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대처법 잘못 알고 있으면 그냥 죽는 겁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มิ.ย. 2024
  • 클릭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여러분 자동차 급발진 영상 한번쯤 보신적 있으시죠?
    여러분에게 이런 급발진이 일어난다면 잘 대처 하실수 있을것 같으신가요?
    급발진은 차량이 걷잡을수 없을만큼 속도가 붙기전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를 해야 큰 사고를 당하지 않고 살 수 있는데요
    잘못된 대처방법을 기억하고 계신다면 큰사고를 당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나 그동안 근거 없는 정보가 많이 퍼져 있어서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제가 오늘 알려드리는 급발진 대처 방법은 미국 컨슈머 리포트 에서 발표되었고 자동차 전문가들이 가장 권장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어렵지 않고 딱 한동작만 하면 되기 때문에 내차가 급발진이 발생 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 하실 수 있을겁니다 👍
    ✔영상순서
    00:00 start
    01:05 급발진 대처방법
    02:58 급발진 예방하는 방법
    시청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안전운전 하십시오🙏
    📌태그
    #자동차 #급발진
  • ยานยนต์และพาหน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9K

  • @M.M.M.M.M.M.M.M
    @M.M.M.M.M.M.M.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08

    급발진을 고칠 생각은 안하고 소비자가 급발진 대처방안을 공부하는 세상이라니

    • @japs815
      @japs81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1

      방법이 없는거죠. 버그없는 완벽한 컴퓨터장치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거든요.

    • @GS29Q
      @GS29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8

      현재 법부터 바껴야됨ㅋㅋㅋㅋ미국은 제조사가 조사 및 발견 해야하지만 우리나라는 운전자가 조사,발견 해야됨 조끄튼거

    • @user-fz1rk9gu4t
      @user-fz1rk9gu4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GS29Q😢

    • @youngmanchake
      @youngmanchak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GS29Q전세계에 급발진 인정한 제조사는 없습니다.😊

    • @GS29Q
      @GS29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youngmanchake 알고있음 갑자기 그 얘기가 왜 나온디야

  • @proferant8082
    @proferant80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58

    너무 확실한 급발진 사고에도 제조사만 편들어주는 사법부도 급발진만큼 무섭습니다.

    • @user-fl5nk7bw9y
      @user-fl5nk7bw9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국과수에서 먼저 그런 결과 내놓죠. 판사는 국과수 말 듣고 판단하는 척

    • @user-dk7ks4nn7b
      @user-dk7ks4nn7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판사가 판결하나로 급발진 회사로 현대기아를 만들었다치자 최초 세계급발진 인정회사 현대기아차 조져지고 아무도 안사고 이후 그 안에서 근무중인 수백만가족들 다망하고 국가 끝남 너보다 똑똑한 판사가 그걸 아는데 그걸 자기가 판결하려고 할까????

    • @nikki-sixx
      @nikki-six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기득권은 기득권 편.

    • @zldwm
      @zldw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법부만 편들어 주는거 아니던데.... 어떤 저능아들도 존나 편들어 주던데..

    • @yoen7278
      @yoen727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판사가 재산이 많은 이유

  • @user-ky4ru1le4e
    @user-ky4ru1le4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7

    급발진시 회사가 급발진이 아니라는걸 밝히는게 아니라 차주가 급발진인걸 밝혀야한다는게 이런 미친 법으로 차주가 피해를 본다는 세상이 이해가 되질않네...

    • @rou2wo125
      @rou2wo12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의료사고도 똑같아요. 미국은 의사나 제조사가 과실을 입증하는데 우리나라는 환자, 소비자가 잘못을 입증해야 하는 현실. 수술실 CCTV라도 달자고 해도 안 들어먹으면서 과실 입증은 안 하고 있죠.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소비자가 문제를 겪고 증명하는것과 제조사가 확인하고 보상하는건 어디에서나 기본적인 원칙임. 급발진에 의한 문제도 원칙에 따르면 마찬가지일수 밖에요. 다만 소비자에게 치명적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는게 급발진인데, 빼박 증거가될 엔진과 차량이 온전히 보전되지 않기 때문에 진짜증거를 찾아낼수가 없게되기 때문이죠. 그러니 마지막 센서기록 저장만 가지고 추리하는 불리한 입장에 처합니다. 급발진후 엔진에서 확실한 증거를 찾아낸 나의 경우에는 극적으로 사고를 면하여 피해본게 하나도 없다보니 소송하거나 제조사를 굴복시킬일도 없게 되고요. 소송까지 가게되는건 모두 다치거나 사망하고 엔진과 장치들은 원인을 고스란히 재현하지 못하니 진짜증거는 도저히 보야줄수 없게 되지요. 이런 소비자의 한계를 감안해서, 급발진에 대해서는 좀더 예외적인 법을 만들어 적용하면 좋겠읍니다.

    • @LEEByungdon
      @LEEByungd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는 사람이 본인이 브레이크 밟는걸 엑셀 밟아놓고 급발진 주장하는거보고 끄덕끄덕 했음.

    • @okok7
      @okok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거 말고도 이해가 안가는게 많이 있습니다💦💦😵‍💫

    • @God.bless.you..
      @God.bless.yo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급발진 관련 강한 처벌법이라도 만들려면 ...
      [ 의원 , 판사 , 검사 , 0.1%의 상류층 ] 기득권 놈들이 급발진 상태에서
      요단강을 왔다갔다 해봐야 법이 바뀜 ... 이놈들은 서민들의 목소리는 듣지도 않음...

  • @cutewolf1123
    @cutewolf11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2

    오 ;ㅁ; 저랑 생각이 너무 비슷하시네요. 저도 여기저기 많이 보면서 정리된 생각이.. 일단 브레이크를 도가니 부서지도록 밟는거고(이건 본능적으로 나오는거니 1번) 두번째가 기어 중립 세번째가 시동 끄기 인데.. 시동이 안꺼지는 요즘 차들은 뭐 답이 없죠. 그냥 갖다 박아서 세워야 합니다. 브레이크는.. 재밌게도 급발진시에 대부분 '브레이크가 안밟힌다, 딱딱하다'라는 증언들이 많이 나옵니다.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을 안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거죠. 그런데 배력장치 없어도 브레이크는 동작합니다. 동작 안하는 느낌이 들어서 그런거지.. 동작합니다. 그러니 도가니가 박살나도록 내 몸이 살짝 떠서 등이 시트에 붙어 있을 정도로 강하게 밟아줘야 합니다. 브레이크는 엔진을 이깁니다. 이미지 트레이닝 꼭 해보시고 브레이크를 최대한 깊게 밟는거 직접 해보세요. 마인드셋 해두는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운전실력이 좋다고 요리조리 피하면 가속만 심하게 될 뿐입니다. 진짜 급발진이라면 무조건 갖다 박아야합니다. 아무데나 갖다 박는게 아니라 차가 갖다 박아도 다른 사람의 생명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들을 박을 생각을 해야죠. 본능적으로 피하게 되는데 무조건 갖다 박아야합니다. 침착하게 갖다 박을 생각을 해야합니다. 그 전에 기어 중립이 되면.. 서겠지만.. 기어중립이 안되는 경우도 있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너무 중요한 얘기해주셨는데.. 차 시동 끌 때 켤 때 여유있게.. 파킹모드에 걸어둬야 합니다. D에 놓고 급하게 시동걸거나 하다가 사고 나는 겁니다. 차에 타고 브레이크 밟아서 acc 상태에 들어가면 내 차 상태를 계기판에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무신경하게 넘어가지 마시고 한번 살펴보세요. 브레이크 등이 들어왔는지, 파킹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풀려있는지 등등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시동이 안걸려 있으니 다른 등이 들어올 순 있지만.. 중요한건 브레이크와 파킹 브레이크는 잡혀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시동 걸면 빠르면 10초 늦어도 30초 안에 엔진오일이 순환을 완료합니다. 그래도 rpm이 바로 떨어지진 않기 때문에 1분정도 기다려줘야 합니다. 그래야 rpm이 떨어져서 1000rpm 전후가 되면서 서행하기 시작하면 딱 적당합니다. 여름에는 이 시간이 조금 짧아질수도 있고, 겨울에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건 엔진을 시동 직후에 혹사 시키면 진짜로 엔진 오래 못쓴다는 겁니다. rpm 1000전후 상태에서 출발하기 시작하면 딱 적당하고 엔진 온도가 중간쯤으로 적당히 맞춰지게 되는데.. 그 전까지는 1000~2000rpm으로 운행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3000까지는 써도 무난합니다. 고속도로가 아닌이상 3000이상 쓸 일은 없을 겁니다 ㄱ- 악셀을 강하게 밟는 습관은 좋지 않습니다. 너무 저 rpm만 쓰는것도 안좋긴 하지만.. 시동 끌때는 정차 한 후에 기어 중립으로 놓고 파킹 브레이크를 잡고 기어를 P로 놓은 다음에 시동을 끄면 베스트 입니다. 시동 걸기전에 기어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진짜 급발진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휴먼에러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평소에 숙지하시면 그럴 일은 잘 없습니다. 아 그리고 차 정비 자주해주세요. 엄청난걸 하라는게 아니라 메뉴얼 대로만 점검해도 엔진이 급발진 날 일은 잘 없습니다. 전자적 이슈에 의해서 발생할수도 있지만, 정비가 안되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자적으로 잘못된 신호에 의해서 엔진이 풀로 전개되는 경우도 있지만, 기계적인 이슈로 그런 것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정도 정리해서 숙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도 꼭 숙지해서 혹시 발생하면 피해를 최소화 하고 평소에 예방했으면 합니다.

    • @user-truebless
      @user-truebles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급발진씨
      어디에는 중립이 아니라
      저단기어로 하라고 되어있던데요?

    • @csk58044085
      @csk5804408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베리굿 입니다. 제 생각과 백퍼 일치네요 답글에 저단기어 하신분...그것도 하나의 방법일순 있지만 동력을 끊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중립이구요 중립해도 달리던 탄력으로 충분히 도로 갓길 쪽으로 대피할수 있습니다

    •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동끌 때 중립넣고 사이드요?ㅋㅋㅋ그 다음에 P??

    • @user-ts7ow3oy6m
      @user-ts7ow3oy6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감사합니다,쓰기 힘드셨을텐데-

    • @hm_son7_love_you
      @hm_son7_love_you 2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어우 너무 길어요 ㅎㅎ

  • @user-is8uw3gn2h
    @user-is8uw3gn2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45

    이게 말이 되는 일인가
    차량에 문제가 있다면 판매를 하면 안되는것을 이런것까지 국민이 해결책을 찾아야 하다니 국토부는 뭐하고 있는지 왜 존재해야 하는지 답답하다.

    • @CatsPunch1004
      @CatsPunch100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제가 다른영상에 이글적었다가
      어떤 놈들은 왜 정부보고 한소리하냐고
      멍멍짓던데ㅎㅎㅎㅎ

    • @user-qf6iy5eg9t
      @user-qf6iy5eg9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그럼 모든 차 팔지 말아야짘ㅋㅋㅋㅋㅋ 급발진 안난다고 장담할수 있는 차 있냐? 말이 되는 소릴 해야지. 😒

    • @CatsPunch1004
      @CatsPunch100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user-qf6iy5eg9t
      차체 결함있으면 원인을 찾아야지요.
      몇천만원짜리 신차 구매해서
      급발진으로 가족이 죽었는데
      제조사는 운전자 잘못이다.
      사법부에선 난 모르니 유가족이 밝혀내라.
      정부는 모르쇠...
      범죄자없고 피해자만 있겠죠.
      너무 무책임한 말씀인데 본인 가족이
      당했다고 생각해보시죠!!
      아 재수없어서 우리가족이 죽었다고
      생각하실껀가요??

    • @dream0555
      @dream055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원희룡이는 김여사 고속도로 만들어준다고 관심무

    • @necrodiverskei
      @necrodiverske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급발진 대처를 왜 알아야 한다고 따질거면
      심폐소생술 배울 필요도 없지
      심패소생하기 전에 구급차 도착할 방법을 정부가 마련해야 할테니?
      게다가 비행기는 추락위험이 0%되기전엔 이륙도 하지 말아야하고
      모든 교통수단은 사고 위험이 있으니 사용을 말아야함.
      다만 지금처럼 급발진 자체를 인정안하고 무조건 운전자 과실로 치부하는 작태는 없어져야하고
      급발진 방지를 위한 장치를 제도화 해야함.

  • @user-gf6gn7ob8c
    @user-gf6gn7ob8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4

    영상 보는거만으로도 손에 땀 차고 등골 오싹해집니다.
    더더더 안전하게 만듭시다.

  • @kingcastles
    @kingcastle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3:13 중요한 예방 팁인것 같습니다. 핸드폰 컴퓨터 등 모든 전자기기는 부팅되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요즘 차량은 예전과 다르게 많은부분 전자식으로 제어 되고있어서 시동을 걸고 10-20초 정도 기다려주는 것 만으로도 기계적 결함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wincle8333
    @twincle83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이런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희박한 확률이지만 급발진이 발생하더라도 다들 잘 대처하셔서 큰사고로 이어지지 않기를 ㅠㅠ

  • @user-wd7rd5jr8j
    @user-wd7rd5jr8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9

    지금까지 급발진설명중에서
    최고의설명입니다.🇰🇷👍👍👍

  • @user-vu3qq9ej2h
    @user-vu3qq9ej2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도둑놈을 잡을 생각안하고 도둑놈이 안들어오길 바라는 세상이라는게 아쉽네요

    • @TV-mk7jn
      @TV-mk7j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요즘 나오는 전자식 변속기는 컴퓨터나 마찬가지라 오류가 발생하져 컴이야 오류나면 전원끄고 새로 깔든가 고치면 되지만 구동계통제어가 컴퓨터가 하고 있으니 오류가 나면 대부분 큰사고로 이루어지져

  • @romance5102
    @romance510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지금까지 급발진 대처법 중에 가장 현실감 있고 이해가 편한 방법이네요. 감사합니다.

  • @kkariiss
    @kkariis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생명을 구하는 귀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나와 가족의 일일수 있다는 생각에 운전할때마다 찜찜 합니다ㅠㅠ 말도안되는 급발진 사고 진짜 나라에서, 만든 회사에서, 양심껏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 @user-vj1kr4ur1i
      @user-vj1kr4ur1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왼 전라도 사투리 ᆢ 표준말로하셔잉

  • @user-fb9bu5ur1z
    @user-fb9bu5ur1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8

    긴급 전원 차단 장치를 적용하면 되는데 국내 제조사는 적용을 안하고 있네요...

    • @ppukkuppakka
      @ppukkuppakk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급발진을 인정하는 꼴이니까요... ㅠㅠ 소비자만 죽어나는거죠....

    • @user-nw7pm2lw7i
      @user-nw7pm2lw7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그걸 적용한다는 거 자체가 우리 차 급발진하는 차예요 인정하는 꼴이니 넣을 수가 없지

    • @user-pv2xu3lr2p
      @user-pv2xu3lr2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그거 적용하는 차 있긴 함?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ECU 전자제어 프로그램에 일시적 오류, 또는 점화시기 관련 엔진부품의 결함이 ECU에 영향을 줄때 급발진이 생깁니다. 내 경우가 후자인 엔진부품에 의한것이었고요. 엔진의 점화 전원만 차단 시켜도 미친 동력을 잠재울수 있으니 도움이 되겟네요. 하지만 급발진에 단단해진 브레이크는 복구되지 않을수 있네요. 고속에서 엔진이 정지 되지만 브레이크가 계속 않된다면 위험은 정차시 까지 존재 하게 됩니다. 그보다는, 급발진은 ECU의 이상 증상이니까 리셋버튼으로 가능 하다면, 리셋으로 복구가능 하다면 정상으로 돌아온 후 바로 브레이크도 살아날것이니 더 안전해질 방법일듯 합니다. 다만 리셋 누른후 복구까지 10초이내는 어려울테니 그 시간이면 죽을수도 있음. 그러니 리셋-> 점화전원 일시차단및 재부팅-> 프로그램 복구시 다시 전원 자동공급->정상적 ECU와 엔진-> 브레이크 정상화 를 생각합니다.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그런데, 실제 가장 중요한것은 급발진에 거의 반드시 함께 나타나는 브레이크의 굳음현상 입니다. 나처럼 고속115에서 더 빨리 가려고 악셀을 밟는순간 생긴 경우에는 브레이크가 정상이어도 미친 회전력을 이겨내긴 힘들겟지만, 정차시 출발때나 저속에서 생기는 급발진에서는 브레이크만 정상으로 유지되어도 수많은 사고와 사망을 막아내는게 가능할 것입니다. 현재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흡기관에 연결되어 있기에 급발진등 엔진의 이상현상에 반드시 제동력에 문제가 병행되는 치명적 한계가 있어요. 브레이크 시스템에 시정명령을 해서라도 반드시 개선시켜야만 합니다. 구조상.원리상.경험상 확실한 취악점이니 시정명령의 근거도 충분한 겁니다. ECU의 오류는 당장 막지 못해도 브레이크 시스템은 얼마든지 기술적으로 개선이 가능해요. 저속에서의 생존을 확보하고 고속에서의 가능성을 높이는 바른 길은 브레이크 시정입니다.

  • @korrrrrrrr1583
    @korrrrrrrr158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2

    너도알고 나도알고 개나소나 다 알고 있는
    급발진을
    제조사만 인정을 안하는 현실
    그걸 규제하지않고
    기업의 이익만 보호해주고 있는 현실

    • @michaelpark5681
      @michaelpark568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급발진은 있지 않습니다. 존재하지 않습니다. 악셀을 풀로 밟았을 뿐 입니다.

    • @moclykim8220
      @moclykim822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골때리는건..브레이크가 딱딱해져서 안밟히니까 당연히 기록장치에는 안밟은걸로 나온다는거..
      가속은 차가 혼자 가속하는건데 가속페달 밟은걸로 기록..

    • @coa7310
      @coa731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꾸역꾸역 흉기차 사주니까 발전아 없지 ㅋㅋㅋ

    • @hsj9081
      @hsj908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급발진경험이 없으시군요..
      악셀에서 발 떼도 차가 갑자기 미친듯이 속력내더라요... 아찔..
      차가 달리다가 기어 브레이크 악셀 모두 말 안 듣는 경험해보니
      제가 살아있는게 신기해요...

    • @hsj9081
      @hsj908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oclykim8220 ㅠ.. 달리던 차가 갑자기 먹통되니까 나땜에 주변사람이
      다치면 안되기에 최대한 차사이로막가
      식으로 핸들만 잡았던 기억이 나요
      신호무시는 기본ㅠ 서질않아서요 ...
      태어나 30년 운전했는데, 최근 첨 경험..
      핸들잡기싫어지데요ㅠ...

  • @user-rvheqaytusjs
    @user-rvheqaytusj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급발진에 대한 여러 수 많은 유투브중 급발진전조증상현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최고의 지도서입니다.

  • @funfunlearningkorean
    @funfunlearningkorea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유익한 영상 고맙습니다. 지인들께 공유해야겠네요

  • @haeokchannel8546
    @haeokchannel854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말 좋운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고👍👍👍👍😄😄

  • @hyun-duck
    @hyun-duc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user-dd4vm7zi1u
    @user-dd4vm7zi1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 정말 유익한 영상이네요. 간단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lswlhappy
    @alswlhapp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급발진시 대비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여기저기 보다 보니까, 급발진이 컴퓨터, 프로그램, 센서, 액츄레이터, 스로틀바디 등 에러나 불량, 또는 단순 접촉불량등으로 얼마든지 생길수 있다던데, 우리나라 자동차회사만 그걸 예방할 시스템도 의무가 아니라고 적용하지도 않고, 책임도 안지려고 하네요. 법개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국개들 답답하네요.😢

  • @user-rc1qf3vi2s
    @user-rc1qf3vi2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유용한 대처방법 감사합니다. 복많이 받으실겁니다 ^^~

  • @keumpark1782
    @keumpark17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미국같이 기업에따금하게 벌금때려야한다

  • @user-qd3ct4sx8f
    @user-qd3ct4sx8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진짜 사용할일없으면 좋겠네요 꿀팁잘보고갑니다😆👍

  • @tangadream
    @tangadrea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영상을 정말 정성들여 만드셨군요.

  • @aknaomi8140
    @aknaomi814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구독했어요 ~ 감사드립니다 ~ 🙌

  • @user-th4hh6bj9z
    @user-th4hh6bj9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참 중요하고 귀한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greatchoi4541
    @greatchoi454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운전면허 필기시험에 꼭 출제해야하고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이네요- N단 👍

  • @user-wg5qg4rq9m
    @user-wg5qg4rq9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까지 시청한 급발진 예방 영상중 간결.명확한 설명. 최고입니다 .
    매번 운전때마다 걱정되던 부분인데~
    감사합니다

  • @sjsknight1
    @sjsknight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풍성한 한가위 되세요! 언제나 시청하고 있습니다. 화이팅!!
    외국 자동차가 값이 싸고 성능이 뛰어나다면 고려해볼 생각입니다.

  • @lalala6298
    @lalala629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급발진 대처 방법에 기어를 중립에 두라는 건 처음 들었는데.. 가장 기억하기 쉽고 시행하기도 쉬운 방법이네요.. 급발진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은 덜어졌습니다..
    그리고 급발진 예방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tkim6780
      @tkim678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h7re1mc7r 전기차는 주행중에 중립으로 변경 안되나요?

    • @songekun
      @songeku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마 어떤식으로든 기어에 간섭을 안주면 그나마 대응할수있지 않을까싶어서 나온 대응법인거같네요

  • @jook2388
    @jook238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급발진 무서운데 이런 좋은 정보 주셔서 고마워요😀👍

  • @gagahohoswju
    @gagahohoswj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필요하고 중요한얘기만 깔끔하고 간결하게 말씀해주셔서 너무좋네요~💜🩵🩷🩵💜💜

  • @tobelotus
    @tobelotu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정말 중요한 정보를 잘 정리해서 알려주는 매우 유익한 동영상입니다. 중립 전환이 중요하죠.
    급발진에 대한 제조사와 정부의 대처가 빨리 사용자를 보호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user-ds8kt4eu7u
    @user-ds8kt4eu7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최고의 설명 이신듯 합니다

  • @user-cy1db2vt2q
    @user-cy1db2vt2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좋은정보주셔서 궁금했는데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l7cx4fx8w
    @user-tl7cx4fx8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유익한 콘텐츠에 감사드립니다.

  • @riro8988
    @riro898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여러 차량 관련 유튜버들이 내놓고 있는 급발진 시 운전자 대처법의 결론
    -> 급발진 시 바로 기어를 중립에 놓고 브레이크를 한번에 꾸욱 최대한 세게(여러번 나눠 밟지 않는 것이 중요!) 밟으며 차량이나 보행자를 피해 가드레일이나 벽쪽으로 정면이 아닌 비스듬하게 박아 속도를 줄여주며 멈추는 것.
    차량이 급발진하면 엔진이 미쳐버려서 (제조사가 주장하는대로) EDR 자료에서 알 수 있듯 풀악셀 상태가 되기 때문에 1초, 1초가 굉장히 중요하고 브레이크만 나눠서 밟다가 금새 시속 170~190km에 도달하여 더 큰 참사로 이어질 수 있으니 무조건 급발진이다 싶으면 속도 더 붙기 전에 벽쪽으로 붙어 박아버려야 합니다.

  • @user-bu7es7tu5w
    @user-bu7es7tu5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운전하면서 급발진 넘 무서웟는데
    설명잘 해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 @eric33057
    @eric3305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고마운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user-lk2yu9st1u
    @user-lk2yu9st1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0

    급발진시 에만 사용하는 급발진 전용 브레이크 장치 개발했으면 좋겠어요

    • @user-tb6tz8pi7m
      @user-tb6tz8pi7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ㅇㅁㄷㅇ0ㅁ😅😅😅😅😅😅😅😅😅

    • @mubik453
      @mubik45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user-de5sp1yp4u 급발진의 여러 원인 중 한가지를 친절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나머지 원인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 @user-fn1bh4ny7g
      @user-fn1bh4ny7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미 있습니다.

    • @tsk2755
      @tsk275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외국은 비상버튼이 있다들었습니다

    • @nqxitazgdx0
      @nqxitazgdx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비상버튼 누르면 동력차단 장치가 작동하게끔 하면 되겠습니다. 동력선에 손으로 잡아당기는 물리적 클립형을 쓸수도 있고, 화약을 이용한 폭파형 차단기를 써도 되겠습니다.

  • @henide
    @henid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정말 좋은 영상 입니다😊

  • @user-wp6uu4ls1d
    @user-wp6uu4ls1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jjm55
    @cjjm5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내용입니다.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 @RAM-sw1gh
    @RAM-sw1g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도 평소에 시동을 건후 바로 출발하지않고 예열을 한후에 서서히 출발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죠
    유익한 정보 감사~😊

  • @sarahhong811
    @sarahhong81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귀한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시동걸고 앞으로는 2분 여유를
    갖져야 겠어요ㅎ
    급발진 되었을때….
    와~~👍
    기어N으로 잘 배웠습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건강하세요👏🏻

  • @KKH0159
    @KKH015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귀에 쏙쏙들어오노! 굿~~!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bo9qf4bq3i
    @user-bo9qf4bq3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드립니다 도움주셔서 고맙습니다. ❤❤❤

  • @wisfree
    @wisfre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ecu 습기 때문임은 이미 밝혀졌습니다 평소 차실내를 건조시키는 것을 습관화하셔야 합니다 특히 에어컨 작동후 건조필수 입니다
    도난 위험 없는 경우에 창을 주기적으로 조금 열어 두시면 좋습니다 장마철 이후 pc가 잘고장 나는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먼지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죠
    같은 이치 입니다 과거 캬브레터 차량은 급발진이 전혀 없습니다

  • @RJ-tk4lc
    @RJ-tk4l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ycim9931
    @ycim993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6

    이런거보면 예전 수동시절때가 그나마 안전하게 운전하던 시절이었네.

    • @yskclove
      @yskclov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맞아욧. 갤로퍼2001년식이었나? 그때부터 갤로퍼에 연료분사펌프가 전자식이 나왔었나본데 저희차가 스틱에 전자식이었어요. 어느날 주차장에서 시동을 켜고 있었는데 갑자기 알피엠이 5000까지 올라가면서 굉음을 내더라구요. 서방이 바로 시동을 끄니 꺼졌는데 그 후로 한번은 주행중에 그 현상이 나타났고 저흰 빠르게 갓길에 정차하구 시동을 껐습니다.다행히 스틱이어서 급발진은 없었지만 너무 무섭더라구요.현대서비스센타가서 연료분사펌프를 새로 교체하구나서 증상은 사라젔습니다.
      같은 증상이 반복되니 무상교체 해주더라구요. 스틱차량이 확실히 더 안전한 것 같아요.ㅜㅜ

    • @RAM-sw1gh
      @RAM-sw1g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그래서 편리한만큼 부작용이 따르는법~~
      자동이 다 좋은건 아니드라구요

    • @songekun
      @songeku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RAM-sw1gh 요즘 오토홀드니 주행보조장치등을 너무 맹신하는 시대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많으니깐요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9

    고속도로에서 115km/h의 고속주행중 조금만더 속도 높이려고 악셀에 슬쩍 힘을 보탠순간, 급발진이 걸려서 계기판끝 한계속도 이상을 달린 경험자 입니다.
    브레이크도 굳어버려 포기했었고,당장은 전방 추월회피에 한참 신경쓰느라 기어중립을 해내지 못했었어요. 그 와중에 한번의 단 몇초의 여유?에 기어봉을 더듬다가(전방의 긴박함에 시선을 돌리지 못하고) 걸린듯 바로 않되니 중립N이 위?아래? 헷갈리더군요. 찰나의 순간뿐..이내 전방추월을 성공하는게 더 절실하여 다음 기회에 하기로 한 이후 해보지 못했어요.
    그때의 기억때문에 이후에 고속주행중에 기어중립 연습을 가끔 한답니다. 차량 출발때와 정차시에 수 없이 했던 중립N..... 긴박한 상황에서는 해보지 않은것인지 한번 걸린후 의외로 방향이 헷갈리더군요. 급발진 걸리면 전방압박감과 브레이크 포기심리등으로 정말 여유시간이 없읍니다. 여기서 좋은, 꼭 필요한 기어중립 연습을 말하는군요. 한번이 아니라 고속주행중에도 전.후방 차량이 없을때, 시선을 돌리지 말고 신속하게 해보는 걸 가끔은 해 두길 바랍니다. 아무리 간단한 동작이지만 느낌을 가지지 못하면 실패 합니다. 강력 추천.
    하지만 당시 N시도는 맞았지만 레버스위치를 덜누른것인지, 급발진 특수상태에서는 불가능한 것이었는지 알수없음.
    **추가
    속도계 끝에서 질주하다가 전방 차량틈새가 너무 좁아지고 있어서 절망적 심리에 되도않은 악셀을 냅다 세게밟고 기적적으로 빠져나갔어요. 느낌은 이미 미친속도라서 그 순간은 아쉽게도? 추가가속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는것. 그러나 회피성공후 악셀에서 힘을 뺀 순간 엔진이 정상으로 돌아 욌어요. 브레이크도 푹신하게 잘 듣게 되더군요. 발을 떼어도 혼자 미쳤던 엔진이 다시 세게 밟아서 전자제어가 정신을 차린것 인지도 모름..
    지금 이 순간 혹시 원치않는 초고속에서 절망에 계신분이 있다면 어차피 극한의 속도.. 놓았던 악셀을 힘껏 밟았다가 놓아보세요. 그런다고 더 위험해지진 않아요. 이미 절체절명 맞자나요..
    어쩌면 나 처럼, 모든분의 행운을 바랍니다.

    • @DonBoksaMan
      @DonBoksaMa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차를 어떻게 세우셨나요?
      저는 시동걸때 RPM이 끝까지 올라가는 거 보고 깜짝 놀라서 시동 버튼부터 끈 적이 있습니다.
      이것도 별로 좋은 기억이 아닌데 고속주행 중 급발진이면 정말 끔찍하군요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DonBoksaMan네. 1500cc오토로서 계기판끝선 220~?을 넘어 붙어버린 속도 225까지 극한으로 까지 올라가서 얼마후 저절로?(틈새추월의 모자름 긴박함에 가속페달을 세게 밟은 직후이기도 함 ECU에 자극을 다시 준것일수도) 엔진이 진정된 결과입니다. 굳어버려서 포기했던 브레이크도 그때 푹신해지고 제동이 먹히게 되었지요. 뒤에 타고있던 직장동료 2명도 함께 지옥의 문턱을 다녀왔지요.

    • @jess4261
      @jess426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평소에 차 고속에서 중립 넣으면 미션 다 망가집니다.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jess4261 그렇지 않았어요. 내차는 사건직후에 제조사 정비공장에서 원인을 발견하고 수리까지 완벽히 해낸 드문 사례였고, 그차로 여러번 연습했으나 문제없이 이후 8년을 잘 타고 중고로 팔았죠. 115주행중 속도를 더 내려고 악셀에 힘을 보태는 순간 미쳐버려 계기판 끝(220)선을 넘어 붙어 230?을 달렸지요. 그 이후엔 80-140 의 속도에서도 시야 전방고정상태의 기어중립 연습을 일부러 여러번 했는데 할때 조금 울컥하는건 있음.문제는 없었음. 다만 변속기에 무리가 덜 가도록 하기위해 D로의 복귀동작을 빨리 하는 겁니다. 하지만 중립상태에서의 고속주행의 느낌(자연감속 수준,필요시 D로의 복귀,브레이크 제동수준)을 이해하려고 N을 유지해보는 경우도 있고요.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jess4261 급발진 경험 전에는 145 이상은 달려 본적이 없는데, 이후 고속주행이 습관이 되어 심야에 그차 1500cc의 풀악셀 한계속도인 180 까지도 거뜬히 달리는 나쁜 버릇이 1년정도 생겼다가. 이제는 220까지 낼수있는 차량이지만 과속하지 않아요.

  • @user-pj6cf1nm7w
    @user-pj6cf1nm7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hermannhesse2008
    @hermannhesse200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주 유용한 정보인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u2sb6um5n
    @user-uu2sb6um5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변속기도 전자제어로 작동하는데 전자장비 오류로 급발진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중립으로 기어를 바꿔본들 정상적으로 변속이 일어날지도 미지수겠지요😢
    또한 엑셀을 밟지도 않았는데 급가속 중이니 브레이크를 최대한 눌러 밟고 중립 변경 후 시동 강제 오프 후(이거도 될지 미지수) 재시동 해보는게 그나마 기계적으로 희망을 걸어볼만한 조작인듯 합니다.

  • @user-nu3gy6ku6e
    @user-nu3gy6ku6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감사함니다 훌륭하십니다 감사함니다

  • @davidkim1320
    @davidkim13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훌륭한 조언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jieunkim4765
    @jieunkim476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배우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imsthovan50
    @kimsthovan5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카팁님 한 마디에 사람들 목숨이 건져집니다. 감사 감사 감사!

  • @user-xh5hs9no7q
    @user-xh5hs9no7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일단 급발진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아야죠.

  • @lee1441
    @lee144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귀한정보 감사합니다 😂

  • @user-su7tk5rf4w
    @user-su7tk5rf4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 @0Ooc
    @0Oo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 영상은 썸네일에서 급발진시 사이드를 절대 당기지 말라는 정보를 전달하고있음.
    영상내용은 관심없어서 안보지만 썸네일은 클릭하지 않아도 누구나 볼수있기때문에 이러한 방식의 정보전달이 매우 효과적임.

  • @user-ok2zb3pf7f
    @user-ok2zb3pf7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전기차는 아직 안사는게 최고인듯하네요.

  • @user-bv9xg9rp5r
    @user-bv9xg9rp5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ok3oh8nt4q
    @user-ok3oh8nt4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xj6yk7my4m
    @user-xj6yk7my4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1

    급발진 경험한 운전자로써 백퍼 공감되는 내용임.
    그 날 이후 국내 차는 쳐다도 안보고
    살았지만 거의 15년 가까이 흐른 지금까지도
    급발진이 해결 안 되고있다니
    도무지 알수가 없네;;

    • @SHINER_
      @SHINER_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급발진으로 국내차를 안쳐다본다니 너무 멍청하신듯

    • @user-vz6qm1pc5s
      @user-vz6qm1pc5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HINER_ 트라우마 생기면 그럴수도있다는 생각 안해봄? 너무 멍청한듯?

    • @user-gs3qw8yo2i
      @user-gs3qw8yo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HINER_돈있으면 안쳐다보지 ㅋㅋㅋㅋ 너같이 없이사는 애들은 엔카에서 k3 중고보는거야 ㅋㅋㅋㅋㅋㅋ

    • @user-sf5of6vu6s
      @user-sf5of6vu6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벤츠도 급발진 있지 않았나요?

    • @Awsome12343
      @Awsome1234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국내 급발진 신고건수 보면 비율로만 봤을때 오히려 외제차가 많긴해요 ㅋㅋ

  • @user-pt2dw3me5z
    @user-pt2dw3me5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시동을 살짝 켜고
    브레이크를 밟고 다시 시동을 켠다
    바로 출발하지 않고 1-2 분 후에 출발한다.
    이것은 지키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n6dk3nv6o
    @user-tn6dk3nv6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정말 도움이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fisher0191
    @fisher019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balancbalanc7089
    @balancbalanc708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0

    도로교통공단에서 이 영상 교보재로 사용했으면 좋겠다
    급발진대처 요령 딱이렇게만 하면 생존률 80퍼 이상 될듯
    설명도 군더더기없이 깔끔하게 잘 해주시고 쓰잘데기없는 사이드 채우라든지 시동끄기같은 뻘짓말고 레알 현실적으로 목숨살리기에 중점을 둔 이 영상 강력 추천하고 싶다.

    • @gforestk
      @gforest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다만 '현대 기 아 차'는 대처방법 따라해도 통하지 않구요, 테슬라 자동차는 중립되는 기능이 없습니다. 두 차종은 진짜 위험하니까 사지마세요. 테슬라 자동차 중에는 x차종에 대처기능 있습니다.

    • @user-fl5nk7bw9y
      @user-fl5nk7bw9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gforestk대처방법 통하지 않는 거 어떻게 아셨나요

    • @balancbalanc7089
      @balancbalanc708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y5em9qh6i 수동운전만 20년 넘었고 최근엔 전기차 오너로써 2년 되었습니다 ^^ 좋은 지적이에요 하지만 이런 불가항력적 상황에 사이드 채우고 시동을 끈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차라리 동영상게시자님 말씀대로 (기어 중립 브레이크 힘껏 밟고 옆가드레일에 브딪친다. 이게 더 효율적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현실적인 대처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rpm급상승단계부터 10초이내에 대응못하면 사망확률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비유하자면 급발진은 복싱경험이 없는 일반인이 선수들의 원투에 본능적으로 눈을 감고 몸을 웅크려서 방어자세를 취하듯이 이런 절체절명의 순간에 본능적으로 시동끄고 사이드채우기는 평상시 훈련이 안되어져 있으면 나오기 힘들것 같습니다. 그치만 기어중립 브레이크 꽉 옆가드레일에 부딛치기는 제생각엔 훈련 안된 일반인도 가능할 것 같아요 왜냐면 초기 대응시간이 굉장히 짧아서 급발진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대응가능하다라고 생각합니다 운전자여러분의 생명은 소중합니다 선생님의 반론 기대하겠습니다 좋은 반론 감사합니다 ^^

    • @user-hc8ex7kj5h
      @user-hc8ex7kj5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자폭버튼처럼 버튼 하나 누르면 엔진 망가지는거 업으려나? 아니면 브레이크랑 엑셀에 감압센서같은거 달아서 엑셀 밟지도 않았는데 비정상적으로 rpm오르면 급발진으로 인식해서 엔진 자폭시키거나 그걸 기록장치로 기록할수 있다면 좋을듯

    • @yyiic5579
      @yyiic557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forestk뭔 개소리여

  • @user-jz5xc7vq6f
    @user-jz5xc7vq6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이야.. 이젠 하다하다 급발진 대처법 까지 공부해야하는 세상이 되었네....

  • @blacktakefich
    @blacktakefic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형님은 진짜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비유가 직접적으로 다가와서 이해가 너무 잘됩니다.

  • @user-we9hw9do3w
    @user-we9hw9do3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추첸 꾹이요.
    티비에서 하는거보다
    설명이 자세하고
    너무 좋네요.❤❤❤

  • @user-rj6uq8gz3k
    @user-rj6uq8gz3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제조사는 급발진아니라고하는데 대처영상 찾아봐야되는 이상황이 뭔지 참 한숨만 나오네요

  • @Fresh_Garden
    @Fresh_Garde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6

    기어봉이 아닌 버튼식이나 칼럼식,다이얼식 일때 전자계통오류로 급발진이 생겼을때 과연 중립이 가능할지 그게 의문이예요.되면 좋겠지만 안된다면 빨리 인명피해가 적은 곳을 박아서 살아야할 듯합니다.

    • @user-lu9tb1bf1z
      @user-lu9tb1bf1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그러게요
      요즘은 기어도 전자식이라 급발진 상황시 적용이 가능할지..

    • @user-xv6rf3tl2l
      @user-xv6rf3tl2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 개소리 멍멍한다 전자계통 오류로 급발진났는데 버튼식쓰는 흉기차 변속기가 작동하냐
      ..걸러야 한다.. 죽고싶으면 타는차 라는데 흉기차..

    • @user-yn3ef3vy4r
      @user-yn3ef3vy4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노친네가 뭔 말도 제대로 못하네. 그럼 브레이크 밟으라고 @@user-xv6rf3tl2l

    • @Koreaman1
      @Koreaman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user-yn3ef3vy4r지금 차들을 말하는거야 ㅡㅡ 등시야 다 전자식인데 중립 기어가 들어가냐 이말인거야...

    • @springbank
      @springban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xv6rf3tl2l해외는 급발진 없음?

  • @user-cu5hp2ih5b
    @user-cu5hp2ih5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주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pc7di4er5c
    @user-pc7di4er5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참 소중한영상 감사합니다

  • @user-tj4uo7zg8l
    @user-tj4uo7zg8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소중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y9mz2td6y
    @user-iy9mz2td6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급발진에 브레이크가 잠기는것도 말이 되나 싶다. 도대체 어떻게 설계하면 이렇게 되냐

    • @tmcsjkim
      @tmcsjki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브레이크로는 답이 안나옵니다. 동력을 차단해야죠.

    • @user-ph2gm9jp1b
      @user-ph2gm9jp1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브레이크가 잠기는게 아니라 시동 껐을때의 브레이크 그 느낌일듯
      엔진이 돌아갈땐 브레이크를 쉽게 밟도록 도와주는 장치가 같시 작동하는데 동력이 끊어지면 그 장치가 작동을 안하니 딱딱해지는것처럼 느껴지는거지
      밟으면 밟히는데 그 밟는 세기를 세게 해야할 뿐

    • @Lasz885
      @Lasz88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베이퍼록 현상이라고 한번 검색해보십쇼

    • @user-zg2sf9ok3d
      @user-zg2sf9ok3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엔진식 차 급발진 땐 진공식 제동장치는 브레이크가 안 듣게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엔진ㅇRPM이 일정속도 이상이면. 써지탱크 진공 압력이 떨어져. 제동이. 안되는겁니다. 대형 트럭 버스는. 배력식 제동시스템이라 엔진 속도와는 관계없이 제동이 되는겁니다. 핸들이 무거워져도. 연료 차단이 가장 빠를듯 하네요. 참고로 저는. 시동걸고 네비게이션이. GpS가 연결 되었습니다,, 라는 멘트가 나올때 출발 합니다. 안전운전 지킵시다. 전 영업용 차. 기사 입니다

    • @yaho33
      @yaho3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동료2명을 뒤에 뒤에 태우고 고속도로로 급한 출장을 가던 중에, 좀더 속도를 내려고 악셀에 힘을 보태는 순간 엔진이 완전 미쳐버렸읍니다. 풀악셀도 아닌데도 엄청난 가속력에 놀라 발을 떼어도 저절로 가속되어 갑니다. 브레이크로 밟으니 조금내려가다가 멈추고 제동이 불가해서 놓았다가 세게 밟으니 페달이 솟구친듯한 느낌에서 돌처럼 굳어 버린겁니다. 놓았다 다시 해봐도 않되요. 이게 말로만 듣던 급발진이구나.. 이제 140이 넘는 속도에서는 브레이크로 바로 목숨걸수는 없어서 포기하고 전방회피에 전념하기로 함... 중략... 절체절명의 회피추월후에 계기판 끝 220을 벗어난 225이상의 임계속도 후에 엔진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브레이크도 푹신해 졌음. 그 차는 제조사 정비공장에 가서 전자제어(ECU)프로그램 변형이 발견됨. 교정후 엔진 테스트를 하니 얼마후 다시 변형됨. 전자제어를 변형하게 만드는 불량 엔진부품을 결국 찾아내었고, 교체후 ECU를 다시 교정한 후 장시간 지켜보니 프로그램이 변형되지 않아서 수리 완료. 이후 8년이상 무고장.최상의 연비와 출력으로 타고 다녔읍니다. 제조사 정비공장이 인정한,증거도 있던 사례지만 차와 사람이 모두 무사한 관계로 법적소송등 필요 없던일. 또한 급발진이 걸리면 브레이크가 왜 동시에 먹통이 되는지도 알게 되었읍니다.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로서 피할수 없는 일이죠. 제조사에 급발진을 인정시키는게 난항이라면 우선 브레이크 시스템부터 시정명령을 해둬야 합니다. 그건 얼마든지 기술적 미흡으로 지적이 되는 일이거든요. 의도하지 않은 엄청난 고속에서, 브레이크 마저 포기할때의 심정은 충격 그자체 입니다. 미친 엔진을 이겨내지 못하고 터져 버릴지언정 브레이크로 승부를 걸어볼 기회는 있어야지요. 브레이크 시정명령, 한계의 문제를 지적 가능하고 먼저 해두면 일단 생존자는 늘어나고, 나처럼 엔진가동 테스트.ECU점검.불량부품추적을 해낼수 있기에 제조사의 급발진 인정을 실현하게할 겁니다. 망가진 엔진,운전자 사망으로는 불가능 하죠. 브레이크는 시정명령을 할수있는 약점이 분명 존재하니까 그것부터 하게 해야 할 텐데... 뭐하는지 모르겟네요..

  • @vokes80
    @vokes8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생활도 중립이 중요한거같아요.. 급발진 하는순간 모든게 끝인거 같아요.

  • @user-gs1qx1qh9d
    @user-gs1qx1qh9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유용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user-ck3cn9qn9s
    @user-ck3cn9qn9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심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Dr_OH
    @Dr_O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근데 급발진시, 중립으로 기어가 바뀌기는 하나요? 레버상에서는 바뀌겠지만, 실제 엔진이 그것을 인지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있습니다. 말씀처럼 중립으로 바뀌어 동력전달까지 끊어지게 된다면 그게 최고의 방법일 수 있겠다 싶습니다.

  • @user-jr5uq7vn2q
    @user-jr5uq7vn2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제조물 책임법이 올해 안에 통과되길 기원합니다! 제조사가 단 한 건도 인정하지 않는 건 급발진입증을 온전히 피해자가 해야하는 어이없는 구조때문입니다.
    수출감소 등 업계에 미칠 파장이 크다는 이유로 반대한다는데 글쎄요...

    • @user-db8oi2wc2
      @user-db8oi2wc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럼 급발진피해자와 온국민들이 전세계에 알려야죠 절대 사지말라고 급발진지주나서 사람죽는 차회사라고! 유투브에 영상올리고 어느회사인지도 전세계영어판독일판프랑스판중국어일본어판 번역해서 올립시다 그렇게 전세계가 알게해야지 사람목숨을 똥으로 아는기업은 없어져야함 차라리. 다른나라차도 괜찮아

    • @user-ss7rs6lt7q
      @user-ss7rs6lt7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급발진을 1건 인정해주면
      모든 급발진 피해자들이 연합으로
      피해보상 소송을 걸어올까봐..
      급발진 인정을 안하겠죠..

  • @claires369
    @claires36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만해도 무섭고 심장이 두근거리네요. 그런일이 없어야 할텐데..

  • @user-lh9gb7ge4o
    @user-lh9gb7ge4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

  • @user-qn5zr3mz7o
    @user-qn5zr3mz7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면허딸때 급발진 대처법도 배워야하는 상황이네..

  • @user-ll4jl6ph5i
    @user-ll4jl6ph5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또 하나 알아야할건 급발진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빠르게 눌렀다면 그상태 계속 유지 도 중요 떼는순간 빡빡한 브레이크 상태가됨

    • @jcmh74
      @jcmh7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 경험담도 몇차례 있긴 했죠. 처음 브레이크를 밟을 땐 밟혔는데... 정상제동이 안 되어서 혹시 잘 못 밟았나 싶어 떼었다 다시 확인하고 밟았는데 갑자기 브레이크가 딱딱해졌다고 말이죠. 즉, 처음 밟았을 때도 이미 브레이크는 먹통이었다는 얘기죠.

    • @user-ll4jl6ph5i
      @user-ll4jl6ph5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cmh74 먹통이라기 보다 되고는 있는데 바퀴로 전달되고 있는 급발진으로
      인한 어마어마한 구동력이 바퀴에 전달되어 밖에서 봤을때 바퀴쪽 불꽃이 일고 있었을겁니다 이미 브레이크라이닝과 패드가 갈리고 있는거죠
      다만 꽉 잡고있는정도는 아닌 상태로 말이죠
      그나마 미미한 제동력이지만 안하는것보단 낫다는 거죠

    • @user-es2bw8di5b
      @user-es2bw8di5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러다가 핸들이 당장이라도 뽑히겠다 싶을정도로 쎄게 밟으라고 하더라구요..ㅠㅠ

  • @user-mp9um8zj4k
    @user-mp9um8zj4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clarklee2297
    @clarklee229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전기차는 주행중 중립으로 기어를 놓는것도 어렵습니다. 애초에 주차상태가 아니라면 중립은 되질 않습니다.

  • @user-ks1pm7pf6j
    @user-ks1pm7pf6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전자식기어는 먹통이 될수도 있지 않나요?

  • @user-gz1bz9st7u
    @user-gz1bz9st7u 2 วันที่ผ่านมา

    제가 알고 있는 상식 외에도 더 많은 지식을 알려 주시네요~~
    영상이 너무 현실성이 높고 피부에 와 닿는 느낌입니다~~~

  • @user-hv5ej9bz5m
    @user-hv5ej9bz5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q9dv8td8o
    @user-jq9dv8td8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진짜무섭다..속도가 어머어마하네요

  • @user-bs5hs5dg9n
    @user-bs5hs5dg9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건 국토부 즉 나라에서 나서야 되는문제다 절대 기업에 맞겨서는 안된다 철저하게 풍질관리하고 출고시켜야 하며 관련 기업이 안전에 더욱 시경쓰도록 엄정한 기준의 처벌이 존재해야 국민이 죽어 나가는 일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는 방법이다

    • @God.bless.you..
      @God.bless.yo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급발진 관련 강한 처벌법이라도 만들려면 ...
      [ 의원 , 판사 , 검사 , 0.1%의 상류층 ] 기득권 놈들이 급발진 상태에서
      요단강을 왔다갔다 해봐야 법이 바뀜 ... 이놈들은 서민들의 목소리는 듣지도 않음...

  • @user-zf9or2rk3r
    @user-zf9or2rk3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 될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당연하죠! 나도 왜 중립에 않넣는지 궁금했습니다.
    중립에 넣어도 않되는지 궁굼했는데 역시 그것이 맞군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hr4se9vq1t
    @user-hr4se9vq1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rainman3879
    @rainman387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비상시 전원차단,연료공급차단 장치 사제품이라도 전문가가 개발해주면 좋겠네요~

  • @user-dr5dc1ut8v
    @user-dr5dc1ut8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급발진 중 전자식 기어가 n으로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