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가장 확실한 것은 시행착오를 거친 내용입니다. 저도 그때문에 공부하였습니다. 비록 판매할 농산물도 없고 그걸로 먹고살지 않지만 마치 학생이 쪽지시험 망쳐도 기분이 좋지 않은 것처럼... 저도 그래서 식물 자람, 결과습성, 영양소, 병해충 방제... 등 여러 분야를 공부하였습니다.
식물이 광선이 강 할 수록 심한데 이때 식물은 탄산가스가 식물체안에서 부족해지면 광합성 대사작용에서 식물에 해로운 화합물을 만듭니다. 식물은 이미 합성된 포도당을 분해시켜 해독작용을 하며 탄산가스를 배출 합니다. 물론 다른 부분에서는 광합성 작용이 동시에 계속 일어 나서 탄산가스를 흡수하는데 이런 현상을 광호흡이라고 합니다. 손바닥 박사님은 낮잠 현상으로 말씀하셨고요 실내 재배의 경우에는 탄산가스의 공급을 하면 이현상이 감소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기중에 탄산가스농도가 낮아지자 식물들은 C3, C4, Cam 기작으로 진화해왔읍니다. C4 기작을 가진 식물들이 이런 환경에서는 광합성 효율이 높을 수 있읍니다. C4 식물에는 옥수수, 바랭이, 비름 등이 있읍니다.
생산자인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에 대한 명쾌한 설명 많은 도움이 됩니다. 포도당은 잎의 엽록체에서 명반응과 암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며, 명반응은 틸라코이드의 엽록소에서 햇빛을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는 광분해의 과정과 여기에 미치는 여러 요인을 자세하게 설명하여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런데 잎에서 만든어진 포도당이 어떤 과정을 거쳐 축적하고 이용되는지도 궁금합니다.
ㅎ ㅎ ㅎ 댓글 내용으로 보아 저보다 더 많이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질문내용과 관련 깊은 제 영상은 이 영상 최종화면에 있고 제 채널 재생목록 1번에 있는 '작물의 광함성과 비대기...'와 4번 재생항목 4번' 질소를 알아야 작물이 보인다 첫째 이야기...'와 '가리비료의 역할...'의 후반부에 관련주제만큼 내용이 흩어져 있습니다. 참고가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잎에 존재하는 클로로필9 엽록소)중에 Zn(아연)을 함유하는 Enzyme(효소)가 있읍니다. 일단 햇빛의 광자 (에너지는 있지만 질량을 없다고 알려진 물체)가 클르로필에 닿으면 그에너지는 물을 분해해서 산소와 이온화된 수소를 만들어 줍니다. 이때 광자에서 에너지를 이전 받은 수소 이온은 작은 막(membrane) 에서 물리 화학 반응을 일으켜 산도를 떨어드리면서 ATP 와 NAD(P)H2 를 만들고 (명반응) 이 물질들이 당의 인화물과 생화학 작용을 일으켜서 포도당을 생성시킵니다(음반응)
참고사항: 지구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단백질은 탄산가스와 당을 화합시키는 탄소 동화작용에 촉매자작용을 하는 Enzyme (효소)는 잎 엽록소에 존재하고 있고요 어느 단백질보다 많이 지구상에 존재합니다. 대부분이 초식동물의 사료로 단백질이 소화가 되고 있읍니다 ( 효소리름은 Rubisco)입니다.
제가 알아본 바로는 본 영상에 제시한 대로입니다. 영상에서의 자료에서처럼 오전 오후로 나누었을 때 오전에 광합성량이 더 많은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오후의 낮잠현상과 여름철 같으면 오후의 고온으로 광합성량이 떨어지는 요인 들.... 몇 가지만 보아도 오전에 광합성량이 많은 것은 맞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제 성격이 전화나 메일 잘 주고 받지 않아 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저를 아는 사람은 이미 알려져 있으니 오해가 없지만 다른 분들께 오해를 살까봐 채널 댓글만 이욧ㅇ하고 있습니다. 채널을 통한 댓글에는 성실히 답변 드립니다. 가능한 댓글을 이용해 주시면 편리하겠습니다. 전화 생전에 잘 안 받고 메일 1달 넘은 것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내용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아니라, 동영상 보다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좀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집 베란다를 이용해 하우스를 만들어 식물을 기르고있는데요. 온습도, 빛을 자동으로 제어 해서 기르고있습니다. 이 동영상을 보면, 식물에게 낮잠현상 이라는것이 있고, 빛에도 한계치가 있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빛도 시간 제한을 해 주는게 맞을까요?저는 현재 24시간 내내 식물등을 켜 주고 있거든요. 식물은 24시간 광합성을 할 수 있는건가요? 고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잎이 없는 가시선인장은 우리 작물과는 다른 방법으로 광합성을 하고 있는 줄 압니다. 그러나 그 외 일반 식물 즉 작물들은 광합성 조건만 갖추면 24시간이라도 광합성이 일어나는 줄 저는 알고 있습니다. 다만 다음은 생각해야 합니다. 1.본영상에서 밝혔듯이 광합성의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 중 특히 온도가 낮을 수 있으니 그 활발 정도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24시간 이루어지니 일일 광합성량도 2배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만든 유기양분은 필요한 곳으로 운반해야 하는데 그 때문에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정오 이후 낮잠현상이 바로 그러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광합성 효과에 대해서는 다소 효과를 보는 작물도, 그 반대로 역효과를 보는 작물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벼나 국화 같은 단일성 식물을 오랫동안 빛을 쬐면 개화와 결실이 늦어지거나 불량해질 수 있습니다. 4. 학계에서는 광합성에 얽힌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어떤 학자는 식물 자체의 생체리듬이 유전자 속에 있다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 이론에 의하면 24시간 빛을 쪼이면 무리가 온다는 얘기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채널에 오면 언제든지 가장 정확한 농사원리를 알려주셔서 귀를 쫑긋하고 듣고 배우게 됩니다.
오늘은 광합성 원리를 그림을 배경으로 차분하게 알려주시니 이해하기 쉽습니다.
잘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이번에도 방문하셔서 격려와 칭찬의 말씀 고맙습니다. 지금 한창 추운 때 언제나 건강 유의하십시오.
고난도 강의 정말 고맙습니다
시청 고맙습니다.
선생님 말씀듣고.많이잘못농사을했내요 이영상보고선생님말씀 하나하나다이해가감니다 그동안잘못했어니 모든것이이해가갑니다 잘못한농사경험이밑거름이되서 기대하세요 자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네, 가장 확실한 것은 시행착오를 거친 내용입니다. 저도 그때문에 공부하였습니다. 비록 판매할 농산물도 없고 그걸로 먹고살지 않지만 마치 학생이 쪽지시험 망쳐도 기분이 좋지 않은 것처럼... 저도 그래서 식물 자람, 결과습성, 영양소, 병해충 방제... 등 여러 분야를 공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 몇일전에 선생님 채널 찾았어요.
이제라도 많이 배워 잘 이용하고 많이 알려서 좋은정보 잘 쓰여지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너무 중요한 정보 감사합니다.
어려운 내용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대단하시고 감사합니디.
식물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분명한건 그것들을 재배함에 있어서 빛 에너지는 가장 중한 요소인듯 합니다~^^
오늘 선생님께서 말씀 해 주신 광합성과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들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오늘도 잘 배워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네, 귀한 걸음 고맙습니다. 거기에다 격려말씀 고맙습니다. 아직 추운 겨울 건강 유의하세요.
식물이 광선이 강 할 수록 심한데 이때 식물은 탄산가스가 식물체안에서 부족해지면 광합성 대사작용에서 식물에 해로운 화합물을 만듭니다. 식물은 이미 합성된 포도당을 분해시켜 해독작용을 하며 탄산가스를 배출 합니다. 물론 다른 부분에서는 광합성 작용이 동시에 계속 일어 나서 탄산가스를 흡수하는데 이런 현상을 광호흡이라고 합니다. 손바닥 박사님은 낮잠 현상으로 말씀하셨고요 실내 재배의 경우에는 탄산가스의 공급을 하면 이현상이 감소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기중에 탄산가스농도가 낮아지자 식물들은 C3, C4, Cam 기작으로 진화해왔읍니다. C4 기작을 가진 식물들이 이런 환경에서는 광합성 효율이 높을 수 있읍니다. C4 식물에는 옥수수, 바랭이, 비름 등이 있읍니다.
생산자인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에 대한 명쾌한 설명 많은 도움이 됩니다. 포도당은 잎의 엽록체에서 명반응과 암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며, 명반응은 틸라코이드의 엽록소에서 햇빛을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는 광분해의 과정과 여기에 미치는 여러 요인을 자세하게 설명하여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런데 잎에서 만든어진 포도당이 어떤 과정을 거쳐 축적하고 이용되는지도 궁금합니다.
ㅎ ㅎ ㅎ 댓글 내용으로 보아 저보다 더 많이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질문내용과 관련 깊은 제 영상은 이 영상 최종화면에 있고 제 채널 재생목록 1번에 있는 '작물의 광함성과 비대기...'와 4번 재생항목 4번' 질소를 알아야 작물이 보인다 첫째 이야기...'와 '가리비료의 역할...'의 후반부에 관련주제만큼 내용이 흩어져 있습니다. 참고가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식물에 관한 호기심은 많은데 아직 초보입니다. 항상 선생님의 좋은 영상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잎에 존재하는 클로로필9 엽록소)중에 Zn(아연)을 함유하는 Enzyme(효소)가 있읍니다. 일단 햇빛의 광자 (에너지는 있지만 질량을 없다고 알려진 물체)가 클르로필에 닿으면 그에너지는 물을 분해해서 산소와 이온화된 수소를 만들어 줍니다. 이때 광자에서 에너지를 이전 받은 수소 이온은 작은 막(membrane) 에서 물리 화학 반응을 일으켜 산도를 떨어드리면서 ATP 와 NAD(P)H2 를 만들고 (명반응) 이 물질들이 당의 인화물과 생화학 작용을 일으켜서 포도당을 생성시킵니다(음반응)
참고사항: 지구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단백질은 탄산가스와 당을 화합시키는 탄소 동화작용에 촉매자작용을 하는 Enzyme (효소)는 잎 엽록소에 존재하고 있고요 어느 단백질보다 많이 지구상에 존재합니다. 대부분이 초식동물의 사료로 단백질이 소화가 되고 있읍니다 ( 효소리름은 Rubisco)입니다.
❤
광합성량은 오전에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나요?
제가 알아본 바로는 본 영상에 제시한 대로입니다. 영상에서의 자료에서처럼 오전 오후로 나누었을 때 오전에 광합성량이 더 많은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오후의 낮잠현상과 여름철 같으면 오후의 고온으로 광합성량이 떨어지는 요인 들.... 몇 가지만 보아도 오전에 광합성량이 많은 것은 맞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분이나 설탕을 관수나 관주하면 효과가 없을까요
뿌리는 무기양분만 흡수합니다. 따라서 전분이나 설탕이 녹거나 발효되어 물에 녹고 미생물에 의해 이온화 되어 흡수됩니다. 잎을 통한 엽면시비는 유기물도, 무기물도 모두 흡수되는데 유기물 중에서 전분은 고체이니 흡수되어지지 않고 설탕은 모르겠습니다.
@@손바닥농장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옆면살포에 효과가 있다면 우천시나 흐린날이 계속될때 살포하면 효과을 기대하고 살포을 해봐야 겠네요
좋은하루되세요
@@박남호-f1c 무엇을 엽면살포하시려는지요? 혹시 설탕물이라면 얻고자 하는 목적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저는 비료 외에는 엽면시비를 안 해봤거든요
@@손바닥농장
설탕을 밀감나무에 옆면 살포해볼려고 합니다
황금알농법에서도 설탕을 옆면살포하면 좋다고 하기도해서 아직까지 피해있다는 소식은 접하지 않아서 혹시 광합성 효과를 볼수 있지는않나 하는생각이 들어서요
@@박남호-f1c 아, 네 ...
선생님 혹시, 유튜브 제작요청드릴려고 하는데 연락처가 없으셔서요. 연락처나 이메일 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제 성격이 전화나 메일 잘 주고 받지 않아 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저를 아는 사람은 이미 알려져 있으니 오해가 없지만 다른 분들께 오해를 살까봐 채널 댓글만 이욧ㅇ하고 있습니다. 채널을 통한 댓글에는 성실히 답변 드립니다. 가능한 댓글을 이용해 주시면 편리하겠습니다. 전화 생전에 잘 안 받고 메일 1달 넘은 것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내용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아니라, 동영상 보다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좀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집 베란다를 이용해 하우스를 만들어 식물을 기르고있는데요. 온습도, 빛을 자동으로 제어 해서 기르고있습니다.
이 동영상을 보면, 식물에게 낮잠현상 이라는것이 있고, 빛에도 한계치가 있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빛도 시간 제한을 해 주는게 맞을까요?저는 현재 24시간 내내 식물등을 켜 주고 있거든요. 식물은 24시간 광합성을 할 수 있는건가요?
고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잎이 없는 가시선인장은 우리 작물과는 다른 방법으로 광합성을 하고 있는 줄 압니다. 그러나 그 외 일반 식물 즉 작물들은 광합성 조건만 갖추면 24시간이라도 광합성이 일어나는 줄 저는 알고 있습니다. 다만 다음은 생각해야 합니다.
1.본영상에서 밝혔듯이 광합성의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 중 특히 온도가 낮을 수 있으니 그 활발 정도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24시간 이루어지니 일일 광합성량도 2배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만든 유기양분은 필요한 곳으로 운반해야 하는데 그 때문에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정오 이후 낮잠현상이 바로 그러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광합성 효과에 대해서는 다소 효과를 보는 작물도, 그 반대로 역효과를 보는 작물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벼나 국화 같은 단일성 식물을 오랫동안 빛을 쬐면 개화와 결실이 늦어지거나 불량해질 수 있습니다.
4. 학계에서는 광합성에 얽힌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어떤 학자는 식물 자체의 생체리듬이 유전자 속에 있다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 이론에 의하면 24시간 빛을 쪼이면 무리가 온다는 얘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