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황량한 땅에 ‘구덩이’를 파자 나타난 놀라운 변화|크랩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พ.ย. 2023
  • #크랩 #사하라사막 #사막화 #kbs뉴스
    최근 아프리카 사헬 지대의 사막화 현상이 점점 더 심각해지면서 사막화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반달 모양의 구덩이를 파서 녹지를 조성하는 독특한 프로젝트의 사진이 화제입니다.
    과연 구덩이를 파는 이유가 무엇이고 특별히 반달 모양으로 만드는 이유가 있는지 등 여러 가지 궁금증을 크랩이 파헤쳐 봤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85

  • @user-vg1lf8fm2d
    @user-vg1lf8fm2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1

    사막같은 경우는 비가 많이 안 와서 물길이 없음
    + 마른 흙은 단단해서 의외로 물을 흡수하지 못함.
    그래서 갑자기 비가 오면 단단한 땅에 물이 스며들지 못하고
    + 물길도 없어 표면위를 지들끼리 마구 흐르며 제 갈길 가버림(포상홍수침식)
    아스팔트 포장된 내리막길에 비가 많이 오면 물이 표면 전체적으로 코팅된 것 마냥 흐르잖음? 그거 같은거.
    그래서 사막에 가끔 오는 비는 빠르게 사라져버리는데
    중간중간 곰보를 만들어 거기에 물을 가두는 원리인 것 같음.
    간단하지만 대단한 지혜같음.

    • @user-vg1lf8fm2d
      @user-vg1lf8fm2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6

      또 사하라가 녹지가 돼면 아마존이 사막이 된다는 괴담이 퍼져있는데,
      정확히는 지구축이 엄청나게 긴 주기로 움직이면서(세차운동)
      이 영향으로 사하라와 아마존은 서로 번갈아가며 녹지였다 사막이었다를 반복함.
      즉 지구축의 영향으로
      사하라가 사막이면 아마존이 녹지가 되고
      아마존이 사막이면 사하라가 녹지가 됨.
      마치 적도부근에서 남반구와 북반구가 서로 우기와 건기를 번갈아 반복하듯
      사하라와 아마존도 엄청나게 긴 주기로 우기와 건기를 서로 번갈아 반복함.
      실제로 스핑크스상에서 해당 동상이 세워질 당시 주변 환경이 밀림이였다는 증거가 발겼됐고
      여기에 힘이 실리며 고대에 밀림속에 세워진 사자상을 나중에 이집트에서 사람얼굴로 다시 조각하면서
      스핑크스 머리가 어쩔 수 없이 소두가 됐다는 재밌는 가설이 등장하기도 했음.
      여튼 아직까진 너무 쟈근 인간의 힘에 의해 사막이냐 밀림이냐가 좌우될 수 있는 영역이 아닌 것.
      다만 아마존의 지나친 벌목이나 개발이 두려울 따름.

    • @MVMborzoi
      @MVMborzo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고마워요잉~ 곰보!

    • @Darin-sn9yv
      @Darin-sn9y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보추

    • @Paracoat_wet
      @Paracoat_we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곰보추~

    • @user-ec1qz2pi1n
      @user-ec1qz2pi1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곰보는 루저가 아니였다

  • @Keru3013
    @Keru301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52

    "사하라 사막을 녹지화 했다가 아마존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해!" 라는 질문을 볼 때 마치 "이렇게 일주일에 한 번씩 헬스하다가 근육질이 되어버리면 어떻게 해!" 라고 걱정하는 친척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 @imanengineer10
      @imanengineer1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4

      사막이 썩어넘치는 것보다야 사막이 씨가 마르고 우림이 되는 것이 낫고
      아마존이 사막이 된다해도 이미 아프리카 사막이 우림이 됐으니 사막과 우림 총량만 보전되면 뭐

    • @soundofmeditation6229
      @soundofmeditation622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참 걱정도 팔자다 한달에 200씩 벌어서 부자되면 어떻해요ㅋㅋㅋㅋ

    • @user-fi6jn1hu5o
      @user-fi6jn1hu5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마존 없어진 브라질은 어떡해

    • @adhd9916
      @adhd991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일주일에 한번해도 근육질됨 5년정도하면 ㅋㅋ

    • @an12750
      @an1275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oundofmeditation6229어떡해요

  • @Pidgeotkatsu
    @Pidgeotkats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0

    아마존을 걱정하려면
    아프리카의 사막화 저지를 걱정하기보다
    무분별한 벌목을 막는 데 신경쓰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봅니다

    • @gary7391ify
      @gary7391if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ㅇㅆㅌㅅ

    • @user-fuk3b2is4z
      @user-fuk3b2is4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근데 벌목은 필수라 어쩔 수 없음… 지금 당장 벌목 멈추면 망하는 나라도 많고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 대부분이 나무임. 한국인들은 콘크리트로 집을 지어서 이해 못하겠지만 다른 나라들은 목재집이 대부분임. 북미는 대부문이 목재집이고 유럽도 돌이나 목재집이 대부분이고 옆나라 일본도 목재집이 다수있음.
      종이나 가구 같은건 말 할 필요도 없고 가난한 나라에선 아직도 나무와 석탄 태워서 에너지를 공급함.

    • @inzulmi132
      @inzulmi13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온난화 방지만 보면 더 효율적으로 보이지만, 벌목으로 얻고있는 이득이 없어지는 것까지 고려하면 그닥 효율적이진 않죠.

    • @user-zu4ol8tb6j
      @user-zu4ol8tb6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fuk3b2is4z 근데 왜 사막화 반대하고 난리임? 나무심는거잖아? 목재집은 지들이 알아서 대체제 찾던가 해야지 언제까지 나무베어서 집지을꺼임?

    • @user-fuk3b2is4z
      @user-fuk3b2is4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user-zu4ol8tb6j 같은 논리로 지구 온난화는 지들끼리 알아서 대체체 찾아서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ㅋㅋ.. 지들 알아서 대체체 찾으라니 ㅋㅋㅋㅋㅋㅋ

  • @normal77079
    @normal7707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0

    원래 가뭄이 들면 땅을 한번 갈아서 비가오면 스며들 수 있도록 해주는게 보편적이죠. 한국도 봄철 앞두면 논밭을 한번 갈아엎어주는데 그렇게하면 물이 금방 스며들고 물을 가둬두게 되거든요. 저 나라는 강수량도 적으니 대지가 바짝 말라있을텐데 아무래도 단단한 외부흙을 파서 가둬두면 훨씬 나았겠죠.

  • @user-fw6bz8nd7m
    @user-fw6bz8nd7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1

    예전엔 아프리카 지원을 신기술의 전시장처럼 제대로 실속있는 지원이 적었던거 같은데
    요즘은 그래도 중간기술처럼 현지상황에 맞는 무언가를 적용하려곤 하나보네요

    • @hsh6036
      @hsh603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최근 개발협력 트렌드가 현지인 주도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도와주는거라 현지인들에게 저 동네의 기후를 설명듣고 현지인들이 쓰던 방법을 응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서 효율적으로 하는게 추세죠.
      그리고 저동네는 사람이 흔하고 기계가 귀한 지역이라 기계로 저런걸 하는건 상당히 비효율적인지라 인력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우간다에 하는 농촌지원사업도 우간다의 습지를 논으로 개간해 벼농사를 짓도록 하고, 기계가 귀한 만큼 기계농법 대신 사람으로 하는 걸로 기술을 전수하고 있습니다

  • @Wooo30
    @Wooo3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4

    따지고 보면 중국이 산업화가 되기전 중금속 없는 깨끗한 봄 황사는 우리나라의 좁은 땅에 농지로 사용되어 황폐해진 땅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했다는데... 돌고도는 자연이 신기하긴 함

    • @user-sf3lh1et5s
      @user-sf3lh1et5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이 관계가 사하라와 아마존이죠

    • @ok.kr-sun
      @ok.kr-su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맞음. 과거 황사는 광물을 뿌려주는 효과가 있었음. 사막 광물이 아마존까지 날아가는 것 처럼.
      지금은 오염된 공해물질이 함께 오니까 문제가 심각한 것임.

    • @user-bq8ol4qm6z
      @user-bq8ol4qm6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ㄹㅇ? 엄청신기하네요

    • @profile720
      @profile72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거 보면 ㄹㅇ 개신기함 뭔가 짜여진 프로그램같은 느낌

    • @Nobea-nn9nq
      @Nobea-nn9n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profile720쳐음에는 이렇게 짜여진 프로그램이 아니였다는 것도 신기하죠. 마치 무한도전 같은 프로그램이 처음엔 어땠을지 몰라도 결국엔 온 국민이 특정 시간대에 TV앞에 모이게 만들었던 것 처럼요.

  • @user-oq3ds9kc4s
    @user-oq3ds9kc4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1

    아프리카에서 사막화가 진행되는 원인 중에 하나가, 가축을 재산으로 여겨 경쟁적으로 늘려갔기 때문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사막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와중에도, 방목한 가축들은 나뭇잎과 풀잎을 닥치는 대로 뜯어먹어 일찍히 사막화를 부채질한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 @Hyuchan1002
      @Hyuchan100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농사가 안되니 목축으로 연명하는 것

    • @geonungbae2788
      @geonungbae278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지정학적으로 아프리카는 다른 대륙의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나 싶네요.

    • @GJAO
      @GJA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0

      애시당초 농사가 안되기 때문에 가축을 기르는거지 가축을 길러서 사막화가 됐다는 논리가 뭐 그렇냐.... 애초에 영상에서도 강수량이 250mm 밖에 안되는 지역이라는데

    • @Hyuchan1002
      @Hyuchan100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

      @@GJAO 염소나 가축들이 사막화를 가속화하고 녹지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기는 함 ㅋ

    • @EBC_1142
      @EBC_114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GJAO ‘경쟁적’ 으로 길렀다는게 논지입니다

  • @user-we7fk8ik9d
    @user-we7fk8ik9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9

    아프리카 새마을운동.
    노력이 결과를 맺길...

  • @mekopark3201
    @mekopark320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

    우린 원래 산지에서 계단식 논밭 마니 일구고 계곡 물 가두던 온갖 방법들이 많아서 저정도까지 걱정할 필욘 없음. 최근엔 강 하류 도시들의 대량 빗물저장까지 논해질 정도니

    •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빗물논해질논밭맛없재

  • @Gyul_Myul_Syul
    @Gyul_Myul_Syu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9

    보면서 궁금해진 걸 바로바로 설명해주시네요! 많이 고민하고 영상 만드신 티가 납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 @Gyul_Myul_Syul
      @Gyul_Myul_Syu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감사합니다, 김지현님♡

  • @user-mt7bi5vu5z
    @user-mt7bi5vu5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영상을 보고 저런 구덩이가 사막화 현상을 어떻게 막는지 궁금증이 생겼었는데 원리를 알고 나니 정말 지혜롭다는 생각이 드네요. 만드는데 그렇게 엄청난 기술이 필요한 것도 아닌데 효과는 매우 뛰어나보입니다! 아프리카의 사막화 더는 진행되지 않고 녹지로 만드는 작업을 꼭 성공하길 바라겠습니다!

  • @user-nz8qk9dd2f
    @user-nz8qk9dd2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3

    사하라사막의 모래바람이 아마존 형성에 영향을 주는 줄은 몰랐네.. 생각도 못한 밸런스가 잡혀있는게 신기함

    • @user-so3mp6tg1j
      @user-so3mp6tg1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거 가짜뉴스인데 ...

    • @seoyunseok
      @seoyunseo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user-so3mp6tg1j 가짜라는건 어디서 나온 얘기임

    • @chosungbin5655
      @chosungbin565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o3mp6tg1j총균쇠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 @Sonbongig
      @Sonbongi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산에서 흘러내리는 미네랄도 있고, 이제까지 미네랄 먹고 살다 죽은 동식물의 사체도 있을테고..
      뭔 사하라 모래없으면 밀림 없어질것처럼 생각하네..

  • @ssss-ou4bn
    @ssss-ou4b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맞다...숲이 파괴되고 있어..그래서 무조건 나무 심어야한다...전기차백날 만들고 태양광백날 만들어봤자...숲이 파괴되면 소용없어..밧데리공장짓지말고 나무나 더 마니심어야 한다...

  • @user-mi2lm9pu4s
    @user-mi2lm9pu4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2

    아마존과 사하라의 관계를 보니 자연의 섭리는 위대하네.. 물론 사하라사막으로 녹지사업하는 것도 좋은데 남미로 가는 모래바람도 천만톤 넘게 잘 갈 수 있도록 하면 좋은거지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사막화가 더 진행되면서 모래가 너무 많이 날아갑니다. 카리브해도 사하라발 황사있어요

    • @user-mi2lm9pu4s
      @user-mi2lm9pu4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alcohol_soju_drunk1218 어느정도 아프리카 사람들이 먹거리나 일상 생활 범위 내에서 녹지사업을 하는 것이 맞다고 봐요.
      아마존 생태환경과 동식물 모두 후손에게 물려줄 자산인데라고 봅니다

    • @limiyi12
      @limiyi1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브라질은 농업화, 공업화를 위해 아마존 열대우림 보호를 거부하고 있으니, 아프리카를 울창한 삼림으로 만드는데 불만은 없어야지.

    • @user-cx8kj6yu4k
      @user-cx8kj6yu4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머나먼 과거에는 아마존과 사하라 사막이 기후상황이 정반대였다고 하네요.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슨 진짜 책한권 어설프게 읽은놈들이 제일 무섭다더니...
      바다에 침한방울 뱉는다고 바다가 침으로 뒤덮히더냐
      이런 댓글들 볼때마다 진짜 무식해보여서 안타깝다

  • @pang9238
    @pang923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원래 대륙의 중심부가 사막화 되는건 필연임... 수분이 육지와 부딧치면서 해안가에 비가 오면 내륙으로 수분의 전달이 단절되니깐... 북미 남미의 좌측편 산맥으로 인해서 산맥 우측이 사막화 고원화 되는거, 혹은 우리나라 영동영서, 중국 몽골 등의 고원이나 사막, 호주 중심부 사막 등등 모두 같은 이유임...

    •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렇구나 바다가 좋네요

  • @Hlux-ze7hs
    @Hlux-ze7h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알찬 정보 쉽게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너무 재밌네요!

  • @user-ss432
    @user-ss43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나 이런 영상 좋아합니다.
    비를 모아 흡수하고 증발하지 않는 간단한 방법들이 더 많이 생겨나길 바랍니다.

  • @cir3939
    @cir393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한국에서는 저게 .. 벼농사로 만든 논들이 하는 역활입니다.

  • @user-ec1qz2pi1n
    @user-ec1qz2pi1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거대한 자연을 슬기롭게 대처하는 사람들에게 박수합니다. 완벽하지 않지만 노력하는 수 많은 행동들

  • @user-wi7cj3pu7h
    @user-wi7cj3pu7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사하라 사막이 아마존에 영향을 미친다니..이런거보면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생명체 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

  • @june_joy
    @june_jo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사하라 개선되서 아마존 손해볼까봐도 동시에 우려하는군요.
    영향없다니 다행이지만
    혹시 영향있었으면
    아마존 유지위해서 아프리카는 계속 굶주려야하나....

    •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ㄴ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30%까진 녹지로 만들어도된다는 연구결과 있습니다.
      근데 30%는 커녕 1%로도 녹지로만드는데 저렇게 많은 노력과 많은 시간이 들어가니 문제인거.

  • @user-mr9le9pg4u
    @user-mr9le9pg4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아마존은 별개 문제이고 사하라를 줄임으로서 아프리카사람들 복지부터 높이고 봐야 한다

  • @msdigital7065
    @msdigital706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아프리카에 서서히 희망이 보인다. 사막화를 막고 녹화가 진행된다면 그것이 바로 아프리카의 기회이고 지구의 온난화를 막을 수도 있다.

  • @user-ww3jm3fh6d
    @user-ww3jm3fh6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사막화는 우리 주변 중국과 몽골 쪽에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죠
    중국과 몽골에서 사막화 현상을 해결해 주어야 할텐데 걱정입니다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버드나무심고 그러지않았음?

  • @user-ck7ij8dx2n
    @user-ck7ij8dx2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효과가 있다니 축하축하
    지하수를 너무 많이 써서 애써가꾼 녹화지대가 망가지지 않았으면 좋겠네

  • @cherishable_moments
    @cherishable_moment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b7dn1nz7t
    @user-kb7dn1nz7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유익하고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lp3zb3xf4z
    @user-lp3zb3xf4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 @troika8776
    @troika877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넘 좋은 유익한 정보 감사요 ㅎ

  • @user-nb6xu2rs2n
    @user-nb6xu2rs2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태양열로 산과 논을 전부 황폐화 시키는 한국과는 비교가 되네요... 역행을 하는 한국이 보고 배워야 할 거 같습니다.(왜 물관리를 위해서 녹지가 필요한지...)

  • @user-td9hq3gu7q
    @user-td9hq3gu7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인간으로 인해 파괴되는 아마존 면적이 빠르고 많을것 같은데요 그에 비하면 사람이 다시 자연을 살리는것은 새발에 피 정도 아닐까 생각해요

    • @user-qIinl7il2qO4z
      @user-qIinl7il2qO4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어쩌라는거임

    • @user-ko6ch7uz9z
      @user-ko6ch7uz9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qIinl7il2qO4z어쩌긴 인류 타노스 해야할듯
      일단 전세계에 있는 강력 범죄자들만 당장 사형시켜도 국가 예산도 확보되고 자연한테도 도움 될텐데

    • @user-qIinl7il2qO4z
      @user-qIinl7il2qO4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o6ch7uz9z
      화성 보내야지 뭔 타노스야
      금방 또 늘어날텐데

  • @user-fi2nr5ml3z
    @user-fi2nr5ml3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마존 지금 나무 잔뜩베고있어서 그냥 저기 다 숲으로 만드는게 나음

  • @caesar-invest
    @caesar-inves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밌게 잘봤습니다 ㅎㅎㅎ

  • @user-ci4op6lg6d
    @user-ci4op6lg6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Good idea 👍👍👍

  • @dotduck_
    @dotduck_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젊은이들을 위한 재밌는 뉴스 크랩 너무 좋아용

  • @beomyongkim475
    @beomyongkim47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지금의 북아프리카 -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같은 국가들이 있는 지역은 로마제국 시절엔 지금보다 상태가 좋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로마제국이 망하고 무분별한 유목으로 사막화가 가속화 되어서 지금처럼 악화되었다고 하죠.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유목이 문제라기엔 기후변화 영향도 있을 거임
      북아프리카 사막 라인이 한 때는 녹지였음

  • @justdoit5156
    @justdoit515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반달모양 구덩이가 이렇게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 @bighole9136
    @bighole913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땅만 파서는 안되고, 단단하게 굳어버린 진흙 표층을 파내서 식물이 자랄 푹신한 토양으로 만든 다음, 소량의 물로 농사를 짖는 방식이네요
    빗물로만 된다 주장하는데, 찾아보니까 근처에 우물 파서 물 주고 있습니다

  • @user-cp3yd6qq9o
    @user-cp3yd6qq9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참 좋은 아이디어네요~정말 똑똑한 방법이네요~♥︎

  • @user-uo1fk5fu6n
    @user-uo1fk5fu6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진짜 인간이 없는 게 답이네

  • @jaykim4336
    @jaykim433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쁘다ㅠㅠ

  • @SharpLince
    @SharpLinc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 기술인거 같습니다. 다만 땅이 넓어야 하고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인거 같아 보이네요. 이 사업에 아프리카 단체들만 사하라 사업에 참여하는 것보다 이 사업과 연계해서 더 적은 사람들이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것이 좋지 않은가 싶습니다.
    그리고 아마존 밀림을 해치는 건 사하라 사막의 녹화화보다 아마존을 발전시키려 하는 사람들이 더 큰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 @user-re5rn3kr1x
    @user-re5rn3kr1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마존 밀림을 걱정하기보단, 저 일대 나라들의 정치 상태가 막장이 되어 가는 걸 더 걱정해야 함
    저거 국제 지원이 기본으로 받혀줘야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건데
    지금 반미/반서방 쿠데타가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어서 그게 더 위험하지 않을까

  • @AzureUnagi
    @AzureUnag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게 담수 용량이 그대로인데 사막이 녹지가 되면 당연히 다른 녹지가 사막이 될 수 있을텐데, 지구온난화 때문에 빙하가 녹아서 해수면이 오르는 와중이니 그만큼의 물을 지표에 잡아둘 수 있다면 어찌 될는지.

  • @dandyclubs
    @dandyclub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0mm면... 적긴 하군.
    근데.. 증발되는 물이 없도록 만들려면 돈이 들어갈테고..
    지하로 흡수되는 물도 마찬가지이고..
    한국은 우기에만 엄청나게 쏟아지는데... 농경지에 물탱크 시설 만들어도.. 활용을 제대로 못하고 방치하고 있으니...

  • @rachelq542
    @rachelq54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궁금증이 눈 녹듯이 사라지는 영상이네요.
    교수님 성함도 김해동

  • @yhbollee7881
    @yhbollee788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금 대한민국이 날씨가 11월인데 25도 27도 미친날씨

  • @ok.kr-sun
    @ok.kr-su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무 껍질과 식물 뿌리 까지 먹는 양과 염소를 계속 방목으로 키우는 이상 답이 없음.
    돼지, 닭을 키워야 하는데 종교 때문에 돼지 못먹고 소는 목초지가 형성 되어야만 가능하고...

    • @goomteulttak
      @goomteultta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돼지도 물 있는 곳에서나 키울 수 있음
      물 없는 곳에서 살아봐야 비위생적이라 키우나 마나임

  • @asdf-ki3ps
    @asdf-ki3p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여담으로 사하라는 아랍어로 사막 입니다
    사하라사막은 우리말로 표현하면 사막사막이 됩니다
    추가로 걸프도 영어로 만 이기 때문에 걸프만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만만이 됩니다

  • @seongmishin1252
    @seongmishin125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김해동 교수님의 명언~! 😮

  • @user-ec4yc6rp6p
    @user-ec4yc6rp6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마존은 어차피 브라질 정부가 개발한다고 끝장내는 중인데 걱정도 많다.

  • @Wannabe2023
    @Wannabe20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 사하라 사막의 확장이 지중해를 건너 북쪽으로도 가는 듯합니다. 스페인 남부가 거의 사막화 되었고 남부 유럽의 더위가 늦봄부터 정말 장난이 아니라고 하네요. 거대한 바다를 끼고 살고 있는 한반도가 축복의 땅이네요.

  • @Tanghuru888
    @Tanghuru88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물 보전 하고 하려면, 나무를 심어야 할 듯... 식목일 도입해서 20-30년 정도만 하면 효과 짱일 거 같은데...

  • @user-im7lo7uo8s
    @user-im7lo7uo8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연간 200mm 강수량이면 저구덩이에 물찬적이 있을까?
    차라리 구덩이안에 수분증발막는 멀칭을 하는게 효과적일거같은데..

  • @mukapa3726
    @mukapa372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마존은 어짜피 계속 면적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사하라를 녹지화 하는것이 훨씬 지구를위해 이득이 크다!!

  • @ruikei8895
    @ruikei889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럼 몽골고비사막 녹지화사업 많이 하던데 이걸 참고하면 좋겠네요

  • @user-lb6xs2jf9f
    @user-lb6xs2jf9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식목일을 만들어라. 예전에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나무 심는 날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인식이다. 식목일날 나무를 심든지 해서 사막화를 막아야된다는 생각... 의지... 그러면 반달 구덩이도 더 만들 수 있고 좀 더 나아질 것입니다.

  • @Orkaan0420
    @Orkaan0420 2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저것보다 여러가지 화석연료 보급이 시급할듯

  • @user-od2wj2bh8h
    @user-od2wj2bh8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방목보다는 초지를 조성해서 어린나무를 소 ,양, 염소로 부터 보호해야 함 .

  • @user-ci7oc1fj1n
    @user-ci7oc1fj1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축 특히 염소를 키우면안된다
    염소는 풀뿌리 까지 다 파먹는 것 때문에 풀이 자랄 수 없다

  • @pixspicky2292
    @pixspicky229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마존 지금 산림 없어지고 있는데 필요한가?
    아마존을 아프리카로 옴기는게 더 좋을지도

  • @AI-cn7fr
    @AI-cn7f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실 지금 인간의 기술로 저런건 바로 해결 가능함
    돈이 많이 들어서 그렇지
    사막 전체를 아예 숲으로 만들 수 있음
    근데 안해주는거지.

  • @teamkevin-
    @teamkevi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기원했다면, 다시 돌아갈 곳도 아프리카이지 않을까

  • @aidankwon7486
    @aidankwon748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ustdigin이라는 ngo로 기억나는게..이케아가 이 단체에 가장 큰 후원자로 알고있습니다.

  • @yarn75
    @yarn7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기상과학관 애들과 가보니 우리나라 봄에 황사도 농사에 도움이라고 합니다.

  • @GangesOh
    @GangesO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매일 퇴직을 고민하는 직딩 인생이지만 매일 이것저것 불평하는 나지만...이런 인생이라도 감사합니다 ㅠㅠ

  • @user-cx8kj6yu4k
    @user-cx8kj6yu4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 방법을 중국 북부에 사용하면 황사를 줄일수 있지않을까?

  • @tv-mg1mx
    @tv-mg1m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비 사막도 저렇게 하고 있습니까????
    궁굼하네요

  •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간이 줄거나 사라지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한정된 지구에서 자꾸 인구만 늘어가면 지구가 못견딘다. 자업자득.

  • @KungYaTube
    @KungYaTub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탄소세를 여기다 지원하면 어떨까해요

  • @user-gy3iu4gl8q
    @user-gy3iu4gl8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금도 인구과잉인 지구위에 아프리카 인구 늘려주기? 지구가 감당할까?

  • @user-gi4wb3uc2s
    @user-gi4wb3uc2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수증기 만으로 살아 갈수 있는 나무는 없나?
    인공 비 이런곳에 좀 사용 하지...😅

  • @rh8008
    @rh800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럼 어차피 노력해봐야 2%따리고 만약에 노력이 지나치게 성공해도 아마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거 아닌가?

    •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근데 사하라 사막의 30%이상은 녹지로 만들어야 문제가 생김.

  • @theself-tq6xq
    @theself-tq6x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마존은 나무 다 베서 뭐 심고 그래서 그게 더 위험하다던데....

  • @ch.7229
    @ch.722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거 지구 사진엔 지금의 사막이 밀림이였음
    그때도 아마존은 밀림이였음
    과거정도로 돌려도 문제는 없다고 볼 수 있겠지
    같은 레벨을 꿈꾸는데 그게 문제가 된다면 과거 그 시절 부터 문제가 됬어야지

  • @user-dt4mw7qj9q
    @user-dt4mw7qj9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게 가능하다니..
    다행이다 🎉짝짝짝 짝짝짝

  • @user-lh3ir4zm5r
    @user-lh3ir4zm5r 3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마존은 벌목해대서 아마존의 미네랄 공급을 걱정할껀 아닌듯. 오히려 사하라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기능에 더 의미 있을듯.

  • @leejanghyun
    @leejanghyu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후 위기의 핵심이 온난화고 그 해결책중 하나가 식물을 이용해서 탄소를 고정하는 것인데~ 식물을 심으면 아마존이 위험하다는 황당한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구나.

  • @user-pm4cn1gt2r
    @user-pm4cn1gt2r 3 วันที่ผ่านมา

    중국에도 반달 파서 나무 심으면 어떨까요

  • @user-lj6ks3zo4i
    @user-lj6ks3zo4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멋진 방법이네요. 적정과학이랄 수 있겠네요.

  • @asdafafasf4983
    @asdafafasf498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장비를 동원해서 대조국 사업으로 진행해야합니다.값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현대중공업의 중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하여 지원하는 사업을...

  • @user-ir2hh1go2r
    @user-ir2hh1go2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멋지다

  • @lko8232
    @lko823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존경

  • @user-ur5rb1dk6y
    @user-ur5rb1dk6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년 내로 절반은 녹지화 될듯..사우디 기후변화 지금 엄청남

  • @jeongwon0060
    @jeongwon006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목축이 가장큰거같은데

  •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자 이제 저걸 기계로 해서 초대형으로 할 방법만 찾아서 2프로가 아니라 20프로 해주면 사하라사막의
    확장을 확실히 억제 할 수 있을 듯

    •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계로 하는건 가능하긴함.
      근데 장비가 비싸지.
      아프리카 복원?개척? 사업에 가장큰 문제점이 자본이 거의 없다는 거임.
      그 누구도 수천억 수십조를 들이고 싶진 않아 하니까.

    • @hsh6036
      @hsh603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 동네에서 기계로 대규모 사업 추진은 굉장히 현실성이 없음.
      저기는 가난한 동네이고 인구성장률이 높아 사람이 흔하고 기계가 귀한 지역임. 따라서 지금은 사람들이 농경지와 자신이 사는 지역 근처 위주로 저 사업을 확대시켜 녹지를 지키는 방향으로 가는게 현실적인 방안임.

  • @dhgksthf1004
    @dhgksthf100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 맞다...
    사막도 적응해 버리네

  • @blackjein
    @blackjei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하라와 아마존은 먹여주고 먹이는 관계임.
    지금 사하라 지하에 있는 지하수는 사하라가 정글이던 시절에 만들어졌는데, 그때는 아마존이 사막이었음.
    해류가? 바뀌는 거에 따라 사하라 사막ㅡ아마존 정글 이나 사하라 정글ㅡ아마존 사막 관계가 유지되는 걸로 기억함.
    괜히 인류의 고향이자 아프리카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아니라는 거임.. 그 시절은 ㄹㅇ 푸른 초원이자 정글, 녹지였음.

  • @Korea_Mosquito
    @Korea_Mosquit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 모양대로 구멍파는 기계같은걸 쓰면 어떨까? 사실 돈을 막대하게 때려박으면 사막화 못막을것도 없을것같은데

  • @hye-ji
    @hye-j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마존의 열대우림 파괴는 사람들의 개발로 인한 파괴가 더 빠르고 더 넓을 것인데..

  • @user-xt5wd1bg7g
    @user-xt5wd1bg7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하라사막의 1/3 정도가 녹지화되는게 젤 좋을듯

  • @subtitleaddict5343
    @subtitleaddict534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북한에서도 사막화가 진행된다는 말도 있는데, 통일 후에 참고할 사례가 되겠군요!

  • @Dracopekr
    @Dracopek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WFP이 저런 일 하는구나. 거기에나 기부 해야겠다.

  • @user-sz4ru8ye4c
    @user-sz4ru8ye4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덩이를 파면 최소한 증발을 지연시킬수는 있겠지요

  • @urban_nightmare
    @urban_nightmar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환경단체는 박물관이 아닌 저런 곳에 있어야 하는데 말이지

  • @TheHach00
    @TheHach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굿뜨

  • @user-xo6dh2yg3c
    @user-xo6dh2yg3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45 부터시청하세요...!!!

  • @blueneo9050
    @blueneo905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매주 서초동 오가려면 무지 바쁘것네, 양산다녀와라 한수 배워와야지, 할 수 있는게 단식이라... 과일먹고 싶어 어쩌나,

  • @user-gt3xz6wo3o
    @user-gt3xz6wo3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물을 많이 가둬야 되는구나

  • @matthewkim1855
    @matthewkim185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거 때문에 아마존 파괴한다는건 애바인듯 ㅇㅇ
    사하라 사막 미네랄이 아마존으로 간다는게
    사실이라고 해도 열심히 노력해서 녹지화 해도
    사막이 넓어지는걸 겨우 막을까 말까지
    있던 사막 줄여서 녹지화는 못할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