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대가 신영훈 선생이 밝히는 한옥의 지혜(생전 기록물) 하편/못 하나 박지 않은 한옥의 놀라움/사람을 중심으로 비례를 맞추는 놀라운 한옥의 수치/부산mbc 020627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3 เม.ย. 2021
  • 바깥의 장식보다 집에서 밖을 내다보는 아름다움에 치중하여 집을 짓다
    소나무를 주로 한옥에 주로 쓰는 이유가 있다
    기둥과 기둥 사이, 천정과 바닥, 가구의 배치 등을 사람을 기준으로 비례를 맞추는 놀라운 한옥의 수치
    한옥의 향기#4. 한옥의 지혜 하편
    ==================================
    * 좋아요 와 구독 꼭! 눌러주세요~
    * 우측 상단에 종 그림이 알림버튼 입니다.
    눌러서 켜놓으시면 생방송 알림이 갑니다.
    ==================================
    * 부산MBC 홈페이지
    www.busanmbc.co.kr
    =================================
    #부산MBC다큐 #부산MBC다큐멘터리 #명품다큐멘터리
    #부산MBC #부산문화방송 #문화방송
    =================================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

  • @soskfk-7492
    @soskfk-7492 3 ปีที่แล้ว +5

    한옥에서 부터 현재의 대한민국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말씀해 주신 신영훈 선생님의 말씀을 아주 귀하게 듣고 봤습니다.
    생각하게 하는 큰 주제 입니다.

    • @user-lr4yh9ot5g
      @user-lr4yh9ot5g 2 ปีที่แล้ว

      한옥 건물 방음은어찌 돠나요?

  • @user-gy8sx3zy8p
    @user-gy8sx3zy8p 2 ปีที่แล้ว +3

    정말 참 어르신 이시네요... 큰 감동과 울림을 주는 도담 같은 말씀 우리들의 이정표 같네요.

  • @user-ky5bc7pb7w
    @user-ky5bc7pb7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옥 짓는데 못하나 박지않는다는 말을 대체 누가 퍼뜨렸는지...한옥에 대해 잘못알려진 점이 한 둘이 아님...현대의 한옥에서는 집 지을때 '도리'를 조립할때까지는 못을 사용하지 않지만 그 위에 '서까래' 걸고 부터는 못을 사용하지 않고는 집을 완성할수 없습니다.. 그 옛날 철물이 귀하던 시절에는 못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짓기는 했었습니다만 그때는 친환경이니 뭐니 그런 이유가 아니라 철물이 귀했기 때문이죠..

    • @aa-bz8jg
      @aa-bz8j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서까래는 못없이 연침이라는걸로 엮어서 올릴수있음

    • @user-ky5bc7pb7w
      @user-ky5bc7pb7w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a-bz8jg 예 맞습니다.대나무를 쪼개거나 싸리나무로 연침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대에 이방법은 문화재 보수공사 이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서까래에 일일이 구멍을 판다음에 연침을 서까래에 하나씩 관통시켜야하기 때문에 품이 많이 들어갑니다. 대부분 현대 한옥은 간단히 못이나 연정을 박거나 나사못으로 시공합니다.

  • @user-whang
    @user-wha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옛날 사람은 옛날 사람일 뿐이구나

  • @andrewkoh4569
    @andrewkoh4569 3 ปีที่แล้ว

    Bull Shit,