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출온도의 새로운 해석, 온도와 추출, 그리고 맛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ก.พ. 2025
- 본 영상에서는 추출 온도가 수율의 상승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자연스러운 상식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추출 온도와 관능적인 부분을 설명하는 아카데믹한 자료를 소개합니다.
온도에 따른 물리적인 측면의 수율의 차이가 과연 의미가 큰것인가?를 따져보며, 나아가 파라곤 브루어, 파라곤 에스프레소의 기반 이론인 향미를 보존할 수 있는 Compound Chilling(화합물 냉각)이라는 테크닉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p.s 이 영상은 패트리온 채널을 통해 교육자료로 제작된 영상 콘텐츠의 일부를 발췌한 내용이며, 전체 영상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패트리온 채널에서 전체 영상 시청하기 : bit.ly/3MbdZ41
sprogeeks 패트리온 채널은 국내 많은 커피인들이 구독하고 계신 커피 지식 채널입니다.
🕶구독하기 : patreon.com/sprogeeks
혹시 이 패트리온은 결제하면 동영상일까요..?글일까요...? 아예 무 라고 하기엔 애매하지만 초보도 보기에 괜찮을까요..?
@@리무-x2s 영상도 있고, 텍스트도 있고 다양한 콘텐츠가 존재합니다. 초보시더라도 하나씩 찬찬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거에요.
온도는 정말 어렵고 그 덕분에 재밌는 것 같아요 ㅎㅎ
밤에 영상을 올려주셔서 그런지 화긱라가 더 그리워지네요 ㅋㅋㅋㅋ
좋은 주제 생기면 시즌 2 해야지요!
항상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어렵네요 더 공부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좋은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 별말씀을요! 굿밤입니다!
hi from Spain, i like yours videos a lot
Hey, thanks!
한가지 궁금한게, 19년도 모니카 자료에서 추출볼륨 셋팅을 90-90에서 동일한 셋팅값으로 가져가지 않고, 각 온도에서 동일한 양을 추출하도록, 프리로 추출했을 시에는 결과값이 95-95에서 가장 높은 수율을 기록하지 않았을까요? 너무 통제해야할 요인이 많은 실험같아 생각해볼게 많네요..!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최근 온도 테스트를 정말 많이 하는데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다소 높은 온도(90-95)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관능보다 낮은 온도(89-86)에서의 관능 변화가 더 적은 느낌? 이 들더라고요.
이런것도 데이터로 분석이 가능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가능하려나요ㅠ ㅋㅋ
논리적으로도 말이 되긴 한 내용인데요? ^^
Can i find the diferents graphics somewhere?
They're private slide decks.. 😢 What kind of graphics do you wanna see more?
the tds and extractions one with diferents temperatures
@@Sprogeeks
@@jorgetobc2383 www.linkedin.com/pulse/ultimate-freshness-when-your-vision-becomes-reality-andr%C3%A9-eier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