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 사용 114명 건강이상..."교육부 전수 조사 나서라" / YTN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ธ.ค. 2021
  • 故 서울 교사 사망 이후 교육부 실태 조사 벌여
    3D프린터와 증상 간 인과 관계 조사 안 해
    정부, 5개 부처 합동 대책 발표…피해 조사 빠져
    과기부, 유해물질 저감 위한 예산확보 실패
    [앵커]
    교육현장에 보급된 3D프린터의 유해성을 고발한 YTN 탐사보도와 관련해, 25개 시민단체가 실태 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그런데, 교육부는 이미 올해 상반기 교사와 학생 등 114명의 건강에 이상 신호가 왔다는 사실을 파악했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기획탐사팀 김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D프린팅 수업에 누구보다 열정적이었던 과학교사 故 서울 선생님의 죽음 이후, 교육부는 올해 5월 실태 조사를 벌였습니다.
    114명의 건강에 이상이 생겼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그걸로 끝이었습니다.
    후속 조치는 없었고, 3D프린터와 증상 간의 인과 관계도 전혀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희귀 암과 급성 암으로 고통받는 교사들의 피해 실태.
    그리고 3D프린팅 소재인 필라멘트의 유해성을 알린 YTN 탐사보도 이후, 정부가 5개 부처 합동으로 대책을 발표했지만, 정작 교육현장의 피해 조사는 빠져있습니다.
    그러는 사이, YTN에는 3D프린터를 쓴 교사가 암에 걸렸다는 제보가 또 들어왔습니다.
    [유지혜(가명) / 고등학교 교사 (유방암) : (5년 전부터 썼고) 2018년, 2019년 2년 동안 엄청 많이 사용했어요. 수업시간 중간중간에도 자꾸 들여다보고 하면서 갔죠. 그때는 유해성에 대한 인식 없었으니까…. (2년 전부터) 잔기침도 자꾸 나와요.]
    25개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나섰습니다.
    당장 전수 조사에 착수해 공무상 재해 인정 등 후속 조치를 취하라는 겁니다.
    [강민정 / 열린민주당 의원 : (심층 조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고…. 수업시간에 어떤 빈도로 수업에 참여했고 3D프린터와 관련된 피해를 입고 있는지 교육부는 조사해야 합니다.]
    제대로 된 안전시설도 하루빨리 갖추라고 촉구했습니다.
    [고도현 / 시민과학연구소장 : 공공시설이나 교육시설 내 3D프린터실 환경 문제 개선을 위해 나노입자인 초미세입자에 대한 환기 시설 표준화가 시급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교육부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교육부 관계자 : 뭘 조사해야 할지를 한 번 더 고민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3D프린터의 안전성을 책임지는 또 다른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예산 확보에 실패한 상황.
    이용자 안전예산 73억 원도 전액 삭감된 채로 내년 예산이 확정된 만큼, 추가 경정 반영 여부 등에 따라 정부 의지가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지환입니다.
    YTN 김지환 (kimjh0704@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3_202112...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99

  • @kolongyuja
    @kolongyuja 2 ปีที่แล้ว +244

    이쯤되면 교육부는 도대체 뭔일을 하느라 바쁜지 모르겠다 건강이상결과를 보고도 그냥무시라니
    현장에 있는 교사와 학생들은 뭐냐
    정말 참담하다

    • @kmath2309
      @kmath2309 2 ปีที่แล้ว +4

      백신 맞히느라 바쁨

  • @SSunSShine815
    @SSunSShine815 2 ปีที่แล้ว +175

    정상적이고 좋은 선생님들이 존중받는 일상이 현실이 되었으면 합니다.
    누가 봐도 저 상황은 확실하니 온전한 치료 지원과 피해 보상을 제대로 해주기 바랍니다 !!

  • @5752380
    @5752380 2 ปีที่แล้ว +591

    3D프린터 처음 나왔을때 밀폐된곳에서 사용하지말라고 전문가들이 그러던데.... 진짜였구나;

    • @user-np8uy8ig5b
      @user-np8uy8ig5b 2 ปีที่แล้ว +5

      댓글 달때 육갑떨지 말라고 했는데....왜 계속 육각떠냐

    • @golice
      @golice 2 ปีที่แล้ว +27

      미친놈들이 117명 죽었다고 전수조사 ㅋㅋ 지금 백신으로 천명이 죽어가도 쌩까고 있으면서 ㅋ 어이없네

    • @user-yh3ge6zf5l
      @user-yh3ge6zf5l 2 ปีที่แล้ว +6

      @@golice ㅇㄱㄹㅇ 지금 영국 런던은 폭동 일어남 실시간 유튜브 방송중ㅋㅋㅋ한국은 조용ㅋㅋ

    • @lv.1690
      @lv.1690 2 ปีที่แล้ว +2

      @@user-ip3wi6vn5r 개웃곀ㅋㅋㅋㅋㅋ

    • @shiped9155
      @shiped9155 2 ปีที่แล้ว +6

      @@user-yh3ge6zf5l 근데 런던은 지금 확진자가 9만명 수준이라....

  • @user-xn8uh9dh5q
    @user-xn8uh9dh5q 2 ปีที่แล้ว +236

    아이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에 힘 쓰시던 선생님들이 이렇게 되셔서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 @user-sd6je2np8s
    @user-sd6je2np8s 2 ปีที่แล้ว +654

    3D 프린터 뿐만 아니라
    고열로 가열해야되는 실험직군에 있는 사람들 다 문제 생길수 있다고 생각하네요
    고열 실험기기중 후드 설치 기준 없는 것들도 많습니다.

    • @user-wn1rx2pd6v
      @user-wn1rx2pd6v 2 ปีที่แล้ว +23

      다이캐스팅 사출공장 일하는사람들 다 죽었겠네
      사나고 유투버 아직도 살아있는게 신기하네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2 ปีที่แล้ว +1

      그럼 선생님도 문제지만... 거기 있던 아이들도 건강검진 받아야겠네요

    • @user-xs9hv4hd3e
      @user-xs9hv4hd3e 2 ปีที่แล้ว +25

      다이캐스팅업계에 있습니다 . 주변에 60정도 나이드신 사장님들 폐암에 걸려 돌아가시더라구요

    • @doom9344
      @doom9344 2 ปีที่แล้ว +16

      @@user-wn1rx2pd6v 미세 연기와 미세먼지는 머든지 발알 물질임. 특히 레이저 프린터 토너도 발암 물질이고, 페인트 스프레이도 발암 물질임. 그래서 그런작업은 집진 장치가 필수임.

    • @user-zu8wk2bb6d
      @user-zu8wk2bb6d 2 ปีที่แล้ว +5

      @@user-wn1rx2pd6v // 25개의 시민단체를 먼저 조사 해보고 싶은 기부니가 드네... 요즘은 시민단체 얘기만 들어도 의심부터 듦....

  • @user-lw6vf9pg4w
    @user-lw6vf9pg4w 2 ปีที่แล้ว +94

    3d프린터는 무조건 환기 가능한 곳에 두고 작동시킬거면 요즘 아무리 추워도 환기 풀로 해놓고 해야합니다. 특히나 많이 쓰는 가성비 제품들은 필라멘트 노드랑 베드만 딸랑 있고 필터가 없어서 그런 제품들은 더욱 조심해야해요.

    • @Re-bz2cw
      @Re-bz2cw 2 ปีที่แล้ว +4

      히터 틀고 온도조절 해야할텐데 환기하면서 쓰는게 불가능하죠..

  • @scented4191
    @scented4191 2 ปีที่แล้ว +176

    학교에서 수업할때 교실에서 문닫고 하는데 선생님과 애들도 다 안좋은데 조속히 해결되었으면

  • @mikewazoski9657
    @mikewazoski9657 2 ปีที่แล้ว +204

    우리나라는 이게 문제다 문제가 있다는걸 알고는있지만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으려고한다. 코로나 백신도 그렇고 자동차 급발진, 옥시 사건등.. 반드시 보상 받아서 선례를 남겼으면합니다... 응원합니다

  • @user-nt7fm3zo1j
    @user-nt7fm3zo1j 2 ปีที่แล้ว +127

    학교라는 곳이 안전의 사각지대에ㅡ있음. 공장에서 저런걸 다룬다면 작업환경 측정도 하고, 안전교육도 하고 특수건강진단도 할텐데, 저렇게 실험, 체험 형식으로 사용하게 되는 학교 특성상 산업안전보건법의 관리 테두리 바깥에 있어서 제대로 관리가 안 됨.

    •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2 ปีที่แล้ว +1

      응 절대 아니얌 ㅋㅋㅋ 개오바 그만 떨어

  • @user-fw6jl8rh9l
    @user-fw6jl8rh9l 2 ปีที่แล้ว +230

    3D 프린팅 작업중에 당연히 유해물질이 나오는 데 교육부에서 인정하고 보상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rv5no2tj7w
      @user-rv5no2tj7w 2 ปีที่แล้ว +2

      당연히 나오는거였음? 그럼 교사들은 병걸릴줄 알고 한거네요...

    • @user-fw6jl8rh9l
      @user-fw6jl8rh9l 2 ปีที่แล้ว +11

      @@user-rv5no2tj7w 네 책(303 인가 하는 제목의 책이었던 것 같습니다만)에도 그렇게 나와있습니다
      근데 알고 했기 때문에 교사 책임이라는 주장보다는 알고 있던 모르고 있던 항상 안전 장비! 를 구비하지 않거나 이에 대한 교육이나 충분한 지원(기타 등등)을 다하지 못한 교육부의 잘못이 더 커보입니다
      그리고 전부는 아니겠지만 일부라도 윗선에서 반 강제나 하라는 말을 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제 부모님이 이쪽 파트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장 때문에 너무 힘들다고 하는 걸로 보아 부외 파트에서도 힘들기 때문에 오히려 더 힘들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하다못해 공직자이고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일하다가 발생을 한 사고이면 설령 교사가 잘못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최소한의 병원비라도 전부도 아니라도 도의적으로 일부라도 주는 것이 도덕적과 윤리적으로 더 타당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합니다

    • @user-mp7lo2kk5o
      @user-mp7lo2kk5o 2 ปีที่แล้ว

      알고 있었는데 한거라면 즈그들도 안전준비안하고 교사니까? 실행했다는 말도 있죠 알고있는데 뻔히 조치도 취하지않고 일단 실행은 했다?

    • @user-oe2wz8si5z
      @user-oe2wz8si5z 2 ปีที่แล้ว

      인정해주겠냐? 돈아까워죽는데

    • @user-yy8ic8tr5h
      @user-yy8ic8tr5h 2 ปีที่แล้ว

      @@user-fw6jl8rh9l PLA등에 가소제섞어서 Tg를 조정한듯한데 가소제로 뭘쓰길래 저런독성을 가지나요? 저런거에도 프탈레이트쓰면 오반데 ㄹㅇ

  • @user-cc4lu7wg1v
    @user-cc4lu7wg1v 2 ปีที่แล้ว +176

    저거 쉬쉬하면 안되는게, 아이들 건강에도 위험한거잖아... 교육부가 정부가 쉬쉬하면 안되지...

    • @peaceforall6116
      @peaceforall6116 2 ปีที่แล้ว +1

      언제는 교육부가 아이들 건강생각하는거 봄? ㅋㅋㅋ 확진자가 줄어들생각을안하는데
      "전면등교"ㅇㅈㄹ 하는데ㅋㅋ

  • @KwonOhMin
    @KwonOhMin 2 ปีที่แล้ว +92

    이건 처음 개발될 때 부터 문제제기 되던건데 이제야...
    3D펜도 당장 유해성분 조사해야하는데
    과연 이건 언제 이루어질런지...

    • @user-ns2cq8rd9i
      @user-ns2cq8rd9i 2 ปีที่แล้ว +8

      @@bob_inn 모든 필라멘트가 유해성분이 나오진 않아요

    • @user-jl9uh5qt9s
      @user-jl9uh5qt9s 2 ปีที่แล้ว +1

      @@bob_inn 인증 받은 것고 많습니다 옥수수전분은 무해합니다 값싼 중국산 소재가 문제되고 있는겁니다ㅔ

    • @shantyalcan
      @shantyalcan 2 ปีที่แล้ว +1

      @@bob_inn 무식한 건 바로

    • @user-gd5jc4xv2n
      @user-gd5jc4xv2n 2 ปีที่แล้ว +3

      유튜브:사나고
      3D펜으로 만들기하시는분
      지금은 괜찮은데
      이분도 미래에 암걸리시겠내

    • @KwonOhMin
      @KwonOhMin 2 ปีที่แล้ว

      @@user-gd5jc4xv2n 진짜 미래일은 아무도 모르죠 ㅠ

  • @RX006Z
    @RX006Z 2 ปีที่แล้ว +142

    석유화학 등 플라스틱 녹이는 곳은
    무조건 방독면,
    최고 레벨의 환기시설을 의무화 해야 한다.

    • @RX006Z
      @RX006Z 2 ปีที่แล้ว +3

      @@user-cp4op9sl6g
      현실.. 비용.. 중요한 문제입니다.
      아시겠지만.
      결국, 사람의 목숨값보다 큰 댓가를 치루는 것은 없습니다.

    • @user-fq7sl3bp5r
      @user-fq7sl3bp5r 2 ปีที่แล้ว +2

      @@user-cp4op9sl6g 그럼소비자도 거기 안사면됨 ㅋㅋㅋ 자본주의가 기업만 통하나

    • @WhitE-GLinT_from__LinE-ArK
      @WhitE-GLinT_from__LinE-ArK 2 ปีที่แล้ว +1

      @@IllllIIIlIlIlIllIIl 플라스틱이 쓰이는 데가 한두곳이 아닌데 없애면 뭐로 대체하시려는 거죠

    • @54najjh24
      @54najjh24 2 ปีที่แล้ว +1

      @@user-fq7sl3bp5r 너무 이상주의적인 얘기인듯 기업 입장에서 아낀 예산으로 싸고 질 좋은 제품을 내놓는다면 결국 사는 사람들은 무조건 생겨나게 돼 있음

    • @user-km7th4hm6c
      @user-km7th4hm6c 2 ปีที่แล้ว

      @@user-fq7sl3bp5r 저게 현실인데 소비자들이 신경이나 쓰나요? 지금도 매일같이 산재 사망사고 소식 들리는데 그런 곳들 안전 장비나 메뉴얼 하나도 안 지켜집니다. 사람 하나 죽고 과태료 무는게 메뉴얼대로 장비 구하고 사람 둘씩 쓰는 것 보다 싸니까요

  • @user-oh7mk3df4n
    @user-oh7mk3df4n 2 ปีที่แล้ว +58

    3D프린터기 문제점이 몇년전부터 지적되어 왔지만 설치는 더 많이 되었습니다. 3D프린터기를 활용하는 메이커교육과 융합교육이 요즘 트렌드이기 때문이죠. 교직원 연수도 지금 엄청 확대해놓았어요.
    3D프린터기 못지 않게 인기가 있어서 같이 설치되는게 레이저 컷팅기예요. 그 기계도 냄새가 장난이 아니던데 유해물질이 얼마나 나오는지 조사되어야합니다.
    설치만 늘리고 제대로 환기 시설조차 안갖춰진 우리 학교 발명교실을 보면 정말 너무하다 싶습니다. 거기서 열심히 수업하고 연구하시는 선생님이 걱정됩니다. 고가의 장비라 많이 설치할 수가 없어서 학생들은 잠깐 구경만 하고 주로 선생님들이 밤늦게까지 학생들 작품 뽑아줍니다.

    • @mkbhjar5853
      @mkbhjar5853 2 ปีที่แล้ว +1

      아이들을 위해 열심히 일해주시는 선생님들만 피해보시네요...ㅠㅠ

    • @chacha9679
      @chacha9679 2 ปีที่แล้ว

      거기 엄청 위험 할듯요 어서 알려주세요 ㅜㅜㅜ

  • @Ulysses337
    @Ulysses337 2 ปีที่แล้ว +42

    모든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인데 참 안타깝고 한심한 현실입니다. 기업,공무원,정치....우리 모두가 반성하고 책임을 져야 합니다...음.

  • @djh7557
    @djh7557 2 ปีที่แล้ว +152

    개인적으로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필라멘트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3D 프린터 자체에 안좋은 프레임을 씌우는게 맞나 싶습니다. 사실 ABS 필라멘트가 PLA에 비해 저렴한 경우가 많긴 하지만 PLA사용하는 사람들에게 까지 그러한 프레임을 씌우는건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물론 전에는 PLA에도 유독물질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RoHS 나 REACH 인증을 통해 검증 받는 제품들이 있어서 문제없이 사용할수 있지만 그냥 늬양스가 3D 프린터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 느낌이 드는게 매우 아쉽습니다.

    • @user-lc7pi8vk4x
      @user-lc7pi8vk4x 2 ปีที่แล้ว +25

      댓글들 보니 이미 늦은 듯

    • @user-oh7mk3df4n
      @user-oh7mk3df4n 2 ปีที่แล้ว +1

      PLA가 ABS보다 얼마나 더 비싼가요? 교육 예산은 적고 가르쳐야하는 아이들은 많다보니 ㅠㅠ

    • @user-mv1qr2kh3i
      @user-mv1qr2kh3i 2 ปีที่แล้ว +9

      @@user-oh7mk3df4n pla보다 abs가 좀 더 결과물이 정교한 편이라서 사용하는 편인데 이게 발암물질이 있습니다. 가격차이는 심하지는 않아요.

    • @user-mu3bh4nt3b
      @user-mu3bh4nt3b 2 ปีที่แล้ว +2

      원인조사를 기다려봐야 제대로된 보도가 날듯

    • @lee6567
      @lee6567 2 ปีที่แล้ว

      ㄹㅇ 나도 이생각했는데;

  • @user-iw3mv3ir3m
    @user-iw3mv3ir3m 2 ปีที่แล้ว +81

    3d프린터 장사 다했네 솔직히 화공과출신으로 당연한 결과임 정밀검사해서 유기성분 기준치 만들고 방독면의무화 하고 환기설비 표준 만들어야 한다

    • @user-pm5fb1fy4w
      @user-pm5fb1fy4w 2 ปีที่แล้ว

      환기 시설만 잘 갖추면 문제 없다

    • @user-iv3or6yq8m
      @user-iv3or6yq8m 2 ปีที่แล้ว

      화공과출신아니어도 아는사실인데 뭔ㅋㅋ

  • @user-do6dh9pz2o
    @user-do6dh9pz2o 2 ปีที่แล้ว +102

    아니 플라스틱 가스랑 가루가 날리는데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는게 너무 신기한데

    • @koreanentertainer3765
      @koreanentertainer3765 2 ปีที่แล้ว +2

      백신 속 괴생명체 1000만 마리는, 학살 설계의 주체가 미국 딥스라서 전수조사고 나발이고 아무것도 안 하더니...

  • @user-ej2le2os2j
    @user-ej2le2os2j 2 ปีที่แล้ว +48

    보면서 음? 플라스틱 녹이고 하는대 왜 아무런 위험문구가 없지?? 안나오게 다 조치해놨나?? 생각했는대...
    그냥 아무 생각이 없는거였구나

    • @umbra3054
      @umbra3054 2 ปีที่แล้ว

      닉네임을 보니 넌 악질이야

  • @user-mv1qr2kh3i
    @user-mv1qr2kh3i 2 ปีที่แล้ว +43

    3D 프린터가 문제가 아니라 아마 들어가는 필라멘트가 문제였을 겁니다. Pla의 경우에는 옥수수 전분으로 만들어져서 안전한 반면 Abs의 경우 좀 더 정교하게 만들 수 있으나 발암 물질이 나오죠.

    • @sim37542
      @sim37542 2 ปีที่แล้ว +1

      Abs가 문제여서 죽은거면 사출공장 직원들 다죽어야합니다..

    • @dubidubab3593
      @dubidubab3593 2 ปีที่แล้ว

      PLA도 유해물질이 미량 함유 되있는건 부정할 수 없어서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어요

  • @user-wq8vt8sy1u
    @user-wq8vt8sy1u 2 ปีที่แล้ว +55

    누구보다도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힘쓰셨던 선생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서 정말 안타깝습니다.. 인과 관계가 밝혀졌으면 좋겠습니다.ㅠ

  • @user-yx5cs1vt7d
    @user-yx5cs1vt7d 2 ปีที่แล้ว +56

    사용방법과 환경이 문제지.. 저가의 필라멘트 사용. 밀폐된 공간의 사용. 최소 작업중일 때 한곳간에 오래 있지 않고 환기를 하면 크게 문제 되진 않았을 듯 해요. 필라멘트도 단가만 올리면 안전성 높은재료 많아요 한가지 예로 잉크젯 프린터도 엄청 유해하지만 쓰잖아요. 3D 프린터처럼 장시간 인쇄하는 경우는 적으니깐요.

    • @user-yw7mw6qd2d
      @user-yw7mw6qd2d 2 ปีที่แล้ว +2

      이게 맞아요. 돈아끼려고 저가 비정품 필라멘트 사용+밀폐된 공간사용= 좋지않은결과를 초래합니다.. 실제로 신도 3DWOX 2X사용중인데 정품 필라멘트 사용권장과 환기 필수라고 적혀있어요....

    • @goo2405
      @goo2405 2 ปีที่แล้ว +1

      진짜 그냥 환기시설만 돼있고 출력실은 입력하고 완성되었을때만 왓다갔다하면되는데~

    • @goo2405
      @goo2405 2 ปีที่แล้ว +1

      @@user-ee5ke3ko9t재료단가보다는 환기시설이 중요함요 밀폐된곳에서 8시간 근무하는 근무환경도 이상하고... 3d프린터 애들한테 그르칠때 모델링과 슬라이싱을 위주로가르치는거로아는데.. 출력실에 그리오래있을 이유가 궁금하네욥

    • @user-yx5cs1vt7d
      @user-yx5cs1vt7d 2 ปีที่แล้ว +1

      @@user-ee5ke3ko9t 일부저가 재료의 경우 위험물질이 포함된 경우가 잇어요. 재생품도 많구요.

  • @chojinyeoung
    @chojinyeoung 2 ปีที่แล้ว +107

    다필요없습니다 저가필라멘트고 뭐고 국내외 챔버식 다 샙니다 완벽한것이 없죠 abs든pla 유해물질이 100%미검출되는것은없고 공기중떠도는 미세분자같은건 또 별개로 몸에 축적된다고봐야합니다
    출력후는 상관없지만 출려중에는 절대 밀폐된 독립형공간에서 사용해야합니다 가정에선 정말 비추드립니다

    • @user-nj6cr9ph3d
      @user-nj6cr9ph3d 2 ปีที่แล้ว +4

      pla는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거여서 아기가 물고 빨아도 중금속이나 유혜 물질이 나오지 않는 걸로 알고 있어요 문제는abs

    • @jwyun2234
      @jwyun2234 2 ปีที่แล้ว +1

      @@user-nj6cr9ph3d 아마 윗분께선 소재 관계없이 흄이 나온다는 설명인 것같습니다. 산업에서 주의해야할 마이크로입자이며 3D프린터같은 경우에는 노즐에서 발생한다고 들었습니다. 저 역시 가공실로 들어가기전엔 귀찮더라도 94마스크벗고 방진마스크를 착용하면서 작업합니다.

    • @chojinyeoung
      @chojinyeoung 2 ปีที่แล้ว +5

      @@user-nj6cr9ph3d pla도 유해물질 소량 검출됐습니다 그리고 완전 안나와도 위에 말한것처럼 출력중 미세분자는 몸에 안좋을수밖에 없는거같아요
      이건 11대 다양하게 써본 사람으로써 얘기하는것입니다

    • @DDIYONGHAMA
      @DDIYONGHAMA 2 ปีที่แล้ว +1

      @@user-nj6cr9ph3d pla도 발암 물질 어느정도는 있음 유해하지 않을 정도지 ㅋㅋㅋㅋ 근데 그 pla 만든 회사가 조성을 조금 이상하게 만들면 유해해지는 거임

    • @DDIYONGHAMA
      @DDIYONGHAMA 2 ปีที่แล้ว +1

      @@user-nj6cr9ph3d 그리고 고열로 녹여서 사출하는 게 유해물질이 안나올 수 가 없음 연구기관이나 이런데서 쓰는 건 다 유해물질 신경쓰면서 씀 고작 마스크가 아니라 시설이 완비되있음

  • @user-jc5fr8bn5v
    @user-jc5fr8bn5v 2 ปีที่แล้ว +269

    3d프린터 사용물질이 발암물질입니다. 그리고 세척용액도 벤젠류입니다. 항상 기계돌릴때는 방독면을 착용하고 난뒤에 해야되고 방독면 착용안하면 사람이 안에 있으면 안되요. 물건이 다 완성되면 내부 환기를 꼭 시키세요.

    • @edamedam
      @edamedam 2 ปีที่แล้ว +27

      뭔 소리여...
      전세계에서 3D프린터 활성화된지 10년이 넘어가는데 유독 한국의 학교에서만 난리인 이유부터 찾는게 맞지 않나?
      3D프린터 중에도 유독물질이 있고 아닌게 있고 환기장치 필요하고 등등이 있는데 그냥 무턱대고 방독면 쓰라고요?

    • @user-wr4pq7tl5r
      @user-wr4pq7tl5r 2 ปีที่แล้ว +12

      @@edamedam ㅇㅇ 그리고 발암물질 발생 하는지 공기질 조사를 했는데 거의 안나옴 그냥 일상수준이랑 똑같은 수준임

    • @user-vh7om1vm3o
      @user-vh7om1vm3o 2 ปีที่แล้ว +42

      @@user-wr4pq7tl5r 중국산 저가 필라멘트 가열했을때 발암물질 왕창 나온거 실험까지 했는데 뭔 헛소리

    • @user-wr4pq7tl5r
      @user-wr4pq7tl5r 2 ปีที่แล้ว +2

      @@user-vh7om1vm3o 링크좀

    • @minhot3
      @minhot3 2 ปีที่แล้ว +1

      @@edamedam ㅇㅈ

  • @changhkim2709
    @changhkim2709 2 ปีที่แล้ว +111

    나라의 인재들인데 안전조치 하나 마련하지 않아서 저렇게 보내나? 씁쓸하고 슬프다.

  • @user-wt3jj7ri5c
    @user-wt3jj7ri5c 2 ปีที่แล้ว +23

    아이고 이런일이 있었구나. 학생들도 같이 전수조사해야 무조건 방독마스크 착용해야

  • @user-mi5ey6kx3w
    @user-mi5ey6kx3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희 선생님이셨는데 이제서야 소식을 접했네요.. 성함과 말투, 아두이노 등 본인이 하시던 일에 자부심을 느끼고 이야기도 많이 해주시던 분인데 이렇게 돌아가셨다는게 많이 안타깝네요..

  • @yasiii2961
    @yasiii2961 2 ปีที่แล้ว +28

    이런내용 좋다, !!!

  • @VoidX930
    @VoidX930 2 ปีที่แล้ว +15

    "창조 경제"의 일환으로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참 의도는 좋았으나 현장의 환경에 대해서는 신경을 안썼음...

  • @boggood
    @boggood 2 ปีที่แล้ว +25

    환기 잘되고. 밀폐된곳에서 사용하지 말라.
    쓰는사람은 다 아는건줄 알았는데..

    • @user-yx5cs1vt7d
      @user-yx5cs1vt7d 2 ปีที่แล้ว

      대다수의 사고는 그 당연한 걸 안해서 터지죠.

  • @ppilmim
    @ppilmim 2 ปีที่แล้ว +6

    골육종 환자인데 항암 휴식기간 중 집에서 심심해서 3D펜 갖고 놀았는데 미친짓을 했군요. 당장 갖다버리겠습니다.

  • @eun007
    @eun007 2 ปีที่แล้ว +3

    3d프린터 나온 초기부터 사망자속출해서 환기필수라고했는데 나도 아는걸 선생님들이 모를리는없고 환기시키더라도 자리를 비울수가 없으니 그런가보네요. 필라멘트녹이는 펜은 괜찮은지 궁금..애들도 많이쓰니까..

  • @pposong-pposong
    @pposong-pposong 2 ปีที่แล้ว +77

    예산도 전액 삭감하고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고 질병으로 고통받고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여론 그리고 방송과 언론에서 관심과 집중을 하게 되면 그때서야 정부나 국회 그리고 관련기관과 담당부처에서는 핑계과 거짓말 그리고 상대방 탓을 하며 발생된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하면 또 정치적으로 국민들을 이용할수 있을까를 생각할듯 하네요

  • @user-br8sg7lh3z
    @user-br8sg7lh3z 2 ปีที่แล้ว +3

    3D프린트 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3D프린터에 안좋은 프레임만 씌우는거같아 너무 아쉽습니다 ㅠ 3d프린터 가공방식은 기존에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사출가공 방식과 다르지 않습니다.
    3d프린터 자체에서 문제가 있어 질병에 걸린거라면 사출공장 직원들 대부분이 희귀병에 걸려야 마땅하지 않나요 막말로 발암원인 숯 번개탄에 고기 구워먹는게 한국인 아닌가요..

  • @macdds
    @macdds 2 ปีที่แล้ว +7

    PLA 필라멘트 보다는 광학식 3D 프린터에 쓰는 액상 원료가 문제일거 같은데

  • @WhereIsMyName0
    @WhereIsMyName0 2 ปีที่แล้ว +8

    1년 정도 끊이지 않게 보인 뉴스.. 아는 사람이 이토록 없다니.. ㄷㄷㄷ

  • @user-or2ht1lo7y
    @user-or2ht1lo7y 2 ปีที่แล้ว +11

    사람 목숨 관련된건데, 또 검토야?
    교육부도 보면 책임감제로야

  • @Meister-Lee
    @Meister-Lee 2 ปีที่แล้ว +5

    3D프린터는, PLA도 완벽하지 않고 특히나 ABS 출력은 쉽게말하자면 밀폐된 방에서 플라스틱에 불 붙여서 녹이면서 이것저것 만든거랑 같음.
    근데 3D 프린터 초창기부터 나온 말인데 어째 대비가 안됐을까ㅠㅠ

  • @RedGadi
    @RedGadi 2 ปีที่แล้ว +5

    혹시 다른 나라 뉴스나 한국의 다른 3D프린팅을 직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이런 증상을 겪었다라는 소식을 들은 적이 없는데 그런 사람들과의 차이점 같은건 없는건가요? 3D프린터가 문제가 아예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직업군이나 나라에 비해서는 유독 한국 3D프린터 사용 학교에 관한 뉴스만 나온다는게 의문이 드네요

    • @slee8601
      @slee8601 2 ปีที่แล้ว +1

      검색해보니 외국에서도 유해성에 관한 논문같은 게 나오긴 했네요.

    • @imbuja2676
      @imbuja2676 2 ปีที่แล้ว +1

      와국서 3d 프린터 사용한적 있는데, 거기도 환기전혀 안하고 하루종일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함. 거기에 상주하는 학생들, 교직원들 있는데, 아직 유럽이나 미국등에서도 이슈가 안된듯..

    • @missormeet
      @missormeet 2 ปีที่แล้ว +1

      애초에 pla전용으로 배급된 프린터기를 abs재료 가져다 쓰니까 문제죠. 환기 어쩌고 하는데 애초에 고가의 폐쇄형 프린터에서 쓰면 이정도까지 문제되지 않습니다.

  • @hyung8846
    @hyung8846 2 ปีที่แล้ว +4

    프린터가 문제라기보다 필라멘트가 문제인데 친환경 pla안쓰고 abs쓰면 위험한거

  • @Backatt
    @Backatt 2 ปีที่แล้ว +5

    아마 너무 큰 사고라 현실도피중인거 같은데 담당자 교체허고 대책마련이 필요합니다

  • @GoJangNanCAT
    @GoJangNanCAT 2 ปีที่แล้ว

    프린터기는 보통 처음 셋팅만 해놓고 나머진 뽑기만 하면 되니깐 프린팅 작업장이랑 모델링장이랑 따로 분리하는게 낮지 않나 싶네요.
    한번 뽑기 시작하면 오래걸려서..

  • @Cold_circle
    @Cold_circle 2 ปีที่แล้ว +3

    유증상 114명 중 두통 56.1% / 호흡기 자극 36.8% / 어지러움 15.8% / 기억력저하 2.6 % 는 3D프린터와 어떤 관계가 있는걸까..
    정말 이해할 수 없는 뉴스다.. 우리나라 국민 전체 중에 1년동안 두통,호흡기질환,어지러움 같은 사소한 질환을 안겪는 사람도 있을까.. 전수조사 좋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메뉴얼 확립 좋기는 한데.. 인과관계 확증도 안됐는데 몰아가기식 언론플레이 어질어질하다..

    • @Cold_circle
      @Cold_circle 2 ปีที่แล้ว +1

      3D프린팅 제조업 6년차인 나에게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것은,,, 도덕책...

  • @Awesome-im1sf
    @Awesome-im1sf 2 ปีที่แล้ว +1

    인과성 알아보는 과정에서 더 효과적으로 알아보려면 해외 사례들도 참고 해야될듯 한국보다 먼저 쓴 나라들이 있을텐데 관련작업 오래한 직종들에서 비슷한증상이나 암걸렸다는 사례들이 있으면 인과성에 더 무게를 둘수 있지

  • @sbkim7311
    @sbkim731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3d 프린터 활용 많이 했는데.. 작년 2월에 유방암 수술헸는데... 관련이 있는거 같기도해요..

  • @june14695
    @june14695 2 ปีที่แล้ว +2

    이게 참 웃긴게
    3d 프린터 발암물질 관련 얘기는
    이미 국내에서도 몇 년 전부터 업계와 학계에 나왔던 얘깁니다
    새로울 것도 없는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그런 얘기요
    해외에선 이미 인지하고 규제하는 곳들도 있구요
    근데 이제서야 실태조사를 하네요
    개인적으론 파생 상품인 3d펜도 자유롭지 못하다 생각하는데
    아예 필라멘트 쓰는 모든 제품에 관한 조사와 규제가 필요하다 봅니다

  • @user-xx6xc6ip9k
    @user-xx6xc6ip9k 2 ปีที่แล้ว +2

    정확하게 쓰리디 프린터가 문제인지
    쓰리디프린터 재료가 문제인지 파악해서
    정확히 알려주세요

  • @user-ir4qw3ke4p
    @user-ir4qw3ke4p 2 ปีที่แล้ว +3

    3D프린터 자체의 문제보다는 저 플라스틱 필라멘트가 문제인듯 ㅇㅇ

  • @user-eh7kb1se6i
    @user-eh7kb1se6i 2 ปีที่แล้ว +5

    70년대 공장 여공들이 밀페된 곳에서 폐랑 건강 많이 버리셨는데
    배우신분들도 .....같군
    작동시 냄새나고 그럴건데
    설명서끝까지 보셨음 좋았을걸

  • @user-ij4ry5gg9r
    @user-ij4ry5gg9r 2 ปีที่แล้ว

    오래전에 뉴스에서 병드신 선생님 봤었는데 아직 조치가 없는거예요?

  • @mchangggo
    @mchangggo 2 ปีที่แล้ว +4

    소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에는 일반적으로 녹이는 과정에서 톨루엔, 크실렌등 1군 발암물질이 방출될 수 있습니다.
    산업현장에서는 방독면을 착용하라는 강제 조항있는데 환풍시설만 갖춘다고 해서 그다지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라 봅니다.
    의료용은 안전하지만 기준을 높이면 비용부담이 발생하겠죠.

  • @fufut77
    @fufut77 2 ปีที่แล้ว +25

    먼저 해야할건 안정규정부터 마련해야할듯
    3디프린터가 문제가 아니라 사용자가 환기잘하고 써야함
    자동차도 안전운전안해서 사고나면
    자동차가 위험하다고는 안하듯
    3디프린터로 환기잘하고 쓰면 문제 없습니다
    지금 문제되는분들 대부분 ABS 사용하고
    출력물 품질위해서 온도 유지한다고 환기없이 밀폐된곳에서 장기간 사용한분들입니다
    환기안되고 밀폐된곳이면
    3디프린터가 아니고 다른거라도 몸에 이상생깁니다

    • @JDSTON
      @JDSTON 2 ปีที่แล้ว

      PLA는 식물성재료인가요?

    • @edamedam
      @edamedam 2 ปีที่แล้ว +4

      PLA는 식물성 재료인데 중국산은 뭐가 들어있을지 모른다는거죠.
      그리고 ABS 필라멘트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ABS는 독성임
      환기장치 만들어놓고 써야합니다.

    • @user-wn1rx2pd6v
      @user-wn1rx2pd6v 2 ปีที่แล้ว +2

      배우신분들이 환풍기도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했다는게 노답 한마디로 답이없다

    • @fufut77
      @fufut77 2 ปีที่แล้ว

      @@JDSTON pla는 abs보다는 유해성이 낮긴합니다
      주성분이 옥수수전분이긴하지만 화학제품이 첨가되 있어서 환기는 해주셔야되요

    • @fufut77
      @fufut77 2 ปีที่แล้ว +1

      @@edamedam 묻지마 중국산 필라멘트 진짜 문제죠
      abs는 그냥 석유화학제품
      더구나 대부분이 챔버없는 장비에 수축때문에 온도 유지한다고 밀폐된곳에서 환기없이 작업하는건 ..

  • @user-cc4sp5hw7m
    @user-cc4sp5hw7m 2 ปีที่แล้ว +17

    유증상 선생님들이 구입한 필라멘트가 어느 업체에서 구입한 것인지 영수증 확인하고 수입 업체는 rohs준수 물품을 판매했는지 전수조사 해야 합니다.
    쓰레기같은 중국산 필라멘트 수입업체가 너무 많아요.

    • @user-qx7og9fx5w
      @user-qx7og9fx5w 2 ปีที่แล้ว +5

      더 문제는 공공기관은 항상 최저가를 찾아서 구매해야되니까.. 그런 쓰레기 업체에 더 취약한 구매자

  • @user-ys7ks1wr8v
    @user-ys7ks1wr8v 2 ปีที่แล้ว +4

    처음부터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지 말라고 이야기가 나왔군요. 사용설명서에 나와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사용설명서에 나온다면 누구의 잘못으로 봐야 하며 사용설명서에 밀폐공간사용금지란 말이 안나온다면 개발한 업체가 잘못을 했다고 봐야 할까요?

    • @Dia-nt7ci
      @Dia-nt7ci 2 ปีที่แล้ว +1

      프린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고~하니~ 프린터개발업체 잘못은 아닌듯~

    • @user-xk5gg1ww3o
      @user-xk5gg1ww3o 2 ปีที่แล้ว

      처음에 권장하고 배부한게 교육부니 교육부 잘못이지 누가 개발업체 탓하냐 논점 못잡고 물흐리지마 ㅂ199030ㅡㅡㅅㅇ

    • @missormeet
      @missormeet 2 ปีที่แล้ว

      여기 댓글들 쭉봤는데, 전공자들이 없어서 그런가 다들 뜬구름 잡는 얘기네 ㅜ 애초에 pla전용으로 배급된 프린터기를 abs재료 가져다 쓰니까 문제죠. 환기 어쩌고 하는데 애초에 고가의 폐쇄형 프린터에서 쓰면 이정도까지 문제되지 않습니다.

  • @EH-iu2if
    @EH-iu2if 2 ปีที่แล้ว +1

    무슨 일이든지 항상 피해자가 나온 후에야 위험성이 알려지네요..

  • @jeon1704
    @jeon1704 2 ปีที่แล้ว +2

    인간세상에 사는것자체만으로도
    암적인이유가 충분치아니한가
    좀더조사해봐야겠지만 과학의 신 문물만
    탓하는것은 까마귀날자 배떨어지는것은
    아닌지 매우걱정스럽네요 우리국민은 가족입니다 서로의배려로써 아껴주세요

  • @hanistar
    @hanistar 2 ปีที่แล้ว

    환기가 답인가요? 미세플라스틱은 눈에 안 보이니까 방사해도 괜찮은건가요?

  • @after718
    @after718 2 ปีที่แล้ว +1

    입자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도록 환기시스템을 갖추게끔 규격을 새로 제정해서 허가받은 제품만 시판하게 해야할 듯

  • @user-nb2qp1sd3b
    @user-nb2qp1sd3b ปีที่แล้ว +2

    환기 안함?유기농 이라고 생각 하심 ㅡㅡ 3디 쓰기전에 주의할점 안보고 하셧네요

  • @user-mh7nq2zl3o
    @user-mh7nq2zl3o 2 ปีที่แล้ว

    폐플라스틱을 섞은 중국산 필라멘트를 사용한 이유가 뭔가요? 안전이 우선 아닌가요?

  • @A_Mator
    @A_Mato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abs나 특정 싸구려 pla에서만 독성물질 나온다네요... 다행히 제가 쓰는 모델은 해당이 안돼요

  • @mink9066
    @mink9066 2 ปีที่แล้ว

    3d프린터 사용으로 인한 건강 이상 증상이 우리나라에서만 일어난 일인가요? 외국에서는 괜찮았나요

  • @user-us6jc9oe3m
    @user-us6jc9oe3m 2 ปีที่แล้ว +1

    근데 당장 조사한다고 바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필라멘트 소재도 다양하고 소결온도도 제각각이고, 각 온도마다 나오는 유해인자가 어떤 건지 얼마나 나오는지도 모르고, 구체적으로 어떤 물질이 신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의학적 분석과 판단도 필요해서 적어도 몇 년은 걸릴 듯. 게다가 사용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114명이 전체 관련 수업을 하는 교사 중에 얼마 만큼의 비중인지도 모르고, 나머지 아무 문제없는 사람은 왜 문제가 없는지도 전혀 모르니, 안전표준이 생기고, 안전규정이 생길라면 더 오래 걸릴지도

  • @user-pd7cd9lx8t
    @user-pd7cd9lx8t 2 ปีที่แล้ว +15

    대한민국 교사들 정치에 목소리부터 낼 수 있도록 해야... 교육환경과 진정한 교육을 할수 있지 않을까!

  • @nicenicech
    @nicenicech 2 ปีที่แล้ว +4

    필라멘트 녹일때 유해가스 분자 엄청나오나보네여. 전자기파도 괜찬으려나...

  • @oleee17
    @oleee17 2 ปีที่แล้ว +1

    아들 3d펜 사용하는데 무독성필라멘트 사용했고 방진마스크 쓰고 창문열고 했는데도 눈이 충혈되고 그게 일주일 갔어요. 그 뒤로 못쓰게 하고있습니다. 전수조사 재발방지 꼭 필요해요.ㅠ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user-bo7vz9fp6k
    @user-bo7vz9fp6k 2 ปีที่แล้ว

    정말 몇년전? 옛날부터 있던 얘기인데 이제야 이슈되는게 안타깝네요..ㅠㅠ 카더라인가 싶을 정도로 대책이 없어서..ㅠㅠ 3d 프린팅을 배우고 싶었는데 불확실성에 몇번을 포기했는지 몰라요.

  • @seokhun22lee28
    @seokhun22lee28 2 ปีที่แล้ว

    가습기 살균제 피해도 아직까지도 제대로 해결 안되었는데 이번거는 얼마나 걸리려나

  • @RozeEvil
    @RozeEvil 2 ปีที่แล้ว +1

    화학물질을 고온으로 녹이면 당연히 유해물질이 증기상태로 발생이 되는것을 그것을 일회성도 아닌 장기간 호흡기 마스크도 안쓰고 했다는 것도 이해가 안된다. 가정에서 도색 할때도 마스크는 기본 안전장구 이고 흡배기장치와 여과기는 필수인대

  • @JDSTON
    @JDSTON 2 ปีที่แล้ว +47

    ABS와 PLA 종류를 구별해서 분석을 해 주세요.. 무분별하고 자극적인 뉴스는 사회혼란을 더욱 야기할 뿐입니다.

    • @user-mz9hm1wj5r
      @user-mz9hm1wj5r 2 ปีที่แล้ว +1

      무분별한 사용자의 부주의를 생각하지 않는 자극적인 언론....피해 교사의 세분화된 집계는...

    • @AAA-qd8xx
      @AAA-qd8xx 2 ปีที่แล้ว +1

      @@devstefancho 맞습니다.. 주변에서도 3d 프린터 위험하냐고 물어보는데 미치겠네요

  • @azukiryo
    @azukiryo 2 ปีที่แล้ว +2

    공작기계는 집진기가 기본이다. 그리고 PLA 친환경 소재이만. ABS 합성소제다. 나도 집에 3D프린터가 있지만 작동중에는 주의로 안간고 작동이 끄난후에 환기도 시킨다.
    그럼에도 불고 하고 기분이 찝찝할때가 한두번이아니다. 3D프린터도 공작기기라는 걸 생각해야하지만 정부측에서는 10개중 친환경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아무런 제재를 취하디 않는다
    획기적인 것에만 치중하고 거기 과령된 기업 살리는 데만 취중한다. 일자리늘어나는 것보다 사망하는 사람 수가 더적으니까.
    항상 그래왔고 아직도 그대로다.
    이런면에서 보면 환경부도 칼질이 시급하다.

  • @vertigo4441
    @vertigo4441 2 ปีที่แล้ว +4

    3d프린터는 발명 초기부터 발암물질 나온다고 했는데?
    아마 담배도 심각한 암유발 물질인데 한국인 종특인 안전불감증이 빚어낸 결과인듯.

  • @user-mr3fu7rx4n
    @user-mr3fu7rx4n 2 ปีที่แล้ว +15

    기존 ABS와 3D 프린터의 ABS는 조금 다릅니다. 3D프린터 abs는 폐석유로 만드는것이라서요 유해합니다. 그래서 저런 오픈형 프린터 말고 밀폐형 프린터에 환기 필터 있는 프린터에서만 써야 합니다.
    그리고 저분들 아프다고 처음 이야기 나왔을때 PLA 재료 성분에 문제가 있다고 이야기가 나와서 재료성분을 한번 싹 바꾼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ytn에서 보도한 내용을 못봐서 뭐라고 했는지 모르겠지만 오픈형 프린터에서 PLA 출력을 할때 환기 당연히 해야 합니다. ABS는 앞서 말한 환기필터 있는 밀폐형에서만 출력해야 하구요.
    그리고 레진도 환기 해야 합니다. 출력할때 독한거 나오거든요. 이건 기본입니다. 저분들을 욕하거나 하려는것은 아니고 YTN 보도가 좀 악의 적이지 않나 싶어요. 솔직히 3D프린터보다 도로 매연이나 이런게 더 심긱할텐데.. 아이들 핑계로 여론몰이 하는것 같아 좀 그렇습니다.

    • @jjeong9498
      @jjeong9498 2 ปีที่แล้ว +2

      3d 프린터가 문제가 아니라 재료와 사용환경인건데 ytn 보도는 좀 자극적이죠.
      이런식으로 보도하면 3d 프린터 업자들 다 도산이죠. 웃긴건 6개원전엔 ytn에서 3d프린팅기술을 연금술이라고 찬양하는 기사를 냈었다는거.
      그리고 레진"도" 환기가 아니라 레진은 필수입니다. 레진이 더 독해요.

    • @user-oh7mk3df4n
      @user-oh7mk3df4n 2 ปีที่แล้ว

      3D프린터기 자체가 문제는 아니죠. 문제는 교육청마다 3D프린터기로 교육 실적만 내려고 하고 환기시설은 제대로 안갖춰주는거죠.
      학교 반지하 교실에 3D프린터기가 설치된 곳도 있고, 저희 학교 같은 경우는 창문도 제대로 안 열리는 곳인데 손바닥 만한 환풍기 하나만 돌아가고 있어요.
      심각한건 이게 인기이다 보니까 메이커 교육이다, 융합 교육이다, 하면서 3D프린터기 설치된 거점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환기 시설을 갖추고 유해물질이 적은 고가의 필라멘트를 살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해줄까요? ㅎㅎ

    • @user-mr3fu7rx4n
      @user-mr3fu7rx4n 2 ปีที่แล้ว

      @@jjeong9498 그렇죠 저도 3D프린터 일을 하는 사람이거든요 .. 특히 중고등학생들 체험학습도 하고 있는데 .. 거참... 보도가 좀 한쪽으로 많이 치우쳤습니다. 그거 보고 어떻게 해야 하나 싶기도 하구요. 완전 이쪽 업계 죽이기 하는것도 아니고.. 답답할 뿐입니다..

    • @user-mr3fu7rx4n
      @user-mr3fu7rx4n 2 ปีที่แล้ว

      @@user-oh7mk3df4n 음.. 제 기억으로는 환기 관련 규정이 작년 초에 한번 바뀌었습니다. 자세한건 저도 봐야 하지만 몇제곱 미터 안에 공기청정기 필수로 설치가 되어야 한다 라고 바뀌었지요. 그래서 우리 회사도 공기 청정기 두대 놨구요. 날씨만 괜찬으면 환기 항상 시켜놓고 그게 안된다 하면 공기청정기 부터 최대한 다 틀어 놓고 합니다. 그리고 학교나 이런곳에는 엄청좋은 재료살정도는 아니지만서도 어느정도 재료비가 괜찬게 나오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저가형 7천 ~ 1만원 짜리 안사도 될정도로요.. 그리고 1만5천원이면 괜찬은 재료의 PLA도 살수 있습니다. 학교같은 곳에 돈이 없어 저가형 쓸꺼라고는 생각을 못하겠네요. 그것보단 말씀 해주신 환기시설이 중요하지요.

    • @hba3144
      @hba3144 2 ปีที่แล้ว

      @@jjeong9498 업자들 도산은 좀 너무 간 면이 있는게 3D프린터가 원래 가격이 좀 나가는 제품이라 일반인들은 크게 살 일이 없고,
      정말 필요한 기업은 독성 물질이 좀 나오건 말건 사게 되어 있죠 애초에 3D프린터에 대체제라고 할 만한 게 없으니...
      몇 번 쓸 모형 한 번 만들자고 금형을 만들기엔 비싸고, cnc를 돌릴 수도 없고 무튼 살 사람은 다 사겠죠

  • @Ruliling
    @Ruliling 2 ปีที่แล้ว +2

    기본적으로 설명서에도 밀폐된 곳에서 쓰지 말라고 써있는데 참…

  • @user-nn1kh6ym8i
    @user-nn1kh6ym8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무조건 3D 프린터가 문제라고 보도하는 언론사들

  • @ysggxg
    @ysggxg 2 ปีที่แล้ว +2

    기레기 수준 또나왔네
    필라멘트의 위험성이라고 하면 관심 없으니까
    3D 프린터의 위험성이라고 타이틀을 지어버리네
    진짜 이게 국민의 공익을 위한거냐???

  • @user-cp1hn2gw7s
    @user-cp1hn2gw7s 2 ปีที่แล้ว +1

    3d펜은 괜찮아여??

  • @user-be7el2ft9j
    @user-be7el2ft9j 2 ปีที่แล้ว

    전 부산에서 16년째 3D프린터 운전하고있 습니다. 부산에서 3D프린터 써 본 사람은 거의다 저를 알겁니다. 요즘 기사를보면 무섭네요. 결과가. 예상은 됩니다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회사에게 앞으로 업무상 위험수당을 청구해하나요?

  • @starface3755
    @starface3755 2 ปีที่แล้ว +10

    플라스틱 녹여서다시 굳히는건데 건강이랑은 거리가 멀다. 천연물질도 태우면 발암물질 나오는데 플라스틱이면 말 다했지. 신기술이라고 너도나도 하다보니 생겨난일.

  • @always22_63
    @always22_63 2 ปีที่แล้ว +2

    택배기사 20명 죽어나갈때는 관심도 없다가 선생하나 뒤지니까 난리가 나는구나

  • @user-zq5bg5ke4w
    @user-zq5bg5ke4w ปีที่แล้ว +1

    출력물중 하나인 abs만해도 몸에굉장히 안좋습니다.
    환기가필수인데 이런 안전메뉴얼을 누락한것같네요

  • @user-rz3mb6kd2n
    @user-rz3mb6kd2n 2 ปีที่แล้ว +1

    그럼 혹시 3d팬도 비슷하게 위험한거 아님?

  • @paranbits
    @paranbits 2 ปีที่แล้ว

    유해성은 연구결과에서 이미 보고되고 있고, 사용시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키도록 해야하는데.. 안타깝네요.

  • @user-ci7lb9un7y
    @user-ci7lb9un7y 2 ปีที่แล้ว +3

    이거 한 4~5년 전쯤에 3d 프링팅 기업 투자할려고 알아볼때 발암 이야기 많았었는데 이제와서 조사... 이런거 보면 백신도 4~5년 뒤에 무슨이야기 나올지 모름

  • @bodksc
    @bodksc 2 ปีที่แล้ว +2

    외국엔 사례가 없던데

  • @seokjh129
    @seokjh129 2 ปีที่แล้ว +3

    옛날 퀴리부인도 라듐을 가슴팍에 지니고다녀서 암이 생겼다고 했는데 시간이 오래 지나도 비슷한 일이 일어나네..

  • @ksj5588
    @ksj5588 2 ปีที่แล้ว +4

    참 안이 하게 대처하는 공무원들 감사원도 그렇고 각자 맡은 임무는 확실히 해요. 감사원은 좀 잘 찾아내서 고발좀하고 다 손발 안맞아 일어나는 일들아니에요. 참 정신들 차려야지!

    • @smp75k3g
      @smp75k3g 2 ปีที่แล้ว

      공무원들 내마음 같이 업무처리 하겠습니까. 본인들 힘드니 대충 형식만 갖춰서 끝내놓고 문제발생하면 책임회피하거나 제식구 감싸기에 급급하죠.

  • @gaelee7934
    @gaelee7934 2 ปีที่แล้ว

    전자과 실습때 납땜연습은?
    무려 납인데?

  • @yongheon7
    @yongheon7 2 ปีที่แล้ว

    저가 필라맨트 사용말고
    msds, rohs, 발암물질 인증 확인
    오픈형 바디 보다 챔버형 공기 청정 장치 있는 바디 사용

  • @user-tp4qm4fi4c
    @user-tp4qm4fi4c 2 ปีที่แล้ว +2

    3개월정도 10평도 안되는 사무실에서 출퇴근했는데 ㅜㅜ걱정이네요
    필라멘트가..안 해로운거로 썼다고는
    하는것 같았는데
    친환경인지..

    • @user-us6jc9oe3m
      @user-us6jc9oe3m 2 ปีที่แล้ว

      필라멘트 성분이 뭐고, 소결온도는 얼마로 설정했는데요?

    • @user-tp4qm4fi4c
      @user-tp4qm4fi4c 2 ปีที่แล้ว

      @@user-us6jc9oe3m 공동사무실이었지만
      다른 회사라서 모르겠어요ㅜ
      옥수수그림있고 주황색필라멘트에
      친환경이라고 적혀는 있더라구요
      ㅜㅜ 컴퓨터로 작업하고 피규어 같은게
      나오고 하던데
      플라스틱 냄새같은게 안좋긴하더라구요
      사무실이라서 안전한지 알았는데ㅜㅜ

    • @user-us6jc9oe3m
      @user-us6jc9oe3m 2 ปีที่แล้ว

      @@user-tp4qm4fi4c 대충 짐작은 PLA를 사용한것 같은데, 소재랑 소결온도를 모르면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지만, PLA라면 보통 700~800도에서 사용하지만 1000도에서 적층해도 큰 문제는 없어요.

    • @user-tp4qm4fi4c
      @user-tp4qm4fi4c 2 ปีที่แล้ว

      @@user-us6jc9oe3m 그거 맞는것 같아요ㅜㅜ
      감사합니다..초등학생한테도 교육하고
      하더라구요

  • @kayla61344
    @kayla61344 2 ปีที่แล้ว +2

    아이들이 3d펜 사달라고 했었는데, 이 뉴스 보고 안사주기로 함

  • @user-xz4zc1cq8u
    @user-xz4zc1cq8u 2 ปีที่แล้ว +2

    예산을 지역 예산 타려는 지역 국회의원제도 제체를 고민해 뵈야지.
    지역 국회의원제도를 없애야 한다고 생각한다.
    광역의원과 비례의원으로

  • @burger_prince
    @burger_prince 2 ปีที่แล้ว

    어머,,,전혀몰랏어 ㅠ

  • @SleepingSounds-vs4bx
    @SleepingSounds-vs4bx 2 ปีที่แล้ว +1

    한번만 써봐도 냄새땜에 환기안하면 못살겠던데, 그냥 냄새맞으며 쓴거?

  • @metalwater1
    @metalwater1 2 ปีที่แล้ว

    3d펜도 필라멘트인데 그것도 위험한가요?? ....

  • @user-ns2my4zx7n
    @user-ns2my4zx7n 2 ปีที่แล้ว

    와....

  • @kmj9755
    @kmj9755 2 ปีที่แล้ว

    애초에 외국에서도 비슷한 사례로 환기 안 한 상태로 있다가 폐에 문제가 생긴 경우들도 있었는데

  • @kristah7223
    @kristah7223 2 ปีที่แล้ว

    학교 프린터실에서 하루종일 복사만하는 분도 있었는데 전에 일했던 학교에서 ㅠㅠ 인쇄하는 담당자 직원분 괜찮으시길...

  • @user-jk5so4ox9n
    @user-jk5so4ox9n 2 ปีที่แล้ว

    한참 된 문제인데도 아직도 저러고 있다는게 기가 막힙니다. 언제까지 사건 사고가 나야 그 때 움직일 겁니까.

  • @MrHj1210r
    @MrHj1210r 2 ปีที่แล้ว

    필라멘트 가열시 문제가 있다는 예긴데
    그럼 사출업체 직원들은 다 죽었게???
    말이 되는지 함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