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몰락과 양극화를 불러온 주주 자본주의, 민주주의는 기업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까? | 다큐프라임 - 민주주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6 เม.ย. 2021
  • ※ 이 영상은 2016년 5월 30일에 방송 된 《다큐프라임 - 민주주의 4부 기업과 민주주의 》의 일부입니다.
    2011년 8월 11일, 미트 롬니 공화당 후보가 '기업도 인간이다'라고 발언하면서 미 대선에서 '기업은 인간인가' 논쟁이 거세게 불었다.
    이 논쟁은 2010년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기업의 선거자금 지원을 제한할 수 없다는 판결에서 비롯되었고, 이제 기업은 민주주의가 침범하기 어려운 독립된 영역을 구축하고 자신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게 만들었다.
    기업은 어떤 존재일까?
    과연 기업은 자유민주주의의 주인으로 대접받을 자격이 있는 것일까?
    ✔ 프로그램명: 다큐프라임 - 민주주의 4부 기업과 민주주의
    ✔ 방송 일자: 2016.05.30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04

  • @sookis1715
    @sookis1715 2 ปีที่แล้ว +12

    너무 좋은 다큐 잘 보고 갑니다~!!

  • @greenjoon1
    @greenjoon1 3 ปีที่แล้ว +36

    정말 훌륭한 내용입니다. 한국은 신기하게도 지난 수십년동안 노동자측에서 의사표현하고 기업내의 구조적, 인적 불평등과 문제점에 대해 공론화하는 것을 금기시해 왔던 사회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로는 노동자로써 살아 가는데도 말이다. 가장 흔한 반대이유는 노동자쪽의 권리가 올라가면 기업발전의 발목을 잡는다는 것과 '그거 북한 공산주의로 가자는 얘기냐' 는 한국전쟁 이후 민족적 트라우마로 자리잡은 이데올로기적 프레임으로 넘사벽의 철벽을 쌓아버리는 것들이다. 노동자쪽의 권리가 올라가면 기업발전의 발목을 잡는다는 생각은 사실 기업가 쪽의 목소리인데도 신기하게 분명히 이 사람은 기업가도 아니고 평생 노동자쪽으로 살아왔던 사람인데도 강하게 내재화되어 있다. 정말 신기했다. 이제부터라도 이런 기형적인 마인드셋과 한국 특유의 내재와된 이데올로기적인 프레임을 걷어내고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시각으로 자본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그 안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로는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적인 기업 또는 노동환경과 구조에 대해 생각해보고 대안을 찾아 시도해야 된다. 이제 자기자신은 분명히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는데 신기하게도 그 노동 이익의 대부분을 가져가는 기업가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신기한 또는 기특한 노동자의 마인드에서 깨어났으면 한다. 자본주의도 결국 인간이 만들어낸 하나의 시스템일 뿐이고 우리는 생존하면서 동시에 행복할 수도 있는 개선안이나 대안을 찾을 능력이 있다고 본다.

    • @user-xh2qy6wt4u
      @user-xh2qy6wt4u 3 ปีที่แล้ว

      그럼 기업은 해외로 나가겠지 ㅡ,ㅡ^ 일단 우리나라 산업 대부분이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하고 가격 경쟁하고 있는 게 현실인데 조선업부터 파산이겠죠

    • @user-cv4du7gl5t
      @user-cv4du7gl5t ปีที่แล้ว +1

      @@user-xh2qy6wt4u 근데 사실 가격 경쟁력으로 망하나 인력 부족으로 제품 생산 못해서 망하나 망하는건 같음

    • @threeship
      @threeshi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동으로 번돈으로 주식을 매입하면 주주의 마음이 이해가됨.

  • @user-xc2ok6ef7d
    @user-xc2ok6ef7d 3 ปีที่แล้ว +9

    감사합니다.

  • @-_.-_.-_.-_.-_.-_.-_.-_.
    @-_.-_.-_.-_.-_.-_.-_.-_. 3 ปีที่แล้ว +13

    정말 좋은 프로그램!

    • @jslchoi7183
      @jslchoi7183 2 ปีที่แล้ว

      풉 ㅋㅋㅋㅋ

  • @dylanpak5305
    @dylanpak5305 3 ปีที่แล้ว +55

    이런 게 좋은 거 같음. 어떤 것 이든 항상 좋다고 하면 안 좋은 부분이 가려져 알 수가 없지만 이렇게 긁어내면 장단점을 모두 알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생기기 때문
    +수정했어요^^ 감사합니다. 1년 뒤엔 다르게 살게요
    한국에 들어가서 일하고 살게요~

    • @son7797
      @son7797 3 ปีที่แล้ว

      안좋은

    • @devapor8656
      @devapor8656 3 ปีที่แล้ว

    • @user-sz2le9we7w
      @user-sz2le9we7w 3 ปีที่แล้ว +1

      안 않 구분 못하는거 보니깐 지금이랑 1년 뒤랑 삶이 같을듯

    • @dylanpak5305
      @dylanpak5305 3 ปีที่แล้ว +1

      @@user-sz2le9we7w 감사합니다^^

    • @user-sz2le9we7w
      @user-sz2le9we7w 3 ปีที่แล้ว +1

      저도 해외에서 일했어요ㅍ

  • @AN-yf7xp
    @AN-yf7xp ปีที่แล้ว +4

    결국 최근의 모든 정치 혼란과 극단화는 이걸 어떻게 대하느냐에서 비롯된 것 같네요

  • @okkim8966
    @okkim8966 3 ปีที่แล้ว +7

    민주주의는 기업의 문턱을 넘을 수 없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3 ปีที่แล้ว +3

    섬네일사진, 어느부분쯤 나오는지 아시는분?
    1:18 주주자본주의의 메커니즘

  • @kitaekim1502
    @kitaekim150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기업은 이익을 창출할때는 아주 좋은 시스템인거 같아요. 혹, 여러가지 이유로 성장을 멈추거나 손실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할까요?
    1~2년 단기적 손일경우와 4~7년 장기적 손실발생시 대처 방법이 궁금합니다. 의견주세요~

    • @jinolla
      @jinoll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산

  • @bohemiantr.8427
    @bohemiantr.8427 3 ปีที่แล้ว +11

    기업들이 주식발행하는게 사업자금이 부족해서 외부자금 유치하려는게 가장 큰 이유인데, 저 회사는 자금 여력이 있었나보네요. 회사 돈이 부족하면 어쩔수없이 외부에 주식발행해서 자금을 모아야할거고 그렇게 한번두번 증자하다보면 점점 회사밖 외부주주들이 늘어나지않을까

    • @FRO9MAN
      @FRO9MAN 3 ปีที่แล้ว +4

      컨설팅 업체니까 고정비용이 크지 않겠죠 직원들이 주인의식 가지고 일하는게 매출성장에 중요할테니까요. 지적하신대로 외부자금이 필요한 곳은 제조업이나 부가가치가 작아 대규모로 사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죠. 그런 기업들에서 주주자본주의의 폐해가 가장 심각한것도 맞고요

    • @user-nq7ol5ex3o
      @user-nq7ol5ex3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말씀들 잘 읽었습니다

  • @jnote5568
    @jnote5568 3 ปีที่แล้ว +16

    미국 노동자들이 다들 저 월급만 받고 사는 줄 아는데. 이미 401K 제도로 노동자도 연금으로 주식으로 재투자 되고 있음. 고로, 지수가 계속 올라가면 노동자들 연금도 계속 상승하는 거임. 더불어서 좋은 CEO 가 보통 직원 수백명보다 더 유용할 때도 있다.

  • @user-wk5db3dy4s
    @user-wk5db3dy4s ปีที่แล้ว +2

    이해관계 자본주의로
    비상장 + 전용사옥+ 적정한 핵심인력 운용

  • @saewings4963
    @saewings4963 3 ปีที่แล้ว +19

    이론은 아름답지만, 같은 기술력과 혁신을 가정할 때 쥐어짜는 기업이 쥐어짜지 않는 기업보다 유리할 것은 부정할 수 없으니까요. 기업들끼리도 먹히는 이런 승자독식 시스템에서... 답답하고 괴롭지만 참 답이 어렵네요

    • @user-rz6wg5jx9w
      @user-rz6wg5jx9w 3 ปีที่แล้ว

      법카로 대주주는 편하게 사는 구조는 제도로 바꿀수있지않나여

  • @wisa5172
    @wisa5172 3 ปีที่แล้ว +5

    칼리버 같은 거버넌스도 꽤 괜찮아 보이네요 국내에도 이런 기업이 있을까...

    •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ปีที่แล้ว +2

      저게 뭐하는 기업인지는 안나오는게 함정 ㅋㅋ 분명 블루오션 사업이겠지 저런방식은 경쟁이 극심한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선 생존자체가 불가능할거임

  • @Total_Ai_4k
    @Total_Ai_4k 3 ปีที่แล้ว +14

    월 200만원? 미국 세금도 많이내는데 그럼 원 160이라는 말이네...거기 물가 생각하면 진짜 살벌하네.

    • @user-pj8hl3tv2u
      @user-pj8hl3tv2u 2 ปีที่แล้ว

      거기 팁이있잖아요… 한국이랑 같게생각하면 안되죠;

    •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ปีที่แล้ว

      @@user-pj8hl3tv2u 월마트에 뭔팁이있어 이 빡머가리야

    • @pikashort777
      @pikashort777 2 ปีที่แล้ว

      @@user-ok4il6yh7l ㅋㅋㅋㅋ

  • @user-cs2gm5wj6o
    @user-cs2gm5wj6o 2 ปีที่แล้ว +1

    ESG에서 칼리버의 직원지주제 같은 거버넌스로 운영되는 기업이 몇개 나왔으면 좋겠네요

  • @user-ok4cx1vc3g
    @user-ok4cx1vc3g 3 ปีที่แล้ว

    현재 시스템이 모두 완벽한게 아니라 수정이 필요하다는 거지...뭔가 이상하고 어리석다는 느낌이 들면 곧 폭락하거나 없어지거나 다른 것으로 교체되거나~~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2

    노동자들이 스스로 기업을 만들면 되지 않나요?
    아니면 기업 투자자로 참여하면 어떤가요?
    기업하는 쪽이 유리하다고 했잖아요.
    유리한 쪽을 왜 선택하지 않나요?

  • @user-vd4vj7iw8d
    @user-vd4vj7iw8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민주주의가 최고랑께

  • @yieldpoint9274
    @yieldpoint9274 3 ปีที่แล้ว +22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면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편승할 줄 알아야 하는게 정답이라고 봄. 결국 효율성 때문에라도 개인의 이기심을 이용하지 않으면 발전은 없음. 다만 재분배할 수 있는 룰은 있어야겠지만.

    • @user-yr6rc4hb4g
      @user-yr6rc4hb4g 2 ปีที่แล้ว +3

      재분배가 안되면 자본주의 시스템 전체에 위기가 옵니다. 공황이 오죠.

  • @LionelPark
    @LionelPark 3 ปีที่แล้ว +33

    IT 분야같이 자금이 적게 들어가는 사업으로 시작하면 ESOP 이 운영 될텐데, 연구나 제조업같이 초기 투자가 많이 들어가는 사업영역에서 저런게 되려나? 돈이 하늘에서 떨어지는것도 아니고,
    그리고 Calibre 같은 자문기업은 GM과 같이 대규모 일자리 창출하는 기업이 아니라 소수 엘리트 employee 로 이루어진 기업이지 않나요?
    결국 보면 자본 민주주의를 쟁취하려면 저렇게 전문가정도는 될 정도로 공부해야 한다가 되겠네요.

    • @user-ou9gy3zn1b
      @user-ou9gy3zn1b 3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그 끝은 공부를 해야만 한다는 것.. 아이러니 하게도 가장 필요한 계층에게 가장 낮은 관심도..

    • @user-pe8wg5gx2y
      @user-pe8wg5gx2y 2 ปีที่แล้ว

      영상 제대로 안보셨네요.
      제너럴 모터스와 월마트의 사례를 들어서, 제기하신 의문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습니다.
      제너럴 모터스는 20세기 가장 거대한 제조업 기업중 하나임에도, 노동자들에게 중산층으로 살아갈수 있는 충분한 임금과 복지혜택을 나누었습니다.

    • @LionelPark
      @LionelPark 2 ปีที่แล้ว +5

      @@user-pe8wg5gx2y 댓글이 황당하네요. 님이 다시 영상 보셔야 할 거 같네요. 뭐 실이익 좋지 않은 하청 업체한테 삼성처럼 피고용인들을 대접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ESOP 예시를 통해 자본-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GM이 한때 잘나갈 적 복지를 잘했다는게 자본-민주주의랑 무슨 관련이 있는지,,,,, 최근 GM 몇 번 부도나서 세금으로 엄청 땜질 하고 있는거 아시죠?

    •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ปีที่แล้ว +1

      @@user-pe8wg5gx2y 그땐 경쟁이 없었지 ㅋㅋ 저 기업은 블루오션에서 꿀빠니 저런 허세부리는거고 오늘날같은 무한경쟁체제에서 대부분의 기업은 저러면 바로 망함

  • @gungdra
    @gungdra 3 ปีที่แล้ว +96

    이 동영상의 내용은 자본주의를 개선하자는 거지 공산주의 하자는게 아닌데 ... ㅎㅎ

    • @user-iz2wc4ci6m
      @user-iz2wc4ci6m 3 ปีที่แล้ว +6

      이 동영상 어디에 공산주의가 나오나요? -_-??

    • @gungdra
      @gungdra 3 ปีที่แล้ว +6

      @@user-iz2wc4ci6m 동영상을 말하는게 아니고 공산주의냐고 하는 댓글들이 몇 개 있어서 그게 아니라고 말하고 싶은겁니다.

    • @user-cv4du7gl5t
      @user-cv4du7gl5t ปีที่แล้ว +6

      @@gungdra 댓글 수준보면 조금 문제가 있어보이네요. 그냥 이런 사례도 있고 이런 개선책이 있을 수 있겠구나 하면서 뭐 잘못된 부분만 다르게 생가하는 부분만 말하면 될것을 관심도 없는 지들 정치성향 예기나하고 자본주의가 무조건 선인냥 말하는 놈도 있고.... 참 답이 없어 보이네요.

    • @AN-yf7xp
      @AN-yf7xp ปีที่แล้ว

      확실히 양극단이 많은듯

    • @user-tp5sq7ae8e
      @user-tp5sq7ae8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습니다. 요점파악 못하고 감정적으로만 판단하는 멍청한 인간들이 너무 많습니다ㅋㅋ

  • @ab-mk6js
    @ab-mk6js 3 ปีที่แล้ว +24

    다소 편향되고 과장된 면이 있다고 봅니다. 제가 칼리버라는 회사를 조사했는데, 그 회사는 모든 직원이 스톡옵션을 받는 것도 아니고, 파트타임과 비정규직도 많이 섞여 있습니다. 회사는 군사자문이 주력상품이기에 필수인력이 겸직을 하거나 이해충돌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집토끼 단속'으로 설명 가능한 부분이 '노동 민주주의'로 둔갑된 듯 합니다. 게다가 영상 내용에서도 ESOP으로 누구는 5000불 받고 누구는 400만불 넘게 받는 사람도 있다고 하는데 그게 800배 차이입니다. 일반직원과 임원의 차이와 별 다를 바 없습니다.

    • @1stepofall918
      @1stepofall918 3 ปีที่แล้ว +3

      400만불 받은 사람은 회사 설립 초기에 입사후 현재까지를 통합해서 이야기 한것인데 잘못 이해 하신것 같네요..

    • @ab-mk6js
      @ab-mk6js 3 ปีที่แล้ว

      @@1stepofall918 그럴 수 있겠네요. 말을 다시 들어보았는데 불명확한 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elodySorrow
      @MelodySorrow 3 ปีที่แล้ว +2

      파트타입과 비정규직은 문제가 안된다고 봅니다. 비정규직은 한국과 다르게 미국에선 돈을 더 받아요. 그리고 스톡옵션을 받는게 아니라 원한다면 월급의 일부를 주식으로 (시장 가격보다 더 좋은 가격에) 받을 수 있는 회사도 있어요.

  • @tubeyou1490
    @tubeyou1490 2 ปีที่แล้ว +1

    이상향은 오기 어렵고 그게 진짜 이상향이기도 힘들다. 그냥 주식을 사서 주주가 되는게 편함.

  • @commentno3153
    @commentno3153 2 ปีที่แล้ว +5

    자본주의 철학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는 영상이네요. 경제적 번영이 이루어지는 원천이 어디고 그 저변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이 없네요.

    • @user-nx9fl3tt4i
      @user-nx9fl3tt4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력하고 공부 해라 자본 주의에 그럼 성공 한다

  • @user-qf5nu6zo4f
    @user-qf5nu6zo4f 3 ปีที่แล้ว +2

    노동자가 자기 회사에 애착을 가지고 자기회사 주식을 사고 회사의 주가상승을 같이 하면 될것을....그냥 봉급만 받고, 책임은 지지않을려고 하면서 추가 이익을 내놓을려고 하나

  • @user-bg2ke5nv7m
    @user-bg2ke5nv7m 2 ปีที่แล้ว

    기업에서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것보다 기업을 소유하는 주주가 되세요. 그러면 해결될일인데..

  • @tjsgudwo
    @tjsgudwo ปีที่แล้ว

    어느 국가, 어느 사회든 정부의 정책은 소수를 위해 움직이고 소수에 초점이 맞춰져있음..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밑바닥에 쌓이는 피라미드 형태의 계층구조, 부의구조가 생기는 것은 어쩔수가 없음

    • @tjsgudwo
      @tjsgudwo ปีที่แล้ว

      예로들면 이번에 이태원 사태로 불법 증개축 벌금을 대폭 늘린다고 하는 뉴스들 보셨을텐데요 .. 소수의 기득권들은 이거 벌금좀 늘려봤자 아무 타격도 없어요 그렇다면 결국 가장 큰 영향을 받는건 서민들이죠 이런식으로 계층 피라미드 구조는 계속 유지되고 밑바닥의 사람들은 올라가기가 점점 어려워지겠죠

    • @ganda21moon
      @ganda21mo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제정신의 국가나 정부가 필요한 거임

  • @earth3planet103
    @earth3planet10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눈물이 다나네

  • @user-zhonmatteng
    @user-zhonmatteng 3 ปีที่แล้ว +1

    Esop 괜찮은듯

  • @ybkim2241
    @ybkim2241 ปีที่แล้ว

    기업을 말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기업의 주인 은행
    그리고 은행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아야한다.

  • @prodigy180
    @prodigy180 2 ปีที่แล้ว +1

    7:52 "이것이 바로...민주주의의 원칙입니다." narrate 해놓고 다음 두분의 의견은 의미가 와죤 다른것 같은데요. 옛날 영상이라 이해할라해도 전문성이 떠어지네요

  • @gray1037
    @gray1037 3 ปีที่แล้ว +33

    차례로 보면 납득되는데...민주주의와 공산주의를 헷갈려하는 사람이 있다니

    • @user-zb9gi5mc6t
      @user-zb9gi5mc6t 3 ปีที่แล้ว

      그러게 너무 사람들이 꼬여 있고 매듭까지 지은거 같음

  • @jinyeongheo8861
    @jinyeongheo8861 3 ปีที่แล้ว +12

    꼭 이 영상에서 소개된 방법이 아니더라도 어떤 방법으로든 현재의 기업의 지배구조, 의사결정 시스템은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갑질이 많은 한국에서는.
    사실 기업을 성장시키는 것은 직원들이다. 그런 직원들이 기업의 오너 또는 CEO가 일으킨 사회적 문제 때문에 기업가치가 하락해 퇴사를 위협받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특히 ESG 경영이 강조되는 현시대에는 더욱 그렇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자영업이나 아주 작은 소규모의 회사를 제외하면, 한국의 거의 모든 회사들에는 일은 못하지만 상사에 대한 아부, 사내정치로 붙어사는 기생충들이 꼭 있다. 이런 기생충들이 존재하는 근본원인은 기업의 조직구조에 있다.

    • @yubiinsight
      @yubiinsight ปีที่แล้ว

      직원이 월긒받으면 자사주 사면 되는거 아닌가요

    • @yubiinsight
      @yubiinsight ปีที่แล้ว +1

      비상장 소기업이면 유감

    • @user-hr5gu1qb7p
      @user-hr5gu1qb7p ปีที่แล้ว

      @@yubiinsight 그거 자체가 주주 자본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노동자의 자사주 매입이요. 한국도 세제혜택도 줍니다. 스웨덴은 노동이사제를 도입해서 노동자가 이사회에 임원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하고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소속도 노조를 비롯한 노동자들의 주주비율이 12%가량된다고 합니다.

  • @triess0028
    @triess0028 3 ปีที่แล้ว +4

    그래서 현 shareholder theory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현재 stakeholder theory도 많은 논의가 되고있고 또 실제로 적용하기 시작하는 기업들도 있죠

  • @user-nr1te1vd5k
    @user-nr1te1vd5k 2 ปีที่แล้ว +1

    자본을 공유하고 경영을 공유하면 기업에 책임을 지는사람은 누구지? 직원 전체가 회사의 주인이라 했으니 직원들을 전부 잘라야 하나? 경영은 책임이다 경영권을 가진 오너가문은 특권만을 누리는게 아니라 책임을 지는것이고 직원들을 지켜주는 것이다 오너를 재벌을 부를 착취하는 대지주정도로 보는것은 전근대적 사고방식이다 오너가 또는 그이 후계자가 돈을 가장 많이 받고 주식부호가 되는것은 단순히 특권이 아니라 책임이다 나의 회사의 직원들을 더 나아가 내회사를 지킨다는 책임 그리고 오너들은 그 책임을 지켜야 한다 왜? 그게 직원들을 지키는게 기업가치를 지키고 기업가치를 지키는게 자신이 소유한 주식가치를 지키는 방법이니깐 재벌 또는 회사를 소유한 소유주는 부의 전쟁터에서 최전방에 나가 직원들을 이끌고 지키는 왕이다 그냥 자신의 특권만을 누리는 왕이아니라 막말로 회사가 망하면 직원들은 다른회사로 이직하거나 재취업하면서 결국 다시 살아가지만 소유주는 파산하고 죽는것이다 죽지 않고 다시 재기한다고 해도 상상도 못할 폭풍을 거치면서 다시 회사를 세우지 소유자는 자기의 회사를 세상으로 부터 지키고 책임지는 수호자지 노동자를 쥐어짜는 자가 아니다 물론 있을수 있지만 그것은 소수일뿐 일반화 시키면 안된다 생각한다

  • @user-nu3ur6tv9b
    @user-nu3ur6tv9b 3 ปีที่แล้ว +6

    민주적인 방향을으로 나아가는 것은 정말 좋지만, 우선 구성원들의 각각 능력이 중요한 것 같아요. 무능한 구성원들의 민주주의는 집단 무능주의로 빠질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교육이 정말 중요합니다.

    • @cloverone87
      @cloverone87 2 ปีที่แล้ว +1

      교육은 중요하지만 활용하지 못하면 다시 퇴행하는게 교육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배운거에 비해 그걸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더 많죠. 사회 구조가 그렇고요. 개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는게 우선일거 같아요~

  • @kkk-to5hd
    @kkk-to5hd 3 ปีที่แล้ว +6

    직원이 기업을 소유하려면 월급으로 주식을 사면 될 일.. 누구에게나 현재도 가능한일

    • @MelodySorrow
      @MelodySorrow 3 ปีที่แล้ว +3

      주식을 사는게 문제가 되는게 아니잖아;;;; CEO 연봉이 일반 노동자의 300배면 문제가 있지. 그만큼의 책임을 지지도 않으면서 뭔 300배나 가져감? 그리고 지가 못해서 경영 악화되면 노동자가 제일 크게 타격을 받음 ㅋ 그리고 월 200 남짓한 돈에서 생활비 빼고 주식산다고 해서 뭔 대주주가 되는 것도 아니고 짤리면 끝인데 그거랑 이게 뭔 상관임?

    • @user-cv4du7gl5t
      @user-cv4du7gl5t ปีที่แล้ว

      근데 사실 아무리 월급 모아서 주식사도 대주주는 안됨 예를 들어 우리가 1년 해서 5천벌거 ceo는 한달해서 5천벌면 애초에 대결 자체가 안됨

    • @user-wl3cc5ug7k
      @user-wl3cc5ug7k ปีที่แล้ว

      @@MelodySorrow 문제가 왜 있음? 꼬우면 니가 사업자 되던가

    • @MelodySorrow
      @MelodySorrow ปีที่แล้ว +2

      @@user-wl3cc5ug7k CEO = 창업자가 아니란다 잼민아 ㅋㅋㅋㅋㅋ 돈을 그만큼 쳐 가져갈거면 주가나 올려놓고 가던가 주가는 개말아먹으면서 그 돈 가져가면 양심은 있는거냐 ㅋㅋㅋ

    • @user-wl3cc5ug7k
      @user-wl3cc5ug7k ปีที่แล้ว

      @@MelodySorrow 양심? 그럼 꼬우면 니가 CEO 되라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누가 칼들고 월급쟁이 하라고 협박함?
      CEO도 사업자,경영진 맞지 이 무식한련아 ㅋㅋㅋ

  • @user-kk2ex4em6u
    @user-kk2ex4em6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0년전에 1만원/평 이었던 규암펄논이 지금 100 만원 함 ㅠ.ㅠ

  • @wonyi8780
    @wonyi8780 3 ปีที่แล้ว +8

    저런 기업이 일반적으로 가능했으면 우리 주위에 벌써 많았다 말같지도 않은 소리
    특수한 경우를 힘들게 찾아서 일반적으로 가능할 수있다는 이야기는 정말 철학의 부재다

    • @markkim1404
      @markkim1404 2 ปีที่แล้ว

      동감하는 말이구요, 좋은 제도라고 생각은하지만, 자본주의시장에서 인간을 더욱 풍요롭게해준 제도가 현재의 기업제도이기도 하지요, 만약 켈리버가 너무좋은회사라면 왜 GE, 삼성전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가 최대 기업이 되었고 우리 사회를 더욱 빠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켰을까요? 이러한 자본주의 제도가 인간 삶의 질도 올려주었을 뿐만아니라 인류 삶을 발전시킨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
      더욱 인류를 발전시키고 인간의 삶을 긍정적인 방향을 만들기위해 자본이라는 시장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이 제도가 문제점이 있다면 보완을해야하지, 모든 기업이 켈리버같은기업이되어야한다 혹은 베스트 사례라고 안내하는건 EBS의 이번다큐의 아쉬운 점이네요.

  • @Frankenstein682
    @Frankenstein682 2 ปีที่แล้ว

    끔찍한사회네

  • @user-re7pe6rv8m
    @user-re7pe6rv8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기업 중에는 유한양행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창업주유일한 박사가 훌륭한 일 많이 하셧죠.

  • @snorlax2182
    @snorlax21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근데 소개된 사례도 주주자본주의의 일종인데... 노동자들한테 지분 나눠주고 목소리 듣는건 우리사주 제도를 확장한거지, 이게 어떻게 주주자본주의를 극복하는 방안인지? 논리적으로 안맞는듯.

  • @thrdduo1226
    @thrdduo122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sop의 절망편 아시는 분?

  • @user-ml8us4si6b
    @user-ml8us4si6b 3 ปีที่แล้ว +4

    서브프라임때도 이상하거 뿌리더니만 이번에도,,..

  • @Snoki5
    @Snoki5 ปีที่แล้ว +2

    이런말이 있습니다 들었을때 아무런 문제가 없고 너무 듣기 좋으면 그건 사기라고
    네 맞습니다 이건 사기입니다 장점만 극대화하고 단점은 이야기 안하고
    민주주의든 자본주의든 각자 장단점이 있고 민주주의 또한 문제점이 없는게 아닌데
    항상 이런류의 영상은 이게 문제고 이게 정답이고 이게 옳은길이다 라고만 주장하네요

  • @user-jv1xs7lo5m
    @user-jv1xs7lo5m 2 ปีที่แล้ว

    7:30

  • @rexkimj
    @rexkimj 2 ปีที่แล้ว +1

    오류가 많네요. GE와 월마트 임금수준이 같을수 없잖아요 ㅋ. 그리고 많은 자본 능력이 들어간 사람이 많은 돈 버는것은 당연. 그리고 주주 되는 방법은 쉬운 주식 사면 되죠. 의견 반영은 필요함 그래야 서로 보람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좋음.

    • @krosskim624
      @krosskim624 2 ปีที่แล้ว

      생활임금도 안된다는 것이죠.10년전 임금이지만 미국에서 연봉18,000불 우리돈 2천만원으로 어떻게 생활합니까?

  • @Imkwangmin
    @Imkwangmin 3 ปีที่แล้ว +7

    하청용역 계약직 비정규직 같은 거 없어질 줄 알고 투표했었는데

    • @1stepofall918
      @1stepofall918 3 ปีที่แล้ว +2

      기득권이라는게 한순간에 생겨난것이 아니니기에 쉽게 바뀌거나 사라지지 않습니다.
      왕조시대에도 기득권 세력이 한순간에 사라지는 일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사회가 민주화 되었다고 인정 할 만한 기간도 그리 길지 않아요
      군부 통치에서 벗어난게 이제 겨우 30년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그 중간 중간에 군부 잔재 세력이 집권한 시기도 꽤 길구요..
      무엇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득권과 이익을 나누려는 생각은 적어요...
      자기가 약자가 되었을때 그때만 좋은 세상 생각할것이아니라..
      평상시에 시민 스스로도 이익과 기득권을 적절히 나누겠다는 자세로 살아가야 세상이 바뀌는거겠지요..
      그런 집단에 투표하는 것은 기본이구요...

    • @endeavorlee1588
      @endeavorlee1588 3 ปีที่แล้ว

      사람들이 나는 하청하기 싫어하지만 남은 그거했으면 좋겠다니까요..

    • @user-cw6uq8rj7l
      @user-cw6uq8rj7l 3 ปีที่แล้ว

      그 하청용역 계약직 비정규직 크게 굴려온 게 빨간당이라는 것만 알아라. 규모 줄이는것만으로도 10년 다 쓴다

  • @sanyasin56
    @sanyasin56 3 ปีที่แล้ว +1

    예전에도 몬드라곤이라든가 우리와 다른 좋아보이는 것들이나 관점을 소개한 경우가 많았지만 전체적인 실태는 알 수 없다. 민주주의든 자유주의든 한국에만 들어오면 같은 이름하에 이상한 형태로 발전한다. 모기지, 오피스텔 등등 아닌 것이 몇이나 되나?? 전세계 사회주의 국가에서 핏줄로 이어지는 나라는 부칸바께 업꼬 선진국에서는 주식회사는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것이고 자식에게 넘겨주는 것은 오히려 예외적인 현상인데 한국의 재벌(주식회사)는 반드시 자식이 물려받는다. 심지어는 교회까지 자식에게 대물림되는 나라이고 남쪽의 각 도는 각자의 수령을 모시고 이꼬... 국가조직이 아닌 사기업인 연준이 대책없는 양적완화를 하고 테이퍼링인가는 시간문제인데 주식과 비트코인따위에만 몰려 자기 살 길만을 찾기에 바쁜 현상황은 암담하다. 누구 하나 미래가 어떻게 될지 점치지 못한다......

  • @333movie
    @333movie 3 ปีที่แล้ว


    좋은 방법이.없을까.?

  • @g.j.7717
    @g.j.7717 3 ปีที่แล้ว +3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양립할수 있고 상승효과도 존재함. 현 시대의 적절한 대안이라 생각됨

  • @usplasticnetwork8148
    @usplasticnetwork8148 2 ปีที่แล้ว

    회사가 망하면 직원들은 일자리를 잃겠지만 주주와 사장은 막대한 빚까지 떠안는다. 그리고 노조 없는 기업이 대개 세계 최고 기업이 되서 서로 들어가려고 난리인데가 많다. 아마존, 삼성 들어가고 싶잖아...

  • @Imkwangmin
    @Imkwangmin 3 ปีที่แล้ว +10

    그래도 LH가 여기 소개된 회사 보다 훨 좋은 거 같은데

  • @user-pe8wg5gx2y
    @user-pe8wg5gx2y 2 ปีที่แล้ว +3

    오너와 CEO의 어마어마한 수익의 정당성이 천부인권인양 이해하고 있는 전근대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는 더이상 왕과 귀족들의 권력이 천부적 권한이 아니라는것을 알고있다.
    오너와 CEO가 어마어마한 수익을 벌어들이는것은 그들이 룰을 그렇게 정했기 때문이다.

  • @blackh4697
    @blackh4697 3 ปีที่แล้ว +5

    돈내서 기업만들면 다 돈버는건가요? 그런건 사소한건가요? 주주자본주의 수정될 필요고 꼭 수정되어가야 하는건 알겠는데 이 다큐 만들 사람들중에 기업을 만들어서 시장에서 살아남으려고 오랜기간 발버둥 쳐본 사람 있나요? 직원도 같이 살아야 하는것 맞는데 온통 거기에만 비중을 두고 있네요.

  • @user-et1ou8tf8z
    @user-et1ou8tf8z 2 ปีที่แล้ว

    회사의 주인은 주주입니다.

  • @yomtube-494
    @yomtube-49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왜 한국기업은 절대 이렇게될수없을까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1

    노동자들은 왜 불만이 있을 텐데...
    왜 그곳을 떠나지 않지요?
    .

  • @threeship
    @threeshi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리나라는 총수 자본주의ㅋㅋㅋㅋㅋ 기업의 이익도 주주의 이익도 노동자의 이익도 중요한게 아니다!

  • @dfjaabontsj760
    @dfjaabontsj760 3 ปีที่แล้ว +1

    중요한건 상속때문에 출발선이 다른거지 주주자본주의가 문제가 되는게 아니다 상속세 99%까지 안올리면 자본주의를 어떤 식으로 뜯어고치려고 해도 다 실패한다 출발선이 문제지 능력에 따라 분배되는 자본주의가 문제가 아니다

  • @hanun114
    @hanun114 2 ปีที่แล้ว +1

    2022년 미래에서 왔습니다.
    같이 함께 더불어 오신 분?

  • @painter_bottle
    @painter_bottl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역설적으로, 여기서 직원들을 짜내서 돈을 번다고 욕하는 자동차회사나 마트가 호황일때가 오히려 좋은 시절이었습니다. 그에 비해 복지도 좋고, 직원들 월급도 많이 주는 온라인기업, 고부가가치 기업들이 호황인 요즘은 오히려 일자리가 갈수록 없어지는 추세입니다. 그 회사들은 직원없이 돈을 버는 회사거든요.

  • @g9earth
    @g9earth 2 ปีที่แล้ว +1

    이해가 안되는게 난 미국에 사는데 미국 회사도 일해봤고 그래서 노조가있고 회사 연금이 있고 주식 옵션도있다 꾸준이 회사에서 열심히 일한 사람들보면 그런혜택들로 은퇴해서 돈많아 여행다니는 사람 많이봤다 이방송은 약간은 기업은 나쁜거처럼 말하는데 기업은 그만큼에 리스커를 안고 가는게 아닌가! 돈못벌어 월급죠야하면 빚도내야하고 지원들이 그돈 줄거는 아니잔아 난 기업을 두둔만 하는게 아니다 미국 30년 살아보니까 그래도 미국 기업은 얌심적이더라 나는 아무것도 안하며 나라가 도와줄거라 믿고 그런혜택만 받고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는게 문제라 생각한다 그걸 이용하는 정치도 문제고 미국 살아보면 아직은 자기가 노력하면 개천에서 용나올수있다.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보다 저렴한 재품은 소비자에게 돈을 주는 것과 같습니다.
    공헌을 하는 군요.

  • @user-ns1oh7vh7i
    @user-ns1oh7vh7i 3 ปีที่แล้ว +12

    이영상대로라면 쌍용도 노조가인수해서 운영하면되겠네...금 파업도안할테고..

    • @userganada
      @userganada 3 ปีที่แล้ว +1

      그럼 반대로 삼성을 노동조화가 운영하면 안됨??

    • @bigspacegear1920
      @bigspacegear1920 3 ปีที่แล้ว

      @@userganada
      재벌 자본주들이 자기들 이익을 포기할리가?
      그래서 집단(노조)을 구성해서 압력을 가해야하는데
      재벌자본주들은 그걸 용납하지않겠죠

    • @baraj4734
      @baraj4734 3 ปีที่แล้ว

      @@userganada 잘되는 기업은 노조가 없다.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3 ปีที่แล้ว

      @@baraj4734 ???? 폭스바겐,BMW.... 서유럽은 법적으로 노조 몇 % 가입안시키면 불법임. 그래서 삼성이 진출했을때도 만들었지. 저쪽동네 한정이지만

    • @LionelPark
      @LionelPark 3 ปีที่แล้ว +2

      @@ryuusungrune4285 우리나라 노조는 그냥 유럽동네 노조수준이 아니라 세계 유래 없는 강성 노조이죠. 노조위원장정도 되면 취업 청탁에 1억정도는 받죠. 뒷돈 챙기는 규모가 보통이 아니니 최근에 노조위원장 선거 나가기 위해 영끌하다 낙선해서 자살한 사람도 있고, 저런걸 두둔하는 세력은 사회 악 정도로 보면 되요

  • @user-cb5cf4bv1x
    @user-cb5cf4bv1x ปีที่แล้ว +1

    월마트덕분에 서민들이 저렴하게 물건을 구입흐는 장점도 이야기해야지???
    자기가노동한건 자기꺼다????
    자본투자한 주주는? 돈꿔준 은행은 ????

  • @user-dq3lz7vq3m
    @user-dq3lz7vq3m 3 ปีที่แล้ว +3

    마르크스가 지금시대로 되살아난다면 주식투자하라고할거라고 생각한다 혁명은 개뿔 살인과 전쟁 범죄 약탈이지.
    지금처럼 손쉽게 자유롭게 자신의 의지로 주식을 매수할수 있는 상황은 그때는 없었으니까.
    자본가를 나누고 노동자 근로자를 나누지말고,
    노동자와 자본가를 겸할 방법은 차고넘친다.
    천금을 노리는 욕심만 버리고 접근한다면

  • @Luxanna747
    @Luxanna747 3 ปีที่แล้ว +4

    그러면 직원들이 자사주 대량 매입하면 되는거 아님???
    직원이 주총가는거 반대하는 회사도 없고, 불법행위도 아니지.
    멀정한 주식회사인데 뭐냐?
    목소리를 내고 싶고, 주인이 되고싶고, 민주주의 논하고 싶으면 주식을 사라.
    그리고 민주주의 따질까면 1주든 1만주든 동일하게 취급해야하는거 아니냐?

    • @user-zm1rv5nj7y
      @user-zm1rv5nj7y 3 ปีที่แล้ว

      개돼지 꿀꿀멍멍이라 그럼 가슴아픈일임 ㅜㅜ

    • @user-ls9xz5cj1x
      @user-ls9xz5cj1x 3 ปีที่แล้ว

      내 돈으로 샀다가 주가 떨어지면 ㅂㄷㅂㄷ 거려서 안되거든요 ㅋㅋㅋㅋㅋㅋㅋ

    • @fullstacknology1142
      @fullstacknology1142 3 ปีที่แล้ว

      그렇게 하면 되겠네 ㅋㅋ자사주 매수 하면 그만인걸... 게다가 스톡옵션 주는곳도 있자너 ㅋㅋㅋ

  • @leeultimatum
    @leeultimatum 3 ปีที่แล้ว +13

    아니, 그러면 주식을 사면 되잖아!!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3 ปีที่แล้ว +4

      대주주들이랑 소주주들이랑 과연 이익분배가 같을까?? 대주주 될 만한 자본금 가지고 있음??

    • @MelodySorrow
      @MelodySorrow 3 ปีที่แล้ว +5

      회사 지분 10% 주주랑 회사 지분 0.0000001%의 개인이 같을 수가 있냐? 주식의 문제 이전에 책임의 문제지. CEO가 돈을 왜 많이 쳐받는데? 그만큼 책임지라고 쳐받는거 아니냐? 근데 지가 경영을 개떡같이 해서 회사 말아먹으면 왜 의사경영권이 없는 노동자'만' 피해를 봐야 하냐? CEO가 자리에서 사퇴하는거 빼고 뭔 경제적 책임을 지는데? 지가 쳐먹은 만큼 돌려주기나 하냐? 나 같아도 연봉 30억씩 받다가 2년후에 퇴사하는걸 원하지 연봉 4천 미만으로 30년 일하고 싶겠냐?

    • @usplasticnetwork8148
      @usplasticnetwork8148 2 ปีที่แล้ว

      @@user-uu8be2fz7v 대주주가 증여세 75프로... 세금도 대신 엄청나게 문다... 그리고 주식 산다고 버튼 하나 누른거 밖에 없으면서 대기업 CEO 보다 이익이 더 크길 바라는 건 도둑놈 심보 아니가?

    • @usplasticnetwork8148
      @usplasticnetwork8148 2 ปีที่แล้ว

      @@MelodySorrow 그래 따지면 회사 잘 된 것도 전부 CEO 책임이니 그 막대한 이익도 노동자 안 주고 다 가져가면 되겠네... 잘 되면 내 탓 못 되면 조상탓이라 하더만...

    • @MelodySorrow
      @MelodySorrow 2 ปีที่แล้ว

      @@usplasticnetwork8148 이미 ceo들 연봉이나 보너스는 실적에 달려있는데 노동자랑 대체 뭔 상관임? 실적 좋으면 알아서 챙겨가고 안좋다고 연봉 삭감되는것도 아닌데. 경영진이 뛰어나게 잘하는 회사도 있지만 누가봐도 말아먹고 있는 회사도 많은데 뭔 잘하먄 내탓 못하면 니탓이라는 거? ㅋ

  • @user-kk2ex4em6u
    @user-kk2ex4em6u 3 ปีที่แล้ว +3

    그래서 저는 주주가 되었습니다. S&P500에 투자하세요

    • @user-bi3sm7ec6t
      @user-bi3sm7ec6t 3 ปีที่แล้ว +1

      Etf에 투자해도 주주는 안 되잖아요.... 지수에 투자하는거지....

  • @user-tk2ff4qb6b
    @user-tk2ff4qb6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 특)
    주주 환원X, 직원 복지 보장X
    오너중심 ㅇㅇ

  • @user-fm7ge6tf5n
    @user-fm7ge6tf5n 2 ปีที่แล้ว

    기업을 성장시키려는 동기가 잘못됐는가?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2

    하청업체를 없애야 하나요?
    전문화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가격이 하락하면 소비자가 이익을 봅니다.
    보다 더 효율적이 못하다는 것은...
    소비자가를 올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청을 막아 비효율성을 강조해야 하나요?
    노동자의 임금이 올라가면...
    물가도 올라야 할 것입니다.
    노동자들의 강압에 의한 것이죠.
    노동자들만 이익을 보는 것입니다.
    기업과 소비자가 손해를 보죠.
    기업은 더 낮은 임금을 찾아 떠날 것입니다.
    다른 곳에도 온통 노동자를 위한 법규를 만들겠다고요.
    그만큼 노동자로 인한 물가는 올라갈 것이고.
    노동자는 효율적으로 일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물가는 올라가겠지요. 노동자는 제자리로 돌아올 것입니다.
    높은 임과 높은 물가...샘샘이 될 것입니다.
    공짜는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

  • @user-zr3gf6le3v
    @user-zr3gf6le3v 2 ปีที่แล้ว

    개미는 장기투자 주식만이 살길

  • @user-vj3rz6vr3y
    @user-vj3rz6vr3y 3 ปีที่แล้ว

    아니 애초에 우리나라 근로 환경이 안좋다는 이해되는데 고용보장은 왤케 안좋다고 하는거임?
    여러분이 그렇게 좋아하는 선진국 기업들 해고가 얼마나 쉬운줄 아나 ?

    • @simoniacdemoniac7525
      @simoniacdemoniac7525 2 ปีที่แล้ว

      정규직에한해서는 맞는말이긴합니다만 빠져나갈구멍이 많은 근로기준법이나 고용형태, 아예 무법지대 수준인 98%의 5인 미만 사업장이 있죠. 노조가입이나 파업을 하면 해외와는 달리 병신취급하는 국내 분위기도 단단히 한몫하죠. 노동자에게 허술한 근기법이 있다면 기업은 근기법에 규정된 항목 이외의 "모든 것"을 할 수 있을만큼 공격수단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SteinAdler_I
    @SteinAdler_I 3 ปีที่แล้ว +1

    개인적으로 민주주의라고 불리는 시대는 이제 끝난거 아닌가 싶다.. 무슨 과거의 계급사회가 있던 시대처럼 기본적인 인권을 누리지 못하는 상황도아니고
    이제는 자본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서 보이지않는 계급이 정해지는 자본주의라고 해야지... 언제까지 민주주의라고 부를거야

    • @user-cv4du7gl5t
      @user-cv4du7gl5t ปีที่แล้ว

      상대적 자본계급주의?

    • @AN-yf7xp
      @AN-yf7xp ปีที่แล้ว

      그렇다면 재산비례벌금제를 시행해야겠네요

  • @user-dk1ol7np6w
    @user-dk1ol7np6w 3 ปีที่แล้ว +1

    회사의 주인은 주주가 맞지. 절대 노동자가 주인이 될 수 없음. 노동자는 월급 받는 계약자일 뿐임. 주인이 되고 싶다면 자기 회사를 차려야지

  • @user-hg8qg1nb3o
    @user-hg8qg1nb3o 2 ปีที่แล้ว +1

    솔직히 좀 허구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이상적이지만 전혀 현실적이지 않죠. 회사가 이익이 나지 않고 손해가 났을 때 그리고 누적이 계속 되고 있다면 ?

    • @AN-yf7xp
      @AN-yf7xp ปีที่แล้ว

      뭔가 옛날 옛적 왕국에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나라가 망하면 왕이 처형을 당하고 국민들은 새로운 지도자를 맞이하는 것처럼요.
      근데 나라가 흥했다고 왕이 폭군이어선 안되잖아요? 뭔가 그런 느낌인데요.

  • @dong-soolee5072
    @dong-soolee5072 3 ปีที่แล้ว +2

    월마트 시간당 10불은 오래된 데이터 같네요. 물론 주마다 최저임금이 많은 차이가 나지만 파트타임 고등학생도 10불보다 많이 받습니다.

    • @jasonpark2889
      @jasonpark2889 3 ปีที่แล้ว +5

      ※ 이 영상은 2016년 5월 30일에 방송 된 《다큐프라임 - 민주주의 4부 기업과 민주주의 》의 일부입니다.

    • @user-pj8hl3tv2u
      @user-pj8hl3tv2u 2 ปีที่แล้ว

      게다가 팁까지 받는거 생각하면 시간당 1.5불 이상일듯 유학간애가 월마트는 아니지만 마트에서 4시간 일하고 7만원정도 벌었다함

  • @November441
    @November441 3 ปีที่แล้ว +6

    자본주의와 기업을 탓하기 전에 잘나가는 기업의 주주가 되어서 기업과 같이 성장해라.

  • @factchecker81
    @factchecker81 3 ปีที่แล้ว +5

    자본주의 시대에 살면서 주주자본주의를 까는 것은 좀 어불성설이네요..

  • @user-happy2080
    @user-happy2080 3 ปีที่แล้ว

    우리나라는 기업은 그냥 오너일가들 개인꺼라 생각해서 주주들 입장은 개뿔로 보니 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표적으로 연말배당

  • @user-lx9bs4cg4z
    @user-lx9bs4cg4z 3 ปีที่แล้ว +6

    귀족노조타령하는 보수정치집단및 언론들,,,정직원 없에고 계약직들 분노를 귀족노조라는 프레임으로 대체시킴,,,

    • @commentno3153
      @commentno3153 2 ปีที่แล้ว +1

      노조는 이익집단이 맞는데? 사회를 좀먹는 존재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1

    그렇지요. 노동자가 원하는 회사가 있군요.
    노동자는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선택해서 노동환경이 좋아지는 것이지요.
    그런데 그 회사가 망한다면...
    아직 그회사가 사회에서 받아들여질 여건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런회사가 계속 유지된다면...
    노동자는 더 좋은 노동환경을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그런 회사들에서만 노동자를 구할 수 있겠지요.
    모든 회사가 노동자가 원하는 회사로 바뀌어 있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시장은 선택에 의해 변하고 발전해 가는 것입니다.
    강제해야 이런 회사가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강제 규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렇지요...주주가 되면 됩니다.
    이렇게 하지 않더라도...다른 회사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노동자는 노동자로만 살라고 하나요?
    노동하면서 투자할 수 있지요.
    노동자와 주주가 싸워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지만...자유를 훼손하면 안되지요.
    노동자에게 주식을 투자하게 해야 한다?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적도 중요하지만...
    방법도 중요하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제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하죠.
    이스라엘 키브츠도 있어요.
    그러나 이탈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것도 만들 수 있겠죠.
    실패한다면 그것은 틀리다는 이야기 겠죠
    투자자가 가져가는 것이지요. 위험을 부담하고...
    노동자에게 투자하지마라 법으로 정하지 않았지요?
    왜 투자하지 않죠? 투자자가 다 가져간다고 불만을 표현했잖습니까?
    그러면 투자해야지요. 투자자가 유리하니까요.
    우리는 보다 유리한 것을 선택할 수 있지요.
    보다 좋은 직업, 보다 좋은 물건, 보다 좋은 투자처
    노동자와 자본가가 따로 있어서 투쟁하는 것이 아니죠.
    노동자도 주식을 사므로써 주인이 되지요.
    그러나 자기 의사대로 회사를 움직일 수는 없지요.
    움직이려면 대주주가 되어야 하니까요.
    투자한 만큼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공평하지요.
    100 원 투자자와 100만 원 투자자가 똑같이 권리를 행사한다면...
    그것이 불공평하지요. 그리면 100만 원을 누가 투자할까요?
    100원투자하지요. 똑같이 권리를 준다면요.
    투자금이 많이 모이지 않겠지요.
    그렇게 하려면 협동조합하시면 되지요.
    모두 똑같이 투자하고, 똑같은 발언권 행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소액주주가 자기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 뜻대로 회사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다른 내 뜻대로 움직이는 회사의 주식을 사므로써...
    내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소액 주주 권리를 보장하라!면서 강제해야 하나요?
    남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죠. 남에게 강제하는 것입니다.
    그들의 자유를 빼앗는 것입니다.
    .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1

      시장에는 좋은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시장에는 나쁜 것이 많다
      정치 경제 언론 기타
      모든 곳에 나쁜 것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시장은 강요하지 않는다
      좋은 것이 되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다만 선택할 뿐이다.
      선택이라는 선별작업을 한다.
      좋은 것을 선택할 때 좋은 것만 남는다.
      좋은 것을 선택할 때 좋은 세상이 된다.
      .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ปีที่แล้ว +8

    [ 착취 ]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한다...
    1. 노동자는 자기를 착취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월급을 주기때문에 노동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노동자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자기를 착취한다면...다른 것을 선택하면됩니다.
    더 좋은 노동환경을 선택하거나...노동이 아니라
    사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돈이 없다면 노동자끼리 모여서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먹고살 정도의 월급만을 줄까요?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호날두와 같이 뛰어난 사람은 월급을 왠만한 사업가 이상으로 받습니다.
    먹고살 정도의 월급만을 받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죠.
    (과장되었거나, 마르크스가 살던 시대와 달라진 것 같습니다.)
    2. 공산당은 생산시설을 국유화해서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고 다 몰수했지요)
    그러나 공산당의 노동자가 더 착취당하는 것 아닐까요?
    공산당의 노동자와 시장경제에서의 노동자를 비교해서 생각하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중국은 경제적으로 공산주의를 버리고 자본주의를 채택했고
    거기에 투자한 자본가들이 노동자를 착취한 것인가요?
    3. 노동자의 몫을 자본가가 가져간다.
    물건의 가치(가격)은 얼마의 노동력을 투자했는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노동가치설)
    물건의 가치는 수요공급의 원리에 따라 정해집니다. 수요가 많으면 가치가 올라갑니다.
    아무리 많은 노동이 투자되더라도 수요가 없다면 재값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자본가는 물건을 팔지 못하면 노동자에게 많은 임금을 지불하지만 이익을 얻지 못해 망할 수 있습니다.
    4. 거래는 상생입니다.
    서로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거래가 이루어지기 힘듭니다.
    모두가 이익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집니다.
    한쪽이 크게 손해보거나 크게 이익을 보기 어렵습니다.
    시장은 스스로 균형점을 만들어갑니다. 착취가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 공산당이 망한 이유 - 사유재산 ]
    공산당이 망한 이유는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일하나 그렇지 않으나 모두 똑같이 나누어 가집니다.
    그러면 사람은 열심히 일하지 않습니다.
    왜 이렇게 북한과 대한민국이 달라졌나요.
    북한은 노동자들이 열심히 일하지 않고, 대한민국의 노동자나 기업가는 열심히 일할까요?
    열심히 일하면 더 많이 보상을 받기 때문입니다.
    메시 호날두가 일반축구선수와 똑 같은 월급을 받는다면...
    그것이 정당할까요? 그리고 그런 선수가 나올 수 있을까요?
    메시와 호날두는 사업가도 아니죠? 노동자라고 볼 수 있겠지요?
    그리고 그들의 월급이 누가 정해서 주나요?
    어떤 매수자와 매도자의 거래로 인해 월급이 결정됩니다.(수요와 공급의 원리)
    공평하다 불공평하다...말할 수 없는것 아닌지?
    그들이 거래한 것이고 그들이 결정한 것입니다.
    우리는 제3자의 입장에서 왜 매시에게 200억주냐 나한테 10억만 달라 그럴 수 있나요?
    공평하게 나누는 것보다는
    능력에 따라, 기여 정도에 따라 더 가져가는 것이 정당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어느 누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거래에 의해 자연히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래야 노력하게 됩니다.
    [ 자유 - 선택권 ]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선택을 합니다.
    기업은 소비자들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조사하고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을 합니다.
    더 좋은 물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살아 남을 수 있습니다.
    선택하기 때문에 경쟁을 합니다. 경쟁을 하기 때문에 더 열심히 일합니다.
    소비자들이 선택을 하기 때문에 그들이 원하는 물건이 만들어지고
    그들이 원하는 세상이 만들어 집니다.
    노동자와 자본가의 관계도 소비자와 생산자의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노동자는 더 좋은 조건의 노동환경을 선택합니다.
    그러므로써 시간이 갈 수록 노동환경이 더 좋아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동자가 노동투쟁해서 노동환경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노동투쟁이 아닙니다...선택입니다.
    노동자가 선택을 하기 때문에 더 좋은 노동환경을 선택하기 때문에
    노동환경이 발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동자의 선택하는 행위가 노동운동이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므로써 노동자가 원하는 세상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느 독재자가 세상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인 국민이 선택하고 거래함에 따라 세상이 만들어집니다.
    독재자가 아니라 국민이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민주주의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 기업은 착취하는 존재인가? ]
    기업은 일자리를 만듭니다.
    노동자가 더 좋은 일자리를 선택하기 때문에...
    기업은 다른 기업보다
    더 좋은 일자리를 제공해야 합니다.
    더 많은 월급, 더 좋은 노동환경...
    기업은 세금을 국가에 냅니다.
    기업은 물건을 만듭니다.
    소비자들이 더 좋고 더 싼 물건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업은 더 저렴하고 더 좋은 물건을 생산해야 합니다.
    기업은 퍼주는 존재입니다.
    노동자에게 더 많은 월급을 퍼줘야 하고...
    국가에 퍼줘야 하고...
    소비자에게 더 퍼줘야 합니다
    이것을 가장 잘 하는 기업이 살아 남습니다.
    우리는 기업이 퍼주기 때문에...
    더 저렴하게 더 좋은 물건을 살 수 있습니다.
    더 저렴하게 살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더 부자가 됩니다.
    더 좋은 기업이 없다면...
    더 적은 월급을 받아야 하고...
    더 비싼 물건을 구매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더 가난해질 것입니다.
    기업은 현제 사회에서 대부분 개인기업이 아닙니다.
    이익금을 주주들에게도 퍼줘야 합니다.
    이들의 이익이 부러운 사람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기업에 투자하여...
    이익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자본계급과 노동계급이 나누어져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자본계급만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은 없습니다.
    노동자지만 동시 기업에 투자하여 자본가일 수 있습니다.
    가난했던 개인중에도 투자에 성공하여 많은 돈을 번 사람도 많은 것 같습니다.
    워렌버핏도 가난한 사람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나 사업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투자나 사업이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 승자독식? ]
    승자독식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래야 더 열심히 일하게 된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는 모두가 승자가 되어야 합니다.
    분업 > 시장경제가 발전할 수록 직업의 수가 많아진다고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가장 잘 하는 일을 각자 찾아 승자가 되어야 합니다.
    모두가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사회적으로 생산성이 높아집니다.
    생산량이 늘어나야 물품의 가격이 떨어집니다.
    그러므로써 사회구성원들이 더 부자가 됩니다.
    퍠자는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해야 합니다.
    메시 호날두에 양보해야 합니다.
    나보다 잘 하는 사람이 있는데 양보하는 것이 더 정당하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패자는 자기가 더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결국 모두가 자기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을 각자 찾아 나서야 합니다.
    그러므로써 사회적 생산량이 늘어나고...물품의 가격이 떨어지고
    더 저렴하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구성원 모두가 사회적으로 더 부유해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써 경제 민주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승자에게 패자가 왜 너만 가져가냐 나도 나눠갖자
    그러면 효율적인 사회도 될 수 없고...
    어느정도 나눠야 하는지요?
    사바사바 비리도 많아지겠지요.
    공산사회가 비리가 많다고 합니다.
    시장경제는 발전하면 할 수록 더 도덕적이 된다고 합니다.
    명품은 소비자에게 더 도덕적이지 않으면 나올 수 없겠지요.
    그러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노래해야 할 사람이 축구를 하게됩니다.
    효율적인 사회가 될 수 없습니다.
    [ 자유 ]
    시장은 어느 누구의
    통치나 통제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시장은 각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움직입니다.
    통제와 통치를 받는 노예가 좋은가요?
    아니면 자유로운 세상이 좋은가요?
    통치나 통제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공산주의자인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 @user-gy3yv8cm2b
    @user-gy3yv8cm2b ปีที่แล้ว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공존한다고 생각하는가?

    • @AN-yf7xp
      @AN-yf7xp ปีที่แล้ว

      빅브라더로 갑니까?

    • @user-vd3ey7kc6p
      @user-vd3ey7kc6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서로 경쟁하는 관계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도 마찬가지 .. 우리는 자유민주주의이자 자본주의

    • @user-gy3yv8cm2b
      @user-gy3yv8cm2b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vd3ey7kc6p 민주주의는 공산주의가 먹잇감이다,공산주의가 없으면 존재의 의미를 상실,고로 남한민주주의는 북한주체사상이 좋은 영양분을 공급한다.
      북한이 지속가능한 궁핍함을 유지하게 미국이 전천후로 압박한다면 한국의 민주주의는 유래없는 호황을 누린다, 그리고 아시아 민주주의모티브로 미국이 한국을 잘 활용하고 있다 .

    • @user-vd3ey7kc6p
      @user-vd3ey7kc6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y3yv8cm2b 공산주의의 반대는 자본주의입니다 민주주의의 반대가 독재이고 애초에 공산주의가 자본주의의 문제점때문에 나온건데

  • @hotsourcecode
    @hotsourcecode 2 ปีที่แล้ว

    월마트로 비유하면 안되지. 구글, 애플등에 근무하는 직원은 급여도 다르니까. 그리고 월급모아서 주주가 되면 된다.

  • @user-yb2qd7hx9l
    @user-yb2qd7hx9l 2 ปีที่แล้ว +1

    영상 보는 내내 불편한 느낌이 듦. 몇몇 특수한 경우들을 가지고 '지금의 모든건 잘 못 됐다. 기업은 악당들이다.' 이런걸 자꾸 내 머릿속에 억지로 집어 넣고, 심으려는 게 강하게 느껴짐. 지금 기업들 문제점도 너무 많지만 이 동영상의 방법은 틀렸다는걸 너무 잘 알 수 있는게, "그럼 당장 노동자 관두고 기업을 만들거나, 주식을 해라" 이 논리 하나로도 다 반박가능한거라고 본다. 지금 우리나라 기업이 잘 하고있다는게 아니라, 이 동영상이 마치 이것이 '답'이다 라는 주장하는게 많이 거슬림. 결국은 정부가 안전/근로시간/근로별 최저임금 이런 법규들을 잘 만드는게 무지한(물정을 잘모르는) 노동자들이 자기 노동에 대한 댓가를 잘 받아 갈 방법인거 같음.

    • @user-dx8fi1vv2o
      @user-dx8fi1vv2o ปีที่แล้ว

      그런 사회안전망들을 부수는게 기업들이니깐 저러지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3 ปีที่แล้ว +4

    기업은 정부와 소비자에게 통제당해야한다.
    기업을 컨트롤하지 못하는 정부는 언젠간 반드시 기업에게 나라를 먹히게 되고
    기업을 비판하지 못하는 소비자는 기업의 노예만 될뿐이다.

  • @user-uz8bu2pj3h
    @user-uz8bu2pj3h 2 ปีที่แล้ว

    자본과 노동이 분리되어 대규모 투자가 가능해진거 아닌가요. 직원이면 지분투자 안해도 회사의 수익은 공평?하게 나눠가져야 한다는것처럼 보이는 영상이네요. 그렇게 간단한 문제면 쌍요차는 노조에서 십시일반 돈 모아서 벌써 인수했겠죠...
    열심히 일하면 당연히 충분한 대가를 받아야 하겠지만 자본이 회사를 소유하고있으니 잘못됐다. 민주적이지 않다 라고 하는건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GE사례에선 경영적 판단이 결국 회사를 망치게 된거지 그게 주주가치를 위해서 그렇게 된거다? 경영을 하다보면 성장을 택할수도 안정을 택할수도 있는건데 그냥 주주탓하는걸로밖에 안보이네요.

  • @pop5770
    @pop5770 3 ปีที่แล้ว +11

    기본소득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여지네요.

    • @user-pi8wo4st6w
      @user-pi8wo4st6w 3 ปีที่แล้ว +1

      나는 싫은데 ㅋㅋㅋ 단순한 생각이지 ㅋㅋ 기본소득제 해봐야....물가만 오를것임 ㅋㅋ

    • @zealatan
      @zealatan 3 ปีที่แล้ว +1

      생각보다 쉽지 않아요. 저도 전체적인 흐름은 기본소득제 도입이 필요하다 보지만,
      위에분 말씀처럼 물가가 오를겁니다. 차라리 전 국민이 주주가 되어서 기업의 잉여물을 나눠가질 수 있어야 해요. 우리나라는 이제 경제규모가 많이 커져서 국민연금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서 최대한 많은 국민들이 금융지식을 갖춰야 한다 생각합니다. 그래야 노동의 수요 공급, 물가, 양극화와 같은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키를 맞춰나간다 봐요.

    • @pop5770
      @pop5770 3 ปีที่แล้ว +4

      지금 당장은 도입이 이른점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부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현상이 가속화 된다면, 언젠가는 도입이 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생산해봤자 국민들이 직장을 못 구하여 돈이 없어 구매를 할 수 없다면, 기업의 경쟁력도 감소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겠지요. 애초에 시도해 보지도 않고 우려 부터 하는것은 지나친 걱정입니다. 일단 한달에 20~50만원정도 시작해보고, 문제가 있다면 하면서 고쳐나가면 되는 문제일 뿐입니다. (그냥 국가가 돈을 주는 것을 싫어하는 것일지도...)
      결국 이건 국가와 국민의 의지의 문제이죠. 이는 결국 현재 심각한 저출산 문제도 도움을 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선별적 복지 또한 여려 말들이 많죠. 그럴바에는 전국민이 20~50만원정도 받는게 낫죠. 솔직히 한달에 50만원씩만 통장에 돈을 꽂아줘도 할 수 있는 영역이 더 많아지리라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소비를 하면 국가의 경제가 활성화되서 좋고, 은행에 맏기면 기업이 빌려서 투자하기에 좋고, 주식에 투자하면 결국 기업에 자금이 돌고 대다수의 국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겠죠.
      베네수엘라는 솔직히 극단적으로 돈을 뿌려서 망한 경우이고 적절한 수준으로 하면 문제 될건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예전에 1997년 IMF와 2008년 경제위기 이후 공포로 인해 너무 국가적으로 극단적으로 돈을 아끼고 있죠. 솔직히 이러면 부자들이야 상관없지만, 중산층 이하 생활은 팍팍해질 수밖에 없고 앞으로는 더 팍팍해 질 뿐입니다. 천천히 끓는 물에 개구리는 결국 죽는 것이죠. 그럴바에는 국가도 기업이 하듯 혁신적인 정책은 시도해보고 안되면 조정도 해가면서 방법을 찾아야죠. 그냥 가만히 있으면 누가 문제를 해결해줄까요?

    • @user-yu7gb2lx5k
      @user-yu7gb2lx5k 3 ปีที่แล้ว +1

      @@pop5770 기본 소득보단 생산성 높은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서 능력에따른 소득을 늘리게 하는게 맞지, 돈 뿌리면 누가 열심히 노력해서 뭔가 가치를 창출할까요. 인간은 더 발전하고 싶어하는 욕심이 있기때문에 그 욕심을 더 발전되게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실제로 복지 천국 오스트레일리아 자살률 보다 나치 수용소에서 자살율이 더 낮았죠.

    • @user-if3cn9om2z
      @user-if3cn9om2z 3 ปีที่แล้ว +1

      돈이 풀리면 돈의 가치는 하락. 결국 자산(아파트 등)가치 상승. 소득주도성장(최저임금 인상)이 노동자들 본인 발등 찍은거 보면 모르나?

  • @m.m.m6725
    @m.m.m6725 3 ปีที่แล้ว +1

    평등은 존재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부가가치를 더 높이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할 수 있는 것이다.
    세상은 원래 불공평,불평등하다.
    경쟁은 나쁜것이 아니다.
    이러한 진리와 이치를 인정하고 받아들인 후 목표를 세우고 치열하게 살아가는 수밖에 없다.

    • @simoniacdemoniac7525
      @simoniacdemoniac7525 2 ปีที่แล้ว +1

      그게 개인의 신념일순있어도 정치를하는 사람이 그런 믿음으로 정치를 해서는 안되는거죠. 양극화를 해결할 시도도 의지도 없이, 시작부터 평등하지않은 환경속에서 도태된 사람들은 굶겨죽이고 소수의 승자를 위한 정치를 할거면 본인들만의 왕국을 다시 세우는게좋지않을까요?

  • @godhandong
    @godhandong 3 ปีที่แล้ว +1

    시급 1.2만이 복지지

  • @user-fp9lr1qk7o
    @user-fp9lr1qk7o 3 ปีที่แล้ว +3

    기업의 주인이 직원이라닛 멋지네요

  • @user-kx8dl5mv9d
    @user-kx8dl5mv9d 2 ปีที่แล้ว

    제목이 자극적이네. 누구나 주주가 될 수 있는게 자본주의인데

  • @ddgbddd7662
    @ddgbddd7662 3 ปีที่แล้ว

    O

  • @d.g5216
    @d.g521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기적 유전자
    야만이 문명을 넘어선다

  • @ChristmasJazzinstrumental
    @ChristmasJazzinstrumental 3 ปีที่แล้ว

    Those who read this comment, wish you a very happy and lucky day, + 1 subcriber !~ 💖

  • @lumpsum1343
    @lumpsum1343 2 ปีที่แล้ว

    ●이거. . 세계2위 뱅가드그룹 존보글이 세운 방식인데ㅋㅋㅋ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