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책이 유독 무거운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2 มี.ค. 2024
  • 책 한 권에 1kg가 넘는다고?!😱
    해외 책보다 유독 더 무겁게 느껴지는 국내 책…
    과연 기분탓인지…?🤔
    도로로와 함께
    소탐해봤습니다🔍
    #책 #비교실험 #소탐대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67

  • @doskdb5968
    @doskdb596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75

    나레이션이 너무 고급 인력이잖아ㅋㅋㅋ

    • @BoPplle
      @BoPpl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일본닌자캐릭터인데 조선시대 잘생긴 선비느낌이네요ㅋㅋㅋ

    • @hny2798
      @hny27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5

      @@BoPplle 그 도로로라는 캐릭터가 중요한게 아니라... 나레이션을 맡으신 강수진 성우님이 90~2000년대 좀 유명한 만화들은 많이 맡으셨어서 대표작들만 골라도 명탐전 코난, 이누야샤,김전일,란마,근육맨2세,슬램덩크,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블리치,오란고교,사이버포뮬러,유유백서,유희왕,카드캡터체리,디지몬,드래곤볼,슬레이어즈,원피스,개구리중사캐로로 등의 작품들에서 주조연을 맡으신 국내 대표 성우라고 감히 표현해도 과하지 않은분이라 그렇습니다

    • @BoPplle
      @BoPpl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ny2798 알아요 저도 그때 만화 생방으로 많이봣어욤ㅋ

    • @BoPplle
      @BoPpl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ny2798 저도 알아요ㅎㅎ 그때당시 그 만화들 다 보고 자랏습니당

    • @BoPplle
      @BoPpl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저도 알어요ㅎㅎ 그때당시 생방으로 시청하엿답니다ㅎㅎ

  • @dongjunchoi9699
    @dongjunchoi969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0

    제발 중고생들 참고서는 화질 떨어지더라도 가볍게 나왔으면 좋겠어요. 가방에 몇권만 넣어도 들수가 없어...
    1년 쓸고 버릴 책들 종이가 좋을 필요는 없잖아요.

    • @user-hl9oc2nd5h
      @user-hl9oc2nd5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내말이…

    • @user-dl7of5fl1p
      @user-dl7of5fl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이건 ㅇㅈ

    • @go2university
      @go2universit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우리에겐 유빈아카이브가 있다구

    • @aws4ogw53eqrgpn
      @aws4ogw53eqrgp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지우다가 찢어지는 것보단 좀 무거운 게 나음

    • @ddongbba
      @ddongbb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교과서만큼 많이 사용하는 책이 없는데
      맨날 보고 글씨쓰고 하면 질이 좋아야지요

  • @IB0217
    @IB02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95

    우리나라에서도 가벼운 책 좀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 들고 읽을라 하면 손목 뿌라지고 가방에 넣고 다니려면 무겁고.. 특히 전공서 같은 건 좀 가볍게 만들어줘도 되잖아요. 예???

    • @s23song
      @s23so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2

      전 외국에서 대학을 다녔는데요. 전공서적은 대부분 하드커버 돌덩이입니다 ㅋㅋ

    • @jannabee7862
      @jannabee786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전공책은 껍다구 얇으면 너덜너덜해져서 오히려 두꺼운게 좋은듯...

    • @natome132
      @natome13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전공책이 얇으면 자주 접고열고 들고다니고 그래서 금방 책도 찢어지고 내용물 사라질듯 ㅋㅋ 무겁지만 종이의 보존성을 위해선 어쩔 수 없음 ㅠㅠ

    • @rhamnites9179
      @rhamnites91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나 외국서적 쓰시는 교수님이 전공이라 아마존에서 책 사봤는데 이거맞다ㅜㅜ
      외국책도 무거운건미쳣음

    • @candlecrown8717
      @candlecrown87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공책은 어차피 원서로 보잖아요..ㅋㅋ

  • @user-xt1ut7bf6h
    @user-xt1ut7bf6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9

    종이책 무거운거 이사할 때 가장 절실히 느낍니다.

    • @summerkiiko
      @summerkiik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mippda 도서정가제가 대형 서점을 키우기 위한 정책이었나요?! 오히려 동네서점을 키우기 위한 정책이라고 생각했는데...

    • @momonga._.05
      @momonga._.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ummerkiiko결과적으론 그걸 심화시키게 됏죠

  • @goforit1010
    @goforit101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77

    어차피 도서정가제 맞춰서 최소 만오천원짜리 책만드니까 한번보고 말 자기 개발서 같은 책들도 양장본으로 비싸게 나오고 그거 맞춰 덩달아 이북조차 해외 페이퍼백보다도 비쌈. 대학다닐때 스벅갈돈으로 책사보라는 얘기가 있었는데 지금 스벅세번안가야 책한권 사네요. 동네서점 살려주신다고 법만들어주신분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곤 합니다.

    • @kyejung5919
      @kyejung59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9

      법 만드신분은 돈걱정이 없으시답니다.

    • @YR-wz5id
      @YR-wz5i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탁상행정 ㅜ

    • @GoniG23
      @GoniG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3

      법 만드신 분들은 자기 돈으로 책을 안 산답니다.

    • @MrZugul
      @MrZugu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구퀘우언들은 그런거 생각 안함

    • @user-yc6io4nx5z
      @user-yc6io4nx5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비싼건 영상에 나왔듯이 외국이 30%가량 더 비쌉니다. 오히려 지금도 꽤 싼가격이라 생각해요

  • @kwanyoung978
    @kwanyoung97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5

    도서 정가제가 되면서 작고 소지하기 편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핸디북들이 사라졌죠. 책제작 원가는 사실 비중이 10%조차도 안돼기 때문에 가격을 올리기 위해서 품질을 높였다는 말이 안되고 책가격이 올라갔는데 소비자 만족도는 오히려 하락했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책의 품질을 높였다는 쪽이 말이 된다고 봅니다.

    • @sdadqwrijh21
      @sdadqwrijh2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원가 10%는 2010년대 이전 이야기입니다. 몇년간 종이값이 몇배로 올랐고, 초판 부수도 많이 줄어서 기본 20%는 나옴

    • @mxpentax7207
      @mxpentax720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sdadqwrijh21 도서정가제 이전부터 이미 양장본 세상이었음

    • @user-ki7lw1it1c
      @user-ki7lw1it1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제가 어릴 때 부터 서점순이였는데 지금이 어느 때 보다 문고본(A5크기), 미니북 출판이 활발한 것 같아요.
      대표적으로는 민음사의 쏜살문고 시리즈가 있고요, 서점마다 없는 곳이 없는 더 클래식의 고전 시리즈가 있죠.
      저 어릴 때는 그런 책 거의 없었거든요. 2010년 초반 인기있던 대원씨아이 라이트 노벨 정도나 일본 영향 받아서 문고본으로 나왔었고요.

    • @skydream7851
      @skydream78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10프로도 안되는세상은 그 10년전이야기시구요 지금은 원가 20~25프로정도는나와요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종이값 말도 안 되게 상승함. 업계 현실 모르는 사람들이 막 댓글 쓰는 게 안타깝네.

  • @juno7329
    @juno73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7

    현직 디자이너입니다. 해외책 같은 지류로 책을 만들면 클라이언트 컨펌을 못받습니다. 왜냐하면 싸구려 종이로 만들었다는 소리를 듣습니다. 또한 국내 책은 책 안에 컬러 이미지 및 인포그래픽이 많이 들어가는데 재현률에서 차이가 납니다. 제생각에는 소비자도 결코 해외책처럼 출간하면 댓글에서나 살것처럼 하지만 실제로는 싸구려 생지 느낌난다고 안삽니다. 소비는 팔리는걸 만들뿐이겠죠

    • @029aa
      @029a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0

      맞습니다. 해외는 책을 읽는다는 순수 목적이지만 한국은 보여주기식과 이뻐야 읽을 감성난다는 등 이러한 성향 때문에 책값오르고 이뻐야 팔리는 나라죠

    • @user-mc7em7nk9z
      @user-mc7em7nk9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오히려 외국책 시간 지나면 갈색이 책에 묻어나서 빈티지하고 예쁜데 ㅜ

    • @dq9738
      @dq97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aftdrk__그게 편견이 아니라 실제 다 해보고 하는 소리죠. 우리나라에서 그럼 시도 안해봤을거 같습니까? 출판계에서 다 해보고 실제 안팔리는거 다 경험해봤으니까 저러는거죠.

    • @hder9
      @hder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작은 아이폰 나오면 꼭 산다고 하던 사람들 막상 미니 출시하면 안 사는 느낌

    • @user-gm9zf5nx7j
      @user-gm9zf5nx7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그건 클라이언트 의견이고 고객입장에서는 가벼운책 선호 현상은 계속 있어 왔음 😂

  • @sunggyushin7993
    @sunggyushin799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1. 영어책에 쓰는 재생지 비율이 높은 종이는 인쇄한 후 시간이 지나면 글씨가 아주 살짝 번진다.
    2. 소비자가 이에 대해 클레임을 건다.
    3. 그래서 출판사가 재생지 비율이 낮은 고급 종이를 쓴다.
    4. 재생지 비율이 높은 종이에 대한 수요가 부족해지니 재생지가 고급지보다 단가가 오히려 더 비싸진다.
    5. 더 싼 고급용지를 더더욱 많이 쓴다.
    예전에 친환경 출판에 대한 세미나에 갔는데 이렇게 설명하시더라고요. 우리나라 소비자가 책 마감에 대한 눈이 높은 것은 사실인 듯합니다. 그렇다고 출판사가 잘한다는 얘긴 아니고...

  • @enarg
    @enar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8

    갱지책 좀 많이 나왔으면 좋겠음

    • @user-li5kl8rj9o
      @user-li5kl8rj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우리나라 책 누워서 보기 넘 무거움
      또 들고다니기

    • @eyebrows5318
      @eyebrows53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li5kl8rj9o 누워서 책보지마시고 무겁다고 찡찡거릴시간에 운동이나 더하시는게 삶의 도움이 됩니다.

    • @user-li5kl8rj9o
      @user-li5kl8rj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yebrows5318 이런 댓글 달 시간에 본인이나 ㅜㅜ

    • @user-li5kl8rj9o
      @user-li5kl8rj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yebrows5318 이런 댓 달시간에 본인이나 ㅜㅜㅜㅜ

    • @js-cw8tk
      @js-cw8t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yebrows5318일침인척 남한테 시비터시기 전에 뇌의 근육도 같이 키우시길 바랍니다

  • @aftdrk__
    @aftdrk__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4

    나도 선택권을 좀 많이 내줬으면 함. 내가 돌가루가 들어간 좋은 재질의 종이는 양장본에 질이 좋은 종이가 필요하지만 북커버에 끼워서 가볍게 들고다니면서
    보고 싶은 책도 많은게 사실인데 출판업계에서 문고본이든, 사이즈를 좀 규격화 해서 가볍게 만들어서 소설책을 좀 더 가지고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선택권을 내주세요.
    모든 한국 사람들이 소장용으로 다 생각하고 사는 건 아니기 때문에...해외 페이퍼백, 일본의 문고본처럼 좀 만들어주세요.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

      선택권을 주려면 독서 인구가 그만큼 많아야 합니다. 일본이 문고본도 함께 만들 수 있는 이유는 독서 인구가 그만큼 많기 때문이에요. 한국에서는 현실적으로 그나마 대다수의 독자가 좋아하는 무거운 책을 낼 수밖에 없습니다.

    • @user-lt2ps9lq8h
      @user-lt2ps9lq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2번째 문장 ㅈㄴ 비문이네요

    • @aftdrk__
      @aftdrk__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lt2ps9lq8h ㅈㄴ 감사합니다

    • @candlecrown8717
      @candlecrown87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lt2ps9lq8h 잘못을 교정하는 것이야 좋지만 그렇게 말하면 댓글 쓰신 분 기분이 상하지 않을까요.

    • @theo-gk1jq
      @theo-gk1j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andlecrown8717 알빠노 지적질 할 거 찾으면 내 기분이 좋잖음

  • @phyllis2403
    @phyllis240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1

    여기분들은 한국책 비싸다고 뭐라하겠지만 실제로 한참전에 문고본 페이퍼백 이런거 다 한번씩 출판 업계가 시도했음 어릴때 9시 뉴스에도 언급 다 됐었음 근데 다 실패함 ㅇㅇ 다수의 사람들은 책을 사치재 취급하기 때문에 예쁘지 않은책을 굳이 사려고 하지 않음. 데미안 같은 매우 대중적인 문학책도 구우우욷이 초판 복원 어쩌고 이런 에디션으로 나와서 프리미엄스럽게 하는게 훨씬 잘팔림ㅋㅋ 그러니까 계속 크고 화려한 책 위주로 나오는거임. 그리고 동아리 활동 같은거로 소책자라도 뽑아본 사람이면 알수있는데 굳이 옵션 다뺀 갱지책하고 여러 장식 다넣은 화려한책하고 단가 차이가 그렇게 드라마틱하지 않음 ㅋㅋ 더군다나 안팔리기까지 하면 결국 악성재고일 뿐임

    • @user-ez1hi4pw6w
      @user-ez1hi4pw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ㄹㅇ 허영 진짜 심함

    • @turkuduck
      @turkuduc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와우 분석 탁월 감사합니다

    • @lowlanz
      @lowlan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예쁘지 않은 책이 대신 저렴하다면 살 의향이 아주 많은데요. 문제는 도서 정가제로 인해 오래되고 인기없고 얇디얇은 책들도 16000원씩 하니까 안사는거죠

    • @anoldhong2410
      @anoldhong241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탁월한 분석… 😊

    • @Hanee1818
      @Hanee18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lowlanz이 사람아 안팔린다고....다시 읽어보세요.

  • @pharmkim244
    @pharmkim24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6

    중학생 때 해리포터 원서를 전부 다 봤었는데 종이가 재활용지인지, 색도 누르스름하고 냄새도 났었지만 매우 가벼워서 매일 갖고다니면 봤었어요. 개인적으로 두꺼운 책 보다 더 좋았었네요.

    • @s2ns
      @s2n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그 특유의 냄새 저는 좋더라구요

    • @soshimee
      @soshim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살짝 달달한냄새? 좋더라고요. 오히려 누르스름한게 어떤면으로는 고급진느낌도 나고...ㅋㅋ

    • @user-tx2kg6bp6i
      @user-tx2kg6bp6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 공부 잘할듯 ㄷㄷ

    • @user-oi6yz7zx1l
      @user-oi6yz7zx1l 28 วันที่ผ่านมา

      전 가벼운 것!

  • @user-spmkk
    @user-spmk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9

    서점했던 사람으로 출판사 담당 직원에게 직접 들었던 정보 --독자들이 누런색 절대 안 좋아함. 뒷장이 보이고 책 여백에 메모할 때 필기감과 잉크 번지는 문제도 있지만 칼라 그림이 들어가는 책들이 많아지면서 화학펄프 제지를 당연히 많이쓰게 됨. 외서인 경우 한 페이지 번역하면 한 페이지 이상 나오는 경우도 있음.

    • @apfhddirdhfmwl
      @apfhddirdhfmw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헉 그런 이유가.. 저는 너무 하얘서 오래읽으면 눈이 막 아프더라구요😨 내 눈이 벌써 노화가 됐나 했더니 그런 이유가 있었군용..
      기본은 누런책이면 좋겠어요ㅜㅜ

    • @ckrohan
      @ckroh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외서들이 가벼워서 좋지만 오래되면 페이지가 쉽게 누렇게 변색되고, 오래된 책 특유의 퀘퀘한 냄새가 나는 반면
      같은 조건에서 같은 기간 보관한 국내 서적은 하얀 그대로 멀쩡했어요.
      또한 영상에도 나온 부분이지만 국내 서적의 종이, 그리고 페이지를 넘기는 질감이 좀더 고급스러운 느낌이 있습니다.
      그래서 소비자들 선호도가 쏠린게 아닌가 싶어요. 저 어릴때인 90년대만 해도 외서 같은 종이를 사용한 국내 서적들이 꽤 있었던 기억이 나거둔요.

    • @SeaLine1107
      @SeaLine110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이게 맞는 말입니다. 파는 입장에선 소비자 한두 사람을 보고 제품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출판사도 이익을 내야 직원들 먹여 살릴 수 있는 회사일 뿐입니다.
      책을 소장하고자 하는 소비자층이 많은 시장에선 약간 누렇고 뒤에 글자가 비치는 책이면 잘 안 팔립니다. “나는 무조건 가벼운게 좋고 그런 책은 꼭 살 겁니다.” 라고 하는 소비자는 아주 소수입니다.
      또한 영어, 일본어와 다르게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시장은 작습니다. 이미 시장 자체가 작기 때문에 다양한 물성에 투자하긴 힘들고, 하나의 물성으로 다양한 사람들에게 팔아야 생존할 수 있는 시장입니다.
      이런 점에서 소탐대실도 실수한 게 있는데 손해를 보면서 ‘다양성’을 만들어 내라고는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제가 출판사 관계자는 아니지만 영상 마지막 말이 그런 뉘앙스인 것 같네요.

    • @wind747
      @wind74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서양도서는 갱지 라고해서 누런종이로 된거 깨알같은 글씨에 알차레 가볍게 포캣소설 들고다니기도 좋은데.
      뭔가 우리나라는 소장용이 아니어도 종이를 좋은걸 쓰다보니 전체적인 낭비가 심하다는 느낌이...ㅎㅎ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서양 책들은 종이 질감이 좀 별로인 거 같아요.

  • @user-ee8ri4js2p
    @user-ee8ri4js2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우리나라 책 읽을때 책 종이에 형광등 켜 있으면 눈반사 가 심합니다.책 읽기가 불편하단 이야기죠
    앞 부분 표지판 에 비닐 껍데기도 쓰여 있고 (없으면 좋죠)
    그중에 연습장 형식 의 책 형태도 있긴하죠( 옛날 지난 책) 읽기 편해요.

    • @dongwonkim1223
      @dongwonkim12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광원과 딱 90도 각도일때만 반사가 심하데요. 참 불편하죠.

    • @user-uy7iy5rt5r
      @user-uy7iy5rt5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코팅지라고 말하는 종이들이 그렇습니다.
      하위라고 치는 모조지계열은 반사는 없지만 인쇄발 때문에 가독성이 낮거나 필기류 번짐이 있지요.
      해서 최상질인 코트지를 쓰는데 너무 비싸고 무겁습니다.
      차선책, 중간타협으로 코팅지를 쓰는 것이죠.

    • @user-aatittot
      @user-aatittot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코팅지 진짜 너무 싫음…반사되면 글도 잘 안보이고 글씨도 예쁘게 안써짐

  • @iNARU-oe7pp
    @iNARU-oe7p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아마 안 바뀔듯 가벼운 거 선호하는 사람들(+책 퀄리티 따지지 않음)은 다 이북으로 넘어가고 종이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책 자체의 퀄리티를 따지는 사람이 많아서 저퀄저가를 선호하지 않음 아마 이북이 나오면서 종이책은 소장의 영역이 더 커졌고 보통 소장품은 보관하는 거지 이동하는 물건으로 생각 안해서 무게는 잘 따지지 않음..거기다 책의 가치가 소장에 치중되면서 굿즈로 취급되는 경향도 커졌고.. 독서인구가 적은 우리나라에서 책 사업하려면 어쩔 수 없긴한데 시장 자체가 작아서 소수를 위한 책은 더더욱 나오기 힘들다는 게 아쉬움

    • @go2deung-eo
      @go2deung-e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벼운걸 원하는 사람이 더 많을거 같은데

    • @KiShuKeyboard
      @KiShuKeyboar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go2deung-eo 저도 그런줄알았는데, 의외로 층이 좀 나뉘시더라구요.
      원서 수집가(원서는 굿즈로, 번역본을 독서 목적으로)/만화책/라이트 노벨이나 그외 가볍게 볼수있는 여행집/연애소설 느낌을 즐겨보시는 분들은 다들 가벼운걸 많이들 선호하셨었는데
      대작 전집이나 기능서, 수필이나 비판서처럼 오래 두고 보거나, 소장 목적으로 책을 두시는 분들은 두껍고 튼튼한걸 선호하는 분들도 적지않더라구요.
      물론 다 이런건 아니었지만, 확실히 선호 소비층이 다르다? 라는 느낌은 있습니다.

  • @byunduram
    @byundura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9

    극한의 4계절을 버틸려면 그램수가 높은 종이를 쓸수밖에 없는걸지도.. 편집디자인할때 별색쓴 표지가 코팅 안하니 습기나 해를 받으면 색이 아예 날라가더라고요

    • @happyet5968
      @happyet5968 29 วันที่ผ่านมา +4

      그건 아닌듯 합니다. 저 삼십년 넘은 갱지 원서 수십권 있는데 멀쩡합니다.

    • @user-ey5kh5hm2j
      @user-ey5kh5hm2j 28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그건 아닌 듯

    • @RPnajal
      @RPnajal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무게는 내지에서 줄이면 되는 거라서요...ㅠ

  • @user-qx4qm5yd1i
    @user-qx4qm5yd1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종이질차이가 커서 한국쪽이 더 취향입니다.문고판같은 경우 세월지나면 진짜 부서져내려요.그리고 무게에대해선 이북같은게 많아서 무게부담을 많이 느낀다면 이북을 이용하는게 좋죠.그리고 선택권이야기가나와서 말인데...우리나라처럼 1년에 1인 책소비량이 최하인 나라에서 그런 선택권을 누리가 어렵지않을까싶습니다.제가 출판사라도 사지않는데 만들필요없을거같고...책을 많이 읽어주세요.그러면 선택하고 누릴것도 풍요로워질겁니다.

  • @Tv-bj5dw
    @Tv-bj5d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교수님께서는 핵심이 되는 내용은 정말 멀~~~리 돌아서 표현해 주셨는데요.....출판 업계에서 인터뷰를 꺼린 이유이기도 한 이유가 뭐냐면....
    원서가 아니라면 한국인들은 책의 내용 못지 않게 책의 표지와 종이의 질감도 책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즉, 국내에서 많이 팔려면 비싼 종이와 비싼 표지...양장을 해야 팔린다는 거에요. 한국인들은 책을 구매할 때도 같은 값이면 좀 더 좋아보이는 책을 구매하려 한다는 겁니다.
    특정 참고서나 전공 서적 같이 필요에 의해 구매해야만 하는....이거 아니면 안되는 그런류의 책을 제외한 대부분의 서적은 구매자의 흥미에 따라 구매가 결정 됩니다. 비슷비슷한 내용을 다룬 수많은 책들 중에 소비자의 눈에 띄려면 우선 포장 상태가 훌륭해야 한다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가볍지만 저렴해 보이는 종이로 만들어진 책은 안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 밖의 차이점은 책 내용중에 사진이나 그림이 포함된다 하면....저렴한 종이에선 그 색이 제대로 구현이 되지 않을 뿐더러 뒷면에도 스며들어 글씨가 안보이게 되기도 하며, 종이 자체의 내구성 차이도 큽니다. 변색이 되는 시간에서도 차이가 많이 나거든요.
    하지만 이러한 종이 자체의 차이점 보다는 판매량....매출 때문에 고급스럽게 만들다 보니 책이 무거워 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 @candlecrown8717
    @candlecrown87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개인적으론 외국원서의 싸구려종이들도 좋아하는 편인데 아무래도 그런 책들은 보관하기 나쁘긴 하더라구요..
    우리나라는 곳곳에 도서관도 많아서 한번 읽을 책이면 빌리는 경우도 많으니까 소장용 쪽의 수요가 더 많은듯.
    근데 선택해서 살수있게 하기에는.. 출판시장이 점점 작아져서 ㅜ

    • @boomyitv
      @boomyit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교과서 문제잡 까지 고급 종이를 써야 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 @candlecrown8717
      @candlecrown87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boomyitv 책에 필기를 하게 되는 경우 체감이 좀 크긴 합니다// 앞으로 바뀌던 안바뀌던 하겠죠 뭐.../

    • @boomyitv
      @boomyit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andlecrown8717 그쵸

  • @kbketchup
    @kbketchu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

    일부러 좀 가볍게 들고 다녀야 책을 더 가까이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 작은 사이즈로 찾아 구매했던 입장에선 무거운 책들은 어깨가 빠지기에 삼가했으면 하는 마음….

  • @user-ur4yg7yf6w
    @user-ur4yg7yf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종이 질이나 두께, 종류가 바뀌면 인쇄하는 기기도 달라지게 될 겁니다. 인쇄기를 바꾸거나 추가해야 한다는 소리죠. 인쇄기를 추가하려면 인쇄소의 크기도 키워야하고 고정비용도 늘어나게 됩니다. 소비자가 많으면 충분히 감당하겠지만 현실을 그렇지 않아보이네요. 종이를 생산하는 공장도 마찬가지일 것이고요. 팔리지 않을 종이를 생산해서 재고만 잔뜩 쌓아두게되면 손해죠. 우리나라는 좀 제품 선택에 많이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재활용 화장지 조차도 하얀색을 선호하죠. 표백을 하지 않은 누런색 화장지를 찾는 사람이 별로 없어요.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기계펼프를 사용하려고 도전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 @user-wc8tq2ht8v
    @user-wc8tq2ht8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8

    강수진 성우님 목소라 너무 좋아요~~~

  • @urlookie
    @urlooki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도로로 오랜만에 들으니 반갑네요. ㅎㅎ 아따아따에 한 표 던졌는데 컨텐츠에 안 맞았을 듯... 도로로가 차분해서 잘 맞네요.

  • @user-nq4ex2hx4p
    @user-nq4ex2hx4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일본은 같은 책이라 해도 크기가 다양하고 그에따라 가격도 다양해서 참 좋아보이던데 아마 시장이 훨씬 크기 때문에 가능한 거겠죠😢

    • @aftdrk__
      @aftdrk__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저도 그 생각해요…독서량이나 시장이 훨씬 클 수도 있다는 생각인데 이걸 마치 짠듯이 소비자들이 원한다는 식으로 몇십년째 우려먹기 하고 있어서 그게 답답할 따름입니다.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네 일본은 한국보다 출판 시장이 훨씬 크고 독자도 많습니다..

    • @lowlanz
      @lowlan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뇨 도서정가제가 없어서 가능한거죠. 읽기만 할 사람들은 저품질로 사고 소장할 사람은 고품질로 사는게 가능하려면 재고처리 방안. 즉, 할인이 가능해야죠

    • @seongwanhong1582
      @seongwanhong158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lowlanz도서정가제여부가 독자수와 독서량이랑은 별상관없죠 싸게볼거면 중고서적 도서관 이북 등 선택지는 많죠

    • @hkkim8718
      @hkkim87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ㅇ 일본 서점 서너 군데 가서 책들 펴 봤는데... 좀 부럽더군요.

  • @Prim_Luv
    @Prim_Lu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궁금했던 점이 잘 풀렸습니다. 굉장히 유익한 채널 같아요. ...강수진 성우님 카캡체 청명이 버전으로도 듣고 싶습니다... 나긋나긋해서 듣기 좋을 거 같기도 하고, 너무너무 좋아하는 캐릭터라... 듣게 된다면 큰 영광일 것 같아요...! 도로로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set8635
    @set863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귀에 쏙쏙 들어와요 강수진님 나레이션 너무 좋습니다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페이퍼백 같은 거 싸게 박리다매 판매용으로 만들려면 독서 인구가 많아야 함. 우리나라는 독서 인구가 너무 적음. 책 하나 내서 3천 부라도 나가면 다행.

    • @lowlanz
      @lowlan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독서인구가 적어진데 도서정가제와 비싼 책값이 기여했죠. 그런데 이제와서 독서 인구가 적으니 안된다라..ㅋㅋ

    • @user-vs5tq9ty3w
      @user-vs5tq9ty3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lowlanz 우리나라 물가 인상대비 책값이 비싼건가요?

    • @lowlanz
      @lowlan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vs5tq9ty3w 네. 그리고 물가대비가 아니라 소득대비로 봐야죠. 미국은 우리보다 두배 잘사는 나라입니다.

  • @perlaperla6564
    @perlaperla65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지하철에서 핸드폰 보는 내 모습이 싫은데 무거운 거 들고 다니는 건 또 더 싫어서 가벼운 책 찾는다고 이 서점 저 서점 돌아다니다가 마땅한 걸 못 찾아서 포기함....

    • @bestddonggoshow
      @bestddonggosho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ㄴㄴㄴ그건 그냥 책보기 싫은거지😂

    • @youkidayo
      @youkiday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estddonggoshow 맞긴함 서점을 이곳저곳 돌아다녔는데 마땅한걸 못 찾을 수는 없음 그냥 책보기 싫은거

    • @lauriemin8521
      @lauriemin852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람들 너무 부정적이시다...가벼운 책 자체가 별로 없고 옵션이 없는데 그중에 글쓴이 취향에 맞는게 없었을수도 있죠.

  • @Mist1113
    @Mist11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

    가벼워야 들고 다니고 읽기편해서... 전자책으로 바꿈

    • @Enddiyha3625
      @Enddiyha362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자책 편한 사람 진심 부러움 ..
      난 가방이 너무 무거워서 전자책으로 바꿔보려했으나 결국엔 적응 못하고 종이책들로 다시 삼 ..

    • @IIllIIIllllllIlil
      @IIllIIIllllllIli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nddiyha3625것보다 난 전자책이 눈이 더 아파서 전자책 별로 좋아하지 않음

  • @mmm-do8hz
    @mmm-do8h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페이퍼백은 국내에 실상 별로 수요가 없다고 들었어요 지금까지 출판계에서 시도가 몇 번씩 있었던... 관심 있으시면 열린책들에서 모노에디션 나왔으니까 구매해 보세요 ㅎㅎ

  • @user-ux6pc9tb2q
    @user-ux6pc9tb2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4:45 인터뷰 스케일 보소 ㅋㅋㅋ 인터뷰 통화로 할 줄 알았는데 직접 가서 학교랑 전공보고 와.. 했네 ㅋㅋㅋ 교수님도 진짜로 시간내셔서 인터뷰까지 해주시고 대박 ㅋㅋㅋㅋㅋ

  • @jennyleeX
    @jennylee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4

    말도 안되는 도서정가제 박살내야

    • @user-pu2ff1wo5m
      @user-pu2ff1wo5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번에 손본다는 얘기는 있던데 총선용 카드인지 실제로 할건지는 모르겠음

    • @ywdskb
      @ywdsk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단통법과 함께 악법 투탑

    • @eyebrows5318
      @eyebrows53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도서정가제, 단통법 전부 박근혜 떄

    • @eyebrows5318
      @eyebrows53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ywdskb 도서정가제, 단통법 전부 박근혜 때

    • @user-pu2ff1wo5m
      @user-pu2ff1wo5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eyebrows5318 그때부터 문재인 윤석열 정권 2번 바뀌었는데 이제서야 말 나오는게 참.. 입법부 진짜 암담하다

  • @levon-lx6bn
    @levon-lx6b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원서랑 번역본이랑 같이 소장하는 편이어서 책 무게에 관해서 궁금한 점이 있었는데
    이 영상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 됐네요

  • @autogecko318
    @autogecko31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책 수명도 국내책이 길어서 더 좋아요. 외국책은 하드커버 책 사도 금방 빛 바래고 두꺼워져요. 문고판으로 가볍게 읽을 거는 저렴한 종이도 괜찮겠지만.

  • @7mandalorian
    @7mandalori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예전에 해리포터 한권을 국내 번역본은 여러권으로 나눠서 출판하는 것 보고
    오기로 원서로 구해 읽었던 기억이 있네요.
    원서는 해리포터 끝까지(4권인가?) 다 한권씩 나오는데 국내판은 가장 얇은 1권도 여러 책으로 나눠서 파더이다
    더 예전으로 가면 삼중당 문고인가.. 국내 책들도 가볍고 작게 만들어 들고 다니며 읽기 좋은 것들이 많았는데...

  • @user-py6kd7ft9d
    @user-py6kd7ft9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책을 많이 읽는편은 아니지만 남보다는 읽는편인데, 그나마 한국책처럼 어느정도 정제되서 나온 책들이 오래 보관하기 좋음.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 아니면 한번 읽고 대충 던져 놓는 경우가 많은데 1~2년 지나면 살짝 맛 가는게 눈에 보이기 시작함. 심미적으로 똥종이 보다는 깔끔한 흰색이 보기 좋기도함.

    • @user-gq6gj5vw3k
      @user-gq6gj5vw3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책 많이 읽는다고 자랑할 시간에 맞춤법이나 배워라. '되서'가 뭐냐?

    • @uxersname
      @uxersnam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q6gj5vw3k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iel1533
    @ciel15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일본 출판사에서 일하는데 일본책은 앵간한 책은거의 문고가이즈로 더 가볍고 작음(한국책의 절반크기)핸드백에 넣어다닐수 있을정도로 휴대성이 좋아서 어느곳에서도 독서를 즐길수잇음.
    한국은 자동차도, 집도, 과자도, 과일도 심지어 책도 다 허세에 찌들었어..모든게 과장되고 뻥튀기가 심함

  • @user-cy3rh7uw6t
    @user-cy3rh7uw6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종이가 질이 좋고 비교적 두꺼운 것도 있는데, 종이를 만들 때 돌가루도 섞는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무거운듯...! 외국처럼 갱지같은 재질로 페이퍼백 하면 한국에선 책사는 사람은 페이퍼백을 꺼리고 안사는 사람은 걍 안 사서 더 망했다고 들었습니당. 이미 책 자체가 사는 사람만 사고 소장가치를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에 싸구려는 안사요.

    • @029aa
      @029a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외국은 책을 읽는다는 순수 목적으로 종이 질이고 표지고 안예뻐도 팔리죠 한국은 예빠야 감성적이고 과시욕구등 복합적 이유로 그렇게 성장하면서꾸미느라 비싸진거죠

    • @user-cy3rh7uw6t
      @user-cy3rh7uw6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029aa 70-80년대랑 지금이랑 책의 위상이나 의미가 많이 달라졌죠 애초에 책을 잘 안 읽으니 책은 사치재가 된 거죠 사치재면 뭐겠어요 얼마 안산다는 거죠 고급화되야죠

  • @uzugaebal
    @uzugaeba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해외에서 출판한 책을 대한민국에 물류를 통해 수출하는 입장에서는 최대한 가볍게 만드는 게 이득이죠. 정보량은 같은 데 무게가 가벼우면 물류 비용이 더 저렴하거나 같은 무게에 더 많은 책을 적재할 수 있을테니까요. 영문 서적은 애초에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겁니다. 영미 문화권 전체가 시장이니까. 그래서 가볍게 만들 필요가 있죠. 하지만 한글 서적은 수출할 곳이 없죠. 전부가 국내 소비용인데 평량 신경 쓸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 @nij3859
      @nij38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 이런 점도 있긴 하네요

  • @younicekeepgoing.3286
    @younicekeepgoing.328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몇 번 보고 말기에는 외국책이 가볍고 좋지만, 오래 보관하기에는 튼튼한 한국책이 더 좋은 것 같아요. 외국책 몇 년 보관했더니 종이가 굉장히 누래지더라고요. 냄새도 많이 나고. 그래도 가볍게 읽고 싶을 때가 더 많아서 교수님 말씀대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다면 그게 최곤 것 같습니다. 어렵겠지만ㅋㅋ

  • @tobitaru4579
    @tobitaru45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종이의 재질과 유지 및 보관 때문에 무게가 좀 더 나간다는걸 알게되서 흥미로웠어요, 성우님의 차분한 도로로 연기톤으로 들으니 귀에 쏙쏙 들어왔고요ㅎㅎㅎ 고급인력 최고..! 자료 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까지 언제나 일상 궁금증을 정성스레 풀어주는 소탐대실 좋아요

  • @user-rx7uv2dm2l
    @user-rx7uv2dm2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도로로 😂목소리가 쏙쏙박혀요

  • @sosohan0v0
    @sosohan0v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한국은 소장용으로 책을 사니까요. 해외원서 페이퍼백으로 몇권 사봤는데 금방 너덜해져서 오래 두고 보기는 별로였어요. 그리고 갱지로 만든다고 해서 책값이 엄청 싸지지도 않아서 잘 안 팔린다고 하더라구요

  • @user-ys3lq8sv4i
    @user-ys3lq8sv4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예전에 오래된 책 정리하던 게 생각났는데, 가벼운 책은 종이 질이 달라서 그런가 거의 노란색? 누런 재생지? 가까울 정도로 변색돼 있었음, 그 책보다 오래된 책도 그정도로 누래지진 않았는데, 좀 더 무겁더라도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책이 더 낫지 않을까 싶음, 그래도 무거운게 싫으면 차라리 이북을 사는 게 낫고...가볍고 보관하기도 좋고...

  • @mkj8722
    @mkj87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우리나라 사람들이 저런 종이재질을 선호한다는게 명백히 사실인데 댓글들 보면 다 아닌척 하는게 제일 웃김 ㅋ

    • @nij3859
      @nij38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 사람들도 다 다양한 거겠죠 ㅉㅉ

  • @user-go1vv1ry7t
    @user-go1vv1ry7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도로로 투표했는데 아주 반갑구먼유 강수진님은 늙질 않으시네요♡ 잘 봤습니돵 소탐대실 퐈이링 호이얏

  • @jasonhwang2871
    @jasonhwang287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책무게 진짜 불필요하게 무거워요ㅠㅠ 근데 목소리 정말 좋으시네요!

  • @shouryukou8622
    @shouryukou86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외국책 만져보고 언제나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무게도 다양하게 만들어주면 좋겠네요. 특히 이사할때 책 옮기다가 죽음요

  • @rl6816
    @rl681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평소 궁금한것 다 풀어 주시는 소탐대실! 강수진 성우님 목소리까지 더해지니까 시간 호로록! 두꺼운 소설은 외국식 페이퍼백 좋아요. 가벼워서 가지고 다니기도 좋고 들고 읽을 때 손목도 덜아프고요. 근데 표지 날개가 없어서 말리고 까지는데 페이퍼백 내지+ 도톰한 표지 정도는 어떨까요😆 이번에 어디 출판사에서 갱지책 낸다고 했는데 기억이 안나요 😢아시는 분..?

  • @meiziok
    @meizio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이거 20년전부터 기사 나오던 건데.....하아....여전하네 하하하
    가벼우면....진짜 스트레스 반으로 줄어듦..

  • @librarian5977
    @librarian59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30여년간 도서관 사서로 근무하고 있는 현직자입니다. 사서들이 근골격계 질환을 항상 달고 다니는 원인이 무거운 책들입니다. 손 베이는 건 일상이고요. 요즘은 출간한 지 3,4년만 지나도 헌 책 취급하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출판사가 표지를 바꿔서 가격을 올리고 재출판하고, 악순환 하는 느낌이 듭니다. 사람들 인식을 조금 바꿔서 무게는 가볍지만, 내용은 무거운 울림을 주는 책을 많이 사면, 바뀌지 않을까 싶네요, 우리나라 책이 왜 이렇게 무거운지 궁금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yq4yb5yu7i
    @user-yq4yb5yu7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썸네일 보고 달려왔어요 ㅠㅠㅠ 20년째 최애캐가 케로로, 도로로입니다 도로로 나래이션이라니ㅠㅠㅠ 너무 감사드려요😭

  • @chebiphea
    @chebiphe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릴 적 해리포터 불의 잔 원서 사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불의잔 1~4까지 한글책 4권 분량인데 오히려 한글책 1권보다도 가벼웠다는..
    이제 밀리의서재 많이 봐서 무게는 뭐... 밀리 보유 책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 @user-dh9xs2yr8x
    @user-dh9xs2yr8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실 그런거 보다 종이책을 사면 E북 할인권이나 E북을 그냥 제공해 줬으면 좋겟음...
    책을 종이로 읽는 것도 좋지만 무겁기도 하고 들고 다니기도 어려운데... 그게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요소지 않을까 싶음
    물론 그렇게 하면 종이책을 사서 중고로 판매하는 양이 늘기도 하겟지만 그건 패널티를 먹이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 @sosozzang8689
    @sosozzang868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걸 궁금해해본적이 없었는데!
    우리나라 책도 좀 가벼우면 좋을듯.
    자취생이 이사갈때 짐싸기 힘들어서 책을 멀리하다가 가끔 진짜 읽고 싶은거 샀다가도 무거워서 들고다니지는 못하고 몇페이지 조금읽다가 만 책이 꽤 있음...
    요즘 그런 못읽은책을 다 읽어보자 하며 도전중.
    그냥 도서관에서 대여해서 읽어야죠 뭐. 인기있는책은 예약걸어두고..

  • @HeunHanYangMin
    @HeunHanYangMi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소탐대실 영상 가끔 보는데
    도로로 목소리 진짜 반갑네요
    성우분이 새로운 길을 찾은건가, AI인가

    • @remember-winter
      @remember-wint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영상 초반에 성우분이 말씀도 하시는데 왜 ai를 의심하세요 😂ㅋㅋㅋㅋㅋ

  • @javaxerjack
    @javaxerjac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외국 책과 한국 책의 차이가 좀 있는 부분인데
    1. 외국은 하드커버와 페이퍼백 이라고 같은 책도 소위 말하는 애장판과 일반판 같이 커버를 튼튼히 해서 파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연히 값은 하드커버 쪽이 더 비싸구요
    2. 외국 책의 경우 참 극단적으로 느끼는 부분인데, 위에서 말한 페이퍼 백은 시간이 지나가면 갱지 마냥 누렇게 떠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도 제일 마음에 안드는건 보다 보면 표지가 이상하게도 말리는 현상이 생기구요. 반면 국내 서적의 경우 그런 일이 거의 없습니다.
    3. 편집 부분에서도 시안성 때문에 책이 더 두꺼워 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4. 근데 꽤 잘나가는 책이라면 일부러 1권 짜리 책을 2권 상,하로 나누어 발매하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 @nij3859
      @nij38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번이 상관 없는 사람들도 많아요 저도 그렇고 그래서 그냥 좀 가볍게만 만들어줬으면

    • @javaxerjack
      @javaxerjac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ij3859 그래서 역시 제일 좋은건 전자책좀.

  • @heonyH
    @heony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표지 디자인이나 여백은 취향을 타서 신경 쓰지만 종이 무게나 재질 까지 생각해본 적은 없었는데..
    허허..색다른 접근이었네요

  • @99dorayaki
    @99dorayak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뭘 간단한걸 가지고..
    외국서는 책내용이 중요해서 시험지 누런종이에 글씨만 찍혀있으면 됨.. 진짜 허접하기 그지없음..
    울딸 2학년때부터 보기시작한 챕터북은 정말 … 이게 애들이 볼 수있는 책인가 싶을정도임…작은 글씨만 빽빽함..
    좋은 버전으로 갖고싶은 사람들은 따로 하드커버 버전으로 비싼게 구입하기도함…
    한국은 책자체의 퀄리티도 좋아야하고 예뻐야 팔림..

  • @Lake-rh6in
    @Lake-rh6i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도로로 사랑해..........(유튜브 내용은 들어오지도 않고 도로로에게 빠져요)❤❤ (아 이러면 안되는 건가..?)

  • @noa.0
    @noa.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나레이션만 바뀌었는데 정규방송 다큐처럼 들려요 ㅋㅋㅋㅋㅋ 퀄리티가 훅 올라가네요 신기하게도 컨텐츠 신뢰도도 올라가는 느낌이에요⸌◦̈⃝⸍ʷʰʸˀ̣ˀ̣ˀ̣

  • @user-bn6px8kn7v
    @user-bn6px8kn7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 책읽는 거 좋아하는데. 저가의 재질로 만든 책이건 고급진재질이건 전 둘다 장단점이 있는거같아요.
    근데 전 고급재질이 좋은...
    이쁜걸 좋아하는게 사치라고 생각하시는 댓글이 많던데. 독서를 취미로 여기고 있고. 전 내용뿐만 아니라 책을 넘길때 느껴지는 종이 질감, 종이에서 나는 냄새 같은것에도 즐거움을 느끼거든요. 전 그래서 E북도 안보는 입장인지라...😅취미가 좀 사치스럼 어때용..

    • @user-bn6px8kn7v
      @user-bn6px8kn7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근데 전공이나 문제집은 어떨까싶네요.
      저가재질이 잘상하는재질이라면 전공은 좀 그렇지않나싶은데. 문제집은 괜찮지않나 싶은데..
      어차피 다 풀면 버려야하는 책이니 심각하게 상하는정도가 아니면 문제푸는동안은 잘 쓰지않을까요😮

  • @user-be2un9dn1m
    @user-be2un9dn1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짜 외국 책 보다보면 국내 책에 비해 표지가 너무 너무 안 이쁨... 딱 제목만 크게 적혀있고 색도 대체로 어둡고 칙칙함. 반면에 국내책은 다양한 폰트, 질감(제목 글씨만 매끈하게 튀어나와 있다든가), 일러스트가 있어서 소장 하고싶게 만듦. 또 개인적으로 종이 특성상 칙칙하고 얇은 외국책 종이보단 밝고 화사한 국내책 종이를 더 좋아해서 개인적으로는 국내책을 더 읽고싶음

  • @ritgun
    @ritgu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한국에서도 저렴하게 책을 내보겠다(사실 제지값은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아니었지만)하고 페이퍼백을 도입한 출판사가 있었는데 금방 망해버렸죠...

  • @user-zz9ok4um5h
    @user-zz9ok4um5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출판업계 종사자로서 우선 해외책을 번역하면 우리말이 페이지 수가 늘어납니다. 영어는 관계 대명사로 쭉 이으면 말이 되지만 우리말은 문장을 나눠야 되거든요. 그렇지 않으면 독자들이 읽을 수 없습니다. 심한 경우 1.5배까지도 양이 늘어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그렇게 페이지 수가 늘어났는데 책의 두께는 두껍게 하지 않으려면 좀더 압축된 종이를 사용하게 됩니다. 총균쇠를 비교하셨는데 해외책과 우리 책을 비교해 보면 페이지 수 차이가 날 겁니다. 즉, 페이지수 차이가 난 걸 종이로 눈속임하고 있는 거지요. 같은 용지를 사용하면 무게는 살짝 감소하겠지만 책 두께 차이가 많이 벌어집니다. 두께가 1.5배된 책을 볼 것인지 무거운 책을 볼 것인지 선택인 거죠. 무게는 페이지 수가 늘어났으니 어느쪽이든 늘어났겠죠?

  • @raye_555
    @raye_55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강수진 성우님 보여서 바로 들어왔잖아요>_

  • @beatmoney4533
    @beatmoney45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렴하게 나와야 부담없이 구매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더욱이나 책을 잘 안읽는 요즘에 책까지 비싸지면 책에 대한 접근이 더 어렵게 되는 것 같아요

  • @colliethedachs
    @colliethedach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아버지께서 전에 인쇄업을 하셨어서 이 쪽 사정을 좀 압니다. 그 때 아버지께서 하셨던 말씀 중 하나가 책을 제작할 때 쓰는 종이와 제본 방식이 여럿 되는데 외국에서는 각 종이의 질과 제본 방식. 그리고 디자인에 따라 권당 판매가가 제각각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국내는 종이의 질과 제본 방식과 디자인에 따라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면 재고가 어마어마하게 남는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재고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종이와 제본 방식을 택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말씀도 하셨었습니다.
    외국에서는 A라는 책이 처음 나올 때, 제일 좋은 종이에 실제본을 하고 양장커버를 씌운 다음 그 커버 디자인 역시 가장 값지게 한다. 그렇게 해서 서점에 뿌리기 전에 언론사로 보내 거기서 서평을 받아온다. 그 서평을 가지고 광고도 하고 여러가지를 하는데 이 때 이 책은 싸야 권에 우리 돈으로 몇 만원이고 비싸면 몇 십만원은 간다. 그래도 이게 팔리면 그 다음에 바로 제본을 바꾼다. 떡제본으로. 커버를 양장커버를 한다고 해도 제본을 떡제본으로 바꾸면 이 제본 기법 차이로 단가가 내려가거든. 이걸 이제 본격적으로 서점에 뿌리는거다. 이후로 이 떡제본 양장이 잘 팔리면 표지를 종이로 바꾼다. 제본은 떡제본 그대로에 최초 양장에 실제본보다 약간 품질이 낮은 종이를 쓰고. 그렇게 해서 권당 가격을 우리 돈으로 2~3만원대로 맞추는거다.
    소설은 그보다 더 아래가 있어. 문고판이라고 하는 작은 책자를 낸다. 이건 종이를 갱지를 쓰고 글자 크기를 줄여. 그러면서도 권당 소매가를 우리 돈으로 5~6천원 대로 맞추는거지.
    이걸 이렇게 해도 출판사든 작가든 돈을 벌어. 벌 수 밖에 없는 구조야. 이렇게 하면 다들 문고판 기다릴 것 같잖아? 아니야. 문고판은 문고판 시장이 따로 있고. 그보다 더 위에 있는 보급판은 보급판 시장이 따로 있고. 양장본은 양장본 시장이 따로 있어.
    -라고요.
    국내도 예전에는 이렇게 했었지. 그 때에는 양장커버에 실제본에 종이도 지금같은 종이는 아니어도 변색 제일 덜 되고 두껍고 좋은 종이로 해서 먼저 팔고. 그 다음에 팔린다 그러면 문고판 비슷하게 팔았었는데 이젠 그렇게 팔면 누가 사가질 않아. 그러니 출판사에서도 인쇄공장에 그런 주문을 안 넣어. 그러니까 공장들도 예전 방식으로 작업 다 가능하면서도 안 하는거야.라는 말씀도 같이 해주셨었습니다.

  • @user-ld8nq4oz9c
    @user-ld8nq4oz9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목소리 너무조타...

  • @LT0705
    @LT07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강수진 성우님 너무 오랜만이에요♡ 팬입니다요 ㅎㅎㅎㅎ

  • @seongglee
    @seonggl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가벼운 책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 @User_omo_
    @User_omo_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냥 예전부터 종이 재질 차이 때문에 무게 차이가 난다고 생각했었고 외국보다 한국 종이 질이 더 좋게 만들어져서 그렇다고 생각해왔었는데 영상에서도 비슷한 이유네요

  • @KIEN40
    @KIEN4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큰 책은 너무 무거워서 손목이 아픔... 그래서 요즘 자화상같은 출판사에서 나오는 쪼그만 책을 사는 중... 소설책밖에 없는게 아쉬움...

  • @sanricky
    @sanrick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국 도서소비문화차이때문이네요
    해외와 국내의 소비문화가 다르니 도서구매및 사용, 활용방식에서도 차이가잇는거고
    수요가 잇으니 출판사들은 거기에 맞춰 공급을 하고,,

  • @mkr-zo3uv
    @mkr-zo3u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본을 가 보니, 책이 굉장히 작고 진짜 가볍더라구요....!!!!
    뭔가 휴대성을 고려한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휴대성 좋은 책들도 나왔으면 좋겠네요.

  • @nineduck_
    @nineduck_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도로로 목소리 너무 오랜만이라 반갑네 ㅜ

  • @skyyu8777
    @skyyu8777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독일계 엔지니어링 회사에 다니는 사람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종이및 몇몇 부분에서 아직은 선진국보다 기술이 낮습니다. 이를 우리나라 종이업계분들은 인정하지 않으시더군요 .. 예를 들면 국내 상자 포장을 할떼 특히 제약업계에서 쓰는 작은 사이즈 카톤 국산 자재들은 종이질이 불균일해 독일에서 고속 기계가 들어올경우 공정을 추가해서 상자들 모양을 먼저 잡아줍니다 . 필름 포장재도아직은 약하고 , 국내 업계를 비하하기보단 시장 규모가 선진국에 비해 크지 않아 그렇다고 봅니다.

  • @user-kb7jl9xc1o
    @user-kb7jl9xc1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강수진 성우님 반가워요
    항상 궁금했던 주제네요, 일본 살았어서 한국 책이 좀 무겁게 느껴졌거든요ㅜㅜ

  • @rwvrequestcontainsinvalida6834
    @rwvrequestcontainsinvalida683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근데 해외에서 공부해본 사람들이면 공감할 만한 부분이, 여기는 종이의 질이 너무 너무 너무 안좋은 경우가 많음.
    대학교재만 해도 가격이 200불 300불인데, 대부분 아주 얇은 갱지 느낌으로 아주 쉽게 찢길 것 같은 느낌이거나, 질겨서 맨들맨들, 손톱으로 긁으면 끼익끽 거리는 재질이거나 둘 중 하나임.
    그러다보니 노트하거나 하이라이트하면 종이가 눅눅해지거나 쉽게 번지고, 지우개로 잘못 지우면 그냥 겉면이 벗겨지거나 주우욱 번짐. (지우개 질도 최악임)
    한국 교재들은 질이 매우 좋은 편이다보니 오히려 막 쓰기 편함. 쉽게 안 찢어지고, 안 눅눅해지고, 메모하는 필기감 부터가 다름.
    근데 단점은 너무 너무 무겁다는 것...
    나는 대학교재들은 다 모아서 틈틈히 다시 보고 공부하는 편이라 한국처럼 무게를 포기하더라도 종이 질을 올린 것을 훨씬 선호함. 취향 차이와 선호도 차이의 문제인 것 같음
    반박시 님 말이 다 맞음

  • @ww-gf8xh
    @ww-gf8x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남도일이 들려주는 소탐대실! 일단 좋아요❤❤❤❤

  •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헐 제가 항상 궁금하던 거였는데 원서는 paperback이 있어서 무게감이 없는데 한국책은 종이질이 너무 좋아 무거워서 읽기가 넘 힘들었어요 손 베이기도 쉽고. 한국책은 왜 paperback을 안만드는 걸까 항상 궁금했었는데 책 질이 좋으면 장기 보관해도 손상이 없고 벌레도 안생겨 좋긴 하지만 책은 보관용이 아니지 않나요? ㅎㅎ

  • @goosingseventeen
    @goosingseventee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는 외국인인데 한국 책과 외국 책 무게 차이가 이렇게 엄청날 줄 몰랐어요. 진짜 신기한 것 같아요. 그리고 책을 버리지 않고 소장하는 마인드가 진짜 좋아요. 책 버리는 생각을 하면 좀 슬퍼져요. 저 혹시 초등학교 수학 때 배웠던 것을 잊어버릴까 봐 노트도 절대 버리지 않아요. ㅋㅋ

  • @universe_melody
    @universe_melod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는 무조건 가벼운 책!!! 물론 사진이나 그림책같은 건 무거워도 질이 더 좋아야겠어요ㅎㅎ

  • @many2533
    @many25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자도서는 집중이 잘 안돼서... 가독성 높고 가벼운책이 나왔으면 하긴 합니다.

  • @wow1foot
    @wow1foo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도서물류쪽에 일하면서 외국서적들 옮길때랑 국내서적 옮길때마다 "ㅅㅂ 무거운책 들고 다니면 있어보여서 이렇게 만드는건가??"하면서 일했는데..나만 그렇게 느낀게 아니었구나..나만 무거운게 아니었어..다행이다..

  • @ruttatata2023
    @ruttatata20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더 심각한건 외국버전 1편인 책이 국내에선 2편3편 심지어 4편까지 나오는짓좀 그만해라. 예를들어 해리포터와 불의잔은 외국버전은 1편 한국은 4편이다.

  • @user-ig8qm5zb2j
    @user-ig8qm5zb2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국 수요와 비용의 문제인데
    선택권을 많이 주는 판매를 해도 수요가 못 따라온다면 제반 비용 증가로만 이어져서 결국 수익률 약화가 일어나기 십상이라 쉽게 해줄 수 있는 일은 아닐듯싶네요.

  • @hyojinp908
    @hyojinp90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책 읽는거 좋아하는데 들고 다니면서 보려니 너무 무거워서 양장본은 잘 안사게 되더라구요..ㅋㅋ
    물론 페이퍼백도 제본이 튼튼하지못해서 오래보면 낱장이 뜯기거나 하는 단점도 있쥬
    게다가 하드커버+두꺼운..빤딱거리는 종이 조합이면 최악.
    소설이나 교양서적이 그런 거면
    참고 볼 수있는데 전공책이 그 조합이면 진짜 답 없어여..얼른 가방에서 빼내 버리고 싶어요.
    소장용으로는 그렇게 질 좋게 만드는게 좋겠지만 소장해도 잘 안 읽게되는 책은 결국 버리게되더라구요.
    적당하게 잘 조율해서 만드는게 좋을 것 같아요.

  • @cross_chase_971
    @cross_chase_971 29 วันที่ผ่านมา

    책 버리고 싶은데, 책이 너무 고급이라서 못 버리는..
    가볍게 만들면 읽고 가지고 다니는 거나 정리하는 데에도 더 편할 것 같아요-!!

  • @HJ-xt3cm
    @HJ-xt3c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들고 보기엔 외국책처럼 가벼운게 좋긴 하죠. 국내책 조금 무거운거는 오래 들고 읽으면 손목에 문제가 생길 정도.
    하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의 일반적인 성향상, 비슷한 가격에 외국서적 지질의 책을 구매하려는 사람은 상당히 줄어들 걸로 보여서 출판업계 입장에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인 듯

  • @jaeheich
    @jaeheic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원서만의 감성도 괜찮은 듯. 작게 출판되는 경우도 많아서 들고 다니기도 편리하고.

  • @user-uu3tc3ym2b
    @user-uu3tc3ym2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금 더 무겁더라도 매끈한 책이 보관하기 더 용이하고 촉감도 좋음
    습기에도 훨씬 유리해서 이대로 유지하면 좋겠음

  • @user-je5gt4ve6z
    @user-je5gt4ve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에서 소설책들을 봤을때 종이가 좀 거칠고 누랬던 기억이 나네요. 대신 확실히 가벼웠죠. 한국 책이 더 매끈하고 더 하예서 보기는 더 좋더군요. 근데 가방에 두권이상 가지고 다니는 입장에서는 가벼운 걸 더 선호합니다. ㅜ.ㅜ

  • @universe_melody
    @universe_melod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완전 궁금했어요!!!! 외국 서점에샤 책이 너무 가벼워서 깜짝 놀랐어요

  • @sophielee4499
    @sophielee449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은 우선 인구가 많고 영어책은 수출도 많이 되니 같은 책도 처음에 양장본으로 나온 후 잘 팔리면 나중에 페이퍼백으로 나와도 고정비 뽑지만 한국은 인구도 적고 한글책 수출 수요도 없으니 한가지로 통일해야 해서 선택지가 작을 수밖에 없죠.

  • @user-fromsoft_game_v8lh3gb1n
    @user-fromsoft_game_v8lh3gb1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니 강수진님이 여기..??? ㄷㄷㄷㄷㄷㄷㄷㄷㄷ
    아니코난 픽부터 도로로픽 있네
    소탐대실 팀 분들, 이누야샤픽도 하시나요?

  • @Lake-rh6in
    @Lake-rh6i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 너무 설레요..ㄷ❤

  •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갱지 써도 팔리는 건 만화책 단행본 정도...
    무게감이 더 나가건 말건, 양장본에 크기가 큰 거 아니면 그냥 읽습니다. 쇠로 만드는 게 아닌 이상, 그 자체로 무겁다는 느낌까진 안 가는 것도 있고요. 개인적인 느낌이긴 하지만요.😅

  • @bienvenue1379
    @bienvenue13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커스텀 책 있었으면 좋겠어요!! 재밌을 거 같고...

  • @jacobbenjaminlee
    @jacobbenjaminl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역시 성우님! 뉴스 AI보이스 에 짜증난 귀, 깨끗이 닦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