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주택관리사 vs 전기기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5
  • 주택관리사와 전기기사 갈등이 생긴 분의 질문에 대한 답변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7

  • @노카빙
    @노카빙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둘다 갖고있습니다. 제 기억으론 전기가 휠씬 어려운 시험이었고 제 주변사람들 전기 갖고 있으면 주택관리사 쉽게
    합격하지만(난이도 차이), 주택관리사 취득 후 전기 시험 다들 어렵다고 했습니다.
    취업의 범위도 전기가 휠씬 넓다고 보시면 될듯 합니다.
    정치질이 적성에 맞다면 주택관리사 선택하시고, 기술이나 실력을 중시한다면 전기를 선택하시는게 현명하다 봅니다.

  • @한지수-p7e
    @한지수-p7e ปีที่แล้ว +7

    저랑 나이도 비슷하시고 남일 같지 않아 댓글 남깁니다. 저도 몇년전에 같은 고민으로 주택관리사랑 전기자격증 고민하다가 전기산업기사따고 법 바뀌기전이라 작은 용량 격일제 선임하다가 현재 일근직 과장하고 있습니다. 기전직은 경험없이도 바로 투입가능합니다.
    일단 전기기사나 전기산업기사 취득하시는게 나아보이십니다. 전기 자격증 하나 취득하면 소방, 통신, 기계계열도 비슷하게 맞물려있어서 취득하기 어렵지 않구요. 실무는 마스터님 말씀대로 별거 없습니다. 무경험자분들도 소방수신기 적응만 하시면 한달 사이클 돌아가는 것까지만 버티면 거기서 거기입니다. 모르는 거 관심 갖고 유튜브에서 찾아보면 거의 해결되구요. 전기 무제한까지도 시간 금방갑니다. 하기 나름이지만 연장 근무가 거의 없는 직업이라 자격증 공부등 자기개발 하기 좋구요. 예전과 다르게 용역이라도 전기 무제한만 선임 가능하게 바뀌고, 기계설비유지관리자추가되면서 임금은 꽤 많이 올랐습니다. 남들은 시설은 헬이다 하는데 일 만들어서 하면 시간도 잘 가고 나름 만족하면서 일하고 있습니다.
    소장관심있으시면 일단 전기자격증 취득하시고 시설 쪽 취직하셔서 소장님들 어떤식으로 업무처리하시는지 그런것들 보면서 본인이 잘할 수 있을거 같다고 생각되면 주택관리사 공부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신현진-i6e
    @신현진-i6e ปีที่แล้ว +5

    주택관리사로 오피 소장하고 있습니다. 좀더 나이들어도 상관없이 노후보장으로, 에너지,소방기사 취득해놓고, 현재는 전기기사 필기 준비하고 있는데, 시너지효과차원에서 넘 필요해보입니다...

  • @염철의-c3r
    @염철의-c3r ปีที่แล้ว +9

    진솔한마음으로 경험담을 얘기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5

      아닙니다 별것 아닌 얘기 들어주시는게 더 감사하지요

  • @chj-t8g
    @chj-t8g ปีที่แล้ว +13

    주택관리사 는 관리소장인데 관리소장을 잘하려면 성격이 윗사람한태는 아부를 잘해야되고 아래사람들한태 부당한거 시키면서 미안해하는 마음이 없어야 잘할수 있어요

    • @발그수리
      @발그수리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딱 난데!!

    • @운동해라-o4t
      @운동해라-o4t 7 วันที่ผ่านมา

      ㅋㅋㅋㅋ막줄 너무 웃기네요 미안해하는마음이 없어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unggoanLee
    @SunggoanLee ปีที่แล้ว +13

    주택관리사는 1년에 한번에
    상대평가
    전기기사는 ㅣ년에 3번. 절대평가
    시험만 따지면
    주택관리사가 더 어렵습니다
    반면 전기기사는 경력이 필요하죠
    전기기사 소유한 현직 아파트관리소장이
    한말씀 올렸습니다

    • @ekfjlsrl
      @ekfjlsr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단하시네요. 전기기사 따시고 주관사 취득하셨나요 아니면 그 반대이신지요

  • @논두렁아지랭이
    @논두렁아지랭이 ปีที่แล้ว +13

    홧김에 전기기사 취득했습니다. 포기하고 싶을때마다 공부의 원동력이 되어 줬던 색 ㄱ ㅣ가 ㅎㅎ 지금은 그분이 고맙네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6

      저도 원동력이 되어준 그 분을 씹으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

  • @chj-t8g
    @chj-t8g ปีที่แล้ว +10

    나는 과장하면서 업체를 어지간하면 안부른 이유가 저거하고 돈을 저만큼 받아가나 싶어서 차라리 내가 하고말지.... 이기분으로 내가 직접다했는데 그럴필요가 없었음 acb 교체하는건 업체불렀지요 그리고 아파트는 정상적인 사람들은 다 떠나고 찌꺼기들만 계속남아서 깽판 치니까 점점 고령화 되는거에요

  • @지지아저씨
    @지지아저씨 ปีที่แล้ว +8

    당연히 전기기사 추천합니다.
    주택관리사보다 최소3~4배는
    일자리가 많을겁니다. 난이도는
    전기기사가 아무래도 좀 어려운것
    같습니다. 2차에서 끝내 못붙고
    떨어지는사람 많이 봤습니다.
    근데 포기않하면 붙습니다.
    회차마다 난이도조절로 합격자를
    조절하기때문에 기회가 한번은 옵니다.

    • @박상수-w7r
      @박상수-w7r ปีที่แล้ว +6

      2년 실기 실패하고 다시 필기합격후 실기합격한분을 압니다 일하면서 하기 쉽지않아요😊

    • @ycl12123
      @ycl12123 ปีที่แล้ว +1

      대신 전기는 목숨걸어야 합니다

  • @user-yd5cn8cu4s
    @user-yd5cn8cu4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기기사 무제한 가는법을 이미 하고있는 선배에게 배웠습니다. 기사 따고 그냥 대충 기능사 따고... 기능사로 들어가서 2년 채우고 다른데 과장으로 가래요. 그리고 시설보다는 안전관리업체, 대형 오피스빌딩 가라고 하네요.

  • @하늘이-i4k
    @하늘이-i4k ปีที่แล้ว +4

    저도 둘중 하나 고민중입니다
    주택관리사 추천하는 분들이 거의 없네요
    학교다닐때 회계 공부한적이 있어서 접근성이 좀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시간도 전기기사보다는 적게 들것 같구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1

      회계를 하셨으면 주택관리사가 더 가깝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각 과목 보시고 빨리 취득할 만한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도 주관사 준비중입니다

  • @noblelandcampingcar8872
    @noblelandcampingcar8872 ปีที่แล้ว +2

    일근을 할것이냐 격일제를 할것이냐의 문제인데 많지는 않지만 주주당비와 같은 4교대제도 있습니다. 제가 보기엔 어떻게 보면 일근제보다 편해보이기도 합니다.
    위에 대한 저의 답변은 병행하는 겁니다. 주관사는 1년에 한번, 기사는 1년에 3회의 기회가 있습니다. 산업기사까지 본다면 기회는 2배입니다.

  • @fulloption925
    @fulloption925 ปีที่แล้ว +5

    전기기사로 취업의무 2년동안 주관사따는게 베스트일듯...주관사는 빽이 있어야 한다는데...전기에 능숙한 주관사가 조금이나마 경쟁력있겠죠

  • @윤경덕-d5e
    @윤경덕-d5e ปีที่แล้ว +4

    저도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합격하면 주택관리사 할려고 했는데 다시 전기기사를 할까 생각이 많습니다 주택관리사 시험이 1년에 한번이고 저도 일반경비지도사 자격증 가지고 있는데 이자격증도 1년에 한번이라 자격증 딸 때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인생은 도전 선생님 조언 들으니 다시 잘 생각해봐야겠습니다

    • @kk12
      @kk1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반경비지도사 어렵나요? 다른 시험에 빗대서 예시좀..

    • @윤경덕-d5e
      @윤경덕-d5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k12 내용은 쉬운데 합격율이 8 - 12프로로 합격율이 굉장히 낫습니다

  • @saintpaul-tkd
    @saintpaul-tkd ปีที่แล้ว +4

    저도50대 초반사무직인데 언제 짤릴지몰라서
    전기기능사 에너지기능사
    가스공조냉동 기능사 취득했는데 전기기사로
    업그레이드 해야겠네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3

      넵 좋은 도전입니다 성공합격 기원합니다

    • @kk12
      @kk1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 여러 기능사 좋아보입니다

  • @다수의
    @다수의 28 วันที่ผ่านมา

    1년에 1번보는 시험과 1년에 3번 보는 시험 차이인것 같습니다. 전에는 전기기사보다 주택관리사가 쉬웠어요. 지금은 2차에서 상대평가로 합격인원 제한을 둡니다. 반면에 전기기사는 1년에 3회 있고 절대평가입니다. 주택관리사도 1년에 3회 보고 절대평가라고 하면 전기기사가 더 어렵습니다. 1년에 1번 밖에 치룰 수 없다는것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길어서.
    전기기사는 자기전공이면 좋습니다. 갈곳이 많고 연관된 자격증도 많아요. 그 위에 기술사도 따면 평생 먹고사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돈 많이 줍니다.

  • @소판돈-q8p
    @소판돈-q8p ปีที่แล้ว +5

    주택관리사.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노력만 하면 쉽게 따지요. 그러나 시설일 하면서 주태관리사보 떼기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무제한 경력 2, 4년 채우기를 견뎌내는거? 평범한 사람은 못합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2

      그렇군요 자격증 취득보다 경력채우기가 더 어렵군요

  • @taichitjh
    @taichitjh ปีที่แล้ว +7

    시설관리 분야에 문외한이면 주택관리소장이 전기과장보다 훨씬 좋아 보이죠. 월급도 조금 더 많고. 소장이 을이고 입주민들이 갑이라서 더 많이 시달릴 수 있죠. 과장은 소장이란 방패가 있으니 덜 받고, 전기과장은 이동할 데가 많은 반면에 관리소장은 거의 한정되어 있구요. 이공계면 전기 공부하는데 어려움이 덜 하겠네요. 기사 취득하고 2년 실무경력 쌓으면 무제한 가능하죠.

  • @문성진-t8b
    @문성진-t8b ปีที่แล้ว +6

    안녕하세요 예전 비슷한 또래시고 해서 주관사 와 전기기사 관련 의견을 드렸던 기억이 나네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한가지만 말씀드리면 요즘 주관사로 관리소장으로 근무하시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전기기사에 도전을 하고있어요 저또한 그런 케이스로 취득을 했지만 암튼 그렇게들 하시는 이유를 잘 생각해 보시면 답이 나올듯합니다^^
    예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저도 관리소장으로 근무시 여러가지 어려움과 책임감, 스트레스, 법적책임등등 저와 맞지 않는다는 판단이어서 전기기사를 취득했지만 솔직히 어떠한 정답이 딱히 정해진건 없는거 같아요. 사람마다 업무성향도 다르고 가치가 다르고 업무스트레스 대처도 다르겠지만 우리나이에 차후 선택의 폭을 생각하셨을때에는 전기기사가 조금더 폭이 넓은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때도 말씀드렸듯이 요즘엔 주관사 + 전기기사 정도 있어야지 조금 업무적으로 편한 집합건물, 오피스텔, 지식산업센터 등에 취업 시 우대하는 쪽으로 흘러가고 있는거 같네요
    한마디로 행정 + 기술 모두 갖춘분들이 생각보다 많으시고, 자기개발에 충실한 분들도 생각보다 많다는 것도 선생님이 자격증에 도전하실때 전투력과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실거 같네요. 아무쪼록 추운날씨 건강유의하시고 홧팅하십시요^^ 저도 올해만 있으면 만2년이 되어 무제한이 풀려서 조금더 선택의 폭이 넓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레 긍정적인 상상을 하면서 열심히 버티고있네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1

      와 무제한 곧 풀리시는군요 고생많으셨습니다

    • @태기-f9q
      @태기-f9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떻게 무제한풀고 계시나요?

    • @ekfjlsrl
      @ekfjlsr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주관사 전기기사 둘다 자격증 갖고 계시는군요

  • @부산언니-t6c
    @부산언니-t6c ปีที่แล้ว +6

    요즘은 주택관리사보다 전기기사가 더 유망한거 같아요.

    • @ycl12123
      @ycl12123 ปีที่แล้ว +3

      대신 전기는 목숨이 위험하죠 목숨걸고합니다

    • @노카빙
      @노카빙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ycl12123 acb 2차측 누설전류 측정하러 머리 들이밀면서 측정하면 닭살이 돋아요.
      아파트 관리사무소가 하는일이 뭐있냐고 진상떠는 인간들 나타나면 저는 개거품 물고 따지고 듭니다.
      다른건 참아도 하는일이 뭐있냐고 모욕을 주는 인간들 못참습니다.

  • @탄현동김
    @탄현동김 ปีที่แล้ว +2

    동일한 고민했는데 공부시간 가성비 고려시 전기자격증이 나을듯~

  • @sia9397
    @sia9397 ปีที่แล้ว +5

    대학 졸업하자마자 해외IT회사에서 7년 일하고 슬슬 한국복귀해서 다른일 찾아볼까 하는 와중에 자격증 따서 확실하게 취업하자 생각이 들어서 알아본게 딱 저 두개인데 계속 고민되네요. 대학은 공대라서 영상내용대로 전기기사가 맞을까 생각은 하고있습니다. 많이 들었던 주택관리사+전기기사 둘다 있는게 좋다는 이야기에 전기기사 따고 들어가서 2년 배우면서 시간날때마다 주택관리사 같이 준비하는 그림 생각하고있습니다. 전기기사 구직활동에 대해서도 궁금하네요! 경험에서 나오는 설명 감사합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1

      말씀하신 루트가 가장 일반적인 루트입니다 전기 취득하고 2년 채우면서 주관사 공부하는..

  • @jack988
    @jack988 ปีที่แล้ว +3

    회사에서 공부하라 곳은 많이 없어요
    소장이 높기는 하지만 주택관리사는 1년에 한번봐서 전기기사보다는 응시하기 까다롭더라고요 저도 주택준비하다 응시가 편한 전기로 전향했고 지금은 주택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지 못하고 책이나 산 정도인데 빨리 둘중 하나 따는게 제일인것같아요
    기능사로 시설입문하면서 과장 소장한테 많이 치이고 좀 힘들었는데
    자격증 따니 새로운 입주민대표나 동대표님들이 나타나시네요
    시설은 항상 을이나 병이란 생각으로
    다녀야 맘이 편할것 같네요

    • @노카빙
      @노카빙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가 이론으로 무장하고 실력을 키우면 절대 소장이나 과장에게 휘둘리지 않게 됩니다.
      오히려 이거 해야됩니다. 저거 해야됩니다. 이렇게 의사결정하면 이런 책임과 단점이 있습니다. 등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해야될일을 하겠다고 하는데 못하게 하면 그만 두면 됩니다.
      업체에 의뢰를 하는 것도 아니고, 교과서에 그렇게 하라고 나와있는데 못하게 한다면 정상적인 직장이 아닌겁니다.
      시설관리 하면서 가까이 지내는 분들 대부분이 저와 비슷한 원칙주의 입니다.
      시설관리사 분도 원칙주의라 거래처 계약해지 당하고 멱살을 잡혀도 원칙대로 보고서 나갑니다.
      그래서 가까이 지냅니다.
      과장으로 근무할때 소장님의 숙원인 전기실 에어컨 설치를 단지내 문제가 생겼을때 보고서를 작성해서
      소장 직인 받고 회장에게 결재를 올렸더니 대표회장 하는 말.
      과장님이 이렇게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내가 반려하거나 반대를 하면 앞으로 일어날 일은 내 책임이 되는것이니
      결재를 안할 수 없네요. 하면서 에어컨 구매를 추진하세요 하더군요.
      원칙앞에 장사 없습니다.

  • @vous3584
    @vous358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현직 주택관리사인데요 전기쪽 추천! 아파트 소장....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장난이 아닙니다...

  • @mingeonkim1847
    @mingeonkim184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설관리가 기전직이 많아서 그렇지, 주관사 업무는 건축에 많이 가까움. 공사비만 해도 토목 제외하면 건축 약 60프로, 그외 전기,소방,통신,기계 등등임. 관련법 다루는 데서도 건축법, 주택법, 공동주택관리법, 건물집합법. 심지어 도정법까지 알아야 덩치 큰 아파트 행위허가나 공사 입찰 등 행정관리 업무를 할수 있고 입주자와도 소통이 유연해 짐. 기계.소방.전기는 법정 선임 및 유지관리 기능에 한계가 있음. 다만, 저런 경력을 가지고 일하는 주관사가 몇명이나 있을까?하는게 현실임.

  • @성3-w4h
    @성3-w4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기기사가 범용성이나 미래에 더 각광받을것 같습니다.

  • @신현진-i6e
    @신현진-i6e 29 วันที่ผ่านมา

    두가지 모두 취득하세요..
    무얼하든지 여러가지로 도움됩니다..

  • @전산기-y8r
    @전산기-y8r ปีที่แล้ว +4

    전기쪽은 자격증 취득후 경력없으면 시설이고 뭐고 들어가기 힘듭니다 무제한 선임들만 뽑는 추세가 되기도 했고 애초에 나이 있는 신입을 별로 안좋아해요 공사쪽은 뽑을지도 모르겠네요 근데 영업 하시던분이 공사 잘 할지도 모르겠고.. 암튼 팩트로 좀 말씀드렸는데.. 그냥 이게 지금 현실입니다 학교 갓 졸업한 20대 전기인들도 취업이 안되서 전전긍긍들 하고 있는데 40대 신입이라... 솔직히 다른일 알아보시는게 더 나을듯합니다 전기자격증 쉽게 딸수있는것도 아니라서 나중에 현타 쌔게 오실수 있으세요

    • @노카빙
      @노카빙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는 40대 중반에 시설관리 입문하기전 전기기능사 취득 후 내선공사업체 취직하여 빌딩내부 작은 공사와 회사에서 재하청 받은 빌라 신축현장 노가다 판에서 슬라브 타면서 일 배웠습니다.

  • @그리더-n1m
    @그리더-n1m ปีที่แล้ว +2

    문의합니다.
    시설주임 전기주임 기전주임 관리주임 모두 전기기능사분들도 취업가능한가요 용어들이 생소해서 문의합니다 자세한 답변부탁합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2

      시설 전기 기전 관리 라는 글자에
      주임 반장 기사 라는 직급이 붙어 있으면 다 거기서 거깁니다 그냥 똑같다고 보시면 되십니다 당연히 전기기능사도 취업가능하고 무자격자도 취업가능합니다

  • @LREA
    @LRE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주택관리사 보!!! 보 떼는데 3년, 전기 무제한 푸는데 2년 둘 다 일정 기간이 지나야 안정됩니다. 취업은 당연 전기기사 무제한 선임이 많습니다.

  • @그리더-n1m
    @그리더-n1m ปีที่แล้ว +1

    구직활동 어느쪽으로 알아보면 가장빠른지 자세히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주택관리사 전기기사 구직활동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시설관리 기전직 구직 말씀이신가요?

    • @그리더-n1m
      @그리더-n1m ปีที่แล้ว

      @@인생은도전 아래문의 드린 곳으로 구직활동 하고자 합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그리더-n1m 자세히 영상으로 만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 @그리더-n1m
      @그리더-n1m ปีที่แล้ว

      ​@@인생은도전네 고맙습니다
      영상 만드시면 영상볼수 있는 경로 알려주셔요 많은 분들에게 희소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히 빠른구직활동 할 수 있는 사이트 그리고 산업기사 와 기사분들 빠른구직 활동활 수 있는 곳 자세한 영상 모던분들에게 사랑받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저녁 맛있게 드시고 건강하셔요.

  • @seanlee1855
    @seanlee1855 ปีที่แล้ว +2

    전기기사 자격증을 따려면 전기기능사가 먼저 있어야하는게 자격조건인가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4

      아뇨 학력이나 경력만 인정되면 바로 전기기사 시험볼 수 있습니다

    • @seanlee1855
      @seanlee1855 ปีที่แล้ว +1

      @@인생은도전 아 그런가요 4년제 대졸(자연과학)인데 해외이주해서 생활(건축경력)하다 한국으로 들어왔는데 요번에 50넘어 폴리텍 전기시스템과 1년코스에 등록하고 전기기사자격증 따면서 시설관리쪽 일해보려구 하는데요~

    • @ekfjlsrl
      @ekfjlsr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생은도전방장님, 4년제 공대 전기 아닌 다른과(기계, 건축 등) 졸업자도 전기기사 응시 가능하나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eanlee1855 네 그렇게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kfjlsrl 네 관련학과 기준이 있어서요 정확한 것은 큐넷에 등록하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 @진로장생
    @진로장생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소방안전관리자는 어떤가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소방안전관리자도 좋지요

  • @23kdal
    @23kda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주택관리사 어떤방식으로 공부하시나요? 인강으로 하시나요? 인강과 교채 추천 부탁드려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kdal 인강으로 하는데 저는 헤커스로 해요 근데 에듀윌이 더 나은 것 같아보이네요 남의 떡이 더 커보이는 것일 수도 있구요

  • @비양도-k3g
    @비양도-k3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할 필요도 없이 전기기사 입니다,

  • @cando.
    @cando. ปีที่แล้ว +1

    학력이 전문대졸이라 (추후 계획에 사이버대졸예정이지만) 전기기사 말고 전기산업기사도 괜찮을까요?

    • @문성진-t8b
      @문성진-t8b ปีที่แล้ว

      조건이 되신다면 무조건 기사로 준비하세요 무제한선임풀려면 최소 취득후 2년은 있어야하는데 그시간도 엄청 길게 느껴짐니다^^ 전기산업기사는 취득후 경력 4년 ㅠ 헉..생각만해도 아찔

  • @최성우-g5d
    @최성우-g5d ปีที่แล้ว +1

    전기기사애기는많은데 전기산업기사취득하면 전기기사보다 많이 뒤처지나여. 여튼 산기보다 기사가좋은건아는데. 산기취즉해도 기사랑 비슷하지않나여

    • @문성진-t8b
      @문성진-t8b ปีที่แล้ว +1

      전기자격증을 취득후 경력으로 인정이되서 전기기사는 취득후 2년 경력이 있어야지 무제한선임을 걸수있고 전기산업기사는 취득후 4년의 경력이 되어야지 무제한선임이 풀립니다
      위탁사에 전기선임으로 취업하시려면 무조건 2년~4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거에요
      조건이 되신다면 무조건 기사로 도전하시는거로 추천드립니다 2년도 엄청 시간 안가더라구요^^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ปีที่แล้ว +1

      윗님 말씀처럼 무제한 선임 2년 더 필요한 것인데 엄밀한 무제한은 아닙니다만 정말 특수한 경우 아니면 10만키로볼트 특히 시설관리에서는 전혀 해당 안되기때문에 산업기사도 동일한 것으로 봅니다
      다만 산업기사는 두글자가 더 길어서 기사로 통칭하는 것이지요

    • @봉산동물개
      @봉산동물개 ปีที่แล้ว +2

      발전소 취업하실거 아니면 기사나 산업기사나 차이 없습니다. 단 경력제한 풀려면 산업기사는 4년이고 기사는 2년이라 시간적으로 더 힘들죠. 그거 외는 차이 없습니다.

  • @인릉-w4i
    @인릉-w4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기사가 좋습니다.
    주택관리사 파리목숨 입니다.

  • @갈굼먹고
    @갈굼먹고 ปีที่แล้ว +7

    시설관리 기술이야기 하는 사람들 보면 웃음만 나옵니다
    어차피 1년 하나 10년하나 똑같은 안정기 갈기 수준인데..
    그게 뭐 기술이라고..
    서비스직이라고 했더니 아득바득 기술직이라고 우기는 사람 봤네요 ㅋㅋㅋㅋ
    무슨 피해의식이 있는건지..
    진짜 좋은기술 있으신분들은 이미 좋은데 가서 역량을 펼치고 있죠..
    꼭 기술 없는 사람들이 입만 살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