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ธ.ค. 2017
  • tvN 알쓸신잡2 (2017)
    : 분야를 넘나드는 잡학박사들의 지식 대방출 향연!
    국내를 여행하면서 다양한 관점의 이야기를 펼쳐 딱히 쓸데는 없지만 알아두면 흥이 나는 신비한 '수다 여행'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알쓸신잡1]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1
    🔮[#알쓸신잡2]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2
    📜[#알쓸신잡3]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3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93

  • @tvNOfficial
    @tvNOfficial  2 ปีที่แล้ว +3

    언제 봐도 유익한 [#알쓸신잡] 시즌2 정주행하기😎
    👉 th-cam.com/play/PLgbB1gJhmG7BW2B6lZ4NFGLlzZTBjzfGH.html

  • @minseon1226
    @minseon1226 3 ปีที่แล้ว +162

    0:19 에으 아휴 ㅋㅋㅋㅋ두분 귀여우심..저 한숨에서 안타까움이 다 느껴지네요

  • @user-ib5lb8dm5n
    @user-ib5lb8dm5n 4 ปีที่แล้ว +267

    내가 자격루가 놀랍다고 생각한건 구슬이 떨어지고 종을 치는것이 아니라 물통이었음
    초딩때 방학숙제로 자격루 비슷하게 물시계를 만드는데 물통을 한개쓰니까 일정하게 물이 흐르지 않고 시간이 갈수록 흐르는 물의 양이 적어지는데
    자격루는 이걸 여러개의 물통과 물통의 크기 구멍의 크기로 최대한 일정하게 물이 흐르게하고 병렬로 만들어서 오차를 줄인거임

    • @user-ip3yd3tc5o
      @user-ip3yd3tc5o 3 ปีที่แล้ว +11

      수심이 깊을 수록 수압이 세다는걸 물병 여러개 병렬로 배치해서 극복했군요.

    • @leemyughan
      @leemyughan 3 ปีที่แล้ว +1

      @@user-ip3yd3tc5o 아 그런거구나................그러고보니 그렇네요 ㄷㄷ

    • @cho4276
      @cho4276 3 ปีที่แล้ว

      와.. 그렇군

    • @castlep7570
      @castlep7570 3 ปีที่แล้ว +2

      v = c*(rh)^0.5를 알고 통을 배열한거 보면 물리학부터 된 천재 ㅋ

    • @user-ik8dq5rj8w
      @user-ik8dq5rj8w 3 ปีที่แล้ว +13

      @@castlep7570 예?

  • @선테이
    @선테이 4 ปีที่แล้ว +164

    장영실 이후에 계속 과학의 중요성을 알고 발전 시켰더라면 지금 어땠을까...

    • @rogue2586
      @rogue2586 3 ปีที่แล้ว +15

      영조때 최천약이라는 조선후기 최고의 과학자가 있었어요.
      표준 도량형이라 할 수 있는 자를 만들고, 자명종을 복제 해내고, 멀리 눈으로 본것만 으로도 똑같은 크기와 필체의 글씨를 복제해내고 당대 최고의 천재라 할 수 있죠.
      아쉬운건 최천약은 무관이었고 기술을 천시하는 풍조로 인해 최천약은 이런 일을 하는걸 수치스럽게 여겼어요. 심지어 사례비도 안 받겠다고 한 적도 있을 정도로요.
      종신 연금 지급하라는건 왕명이라 거절 할 수 없어서 마지 못해서 받은거 같지만요.
      과학뿐만 아니라 모든 기술을 천민이 하는 하잖은 걸로 생각했고 조선 후기로 가면 이런 생각은 더 심해졌기에 비극이죠.

  • @user-mz8ov8eu7f
    @user-mz8ov8eu7f 3 ปีที่แล้ว +49

    조선이 너무 평화로운데다가 욍권이 너무 강했고 갈 수록 사대에 목 메는 선비들이 문제였다고 봅니다. 주변 국가에서 호시탐탐 노리던 고려 때까지는 정말 기술적으로 발전이 많았죠.

    • @sunglee8608
      @sunglee8608 2 ปีที่แล้ว

      저때도 다들 공무원 할려고 필사적이였군요 ㅜ

  • @mool_tissue
    @mool_tissue 4 ปีที่แล้ว +83

    갈릴레이의 사례처럼 서구과학의 발전이 기존 서구의 기독교 세계관과 충돌하면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감안해야지
    조선에서 과학이 발전하려면 기존 사대부들의 성리학 세계관에게 도전해야하는데 이건 정말 쉽지 않았을 것임.
    이황과 기대승이 사단칠정논쟁 하는데 과연 장영실같은 이과인이 옆에 껴서
    "선생님들 소인이 보기엔 세상의 이치가 그런 성리학적인 논리가 아니옵고..." 이런식으로 자기 의견 제시 할 수 있을까.

    • @user-uu5uc5nw6x
      @user-uu5uc5nw6x 4 ปีที่แล้ว +6

      목이 그냥...

    • @user-tg9qq3cm7s
      @user-tg9qq3cm7s 4 ปีที่แล้ว +6

      사실 서양에서도 많은 과학자들이 기독교 세계관을 해치는 자들이라고 많이 탄압 받았었죠 ㅠㅠ

    •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4 ปีที่แล้ว +4

      @댕댕이커여워 기독교에 관련된게 무슨 과학적인게 있나...그냥 소설책에 써 있는게 진리라고 외치고 그거에 조금이라도 다른 결과를 내 놓으면 죽이는데...기독교는 총 빼고는 과학이 없어...사람 죽이고 노예로 삼고 뺐고...그런데는 아주 탁월한 절대무기를 가지고 있지...성경이라는 소설책..

  • @mangnanyong
    @mangnanyong 4 ปีที่แล้ว +60

    1:59 유희열 과몰입했네ㅋㅋㅋㅋ리엑션봐라ㅋㅋㅋㅋㅋ

  • @bxfhhbv
    @bxfhhbv 4 ปีที่แล้ว +281

    왕이 시키고 싶어한걸 아니깐...
    유시민의 저 판단이
    인문학이 필요한이유
    인간에 대한 폭넒은 이해

    • @user-yz9bh4gz5l
      @user-yz9bh4gz5l 4 ปีที่แล้ว +18

      왕이 막 즉위한지 얼마 안됐다 하지만 세종15년 지나고 나서입니다. 장박사 말대로 당시 신하들도 깨어 있는 사람들이 많았을테고 조선초기만 하더라고 우리가 생각하는 똥고집 조선신하들이 아닙니다. 저건 유시민이 오판한것이라 생각함 물론 재미를 위해 이럴수도 있겠다는식의 의견일수도 있죠

    • @hamosu5394
      @hamosu5394 4 ปีที่แล้ว +45

      @@user-yz9bh4gz5l 근데 세종 스타일이 답정너 스타일이기도 하죠 여진정벌 할때도 신하들한테 먼저 물어보는데 신하들이 반대하죠 세종은 이미 여진정벌에 마음을 굳히고 있는 상황이었고 그렇다고 하기 싫다는 사람한테 군사줘서 정벌하라고 하면 싸우는척만 하고 돌아올수도 있고 해서 퇴직한 관료들을 궁궐로 부른다음 현직관료들 앞에서 여진정벌에 대해 토론하니 퇴직한 관료들은 한 자리 차지할 수 있는 기회다 싶어 서로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걸 본 현직 관료들 이러다 밥그릇 뺏기겠다 싶어 이젠 자신들이 직접 정벌하고 오겠다고 하는 상황이 나오죠. 세종대왕은 미리 답을 정해 놓고 신하들 스스로 그 답을 말할 때까지 그런 상황을 만드는 심리전술을 잘쓰기도 합니다

    • @user-dj3tx9th8b
      @user-dj3tx9th8b 4 ปีที่แล้ว +14

      정치학 또한 인문학입니다만..

    • @user-nr7zn3jv5q
      @user-nr7zn3jv5q 3 ปีที่แล้ว +4

      @@user-yz9bh4gz5l 15년이면 절정이죠. 태종이 왕권을위협하는 세력을 처단한 이후니 왕을 거스르지 못하고 눈치를 볼 수 밖에요. 그래서 세종 말기 이후 보수 반동이 일어난 겁니다.

    • @malooil
      @malooil 3 ปีที่แล้ว +2

      딱 꼬여있는 좌파식 마인드. 저러니까 인간이 달밟았다는것도 안믿고 그러지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4 ปีที่แล้ว +94

    장영실만 강조되는데 장영실은 공학자이고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이순지, 김담 등등 이론 담당한 사람들이나 세종 이후에도 관상감에서 계속 배우고 열심히 일했던 분들은 방송에서 언급도 안 되니 그분들께 미안합니다 ㅠㅠ

    • @user-mp8wp1by6u
      @user-mp8wp1by6u 4 ปีที่แล้ว +21

      예능은 예능대로봅시다...그분들 다 언급하고 나열하면 ebs다큐되요.

    • @mutopia7029
      @mutopia7029 4 ปีที่แล้ว +2

      공학도라 장선생님 포에버지만
      이순지 김담 선생님도 기억하고 외우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thyteamo4835
      @thyteamo4835 4 ปีที่แล้ว +1

      헐 처음알았음

    • @2rm730
      @2rm730 3 ปีที่แล้ว

      사실 장영실은 손재주가 좋은거지...

    • @packichungki
      @packichungki 3 ปีที่แล้ว +1

      예능애서어떻게다다룸? 자연스럽게화제안에서나오는거지

  • @chchmm
    @chchmm 4 ปีที่แล้ว +8

    문종이 일찍죽어서그런것도있음 근데참 노비 장열실을 발탁하신분이 또 한편으로는 노비를 많이만드신분이기도하고 참고로 시간을 알려주는 장치는 귀족 집집마다있었음 1시간동안 물이 나오는 기계인데 바가지에 물이 차오르면 그 바가지가 뒤집어지고 다시 물이 차오르는 시스템으로 200년대 후한 사마의 집에도 수시계가있었다고 진서기에도나옴 근데 장열실의 발명은 너무나 정확하니까 칭찬받는거지 오차가없으니까

  • @gugugugu4907
    @gugugugu4907 4 ปีที่แล้ว +58

    아저씨들인데 말하는게 다들 귀여움ㅋㅋㅋㅋ

  • @beautelle9460
    @beautelle9460 3 ปีที่แล้ว +20

    대단한 인물!!! 재주가 출중하면 어디에서나 인정받기 마련!!

  • @heroinchaos
    @heroinchaos 4 ปีที่แล้ว +11

    갑자기 농사 짓고 싶어졌는데 끝나네

  • @go-sun-twi
    @go-sun-twi 4 ปีที่แล้ว +12

    2:45 -2:57 깨있던게 아니라 이 대답 나올때까지 물어보니까 그러죠....

  • @yyy2468
    @yyy2468 4 ปีที่แล้ว +8

    과학기술의 발전은 갈망과 경쟁이라고 생각함. 유럽 같은 경우는 수 개의 나라가 치고받고 싸우니까 자신들이 우세해지려고 싸우다보니 총이 나온거고 좀 더 편하게 살려고 발전한거 같고, 조선은 세종 이후로 나라가 평화로우니까 발 대자로 뻗고 아무런 갈망 없이 흥청망청 논거지. 명나라랑은 싸울 생각 없이 그냥 조공 바치고 일본 또한 조선이랑 싸울 생각 없이 사신들 오고 그러니까 경쟁할 상대도 없으니까 발전도 없었던 거고.

    • @twq4016
      @twq4016 3 ปีที่แล้ว

      ㄹㅇ 어느 나라든, 누구든 평화가 지속되는걸 좋아하지만, 역사책에서 볼때는 오히려 그 시대가 전쟁과 다툼이 많은 시기가 더 후대에 도움이 되고, 결과적으론 좋은거라고 생각함. 절대 평화가 오래 지속되어선 안됨.

  • @user-zs4zs9hu1g
    @user-zs4zs9hu1g 4 ปีที่แล้ว +11

    1:5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5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0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otterkim4714
    @potterkim4714 3 ปีที่แล้ว +7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깨어있다고 생각했는데 유시민 역시 정치해봐서 현실적

  • @flowerss9323
    @flowerss9323 4 ปีที่แล้ว +3

    2:13 나오는 피아노 곡 뭔가요?

  • @hellion21120
    @hellion21120 4 ปีที่แล้ว +32

    이방원 눈치를 본 것도 잇지만 일단 역대 조선 왕들과 비교군을 보면 신하들이 조선 초는 훈구파 선조 때부터 사림파 보통 이런 식으로 나뉘어도 이해가 되는 게 조선 초기의 삼봉 정도전과 같은 유학자들도 성리학 뿐만 아니라 지리학 성리학 군주론 이런 거에 통달 했었어요. 그 만큼 많고 다양한 지식을 수용했죠

  • @user-zc4mb2gr3v
    @user-zc4mb2gr3v 4 ปีที่แล้ว

    시작부터 오타가 있는 게,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어야 맞지 않나?

  • @YUYU-dq5nn
    @YUYU-dq5nn 2 ปีที่แล้ว +1

    세종대왕과 장영실 / 정조와 정약용 관계가 오래도록 유지되셨어야 했는데. 정약용은 과학 기기는 물론이고 새로운 금속 활자인 갑인자와 편경과 편종과 같은 악기도 제작하셨습니다. 신분과 관계 없이 능력을 인정해 주셨고, 장영실은 그 은혜를 갚기위해 세종대왕의 꿈을 이루는 데 큰 공을 세우셨지요. 영화 '천문'은 많이들 보셨을 테고, 학부모님들은 아이와 함께 어린이 동화책 '세종대왕 가출실록' 한번 읽어보세요. 강추드립니다.

  • @kan_pan
    @kan_pan 3 ปีที่แล้ว +3

    저런 다양한 인재들이 조선을 잘 발전 시켰다면 아직도 노비 문화는 살아 있었을테니.. 한편으로는 대단한 분들이 날개를 제대로 펼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 한편으로는 노비문화와 같은 자유가 없던 시절을 종결시키게 된 것에 대한 안도.... 여러 복잡한 심경이네요 조선이란 나라를 생각하면 ㅎㅎ;

  • @user-eg9eu9uu2l
    @user-eg9eu9uu2l 3 ปีที่แล้ว

    0:02 오타입니다.
    천동설 > 지동설

  • @user-od2nb4po3n
    @user-od2nb4po3n 2 ปีที่แล้ว +2

    유시민이 정치물을 먹다보니
    유토피아를 믿진 않는 것 같음
    나도 저 말은 유시민 말에 동의함
    세종이 장영실 관리등용을 물어보던 시절
    이방원이 막강한 왕권을 양위해서 그 세종도 엄청난 권력을 가지게 된 시절이었기에 사대부들은
    관노 하나 말단 관직하나 줌으로써 점수따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했을 것 같음

  • @jpark9445
    @jpark9445 3 ปีที่แล้ว

    2분 30초쯤에 들리는 BGM 아시는분

  • @user-vp8rt7js9h
    @user-vp8rt7js9h 4 ปีที่แล้ว +3

    아니 그래서 왜 없어졌는데여

  • @user-cw9tm5vc6c
    @user-cw9tm5vc6c 3 ปีที่แล้ว +1

    저기에 맛서인이 껴있는게 웃음벨 ㅋ

  • @user-vv6zo8fc5h
    @user-vv6zo8fc5h 4 ปีที่แล้ว +8

    분명 차붐이 있어서 들어왓는데

    • @husmik820
      @husmik820 4 ปีที่แล้ว

      차붐이 누구야~ 붙여 이름표

  • @mks6866
    @mks6866 3 ปีที่แล้ว +1

    저 때 계속 기술과 과학을 육성하고 했더라면 아마 전세계를 우리가 지배하고 있었을 것이다.

  • @user-ls5vp4fb8v
    @user-ls5vp4fb8v 4 ปีที่แล้ว +2

    전쟁났는데 총사령관이 제사지내러 가야된다는거 보면 진짜 노답이었지.....

    • @user-hp5sj4kn1o
      @user-hp5sj4kn1o 4 ปีที่แล้ว +1

      이인영? 말하는거임? ㅋㅋㅋ

  • @Meur_sault
    @Meur_sault ปีที่แล้ว

    과학에 대해 인정하고 발전하였다면 명이고 청이고 걱정 없이 다 때려부쉈을텐데

  • @user-le7mk2jr5z
    @user-le7mk2jr5z 3 ปีที่แล้ว

    유교와는 별개로 장영실을 필두로 과학연구 개발에 국가적으로 투자를 해줬다면 조선이라는 나라가 더욱 발전하지 않았을까

  • @skyblood99
    @skyblood99 4 ปีที่แล้ว +5

    그 때 시작된 과학들이 계속 이어지고 연구되었다면 조선은 어쩌면 세계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장많이 가진 국가였을지도 모른다

    • @mjyun2026
      @mjyun2026 4 ปีที่แล้ว

      그 당시 유럽이 훨씬 앞섰죠.

  • @woole9249
    @woole9249 4 ปีที่แล้ว +1

    시작하자마자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을 주장했다고??????????????????????????????

    • @mikejung3154
      @mikejung3154 3 ปีที่แล้ว

      자막 크게 실수함 어이없어서 찾아봄 ㅋㅋ

  • @gpgp2529
    @gpgp25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방원이는 정말... 어떤 삶을 살은것이냐

  • @younlee3253
    @younlee3253 4 ปีที่แล้ว +2

    장영실이 관직을 얻을 수 있었던 이유.
    1.강한 왕권
    태종 이방원이 반대세력들을 죽여놔서 조선 역사상 가장 강했던 시기
    2. 훈구파 집권
    그 당시 신하들은 실리가 된다면 (정도전 같이) 왕까지 바꿀 수있을 정도로 명분보다는 실리를 추구했던 집단이였음.
    이러한 상황들이 북방 개척, 조선만의 음악 정비, 한글 창제까지 이어지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있음.
    (이상 짧은 역사 지식으로 추측해봤습니다.혹시 다른 이유 아시는분이나 수정할 부분 있으먼 댓글남겨주세요.)

  • @smint072
    @smint072 4 ปีที่แล้ว +15

    ???: 사실 영실 장
    이거도 일본에서 온 거거든요?

  • @user-vc1bm4mm8q
    @user-vc1bm4mm8q 4 ปีที่แล้ว

    공무원...

  • @MrDlee0805
    @MrDlee0805 3 ปีที่แล้ว +1

    당시 사대부들의 논간이였겠죠. 지금처럼 기득권 세력의 논간.

  • @echo405
    @echo405 3 ปีที่แล้ว +4

    장영실의 이야기는 지금 현실에도 계속 되고 있는데 먼 옛날 얘기라고만 생각하네 ㅋㅋㅋ 맨날 세계최초 개발 발명 우수한 두뇌 어쩌구..... 에휴...

  • @dynamiteodeng
    @dynamiteodeng 2 ปีที่แล้ว

    그래서 답은 뭐에요. 왜 후기가면 과학이 잊혀짐?

  • @Werner4voss
    @Werner4voss 4 ปีที่แล้ว +15

    이게 다 세조때문

    • @user-ii9tv8bn1s
      @user-ii9tv8bn1s 4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ㅇㅈ

    • @frowty28
      @frowty28 4 ปีที่แล้ว +3

      ㅇㅈ 과학발달안한 가장큰 원인인듯

    • @dahye7895
      @dahye7895 3 ปีที่แล้ว

      ㅇㅈ 조선은 세조때버터 삐끄덕

  • @AnteroChoi
    @AnteroChoi 4 ปีที่แล้ว +4

    고대 서양에서 과학이 발전하지 읺은 이유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고대 서양에서 과학은 노동이며, 당시 노동은 속칭 고귀한 자가 하지않고 미천한 신분의 인물들이 하는 그저 노동이였죠. 그리고 이 것은 조선에 접목해본다면. 동아시아의 역사는 거의 성리학과 같이 시간을 보내어 왔습니다. 거기다 사농공상이라 하여 사인(양반) 농민 장인(사농공상의 공에 해당) 상인 순으로 현대의 시점으로 말하면 직업의 귀천이 있었습니다. 장영실의 신분을 생각해보면 세종대왕에게 눈에 띄기전에는 노비출신이죠. 즉, 직접적인 과학이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이런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되었을 것입니다. 무언갈 발명하고 발견하는 것이 과학자들의 일이고, 성리학이 성행한 나라에서 일반 백성들은 농업을 중시했습니다. 농사를 지어야 밥으루먹을 수 있으니까요. 헌데 무언가루혁신적인 마인드와 남들과는 다른 일을 해애하는 과학이라는 장르는 당시 양반들에겐 굳이 허드렛일을 자신이 안해도 되었우으며, 백성들은 벌어먹고 살아야했죠. 보수적인 성리학의 세계에서 진보적인 과핫은 그 자리가 설 데가 없었을 겁니다. 그런걸 생각해보면 세종대왕은 상당히 시대적으로 앞선인물이며, 개혁자적은 기질과 진보적인 생각을 지닌 왕임이 틀림없음을 한번더 상기하게됩니다.

  • @sgchoe4806
    @sgchoe4806 4 ปีที่แล้ว +4

    그래서 과학이 왜 사라졌는데..?

    • @onewkd411
      @onewkd411 3 ปีที่แล้ว +2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성리학만 집요하니까요

    • @brabbit1149
      @brabbit1149 2 ปีที่แล้ว

      기득권때문에 …과학이 사라진건 아님 기술자 대우해주고 관직주고 했음 천대해서 그렇지 과학발전이되면 자기가 가진 기득권 기반이 뒤흔들리는걸 봤으니까 장영실을 통해서 그래서 더 억압한거임

  • @stimp2970
    @stimp2970 4 ปีที่แล้ว +1

    세종이 키워놓은 집현전 말그대로 국책연구소이자 전문가집단 박살내놓고 발전을 바라는건 어불성설이지

  • @user-kd2qv8rs7p
    @user-kd2qv8rs7p 3 ปีที่แล้ว +1

    지식인들이 생각하는 조선시대를 두글자로 표현하시오 00:19

  • @jeongminpark483
    @jeongminpark483 3 ปีที่แล้ว

    결국 세조의 집현전 폐지와 성종의 사림등용부터 이미 조선은 과학을 버렸다. 성종은 이해가 가는 입장이지만 적어도 세조는 집현전을 폐지했어도 그에 준하는 기관을 만들었어야 했다. 여러모로 참 짜증나는 왕 세조.

  • @user-zi9qv3wx9p
    @user-zi9qv3wx9p 3 ปีที่แล้ว +1

    명나라의 계략이 있었지 싶네요.
    조공 받치던 나라에서 과학이 발전하는 모습을 명나라가 가만히 두고 보겠는지 ..

    • @Tennessinee
      @Tennessinee 3 ปีที่แล้ว

      맞춤법부터 알고 음모론 제기하길

  • @Twomypuppies
    @Twomypuppies 4 ปีที่แล้ว +1

    조선은 임진왜란 전과 후로 나뉜다고 보면 된다. 전기만 해도 합리적이었지만, 왜란 이후, 패전국 주제에 기득권들이 그대로 권력을 잡고 있었으니 그걸 합리화 하려고 오만 미친 짓들 다했고 그짓꺼리들이 지금까지 그대로 내려오고 있음.

    • @utub2332
      @utub2332 4 ปีที่แล้ว

      근데 임진왜란은 엄밀히 말해 조선이 패전국은 아님

    • @user-kyumin34757
      @user-kyumin34757 2 ปีที่แล้ว

      피해를 너무입었으니까..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3 ปีที่แล้ว

    제가 보기에 조선 시절때에 과학이 발전하지 못한 건 중국 때문에 그런 거 같습니다. 중국이 그 당시 조선이 과학으로 발전하는 걸 엄청 견제했죠
    그러니 세종도 과학을 발전 시키고 싶어도 중국 눈치보고 했어야 했죠
    자신들이 발견한 것들도 안알려주고 말이죠 그러니 맨날 공자 맹자만 찾은거죠 중국에게 굽신거리면서 조공 바치고 있었으니 말이죠
    지금도 미국 때문에 미사일도 마음대로 못 만들고 그러는 거 아닌가요? 힘의 논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강대국 눈치를 보는 건 어쩔 수 없다고 쳐도
    최대한 우리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그들을 설득해서 우리가 최대한 만들 수 있는 선까지 계속 노력해야죠

  • @yj-qi4cf
    @yj-qi4cf 4 ปีที่แล้ว

    세종이 즉위했을 때 이방원이 살아있었으니까 갓즉위한 세종이아니고 이방원 눈치를 본거지

    • @__Kimes
      @__Kimes 4 ปีที่แล้ว +2

      킬방원...그저 갓..

    • @user-ii9tv8bn1s
      @user-ii9tv8bn1s 4 ปีที่แล้ว +2

      눈치도 눈친데 세종은 그냥 타고났어요 노력하는수준이 사기수준이잖아요

  • @ASMR-hs3bj
    @ASMR-hs3bj 4 ปีที่แล้ว +2

    나 진짜 궁금해
    이분들도 술마시면 이런 고차원적인 이야기를 할까??

    • @user-wi3ri4wv3q
      @user-wi3ri4wv3q 3 ปีที่แล้ว +1

      네... 저런분들은 더 머리아픈 이야기로 심화되더라구요 신기하게 ㅋㅋㅋㅋ 저는 걍 입다물고 있었습니다.

    • @iamderek1991
      @iamderek1991 2 ปีที่แล้ว

      가끔씩 소주병 여럿 보이는편 있는데 훨씬 재밌습니다 ㅋㅋㅋㅋ

  • @dnwndugodwk
    @dnwndugodwk 3 ปีที่แล้ว

    조선왕조 500년 역사에 세종같은 임금 세 명만 더 있었어도 조선이 일본은 물론이고 중국까지 먹었을 지 모름.. 조선 말기 생각하면 진짜 조상이라도 너무 부끄러움

  • @thomasrho8637
    @thomasrho8637 2 ปีที่แล้ว

    그게 조선이 한 일이라더냐...

  • @sicia5050
    @sicia505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랬던 이 나라에 초전도체가 등장한다.

  • @user-sk2et4wp3u
    @user-sk2et4wp3u 2 ปีที่แล้ว +1

    그게..바로약소국의한계...또한...밥그릇챙기는맘이앞서.나라를망쳐다.지금현실을봐...양진영으로나누어서...참어이없다...

  • @user-ck9ld6sy8p
    @user-ck9ld6sy8p 3 ปีที่แล้ว

    사림파ㄹㅈㄷㅋㅋㅋㅋㅋ

  • @User29801
    @User29801 3 ปีที่แล้ว

    유교를 버리지 못해 망한국가에 표본이 조선이지 분로쿠시대 에도막부와 반대의 길을 걸어서 망한거지 17c 부터 지역으로 여행을 다니던 에도막부사람들과 다르게 17c전국민에 절반이 노비였던 나라가 조선임 개역 할수있는 시간이 있었지만 그것도 걷어차고 유교적인 면만 강조함 사실 600년 버틴게 신기한 나라임

  • @package4587
    @package4587 ปีที่แล้ว

    에으 아휴 진짜 개웃기네

  • @to.profilm7120
    @to.profilm7120 3 ปีที่แล้ว

    이게 세종대왕을 너무 신격화하다보니 자연스레 뭔가 인자한 소위 부처님같은 이미지를 떠올리는데... 세종대왕도 이성계 손자, 이방원 아들답게 한가닥 했다고 함...ㅋㅋㅋ욕을 생각보다 입에 달고 살았다는건 뭐 어느정도 알려져있으니까ㅋㅋㅋ 한번은 김종서가 여진 정벌하러 갔을때(4군6진) 여진의 반발이 심해 퇴각을 해야겠다는 식으로 상소를 올리니까 이길거 아니면 거기서 뒤져라 이런식으로 얘기했다는걸 보면ㅋㅋㅋ기본적으로 무신의 피도 같이 흐른듯ㅋㅋㅋ태종만큼 강력한 포스 + 논리와 근거를 토대로 말빨로 털어버리니까ㅋㅋㅋ게다가 더 무서운게 반발한다고 막 죽이는게 아니라 진짜 죽을때까지 일을 시켜...ㅋㅋㅋㅋ개무서웤ㅋㅋㅋㅋㅋ

  • @user-ie7uk2ng6v
    @user-ie7uk2ng6v 3 ปีที่แล้ว +1

    지들끼리 쳐 싸우고 하면서 내부에서 분열이 나니까 바깥 세상에선 뭘 하는지 모르지.... 진짜 안타깝다 조선

  • @mantiskim
    @mantiskim 3 ปีที่แล้ว +2

    이과 무시는 전통이였군요~

  • @barenmal5461
    @barenmal5461 2 ปีที่แล้ว

    조선이란 나란 참 알면 알수록 한숨나옴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 ปีที่แล้ว +1

    에이구 세종이 노비 신분이 세습되지 않게 했었어야지. 그리고 양반에게 부역을 지게하고 세금을 내게 했었어야지. 그럼 나라가 완전히 쌍따봉이 되었겠지.

  • @johnpark7274
    @johnpark7274 4 ปีที่แล้ว +1

    난 이과에서 문과가 됐지만 진짜 이과를 무시해서 잘되는 나라없다. 문과는 자존감을 높이지만 이과는 배를 부르게 한다

  • @talkertalker0
    @talkertalker0 4 ปีที่แล้ว

    사실 핵심은 상업이지. 지리상의 발견이나 기술연구 같은 것도 핵심은 상업적 이익을 취하려면 교역품이 되는 게 중요하니까. 이익추구+호기심+도전의식이라는 요소가 인류 문명발전의 중핵이었는데,
    조선은 a. 이익을 추구하면 모리배요, b. 호기심을 가지면 사문난적이요, c. 뭔가 안하던 짓을 하면 예법을 혼란시키고 사회질서를 어지럽힌다 보았으니.....
    뭘 할 수가 있나?

  • @adonis5172
    @adonis5172 3 ปีที่แล้ว +4

    성리학때매 조선이 망했다고 본다 ... 퇴계이황 과 율곡이이는 지폐 위인에서 빼야한다

    • @adonis5172
      @adonis5172 3 ปีที่แล้ว

      @@Jamnanada :)

    • @adios182
      @adios1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발 지금의 관점에서 과거를 바라보지 말라고..

    • @adonis5172
      @adonis517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dios182 무슨말이 하고싶으신 건가유?

    • @brabbit1149
      @brabbit114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donis5172도구를 보지말고 인간을 보라는 말이죠 유교 성리학탓만하고 사람탓은 안하는 걸 반성해야되는거 아님? 칼부림하고 다니니 칼이 문제네?

  • @kijokim8685
    @kijokim8685 6 ปีที่แล้ว +5

    당연하지 이명박을 보면 알잔우

    • @kevinhan233
      @kevinhan233 4 ปีที่แล้ว +4

      뭐가요?

    • @Archi1208
      @Archi1208 4 ปีที่แล้ว

      이명박의 어떤점??

  • @user-sz9ee4cu5t
    @user-sz9ee4cu5t 4 ปีที่แล้ว +5

    수양 때문이지 세조라고 부르기도 싫다

  • @hyonkwanyun8432
    @hyonkwanyun8432 3 ปีที่แล้ว

    유교가 망춘거지 뭐 유교로 이득 본것도 많지만 잃은것도 많은듯

  • @kingmaker0101
    @kingmaker0101 3 ปีที่แล้ว

    임진왜란때 천지인 총통 심지어 거북선도 태종 문종때 만들어진거라 백몇십년전에 만든걸로 싸운거임...그때 안만들어놨으면 일본한테 바로 털렸음

  • @JWJ-qj1cb
    @JWJ-qj1cb 3 ปีที่แล้ว

    성리학이 물리학을 천대 했기에
    후손들이 개고생함 ㅅㅂ

    • @JWJ-qj1cb
      @JWJ-qj1cb 2 ปีที่แล้ว

      @zero 조선시대를 말하는거잖아
      그때 무슨 물리학이 존중을 ... ㅡㅡ

  • @user-jb9ps6yy4r
    @user-jb9ps6yy4r 2 ปีที่แล้ว

    세종이 장영실을 내친게 세종24년 1442년인데 훈민정음 반포가 1444년임 훈민정음을 내보이면 엄청 반대할게 보이는데 만약 장영실을 안내쳤으면 더 크게 반발할수도 있으니 장영실과 훈민정음의 가치를 저울질하고서 훈민정음의 가치가 더 크다고 생각한게 아닐까 생각이드네

  • @user-ob2pb1mm8o
    @user-ob2pb1mm8o 3 ปีที่แล้ว

    기득권들 발목잡는거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네ㅋㅋ역사는 반복한다

  • @1ilililililililil1
    @1ilililililililil1 3 ปีที่แล้ว +1

    만약에 조선은 과학에 계속 발전(몰빵)시킨다면 대향해시대 최초가 될수있고(조선수준은 이미 세계최고), 산업혁명 가능할수도...(신기전-초기미사일, 거북선-초기철갑함, 비거-초기전투기) 전부 다 발전되면 세계정복 가능ㅋㅋ

    • @user-re1fn8ob5t
      @user-re1fn8ob5t 2 ปีที่แล้ว

      현실은 그러다간 명나라에게 찍혀서 내번행...

  • @mashimaro75lee82
    @mashimaro75lee82 3 ปีที่แล้ว

    말도 안되는 유교 때문에 요모양 요꼴이지

  • @antonius3496
    @antonius3496 3 ปีที่แล้ว

    공자맹자의 사상만 숭상했다는건 과장인거고 지금현대인의 대부분 문화적 특성이 유교적 관습을 아무런 저항없이 받아들이고 있으며 우리민족의 역사적 문화적 뿌리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가장 빠른 물질적 발전을 이루어낸 한국사회에 정신적인 버팀목이 되었으며 우리가 성숙한 시민사회로 거듭나는 뿌리가 되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 @ruind.8511
    @ruind.8511 4 ปีที่แล้ว +2

    오히려 고대 로마, 그리스 시절 기술이 말이 안되지
    국사 교과서에서 물시계, 수원 화성으로 자위질할 때 고대 로마, 그리스는 콜로세움 세우고 기초적인 증기기관에 오토마타 기초 이론까지 세웠다
    그 시절 조선의 기술력을 폄하하는 건 아니지만 국뽕은 적당히 빨아줬으면 좋겠음

    • @Tyran-rex
      @Tyran-rex 3 ปีที่แล้ว +1

      인정합니다.
      그 당시 신라가 천문대와 수세식 화장실 만들고
      고구려는 고대시대에 중세 영화를 찍었지만
      로마에는 성형 수술을 하고 공동 주택을 지었다는..

  • @user-sp1em4ct7j
    @user-sp1em4ct7j 3 ปีที่แล้ว

    초등학교때 학교도 제대로 안나오던애가
    박사됏다고 이거저거 온갖걸 아는척하네

  • @user-qj1os2ti1n
    @user-qj1os2ti1n 4 ปีที่แล้ว +7

    황씨 안어울리게 저기서 뭐하디

  • @Hyuchan1002
    @Hyuchan1002 4 ปีที่แล้ว

    장영실의 발명품을 보아하건대 결국 지구가 둥글다는 결론에 이른게 아닐까. ㅋ 그래서 당시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부합하지 않는 주장을 하게되고. ㅋ 그래서 사대부들의 극심한 반대에 갈릴레오 수준의 신성모독이라고 느낀게 아닐까. ㅋ 그래서 모든 기록에서 삭제된게 아닐까 ㅋ 하고 마음대로 상상해 봅니다. ㅋ

  • @ebichu8126
    @ebichu8126 3 ปีที่แล้ว

    장영실은 공학자일뿐... 과학자가 아님...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2 ปีที่แล้ว

      장영실의 결과물은 과학에 맞닿았다고요

  • @beautelle9460
    @beautelle9460 3 ปีที่แล้ว

    자동변역 하지마라..오히려 정신없고 엉망이다.

  • @zach214able
    @zach214able 4 ปีที่แล้ว +3

    과학이 더 발전 못한건 간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천민 노비가 만든건 필요없다 이거였겠죠. 장영실이 갑자기 역사속에서 사라진것도 같은 맥락이라 봅니다

    • @user-yg1ef1bm7o
      @user-yg1ef1bm7o 4 ปีที่แล้ว +1

      천민 노비가 만든게 필요없는 게 아니라, 천민 노비가 있으니 굳이 과학으로 일손을 줄일 필요가 없는거죠. 유럽은 흑사병 이후 인구가 급갑해서 인본주의가 나타나고 효율을 위해 과학을 발달시킨 겁니다.

  • @user-qs6wm4ft4y
    @user-qs6wm4ft4y 3 ปีที่แล้ว

    아 진짜 ....
    알뜰신잡 썸네일 작가 자꾸 영상이랑 상관없는 썸네일 넣어놓네....
    그따위로 살지 마십시오....

  • @user-dc4ei3cf9j
    @user-dc4ei3cf9j 3 ปีที่แล้ว

    조선500년동안
    상수도 건설을 못한 미개한나라
    근대사가 들어와도 제대로된 길이 없던나라
    오직 양반만을 위해 돌아가는 나라
    명나라를 위해 수많은 여자를 바친나라
    진짜 미개했지만 일본이 아닌 중국이 식민지
    삼았으면 개끔찍할거같네

  • @user-bj2iu2vr4z
    @user-bj2iu2vr4z 3 ปีที่แล้ว

    이게 다 노비종모법 때문이니라

  • @user-nw8eb9nq4j
    @user-nw8eb9nq4j 3 ปีที่แล้ว

    유시민 얼굴걸어놓으니깐 신뢰가 안가는데 ㅋㅋㅋ

  • @wedgegold9396
    @wedgegold9396 4 ปีที่แล้ว

    이런 사람이 조국에 대해선 왜?? 왜 그러셨어요??

  • @user-qt7nl9xf2u
    @user-qt7nl9xf2u 2 ปีที่แล้ว

    유시민
    여기서
    나대고 있구나

  • @user-vn8sp9pq2z
    @user-vn8sp9pq2z ปีที่แล้ว +2

    저기에 있는 종류의 인간들만 없어도 조선은 생존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