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의 비밀: 햇빛이 만들어내는 생명의 에너지! 생명과학 교과서 속으로 12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ธ.ค. 2024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9

  • @김형복-b2x
    @김형복-b2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식물의 광합성 매커니즘을 이렇게 디테일하게 풀어서 알려주셨는데 어려우면서 흥미로워서 뒤로 다시 돌려가며 봤습니다.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1979sebah
    @1979seba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아이들과 다시 보려구요.

  • @KangShinMin
    @KangShinMi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인공 광합성은 언제쯤 가능할까요?
    인공 광합성 기술로 지구온난화도 해결 가능할까요?

  • @gong-r-e
    @gong-r-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루비스코 효소 = 이산화탄소 고정...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마셔야하는 생물의 균형이 잘 지켜지는게 우리의 임무겠네요! 신비한 용어와 작용들 가르쳐주셔서 고맙습니다! 콩교수님☺️

  • @spider.science
    @spider.scienc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3 때 이광합성 단원 내신시험 보던 게 떠오르네요.
    A4용지 한장 분량으로 요약해서 어찌저찌 외워서 시험을 봤는데,
    시험 끝난 직후에 다른 아이들이랑 답안지 맞춰보는데,
    시험지에 적어놓은 답을 왜 그걸 골랐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워낙 복잡해서 휘발성으로 머리에 넣었더니....ㅎㅎㅎㅎ
    시험보는 동안 모두 휘발되었던....^^;;;
    당연히 지금은 하나도 기억나지 않습니다.

  • @hee-jeankim3582
    @hee-jeankim358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오늘은 못들어본 용어가 많아 좀 어려웠네요😅
    항상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는 교수님 감사합니다 😊

  • @장락-x4q
    @장락-x4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공광합성크이 실현되면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온난화 해결 과 포도당 생산 즉 알코올 생산에 의한 에너지 식량 문제 해결에 큰 진전이 될 것이라 생각하니다 질소 고정 보자 더 큰 업적인 탄소 고정 노벨상 10개 이상은 따논 당상

  • @이우석-c2y
    @이우석-c2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광합성의 메커니즘은 잘 알려졌는데 혹시 인공 광합성의 연구는 있는가요? 있다면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감사합니다.

  • @akfldkrnt
    @akfldkrn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박사님! 피검사를 할떄 그많은 항목들을 어떻한방식으로 알아낼 수 있는지 항상 궁금했어요

  • @co-musician640
    @co-musician64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안녕하세요?
    혹시 식물은 과잉영양으로 동물의 비만과 같은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그것이 과일 인 것일지도 궁금하고요

  • @che1
    @che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동남아에 나무를 보면, 잎들이 빨간색, 하얀색 잎들이 같이 녹색 잎들과 있는게 보입니다. 왜 그런가요.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 @기두리-u1q
    @기두리-u1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BonjourRhee
    @BonjourRhe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태양광의 파장별 에너지 분포를 보면 녹색에서 피크입니다.
    그런데, 식물은 왜 태양광 에너지 중에서 가장 풍부한 녹색은 광합성에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 양이 적은 파랑과 적색과 일부 적외선으로만 광합성하는 생물로 진화되었을까요?
    태양광에서 가장 풍부한 녹색을 광합성에 사용한다면 생존에 더 유리할 것 같은데, 녹색을 사용하지 않도록 진화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이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녹색을 주요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합성 생물은 없는지요?
    만약에 녹색으로 광합성하는 생물이 있다면 엽록소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어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 같은데, 그렇지 못 것은 무엇 때문일 지 궁금합니다.

    • @hyunsoocho2217
      @hyunsoocho221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간단합니다 기초지식이 없어서 오해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녹색계열이 에너지가 많은게 아니고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거고 심지어 그것도 적외선 영역이 양이 훨씬더 많습니다 간단하게 에너지 측면에서는 질적으로 높은 자외선 양적인 측면에서는 적외선 그리고 녹색은 거의 찌꺼기나 다름 없어서 반사시켜버립니다 중학교 수준의 생물지식이라 최대한 단순화 시켰네요

    • @BonjourRhee
      @BonjourRhe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yunsoocho2217
      적외선의 파장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전체 에너지 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큽니다.
      하지만, 식물이 광합성에 사용하는 적외선 대역은 근적외선에서도 일부만 사용합니다.
      이것은 광합성 반응을 위하여 에너지 레벨이 어느 정도 이상은 되어야 할 것이므로 적색에 가까운 적외선부터 광합성에 사용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저의 질문은 왜 자외선과 적색의 사이에 있는 녹색은 광합성에 사용되지 않는 진화가 이루어졌느냐가 궁금합니다.
      녹색은 자외선과 적색 사이에 있기 때문에 에너지 레벨은 자외선보다는 낮지만 적색과 적외선보다는 높습니다.
      언급하신 광선의 질이 파장의 에너지 레벨을 의미하시는 것이면 녹색은 적색이나 적외선보다는 높습니다. 녹색의 질이 낮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광합성에 사용되는 적외선부터 자외선까지의 태양광 스펙트럼 중에서 에너지의 양이 가장 많은 녹색이 왜 빠지게 진화된 것일까가 궁금한 것입니다.
      녹색을 흡수하는 색소가 자연계에 존재하기 때문에 식물이 광합성에 녹색도 사용하면 태양광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인데, 왜 녹색을 빼고 광합성하도록 식물이 진화했을까요?
      왜 식물의 잎은 가시광선을 모두 흡수하는 검은색이 아니라 녹색은 버리는 광합성을 하도록 진화한 것일까요?

    • @sungo2762
      @sungo276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Quieting a noisy antenna reproduces photosynthetic light-harvesting spectra 라고 검색하시면 글 하나 나올텐데,
      여기 글 내용을 요약하자면 낙차가 큰 단일이나 모두 보단 간격이 있는 두 파장을 조율하여 받아 들이는것이 보다 넓은 정규분표를 보였다고 합니다.
      다른 글로는 자연광 모두 활용하기엔 에너지(열)가 너무 커 생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버틸 수 없었기 때문 이라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굳이 이유를 찾자면 편차가 큰 효율성보단 출력의 안정성이 적응에 더 적합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곁가지로 엽록소가 아닌 원시 지구의 초기 광합성 생물은 레티날을 활용하여 녹색광 광합성 했을 수 도 있다는 보라색 지구 가설도 있습니다.

    • @BonjourRhee
      @BonjourRhe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ungo2762
      식물은 왜 녹색이 되어야 했을까에 대한 납득할 가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화학에는 문외한인데, 개인적인 궁금증은 커서 답답했는데 설득력 높은 답변을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