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5개국, 민족과 역사 아는 척하기|Ethnicities and history of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31

  • @parkpsypp2728
    @parkpsypp2728 ปีที่แล้ว +180

    시계방향아님??ㅎㅎ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ปีที่แล้ว +54

      ㅋㅋㅋㅋ아 죄송합니다ㅜㅜ 시계방향이네요 멍청이네ㅜㅜㅋㅋㅋ

    • @최창복-e9k
      @최창복-e9k ปีที่แล้ว +3

      😅네😅ㅣ😊ㅣㅣ😅😅😅😅ㅣㅣ😅ㅣ😮😅1ㅣ​@@두선생의역사공장

    • @유병호-r1c
      @유병호-r1c ปีที่แล้ว +1

    • @헨섬보이-k7w
      @헨섬보이-k7w ปีที่แล้ว +2

      시계반대 방향 돌면서 유목 생활

    • @howardlee7235
      @howardlee7235 ปีที่แล้ว

      😊😊😊😊😊😊😊😊😊😊😊😊😊😊😊😊​@@두선생의역사공장

  • @henryoh2546
    @henryoh254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타슈켄트와 사마르칸트에 20여년 전 여행했었는데, 그 때의 강렬함이 떠오르네요. 소달구지 몰면서 해맑게 웃고, 친절했던 그들은 잘 있는지...

  • @seungheelee1094
    @seungheelee109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재미있게 스탄국가에 대해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송성룡-f6r
    @송성룡-f6r ปีที่แล้ว +34

    역사에 관심있다 하면 모를수가 없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영상 감사합니다.

  • @martinjh4448
    @martinjh444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1

    우즈벡 사람으로서 영상 설명이 너무 재미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이렇게 정확하게 알고 계시고 한국 분들께 알려 주시니까 감사하네요.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와..현지인께서 답글 달아주셔서 힘이 납니다ㅜ 부족한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p2sx5it3i
      @user-tp2sx5it3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윤석열 같은 머저리나 박정희 같은 인간 말종을 대통령으로 두지 않는 게 너무나 부럽습니다.
      히클러 김일성 박정희 빈라덴 다 똑같은 쓰레기들이고 그런 쓰레기들을 사람들은 '독재자'라 부릅니다. 그런 쓰레기를 열심히 청소해 주시고 계시는 지미 카터 선생님 만세!

  • @Ssyyy-v1e
    @Ssyyy-v1e ปีที่แล้ว +38

    명 강의 ,, 두선생 최곱니다 👍
    시기를 놓친 세계사 공부 샘님 덕분에 푹 빠져 시간가는줄 모릅니다
    감사 감사 드립니다 ^^

  • @cjhan3070
    @cjhan3070 ปีที่แล้ว +53

    두선생님... 명강의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학교 다닐 때 선생님같은 역사샘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ㅠㅠ

  • @mirazizmukhitdinov6041
    @mirazizmukhitdinov604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4

    전 우즈벡인입니다. 그래서 이 영상을 아주 흥미롭게 봤습니다. 우즈벡인이라서 제가 알고 있는 사실들이지만 한국분이 이렇게 정확하게 분석하고 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오.. 저도 타슈켄트 다녀왔는데 정말 도시가 깔끔하고 안전해서 인상 깊었습니다 ㅎㅎ 반갑습니다! 그리고 응원해주셔 제가 감사합니다! ㅎㅎ

    • @George76430
      @George7643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우즈베키스탄분들 처음 친해지기가 어렵지, 친해지면 의리있고 따뜻한 분들이죠.

    • @yyxxzz4902
      @yyxxzz490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우즈백인 아닐걸

    • @mirazizmukhitdinov6041
      @mirazizmukhitdinov604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yxxzz4902 이거 굳이 속일 필요가 있나요?

    • @승원-p7u
      @승원-p7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요? 오

  • @solnamuu
    @solnamuu ปีที่แล้ว +44

    잘 시청했습니다. 중앙아시아의 나라들은 접할 때에는 아 그렇구나 하는데, 시간 지나면 또 알솔당송해지더군요.

  • @김종덕-q2h
    @김종덕-q2h ปีที่แล้ว +60

    강의최고입니다❤

  • @박철수-t4d
    @박철수-t4d ปีที่แล้ว +11

    유익하고 재미 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임채연-t2m
    @임채연-t2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너무 재미있게 듣고 공부했습니다 물론 한번 듣고 100%로 이해는 불가하지만 몇번더들으면 이해도가 굉장히 빠를것 같애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 @numonmxb
    @numonmx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제가 우즈벡인데 한국인 친구들한테 이걸 보여주면 되겠다
    제가 말이 서툴러서 설명을 못했는데 개꿀 ㅋㅋㅋ

  • @user-mu1mggg
    @user-mu1mggg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번에 송숲 여행가는데 한국어 하는 사람
    많았고 엄청 친절하고 착하드만요
    여기서도 많이 보이네요. 한국에서 좋은
    추억 만드세요.

  • @박상범-d6q
    @박상범-d6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저는 광주광역시에 근무하는 한의사인데, 의료인 모임에서 카자흐스탄에 7일간 의료 봉사 다녀왔어요. 그들은 개방적 성향이지만,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우리는 문화적. 사회적 이질감을 많이 느꼈습니다. 이런 강의를 듣고 다녀왔다면 참 유익했겠다고 사료됬니다. 오늘 강의를 들으며 여러가지가 이해가 되기도 하네요. 실체가 있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aaravl1098
      @aaravl109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무당

    • @GundoganAadim
      @GundoganAadi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aravl1098 qudtlsdk dho rmfjrh tksi?

    • @aaravl1098
      @aaravl109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undoganAadim dlssud anekddk

  • @칸토-g7e
    @칸토-g7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최준영 지구본듣다가 다시 두선생 강의 재시청중임다.
    왜냐면 각 나라를 파편해 듣다보니 전체적인 맥락이 잡히지 않아 두강생 모드로 각 나라별 무한시청중입니다.
    깊지도 얇지도 단연 역사강의중 최고중의 최고입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도 최준영박사님 영상 많이 봅니다 ㅎㅎ 그렇게 보시면 정말 각 지역의 역사와 현재를 제대로 씹고 뜯고 맛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칸토-g7e
      @칸토-g7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최고중에 최고의 역사 두샘이 답글 남겨 주시니 영광입니다.
      오늘도 두강생 모드중입니다.
      최근 방송활동 바빠보이더 군요.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리겠습니다.♡♡♡

  • @육냥맘
    @육냥맘 ปีที่แล้ว +23

    두 사부님이랑 정우성 .. 듣다가 빵 터졌습니다 재밌고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TV-DOCJON
      @TV-DOCJON ปีที่แล้ว +2

      굳이 닮긴 했죠. 송중기나 이병헌 등 보단😂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ปีที่แล้ว +2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

    • @dddk236
      @dddk236 ปีที่แล้ว

      우성인 타직인 중기는 키르기즈인 병헌인 카작인인 것으로 보인다 두선생은 부계 투르크멘인 모계 우즈벡인

    • @방영태-i5d
      @방영태-i5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V-DOCJONㄱ😊😊😊ㄱ😊

  • @a.k.a.riverlittle3753
    @a.k.a.riverlittle3753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전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왔습니다. 우리나라와 이웃나라의 역사를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esuslovesyou3228
    @jesuslovesyou3228 ปีที่แล้ว +34

    두선생께서는 정교사 자격을 갖춘 인물이며,
    모 경제지의 기자이기도 합니다.
    정치경제 사회문화 법과사회 지리학 사학 윤리학에 대한 전문 지식이 가장 뛰어난 연구자입니다.

    • @김영주-c2c
      @김영주-c2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렇군요.
      두선생님, 지식에 존경합니다

    • @gracekwak6666
      @gracekwak666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보기에도 그렇습니다 정말 순수한 학문열정!!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마운 두선생님!

  • @JosephLeeMr
    @JosephLeeM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훈민정음 반포 당시에 땅은 'ㅅ당'이라고 표기했었습니다. 같은 어원이라고 생각됩니다.

    • @두두리둠둠
      @두두리둠둠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어의 'stand'와도 어원이 관계 있다고 하니 고대인들의 교류와 영향력은 우리의 상상보다 훨씬 크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 @무주공산-t3t
      @무주공산-t3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스탄의 ㅅ는 소유격의 사이 시옷일 겁니다. 영어의 소유격 's와도 연관이 있어요. 언어는 하나의 조상어에서 분화되었어요. 그들은 모두 그들의 조상이 만주에 살았다고 합니다.

    • @박정호-l8q
      @박정호-l8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ㅅ다 ᆢ하늘天, ㅅ다地. 어릴적에 천자문 배울때 땅地가 아닌 따地라고 했던 기억이 나요

    • @proudsonofsuwonsouthkorea
      @proudsonofsuwonsouthkorea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때 시옷은 발음되는게 아니라 쌍디귿을 위해서 쓰는 거였고 ㅇ도 발음되는 글자가 아니어서 발음이 "따" 입니다.
      어원은 전혀 다릅니다

    • @두두리둠둠
      @두두리둠둠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proudsonofsuwonsouthkorea 잘 못 아시고 계십니다.
      한글 맞춤법 및 글자수는 일강점기때에 일본인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글자는 생략되었고, 그렇게 영향받은 정리가 한글학자들에게 이어져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그당시 중국어의 모든 발음을 한글로 표할 수 있었고, 영어의 th 발음, z발음, ㄹ과 쌍리을 사용법에 의한 R과 L과 RH발음 구분, V발음 F발음 등이 다 표현 될 수 있었습니다. 바이칼 지역과 만주 유목지역에서 이어져 온 '칸'과 '한'의 중간발음 (같은 영향이 있었을 일본인들의 발음에 '한국'을 '캉콕쿠'라고 한다거나 북해도나 남해를 '홋카이도, 낭카이''라고 하는 예에서 ㅎ발음과 ㅋ발음의 관계를 유추 할 수 있음), 아래아 발음 등이 다 쓰임새가 있었기에 만들어졌습니다.
      ㄸ발음과 ㅅㄷ발음 등은 분명히 다른 쓰임새를 위하여 만들어졌습니다.
      '따지'의 '땅'은 불어에서의 ㅇ발음, 즉 콧소리 ㅇ발음이었으므로 무턱대고 그냥 '따'라고 하면 안됩니다.
      오늘날의 한글 자모수와 용법 생략에 의하여 우리말의 풍부한 어휘의 깊이와 넓이가 많이 줄어들었음을 인식하고 연구하여 다시 되살려내야합니다.
      생략이라니요?
      안쓸 글자, 헛갈릴 글자를 왜 만들었겠습니까?
      세종대왕 당시는 조선초기였죠.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때 말갈족 사람들과 함께 했습니다. 언어가 소통되었죠. 분명히 말갈족의 언어, 만주어의 발음이 사투리 형태로 조선어에 포함되어 소통되었을 것입니다.
      그것 또한 조선초기 한글 발음에 반영되지 않았을리 없습니다.

  • @sddgh-m5g
    @sddgh-m5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키르키스스탄은 한국사람과 똑같이 생겼더군요 말 안하면 분간이 어렵습니다

  • @박00-j1h
    @박00-j1h ปีที่แล้ว +26

    #투-우-카-키-타 강의가 활기가 넘칩니다.

  • @첼민성
    @첼민성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요즘 고려인에 대한 영상을 종종 보고 있어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관심도가 좀 높아졌는데 알고리즘으로 딱 이 영상이 떠버려서 보게 되었습니다. 중앙아시아 역사는 학교에서 배운적이 없는거 같기도하고 그래서 쉽게 접하기 어려워 모르고 있었는데 덕분에 스탄국들의 과거와 현재 스토리들을 알게 되어서 좋네요. 너무 유익한 25분이였어요.

  • @이영화-l7j6p
    @이영화-l7j6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재밋어요
    우즈백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이도 여행했고
    카자크.키르키스탄도 여행해봤는데
    키르키느탄에서 본 천산산맥은 환상이었고 세계에서 가장 큰 짠물호수도 멋잇었네요
    잘 들었습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도 다녀왔지만 또 여행 가고싶은 곳이기도 하지요 ㅎㅎ

  • @cynicalko2124
    @cynicalko2124 ปีที่แล้ว +19

    까도 까도 궁금한 미지의 중앙 아시아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 @binggogo
    @binggog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두선생님 반갑네요~ 해보라에서 차무재밋고 유익하게 봤었는데요, 유튭채널에서 보니 반갑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해보라 가족을 여기서 뵙네요 ㅎㅎㅎ 해보라는 폐지되었으니ㅠ.ㅠ 여기서라도 뵙고 인사 나누시죠~!! ㅎㅎ

    • @binggogo
      @binggog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두선생의역사공장 네네~^^ 알아두면 폼 나는 지식!(빠밤) 많이 배우겠습니다^^

  • @휴식-t6x
    @휴식-t6x 5 วันที่ผ่านมา

    두선생님 최고!

  • @박희순-f5o
    @박희순-f5o ปีที่แล้ว +9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는 역사공부였습니다.

  • @003nirvana
    @003nirvana ปีที่แล้ว +3

    조선후기 흥선대원군과 양반사대부들이 두선생님 강의를 들었더라면 좋았겠다는 상상을 해봅니다. 지금은 유튜브를 통해 이런 좋은 강의를 듣는 시대가 되어 감사하기도 합니다!😊

  • @전난영-q5b
    @전난영-q5b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재밌게 잘 보고 구독^^ 헷갈렸던 스탄 나라들이 오늘 쉽게 외워졌네요.

  • @서꼬미맘
    @서꼬미맘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영상만 볼뿐 역사나 지식들은 궁금햇엇는데
    너무 유익하네요
    감사합니다.영상볼때 좀더 집중할수잇겟네요

  • @식빵집사-n4c
    @식빵집사-n4c ปีที่แล้ว +39

    스탄 5개국이 과거 실크로드 교역이 활발할 때는 엄청 활기찬 나라였다고 봅니다.
    그치만 컬럼버스가 1492년 신대륙 발견하면서 대항해 시대로 접어들고 모든 교역이
    바닷길로 통하면서 스탄 5개국의 상권이 팍 죽었겠지요. 게다가 러시아에서 공산혁명이 일어나 소비에트 연방(소련)이 생기고 2차 대전 후 냉전 시대가 됐구요 자연히 우리와는 대항해 시대 부터 계산하면 거의 500년간 교류가 없었으니 중앙 아시아 스탄 5개국은 전혀 관심외의 나라였지요.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망하고 교류를 하게 되어 이제야 우리의 관심도 끌게 되었구요 알고보니 자기들도 몽골에서 서쪽으로 옮겨가서 셀주크와 오스만 터키가 되었고 몽골에서 동쪽으로 옮겨서 만주를 지나 대한민국이 되고 또 일부는 베링해를 건너 아메리카 대륙으로 갔다고 터키의 교과서에서 가르쳐 준다고 합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ปีที่แล้ว +2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 @wsk-k2i
      @wsk-k2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가 아는 네이티브 어메리칸은 터키계란 개념이 있기도 전인 수 만 년 전에 건너간 하플로 타입 Q 사람들인데, 지금 생각해 보면 하플로 C나 O인 황인종계와 혼혈 되어서 황인종적 모습을 흡수하기 전인 범터키계 선조중의 하나가 하플로 Q이기도 하니... 말이 되긴 되네요...

    • @nicezic
      @nicezi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wsk-k2i DNA 오오~

  • @potato-sp
    @potato-sp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듣다가 주무시면 된다니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재밌어서 못자고 다봤네요👍

  • @창희조-s6v
    @창희조-s6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와 재미있습니다.
    아프리카 강의 듣고 바로 중앙아시아 강의 듣고있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쑥쑥이-m9g
    @쑥쑥이-m9g ปีที่แล้ว +8

    하~방송 보기도 전인데 설래네요. 즐겁게 잘 볼께요 쌤!

  • @나무-p7l5o
    @나무-p7l5o ปีที่แล้ว +10

    내 나이 70입니다...인터넷으로 참으로 많이 배웁니다. 한기자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

  • @그래니가고생이많다
    @그래니가고생이많다 ปีที่แล้ว +23

    스탄 지역들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어서 구소련 행정구역까지 위키피디아 뒤져가며 찾아봤었는뎅. 감사합니당❤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ปีที่แล้ว +5

      저도 이번에 논문 찾아보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ㅋㅋ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 @Kouroshyousefi
      @Kouroshyousef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두선생의역사공장 من ایرانی هستم ولی کره ای نمی فهمم. ولی متوجه شدم شما در مورد تاریخ صحبت میکنید .و کلمه استان (stan) این یک کلمه فارسی است که معنای آن. جا و مکان و محل را با اسم یک محل میچسبد و و به آن مکان تعلق دارند .مثل ترکمنستان یعنی مردم ترک در انجا هستن .و مثال های مثل اون .و در ایران نیز بمعنای شهر باضافه استان .می‌شود مرکز اونجا .مثال استان تهران و استان پارس و استان تاجیک و استان ترک و استان ازبک می‌شود ازبکستان. کلا کشورهای که به کلمه استان دارند در قدیم یک ایالت ایران بودند که بعد ها جدا شدند ولی هنوز اسم ها را دارند امیدوارم متوجه شده باشید به کمک ترجمه گوکل

  • @janguklee2719
    @janguklee271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상잘보고갑니다 👍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하고 갑니다

  • @khalilatamurotov3414
    @khalilatamurotov341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Thank you for your deep attention to history of Central Asia

  • @Iuygtedwr
    @Iuygtedw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재밌소 ㅎㅎㅎ ❤❤❤😊😊😊

  • @soonilchung4240
    @soonilchung4240 ปีที่แล้ว +10

    예, 우즈베키는AFC 아시안축구 소속이고 카자흐는 유럽축구연맹 소속으로 유로파에 나가지요. 스탄5개국은 수도 외우는게 좀 헷갈려요. 5개국 천연자원의 보고로 진짜 관심을 더 가져야지요.

  • @아이런-z7e
    @아이런-z7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목소리가 흡입력 있어서 좋습니다

  • @yunsangjo704
    @yunsangjo70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gretage
    @gretag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호빵맨주인-j3j
    @호빵맨주인-j3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슨생님 오랜만에 보러왔는데 헤어스타일이 멋져지셨군욤 ㅎㅎ

  • @박광오-e2i
    @박광오-e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목소리가 너무 좋고 귀에 잘 꼿힙니다. 감사합니다

  • @sw1860
    @sw186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넘넘 반갑습니다.
    다시 듣게 되어 너무 좋아요.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반갑게 맞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자주 봬요~,~

  • @별일없는일상-j5l
    @별일없는일상-j5l ปีที่แล้ว +3

    좋은 강의, 넘 감사합니다 ❤ 너무 좋습니다... ^^ 팬 입니다... ㅎㅎㅎ

  • @napleongyi4266
    @napleongyi4266 ปีที่แล้ว +5

    스탄과 땅이 관계가 있답니다. 땅이 마당의 뜻인데 스탄이 땅과 같은 어원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 @hbgi007
    @hbgi00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키르기스 부분에서 약간의 오류가 있는데 우선 국기에 있는 40개의 갈기는 햇살이고, 올해 초에 새로운 도안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리고 키르기스인들 자체는 사마천이 쓴 사기에 “격곤”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 가장 오래된 민족 개념이에요. 당시에는 지금같은 톈산산맥 협곡이 아니라 예니세이 강 유역 평야지대에 거주했었고요

  • @김두규기타연주
    @김두규기타연주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최반식선생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답방왔습니다
    현인님의 꿈속의사랑
    멋진라이브공연 최고입니다
    아름다운 멜로디 감동을주는 매력이있어요
    오늘 인연으로 자주공유하고 함께가고 싶군요
    오늘하루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풀구독❤❤❤❤❤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캣해리나
    @캣해리나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마르칸트.. 뉴에이지 음악에 나오는 곡 이름이기도..

  • @botanicheskiy
    @botanicheski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우즈베키스탄, 과격한 축구로 편견을 갖는 분들도 계신데 실제로 국민들은 매우 온화하고 깔끔합니다.
    그리고 온건한 무슬림들입니다.
    우즈베키스탄은 우리 한국에 대해 좋은 정서를 지닌 국가이기도 합니다.
    시베리아 남쪽에 있지만 기후도 좋은 나라입니다.
    그리고 저는 타슈켄트에 친한 우즈베키스탄 사람들 있습니다.
    여유가 되면 타슈켄트에 아파트를 구하고 싶어요.
    사람도 좋고, 환경도 좋고, 기후도 좋은 나라입니다. 😊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 저도 타슈켄트 가봤는데 정말 평온하고 살기 좋아보였습니다 ㅎㅎ

  • @k.4286
    @k.4286 ปีที่แล้ว +9

    딱 원하던 이슈!

  • @PrePre1116
    @PrePre1116 ปีที่แล้ว +6

    알고리즘타고 첨왔습니다
    이 쌤 재밌고 흥미롭게 설명 잘하시네요 ㅋㅋ

  • @My-mh8hn
    @My-mh8hn ปีที่แล้ว +2

    두선생님 얼굴 이미지가 좀 바뀌었네요. 항상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

  • @youngsinseo473
    @youngsinseo47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두선생 역사전문가 good 👍 ❤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문가 아닙니다ㅜㅜ 그냥 취미로 역사공부하는 역사쟁이입니다 ㅎㅎㅎ

  • @brainy73
    @brainy7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국가와 국기에 관심이 많은 저한테는 유익한 영상이네요.
    그리고 참고로 키르기스스탄 국기가 작년말에 영상에 나온 국기에서 태양 무늬가 약간 바뀌었습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감사해요!!
      어떤식으로 바뀐 건가요~?

    • @brainy73
      @brainy7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선생의역사공장 가운데의 태양무늬가 곡선형에서 직선형으로 바뀌었고, 전통천막인 유르트를 상징하는 빨간 원안의 교차선이 3줄 두세트에서 4줄 두세트로 바뀌었습니다.

  • @hotchoco3823
    @hotchoco382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너무 유익해용. 스탈린이 아니었다면 저 5개 나라는 투르키스탄이라는 하나의 거대한 나라가 될 수도 있었던 거군요!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는 그렇게 봅니다..ㅎㅎ

    • @oo-gs5wr
      @oo-gs5w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쪼개놔야 관리하기 편한 듯 ㅜㅜ

    • @Kouroshyousefi
      @Kouroshyousef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اون کشورها مال ایران بوده که با جنگ روسیه و ایران جدا شدند حتی آذربایجان و ارمنستان و تا رود فرات در عراق .تا مرز سغد چین .حتی اوستیا و گرجستان. البته در طی تاریخ کم کم جدا شدند در جنگ ها

  • @자유롭게-c4o
    @자유롭게-c4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탄탄하네요 ‥맞구독요

  • @0807cool
    @0807cool ปีที่แล้ว +8

    유익한 영상~

  • @지미-s5r
    @지미-s5r ปีที่แล้ว +1

    금년 5월에 한달 일정으로 중앙아시아 4개국 (투르크머니스탄은 비자승인이 복잡해 포기) 을 배낭여행을 계획하고 있어 역사와 지리 공부에 도움됩니다^^

  • @이현-d8x
    @이현-d8x ปีที่แล้ว +7

    오늘도 유익한 강의 👍🏻👍🏻👍🏻👍🏻👍🏻👍🏻👍🏻

  • @jhkim2677
    @jhkim267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투우카키타 시계방향 외워두면 도움 많이 될 것 같네요~👍

  • @영민-v9c
    @영민-v9c ปีที่แล้ว +2

    중앙 아시아.. 참 역사적으로 그리고 역사적 교육 부분에서도 참 안타까운 나라죠. 특히나 유사역사학자들이 좋아 하고 많이 활동하는 지역이죠.
    우리나라가 식민사관을 겪었든 저쪽지역은 훨씬 더 심각 하던데..두선생님 처럼 좋은 강의가 그들에게도 도움이 되면 참 좋겠어요.

  • @마이-스토리
    @마이-스토리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봤어요

  • @睡蓮-l6u
    @睡蓮-l6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존잼. 구독. 좋아요.

  • @졸립군
    @졸립군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앙아시아 관심도 없고 잘 모르는데 빠니보틀, 곽튜브 보다 보니 알고리즘이 여기로 이끌었네요. 쌤 채널도 처음 접했는데 말씀을 너무 재미있게 하셔서 25분 동안 경청했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피투게더-h4v
    @해피투게더-h4v ปีที่แล้ว +2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카니스탄 2:32
    파키스탄 5:16

    • @JohnSmith-mr8wc
      @JohnSmith-mr8w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란에도 스탄 4

  • @TV-jv2wz
    @TV-jv2w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너무 재밌다 ㅎㅎ

  • @병화이-v5j
    @병화이-v5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지속적으로 진행해주셔요.감사합니다

  • @meetblue1
    @meetblue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제 나이 52에 인터넷 덕분에 별걸 다 독학하네요. 이런 지식도 대학교 시절이면 1개 강좌급인데, 이렇게 유튜브 수업으로 대체되네요. ㅋㅎ

  • @june_joy
    @june_joy ปีที่แล้ว +3

    돌궐이 서진하면서 페르시아계 주민구성이 튀르트화되었다더라고요.
    그런데 우즈벡은 티무르 무너트리고 세웠으면서 티무르가 원뿌린인듯 자부심이 대단....
    그리고 우즈벡 서쪽에 있는 칼라파키스탄 불쌍 ㅠㅠ
    카자흐와 코사크가 다른데 헷갈려요. 카작의 나라 우크라이나 ㅡ 여기선 코사크라고...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ปีที่แล้ว +1

      그래서 러시아 사람들은 코사크랑 헷갈려서 카자흐를 키르기스라고 불렀다고 하네요 ㅋㅋ

    • @opojin2283
      @opojin228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즈벡서쪽 자치공화국
      카라칼팍스탄 수도는 누쿠스구요
      엄청나게 춥습니다 한번 업무차 갔다왔지만
      두번은 안갈듯 ㅋㅋ

  • @kellypark1524
    @kellypark152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제 보다가 끝까지 못봐서 다시 볼려고 했는데 영상이 안나오네요 어찌된 일인가요? ㅠㅠㅠ

  • @ratnavalii
    @ratnavali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thaana स्थान 의 어원은 As अस् (to be 의 의미)
    ㅡ 상태적 의미의 position
    ㅡ 상태에 따른 정해진 곳의 의미 venue,place
    ** 행위의 회귀의 의미를 갖는 접두어 Aa를 붙인 Aasthaana(아스탄 आस्थान)은 정주하는 장소를 의미하는 '돌아오는곳, 베이스캠프, 고향'을 의미. **아사달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ปีที่แล้ว +3

    썸네일 보고 "굳이 같이 살아야 하나?" 라고 생각했네요. 결국 어떻게 나뉘든 나눠지긴 했을 것 같습니다.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ปีที่แล้ว +11

    물류만 책임진 게 아니고 중근동과 함께 인간의 문명 자체를 만든 지역이죠 ㅎㅎ

  • @노정호-o7c
    @노정호-o7c ปีที่แล้ว +5

    아주 잘 배웠습니다.

  • @mochalatte04
    @mochalatte0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구소련 관련된 건 모조리 좋아하는데, 이번 컨텐츠도 재미있게 잘보겠습니다~~

  • @nohkw88
    @nohkw88 ปีที่แล้ว +5

    스탄하고 우리 말의 땅은 관계가 있을까요?

  • @jessiehan257
    @jessiehan25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망 간단해서 좋아요, 고맙스

  • @정승호-d4t
    @정승호-d4t ปีที่แล้ว +7

    부카니스탄 파키스탄까지 7국이네요

  • @dubeyjackson1711
    @dubeyjackson1711 ปีที่แล้ว +8

    누가봐도 정우성과 선생님은 같은 민족입니다.

  • @박성철-p8t
    @박성철-p8t ปีที่แล้ว +2

    두선생님 만세

  • @봄이오면_다시오리
    @봄이오면_다시오리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스탄..우리나라 땅이란 발음과비슷하면서 의미도 같네요

  • @오준석-t4g
    @오준석-t4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 강의 감사합니다. 키르기스스탄 국기가 최근 변경되었습니다. 키르 설명 부분 국기가 자주 나왔는데 수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헉 그렇군요 지적 감사합니다. 확인해보겠습니다!!

  • @hathaway8005
    @hathaway800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리,역사 공부 재미있게 하고 있습니다

  • @강승준-e1b
    @강승준-e1b ปีที่แล้ว +4

    잘보고있습니다. 항상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라마-p7j
    @라마-p7j ปีที่แล้ว +3

    우즈베키스탄의 인구통계를 보면 98개 부족이 있다고 하네요. 그 중 5분의 1은 타직 계열이고 나머지는 튀르크 계열이랍니다.

  • @짱고짱고
    @짱고짱고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즈벡이 고려인들 말들어보면 지금보다는 소비에트때가 더좋았다고하는 사람들이 많더군요~저야 뭣땜시 그러는지는 모르지만~😊궁금하네요

  • @traveling-box
    @traveling-bo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구한말까자 우리나라 말로 땅도 ㅅ당 이었답니당! ㄷㄷ 아니고 ㅅㄷ 였어용!

  • @YueTungtimurLee
    @YueTungtimurLe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진짜로 듣다가 자고나서 또 보고 또
    듣고보니 결국 외부세력 의존도는 반도우물 쌔파란나라와 매한가지란 결론.
    😢😢😢 ㅋㅋㅋ

  • @true5826
    @true5826 ปีที่แล้ว +4

    정복한 민족의 남성들이 정복당한 민족의 여성들을 취하면서 새로운 민족이 탄생합니다. 남미의 메스티조가 대표적이죠. 중앙아시아도 수많은 민족들간의 정복전쟁으로 인해 러시아계 백인, 투르크인, 페르시아인, 아랍인, 몽골인, 북방한족 등 다양한 민족들의 혼혈이 일어난 것이겠죠. 현재 살고 있는 사람들은 어머니는 정복민족일 수도 있고 피정복민족일수도 있지만 아버지는 대부분 정복민족일 가능성이 큽니다. 전쟁에 지면 수레바퀴보다 키가 큰 남성은 죽이는 것이 유목민족들의 전통중에 하나였다고 하니까요

  • @두번째_인생
    @두번째_인생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알고리즘 타고 와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19:39 일본해가 좀....ㅠㅠ

  • @정원영-p2h
    @정원영-p2h ปีที่แล้ว +5

    독립국가는 아니지만 쿠르디스탄도 있어요.

    • @버블다이아-r3v
      @버블다이아-r3v ปีที่แล้ว

      그건 뭐지?

    • @정원영-p2h
      @정원영-p2h ปีที่แล้ว

      @@버블다이아-r3v 이라크,튀르키에,시리아에 걸친 지역에 사는 쿠르드족이요.
      나라가 없지만 4천만명이나 살죠.

  • @SKYBLUE-jv8is
    @SKYBLUE-jv8is ปีที่แล้ว +7

    동북아시아에 있는 부카니스탄은 좀 압니다만... 😅 😂 😆

  • @songchoe5546
    @songchoe5546 ปีที่แล้ว +5

    스탄 5개국 정의 잘 배웠습니다.😊

  • @arcyoon
    @arcyoon ปีที่แล้ว +2

    가면 우리와 분별이 어려운 캐레이트족들도 있고...전반적으로 기본 정서가 유사한 부분들이 많음. 물론 오랜 공산권 치하의 나라들이라 쏘련 공산당 특유의 향기도 아직도 짙게 남있음.

    • @두선생의역사공장
      @두선생의역사공장  ปีที่แล้ว

      구 공산권 국가들이라 치안은 기가막히게 좋더라고요 ㅎㅎ

  • @고라니-n5m
    @고라니-n5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목소리 들으니 지식해적단이시네요 반가워요

  • @TPO_특임단장
    @TPO_특임단장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구독과좋아요눌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