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1~9항 자세히 보기 | 이유진 우월한 국어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1 ธ.ค. 2020
  • 한글맞춤법 1~9항 자세히 보기│이유진 우월한 국어
    유진쌤 관련 링크 linktr.ee/youjinssam
    모든 영상의 저작권은 본 채널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엄격히 금지합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8

  • @user-gx8lz5sw8f
    @user-gx8lz5sw8f 3 ปีที่แล้ว +14

    한국인이면서 한글도 제대로 모르고 살았네요. 지금부터라도 한국어 공부를 해야겠다 했는데.. 고퀄리티의 강의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gx8lz5sw8f
      @user-gx8lz5sw8f 3 ปีที่แล้ว +2

      넘나 기억에 남을 것 같네요...
      슬플 때 들으면 힘날 것 같아요!! 😆
      🔖 6:06

  • @s._.h2010
    @s._.h2010 2 ปีที่แล้ว +1

    제가 본 강의중에 가장 잘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nu2kk2fv3e
    @user-nu2kk2fv3e ปีที่แล้ว +1

    쉽게 풀어주시는 강의 고맙습니다

  • @idontlikelie
    @idontlikelie ปีที่แล้ว +2

    선생님. 한눈에 설명이 좋습니다..
    😊😊😊😊😊😊😊😊

  • @user-uz2qy8xc7k
    @user-uz2qy8xc7k ปีที่แล้ว +2

    전 자기 전에도 선생님 강의 보면서 공부중 ,, 유진쌤 최고 ❤

  • @user-po7fs8gh2k
    @user-po7fs8gh2k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user-mc4cc1do1k
    @user-mc4cc1do1k 3 ปีที่แล้ว +6

    감사합니다 한글을 공부하게 위해서 꼭 공부가 되네요 ㅎㅎ

    • @user-mc4cc1do1k
      @user-mc4cc1do1k 3 ปีที่แล้ว

      선생님 한테 받고싶네요 한글공부 ㅠㅜ 너무너무 부러워요 ㅎㅎ 건강하세요 선생님

  •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bobogaemi
    @bobogaemi 2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vy5kz2rm8e
    @user-vy5kz2rm8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컴퓨터라면 예시 암기로 가능하겠쥬.
    이론을 충분히 숙지해 암기량을 줄이자!

  • @user-jf3wp5wb9y
    @user-jf3wp5wb9y 2 ปีที่แล้ว

    선생님, 강의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20:43 에 7항 '한편~' 이 있는데,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한글맞춤법 보았을때 '한편~' 부분이 없습니다. 개정되거나 해서 사라진건가요?

    • @yujinssam
      @yujinssam  ปีที่แล้ว +2

      표준어규정 제26항으로 옮겨진 내용입니다. 국립국어원 규정 해설 부분 첨부해 드릴게요~ ‘밭-’은 ‘바깥’의 준말이다. 그러나 이 말은 ‘바깥마당/밭마당, 바깥부모/밭부모, 바깥사돈/밭사돈, 바깥상제/밭상제, 바깥주인/밭주인’에서처럼 복합어 안에서만 ‘바깥’ 대신에 쓸 수 있다. 예컨대 ‘바깥에 나가다’를 ‘밭에 나가다’라고 할 수는 없다. 현실 언어에서 그렇게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 @user-hd1on3js8r
    @user-hd1on3js8r ปีที่แล้ว

    유익한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안)과 (않)의 올바른 사용법 좀 알려주세요.

    • @yujinssam
      @yujinssam  ปีที่แล้ว +3

      '안'은 부사라서 용언 앞에 쓰이고 '않'은 '않다'의 어간 '아니하-'입니다. 안 아파 / 아프지 않아

    • @user-hd1on3js8r
      @user-hd1on3js8r ปีที่แล้ว

      @@yujinssam 아, 네.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가려서 잘 사용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oriya844
    @soriya84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hu6kz1sc7x
    @user-hu6kz1sc7x 2 ปีที่แล้ว

    19:01

  • @user-on2os5kj9j
    @user-on2os5kj9j 2 ปีที่แล้ว

    된소리나, 구개음화 등등 정해진 조건(조항) 상황에서 그러한 발음이 나타나는 이유는 구강구조 때문인건가요?

    • @yujinssam
      @yujinssam  2 ปีที่แล้ว

      된소리되기는 발음을 명확히 전달하려는 의도 때문이고 구개음화는 발음을 편하게 하려는 의도 때문에 일어납니다.
      구강 구조와는 무관합니다.

  • @user-if4ss8mp5b
    @user-if4ss8mp5b 2 ปีที่แล้ว

    선생님 죄송하지만 한글맞춤법 52-55항 문제 유튜브로 올려주신 게 어디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

    • @yujinssam
      @yujinssam  2 ปีที่แล้ว +1

      현재 메가공에서 2022 대비 최신 어문규정의 날개 전 조항 무료 서비스 중이니 거기서 보시면 편하실 거예요^^

  • @user-gp1oq4hj6h
    @user-gp1oq4hj6h ปีที่แล้ว

    9:20

  • @user-ns1fy4ou6u
    @user-ns1fy4ou6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00

  • @bo_hk4480
    @bo_hk448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2

  • @jssc4566
    @jssc456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21 된소리 한글 맞춤법

  • @user-kj2tb6kv4e
    @user-kj2tb6kv4e ปีที่แล้ว

    묻고저 요즘 자장면으로 광고 하는데 자장면,아님 짜장면 인가요?

    • @yujinssam
      @yujinssam  ปีที่แล้ว +1

      복수 표준어입니다. 모두 올바른 표현이에요.

  • @21220675
    @21220675 3 ปีที่แล้ว +1

    선생님! 제가 국립 표준국어대사전에 안사람과 집사람 검색해보았는데 정식으로 등재되어 있는 것 같아요. 다소 헷갈리네요

    • @yujinssam
      @yujinssam  3 ปีที่แล้ว

      성차별적 요소가 있으니 되도록 쓰지 말자고 국립국어원이 언어예절을 통해 공표한 내용입니다.
      사전 표제어에서는 삭제 전인 것이니 높임과 예절 부분에서 출제되면 지양 표현이라 생각하고 답하시면 됩니다. 표준어 문제는 아니니까요.

    • @21220675
      @21220675 3 ปีที่แล้ว

      @@yujinssam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TV-bs9yo
      @TV-bs9yo 3 ปีที่แล้ว

      @@yujinssam 저도 헷갈렸는데 감사합니다

  • @ryucaan1698
    @ryucaan1698 ปีที่แล้ว

    1번 마음을 담아 드림니다. 2번 마음을 담아 드립니다. 둘 중에 어느 것이 맞는 표현 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2번으로 알고 있는데요 직장 상사는 1번이라고 합니다.

    • @yujinssam
      @yujinssam  ปีที่แล้ว +1

      '드리다'의 어간 '드리-'에 어미 '-ㅂ니다'를 결합하여 '드립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ㅇ롷습니다. '드림'이라고 할 때는 명사형으로 마무리하는 경우입니다. 뒤에 '-니다'를 붙일 수가 없어요.

  • @user-yt6iq8kx8z
    @user-yt6iq8kx8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헐 한글 어렵다 ㅠㅠ

  •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글 특허로 한글 공통어된다
    한글 최고 빨리가르친다

  • @user-gm4ib1rs8y
    @user-gm4ib1rs8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키읔 티읕 깍두기 싹둑 예례는 제대로 발음

  • @user-rl7fx9sz3c
    @user-rl7fx9sz3c 17 วันที่ผ่านมา

    학자들이 즈까치 만들어놨음. 세종이 했는것 처럼 읽는데로 쓰자.ㅋ
    없어진 글자로 인하여 완벽한 소리 글자가 못됨.
    훈민정음 실용신안~ 즉 지금 쓰고 있는 한글로 인하여 지방 토속어가 사라지고 국뽕에 중독된 사람들이 1등 글자라고 이상하게 변해가고 있어.ㅎ

  • @user-un1pi2zl2i
    @user-un1pi2zl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니 근데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 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랬는데 다음음절의 첫소리를 된 소리로 적는다라는게 도통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 @yujinssam
      @yujinssa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모음이나 울림소리인 자음 뒤에서 된소리가 나면 된소리 반영하여 표기를 정했다는 의미입니다. 뭉둥X 뭉뚱○ 이런 식으로요.

    • @user-un1pi2zl2i
      @user-un1pi2zl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ujinssam 선생님 다른 예시를 좀 보여주실 수 있나요?..

    • @user-un1pi2zl2i
      @user-un1pi2zl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ujinssam 다음음절이 어디를 뜻하는지, 첫소리는 또 뭔 소린지 모르겠어요..

    • @yujinssam
      @yujinssa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un1pi2zl2i 영상 5항 설명 뒤에 나오는 예시들 보셔요^^! 12:00

    • @yujinssam
      @yujinssa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un1pi2zl2i 음절은 소리덩어리라는 뜻이고 첫소리는 초성 자음을 의미합니다. 개념어를 모르시는 경우 어문규정부터 공부하지 마시고 음운론부터 하셔야 해요. 메가공 홈에서 이유 있는 문법개념어 마인드맵 들어 보셔요.

  •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글 특허로 한글로 세계어 다쓴다
    한글 특허로 문맹자 없는 한글 공통어

  • @user-kj2tb6kv4e
    @user-kj2tb6kv4e ปีที่แล้ว

    그리고.언론에도 바람, 바램.예로 강의하신 분 저만 바라보길 바라요.? 바래요.여튼 문교부 왜 있어요.? 콩 상당히 싫어요가 생각 남
    .

    • @yujinssam
      @yujinssam  ปีที่แล้ว +1

      '바라다'의 어간 '바라-'에 어미 '-아요'가 결합하면서 동음 탈락이 일어난 것이니, '바라요'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