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옆집에 누가 사느냐가 당신의 부를 결정합니다 | 북언더스탠딩 | 자본 없는 자본주의 | 남궁민 북칼럼니스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8 ต.ค. 2024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5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1부 링크입니다. th-cam.com/video/O8U-8-cYD40/w-d-xo.html

    • @한정남-u4f
      @한정남-u4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ㅣㅣ❤

  • @zmfreeroo
    @zmfreero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북언더스탠딩은 늘 거를 타선이 없네요. 이번 주제에서 사실 핵심은 28:22 안대표님 말씀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에 모든 문제는 교육의 부재에서 발생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누구의 교육이냐면 30~100살의 교육입니다. 우리나라는 20대까지로 교육이 몰빵이 되어있고 그걸로 남은 7,80년을 각자도생하며 삽니다. 살면서 졸업하고 나면 다시 배울 기회가 없다보니 학생들은 그들 나름대로 좋은 대학간판 얻을라고 피말라 죽고 성인들은 최신 지식이 부족해 피말라 죽습니다. 쉽게 얘기해 20대 졸업 후 뇌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중단된 상태라는 거죠. 매일 인터넷에 최신정보 나오고 책, 신문, 뉴스 등 많은 것들을 접하지 않느냐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런 파편화된 지식으로 개인의 생각이나 철학이 쉽게 움직이지 않고, 그리고 그런식으로라도 정보습득을 하는 인구는 소수라서 민주주의 사회에 표를 통해 정책 방향을 이끌 수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특히나 한국 사회 전반에 결정권은 5060세대에 집중되어 있고 그들은 3,40년전, 그 당시 농경사회 선생님들에게 배운 지식에 고여 있다보니 남작가님이 말씀하신 그런 선진국형 인식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작가님 말씀처럼 그런거 잘하는 사람은 해외에서 교육받고 온 젊은 유학파들이죠. 산업의 혁신은 기존 산업의 파괴를 말합니다. 기존 기성세대들의 최신화된 교육은 그들의 생존권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이게 뒷받침되지 않으면 혁신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교육이 선행되지 않으면 혁신으로 파괴된 기존 산업에 있던 사람들은 다 나가 죽으라는 소리나 같으니까요. 그러니 뭐 새로운게 들어오면 득달같이 반대만 합니다. 그러니 다들 생존을 위해 젊었을 때 배운게 다니까 그 한가지만 2,30년 죽도록 하는 겁니다. 고인물이 되는거죠. 미국은 직장에서 5년차만 되도 최고참 소리 듣는다죠. 그리고 한마디 더 듣죠 왜 안옮기냐고, 연봉 높이거나 다른거 해보고 싶은건 없냐고ㅋㅋ 특히나 한국은 자원이라고는 인적 자원 밖에 없기 때문에 평생 교육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ssm-lc9un
    @ssm-lc9u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판교에서 일하는 고급인력도 있어야하고. 공장에서 일하는 단순 노동력도 있어야하고.. 균형이 중요함.

    • @당근-z6k
      @당근-z6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의합니다

  • @진국-g6f
    @진국-g6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진짜 인사이트가 다르네요. 자본주의 시리즈 너무 좋았습니다

  • @깜찍이만두
    @깜찍이만두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여태 치킨값 비싸다고 불평 했는데,
    다시 생각해 보고 시야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어요~
    남궁민 작가님이 내신 오독의 즐거움
    책도 꼭 사서 봐야겠어요~~
    이런 주옥같은 인사이트를 주셨는데,
    독자로서 보답하는 길 일것 같네요!!

  • @이보라-f8r
    @이보라-f8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한국사회는 너무 보수적이고 한치 앞만 보는듯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네요.이래서 인문학이 중요한듯

    • @흰나미
      @흰나미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 (문화혁명때 유교문화 불태움) 아직도 한국만 제사 지내고 있음 .
      수십년간 제사 , 벌초 , 성묘로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위해서 고생하는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사교육비 세계 1 위. (즉 비효율적 , 자기 착취적인 사회)
      한국은 "제사" 부터 없애야 합니다.
      제사 , 벌초 , 성묘할 노력, 시간 , 돈으로 행복한 시간 보내고 휴식했으면 지금보다는 출산율이 올랐을겁니다.
      죽어서 까지 수십년간 갑질.

    • @흰나미
      @흰나미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 (문화혁명때 유교문화 불태움) 아직도 한국만 제사 지내고 있음 .
      수십년간 제사 , 벌초 , 성묘로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위해서 고생하는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사교육비 세계 1 위.
      한국은 "제사" 부터 강제로 없애야 합니다.
      제사 , 벌초 , 성묘할 노력, 시간 , 돈으로 행복한 시간 보내고 휴식했으면 지금보다는 출산율이 올랐을겁니다.
      죽어서 까지 수십년간 갑질.

    • @흰나미
      @흰나미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 (문화혁명때 유교문화 없앰) 아직도 한국만 제사 지내고 있음 .
      수십년간 제사 , 벌초 , 성묘로 산 사람이 고생하는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사교육비 세계 1 위.
      한국은 "제사" 부터 없애야 합니다.
      제사 , 벌초 , 성묘할 노력, 시간 , 돈으로 행복한 시간 보내고 휴식했으면 지금보다는 출산율이 올랐을겁니다.
      죽어서 까지 수십년간 갑질.

    • @흰나미
      @흰나미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 (문화혁명때 유교문화 없앰) 아직도 한국만 제사 지내고 있음 .
      수십년간 제사 , 벌초 , 성묘로 산 사람이 고생하는 나라 . 제사로 조상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자식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사교육비 세계 1 위.
      한국은 "제사" 부터 강제로 없애야 합니다.
      제사 , 벌초 , 성묘할 노력, 시간 , 돈으로 행복한 시간 보내고 휴식했으면 지금보다는 출산율이 올랐을겁니다.

    • @흰나미
      @흰나미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 (문화혁명때 유교문화 없앰) 아직도 한국만 제사 지내고 있음 .
      수십년간 제사 , 벌초 , 성묘로 산 사람이 고생하는 나라 . 제사로 조상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자식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사교육비 세계 1 위.
      한국은 "제사" 부터 강제로 없애야 합니다.
      제사 , 벌초 , 성묘할 노력, 시간 , 돈으로 행복한 시간 보내고 휴식했으면 지금보다는 출산율이 올랐을겁니다.

  • @shortstrokemix1685
    @shortstrokemix168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힙한 데 백날 살아보세요. 엥겔지수만 높아져 통장 거덜납니다. 핵심은 그게 아니라, 내가 사업화할 수 있는 머리와 수완이 있는가, 이거 아닐까요? 거주지 불문 대다수의 사람들은 소비자일 뿐이죠. 어느 석학이 그랬지. 가치 창출 없이 소비만 일삼는 것은 천박한 짓이라고. 아무나 가치 창출하나요.

  • @희원채-w4y
    @희원채-w4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남 궁민작가님의 자본주의 3부작 씨리즈 기대됩니다.🎉🎉🎉

  • @잘키워
    @잘키워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요즘 스타일로 보면 옆집에 누가 사는거보다 당신에 구독체널이 당신의 인생을 결정하는듯... 언더스탠딩 구독 필수~

  • @brand_safe
    @brand_saf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변리사입니다. 우리도 노력하고 있으나, '성냥갑 아파트나 국밥메뉴통일'로 상징되는 효율성, 평등, 예측가능성을 중시하는 문화에서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물론, 미국이 지식재산권 보호 제도 역시 더 강력합니다.

  • @강혜원-s2w
    @강혜원-s2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잊고 살아왔던 경제구조에서 상대방과의 신뢰 진심 무형재산 몰랐던 정보 감사합니다

  • @빼빼로인데빤빼로
    @빼빼로인데빤빼로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너무 재밌구 유익합니다

  • @CatchUp809
    @CatchUp80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맹모삼천지교가 떠오르네요. 부동산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또 알게 된 것 같습니다!

  • @maum4893
    @maum489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어려운걸 쉽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각할거리가 많네요..

  • @user-rb4vc3xw8p
    @user-rb4vc3xw8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너무 유욤한 내용이였습니다.😊

  • @loveseoulmarui1502
    @loveseoulmarui150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너무 좋은 insight. 도움이 많이됩니다. 감사합니다❤

  • @sunkim4877
    @sunkim487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좋은 강연이네요. 완전 공감합니다

  • @LikeRain_LikeMusic
    @LikeRain_LikeMusi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유익하고 놀라운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좋은말하고싶었다
    @좋은말하고싶었다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결국 직접적이던 간접적이던 경험이 중요하단 이야기였내 ...

  • @mousemice-p1v
    @mousemice-p1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남궁민 작가님께서 손에잡히는경제에서 말씀하신 골드칼라와도 일맥상통하는 이야기 같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wislowh8486
    @wislowh848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넘 재밌게 잘봤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 @가을단풍-o8d
    @가을단풍-o8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쵝~~~오요
    매주 기다립니다

  • @hansuga3312
    @hansuga331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감사합니다.

  • @블루투스-v7z
    @블루투스-v7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젊은친구에게 많이 배우고 갑니다
    남궁민❤

  • @vetluke
    @vetluk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좋은 인사이트네요. 감사드립니다

  • @민경이-t1s
    @민경이-t1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 @kingjun73
    @kingjun7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혁신적인 사고, 기술, 예술(음악, 미술, 패션), 식문화의 발전 등 모든것이 이영상의 주제랑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합니다. 맹모삼천지교~ 좋은것을 경험하고 주변이 그런 환경이라면 해당 분야가 더욱더 발전하는거죠. 우리도 이젠 제조업에서 탈피하는 중이라 생각됩니다. K-컬쳐(예술, 대중음악, 식문화)가 그 좋은 예 이구요. 제조업을 한순간에 버릴순 없겠지만 좀 더 부가가치창출, 무형의 자산으로 나아가는 한국이 되길 기원합니다. 좋은 인사이트 정말 감사합니다.

  • @lustkax9975
    @lustkax997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책 주문했어요

  • @songsong8989
    @songsong898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세상을 보는 눈을 넓혀주는 북언더스태딩 낭궁민님 감사합니다~~♡

  • @__Kimes
    @__Kime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1부 다보니까 바로 올라오는거봐 너무 좋고

    • @lupin9305
      @lupin930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영상내용과 맞지 않는 근면함.. 너무 좋아요 ㅋㅋㅋ

    • @dddddre
      @dddddr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upin93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형 자산 그 자체

  • @usinokaori
    @usinokaor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맞아요…언더스탠딩이 너무 수준을 올렸습니다…인정

  • @ljs2358
    @ljs235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OVTM794
    @OVTM79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요즘에 해당 안되지만 캐나다 이민자들이 옆집에 누가사는 가에 따라 직업이 정해졌답니다. 옆집이 생선공장 일하면 따라가고 옆집이 목수면 따라서 목수일 배우고...

    • @peterkim9077
      @peterkim907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ㅎㅎ 딱 저네요

    • @kuksun00
      @kuksun0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옆집이 아니라… 공항에 누가 픽업 나오느냐에따라…ㅋㅋㅋㅋ

  • @DDDISSCO
    @DDDISSC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어자피 힙한 플레이스들이 금방금방 망하거나 바뀌니까 의미 없다는 분들이 많은데, 자주 바뀌는 데에서 따라오는 트렌드의 변화, 거길 찾는 고객 프로파일의 변화 등 '변하는 상태' 그 자체가 진정한 무형자산입니다. 대표적으로 신세계와 롯데라는 초거대자본의 본진이 무한 자가발전하는 반포와 잠실, 연남동과 성수동과 같은 중자본들의 각축장인 마포와 성동 같은 곳들입니다.

  • @NIKA-h3t
    @NIKA-h3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특허권을 담보로 한 기업여신 상품은 현재 어느 1금융권에서든 다 취급하고 있긴 합니다. 특허는 어느 정도 평가기준이 있다는 것이지요. 다만, 제조업과 타 업종을 동일선상에 놓고 볼 수 없는 이유는 제조업은 영상에서 말씀하신 대로 거액의 시설투자 등의 자금집행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기타의 업종들은 일상적 운전자금 외 자금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필요한 운전자금 이상의 거액 여신이 집행되었을 경우, 그 자금이 용도외 유용될 소지가 있고, 실제로 기업에 대한 운전자금대출이 관계기업이나 대표이사에 대한 대여금으로 나가는 경우도 너무 많이 보았습니다ㅠㅠ 심지어는 대표이사의 부동산 투자에 유용되거나 대표이사에 대한 현금 배당에 쓰이기도 합니다.... ㅡ. ㅡ 브랜드 가치로 매출원가 대비 비싸게 커피를 파는 스타벅스 같은 경우엔, 영업이익, 순이익, 내부에 유보한 이익이 높으니 더더욱 외부자금이 필요가 없지요...... 소득신고만 철저히 되어 있다면, 유튜버 등 프리랜서 분들도 금융지원 가능하시고, 스튜디오 매입 자금 등도 목적 별로 지원 받으실 수 있으니 주거래 금융기관에 상담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z공중정원
    @z공중정원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3개 시리즈 다 본 사람으로서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 @gjskwjdjsj
    @gjskwjdjs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이번 편은 반박할게 많은 내용이기도 하네요

  • @보라-b6b4e
    @보라-b6b4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국베이글이 무척 궁금했는데 해석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똑똑한자 옆집 진짜 공감 갑니다
    요즘 실감 한다

  • @SCHD-i5s
    @SCHD-i5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진짜 언더스탠딩이라는 채널이 존재해주어서 감사합니다. 너무 즐겁게 시청했습니다 세분다 더 자주뵈용

  • @chollangchollang
    @chollangchollan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남 궁민 작가님 늘 감사해요.
    자주 나와주세요

  • @함차장
    @함차장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짝짝짝.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늘 감사합니다!~~

  • @장농장농
    @장농장농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런 뛰어난 무형자산으로 먹고사는 미국이 유형자산을 기반으로 밀고 들어오는 중국산 유형자산들이 밀려 들어오는것에 종속되고 경쟁에 밀리는것이 두려워 온갖 법적 경제적 으로 제제가하는것 보고도 저런 소리가 나오나(?)😸 극히 일부의 이론적 논리로 국제사회외 시장이 돌아가는 흐름을 어거지로 끌어다 맞추려고 하니 제대로된 시각이 결여될수 밖에!☺

  • @moolzeel
    @moolzee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개인적으로 언더스탠팅 브랜드가치는 아주 높다고 생각하고 고급스럽다고 생각합니다.

  • @김덕현-l5b
    @김덕현-l5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엄청 오랜만인거 같네요😂😂😂

  • @jo2861
    @jo286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아요

  • @awsrevelion
    @awsrevelio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근대 계속 예시를 드는 런던베이글 같은게 무형자산, 헤리티지적인 브랜드 가치가 있는게 맞긴한지.. 요새 이런 sns 바이럴로 한탕하는 브랜드들이 여러개인거같은데 오래가는건 별로 없더라구요.

    • @vesslan4106
      @vesslan410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그 부분 이야기에서 좀 이해가 안가더군요. 엑싯해서 나간 사람이야 돈 벌었으니 좋지만 팔려나가서 망한 브랜드도 있고 그게 전체 사회 경제적으로 이득이라는 말이 좀;;

  • @bakerk2107
    @bakerk210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안승찬은 미국에 가고 싶어하고, 김상훈은 대표 생각이 바뀌길 바라고, 남궁민은 언더스탠딩이 분량나누기 하지말고 시청자 니즈를 충족시키라 말해주네

  • @minjipark1030
    @minjipark103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유형 제조는 근면함이 필수입니다... 무형자산도 좋습니다만 유형자산도 놓치지 말고 선두를 지켜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제가 아는 무형컨텐츠 제공하는 성공한 사람보면 엄청 근면합니다. 성공궤도로 올라가기 위해서 점진적 과부하를 스스로 걸더군요..

  • @topjjjjang1989
    @topjjjjang198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성심당 케익 드셔보시면 파리바게트 케익 못 먹어요. 격차가 확실합니다. 가격은 비슷해요. 빵은 성심당입니다.

    • @CHOEMUI
      @CHOEMU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닥;; 싼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 @topjjjjang1989
      @topjjjjang198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HOEMUI 성심당 케익드셔보셨나요?

  • @금강-i7o
    @금강-i7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user-Agape153
    @user-Agape15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2부 넘기대됩니다
    좋아요

  • @Ruby_0510
    @Ruby_051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완전 공감 입니다~~~

  • @KSM67-q6i
    @KSM67-q6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손경제 커타 듣고 왔습니다

  • @남신-m7q
    @남신-m7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항상 인사이트를 주시는 '갓 궁민' 뤼스펙 합니다.

  • @David-bm7ix
    @David-bm7i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경제학에서 그것들을 통칭해서 "경제적 렌트"라고 하지요..지적재산권, 통행료, 플랫폼사업, 프리미엄전략상품 등 부동산도 프리미엄 붙는 부동산은 여기에 해당하겠네요.."지대"를 받는것과 같은 효과를 거두는 모든 유무형의 재화를 통칭하지요..통행료 받으며 살고 싶죠? 모두들..ㅎ

  • @kibosh63
    @kibosh6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성심당이 파리바게트를 제친것은. 매출이아니라 영업이익입니다

    • @몽쿠르제
      @몽쿠르제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매출은 사실 압도적이죠.파바가 영업이익률이 한자리수 초반이여서 그런겁니다

    • @mmercury25
      @mmercury2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쳐 덕분에 싸게 고로케먹음

  • @샤이엔
    @샤이엔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이슨이 무선 청소기로 수십만원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니 LG, 삼성도 고급 기술을 투입해서 시장을 만들어진 것이 생각나네요. 그전 무선청소기는 냉장고사면 주는 사은품쯤으로 생각할 정도로 힘과 지속성이 그닥이었다는

  • @이시발-w2q
    @이시발-w2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멀끔하니 깔끔한 외모에 말씀도 잘하시고

  • @JJ-vn4mq
    @JJ-vn4m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코스트코에서 핫도그 가격을 못올리는걸 보면 알 수 있듯이 미국이라고 기존 상품의 가격인상에 호의적인건 아니죠. 비즈니스맨들이 싸워서 넘어야 하는 세계 공통의 소비자 심리라고 봐야할 것 같아요

  • @pealj.j4334
    @pealj.j433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남궁민님을 국회로...정말 잘하실거 같습니다.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서울만해도 뭐 ….
    압구정 청담 한남 반포 성수 잠실

  • @gallow9867
    @gallow986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남궁민 작가님 인사이트가 보통이 아니네요 아주 훌륭하십니다

  • @truthlover1695
    @truthlover169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해의 여지가 있는 내용이네요.
    무형이든 유형이든 어느것도 쉽게 돈 벌지 않습니다. 성공하고 그것이 오래 유지되는 기업들은 모두 누구보다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겉으로 쉽게 돈 버는 것 같아보여도, 속을 들여다 보면 대부분 피를 말리는 노력과 모험과 성실함과 플러스 알파의 열매이구요. 위기는 또 항상 찾아 오고요. 지금 미국의 무형자산 빅테크의 돈 많이 번 기업들, 인공지능 개발 경쟁으로 그동안 벌었던 돈들이 무섭게 없어지고 있는 중 입니다. 사활을 건 경쟁 중입니다.
    참고로 저소득층 포함 사회 각층이 행복하게 잘 살기 위해서는 박리다매 해주는 산업도 필요합니다. 잘했고 잘못했고의 선악의 개념이 아니라, 선택과 가치관의 문제 같습니다.

  • @럽마셀펭펭
    @럽마셀펭펭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진짜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 @할수있다-j7x
    @할수있다-j7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

  • @이항트리
    @이항트리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개념을 창조한다는게 참 쉽지 않죠..
    고생한 만큼 성과도 크지만

  • @syc137
    @syc13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무래도 멤버십 가입해야겠네요. 이렇게 좋은 컨텐츠를 무료로 보려니 미안하네요.

  • @midsa7789
    @midsa778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금까지 계속 해왔고, 잘못되더라도 변명의 여지가 있는 경우와
    우리나라에선 케이스가 거의 없고, 누군가의 고발로 한순간에 나락까지 떨어질 수 있는 인플루언서에 대한 대출..
    언제나 책임이 문제죠
    공적인 면이 크니 그런 쪽으로도 시도해보라고 말하려면 결과에 대해서도 관대하게 봐줄 수 있는 여론이 우선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user_humans_are_omoshiroi
    @user_humans_are_omoshiro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1부 요약) 鳳伊봉이 金先達김선달
    2부 요약)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안다스탄딩팀+남궁형님 감사해요❤

    • @joo7454
      @joo745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도 그 생각. ㅋㅋ

  • @sunnybarrett9530
    @sunnybarrett953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he+best ❤

  • @MexInCore
    @MexInCor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역시 알토란 내용

  • @dhlee702
    @dhlee70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언더스탠딩이 우리의 귀중한 무형자산입니다.ㅎㅎㅎ

  • @Exynos3
    @Exynos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도시국가화는 기본이고 산업구조가 변해서 자동화가 되는 일이든 아니든 일단 도시권에만 돈이 나오니 다 그렇게 되는거죠

  • @감비아-w6k
    @감비아-w6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테슬라나 애플을 보면 둘다 무형자산(ios, 자율주행)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애플은 디스플레이 테슬라는 배터리를 내재화 하면서 유형자산또한 중요하게 여기는거 같은데 무조건 무형자산을 추구하는것도 아닌듯

    • @kkangchicken
      @kkangchicke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설계가 유형자산인가요?

  • @주진수-c1y
    @주진수-c1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인류의 70%는 설국열차의 뒷쪽 칸들에 타고있습니다
    자본이 넘치는 미국이 살 방편이있고
    자본도 자원도 빈약하지만 성실하고 유형자산을 만드는데는 글로벌1등인
    대한민국이 살 방편은
    더이상 이상태에 답보하더라도
    이자리라도 목숨걸고 지키며 살려면
    BTS는 무형을 팔고 삼성은 유형을 최선을 다해 팔면 좋을듯합니다

  • @최용태-w3c
    @최용태-w3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무형 공감합니다
    제도도 못따라가고요
    빈부격차는 더. 커지겠죠

  • @bronfoo1582
    @bronfoo158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물 위를 걷기 위해선 먼저 과감하게 오른다리를 앞으로 차서 오른발 앞꿈치로 수면을 딛어 이때가 중요해. 앞꿈치가 물에 닿기 0.2초전 왼쪽 허벅지 뒷근육을 재빠르게 수축시켜 오른다리 앞쪽으로 내보내야해! 오른쪽 앞꿈치가 물에 닿을 땐 왼쪽 발은 오른쪽 다리 앞에 있어야 해. 오른쪽 앞꿈치에 힘을 줘서 물을 강하게 차고 딛어서 그 반발력을 이용해 왼쪽 앞꿈치가 멀리 딛을 수 있도록 해야해........ 물위를 걷기 참 쉽죠잉~~??

  • @kimchi_taco
    @kimchi_tac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동네 치킨집 떡뽁이집 다 사라지고, 죄다 영국베이글같은 집만 있으면 선진국 된겁니까? 밖에서 한번 먹기 개 ㅈ같을것 같은데

  • @베니고
    @베니고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하면서 생기는 건 유형자산입니다 놀면서도 응가하면서도 쓸데없는 대화 하면서도. 생기는게 무형자산이라고 봅니다

  • @김진주-x2e
    @김진주-x2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요즘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주셔서 감사합니다.

  • @에드-c4n
    @에드-c4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무형자산이니 뭐니 하며 포장했지만 실물없는 상품 서비스는 과해지면 버블을 만들고 인플레이션을 만들어낸다. 결국 돈으로 돈을 버는 것으로 경제 지표라는 숫자는 늘어나지만 그 숫자는 실체가 없는 부분이 커져간다. 예전에 실물가치가 주일때는 잘사는나라 경제지표가 좋은 나라에 살면 그 국민들의 삶이 달라졌지만 점점 그러지 못하는 것이 여기에서 온다.

  • @민혁-e3r5i
    @민혁-e3r5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간의 경험 무형자산을 저 젊은이가 알수가 없다
    저 젊은이가 말하는건 보편적
    상식에서 벗어나라고 하는건데
    그 보편적 상식에 부합해서 사는
    사람이 많아야 그 무형자산으로
    성공하는 사람이 있어
    이 경제 논리는 절대 바뀌지 않아
    네가 더 경험이 쌓이면 알게 된다

  • @규리변-n1q
    @규리변-n1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미래예측적이어서 위험한 책이네요 그러나 시대가치가 변화하는걸 실감하게된 컨텐츠였습니다. 개인과 노동의 가치를 생각해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reev3617
    @reev361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넘 좋아요

  • @thisistheway3639
    @thisistheway363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도 있습니다 사기꾼지죠 지금 말씀하신거에 부합하면서도 현행제도가 도와주고 있죠 그렣기에 지금까지 성장해왔고 앞으로도 성장 할겁니다 여기에 들어갈 수 있다면 성공하겠죠

  • @자율적감성
    @자율적감성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 칼럼니스트분이 말씀하신것중 예를 들면 슈프림이 있을겁니다 몇년전이지만 벽돌에 슈프림을 찍어서 팔아도 비싸게 팔릴거다라고 했더니 진짜 슈프림이 그렇게 팔았고 슈프림 로고가 박힌 벽돌 한정판이긴하지만 전부 다팔렸죠 예를들어 생활필수품중 하나인 화장지에도 지금은 어떨지 몰라도 예전 초인기일때의 슈프림은 로고만 화장지에 박아서 넣으면 같은 화장지라도 훨씬 비싸게 팔 수 있을거다라는 식으로 이해하시면 무형자산에대해 이해하기 쉬우실겁니다

  • @usergleg8eiw
    @usergleg8ei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학년에 책 50권 읽기를 한과목으로 잡아야 사고의 깊이와 다양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 @kevinhuxley9252
    @kevinhuxley925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OVTM794
    @OVTM79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19:04 저희 가족은 돈은 없고 그냥 공부만 잘하는 인간들이어서 성실하고 열심히 일해도 늘 고만고만하게 살아서 멈춰서 ㅎㅎㅎ 아이들에게 공부 그까이꺼 하지만고 세상의 기술을 배워봐라하고 중학교때부터 패스푸드 일하러 보냈더니 거기에서 수학공식이용해 이용자 통계를 내고 앉아있더라구요. 그냥 대충살자고 매번 말하는데 온 식구가 농부처럼 일찍자고 일찍 일어나고... 그냥 타고난 팔자려니합니다.

  • @bonchanku7687
    @bonchanku768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보...............휴

  • @MCT.MASTER
    @MCT.MASTE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추천추천

  • @원영세상-q3e
    @원영세상-q3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언더스탠딩을 매일 시청한다는 건
    부자 커뮤니티 들어간 효과 있어요
    그러니까 구독과 추천은 꼭 하세요❤

  • @KYS3473
    @KYS3473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5:14 "시진핑 주석이 하고 있는 거~ 생산성 혁명~ 그걸로는 안된다???" 단편적인 한 면만 보고 평가하는게 아닌가 싶군요~ 중국의 저 많은 인민들을 먹여 살려야 하는데 고부가가치 산업만으로 가능할까요? 그리고 중국은 전세계 제조업을 독식하려는 야심을 품고 있다고 봅니다. 지난 40년간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며 촘촘히 다져온 서플라이체인이 구축되어 있고, 거기다 여전히 저렴한 인건비와 첨단 AI, 로봇까지 미국에 필적할 정도입니다. 세계적으로 탈중국 외치고 있고, 인도가 부상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론 힘들다 봅니다. 왜냐면 인도가 지금 중국 정도의 서플라이체인을 완성하려면 얼마 만큼의 시간이 필요할까요? 그리고 그 체인을 구축해 가는 과정 동안 계속 중국과 경쟁해야 하는데 중국과 경쟁하며 성장할 수 있을까요? 인도는 본질적으로 중국과 경쟁이 어렵습니다. 다민족, 다국어, 지역/민족별 고착화된 관습, 교육, 신분제도 등~ 인도의 산업 발전은 내수용에 그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미국, 유럽 등에서 관세로 중국을 막는 것도 언제까지 가능할지 의문이고, 그 외 나머지 대륙은 사실상 무방비에 가깝습니다. 안타까운 하나의 사례를 얘기하면 최근 독일 폭스바겐에서 탈중국 하려다 도저히 자국 서플라인체인으론 경쟁이 안되니, 이젠 할 수 없이 인중국 하기로 했답니다. 폭스바겐 뿐일까요? 몇 년 후엔 살아남기 위해 다시 인차이나 열풍이 불 지도 모릅니다. 중국이 전세계 제조업을 장악하면, 그 때 부턴 부가가치를 듬뿍듬뿍 올리겠죠~ 지금은 미국의 빅테크들이 중국을 아래로 보고 있지만, 그 때도 그럴 수 있을까요? 10년후엔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 @미디어의이해
    @미디어의이해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어렸을때부터 명품을 구경이라도 꾸준히 해야 어른이 되서 명품을 만든다.

  • @syukaforever
    @syukaforeve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이게 미국에서면 먹힐 아이디어라고 믿어의심치않는데 한국서는 여러 이유로 힘들것같습니다.
    가장 좋은 방식은 구시대적 산업에서 일하면서 번돈으로 무형자산 비지니스에 투자하기(나스닥etf등)
    이런 방식이 그나마 헷징의 수단이 아닐까싶어요
    미국에서 통하는 비지니스 모델이 한국식으로 수정되어도 못살아남는 경우들이 있는거보면 특수성을 반드시 고려해야될것같습니다

  • @mirrorball2957
    @mirrorball295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티드... 빠르게 망하고 있는 브랜드인데 😂 급부상한 힙한 브랜드의 턴오버가 너무 빠른 현상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좋겠어요!

  • @danielcha6307
    @danielcha630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대표님, 슈카님은 성실하기도 하지만 재능충...ㅋ

  • @ganydanny508
    @ganydanny50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언더스탠딩 나오는 사람의 견해중에 가장 설득력 없는 견해였음....현재의 전세계적 인플레이션 이나 미국의 달러라는 기축통화 그리고 우리나라의 부동산우대정책등을 토대로 나오는 현상을 다른이유로 받아들이고 있는 분 같은데 너무 논리적 근거가 빈약함....말로만 조지는 스타일 ㅋㅋㅋㅋ

  • @조이소리-e9v
    @조이소리-e9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확히 말씀 하시는군요.
    5만원 10만원짜리 100만원짜리 치킨을 만들어 팔려는 생각을 존중해주는 세상이 되어야 합니다.

  • @미스터케틀벨
    @미스터케틀벨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대한민국에서 옆집 사람과 대화하는 동네가 어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