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교과서-퇴계 이황] 공부가 괴로운 이유 | 공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면, (With 책그림)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เม.ย. 2020
  • 책그림과 함께한 플라톤 아카데미의 인생교과서 시리즈 네 번째 책!
    '공부가 괴로운 이유, 공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면-퇴계'를 공개합니다.
    *약 5분 정도만 시간을 투자해 보세요.
    *책을 통해 더 깊게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출판사 서평
    퇴계가 강조하는 외경의 정신은 오늘에도 칼날처럼 삶의 본질을 꿰뚫는 성성함을 지니고 있다. 그야말로 '어짊'을 삶으로 실천한 그의 면면을 돌이키는 일은 산만 방종하여 공허하고 들뜬 우리들 삶을 치유하는 매우 효과적인 처방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1부 삶과 죽음
    1.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2. 행복이란 무엇인가?
    3. 고난과 역경에 어떻게 처신할 것인가?
    4.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
    5. 인간은 불평등한 존재로 태어났는가?
    6. 죽음이란 무엇인가?
    7. 수양이란 무엇인가?
    8. 건강은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2부 나와 우리
    9. 나는 누구인가?
    10. 이웃이란 누구인가?
    11. 가정생활의 참된 도리는 무엇인가?
    12. 자녀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
    13. 예의란 무엇인가?
    14. 잘못된 세상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15. 모두 다 같이 잘살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3부 생각과 행동
    16. 효과적인 의사전달은 어떻게 가능한가?
    17. 바른 직업윤리는 무엇인가?
    18. 인간은 선한 존재인가 악한 존재인가?
    19. 극기란 무엇을 뜻하는가?
    20. 생계는 어떻게 영위할 것인가?
    21. 의로움이란 무엇인가?
    22. 겸손은 왜 중요한가?
    4부 철학과 사상
    23. 세계의 근원은 무엇인가?
    24. 참된 배움이란 무엇인가?
    25. 왜 자기성찰이 필요한가?
    26.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27. 윤리란 무엇인가?
    28. 예와 법은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29. 소유를 택할 것인가 존재를 택할 것인가?
    *자세한 정보는 아래 url을 참고해 주세요.
    bit.ly/2UY3c37 (책소개)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0

  • @21the21stcenturyhumanities
    @21the21stcenturyhumanities 3 ปีที่แล้ว +1

    정리를 아주 잘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4 ปีที่แล้ว +2

    도입부부터 뼈때립니다. 잘 배우겠습니다.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4 ปีที่แล้ว +5

    나를 갈고 닦는 일
    학문 명상.초심 취미.선.미래
    "악"을 가까이 두지않는 최상의.,-
    명강의 듣고 완전공감..
    감동 감격입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4 ปีที่แล้ว +1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 @user-rq4xb4ji7p
    @user-rq4xb4ji7p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nderthelee2773
    @underthelee2773 4 ปีที่แล้ว +7

    자신이 공부에 전념할수 있던 이유는
    많은 노비가 있었기 때문 아닌가요?

  • @sngiu1874
    @sngiu1874 3 ปีที่แล้ว

    좋은거 보고 갑니다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4 ปีที่แล้ว

    말씀을 전국방방 곳 곳에 전파를 타고 퍼져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간절해집니다.배우는 즐거움이 야 말로 사람이 살아있다는 증거..
    말씀 중에 남을위한 이시대의 흐름이~%!!!한 쪽을으로 편중 되었다는 생각 에 실로 안타깝지만
    플라톤아카데미..같은 체널방송이 있으니 ..☘🏃‍♂️
    .

  • @hjeachim
    @hjeachim 4 ปีที่แล้ว +2

    영상 너무 좋습니다 또 보고 또 보며 실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p8ck8br4z
    @user-jp8ck8br4z 2 ปีที่แล้ว +1

    전기기사 문답 달달 외우기 중인데... 좀만 더 곱씹어 보고 의미를 조금이라도 이해해야겠습니다. 솔직히 좀 지치던 찰나에 이황의 말씀이 참 와닿습니다.

  • @user-yy9ve2nf1z
    @user-yy9ve2nf1z 3 ปีที่แล้ว

    각자가 깨달으면꿈이있으면
    열심히합니다

  • @stevie2662
    @stevie2662 4 ปีที่แล้ว +7

    너무 공감 가지만 한편으론 안타까운 생각도 드네요.. 인생이 무한하고 여유가 있으면 가능하지만 시간은 한정되어있고 자원도 한정적이니 .. 젊은 나이에 현대사회에서 공부를 자신을 위해서 하기에는 살아가기 힘든 세상이되어버려서요..

  • @amugeamuge6357
    @amugeamuge6357 2 ปีที่แล้ว +1

    "공리적인 속셈을 조금이라도 갖는다면, 그것은 공부가 아니다."
    공리란, 공명과 이욕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공명이란, 공을 세워서 자기의 이름을 널리 드러냄을 뜻합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이욕이란, 사사로운 이익을 탐내는 욕심을 뜻합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결국, 명예와 재물을 원하는 속셈이 공리적인 속셈이고 명예와 재물을 탐한다면 공부가 아닙니다.
    쓸데없는 공부가 나를 성인으로 만들어주는 진짜 공부입니다.

  • @user-pk1md2zb5d
    @user-pk1md2zb5d 2 ปีที่แล้ว

    욕망vs호기심(삶에 대한)
    이거 인 것 같은데.. 중용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 @user-us9tm7yu6f
    @user-us9tm7yu6f 3 ปีที่แล้ว

    하나라도 정확히 알라는 것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보자는 데카르트와 비슷해보임. 공리가 제레미 벤담의 공리는 아닐텐데 무슨 뜻인가요?

  • @user-yt8wd1sd6x
    @user-yt8wd1sd6x 4 ปีที่แล้ว +5

    퇴계선생은 훌륭하신 가문에 태어나 엘리트교육받고 누구나 존경받는 분이 된거죠
    대다수 사람들은 하루하루 먹고사는 문제가 급합니다

    •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3 ปีที่แล้ว

      우리나라에 하루하루 먹고 사는게 급한 사람이 어디있음 ㅋㅋㅋ

    •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 ปีที่แล้ว +3

      단순히 가문이 훌륭한 가문이어서만은 아니다 이분 인품자체가 뛰어난게 더 크다.다훌륭한 가문이라고 인성이 좋은경우는 별로없다 오히려 그반대가 더 많았지 ㅋㅋ

  • @1Q81725
    @1Q81725 4 ปีที่แล้ว +1

    사람답지 못한 사람은 없습니다. 사람이 하는 모든 생각과 행동은 사람다운 것입니다.

    • @chaewooklim9997
      @chaewooklim9997 4 ปีที่แล้ว +4

      살인도 사람다운건가요? 분명 사람답지 못한 행동은 존재하고 그러한 사람도 존재합니다.

  • @shk4777
    @shk4777 4 ปีที่แล้ว +1

    시대와 생활 환경이 바뀌고 따라서 사람도 바뀝니다. 마음으로는 동의 할 수 있으나 머리로는 동의하기 어렵네요. 도 닦는 것만 공부는 아니 잖아요 ^^

  • @user-rw9dy5ed6d
    @user-rw9dy5ed6d 3 ปีที่แล้ว

    톼계는 富者였습니다 재산이 많았어요
    노비 토지가 많았어요

  • @user-qb3zs1le2h
    @user-qb3zs1le2h 3 ปีที่แล้ว

    전 배워야 사람노릇하는거 여럿 봤네요.

    •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 ปีที่แล้ว +1

      그건 사람천성이 좌우하는거고 아무리 많이 배워도 천성이 쓰레기는 사람노릇 못하는거고 못배워도 천성이 선하면 많이배워서 쓰레기짖 하는거보단낫다.공부만 많이해서 쓰레기짖하는거 편들지 말고 적당히 배워도 쓰레기짖 안하는 인간이 되는게 낫다 ㅋㅋ

  • @KoreanteacherDexter
    @KoreanteacherDexter 4 ปีที่แล้ว +7

    조선시대에, 선비로 태어나 먹고 살 걱정 하나 없이는 말할 수 있는 말이긴 하지만... 과연 현대사회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수학능력시험에, 또 기타 입사시험이라는제도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피력할 기회가 없습니다. 진정으로 참 공부를 하라는 의미는 좋은말일수는 있지만... 학식이 짧은 저에게는, 지금 우리시대에 위인지학이 아닌 위기지학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고, 또 과연 학생들에게 그렇게 말하는 것을 옳다고도 확신할 수 없네요...

    • @user-fn7oq7gv8n
      @user-fn7oq7gv8n 4 ปีที่แล้ว +3

      공감 합니다
      책 구입, 시험 응시 모든 것이 돈이 들어가는 현실

    • @Pocari413
      @Pocari413 4 ปีที่แล้ว +6

      퇴계가 말하는 공부와 입시나 취업에서의 공부는 서로 다른 것 같은데요

    • @KoreanteacherDexter
      @KoreanteacherDexter 4 ปีที่แล้ว

      Pocari 그렇네요. 지향점부터가 다르긴 하네요. 제가 출신이 미천해서 그런지... 어릴적부터 위인지학만 하다보니... 진정 위기지학이 무엇인지 정말... idea(이데아) 같은 소리네요 ㅎ

    • @KoreanteacherDexter
      @KoreanteacherDexter 4 ปีที่แล้ว +3

      이희헌 그죠... 돈 걱정 없이 참학문을 연구하고 싶지만....^^

    • @user-fn7oq7gv8n
      @user-fn7oq7gv8n 4 ปีที่แล้ว +1

      @@KoreanteacherDexter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d6uy1ez7f
    @user-gd6uy1ez7f 3 ปีที่แล้ว

    시스템이 그런게.그걸 수단이든 목적이든 쫓는게 시스템 안에 살아가야되는 삶인데 그게..마치 잘못인냥 말하는 내용이 참 그렇네

  • @seungheeyang8440
    @seungheeyang8440 3 ปีที่แล้ว +1

    ㄸㄸㅉㅉㅉㅉㅉㅉ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ㄷㅉ

  • @user-zh2hi9rx7t
    @user-zh2hi9rx7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시 속국사대한 왕 보니 심사가 틀리고 기분 나빠서 안갔지, 성인도 싫어하였어, 니가 대장부냐? 명나라 속국사대나 하는 주제, 아무리 왕이라도 하늘 무서운 줄알아야지
    .

  • @user-vn8br6fq1m
    @user-vn8br6fq1m 3 ปีที่แล้ว

    땅파서 빌어먹고 살던 세상에서 공부해서 대기업 사원되던 세상으로 진보했으면 감사할줄은 모를망정 배부른소리하고 자빠졌네, 개가 짖어도 열차는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