/4일지 2일지 아무도 모르는건데 뭔 말도안되는 규칙같은거 들고와서 어질어질 이러고있네

    • @유현민-z9s
      @유현민-z9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cy5so4ji9h1/2/4 이딴 분수가 있음?
      1÷2÷4는 봤어도 저런 분수는 처음보네

    • @minjae92
      @minjae9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cy5so4ji9h 근데 이건 괄호가 아예 없어서 전자가 답 맞아.....

    • @user-cy5so4ji9h
      @user-cy5so4ji9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현민-z9s 번분수꼴인데 분자분모중 하나만 정수로 쓴 형태로 보면 있는 분수긴 함
      아래 전자가 맞다는 모지리는 뭔소릴하고싶은건지 모르겠다

  • @오드리햇반렐라
    @오드리햇반렐라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업을 듣고 있으니 저 어릴때 정승제 선생님 같은 분이 EBS에 있었다면 저를 포함한 많은 수포자들이 조금 더 수학을 붙잡아보고...그 후에 수포자가 되도 늦지않았을텐데...하는 아쉬움과 감사함 사이에서 잘 듣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just_hongzzang
    @just_hongzza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우리 샘은 버럭해도 귀여우심🎉

  • @clash----clash
    @clash----clas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수학 채널을 보면, 문자와 문자 ㅡ 문자와 숫자 사이에서는 곱셈기호를 생략할수 있고 이 경우 괄호가 생략된걸로 본다. 숫자와 숫자 사이에서는 곱셈을 생략할수가 없다.

    • @many2533
      @many253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맞아요 그래서 같은 말이예요 생략된 곱샘부터한다. 고로 수와 수식사이의 곱샘부터한다

    • @clash----clash
      @clash----clas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ujiseyong01 문과생이세요?

    • @facela4798
      @facela479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러니까 2(9+3)은 곱셈이 생략되어있음 = 하나의 문자로 봐야함 = 24가 맞다는 소리아님?

    • @user-eubu556eio
      @user-eubu556ei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괄호로 결합된 것은 하나의 문자로 바라보는 것이 합리적임

    • @MrTanorus
      @MrTanoru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facela4798생략된 곱셈을 하나로 묶여서 항으로 해석하자는건 몇몇 사람들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임.

  • @미쿡-k2u
    @미쿡-k2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와 웬만한 개콘보다 재밌어요 🎉🎉🎉

  • @toritoto9816
    @toritoto981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개념에 대한 설명을 너무 쉽고 명쾌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무조건 암기가 아닌 개념에 대한 이해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또 깨닫게 되었습니다!

  • @엘레고스
    @엘레고스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아직 새벽인데 답글이 달린다는게 신기하다 ㅋㅋㅋㅋ

  • @맛난영지625
    @맛난영지62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당연하게 생각해서 저런 논란이 있다고 생각도 못했네요 ㅋ 개념 잘 배우고가요!

  • @giyomi722
    @giyomi72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문자와 숫자 사이에는 곱샘을 생략하고 결합으로 봄에 적합하지만 숫자끼리는 생략하지 않습니다 혼동이 올수있기 때문이지요 23은 23이지 2*3이 아니니까요 그러니 해당 문제는 모순이 있으며 답이 2와 288 두가지다 라는게 더 맞는거 같아요. 에초에 맞는 식이 되려면 48/2*(9+3) 이거나 48/(2(9+3)) 이 되어야 맞다고 봅니다.

    • @djduaksyd9787
      @djduaksyd978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는 문자라고 생각해봅시다 괄호가 쳐저있는 수식은 숫자 × 문자로 보는거죠, 2(2+2)=2a 라고하면 a=2+2
      괄호가 쳐저 있는건 문자로 봅시다
      ( ) 가 숫자는 아니잖아요?

    • @giyomi722
      @giyomi72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djduaksyd9787 괄호는 우선연산의 영역표시 이지 문자가 아닙니다 수학에서 문자란 미지의 숫자를 의미합니다만 괄호는 어떠한 숫자도 대신할수없는 기호입니다

  • @박인혜-l8g
    @박인혜-l8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곧 40인데 선생님 너무 재밌어보여서 나도 모르게 클릭했어요..

  • @stonecoldsteveaustin3487
    @stonecoldsteveaustin348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넘나 당연한 소리에 속이 다 시원함!

  • @FQRL1212
    @FQRL121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4

    12:02

    • @dododok115
      @dododok11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남편 자리는 비어있나요

  • @goodieland
    @goodielan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10:21 그 누구보다 목숨걸고 계신느낌이에욬ㅋㅋㅋㅋ 혈압주의

  • @끼딴쓰
    @끼딴쓰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승제 선생님 싸랑해요❤❤❤❤❤❤❤❤

  • @1004ViVi_mama
    @1004ViVi_mam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48÷2(9+3)=2 / abc÷abc=1
    보자마자 바로 이렇게 계산해서
    와... 쉽다~했는데...
    논란이 됐다길래 제가 틀린줄 알았어요ㅠ
    (제가 학교다닐때 수학 징그럽게 못했었거든요ㅋ)
    왜 이게 논란이 되는건지 아직도 모르겠는 낼모레 50인 아줌마입니다ㅠ😅

  • @지오최고-v4i
    @지오최고-v4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lavktjs
    @dlavktj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곱셈의 생략은 결합력, 그러니까 애초 한 덩어리를 의미한다 라고 교과서에 나와있겠지만, 보편적로는 단순히 곱샘기호의 생략 그 자체로만 인식하고 있는게 대부분임.
    때문에 이런일이 벌어진거고. 애초 교과서의 저 내용가지고 학교 선생들 대부분이 심도있는 해설보다는, 단순 기호 생략으로 가르쳐 왔던게 대부분이고.

  • @yellow_tag767
    @yellow_tag76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1, 12:52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

  • @이도규-k2r
    @이도규-k2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80년대생 고졸도 당연하게 느끼는걸 이게 논란이라고..?

  • @ssssong12
    @ssssong1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진짜 답답했는데 시원..
    선생님 덕에 설명이 더 쉬워졌어요

  • @iam-e-one
    @iam-e-on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선생님 숨 넘어가시겠어요😂

  • @누누-j3e
    @누누-j3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재 31살인 제가 중학생때 들었던 정승제쌤의 강의가 그리워 다시 이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이럴수가) 잘 들어볼게요! 감사합니다 ebsi!

  • @carpcarpbread
    @carpcarpbrea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지나가던 컴공입니다. TypeError: 'int' type not callable. 감사합니다.
    *해설: 숫자 바로 뒤에 괄호가 나와서 숫자를 함수로 해석하려다가 발생한 에러

    • @머봉
      @머봉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48÷two(9+3)
      def two(n):
      return n*2
      암튼 동작하니 좋았쓰~

    • @Hampter-m7r
      @Hampter-m7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만의 유사코드 PseudoPython에서는, 2(...)는 객체 2의 생성자란 뜻입니다. 그러나 어차피 인자가 있는 생성자가 없으니 FAIL 😂😂😂

    • @koyoungjun_official
      @koyoungjun_officia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이썬에서 함수명 첫글자를 숫자로 썼다고?

    • @5dksdev767
      @5dksdev76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으으 찐

  • @활자충
    @활자충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저 말이 정답이지.
    생략했으면 그 생략의 주연자를 묶어야지.

  • @mundi1983
    @mundi1983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감사합니다 정승제 생선님!

  • @daegeonlee9683
    @daegeonlee968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Math stack exchange에서 가져왔습니다.
    It’s notable that Texas Instruments’ calculators have changed their interpretation from a/(bc) to (a/b)c, presumably because of the prevalence of expressions like 1/2x where many users intend
    1
    - x
    2
    - al45tair
    Commented Jun 30, 2015
    나눗셈 기호를 쓰는 표기에선 juxtaposition 표기가 크게 문제 안되겠지만 전산으로 오면 또 다른 혼동이 생기는 예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해석하는게 인간의 능력이지만 인간은 또한 습관의 동물이므로 실수를 유발하게하는 표기법은 더 명시적인 표기법으로 대체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 @ddg7974
      @ddg797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응 미국수학협회한테 따지셈

  • @연중무휴-h9k
    @연중무휴-h9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중1수학
    곱셈기호는 수,문자의 결합시 생략가능
    예)3×a=3a a×b=ab
    단,수의 경우는 ㆍ을 찍는다
    예)2×3=2ㆍ3
    따라서 위 식은 오류입니다
    따질 필요가 없지요
    다만 분배법칙 표기법으로 문자로만 구성된 a(b+c)은 가능하나 수만으로 표기하고자 할때는 꼭ㆍ을 찍어서
    2ㆍ(9+3)으로 한후 중괄호{ }로 묶고
    또한 좌측선연산 규칙에 따르고자하면
    2×(9+3)으로 표기하고 48÷2를 먼저 계산

    • @김진-f3f
      @김진-f3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븅은 머지... ㆍ를 찍는 이유부터 확인해라 숫자는 2x3을 생략하면 23이 된다 그러면 누가 6이라고 생각하겠냐 23이라고 생각하지. 근데 ()가 끼는 순간 이것 혼동을 할 수가 없어서 ㆍ를 안쓰는 거다. 모르면 공부하고 오자

    • @hslsh26ify
      @hslsh26if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김진-f3f입에 걸레를 물었나요? 갑자기 욕을?

  • @NoaPi_
    @NoaPi_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1

    대학교를 갈 정도면 이건 바로 2가 나와야 하는 거 아닌가. 이게 왜 논란인지 이해안되네

    • @kimchaeng9988
      @kimchaeng998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못간듯

    • @hangyeollim2325
      @hangyeollim232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처음에 2와 288 둘 다 답이 될 수도 있다 생각했는데 설명 듣고 보니 2가 더 맞는거 같네요. 한양대 수학과 졸업생이..

    • @oooh_ing
      @oooh_i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진짴ㅋㅋ 요새 교육과정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이게 논란 거리가 될거라고 생각도 못했음..

    • @jjjiiinnn8527
      @jjjiiinnn852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대학못갔는데 걍풀어도 2나오는데.
      돌빡도 대학가는데 억울하네

    • @아아구름
      @아아구름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저게 288이 왜 나오지...? 그냥 봐도 2나오던데

  • @yarakiska
    @yarakisk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결국 수식이란 우리가 어떤 문제를 계산하기 위해 긴 서술을 기호로 간단하게 표기한 것 아닐까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값이 뭐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48÷2(9+3) = 식량48개를 2개의팀(팀당 9명의 여자와 3명의 남자로 이루어짐)에게 나눠준다고 하면 몇개씩 줄수 있는가?
    48÷2×(9+3) = 1명당 식량48개를 주려 했지만 부족해 절반씩만 주기로 했다.9명의 여자와 3명의 남자에게 식량을 준다면 식량 몇개가 필요한가?

  • @modakfire
    @modakfir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2(9+3)을 먼저 계산 해야해요. 그게 사회적 약속이라 가지고.. 2x(9+3)이라고 하시면 곤란해요. 곤란합니다.

    • @NK--1
      @NK--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3)이라는 수식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숫자 사이에는 곱셈 기호를 생략할 수 없어요. 이게 왜 불가능 하냐면, 10 이상의 숫자는 전부 곱셉이 되기 때문입니다. 10 = 0 67= 42 =8 이렇게 되어버리죠. 숫자 사이에는 그 어떤 기호도 생략할 수 없습니다.

    • @Tian_16
      @Tian_16 12 วันที่ผ่านมา

      @@NK--1 생략할 수 없긴하죠
      정의되지 않은 방법이니까요
      다만 만약에 정의한다면 당연히 2(9+3)=(2x(9+3)) 이 되게끔 정의하겠죠
      문자에서 동일한 연산을 할 때와 일관된 방식으로 정의해야 직관적이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48÷2(9+3)=288 이라고 주장하는 분들과는 그다지 가깝게 지내고싶진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