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ธ.ค. 2017
  • tvN 알쓸신잡2 (2017)
    : 분야를 넘나드는 잡학박사들의 지식 대방출 향연!
    국내를 여행하면서 다양한 관점의 이야기를 펼쳐 딱히 쓸데는 없지만 알아두면 흥이 나는 신비한 '수다 여행'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알쓸신잡1]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1
    🔮[#알쓸신잡2]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2
    📜[#알쓸신잡3]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3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12

  • @tvNOfficial
    @tvNOfficial  2 ปีที่แล้ว +2

    언제 봐도 유익한 [#알쓸신잡] 시즌2 정주행하기😎
    👉 th-cam.com/play/PLgbB1gJhmG7BW2B6lZ4NFGLlzZTBjzfGH.html

  • @user-gt3xy5eh7k
    @user-gt3xy5eh7k 4 ปีที่แล้ว +16

    이건 생각못해봤네

  • @user-eg9eu9uu2l
    @user-eg9eu9uu2l 3 ปีที่แล้ว +67

    황교익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지금 이 말씀만은 계속 기억해야한다고 생각해요.
    국민 주권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독립운동의 의의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어요.

  • @CREAMYKISS
    @CREAMYKIS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누군가가 어차피 미국때문에 독립했으면서 왜 독립운동을 떠받드냐라고 물었을때 보여줄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 @user-wy1dr9tn9n
    @user-wy1dr9tn9n 3 ปีที่แล้ว +12

    3.1운동이 대한민국의 시작

  • @hochjang
    @hochjang 2 ปีที่แล้ว +3

    아주 좋은 말입니다. 새기고갑니다.

  • @InOS-ex6hb
    @InOS-ex6h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목을 3ㆍ1운동이나 독립선언을 넣어 변경했으면 조회수 엄청 높았을텐데

  • @ungaim131
    @ungaim131 4 ปีที่แล้ว +39

    옳은말인데 누가하느냐에 따라서 이렇게 다르게 받아들여지는구나.. 사람이 신뢰와 평판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 @kgsgm92
      @kgsgm92 4 ปีที่แล้ว +7

      그게 바로 에토스의 중요성

    • @user-hf5fx2ce3w
      @user-hf5fx2ce3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식을 할 때만 눈이 헤까닥 도는

  • @linkin1216
    @linkin1216 4 ปีที่แล้ว +167

    교익이형 다른 영상에서는 욕 많이 먹던데 이건 맞는 말 같은데...?

    • @user-tp3kr6rf5e
      @user-tp3kr6rf5e 4 ปีที่แล้ว +67

      교익이형이 음식에 대한 프라이드나 고집이 쎄서 좀 미운털 박혔지만 정치나 역사에 대한 시각은 나름 멋지신것 같음

    • @cho4276
      @cho4276 4 ปีที่แล้ว +36

      음식에 관한 것도 전문가로써 나름의 근거를 가지고 본인의 주장을 하시는건데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나, 갑론을박 할 수 있는 주장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가지고 틀렸다는 식으로만 주장함 ㅋㅋ 일본과 관련되었다고 너무들 뭐라고 해 ㅋㅋ

    • @camaccmk8966
      @camaccmk8966 4 ปีที่แล้ว +80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맞습니다

    • @eadgbe6215
      @eadgbe6215 4 ปีที่แล้ว +5

      camaccmk 명언

    • @wicked_kid
      @wicked_kid 4 ปีที่แล้ว +7

      @@camaccmk896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ㅅㅂ

  • @powerplant8513
    @powerplant8513 4 ปีที่แล้ว +87

    교익이 아저씨가 너무 독선적이어서 그렇지 전후사정 다 보면 어느정도 일리있는 말이긴 했지.
    천일염 카르텔 디스할때가 간지나긴 했제

    • @user-xx6vy6id3p
      @user-xx6vy6id3p 2 ปีที่แล้ว

      어느정도 맞는말은 누구나 합니다...
      너무 독선적인게 가장 큰흠이죠.
      좀만 뭐라하면 버럭버럭..

  • @wkh6137
    @wkh6137 3 ปีที่แล้ว +23

    황교익님이 맛 칼럼리스트로서 의미있는 가치를 지닌 이유는 오랜 기자생활을 바탕으로한 근현대사적인 역사의식이 매우 깊고 풍부하다는 점이다
    장점은
    1.'음식+역사'에 대한 비판과 고찰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2.상업화된 도시식문화로 변한 우리의 현시대에 꼭 필요한 시각으로 문제의식을 던진다
    단점은
    1. 모든 칼럼에서 확실한 정치색을 띈다
    2. 상업적(프렌차이즈) 음식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강하게 표현하는 편
    3.재료보다 양념으로 본질의 맛을 훼손하는 음식에 대해 혹평한다 (떡볶이 등)
    농민신문 기자출신답게 자연스레 진보적성향과 우리 먹거리에 대한 고민을 하게된 케이스인듯
    정치색 가지고 싫어할순 있는데 '맛'칼럼리스트로서는 신뢰해도 된다고 봅니다
    대패삼겹살의 비밀 등 수많은 음식재료고발 레전드가 있지요
    우린 정보만 얻으면 되구요
    판단은 각자하고 먹으면 되지요

    • @tubeyou391
      @tubeyou391 2 ปีที่แล้ว

      ???: 찐 부자는 치킨을 먹지 않는다.

    • @man4c735
      @man4c735 2 ปีที่แล้ว +1

      글쎄요 정치색을 띄는 게 옳고나쁨을 따질 수 없으니 단점이라 볼 수 있을지
      그것보다는, 만물일본설 주장을 어거지로 하는 것과
      본인이 주창하는 data 들의 근거가 명확하지도 않은데 팩트인 듯 고압적으로 구술하는 화법에 거부감이 일어나죠

    • @user-xx6vy6id3p
      @user-xx6vy6id3p 2 ปีที่แล้ว

      저사람 말 가만히보면 ..저게 똥볼차는건지 뭐하잔건지 간혹 당황스런행동과 말하는건 맞음..
      솔직히 음식에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이 있다지만.
      그걸 공감적으로 풀어내는 인간적면은 없는거같음..
      본인도 솔직히 백종원 너무 많이나와 짜증나지만..저사람이 백종원깔때...백종원싫어하는 나까지도 왜저러지?할만큼 감정적이 많음...
      정치적색체땜에 싫어할수있는게아니라..오히려 저런이가 같은 정치진영에 있는이가 불안함..
      뭐랄까.
      저러다 성질나서 다른측으로 간다면.더하게 악질적일거같은 ㅡ그런사람이랄까?
      개인적 느낌입니다..ㅠㅠ.

  • @jambava
    @jambava 3 ปีที่แล้ว +24

    난 아직도 믿기지가 않는게 이렇게 논리적이고 열려있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던 사람이 왜 그렇게 일본일본타령을 하기 됐을까 혹시 우리가 아직 청산하지 못한 과거를 다시한번 되새기게 하기 한 큰 그림일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해가 안감

    • @jpjollybean1183
      @jpjollybean1183 3 ปีที่แล้ว +5

      고장난 시계도 하루 두 번은 맞습니다. 큰 의미를 두지 마세요.

    • @user-rz9rs3gq8u
      @user-rz9rs3gq8u 2 ปีที่แล้ว +2

      논리적이고 열려있는 사고방식이 아닙니다... 그냥 사실 팩트를 말하는거에요 객관적인 관점으로만 말해서 국민들은 원래 주권이 없었다 식민지배때부터 우리의 주권을위해 투쟁한게 독립운동의 시작이다 딱 이렇게 말한 이유는 주관적인 자기생각이 들어가면 저기 3명의 지식인들한테 개 털릴는게 무서워서 감춘거입니다 주관적인 지 생각도 말했으면 저기서 겁나 몰매맞았을듯하네요

    • @user-xx6vy6id3p
      @user-xx6vy6id3p 2 ปีที่แล้ว

      엉뚱하고 기발하고 ..한번쯤 생각해볼수있는 중요한 이슈던지는건 좋지만...
      저사람은 한번 뭘 던지면..상대얘긴 듣지도않음..그저 우김..
      열려있는사고방식이 아니라.
      그냥 자기가 삘꽃히는데로 내질러보는 스타일..

    • @user-xx6vy6id3p
      @user-xx6vy6id3p 2 ปีที่แล้ว

      @@user-rz9rs3gq8u 그러니까요..성질머리도 버럭버럭..진짜 비호감..

  • @mktkim4
    @mktkim4 3 ปีที่แล้ว +11

    결국 1919년 3월1일이 실제적인 건국절...

  • @user-qj2cy8ct3y
    @user-qj2cy8ct3y 2 ปีที่แล้ว +5

    와... 진짜 이런생각 한번도 해본적 없는데 대단!!! 생각도 많이하게해주고 진짜 재밌게 봤던 프로인데 또 했으면 좋겠다.. 힘들겠죠...ㅠㅠ

  • @user-pl2gt5ip9m
    @user-pl2gt5ip9m 4 ปีที่แล้ว +35

    원래 읎어용!!!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nr5sx1ki1u
    @user-nr5sx1ki1u 4 ปีที่แล้ว +48

    마냥 교이쿠 상이라고 놀릴 사람은 아니구만...... 황교익 선생님............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3 ปีที่แล้ว

      요즘 애들 사이에 황교익씨 놀리는게 무슨 스포츠인 줄

  • @s.5710
    @s.5710 4 ปีที่แล้ว +10

    너무 뜬금 랜덤이라 아쉬워용

  • @user-ti9bz3is9q
    @user-ti9bz3is9q 4 ปีที่แล้ว +9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예나 지금이나 민중의 눈높이보다 떨어짐. 지 잘난 줄 아는데 속 빈 강정.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발전 시킨 건 민초.

  • @beautelle9460
    @beautelle9460 3 ปีที่แล้ว +5

    그렇네요. 나라를 빼앗긴 것도 아니었네요.

  • @thomasrho8637
    @thomasrho8637 2 ปีที่แล้ว +9

    황교익선생을...다시 봅니다...큰 각성을 갖게 해준 지적입니다....존경을...표합니다

    • @thomasrho8637
      @thomasrho8637 2 ปีที่แล้ว

      @김도윤 봤는데 안 바뀌네요. 나견이가 흠집내려한 정략적 사기질에 휘말린 희생양으로만 보이네요

    • @user-eu1qi4wg2d
      @user-eu1qi4wg2d 2 ปีที่แล้ว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2번은 맞더라고요

  • @ack3145
    @ack3145 4 ปีที่แล้ว +8

    조선 망해서 왕족이랑 양반 갈려나간 건 너무 좋음.

  • @out2765
    @out2765 3 ปีที่แล้ว +7

    썸네일 오타 실화냐

  • @user-xu9ix9vt2h
    @user-xu9ix9vt2h 3 ปีที่แล้ว +3

    동학농민운동 부터겟지

    • @InOS-ex6hb
      @InOS-ex6h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학농민운동은 나라를 개혁하는 즉, 정책의 개편 정도이지 주권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은 아니지 않아요?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3 ปีที่แล้ว +2

    일본과 독일, 러시아도 당시엔 없었다 당시 상황보면 그냥 상식적인 사항임 너무 현대적인 시각으로 보면 안 됨

  • @lamiamusica8446
    @lamiamusica8446 2 ปีที่แล้ว +1

    양치기 소년같이 평소에 거짓말만 하다가보니 옳은 소리를 하더라도 그 가치가 절하되는게 황씨다. 어떻게 하겠냐 본인 잘못이지.

  • @MOON-wu7pb
    @MOON-wu7pb 2 ปีที่แล้ว +2

    와 한방맞은느낌
    원래없던 나라가 맞네요

  • @jyim1701
    @jyim1701 4 ปีที่แล้ว +14

    대화자체가 아슬아슬하다.
    맞는말이긴한데..

    • @leesoocheol4426
      @leesoocheol4426 4 ปีที่แล้ว +14

      뭐가 아슬아슬하지?

    • @HIRIT08
      @HIRIT08 4 ปีที่แล้ว

      말은 맞는데 어투가 거칠어서 그런 듯 합니다

    • @ash951210
      @ash951210 4 ปีที่แล้ว +1

      아슬아슬한거 없이 다 명백히 맞는 말 같은데용

    • @user-fu8gu3bn8q
      @user-fu8gu3bn8q 2 ปีที่แล้ว

      병탄조약을 병합조약이라고 하거나 하는 일본에 조금 더 유리한 방향의 단어 선택이 몇가지 보여서 아슬아슬하다고 표현 한듯 싶네요.

  • @user-kh1nc4bt3b
    @user-kh1nc4bt3b 2 ปีที่แล้ว

    음식도 정치도 제대로 알고 떠들지?

  • @user-lc4co8ji6x
    @user-lc4co8ji6x 4 ปีที่แล้ว +5

    싫어요3뭐냐? 친일파임?

    • @user-xq5hc4yd1r
      @user-xq5hc4yd1r 4 ปีที่แล้ว +1

      대한민국의 시작을 이승만정권부터라고 주장하고 픈 부류들이요
      그들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부정하는 이유가 바로 친일이지요

    • @towins2011
      @towins2011 4 ปีที่แล้ว

      교익이 면상만보고 싫어요 박은거일듯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2 ปีที่แล้ว

      @@user-xq5hc4yd1r 정작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첫 대통령도...

  • @hmkim8804
    @hmkim8804 3 ปีที่แล้ว +2

    사실 국민 주권이란게 일본에서 왔거든요??!

    • @user-vp4nk7hs9z
      @user-vp4nk7hs9z 2 ปีที่แล้ว

      일본은 지금도 국민 주권이 없슴

  • @user-ci1ky9bf6k
    @user-ci1ky9bf6k 3 ปีที่แล้ว +3

    역시 일본 나오면 전문가구만

  • @DrSHINTV
    @DrSHINTV 2 ปีที่แล้ว

    유교국가 너무싫다 하..

  • @kimi3266
    @kimi3266 4 ปีที่แล้ว

    계란말이 쓰레기라고 들엇을때
    화참는 음악.
    오이냉국 먹고 헛소리하는 왕 음악.
    쇼크받은 왕
    뒤로 자빠질때 음악.
    그때 내시가 총총걸음으로
    고민할때음악.
    넬라판타지아.
    양파 짱아찌 익어가는 소리
    유시민이 감옥에서 항소문 쓸때
    음악

  • @spikyblowfish5738
    @spikyblowfish5738 6 ปีที่แล้ว +5

    다른 나라에서 인정해주지 않은 국가를 우리가 선언했다고 해서 국가가 되는건지 의문이 생기네요...

    • @yjoon5
      @yjoon5 6 ปีที่แล้ว +25

      독립운동을 통해서 생겨난 국가들은 선언에서 시작하곤 함. 그리고 그 기반으로 싸우는 것임. 그래서 광복군을 군으로 불렀던 것임.
      미국에서 7월 4일마다 폭죽쏘고 난리남. 독립기념일이라고 부르며...
      근데 7월 4일은 미국이 영국과의 전쟁에서 이긴 날이 아님. 전쟁의 끝은 그 후 8년쯤 이후임.
      7월 4일은 독립을 선언하고 싸우기 시작한 날임.
      분명 물을 것임, 이것을... 미국은 독립선언한 날을 기념하는 것이지 미국 건국을 축하하는 것은 아니라고?? ㅎㅎㅎ
      미국은 독립선언 한 날로부터 미국이 건국된 걸로 간주하고 7월 4일마다 폭죽쏘는 것임.
      즉, 독립을 추구하는 국가가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시점과 선언으로부터 스스로의 국가 시작을 삼는 것임.
      뭘 말하고자 하는 것 알겠는데, 일본이 독립운동 자체를 평가절하 시키기 위해 이런 주장을 할 수는 있음.
      그런데 한국사람이 스스로의 역사인 독립운동과 임정의 법통을 평가절하 시킬 이유는 사실 없음.
      딱 3가지 경우 빼고, 친일파 옹호거나, 이승만 띄우기, 또는 둘 다.

    • @bethesoultree
      @bethesoultree 5 ปีที่แล้ว +31

      다른 나라가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해서 자기 스스로도 국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는다면 그 나라가 우리 것이 아님이 기정사실화 되어 버립니다.

    • @user-hr5gu1qb7p
      @user-hr5gu1qb7p 4 ปีที่แล้ว +4

      그 어느 나라도 타국의 인정을 받아야 건국 되었다고 하지 않습니다. 그건 괴뢰국이지요.
      하물며 조선도 먼저 건국을 하고 명나라에 연락했어요. 정통성 확보차원에서;"

    • @user-bj3em4ld3p
      @user-bj3em4ld3p 4 ปีที่แล้ว +1

      남이 인정을 해줘야만 의미가 있다?
      언니의 의문을 의문으로 인정못합니다

    • @user-cn8qr3gp6b
      @user-cn8qr3gp6b 4 ปีที่แล้ว +1

      미국도 자기네 건국일을 1776년 7월 4일 독립선언서를 발표한 날이라고 하고 그 날을 기념하지 영국독립전쟁에서 승전한 1789년 이후라고 얘기하는 사람 아무도 없음
      영토 국민 주권으로 국가 인정하는건 현재진행형일 때 어떤 집단을 국가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규약의 문제이지 이미 국가로 자리매김한 국가가 건국일을 그 앞으로 잡는건 전혀 문제될게 없는 일임
      이건 흡사 조선이 건국되고 몇년이 지나도록 명나라에서 조선이란 나라를 고려를 대체한 새로운 국가로, 이성계를 새로운 왕으로 인정해주지도 않아서 홍룡포조차 입지못하고 쩔쩔매던 시대에나 통용되던 논리이고 발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