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회사를 믿으면 안 되는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ก.ค. 2021
  • #직장생활 #고민 #회사생활
    퇴사를 후회하지 않도록 차근차근 준비하는 [퇴사키트]
    👉bit.ly/3YMFp5e
    이직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다면 책[이직바이블]
    👉 bit.ly/3mubn7a
    0~3년 차 미만 주니어를 위한 트레이닝 [주니어PT]
    👉bit.ly/3EaIvqj
    일잘러가 되기 위한 특별한 PT [커리어PT]
    👉bit.ly/3KTWUef
    이형처럼 시간을 관리하는 플래너 [타임트래커]
    👉bit.ly/3zGiQUi
    매달 이형과 같이 책을 읽고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북클럽]
    👉bit.ly/3NE0k6M
    직장인을 위한 이형의 강의를 더 듣고 싶다면 [트래커스]
    👉 bit.ly/45E9K8r
    이형의 시간관리 방법을 알고싶다면 책[포커스]
    👉bit.ly/3zF4V0I
    퇴사한 이형 구독자 형팸들과 소통하고 싶다면?
    👉 bit.ly/2wVLrHX (참여코드: 0214)
    * 비즈니스 문의: official@alivecommunity.co.kr
    * 직장생활 고민 사연 : forms.gle/4y3cRsjQQ6V9dCxv5
    COPYRIGHT 2021. ALIVECOMMUNITY ALL RIGHTS RESERVED.
    저작자와의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영상의 사용을 금합니다.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99

  • @lee_bro
    @lee_bro  2 ปีที่แล้ว +85

    일잘러가 되기 위한 특별한 PT [커리어PT]
    👉bit.ly/3KTWUef

    • @user-lg4zi3bq7g
      @user-lg4zi3bq7g 2 ปีที่แล้ว +1

      사연 보냈어요 이형님!! 힘을 주세요ㅜㅜ!❤

  • @rabbitman7861
    @rabbitman7861 2 ปีที่แล้ว +2267

    회사는 누구를 내보낼까 매일 매일 고민한답니다.

    • @user-un8xk6mt2x
      @user-un8xk6mt2x 2 ปีที่แล้ว +597

      회사들이 제1 고민 : 비용절약
      비용절약에 가장 좋은 방법: 인건비 축소

    • @user-sw8ri4sh5o
      @user-sw8ri4sh5o 2 ปีที่แล้ว +330

      그래서 내가 여기서 필요한 사람이라는걸 맡은 일의 성과로 스스로 입증해내야 하는거죠. 그걸 다른 말로는 밥값이라고 하고요.

    • @tkchoi2000
      @tkchoi2000 2 ปีที่แล้ว +282

      냉정하게 역지사지 입장이 되여야지 만약 일도 안하고 문제 생기면 남한테 떠넘기고 맨날 불평만 하는 직원이 나랑 똑같은 월급을 받고 있다면 소위 현타 오지않을까 과연 묵묵히 열심히 일하고 싶을까 싱싱한 사과들이 들어 있는 박스안에 썩은 사과 한개 넣으면 썩은 사과가 싱싱하게 되는 게 아니라 싱싱했던 사과들마저 다 썩는게 현실임 조직의 활력과 발전에 해를 끼치는 사람은 분명히 한 두명씩 있고 미래를 위해 냉정한 조치를 해야지 이 치열한 시장경제라는 정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거지 단 그 과정이 합리적이고 명확해야 한다는 게 중요한 거라는

    • @soohyunlee5227
      @soohyunlee5227 2 ปีที่แล้ว +163

      어떤회사를다니면,,, 다들 관둔다는 사람 못붙잡아서 안달이던데

    • @CHOEMUI
      @CHOEMUI 2 ปีที่แล้ว +297

      어디서 본건데
      회사에서 일못하고 불평불만에 문제 투성이인 직원은 어항속에 죽은 물고기라고.. 빨리 안건져내면 다 죽는다고함 ㅋ

  • @TricksOffice
    @TricksOffice 2 ปีที่แล้ว +95

    지식 근로자... T자형 인재...학습...자주, 많이 듣는 이야기인데 이렇게 쭉 연결지어서 들으니 또 느낌이 다르네요.
    다른 한편으로는 이번 사연에서 소개된 아웃소싱 관련 이야기가 제가 관심을 가지는 업무 자동화 영역에 의한 큰 변화 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많이 듭니다.
    분명 시대의 흐름으로 우리 코앞에 다가왔다는 느낌이에요.

  • @user-dj4wh1uw1d
    @user-dj4wh1uw1d 2 ปีที่แล้ว +521

    결국에는 내가 실력이 있어야 한다는것에
    공감 합니다. 저 또한 실력이 저조한 탓에
    아무리 성실하고 정직하게 일해도 인정을
    받지 못하더군요. 그래도 벌긴 해야하니까
    자기개발을 할 시간을 가지며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하고 있습니다. 참 정말 쉽지
    않은 세상입니다.

    • @user-kc4hi6wb3n
      @user-kc4hi6wb3n 2 ปีที่แล้ว +8

      공감합니다 쉽지 않죠 ..

    • @user-tp1xk9uu6m
      @user-tp1xk9uu6m 2 ปีที่แล้ว +35

      열심히 일하는 것이 회사가 원하는 데 아니에요. 적은 자원으로 빠르고 기대된 성과를 원하는 거죠. 예를들어 마라톤으로 3-4시간 열심히 달려 45km를 뛰어 도착하믄 것이 아니라 안 막히는 길로 빠른 차량으로 40분에 걸쳐 도착하기를 원하는 거죠. 화이팅입니다

    • @흉기차_급발진옵션
      @흉기차_급발진옵션 2 ปีที่แล้ว +33

      좉나경쟁을 강요하는 저 시스템이 진심 꼴보기도싫음 ㅇㅇ

    • @Luci_078
      @Luci_078 ปีที่แล้ว +5

      @@흉기차_급발진옵션 무한경쟁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어쩔 수 없는 법...다 싫으면 자연으로 들어가야죠 뭐...

    • @흉기차_급발진옵션
      @흉기차_급발진옵션 ปีที่แล้ว +11

      @@Luci_078 이젠 인구절벽이라 회사가 무한경쟁할시간이 요몇년안에 올것입니다. 그때는 기업이 박터지게 서로 모셔올듯.

  • @user-bw3dz2ub7t
    @user-bw3dz2ub7t 2 ปีที่แล้ว +407

    제 생각으로는 퇴사여부는 이 회사에서 더 배울것이 있냐 없냐가 큰거같습니다

    • @jiyeona_k
      @jiyeona_k 2 ปีที่แล้ว +16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2년을 일했든 몇년을 일했든 저한텐 그 기준은 변치않능것같아요

    • @user-bw3dz2ub7t
      @user-bw3dz2ub7t 2 ปีที่แล้ว +20

      @@user-el4on8bl6n 그러시군요.....20대 중후반 30대 초중반에 신입으로 들어간 사람한테 업무에 대한 스킬을 모두 가지고 있길 원하는 군요
      ceo의 시각이라.......

    • @tskang3861
      @tskang3861 2 ปีที่แล้ว +13

      @@user-el4on8bl6n 마지막 말이 참… 27년이 무슨 대수라고 그것도 대기업까지 붙여가면서 ㅋㅋㅋㅋㅋ 대기업 27년 경력이 그렇게 대단하다면 본인이 직접 말 안해도 드러날거에요

    • @user-rp1zp8je1d
      @user-rp1zp8je1d 2 ปีที่แล้ว +11

      @@user-el4on8bl6n 꼰대마인드. 요즘은 회사만 바라보면 바보 됨.

    • @user-el4on8bl6n
      @user-el4on8bl6n 2 ปีที่แล้ว +1

      @@user-rp1zp8je1d 절대 회사만 바라보지 않죠..
      큰계획은 따로 있지요.
      제2막 을 탄탄하게 준비 따로 해야죠..

  • @kjp3911
    @kjp3911 2 ปีที่แล้ว +171

    그렇죠. 일단 버티시고 봐야죠...
    그리고 회사에서 화려한 인재만 살아 남는게 아닙니다.
    정말 필요하지만 사람들이 기피하는 그런일 하는 사람들도 롱런합니다.

  • @user-xz6lg6vm6w
    @user-xz6lg6vm6w 2 ปีที่แล้ว +6

    참 냉철하고 따뜻한 조언으로 오늘도 힘받고 갑니다😭

  • @eggeggeggegg2037
    @eggeggeggegg2037 2 ปีที่แล้ว +326

    요약: 외국계 재무 8년차, 디테일과 커뮤니케이션 부족, 아웃소싱 위험 => 다 싫다.
    질의: 공기업이나 공무원이 답일까요?
    응답: No. 본인이 인재(지식근로자,T자형인재)가 아닌 이상 어딜가나 노답이다. 게다가 외국계 -> 공기업/공무원 이직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가더라도 지금보다 훨씬 어려운 삶이 예상됨. 왜냐면 문화/업무 면에서 국내 기업이 훨씬 열악. 그리고 회사 입장에서도 경력직은 필요없고 신입 채용을 할 것. 해당 직무에 대한 전문성, 역량이 자체판단으로 이미 부족하다면 물경력이나 다름없음.
    결국은 본인의 역량/실력/태도 키워야 (비슷한 종류로 이직하거나 현자리에서 승부봐야). 결국 답은 내 안에 있다.

    • @stk4788
      @stk4788 2 ปีที่แล้ว +16

      매번 영상이길어서 다못보는데 요약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4

      의왼데? 세상에 일부러 경력직 안뽑고 신입을 뽑는곳이 어딨담?

    • @user-dh8yp8ro7l
      @user-dh8yp8ro7l 2 ปีที่แล้ว +1

      신입이 어떤이유에서 이득인건지 생각하시는 기업입장 궁금합니다!

    • @renalee9529
      @renalee9529 2 ปีที่แล้ว +21

      @@user-dh8yp8ro7l 전문성과 역량에서 강점이 없다면 회사 입장에선 연봉 적게줘도 되는 신입을 뽑겠죠..? 사정이 안좋을 때 명예퇴직 신청 받는거랑 비슷한 이치일 듯 합니다

    • @greenthumbk
      @greenthumbk ปีที่แล้ว +5

      @@deadChannel44446 공기업은 경력직은 정말 가뭄에 콩나듯(사실상 내정자가 있는 소수인원) 있고 오로지 신입채용만있음.

  • @찌미니
    @찌미니 2 ปีที่แล้ว +28

    현실적이구 너무 마음에 와닿는 조언입니다 ㅠ

  • @user-ge2vy4ut9k
    @user-ge2vy4ut9k 2 ปีที่แล้ว +31

    타이틀 보고 바로 시청!

  • @JIMIN-fp8gj
    @JIMIN-fp8gj 2 ปีที่แล้ว +186

    중소기업 근무하면.. 사연자분보다 훨씬 빨리 저런 고민을 하게되더라고요.. 이직도 잦아지게 되고.. 그래서 무엇보다 전문성.. 그리고 근로기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늦은 나이에 이직 및 업종을 변경하게 되었는데.. 업종을 바꿀 생각이 있는거라면.. 늦을수록 힘들어요.. 취업이나 적응이나 전문성(경력)을 쌓아하는 모든 부분에서요.. 그래서 저는 사연자분이 업무가 정말 안맞다고 느끼고 위기를 느낀거라면.. 신중하게 고민하고 방향이 정해지면 그거 관련해서 퇴근 후, 주말 등을 활용해서 최대한 공부하고 자격증이 필요하면 따고 하면서 이직 준비 하시고.. 인터뷰도 보러 다니시다가 회사 결정됐다? 그럼 그때 퇴사 통보하고 나오는거 추천드려요.. 진짜 몇년전 제가 생각나서 드리는 말씀..

  • @user-ke1md2us6j
    @user-ke1md2us6j 2 ปีที่แล้ว +6

    좋은 영상 항상 감사드립니다

  • @songahkorea
    @songahkorea ปีที่แล้ว +1

    새해에 보물같인 이형님을 만나게 되어 설렙니다~
    연휴 내내 몰아보고있어요
    이직준비 중인데 많은 도움이됩니다 감사합니다.

  • @jaykim425
    @jaykim425 2 ปีที่แล้ว +4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user-kw6yz7sk6l
    @user-kw6yz7sk6l 2 ปีที่แล้ว +70

    저번 스트리밍 때 보고 채널 있는지 알고서 구독했는데 저를 돌아보는 영상이네요
    일단 전문성을 확보하는게 좋을거 같아 퇴근하고 2시간동안 공부하고 아침마다 신문 읽으며 나이가고 있습니다 이형님의 말씀 곱씹으며 좋은 기회가 왔을때 캐치할수 있는 인재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v7re1gg5c
    @user-pv7re1gg5c ปีที่แล้ว +3

    감사합니다 책 몇권은 읽어야 나올만한 정보들을 이해하기쉽게 무료로 유튜브로 배우네요

  • @user-yq5pd3ks9q
    @user-yq5pd3ks9q ปีที่แล้ว +72

    진짜 맞습니다.. 회사는 저 뿐만 아니라 그 어떤 사람이라도 잠시 지나치는 것 일뿐… 공무원도 마찬가지 입니다. 결국 자기 자신이 사업을 하던 개인적인 일을 해야합니다. 30에 퇴직하나 40에 퇴직하나 50에 퇴직하나 60에 퇴직하나 70에 퇴직하나.. 퇴직금의 차이는 나이를 먹는 것 일뿐… 퇴직금과 열정을 바꾼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결국 언젠가 또 회사나오면 멀 하지.. 라는게 마지막 종착역이죠..

  • @user-by5nr6ri2z
    @user-by5nr6ri2z 2 ปีที่แล้ว +45

    취업하면 이형님을 뵐 일이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정말 좋은 컨텐츠 최고입니다 아직 퇴사 고민은 저에게 먼 미래같지만 신입으로서 보는 재미가 있네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ㅋㅋ

  • @elsen1209
    @elsen1209 2 ปีที่แล้ว +35

    요즘의 제 고민과 너무 똑같아서… ㅠㅠ 공감되네요 ㅠㅠ

  • @user-xx2qr3rb3o
    @user-xx2qr3rb3o 2 ปีที่แล้ว +30

    와우~ 정리 깔끔하게 설명 잘 해주시네요
    마치 직무강연 들은거 같아요~
    참고하겠습니다!
    결국 자신이 계속 노력하는 수 밖에 없네요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2 ปีที่แล้ว +76

    6:02 기업 혹은 개인사업자의 시각으로 보자면 요즘 다른 사람의 전문성은 외주 업체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며
    핵심 기술 몇가지만 개발하고 외주 업체를 통해서 덫붙여서 상품으로 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 @alaaala
      @alaaala 2 ปีที่แล้ว +6

      덧붙여서

  • @hiseoul7012
    @hiseoul7012 2 ปีที่แล้ว +155

    마지막이 포인트네 동종 업무는 더이상하고싶지 않다는 거.
    8년이면 유사업무할 수 있는 자리라면 어디에 지원해도 경력깡패인데 여태까지 쌓은걸 등지고 새길로 가려하니 갑자기 순조로이 항해하다 망망대해에서 돛부러지고 길잃은 배가 된 거 같지.
    근데 공무원 준비할거 아니면 구인구직사이트 조금씩 찾다가 결국 내가했던 업무랑 유사업종 자리로 회귀하게 되는게 대부분임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대부분 새일찾을거야!하다가 했던일로 다시 돌아오더라

    • @banana9439
      @banana9439 2 ปีที่แล้ว +1

      글쎄요 타의적이라기보단 스스로 경력을 살리길 원하던데요. 인생에는 직업적인 요소 말고도 신경써야할게 많으니까요. 더구나 경력 8년 있어도 전혀 다른 분야에선 나이먹으면 채용해주지도 않음.

  • @luciddream6343
    @luciddream6343 2 ปีที่แล้ว +7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 @riao6375
    @riao6375 2 ปีที่แล้ว +42

    고민주신 현팸님과 제가 같은 직무라그런지 너무 공감이 되네요..ㅠㅠ
    이형님이 이야기해주신것을 계속 생각해봐야겠어요..

  • @hailey1276
    @hailey1276 2 ปีที่แล้ว +1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wonyi8780
    @wonyi8780 2 ปีที่แล้ว +71

    답은 본인의 목표가 없다는 겁니다 하고싶은것도 없으니 준비도하지 않았고 8년차면 지겨울 때도 됐고 집에 돈이 많으면 그냥 하고싶은거 하면 되겠지만 준비없는 퇴사는 지옥일 뿐입니다 장사를 하던 다른 분야를 하던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아직 젊은 나이니 40 전에는 원하는 삶을 이룰 수 있어요

  • @user-ki6lr2lp2r
    @user-ki6lr2lp2r 2 ปีที่แล้ว

    이형님
    쪽집게 설명 명쾌하시네요.
    강의 잘들었습니다.

  • @user-gn2xf1ul1w
    @user-gn2xf1ul1w 2 ปีที่แล้ว +72

    우리 회사는 이런 광풍 여러번 거쳤어요. 인도나 중국에 있는 서비스 센터로 넘기고 사람 자르고 고객사들이 인도, 중국 서비스 퀄리티에 아우성치고 그래서 또 급하게 사람 뽑고 또 정리하고 .... 어쩔 수 없는 수순인 것 같아요. 외국계는 이런일에 익숙해져야 하고요, 나가야 한다면 돈 받고 나가는거죠. 그런 일에 태연해져야 되요...정말...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ปีที่แล้ว +4

      우리나라는 안그랬음? 다그랬지 쉽게뽑고 쉽게자르고 전자쪽은 다그랬음 다떠났고
      젊은사람들이 공장을 꺼려하는거임 단기에 뽑고 자르는데 돈은안되지 일은힘들지 정규직은 바랬는데 만들고 버려진거지 솔직히 안힘든 공장없지만
      그러니 사람들이 힘안들고 쉬운일하면 살고싶은거지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ปีที่แล้ว +3

      화학약품에 안전장치 없이 일하는데 그게 좋은것도아니고 마스크도안낀체 열악한 환경이니 뭐가 되겠음 떠나는 마음은 이해백번함 백날 중금속에 노출되고 약먹으면서 일하는 아버지들 형들 보면
      참 벌어먹고 사는건 알겠는데 그렇게 살다가는 저승행임 언제갈지모름 근데도 가족을 위해서 사시는 분들보면 대단한거임
      허리하나 피지못하고 쪼그려 앉아 일하시고
      퇴근쯤에는 허리하나제대로 못펴 제대로 걷지도못하니 하.... 마음의 버팀목이라는게 있긴있나봄 사는거 거기서 거기라는데 그런 아픔속이 세상이라니 그것도보지못하고 살아가는 우리는 대체 무엇이란말임? 종교에서는 자신을 사랑하라는데 왜자꾸 세상은 희 생을 강요하니 이게 무슨 억지 논리임
      서로 사랑하며 살라는건데 어느 세월에 거기까지감 솔직 기계든 로봇이든 완전한 물건들은 아무것도없는데 잘못쓰면 다 흉기임 고쳐보겠다고 사고사가 많이나지

    • @user-nf8cf1bx4i
      @user-nf8cf1bx4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그런회사도 많아요. 스타트업가세요.

  • @leehihi8324
    @leehihi8324 ปีที่แล้ว

    힘내세요라고 말하는것보다 위로가되네요
    지식을 조언해주세는데 왜 마음이 따뜻해지죠

  • @pang_z_
    @pang_z_ 2 ปีที่แล้ว +69

    자막 달아주시니까 출퇴근 길에 이어폰 없이도 볼 수 있고 너무 좋네요! 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eeheehee4063
    @eeheehee4063 ปีที่แล้ว +73

    T자형 인재? 직무 전문성? 말은 좋은데 기업에서 전문성 있는 인재로 인정 받을려면 진짜 거의 슈퍼맨 급은 되어야 함.
    대기업 같은데서는 따로 관리하는 인재들이 있음. 하지만 그건 서울대, 카이스트 정도 나온 사람들.
    그 외에는 정말 고과 S급을 몇년 연속 받은 정도 아니면 직무 전문성? 그런거 관심도 없음. (사실 고과 S급 같은것도 실력과 정치의 혼합임.)
    진짜 운 좋게 좋은 팀장급에 좋은 상사 만나면 그 팀장이 팀원의 직무 전문성 인정해주고 아껴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거기서 조금만 더 나아가서 부서장, 그룹장 이상급(이사 이상급) 한테는 밑에서 잘하건 못하건 그냥 기계 부품임.
    (사실 대부분 왠만큼 큰 회사들은 시스템이 갖춰져 있음. 단순히 한명의 기술에 의존해서 어떤 일을 이끌어 나가지 않음.
    그건 대형 조직으로서 리스크가 너무 크니까. 대신 진짜 중요한 인재는 일반 사람의 몇배를 주더라도 잡지만 그런건 정말 극, 극, 극 소수임.)
    직무 전문성은 자기 만족이거나 아니면 자기가 일을 좀 더 잘, 편하게 하고 싶다고 노력하는거 나쁘지 않음.
    하지만 직무 전문성을 갖춰서 부장도 되고, 이사급으로 나가겠다?
    물론 노력하면 가능성이 높겠지만 요새 세상에 몸 갈아넣어서 그렇게 해서 이사급 될 확률 그다지 없음.
    비용 대비 효율이 안나옴.
    사연 보니까 사연자는 직무를 잘 하는것도, 좋아하는 것도, 그렇다고 사회적 기술이 뛰어난 것도 아님.
    회사에서 나가라고 하지 않는 이상 그냥 붙어 있어야 함.
    진짜 자기가 이 회사 다니다간 정신병 걸려서 죽겠다거나 몸이 망가져서 죽겠다 정도 아니면 그냥 붙어있어야 함.
    나는 총 4군데 회사(대기업 3곳, 중견기업 1곳)를 다녔고(대부분 성질이 더러워서 상사랑 싸우다가 때려치웠음.), 그 중에서 한곳이 외국계였는데, 외국계가 훨씬 편함. 뭐 외국계도 어느 나라 인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나 같은 경우는 독일계. 이 사람 이야기 중에 동감하는거 하나는 공무원 사회는 답답해 미침. 공무원 하는 것도 힘들지만, 거기서 말짱한 정신으로 버티기도 힘듦.
    차라리 다니는 회사가 정 싫으면, 이 유튜버 말대로 이직을 해야함.
    그렇다고 새로운 회사에서 뭔가 새로운 삶이 펼쳐질거라는 기대는 하지 말고.
    사람 사는데 다 비슷함. 미친x들 꼭 있음.
    주변에 미친x들이 없다? 그럼 님이 미친 x인거임.
    4군데 다닌 곳중에 그나마 첫번째가 제일 미친x가 작았음.
    왜냐? 그래도 신입 사원 때부터 다닌 곳이기 때문에 자기 동기들도 있고, 좀 더 유하게 평가해 주는 분위기가 있으니까.
    마치 고양이나 개를 새끼때부터 입양한거랑 다 자란 녀석을 입양 한거랑 물론 모든 경우 다 사랑하겠지만, 새끼때부터 기른 경우가 유대감이 더 있는거랑 마찬가지임. 하지만 이직을 하면, 어느 곳이나 텃새 있음. 처음부터 평가의 시선으로 볼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새로운 사람이 오면 경계하는건 인간 본능이고.
    이직할때 딱 하나 볼거는 이직으로 인한 연봉 상승임. 밖에서 아무리 회사 분위기가 어떻고, 부서가 어떻고, 부서의 미래가 어떻고 조사 해 볼려고 해도 안됨.
    그거 부서마다 다 다르고, 회사에서 사람을 뽑는다고 꼭 뽑은 직무대로 쓰지도 않음. 뽑고 나서 사정 바뀌면 거의 바로 부서, 직무 바뀜.
    대학원 석사 나오고 회사가도 자기 원하는 직무 하기 어려운게 현실인데 (사실 박사해도 자기 원하는 직무대로 하는 사람 잘 없음. 다 회사 사정대로 돌아감) 그냥 고졸이거나 대졸이면 회사가 굴리는데로 굴러가야 함. (박사, 석사도 마찬가지지만 조금 덜 하다는거)
    그리고 그 부서의 분위기나 근무 환경. 진짜 케바케임. 사람 잘 만나는거, 거의 로또급 운임.
    그러니까 진짜 진짜 딱 하나, 연봉 상승. 물론 연봉 상승분, 상승된 교통비, 주거비로 다 쓰면 다 쓸모없는 짓이니 위치같은 것들도 고려 사항이겠지만.
    왠지 실력이 없어서 이직 못할 것 같다고?
    회사에서 자주보는 x같은 일 중 하나가, 진짜 일 못하고 다들 싫어하는 고문관 이었는데 이직 잘해서 연봉도 오르고, 보다 큰 회사가서 이름값도 오르는 경우.
    정말 자주 있음. 물론 거기 가서도 여전히 고문관이지만, 기업에서 사람 자르는 거 쉬운일 아님.
    사람 자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부서장, 그룹장 들은 인력관리가 KPI인 경우가 많고, 아무리 밑에서 얘랑 같이 일하기 싫다고 힘들다고 아우성 쳐도 자기가 그 고문관이랑 같이 일하는 거 아니라서 상관없거든. 그냥 같이 일하는 비슷한 직급 사람들만 죽어 나가는 거임.
    그리고 배경 조사 같은것도 요새 하지만, 사실 그거 전화왔을때 우리나라 사람들, 나쁜 이야기 하기 어려움.
    이건 회사에서 x같은 상사 때문에 고생하고, 싸우고 했어도, 그래서 나중에 나갈때 다 엎어 버리고, 투고 이메일 다 뿌리고 그러겠다고 마음 먹은 사람들도 막상 나갈때 되면 나간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해져서, 사람 연이 또 어떻게 닿을지 모르는거 좋은게 좋은거란 생각으로 조용히 나가는 것 마냥, 나간 사람 배경 조사한다고 전화와도 진짜 부모의 원수 정도 아니면 나쁜 이야기 하기 힘듦.
    이 유튜버 이야기는 진짜 너무 뜬 구름 잡는 소리임. 마치 자기 개발서 같은.
    회사에서 잘되고 잘못되고는 직무 성과 + 인간관계 + 정치질 다 섞인거임.
    사연자처럼 인간관계, 정치질에 전혀 소질 없으면 진짜 아무리 열심히 직무 파고 든다고 해도 잘되기 어려움.
    그냥 자기 만족이라는 범위에서 노력한다는 생각이어야지 이걸 하면 뭔가 드라마틱하게 달라질거라는 생각? 실망 밖에 안남음.
    이 회사만 나가면 뭔가 잘 될거라는 생각? 이것도 대부분 그냥 실망 밖에 안남음.
    물론 이 회사가 불법적인 업무를 시킨다거나(야근 시키는데 돈 안주는 그런거 자잘한 것 말고, 진짜 불법적인, 분식회계 같은, 회사에 인명 사고 났는데 119 부르지 말고 조용히 해결 시킨다던가 그런것들), 월급이 연체 된다거나, 위에서 말했듯이 자기가 여기 남았다가는 몸이 안남아 날 것 같다, 정신이 망가질 것 같다라는 경우에는 그만둬야 함. 무조건.
    하지만 그런거 아니면 사연자 정도로 일 잘 못하고 사회 생활 기술 없으면 그냥 철판 깔고 남아 있어야 함.
    아님 철판깔고 자기 잘 포장해서 이직해야 하고.
    회사에서 겪는 스트레스? 돈 없는데서 오는 비참함에 비해서 새발에 피임.

    • @hajagu8813
      @hajagu881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피같은조언.. 사회초년생이지만 이분의 조언은 진짜 현실적이게보이네요 감사합니다

    • @ByeolGweng_E
      @ByeolGweng_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읽었습니다, 성심성의껏 글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q3np4ol9x
      @user-vq3np4ol9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진짜 현실적이다. 진짜로
      회사에 너무 목메지 말고 재테크 하세요. 제아무리 S급 인재라도 대기업 시스템 안에서이지, 그 시스템 없으면 결국엔 아무것도 못합니다.
      그리고 나없으면 안돌아간다?ㅋㅋ
      좋은회사는 사람 없다고 안돌아가지도 않고요. 만약 나없다고 안돌아가는 회사면 진짜 탈출해야 할 회사임.
      시스템도 없는곳이 복지 챙겨줄 이유 없음

    • @user-gb2vc8vd4l
      @user-gb2vc8vd4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와 나도 프로이직러이지만 ㅋㅋㅋ 공감한다. 하지만 무조건 이직한다고 기대안하는것에는 공감하고, 더 안좋은회사 갈 수도 있지만, 나같은경우 더 좋은 회사들을 더 많이 가긴했음. 고로 이직은 나와 맞는 회사를 최대한 찾아가는 기회임. 젊을 때 조금이라도 이 기회를 찾아서 활용해야 하는것임.

    • @user-wc9ni1yv7r
      @user-wc9ni1yv7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피같은 조언이다

  • @user-yj6ye4zk8v
    @user-yj6ye4zk8v 2 ปีที่แล้ว +150

    어차피 퇴사하게 된다면 제 발로 나가지 마시고 정리해고 당하셔서 실업급여 받으세염...

    • @user-yi3vl2og9q
      @user-yi3vl2og9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차피 퇴사할거 정리해고당하기전까지 지나가는 시간이 너무아깝죠

  • @user-jp4rl5mn6r
    @user-jp4rl5mn6r 2 ปีที่แล้ว +148

    예전 첫월급 받았을때 부모님 말씀'남의 돈 가져오는게 쉬운게 아냐'

  • @bang_ceo
    @bang_ceo 2 ปีที่แล้ว +51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근데 원래 태어날때부터 말을 이렇게 잘하셨어요??
    제가 근래 본 유투버분들 중에 제일 말을 잘하시네요..
    아주 훌륭한 강점을 지녔네요 💪🏻

  • @davecheon1894
    @davecheon1894 ปีที่แล้ว +1

    와 다 공감되는 말씀…

  • @user-up5il6fr9n
    @user-up5il6fr9n ปีที่แล้ว +117

    그냥 회사가 바라는 사람 정리해드림
    1.실력은 경력자 실력이지만 월급은 신입 월급 받을수있는사람
    2.출근은 줫나게 일찍하되. 출근카드는
    정시에 찍고. 퇴근카드도 정시에 찍되
    야근 수당 안받고 야근할수있는사람
    3.아부 잘떠는사람

    • @IM_Jokerz
      @IM_Jokerz ปีที่แล้ว +10

      아부땜에 퇴사하고 싶음...난 남들에게 관심없는데...

    • @ohdanee3970
      @ohdanee3970 ปีที่แล้ว +3

      @@IM_Jokerz 관심이랑 아부는 다름

    • @10002kc
      @10002k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출퇴근 시간은 그냥 있는 그대로 찍는게 좋아요
      출퇴근 시간이 근태에 아주 큰 영향을 줍니다.
      지각만 안해도 되는 아니고
      지각을 안하는게 기본이고
      그 외에 시간을 어떻게 기록된건지도 중요하죠

    • @user-hk9jo4wx3r
      @user-hk9jo4wx3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네 족같네

    • @greentree8862
      @greentree886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1번정답😅😅

  • @star-3481
    @star-3481 2 ปีที่แล้ว +128

    역시 이형님! 항상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 감사합니다.
    취준시 이형님 유튜브보면서 정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 덕분에 원하던 회사는 아니었으나 현재는 오히려 더 만족스러운 회사에서 회사생활을 하고 인재로 인정 받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모든 영상을 보는 것은 아니지만 회사 생활, 마인드 와 같은 부분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 받겠습니다~ 이형님 화이팅!^^

  • @palpalham
    @palpalham 2 ปีที่แล้ว +69

    역시 나혼자만! 나만! 할 수있는 일을 만들기위해 노력하고 있었는데... 너무 힘들었거든요.ㅠㅠ. 심지어 지금 이직까지 연속으로 1달에 2번하게 생겨서 ㅋㅋㅋㅋ 다시 필살기를 어떻게 갈고 닦아야할지 고민입니다만 살아남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노력 해야겠네요 오늘도 많이 배워갑니다!!!! 아자!

  • @user-gh9iz1qk9f
    @user-gh9iz1qk9f ปีที่แล้ว +15

    이형님 덕에 아이디어 하나 더얻어갑니다
    학교다닐때제가 캐드설계를했었는데 설계툴만잘다루는것뿐만아니라 말씀하신 T자의 ㅡ부분이 바탕이 되어야한다는걸깨달았어요, 금형, 공조냉동, 구조해석학, 물리/역학을 알아야 제대로된설계자인거죠.

  • @ohora1993
    @ohora1993 2 ปีที่แล้ว +4

    든든해요🥰

  • @user-lq5qu4ce4i
    @user-lq5qu4ce4i 2 ปีที่แล้ว +270

    지식근로자가 되자..!!!
    저도 말하면 아는 회사를 다니고 있는데 뜨끔하고 고민하는 부분이에요 ㅠㅡㅠ
    T자형 인재 그래서 사업쪽 부서이지만 재무, 인사, 쿼리 등 공부중이에요 잘 하고있는지는 모르겠네요 모두 꾸준히 화이팅!!!
    고객, 목표, 학습 !!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5

      ??? 공부도 별로 하고싶지않은...

  • @dwpckr
    @dwpckr 2 ปีที่แล้ว +75

    이미 수많은 직업들이 없어지고 있음.. 코로나가 그걸 더 가속화시키고 있고요. 제가 하는 일이 근로자들 대신 하는 프로세스 만드는 일이라서 역체감 심하게 오더라구요. 사람만 할수 있는일 해야한다. 정말 맞는말입니다.

    • @user-uz870
      @user-uz870 2 ปีที่แล้ว

      점점 무인화 되어가겠죠.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ปีที่แล้ว +1

      @@user-uz870 ㅋㅋ무인화는 ㅋㅋ그것도 다사람임 나가서 일해보셈 무인화무인화 말하시는데 3d직종에서 일하는게 더많음 왜냐면 기계가 그속도를 만들수도없고 부수적인 일은 해결할수없기때문임 기계한대당 인간이 관리하는거임 로봇이대체하면 ?줄줄이 불량이나왔을때 확인이안됨 다폐기임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ปีที่แล้ว

      @@user-uz870 그리고 기계적 오류와 환경적 오점은 누가해결할것이며 관리는 누가할거임? 기계는 사소한부품이 기계에껴도 돌아가는게 기계임 그걸 계속 봐야하는거임

    • @user-uk4fc2vs2w
      @user-uk4fc2vs2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러니까 10명 필요한걸 1명 만 있으면 된다는 거잖아 머리 왜달고 다님?

    • @riesunshine9011
      @riesunshine901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식으로 댓글 쓰실거면 아예 쓰지 마세요. 이 댓글 하나에 수많은 사람이 기분 나빠할것은 왜 생각 못하세요?

  • @gyan5256
    @gyan5256 2 ปีที่แล้ว +69

    회사는 필요없으면 바로 버리는 장소.
    개인적으로 먹고살수있는걸 만들어야 하는게 맞아 보입니다.,
    어쨋튼 회사에선 사장이아닌이상 나가야하니깐요..

  • @user-dl9ot7wi9i
    @user-dl9ot7wi9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매번 느끼는거지만 이 분야 상담 만큼은 이형이 최고!

  • @user-gc7ut4mp9i
    @user-gc7ut4mp9i ปีที่แล้ว +15

    공감합니다 회사의 필수 인력이 되면 주종이 역전되는 것도 생기죠... 대체인력이 나오기 전까지 혜택을 거의 요구하는대로 받을 수 잇는 것도 메리트..

  • @heyru8295
    @heyru8295 2 ปีที่แล้ว +75

    고객, 목표, 학습 이 세고리를..어려워요 혹시 어떤영상을 보면 도움이 될까요??
    아,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덕분에 많은 걸 깨닫고 배우고 적용하려고 노력중입니다🧡

  • @miyoon6380
    @miyoon6380 2 ปีที่แล้ว +52

    전문성 쌓기 그리고 점진적 영역의 확장! 사람만 할 수 있는 능동적인 일

  • @user-ve2ss7zd5j
    @user-ve2ss7zd5j 2 ปีที่แล้ว +1

    너무 좋은 채널이네요

  • @user-px5xe1zb5f
    @user-px5xe1zb5f 2 ปีที่แล้ว +176

    회사에서 사람 안짜르는것도 문제다..

  • @elfrandy
    @elfrandy 2 ปีที่แล้ว +2

    꼰86텃세 ㅎㅎ 생각만해도 숨이 턱턱 막히네요

  • @hh-gx6tk
    @hh-gx6tk 2 ปีที่แล้ว +75

    그래도 좋은회사라 짜르고 실업급여 타게 해주네요.. 나쁜회사는 절대 자르지 않습니다 실업급여 못타게 하려고 자발적으로 그만두게 온갖 편법을 총동원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7

      짤리고 실업급여 타기 vs 안짤리고 최대한 버텨내기

    • @hh-gx6tk
      @hh-gx6tk 2 ปีที่แล้ว +5

      @@deadChannel44446 좋은회사면 후자 나쁜회사면 전자

    • @조아하자
      @조아하자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건 솔직히 공감함... 진짜 나쁜 회사는 주7일 12시간 이상 일시키고 밤샘근무 시켜서 과로로 몸 축나게 해서 스스로 나가게 합니다...

    • @AI-jh5lp
      @AI-jh5l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 자르고 퇴직금 안주고 실업급여 타게 해주시더라고요^^ 야근수당 왜 줘야 되냐며 소리지르는데 미친여자인줄

  • @sweetallier
    @sweetallier 2 ปีที่แล้ว +36

    아... 저는 이미 몇 년전에 이 광풍에 씨게 정통으로 맞고 집으로 들어오게 된 1인... 그 이후로는 회사의 회자도 돌아다보기 싫어졌...ㅠㅜ
    얼마나 그간 힘들었던가, 쉬는 1~3년 동안 몸이 많이 아팠답니다...ㅠㅜ 에효... 이제는 좀 괜찮아졌는데, 대신 오래 쉬었더니, 저질 체력이 더 급저질...ㅠㅜ
    약먹고 영양제 먹으면서 회복하려는데, 영 그시절만 못해요... 아... 이게 정말 건강도 무시 못하네요... 막 열심히 하고 싶은데, 하다보면 체력이 급소실돼서 사그러짐...
    오늘 저 책 한권 다 읽는다 하지만, 10시만 되면 머리가 무거워지면서 온몸이 녹아내립니다... 여러분... 건강과 운동 꼭 챙기세요... 이것이 또 추진력입니다...

    • @jjunm2
      @jjunm2 2 ปีที่แล้ว

      건강이 무엇보다 최우선이죠

  • @user-oe7on3fd9x
    @user-oe7on3fd9x 2 ปีที่แล้ว +83

    자영업주입니다.
    가장 짜르고 싶은 직원은 잔머리굴리는 직원입니다.
    젊은 사람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젊고 건강하고 순수하고 열정적이라는 겁니다. 잔머리는 이미 나이 먹고 경험많은 사람들의 장점임. 잔머리 굴리는 거 다 보이는데 지 잘났다고 잔머리 굴리는 직원보면 제일 먼저 자르고 싶습니다.
    두번째로는 자기 마음대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직원입니다.
    업주가 이렇게 하라고 하는 것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 가장 합리적인 지시를 하는 겁니다. 그걸 자기 임의대로 하다가 실수하면 그 직원은 또 초보라고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손해는 오롯이 업주가 집니다.
    셋째로는 거짓말을 하는 직원입니다.
    거짓말이 무슨 대단한 거짓말이 아니라 시간약속 출퇴근시간 조퇴 결근 반차 월차 이런거 잔머리 굴려서 거짓말하고 악용하는데
    본인은 현명하고 똑똑하다고 생각하지만 업주 입장에서는 거짓말하는거 다 보입니다.

  • @user-sg9gx5ei8s
    @user-sg9gx5ei8s 2 ปีที่แล้ว +52

    현실주의가 답이다. 결국 변화해야산다.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이상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

  • @kennygo770
    @kennygo770 2 ปีที่แล้ว +8

    전 한국계다니다 정치문화가 싫어 직종 다른 일본계로 옮겼다가 직종이 안맞는게 느껴져서 다시 나와서 일년정도 백수 생활하다가 돈 다 떨어져 외국계 들어가서 좀 더 원하던 일 시작했습니다. 근데 나이먹고 역시 쉽진않네요. 업무 적응 하느러 스트레스 받으며 공부하고 잠도 잘 못잡니다. 그래도 잘하게 되면 재미있을거 같아 기대감도 있고 무엇보다 외국계가 상사나 주변사람 신경안써도 되는게 좋더군요. 물론 그 안에서도 끼리끼리가 있긴한데 제 역량에 포커스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이 영상이 딱 뜨네요 신기.

  • @user-eg5bg3jk5c
    @user-eg5bg3jk5c 2 ปีที่แล้ว +259

    직장에선 실력이갑... 여튼 입사하는순간 빨리벌어 목표이루고 그만둘 생각해야됩니다.
    직장따라 다르지만, 자기사업, 장사하는게 중요해요.

    • @nedoo_
      @nedoo_ 2 ปีที่แล้ว +41

      저도 이생각입니다. 결국 회사에선 언젠가 버려질거

    • @hongyo122
      @hongyo122 2 ปีที่แล้ว +15

      그러게요 시간의 문제 나라고 안심하면 안되죠 그다음은 나 그다음은 너...ㅠ

    • @user-yq5pd3ks9q
      @user-yq5pd3ks9q ปีที่แล้ว +23

      진짜 맞습니다.. 회사는 저 뿐만 아니라 그 어떤 사람이라도 잠시 지나치는 것 일뿐… 공무원도 마찬가지 입니다. 결국 자기 자신이 사업을 하던 개인적인 일을 해야합니다. 30에 퇴직하나 40에 퇴직하나 50에 퇴직하나 60에 퇴직하나 70에 퇴직하나.. 퇴직금의 차이는 나이를 먹는 것 일뿐… 퇴직금과 열정을 바꾼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user-kg6bo9pq2r
    @user-kg6bo9pq2r ปีที่แล้ว +49

    처음에는 너 필요없다고 나가라고 할 땐, 회사 사람들 모두가 배웅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왕따 당했던 친구가...2년 지나고 다시 저번 회사에서 연락와서 들어와 달라고, 그것도 사장이 직접 전화했다고 하더군요.
    다시 기회가 왔는가 해서 갔는데, 물론 조건은 월급은 더 많이 받구요...
    갑자기 직원들이 엄청 친절해 졌다고 하더군요...그간 무슨 이유가 있었는지 모르지만, 후임자들이 엄청나게 깽판쳐놨다고 하더군요..ㅋㅋㅋㅋ

    • @user-ig7yi9er1m
      @user-ig7yi9er1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나같으면 다신안가는데

    • @hyeon1004.
      @hyeon100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다시 연락오는 이유 일 잘해야 옵니다 사람들이 잘 안들어오거나 와도 힘들거나 머리쓰는 일이거나 혼자서 하기 힘들어서 그만두는 직장에서 연락오더라구요 필요없을 때는 나가라는 뉘앙스 풍기더니 사람들이 잘 못하고 안오니 다시 연락오더라구요 직장 그만두고 연락처 카톡 다 차단 시킴 번호는 뜸 같이 일하는 사람이 저희 집 쌀배달 한달에 한 번 오는데 1년 넘게 찾더라구요 그래서 안간다고 했음

  • @user-nf1nt6qn2l
    @user-nf1nt6qn2l 2 ปีที่แล้ว +7

    이 이야기를 보면서 얼마 전에 다른 채널에서 본 머스크의 인터뷰가 생각이 나네요
    인터뷰어가 머스크에게 어떤 인재를 선호하는지를 물어보는데 머스크이 어떤 대답을 한 이후에
    이런 말을 하더라구요
    '유용한 사람이 되어야한다.'
    어떻게 보면 주체 없이 누군가의 필요에 의해 내 삶을 바쳐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어서
    헛소리로 치부할 수도 있는 말이지만
    머스크는 유용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책을 정말 많이 읽어'서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분야가 없는 수준이 되도록 읽어한다.
    라고 말을 합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이형님이 말씀하신 T자형 인재와도 연관성이 있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 @jenijenijeni
    @jenijenijeni 2 ปีที่แล้ว +1

    우연히 들어오게 되는데 들어보니 맞고 이해됩니다

  • @user-rs8qt5dv3t
    @user-rs8qt5dv3t 2 ปีที่แล้ว +26

    그쵸 세상에서 제일 쓸데없는 짓이 회사 믿는거에요.. 이거만큼 호구 없어요

    • @sound13535
      @sound13535 2 ปีที่แล้ว

      ??? : 믿음으로 가는거지 엌

  • @user-hg1nd2ht9n
    @user-hg1nd2ht9n ปีที่แล้ว +11

    다공감하지만 회사생활하면서 정상적인 사람이 고성한번 안들을수있냐는 이 문화가 사라져야한다고 봅니다.
    화내고 샤우팅하면 뭐 일이잘풀리는것도 아닌데, 뭐하러 그러는지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딴사람시키던지 하면되지 뭐하러 그래요 어차피
    그렇게 맘에 안들면 인사평가도 짜게줄거면서 뭐하러 화까지 내는지 도통 이해가 안갑니다.

  • @user-K-RM-1016
    @user-K-RM-1016 2 ปีที่แล้ว +20

    고등학교교육이 이런식으로 바뀌었으면...
    즉 업무능력을 키워줬으면 좋겠으면 좋겠습니다.

    • @GongBalZil
      @GongBalZil 2 ปีที่แล้ว +1

      ㅋㅋㅋ뭘안다고 능력을 키워? 공부나해

    • @user-nx2py9lp9z
      @user-nx2py9lp9z ปีที่แล้ว +1

      학습하는곳에서 업무능력을 가르치라고? 가뜩이나 학문을 탐구하는 대학이 취업훈련소라는 세상인데?! 무식한거야? 생각이없는거야?ㅡㅡ

    • @kini3234
      @kini3234 ปีที่แล้ว +1

      일단 공부나해 국영수 다 필요함 살아보니까

  • @user-hw1jv6uv3p
    @user-hw1jv6uv3p 2 ปีที่แล้ว +170

    대학 졸업하자마자 공기업 다니다가 퇴사하고 지금은 개발자된 사람입니다. 불과 한달전만 해도 스타트업에서 연봉 3000받다가 이번에 대기업으로 이직하면서 7000이상으로 뛰었습니다. 전직하면 전보다 오히려 연봉도 줄고 입지도 좁아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 미래는 무조건 개발자가 유망한 업종이 될거라고 생각하고 1년 공부해서 개발자로 직종 전환했습니다. 인생에 있어서 4년정도 남들보다 뒤쳐지게 된 셈인데 후회 안 합니다. 지금 당장 밥벌이에 급급하지 말고 좀만 멀리 보고 스스로에게 투자하세요. 그게 길게 가는 방법입니다.

    • @user-vn7wf6ps4e
      @user-vn7wf6ps4e 2 ปีที่แล้ว +1

      어떤거 개발하시나요?

    • @user-hw1jv6uv3p
      @user-hw1jv6uv3p 2 ปีที่แล้ว +5

      @@user-vn7wf6ps4e 루비로 웹개발하다가 지금은 c언어로 바꼈습니다 ㅎ

    • @user-hw1jv6uv3p
      @user-hw1jv6uv3p 2 ปีที่แล้ว +2

      이제 개발분야도 웹개발은 아니고 바꼈습니다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혹시 인공지능도 개입하나요?

    • @yobinara
      @yobinara 2 ปีที่แล้ว

      개발자 진로관련해서 좀 여쭤볼 것이 있는데 메일이나 연락을 좀 드릴 수 있는 창구가 있을까요

  • @user-uv6ys6mq1s
    @user-uv6ys6mq1s ปีที่แล้ว +80

    저도 직장생활하면서 어제 짤렸거든요 그래서 다시 구직중인데 제가 사실 일처리가 늦는거 맞지만 회사에서 아직 다 배우지못한부분이 반이상인데 바로 짤려서 억울하고 어이가 없어요 ㅠㅠ 이 이야기 듣고 저도 공감이 되네요 ㅠㅠㅠ 저도 다시 공부해서 화이팅해야죠 ㅠㅠ

    • @user-ki2vw1xq9e
      @user-ki2vw1xq9e ปีที่แล้ว +9

      저는 지인으로 들어갔다가 6개월 다녔는데 제가 컴퓨터로 일처리하는데 못해서 힘들어했는데 회사 대표가 일 못하고 힘들다고 매일 그만두고 싶다고 말한다고 부모님한테 대놓고 면전앞에서 말했다고 해서 낙심했습니다. 그래서 주변 직원들은 남으라고 했지만 자존감 멘탈이 약해져서 그만두었습니다. 아쉽긴 했어요. 심리치료 받고 좀 나아졌지만 또 들어가고 싶기도 하지만 이와 같은 일을 반복하고 싶지 않네요.

  • @user-tm7vl7kr1k
    @user-tm7vl7kr1k 2 ปีที่แล้ว +68

    스타트업 중소기업 일부 회사 수습기간 중 언제든(?) 직원 짜를수있다고 생각하는듯요
    내 역량 쌓아서 안 그런 회사 들어가는게 최선인듯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user-cp7ie2vk7h 뭔 개소리임?
      고인물 일 잘하는거 절대 부정하면 안되지

    • @Seika_park
      @Seika_park 2 ปีที่แล้ว +6

      @@user-cp7ie2vk7h 문제는 님처럼 20년전에 실제로 그렇게했다가 고인물들이 사장과 정경 유착하여 오히려 안나가고 신입들이 해고 입사를 반복하는게 문제겠죠.
      일잘하면 인정해준다고요!?아니오! 일못해도 술만잘 마시고 아가씨 잘꼬시고 유흥잘하고 사장님부장님 차장님상무님 아부 하는것만잘하면 그게 일잘하는거예요.
      당연히 생산성은 떨어지고 매출은 없는데 중소기업 지원금으로 연명하는 좀비기업화가되면 결국 대기업의 하청 노예기업이 되어 단가경쟁하며 피터지게 싸워야됩니다.
      그러면 사장님도 가난, 직원들도 가난 . 모두가 평등하게 가난한 공산주의식기업 완성 이 됩니다.

    • @Seika_park
      @Seika_park 2 ปีที่แล้ว +3

      @@user-cp7ie2vk7h 그러니까 일잘한다고 느끼는걸 어떤 지침을 근거로 판단할까요? 대기업은 모르겠지만 좋소기업에서는 신입이 자기네들이 못 버텨서 나가는경우가 많고 잘하면 붙잡는다는데 신입을 붙잡아요???
      그리고 퇴사사유중 3위~4위가 이거였습니다
      "잦은 회식"

  • @user-ql9hx2gx8h
    @user-ql9hx2gx8h 2 ปีที่แล้ว

    지금 일하는 곳에서 뭔가를 준비하고 있다는 느낌에 불안감이 피어나요 ㅜ 뭔가 내가 없어도 회사가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만들고 있다는 느낌에 불안했는데 이 일의 큰 흐름을 파악하고 본질을 파악하고 노력하면 되는 건가요?

  • @DTEX2
    @DTEX2 2 ปีที่แล้ว

    잘 봤습니다.!1

  • @johnysuh
    @johnysuh 2 ปีที่แล้ว +9

    아 내가 직무 산업 직장을 한번에 싹다 바꿔서 힘들었구나..
    해외영업에서 PM으로 철강에서 IT로 직장을 다른곳으로..

  • @user-wk7nc5gr4e
    @user-wk7nc5gr4e 2 ปีที่แล้ว +31

    사연자분 나이가 좀 있다면 공무원 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 적어봅니다.
    저는 예술을 전공하고 그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공무원이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절대 적응 못 할거라고 얘기했는데 정말 적응 못하겠어요. 업무가 반복적이고 기계적이라서요. 그래도 의외였던건 조직문화입니다. 꼰대와 정치질 속에 고통당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중소 일할때보다 훨씬 덜해요. 특히 9급에 가까울 수록 그냥 월급 받아서 하루하루 가족들과 행복하게 별탈없이 지내기를 바라는 서민들이라서 그냥 자기일 하고 칼퇴하기 바쁩니다. 남들한테 말한마디라도 행여 잘못했다가 징계나 여러 귀찮은 일에 휘말릴까봐 바람에 부는 낙엽도 조심하더라구요. 직급마다 좀 다르겠지만 한국식 꼰대어른들 상대하는거는 어딜가나 있는 일이고 그냥 그러려니 견뎌줄 정도는 돼요. 특히 나이많은 9급? 누가 건드리겠습니까. 그저 사기업에서 받던 돈 생각하시면 생계유지가 어려울 정도이니 그정도만 감안하고 들어오시면 됩니다.

    • @hel814
      @hel81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나도 예술분야에서 공무원으로 넘어왔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말과 행동을 굉장히 조심하고 과장급 국장급 되면 재미없는 아재개그나 농담을 계속 던질지언정 말실수는 하나도 하지 않음. 꼰대문화는 크지 않지만 하위직으로 갈수록 업무 떠넘기기 문화는 확실히 있음. 5~10년차된 분들중 편한업무만 찾고 힘든 업무는 신규들이나 만만한 사람에게 떠넘기는 경우 많음. 여기는 커리어적으로 성장하거나 자아실현하기 위해 들어오는 사람이 없기 때문애

  • @chea9396
    @chea9396 2 ปีที่แล้ว +9

    완전 쉽든데 딱 회사에 매출을 가져다주느냐 아니냐로 쳐내더만... 아니면 대체 불가능한 직무든가(프로그래머라던지...)

  • @ruthkim9650
    @ruthkim9650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su3xd7hz9u
    @user-su3xd7hz9u 2 ปีที่แล้ว +87

    어차피 경쟁이다 지식근로자? 그자리가 누구나 차지할까? 어차피 도태되는 사람은 생기기 마련ㅋ 무한경쟁 시대임 워라벨 같은 소리 떠들면 당연히 밀려나게 되어있음
    회사는 이익집단이지 복지단체가 아니기때문임

    • @user-ub9lx9db5s
      @user-ub9lx9db5s 2 ปีที่แล้ว +5

      ㅇㅈ

    • @user-fk2bc7fv5k
      @user-fk2bc7fv5k 2 ปีที่แล้ว +4

      남의돈 벌기 힘듬

    • @eesoggun
      @eesoggun ปีที่แล้ว

      근데 대부분 워라벨 외치면 답없을걸

    • @user-bx4lr6tg4t
      @user-bx4lr6tg4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감함ㅋㅋㅋ 그래서 댓글보면 도태될 애들 많아서 좋음ㅋㅋㅋ 회사에서 도태될 애들은 그냥 조언도 충고도 안해주고 걍 내버려둠ㅋㅋㅋ 평생 그러고 살 애들이라~ㅋㅋㅋ 결국 도태될 애들은 이직하면 그만이야! 이러면서 무한 이직러가 되지만, 결국 연봉인상에 한계점에 도달할 수 밖에 없음. 실제로 예전에 내 직장 동료 중에 한 명이 그렇게 살다가 내가 설립한 회사에 이력서 넣은거 보니.. 무한 이직했지만 연봉 인상은 겨우 2~300 올리고 또 퇴사하고 100~200올리고 그러다가 이직한 회사에서 또 얼마 못있다 퇴사하니까 재직기간만 계속 짧아져서 마지막 회사 연봉은 낮춰서 갔는데(결국 제자리연봉인셈ㅋㅋ) 재직 중이면서 이력서 넣은 게 내 회사ㅋㅋㅋ
      이 영상 보면서 내가 그동안 회사에서 T자형으로 일했었던거였단 걸 알았네요. 나는 내 손으로 이력서 넣은 건 신입 몇 년 밖에 없고 경력직 달고 난 뒤로는 무조건 스카웃되서 감. 그렇게 연봉인상도 몇 천씩 올려서 갔었고. 그러다가 최종 트리는 창업이었기 때문에 창업하고 전 직장 대표님들이랑 이제 대표들끼리 자리하면서 만남.
      도태될 애들이 있어야 인재들이 빛나는 법이다. 그냥 도태될 애들은 내버려둬요. 말해줘도 안바뀌도 못바뀜. 세상 이치가 그렇지 뭐..ㅋㅋㅋ

  • @user-ek1ks3nv2j
    @user-ek1ks3nv2j 2 ปีที่แล้ว +157

    기계공학 전공하고 직장다니면서 전기전자공학 깔짝, 코딩 깔짝, 영어 깔짝, 일본어 깔짝, 그리고 다독.. 처음 시작은 미약했고 보잘것 없었지만 하나하나 성과가 나오고 연결되면서 유니크한 인재가 되가고 있다고 느꼈는데 이형이 말하는 'T자형 인재'네요 ㅎㅎㅎㅎ
    기계 쟁이 주제에 전기기사, 토익 900에 오픽 AL에 일본어 JLPT N1, 일본어 오픽 AL 딴다고 무슨 소용이냐는 소리 많이 들었는데 막상 하나하나 성취하고 나니 나만의 역량이 된 것 같습니다. 신입때는 남들 놀때 한두시간 할애하는게 정말 고통스럽고 힘들었는데 지금은 그 덕을 좀 보는거 같아요. 앞으로도 새로운 도전 꾸준히 하려고 합니다^^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mino5184
      @mino5184 2 ปีที่แล้ว +18

      대단하시네요. 저도 기계전공인데 제 주변에 기계쪽도 잘 못하면서 이것저것 깔짝깔짝 알아서 괜히 다른 사람에게 참견질하고 얕고 넓게 아는 사람들은 결국 도태 되더라구요. 특히 메카트로닉스과라도 반드시 자신에 뿌리게 되는 정공은 하나 있어야 되더라구요.

    • @user-yq7ke5ou2c
      @user-yq7ke5ou2c 2 ปีที่แล้ว

      오와아ㅏ 제가 딱 가지고 싶은 성취 목표를 이루셨네요

    • @Gen.G_is_a_SSG_trophy_robber
      @Gen.G_is_a_SSG_trophy_robber 2 ปีที่แล้ว +1

      전자공학과 화학, 물리학을 이해하는 기계과와 그렇지 못한 기계과는 차이가 크죠. 그래서요즘 융합과나 복수전공이 유행인것 같습니다

    • @gae9333
      @gae9333 2 ปีที่แล้ว +1

      책은 주로 어떤걸 읽으시나요?

    • @infj6668
      @infj6668 2 ปีที่แล้ว

      기계전공자로서 엔지니어로 성장하고자 노력하는데 님이 딱 워너비입니다 멋지십니다

  • @aquakbh
    @aquakbh ปีที่แล้ว +8

    난 지식근로자가 되기위해, 전기기사, 소방설비전기, 소방설비기계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전기, 소방 안전관리자로 법적 선임되어서 일합니다. 자격증취득하고나서 공사현장에서 그야말로 노가다하면서 실무기술을 2년정도 익히고나니. 이제는 안전관리자로 편하게 일하는데, 안전관리자로 일하면서도 설치된 소방설비들을 하나씩 뜯어보면서 수리도하고, 소방점검할때, 일일히 쫒아다니면서 배우고나니 이젠 좀 자신감이 드네요... 안전관리자로 실무를 익히고 나니 직업의 안전성도 있고, 60넘어서도 계속 일할수 있으니 일단 마음은 놓이는데... 내년에소방시설관리사에 도전합니다. 소방시설관리사와 소방기술사를 60되기 이전까지만 취득하면 직업적 안정성과 전문성, 고속득을 보장받을수있을것같아서 이것을 목표로 공부하면서 일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로 제가 이쪽분야로 눈을 돌리기전에 하던일은 전기 소방일과 전혀 무관하던 일을 했었습니다. 지금 당장에 힘들더라도, 직업군을 전향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 @user-sg8zn3zo3d
    @user-sg8zn3zo3d 2 ปีที่แล้ว +18

    고문관은 어떤 조직에서도 기피대상이다.
    일을 너무 못하거나 상사/조직과 소통이 안되거나.

  • @user-mv5gp5qm3d
    @user-mv5gp5qm3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저희 회사는 누굴 자를까 생각하지않고. 일을 못하는 사람을 어쨋든 데리고 있는데.. 나머지 사람이 일이 너무 많아서 힘듭니다. 근데 일을 못해도 계속 일을 주는 것도 신기합니다.

  • @user-jp3de2mu5z
    @user-jp3de2mu5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사회초년생을 넘은지 오래.. 13년차
    어느 정도 괜찮은 회사에 다니고 월급도 뭐 나쁘지 않고.. 보너스도..
    하지만 끝도 없는 일을 하다보면 지치고 그래서 유튜브를 틀었는데..
    이런 영상보면 지친다..
    물론 누군가에게는 도움 되는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가던 길 갈게요..

  • @user-cw2vb2gp9o
    @user-cw2vb2gp9o 2 ปีที่แล้ว +73

    육체노동하세요. 그냥 대가리 지진날거같으면 노가다하라는 뜻이 아니고 서비스기반 업무를 하는게 차라리 속편할수도 있어요. 어차피 업무 스트레스 높으면 끝이 안좋음. 일찌감치 주제파악하고 한살이라도 젊을때 과감한 결단내리는게 중요함.

  • @user-ek6vk2tl8h
    @user-ek6vk2tl8h 2 ปีที่แล้ว

    서로 마찬가지죠

  • @user-zt9yz7rz7u
    @user-zt9yz7rz7u 2 ปีที่แล้ว +29

    나이 많으면 회사에서 경력자 아니면 안뽑죠 그리고 회사나가서 다른회사 들어갈자신있으면 그만둬도 되는데
    그럴 자신없으면 그냥 다니삼 현실임

    • @user-uz870
      @user-uz870 2 ปีที่แล้ว +4

      그냥 다니고 싶어도 눈치 주면서 갑질 합니다. 스트레스만 더 받아요.

    • @user-ki9hq9mk6p
      @user-ki9hq9mk6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z870저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ㅠ

  • @user-pn9lv2qj4j
    @user-pn9lv2qj4j 2 ปีที่แล้ว +9

    1:45 ㅋㅋㅋㅋㅋㅋ ㅠㅠ

  • @hardcore100su
    @hardcore100su ปีที่แล้ว +21

    그래도 안쫓겨나고 살아남은 건 그간 쌓아온 신뢰가 있다는 뜻 같은데 사연보내신 분 너무 기죽지 말았으면...! 화이팅👍

  • @Jerome_H_Powell
    @Jerome_H_Powell 2 ปีที่แล้ว +44

    나를 키워주는건 부모님밖에 없다.

    • @hyeon1004.
      @hyeon100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부모같지 않은 부모는 없는 게 나아요

  • @chicness
    @chicness 2 ปีที่แล้ว +1

    👍

  • @DiverJake
    @DiverJake ปีที่แล้ว +8

    식물을 키워보면 안다.
    나무는 끊임없이 성장하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뿌리, 줄기, 잎이 필요하다.
    새로운 잎에 투자하고, 뿌리와 줄기는 그 투자한 잎에 끊임없이 수분을 공급하고, 양분과 수분이 투자된 잎에섯는 끊임없이 양분을 생산한다.
    뿌리는 굶어지고, 줄기도 굵어진다.
    하지만, 오래된 잎이 효율성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자연스레 떨궈버린다.
    물론, 효율성이 떨어진 가지도 통채로 떨구기도 한다.
    그렇게 나무는 성장한다.
    본인이 회사에서 뿌리나 줄기가 아니라면 이파리 인 거고, 이파리는 원래 그런거다.

    • @hiro_92365
      @hiro_9236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존나 잔인한 글이자나

    • @dmsgml223
      @dmsgml2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체적으로 잔인하게 적었네요

  • @user-jx5bn3ep4d
    @user-jx5bn3ep4d 2 ปีที่แล้ว +16

    자기가 하고싶어서 일하는경우도 있지만 먹고살려고 일하는건데 해고당할수있다는 위기에서 일하고 살아야되는 우리

  • @user-rw8vv7bh2m
    @user-rw8vv7bh2m 2 ปีที่แล้ว +42

    취업도 좋지만 정말 자신의 인생에 도움되고 후회없는 선택이 중요합니다~ 뭐라도 본인 인생에 플러스가 되어야지 그냥 시간만 축내고 돈벌어오면 정말 바보짓이에요

    • @deadChannel44446
      @deadChannel44446 2 ปีที่แล้ว +4

      ㄴㄴㄴ 그냥 돈 잘 벌어오기만 하면 장땡이죠
      플러스 될지는 나중에 판단하는거고

  • @taehui608
    @taehui608 ปีที่แล้ว +3

    나만의 전문성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나의 전문성과 다른사람의 전ㄴ문성을 연결시킬 수 있어야하고 위에 이어주는 이해가 있어야한다. 우리는 큰 그림을 보는 눈이 있어야한다. 사업, 전략 등
    첫번째는 고객
    두번째 고객으로부터 나온 목표
    세번째는 이것의 과정으로부터 학습
    이 반복고리를 많이 왓다갓다 한 사람은
    이해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다.
    학습을 목표로 모든 활동이 일어난다.
    나의 전문성을 위해 어떤 학습? 어떤 도전을 하고 계신가요?

  • @user-gd8td5pr7b
    @user-gd8td5pr7b 2 ปีที่แล้ว +22

    아찔한 세상이네요 나는 그래도 나이를먹어서 이렇게 어려운 세상에서 의 어려움을 덜 했는데 이제 자라나는 청 소년들에게 위기가 오네요 건강하면 된다라고 하던 세상이 그립네요

    • @qrdigzx6461
      @qrdigzx6461 2 ปีที่แล้ว

      이걸 꼰대라고 하는 거에요

    • @user-gf8cg1yf8v
      @user-gf8cg1yf8v ปีที่แล้ว +7

      @@qrdigzx6461 오히려 이분은 각박한 요즘세상에서 자라야하는 청년들한테 공감해주시고 안타까워해주시는 것 같은데요!

  • @genie_us2395
    @genie_us2395 2 ปีที่แล้ว

    그들과 일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언어로 말을 해야하는 것이죠 :)

  • @user-ib1mo3rj4e
    @user-ib1mo3rj4e 2 ปีที่แล้ว +30

    사실 여기도 거기도 다 같은 X임..계속 잔류하든 이직을 하든 중요한건 나에게 필요한 하나를 생각해서 나은 한쪽을 선택 해야한다고 생각... 진짜 어딜가든 나을거라는 생각보단 다 같은 덩이니 그 안에 나에게 맞는걸 하나 찾는게..🤔

  • @khz5139
    @khz5139 2 ปีที่แล้ว +146

    취준 보다가 여기로 흘러들어왔는데 와우 취업해도 쉽지않네

    • @U_GI_NONG
      @U_GI_NONG 2 ปีที่แล้ว +31

      일 보다는 인간관계가 젤 힘듬ㄹㅇ...

    • @NAYOKIE_
      @NAYOKIE_ 2 ปีที่แล้ว +1

      사업하세여~

    • @markus5254
      @markus5254 2 ปีที่แล้ว +7

      10년내 사무직 40 50프로는 없어질겁니다.

    • @Hotsun_Icecream
      @Hotsun_Icecream 2 ปีที่แล้ว +1

      @@markus5254 공무원은 안없어지나요?

    • @user-gp8th4lq2o
      @user-gp8th4lq2o 2 ปีที่แล้ว +11

      일도 빡센데 일보다 사람이 저를 빡치게 만들더군요

  • @8688Calvin
    @8688Calvin ปีที่แล้ว +1

    스페셜리스트보단 제너럴리스트가 되는게 좋겠군요 ㅎ

  • @user-sq3yz6gy1s
    @user-sq3yz6gy1s 2 ปีที่แล้ว +70

    회사 구조조정이 아니라, 내 구조를 조정하는데 우선순위를 두자

    • @effi2u
      @effi2u 2 ปีที่แล้ว

      와우!

  • @yoo7834
    @yoo7834 2 ปีที่แล้ว +4

    회사인사팀에서에서 인사 면담 요청한다고 본사로 오라고 메일이왔는데 어떤 경우에 이런 인사면담을 하나요?

    • @Sigma-Male017
      @Sigma-Male017 2 ปีที่แล้ว +4

      내쫓고 싶을때요

    • @Dell.Won_kr
      @Dell.Won_kr 2 ปีที่แล้ว +1

      혹은 회사내에 누군가 사고쳣을때요

    • @jennajung0104
      @jennajung0104 2 ปีที่แล้ว +3

      @@Dell.Won_kr 이게 맞을 듯... 본인 문제라기 보단 관련 누군가의 문제로 인해 징계위원회 이전 사전청취 같은 느낌인데요.

  • @SeoEunTan
    @SeoEunTa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하는 시간에 이 영상 보는 당신을 가장 해고하고 싶어합니다.😅

  • @cyruslab2005
    @cyruslab2005 ปีที่แล้ว +6

    짬밥없을때는 T자형 인재 위험합니다.
    제가 개발자 베이스에 HW와 플랫폼 솔루션 보안 그리고 크로스 벤더까지 두루 섭렵한 30년차 아키텍트입니다.
    어디를 가든 잉여 인력 ERP에 걸려서 퇴출되는 일이 없는데 prj 사이 사이에 쉴 틈이 없습니다. 나까마식으로 영업에서 일을 벌리고 맡을 사람없으면 뭘 던져도 다 수행이 가능하니 마구 던지는데 짬밥없으니 그냥 입 다물고 수행해야 합니다. 다른데서 수행하다 거의 다 빠그러진 일까지 불 끄러(project closing) 가야하죠. 위에서 싼 똥 치우고 성과 주어지지 않는 일을 많이 해야 합니다.
    마이너스 매출만 남은 project closing(pc) 에 성과 주는 곳은 없습니다. 공공사업 pc는 본의 아니게 경찰에 불려가서 조사 받아야 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나이 40 되기전에 암만 두번 겪었습니다.
    T자형 인재.. 글쎄요.. T자형 인재의 삶을 받아들일 각오가 먼저 되어 있어야겠죠. 대부분 성공한 유명인들이 다 T자형 인재라고 하지만 의사결정권이 있는 자리까지 살아남은 소수의 사람들 그리고 T자 인재가 살아남을 수 있는 특이한 조직 이야기이고 대부분의 T자 인재는 지치고 병걸려서 낙오합니다.
    자신이 T자 유전자를 가졌다 싶으면 조직에서 인정받겠다 생각하지 마세요. 그냥 I자인척 버티고 살다가 씨드머니 모으고 business opportunity 가 적절하다 싶을 때가 오면 창업해서 T자 유전자 개방하세요.

    • @janghanil9820
      @janghanil982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엄청 공감됩니다…

    • @dmsgml223
      @dmsgml2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실적이시네요. 공검하고갑니다.

  • @ddsdds-is7pk
    @ddsdds-is7pk 2 ปีที่แล้ว

    0:06부터 시작하는 BGM음악 뭐에요??

  • @JH-ns7qu
    @JH-ns7qu ปีที่แล้ว

    지식근로자..👍

  • @gil8017
    @gil8017 2 ปีที่แล้ว +10

    각본화된 회사 인생...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