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의 대화] '인성이 실력이다' 조벽 교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มี.ค. 2016
  • 대한민국 교육의 희망 멘토, 교수를 가르치는 교수로 알려진 조벽 동국대 석좌교수의 신간 '인성이 실력이다' 출간 기념 저자와의 대화가 지난 18일 서울 상암동 오마이뉴스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조벽 교수는 "한국의 모든 기업에서 신입직원을 뽑을 때 이미 '스펙'보다 '인성'을 먼저 본다"면서 "타인과 소통하며 관계를 조율할 줄 아는 '인성'이 가장 중요한 실력이다, 인생성공은 하버드에 달린 것이 아니라 행복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이 영상은 조벽 교수의 저자와의 대화 전체내용을 담고 있다.
    (촬영 - 이승열, 편집 - 박소영)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7

  • @park4354
    @park4354 3 ปีที่แล้ว +12

    이분 말씀 틀린게 없음
    나도 이책 읽고있는데 진짜 하나하나가 다 주옥같은 말이고
    글 쓰는거에 사람의 품위가 느껴질 정도....
    인품이 진짜 좋으신 분임....

  • @lynnmin852
    @lynnmin852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훌륭한 강의속에 이 교수님의 열정을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 @miracles67
    @miracles67 ปีที่แล้ว +3

    9시뉴스 시간에 이 강의를
    전국에 추진해주세요 ㅋ
    아니면
    주민증 발급 전 필수과목으로 통과 go!
    다 들을거예요 ㅋ
    전 국민이 들어야 함
    조벽 교수님 감사합니다 오바이티비 감사해요

  • @miracles67
    @miracles67 ปีที่แล้ว +3

    여기 앉아 계신 교사분들은 진짜 노력하시는 참 교사세요 존경합니다
    이런데 연수 자발적 참가 하신 선생님들
    교육부장관님!인센티브주삼 ㅋ❤

  • @user-fe2dl8bd1y
    @user-fe2dl8bd1y 5 ปีที่แล้ว +8

    공감합니다
    인성은 실력이다
    아무리 실력이좋아도 인성이안좋으면탈이생기기마련이죠!

  • @AB-kp9hv
    @AB-kp9hv 6 ปีที่แล้ว +13

    감사합니다 조벽교수님
    카트먼박사님 감정코칭보다가
    최성애소장님
    조벽교수님까지
    가정에서는 물런저부터 노력중입니다.
    교사분들도 많이앉아계시는데
    교사인성안되는분 너무 많습니다.
    아이감정을 무시는 기본
    폭력을 아직까지씁니다.
    폭력을 알면서 현실적으로 전학가지않는 이상 할수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것도
    첫사회에서 상처받지않도록
    특히 초등교사 인성부터 제대로 평가되고 재정비되길 바래봅니다

    • @user-nn6cj1tu8m
      @user-nn6cj1tu8m 5 ปีที่แล้ว

      심지어 유치원 교사도 그럽니다. 아이에게 모든 협박조로 말하는 교사도 봤습니다. 이러이러하니 하지 마세요가 아닌 하지마 담에 또하면 무섭게 혼날 줄알아~ 를 달고 사는 유치원 교사도 있어요. 울 딸 선생인데 늘 딸이 집에 와서 선생님 너무 한다고 늘 비판한답니다.

  • @login9209
    @login9209 6 ปีที่แล้ว +13

    지금 세상살기가 척박해진 것은 인성교육이 없기 때문이다.맨날 헐뜯고 싸우는 것, 자기 개인주의 습성이 만연해져 있어 슬프다.인성이라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사치품이나 허황된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있는 것도 모두 인성부족 탓인 것이다.

  • @lawdol
    @lawdol 8 ปีที่แล้ว +5

    사춘기가 뇌리모델링 시기, 가정교육 이웃과의 협력교육이 함께 가야...
    대화가 먼저가 아니라 긍정적인 부분으로 신뢰를 얻어야 대화도 가능.

  • @user-jq3jv9go1z
    @user-jq3jv9go1z 11 วันที่ผ่านมา

    나쁜습관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n6cj1tu8m
    @user-nn6cj1tu8m 5 ปีที่แล้ว +4

    정말 요즘 초등생 넘 무서워요. 아니 유치원생들도 무서워요. 입에 죽어라를 달고 살아요. 예전에는 낙서들에 메롱 바보 등 욕이 많았는데 요즘에는 죽어 라는 글이 더 많이 보여요. ㅜㅜ

  • @user-ry9gf3xo8p
    @user-ry9gf3xo8p 2 ปีที่แล้ว

    공부와 실력 그리고 성공을 위해 가정교육과 인성교육은 가정과 학교에서 외면 당하는 서글픈 세상이 된거 같네요. 그래서 더욱 이기적이고 탐욕적인 세상과 사회가 되어가네요. 거꾸로 가는 세상을 사는 것도 용기가 필요한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eronm783
    @eronm783 8 ปีที่แล้ว +2

    우리딸 이야기 해주고싶네!!

  • @user-jq3jv9go1z
    @user-jq3jv9go1z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인성이 기본인데 어떻게 이런 사회가 되었나요.
    괴롭습니다.

  • @user-ih9hy1ws2t
    @user-ih9hy1ws2t 3 ปีที่แล้ว

    Ok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학식과 계신교의 통합

  • @Joshua-ih8fy
    @Joshua-ih8fy 7 ปีที่แล้ว +8

    인성이라는게 귀에 걸면 귀걸이,코에 걸면 코걸이죠. 같은 사람한테 인성이 좋다. 나쁘다가 때에 따라, 장소에 따라 극과 극을 달린답니다. 요즘은 '인성'운운하면서 보다 지능적이고 교묘하게 사람을 이용하고, 길들이기 위해 '인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더군요. '인성이 실력이다' 뭐 좋은 말이긴 한데, 깔끔하게 이론의 여지가 없는 '시험성적'이라는 자료보다 더 객관적으로 '인성'을 평가할 수 있을까요? 자칫 시험성적보다 더 교묘하게 사람을 이용,차별하는데 쓰이기 쉬운게 '인성'이라는 걸 알아두었음 합니다.

    • @user-nn6cj1tu8m
      @user-nn6cj1tu8m 5 ปีที่แล้ว

      AI가 측정합니다. AI가 SNS 등의 댓글들을 다 조회하고 AI가 사람 뇌를 순간적으로 스캔하여 그사람의 인성과 생각을 알아냅니다. 그런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고 사용되어집니다. 성적이 굉장히 좋은데 원하는 대학에 떨어지거나 기업에 취직이 안된경우 바로 이것입니다. 면접에서도 AI가 쓰입니다.왜 떨어진 것인지 모르는 경우는 바로 이 이유입니다 . 절대 알려주지는 않죠

  • @user-mv8sg6yn8p
    @user-mv8sg6yn8p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정율성을 가르치고 찬양하는 막가는 학교는 어떻게 설명이 될는지.. 인성교육은 전국이 동일한 정체성으로 전문적 차원으로 했으면합니다.

  • @user-vi5mn8rt5n
    @user-vi5mn8rt5n 5 ปีที่แล้ว +1

    제 동생이 매우 인성이 안좋아요 ㅠ 어떻게 할까요??

  • @heejinkim1506
    @heejinkim1506 7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이가 어릴때는 엄하게 한계를 알려주고 사춘기가 됐을 때에는 자율권을 주어라

  • @kimmking2203
    @kimmking2203 5 ปีที่แล้ว +3

    인성은 타고나는거 아닙니다.

  • @eronm783
    @eronm783 8 ปีที่แล้ว +3

    인성은 타고 나는거 아닙니까?

    • @user-sg5lv1rg8v
      @user-sg5lv1rg8v 4 ปีที่แล้ว

      뭘 모르고 인성 따뿐것도 교육 지도 에.의해 달라질수 있습니다

  • @skokieh
    @skokieh ปีที่แล้ว +1

    인성?이 실력(力)이다?!
    ‘힘’에 집착하는 시민들이 좋아할 만한 제목이군요...
    그렇게 깊게 생각하지도 않은 또는 행동으로 옮기지 않은것에 대해서 설파한들 남한테 피같은 돈붓기보다는 자기 자식이나 주변 나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내 사람들만 챙기는 사람들에게 좁은 세계관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 메시지가 잘 전달될까요? 문제는 이 강의를 클릭한 사람들에게 있다고 봅니다. 인성과 도덕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사회를 양화시킬 힘을 발휘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인성과 도덕개념은 만성적인 생존 문제에 신경이 곤두서 있는 사람들에게는 없을지도 모르는 개념이라고 생각했었으나 오히려 가진 게 많은 사람. 특히, 가질 것이 많을 사람에게 또는 얻을 게 많을 것이라고 높은 확률로 예측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없어보입니다. 그나마 법적으로 직간접적으로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이를 지킬 뿐이죠.
    (남들보다 비교적 똑똑한데) 나쁜 사람들은 압니다. 착한 사람에게는 자주 보이지 않는 도덕이나 인성 문제에서 다른 사람? 단체? 존재에 철퇴를 휘두룰 수 있는 잔인함이 없음을. 사회의 집단지성도 좋지만 불의에 저항할 수 있는 집단야성이 필요해 보입니다...

    •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0.0005프로를 보지말고 99.9995프로를 보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