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트근이 있는 슬래브 배근은 철근 기능 교육에서도 상급자 교육에 해당합니다. 가장 중요한 철근이 단변방향 하부근이니 이 하부근과 벤트근이 가장 아래에 배치되도록 신경 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조설계에는 안전율이 항상 반영되어 있으니 이 순서를 지키지 않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내력이 줄게 됩니다. 슬래브는 자기 한 판에 실리는 하중을 견디면 되는데, 휨이 발생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단변방향의 주근이 위로 올라간만큼 내력이 줄게 됩니다. 주근은 항상 중심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근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중심에 너무 가까이 배치되면 내력이 줄어 균열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철근은 인장력을 부담합니다. 즉 부재가 늘어나는 위치에 철근이 많이 필요합니다. 슬래브는 중간 부분이 아래로 구부러지니까 중간부분에서는 아래쪽에 철근이 많이 필요하고, 보에 가까운 단부에는 위쪽이 늘어나서 위쪽에 철근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철근을 구부려서 배치하는 것인데요.. 그렇게 하면 보 근처 단부에서는 철근을 위쪽에 배치할 수 있고, 중간부분에서는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어서 철근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슬래브에서 또 하나 고려해야할 요소는 중간대와 주열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주열대는 강성이 큰 보와 인접한 구간이라서 상대적으로 힘을 많이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Y2가 긴변 방향의 철근이기는 하지만 중간대를 지나기 때문에 단변방향의 주열대 철근인 X4철근보다 외곽에 배치하는 것입니다.
저도 이부분이 이해가 안됐었는데요. 주열대 부분이 힘을 많이 안받는다 하셨는데 휨모멘트가 상부 단부, 하부 중앙부에 많이 받아서 벤트 적용을하고 철을 많이 넣어주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중간대를 지나가야 된다는 이유로 x4가 먼저 깔린다면 y2가 깔리고 x4가 깔려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 아닌가요? x4가 마지막에 깔리면 뭔가 떠있는 느낌이지만 y2가 마지막에 깔리면 x4를 감싸줘서 구조적으로 안정감이 있다는 부분은 동감이 되네요. 영상으로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열대에 배치하는 X4철근은 인접한 보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됩니다. 이 두꺼운 보 양쪽 평행한 구간인 주열대는 철근이 거의 필요없습니다. 그런데 중간대는 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휘는 힘을 많이 받게 됩니다. 그래서 단부는 상단에, 중앙부는 하단에 철근이 많아지고, 중립축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입니다.
최고 수준의 레벨 강의군요. 감사합니다.
"단부"라는 용어의 개념을 이해했네요. 단변방향과 장변방향에 따라 주근과 부근에 대한 이해도 되었구요. 그냥 무작정 단순한 경험으로만 경력기능공들이 조금씩 이해가 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y2 철근이 장방향 이고 x4철근이 단방향인데 단방향 철근이 장방향 철근을 감싸는걸로 알고있었는데. y2 설치후 x4를 설치 하는게 아닌가요? 일반사항 슬래브 배근 단면 을봐도 단방이 외측에 깔리는걸로 나와있는거 같습니다. 알려주세요~
Y2철근은 굽힘철근으로 중앙부를 지날 때는 하부주근으로 주열대구간에서는 상부주근으로 역할을 합니다. 2방향 슬래브로서 정방형에 가깝다면 X4철근보다 상부에 배치되어야 내력이 커지게 될 것입니다.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대가북스에서 나온 '철근배근 이론과 실무'라는 책 158페이지에 보면 장변방향 굽힘철근 배근위치가, 단변방향
주열대 상부근 배근의 아래 오는것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그럼 잘못 설명된것으로 보야야 할까요?
네. 장변방향 굽힘철근에 더 큰 내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변방향 주열대 상부근 위에 배치하는 것이 맞습니다.
C타입의 기본 배근시 맞배근이 맞다 엇배근도 가능하다 . 뭐갖맞을까요? 어떤 규정 기준이 있을까요,
정해진 기준이 없어서 둘 다 상관없습니다. 다만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등을 고려하면 엇배근이 더 나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영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현장에서 철근 배근 하시는 분들이 보통 이 순서를 지켜서 배근하시는 편인가요? 이 순서를 지키지 않았다고 해서 다시 배근을 해달라고 요청을 해도 될 정도의 구조적 내력 차이가 생길까요??
벤트근이 있는 슬래브 배근은 철근 기능 교육에서도 상급자 교육에 해당합니다. 가장 중요한 철근이 단변방향 하부근이니 이 하부근과 벤트근이 가장 아래에 배치되도록 신경 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조설계에는 안전율이 항상 반영되어 있으니 이 순서를 지키지 않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유익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질문있습니다. 혹시 주근 부근을 반대로 배근하면 문제가 있을까요? 장변을 주근처럼 배근한 경우 입니다.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내력이 줄게 됩니다. 슬래브는 자기 한 판에 실리는 하중을 견디면 되는데, 휨이 발생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단변방향의 주근이 위로 올라간만큼 내력이 줄게 됩니다. 주근은 항상 중심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근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중심에 너무 가까이 배치되면 내력이 줄어 균열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시공사 있으면서 이런 거 신경 안 쓰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취준생입니다. 잘 모르지만 위에 있는 중간대 주열대 hd10@400 등 이것은 법으로 정해져있어서 따로 외우거나 해야하나요? 아니면 도면에 적혀져있나요?
구조물에 따라 달라지는 사양이고 도면에 명시됩니다.
감사합니다.
철근 기공 기준 일당이 얼만가요? 철근배우고싶은 청년입니다
지역이나 현장, 그리고 작업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제가 아는 곳은 일당이 올해(2023년)는 23에서 24정도입니다.
슬래브 중간에 훤치처럼생긴 밴트근으로 시공하는이유가 머에요?? 그냥 일자로 쭉깔면 안되나요? 그리고 밴트근은 상부하부상관없이 하나만깔면되나요?
철근은 인장력을 부담합니다. 즉 부재가 늘어나는 위치에 철근이 많이 필요합니다. 슬래브는 중간 부분이 아래로 구부러지니까 중간부분에서는 아래쪽에 철근이 많이 필요하고, 보에 가까운 단부에는 위쪽이 늘어나서 위쪽에 철근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철근을 구부려서 배치하는 것인데요.. 그렇게 하면 보 근처 단부에서는 철근을 위쪽에 배치할 수 있고, 중간부분에서는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어서 철근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보통 슬래브에서 일명 엇따블 (상하근 엇갈리게 복근 배근)과 맏따블 (상하근 나란히 복근 배근)중 어떻게 배근하는게 맞는가 하는 얘기가 많은데, 어떤게 정답인가요?
이음위치 차원에서 엇갈리는게 좋다고 할 수도 있는데 지금은 B급 인장이음을 하기 때문에 둘 다 상관 없습니다.
다만 구조적인 차원에서 보면 철근량이 적은 경우 엇갈리게 배치하는 편이 온도수축철근 면에서 더 낫다고 할 수 있습니다.
@@rebarwork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됩니다
단변방향의 철근이 제일 외곽에 위치해야 된다면 X4보다 Y2배근이 먼저 설치되어야 되지 않나요? 왜 X4철근을 먼저 배근해야 되는지 모르겠네요
슬래브에서 또 하나 고려해야할 요소는 중간대와 주열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주열대는 강성이 큰 보와 인접한 구간이라서 상대적으로 힘을 많이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Y2가 긴변 방향의 철근이기는 하지만 중간대를 지나기 때문에 단변방향의 주열대 철근인 X4철근보다 외곽에 배치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이부분이 이해가 안됐었는데요. 주열대 부분이 힘을 많이 안받는다 하셨는데 휨모멘트가 상부 단부, 하부 중앙부에 많이 받아서 벤트 적용을하고 철을 많이 넣어주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중간대를 지나가야 된다는 이유로 x4가 먼저 깔린다면 y2가 깔리고 x4가 깔려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 아닌가요? x4가 마지막에 깔리면 뭔가 떠있는 느낌이지만 y2가 마지막에 깔리면 x4를 감싸줘서 구조적으로 안정감이 있다는 부분은 동감이 되네요. 영상으로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열대에 배치하는 X4철근은 인접한 보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됩니다. 이 두꺼운 보 양쪽 평행한 구간인 주열대는 철근이 거의 필요없습니다. 그런데 중간대는 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휘는 힘을 많이 받게 됩니다. 그래서 단부는 상단에, 중앙부는 하단에 철근이 많아지고, 중립축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입니다.
@@rebarwork 단톱바면 상관이 없겠는데 타입 B 장톱바 들어간다는 과정에 y2(외곽)이 위로 배치되면 단부 주열대 경계부분 3따블로 인해 x1(외곽)과 맞물려서(주열대 중간대 꼭지점 주변) 붕 뜨지않나요? 목소리가 참 좋으세요.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라멘 구조가 아니라 벽식 구조에서도 동일한 순서인가요?
네..구조방식과 상관없이 슬래브는 동일합니다.
파국이다.
무슨 뜻일까? 오래 생각했습니다. 좋은 의미로 이해하겠습니다. ^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